KR101634580B1 -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4580B1 KR101634580B1 KR1020150078402A KR20150078402A KR101634580B1 KR 101634580 B1 KR101634580 B1 KR 101634580B1 KR 1020150078402 A KR1020150078402 A KR 1020150078402A KR 20150078402 A KR20150078402 A KR 20150078402A KR 101634580 B1 KR101634580 B1 KR 1016345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ype
- plate
- expansion joint
- telescopic
- fing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단부길이 조정이 가능하여 상방으로 방수재가 꺾여 설치되는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와 방호벽과의 연결부위 마감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방수재의 방수성능, 내구성은 물론 자외선으로부터의 안정성, 내화, 방음효과가 뛰어난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는 양 ㄴ자형 단부플레이트; 사각블록 형태의 방수재; 및 상기 각각의 ㄱ자형 앵글부재의 상면에 방수재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슬래브의 종방향 신축을 흡수하도록 서로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단부길이 조정이 가능하여 상방으로 방수재가 꺾여 설치되는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와 방호벽(난간방호벽, 파라펫)과의 연결부위 마감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방수재의 방수성능, 내구성은 물론 자외선으로부터의 안정성, 내화, 방음효과가 뛰어난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부구조 및 일반구조물에는 온도변화, 건조수축, 크리프 등 구조물의 변형을 흡수하기 위하여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신축이음장치(10)는 내부에 교면의 우수 등이 유도배수 될 수 있도록 U형 방수재(11)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는 교량의 횡방향(교량 폭방향)으로 연장 설치된다.
이에 교량 폭방향으로 상기 방수재(11)를 통해 유도된 우수 등은 도 1a와 같이 교량의 방호벽(40)를 파쇄하여 마련한 공간에 설치된 배수관(20)과 배수관(20) 하부에 연결되어 교량의 하부로 연장된 집수관(30)을 통해 교량 하부로 배수시키게 된다.
즉, 교면(바닥판 또는 슬래브 상면)의 우수 등을 신축이음장치(10)의 방수재(11)를 통해 교량의 하부로 유도 배수시킨다는 의미에서 상기 신축이음장치(10)는 배수형 신축이음장치로 지칭하게 된다.
관련하여 비배수 신축이음장치(50)도 소개되어 있는데 이러한 비배수 신축이음장치(50)는 도 1b와 같이 우수 등을 교량 하부로 유도 배수 시키지 않고, 신축이음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방수재로 교량의 슬래브 상면(교면)으로 자연스럽게 교면 배수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비배수 신축이음장치에서는 방수재를 유도 배수에 유리한 U형으로 형성시키지 않고 사각 블럭 형태로 연장된 것을 이용한다(이에 비배수 신축이음장치에 사용되는 방수대는 방수형 봉함재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비배수 신축이음장치(50)에 사용되는 방수형 봉함재(1) 및 설치형태를 도 1b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구조체(교량의 슬래브)의 개방부(3)에서 구조체 두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조체(51)의 양측에 각각 강재앵글(4)이 설치되어 있으며, 강재앵글(4)과 포장체(52) 사이에는 탄성콘크리트(5)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강재앵글(4)과 맞닿게 되는 사각 블록 형태의 방수형 봉함재(1)의 양측에는 방수형 봉함재(1)의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때 접착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홈(2)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어,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제를 방수형 봉함재(1) 측면에 도포하여 상기 강재앵글(4) 사이에 방수형 봉함재(1)를 삽입함으로서 완전하게 부착시키게 된다.
나아가 강재앵글(4)에는 스터드(6)가 구비되어 있어, 후부에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5)에 스터드(6)가 매립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도 1c는 종래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60)를 교량의 방호벽(40)에 설치하는 시공사진이다.
즉, 교량의 횡방향의 폭에 맞추어 제작된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내부에는 방수재(11, 검은색의 U형 실링재, 신축부재라고도 함)가 교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데 방호벽(40)가 설치된 부위에서는 상방으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꺾어지도록 배치하여 방수재(11)로 유도된 우수 등을 비배수 상태로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우수 등은 방호벽(40)에 쪽으로 상방으로 꺾여 연장된 방수재(11)에 의하여 달리 교량 하부로 배수되지 않고 교면 배수되도록 하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60)는 일정한 길이(통상 2M 내외)를 가지도록 제작된 제품이므로 시공오차, 설계변경 등에 의하여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6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너클이 콘크리트 방호벽(40) 하부까지 연장되지 못하는 경우 또는 과도하게 연장되어 방호벽 하부를 파쇄 해야 설치 할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60)를 현장에서 별도로 가공(절단 등)하거나 방호벽(40)를 더 파쇄한 후 마감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될 수밖에 없으며, 품질관리가 되지 않은 경우 콘크리트 방호벽(40)와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50)의 연결부위에 하자(우수등의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발명은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단부에서 방수재를 용이하게 꺾어 설치할 수 있으며,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와 방호벽의 연결부위 마감처리가 용이하여 보다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설치 가능한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에 사용되는 방수재(밀폐성 저밀도 발포 죠인트 씰)는 사각 블럭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서 탄성을 가져 용이하게 꺾어 설치할 수 있으며 높은 방수성능과, 내구성은 물론 자외선으로부터의 안정성, 내화, 방음효과를 가진 것을 이용하게 된다.
둘째, 상기 방수재는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내부에 간단하게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를 구성하는 양 ㄱ 자형 앵글부재 하부 내측에는 방수재받침편이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방수재받침편은 사각 블럭 형태의 방수재 저면을 지지하도록 하되 서로 이격 설치된 사각 또는 삼각편 형태로 형성시켜 방수재 설치 용이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셋째, 상기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단부는 방수재를 그대로 수용하면서 방호벽 내부로 상방으로 꺾여 연장되는 한쌍의 ㄴ자형 단부플레이트를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하되, 단부로부터 연장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와 방호벽의 연결부위 마감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ㄴ자형 단부플레이트와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를 구성하는 양 ㄱ 자형 앵글부재를 수평 타원형홀인 슬롯홀과 연결볼트를 이용하여 연결시키되 슬롯홀을 따라 ㄴ자형 단부플레이트의 고정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방호벽 내부로 연장되는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단부 위치를 조정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단부길이 조정이 가능한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는 방수재를 사각블록 형태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여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비배수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며,
방호벽과의 연결부위에 있어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단부 연장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시공오차 등에 의한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시공상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방수재는 탄성을 가져 용이하게 꺾어 설치할 수 있으며 높은 방수성능과, 내구성은 물론 자외선으로부터의 안정성, 내화, 방음효과를 가진 재질을 이용함으로서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유지관리에 매우 효과적이게 된다.
도 1a는 종래 배수형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도,
도 1b는 종래 방수형 봉함재 및 비배수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및 시공단면도,
도 1c는 종래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시공사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구성사시도들,
도 2c는 본 발명의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도 2d는 본 발명의 ㄴ자형 단부플레이트의 작용도,
도 2e는 본 발명의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에 따른 예시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b는 종래 방수형 봉함재 및 비배수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및 시공단면도,
도 1c는 종래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시공사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구성사시도들,
도 2c는 본 발명의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도 2d는 본 발명의 ㄴ자형 단부플레이트의 작용도,
도 2e는 본 발명의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에 따른 예시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 ]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의 구성사시도들 및 완성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는 방수재받침편(113)이 형성된 ㄱ자형 앵글부재(110),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 방수재(130) 및 핑거플레이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ㄱ자형 앵글부재(110)는 도 3a와 같이, 교량의 슬래브(200)의 이격된 단부에 서로 좌우로 마주보도록 고정 설치된다.
통상은 상기 단부를 일부 절취하여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시키고,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를 상기 공간에 세팅시키는 방식으로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ㄱ자형 앵글부재(110) 각각은 도 2a와 같이 수직판(111)과 상기 수직판 상부에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판(112)으로 형성되어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ㄱ자형 앵글부재(110)는 서로 좌,우 대칭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를 슬래브(200)의 단부에 형성된 절취 공간에 고정 시키기 위하여 도 3c와 같이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충진재로 공간을 마감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충진재(C)와 합성이 용이하도록 수직판(111)의 외측면과 수평판(112)의 저면에 각각 측면과 상면이 접하도록 설치된 수평고정대(114, 일종의 스터드)가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길이방향(횡방향)으로 다수 이격되도록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수평고정대는 2점 접촉 지지(측면과 상면 접촉)에 의한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의 신축 시 변형등에 대한 강성을 크게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평판(112)의 저면에는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가 안정적으로 상기 절취된 공간에 세팅 될 수 있도록 수직받침봉(115)이 수평고정대(114) 사이사이에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이격되도록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3c와 같이 슬래브(200)의 단부 사이 이격공간에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를 설치하고 나서 충진재(C)를 타설하여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가 슬래브의 단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내측 하단에는 수평으로 연장된 방수재받침편(113)이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길이방향(횡방향)으로 다수가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수재받침편(113)은 사각블럭 형태의 방수재(130)가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수직판(111)의 내측에 밀착 설치되도록 하되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편으로서 사각 또는 삼각 형태로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방수재(130)는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야 방수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데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슬래브(200)는 온도 등에 의하여 수평으로 신축되므로 이러한 신축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이러한 변형에 의하여 방수재(130)는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내측면에 접착제로 밀착 고정시킨다 할지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방으로 탈락할 수 있어 본 발명은 방수재받침편(113)에 의하여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내측면에 방수재(130)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도 2b와 같이 수직판(111)의 내측면에는 방수성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후술되는 방수재(130)와 동일한 재질로 수평홈이 형성된 부착판(132)를 더 부착시켜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에 있어 소요로하는 방수재(130) 밀착성능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는 방수재(130)를 제외하고는 강재로 제작하기 때문에 무게가 클 수밖에 없어 제작,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일정한 연장길이를 가지도록 제작하게 되는데, 통상 2M 정도의 연장길이를 가지도록 형성시키고 현장에서 절취 공간에 횡방향으로 서로를 연결시켜 가면서 설치하게 된다.
이에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가 설치되는 연장길이는 교량 슬래브의 횡방향 폭에 의하여 결정되며 교면(교량 슬래브 상면)에 설치된 방호벽(300)까지 연장된다.
하지만 시공오차 등에 의하여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를 교량 슬래브의 단부 사이 절취된 공간에 연결 설치하다 보면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를 절단하거나 약간 길이가 모자라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강재로 제작된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를 절단하는 작업은 작업성이 매우 떨어짐에도 연장 길이가 모자라는 경우에는 모자라는 만큼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를 별도로 절단하여 사용해야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 단부를 연장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도록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를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에 추가로 연결 설치하게 된다.
이에 상기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는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방호벽(300) 내부로 상방으로 꺾여 연장되도록 하고, 상기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는 ㄱ자형 앵글부재(110) 단부에 연결볼트(123)로 간단하게 체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되는 부위를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면 ㄱ자형 앵글부재(110) 단부로부터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의 위치를 수평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위치의 조정을 통해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의 단부를 방호벽(300) 하부에 형성시킨 파쇄공간(S)에 용이하게 연장될 수 있는 효과(결국 교량 횡방향 폭의 편차를 수용)를 가지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2c와 같이 2가지 실시예를 개시하게 된다.
첫째는 도 2c의 위쪽에 도시된 것과 같이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의 수평부(121)에 형성시킨 수평 타원홀 형태의 슬롯홀(122)을 형성시키고, ㄱ자형 앵글부재(110) 단부에 형성시킨 볼트홀이 노출되도록 슬롯홀(122)을 세팅하고 연결볼트(123)를 이용해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연결볼트(123)를 기준으로 슬롯홀(122)의 연장길이에 따라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를 수평으로 좌,우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의 단부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둘째는 도 2c의 아래쪽에 도시된 것과 같이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의 수평부 외측면에 단부연결플레이트(124)를 별도로 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단부연결플레이트(124)에 슬롯홀(122)를 형성시키고, 역시 ㄱ자형 앵글부재(110) 단부에 형성시킨 볼트홀이 노출되도록 상기 슬롯홀(122)을 세팅하고 연결볼트(123)를 이용해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를 단부연결플레이트(124)와 함께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역시 연결볼트(123)를 기준으로 슬롯홀(122)의 연장길이에 따라 단부연결플레이트(124)와 함께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를 수평으로 좌,우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의 단부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효과를 가진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를 본 발명에서 단부길이 조정이 가능한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라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방수재(13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사각 블록 형태로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의 설치 연장길이에 맞추어 앞서 살펴본 방수재받침편(113)에 지지되도록 하여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내측면 사이에 밀착시켜 설치하게 된다.
이에 방수재(130) 측면에 측면수평홈(131)이 다수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홈에 접착제(미도시)가 충진되어 밀착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방수재(130)는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를 교량폭 방향(횡방향)으로 연결 설치하더라도 방수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절단된 것이 아닌 연속된 형태를 설치하게 되며,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와 방호벽(300)의 연결부위에 있어 앞서 살펴본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를 따라 방호벽(300) 내부로 그대로 꺾여 연장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방수재(130)는 방호벽 내부로 꺾여져 올라가도록 한 상태에서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의 단부면에 맞추어 절단하여 마감하게 된다.
즉,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의 내측에 스펀지를 삽입시키고 설치 길이에 맞추어 커팅기로 절단하여 설치하는 방식으로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이에 상기 방수재(130)는 탄성을 가져 용이하게 꺾어 설치할 수 있으며 높은 방수성능과, 내구성은 물론 자외선으로부터의 안정성, 내화, 방음효과를 가진 것을 이용하게 되며 본 발명은 이를 밀폐성 저밀도 발포 죠인트 씰이라 지칭하게 된다.
이에 작업자는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사이의 이격공간을 이용해 방수재(130)를 삽입 설치해 가면서 교량폭 방향으로 방수재(130)를 연장시키되 방호벽(300)와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의 연결부위에 있어 방호벽 내부로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가 위치하도록 한 후, 방수재를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 사이로 꺾여 올라가도록 하여 커팅기로 절단하여 간단하게 방수재(130) 설치를 마무리 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방수재(130)의 꺾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위는 별도로 커팅된 것을 삽입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이에 상기 방수재(130)는 도 2d와 같이 슬래브(200)의 신축에 따라 좌,우로 변형되면서 상기 신축을 흡수하면서 핑거플레이트(140)의 스틱형 핑거부(141)가 서로 겹쳐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핑거플레이트(14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수평판(112) 상면에 고정볼트(131)를 이용하여 각각 고정 설치된다. 이에 슬래브(200)가 신축되면 서로 인접한 핑거가 서로 겹쳐지면서 슬래브(200)의 신축을 흡수하면서 설치된 신축재(130) 상부에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위치 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유수등은 핑거플레이트 사이로 흘러들어 방수재(130) 상면을 따라 집수되며 달리 측방으로 배수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이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를 지나가면서 집수된 유수등이 교면을 따라 배수되게 된다.
이러한 핑거플레이트(140)는 도 2e와 같이 슬래브 단부 사이 간격이 큰 경우에는 서로 겹쳐지는 스틱형 핑거부(141)의 연장길이가 긴 것을 이용하면 되고, 간격이 크지 않은 경우에는 횡방향으로 파형 연속되는 파형 핑거부(142)를 가지도록 형성시키면 된다.
[ 단부길이 조정이 가능한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단부길이 조정이 가능한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 시공방법을 순시대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a와 같이 서로 이격된 슬래브(200) 단부를 절취 등의 방법으로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S)을 확보하게 된다.
이는 슬래브를 먼저 시공하고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를 후 설치하는 공종을 따르기 때문이다.
상기 절취는 콘크리트 절삭기 등을 이용하면 되고, 방수재(1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방호벽(300)도 절취시키게 된다. 이도 역시 방호벽(300)를 먼저 시공하기 때문인데 소형 드릴 등을 이용하면 된다.
이에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를 상기 공간에 교량폭 방향(횡방향)으로 다수개를 연결 설치하게 되며 이때 설치되는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는 단부에 앞서 살펴본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가 설치되지 않은 것을 이용하게 된다.
이는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는 방호벽과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의 연결부위에 사용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에는 수직받침봉(115)이 수평고정대(114) 사이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간에 수평을 유지하면서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를 연결 설치할 때 방호벽(300)에 가까워지게 되면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를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의 단부에 슬롯홀(122)과 연결볼트(123)를 이용하여 연결하되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가 방호벽(300) 하부 절취공간에 수용되도록 그 연장길이를 조정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3b와 같이 앞서 살펴본 방수재(130)를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의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내측면 사이에 밀착시켜 설치하게 되며 방수재받침편(113)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안착시키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방수재(130)가 밀실하게 밀착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방호벽(300)까지 연속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방수재(130)는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 사이로 상방으로 자연스럽게 꺾여 연장되도록 하되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의 단부면에 맞추어 커팅기로 절단하여 마감함으로서 작업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3c와 같이, 슬래브 단부의 절취된 공간에 충진재를 타설하여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를 슬래브 단부 사이에 일체화시키게 되며, 역시 절취된 방호벽(300)도 충진재를 이용하여 마감시키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110: ㄱ자형 앵글부재
111: 수직판 112: 수평판
113: 방수재받침편 114: 수평고정대
115: 수직받침봉
120: ㄴ자형 단부플레이트
121: 수평부 122: 슬롯홀
123: 연결볼트 124: 단부연결플레이트
130: 방수재 131: 측면수평홈
140: 핑거플레이트
141: 스틱형 핑거부 142: 파형 핑거부
200: 슬래브 300: 방호벽
110: ㄱ자형 앵글부재
111: 수직판 112: 수평판
113: 방수재받침편 114: 수평고정대
115: 수직받침봉
120: ㄴ자형 단부플레이트
121: 수평부 122: 슬롯홀
123: 연결볼트 124: 단부연결플레이트
130: 방수재 131: 측면수평홈
140: 핑거플레이트
141: 스틱형 핑거부 142: 파형 핑거부
200: 슬래브 300: 방호벽
Claims (8)
- 슬래브 단부의 절취된 공간에 고정 설치되어, ㄱ자형 앵글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교량의 횡방향으로 연장된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단부에 방수재(130)가 상방으로 꺾여 방호벽(300) 내부로 연장되도록 연결 설치된 양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되 방호벽과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연결부위에서는 양 ㄴ자형 단부플레이트를 따라 방호벽 하부를 파쇄하여 형성된 공간(S)에 상방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로 꺾여 상기 방호벽 내부로 연장되도록 하며, 양 ㄴ자형 단부플레이트의 단부면에 맞추어 커팅된 사각블록 형태의 방수재(130); 및
상기 각각의 ㄱ자형 앵글부재의 상면에 방수재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슬래브의 종방향 신축을 흡수하도록 서로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핑거플레이트(140);를 포함하며,
상기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는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의 수평부 외측면에 단부연결플레이트(124)를 별도로 고정시키고, 상기 단부연결플레이트(124)에 슬롯홀(122)을 형성시키고, ㄱ자형 앵글부재(110) 단부에 형성시킨 볼트홀이 노출되도록 상기 슬롯홀(122)을 세팅하고 연결볼트(123)를 이용해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를 단부연결플레이트(124)와 함께 고정시켜, 연결볼트(123)를 기준으로 슬롯홀(122)의 연장길이에 따라 단부연결플레이트(124)와 함께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를 수평으로 좌,우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플레이트(140)는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수평판(112) 상면에 고정볼트(131)를 이용하여 각각 고정 설치되며, 스틱형 핑거부(141) 또는 횡방향으로 파형 연속되는 파형 핑거부(142)인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내측 하단에는 수평으로 연장된 방수재받침편(113)이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연장방향으로 다수가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더 형성되며, 상기 방수재받침편(113)은 사각블럭 형태의 방수재(130)가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수직판(111)의 내측에 밀착 설치되도록 하되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편으로서 사각 또는 삼각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 (a) 서로 이격된 슬래브(200) 단부에 양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가 연결 설치되지 않은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b) 상기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를 상기 공간에 교량폭 방향(횡방향)으로 다수개를 연결 설치하되, 방호벽(300)과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의 연결부위에 가까워지게 되면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를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의 단부에 연결하되, 상기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의 수평부(121) 외측면에 단부연결플레이트(124)를 별도로 고정시키고, 상기 단부연결플레이트(124)에 슬롯홀(122)을 형성시키고,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의 ㄱ자형 앵글부재(110) 단부에 형성시킨 볼트홀이 노출되도록 상기 슬롯홀(122)을 세팅하고 연결볼트(123)를 이용해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를 단부연결플레이트(124)와 함께 고정시켜, 연결볼트(123)를 기준으로 슬롯홀(122)의 연장길이에 따라 단부연결플레이트(124)와 함께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를 수평으로 좌,우 이동시킴으로서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가 방호벽(300) 하부 절취공간에 수용되도록 그 연장길이를 조정하고,
(c) 방수재(130)를 상기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의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내측면 사이에 방수재받침편(113)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안착시키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방수재(130)가 밀실하게 밀착되도록 하되, 방호벽(300)까지 연속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방수재(130)는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 사이로 상방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로 꺾여 상기 방호벽(300) 내부로 연장되도록 하되 ㄴ자형 단부플레이트(120)의 단부면에 맞추어 커팅기로 절단하여 마감하고,
(d) 슬래브 단부의 절취된 공간에 충진재를 타설하여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를 슬래브 단부 사이에 일체화시키고, 절취된 방호벽(300)도 충진재를 이용하여 마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00)의 ㄱ자형 앵글부재(110)는
수직판(111)과 상기 수직판 상부에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판(112)으로 형성되어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좌,우 대칭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슬래브(200)의 단부에 고정 시키기 위하여 충진재로 공간을 마감되도록 하되,
상기 충진재(C)와 합성이 용이하도록 상기 수직판(111)의 외측면과 수평판(112)의 저면에 각각 측면과 상면이 접하도록 설치된 수평고정대(114)가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을 이용하는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8402A KR101634580B1 (ko) | 2015-06-03 | 2015-06-03 |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8402A KR101634580B1 (ko) | 2015-06-03 | 2015-06-03 |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4580B1 true KR101634580B1 (ko) | 2016-06-29 |
Family
ID=5636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8402A KR101634580B1 (ko) | 2015-06-03 | 2015-06-03 |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458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42482A (ko) | 2018-06-18 | 2019-12-27 |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KR102212014B1 (ko) * | 2020-09-15 | 2021-02-05 | (주)디에스엘 | 핑거 플레이트의 이탈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교량용 핑거 조인트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5403B2 (ja) * | 1989-05-08 | 1994-04-06 | ニッタ株式会社 | 橋梁用伸縮装置のウエブ遊間内構造 |
KR19980087703A (ko) * | 1998-09-10 | 1998-12-05 | 장익순 | 교량 및 일반 구조물용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JP3161531B2 (ja) * | 1998-11-13 | 2001-04-25 | 利弘 中川 | 高架道路の排水用伸縮装置とその施工法 |
KR100715695B1 (ko) * | 2004-02-19 | 2007-05-09 | 김병화 |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
-
2015
- 2015-06-03 KR KR1020150078402A patent/KR1016345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5403B2 (ja) * | 1989-05-08 | 1994-04-06 | ニッタ株式会社 | 橋梁用伸縮装置のウエブ遊間内構造 |
KR19980087703A (ko) * | 1998-09-10 | 1998-12-05 | 장익순 | 교량 및 일반 구조물용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JP3161531B2 (ja) * | 1998-11-13 | 2001-04-25 | 利弘 中川 | 高架道路の排水用伸縮装置とその施工法 |
KR100715695B1 (ko) * | 2004-02-19 | 2007-05-09 | 김병화 |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42482A (ko) | 2018-06-18 | 2019-12-27 |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KR102212014B1 (ko) * | 2020-09-15 | 2021-02-05 | (주)디에스엘 | 핑거 플레이트의 이탈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교량용 핑거 조인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379410C2 (ru) | Пере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 |
KR101544153B1 (ko) | 건축물의 외벽 고정 시스템 | |
RU2639760C1 (ru) |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вставки компенсационного стыка, предупреждающей образование трещин,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KR102202700B1 (ko) | 무배수시트 타입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 |
KR101963836B1 (ko) |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 |
KR101650365B1 (ko) | 콘크리트 크랙 유도용 이중 신축줄눈 장치 | |
KR102021454B1 (ko) | 오버드레인 배수구조를 갖는 오픈조인트 내진 패널조립체 | |
KR101634580B1 (ko) |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KR101473997B1 (ko) | 방음터널의 천장부 누수차단구조 | |
ITAN20100155A1 (it) | Struttura per il supporto e il fissaggio di pannelli piani o moduli fotovoltaici in posizione complanare, e per lo smaltimento delle acque meteoriche | |
KR101669417B1 (ko) |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20180017726A (ko) |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부의 시공방법 | |
KR101755181B1 (ko) |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 | |
KR101389996B1 (ko) | 교량의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 |
JP2007009433A (ja) |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KR101166433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1020414B1 (ko) | 교량용 신축이음구조 | |
KR101839135B1 (ko) |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 설치 방법 | |
KR101005581B1 (ko) | 터널, 지하건축물용 신축이음 구조물 | |
JP6445254B2 (ja) | 独立構造体および隙間塞ぎ材の取付方法 | |
KR200403788Y1 (ko) |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 |
KR101458605B1 (ko) | 루프패널과 루프패널 시공방법 | |
KR101816013B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단부 직선시공방법 및 그 방수장치 | |
KR101559064B1 (ko) |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1109461B1 (ko) | 교량용 조인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