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482A -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482A
KR20190142482A KR1020180069396A KR20180069396A KR20190142482A KR 20190142482 A KR20190142482 A KR 20190142482A KR 1020180069396 A KR1020180069396 A KR 1020180069396A KR 20180069396 A KR20180069396 A KR 20180069396A KR 20190142482 A KR20190142482 A KR 20190142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terproofing
waterproofing material
expansion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동의
박경록
박진영
이종석
Original Assignee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2482A/ko
Publication of KR20190142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신축이음장치에 사용되는 블록방수재와 더불어 도포방수재가 함께 사용되어 보다 확실한 방수효과를 구비하는 핑거형, 레일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는 슬래브 단부의 절취된 공간에 고정 설치되는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서로 좌,우 대칭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 양 ㄱ자형 앵글부재;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블록 형태의 블록방수재; 및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 상면과 양 ㄱ자형 앵글부재 사이의 블록방수재 상면에 도포된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슬래브가 신축되면 서로 인접한 핑거부가 서로 겹쳐지면서 슬래브의 신축을 흡수하도록 블록방수재 상부에 설치되는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EXPANSION JOINT WITH MULTI SEAL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신축이음장치에 사용되는 블록방수재와 더불어 도포방수재가 함께 사용되어 보다 확실한 방수효과를 구비하는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부구조 및 일반구조물에는 콘크리트의 온도변화, 건조수축, 크리프 등 구조물의 변형을 흡수하기 위하여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이때 배수형 신축이음장치는 교면(바닥판 또는 슬래브 상면)의 우수 등을 신축이음장치의 방수재를 통해 교량의 하부로 유도 배수시키는 신축이음장치이고,
반면 비배수 신축이음장치는 우수 등을 교량 하부로 유도 배수 시키지 않고, 신축이음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방수재로 교량의 슬래브 상면(교면)으로 자연스럽게 교면 배수되도록 한 것을 의미한다.
이에 비배수 신축이음장치에서는 방수재를 배수형 신축이음장치에 사용되는 U형으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지 않고, 사각블럭 형태로 연장된 것을 이용한다(이러한 사각블록 형태의 방수재를 봉함재라고도 한다.)
도 1a는 종래 레일형 비배수 신축이음장치(50)를 도시한 것인 데 이는 강재레일을 사용한 비배수 신축이음장치라 할 수 있다.
즉, 구조체(교량의 슬래브)의 개방부(3)에 삽입 설치되도록 구조체(51)의 양측에 각각 강재레일(4)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강재레일(4)과 포장체(52) 사이에는 탄성콘크리트(5)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강재레일(4)과 맞닿게 되는 사각블록 형태의 방수재(1, 봉함재)의 양측에는 방수재(1)의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때 접착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홈(2)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강재레일(4)에는 스터드(6)가 구비되어 있어,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5)에 스터드(6)가 매립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서 우수등은 사각블록 형태의 방수재(1) 상면에 모여지면서 교량의 슬래브 상면(교면)으로 자연스럽게 교면 배수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1b는 종래 핑거형 비배수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것인데 이는 핑거플레이트를 사용한 비배수 신축이음장치라 할 수 있다.
즉, 교량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방수재받침편(15)이 형성된 양 ㄱ자형 앵글부재(11);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블록 형태의 방수재(13); 및 상기 각각의 ㄱ자형 앵글부재의 상면에 방수재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슬래브의 종방향 신축을 흡수하도록 핑거부(41)가 서로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핑거플레이트(40);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서 우수등은 핑거부(4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사각블록 형태의 방수재(1,봉함재) 상면에 모여지면서 역시 교량의 슬래브 상면(교면)으로 자연스럽게 교면 배수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종래 레일형 및 핑거형 비배수 신축이음장치는 모두 사각블록 형태의 방수재(1,13)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방수재(1,13)는 양 강재레일(4)과 양 ㄱ자형 앵글부재(11) 사이에 끼워지도록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비배수 신축이음장치 상면을 차량이 통행하면서 충격등이 반복되는 경우 양 강재레일(4)과 양 ㄱ자형 앵글부재(11)와 방수재(1,13) 사이의 접착제 탈락에 의하여 틈새가 발생되고 이에 우수 등이 상기 틈새에 유입되어 구조체(교량의 슬래브) 하부로 누수되어 오염 문제를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8-087703호(발명의 명칭: 교량 및 일반 구조물용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공개일자: 1998년12월05일) 대한민국 특허 제 10-1634580호(발명의 명칭: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공개일자: 2016년06월29일)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 20-0333765호(발명의 명칭: 구조물 틈새 이음 구조, 공개일자: 2003년11월2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15695호(발명의 명칭: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공개일자: 2007년05월09일)
이에 본 발명은 비배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 방수재가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됨에 있어서도 틈새 등의 발생에 의하여 누수에 의한 하자 발생요인을 줄일 수 있도록 추가적인 방수성능을 구비하도록 하되, 복잡하지 않고 경제적인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래브 단부의 절취된 공간에 고정 설치되는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서로 좌,우 대칭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 양 ㄱ자형 앵글부재;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블록 형태의 블록방수재; 및 양 ㄱ자형 앵글부재 또는 양 ㄱ자형 앵글부재 사이의 블록방수재에 뿜칠로 도포된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를 포함하여, 1차적으로는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 2차적으로 블록방수재에 의하여 비배수 신축이음장치의 교면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핑거형, 레일형 비배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 종래 블록방수재로서 자외선에 강하면서 동적거동범위가 증대되어 내진용 신축이음장치에도 사용가능하며, 장착도 쉽고, 화학저항성이 뛰어난 파이자이트 재질의 블록방수재를 사용함으로서 유지관리에 보다 유리한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재 상면에는 폴리우레아 방수재가 일정두께로 도포되어 추가적인 방수막을 형성시킴으로서 방수성능을 추가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이러한 폴리우레아 방수재는 뿜칠시공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며 간단하며, 신속한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종래 방수형 봉함재 및 비배수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및 시공단면도,
도 1b는 종래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는 비배수 신축이음장치로서 도 2a는 핑거형 비배수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레일형 비배수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복합방수의 의미는 파이자이트 재질의 블록방수재와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라는 2가지 방수수단이 함께 적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먼저 도 2a를 기준으로 핑거형 비배수 신축이음장치인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를 살펴보면, ㄱ자형 앵글부재(110), 블록방수재(120),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130) 및 핑거플레이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핑거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는 교량의 슬래브(300)의 이격된 연결부(시공후 절취로 서로 이격)에 서로 좌우로 마주보도록 고정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즉, 시공된 슬래브(300)를 절취하여 핑거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시키고, 핑거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를 상기 절취된 공간에 삽입 설치하게 된다.
이에 핑거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의 상기 ㄱ자형 앵글부재(110) 각각은 도 2a와 같이 수직판(111)과 상기 수직판 상부에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판(112)으로 형성되어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ㄱ자형 앵글부재(110)는 서로 좌,우 대칭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핑거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를 슬래브(300)의 연결부에 형성된 절취 공간에 고정 시키기 위하여 도 3b와 같이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충진재(C)로 공간을 마감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충진재(C)와 합성이 용이하도록 수직판(111)의 외측면과 수평판(112)의 저면에 각각 측면과 상면이 접하도록 설치된 수평고정대(도면부호 미표시)가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길이방향(횡방향)으로 다수 이격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수평판(112)의 저면에는 핑거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가 안정적으로 상기 절취된 공간에 세팅 될 수 있도록 수직받침봉(도면부호 미표시)이 수평고정대 사이사이에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이격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내측 하단에는 수평으로 연장된 방수재받침편(113)이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길이방향(횡방향)으로 다수가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수재받침편(113)은 블록방수재(120)가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수직판(111)의 내측에 밀착 설치되도록 하되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편이다.
이러한 핑거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가 설치되는 연장길이는 교량 슬래브의 횡방향 폭에 의하여 결정되며 교면(교량 슬래브 상면)에 설치된 방호벽(400)까지 연장된다.
다음으로 상기 블록방수재(120)는 도 2a와 같이 사각 블록 형태로 핑거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의 설치 연장길이에 맞추어 앞서 살펴본 방수재받침편(113)에 지지되도록 하여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내측면 사이에 밀착시켜 설치하게 된다.
이에 블록방수재(120) 측면에 측면수평홈(미도시)이 다수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홈에 접착제가 충진되어 밀착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블록방수재(120)는 핑거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를 교량폭 방향(횡방향)으로 연결 설치하더라도 방수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절단된 것이 아닌 연속된 형태를 설치하게 되며,
핑거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와 방호벽(400)의 연결부위에 있어 방호벽(400) 내부로 상방으로 꺾여 연장되도록 하여 마감하게 된다.
이에 상기 블록방수재(120)는 탄성을 가져 용이하게 꺾어 설치할 수 있으며 높은 방수성능과, 내구성은 물론 자외선으로부터의 안정성, 내화, 방음효과를 가진 것을 이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특히 파이자이트 재질의 신축이음장치용 블록방수재를 사용하게 된다.
파이자이트 재질의 신축이음장치용 블록방수재는 자외선에 강하면서 동적거동범위가 증대되어 내진용 신축이음장치에도 사용가능하며, 장착도 쉽고, 화학저항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에 작업자는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사이의 이격공간을 이용해 블록방수재(120)를 삽입 설치해 가면서 횡방향으로 블록방수재(120)를 연장시키되 방호벽(400)과 핑거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의 연결부위에 있어 방호벽 내부로 꺾여 올라가도록 하여 커팅기로 절단하여 간단하게 블록방수재(120) 설치를 마무리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블록방수재(120)는 슬래브(300)의 신축에 따라 좌,우로 변형되면서 상기 신축을 흡수하면서 핑거플레이트(140)의 스틱형 핑거부(141)가 서로 겹쳐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때 도 2a와 같이 블록방수재(120)는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세팅되도록 함으로서 후술되는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130) 도포 및 교면방수에 유리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130)는 도 2a와 같이 유연성이 우수하며, 무용제형 도료이므로 인체 및 자연환경에 무해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뿜칠에 의한 도장 작업을 진행하더라도 인체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폴리우레아 도료로서, 예컨대 일정한 두께로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상면, 내측면 일부 및 블록방수재(120) 상면에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핑거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의 길이방향으로 도포되도록 하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은 1차적으로는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130), 2차적으로 블록방수재(120)에 의하여 비배수 신축이음장치의 교면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130)는 시공도 용이하고 경제적이어서 블록방수재(120)의 보완수단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핑거플레이트(140)는 도 2a와 같이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수평판(112) 상면에 고정볼트(131)를 이용하여 각각 고정 설치된다. 이에 슬래브(300)가 신축되면 서로 인접한 핑거부가 서로 겹쳐지면서 슬래브(300)의 신축을 흡수하면서 설치된 블록방수재(120) 상부에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위치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유수등은 핑거플레이트 사이로 흘러들어 블록방수재(120) 상면을 따라 집수되며 달리 측방으로 배수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이 핑거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를 지나가면서 집수된 유수등이 교면을 따라 배수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b를 기준으로 레일형 비배수 신축이음장치인 본 발명의 레일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200)를 살펴보면, ㄱ자형 앵글부재(210), 블록방수재(220),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즉 핑거형 비배수 신축이음장치와 대비하여 폭이 작고, 핑거플레이트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신축이 크지 않은 예컨대 지하차도 포장 슬래브 연결부등에 적합하다.
이에 상기 ㄱ자형 앵글부재(210)는 역시 슬래브(300)의 이격된 단부에 서로 좌우로 마주보도록 고정 설치된다.
역시 수직판(211)과 상기 수직판 상부에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판(212)으로 형성되어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ㄱ자형 앵글부재(210)는 서로 좌,우 대칭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210)의 내측 하단에는 수평으로 연장된 방수재받침편(213)이 역시 양 ㄱ자형 앵글부재(210)의 길이방향(횡방향)으로 다수가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수재받침편(213)은 블록방수재(230)가 양 ㄱ자형 앵글부재(210)의 수직판(211)의 내측에 밀착 설치되도록 하되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편으로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블록방수재(220)는 도 2b와 같이 사각 블록 형태로서, 레일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200)의 설치 연장길이에 맞추어 앞서 살펴본 방수재받침편(213)에 지지되도록 하여 양 ㄱ자형 앵글부재(210) 내측면 사이에 밀착시켜 설치하게 된다.
이에 블록방수재(220) 측면에 측면수평홈이 다수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홈에 접착제(미도시)가 충진되어 밀착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은 동일하다.
이에 블록방수재(220)는 역시 레일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200)를 교량폭 방향(횡방향)으로 연결 설치하더라도 방수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절단된 것이 아닌 연속된 형태를 설치하게 되며, 레일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200)와 방호벽(400)의 연결부위에 있어 방호벽(400) 내부로 상방으로 꺾여 연장되도록 하게 된다.
역시 상기 블록방수재(220)는 탄성을 가져 용이하게 꺾어 설치할 수 있으며 높은 방수성능과, 내구성은 물론 자외선으로부터의 안정성, 내화, 방음효과를 가진 것을 이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특히 파이자이트 재질의 신축이음장치용 블록방수재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도 2b와 같이 블록방수재(220)는 역시 양 ㄱ자형 앵글부재(210)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세팅되도록 함으로서 후술되는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230) 도포에 유리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230)는 도 2b와 같이 역시 유연성이 우수하며, 무용제형 도료이므로 인체 및 자연환경에 무해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도장 작업을 진행하더라도 인체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폴리우레아 도료로서, 일정한 두께로 예컨대, 양 ㄱ자형 앵글부재(210) 상면, 내측면 일부 및 블록방수재(220) 상면에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핑거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200)의 길이방향으로 도포되도록 하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은 1차적으로는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130), 2차적으로 블록방수재(120)에 의하여 비배수 신축이음장치의 우수등의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게 됨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230)는 시공도 용이하고 경제적이어서 블록방수재(120)의 보조수단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게 된다.
[ 단부길이 조정이 가능한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에 의한 핑거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를 기준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a와 같이 서로 이격된 슬래브(300) 단부를 절취 등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S)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절취는 콘크리트 절삭기 등을 이용하면 되고, 블록방수재(1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방호벽(400)도 절취시키게 된다. 이는 방호벽(400)을 먼저 시공하기 때문인데 소형 드릴 등을 이용하면 된다.
이에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를 상기 공간에 교량폭 방향(횡방향)으로 다수개를 연결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에는 수직받침봉이 수평고정대 사이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간에 수평을 유지하면서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앞서 살펴본 블록방수재(120)를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의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내측면 사이에 밀착시켜 설치하게 되며 방수재받침편(113)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안착시키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블록방수재(120)가 밀실하게 밀착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방호벽(400)까지 연속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블록방수재(120)는 상방으로 자연스럽게 꺾여 연장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예컨대,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상면, 내측면, 블록방수재(120) 상면에 일정한 두께로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130)를 도포하고 경화시키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3b와 같이, 슬래브 단부의 절취된 공간에 충진재를 타설하여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를 슬래브 단부 사이에 일체화시키게 되며, 역시 절취된 방호벽(400)도 충진재를 이용하여 마감시키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핑거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110: ㄱ자형 앵글부재
111: 수직판 112: 수평판
113: 방수재받침편
120: 블록방수재 130: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
140: 핑거플레이트
200: 레일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210: ㄱ자형 앵글부재
211: 수직판 212: 수평판
213: 방수재받침편
220: 블록방수재 230: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
300: 슬래브 400: 방호벽

Claims (7)

  1. 슬래브 단부의 절취된 공간에 고정 설치되는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서로 좌,우 대칭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블록 형태의 블록방수재(120); 및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또는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사이의 블록방수재(120)에 뿜칠로 도포된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130);를 포함하여,
    1차적으로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130), 2차적으로 블록방수재(120)에 의하여 비배수 신축이음장치의 교면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2. 슬래브 단부의 절취된 공간에 고정 설치되는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서로 좌,우 대칭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 양 ㄱ자형 앵글부재(210);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블록 형태의 블록방수재(220);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210) 상면과 양 ㄱ자형 앵글부재(210) 사이의 블록방수재(220) 상면에 도포된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230); 및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2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슬래브(300)가 신축되면 서로 인접한 핑거부가 서로 겹쳐지면서 슬래브(300)의 신축을 흡수하도록 블록방수재(120) 상부에 설치되는 핑거플레이트(140);를 포함하여,
    1차적으로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130), 2차적으로 블록방수재(120)에 의하여 비배수 신축이음장치의 교면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210)는 수직판(111.211)과 상기 수직판 상부에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판(112,212)에 의하여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블록방수재(120,220)가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210)의 수직판(111,211)의 내측에 밀착 설치되도록 하되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방수재받침편(113,213)이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내측 하단에는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방수재(120,220)는 탄성을 가져 용이하게 꺾어 설치할 수 있으며 방수성능, 내구성과 자외선으로부터의 안정성, 내화, 방음효과를 가진 파이자이트 재질의 신축이음장치용 블록방수재인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5. (a) 서로 이격된 슬래브(300) 연결부에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b) 상기 핑거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를 상기 공간에 교량폭 방향(횡방향)으로 다수개를 연결 설치하는 단계;
    (c) 블록방수재(120)를 상기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의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내측면 사이에 방수재받침편(113)을 이용하여 안착시키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블록방수재(120)가 밀실하게 밀착되도록 하되, 방호벽(400)까지 연속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블록방수재(120)는 상방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로 꺾여 상기 방호벽(400) 내부로 연장되도록 하여 마감하는 단계;
    (d)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또는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사이의 블록방수재(120)에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130)를 도포하는 단계; 및
    (e) 슬래브 연결부의 절취된 공간에 충진재를 타설하여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를 슬래브 단부 사이에 일체화시키고, 절취된 방호벽(400)도 충진재를 이용하여 마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1차적으로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130), 2차적으로 블록방수재(120)에 의하여 비배수 신축이음장치의 교면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6. (a) 서로 이격된 슬래브(300) 연결부에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b) 상기 핑거형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를 상기 공간에 교량폭 방향(횡방향)으로 다수개를 연결 설치하는 단계;
    (c) 블록방수재(120)를 상기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의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내측면 사이에 방수재받침편(113)을 이용하여 안착시키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블록방수재(120)가 밀실하게 밀착되도록 하되, 방호벽(400)까지 연속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블록방수재(120)는 상방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로 꺾여 상기 방호벽(400) 내부로 연장되도록 하여 마감하는 단계;
    (d)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또는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 사이의 블록방수재(120)에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130)를 도포하는 단계;
    (e)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2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슬래브(300)가 신축되면 서로 인접한 핑거부가 서로 겹쳐지면서 슬래브(300)의 신축을 흡수하도록 블록방수재(120) 상부에 핑거플레이트(140)를 설치하는 단계; 및
    (f) 슬래브 연결부의 절취된 공간에 충진재를 타설하여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100)를 슬래브 단부 사이에 일체화시키고, 절취된 방호벽(400)도 충진재를 이용하여 마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1차적으로 폴리우레아 도포방수재(130), 2차적으로 블록방수재(120)에 의하여 비배수 신축이음장치의 교면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210)는 수직판(111.211)과 상기 수직판 상부에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판(112,212)에 의하여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블록방수재(120,220)가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210)의 수직판(111,211)의 내측에 밀착 설치되도록 하되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방수재받침편(113,213)이 상기 양 ㄱ자형 앵글부재(110)의 내측 하단에는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블록방수재(120,220)는 탄성을 가져 용이하게 꺾어 설치할 수 있으며 방수성능과, 내구성은 물론 자외선으로부터의 안정성, 내화, 방음효과를 가진 파이자이트 재질의 신축이음장치용 블록방수재인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KR1020180069396A 2018-06-18 2018-06-18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42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396A KR20190142482A (ko) 2018-06-18 2018-06-18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396A KR20190142482A (ko) 2018-06-18 2018-06-18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482A true KR20190142482A (ko) 2019-12-27

Family

ID=69062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396A KR20190142482A (ko) 2018-06-18 2018-06-18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248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703A (ko) 1998-09-10 1998-12-05 장익순 교량 및 일반 구조물용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333765Y1 (ko) 2003-08-08 2003-11-21 주식회사 한국피엔알건설 구조물 틈새 이음 구조
KR100715695B1 (ko) 2004-02-19 2007-05-09 김병화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KR101634580B1 (ko) 2015-06-03 2016-06-29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703A (ko) 1998-09-10 1998-12-05 장익순 교량 및 일반 구조물용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333765Y1 (ko) 2003-08-08 2003-11-21 주식회사 한국피엔알건설 구조물 틈새 이음 구조
KR100715695B1 (ko) 2004-02-19 2007-05-09 김병화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KR101634580B1 (ko) 2015-06-03 2016-06-29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9248B1 (en) Method of sealing an expansion joint
US10544582B2 (en) Expansion joint system
JP5852353B2 (ja) 橋梁に用いる伸縮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294672B2 (ja) 橋梁の接合方法
JP2008121374A (ja) 道路橋における伸縮継手の埋設構造
KR20170082318A (ko) 탄성복원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5902468B2 (ja) 埋設ジョイント構造の施工方法および埋設ジョイント構造ならびに埋設ジョイント施工金具組立体
KR101020414B1 (ko) 교량용 신축이음구조
JP2003064613A (ja) 橋梁における伸縮継手部の構造
KR20190142482A (ko) 복합방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RU2381341C1 (ru) Вертикальная направляющая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навесного вентилируемого фасада
KR101634580B1 (ko)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839135B1 (ko)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 설치 방법
JPH0732578Y2 (ja) 橋梁における高欄間の止水構造
JP2009167596A (ja) コンポジット舗装の舗装構造
KR101593998B1 (ko) 신축이음장치 보수시설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JP5875855B2 (ja) 橋梁用ブロック型埋設ジョイント伸縮装置
KR101559064B1 (ko)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330024B1 (ko) 하수암거를 포함한 시설물용 차수형 신축이음장치
KR101114978B1 (ko)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109461B1 (ko) 교량용 조인트
JP2017160727A (ja) 道路橋の伸縮装置
KR200245373Y1 (ko) 교체가능한 교량신축이음구조
JP2014169539A (ja) 道路橋継目用ハイブリッドシール及び道路橋伸縮装置
JP2007231631A (ja) 高架道路の荷重支持型伸縮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