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519A - 복공판 - Google Patents

복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519A
KR20090110519A KR1020080036061A KR20080036061A KR20090110519A KR 20090110519 A KR20090110519 A KR 20090110519A KR 1020080036061 A KR1020080036061 A KR 1020080036061A KR 20080036061 A KR20080036061 A KR 20080036061A KR 20090110519 A KR20090110519 A KR 20090110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erforated plate
upper frame
filler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0857B1 (ko
Inventor
윤기영
Original Assignee
윤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영 filed Critical 윤기영
Priority to KR1020080036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857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8Reinforceme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s
    • E01C11/185Reinforceme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s the reinforcements extending up to the surface, e.g. anti-slip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6Temporary pavings made of concrete, wood, bitumen, rubber or synthetic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지하 시설 공사시 도로면을 복개하기 위해 사용하는 복공판이 개시된다. 복공판은 상면이 개방된 채움재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부 프레임; 상기 채움재 수용공간에 채워진 채움재;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한다. 따라서, 미끄럼이 방지되며, 소음이 줄어든 복공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움재의 손상시 상부 프레임만 분리하여 교체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복공판

Description

복공판{DECK PLATE}
본 발명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 공사시 도로면을 복개하기 위해 사용하는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면을 복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복공판은 평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수십 내지 수백 개가 평평하게 배열되어 그 위로 차량이 지나다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복공판은 노후 교량의 보수시 우회 도로를 건설하는데도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복공판을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복공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공판은 장방향의 상자 형상으로, 크게 1개의 상판(1)과, 상판(1)의 양측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측판(2), 상판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리브판(3) 및 리브판(3)의 하부에 고정되는 보강판(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재질로는 통상 강철이 사용된다.
상판(1)은 다수의 ㄷ형 채널 부재(1a)가 나란히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도시 되지는 않았으나 상판의 표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판 위로 지나가는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5는 복공판의 시공시 복공판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토퍼이고, 6은 미끄럼방지 및 충격 흡수를 위한 패드이며, 7은 지주대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복공판은 강철로 표면이 이루어져 비록 상판의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미끄럼이 발생할 우려가 높으며, 강철의 재료적 특징으로 인해 충격에 의한 소음이 많이 발생한다. 또한, 강철의 원재료가의 상승으로 복공판의 제조 비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콘크리트와 같은 채움재를 사용하는 복공판(출원번호 10-2004-30328호)을 개발하여 출원하였으며, 이와 유사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복공판의 경우 장기간 사용시, 콘크리트와 같은 채움재가 강재에 비해서 파손이 쉽게 일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채움재의 파손이 발생할 경우, 전체 복공판을 사용할 수 없어,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미끄럼을 방지하여 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움재의 파손 시 적은 비용으로 수리가 가능한 복공판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면이 개방된 채움재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부 프레임; 상기 채움재 수용공간에 채워진 채움재;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채움재 수용공간의 상기 상부 프레임의 표면에는 상기 채움재와 연결을 보다 공고히 하는 전단연결재가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은, 다수의 길이방향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된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면에는 인접하는 상기 복공판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은 볼트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기 하부 프레임에 인접한 위치에 측방으로 돌출된 상부 결합 플랜지; 및 상기 상부 결합 플랜지와 접하도록 상시 하부 프레임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하부 결합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결합 플랜지 및 상 기 하부 결합 플랜지는 볼트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 결합 플랜지가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인접한 상기 복공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장치는, 인접한 상기 복공판에 걸쳐지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복공판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편;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복공판은 채움재가 채워지는 상부 프레임과, 이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채움재가 손상되었을 때, 상부 프레임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볼트 결합을 위한 상부 결합 플랜지 및 하부 결합 플랜지가 체결이 용이하도록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착탈이 용이하다.
그리고, 커버 플랜지를 구비함으로써, 복공판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연결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인접한 복공판 사이에 간극이 벌어지거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견고하게 복공판을 고정할 수 있으며, 이로인한 소음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복공판은 상면이 개방된 채움재 수용공간(110)이 형성된 상부 프레임(100)과, 채움재 수용공간(110)에 채워진 채움재(50)와, 상기 상부 프레임(1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100)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하부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100)의 채움재(50)에 손상이 발생하여도,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을 분리한 후, 새로운 상부 프레임(100)을 하부 프레임(200)에 부착하여 복공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보수에 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도 2의 상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상부 프레임(100)은 상면이 개방된 채움재 수용공간(110)을 형성하도록, 채움재 수용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120)과, 채움재 수용공간(110)의 장방향 측면을 형성하는 장방향 측면부재(130)와, 채움재 수용공간(110)의 단방향 측면을 형성하는 단방향 측면부재(140)를 포함한다.
바닥판(120)의 상기 채움재 수용공간을 향하는 표면에는 채움재(50)와 연결을 보다 공고히 하는 전단연결재(121)가 고정된다. 전단연결재(121)는 도 2와 같이, 철근을 절단하여 바닥판(120)의 표면에 용접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전단연결재로 많이 사용되는 스터드 볼트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바닥판(120)으로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장방향 측면부재(130)는 상기 상부 프레임(100)의 하부 프레임(200)에 인접한 위치에 측방으로 돌출된 상부 결합 플랜지(131)를 포함한다. 상부 결합 플랜지(131)에는 볼트 체결공(132)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부 결합 플랜지(131)의 상부에는 커버 플랜지(13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커버 플랜지(133)는 상부 결합 플랜지(131)에 의해 상측으로 생길 수 있는 간극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며, 상부 결합 플랜지(131)가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결합 플랜지(131) 및 커버 플랜지(133)를 포함하는 장방향 측면부재(130)는 'C'자형 채널로 구현될 수 있다.
단방향 측면부재(140) 및 장방향 측면부재(130)의 상측에는 채움재 수용공간(1100)을 향해 돌출된 채움재 보호 플레이트(134, 144)가 형성된다. 채움재 보호플레이트(134, 144)는 채움재와 측면부재(130, 140) 사이의 경계부를 커버함으로써, 채움재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단방향 측면부재(140) 및 장방향 측면부재(130) 사이의 모서리에는 설치시 기중기 등이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150)가 설치된다. 고정부재(150)에는 와이어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홀(151)이 형성된다. 다만, 도 6과 같이 고정홀(1141)이 장방향 측면부재(1130)의 커버 플랜지(1133)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상기 하부 프레임(200)은, 다수의 길이방향 지지부재(210)와, 상기 지지부재(210) 사이에 설치된 보강부재(22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210)는 양측면에 1개씩 배치되며, 보강 부재(220)는 지지부재(210) 사이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고정된다. 다만, 지지부재(210)의 배치되는 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지지부재(1210)가 3개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
보강부재(220)의 최 외측 부재에는, 즉 하부 프레임의 측면에는, 인접하는 복공판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장치로서 체결공(221)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인접하는 복공판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고정됨으로써, 복공판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이되며, 이로 인한 소음도 줄어들게 된다.
연결장치의 다른 예는 도 7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연결장치(140)는 인접한 복공판에 걸쳐지는 연결부재(142)와, 연결부재(142)가 복공판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편(141)을 포함한다. 연결부재(142)는 일반 사각 바 혹은 쐐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탈 방지편(141)은 상부 프레임의 상부 결합 플랜지(131)와, 커버 플랜지(133)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장치(140)는 도 8과 같이 하부 프레임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부 결합 플랜지와 접하도록 상시 하부 프레임(200)에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부재(210)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하부 결합 플랜지(211)가 형성된다. 하부 결합 플랜지(211)에도 볼트 체결공(213)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결합 플랜지(131)와 하부 결합 플랜지(211)는 볼트 체결공(132, 213)을 통해서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채움재(50)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멘트 콘크리트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채움재를 수용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지탱하는 하부프레임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복공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의 복공판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부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다수의 복공판이 연결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 2 실시예의 복공판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연결장치가 구비된 상부 프레임의 사시도
도 8은 연결장치가 구비된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채움재 100:상부 프레임
110: 채움재 수용공간 200: 하부 프레임
121: 전단연결재 210: 지지부재
220: 보강부재 221: 체결공
131: 상부 결합 플랜지 211: 하부 결합 플랜지
133: 커버 플랜지 140: 연결장치
141: 연결부재 142: 이탈 방지편

Claims (9)

  1. 상면이 개방된 채움재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부 프레임;
    상기 채움재 수용공간에 채워진 채움재;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하부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 수용공간의 상기 상부 프레임의 표면에는 상기 채움재와 연결을 보다 공고히 하는 전단연결재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다수의 길이방향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된 보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면에는 인접하는 상기 복공판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은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기 하부 프레임에 인접한 위치에 측방으로 돌출된 상부 결합 플랜지; 및
    상기 상부 결합 플랜지와 접하도록 상시 하부 프레임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하부 결합 플랜지;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결합 플랜지 및 상기 하부 결합 플랜지는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 결합 플랜지가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플랜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복공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인접한 상기 복공판에 걸쳐지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복공판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KR1020080036061A 2008-04-18 2008-04-18 복공판 KR100990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061A KR100990857B1 (ko) 2008-04-18 2008-04-18 복공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061A KR100990857B1 (ko) 2008-04-18 2008-04-18 복공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519A true KR20090110519A (ko) 2009-10-22
KR100990857B1 KR100990857B1 (ko) 2010-10-29

Family

ID=4153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061A KR100990857B1 (ko) 2008-04-18 2008-04-18 복공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8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097B1 (ko) * 2012-07-09 2014-03-27 엘에스씨산업기술 주식회사 복공판
KR20160023247A (ko) * 2014-08-21 2016-03-03 (주)월드피씨 콘크리트의 전단 균열 방지근 및 제작 편의성을 갖는 복공판
CN108118570A (zh) * 2016-11-30 2018-06-05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拼装式路基箱及其使用方法
CN108999055A (zh) * 2018-10-10 2018-12-14 佛山华盾人防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人防工程主出入口的车道板
KR102505754B1 (ko) * 2021-09-17 2023-03-06 주식회사 해광 강복합콘크리트 모듈식 기초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420B1 (ko) * 2010-12-09 2014-01-09 김신철 콘크리트 복공판
WO2021241852A1 (ko) *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앤에스 포장도로면 파손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는 포장도로 일체형 작업구 덮개 장치 및 시공 방법
KR102193901B1 (ko) * 2020-05-25 2020-12-22 주식회사 앤에스 포장도로면 파손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는 포장도로 일체형 작업구 덮개 장치
KR102193892B1 (ko) * 2020-05-25 2020-12-22 주식회사 앤에스 포장도로면 파손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는 포장도로 일체형 작업구 덮개 장치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342B1 (ko) 2004-11-02 2006-03-03 오수철 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426373Y1 (ko) 2006-05-04 2006-09-19 나진희 중공 형강으로 이루어진 하부구조의 상부를 콘크리트속채움한 구성을 가진 복공판
KR100665967B1 (ko) * 2006-08-09 2007-01-09 김진팔 복공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097B1 (ko) * 2012-07-09 2014-03-27 엘에스씨산업기술 주식회사 복공판
KR20160023247A (ko) * 2014-08-21 2016-03-03 (주)월드피씨 콘크리트의 전단 균열 방지근 및 제작 편의성을 갖는 복공판
CN108118570A (zh) * 2016-11-30 2018-06-05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拼装式路基箱及其使用方法
CN108999055A (zh) * 2018-10-10 2018-12-14 佛山华盾人防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人防工程主出入口的车道板
CN108999055B (zh) * 2018-10-10 2024-04-09 佛山华盾人防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人防工程主出入口的车道板
KR102505754B1 (ko) * 2021-09-17 2023-03-06 주식회사 해광 강복합콘크리트 모듈식 기초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0857B1 (ko) 201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857B1 (ko) 복공판
JP5878657B1 (ja) 橋梁の床版支持構造と床版取替方法
KR200409324Y1 (ko) 복공판
KR100932035B1 (ko) 변단면 콘크리트 합성 조립식 경량 복공판
KR20150089016A (ko)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KR100845088B1 (ko) 스틸 교량의 외장재 설치구조
KR100647223B1 (ko) 복공판
JP5547843B1 (ja) 溝蓋用受枠及びその溝蓋用受枠の敷設方法
KR101034280B1 (ko)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
KR101330177B1 (ko)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KR200416824Y1 (ko) 구조보강용 복공판
KR100608992B1 (ko) 복공판
KR101199731B1 (ko) 저형고 방호벽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085213B1 (ko) 복공판
KR101414801B1 (ko) 합성거더
KR101010109B1 (ko)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JP3197281U (ja) 道路用伸縮継手
KR101067895B1 (ko) 복공판
KR100749351B1 (ko) 각 형강을 이용한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CN210288098U (zh) 桥梁伸缩缝防尘装置及其防尘减震装置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KR102101169B1 (ko) 철도레일 처짐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654281B1 (ko) 방음부재
JP4388881B2 (ja) 橋脚の上縁拡幅構造
KR200378276Y1 (ko) 구조보강용 복공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