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016A -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 Google Patents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016A
KR20150089016A KR1020157013845A KR20157013845A KR20150089016A KR 20150089016 A KR20150089016 A KR 20150089016A KR 1020157013845 A KR1020157013845 A KR 1020157013845A KR 20157013845 A KR20157013845 A KR 20157013845A KR 20150089016 A KR20150089016 A KR 20150089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s
expansion joint
support profiles
profile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7645B1 (ko
Inventor
토마스 스풀러
니쿨린 멍
지몬 호프만
Original Assignee
마게바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62608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08901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마게바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마게바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50089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행할 수 있는 건축물의 2개의 건축물부분 (3) 사이에 존재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4) 를 브리지하는 슬래트-차도 이음 (2) 형태의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4) 위에 적어도 2개의 가로보 (5) 가 걸려 있고, 상기 가로보들은 부하를 지지하면서 상기 두 건축물부분 (3) 에 지지되고, 부하를 지지하는 받침들 (6) 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 건축물부분 (3) 에 대해 상대적인 각각의 가로보 (5) 의 이동 운동을 허용한다. 적어도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으로 방향지어진, 상기 가로보들 (5) 위에 배치된 다수의 슬래트 (11) 는 상기 가로보들 (5) 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리고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로보들 (5) 에 지지된다. 상기 가로보들 (5) 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리고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2개의 슬래트 (11) 사이에 과부하 안전장치 (17) 가 제공된다.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 (17) 는 2개의 서로 간격을 둔, 상기 가로보들 위에 지지되는 지지 프로파일들과,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사이의 틈을 브리지하는 충전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 사이에, 그들의 서로간의 적어도 하나의 상대적 위치를 안전하게 하는 고정장치가 작용한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의 접근의 의미에서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에 작용하는 힘에 대해 문턱값을 초과할시,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이, 위로 상기 틈 밖으로 상기 충전 프로파일을 밀어내면서, 서로를 향해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위치안전을 해제한다.

Description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EXPANSION JOINT BRIDGING DEVICE}
본 발명은 통행할 수 있는 건축물의 2개의 건축물부분 사이에 존재하는 익스팬션 조인트를 브리지하는 슬래트 (slat)-차도 이음 형태의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로보들 (crossbeams) 은 부하를 지지하면서 상기 두 건축물부분에 지지되고, 부하를 지지하는 받침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 건축물부분에 대해 상대적인 각각의 가로보의 이동 운동을 허용한다. 적어도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으로 방향지어진, 상기 가로보들 위에 배치된 다수의 슬래트는 상기 가로보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리고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로보들에 지지된다.
교량들에는 그리고 비교 가능한 통행할 수 있는 건축물들에는, 상부구조의 손상 없는 열적 팽창 또는 수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교대와 상부구조 사이에 그리고/또는 상부구조의 부분섹션들 사이에 익스팬션 조인트들이 제공된다. 상응하는 교량들의 크기에 따라, 몇 미터까지의 범위에서의 익스팬션 조인트들이 필요하다. 차량들이 해당 익스팬션 조인트들을 지나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들이 제공된다.
이 점에 있어서는 특히 슬래트-차도 이음의 이용이 공지되어 있고, 상기 슬래트-차도 이음에 있어서 2개의 교량부분은 (이 의미에서, 교대도 ‘교량부분’으로 간주된다) 적어도 2개의 서로 간격을 둔 가로보들을 통해, 해당 교량부분들의 서로를 향한 단부들이 서로를 향한 그리고 서로 멀어지는 상기 가로보들의 세로방향으로의 상대운동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다. 서로 간격을 둔,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그리고 본질적으로 상기 가로보들의 세로방향에 대해 평행으로 연장되는 슬래트들은 상기 가로보들 위에 지지되고, 상기 슬래트들의 각각의 윗면은 본질적으로 교량의 차도의 높이에 놓여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차도를 형성할 수 있고, 하지만 이때 상기 슬래트들에, 그들의 윗면에, 통행할 수 있는 표면을 형성하는 별도의 요소들이 배치되는 실시들도 공지되어 있다. 상기 교량부분들의 단부들이 상기 가로보들의 세로방향으로의 열적 팽창에 근거하여 서로를 향해 움직이면, 상기 슬래트들 서로간의 간격이 감소된다. 상기 교량부분들의 단부들이 세로방향으로의 열적 수축에 근거하여 서로로부터 멀리 움직이면, 상기 슬래트들 서로간의 간격이 커진다. 이 점에 있어서는, 예컨대 DE 19705531 C2, DE 3514776 C1 및 DE 3212717 C1 은 해당 선행기술을 형성한다.
지진에 의해 위태로운 구역들에서는 교량부분들 서로간의, 갑작스레 발생하는 위치변화들의 위험이 존재하고 (특히 가로보들의 세로방향으로 또는 이러한 운동성분들과 함께), 상기 위치변화들은, 규정대로의 작업범위를 초과함으로써, 경우에 따라서는 슬래트-차도 이음을 통해 더 이상 보상될 수 없다. 그러면, 슬래트들이 교량부분들의 특정 위치들에서 우선 서로 밀착하고, 서로를 향한 상기 교량부분들의 그 밖의 운동이 내부응력들을 초래하고, 아마도 상기 슬래트들 안의 또는 상기 교량부분들 안의 손상을 초래할 정도로, 상기 교량부분들이 정상적인 열적 세로방향 팽창을 초과하여 세로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움직이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지진 후 차량들에 의한 교량의 통행 가능성이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다는 것만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교량부분들에서의 손상 및/또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에서의 손상은 교량의 완전한 재제작이 필요할 정도로 클 수 있다.
US 5887308 A 에 따르면, 교량들을 위한 익스팬션 조인트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시스템은 주행 방향으로의 - 주변온도의 정상적인 변동에 의해 초래된 - 세로방향 팽창의 보상을 위해서 설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차도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발생하는 지진계 (seismographic) 힘들도 견딜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시스템은 서로 간격을 둔 그리고 이동 가능한 다수의 슬래트를 포함하며, 상기 슬래트들은, 단부쪽에서 박스들 (boxes) 안에 설치된 다수의 가로보 위에 지지된다. 상기 가로보들은 각각 일측에서 상기 교량의 차도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베어링 박스들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고, 따라서 이 방향에서 발생하는, 예컨대 지진에 의한, 힘들 또는 이동들은 상기 가로보들의 상응하는 가로방향 이동을 초래한다. 단점은, 상기 슬래트들이 이미 서로 밀착하면,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의 틈폭의, 지진시 발생하는 굉장히 큰 변화들이 더 이상 보상될 수 없다는 것이며, 이는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시스템의 파괴 또는 건축물부분들로부터의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시스템의 분리를 초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교량은 지진 후 우선 더 이상 통행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시스템은 US 5964069 A 에 따른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에 해당된다. 여기서, 지진에 관한 상황에 의해 익스팬션 조인트의 틈폭이 슬래트들이 서로 밀착하는 크기를 넘어서 감소하면, 전체 브리징 장치는 그의 지속적인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일측에서 끄집어내지기는 한다. 하지만 이는 지진 후 교량을 통행하지 못하게 한다. 지진에 의해 초래된, 건축물부분들의 위치의 지속적인 변화의 경우,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의 완전한 재제작이 필요할 정도는 아니라 하더라도, 적어도 구조 지질학상의 새로운 상태에의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의, 많은 비용이 드는 적응을 필요로 한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수리 작업에 매우 큰 비용이 든다.
US 2008/0148499 A1 과 EP 1355009 B1 은 이러한 단점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즉, EP 1355009 B1 은 상기 도입부에 언급된 유형의 교량부분들 사이의 조인트 틈을 위한 브리징 장치를 공개하고 있으며, 상기 브리징 장치는 가능한 한 지진 후에도 아직 차량들에 의해 - 제한적일지라도, 그리고 상당히 힘든 노력을 들여 - 통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익스팬션 조인트 구조는 제 1 한계들에서의,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에 인접한 교량부분들 서로간의 규정대로의 위치변화들을 허용한다. 상기 브리징 장치의 기능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또는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구조가 교량부분들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면서, 상기 교량부분들 중 하나에 배치된 또는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구조에 배치된 추가적인 안전장치는 상기 교량부분들 서로간의 초과하는 위치변화들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상기 안전장치는 적어도 2개의 서로 단단히 연결된 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요소들은 정의된 한계 부하를 초과할시 분리되고, 그러면 서로 정의된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두 요소 중 하나는 두 교량부분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전장치의 실시에 따라, 가로보들의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위치변화들 및/또는 교량부분들 서로간의 횡단운동들이 보상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안전장치는 미리 결정된 파괴점 (predetermined breaking-point) 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파괴점은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구조의 슬래트들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정의된 한계 부하를 초과한 후 광범위한 수리 조치들을 요구한다. 우선 차도 이음이 다시 그의 원래의 위치로 데려가져야 한다. 그 후, 파괴된 상기 안전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구조의 특정 요소들이 교체되어야 하고, 상기 안전장치에 인접하는 연결부들이 수리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US 5964069 A 와 관련하여 설명된 단점들은 EP 1355009 B1 에 따른 상기 브리징 장치에서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에 의해 초래된, 브리지된 2개의 교량부분의 위치변화들도 최적으로 견디는, 그리고 지진 후의 통행 가능성을 위한 가장 좋은 전제조건 또는 가능한 한 가장 적은 비용을 들인 훨씬 간단해진 수리를 제공하는, 상기 도입부에 언급된 유형의, 개선된, 기능 최적화된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를 통해 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는 특히, 나머지 구조특징들과의 기능적 조합하에, 두 건축물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로보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리로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2개의 슬래트 사이에 과부하 안전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는 2개의 서로 간격을 둔, 상기 가로보들 위에 지지되는 지지 프로파일들 (supporting profiles) 과,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사이의 틈을 브리지하는 충전 프로파일 (fill profile) 을 포함함으로써 특징지어진다. 이때,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 사이에, 그들의 서로간의 상대적 위치를 안전하게 하는 고정장치 (fixing device) 가 작용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의 접근의 의미에서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에 작용하는 힘에 대해 문턱값을 초과할시,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이, 위로 상기 틈 밖으로 상기 충전 프로파일을 밀어내면서, 서로를 향해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위치안전을 해제한다.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는 상기 브리징 장치의 임의의 위치들에, 즉 상기 슬래트들 중 임의의 2개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특히 ‘단지’ 하나의 과부하 안전장치만 제공되면, 상기 브리징 장치에서 어느 정도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내부에서의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의 이러한 매우 유연한 배치 가능성은 교량부분의 가장자리에서의 또는 건축물부분의 가장자리에서의 공지된 배치와 비교하여, 지진시 발생하는 충격력들에 대한 안전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한다. 상기 충격력들은 교량부분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과부하 안전장치들에 있어서는 바로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들에 전달되고, 그들의 파괴 또는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2개의 슬래트 사이의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들의 ‘내부’배치는 지진에 관한 충격력들이 우선 상기 슬래트들로 전달되고, 상기 슬래트 다발들을 밀어 모은다는 장점을 갖는다. (충격 방향으로)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 앞에 배치된 모든 슬래트들이 서로 밀착하면 비로소, 힘들이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의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로 전달된다. 이로써, 상기 충격력들이 세로방향으로 우선 상기 슬래트들에 작용하고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는 예컨대 지진에 의해 초래된 굉장히 큰 힘에 있어서만 작동됨으로써, 상기 슬래트들은 발생하는 충격력들에 대한 완충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상기 브리징 장치의 상기 슬래트들 내부에서의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의 매립은 - 이를 통해 가능해진, 부하 상태의 어느 정도 뚜렷한 대칭 때문에 - 실제로 오로지 이를 위해 제공된 설계경우에서만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의 작동을 촉진하고, 이는 상기 설계경우 미만에 있는 구조 지질학상의 진동 후의 상기 브리징 장치의 통행 가능성을 위해 가장 유리하다.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 자체의 기능을 위해서도, 상기 슬래트들 중 2개 사이의 그의 ‘내부’배치는 매우 유리하다; 왜냐하면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의 가운데에서의 배치가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에서의 특히 대칭적인 힘작용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상기 충전 프로파일이 균일하게, 그리고 옆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사이의 틈 밖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는 상기 가로보들 위에 설치된 2개의 외부 지지 프로파일들과,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사이에 배치된 충전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프로파일은 차도쪽에서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사이의 틈을 폐쇄한다.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위로 주행하는 차량들을 위한 가능한 한 평탄한 구름면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충전 프로파일의 윗면은 (경우에 따라서는 할당된 덮개들과 함께) 상기 슬래트들의 윗면 및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의 윗면과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 할당된 덮개들과 함께) 동일한 높이에 놓여 있어야 한다.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틈 밖으로 위로의 -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의 작동시 수행되는 - 상기 충전 프로파일의 돌출은 구조적으로 여러 가지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충전 프로파일이 통째로 그의 지오메트리 (geometry) 의 변화 없이 위로 상기 틈 밖으로 밀어내지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상기 충전 프로파일이, 그가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사이에 존재하는 틈 밖으로 위로 밀어내지면, 예컨대 관절식으로 서로 연결된 다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된 충전 프로파일이 위로 접어짐으로써 그의 지오메트리를 변화시키는 것도 고려된다.
고정장치는 (‘정상적인’작동상태에서는)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서로간의 위치안전을 담당한다 (상기 가로보들의 세로방향으로). 이 위치안전의 강도는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에 작용하는 힘들을 위한 문턱값을 정의하며, 상기 문턱값을 초과하면, 상기 고정장치를 통해 초래된 상기 위치안전은 해제되고,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은 세로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운동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프로파일은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 사이의 틈 밖으로 위로 밀어내지고 (위 참조), 이를 통해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은 (그들은 그들의 편에서 슬래트 유형의 기능을 갖는다) 상응하여 계속 서로를 향해 움직일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가 너무 높은 내부응력 때문에 파괴되지 않으면서, 상기 가로보들 위에 놓여 있는,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의 부분 구조의 전체 연장부는 세로방향으로 계속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문턱값은, 위에서 이미 암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배치에 있어서 상기 슬래트들의 완충 기능에 근거하여 그리고 부하 상태의 가능한 대칭에 근거하여, 교량부분의 가장자리에서의 배치에서보다 작게 치수화되거나 또는 보다 정밀하게 설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재료, 무게 및 비용이 절약될 수 있고,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의 기능이 개선될 수 있다.
지진에 관한 사건 후에 지속적으로 건축물부분들의 위치의 변화가 남아 있을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는 최소의 비용으로, 새로운 상황에 맞춰진 충전 프로파일의 장착을 통해서만, 상기 브리징 장치가 일시적으로 뿐만 아니라 오히려 지속적으로도 기능 안전적이도록 정비될 수 있다.
이 이외에, 본 발명은 다수의 (기능적으로 동일하게 작용하는) 과부하 안전장치들을 - 특히 어느 정도 균일하게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의 연장부에 걸쳐 분배되어 -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안에 통합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 구조 지질학상의 상황의 평가를 통해 - 예상될 수 있는 지진에 관한 사건들에의 상기 안전장치(들) 의 적응의 보다 광범위한 가능성들을 연다. 또한, 2개 또는 그 이상의 과부하 안전장치들을 바로 잇달아, 서로 인접한 2개의 슬래트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이 경우 경우에 따라서는 두 과부하 안전장치에 공통적인 하나의 중간 지지 프로파일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해제된 위치안전에 있어서 교량부분들 사이의 가로방향 오프셋과 높이 오프셋도 상기 오프셋들이 다수의 과부하 안전장치들에 분배됨으로써 보다 잘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될 수 있다.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은 전형적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로보들 위에 지지되고, 그러나 이때 이와 같은 것이 반드시 강제적이지는 않다. 특히,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중 하나가 하나 또는 다수의 (경우에 따라서는 모든) 가로보와 단단히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심지어, 한 가로보에 두 지지 프로파일이 고정되지 않도록,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이 교대로 상기 가로보들과 단단히 연결되는 것도 고려된다.
본 발명의 제 1 개선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프로파일이 상기 고정장치의 부분인 것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상기 위치안전에 도움이 되는 특별한 부품을 위한 재료가 절약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은 이 경우 상기 충전 프로파일과 양쪽에서 단단히 연결된다. 상기 충전 프로파일은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사이의 스페이서 (spacer) 로 쓰인다. 상기 고정장치의 양쪽에게의 힘분배를 갖는 효과적인 위치안전이 달성될 수 있고, 상기 충전 프로파일이 균일하게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사이의 틈 밖으로 움직일 수 있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전 프로파일이 정의된 파괴력을 갖는 미리 결정된 파괴-연결요소들을 이용해, 예컨대 나사결합 또는 리벳결합 또는 용접 이음매의 형태로,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과 연결되면 유리하다. 이러한 연결들은 특히 비용절감적이고 신뢰성이 있다고 평가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프로파일이 가장자리 영역들과 함께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의 지지 영역들 위에 놓여 있음으로써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의 부분들이 상기 충전 프로파일을 받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해제된 위치안전에 있어서, 즉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의 작동시 상기 충전 프로파일을 밀어내기가 쉬워질 수 있고, 추가적인 받침을 위한 재료가 절약될 수 있다. 또한, 지금 말한 실시형태를 위해, 유리하게는 상기 충전 프로파일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들의 밀봉 덮개가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의 상기 지지 영역들 위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 덮개는 예컨대 고무 시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고무 시일에 의해,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사이의 중간 공간 안으로의 습기 또는 오물의 침투가 특히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상기 가로보들의 보호 및 상기 가로보들 위에서의 상기 슬래트들의 슬라이딩 가능성의 유지에 도움이 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프로파일에는 그리고/또는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에는 슬라이딩 경사면들이 제공되고, 상기 슬라이딩 경사면들은 서로를 향해 움직여진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프로파일의 들어올림을 촉진한다. 이 슬라이딩 경사면들은,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의 세로방향 운동을 통해 위로의 상기 충전 프로파일의 안내된 운동을 초래하기 위한 특히 간단한 그리고 효과적인 수단이다. 이때,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에서의 그리고 상기 충전 프로파일에서의 상기 충전 프로파일의 상기 덮개의 영역에서의, 부합하는 슬라이딩 경사면들의 배치가 특히 유리한데, 왜냐하면 이로써 상기 위치안전의 해제 후 바로 상기 충전 프로파일의 안내된 운동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추가적으로, 그 밖의 슬라이딩 프로파일을 위해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사이의 틈의 내부에서의 비어 있는 공간을 이용하는 것이 의미 있고, 상기 그 밖의 슬라이딩 프로파일은 상기 충전 프로파일의 일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의 높이의 영역에 놓여 있는 길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에서의 부합하여 형성된 대응 피스들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프로파일의 거의 전체 운동영역에 걸쳐 상기 충전 프로파일의 안내된 슬라이딩 운동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프로파일은 (상기 브리징 장치의‘정상적인’작동상태에서) 상기 가로보들 위에 지지된다. 특히 상기 충전 프로파일이 전형적으로 상기 가로보들의 세로방향으로 상기 슬래트들보다 훨씬 더 큰 팽창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중간 받침은, 차도의 영역에 있는 상기 충전 프로파일의 길쭉한 상부 부분의 휨을 저지하기 위해 의미 있다.
이 실시형태의 구조적 형성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프로파일은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미리 결정된 파괴-연결요소들을 통해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과 연결되고, 이때 상기 미리 결정된 파괴-연결수단들은 상기 가로보들에 대한 상기 충전 프로파일의 조임을 만들어낸다. 이로써, 보다 큰 건축상의 지출 초과 없이 상기 충전 프로파일과 상기 가로보들 사이의 연속적인 접촉이 보장될 수 있고, 이로써 기울어짐에 대한 안전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 프로파일이 미끄럼 베어링과 함께 상기 가로보 위에 놓여 있는 것이 제공된다. 상기 설명된 조임을 통해, 상기 미끄럼 베어링의 마모시에도 상기 미끄럼 베어링이 항상 상기 가로보들 위에 놓여 있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그 밖의 구조적 형성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들을 빙 둘러싸는 틀들 (frames) 이 상기 충전 프로파일에 할당되고, 상기 틀들은 상기 가로보들에 대해 상기 충전 프로파일을 조이는 슬라이딩 페더키 (sliding feather key) 와, 예컨대 나사결합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괴점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 페더키는 일측에서 틀의 각각 하나의 바닥 부품과 연결되고, 반면 상기 슬라이딩 페더키의 다른 측은 슬라이딩할 수 있게 상기 가로보의 아랫면과 접촉한다. 이 이외에, 상기 충전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미끄럼 베어링과 함께 상기 가로보 위에 놓여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충전 프로파일의 내부에서 보다 큰 내부응력들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상기 충전 프로파일과 상기 가로보들 사이의 연속적인 접촉이 달성될 수 있다.
이 이외에, 하나의 과부하 안전장치가 제공될 경우에는,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가 상기 슬래트-차도 이음의 가운데에 배치되면 유리하다. 그러면,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의 양쪽에, 슬래트들의 짝수의 전체개수에 있어서 이상적으로는 동일한 다수의 슬래트가 있다. 슬래트들의 홀수의 전체개수에 있어서는, 이에 상응하여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의 일측에는, 다른 측에서보다 슬래트가 하나 더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는 상기 슬래트 다발들을 위한 대칭적 분리부처럼 작용한다. 이로써, 외견상으로는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를 통해 둘로 나뉜, 적어도 거의 동일한 개수의 슬래트들을 갖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가 만들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개별적인 슬래트들에의 운동들의 분배가 개선될 수 있고, 통째로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의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과 함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로 상기 충전 프로파일과 함께 상기 가로보들 위에 놓여 있는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 상기 가로보들의 세로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긴 하나, 하지만 슬래트와 비교한 그의 보다 큰 자체 무게에 근거하여, 그에 상응하여 보다 큰 마찰력을 갖고 상기 개별적인 슬래트들보다 느릿느릿하게 반응한다. 이를 통해, 상기 슬래트들이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의 양쪽에서 보다 균일하게 부하를 받는 데에 기여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교량부분들 중 하나는 상기 가로보들의 세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다른 것은 상기 가로보들의 세로방향으로 장소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의 작동을 초래하지 않는,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교량부분의 열에 의한 세로방향 팽창 형태의 또는 교량부분의 위치변화 형태의, 교량부분들 서로간의 상대운동의 경우에는,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는 상기 가로보에 대해 상대적인 그의 위치에 머물러 있을 수 있고, 이때 상기 가로보들은 가로보 박스들 (crossbeam boxes) 안으로, 그리고 상기 가로보 박스들 밖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상적인 경우,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의 양쪽에서의 상대운동이 거의 동일하게 모든 슬래트들에 분배됨으로써, 모든 슬래트들은 같은 정도로 활성화되고 움직여진다.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과 상기 가로보들 사이에 안티 리프트 장치의 제공은, 상기 가로보들 위에서의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의 안착 안전이 개선됨으로써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의 기능 안전을 위한 그 밖의 기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로의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의 원하지 않는 분리가 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보들로부터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이 분리되는 위험의 감소 이외에,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의 기울어짐이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다. 상기 가로보들 위에서의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의 원활한 안착은 비상시 상기 충전 프로파일의 예정된 운동을 쉽게 하도록 하고, 이로써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의 기능 안전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안티 리프트 장치의 구조적 형성에 있어서, 각각 틀이 (해당 가로보 둘레의 작은 간격을 두고) 제공되고, 상기 틀은 그의 윗면에서 나사결합 (상기 나사결합은 미리 결정된 파괴점으로 쓰인다) 을 통해 상기 지지 프로파일과 연결될 수 있고, 이때 상기 틀과 각각의 가로보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위에) 슬라이딩 블록들 (sliding blocks) 및/또는 (아래에) 슬라이딩 페더키 블록들이 배치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의 기울어짐으로부터의 보호는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의 상기 틀들 사이에 상기 가로보들 아래에 배치된 스페이서 요소들 (spacer elements) 이 제공됨으로써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상기 스페이서 요소들은 미리 결정된 파괴-연결요소들을 이용해 상기 틀들과 연결된다. 이로써,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은 서로 커플링되고, 상기 가로보들 위에서의 그들의 안착이 계속 보강되고, 그들 서로간의 간격이 또다시 안전해진다.
이 이외에, 상기 틀들의 내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페더키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며, 상기 슬라이딩 페더키는 상기 가로보들에 대해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을 조인다. 상기 언급된 슬라이딩 페더키들은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일측에서 각각 틀의 하부 측과 연결될 수 있고, 반면 상기 슬라이딩 페더키들의 다른 측은 슬라이딩할 수 있게 상기 가로보의 아랫면과 접촉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페더키에 대해, 동일한 개수의 미끄럼 베어링이 상기 틀의 상부 내부 측과 상기 가로보의 윗면 사이에 배치되어야 한다. 유리하게는, 이 배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페더키들의 페더키힘들은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의 관성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 페더키들의 예비인장, 상기 가로보들을 따른 운동과 관련된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의 관성, 및 상기 가로보들 위에서의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의 기울어짐에 대한 안전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 효과들은 틀과 지지 프로파일 당 다수의 슬라이딩 페더키의 이용, 또는 보다 큰 슬라이딩 페더키들의 이용을 통해 더욱 강화될 수 있고, 이때 이 경우 상기 틀은 상기 가로보의 세로방향 (L) 으로의, 상기 슬라이딩 페더키들의 완전한 수용을 위해 충분한 연장부를 구비해야 한다.
또한,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및/또는 상기 충전 프로파일이 그들의 차도쪽 윗면에, 통행할 수 있는 표면을 구비하면 유리하다. 이러한 형성을 통해, 또 그 밖의 층 또는 덮개가 도포될 필요없이 상기 지지 프로파일의 윗면은 바로 교량을 위한 차도 포장으로 쓰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재료, 무게 및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상기 발명대상의 개선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이 이웃한 슬래트들에 대해, 변형 가능한 밀봉시트들 (sealing sheets) 을 이용해 밀봉되는 것이 제공되며, 이를 통해, 이 부위에서 습기 및 오물이 침투하여 상기 가로보들에 도달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저지되고, 이는 특히 상기 가로보들의 보호 및 상기 가로보들 위에서의 상기 슬래트들의 슬라이딩 가능성의 유지에 도움이 된다.
또한, (특히 위에서 이미 설명된 부하 상태들의 대칭의 의미에서), 상기 가로보들이 양쪽에서, 이동 가능하게, 부하를 지지하면서 상기 건축물부분들에 지지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로보들은 양쪽에서 단부쪽에서 가로보 박스들 안으로 돌출한다.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의 상기 설명된 특별한 양상들은, 그 이외에도 설명된 상기 바람직한 개선들 중 여러 가지와 똑같이, 상응하는 방식으로, 규정대로 보다 작은 작업범위 (작은 틈폭) 을 위해 설계된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설명된 과부하 안전장치에 대해 추가적으로 단지 하나의 유일한 슬래트만을 구비하는,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본래의 슬래트를 구비하지 않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들을 위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 이외에, 이와 관련된 독립항들 제 20 항 및 제 21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측에 하나의 유일한 본래의 슬래트가 배치되거나 또는 양쪽에 본래의 슬래트가 배치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가 통째로 두 건축물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음으로써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가 ‘준 (quasi) 슬래트’로서 작용한다는 것이 결정적이다.
다른 말로 하자면: 청구항 제 20 항에 따른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에 있어서는, 청구항 제 1 항으로부터의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와 달리, 다수의 슬래트 대신에 단지 하나의 유일한 슬래트만 제공되고, 반면 청구항 제 21 항에 따른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들은 슬래트들을 완전히 생략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는 상기 하나의 슬래트와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를 통해 브리지되거나 또는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를 통해서만 브리지되고,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는 상기 두 경우 건축물부분과 단단히 연결되지 않는다. 이러한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들은 예컨대 유리하게는, 열적 팽창 또는 수축이 덜 중대시되는 그리고 건축물부분들 서로간의 갑작스레 발생하는 위치변화들의 위험이 매우 중대시되는 곳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근거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된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를 통한, 가로보들의 방향에 대해 평행으로 이어지는 단면도이고,
도 2 는 과부하 안전장치와 그에 인접하는 슬래트들의, 도 1 로부터의 섹션 B 에 따른 확대된 도면이고,
도 3 은 도 1 로부터의 과부하 안전장치를 통한 절단선 A-A 에 따른 가로보와 지지 프로파일 받침의 횡단면도이고,
도 4 는 지지 프로파일들 서로간의 예정된, 거의 최소인 간격에 있어서, 작동된 과부하 안전장치를 갖는 도 1 로부터의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를 통한, 도 1 의 투시도에 상응하는 단면도이고,
도 5 는 슬래트들이 없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된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를 통한, 가로보들의 방향에 대해 평행으로 이어지는 단면도이고,
도 6 은 하나의 유일한 슬래트를 갖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된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를 통한, 가로보들의 방향에 대해 평행으로 이어지는 단면도이고,
도 7 은 충전 프로파일에 할당된 틀을 갖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된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를 통한, 가로보들의 방향에 대해 평행으로 이어지는 단면도이고,
도 8 은 도 6 으로부터의 과부하 안전장치를 통한 절단선 C-C 에 따른 가로보와 충전 프로파일 받침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은 익스팬션 조인트 (4) 를 브리지하기 위해 2개의 교량부분 (3) 사이에 배치된 슬래트-차도 이음 (2) 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를 나타낸다.
익스팬션 조인트 (4) 위에 다수의 가로보 (5) (그들 중 하나가 도 1 에 도시된다) 가 걸려 있고, 상기 가로보들은 각각 2개의 가로보 받침들 (6) 안에 세로방향 (L) 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가로보 받침들은 교량부분들 (3) 의 2개의 버팀대 (8) 에 고정된다. 두 가로보 단부 (9) 는 교량부분들 (3) 의 가로보 박스들 (10) 안으로 돌출한다.
다수의 슬래트 (11) 가 가로보들 (5) 위에 지지된다. 슬래트들 (11) 은 가로보들 (5) 위에 세로방향 (L) 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설치되고, 서로 평행으로 배치된다. 2개의 슬래트 (11) 사이에는, 각각 그들과 연결된 탄성적인 밀봉시트 (12) 가 차도 평면 (13) 아래에서의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를 특히 습기 및 오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있고, 상기 차도 평면 위에는, 바람직하게는 통행 가능한 표면의 의미에서, 차량들에 의한 통행을 위해 적합한 차도 포장이 있다. 슬래트 윗면들 (14) 은 차도 평면 (13) 과 동일한 높이에서 연장된다. 슬라이딩할 수 있는 슬래트 받침들 (15) 은 상기 가로보들을 틀 모양으로 둘러싸고, 이때 각각 위에는 슬래트 받침 (15) 의 틀과 가로보 (5) 사이에 슬라이딩 블록들이 배치되고, 각각 아래에는 슬래트 받침 (15) 의 틀과 가로보 (5) 사이에 슬라이딩 페더키 블록들이 배치된다. 슬래트들 (11) 은 도시되지 않은 기계적 거리 조절기들을 통하여 (간격 제어의 의미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거리 조절기들을 통해, 세로방향 (L) 으로 상기 슬래트들에 작용하는 힘에 있어서의 슬래트들 (11) 서로간의 이동 거동이 제어될 수 있다. 각각 왼쪽에서 그리고 오른쪽에서 가장 바깥쪽의 슬래트들 (11) 의 운동은 세로방향 (L) 으로 일측에서 교량부분들 (3) 의 가장자리 프로파일들 (돌출부들 (16)) 에 의해 그리고 (스톱들 (stops) 로서 슬래트 받침들 (15) 의 틀들의 하부 섹션들과 함께 작용하는) 스페이서들 (7) 에 의해 제한된다.
이 범위에서,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는, 충분히 공지된 선행기술을 이용하며, 따라서 구조와 관련하여서 그 밖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고, 설계범위 또는 작업범위에서의 규정대로의 기능 (상기 가로보들 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래트들 (11) 사이의 간격들의 변화를 통한 교량부분들 (3) 의 열적 팽창 또는 수축의 보상) 과 관련하여서도 그 밖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
왼쪽의 총 16개의 슬래트 (11) 와 오른쪽의 총 17개의 슬래트 (11) 사이에 과부하 안전장치 (17) 가 배치되고, 이때 과부하 안전장치 (17) 와 그에 인접한 슬래트들 (11) 사이의 틈들은 밀봉시트들 (12) 에 의해 폐쇄된다.
도 2 에 도시된 도 1 의 확대된 섹션 (B) 에서는, - 세로방향 (L) 으로 이동 가능한 - 과부하 안전장치 (17) 가 서로 세로방향 (L) 으로 간격을 둔 2개의 지지 프로파일 (18) 과,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 (18) 사이의 틈 (S) 을 브리지하는 충전 프로파일 (32) 을 구비한다는 것을 특히 잘 알아볼 수 있고, 이때 정상적인 작동경우 이 부품들 서로간의 위치를 안전하게 하는 고정장치가 작용한다. 두 지지 프로파일 (18) 은, 슬래트들 (11) 에의 일종의 정적 밀착에 있어서, 각각 프로파일 머리 (profile head, 19), 프로파일 발 (profile foot, 20), 및 상기 둘과 용접된 프로파일 웨브 (profile web, 21) 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의 상기 세 부분과 용접된 추가적인 보강요소들 (22) 에는, 각각 비스듬히 연장되는 보강 측면 (23) 이 제공된다. 각각의 프로파일 발 아랫면 (24) 에서, (하기에서 상세히 기술되는) 지지 프로파일 받침들은 각각의 지지 프로파일 (18) 과 연결되고, 상기 지지 프로파일 받침들은 한쌍의 제 1 나사결합 (26) 을 통하여 프로파일 발들 (20) 과 연결되고, 특히 세로방향 (L) 으로 가로보 (5) 위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각각 2개의 슬라이딩 블록들 (25) 을 포함한다.
프로파일 머리들 (19) 은 이웃한 슬래트들 (11) 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갈고리들 (27) 을 구비한다.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요소들 (guide elements, 28) 은 (본질적으로 직육면체 모양인) 프로파일 머리들 (19) 의 프로파일 머리 윗면들 (29) 과 단단히 연결된다. 갈고리들 (27) 과 가이드 요소들 (28) 사이에, 상응하는 빈 공간들 안에서 밀봉시트들 (12) 이 가장자리쪽에서 단단히 클램핑된다. 모든 슬래트들 (11) 은 상부 가이드 요소들 (28) 과 유사한 클램핑 장치들 (30) 과 갈고리들 (27) 을 구비하며, 이를 통해 밀봉시트들 (12) 은 2개의 슬래트 (11)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래트들 (11) 과 지지 프로파일들 (18) 사이에서도 클램핑될 수 있다.
충전 프로파일 (32) 은 플레이트 (plate, 33) 및 그와 연결된 베이스 (base, 34) 를 구비한다. 충전 프로파일 (32) 의 플레이트 (33) 의 외부 왼쪽 및 오른쪽 가장자리 영역들 (59) 은 지지 영역들을 형성하는 프로파일 머리들 (19) 의 프로파일 머리 윗면들 (29) 위에 놓여 있고, 이때 지지 프로파일들 (18) 은 충전 프로파일 (32) 의 플레이트 (33) 에 대해 밀봉 덮개들 (58) 을 이용해 밀봉된다. 지지 프로파일들 (18) 의 프로파일 머리들 (19) 은, 상기 고정장치의 2개의 부분 중 상부 부분의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그리고 미리 결정된 파괴-나사결합들로서 실시된 한쌍의 제 2 나사결합 (31) 을 통해 충전 프로파일 (32) 에 고정된다. 플레이트 (33) 의 플레이트 윗면 (35) 은 차도 평면 (13) 과 동일한 높이에서 연장된다. 플레이트 (33) 의 비스듬히 연장되는 플레이트 측면들 (36) 은 가이드 요소들 (28) 의 부합하는 비스듬한 가이드들 (37) 에 밀착한다. 충전 프로파일 (32) 의 베이스 (34) 는 웨브, 충전 프로파일 발 (40), 및 이 부분들과 그리고 플레이트 (33) 와 용접된 보강부들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보강부들은 비스듬히 연장되는, 아래로 수렴하는 베이스측들 (38) 을 구비한다. 충전 프로파일 발 (40) 에 충전 프로파일 베어링 (41) 이 밀착하고, 상기 충전 프로파일 베어링은 세로방향 (L) 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가로보 (5) 위에 여유공간 없이 놓여 있고, 슬라이딩 블록들 (25) 과 동일하다. 제 2 나사결합들 (31) 은, 충전 프로파일 (32) 이 충전 프로파일 베어링들 (41) 을 이용해 가로보들 (5) 에 대해 조여지도록 단단히 조여진다. 한쌍의 제 3 나사결합 (42) 을 통해, 충전 프로파일 베어링 (41) 은 각각 베이스 (34) 의 충전 프로파일 발 (40) 과 단단히 연결된다.
도 3 은 특히 지지 프로파일 받침을 도 1 로부터의 절단선 A-A 에 따른 단면도로 나타내며, 상기 지지 프로파일 받침은 그의 원칙적인 구성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볼 수 있는 슬래트 받침들 (15) 과 유사하다. 지지 프로파일 (18) 의 프로파일 발 (20) 은 가로보 (5) 를 빙 둘러싸는 틀 (43) 과 단단히 연결되고, 상기 틀은, 안티 리프트 장치의 의미에서, 지지 프로파일 (18) 이 위로 높이방향 (H) 으로 원하지 않는 운동을 하는 것을 저지한다. 틀 (43) 은 길쭉한 2개의 측면 부품들 (44) 및 그들과 단단히 연결된 플랜지들 (45) 을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들은 제 1 나사결합들 (26) 을 통하여 프로파일 발 (20) 과 단단히 연결된다. 위로, 틀 (43) 은 플랜지들 (45) 과 프로파일 발 (20) 사이에 배치된 베어링 플레이트 (46) 를 통해 폐쇄된다. 베어링 플레이트 (46) 에서 아래에는, 할당된 두 슬라이딩 블록 (25) 이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들은 상부 가로보 플랜지 (52) 위에, 슬라이딩하면서 놓여 있다. 상기 측면 부품들의 하부 단부들의 영역에서, 측면 부품들 (44) 은 바닥 부품 (47) 과 단단히 연결된다. 가로보 (5) 아래에서 연장되는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의 두 부분 중 하부 부분을 형성하는, 횡단면에 있어서 T 모양인 스페이서 요소 (48) 는, 상기 스페이서 요소가 한쌍의 제 4 나사결합 (49) 을 통하여 각각 틀 (43) 의 바닥 부품 (47) 에 고정됨으로써, 두 지지 프로파일 (18) 에 할당된 틀 (43) 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4 나사결합들은 미리 결정된 파괴-나사결합들이다. 바닥 부품 (47) 과 하부 가로보 플랜지 (50) 사이에는, 세로방향 (L) 으로 간격을 둔 2개의 슬라이딩 페더키 (51) 형태의, 슬라이딩할 수 있는, 높이방향 (H) 으로 탄력 있는 페더키 받침이 있다.
서로를 향한 두 교량부분 (3) 의, 정상적인 설계작동 또는 작업범위를 초과하는 운동의 경우에 있어서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의 기능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두 교량부분 (3) 이 예컨대 지진에 의해 또는 지진에 관한 그 밖의 사건에 의해 상기 가로보들의 세로방향으로, - 슬래트들 (11) 서로간의 밀착, 또는 과부하 안전장치 (17) 의 지지 프로파일들 (19) 에의 상기 슬래트들의 밀착을 통해 정의된 - 설계 최소간격에 상응하는 것보다 큰 치수만큼 서로를 향해 움직여야 하면, 위치변화의 계속되는 보상을 위해 과부하 안전장치 (17) 가 적용되고, 보다 정확히 말하면 지지 프로파일들 (18) 의 가장 큰 접근까지 적용되고, 상기 접근은 도 4 에 도시된다.
블록으로서 서로 밀착하는 슬래트들 (11) 을 통하여, 서로 마주 향한 이동력들은 교량부분들 (3) 로부터, 과부하 안전장치 (17) 의 지지 프로파일들 (18) 에 인접한 슬래트들 (11) 을 거쳐 지지 프로파일들 (18) 자체로 전달된다. 상기 이동력들은, 우선 지지 프로파일들 (18) 서로간의 간격을 확정하는 상기 고정장치의 상기 상부 부분과 상기 하부 부분 안으로 도입된다. 미리 정해져 있는 문턱값을 초과할시, (상기 충전 프로파일의 플레이트 (33) 에 할당된) 제 2 나사결합들 (31) 과, 상기 고정장치의 미리 결정된 파괴-연결요소들을 의미하는 (스페이서 요소 (48) 에 할당된) 제 4 나사결합들 (49) 이 떨어져 나간다. 이를 통해, 지지 프로파일들 (18) 의 위치안전은 해제되고,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은 서로를 향해 움직일 수 있다. 지지 프로파일들 (18) 이 서로를 향해 움직이면, 플레이트 (33) 는 그의 비스듬히 연장되는 플레이트 측면들 (36) 과 함께 가이드 요소들 (28) 의 비스듬한 가이드들 (37) 위에서 슬라이딩하고, 충전 프로파일 (32) 은 높이방향 (H) 으로 위로 움직인다.
비스듬히 연장되는 베이스 측면들 (38) 이 프로파일 머리들 (19) 의 서로를 향한 상부 머리 모서리들 (55) 에 밀착할 정도로 지지 프로파일들 (18) 이 서로를 향해 움직였으면, 비스듬히 연장되는 베이스 측면들 (38) 은 머리 모서리들 (55) 을 따라서 슬라이딩할 수 있고, 충전 프로파일 (32) 는 계속 높이방향 (H) 으로 위로 움직일 수 있다. 이 슬라이딩 운동은, 단부쪽에서 베이스 측면들 (38) 에 배치된 베이스 모서리들 (56) 이 머리 모서리들 (55) 의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가능하다. 그러면, 또한, 충전 프로파일 (32) 의 동시적인 상향운동하의 두 지지 프로파일 (18) 의 약간의 그 밖의 접근은, 충전 프로파일 베어링 (41) 이 보강 측면들 (23) 위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가능하다. 이 운동은, 프로파일 발 (20) 의 서로를 향한 측들과 슬라이딩 블록들 (25) 이 서로 밀착할 때까지 가능하고, 이때 이 위치에 있어서 충전 프로파일 발 (40) 은 두 지지 프로파일 (18) 의 프로파일 머리들 (19) 사이에 자리를 잡는다. 지지 프로파일들 (18) 의 이 위치에 있어서,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의 최소 팽창이 달성된다.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는 슬래트들을 구비하지 않거나 (도 5) 또는 하나의 유일한 슬래트 (11) 를 구비한다 (도 6). 과부하 안전장치 (17) 의 지지 프로파일들 (18) 과 충전 프로파일 (32) 은 가로보들 (5) 위에 지지된다. 도 5 에 도시된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에 있어서, 과부하 안전장치 (17) 와 교량부분들 (3) 의 2개의 돌출부 (16) 사이의 2개의 틈은 2개의 밀봉시트 (12) 에 의해 폐쇄되고, 하지만 상기 밀봉시트들은, 특히 가로보 (5) 의 세로방향 (L) 으로의, 힘들을 흡수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는 않다. 도 6 에 도시된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에 있어서, 오른쪽 교량부분 (3) 의 오른쪽 돌출부 (16) 와 과부하 안전장치 (17) 사이의 틈은 상기 언급된 특성들을 갖는 밀봉시트 (12) 에 의해 폐쇄된다. 왼쪽 교량부분 (3) 의 왼쪽 돌출부 (16) 와 과부하 안전장치 (17) 사이의 틈은 상기 유일한 슬래트 (11) 와 상기 언급된 특성들을 갖는 2개의 밀봉시트 (12) 에 의해 폐쇄된다.
도 7 및 도 8 은 미리 결정된 파괴-연결요소들로 쓰이는 나사결합들 (60) 을 통해 충전 프로파일 (32) 에 나사결합된 틀들 (57) 을 갖는, 상기 설명된 과부하 안전장치들 (17) 중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상기 틀들은 가로보들 (5) 을 완전히 둘러싼다. 충전 프로파일 (32) 의 틀들 (57) 은 지지 프로파일들 (18) 의 틀들 (43) 과 동일한 요소들을 구비한다. 슬라이딩 페더키 (58) 는 하부 가로보 플랜지들 (61) 및 틀들 (57) 의 바닥 부품들 (62) 에 페더키힘을 가하고, 이를 통해 충전 프로파일들 (32) 은 충전 프로파일 베어링들 (41) 을 이용해 가로보들 (5) 에 대해 조여진다.

Claims (21)

  1. 통행할 수 있는 건축물의 2개의 건축물부분 (3) 사이에 존재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4) 를 브리지하는 슬래트-차도 이음 (2) 형태의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로서,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는:
    -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4) 위에 적어도 2개의 가로보 (5) 가 걸려 있고, 상기 가로보들은 부하를 지지하면서 두 건축물부분 (3) 에 지지되고, 부하를 지지하는 받침들 (6) 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 건축물부분 (3) 에 대해 상대적인 각각의 가로보 (5) 의 이동 운동을 허용하고;
    - 적어도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으로 방향지어진, 상기 가로보들 (5) 위에 배치된 다수의 슬래트 (11) 는 상기 가로보들 (5) 대해 상대적으로 그리고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로보들 (5) 에 지지되고;
    - 상기 가로보들 (5) 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리고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2개의 슬래트 (11) 사이에, 과부하 안전장치 (17) 가 제공되고;
    -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 (17) 는 2개의 서로 간격을 둔, 상기 가로보들 (5) 위에 지지되는 지지 프로파일들 (18) 과,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18) 사이의 틈 (S) 을 브리지하는 충전 프로파일 (32) 을 포함하고;
    -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 (18) 사이에, 그들의 서로간의 적어도 하나의 상대적 위치를 안전하게 하는 고정장치 (31, 49) 가 작용하고;
    - 상기 고정장치 (31, 49) 는,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의 접근의 의미에서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 (18) 에 작용하는 힘에 대해 문턱값을 초과할시,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 (18) 이, 위로 상기 틈 (S) 밖으로 상기 충전 프로파일 (32) 을 밀어내면서, 서로를 향해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위치안전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프로파일 (32) 은 상기 고정장치 (31) 의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프로파일 (32) 은 미리 결정된 파괴-연결요소들 (predetermined breaking-connecting elements) (31) 을 이용해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18) 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프로파일 (32) 은 가장자리 영역들 (59) 과 함께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18) 의 지지 영역들 (29) 위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프로파일 (32) 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들 (59) 의 밀봉 덮개 (58) 는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18) 의 상기 지지 영역들 (29) 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프로파일 (32) 에는 그리고/또는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18) 에는 슬라이딩 경사면들 (23, 36, 37, 38) 이 제공되고, 상기 슬라이딩 경사면들은 서로를 향해 움직여진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18) 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프로파일 (32) 의 들어올림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프로파일 (32) 은 상기 가로보들 (5) 위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8. 제 3 항 및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프로파일 (32) 은 상기 미리 결정된 파괴-연결요소들 (31) 을 이용해 상기 가로보들 (5) 에 대해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들 (5) 에 대해 상기 충전 프로파일 (32) 을 조이기 위한 슬라이딩 페더키 (58) 와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괴-연결요소 (60) 를 갖는, 상기 가로보들 (5) 을 빙 둘러싸는 틀들 (frames, 57) 은 상기 충전 프로파일 (32) 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 (17) 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다수의 슬래트들 (11)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18) 과 상기 가로보들 (5) 사이에, 안티 리프트 장치 (43) 가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들 (5) 을 빙 둘러싸는 틀들 (43) 은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18) 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두 지지 프로파일 (18) 의 상기 틀들 (43) 사이에 상기 가로보들 (5) 아래에 배치된 스페이서 요소들 (48) 이 제공되고, 상기 스페이서 요소들은 미리 결정된 파괴-연결요소들 (49) 을 이용해 상기 틀들 (43) 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들에 대해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을 조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페더키 (51) 는 상기 틀들 (43) 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18) 및/또는 상기 충전 프로파일 (32) 은 통행할 수 있는 표면 (13)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18) 은 이웃한 슬래트들 (11) 에 대해, 변형 가능한 밀봉시트들 (sealing sheets, 12) 을 이용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 (5) 들은 양쪽에서, 이동 가능하게, 부하를 지지하면서 상기 건축물부분들 (3) 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들 (5) 은 양쪽에서 단부쪽에서 가로보 박스들 (crossbeam boxes, 10) 안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19. 제 1 항에 있어서,
    기능적으로 동일하게 작용하는 다수의 과부하 안전장치들 (17) 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20. 통행할 수 있는 건축물의 2개의 건축물부분 (3) 사이에 존재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4) 를 브리지하는 슬래트-차도 이음 (2) 형태의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로서,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는:
    -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4) 위에 적어도 2개의 가로보 (5) 가 걸려 있고, 상기 가로보들은 부하를 지지하면서 상기 두 건축물부분(3) 에 지지되고, 부하를 지지하는 받침들 (6) 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 건축물부분 (3) 에 대해 상대적인 각각의 가로보 (5) 의 이동 운동을 허용하고;
    - 상기 가로보들 (5) 위에 배치된 하나의 슬래트 (11) 는 상기 가로보들 (5) 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로보들 (5) 에 지지되고;
    - 상기 슬래트 (11) 에 대해 적어도 본질적으로 평행으로, 상기 건축물부분들 (3) 중 어느 것과도 단단히 연결되지 않은 과부하 안전장치 (17) 가 제공되고;
    -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 (17) 는 2개의 서로 간격을 둔, 상기 가로보들 (5) 위에 지지되는 지지 프로파일들 (18) 과,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18) 사이의 틈 (S) 을 브리지하는 충전 프로파일 (32) 을 포함하고;
    -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 (19) 사이에, 그들의 서로간의 적어도 하나의 상대적 위치를 안전하게 하는 고정장치 (31, 49) 가 작용하고;
    - 상기 고정장치 (31, 49) 는,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의 접근의 의미에서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 (18) 에 작용하는 힘에 대해 문턱값을 초과할시,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 (18) 이, 위로 상기 틈 (S) 밖으로 상기 충전 프로파일 (32) 을 밀어내면서, 서로를 향해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위치안전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21. 통행할 수 있는 건축물의 2개의 건축물부분 (3) 사이에 존재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4) 를 브리지하는 과부하 안전장치 (17) 형태의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로서,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는:
    -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 (4) 위에 적어도 2개의 가로보 (5) 가 걸려 있고, 상기 가로보들은 부하를 지지하면서 상기 두 건축물부분 (3) 에 지지되고, 부하를 지지하는 받침들 (6) 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 건축물부분 (3) 에 대해 상대적인 각각의 가로보 (5) 의 이동 운동을 허용하고;
    - 상기 건축물부분들 (3) 중 어느 것과도 단단히 연결되지 않은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 (17) 는 2개의 서로 간격을 둔, 상기 가로보들 (5) 위에 지지되는 지지 프로파일들 (18) 과,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18) 사이의 틈 (S) 을 브리지하는 충전 프로파일 (32) 을 포함하고;
    -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 (19) 사이에, 그들의 서로간의 적어도 하나의 상대적 위치를 안전하게 하는 고정장치 (31, 49) 가 작용하고;
    - 상기 고정장치 (31, 49) 는,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의 접근의 의미에서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 (18) 에 작용하는 힘에 대해 문턱값을 초과할시, 상기 두 지지 프로파일 (18) 이, 위로 상기 틈 (S) 밖으로 상기 충전 프로파일 (32) 을 밀어내면서, 서로를 향해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위치안전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1).
KR1020157013845A 2012-11-27 2013-11-26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KR102207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23129.6 2012-11-27
DE102012023129A DE102012023129B3 (de) 2012-11-27 2012-11-27 Dehnfugen-Überbrückungsvorrichtung
PCT/EP2013/003565 WO2014082734A1 (de) 2012-11-27 2013-11-26 Dehnfugen-überbrückungs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016A true KR20150089016A (ko) 2015-08-04
KR102207645B1 KR102207645B1 (ko) 2021-01-26

Family

ID=49626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845A KR102207645B1 (ko) 2012-11-27 2013-11-26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40774B2 (ko)
EP (1) EP2925932B2 (ko)
JP (1) JP6188814B2 (ko)
KR (1) KR102207645B1 (ko)
CN (1) CN104822883B (ko)
DE (1) DE102012023129B3 (ko)
RU (1) RU2642737C2 (ko)
WO (1) WO20140827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0419A1 (de) * 2015-01-14 2016-07-14 Maurer Söhne Engineering GmbH & Co. KG Überbrückungsvorrichtung für eine bewegliche Brücke und bewegliche Brücke mit einer solchen Überbrückungsvorrichtung
CN105839525B (zh) * 2016-04-15 2017-10-27 马迪 一种使用灵活的桥梁伸缩缝覆盖装置
DE102017220915A1 (de) * 2017-11-23 2019-05-23 Maurer Engineering Gmbh Fugendichtprofil, Bauwerksfugenüberbrück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ugendichtprofils
CN108711797B (zh) * 2018-08-16 2019-11-29 福州万山电力咨询有限公司 一种组合式电缆过桥伸缩补偿装置
CN111119039B (zh) * 2019-12-31 2021-11-23 山西省交通新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公路桥梁板式伸缩缝的位移装置
DE102021204003A1 (de) 2021-04-21 2022-10-27 Maurer Engineering Gmbh Verfahren zum Austausch einer Übergangskonstruktion, Übergangskonstruktion zur Überbrückung einer in einem Bauwerk befindlichen Bauwerksfuge und Bauwerk mit einer Übergangskonstruktion
CN115787454A (zh) * 2022-11-23 2023-03-14 江苏久兴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全组装模数式桥梁伸缩装置及其安装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8599A1 (en) * 2000-06-19 2001-12-27 Seamus Michael Devlin Movement joint
US20080148499A1 (en) * 2006-12-13 2008-06-26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Expansion joi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2717C1 (de) * 1982-04-05 1983-11-17 Kober AG, 8750 Glarus Fugenueberbrueckungsvorrichtung fuer Dehnfugen in Fahrbahnen von Bruecken od.dgl.
DE3514776C1 (de) * 1985-04-24 1986-07-31 Kober Ag, Glarus Vorrichtung zum Überbrücken von Dehnfugen in Gehwegen und Fahrbahnen
DE19630328C2 (de) * 1996-07-26 1999-11-18 Maurer Friedrich Soehne Überbrückungsvorrichtung für Fugenspalte
DE19705531C2 (de) * 1997-02-13 2001-07-05 Maurer Friedrich Soehne Vorrichtung zur Überbrückung von Dehnfugen
US5887308A (en) * 1997-07-28 1999-03-30 Watson Bowman Acme Corp. Expansion joint system with seismic accommodation
JP2000064440A (ja) * 1998-08-25 2000-02-29 Doei Gaiso Kk 床用目地装置
JP2000170121A (ja) * 1998-12-07 2000-06-20 Nkk Corp 橋 梁
JP4323080B2 (ja) * 2000-10-19 2009-09-02 ニッタ株式会社 免震橋梁対応伸縮継手
JP2003064778A (ja) 2001-08-28 2003-03-05 Meidensha Corp インサート器具
EP1355009B1 (de) * 2002-04-17 2011-12-21 Maurer Söhne GmbH & Co. KG Überbrückungsvorrichtung für Fugenspalte
JP2005350854A (ja) 2004-06-08 2005-12-22 Kawaguchi Metal Industries Co Ltd 橋梁用ジョイント
EP1614808A1 (de) * 2004-07-07 2006-01-11 Mageba S.A. Überbrückungsvorrichtung
EP1710351A1 (de) * 2005-01-12 2006-10-11 Mageba S.A. Überbrückungsvorrichtung für eine Dehnfuge in einem befahrbaren Bauwerk
DE102011050977A1 (de) 2011-06-09 2012-12-13 Maurer Söhne Engineering GmbH & Co. KG Überbrückungsvorrichtung in Mittelträgerbauweise für eine Bauwerksfu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8599A1 (en) * 2000-06-19 2001-12-27 Seamus Michael Devlin Movement joint
US20080148499A1 (en) * 2006-12-13 2008-06-26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Expansion joi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2734A1 (de) 2014-06-05
EP2925932B1 (de) 2017-09-27
DE102012023129B3 (de) 2013-12-12
KR102207645B1 (ko) 2021-01-26
CN104822883B (zh) 2017-05-03
US20150259861A1 (en) 2015-09-17
US9540774B2 (en) 2017-01-10
JP6188814B2 (ja) 2017-08-30
RU2015117888A (ru) 2017-01-11
EP2925932B2 (de) 2024-02-21
EP2925932A1 (de) 2015-10-07
CN104822883A (zh) 2015-08-05
JP2015535559A (ja) 2015-12-14
RU2642737C2 (ru)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9016A (ko) 익스팬션 조인트 브리징 장치
KR101228655B1 (ko) 브릿지 장치
US5082394A (en) Expansion joint seal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and installing the same
US20100065651A1 (en) Solid track comprising a concrete strip
KR100990857B1 (ko) 복공판
JP4707938B2 (ja) ジョイント遊間結合装置
KR101280988B1 (ko) 슬라이드와 탄성 신축 이음 장치 및 이 시공 방법
US3699853A (en) Composite expansion joint
KR20150139557A (ko) 전환 구조물 및 이러한 전환 구조물을 갖는 철도 브리지
US3854159A (en) Composite expansion joint assembly
CA2723757C (en) Fixed track for rail-bound vehicles on a bridge
KR101656318B1 (ko) 변단면 복합 트러스 거더교
KR101126081B1 (ko) 가로보 지지 브라켓을 이용한 트러스 가설교량
KR101317464B1 (ko) 교량용 슬라이딩 탄성받침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받침방법
JP2011163079A (ja) 道路橋用伸縮継手の漏水誘導装置
KR20120002706A (ko) 저형고 방호벽 교량 및 그 시공방법
RU2415987C2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путь для мостов и тоннелей
KR20210041813A (ko) 거더 조인트
KR102089750B1 (ko) 거더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JP6971838B2 (ja) 壁用型枠パネル
KR20240019355A (ko) 시공 이음부 영역에서 선로 트랙의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지지하는 가교 구조 및 이러한 가교 구조를 포함하는 선로 구조
JP4689371B2 (ja) 橋梁伸縮継手
US20160265176A1 (en) Continuous travel track on a viaduct structure
RU222191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ижения уровня вибраци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ути
AU2010201482B2 (en) Expansion joi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