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557A - 전환 구조물 및 이러한 전환 구조물을 갖는 철도 브리지 - Google Patents

전환 구조물 및 이러한 전환 구조물을 갖는 철도 브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557A
KR20150139557A KR1020157031144A KR20157031144A KR20150139557A KR 20150139557 A KR20150139557 A KR 20150139557A KR 1020157031144 A KR1020157031144 A KR 1020157031144A KR 20157031144 A KR20157031144 A KR 20157031144A KR 20150139557 A KR20150139557 A KR 20150139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member
rail
cross
sleepers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7564B1 (ko
Inventor
크리스티앙 브라운
Original Assignee
마우러 쇤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우러 쇤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마우러 쇤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5013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00General structure of permanent wa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00General structure of permanent way
    • E01B2/003Arrangement of tracks on bridges or in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브리지(4)의 연결부(3)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레일(2)을 지지하기 위한 전환 구조물(1)과 이러한 전환 구조물(1)이 제공된 철도 브리지(4)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적어도 두 개의 변위가능하게 지지된 크로스 부재(5, 6, 7), 연결부(3)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레일(2)을 지지하기 위해 크로스 부재(5, 6, 7)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8), 및 전환 구조물(1)에서 연결부 침목(8)의 위치를 지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14)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8)은 레일 고정구(13)를 포함하고, 이와 함께 연결부 침목(8)이 레일(2)에 변위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로스 부재(5, 6, 7)와 제어 장치(14)가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8) 아래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전환 구조물 및 이러한 전환 구조물을 갖는 철도 브리지{Transition construction and railway bridge with such a transition construction}
본 발명은 철도 브리지의 연결부(joint)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전환 구조물과 이러한 전환 구조물이 제공된 철도 브리지에 관한 것이다.
연결부 영역에서 돌출된 브리지 구성요소(상부구조 말단)의 자유로운 운동, 특히 수직 운동이 커져서 레일의 지지점에서의 들어올리는 힘(lifting force)과 미는 힘(pushing force)이 더 이상 허용한계에서 유지될 수 없을 때 상기 전환 구조물은 철도 브리지 건축에 채용된다. 이러한 트위스팅(twistings)은 다른 하중 케이스, 예를 들어, 기차가 브리지 위로 굴러가고 브리지 거더가 중심에서 구부러질 때로부터 브리지 거더(girders)에 나타난다. 다음, 브리지 거더의 외측 말단은 상측으로 트위스트하여 레일에서 상술한 변형을 야기하는 받침대(abutment)와 브리지 거더 사이 또는 2개의 인접한 브리지 거더 사이에 높이 상쇄(offset)가 나타난다. 레일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는 심각한 경우 레일에서 높은 횡방향 힘과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s)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구조물은 브리지 구성요소 또는 상부구조 말단, 각각에서 길이방향 상대 변위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도 수행하여, 연결부 영역에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레일의 지지점의 거리에 대한 허용 최대값이 만족된다. 이것은 또한 연결부의 영역에서 과도한 하중으로부터 레일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독일 철도(The Deutsche Bahn)는 오늘날까지 두가지 시스템을 채용한다. 한편으로, “스토그(Stog)” 시스템은 예를 들어, DE 198 06 566 A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전환 구조물은 이론적으로 브리지 구성요소의 두 말단에서 말단 접선 각도(end tangent angle)을 양분하고 양 말단에서 수직 상쇄를 대향하는 트위스트 각도(opposite twist angles)로 전환하는 연결부 상에 놓이는 강보상판(rigid compensating plate)이다. 침목이나 레일 파스너(rail fasteners)는 보상판에 변위불가능하게(undisplaceably) 장착되거나 또는 플로팅 방식(floating manner)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보상판은 스프링에 의해서 연결부 위의 위치에 지지된다.
“스토그(Stog)” 시스템은 특히 연결부를 형성하는 브리지 구성요소가 고정된 때, 보상판이 흔들리기 쉬운 단점이 있다. 상기 판은 네 개의 점에서 지지되고, 그에 따라 확실하지 않게 정적으로 지지된다. 더욱이, 높은 판 강성(high plate rigidity) 때문에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두 개의 인접한 상부 구조의 비틀림의 보상은 오직 작은 범위에서만 가능하다. 만약 지지체 중의 하나가 상기 범위 이상으로 변위되면 판은 흔들리기 시작한다. 이는 전체 전환 구조물의 존속에 해로운 효과를 갖을 수 있고, 방음에 대해서도 단점일 수도 있다. 더욱이, 특히 “노면(road surface)” 유형의 궤도와 함께 전환 구조물 판의 장착은 특히 그것들이 실(seal)의 상측에 있을 때 더 많이 흔들리는 판을 유발하는 “스토크” 해결책의 단점이 있다. 그래서, 이후 거기에 부착된 보상판에서 역시 찾을 수 있는 것은 노면의 궤도 판의 순전한 펌핑(pumping)일 수 있다. 즉, 단지 그것을 노면에 연결할 때 그것은 마모되게 된다.
한편, “비더블유지(BWG)” 시스템은 예를 들어 국제 특허 출원 WO 94/12729 A로 발표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비더블유지 시스템은 그 내부에서 지지체가 연결부의 경계 옆의 침목(이후부터 경계 침목이라고 함)에 아래에 침목이 연결부의 영역에서 변위가능하게 매달린 레일과 평행하게 놓이는 강철 격자 시스템(steel grid system)이다. 다음으로, 연결부에 배치된 침목은 연결부 침목이라고 한다. 그때, 변위가능하게 매달린 연결부 침목들은 차례차례 레일을 견딘다. “비더블유지” 시스템은 연결부 침목이 지지체 상에 매달릴 뿐만 아니라, 침목 간격이 역시 연결부 또는 전단 구조물(shear construction) 각각 내에서 침목에 부착된 제어 장치를 통해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어 장치는 전단 구조물로 형성된다. 하지만, 바로 상기 전단 구조물은 실제 단점으로 증명되었다. 그래서, “비더블유” 시스템에서 전단 구조물의 파열이 있었다.
공지된 전환 구조물로는 유지보수 작업이 오직 상부로부터만 수행될 수 있고, 이는 언제나 인접 선로의 차단을 유발하는 추가적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내부에서 마모가 감소되고 유지보수와 수리 요구사항이 전체적으로 감소되며 연결부 영역에서 레일과 레일 고정구(fastenings)에 대한 하중이 추가 감쇠되는 철도 브리지의 연결부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전환 구조물과 철도 브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은 청구항 1에 따른 전환 구조물과 청구항 23에 따른 철도 브리지로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환 구조물과 철도 브리지의 적합한 개발예는 종속항에서 기술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환 구조물은 연결부를 브리징(bridging)하기 위한 적어도 두개의 변위가능하게 지지된 크로스 부재(cross members), 연결부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크로스 부재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 및 전환 구조물에서 연결부 침목의 위치를 지향하게 하기 위한(for orienting)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연결부 침목은 적어도 하나의 레일 고정구를 갖고, 이와 함께 각각의 연결부 침목은 변위가능하게 레일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크로스 부재는 임의의 단면이 직사각형 캐리어(oblong carrier)인 것으로 의미된다. 그래서, 크로스 부재로 더블 티(double T) 또는 박스-형 캐리어(box-like carriers)가 채용될 수 있다.
제어 장치로 연결부 침목 또는 크로스 부재, 각각이, 연결부에 배치되어 연결부 침목과 경계 침목 사이에서 자유공간의 매우 균일한 분포가 얻어지는 것을 확실히 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 장치는 연결부 침목 또는 연결부 침목들 각각에 배치된 레일의 지지점의 거리가 가능한 한 균일하고 어떠한 경우에도 필요한 한계치에서 지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하나 이상의 스프링 또는 전단 구조물 등은 제어 장치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크로스 부재와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 아래에 배치된다. 이것은 크로스 부재와 제어 장치가 경계 침목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에 의해서 형성된 표면 아래에 있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전환 구조물은 그것의 측단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연결부의 경계 상에서 크로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에서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부재 박스를 갖는다. 이 경우, 오직 연결부 경계 중 하나에서 각각의 크로스 부재가 지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크로스 부재는 연결부 경계 - 즉 크로스 부재 박스에서를 의미 - 에서 적합하고 견고하게 지지되거나 또는 고정된다.
대안적으로, 전환 구조물은 그것의 두개의 측단에 연결부의 경계에서 크로스 부재의 양 측단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크로스 부재 박스를 갖는다.
그때, 크로스 부재 박스 또는 크로스 부재 박스들, 각각을 통해서, 전환 구조물은 하중-제거 방식(load-removing manner)으로 연결부를 형성하는 철도 브리지의 구성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크로스 부재 박스들은 전환 구조물을 고정하고(anchor) 전환 구조물에서 크로스 부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것들은 크로스 부재를 위한 개구를 갖는 박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크로스 부재 박스들이라는 용어는 폭넓게 이해되어야 한다. 그래서, 그것들은 반드시 박스-형일 필요가 없다. 기본적으로 생각할 수 있고 -청구항들의 중심(focus)에 의해서 명확하게 포함된- 크로스 부재가 고정되거나 또는 철도 브리지 등의 구성요소에서 지지 판, 리세스(recesses)와 같은 모든 종류의 지지 표면 상에서 앞뒤로 이동될 수 있는 해결책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크로스 부재는 밖으로 미끄러지는 것에 대해서 지켜져야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접근법은 한편으로는 “비더블유지” 시스템이 갖는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을 위한 기본적인 원칙으로서 그것이 강철 격자에 고정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파괴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진 보상판을 갖는 “스토그” 시스템에 따른 독일에서의 매우 일반적인 해결책은 선택되지 않는다. 길이방향 축을 따라 높은 굽힘 강도를 갖는 강철 격자 형태로 구현된 전환 구조물은 특히 “스토그” 시스템에 따른 판 해결책(plate solution)에 비해서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훨씬 더 비틀림적으로 약하게(torsionally weak) 실현된다. 그래서, 연결부를 구성하는 건축 구성요소 사이의 더 큰 비틀림은 구조물을 손상하지 않고 유지된다(taken up). 또한, 예를 들어 부품이 단단히 결합되지 않아서 구조물 내에 래틀(rattle)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근법은 침목 위에 크로스 부재와 제어 장치를 배치하지 않고 침목 아래에 전환 구조물의 고정 포인트(크로스 부재 박스)와 함께 배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것을 발견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지금까지 비더블유지 시스템과 같이, 상부에서 개방되고 건축 구성요소에 의해서 커버되지 않는 구조물로서 제어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단지 유용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한 것을 기초로 하여 철도 브리지 구조물에 적합하다고 고려되지 않았다. 그래서, 유지보수는 단지 제어 장치 상에 외부 영향 손상에 의한 상측 개방 실시예와 함께, 단순히 상측으로부터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중-제거 요소에서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하측으로부터의 유지보수는 유지보수 작업 동안 인접 선로가 반드시 차단되지 않는 큰 이점을 갖는다.
최종적으로, 침목 하측에 크로스 부재를 배치하는 것은 침목 또는 레일 지지체, 각각으로부터의 힘이 철도 브리지의 건축 본체에 직접 인가되고 침목이나 노면의 인접한 궤도 판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인가되지 않는 매우 중요한 이점을 갖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하중이 가해진 선로 구성요소, 특히 침목 또는 노면의 궤도 판, 각각의 숫자가 감소한다. 이는 유지보수 민감도(maintenance susceptibility)와 궤도의 마모를 감소시킨다.
개발예로서, 제어 장치는 침목들 사이의 거리가 한계값, 특히 650 mm의 한계값보다 작거나 같게 유지되도록 채용된다. 그래서, 레일 지지점의 최대 거리가 초과되는 것이 방지된다.
적합하게는, 전환 구조물은 특히 장착 상태에서 철도 브리지 또는 레일 각각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구성요소 서로의 트위스팅(twistings)이 계속될 수 있도록 비틀림적으로 약하게 채용된다. 즉, 구조물은 특히 비틀림이 계속되게 채용된다. 특히, 그때 구조물은 비틀림적으로 약하게 설계되어, 그것이 구속 없이 일반적인 사용에서 발생하는 특히 최소한의 트위스팅을 계속할 수 있다.
일 개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부재는 길이방향 축에서 변화하는 바람직하게는 크로스 부재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높이를 갖는다. 즉, 그것은 중심 영역에서 특히 높은 굽힘 강도를 갖는 아래쪽이 불록한 빔(fish-bellied beam)으로서 형성된 크로스 부재이다. 그래서, 기차가 레일 위를 지나감으로써 전환 구조물에 하중이 인가될 때 전환 구조물의 굽힘은 매우 작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만약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부재 박스의 높이가 그것에 의해 유지되는(taken up) 크로스 부재의 최대 높이보다 작은 경우 그것은 적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크로스 부재 전체는 그것이 크로스 부재 박스 내로 슬라이드되도록 채용될 필요는 없다. 오히려, 본 발명에 따른 이점을 얻기 위해서, 보통 크로스 부재가 단지 부분적으로 크로스 부재 박스 내로 슬라이드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래서, 그것은 예를 들어 다수의 연결부 침목을 갖는 구조물에서 연결부 침목이 완벽하게 함께 구동될 수 없는 것이 받아들여지는 수용가능한 절충안의 목적으로 전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크로스 부재의 더 높은 강성으로 인하여 얻어지는 레일 내 응력의 감소의 관점에서의 이점이 휠씬 커서 많은 적용예에서 제한된 운동 능력이 정말로 매우 잘 용인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서 제어 장치가 일반적인 사용에서 크로스 부재 박스 상에 크로스 부재의 충격이 방지되도록 채용되는 것이 선호된다. 그래서, 이것은 크로스 부재 또는 크로스 부재 박스가 손상되지 않는 것이 보장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대응가능하게 적합한 받침대에 의해서 또는 제어 장치에 의한 제한된 운동을 통해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인 개발예에서, 전환 구조물의 크로스 부재 박스는 단지 연결부를 각각 정의하는 철도 브리지의 구성요소 내로 건축될 수 있는 높이 정도로 제작될 수 있어, 즉 그것들이 철도 브리지의 구성요소 내에서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실(seal) 상에 위치된다.
이때, 이전에 기술된 발상은 연결부 경계의 영역에서 전체 높이의 계산된 감소에 의해서 전환 구조물이 철도 브리지 구조물 등에 큰 변화 없이 건축될 수 있는 것에 따르면 훨씬 더 뚜렷해지고 상기 해결책의 특별한 이점은 - 단지 크로스 부재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해결책만으로도 - 계속해서 명백하게 뚜렷해진다. 그래서, 작은 연결부의 영역에서 레일 또는 레일 고정구 지점 각각의 하중을 지지하고 매우 내구성이 좋고 낮은 유지보수의 전환 구조물을 계속해서 얻기 위해서 건축에서 어떠한 수정도 이루어져서는 안된다.
이것은 상당한 비용을 절약한다. 한편 종래기술의 전환 구조물의 단점 때문에 철도 브리지 구조물에서 전환 구조물을 완전히 자제하는 경향이 존재한다. 그래서, 어떤 설계 기술자의 권고에 따르면 전환 구조물은 그 자체가 생략되어야 한다. 이것은 브리지를 건너며 매우 작은 휨이 발생하도록 전체적으로 훨씬 더 강하게 제작하고, 그에 따라 연결부의 영역에서 브리지 거더의 자유단에서 매우 작은 수직 운동이 발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이러한 경향을 전환할 수 있고 특히 큰 브리지에서 상당한 비용 절감을 야기하는, 정적 요구(static needs)에 대한 브리지 강성의 실현을 다시 한번 더 세밀히 채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전환 구조물은 어떠한 문제 없이 기존 다리 내에 건축될 수 있거나, 또는 브리지가 구성요소의 말단에서의 문제에 독립적으로 정적으로 유용하게 건설될 수 있다. 이것은 이미 더 나은 하중 도입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전환 건축물의 마모와 전환 구조물의 특별히 조정가능한 비틀림 강성이 종래기술에 비해서 상당히 낮다는 사실 때문이다. 더욱이, 유지보수를 위해 필요한 노력은 상당히 감소된다.
제어 장치로서 피보팅(pivoting) 크로스 부재 구조물을 이용하는 것은 특히 적합하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부재는 크로스 부재 박스 중 하나에 피봇가능하게 지지된 피보팅 크로스 부재로 형성되고, 그 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은 변위가능하게 지지될 뿐만 아니라 피보팅 크로스 부재에 대해서 회전가능할 수 있다. 제어 장치로서의 피보팅 크로스 부재 구조물의 특별한 이점은 그것이 기하학적 법칙(극선 제어) 때문에 매우 신뢰할 수 있는 작동을 하는 제어부인 점이다.
이때, 제어부는 기하학의 법칙을 기초로 한다. 이것은 특히 다수의 연결부 침목을 갖는 실시예에서 하나의 연결부 침목 각각이 다른 연결부 침목에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이것은 연결부 침목과 크로스 부재의 개별적인 조합이 실패일 때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제어 장치(종래 시스템과 상이한)는 예를 들어 스프링에 의해서 다른 연결부 침목의 직렬 연결이 아니고, 연결부의 영역에서 침목의 위치 조정에 대한 병렬 연결이다. 만약 이러한 병렬 연결을 갖으며 개별적인 고정구 지점의 깨어짐이 있으면, 다른 연결부 침목은 여전히 그것의 위치에서 조정되고 제어될 수 있다. 이것은 종래 직렬 연결(“스토그” 시스템 및 “비더블유” 시스템)로는 가능하지 않다. 만약 여기서 제어 장치의 개별적인 제어 요소의 깨어짐이 있으면, 모든 추가 연결부 침목 또는 연속적으로 부착된 판, 각각의 전체 위치를 배치하는 것은 실패한다.
더욱이, 단지 피보팅 크로스 부재 구조물로서 형성된 제어 장치는 구속 제어(constraining control)로 잘 설계될 수 있다. 이것은 훨씬 더 신뢰할 수 있는 작동을 한다. 이러한 경우에, 침목(들) 및/또는 크로스 부재는 만약 특정 구속력(constraining forces)이 구조물에서 형성된 경우에만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클램프 등의 형태로 크로스 부재에 침목(등)의 고정을 실현함으로써, 특별히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크로스 부재의 지지는 이러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만약 특정 구속이 크램핑 또는 지지력을 극복하는 구조물에서 설정된다면 구조물은 원하는 방법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만약 그때 구속이 특정 양의 운동에 의해서 완화되는 경우 운동은 그것 자체로 끝난다.
이때, 만약 피보팅 크로스 부재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레일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어 크로스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 아래 배치되는 것이 특히 적합하다. 이것은 연결부 침목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하중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제어와 하중 제거가 서로 분리되어 수행되고 구조물의 원하는 동작이 명확히 설정되기 때문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최대한 선로로부터의 수직 하중 제거로부터 제어 크로스 부재를 분리하기 위해서, 만약 제어 크로스 부재가 갭(gap)을 개재함으로써 전단 저항 방식(shear resistant manner)으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에 연결되는 경우 그것이, 가능하다면, 연결부 침목 또는 연결부 침목들 각각으로부터 수직 압축 하중을 받지 않는 것이 적합하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은 인장 브래킷(tensile bracket)에 의해서 제어 크로스 부재에 부착될 수 있어 연결부 침목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크로스 부재에 대해 받쳐진다. 이러한 방식에서, 전환 구조물은 건축물에 존재하는 변위와 트위스팅에 대해서 즉 연결부 경계의 영역에서 연결부 침목 또는 확장 침목 각각에 레일 고정구 지점에서 인장력이 방지되고 허용값 이하로 각각 지지될 수 있도록 채용될 수 있다.
크로스 부재가 크로스 부재 박스에 배치된 구형 베어링에 의해서 지지된다면 바람직하다. 그래서, 운동의 큰 자유도가 주어진다. 이때, 그것들은 또한 크로스 부재의 하중 입력점을 의미하는 전환 구조물의 측면 경계에서 특히 높고 특별히 수직인 강성을 생성하기 위해서 특히 견고한 칼롯 베어링(rigid calotte bearings)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전체 전환 구조물이 상당히 적게 변형되고, 그에 따라 종래기술과 비교해서 레일 고정구 지점 내로 인장력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이때, 구형 베어링 자체는 만약 상기 영역에서 크로스 부재가 변위가능하게 지지되면 슬라이드 베어링(slide bearings)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개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은 크로스 부재 중 오직 하나에서, 바람직하게는 피봇팅 크로스 부재 구조물의 제어 크로스 부재에서 그것의 위치에서 회전가능하지만, 변위불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그것은 만약 이와 같이 고정된 연결부 침목이 연결부의 중심에 배치되는 경우 특히 적합하다. 그래서, 연결부 침목(들)의 운동은 전환 구조물에서 대칭적으로 분산될 수 있고, 연결부 침목은 그것에 부착된 크로스 부재와 함께 연결부에서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연결부 침목은 크로스 부재 중 하나에서, 바람직하게는 피봇팅 크로스 부재 구조물의 제어 크로스 부재에서 그것의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고 변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어 크로스 부재에 변위불가능하게 지지된 연결부 침목에 추가하여, 이것은 연결부의 개폐 운동을 고려하여 그때 크로스 부재에서 앞뒤로 변위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결부 침목일 수 있다.
추가적인 개발예에서, 전환 구조물은 두 개의 레일을 지지한다. 이때, 적합하게는 두 개의 피봇팅 크로스 부재가 전환 구조물에 배치되어 장착 상태에서 그것들은 각각의 레일 아래 연결부의 중심에 배치되고 전환 구조물의 길이방향 축에 비스듬히 대향한다. 평면도에서 피봇팅 크로스 부재는 연결부의 중심에서 레일과 교차하는 것과 같이 이루어진다. 만약 그때 연결부의 중심에 배치된 연결부 침목 역시 피봇팅 크로스 부재 구조물에 변위불가능하게 지지된다면, 이러한 설계에 의해서 전환 구조물에서 크로스 부재의 운동의 대칭적 분산이 생성될 수 있다. 즉, 그것은 자기-센터링(self-centering) 전환 구조물이다.
적합하게는 그때 두 개의 피봇팅 크로스 부재 사이에 전환 구조물의 길이방향 축으로 연장된 제어 크로스 부재가 배치된다. 제어 크로스 부재는 전환 구조물 내에서 레일에 평행하게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그것은 그 내부에 부착된 연결부 침목과 함께 피봇팅 크로스 부재의 운동시 연결부 침목들 사이의 동일한 연결 거리를 조정하고 그것들 역시 측으로 변위하지 않는 것을 보증한다.
추가적인 개발예에서, 전환 구조물은 적어도 두 개의 짝수의 연결부 침목을 갖는다. 연결부의 중심에 인접한 이러한 연결부 침목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부재에 변위불가능하게 부착되어야 하고, 나머지 연결부 침목(들)은 크로스 부재(5, 6, 7)에 크로스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부착된다.
대안적으로, 전환 구조물은 적어도 세 개의 홀수의 연결부 침목을 갖는다. 이러한 연결부 침목 중 적어도 하나는 크로스 부재의 중심 또는 연결부 갭의 중심에 배치되어야 하고 거기서 크로스 부재에 변위불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때, 나머지 연결부 침목은 크로스 부재에 크로스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래서, 연결부 갭 내에서 중심이 있는(centered) 폐쇄 및 개방 운동이 보장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경계 침목은 적어도 하나의 레일 고정구를 차례로 갖는 연결부의 각각의 측면의 크로스 부재 박스 또는 크로스 부재 박스들에 변위불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내부에서 레일이 경계 침목에 대해서 레일의 길이방향 축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것은 경계 침목이 전환 구조물 내에 이미 통합될 수 있고 또한 대응하는 실링(sealing) 요소가 경계 침목과 연결부 침목 사이 또는 연결부 침목들 서로의 사이에 포함될 수 있어 전체 전환 구조물 역시 밀봉되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크로스 부재 및/또는 각각의 연결부 침목은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elastomer)로 만들어진 스프링 몸체를 개재함으로써 단지 약한 구속만으로 각각의 고정구 및/또는 베어링 지점에서 서로 연결되는 이점이 있다. 그래서, 전환 구조물의 전체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비틀림에 대하여 단지 약한 구속만을 갖고 계획되지 않거나 또는 예상하지 못한 하중이 가해질 때 뛰어난 안전 완충장치(buffer)를 갖는 구조물로 설계될 수 있다.
추가적인 개발예에서, 연결부를 밀봉하기 위한 유연한 실링 프로파일(sealing profiles)이 침목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래서, 판(plate)과 같이 연결부 갭의 유사하게 높은 밀봉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실링 프로파일은 방음 역할도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그것은 전환 구조물이 철도 브리지 내로 일체로 설치될 수 있는 완전히 장착된 조립체로 실현되면 적절하다. 이는 전체 구조물의 설치를 단순화한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전환 구조물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전환 구조물이 제공된 철도 브리지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서로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두 개의 구성요소 사이에 연결부를 갖고, 연결부 상에 적어도 하나의 레일과 본 발명에 따른 전환 구조물을 포함하는 선로가 배치된다. 이때, 전환 구조물의 크로스 부재 박스는 브리지의 건축 구성요소 부착되고 바람직하게는 그 내에 삽입된다. 즉, 예를 들어 전환 구조물에 의한 침목 또는 노면과 같은 선로 본체의 부품(parts)에 구조적으로 하중을 가하지 않기 위해서 전환 구조물에 의해서 제공될 힘의 직접적인 하중 입력이 브리지 구성요소 내에 있다. 이는 선로 구성요소에서 마모를 감소시키고, 더욱이 전환 구조물 자체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에 해당한다.
추가적인 개발예에서, 전환 구조물에서 유지보수 및/또는 수리 작업이 하측으로부터 수행될 수 있는 만큼 크게 설계된 전환 구조물에 의해서 브리지될(bridged) 연결부의 영역에서 철도 브리지는 유지보수 덕트(duct)를 갖는다. 그래서, 인접 선로와 바람직하게는 전환 구조물에 의해서 지지된 선로의 차단이 방지된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브리지가 상당히 쉽게 유지될 수 있는 결과를 낳고 단지 하나 이상의 선로의 의해서 가로질러지는 브리지의 경우, 철도 교통에 상당히 작은 혼란을 낳는다.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에서 전환 구조물의 굽힘 강도는 그것들의 사용 상태에서 연결부를 형성하는 철도 브리지의 구성요소를 트위스팅할 때 연결부 침목(들) 및/또는 경계 침목들의 레일 고정구 지점에서 관련 높이 상쇄로 인하여 20kN보다 큰 인장력이 설정되지 않도록 매우 높게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환 구조물의 강성은 특히 레일 고정구 지점에서 원하는 최대힘이 초과되지 않도록 조정된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이때, 예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환 구조물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환 구조물의 단면 A-A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환 구조물의 단면 B-B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환 구조물의 단면 C-C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환 구조물의 단면 D-D를 도시하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환 구조물의 단면 E-E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환 구조물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환 구조물의 단면 A-A를 도시하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전환 구조물의 단면 B-B를 도시하고;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전환 구조물의 단면 C-C를 도시하고;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전환 구조물의 단면 D-D를 도시하고;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전환 구조물의 단면 E-E를 도시하고; 및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전환 구조물의 단면 F-F를 도시하고;
도 14는 연결부 침목의 가장 좁은 가능한 수축 위치에서 도 7에 도시된 전환 구조물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5는 수축 위치에서 도 14에 도시된 전환 구조물의 단면 D-D를 도시하고;
도 16은 가장 큰 가능한 추출(extracted) 위치에서 도 7 및 도 14 각각 도시된 전환 구조물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7은 가장 큰 가능한 추출 위치에서 도 16에 도시된 전환 구조물의 단면 D-D를 도시하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브리지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및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철도 브리지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때, 도 1은 철도 브리지(4)의 연결부(3)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레일(2)을 지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환 구조물(1)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때,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환 구조물의 예시는 세 개의 변위가능하게 지지된 크로스 부재(5, 6, 7)를 포함한다. 이때 양 예시에서, 연결부(3)에서 중심에 배치된 침목(8)은 세 개의 크로스 부재(5, 6, 7)에 부착되고, 이후 침목(8)은 연결부(3)에서의 그것의 배치 때문에 연결부 침목이라고 한다.
제1 실시예와 달리,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환 구조물의 제2 실시예에서 오직 하나의 연결부 침목(8)이 배치되지 않고, 이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모두 크로스 부재(5, 6, 7)에 부착되는 세 개의 연결부 침목(8, 9, 10)을 포함한다.
연결부 침목에 인접한 연결부(3)의 경계에서 경계 침목(11, 12)은 변위불가능하게 배치된다.
모든 침목(8, 9, 10, 11, 12)는 그것들 각각이 갖는 레일 고정구(13)를 공동으로 갖고, 레일 고정구(13)와 함께 각각의 침목(8, 9, 10, 11, 12)이 레일(2)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예시에서, 피봇팅 크로스 부재 구조물은 제어 장치(14)로 사용되어 말단에서 크로스 부재(5, 6, 7)는 제어 장치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로스 부재 뿐만 아니라, 제어 장치도 연결부 침목(8, 9, 10) 하측에 배치된다. 이것은 피봇팅 크로스 부재 구조물 또는 다른 유형의 제어 장치, 예를 들어 스프링 또는 전단 구조물인지 여부에 의존하지 않는다.
더욱이, 여기에 도시된 예시는 전체적으로 네 개의 크로스 부재 박스를 갖는다. 이때, 좌측에 세 개의 크로스 부재 박스(15, 16, 17)가 배치되고, 그 내부에 크로스 부재(5, 6, 7)의 좌측 말단이 지지된다. 반대측에 공통 크로스 부재 박스(18)가 배치되고, 이것은 세 개의 크로스 부재(5, 6, 7)의 세 개의 우측 말단을 수용하고, 그 내부에 상기 말단이 지지된다.
도면에서 좌측에 배치된 크로스 부재 박스(15, 16, 17)는 좌측 브리지 구성요소(21) 또는 우측 브리지 구성요소(22) 각각에서 고정될(anchored) 수 있는 조립체 내에서 또는 고정용 다리(20, anchoring legs)에 의해서 굳어진(concreted) 현재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트 금속 피스(19)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서, 여기 브리지 구성요소(20, 21) 각각은 단지 약술한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두 개의 실시예는 피봇팅 크로스 부재 구조물 형태의 제어 장치(14)이다. 이때, 크로스 부재(6, 7)는 크로스 부재 박스(16, 17, 18)에서 피봇가능하게 지지된 피봇팅 크로스 부재로 형성된다. 이때, 크로스 부재(5)는 특히 도 7의 실시예에서 피봇팅 크로스 부재(6, 7)의 피봇팅시 그 위에 변위가능하게 지지된 연결부 침목(9, 10)이 크로스 부재(5, 6, 7) 상에서 그것들의 간격에서 단방향으로(unidirectionally) 변위될 수 있는 것과 좌로 또는 우로 이동하며 기울어지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제어 크로스 부재 역할을 한다.
여기 도시된 양 실시예에서, 연결부 침목(8, 9, 10) 각각은 인장 브래킷(23)에 의해서 제어 크로스 부재(5)에 부착되어 장착 상태에서 몇 밀리미터 높이의 갭이 크로스 부재(5)와 각각의 연결부 침목(8, 9, 10) 사이에 존재한다. 따라서, 제어 크로스 부재(5)는 연결부 침목(8, 9, 10)으로부터 압축 하중을 유지하지 않고, 단지 침목들(8, 9, 10, 11, 21) 사이에 거리가 균일하게 조정되는 관점에서 장치의 제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피봇팅 크로스 부재로 형성된 두 개의 측면 크로스 부재(6, 7)는 수직 하중 제거(vertical load removal)를 인계받는다. 그것들은 연결부 침목(8, 9, 10)과 두 개의 경계 침목(11, 12)에 피봇 핀(pivot pins)을 통해서 피봇팅가능하게 연결된다.
크로스 부재 박스(15, 16, 17, 18)의 영역에서, 크로스 부재(5, 6, 7)은 견고한 강철 설계의 구형 베어링(24)을 통해서 부착된다. 상기 구형 베어링(24)은 그것들이 현저하게 견고하여 경계 침목(11, 12)에서 단지 작은 변형만 있는 이점을 갖는다.
전환 구조물(1)을 조립하기 위해서, 전체적으로 가능하다면 구속 없이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진 스프링 몸체(25)가 크로스 부재의 모든 고정구 지점과 크로스 부재(5, 6, 7)와 연결부 침목(8, 9, 10)에 배치된다.
전체 전환 구조물(1)을 밀봉하기 위해서 유연한 실링 요소(26)는 이동가능한 연결부 침목(8, 9, 10)과 경계 침목(11, 12) 각각에 부착된다.
도 14 및 도 15의 도면으로부터 명백하듯이 연결부 침목(8, 9, 10) 사이의 거리는 제어 크로스 부재(5)를 통해서 조정되어 그것들은 전환 구조물이 그것의 가장 좁은 수축 위치가 되어도, 그때 제어 크로스 부재(5)가 크로스 부재 박스(15, 18) 각각의 경계에 달려있기 때문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크로스 부재(5)에 의해서 인접한 경계 침목(11, 12)뿐만 아니라 연결부 침목(8, 9, 10) 사이에 개방량의 제한을 낳는다.
대조적으로, 도 16 및 도 17의 도면으로부터 제어 크로스 부재(5)에 의해서 전환 구조물(1)의 최대 가능한 개방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이 명백해진다. 이때, 제어 크로스 부재(5)의 운동은 크로스 부재(5)의 말단에서 단부 멈춤부(28, end stops)를 통해서 제한된다. 단부 멈춤부(28)를 갖는 크로스 부재(5)는 크로스 부재가 그것의 베어링(24) 밖으로 미끄러지지 않는 것을 보증하도록 베어링(24)을 친다. 또한, 연결부 침목(8, 9)은 운동을 가이드하는 크로스 부재(5)에 직사각형 리세스(30, oblong recesses)의 중심 단부 멈춤부(29, central end stops)에 대하여 제어 크로스 부재(5) 상에서 슬라이드한다.
도 14 내지 도 17의 도면으로부터 매우 명백하듯이 연결부(3)의 운동은 전환 구조물(1)에 의해서 대칭적으로 유지되어 크로스 부재(5, 6, 7)와 또한 연결부 침목(8, 9, 10)은 연결부(3)에 대해서 균일하게 이동한다.
최종적으로, 도 18에 브리지 거더(31)와 받침대(32, 33) 각각을 갖는 철도 브리지(4)가 도시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전환 구조물(1)은 브리지 거더(31)와 각각의 받침대(32, 33) 각각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부(3)의 영역에서 레일(2)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환 구조물(1)에 의해서 지지된다.
1: 전환 구조물
2: 레일
3: 연결부
4: 철도 브리지
5: 크로스 부재
6: 크로스 부재
7: 크로스 부재
8: 연결부 침목(중심)
9: 연결부 침목(좌측)
10: 연결부 침목(우측)
11: 좌측 경계 침목
12: 우측 경계 침목
13: 레일 고정구
14: 제어 장치
15: 크로스 부재 박스
16: 크로스 부재 박스
17: 크로스 부재 박스
18: 크로스 부재 박스
19: 연결 시트
20: 고정용 다리
21: 좌측 연결부 경계를 갖는 좌측 브리지 구성요소
22: 우측 연결부 경계를 갖는 우측 브리지 구성요소
23: 인장 브라켓
24: 구형 베어링
25: 스프링 몸체
26: 실링 요소
27: 커버 시트
28: 크로스 부재 상의 단부 멈춤부
29: 크로스 부재 상의 중심 멈춤부
30: 크로스 부재 또는 침목 각각을 가이드하기 위한 리세스
31: 브리지 거더
32: 좌측 받침대
33: 우측 받침대

Claims (25)

  1. 철도 브리지(4)의 연결부(3)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레일(2)을 지지하기 위한 전환 구조물(1)로서, 적어도 두 개의 변위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로스 부재(5, 6, 7), 상기 연결부(3)의 영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2)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크로스 부재(5, 6, 7)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8), 및 상기 전환 구조물(1)에서 상기 연결부 침목(8)의 위치를 지향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14)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8)은 상기 연결부 침목(8)이 상기 레일(2)에 변위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레일 고정구(13)를 포함하는 전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5, 6, 7)와 상기 제어 장치(1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8)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환 구조물(1)은 그것의 측단에서 상기 크로스 부재(5, 6, 7)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부재 박스(15, 16, 17, 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4)는 상기 침목들(8, 9, 10, 11, 12) 사이에 거리가 한계값, 특히 650 mm의 한계값보다 작거나 같게 유지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환 구조물은 특히 구속 없이 장착 상태에서 상기 철도 브리지(4) 또는 상기 레일(2) 각각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건축 구성요소(21, 22) 서로의 트위스팅이 유지될 수 있도록 특히 비틀림적으로 약하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부재(6, 7)는 길이방향으로 변화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로스 부재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부재 박스(16, 17, 18)의 높이는 그것에 의해서 유지되는 상기 크로스 부재(6, 7)의 최대 높이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14)는 일반적인 사용에서 상기 크로스 부재 박스(16, 17, 18) 상에서 상기 크로스 부재(6, 7)의 충격이 방지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 박스(15, 16, 17, 18)은 단지 그것들이 상기 철도 브리지(4)의 상기 구성요소(21, 22)에서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실(seal) 상에 연결부(3)를 정의하는 각각의 구성요소(21, 22) 내에 설치될 수 있는 높이 정도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4)는 피봇팅 크로스 부재 구조물로 형성되고, 차례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부재(6, 7)가 상기 크로스 부재 박스(16, 17, 18) 중 하나에 피봇가능하게 지지된 피봇팅 크로스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8, 9, 10)이 상기 피봇팅 크로스 부재(6, 7)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봇팅 크로스 부재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4)는 피봇팅 크로스 부재 구조물로 형성되고, 차례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부재(6, 7)가 상기 크로스 부재 박스(16, 17, 18) 중 하나에 피봇가능하게 지지된 피봇팅 크로스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8, 9, 10)이 상기 피봇팅 크로스 부재(6, 7)에 대해서 변위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봇팅 크로스 부재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피봇팅 크로스 부재(6, 7)에 더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2)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어 크로스 부재(5)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8, 9, 10)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 침목(들)(8, 9, 10)의 위치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 크로스 부재(5)는 갭을 개재함으로써 전단 저항 방식(shear resistant manner)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8, 9, 10)에 연결되어, 그것은 가능하다면 상기 연결부 침목(들)(8, 9, 10)로부터 수직 압축 하중을 유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8, 9, 10)은 인장 브래킷(23, tensile bracket)에 의해서 상기 제어 크로스 부재(5)에 부착되어, 상기 연결부 침목(8, 9, 10)은 상기 제어 크로스 부재(5)에 대해 받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5, 6, 7)은 상기 크로스 부재 박스(15, 16, 17, 18)에 배치된 구형 베어링(24), 특히 칼롯 베어링(calotte bearings)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8)은 일반적인 사용에서 상기 크로스 부재들(5, 6, 7) 중의 오직 하나, 바람직하게는 피봇팅 크로스 부재 구조물의 상기 제어 크로스 부재(5) 상에서의 그것의 위치에서 회전가능하지만, 변위불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연결부 침목(9, 10)은 일반적인 사용에서 상기 크로스 부재들(5, 6, 7) 중의 하나, 바람직하게는 피봇팅 크로스 부재 구조물의 상기 제어 크로스 부재(5) 상에서의 그것의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고 변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구조물은 두 개의 레일(2)을 지지하고, 두 개의 피봇팅 크로스 부재(6, 7)는 상기 전환 구조물(1)에 배치되어 장착 상태에서 그것들은 상기 각각의 레일(2)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전환 구조물(1)의 길이방향 축에 비스듬히 대향하며, 즉 평면도에서 상기 피봇팅 크로스 부재(6, 7)는 상기 연결부(3)의 중심 가까이에서 상기 레일(2)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피봇팅 크로스 부재(6, 7) 사이에 상기 전환 구조물(1)의 길이방향 축으로 연장된 제어 크로스 부재(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에 있어서,
    그것은 적어도 두 개의 짝수의 연결부 침목(8, 9)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중심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부 침목(8)은 상기 크로스 부재 상에 배치되고 거기에 변위불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나머지 연결부 침목(들)(9)은 상기 크로스 부재(5, 6, 7)에 상기 크로스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것은 적어도 세 개의 홀수의 연결부 침목(8, 9, 10)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침목(8)은 크로스 부재(5)의 중심 또는 상기 연결부의 중심에 각각 배치되고, 거기에 변위불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나머지 연결부 침목들(9, 10)은 상기 크로스 부재(5, 6, 7)에 상기 크로스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계 침목(11, 12)은 그 내부에서 상기 레일(2)이 상기 경계 침목(11, 12)에 대해서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 축으로 변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 고정구(13)를 차례로 포함하는 상기 연결부의 각각의 측면의 상기 크로스 부재 박스(18) 및/또는 상기 크로스 부재 박스들(15, 16, 17) 상에 변위불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5, 6, 7) 및/또는 상기 연결부 침목(8, 9, 10)은 바람직하게는 탄성중합체(elastomer)로 만들어진 스프링 몸체(25)를 개재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고정구 및/또는 베어링 지점에서 단지 낮은 구속만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2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를 밀봉하기 위한 유연한 실링 프로파일(26, sealing profiles)이 상기 침목들(8, 9, 10, 11, 1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2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구조물(1)은 상기 철도 브리지(4) 내로 일체로 설치될 수 있는 완전히 장착된 조립체로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구조물.
  23. 서로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두 개의 구성요소(21, 22) 사이에 연결부(3)를 갖고, 상기 연결부(3) 위에 적어도 하나의 레일(2)을 포함하는 선로가 배치되는 철도 브리지(4)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환 구조물(1)은 상기 연결부(3)의 영역에서 상기 철도 브리지(4)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환 구조물(1)의 상기 크로스 부재 박스(15, 16, 17, 18)는 상기 연결부(3)를 구성하고 바람직하게는 그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브리지(4)의 건축 구성요소(21, 22, 및 31, 32, 33 각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브리지.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전환 구조물(1)에서 유지보수 및/또는 수리 작업이 인접 선로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환 구조물(1)에 의해서 지지되는 상기 선로의 차단 없이 하측으로부터 수행될 수 있을 만큼 크게 설계된 상기 전환 구조물(1)에 의해서 브리지될(bridged) 상기 연결부(2)의 영역에서 상기 철도 브리지(4)는 유지보수 덕트(duct)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브리지.
  25.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길이방향에서 상기 전환 구조물(1)의 굽힘 강도가 높게 설계되어 상기 연결부(3)을 형성하는 상기 철도 브리지(4)의 상기 구성요소(21, 22, 및 31, 32, 33)를 그것들의 사용 상태에서 트위스팅 및/또는 변위시킬 때 상기 연결부 침목(8, 9, 10) 및/또는 경계 침목(11, 12)의 상기 레일 고정구 지점에서의 관련 높이 상쇄(off-set)로 인하여 20kN보다 큰 인장력이 설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브리지.
KR1020157031144A 2013-03-28 2014-03-28 전환 구조물 및 이러한 전환 구조물을 갖는 철도 브리지 KR102237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05573.0 2013-03-28
DE102013205573.0A DE102013205573A1 (de) 2013-03-28 2013-03-28 Übergangskonstruktion und Eisenbahnbrücke mit einer solchen Übergangskonstruktion
PCT/EP2014/056252 WO2014154850A1 (de) 2013-03-28 2014-03-28 Übergangskonstruktion und eisenbahnbrücke mit einer solchen übergangskonstruk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557A true KR20150139557A (ko) 2015-12-11
KR102237564B1 KR102237564B1 (ko) 2021-04-08

Family

ID=5039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144A KR102237564B1 (ko) 2013-03-28 2014-03-28 전환 구조물 및 이러한 전환 구조물을 갖는 철도 브리지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EP (1) EP2978897B1 (ko)
JP (1) JP6074541B2 (ko)
KR (1) KR102237564B1 (ko)
CY (1) CY1121103T1 (ko)
DE (1) DE102013205573A1 (ko)
DK (1) DK2978897T3 (ko)
ES (1) ES2703949T3 (ko)
HR (1) HRP20182157T1 (ko)
LT (1) LT2978897T (ko)
MX (1) MX2015013726A (ko)
PL (1) PL2978897T3 (ko)
PT (1) PT2978897T (ko)
RS (1) RS58288B1 (ko)
RU (1) RU2643115C2 (ko)
SI (1) SI2978897T1 (ko)
TR (1) TR201819527T4 (ko)
UA (1) UA116647C2 (ko)
WO (1) WO2014154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0419A1 (de) * 2015-01-14 2016-07-14 Maurer Söhne Engineering GmbH & Co. KG Überbrückungsvorrichtung für eine bewegliche Brücke und bewegliche Brücke mit einer solchen Überbrückungsvorrichtung
CN107201715A (zh) * 2017-06-30 2017-09-26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高墩大跨混凝土连续梁桥的横向刚度控制方法及桥梁
CN109930437B (zh) * 2019-03-18 2023-12-19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跨座式单轨区间道岔梁接车站的过渡系统
DE102020201076B3 (de) * 2020-01-29 2021-05-20 Maurer Engineering Gmbh Übergangskonstruktion zur Überbrückung einer Bauwerksfuge
CN111733694B (zh) * 2020-07-03 2022-04-05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铁道建筑研究所 大跨度铁路钢桥的梁轨一体化伸缩装置及其设计方法
DE102021205982A1 (de) 2021-06-11 2022-12-15 Maurer Engineering Gmbh Überbrückungskonstruktion zur Abstützung wenigstens einer Fahrschiene einer Eisenbahn-Fahrbahn im Bereich einer Bauwerksfuge und Eisenbahnbauwerk mit einer solchen Überbrückungskonstruk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14765Y (zh) * 2008-06-04 2009-04-01 中国铁道科学研究院铁道建筑研究所 用于铁路桥梁梁端大位移的伸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8123B1 (ko) * 1970-06-30 1976-10-20
DE3474325D1 (en) * 1984-06-08 1988-11-03 Maurer Friedrich Soehne Bridging device for expansion joints in bridges or the like
JPS61159404U (ko) * 1985-03-27 1986-10-02
DE59102265D1 (de) * 1991-04-29 1994-08-25 Maurer Friedrich Soehne Überbrückungsvorrichtung für Dehnungsfugen in Brücken oder dergleichen.
DE4239878A1 (de) 1992-11-27 1994-06-01 Butzbacher Weichenbau Gmbh Unterstützung für eine Schiene
ES2111280T3 (es) * 1993-09-13 1998-03-01 Vae Ag Instalacion para la union de carriles afianzados en un armazon.
DE19711148A1 (de) * 1997-03-18 1998-09-24 Butzbacher Weichenbau Gmbh Unterstützung für Schienenabschnitte im Bereich einer Bauwerkfuge
DE19806566C5 (de) * 1998-02-17 2007-04-05 Stog, Arnulf Ausgleichplatte für Eisenbahnbrücken
DE10030448B4 (de) * 2000-06-21 2005-04-21 Stog, Arnulf Übergangskonstruktion für Gleise von Eisenbahnbrücken
RU19539U1 (ru) * 2001-01-26 2001-09-10 Дренски Николай Иванов Сборное железобетонное покрытие рельсовых путей (варианты)
CA2423578C (en) * 2002-04-02 2010-02-16 Mbt Holding Ag Expansion joint system for accommodation of large movement in multiple directions
JP2003328307A (ja) * 2002-05-16 2003-11-19 Nitta Ind Corp 橋梁用伸縮装置
CA2486422C (en) * 2003-10-31 2011-02-22 Watson Bowman Acme Corporation Expansion joint system including damping mea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14765Y (zh) * 2008-06-04 2009-04-01 中国铁道科学研究院铁道建筑研究所 用于铁路桥梁梁端大位移的伸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1819527T4 (tr) 2019-01-21
DK2978897T3 (en) 2019-01-28
WO2014154850A1 (de) 2014-10-02
RU2643115C2 (ru) 2018-01-30
RU2015142446A (ru) 2017-05-03
JP6074541B2 (ja) 2017-02-01
MX2015013726A (es) 2016-08-11
SI2978897T1 (sl) 2019-02-28
LT2978897T (lt) 2019-02-11
HRP20182157T1 (hr) 2019-02-22
DE102013205573A1 (de) 2014-10-02
ES2703949T3 (es) 2019-03-13
KR102237564B1 (ko) 2021-04-08
CY1121103T1 (el) 2019-12-11
EP2978897A1 (de) 2016-02-03
JP2016514775A (ja) 2016-05-23
PL2978897T3 (pl) 2019-04-30
UA116647C2 (uk) 2018-04-25
PT2978897T (pt) 2019-01-29
EP2978897B1 (de) 2018-10-17
RS58288B1 (sr)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7564B1 (ko) 전환 구조물 및 이러한 전환 구조물을 갖는 철도 브리지
JP6188814B2 (ja) 伸縮継手架橋装置
BR112015001139B1 (pt) sistema de fixação de trilhos para regiões de transição
DE19806566C2 (de) Ausgleichplatte für Eisenbahnbrücken
US20050166786A1 (en) Method for precisely placing a guideway support, and guideway
KR100986696B1 (ko) 교량의 교축방향으로 2단의 변위제어기능을 갖는 교좌장치
KR101399839B1 (ko) 철도교량 단부 횡단 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N109024106B (zh) 中低速磁浮桥梁大位移伸缩装置的纵梁滑动装置
CN109024107B (zh) 中低速磁浮轨道梁大位移伸缩装置
CN100489194C (zh) 用于磁悬浮列车的行车路轨
EP1167625B1 (de) Übergangskonstruktion für Gleise von Eisenbahnbrücken
KR101975259B1 (ko) 교량의 비지지점 신축이음장치
CN109024105B (zh) 中低速磁浮桥梁大位移伸缩装置的铰接横向移动装置
CN103306197B (zh) 一种单元式抗挠变多向变位梳齿型桥梁伸缩装置
US11492763B2 (en) Tension clamp and fastening point for the fastening of a rail to the ground
KR101317464B1 (ko) 교량용 슬라이딩 탄성받침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받침방법
CN109024110B (zh) 中低速磁浮桥梁大位移伸缩装置的x形连杆装置
JP2016211238A (ja) 桁たわみ低減装置
KR20210041813A (ko) 거더 조인트
CN102182119A (zh) 一种铁路无砟轨道跨越线下结构缝结构
DE19861397B4 (de) Ausgleichskonstruktion
KR20120074970A (ko) 부반력 제어구조가 구비된 철도교량용 탄성받침
CN103603237A (zh) 一种浮置式道床道岔
JP3819875B2 (ja) 軌道の支持構造
KR20240019355A (ko) 시공 이음부 영역에서 선로 트랙의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지지하는 가교 구조 및 이러한 가교 구조를 포함하는 선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