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754B1 - 휴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754B1
KR100713754B1 KR1020057008155A KR20057008155A KR100713754B1 KR 100713754 B1 KR100713754 B1 KR 100713754B1 KR 1020057008155 A KR1020057008155 A KR 1020057008155A KR 20057008155 A KR20057008155 A KR 20057008155A KR 100713754 B1 KR100713754 B1 KR 100713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content
portable communication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6024A (ko
Inventor
오사무 기꾸찌
마꼬또 혼다
다이와 사사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50046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휴대 통신 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콘텐츠를 배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콘텐츠 배신 방법은 콘텐츠 내에 콘텐츠를 열람하기 위해 사전에 등록된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응한 메시지를 삽입하는 단계와, 메시지가 삽입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에 배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휴대 통신 단말기, 정보 서비스, 콘텐츠, 일루미네이션, 바이브레이터, 뷰어 프로그램, 애니메이션 배신 업자, 콘텐츠 배신 업자

Description

휴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SERVICE USING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3에서의 CPU의 바이브레이션 제어 및 일루미네이션 제어에 관한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동화상 콘텐츠 서비스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애니메이션 편집 화면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의 (a)∼도 7의 (e)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동화상 콘텐츠 편집 처리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휴대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서의 동화상 콘텐츠의 다운로드 및 재생에 관한 제1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휴대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서의 동화상 콘텐츠의 다운로드 및 재생에 관한 제2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휴대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서의 동화상 콘텐츠의 다운로드 및 재생에 관한 제3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휴대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서의 동화상 콘텐츠의 다운로드 및 재생에 관한 제4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휴대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서의 동화상 콘텐츠의 다운로드 및 재생에 관한 제5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휴대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서의 동화상 콘텐츠의 재생에 관한 제1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휴대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서의 동화상 콘텐츠의 재생에 관한 제2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5a 및 도 15b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동화상 콘텐츠 재생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a 및 도 16b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동화상 콘텐츠 재생 화면의 문자 표시 영역에서의 표시 내용의 전환에 관한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동화상 콘텐츠 서비스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의 동화상 콘텐츠 서비스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서비스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의 (a)∼도 22의 (c)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수신 메시지 화면과 그에 수반하여 발생되는 바이브레이션 및 일루미네이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전자 메일 서버에서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제6 실시 형태에서 휴대 통신 단말기 내의 메모리 상에 구성되는 테이블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제6 실시 형태에서 휴대 통신 단말기 내의 메모리 상에 구성되는 테이블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제6 실시 형태에서 휴대 통신 단말기 내의 메모리 상에 구성되는 테이블의 제3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제6 실시 형태에서 휴대 통신 단말기 내의 메모리 상에 구성되는 테이블의 제4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수신 화면 상의 화상과 그것에 따라 발생되는 음성 메시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휴대 통신 단말기
2: 캐리어 통신망
3: 인터넷
5: 애니메이션 배신 서버
7: 콘텐츠 배신 서버
본 발명은, 휴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동화상과, 정지 화상 등의 화상 콘텐츠와, 오디오 콘텐츠와 그 밖의 정보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분야에서는, W-CDMA(Wide 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로 대표되는 고속·대용량 통신 방식의 채용이 가까운 장래에 예정되어 있다. 이러한 고속·대용량 통신 방식의 채용에 따라, 휴대 전화기와 같은 휴대 통신 단말기, 특히 현재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에 대해서도, 한층 더 고기능화가 진행한다고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현재의 통신 방식으로서는 실현 곤란한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화상,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화상과 같은 동화상 콘텐츠, 혹은 고정밀의 사진이나 회화(繪畵)의 정지 화상 콘텐츠, 및 고품질의 음악 등 오디오 콘텐츠의 수신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되리라 예상하고 있다.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화상 콘텐츠나 오디오 콘텐츠를 수신하는 경우에 문제가 되는 것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이 작고, 단말기에 탑재하는 스피커가 작아 대음량이 나오지 않는 등의 이유로부터, 영상·음성 모두 박력이나 현장감이 부족하다고 하는 점이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기는 퍼스널 컴퓨터에 비하여 간편하고, 이용자의 수도 금후 점점 더 증대되리라 예상되지만, 이러한 특징을 충분히 활용한 콘텐츠의 서비스 수법에 대한 검토도, 아직 불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속·대용량의 통신 방식에 대응한 휴대 통신 단말기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화상이나 음성의 콘텐츠 및 그 밖의 서비스 정보에 관한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제1 목적은,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바이브레이션이나 일루미네이션을 수반한 콘텐츠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2 목적은, 콘텐츠 제공측으로 휴대 통신 단말기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송신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효과적인 서비스를 실현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3 목적은, 휴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원작이 되는 스토리 내지는 콘텐츠 그 자체의 제공을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모집하여, 콘테스트를 행하여 유망한 신인을 육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4 목적은, 휴대 정보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가 신청한 도박, 주식 혹은 현상 모집 등의 결과에 관한 서비스 정보를 바이브레 이션이나 일루미네이션을 수반하여 효과적으로 수취할 수 있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5 목적은,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가고 싶은 서비스 시설에 사용자가 근접한 것을 바이브레이션이나 일루미네이션을 수반하여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6 목적은,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다양한 서비스 정보의 수신, 전자 메일 메시지 혹은 전화의 수신을 바이브레이션이나 일루미네이션을 수반하여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7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서비스 방법의 실시에 적합한 휴대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 단말기에 배신(配信)하기 위한 콘텐츠 작성 시에, 휴대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바이브레이터부의 바이브레이션 상태 및 그 휴대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일루미네이션부의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을 콘텐츠의 내용에 맞춰 설정할 수 있는 편집 화면이 표시된다. 이 편집 화면 상에서의 입력 조작에 의해 상기 바이브레이션 상태 및 상기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제어 정보가 상기 콘텐츠에 부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콘텐츠 작성을 위한 툴로서, 휴대 통신 단말기에 배신하여야 할 콘텐츠의 기초가 되는 복수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영역과, 상기 영상 표시 영역 상의 영상에 대응하여 대사를 입력하기 위한 대사 입 력 영역과, 상기 영상 표시 영역 상의 영상에 대응하여 사운드를 설정하기 위한 사운드 설정 영역과, 상기 영상 표시 영역 상의 영상에 대응하여 휴대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바이브레이터부의 바이브레이션 상태를 제어하는 설정을 행하기 위한 바이브레이션 설정 영역과, 상기 영상 표시 영역 상의 영상에 대응하여 휴대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일루미네이션부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설정을 행하기 위한 일루미네이션 설정 영역을 갖는 편집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 통신 단말기로 콘텐츠를 배신할 때에, 휴대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바이브레이터부의 바이브레이션 상태 및 그 휴대 통신 단말기의 일루미네이션부의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을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서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그 콘텐츠에 첨부하거나 혹은 그 콘텐츠에 앞서서 휴대 통신 단말기에 배신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휴대 통신 단말기가 음성 비출력 상태일 때, 그 콘텐츠에 포함되는 대사를 그 휴대 통신 단말기의 표시 화면 상에서 문자 표시시키기 위한 대사 표시 기능을 더 포함하여도 되며, 또한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가 음성 출력 상태일 때 그 표시 영역에서 광고 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한 광고 표시 기능을 더 포함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 통신 단말기로 콘텐츠를 배신할 때에, 콘텐츠 내에 그 콘텐츠를 열람하는 사전에 등록된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따른 메시지를 삽입하여, 그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에 배신한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 통신 단말기로 콘텐츠를 배신할 때에, 콘텐츠 내에 그 콘텐츠를 열람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질문을 삽입하고, 그 질문에 대한 해당 사용자의 회답을 집계하여, 그 집계 결과를 이후의 콘텐츠의 작성 또는 휴대 통신 단말기로의 배신 및 마케팅 중 적어도 하나에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통신 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를 배신할 때에,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콘텐츠의 재생 중에 그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한 특정한 조작과 그 사용자의 상태 중 적어도 한쪽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그 콘텐츠의 각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결과를 그 휴대 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시켜 집계하고, 그 집계 결과를 이후의 콘텐츠의 작성 또는 휴대 통신 단말기로의 배신에 반영시킨다.
여기서,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반응 결과란, 구체적으로는 그 사용자의 얼굴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얻어지는 화상 정보,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케이싱을 잡은 그 사용자의 손의 압력,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물리량을 검출하는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그 물리량의 정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광고 정보의 재생 중에 그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한 특정한 조작에 기초하여 생성된 그 사용자의 기호(嗜好) 정보를 그 휴대 통신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시켜 상기 기호 정보를 집계하고, 그 집계 결과를 마케팅에 이용하는 마케팅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방법은, 복수의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해, 열람에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의 원작이 되는 스토리의 제공을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 통신 단말기 상에서 모집하고, 응모된 스토리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작성하고, 작성된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열람할 수 있도록 공개하여 콘테스트에 제공하고, 그 콘테스트에서 상위 입상자로 선발된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투자를 복수의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재촉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콘텐츠 서비스 방법은, 복수의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해, 열람에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의 제공을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 통신 단말기 상에서 모집하고, 특정한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된 콘텐츠를 복수의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공개하여 콘테스트에 제공하고, 그 콘테스트에서 상위 입상자로 선발된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투자를 복수의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재촉하도록 한다. 이 때에, 상기 복수의 휴대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를 작성할 때에 이용 가능한 편집 툴로서, 앞에서 설명한 프로그램 제품을 그 휴대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다운로드 요구에 의해 배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는, 착신 시에 단말기의 케이싱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바이브레이터부와, 상기 착신 시에 표시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일루미네이션부와, 외부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바이브레이터부의 바이브레이션 상태 및 상기 일루미네이션부의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에 콘텐츠와 함께 다운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그 콘텐츠의 내용에 맞춰 상기 바이브레이터부의 바이브레이션 상태 및 상기 일루미네이션부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특정한 상대로부터 휴대 통신 단말기로의 착신 시에, 사전에 다운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사전에 다운로드된 콘텐츠를 표시함과 함께, 상기 바이브레이터부의 바이브레이션 상태 및 상기 일루미네이션부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휴대 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케이싱을 잡은 손의 압력,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물리량을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의해서 검출된 상기 물리량의 정보를 상기 다운로드 시에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바이브레이터부 및 일루미네이션부를 갖는 휴대 통신 단말기로 소정의 서비스 정보가 배신되고, 또한 그 서비스 정보에 관련시켜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부의 바이브레이션 상태 및 상기 일루미네이션부의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가 송신된다. 상기 서비스 정보의 구체예로서는,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신청한 경마, 경륜, 조정, 복권, 현상 모집 등의 보상이 포함된 이벤트 결과 정보, 혹은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구입한 주식의 가격 정보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휴대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취득되 고, 이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등록된 원하는 영업 시설이 존재하는 지역 내에 그 휴대 통신 단말기가 도달한 것이 인식되면, 상기 바이브레이터부의 바이브레이션 상태 및 상기 일루미네이션부의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가 휴대 통신 단말기로 송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브레이터부 및 일루미네이션부를 각각 갖는 제1 및 제2 휴대 통신 단말기 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메일을 보낼 때에, 상기 제1 휴대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휴대 통신 단말기로 송신되는 메일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위치에, 상기 제2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의 상기 바이브레이터부의 바이브레이션 상태 및 상기 일루미네이션부의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가 부가된 후, 메일 메시지가 상기 제2 휴대 통신 단말기로 송신된다. 상기 제어 정보를 부가하는 위치는, 상기 제1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바이브레이션 상태 및 상기 표시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할지 양쪽 모두를 제어할지가 상기 제1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바이브레이션 상태 및 상기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의 패턴이 상기 제1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휴대 통신 단말기가 가입되어 있는 제1 캐리어 통신망과 상기 제2 휴대 통신 단말기가 가입되어 있는 제2 캐리어 통신망이 상호 다른 통신 포맷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 정보가 상기 제2 캐리어 통신망이 갖는 통신 포맷에 따라 변환된 후에 상기 메일 메시지에 재부가되고 나서 메일 메시지가 상기 제2 휴대 통신 단말기로 송신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는, 메일 메시지를 상대 단말기와 송수신할 때에, 수신 메일 메시지 내에 부가된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바이브레이터부의 바이브레이션 상태 및 상기 일루미네이션부의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갖는다. 이 휴대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어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입력부를 더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 번호를 송신처에 통지하는 기능을 갖고, 또한, 바이브레이터부 및 일루미네이션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휴대 통신 단말기 간에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때에, 상기 복수의 상기 발신자 번호 및 그 발신자 번호와 시간 의존 데이터값과의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바이브레이터부의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일루미네이션부의 일루미네이션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대응된다. 하나의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로의 착신 시에는, 송신원의 상기 발신자 번호 및 그 발신자 번호와 시간 의존 데이터값과의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대응시킨 상기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일루미네이션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부의 바이브레이션 상태 및 상기 일루미네이션부의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된다.
상기 대응이, 상기 복수의 상기 발신자 번호, 및 그 발신자 번호와 시간 의존 데이터값과의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일루미네이션 패턴 중 적어도 한쪽을 기억한,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 내의 기억부에 의해 행해지고, 이 기억부로부터 상기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일루미네이션 패턴 중 적어 도 한쪽이 판독되어 상기 제어가 행해진다.
상기 대응이,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일루미네이션 패턴 중 적어도 한쪽을 다운로드함으로써 이루어져도 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상기 발신자 번호에 각각 고유의 화상이 대응되고, 상기 착신 시에, 상기 송신원의 발신자 번호 및 상기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이 표시되어도 된다.
이 경우의 상기 대응은, 상기 복수의 상기 발신자 번호, 및 그 발신자 번호와 시간 의존 데이터값과의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을 기억한,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 내의 기억부에 의해 행해진다. 이 기억부로부터 상기 송신원의 발신자 번호 및 상기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화상이 판독되어, 표시된다. 상기 대응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화상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 내의 기억부에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착신 시에,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송신원의 발신자 번호 및 상기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화상을 다운로드하여 그것을 표시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상기 발신자 번호에 각각 고유의 음성 메시지를 대응시키고, 상기 착신 시에, 상기 송신원의 발신자 번호 및 상기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의 상기 대응이,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음성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 기 휴대 통신 단말기 내의 기억부에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혹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음성 메시지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 내의 기억부에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상기 발신자 번호 및 그 발신자 번호와 시간 의존 데이터값의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바이브레이터부의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일루미네이션부의 일루미네이션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대응되어 기억된 기억부와, 착신 시에, 송신원의 상기 발신자 번호 및 그 발신자 번호와 시간 의존 데이터값과의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된 상기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일루미네이션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그 패턴에 따라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부의 바이브레이션 상태 및 상기 일루미네이션부의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기억부는, 또한 상기 복수의 상기 발신자 번호에 각각 고유의 화상을 대응시켜서 기억하고,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착신 시에, 상기 송신원의 상기 발신자 번호 및 상기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을 판독하여, 그 판독된 화상을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표시부로 출력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기억부는, 또한 상기 복수의 상기 발신자 번호에 각각 고유의 음성 메시지를 대응시켜서 기억하고,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착신 시에, 상기 송신원의 상기 발신자 번호 및 상기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음성 메시지를 판독하여, 그 판독한 음성 메시지를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부로 출력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휴대 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상기 발신자 번호 및 그 발신자 번호와 시간 의존 데이터값과의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화상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화상 및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한 화상 중 적어도 한쪽과, 음성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음성 및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한 음성 중 적어도 한쪽을 대응시켜서 기억한 기억부와, 착신 시에, 송신원의 상기 발신자 번호 및 그 발신자 번호와 시간 의존 데이터값과의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된 상기 화상 및 음성을 상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화상 표시부 및 음성 출력부로 각각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 전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휴대 통신 단말기(1)는, 캐리어 통신망(2)을 통해 인터넷(3)에 접속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인터넷(3)에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구성 요소로서 애니메이션 작가가 소유하는 퍼스널 컴퓨터(이하, PC: 4)와, 애니메이션 배신 업자에 의해 관리되는 애니메이션 배신(配信) 서버(5)와, 주로 동화상·정지 화상 등의 화상 콘텐츠 및 음악 등의 오디오 콘텐츠를 배신하는 콘텐츠 배신 업자에 의해 관리되는 콘텐츠 배신 서버(7)가 접속되어 있다. 애니메이션 배신 서버(5)에는, 애니메이션 라이브러리(6)가 접속되어 있다. 콘텐츠 배신 서버(7)에는, 각종 정보 서비스를 행하는 서비스업자가 소유하는 정보 서비스 서버(8)가 접속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애니메이션 배신 서버(5) 및 애니메이션 라이브러리(6)가 콘텐츠 배신 서버(7)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지만, 콘텐츠 배신 서버(7)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휴대 통신 단말기(1)에 대하여)
우선, 휴대 통신 단말기(1)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2에 외관도를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통신 단말기(1)에는 통상의 휴대 전화기와 마찬가지로, 안테나(11), 키 입력부(12),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부(13), 수화용(受話用) 스피커(14), 송화용(送話用) 마이크로폰(15), 착신 램프(16), 이어폰(또는 헤드폰: 17)을 접속하기 위한 잭이 구비되며, 디지털 카메라(18)가 덧붙여 설치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18)에 의해, 사용자 자신이나 그 주변에 있는 인물의 화상 및 풍경 등을 적절하게 촬영할 수 있다. 키 입력부(12)에는, 매너 버튼(12A), 기능 선택 버튼(12B), 커서 버튼(12C, 12D)이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특유의 요소로서, 휴대 통신 단말기(1)에는, 사용자가 잡았을 때에 사용자의 손이 접하는 위치, 예를 들면 양측면의 여러 개소에, 바이오센서(19)가 설치되어 있다. 바이오 센서(19)는, 휴대 통신 단말기(1)를 잡은 사용자의 손의 압력, 온도, 습도 (발한(發汗) 상태) 등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도 3은, 휴대 통신 단말기(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휴대 통신 단말기(1)의 구성은, W-CDMA 방식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통상의 휴대 전화기로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수화 시에는 안테나(11)로 수신된 무선 주파 신호가 듀플렉서(20)를 통해 수신부(21)에 입력되고, 여기서 적당한 레벨까지 증폭된다. 수신부(21)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신호는, CPU(30)에 의해 제어되는 신티사이저(23)로부터의 수신용 로컬 신호와 믹싱됨으로써,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다. 이 중간 주파수 신호는 CDMA 코덱(24)에 입력되고, 직교 복조 및 역확산의 처리를 거쳐 소정 포맷의 수화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 수화 데이터는, 수신된 고주파 신호가 음성 신호인 경우에는 음성 코덱(25)에 의해 소정의 음성 복호화 방식에 따라 신장(伸張) 처리되어, PCM 음성 데이터로 된다. 이 PCM 음성 데이터는 PCM 코덱(26)에 의해 복호되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된다. 이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전력 증폭기(27)를 통해 수화용 스피커(14)에 공급되고, 이곳으로부터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한편, 송화 시에는 사용자의 발성 음성이 송화용 마이크로폰(15)을 통해 음성 신호로서 입력되고, 전치 증폭기(28)로 증폭된 후, PCM 코덱(26)에 의해 부호화되어, PCM 음성 데이터로 된다. 이 PCM 음성 데이터는 음성 코덱(25)에 의해 소정의 음성 부호화 방식에 따라 압축 처리되어, 송화 데이터로 된다. 이 송화 데이터는 CDMA 코덱(24)에 입력되고, PN 부호에 의해 확산 처리된 후, 직교 변조 신호로서 송신부(22)로 입력된다. 직교 변조 신호는 송신부(22)에 의해 신시사이저(23)로부터의 송신용 로컬 신호와 믹싱되어 무선 주파 신호로 변환된 후, 듀플렉서(20)를 통해 안테나(11)에 공급됨으로써, 전파로서 공간에 방사되고, 도 1의 캐리어 통신망(2)에 포함되는 기지국을 향해 송신된다.
CPU(30)는, 각부의 제어 및 다양한 연산이나 영상·문자 정보의 처리를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여기에는 CDMA 코덱(24), 음성 코덱(25) 및 PCM 코덱(26) 외에, 도 2에 도시한 키 입력부(12), 표시부(13), 카메라(18) 및 바이오센서(19)가 접속되며, 또한 도 2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바이브레이터부(31), 일루미네이션부(32), 사운드용 스피커부(33), 메모리(34)가 접속되어 있다. 배터리(35)에 접속된 전원 회로(36)로부터, CPU(30)의 제어 하에서 각부에 전원이 공급된다.
바이브레이터부(31)는, 예를 들면 편심 모터를 이용하여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케이싱을 진동시키는 장치로서, 본래는 착신 시에 작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착신을 기계적인 진동으로 알게 하는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이브레이터부(31)는 동화상 콘텐츠의 재생 시에도 콘텐츠의 장면에 맞춰 다양한 바이브레이션 패턴으로 작동하도록, CPU(30)에 의해 제어된다. 바이브레이션 패턴이란 바이브레이션의 강약이나 주기를 말한다. 강약과 주기의 조합을 바꿈으로써, 다양한 바이브레이션 패턴이 얻어진다.
일루미네이션부(32)는, 도 2의 키 입력부(12)의 누름 버튼 부분의 하부에 설치된 키 조명 램프나, 착신 시에 점등하여 사용자에게 착신을 알리기 위한 도 2의 착신 램프(16)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루미네이션부(32)는 바이브레이터부(31)와 마찬가지로, 동화상 콘텐츠의 재생 시에는 콘텐츠의 장면에 맞춰 다양한 일루미네이션 패턴으로 점멸 표시하도록, CPU(30)에 의해 제어된다. 일루미네이션 패턴이란, 일루미네이션의 점멸 주기, 점등 위치(발광체인, 키 입력부(12)의 조명 램프나 착신 램프(16) 중의 점등하는 발광체의 위치), 점등 순서 등이다. 이들 점멸 주기, 점등 위치, 점등 순서의 조합을 바꿈으로써, 다양한 일루미네이션 패턴을 얻을 수 있다.
사운드용 스피커(33)는, 예를 들면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이면측에 설치된 사운더라고도 칭해지는 스피커로서, 통상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착신음이나 키 조작음 등의 음성 출력에 이용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운드용 스피커(33)는 동화상 콘텐츠의 재생 시에 등장 캐릭터의 대사나 사운드(효과음)를 음성 출력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도 2의 키 입력부(12)에 포함되는 매너 버튼(12A)을 누르면, 사운드용 스피커(33)로부터의 음성 출력은 정지된다.
메모리(34)는, CPU(30)에서의 처리 과정의 데이터를 보유하는 작업용 메모리로서 이용됨과 함께, 동화상 콘텐츠의 수신 시에 콘텐츠 데이터나 콘텐츠 재생용의 프로그램(소위 뷰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버퍼로서도 이용된다. 이 메모리(34)는 휴대 통신 단말기(1)에 내장된 반도체 메모리만이어도 되고, 반도체 메모리를 카드 형상으로 형성하여 착탈 가능하게 한, 소위 메모리 카드와, 휴대 통신 단말기(1)에 내장된 반도체 메모리의 양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 4는, CPU(30) 중의 바이브레이터부(31)와 일루미네이션부(32)의 구동 및 제어를 담당하는 부분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착신 표시 제어 회로(41)에서는, 휴대 통신 단말기(1)에 착신이 있었을 때에 사전에 정해진 패턴의 착신 바이브레이션 제어 신호 및 착신 일루미네이션 제어 신호가 생성된다. 이들 제어 신호는 각각 OR 게이트(43, 44)를 통해 바이브레이터 구동 회로(45) 및 일루미네이션 구동 회로(46)에 입력된다.
한편, 장면 표시 제어 회로(42)에서는, 동화상 콘텐츠의 재생 시에 콘텐츠 데이터 내의 제어 정보(예를 들면 Java(등록 상표)로 기술된 커맨드)에 기초하여, 장면에 맞춰 예를 들면 애니메이션 작가에 의해 사전에 프로그램된 장면 바이브레이션 제어 신호 및 일루미네이션 제어 신호가 생성된다. 이들 제어 신호가 OR 게이트(43, 44)를 각각 통해 바이브레이터 구동 회로(45) 및 일루미네이션 구동 회로(46)에 입력된다.
따라서, 바이브레이터부(31) 및 일루미네이션부(32)는, 착신 시에는 각각 사전에 정해진 일정한 패턴으로 진동하거나 점멸 표시를 행하지만, 동화상 콘텐츠의 재생 시에는 콘텐츠의 장면에 맞춰 다양한 패턴으로 진동하거나 점멸 표시를 행한다. 이에 따라 동화상 콘텐츠의 재생 시에는, 단순히 표시부(13)의 화면 상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에 비해, 사용자는 보다 박력이나 현장감이 있는 콘텐츠 감상을 즐길 수 있다.
(동화상 콘텐츠 서비스의 흐름에 대하여)
다음에, 도 5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의 동화상 콘텐츠 서비스의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을 설명한다.
동화상 콘텐츠로서 애니메이션을 예로 들면, 우선 애니메이션 작가는 애니메이션 배신 업자의 애니메이션 배신 서버(5)로부터 편집 툴을 다운로드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애니메이션 영상의 작성 및 편집을 행한다 (단계 S1∼S3). 여기서, 편집 툴은 애니메이션 작가가 애니메이션을 효율적으로 작성하여 편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즉,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애니메이션 라이브러리(6)에 저장된 다양한 애니메이션 소재나 애니메이션 작성 툴 등의 라이브러리도 포함하고 있다. 편집 툴과 단계 S3의 애니메이션 편집 처리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S3에서는,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배신하여야 할 동화상 콘텐츠의 기초가 되는 원작 콘텐츠가 생성되고, 이 원작 콘텐츠는 콘텐츠 배신 업자의 콘텐츠 배신 서버(7)에, 인터넷(3)을 통해 (혹은 전용선을 통해) 전송된다 (단계 S4). 콘텐츠 배신 서버(7)에서는, 전송된 원작 콘텐츠에 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정보를 부가하거나 삽입함으로써 편집을 실시하고, 편집 후의 동화상 콘텐츠를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등록한다 (단계 S5∼S6). 이와 같이 하여 배신하여야 할 콘텐츠가 콘텐츠 배신 서버(7)에 등록됨으로써, 사용자에의 동화상 콘텐츠의 배신이 가능해진다.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가 동화상 콘텐츠의 다운로드 요구를 행하면, 이 요구는 캐리어 통신망(2) 및 인터넷(3)을 경유하여 콘텐츠 배신 서버(7)로 전송된다 (단계 S7). 콘텐츠 배신 서버(7)로부터 인터넷(3) 및 캐리어 통신망(2)을 경유하여, 다운로드 요구를 내보낸 휴대 통신 단말기(1)로 콘텐츠가 다운로드된다 (단계 S8). 다운로드 방식에는, 버퍼링 방식과 스트리밍 방식이 있지만, 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운로드된 동화상 콘텐츠는, 사용자에 의한 재생 지시 조작에 의해 적절하게 재생된다 (단계 S9).
동화상 콘텐츠는, 예를 들면 12컷/초의 애니메이션으로서, 짧은 콘텐츠이면 1회에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여기서는, 동화상 콘텐츠는 일련의 복수의 작품으로 이루어지는 소위 시리즈물로서, 작품 단위를 복수회(이 예에서는 2회)로 나눠 다운로드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단계 S8에서는 동화상 콘텐츠의 1회째가 다운로드되고, 단계 S9에서 재생된다. 동화상 콘텐츠가 4컷 만화인 경우, 작품의 단위는 컷 단위로 된다. 또한, 하나의 작품이 복수의 챕터로 이루어지는 경우, 챕터 단위를 복수회로 나눠 다운로드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1회째를 재생하여 감상한 사용자가 그 연속되는 부분을 보고 싶다고 생각한 사용자는, 예를 들면 "그 연속되는 부분을 본다"고 하는 취지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다시 다운로드 요구를 한다. 이 2회째의 동화상 콘텐츠의 다운로드 요구 시에는, 1회째의 캐리어 통신망(2) 및 인터넷(3)을 경유하여 다운로드 요구가 콘텐츠 배신 서버(7)로 전송된다 (단계 S10). 또한, 이와 같이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콘텐츠 배신 서버(7)를 향하는 업링크가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동화상 콘텐츠를 재생할 시에 특정한 조작을 행했을 때 얻어진 정보나, 카메라(18) 및 바이오센서(19)에 의해 얻어진 정보(이들 정보를 총칭하여 피드백 정보라고 함)가 계속해서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애니메이션 배신 서버(5)에 캐리어 통신망(2) 및 인터넷(3)을 경유하여 피드백된다 (단계 S11).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앞에서 설명한 피드백 정보가 애니메이션 배신 서버(5) 및 콘텐츠 배신 서버(7)로 피드백된 후, 단계 S10의 다운로드 요구에 대하여 2회째의 동화상 콘텐츠가 다운로드되고 (단계 S12), 사용자에 의한 재생 지시 조작에 의해 그 동화상 콘텐츠는 적절하게 재생된다 (단계 S13). 이 2회째의 동화상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하면, 다시 상기와 마찬가지로 피드백 정보가 애니메이션 배신 서버(5) 및 콘텐츠 배신 서버(7)로 피드백된다 (단계 S14). 이렇게 해서, 이 예에서는 2회째에서 동화상 콘텐츠의 배신이 종료한다.
단계 S13에서 최후 2회째의 동화상 콘텐츠를 휴대 통신 단말기(1)가 다운로 드하여 재생을 행한 상태에서는,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콘텐츠 배신 서버(7)를 향하는 업링크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단계 S14에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휴대 통신 단말기(1)가 콘텐츠 배신 서버(7)에 액세스하여 업링크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동화상 콘텐츠의 열람을 종료한 후에 다시 콘텐츠 배신 서버(7)에 적극적으로 액세스하는 것에 동기 부여는 없고, 필요 이상으로 통신 요금이 과금된다고 생각할 뿐이다.
그래서, 예를 들면 최후의 동화상 콘텐츠의 다운로드 시 혹은 그 동화상 콘텐츠의 재생 시에, 콘텐츠 배신 서버(7)로부터 사용자에 대하여 어떠한 특전을 제공한다고 하는 메시지, 예를 들면 "3의 버튼을 누르면, 차회의 콘텐츠 시청 요금이 30% 할인됩니다" 등의 메시지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서 전송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 대하여 피드백을 재촉하도록 한다.
단계 S14에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지 않고서, 피드백 정보가 되는 정보를 휴대 통신 단말기(1) 내의 메모리(34)에 차회의 다운로드 요구가 행해질 때까지 기억해 놓고, 차회의 다운로드 요구 시에 피드백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에, 애니메이션 배신 서버(5)에서는 단계 S11, S14에서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전송된 피드백 정보를 통계화하고 (단계 S15), 얻어진 통계 데이터를 애니메이션 작가에게 전송한다 (단계 S16). 애니메이션 작가는, 이 통계 데이터를 이후의 편집 툴에 반영시킨다 (단계 S17).
콘텐츠 배신 서버(7)에서도 단계 S11, S14에서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전송된 피드백 정보를 통계화하고 (단계 S18), 얻어진 통계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리서치 업자, 기관 등에 배신한다 (단계 S19). 단계 S15, S18에서의 통계화 처리는, 통계화의 대상인 피드백 정보의 내용이 동일하며 또한 통계화의 수법이 동일하여도 되는 경우에는, 애니메이션 배신 서버(5) 및 콘텐츠 배신 서버(7) 중 어느 한쪽(예를 들면 콘텐츠 배신 서버(7))에서 행하여도 된다.
피드백 정보로서 어떠한 정보를 피드백하고, 이들을 통계화하여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도 5의 주요한 단계에서의 처리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애니메이션 편집 처리에 대하여)
도 6은, 도 5의 단계 S3에서 애니메이션 작가가 PC4 상에서 작성한 애니메이션을 편집할 때에 사용하는 애니메이션 편집 화면(60)의 예이다. 이 화면(60)은, 단계 S1에서 애니메이션 배신 서버(5)로부터 다운로드한 편집 툴에 따라서 작성된다. 이 애니메이션 편집 화면(60)에서는, 화면의 최상부의 영상 표시 영역(61)에 이미 작성한 애니메이션 영상의 각 컷이 시계열의 순서로 횡으로 배열하여 표시되고, 그 아래에 음성에 의한 대사의 입력 영역(62), 문자에 의한 대사의 입력 영역(63), 사운드(효과음)의 입력 영역(64), 바이브레이션의 설정 영역(65), 일루미네이션의 설정 영역(66) 및 대사 입력용 윈도우(67)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애니메이션 편집 화면(60)의 최하부에는 사용자 평가 표시 영역(68)이 설정되어 있다.
음성에 의한 대사 입력 영역(62)에서는, 영상 표시 영역(61)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여 대사를 내보내는 범위를 바(bar)로 지정하고, 또한 대사를 말하게 되는 캐릭터(등장 인물 등)를 선택할 수 있다. 문자에 의한 대사 입력 영역(63)에서는, 영상 표시 영역(61)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여 대사를 내보내는 범위를 바로 지정할 수 있다. 이들 대사 입력 영역(62, 63)으로의 대사 입력은, 대사 입력용 윈도우(67)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사운드 입력 영역(64)에서는, 영상 표시 영역(61)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여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운드용 스피커부(33)로부터 출력되야 되는 사운드(예를 들면 빗소리, 바람소리, 천둥소리, 파도소리, 개짖는 소리, 울음소리, 자동차의 주행음, 항공기의 비행음, 혼잡음 등)를 발생시키는 범위를 지정하며, 사운드의 패턴(종류 등의 효과음)을 선택할 수 있다.
바이브레이션 설정 영역(65)에서는, 영상 표시 영역(61)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여 휴대 통신 단말기(1)의 바이브레이터부(31)를 진동시키는 범위를 지정하며, 진동의 패턴(진동 주기, 진동의 강약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루미네이션 설정 영역(66)에서는, 영상 표시 영역(61)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여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일루미네이션부(32)를 표시시키는 범위를 지정하며, 표시의 패턴(예를 들면 일루미네이션부(32)의 각 표시 소자를 표시시키는 순서, 점멸 주기, 밝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애니메이션 편집 화면(60)을 이용함으로써, 애니메이션 작가는 비주얼적 수법으로 용이하게 효과적인 애니메이션의 편집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편집에 의해, 애니메이션 영상에 음성·문자에 의한 대사, 사운드 정보, 바이브레이션 제어 정보, 일루미네이션 제어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는, 도 5의 단계 S4에서 원작 콘텐츠로서 콘텐츠 배신 서버(7)로 전송된다.
도 6의 애니메이션 편집 화면(60)에서는, 음성·문자에 의한 대사 및 사운드 정보의 입력이나 지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 외에, 원래의 착신 표시나, 어두운 곳에서의 시각적 인식의 확보 등을 위해 휴대 통신 단말기(1)에 구비되어 있는 바이브레이터부(31) 및 일루미네이션부(32)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휴대 통신 단말기(1) 케이싱의 기계적 바이브레이션이나 일루미네이션의 다양한 변화를 수반하는 박력·현장감에 뛰어난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원작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다. 특히, 바이브레이터부(31) 및 일루미네이션부(32)를 동화상 콘텐츠의 유효한 재생에도 이용한다고 하는 점은, 영화, 텔레비전 수상기 및 PC 등의 애니메이션 재생에서는 불가능, 내지는 종래에서는 행해지고 있지 않던 휴대 통신 단말기(1)에서의 동화상 콘텐츠 재생에 있어서의 고유한 특징이다.
(콘텐츠 편집 처리에 대하여)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도 5의 단계 S5에서의 콘텐츠 편집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는, 도 6에 도시한 애니메이션 편집 화면(60)을 이용하여 작성된원작 콘텐츠로서, 복수의 장면 0, 1, 2,…로 구분되어 있다. 장면 0은, 예를 들면 타이틀 화면이다. 이 원작 콘텐츠에 대하여,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장면 0과 장면 1 사이에 메시지가 삽입된다. 여기서 말하는 메시지란, 예를 들면 도면 중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생일을 축하합니다", "마음에 드는 장면에서 1 버튼, 재미없는 장면에서 2 버튼을 눌러 주십시오" 와 같은 휴대 통신 단말 기(1)의 사용자용의 메시지이다.
이들 예 중, 전자(前者)는 사전에 콘텐츠 배신 서버(7)에 사용자 등록되어 있는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주소·성명·생년월일·전화 번호·전자 메일 어드레스 등)에 기초하여 작성되는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는, 다운로드 요구를 한 사용자에 대응하여, 그 사용자에게 다운로드하여야 할 동화상 콘텐츠 중에 삽입된다. 한편, 후자(後者)는 애니메이션 작가(내지는 애니메이션 배신 업자나 콘텐츠 배신 업자)가 해당 동화상 콘텐츠의 장면마다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재미있는지의 여부)를 탐색하기 위한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평가 결과를 앞에서 설명한 피드백 정보로서 애니메이션 배신 업자가 수취하고, 이것을 통계화하여 통계 데이터를 애니메이션 작가에게 전송함으로써, 이후의 애니메이션의 작성에 반영시킬 수 있다.
도 7의 (a)의 원작 콘텐츠, 도 7의 (b)의 메시지 삽입 후의 콘텐츠에 대하여,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중의 적당한 개소(예를 들면, 어떤 장면의 끝, 다음 장면이 시작되기 전)에 앙케이트가 삽입된다. 앙케이트는 동화상 콘텐츠의 내용에 관계가 있는 내용이라도, 직접 관계가 없는 내용이라도 상관없다. 도면의 예에서는, 이 앙케이트는 예를 들면 "일본 과자와 케이크 중 어느 쪽을 좋아합니까?" 등의, 개인의 기호를 묻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앙케이트에 대한 사용자의 회답을 앞에서 설명한 피드백 정보로서 콘텐츠 배신 업자가 수취하여 통계화(집계)하고, 그 통계 데이터를 리서치 업자 등에게 배신함으로써, 상품 등의 마케팅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a)의 원작 콘텐츠, 또는 도 7의 (b)의 메시지 삽입 후의 콘텐츠, 혹은 도 7의 (c)의 앙케이트 삽입 후의 콘텐츠에 대하여,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스 선택 화면이 삽입된다. 코스 선택 화면은, 콘텐츠가 중도부터 코스가 다른 복수의 스토리를 내재한 소위 멀티 스토리 형식인 경우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에 도시된 코스 선택 화면에서는, "동굴 A, B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주십시오" 등과 같이,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에 대하여 열람하고 싶은 코스의 선택을 재촉한다. 어떤 코스를 선택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선택 정보는, 앞에서 설명한 피드백 정보로서 애니메이션 배신 업자에게 전송된다. 애니메이션 배신 업자는, 이 선택 정보를 통계화하여 통계 데이터를 애니메이션 작가에게 제공함으로써, 이후의 애니메이션의 신규 작성이나, 이미 작성된 애니메이션의 개편 등에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의 적절한 개소의 패킷에 광고 정보, 예를 들면 다양한 상품이나, 영화·콘서트·연극 등의 이벤트 안내, TV·라디오 등의 방송국이 방송을 예정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예고 정보, 출판사가 출판을 예정하고 있는 서적류의 예고 정보 등을 삽입한다.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는, 동화상 콘텐츠의 재생 중에 흥미가 있는 광고 정보를 찾아내면, 그 광고 정보가 표시된 화면에 재생을 되돌려 정지시켜서, 여유있게 본다고 하는 등의 조작을 행하는 것이 상정된다. 그와 같은 휴대 통신 단말기(1)에 의해 이루어진 특정한 조작(특수 재생 조작)을 행하였다는 취지의 정보를 상술한 피드백 정보로서 콘텐츠 배신 업자가 수취하여 통계화하고, 그 통계 데이터를 리서치 업자 등에게 배신함으 로써, 상품 등의 마케팅에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텐츠 편집 처리에서는, 원작 콘텐츠에 대하여 메시지, 앙케이트, 코스 선택 화면 및 광고 등의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편집이 행해짐으로써,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에게 배신하여야 할 최종적인 동화상 콘텐츠가 생성된다.
(동화상 콘텐츠의 다운로드 및 재생에 대하여)
다음에, 이와 같이 하여 작성된 동화상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5)로부터 휴대 통신 단말기(1)에 다운로드하여 재생을 행하는 방법의 다양한 예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동화상 콘텐츠를 휴대 통신 단말기(1)에서 다운로드하고, 재생(열람)을 행하기 위해서는, 이 동화상 콘텐츠에 대응한 예를 들면 Java(등록 상표)와 같은 사전에 정해진 언어 형식의 열람용 프로그램(뷰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도 8 내지 도 10은, 이 뷰어 프로그램을 콘텐츠 배신 서버(7)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행하는 경우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서는,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다운로드 요구가 나오면, 우선 뷰어 프로그램과 같이 1회째의 콘텐츠 데이터가 다운로드되고, 도 3의 메모리(34)에 저장(버퍼링)된 후, 재생된다 (단계 S21∼S22). 다음에,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다시 다운로드 요구가 나오면, 단계 S21에서 다운로드한 뷰어 프로그램에 의해 2회째의 콘텐츠 데이터가 다운로드되고, 버퍼링된 후에 사용자의 재생 지시에 기초하여 재생된다 (단계 S23∼S24). 이후, N회째의 콘텐츠 데이터까지 마찬가지로 다운 로드, 버퍼링 및 사용자에게 재생 지시에 기초한 재생이 반복된다 (단계 S25∼S26).
도 9에서는,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다운로드 요구가 나오면, 우선 뷰어 프로그램만이 다운로드된다 (단계 S30). 계속해서, 이 뷰어 프로그램에 의한 1회째의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와 버퍼링 및 사용자의 재생 지시에 기초한 재생이 행해진다 (단계 S31∼S32). 이후,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다운로드 요구가 나올 때마다, 단계 S30에서 다운로드한 뷰어 프로그램에 의한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와 버퍼링 및 사용자의 재생 지시에 기초한 재생이 N회째까지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행해진다 (단계 S33∼S36).
도 8 및 도 9의 예는, 1회의 다운로드 요구에 대하여 다운로드를 전부 종료하여 버퍼링을 끝내고 나서 재생을 행하는, 소위 버퍼링 방식의 경우이다. 이것에 대하여, 도 10은 콘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면서 재생을 행하는 스트리밍 방식의 예이다. 이것에 의하면,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다운로드 요구가 나오면, 우선 뷰어 프로그램만이 다운로드되고 (단계 S40), 계속해서 이 뷰어 프로그램에 의해 1회째의 콘텐츠 데이터가 다운로드됨과 동시에 재생된다 (단계 S41). 이후,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다운로드 요구가 나올 때마다, 단계 S40에서 다운로드한 뷰어 프로그램에 의한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와 재생이 동시에 N회째까지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행해진다 (단계 S42∼S43).
한편, 도 11 및 도 12는, 뷰어 프로그램이 휴대 통신 단말기(1)에 사전에 내장되어, 예를 들면 도 3의 메모리(34)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 삽입된 뷰어 프로그 램을 이용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행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버퍼링 방식, 도 12는 스트리밍 방식의 경우이다.
즉, 도 11에서는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다운로드 요구가 나오면, 우선 메모리(34)에 저장된 뷰어 프로그램이 CPU(30)에 의해 판독된다 (단계 S50). 이 뷰어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재생 지시에 기초하여 1회째의 콘텐츠 데이터가 다운로드되고, 사용자의 재생 지시에 기초하여 재생된다 (단계 S51∼S52). 이하,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다운로드 요구가 나올 때마다, 단계 S50에서 판독된 뷰어 프로그램에 의한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와 사용자의 재생 지시에 기초한 재생이 N회째까지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행해진다 (단계 S53∼S56).
도 12에서는,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다운로드 요구가 나오면, 우선 메모리(34)에 저장된 뷰어 프로그램이 CPU(30)에 의해 판독된다 (단계 S60). 계속해서, 이 뷰어 프로그램에 의해 1회째의 콘텐츠 데이터가 다운로드됨과 동시에 재생된다 (단계 S61). 이후,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다운로드 요구가 나올 때마다, 단계 S60에서 판독된 뷰어 프로그램에 의한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와 재생이 동시에 N회째까지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행해진다 (단계 S62∼S63).
또한, 도 1의 콘텐츠 배신 서버(7)가 콘텐츠 데이터를 버퍼링 및 스트리밍 양쪽 모두의 방식으로 송출 가능한 경우, 도 13에 도시한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도 13에 의하면, 휴대 통신 단말기(1)측에서 사용자가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버퍼링 방식으로 행할지, 스트리밍 방식으로 행할지를 선택한다 (단계 S70). 이 선택 결과에 따라서, 버퍼링 방식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한 후에 재생을 할지 (단계 S71), 스트리밍 방식에 의해 다운로드하면서 재생을 할지 (단계 S72)에 대하여 전환을 행한다.
동화상 콘텐츠의 다운로드 시나 재생 시에 뷰어 프로그램이나 콘텐츠 데이터를 1차 저장하는 버퍼로서 이용되는 도 3의 메모리(34)는, 휴대 통신 단말기(1)에 내장 또는 메모리 카드의 형식으로 장착되는 것이기 때문에 용량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메모리(34)로 대용량의 콘텐츠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34)(버퍼)의 잔류 용량을 조사하여 (단계 S80), 잔류 용량이 임계값을 넘고 있으면 버퍼링 방식으로 재생한다 (단계 S81). 잔류 용량이 임계값 이하이면, 메모리(34)를 콘텐츠 데이터의 버퍼링에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하여도 극히 적은 양만 사용하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한다 (단계 S82).
이와 같이 메모리(34)의 버퍼 잔류 용량에 따라서 버퍼링 방식과 스트리밍 방식을 자동적으로 전환함으로써, 통상적으로는 수시로 재생을 할 수 있어, 화상의 정지나 되감기 등이 용이하여 사용성이 좋은 버퍼링 방식으로 재생을 행하고, 버퍼 잔류 용량이 적어지면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유연성을 갖고 동화상 콘텐츠 재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화상 콘텐츠의 재생 화면에 대하여)
도 15는, 동화상 콘텐츠의 재생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휴대 통신 단말기(1)의 표시부(13)의 표시 화면(50)에, 동화상 콘텐츠 재생 화면으로서 영상 표시 영역(51)과 문자 표시 영역(52)이 할당된다. 문자 표시 영역(52)은, 이 예에서는 영상 표시 영역(51)의 하부에 설정된 띠 형상의 영역으로 되어 있지만, 그 위치는 영상 표시 영역(51)의 상부여도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영상 표시 영역(51)의 횡 방향이어도 된다. 문자 표시 영역(52)(텔롭(telop) 표시 영역이라고도 함)에는, 도 15A에서는 대사가 표시되고, 도 15B에서는 광고가 표시된다.
이러한 문자 표시 영역(52)에서의 표시 내용의 전환은, 도 16의 흐름도로 도시한 수순에 따라서 행해진다. 휴대 통신 단말기(1)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입력부(12)의 일부로서 매너 버튼(12A)이 있다. 이 매너 버튼(12A)을 눌러 소위 매너 모드로 하면, 휴대 통신 단말기(1)에 착신이 있더라도 주위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3의 사운드용 스피커부(33)로부터 착신음이 발하지 않고, 착신 램프(16)의 점멸이나, 도 3의 바이브레이터부(31)의 진동, 키 입력부(12)의 하부의 일루미네이션부(32)의 점등 등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착신을 알린다.
또한, 이 매너 모드에서는 당연한 일이겠지만, 동화상 콘텐츠 재생 시의 대사도, 사운드용 스피커부(33)로부터의 음성으로서는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용을 고려하여,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통신 단말기(1)가 매너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 S91), 매너 모드일 때는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표시 영역(52)에서 대사를 문자로서 표시한다 (단계 S92). 이에 따라, 사운드용 스피커부(33)로부터 대사가 음성 출력되지 않는 매너 모드 시에서도, 대사를 문자, 즉 자막 수퍼(super)에 의해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매너 모드가 아닐 때에는, 사운드용 스피커부(33)로부터 대사가 음성으로서 출력되기 때문에, 문자 표시 영역(52)에 별도의 정보, 예를 들면 도 7의 (e)와 같이 하여 동화상 콘텐츠 중에 삽입된 광고의 정보를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롭 문자로서 표시한다 (단계 S93). 이와 같이 함으로써, 문자 표시 영역(52)을 항상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6A에서는, 매너 모드 시에는 항상 문자 표시 영역(52)에서 대사가 표시되도록 하였지만, 매너 모드 시에도 이어폰(17)으로 대사를 음성으로서 들을 수 있다. 도 16B는, 이 점을 고려한 예로서, 매너 모드 시에 이어폰(17)이 또한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단한다 (단계 S94). 이어폰(17)이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대사를 표시하고 (단계 S92), 이어폰(17)이 사용되고 있을 때에는 광고를 표시한다 (단계 93).
(피드백 정보에 대하여)
다음에, 상술한 피드백 정보의 상세와 그 이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앞에서 잠깐 설명하였지만,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콘텐츠 배신 서버(7)로 반송되는 피드백 정보와, 그 피드백 정보로부터 추측할 수 있는 사항, 및 이들 피드백 정보 및 그 사항을 이용하는 효과는, 이하와 같다.
(1) 사용자가 동화상 콘텐츠를 재생할 때에 특수 재생 조작(구체적으로는, 정지, 구간 리피트, 컷 보내기 및 앞으로 감기(스킵) 등의 조작)을 행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
이들 특수 재생 조작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어떤 동화상 콘텐츠의 어떤 장면 에 흥미를 갖고, 또한 반대로 어떤 장면이 시시하다고 느꼈는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지, 구간 리피트, 컷 보내기 등을 행한 장면은, 사용자가 흥미를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디지털 카메라(18)로부터 얻어진 사용자의 얼굴 화상의 정보.
얼굴 화상으로부터 얼굴의 표정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떤 동화상 콘텐츠의 어떤 장면에 흥미를 갖는지, 박력을 느끼는지, 놀라는지, 또한 어떤 장면을 시시하다고 느끼는지를 알 수 있다.
얼굴 화상의 정보를 그대로 피드백 정보로 하면, 정보량이 지나치게 많아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2진화 내지는 여러 계조 정도의 양자화를 행하고 나서 피드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기(1)에 예를 들면 MPEG-4와 같은 압축 방식에 기초한 화상 압축 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얼굴 화상의 정보를 압축하고 나서 피드백하는 것도 유효하다.
(3) 바이오센서(19)에 의해 얻어진 정보(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휴대 통신 단말기(1)를 잡았을 때의 압력, 온도 및 습도의 정보).
예를 들면, 압력, 온도, 습도 등의 값이 높아졌을 때에는, 사용자가 그 장면에서 흥분이나 긴박감을 느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도 7의 (b)에 도시한 동화상 콘텐츠에의 메시지 삽입에서, 예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마음에 드는 장면에서 "1" 버튼, 재미없는 장면에서 "2" 버튼을 눌러 주십시오" 등과 같은 메시지를 삽입한 경우에,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로부터 피드백되는 정보.
이 정보로부터는, 사용자가 흥미를 느끼는 장면, 그렇지 않은 장면을 정확하고도 직접적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1)∼(4)의 피드백 정보를 상술한 바와 같이 통계화하여, 얻어진 통계 데이터를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애니메이션 편집 화면(60)의 사용자 평가란(68) 상에 표시함으로써, 애니메이션 작가가 애니메이션의 신규 작성이나, 이미 작성된 애니메이션의 개편 등을 행할 때에, 그 통계 데이터를 반영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즐길 수 있는 애니메이션 작품을 작성하여, 동화상 콘텐츠로서 새롭게 배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5)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화상 콘텐츠에 삽입된 앙케이트에 대한 사용자의 회답 조작에 의해 얻어지는 정보.
이러한 정보로부터 음식물에 대한 각 사용자의 기호를 알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상품, 영화나 콘서트의 장르, 배우·탤런트 등에 대한 각 사용자의 기호를 알 수 있다.
(6)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화상 콘텐츠에 삽입된 광고가 예를 들면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표시 영역(52)에서 재생되거나, 표시 화면(50) 전체에서 표시되는 등의 경우에 얻어지는 상기 (1)∼(3)의 정보.
이들 광고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는, 예를 들면 리서치 회사 등에서 다양한 마케팅이나 프로모션을 행할 때에 매우 유효하다.
[제2 실시 형태]
도 17에 도시한 흐름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동화상 콘텐츠 서비스의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서, 이하와 같은 일련의 서비스를 행한다. 휴대 통신 단말기(1)의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 동화상 콘텐츠의 스토리 제공을 모집하고, 응모된 스토리에 기초하여 프로의 애니메이션 작가가 작성한 동화상 콘텐츠를 각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공개함으로써 인기 콘테스트를 행한다. 이 콘테스트에서 상위 입상자로 선발된 사용자에 대한 투자를 각 사용자에게 재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콘텐츠 배신 업자가 애니메이션 스토리의 콘테스트를 모집한다 (단계 S101). 이 모집은 콘텐츠 배신 업자가 홈페이지 상에서 행하여도 되고, 휴대 통신 단말기(1)의 각 사용자에 대하여 전자 메일 또는 그 밖의 방법에 의해 알리는 방법을 취하여도 된다.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 A, 사용자 B, …, 사용자 N 중, 사용자 A가 콘테스트에 응모, 즉 스토리의 제공을 행하였다고 하자 (단계 S102). 이 응모는, 예를 들면 사용자 A가 콘텐츠 배신 업자의 홈페이지 상에 액세스하여, 그곳의 소정란에 스토리를 기입하는 방법이어도 되고, 전자 메일을 이용하여 콘텐츠 배신 업자의 콘텐츠 배신 서버(7)로 송신하는 방법을 취하여도 된다.
사용자 A가 응모한 스토리는, 콘텐츠 배신 업자로부터 애니메이션 작가가 소유하는 PC(4)로 전송된다. 애니메이션 작가는, 이 스토리를 원작으로서 이용하고,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애니메이션 배신 업자의 애니메이션 배신 서버(5)로부터 편집 툴을 다운로드하여, 애니메이션 영상의 작성 및 편집을 행한다 (단계 S103∼S105). 단계 S105에서는, 사용자에게 배신하여야 할 동화상 콘텐츠의 기초가 되 는 원작 콘텐츠가 생성되고, 이 원작 콘텐츠는 콘텐츠 배신 업자의 콘텐츠 배신 서버(7)에 인터넷(3)을 통해 (혹은 전용선을 통해) 전송된다 (단계 S106).
콘텐츠 배신 서버(7)에서는, 전송된 원작 콘텐츠에 대하여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편집을 실시하고, 편집 후의 동화상 콘텐츠를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등록한다 (단계 S107∼S108). 이와 같이 하여 배신하여야 할 콘텐츠가 콘텐츠 배신 서버(7)에 등록된 후, 콘텐츠 배신 업자에 의해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 A, 사용자 B, …, 사용자 N이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콘텐츠 배신 업자의 홈페이지 상에서 공개된다 (단계 S109).
콘텐츠 배신 업자에 의해 공개된 동화상 콘텐츠에 대하여,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 예를 들면 사용자 B가 다운로드 요구를 행하면, 이 요구는 캐리어 통신망(2) 및 인터넷(3)을 경유하여 콘텐츠 배신 서버(7)로 보내진다 (단계 S110). 요구가 있는 동화상 콘텐츠가 콘텐츠 배신 서버(7)로부터 인터넷(3) 및 캐리어 통신망(2)을 경유하여, 다운로드 요구를 한 사용자 B의 휴대 통신 단말기(1)에 다운로드된다 (단계 S111). 다운로드의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버퍼링 방식이나 스트리밍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행해진다.
다운로드된 동화상 콘텐츠는, 사용자 B에 의한 재생 지시의 조작에 의해 적절하게 재생된다 (단계 S112). 이 재생 시에, 사용자 B는 예를 들면, 도 7의 (b) 내에 도시한 "마음에 드는 장면에서 "1" 버튼, 재미없는 장면에서 "2" 버튼을 눌러 주십시오" 등의 메시지에 대응한 조작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7의 예에서는, 동화상 콘텐츠의 다운로드 및 재생이 1회로 종료하고 있지만,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회에 걸쳐 다운로드 및 재생을 행하여도 된다.
이렇게 해서 동화상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하면, 사용자가 동화상 콘텐츠를 재생할 시에 특정한 조작을 행할 때에 얻어진 정보나, 카메라(18) 및 바이오센서(19)에 의해 얻어진 정보는, 사용자 B의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애니메이션 배신 서버(5)에 캐리어 통신망(2) 및 인터넷(3)을 경유하여, 이 동화상 콘텐츠의 내용에 대한 평가 결과로서 피드백된다 (단계 S113).
*단계 S112에서 동화상 콘텐츠를 휴대 통신 단말기(1)가 다운로드하여 재생을 행한 상태에서는, 사용자 B의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콘텐츠 배신 서버(7)를 향하는 업링크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단계 S113에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B의 휴대 통신 단말기(1)가 콘텐츠 배신 서버(7)에 액세스하여 업링크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단계 S101에서의 콘테스트 모집 시나, 단계 S109에서의 응모 작품의 공개 시에, 콘텐츠 배신 서버(7)로부터 사용자에 대하여 어떠한 특전을 제공한다고 하는 메시지, 예를 들면 "투표에 참가하실 분은 "3" 버튼을 눌러 주십시오. 차회의 콘텐츠 시청 요금이 30% 할인됩니다." 등과 같은 메시지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서 전송함으로써, 피드백을 재촉하도록 한다.
다음에, 콘텐츠 배신 서버(7)에서는 단계 S113에서 사용자 A의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전송된 피드백 정보인 평가 결과를 집계하고 (단계 S114), 예를 들면 득점이 1위, 2위로 된 우수 작품(스토리)을 집계 결과로서 발표한다 (단계 S115). 이 경우, 입상자의 승낙이 얻어지면, 그 입상자의 성명이나 전자 메일 어드레스 등도 아울러 발표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이 집계 결과의 발표와 함께, 상위 입상자에 대하여 투자를 하지 않겠습니까?라고 하는 취지의 모집을 행한다 (단계 S116). 이들 단계 S115에서의 집계 결과의 발표 및 단계 S116에서의 투자의 모집은, 예를 들면 콘텐츠 배신 업자의 홈페이지 상에서 행해진다. 투자의 모집에서는, 투자액을 예를 들면 1000엔을 한 단위로 하거나, 투자에 참가하는 사용자가 투자액을 임의로 지정할 수 있는 형식으로 행하여도 된다.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 예를 들면 사용자 N이 이 투자에 맞는 취지와 투자액을 콘텐츠 배신 업자에게 전자 메일이나 홈페이지 상에의 기입 등에 의해서 전달하면, 그 투자액은 예를 들면 사용자 N이 캐리어 통신망(2)을 운영하는 통신 업자에게 지불하는 통신 요금에 가산되는 형태로 인출된 후, 콘텐츠 배신 업자의 계좌에 입금된다. 그리고, 콘텐츠 배신 업자는 투자액으로부터 소정의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투자처인 사용자에게 지불한다.
애니메이션 분야에서는, 항상 참신한 스토리가 요구되고 있지만, 그와 같은 스토리를 써내려가는 작가(애니메이션의 원작자)도 애니메이션 작가와 함께 부족한 경향이라는 것이 실정이다. 금후의 수요 증대를 고려하면, 점점 더 그 경향이 강해진다고 예상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가 외출처 등에서 좋다고 생각되는 스토리의 아이디어가 떠올랐을 때, 손쉽게 응모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배신 업자는 내용이 우수한 스토리를 비교적 용이하게 수집하고, 잠재되어 있던 우수한 신인을 발굴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애니메이션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는 부분은 크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8에 도시한 흐름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의 동화상 콘텐츠 서비스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해, 휴대 통신 단말기(1)의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 동화상 콘텐츠(애니메이션 작품)의 제공을 모집한다. 응모된 동화상 콘텐츠를 각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공개함으로써, 인기 콘테스트를 행한다. 이 콘테스트에서 상위 입상자로 선발된 사용자에 대한 투자를 각 사용자에게 재촉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콘텐츠 배신 업자가 동화상 콘텐츠의 콘테스트를 모집한다 (단계 S121). 이 모집은 콘텐츠 배신 업자가 홈페이지 상에서 행하여도 되며, 휴대 통신 단말기(1)의 각 사용자에 대하여 전자 메일 그 밖의 방법으로 알게 하는 방법을 취하여도 된다.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 A, 사용자 B, …, 사용자 N 중, 사용자 A가 콘테스트에 응모, 즉 동화상 콘텐츠의 제공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사용자 A는 처음부터 자신의 툴로 동화상 콘텐츠를 작성하여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애니메이션 배신 업자의 애니메이션 배신 서버(5)로부터 편집 툴을 다운로드하여, 애니메이션 영상의 작성 및 편집을 행한다 (단계 S123∼S124). 그리고, 완성된 애니메이션 작품을 사용자 A의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캐리어 통신망(2) 및 인터넷(3)을 통해 콘텐츠 배신 업자의 콘텐츠 배신 서버(7)에 원작 콘텐츠로서 전송함으로써 응모한다 (단계 S125).
콘텐츠 배신 서버(7)에서는, 전송된 원작 콘텐츠에 대하여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편집을 실시하고, 편집 후의 동화상 콘텐츠를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등록한다 (단계 S126∼S127). 이와 같이 하여 배신하여야 할 콘텐츠가 콘텐츠 배신 서버(7)에 등록된 후, 콘텐츠 배신 업자에 의해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 A, 사용자 B, …, 사용자 N이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콘텐츠 배신 업자의 홈페이지 상에서 공개된다 (단계 S128).
콘텐츠 배신 업자에 의해 공개된 동화상 콘텐츠에 대하여,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 예를 들면 사용자 B가 다운로드 요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그렇게 하면, 이 요구는 캐리어 통신망(2) 및 인터넷(3)을 경유하여 콘텐츠 배신 서버(7)로 보내진다 (단계 S129). 이 요구된 동화상 콘텐츠는, 콘텐츠 배신 서버(7)로부터 인터넷(3) 및 캐리어 통신망(2)을 경유하여, 다운로드 요구를 한 사용자 B의 휴대 통신 단말기(1)에 다운로드된다 (단계 S130). 다운로드의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버퍼링 방식이나 스트리밍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행해진다.
다운로드된 동화상 콘텐츠는, 사용자 B에 의한 재생 지시의 조작에 의해 적절하게 재생된다 (단계 S131). 이 재생 시에, 사용자 B는 예를 들면, 도 7의 (b) 내에 도시한 "마음에 드는 장면에서 "1" 버튼, 재미없는 장면에서 "2" 버튼을 눌러 주십시오" 등의 메시지에 대응한 조작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8의 예에서는, 동화상 콘텐츠의 다운로드 및 재생이 1회로 종료하고 있지만, 제1 실시 형태와마찬가지로 복수회에 걸쳐 다운로드 및 재생을 행하여도 된다.
이렇게 해서 동화상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하면, 사용자가 동화상 콘텐츠를 재생할 시에 특정한 조작을 행했을 때에 얻어진 정보나, 카메라(18) 및 바이오센서(19)에 의해 얻어진 정보가 사용자 B의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애니메이션 배신 서버(5)에 캐리어 통신망(2) 및 인터넷(3)을 경유하여, 이 동화상 콘텐츠의 내용에 대한 평가 결과로서 피드백된다 (단계 S132).
단계 S132에서 동화상 콘텐츠를 휴대 통신 단말기(1)가 다운로드하여 재생을 행한 상태에서는, 사용자 B의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콘텐츠 배신 서버(7)로 향하는 업링크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단계 S132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B의 휴대 통신 단말기(1)가 콘텐츠 배신 서버(7)에 액세스하여 업링크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단계 S121에서의 콘테스트 모집 시나, 단계 S128에서의 응모 작품의 공개 시에, 콘텐츠 배신 서버(7)로부터 사용자에 대하여 어떠한 특전을 제공한다고 하는 메시지, 예를 들면 "투표에 참가하실 분은 "3" 버튼을 눌러 주십시오. 차회의 콘텐츠 시청 요금이 30% 할인됩니다" 등과 같은 메시지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서 전송함으로써, 피드백을 재촉하도록 한다.
다음에, 콘텐츠 배신 서버(7)에서는 단계 S132에서 사용자 A의 휴대 통신 단말기(1)로부터 전송된 피드백 정보인 평가 결과를 집계하고 (단계 S133), 예를 들면 득점이 1위, 2위 등의 우수 작품의 콘텐츠(원작 콘텐츠)를 집계 결과로서 발표한다 (단계 S134). 이 경우, 입상자의 승낙이 얻어지면, 그 입상자의 성명이나 전자 메일 어드레스 등도 아울러 발표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이 집계 결 과의 발표와 함께, 상위 입상자에 대하여 투자를 하지 않겠습니까?라고 하는 취지의 모집을 행한다 (단계 S135). 이들 단계 S134에서의 집계 결과의 발표 및 단계 S135에서의 투자의 모집은, 예를 들면 콘텐츠 배신 업자의 홈페이지 상에서 행해진다. 투자의 모집에서는, 투자액을 예를 들면 1000엔을 한 단위로 모집하거나, 투자에 참가하는 사용자가 투자액을 임의로 지정할 수 있는 등의 형식으로 행하여도 된다.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 예를 들면 사용자 N이 이 투자에 따른다고 하는 사실과 투자액을 콘텐츠 배신 업자에게 전자 메일이나 홈페이지 상에의 기입 등에 의해 전달하면, 그 투자액은 예를 들면 사용자 N이 캐리어 통신망(2)을 운영하는 통신 업자에게 지불하는 통신 요금에 가산되는 형태로 인출된 후, 콘텐츠 배신 업자의 계좌에 입금된다. 그리고, 콘텐츠 배신 업자는 투자액으로부터 소정의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투자처의 사용자에게 지불한다.
현재, 애니메이션에 한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동화상이나 정지 화상 등의 화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제작자나 작가의 수는 부족한 경향이며, 장래적으로는 점점 더 심각화할 것이 예상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러한 콘텐츠 제작에 관한 신인의 발굴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편집 툴을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에 대해서도 공개하고, 이 툴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으로 함으로써, 콘텐츠의 작성·편집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이 편집 툴을 사용하여 용이하고, 또한 휴대 통신 단말기(1)의 바이브레이션 제어 및 일루미네이션 제어의 기능을 갖는 박력 있는 재생을 할 수 있는 콘텐츠를 작성·편집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사용자의 창작 의욕을 고양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가 주로 애니메이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로서는 그 밖에 자연 화상이나 회화 등의 정지 화상 콘텐츠(보다 바람직하게는, 음악이나 나레이션 등의 사운드나 음성이 가해진 콘텐츠), 애니메이션 이외의 동화상 콘텐츠, 음악 등의 오디오 콘텐츠 등을 들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19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는,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에 대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인터넷(3)에 새롭게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서버(70), 경마 정보 서버(71), 주식 정보 서버(72), 시설 정보 서버(73)가 접속되어 있다. ASP 서버(70)는, 서버(71, 72 및 73)를 이용하여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에 대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예에서는 서버(71, 72 및 73)에 액세스하여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휴대 통신 단말기(1)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것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브레이터부(31) 및 일루미네이션부(32)를 갖는다. 바이브레이터부(31)가 ASP 서버(70)로부터 예를 들면 Java 스크립트의 형식으로 송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한 CPU(30)로부터의 제어를 받아, 제 어 정보에 따른 패턴으로 진동한다. 마찬가지로, 일루미네이션부(32)는, 상기 제어에 따른 패턴으로 점멸 표시를 행한다.
경마 정보 서버(71)는, 예를 들면 경마 주최자 혹은, 그 주최자에 의해 위탁 또는 허락된 서비스 회사가 운영하는 서비스 사이트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마 정보 서버(71)는 데이터 베이스를 갖고, 이 데이터 베이스에는, 각지에서 개최되는 경마에 관한 정보, 구체적으로는 경마의 레이스명, 개최지, 출주마명, 기수명, 토탈리제이터(Totalisator)에 의해 시시각각 계산되는 승률(odds: 출주마별 환급금 비율)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경마 정보 서버(71)에는, 종료한 레이스마다 그 결과, 즉 승마명, 배당금 등의 정보가 시시각각 기억된다.
경마 정보 서버(71) 내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억된 정보는,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로부터의 메시지 요구에 기초하여, 인터넷(3)을 통해 ASP 서버(70)에 의해 참조된다. ASP 서버(70)는,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로부터의 메시지 요구를 인터넷(3)을 통해 수취하면, 그 사용자가 승마 투표를 행한 레이스의 결과 정보를 경마 정보 서버(71)로부터 검색한다. 그리고, 그 사용자의 휴대 통신 단말기(1)에, 인터넷(3)을 통해 그 결과 정보와, 휴대 통신 단말기(1)의 바이브레이터부(31) 및 일루미네이션부(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주식 정보 서버(72)는, 예를 들면 증권 거래처나 증권 회사에 의해 운영되는 서비스 사이트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로 다우 평균, 주식의 종목별 시초가, 최고가, 최저가, 종가, 전일 대비, 거래액 등의 가격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갖는다.
주식 정보 서버(72) 내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억된 정보는,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인터넷(3)을 통해 ASP 서버(70)에 의해 참조된다. ASP 서버(70)는,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로부터의 주식 정보에 관한 요구를 인터넷(3)을 통해 수취하면, 그 사용자가 구입한 주식 종목의 가격 정보를 주식 정보 서버(72)로부터 검색한다. 그리고, 그 사용자의 휴대 통신 단말기(1)에, 인터넷(3)을 통해 그 가격 정보와, 휴대 통신 단말기(1)의 바이브레이터부(31) 및 일루미네이션부(32)(도 3 참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시설 정보 서버(73)는, 다양한 서비스 시설, 예를 들면 (a) 음식점, 백화점, 패션 부티크, 각종 전문점 등의 점포, (b) 영화관, 극장, 콘서트 회장, 야구장, 축구장, 경마장, 경륜장, 호텔, 모텔, 병원, 도서관, 미술관, 박물관 등의 공공 시설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 베이스를 갖는다. 여기서, 서비스 시설에 관한 정보란, 점포를 예로 들면, 점포의 종류(업종이나 취급 상품), 점포명, 점포의 장소 등의 정보를 가리킨다.
시설 정보 서버(73) 내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억된 정보는,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인터넷(3)을 통해 ASP 서버(70)에 의해 참조된다. ASP 서버(70)는,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로부터의 시설에 관한 요구를 인터넷(3)을 통해 수취하면, 그 사용자가 가고 싶다고 희망하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시설 정보 서버(71)로부터 검색한다. 그리고, 그 사용자의 휴대 통신 단말기(1)에 인터넷(3)을 통해 그 시설에 관한 정보와, 휴대 통신 단말기(1)의 바이 브레이터부(31) 및 일루미네이션부(32)(도 3 참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송 신한다.
또한, ASP 서버(70)는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가 외출처에서 원하는 서비스 시설을 찾고 있고, 그 시설이 존재하는 지역에 도달하면, ASP 서버(70)는 그 위치 정보에 따라,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가 해당 지역에 도달한 것을 인식하고, 그러한 내용의 메시지를 상기 제어 정보와 함께 송신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게 알린다.
다음에, 도 20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수순을 설명한다. 도 21은,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와, ASP 서버(70)와, 경마 정보 서버(71), 주식 정보 서버(72) 및 시설 정보 서버(73) 간의 교환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가 경마 결과 메시지의 송출 요구를 ASP 서버(70)로 송출하면(단계 S201), ASP 서버(70)는 경마 정보 서버(71)로부터 경마의 결과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202).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는, ASP 서버(70)에 대하여, 사전에 자신이 투표에 참가한 (승리마 투표권을 구입한) 레이스의 결과 정보를 메시지로서 보내주길 원한다는 내용의 등록을 사전에 행하고 있다. ASP 서버(70)에서는, 이 메시지 송출 요구 등록 내용에 따라서,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가 투표에 참가한 레이스의 결과 정보를 전자 메일 메시지로서 휴대 통신 단말기(1)로 송신함과 함께, 결과 정보에 따라서 휴대 통신 단말기(1)의 바이브레이터부(31) 및 일루미네이션부(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S203).
구체적으로는, ASP 서버(70)는 사용자가 투표한 레이스가 적중한 경우에 제어 정보를 송출하는데, 그 때에 승률값에 따라 제어 정보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면, 승률이 2배∼10배 정도이면, 바이브레이터부(31)를 1∼3초간 정도에 걸쳐 약하게 진동시키면서, 일루미네이션부(32)를 1회만 점멸시키고, 승률이 수십배 정도이면, 바이브레이터부(31)를 5초간 정도에 걸쳐 중간 정도로 강하게 진동시키면서, 일루미네이션부(32)를 수회만큼 점멸시키고, 그리고 승률이 수십배 정도이면, 바이브레이터부(31)를 10초간 정도에 걸쳐 강하게 진동시키면서, 일루미네이션부(32)를 다수회 반복 점멸시킨다. 이에 따라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는, 자신이 투표한 레이스가 적중한 것을 보다 큰 감동을 갖고 실감할 수 있다.
여기서는, 경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경륜, 조정, 복권, 및 각종 현상 모집 등에서도 마찬가지의 서비스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경마, 경륜, 조정, 복권, 및 각종 현상 모집은, 어느 것이나 보상이 포함된 이벤트이다. 사용자가 신청한 이러한 보상이 포함된 이벤트의 결과 정보를 휴대 통신 단말기(1)에 배신하는 서비스 전체에 본 발명은 유효한 것이 분명하다.
한편,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가 주가 메시지의 송출 요구를 ASP 서버(70)로 송출하면 (단계 S211), ASP 서버(70)는 주식 정보 서버(72)로부터 사용자가 구입한 주식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212).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는, ASP 서버(70)에 대하여, 사전에 자신이 구입한 주식의 가격 정보를 메시지로서 보내주길 희망한다고 하는 내용의 등록을 사전에 행하고 있다. ASP 서버(70)에서는, 이 메시지 송출 요구의 등록 내용에 따라,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가 구 입한 주식의 현재의 가격 정보를 전자 메일 메시지로서 휴대 통신 단말기(1)로 송신함과 아울러, 그 가격 정보에 따라서 휴대 통신 단말기(1)의 바이브레이터부(31) 및 일루미네이션부(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S213).
구체적으로는, ASP 서버(70)는 사용자가 구입한 주식의 가격이 오른 경우에 제어 정보를 송출하는데, 그 때에 그 주식의 값이 오르는 정도에 따라 제어 정보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면, 주가가 구입 가격보다 2∼4% 오르면, 바이브레이터부(31)를 1∼3초간 정도에 걸쳐 약하게 진동시키면서, 일루미네이션부(32)를 1회만 점멸시키고, 주가가 5∼7% 오르면, 바이브레이터부(31)를 5초간 정도에 걸쳐 중간 정도로 강하게 진동시키면서, 일루미네이션부(32)를 수회만큼 점멸시키고, 그리고 주가가 상한가로 되면, 바이브레이터부(31)를 10초간 정도에 걸쳐 강하게 진동시키면서, 일루미네이션부(32)를 다수회 반복하여 점멸시킨다. 이에 따라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는, 자신이 구입한 주식의 값이 오르는 것을 보다 크게 기뻐하면서 실감할 수 있다.
여기서는, 주식 정보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경매, 역 경매를 행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적용이 가능하다. 즉, 주식 정보 서버(72)를 경매 서버로 바꾸고,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가 경매에 출품한 경우나, 역 경매로 자신이 원하는 상품 등을 취득하려고 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러한 경우, 경매에서, 출품한 상품이 사용자가 원하는 가격 이상으로 팔리기로 결정되었을 때, 혹은 역 경매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이 희망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는 것이 결정되었을 때, ASP 서버(70)는 경매 서버를 참조하여 이들 사실을 파악하여, 해당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1)로 제어 정보를 송출하고, 바이브레이터부(31)를 강하게 진동시키면서, 일루미네이션부(32)를 점멸시킨다. 이에 따라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는, 경매 또는 역 경매의 성공을 크게 기뻐하면서 알 수 있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가 시설 메시지의 송출 요구를 ASP 서버(70)로 송출하면 (단계 S221), ASP 서버(70)는 시설 정보 서버(73)로부터 사용자가 희망하고 있는 시설의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222).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는, ASP 서버(70)에 대하여 사전에 자신이 가고 싶은 시설의 속성(시설명, 시설의 종류 등)을 지정하여, 그 시설에 관한 정보를 메시지로서 받고 싶다고 하는취지의 등록을 사전에 행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한 시설 속성의 지정은, 예를 들면 "중화요리 식당" , "여성용 드레스" , "스타워즈를 상영하고 있는 영화관" 등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이렇게 해서 지정된 시설 속성의 정보는,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명(또는 발신자 번호)에 대응하여 ASP 서버(70)에서 등록된다.
ASP 서버(70)는, 사용자로부터의 메시지 송출 요구를 수취하면, 그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223). 이 위치 정보는, 예를 들면 캐리어 통신망(2)으로부터 인터넷(3)을 통해 ASP 서버(70)에 의해 제공된다. 휴대 통신 단말기(1)는 캐리어 통신망(2)에 포함되는 가장 가까운 기지국과 교신하고 있기 때문에, 캐리어 통신망(2)은 휴대 통신 단말기(1)의 발신자 번호로부터 그 단말기(1)가 어떤 기지국의 커버 영역(존)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위치를 특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ASP 서버(70)에서는, 이렇게 해서 취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에 의해 ASP 서버(70)에 등록된 속성의 서비스 시설이 그 사용자의 현재지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해당 시설이 존재하는 지역 내에 도달하면, ASP 서버(70)는 그러한 내용의 메시지를 전자 메일 메시지로 하여 휴대 통신 단말기(1)로 송신함과 함께, 휴대 통신 단말기(1)의 바이브레이터부(31) 및 일루미네이션부(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S224). 이와 같이 하여 휴대 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는, 사전에 지정하여 ASP 서버(70)에 등록한 원하는 서비스 시설의 근처에 도달한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21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는, 휴대 통신 단말기(1A, 1B)의 사용자끼리 신규의 전자 메일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 적합한 시스템이다. 캐리어 통신망(2A, 2B)에, 각각 전자 메일 서버(81A, 81B)가 접속되어 있다. 캐리어 통신망(2A, 2B)은 상호 다른 캐리어(전기 통신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호환성이 없는, 다른 통신 포맷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휴대 통신 단말기(1A)은 캐리어 통신망(2A)에 수용되며, 휴대 통신 단말기(1B)은 캐리어 통신망(2B)에 수용되어 있다. 즉, 휴대 통신 단말기(1A와 1B)은, 다른 캐리어에 가입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휴대 통신 단말기(1A, 1B)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의 장 치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브레이터부(31) 및 일루미네이션부(32)를 갖는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기(1A, 1B)에서는, 사용자가 도 2에 도시한 기능 선택 버튼(12B)을 누르면서 커서 버튼(12C)을 누르면, 통신 상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부(31)를 진동시키는 커맨드(이것을 바이브레이션 커맨드라고 함)가 입력된다. 사용자가 기능 선택 버튼(12B)을 누르면서 커서 버튼(12D)을 누르면, 통신 상대 단말기의 일루미네이션부(32)를 점멸 표시시키는 커맨드(이것을 일루미네이션 커맨드라고 함)가 입력된다. 이들 바이브레이션 커맨드 및 일루미네이션 커맨드는, 예를 들면 Java 스크립트로서 메일 메시지에 부가되어 송신된다.
버튼(12B, 12C, 12D)을 이용하지 않고서, 예를 들면 메일 메시지의 입력 화면에서 특정한 캐릭터를 선택함으로써, 바이브레이션 커맨드 및 일루미네이션 커맨드가 입력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들 커맨드는 캐릭터 코드의 형태로 입력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바이브레이터부(31)에 대하여 바이브레이션 패턴, 일루미네이션부(32)에 대하여 복수의 일루미네이션 패턴을 준비해 두고, 이들 중 하나의 패턴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바이브레이션 커맨드 및 일루미네이션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메일 메시지 내의 임의의 위치에 이러한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텍스트만의 메일 메시지로서는 기대할 수 없는 효과적인 전자 메일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도 22의 (a)∼도 22의 (c)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메일 송신자는, "안녕.………사랑해요. ………그럼, 또 연락할께요" 등의 메일 메시지를 입력 할 때에, "안녕" 의 이전 또는 이후에 패턴 1의 바이브레이션 커맨드를 입력하고, "사랑해요"의 이전 또는 이후에, 패턴 2의 바이브레이션 커맨드와, 패턴 B의 일루미네이션 커맨드를 입력하고, 또한 "그럼, 또 연락할께요"의 이전 또는 이후에, 패턴 A의 일루미네이션 커맨드를 입력하였다고 하자.
도 22의 (a)∼도 22의 (c)는, 이러한 경우에서의 표시부(13) 상의 수신 메시지 화면과, 그에 대응하여 바이브레이터부(31)의 바이브레이션 및 일루미네이션부(32)의 일루미네이션이 어떻게 현출되는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메일 메시지의 텍스트는, 이 예에서는 수신 순으로 아래로부터 위를 향해 스크롤하면서 표시된다. 이 메일 텍스트의 표시 과정에서, 최초에 "안녕"이 표시됨과 동시에, 바이브레이터부(31)가 패턴(1)에 따라서 진동한다. 다음에, "사랑해요"가 표시되면, 이것에 동기하여 바이브레이션부(31)가 패턴(2)에 따라서 진동하며, 동시에 일루미네이션부(32)가 패턴 B에 따라서 점멸 표시된다. 마지막으로,"그럼, 또 연락할께요"가 표시되면, 일루미네이션부(32)가 패턴 A에 따라서 점멸 표시된다.
이러한 메일 메시지를 수취한 수신자는, 단순한 문자열의 텍스트만으로부터는 좀처럼 느낄 수 없는 메일 송신자의 감정을 지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자칫하면 의사 소통을 소홀히하기 쉽던 전자 메일의 결점이 완화되어, 인간성이 넘치는 메일 교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상술한 바이브레이션 커맨드 및 일루미네이션 커맨드가 부가된 메일 메시지의 송수신을 행하는 경우, 이들 커맨드의 호환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동일 캐리어에 가입하고 있는 휴대 통신 단말기(1A)끼리, 휴대 통신 단말기(1B)끼리, 메일 메시지의 송수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물론 호환성의 문제는 없다. 다른 캐리어에 가입하고 있는 휴대 통신 단말기(1A와 1B) 사이에서 메일 메시지의 송수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맨드의 호환성이 확보되지 않을 가능성이, 적어도 본 전자 메일 시스템의 보급 과도기에는 생길 수 있다고 고려된다.
도 21의 메일 서버(81A, 81B) 내에는, 이러한 호환성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포맷 변환기(82A, 82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휴대 통신 단말기(1A)로부터 휴대 통신 단말기(1B)에 상기한 바와 같은 메일 메시지를 송신할 때에는, 이 메일 메시지에 포함되는 바이브레이션 커맨드 및 일루미네이션 커맨드가, 포맷 변환기(82A)(또는 82B)에 의해, 수신측의 휴대 통신 단말기(1B)에서 대응 가능한 커맨드로 변환된다. 마찬가지로, 휴대 통신 단말기(1B)로부터 휴대 통신 단말기(1A)로 상기한 바와 같은 메일 메시지를 송신할 때에는, 이 메일 메시지에 포함되는 바이브레이션 커맨드 및 일루미네이션 커맨드가, 포맷 변환기(82B)(또는 82A)에 의해서, 수신측의 휴대 통신 단말기(1A)에서 대응 가능한 커맨드로 변환된다. 이것에 의해서, 다른 캐리어에 각각 가입하고 있는, 즉 다른 캐리어가 운영하고 있는 캐리어 통신망(2A, 2B)에 각각 수용되어 있는 휴대 통신 단말기(1A, 1B) 간의 메일 메시지 교환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이브레이션 및 일루미네이션의 병용에 의한 효과를 향수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전자 메일 서버(81A 또는 81B)에서의 처리의 수순을 설명한다. 우선, 메일 수신처 단말기의 가입 영역, 즉 메일 메시지의 송신처의 휴대 통신 단말기가 어떤 캐리어에 가입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 다 (단계 S301). 이 체크 결과에 기초하여, 메일 송신원의 휴대 통신 단말기가 가입하고 있는 캐리어와 송신처의 휴대 통신 단말기가 가입하고 있는 캐리어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단계 S302).
이 결과, 각각의 캐리어가 일치하고 있으면, 전자 메일 서버는 그대로 메일 메시지가 송신처의 휴대 통신 단말기로 송신된다 (단계 S304). 각각의 캐리어가 일치하지 않으면, 포맷 변환기에서 메일 메시지 중의 바이브레이션 커맨드 및 일루미네이션 커맨드가 송신처의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대응 가능한 커맨드로 변환되고 (단계 S303), 이 후 메일 메시지가 송신처의 휴대 통신 단말기로 송신된다 (단계 S304).
[제6 실시 형태]
도 24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번호 통지 기능을 이용하여, 착신측의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 번호에 대응한 화상 표시, 바이브레이션 및 일루미네이션을 행한다.
도 24에서는, 콘텐츠 서버(80)가 네트워크(3)에 접속되어 있다. 콘텐츠 서버(80)는, 도면 중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화상, 복수의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복수의 일루미네이션 패턴을 저장한 데이터 베이스를 갖는다.
한편, 휴대 통신 단말기(1-1, 1-2, …)의 내부의 기억부, 즉, 도 2의 메모리(34)에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테이블 형식으로, 다른 휴대 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번호(전화 번호)에 각각 대응시켜, 고유의 화상과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일 루미네이션 패턴이 기억되어 있다.
도 24에서, 휴대 통신 단말기(1-1)로부터 단말기(1-2)에 대하여 송신(예를 들면, 전화 발신)을 행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착신처의 휴대 통신 단말기(1-2)에서는, 발신자 번호(발신원의 휴대 통신 단말기(1-1)의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화상이 표시되고, 또한 그 발신자 번호에 대응하는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일루미네이션 패턴에 따라서 바이브레이터부(31) 및 일루미네이션부(32)가 작동한다. 이러한 동작을 실현하는 방법은, 몇개인가가 존재한다.
제1 방법에 의하면, 휴대 통신 단말기(1-1)에, 예를 들면 화살표(81)로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 통신망(2) 및 네트워크(3)를 통해 콘텐츠 서버(80)로부터 원하는 각각 복수의 화상,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일루미네이션 패턴이 사전에 다운로드된다. 다운로드된 정보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테이블 형식으로 자신의 기억부인 도 2의 메모리(34)에 저장된다.
휴대 통신 단말기(1-1)로부터 단말기(1-2)로의 송신 시에는, 휴대 통신 단말기(1-1)의 전화 번호가 발신자 번호로서 휴대 통신 단말기(1-2)에 도달한다. 휴대 통신 단말기(1-2)에서는, 수신한 발신자 번호를 키로 하여 도 25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도 2의 메모리(34)로부터 발신자 번호에 대응하는 각각 하나의 화상,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일루미네이션 패턴을 판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메모리(34)로부터 판독된 화상은 CPU(30)를 통해 표시부(13)로 보내져서 표시된다. 메모리(34)로부터 판독된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일루미네이션 패턴은, CPU(30)를 통해 바이브레이터부(31) 및 일루미네이션부(32)로 각각 보내진다. 이에 따라, 바이브레이터부 (31)는 바이브레이션 패턴에 따른 진동을 행하고, 일루미네이션부(32)에서는 일루미네이션 패턴에 따른 표시를 행한다.
제2 방법에 의하면, 도 25에 도시한 테이블에서는 발신자 번호에 대응하는 화상,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일루미네이션 패턴은, 각각 화상이나 패턴 그 자체가 아니라, 이들을 지시하는 인덱스로서 기억된다. 휴대 통신 단말기(1-1)로부터 화살표(83, 84)로 나타내는 경로로 콘텐츠 서버(80)에 액세스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콘텐츠 서버(80)로부터, 발신자 번호에 대응한 인덱스에 따라서 화상,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일루미네이션 패턴이 판독되고, 화살표(8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통신 단말기(1-2)로 송신된다. 휴대 통신 단말기(1-2)에 수신된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일루미네이션 패턴은, CPU(30)를 통해 바이브레이터부(31) 및 일루미네이션부(32)로 각각 보내진다. 이에 따라 바이브레이터부(31)는 바이브레이션 패턴에 따른 진동을 행하고, 일루미네이션부(32)에서는 일루미네이션 패턴에 따른 표시를 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착신측의 휴대 통신 단말기(1-2)에서, 발신측의 휴대 통신 단말기(1-1)의 전화 번호(발신자 번호)에 대응하여, 사전에 정해진 화상 표시나 바이브레이션 및 일루미네이션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화나 전자 메일을 이용할 때, 발신자를 시각적이면서 청각적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 26에는, 도 2의 메모리(34)에 저장되는 다른 테이블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발신자 번호와 시간 의존 데이터값과의 조합에 대하여, 화상,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일루미네이션 패턴이 각각 대응되어 있다. 여기서, 시간 의존 데이터값이란 예를 들면 날짜로서, 보다 간단하게는 날짜의 말미의 숫자(예를 들면, 2000년 10월 25일이면, "5")가 이용된다. 시간 의존 데이터값으로서는, 시간에 의해 변화하는 값이면 기본적으로 어느 것이어도 되며, 예를 들면 시간적으로 랜덤한 값을 취하는 랜덤 패턴값도 포함한다.
이러한 테이블을 이용하면, 동일한 발신자 번호에 대한 착신에 있어서도, 착신의 날짜에 따라서 화상,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일루미네이션 패턴이 변화하게 되어, 착신의 발생을 일종의 게임 감각으로도 즐길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신자 번호 또는 발신자 번호와 시간 의존 데이터값과의 조합에 대하여, 화상,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일루미네이션 패턴을 대응시켰지만, 화상, 이들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일루미네이션 패턴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두개만을 대응시켜도 된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자 번호 또는 발신자 번호와 시간 의존 데이터값과의 조합에 대하여, 음성 메시지를 더 대응시켜도 된다. 특히, 발신자 번호 또는 발신자 번호와 시간 의존 데이터값과의 조합에 대하여, 화상과 음성 메시지의 조합을 대응시키는 것은 유효하다.
구체적인 이용법으로서는, 어떤 사용자가 가족, 친구 혹은 연인 등 빈번하게 통신을 주고 받는 상대가 소유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번호에 대응시켜서, 그 상대의 얼굴 화상과 음성 메시지를 메모리(34)에 기록해 둔다. 그 상대로부터 전화 또는 전자 메일의 착신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대의 얼굴 화상이 표시부(13) 상에 표시됨과 함께, "안녕! 저예요" 등과 같은 인사의 음성 메시지가 수화용 스피커(14) 또는 사운드용 스피커부(33)로부터 발생한다. 이러한 화상과 음성 메시지에 의해, 수신자는 누구로부터의 발신인지를 즐거운 기분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메모리(34)에 대한 상대의 얼굴 화상이나 음성 메시지의 기록은, 휴대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18) 및 송화 마이크로폰(15)을 각각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혹은 상대로부터 송신된 화상이나 음성 메시지를 캐리어 통신망(2) 및 인터넷(3)을 통해 수취하고, 메모리(34)에 저장하여도 된다. 또한, 실재의 상대의 얼굴 화상이나 음성 메시지가 아니라, 예를 들면 콘텐츠 서버(80)로부터 다운로드한 캐릭터 화상이나 음성 메시지를 메모리(34)에 저장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메모리(34)에, 도 27 또는 도 28과 같은 테이블이 작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며, 고속·대용량의 통신 방식에 대응한 휴대 통신 단말기를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종래에는 구현할 수 없었던 화상이나 음성의 콘텐츠 등의 정보에 관한 다양한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며, 고속·대용량의 통신 방식에 대응한 휴대 통신 단말기를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종래에는 구현할 수 없었던 화상이나 음성의 콘텐츠 등의 정보에 관한 다양한 서비스를 실행하는 서비스 방법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유효하다.

Claims (9)

  1. 휴대 통신 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콘텐츠를 배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내에 상기 콘텐츠를 열람하기 위해 사전에 등록된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생일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를 위한 메시지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가 삽입된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에 배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배신 방법.
  2. 삭제
  3. 휴대 통신 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콘텐츠를 배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의 재생 후에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특수 재생 조작을 행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하는 단계와,
    송신된 상기 특수 재생을 행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집계하고, 그 집계 결과를 이후의 신규 콘텐츠의 작성 및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로의 콘텐츠 배신에 반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배신 방법.
  4. 휴대 통신 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콘텐츠를 배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의 재생 후에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얼굴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얻어지는 화상 정보를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하는 단계와,
    송신된 상기 화상 정보를 집계하고, 그 집계 결과를 이후의 신규 콘텐츠의 작성 및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로의 콘텐츠 배신에 반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배신 방법.
  5. 삭제
  6. 휴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광고 정보의 재생 후에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특수 재생 조작을 행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한 조작에 기초해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조작 이력 정보를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와,
    송신된 상기 특수 재생을 행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집계하고, 그 집계 결과를 리서치 업자 또는 기관에 배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케팅 방법.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재생 조작은, 정지, 구간 리피트, 컷 보내기, 및 앞으로 감기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배신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재생 조작은, 정지, 구간 리피트, 컷 보내기, 및 앞으로 감기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방법.
KR1020057008155A 2000-07-14 2000-09-26 휴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713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15032A JP3774358B2 (ja) 2000-07-14 2000-07-14 携帯通信端末を利用したコンテンツサービス方法
JPJP-P-2000-00215032 2000-07-1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359A Division KR100595794B1 (ko) 2000-07-14 2000-09-26 휴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024A KR20050046024A (ko) 2005-05-17
KR100713754B1 true KR100713754B1 (ko) 2007-05-07

Family

ID=1871052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155A KR100713754B1 (ko) 2000-07-14 2000-09-26 휴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0027003359A KR100595794B1 (ko) 2000-07-14 2000-09-26 휴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 방법
KR1020057008157A KR100610714B1 (ko) 2000-07-14 2000-09-26 휴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메일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359A KR100595794B1 (ko) 2000-07-14 2000-09-26 휴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 방법
KR1020057008157A KR100610714B1 (ko) 2000-07-14 2000-09-26 휴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메일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74358B2 (ko)
KR (3) KR100713754B1 (ko)
WO (1) WO20020074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3616A (ja) * 2002-02-13 2003-08-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提供情報提示装置、および情報提供装置
JP2005353076A (ja) * 2002-12-24 2005-12-22 Hitachi Ltd 広告配信サーバ、広告配信方法、広告配信プログラム
JP2003304309A (ja) * 2003-04-11 2003-10-24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4341366B2 (ja) * 2003-10-23 2009-10-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ファイル再生プログラム
JP4747537B2 (ja) * 2004-09-07 2011-08-1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携帯端末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035585B2 (en) 2004-12-17 2011-10-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Graphic data files including illumination control and relate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JP2006179985A (ja) * 2004-12-20 2006-07-06 Dowango:Kk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JP2006179986A (ja) * 2004-12-20 2006-07-06 Dowango:Kk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KR101131856B1 (ko) 2006-11-03 2012-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신호 송수신방법
KR101134926B1 (ko) * 2006-11-03 2012-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JP4875483B2 (ja) * 2006-12-26 2012-02-15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8225119A (ja) * 2007-03-13 2008-09-25 Pioneer Electronic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9152952A (ja) * 2007-12-21 2009-07-09 Nec Corp 配信システム、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13245B2 (en) * 2007-12-24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streaming for on demand wireless services
JP4618301B2 (ja) 2008-01-08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の提供方法
CA2721700C (en) * 2008-04-17 2019-07-16 Sony Corporation Dual-type of playback for multimedia content
KR101615872B1 (ko) * 2009-05-08 201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햅틱 기능 전송 방법 및 시스템
JP5093785B2 (ja) * 2009-10-28 2012-12-12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画像共有システム、画像管理装置、画像共有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098984B2 (en) * 2013-03-14 2015-08-04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effects broadcasting during a group event
US10139907B2 (en) 2014-06-16 2018-11-27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oley-style haptic content cre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2006A (ko) * 1998-09-24 2000-04-25 윤종용 디지털 컨텐트의 암호화/해독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6731A (ko) * 2000-03-27 2000-07-05 이영만 복제가 불가능 하게 한 컴퓨터 제어용 콘텐츠 재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437A (ja) * 1991-07-10 1993-01-29 Nec Corp 懸賞応募方式
JP3675008B2 (ja) * 1995-11-17 2005-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動画メール作成方法及び動画メールシステム
JPH10150505A (ja) * 1996-11-19 1998-06-02 Sony Corp 情報通信処理方法及び情報通信処理装置
JPH10304419A (ja) * 1997-04-24 1998-1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装置
JPH1198224A (ja) * 1997-09-18 1999-04-09 Sharp Corp 着信報知機能を備えた受信装置、着信報知方法および受信装置の着信報知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11136365A (ja) * 1997-10-31 1999-05-21 Hitachi Ltd 情報配信システム
JP3243488B2 (ja) * 1997-11-21 2002-01-07 株式会社バンダイ 携帯用電子機器装置
JPH11163971A (ja) * 1997-11-26 1999-06-18 Kyocera Corp 無線電話端末の着信通知方式
JPH11168498A (ja) * 1997-12-02 1999-06-22 Casio Comput Co Ltd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電子メール補助装置及び記録媒体
JPH11187087A (ja) * 1997-12-17 1999-07-09 Toshiba Corp 着信バイブレータ機能付き通信機器
JPH11234368A (ja) * 1998-02-13 1999-08-27 Nec Mobile Commun Ltd 送受信方法
JP3628181B2 (ja) * 1998-07-30 2005-03-09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JP2000101687A (ja) * 1998-09-18 2000-04-07 Canon Inc 無線電話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0134332A (ja) * 1998-10-26 2000-05-12 J-Phone Tokai Co Ltd 携帯電話の着信メロディ送り出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2006A (ko) * 1998-09-24 2000-04-25 윤종용 디지털 컨텐트의 암호화/해독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6731A (ko) * 2000-03-27 2000-07-05 이영만 복제가 불가능 하게 한 컴퓨터 제어용 콘텐츠 재생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22006 *
102000003673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74358B2 (ja) 2006-05-10
KR20020027645A (ko) 2002-04-13
KR100595794B1 (ko) 2006-07-03
KR20050048694A (ko) 2005-05-24
JP2002033802A (ja) 2002-01-31
WO2002007414A1 (fr) 2002-01-24
KR20050046024A (ko) 2005-05-17
KR100610714B1 (ko)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754B1 (ko) 휴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11366873B2 (en) Personalized content processing and delivery system and media
US7725360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6965770B2 (en) Dynamic content delivery responsive to user requests
JP5795700B2 (ja) 拡張された通信フィーチャを有するデジタルダウンロードジュークボックス
JP5902298B2 (ja) Lbsを用いたソシアル音楽サービス提供方法とシステム及びその提供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US20030220970A1 (en) Electronic disk jockey service
CN101365522A (zh) 如在视频游戏或移动设备环境中的流媒体投放
WO20081576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events to be displayed at virtual venues and social networking
JP2006268442A (ja) 画像合成表示装置と携帯端末装置と画像合成表示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画像合成表示方法
JP2016076206A (ja) テキストメッセージングシステムユーザーデバイスのための選択可能なスタイル
JP3642750B2 (ja) 通信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実行装置、記録媒体、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番組情報編集方法
JP2016076207A (ja) テキストメッセージングシステムパブリッシャーのための選択可能なスタイル
JP5355013B2 (ja) 画像提供システム、画像提供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画像提供方法
JP2002044218A (ja) 表示画面制御装置及び表示画面制御方法
JP7202754B1 (ja) 電子漫画配信システム及び電子漫画配信プログラム
JP4170979B2 (ja) 携帯通信端末
JP4213656B2 (ja) 携帯通信端末
CN104125305A (zh) 动态推送日历信息的方法与系统
JP3621904B2 (ja) カラオケ映像作品を選択できるカラオケ演奏端末
JP2003125368A (ja) ビデオメール装置
JP6971762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JP2002140618A (ja) 広告配信システム、サーバ、端末、方法及び記録媒体
KR2006005464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55015A (ko) 음원이 첨부된 사이버 캐릭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