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926B1 -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926B1
KR101134926B1 KR1020060108427A KR20060108427A KR101134926B1 KR 101134926 B1 KR101134926 B1 KR 101134926B1 KR 1020060108427 A KR1020060108427 A KR 1020060108427A KR 20060108427 A KR20060108427 A KR 20060108427A KR 101134926 B1 KR101134926 B1 KR 101134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vibration
terminal
control information
vibr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0444A (ko
Inventor
곽재도
강태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8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926B1/ko
Priority to EP07021113.1A priority patent/EP1919158B1/en
Priority to MX2007013836A priority patent/MX2007013836A/es
Priority to US11/934,714 priority patent/US8131275B2/en
Priority to CNA2007101442004A priority patent/CN101237289A/zh
Publication of KR20080040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3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affect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데이터에 진동 제어 정보와 같은 운동 제어 정보를 실어 보냄으로써, 상기 운동 제어 정보에 의해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과 같은 기계적 운동(mechanical motion)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기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진동시키는 진동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송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방송, 진동 제어 정보, 진동, BIFS, MOT, FLUTE, RTCP

Description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Broadcast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Vibration Of Broadcast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방송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송국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BIFS를 이용하여 진동 객체(vibration object)를 정의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BIFS VRML를 이용하여 진동 객체를 표현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BIFS의 ES_Descriptor의 필드 정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Core 2D profile 1.0에 기반한 BIFS VRML 객체 배열(object arrange)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ES_ID 필드(2 bytes)를 이용하여 진동 제어 정보를 표현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MOT를 사용한 DAB 전송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방송 데이터 구조의 구체적인 예로서, MOT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MOT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지상파 DMB의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DVB-H의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RTCP의 SDES의 패킷 구조(packet format)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RTCP 콤파운드 패킷(compound packet)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RTCP 콤파운드 패킷(compound packet)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 터를 수신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를 좀 더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에 따라 방송용 단말기(110)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상황들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이용한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라 활성화될 진동 제어 정보가 설정된 화면의 예를 도 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방송국 110: 방송용 단말기
101: 방송 객체 저장부 102: 진동 제어 정보 생성부
103: 방송 데이터 변환부 104: 전송부
300: 방송 수신 모듈 310: 입력부
320: 표시부 330: 오디오 처리부
340: 메모리부: 343: 방송 객체 저장부
345: 진동 제어 정보 저장부 350: 제어부
353: 방송 제어부 355: 진동 제어부
360: 이동통신 모듈 370: 방송 데이터 분리부
380: 방송 객체 처리부 390: 진동 모듈
본 발명은 방송(broadcasting)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 데이터에 진동 제어 정보와 같은 운동 제어 정보를 실어 보냄으로써, 상기 운동 제어 정보에 의해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과 같은 기계적 운동(mechanical motion)을 발생 시킬 수 있는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및 방송 기술의 융합 및 발전에 힘입어, 고정된 장소 및 정해진 시각뿐만 아니라, 이동 중 혹은 시청을 원하는 시각에 방송을 즐길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특히, 한국에서는 2005년부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가 시작되는 등 향후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방식의 이동형 디지털 방송이 서비스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종래 고정형 수신기를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이외에 이동형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규격에 제안, 논의 및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사용자는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는 방송국(broadcast station)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최근 디지털 TV(TeleVision) 시대가 도래함으로써 종전 아날로그 방식에 의한 방송 시대에는 제공받지 못했던 다양한 멀티미디어콘텐츠의 제공, 양방향 서비스 등 각종 디지털 서비스의 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특히 이동형/휴대용 방송용 단말기가 최근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실정에 비추어, 방송국은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방송 콘텐츠를 제공할 필요성이 더욱 증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최근의 이러한 추세와 요청에 따라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방송국이 전송하는 방송 데이터에 운동 제어 정보를 실어 보냄으로써,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과 같은 기계적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시각 및 청각에만 의존하던 방송에서 벗어나 촉각에 의한 방송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방송을 제공할 수 있는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동 제어 정보와 같은 운동 제어 정보를 다양한 기준에 의해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새로운 재미를 부여함과 동시에 방송 콘텐츠의 내용을 강조할 수 있는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은,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기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진동시키는 진동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송 데이터는 방송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단계는 상기 방송 객체를 재생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는, 상기 방송 객체가 재생되는 시각과 연동되거나, 상기 방송 객체의 종류 혹은 내용과 연동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객체 및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각각 별개의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BIFS(Binay Format for Scenes) 혹은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객체는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일 수 있다.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진동 발생 시점(vibration time), 진동 지속 시간(vibration duration) 및 진동 패턴(vibration patter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의 요청은, 상기 방송 채널로부터 방송 데이터의 수신 중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의 요청은, 상기 방송 채널이 단방향 채널인 경우 상기 방송 채널과는 별도의 리턴 채널(return channel)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상기 방송 채널이 양방향 채널인 경우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동 단계에서의 진동 발생은,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 단계에서의 진동 발생은, 상기 진동 발생이 비활성화로 설정되고 상기 수신되는 진동 제어 정보가 진동을 강제하는 진동 강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비활성화 설정을 무시하고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은, 상기 수신 단계의 수행 전에 혹은 상기 수신 단계의 수행 중,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편성표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에서 활성화될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가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 단계는,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편성표는, 상기 방송 채널 혹은 기타 유선/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는, 진동(vibration)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 모듈; 방송 채널을 통해, 단말기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모듈;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진동 모듈을 제어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송 데이터는 방송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객체를 재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생 중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편성표를 참조하여 단말기에서 활성화될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가 설정된 후,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 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방송 규격의 예를 들면, Eureka-147[ETSI EN 300 401]에 기반한 유럽의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미국의 퀄컴사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Media FLO(Forward Link Only), 한국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일본의 ISDB-T(Integrated Service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등이 있다. 한국의 DMB는, Eureka-147에 기반한 T-DMB(Terrestrial-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과, 위성 통신을 이용하는 S-DMB(Satellite-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으로 분류된다. 각각의 방송 규격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에는 주로 이동형 디지털 방송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방송 규격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의 방송 규격은, 미국의 제니스(Zenith)사에 의해 개발된 미국식 디지털 TV 규격(ATSC)인 8-VSB, 유럽의 DVB-T(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와 같은 고정형 방송 규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방송용 단말기의 기계적 운동(motion)을 제어하기 위한 운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방송용 단말기의 기계적 운동으로서 진동(vibration)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기계적 운동과 관련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진동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방송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방송 시스템은,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송국(100)과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용 단말기(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송국(100)은 방송용 단말기(110)의 기계적 운동(motion)을 제어하기 위한 운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기계적 운동의 대표적인 예는 진동(vibration)이다. 예를 들어, 상기 운동 제어 정보는, 방송용 단말기(110)에 구비된 진동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진동 제어 정보이다. 즉 방송용 단말기(110)에 구비된 진동 모듈은 상기 진동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방송용 단말기(110)를 진동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송국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송국(100)의 일 예는, 방송 객체 저장부(101), 진동 제어 정보 생성부(102), 방송 데이터 변환부(103) 및 전송부(104)를 포함한다.
방송 객체 저장부(101)는, 단말기(110)로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방송 객체를 저장한다. 방송 객체 저장부(101)는 외부에서 생성된 방송 객체를 전송받아 저장하 거나, 또는 전송할 방송 객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객체는,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방송 객체의 종류에 따라 비디오 방송, 오디오 방송 및 데이터 방송으로 호칭한다. 상기 방송 객체를 다르게 표현하면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호칭할 수 있다.
진동 제어 정보 생성부(102)는, 방송용 단말기(110)의 기계적 운동 중 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진동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진동 발생 유무, 진동 발생 시점(vibration time), 진동 지속 시간(vibration duration) 및 진동 패턴(vibration pattern)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발생 시점(vibration time)이란, 방송용 단말기(110)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시점을 말한다. 상기 진동 발생 시점은, 특정 방송 객체가 방송용 단말기(110)에서 재생되는 시점과 연동되거나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뉴스와 같은 특정 프로그램이 시작되거나 종료되는 시점을 상기 진동 발생 시점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발생 시점은, 특정 방송 객체의 종류 혹은 내용에 따라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구 경기를 방송하는 중 골이 터지는 장면을 상기 진동 발생 시점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지속 시간(vibration duration)이란, 방송용 단말기(110)에서 발생된 진동이 지속되는 시간, 즉 상기 진동 발생 시점부터 최초로 발생된 진동이 지속되어 하나의 진동 이벤트가 끝나기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 지속 시간의 단위는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00ms, 2초 등이다.
상기 진동 패턴(vibration pattern)이란, 방송용 단말기(110)에서 진동이 일 어나는 형태를 말한다. 예를 들면, 특정 멜로디 혹은 특정 박자에 맞추어 리드미컬하게 진동을 발생시키는 형태, 특정 진동 지속 시간 동안 진동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는 형태 등 다양한 진동 패턴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4ms 진동과 4ms 무진동(non-vibration)을 2회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방송용 단말기(110)의 진동을 강제하기 위한 진동 강제 코드(code for compelling vibr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송용 단말기(110)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기능의 활성화 여부가 설정될 수 있다. 즉 방송용 단말기(110)에서 진동 제어 기능이 비활성화로 설정되어 있으면, 방송용 단말기(110)가 상기 진동 제어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진동 강제 코드는, 방송용 단말기(11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기능이 비활성화로 설정된 경우, 상기 비활성화 설정을 무시하고 상기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방송용 단말기(110)의 진동을 강제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은, 광고 방송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기능에 의한 광고 효과를 발생시킬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진동 제어 정보에 상기 진동 강제 코드를 삽입시킴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방송 데이터 변환부(103)는, 방송 객체 저장부(101)에 저장된 방송 객체와 진동 제어 정보 생성부(102)가 출력하는 진동 제어 정보를 전송 가능한 방송 데이 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방송신호를 전송하는 원칙이나 방송 규격에 따라서는 생성된 방송신호를 패킷화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전송부(104)는, 방송 데이터 변환부(103)가 생성한 방송신호를 전송망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 진동 제어 정보의 전송 방식 및 이에 따른 데이터 구조는, 여러 통신/방송 규격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이하, 상기 진동 제어 정보의 전송 방식 및 데이터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BIFS ( Binary Format for Scenes )를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데이터 서비스 채널(data service channel)의 일종인 BIFS(Binary Format for Scenes)를 이용하여 상기 진동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BIFS는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4 멀티미디어 압축 기술의 하나이다. 객체 기반(object-based) 멀티미디어 압축 방식인 MPEG-4에서 콘텐츠는 장면(scene)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객체로 분할되어 압축되므로, BIFS는 각 객체 간의 시공간적인 배치를 표현할 수 있는 장면 기술(scene description) 규격으로서 개발되었다.
MPEG-4 시스템에서 장면을 생성하기 위한 3개의 주요 요소는, 객체 서술자(Object Descriptor), 장면 서술자(Scene Descriptor) 및 코딩된 오디오-비주얼(Audio-visual) 데이터이다. 상기 각 요소들은 각 기초 스트림(elementary stream)으로 전송된다. 상기 각 기초 스트림들은, MPEG-2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혹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스트림과 같은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다중화되어 전송된다.
이와 같이 전송된 스트림 중 객체 서술자는, 각각의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에 대한 기초 스트림을 디코더(decoder)가 인식하여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각 오디오 비주얼 스트림의 타입 및 특성을 서술한다. 즉 상기 객체 서술자는, 복호화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오디오-비주얼 스트림과 장면 서술자와의 연결을 제공한다.
상기 장면 서술자는, 이런 객체들의 시공간적 행동을 정의하여 장면을 구성하고,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실행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만약 리턴 채널(return channel)이 존재할 경우, 리턴 채널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를 실행할 수도 있다.
BIFS는 텍스트 문서 형식으로 2차원 혹은 3차원 모델을 기술하는 언어인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상기 오디오-비주얼 데이터와 같은 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객체를 노드(node)로 갖는 장면 트리(scene tree, 혹은 객체 트리(object tree)) 형태로 콘텐츠를 표현한다. 이때 각 노드들은 각 노드의 렌더링(rendering)을 위해 필요한 시각적 특성 정보와 함께 화면 내에서의 공간적 위치, 콘텐츠 내에서의 상대적인 시간적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성들의 시간에 따른 변화 규칙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장면 트리에는 노드 간의 상호 작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도 함께 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BIFS에서는 객체 트리(object tree)를 이용하여 각종 객체들을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예를 들어, MPEG-4에 기반한) 위에 바로 표출할 수 있다. 따라서, BIFS의 객체 개념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에 대한 링크 설정이 가능하다.
도 3은, BIFS를 이용하여 진동 객체(vibration object)를 정의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복수 개의 장면 서술자에 의해 표현되는 장면 그래프(scene graph)를 이용하여 애니메이션(30)을 위한 객체와 기타 필요한 것들을 정의하고 있다. 상기 장면 그래프에 진동 객체(31)를 추가로 정의하고, 진동 객체(31)에 상기 진동 발생 시점, 상기 진동 지속 시간 및 상기 진동 패턴 등을 포함하는 진동 제어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즉 도 3의 장면 그래프에 정의된 진동 객체(31)와 애니메이션(30)을 BIFS의 규격에 따라 동기화시켜 전송하면, 애니메이션(30)을 수신하는 수신측에서 진동 객체(31)에 포함된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하나의 객체로 정의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BIFS VRML를 이용하여 진동 객체를 표현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참조번호 40은, 진동 객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4의 참조번호 40에 표현된 데이터인 "0 0 0 12"의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0"이 표시된 자리는, 진동 발생 유무를 나타낸다. 두번째 "0"이 표시된 자리는, 단순 진동(default)인지 혹은 방송국(100)이 지정하는 진동 시나리오를 사용하는지를 나타낸다. 세번째 "0"이 표시된 자리는, 진동 객체가 연동된 방송 객체가 재생되는 즉 시 진동을 발생시킬 것인지 혹은 상기 방송 객체가 재생 완료되는 시점에서 진동을 발생시킬 것인지를 나타낸다. 마지막 "12"가 표시된 자리는, 진동 지속 시간(예를 들어, 12 ms)을 나타낸다.
도 5는, BIFS의 ES_Descriptor의 필드 정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ES_ID(Elementary Stream Identifier) 필드(50)를 이용하여 상기 진동 제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16bit의 길이를 갖는 ES_ID 필드(50)에 상기 진동 발생 시점, 상기 진동 지속 시간 및 상기 진동 패턴 등을 비트 스트링(bit string)이나 혹은 바이트(byte) 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ES_ID 필드(50)는 방송사의 임의대로 관리되는 필드이므로, 방송사는 ES_ID 필드(50)를 이용하여 상기 진동 제어 정보를 유연한 방식(flexible way)으로 표현 및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Core 2D profile 1.0에 기반한 BIFS VRML 객체 배열(object arrange)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Core 2D profile 1.0은, ISO/IEC 14496-1에 정의되어 있는, MPEG-4 BIFS의 규격 중 장면 구성에 대한 규격을 말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객체(60)에 대해서 진동 이벤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특정 객체(60)에 소정의 진동 제어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ES_ID 필드(2 bytes)를 이용하여 진동 제어 정보를 표현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ES_ID 필드를 이용하여 진동 발생 유무, 진동 발생 시점, 진동 지속 시간, 진동 패턴 등을 표현할 수 있다. 도 7(a)는 진동 패턴을 사용하지 않고 진동 지속 시간을 표현하고 있고, 도 7(b)는 진동 패턴을 사용하여 진동 지속 시간을 표현하고 있다.
MOT(( Multimedia Object Transfer )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경우
또한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Multimedia Object Transfer; MO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진동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MOT 프로토콜은, DAB 시스템(Eureka-147)에서 멀티미디어 객체의 전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제정된 전송 프로토콜이다. MOT 프로토콜은 멀티미디어 객체의 전송을 위해 DAB의 X-PAD 및 패킷모드를 사용하며 다양한 시스템 및 데이터 포맷을 지원한다. 도 8은, MOT를 사용한 DAB 전송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방송 데이터 구조의 일 예는, 전송하는 방송 객체의 신호 구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필드, 상기 방송 객체가 재생될 경우 필요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필드 및 상기 방송 객체에 대한 데이터(raw data)를 포함하는 제3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정보는, 상기 제2 필드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필드는 방송 객체를 전송할 경우 함께 전송할 수 있는 헤더 필드(Header Field)라고 호칭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필드는 방송 객체에 대한 데이터가 전송되는 필드이므로, 일반적으로 데이터 필드 혹은 바디(body) 필드라고 호칭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그 명칭에 국한되어 해석되어야 할 것이 아니라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0은, 도 9의 방송 데이터 구조의 구체적인 예로서, MOT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MOT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MO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진동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서, 헤더 코더(Header Core) 필드는 객체의 크기와 내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헤더 확장(Header Extension) 필드는 객체 처리용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정보는, 부가 정보 혹은 객체 처리용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상기 헤더 확장 필드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11(b)는 ETSI EN 301 234 V2.1.1의 DAB MOT 프로토콜의 일부 데이터 필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는 MOT 프로토콜의 미지정 영역(reserved field)에 정의될 수 있다. 도 11(b)에서 미지정 영역은 음영으로 표시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의 송수신 방법의 확장성을 위해 MOT 프로토콜의 미지정 영역 중 가변 길이(variable)를 갖는 데이터 필드에 상기 진동 제어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고정 길이 필드에도 삽입이 가능하지만, 가변 길이의 데이터 필드는 필드 정의를 위한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b)의 예는, 가변 길이를 가진 ContentName 필드에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 삽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11(a)의 예는 ContentName과 같은 필드를 채우기 위한 특성 지시자(indicator)로서, 음영으로 표시한 부분은 ContentName 필드에 아라비아 숫자로 데이터가 채워져 전송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12는 지상파 DMB의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서 음영으로 표시된 부분이 데이터 방송 채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지상파 DMB에서 상기 진동 제어 정보의 전송 경로로서의 데이터 방송 채널은, 전술한 바와 같이 MOT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데이터 방송 채널이 사용될 수도 있다.
DVB -H의 FLUTE 혹은 RTCP 를 이용하는 경우
한편,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다른 형태의 방송 혹은 통신 규격에 따른 데이터 구조 및 이에 따른 전송 방식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DVB-H에서의 FLUTE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13은, DVB-H의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FLUTE는, DVB-H에 의한 방송 시스템에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 혹은 이진(Binary) 파일과 같은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FLUTE를 통해 채널 정보 혹은 제어 정보와 같은 각종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정보는, FLUTE에 의해 전송 가능한 파일 형태로 구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의 제어 프로토콜인 RTCP(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의 SDES(Source DEScription) 패킷(packet)의 PRIV 타입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RTP는 실시간으로 음성이나 통화를 송수신하기 위한 트랜스포트층 통신 규격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RTP와 RTCP를 정의하는 RFC 3550 규격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정보는, RTCP의 SDES(Source Description) 패킷(packet)의 PRIV(Private Extension) 타입으로 전송될 수 있다.
RTP 세션(session)을 제어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인 RTCP는 RTP와 쌍(pair)을 이루고 있다. RTCP는 전송 품질에 관한 정보를 단말기에 제공하는데, RTCP 패킷 타입(Packet Type)은 SR(Sender Report), RR(Receiver Report), SDES(Source Description) 등이 있다. 이 중 SDES는 송신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4는, RTCP의 SDES의 패킷 구조(packet format)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RTCP의 SDES의 패킷 구조는, Version(V), Padding(P), Source Count(SC), Packet Type(PT), Length, SSRC, SDES items 등을 포함한다. Version(V, 70)은 프로토콜 버전을 나타낸다(2 bits). Padding(P, 71)이 '1'로 셋팅되면 페이로드(payload) 끝에 패딩되는 부분이 존재함을 나타낸다(1 bit). 그리고 Source Count(SC, 72)는 SDES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SSRC/CSRC chunk의 개수를 나타낸다(5 bits). Packet Type(PT, 73)은 RTCP 패킷의 타입을 말하며, SDES 패킷은 202 값을 가진다(8 bits). Length(74)는 헤더(header)와 Padding을 포함한 RTCP 패킷의 길이를 나타낸다(16 bits). SSRC(75)는 SDES 패킷의 원천지(source)의 식별 자이며(32 bits), SDES items(76)는 실제 SDES 정보가 포함된 부분을 나타낸다. Type(77)은 해당 필드의 타입으로서 1 ~ 8을 값을 갖는다. Length(78)는 다음 Description 필드의 크기를 나타낸다. 그리고 Description(79)은 실제 데이터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도 15는, RTCP 콤파운드 패킷(compound packet)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RTCP 콤파운드 패킷(compound packet)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정보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PRIV 타입(8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 터를 수신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를 좀 더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용 단말기(110)는, 방송 수신 모듈(300), 입력부(310), 표시부(320), 오디오 처리부(330), 메모리부(340), 제어부(350), 방송 객체 처리부(370) 및 진동 모듈(380)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300)은, 방송망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장치로서,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데이터 신호로 출력한다. 방송 수신 모 듈(300)은, 방송국(100)으로부터 어느 방송 채널을 통해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방송신호는, 방송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객체는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와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데이터 분리부(370)는, 방송 수신 모듈로부터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방송 데이터 분리부(370)는, 상기 전달받은 방송 데이터를 상기 방송 객체와 상기 진동 제어 정보로 분리하여 메모리부(340)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방송 객체와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각각 별개의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BIFS 혹은 MOT 프로토콜 기타 다른 형태의 방송 혹은 통신 규격에 따른 데이터 구조 및 이에 따른 송수신 방식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입력부(31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장치로서, 각종 숫자키, 방향키 등을 구비하는 키 패드, 터치 패드 혹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320)는, 방송용 단말기(110)의 상태 혹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장치이다.
오디오 처리부(330)는, 마이크(MIC)와 스피커(SPK)를 통해 오디오를 입출력하도록 오디오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330)는, 방송용 단말기(110)의 각종 처리 및 제어 동작을 스피커(SPK)를 통해 오디오로 출력하거나, 각종 정보나 명령을 마이크(MIC)를 통해 오디오로 입력하도록 오디오를 처리한다.
메모리부(340)는, 방송용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350)에 의해 방송용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340)는, 방송 객체 저장부(343)과 진동 제어 정보 저장부(34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객체 저장부(343)는, 방송 데이터 분리부(370)로부터 방송 객체를 전달받아 임시적으로 혹은 영구 저장한다. 진동 제어 정보 저장부(345)는, 방송 데이터 분리부(370)로부터 진동 제어 정보를 전달받아 임시적으로 혹은 영구 저장한다.
한편, 이동통신 모듈(360)은, 이동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통신 장치이다. 이동통신 모듈(360)은,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지만,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방송 수신 기능 외에도 음성 통화 혹은 데이터 통신과 같은 통신을 주목적으로 하는 통신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경우 필요한 구성 요소이다. 특히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로서, 양방향 방송 서비스의 구현을 위해 이동통신 모듈(360)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방송 객체 처리부(380)는, 상기 방송 객체를 재생하기 위해 상기 방송 객체를 처리하는 모듈이다. A/V(Audio/Video) 디코딩부(decoding unit)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예를 들어, 방송 객체가 비디오와 오디오를 포함하는 경우 방송 객체 처리부(380)는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진동 모듈(390)은, 제어부(3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단말기(110)의 진동을 발생하도록 하는 진동 모터와 진동 소자를 포함하는 모듈이다. 상기 진동 소자는 상기 진동 모터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 모듈(390)의 세부적인 구성과 그 동작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350)는,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고,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제어부(350)는 방송 제어부(353)와 진동 제어부(35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제어부(353)는, 방송 객체 처리부(380)를 제어하여 방송 객체 저장부(343)에 저장된 방송 객체를 비디오, 오디오 혹은 데이터의 형식으로 재생하도록 하는 등 방송과 관련된 기능을 제어한다. 진동 제어부(355)는, 진동 모듈(390)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진동 제어부(355)는 진동 제어 정보 저장부(345)에 저장된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진동 모듈(390)을 제어한다.
이하 제어부(350)의 동작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진동 제어부(355)는, 방송 수신 모듈(300)을 통해 수신된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진동 모듈(390)을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진동 발생 유무, 진동 발생 시점, 진동 지속 시간 및 진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된 진동 제어 정보가 특정 진동 발생 시점과 특정 진동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진동 제어부(355)는, 상기 특정 진동 발생 시점에 상기 특정 진동 패턴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진동 모듈(390)을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350)는, 상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같은 방송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방송 제어부(353)를 통해 방송 객체 처리부(38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방송 객체를 재생하게 한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상기 방송 객체의 재생 중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진동 제어부(355)를 통해 진동 모듈(390)을 제어한다.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상기 방송 객체가 재생되는 시각과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송 객체가 특정 이미지인 경우,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상기 특정 이미지가 표시부(320)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각에 활성화되도록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상기 방송 객체의 종류 혹은 내용과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축구 경기를 방송하는 중 골이 터지는 장면에서 활성화되도록 연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말기(110)의 요청에 의해 상기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 및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단말기(100)의 요청에 의한 진동 제어 정보의 전송/수신을 위한 단말기(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110)의 요청은, 상기 방송 채널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된 방송 객체를 재생함으로써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중, 사용자의 입력부(310)를 통한 소정의 행위에 의해 방송국(100)으로 소정의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방송국(100)이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단말기(110)의 요청은, 상기 방송 채널이 단방향 채널인 경우, 상기 방송 채널과는 별도의 리턴 채널(return channel)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단말 기(110)는, 무선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야 한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대표적인 예는 이동통신 모듈(360)이다. 이동통신 모듈(360)을 통해 유무선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휴대인터넷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휴대인터넷 모듈일 수 있다. 방송국(100)은 상기 유무선인터넷망 혹은 상기 휴대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110)의 요청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방송 채널이 양방향 채널인 경우, 상기 단말기(110)의 요청은,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110)의 진동 제어 기능은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부(31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기능을 온(on)시키거나 오프(off)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기능이 방송용 단말기(110)에서 비활성화 혹은 오프로 설정되어 있으면, 방송용 단말기(110)가 진동 제어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방송용 단말기(110)가 진동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거나 진동해서는 안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기능을 오프시킬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방송용 단말기(110)의 진동을 강제하기 위한 진동 강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기능이 비활성화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수신되는 진동 제어 정보가 상기 진동 강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비활성화 설정을 무시하고 상기 진동 발생을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되는 진동 제어 정보에 상기 진동 강제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더라도, 상기 진동 강제 코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기능이 일시적으로 혹은 다시 비활성화로 설정되기 전까지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 모듈(300)은,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더 수신하고, 제어부(350)는, 단말기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편성표를 참조하여 단말기에서 활성화될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가 설정된 후,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편성표를 이용한 진동 제어 정보의 활성화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도 17 및 도 18에 의한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송국(100)이 방송 객체와 진동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S10, S11]. 상기 방송 객체 및 상기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세부적인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생성되는 방송 객체 및 진동 제어 정보는 서로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송 객체가 영화(movie)인 경우,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상기 영화의 한 장면에 대해 진동을 발생하도록 하는 진동 제어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제어 정보의 생성 원인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 은 두 가지의 원인에 의할 수 있다.
첫째, 상기 진동 제어 정보의 생성은, 방송국(100)의 자체적인 판단에 기인할 수 있다. 즉 방송국(100)은, 방송용 단말기(110)의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진동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진동 제어 정보는, 방송 객체와 연동되어 혹은 동기화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다양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둘째, 상기 진동 제어 정보의 생성은, 사용자의 요청에 기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국(100)은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중 방송용 단말기(110)로부터 어떤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서 상기 진동 제어 정보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에 기인한 진동 제어 정보의 생성 방식은,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를 전제로 할 수 있다. 즉 방송국(100)으로부터 단말기(110)로의 데이터 전송과 그 역방향으로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방송 채널이 단방향 채널인 경우 상기 방송 채널과는 별도의 리턴 채널(return channel)을 필요로 한다. 방송 채널이 단방향 채널이라는 것은, 방송 채널 자체를 통해 단말기(100)로부터 방송국(100)으로의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의미이다. 한국의 지상파 DMB는, 단방향 방송 채널의 대표적인 예이다. 상기 리턴 채널의 대표적인 예는, 이동통신망 혹은 휴대인터넷망(WiBRO/WiMAX 등)이다.
한편 방송 채널이 양방향 채널인 경우에는, 방송 채널 자체를 통해 단말 기(100)로부터 방송국(100)으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므로, 상기 진동 제어 정보의 생성 및 전송을 요청하는 단말기(110)로부터의 메시지가 방송 채널 자체를 통해 방송국(1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양방향 방송 채널의 대표적인 예는 DVB-H이다. DVB-H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이므로 이러한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사용자의 요청에 기인한 진동 제어 정보의 생성 방식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쇼핑 전문 방송 채널을 통해 홈쇼핑 방송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가정하자. 방송 중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 단말기(110)에서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결정 및 이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구매 결정이나 결제는 방송국(100)과의 양방향 통신이 전제되는 것이다. 이러한 양방향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결정 혹은 이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경우, 방송국(100)은 구매 결정 혹은 결제에 대한 처리 결과(예를 들어, 정상 처리 혹은 처리 실패)를 사용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처리 결과의 통보를 단순히 텍스트 형태의 메시지 혹은 음성의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각 및 청각에 의한 사용자 주의 환기와 더불어 단말기(110)를 진동시키면, 촉각에 의해 사용자의 주의를 더욱 환기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10)의 진동이 상기 진동 제어 정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방송국(100)이 상기 생성된 방송 객체 및 진동 제어 정보를 전송 가능한 방송 데이터로 변환 생성하고[S12], 상기 생성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한다[S13]. 상기 진동 제어 정보 혹은 상기 방송 데이터의 전송 방식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방송용 단말기(110)는, 방송국(100)으로부터 상기 생성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S14],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방송 객체와 상기 진동 제어 정보를 분리한다[S15]. 그리고 방송용 단말기(110)는, 상기 방송 객체를 재생하면서 상기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진동을 발생한다[S16, S17]. 상기 S14 내지 S17 단계의 동작은,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에 따라 방송용 단말기(110)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상황들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20은, 축구 경기 방송 중 득점한 경우 진동이 발생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방송국(100)은, 축구 경기 방송 중 어느 팀이 득점한 경우 상기 득점하는 장면과 함께 진동 제어 정보를 방송용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방송용 단말기(11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득점하는 장면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시점에서 상기 수신된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킨다.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상기 득점 장면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축구 경기를 보다 생동감 있게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21은, 홈쇼핑 방송 중 특정 상품 판매의 종료 시각이 가까워지는 경우 진동이 발생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방송국(100)은, 홈쇼핑 방송 중 특정 상품 판매의 종료 시각이 가까워지는 경우 어떤 시점에서 진동 제어 정보를 방송용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방송용 단말기(110)는, 상기 수신된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예를 들어, 상기 진동 제어 정보를 수신한 즉시 혹은 상기 진동 제어 정보에 포함된 진동 발생 시점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킨다. 방송국(100) 혹은 특정 상품의 판매자는, 홈쇼핑 방송 중 특정 상품 판매의 마감 시각이 임박했음을 진동을 통하여 단말기(110)의 사용자에게 환기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2는 양방향 방송 서비스에서 특정 상품에 대한 결제 완료를 통보하는 경우 진동이 발생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방송용 단말기(110)는, 홈쇼핑 방송 중 특정 상품 구입을 결정하고 이에 대해 결제 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국(100)과 단말기(110)간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방송국(100)은, 상기 결제 요청이 정상적으로 처리된 경우, "결제 완료되었습니다"라는 데이터 형식의 메시지와 함께 진동 제어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한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단말기(11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제 완료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수신된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킨다.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메시지와 더불어 상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결제 요청이 안전하게 처리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에 따라 방송용 단말기(110)에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상황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방송국(100)이 재난 방송을 하는 경우 상기 진동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재난 방송이란, 지진, 홍수, 가뭄 기타 천재지변과 같은 재난에 해당하는 급박한 상황을 방송하는 것이다. 재난 방송은,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기(110)는, 재난 방송 수신 및 재생과 함께 상기 수 신된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급박한 상황의 느낌을 잘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게임 전문 채널을 통한 게임 방송의 경우이다. 방송국(100)은, 게임 방송 중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필요가 있는 장면이나 사용자에게 보다 강한 느낌을 전달할 필요가 있는 장면 등에 진동 제어 정보를 삽입 혹은 연동시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은, 방송에 삽입되는 광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시각 및 청각에만 호소하던 기존의 광고 방식에서 탈피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에 의해 촉각을 이용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이용하여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이용한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방송국(100)은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생성하여 전송한다[S200, S210]. 상기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란, 방송국(100)이 장래에 전송할 진동 제어 정보를 소정의 기준으로 분류된 카테고리(혹은 트리 구조)와 매칭하여 구성한 테이블을 말한다. 즉 상기 편성표는, 장래에 단말기(100)의 진동을 제 어할 진동 제어 정보를 어떤 카테고리에 대해서 전송할 것인지를 단말기(100)에게 알려주기 위한 테이블이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국(100)은 최상위 카테고리(top category)를 "시사/쇼핑/드라마/원하는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한다. 상기 각 카테고리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에 따른 하위 항목들을 포함한다. 상기 하위 항목들의 예를 들면, 도 24에서 "시사"는 "주요 뉴스/주식 시세/날씨 정보/..."의 하위 항목들을 갖는다. 방송국(100)이 상기 하위 항목들과 관련되는 콘텐츠를 방송하는 경우 진동 제어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단말기(110)가 상기 하위 항목들과 관련되는 콘텐츠를 재생하면서 상기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도 24에서는 상기 편성표의 최상위 카테고리(예를 들어, "쇼핑")가 하나의 하위 계층만을 가지고 있으나, 상기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하위 계층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방송국(100)은 상기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매우 다양한 분류 기준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국(100)은 상기 작성된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다양한 시점에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방송국(100)은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통하여 매우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방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방송국(100)은 상기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다양한 종류로 작성한 후, 다양한 시점에서 상기 작성된 각 편성표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가 복수 개의 하위 계층을 가진다고 가정 하자.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최상위 카테고리인 "시사"의 제1 하위 계층인 "주요 뉴스"는, 제2 하위 계층으로서 "정치", "경제", "사회", "연예"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방송국(100)은 상기 최상위 카테고리와 상기 제1 하위 계층만을 포함하는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일주일에 1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국(100)은, 상기 제2 하위 계층 및 그 이상의 하위 계층들을 포함하는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특정 프로그램을 방송하기 직전 혹은 방송 중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용 단말기(110)는, 방송국(100)으로부터 상기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수신하고[S220], 상기 수신된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참조하여 단말기(110)에서 활성화될 진동 제어 정보를 설정한다[S230]. 상기 S230 단계의 구체적인 의미는, 도 24에 도시된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에서 최상위 카테고리에 포함된 하위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함으로써, 장래에 활성화될 진동 제어 정보의 카테고리 혹은 그 하부 항목들을 미리 설정해 두는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라 활성화될 진동 제어 정보가 설정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110)는 도 24에 의한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수신하고, 상기 편성표에 포함된 카테고리와 하위 항목들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위 항목들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25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최종 선택된 하위 항목들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25에서는, 최상위 카테고리인 "쇼핑"에 대한 하위항목들 중 "전자 제품" 및 "주식 상품"이 선택된 상태이고 "마감 시간"은 선택 해제된 상태이다.
그리고 방송국(100)은 방송 객체와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전송한다[S240]. 상기 방송 객체에 관한 세부적인 사항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즉 상기 방송 객체는,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10)는 방송국(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방송 객체를 재생하면서 상기 S230 단계에서 선택된 진동 제어 정보만을 활성화한다[S250]. 즉 단말기(110)는 방송국(100)으로부터 수신된 진동 제어 정보를 모두 활성화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S230 단계에서 선택된 진동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만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이용한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장면 등에서만 진동이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진동 발생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들은, 방송 데이터에 운동 제어 정보, 특히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이를 수신하는 방송용 단말기가 상기 운동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기계적 운동, 특히 진동을 발생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외부와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로 확대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는, 상기에서 설명한 진동 제어 정보와 같은 운동 제어 정보를 소정의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운동 제어 정보에 따라 기계적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국이 진동 제어 정보와 같은 운동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방송국이 종래의 방송 콘텐츠와는 전혀 새로운 방송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의 사용자는 방송 시청 중 진동과 같은 기계적 운동을 접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시각 및 청각에만 의존한 방송에서 벗어나 촉각에 의한 방송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방송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 제어 정보와 같은 운동 제어 정보를 다양한 기준에 의해 제공함으로써, 방송 시청자들에게 새로운 재미를 부여할 수 있고, 방 송 콘텐츠의 내용이 강조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국 혹은 방송 매체를 이용하는 광고주는, 상기와 같은 효과들에 의해 종래보다 보다 적극적, 효과적으로 시청자 혹은 상품 구매자들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2)

  1.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기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진동시키는 진동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진동 제어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관한 설정을 무시하고 상기 단말기의 진동 발생을 강제하기 위한 진동 강제 코드를 포함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는 방송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단계는 상기 방송 객체를 재생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는,
    상기 방송 객체가 재생되는 시각, 상기 방송 객체의 종류 및 상기 방송 객체의 내용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객체 및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각각 별개의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BIFS(Binary Format for Scenes) 혹은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진동 발생 시점(vibration time), 진동 지속 시간(vibration duration), 및 진동 패턴(vibration patter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의 수행 전에 혹은 상기 수신 단계의 수행 중,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편성표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에서 활성화될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가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 단계는,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9. 진동(vibration)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 모듈;
    방송 채널을 통해, 단말기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모듈;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진동 모듈을 제어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진동 제어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관한 설정을 무시하고 상기 단말기의 진동 발생을 강제하기 위한 진동 강제 코드를 포함하는 방송용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는, 방송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객체를 재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생 중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는,
    상기 방송 객체가 재생되는 시각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는,
    상기 방송 객체의 종류 혹은 내용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객체 및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각각 별개의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BIFS(Binary Format for Scenes) 혹은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객체는,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진동 발생 시점(vibration time), 진동 지속 시간(vibration duration) 및 진동 패턴(vibration patter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은,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발생이 비활성화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진동 강제 코드에 따라 상기 비활성화 설정을 무시하고 상기 진동 발생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진동 제어 정보에 관한 편성표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편성표를 참조하여 단말기에서 활성화될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가 설정된 후,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표는,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21. 방송 객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제1 방송 채널을 통해 방송국으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와 관련된 특정 데이터를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특정 데이터의 전송에 대응하여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단말기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진동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진동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진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방송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은, 상기 방송 객체가 출력되는 동안,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상기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1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방송 채널과는 다른 제2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데이터는,
    상기 제1 방송 채널이 단방향 채널인 경우, 상기 제1 방송 채널과는 다른 리턴 채널을 통해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데이터는,
    상기 제1 방송 채널이 양방향 채널인 경우, 상기 제1 방송 채널을 통해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데이터는,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방송 객체와 관련하여 상기 방송국이 특정 행위를 수행할 것을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제어 정보는, 상기 방송국의 상기 특정 행위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060108427A 2006-11-03 2006-11-03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KR101134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427A KR101134926B1 (ko) 2006-11-03 2006-11-03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EP07021113.1A EP1919158B1 (en) 2006-11-03 2007-10-29 Broadcasting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vibration of a mobile terminal
MX2007013836A MX2007013836A (es) 2006-11-03 2007-11-01 Terminal de teledifusion y metodo para controlar la vibracion de una terminal movil.
US11/934,714 US8131275B2 (en) 2006-11-03 2007-11-02 Broadcasting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vibration of a mobile terminal
CNA2007101442004A CN101237289A (zh) 2006-11-03 2007-11-02 控制移动终端振动的广播终端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427A KR101134926B1 (ko) 2006-11-03 2006-11-03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444A KR20080040444A (ko) 2008-05-08
KR101134926B1 true KR101134926B1 (ko) 2012-04-17

Family

ID=39117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427A KR101134926B1 (ko) 2006-11-03 2006-11-03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31275B2 (ko)
EP (1) EP1919158B1 (ko)
KR (1) KR101134926B1 (ko)
CN (1) CN101237289A (ko)
MX (1) MX20070138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32589C (en) * 2000-12-22 2008-12-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Wireless router system and method
US8179872B2 (en) 2007-05-09 2012-05-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Wireless router system and method
US8855705B2 (en) 2010-08-05 2014-10-07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ctuator for providing tactile output
US8914075B2 (en) * 2010-09-17 2014-12-16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ctu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for providing tactile output
WO2011100909A2 (zh) * 2011-04-12 2011-08-25 华为终端有限公司 信息提示方法及无线手持设备
WO2013088437A1 (en) * 2011-12-12 2013-06-20 Play My Tone Ltd. System and method of translating digital sounds into mobile device vibrations
KR20150037456A (ko) * 2012-07-26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면감지 메커니즘을 갖춘 전자 시스템과 그 작동 방법
US9883361B2 (en) * 2012-07-27 2018-01-30 Qualcomm Incorporated Delivering time synchronized arbitrary data in an RTP session
CN104584568A (zh) * 2012-08-17 2015-04-29 Nec卡西欧移动通信株式会社 终端设备、显示设备、终端设备链接系统、终端设备链接方法和非瞬时计算机可读介质
CN104683781B (zh) * 2013-11-26 2016-08-17 深圳市快播科技有限公司 视频播放处理方法及装置
CN109218919B (zh) * 2018-08-23 2020-09-18 厦门傅里叶电子有限公司 基于安卓系统音频框架的喇叭振幅保护模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645A (ko) * 2000-07-14 2002-04-13 니시무로 타이죠 휴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 방법
KR20050045700A (ko) * 2003-11-12 2005-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감 데이터 동기화 전송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실감형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79813A (ko) * 2005-01-03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감각데이터 구현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9843B2 (en) * 2000-04-26 2007-09-11 Minolta Co., Ltd. Broadcasting system and media player
US20040015983A1 (en) * 2002-04-22 2004-01-22 Thomas Lemmons Method and apparatus for a data receiver and controller for the facilitation of an enhanced television viewing environment
US8059088B2 (en) * 2002-12-08 2011-11-15 Immersion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haptic messaging to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GB0306603D0 (en) * 2003-03-21 2003-04-30 First Person Invest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communications
US20050114798A1 (en) * 2003-11-10 2005-05-26 Jiang Zhaowei C. 'Back' button in mobile applications
JP2005333365A (ja) 2004-05-19 2005-12-02 Dowango:Kk 携帯電話端末、および同端末を用いた放送番組連動型演出システム、ならびに端末プログラム、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60121887A1 (en) * 2004-12-08 2006-06-08 Chilukoor Muralidharan S Message priority mechanism
US20070011699A1 (en) * 2005-07-08 2007-01-11 Toni Kopra Providing identification of broadcast transmission pieces
WO2007117649A2 (en) * 2006-04-06 2007-10-18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haptic effects
US20080080502A1 (en) * 2006-09-28 2008-04-03 Scott Frank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urgent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645A (ko) * 2000-07-14 2002-04-13 니시무로 타이죠 휴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 방법
KR20050045700A (ko) * 2003-11-12 2005-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감 데이터 동기화 전송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실감형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79813A (ko) * 2005-01-03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감각데이터 구현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08343A1 (en) 2008-05-08
EP1919158A1 (en) 2008-05-07
EP1919158B1 (en) 2019-05-15
CN101237289A (zh) 2008-08-06
US8131275B2 (en) 2012-03-06
KR20080040444A (ko) 2008-05-08
MX2007013836A (es)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926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KR101131856B1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신호 송수신방법
CN100438610C (zh) 以实况广播节目事件提供全交互式服务的数字交互式系统
CN100477757C (zh) 数字广播接收设备及其控制方法
US200801336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ing basic device and extended devices
US20110043614A1 (en)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JP2002505833A (ja) ビデオシーケンスにおける表示のために画像を選択する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TWI382761B (zh) 節目表服務之提供方法及系統
CN106416272B (zh) 广播接收装置及其操作方法、和与广播接收装置交互操作的配套装置及其操作方法
KR20220165693A (ko)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314609B1 (ko) 감성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감성 정보 송수신 장치
KR101032737B1 (ko) 콘텐츠 송출장치, 콘텐츠 수신장치, 콘텐츠 송출방법 및콘텐츠 수신방법
KR101666246B1 (ko) 메타데이터 우선제공 증강방송 장치 및 방법
CN102118388A (zh) 用于多媒体内容的适配的方法和装置
KR101078701B1 (ko) 아이피티브이 프로그램의 서브 콘텐츠 선택 재생 방법 및 장치
JP2006217662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3882208B2 (ja)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2002505832A (ja) テレビジョン信号における制御データに応じてチャネルを切り替える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JP6254852B2 (ja) 放送通信連携触覚提示システム、サービス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
KR20130103122A (ko) 증강 콘텐츠 수신을 위한 랜덤 백오프 장치 및 방법
US20070288847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access restri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0755839B1 (ko) 음성 다중을 지원하는 방송 시스템 및 방법
CN107005745B (zh) 封装视听内容流的方法和设备
JP3984016B2 (ja) 視聴者参加型放送番組配信方法
JP3689940B2 (ja)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