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952B1 - 기록 재생 장치 및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재생 장치 및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952B1
KR100711952B1 KR1020017005218A KR20017005218A KR100711952B1 KR 100711952 B1 KR100711952 B1 KR 100711952B1 KR 1020017005218 A KR1020017005218 A KR 1020017005218A KR 20017005218 A KR20017005218 A KR 20017005218A KR 100711952 B1 KR100711952 B1 KR 100711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storage medium
address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9354A (ko
Inventor
모로토미시로
카시모토토모요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11B27/007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reproducing continuously a part of the information, i.e. repe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데이터가 기억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가 기억되는 관리 영역을 갖는 기억 매체에 대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상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데이터의 재생을 정지하는 정지부와, 상기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가, 상기 재생된 데이터의 종단 어드레스가 되도록, 상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부를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게 데이터 편집이 가능하다.
광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편집 방법.

Description

기록 재생 장치 및 편집 방법{Recording reproducing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대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이 가능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및 이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서 적용되는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와, 영상 및 음성의 기록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덱이 일체화된 운반 가능형의 비디오 카메라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그 일반적인 이용 형태로서는, 유저는 좋아하는 피사체를 촬영하면서 녹화를 행하게 된다. 그리고 유저는 이 녹화된 화상/음성을 재생하여, 비디오 덱의 표시부, 혹은 외부 모니터 장치에 표시시켜 감상하게 된다.
그런데, 비디오 카메라의 유저로서는, 단지 촬영 녹화를 행할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의 편집을 행함으로써, 보다 가치가 높은 작품으로 마무리하려고 하는 요망이 있는 것은 당연지사다.
이러한 편집의 하나로서, 장면(scene) 사이의 연결을 고려한 장면간 편집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촬영시에 있어서, 장면 사이가 잘 연결되도록 녹화를 행하기 위해서, 그 장면의 종료 위치를 변경하고 싶다고 유저가 고려했다고 하자.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테이프를 기록 매체로 한 비디오 카메라이면, 유저는 재생을 행하여 장면을 보면서, 그 종단 위치로 하고 싶은 지점에서 재생을 정지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유저는 이 재생을 정지시킨 테이프 위치로부터 새로운 장면을 촬영하면서, 먼저 재생 정지 위치보다 뒤에 기록 종료로 되어 있던 데이터를 소거하도록 하여 오버라이트 기록을 행하여 가도록 할 수밖에 없다.
또한, 유저가 촬영시에 있어서의 장면의 개시 위치에 관해서의 변경을 고려한 경우, 변경한 개시 위치보다 앞의 데이터를 소거할 필요가 있게 된다. 단지, 상기한 바와 같이 테이프를 기록 매체로 한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는, 변경한 개시 위치보다 앞의 데이터를 소거하였다고 해도, 테이프 주행에 따라서 이 부분은 재생되어 버린다. 즉, 소거부분을 날려버리려고 하여 그 전후를 연결하여 재생할 수는 없다. 가령 이러한 편집을 행하려고 하면, 퍼스널 컴퓨터 등에 화상·데이터를 입력하여 편집을 행할 필요가 생겨, 대규모로 되어 버린다.
또한, 예를 들면 MD(Mini Disc: 미니 디스크(trade mark))라고 일컬어지는 광자기 디스크에 대응한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는, MD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그램(트랙) 단위로 편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트랙 단위의 편집 기능으로서는, 예를 들면 트랙의 분할, 결합, 소거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MD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 예를 들면 상기한 장면의 종단 위치 또는 개시 위치의 변경에 준하여, 트랙의 종단 위치 또는 개시 위치를 변경하기위해서는, 유저는 우선, 그 트랙의 재생을 행하여 음성을 들으면서 종단 위치 , 또는 개시 위치로 하고 싶은 지점에서 재생을 일시 정지시킨다. 그리고 우선은, 이 일시 정지 위치에서 트랙을 분할하기 위한 편집 조작을 행하고, 이후, 분할된 트랙 중, 어느 한쪽에 관해서 소거를 행할 필요가 있게 된다. 즉, 기록 데이터의 종단 위치 또는 개시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트랙 분할→ 트랙 소거라고 하는 2단계의 트랙 편집에 관한 조작 순서를 밟을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고려하여, 기록 데이터의 종단 위치 또는 개시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간략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기록 데이터에 관해서의 편집 작업을 보다 간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항에 따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데이터가 기억되는 데이터 영역과,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가 기억되는 관리 영역을 갖는 기억 매체에 대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데이터의 재생을 정지하는 정지 수단과,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가, 재생된 데이터의 종단 어드레스가 되도록,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이다.
또한, 제 19 항에 따른 발명은, 데이터가 기억되는 데이터 영역과,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가 기억되는 관리 영역을 갖는 기억 매체에 대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재생되는 데이터의 소정 시점을 지정하는 지정 수단과, 지정되는 데이터의 소정 시점에 대응하는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가, 재생된 데이터의 개시 어드레스가 되도록,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이다.
또한, 제 39 항에 따른 발명은, 데이터가 기억되는 데이터 영역과,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가 기억되는 관리 영역을 갖는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 방법에 있어서,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와, 데이터의 재생을 정지하는 단계와,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가, 재생된 데이터의 종단 어드레스가 되도록,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법이다.
또한, 제 40항에 따른 발명은, 데이터가 기억되는 데이터 영역과,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가 기억되는 관리 영역을 갖는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 방법에 있어서,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와, 재생되는 데이터의 소정 시점을 지정하는 단계와, 지정되는 데이터의 소정 시점에 대응하는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가, 재생된 데이터의 개시 어드레스가 되도록,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법이다.
또한, 제 41 항에 따른 발명은, 데이터가 기억되는 데이터 영역과,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가 기억되는 관리 영역을 갖는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 방법에 있어서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와, 재생되는 데이터의 소정의 2시점을 지정하는 단계와, 지정되는 소정의 2 시점 중 한쪽의 시점에 대응하는 기억 매체 상의 어드레스가, 재생된 데이터의 개시 어드레스에, 다른 쪽의 시점에 대응하는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가, 재생된 데이터의 종단 어드레스가 되도록,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항 및 제 39 항에 따른 발명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재생 및 데이터의 재생의 정지를 행하고,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기억 매체 상의 어드레스가, 재생된 데이터의 종단 어드레스가 되도록, 관리 정보를 갱신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조작 순서에 의해서 종단 어드레스의 갱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9 항 및 제 40항에 따른 발명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재생 및 데이터의 재생의 정지를 행하고, 재생되는 데이터의 소정 시점을 지정하여, 지정되는 데이터의 소정 시점에 대응하는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가, 재생된 데이터의 개시 어드레스가 되도록, 관리 정보를 갱신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조작 순서에 의해서 개시 어드레스의 갱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41 항에 따른 발명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재생 및 재생되는 데이터의 소정의 2 시점을 지정하고, 지정되는 소정의 2 시점 중 한쪽의 시점에 대응하는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가, 재생된 데이터의 개시 어드레스에, 다른 쪽의 시점에 대응하는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가, 재생된 데이터의 종단 어드레스가 되도록, 관리 정보를 갱신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조작 순서로 재생 데이터에 대한 개시 및 종단 어드레스를 지정할 수 있고, 트리밍 편집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디오 카메라에 대응하는 디스크의 트랙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의 (a)는 실시예의 비디오 카메라에 대응하는 디스크의 트랙 부분이 확대된 단면도.
도 2의 (b)는 실시예의 비디오 카메라에 대응하는 디스크의 트랙 부분이 확대된 평면도.
도 3은 실시예의 비디오 카메라에 대응하는 디스크의 사양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4a는 실시예의 비디오 카메라의 측면도.
도 4b는 실시예의 비디오 카메라의 평면도.
도 5a는 실시예의 비디오 카메라의 정면도.
도 5b는 실시예의 비디오 카메라의 배면도.
도 6a는 가동 패널부의 제 1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b는 가동 패널부의 제 2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실시예의 비디오 카메라의 내부 구성의 블록도.
도 8은 실시예의 비디오 카메라의 미디어 드라이브부의 내부 구성의 블록도.
도 9는 실시예에 대응하는 디스크내의 데이터 구조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10은 실시예에 대응하는 디스크내의 데이터 구조예를, 디스크의 물리 영역에 대응시켜 도시하는 개념도.
도 11의 (a)는 본 실시예의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카메라 모드)의 제 1 단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의 (b)는 본 실시예의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카메라 모드)의 제 2 단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의 (c)는 본 실시예의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카메라 모드)의 제 3 단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의 (a)는 본 실시예의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인터뷰 모드)의 제 1 단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의 (b)는 본 실시예의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인터뷰 모드)의 제 2 단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의 (c)는 본 실시예의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인터뷰 모드)의 제 3 단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의 (d)는 본 실시예의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인터뷰 모드)의 제 4 단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a 및 도 13b는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14a는 본 실시예의 트리밍 편집의 제 1 단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b는 본 실시예의 트리밍 편집의 제 2 단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로서는, 카메라 장치부와 화상(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 및 음성 등의 기록 재생이 가능한 기록 재생 장치부가 일체화된 운반 가능형의 비디오 카메라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든다. 또한, 본 실시예의 비디오 카메라에 탑재되는 기록 재생 장치부는, 광자기 디스크의 일종으로서 알려져 있는, 소위 미니 디스크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기록 재생하는 구성을 채용하게 된다.
다음의 순서로 설명한다.
1. 디스크 포맷
2. 비디오 카메라의 외관 구성
3. 비디오 카메라의 내부 구성
4. 미디어 드라이브부의 구성
5, 본 실시예에 대응하는 디스크 구조예
6.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
6-1. 동작 개요 1(카메라 모드의 경우)
6-2. 동작 개요 2(인터뷰 모드의 경우)
6-3. 처리 동작
7. 트리밍 편집
1. 디스크 포맷
본 예의 비디오 카메라에 탑재되는 기록 재생 장치부는, 미니 디스크(광자기 디스크)에 대응하여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MD 데이터라고 일컬어지는 포맷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상기 MD 데이터 포맷에서는, MD-DATA1과 MD-DATA2라고 일컬어지는 2종류의 포맷이 개발되어 있지만, 본 예의 비디오 카메라는, MD-DATA1보다도 고밀도 기록이 가능하게 되는 MD-DATA2의 포맷에 대응하여 기록 재생을 행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우선 MD-DATA2의 디스크 포맷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MD-DATA2로서의 디스크의 트랙 구조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a), 도 2의 (b)는, 각각 도 1의 파선(A)으로 묶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들의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면에 대해서는 워블(wobble)이 주어진 워블 그룹(WG)과, 워블이 주어지지 않은 논워블 그룹(NWG)의 2종류의 그룹(홈)이 미리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워블 그룹(WG)과 논워블 그룹(NWG)은, 그 사이에 랜드(Ld)를 형성하도록 하여 디스크 상에 있어서 2중의 스파이럴 형상으로 존재한다.
MD-DATA2 포맷에서는, 랜드(Ld)가 기록 트랙(데이터가 기록되는 트랙)으로서 이용되는 것이지만, 상기와 같이 하여 워블 그룹(WG)과 논워블 그룹(NWG)이 형성됨으로써, 기록 트랙으로서도 트랙(Tr·A, Tr·B)의 2개의 트랙이 각각 독립하여, 2중의 스파이럴(더블 스파이럴)형상으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트랙(Tr·A)은, 디스크 외측 주변측에 워블 그룹(WG)이 위치하고, 디스크 내측 주변측에 논워블 그룹(NWG)이 위치하는 트랙이 된다.
이에 반해 트랙(Tr·B)은, 디스크 내측 주변측에 워블 그룹(WG)이 위치하고, 디스크 외측 주변측에 논워블 그룹(NWG)이 위치하는 트랙이 된다.
즉, 트랙(Tr·A)에 대하여는 디스크 외측 주변측의 한쪽에만 워블이 형성되고, 트랙(Tr·B)에서는 디스크 내측 주변측의 한쪽에만 워블이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 트랙 피치는, 서로 인접하는 트랙(Tr·A)과 트랙(Tr·B)의 각 센터 사이의 거리가 되고,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랙 피치는 0.95μm로 되어 있다.
여기서, 워블 그룹(WG)으로서의 그룹에 형성된 워블은, 디스크 상의 물리 어드레스가 FM 변조+바이페이즈 변조에 의해 인코드된 신호에 기초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록 재생 시에 있어서 워블 그룹(WG)에 주어진 워블링으로부터 얻어지는 재생 정보를 복조 처리함으로써, 디스크 상의 물리 어드레스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워블 그룹(WG)으로서의 어드레스 정보는, 트랙(Tr·A, Tr·B)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유효한 것이 된다. 즉, 워블 그룹(WG)을 삽입하여 내측 주변에 위치하는 트랙(Tr·A)과, 외측 주변에 위치하는 트랙(Tr·B)은, 그 워블 그룹(WG)에 주어진 워블링에 의한 어드레스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어드레싱 방식은 인터레이스 어드레싱 방식이라고도 한다. 상기 인터레이스 어드레싱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인접하는 워블간의 크로스 토크를 억제한 뒤에 트랙 피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룹에 대하여 워블을 형성함으로써 어드레스를 기록하는 방식에 관해서는, ADIP(Adress In Pregroove) 방식이라고도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일의 어드레스 정보를 공유하는 트랙(Tr·A, Tr·B) 중 어느 하나를 트레이스하고 있는 가의 식별은 다음과 같이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 빔 방식을 응용하여, 메인 빔이 트랙(랜드(Ld))을 트레이스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남은 2개의 사이드 빔은, 상기 메인 빔이 트레이스하고 있는 트랙의 양 사이드에 위치하는 그룹을 트레이스하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도 2의 (b)에는, 구체적인 예로서, 메인 빔 스폿(SPm)이 트랙(Tr·A)을 트레이스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2개의 사이드 빔 스폿(SPs1, SPs 2) 중, 내측 주변측의 사이드 빔 스폿(SPs1)은 논워블 그룹(NWG)을 트레이스하고, 외측 주변측의 사이드 빔 스폿(SPs2)은 워블 그룹(WG)을 트레이스하게 된다.
이에 반해,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인 빔 스폿(SPm)이 트랙(Tr·B)을 트레이스하고 있는 상태이면, 사이드 빔 스폿(SPs1)이 워블 그룹(WG)을 트레이스하고, 사이드 빔 스폿(SPs2)이 논워블 그룹(NWG)을 트레이스하게 된다.
이와 같이, 메인 빔 스폿(SPm)이, 트랙(Tr·A)을 트레이스하는 경우와 트랙(Tr·B)을 트레이스하는 경우에서는 사이드 빔 스폿(SPs1, SPs2)이 트레이스해야 할 그룹으로서는, 필연적으로 워블 그룹(WG)과 논워블 그룹(NWG)으로 교체하게 된다.
사이드 빔 스폿(SPs1, SPs2)의 반사에 의해 포토디텍터에서 얻어지는 검출 신호는, 워블 그룹(WG)과 논워블 그룹(NWG) 중 어느 것을 트레이스하고 있는 것인 가로 다른 파형이 얻어진다.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현재 사이드 빔 스폿(SPs1, SPs2) 중, 어느 쪽이 워블 그룹(WG)(혹은 논워블 그룹(NWG))을 트레이스하고 있는 것인가를 판별함으로써, 메인 빔이 트랙(Tr·A, Tr·B) 중 어느 쪽을 트레이스하고 있는 것인가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트랙 구조를 갖는 MD-DATA2 포맷의 주요 스펙을 MD-DATA1 포맷과 비교하여 도시하는 도이다.
우선, MD-DATA1 포맷에서는, 트랙 피치는 1.6μm, 비트 길이는 0.59μm//bit가 된다. 또한, 레이저 파장 λ= 780nm가 되고, 광학 헤드의 개구율 NA=0.45가 된다.
기록 방식으로서는, 그룹 기록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즉, 그룹을 트랙으로서 기록 재생에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어드레스 방식으로서는, 싱글 스파이럴에 의한 그룹(트랙)을 형성한 뒤에, 상기 그룹의 양측에 대하여 어드레스 정보로서의 워블을 형성한 워블 그룹을 이용하는 방식을 채용하도록 되어 있다.
기록 데이터의 변조 방식으로서는 EFM(8-14 변환)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에러 정정 방식으로서는 ACIRC(Advanced Cross Interleave Reed-Solomon Code)가 채용되고, 데이터 인터리브에는 중첩 형태를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데이터의 중복도로서는 46.3%가 된다.
또한, MD-DATA1 포맷에서는, 디스크 구동 방식으로서 CLV(Constant Linear Velocity)가 채용되어 있고, CLV의 선속도로서는, 1.2m/s가 된다. 그리고 기록 재생 시의 표준의 데이터율로서는, 133kB/s가 되고, 기록 용량으로서는, 140MB가 된다.
이에 반해, 본 예의 비디오 카메라가 대응할 수 있는 MD-DATA2 포맷에서는, 트랙 피치는 0.95μm, 비트 길이는 0.39μm/bit로 되고, 모두 MD-DATA1 포맷보다도 짧게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상기 비트 길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레이저 파장 λ= 650nm, 광학 헤드의 개구율 NA=0.52로서, 합집 위치에서의 빔 스폿 직경을 좁힘과 동시에 광학계로서의 대역을 넓히고 있다.
기록 방식으로서는, 도 1, 도 2의 (a) 및 도 2의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랜드 기록 방식이 채용되고, 어드레스 방식으로서는 인터레이스 어드레싱 방식이 채용된다. 또한, 기록 데이터의 변조 방식으로서는, 고밀도 기록에 적합하게 되는 RLL(1, 7)방식(RLL; Run Length Limited)이 채용되고, 에러 정정 방식으로서는 RS-PC 방식, 데이터 인터리브에는 블록 완결형이 채용된다. 그리고 상기 각 방식을 채용한 결과, 데이터의 중복도로서는, 19.7%까지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MD-DATA2 포맷에 있어서도, 디스크 구동 방식으로서는 CLV가 채용되는 것이지만, 그 선속도로서는 2.0m/s가 되고, 기록 재생 시의 표준의 데이터율로서는 589kB/s가 된다. 그리고 기록 용량으로서는 650MB를 얻을 수 있고, MD-DATA1 포맷과 비교한 경우에는, 4배 강한 고밀도 기록화가 실현된 것으로 된다.
예를 들면, MD-DATA2 포맷에 의해 동화상의 기록을 행함으로써, 동화상 데이터가 MPEG2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 경우에는, 부호화 데이터의 비트율에도 의하지만, 시간으로 하여 15분 내지 17분의 동화상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음성 신호 데이터만을 기록하는 것으로서, 음성 데이터에 관해서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2(Trade mark)에 의한 압축 처리를 실시한 경우에는, 시간으로 하여 10시간 정도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
2. 비디오 카메라의 외관 구성
다음에 본 예의 비디오 카메라의 외관예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도 4b, 도 5a, 도 5b는, 각각, 본 예의 비디오 카메라의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배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비디오 카메라의 본체(200)의 정면부에는, 촬영을 행하기 위한 촬상 렌즈나 조리개 등을 구비한 카메라 렌즈(201)가 표출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같은 본체(200)의 정면부 하측에는, 촬영시에 있어서 외부의 음성을 수음하기 위한 마이크로폰(202)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카메라 렌즈(201)로 촬영된 화상의 녹화와, 마이크로폰(202)에 의해 수음된 스테레오 음성의 녹음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마이크로폰(202)과 같은 위치에 재생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05)도 구비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스피커(205)로부터는 비프음 등에 의한 소요의 메시지음도 출력된다.
또한, 본체(200)의 배면측에는, 뷰파인더(204)가 설치되어 있고, 기록 동작 중 및 스탠바이 중 등에 있어서는, 카메라 렌즈(201)로부터 받아들이는 화상(스루 화상이라고도 한다) 및 캐릭터 화상 등이 표시된다. 유저는 상기 뷰파인더(204)를 보면서 촬영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메인 다이얼(300), 릴리스 키(301), 삭제 키(302)가 설치된 부위는 전지 뚜껑부(206)로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전지 뚜껑부(2O6)가 개방됨으로써, 배터리(충전지)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체(200)의 측면측에는, 가동 패널부(20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동 지지부(208)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본체(200)에 대하여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동 패널부(203)의 이동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가동 패널부(203)의 배면측에는 표시 패널(67)(표시 화면)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패널부(203)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는, 표시 패널(67)은 본체측을 향하여 격납되는 상태가 된다.
표시 패널(67)은, 촬영 화상, 및 내부의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된 화상 등을 표시 출력하기 위한 부위가 된다. 또한, 기기의 동작에 따라서 소요의 메시지를 유저에게 알리기 위한 문자나 캐릭터 등에 의한 메시지 표시 등도 행하여진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67)로서 실제로 채용하는 표시 디바이스는, 여기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표시 패널(67)은,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의 배면측에 표시면에 대한 가압 조작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조작 정보로서 출력하는 터치 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시 패널(67)에 표시된 화상에 대하여 가압 조작을 행하는, 소위 GUI로서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표시 패널(67)에 대한 조작으로서는, 터치 패널에 대하여 가압력이 가해진 위치를 좌표 위치 정보로서 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 등으로도 조작된다. 그러나 표시 패널(67)의 표시 면적에 제한이 있고, 그 포인팅의 조작도 손가락으로는 곤란한 경우가 있음을 고려하여,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틱 형상의 펜(320)이 첨부된다. 유저는, 손가락 대신에 상기 펜(320)을 사용하여 표시 패널(67)에 대한 포인팅(터치)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가동 패널부(203)가 수납되는 본체부(200)측의 부위가 디스크 착탈부 (205)로 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착탈부(205)에 있어서, 본 예의 비디오 카메라에 대응하는 기록 매체로서의 디스크가 삽입, 또는 배출된다.
또한,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실제로는, 외부의 영상 기기에 대하여 재생 화상 신호 등을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 단자나, 외부의 음성 기기나 헤드폰에 대하여 재생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헤드폰/라인 단자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부의 데이터 기기와 데이터 전송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에 대응하여 I/F 단자 등도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200)의 각부에는, 유저 조작을 위한 각종의 조작자가 설치된다. 이하, 주요한 각 조작자에 관해서 설명한다.
메인 다이얼(300)은,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여 본체(200)의 배면측에 설치되고, 비디오 카메라의 온/오프, 기록 동작, 재생 동작을 설정하는 조작자가 된다. 이 경우에는, 회전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메인 다이얼(300)이 전원 오프 위치(PS2)에 있는 경우에는 전원이 오프의 상태에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상기 상태로부터 메인 다이얼(300)이 재생/편집 위치(PS1)에 회전 조작되면, 전원 온의 상태가 되어, 녹화 파일의 재생이나, 각종 편집 조작이 가능한 모드 상태가 된다. 또한, 카메라 모드 위치(PS3)에 회전 조작되면, 전원 온의 상태로, 동화상, 또는 정지 화상으로서의 녹화 파일을 기록 가능한 모드(카메라 모드)가 된다. 더욱이, 카메라 모드 위치(PS4)로 하면, 인터뷰 모드가 된다.
인터뷰 모드란,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기록 동작으로서는, 음성 주체로 기록이 행하여지고, 임의의 시점에서, 후술하는 릴리스 키(301) 또는 포토 키(304)가 가압 조작될 때 촬영되는 화상을 정지 화상으로서 기록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인터뷰 모드의 재생에서는, 인터뷰 모드에 의해서 기록된 녹화 파일을 재생하는 것이다. 인터뷰 모드의 재생은, 예를 들면 음성을 재생하면서 기록시의 타이밍으로, 정지 화상을 전환하여 표시된다.
또한, 메인 다이얼(300)의 회전부 중앙에는, 릴리스 키(301)가 구비된다. 상기 릴리스 키(301)는, 카메라 모드 또는 인터뷰 모드에 있는 상태로 기록 개시/종료를 위한 조작자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또한, 본체(200) 배면부에는 회전 가압 가능한 조작부인 통칭 죠그 다이얼(303)도 설치된다. 죠그 다이얼(303)은, 원반형상의 조작자로 되고, 정/역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소정의 회전 각도마다 클릭감을 얻게 되어 있다. 상기 죠그 다이얼(303)은, 예를 들면 실제로는 예를 들면 2상 식의 로터리 인코더 등과 조합됨으로써, 예를 들면 1 클릭이 1회전 단계가 되도록 하여, 그 회전 방향과 회전 각도에 대응한 회전 단계 수의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이 경우의 죠그 다이얼(303)은, 도 5b의 왼쪽 방향에 대하여 가압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삭제 키(302)는, 소정의 모드로 재생되어 있는 데이터에 관해서, 삭제를 행하기 위한 결정 키로서 기능한다.
또한, 주로서는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200) 측면부에서는 약간 상향의 상태로 포토 키(304), 줌 키(305), 포커스 키(306), 및 역광 보정 키(307)가 구비된다.
포토 키(304)는,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드의 상태로 가압 조작됨으로써 정지 화상의 녹화 파일을 기록하기 위한 셔터로서 기능하는 조작자이다.
줌 키(305)는, 렌즈 광학계(카메라 렌즈(201))에서의 줌 상태(텔레측 내지 와이드측)를 조작하는 조작자이다.
포커스 키(306)는, 렌즈 광학계의 포커스 상태(예를 들면 노멀/무한 등)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역광 보정 키(307)는, 역광 보정 기능을 온/오프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또한,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가동 패널부(203)가 배치되는 측의 본체(200) 측면부에는, 주로서 파일(트랙)의 기록 재생에 관한 키로서, 재생/포즈 키(308), 정지 키(309), 슬로우 재생 키(310), 서치 키(311, 312), 녹음 키(313)가 설치된다.
또한,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200)의 상면부에는, 화면 표시를 위한 화면 표시 키(314)와, 스피커로부터의 출력 음성의 음량 조절을 위한 음량 키(315, 31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 4a, 도 4b, 도 5a와 도 5b에 도시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외관은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실제로 본 예의 비디오 카메라에 요구되는 사용 조건 등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되어도 관계없는 것이다. 물론 조작자의 종류나 조작 방식, 또한 외부 기기와의 접속 단자류 등은 각종 다양하게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도 6a, 도 6b에 의해, 앞에서 기술한 가동 패널부(203)의 이동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6a, 도 6b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비디오 카메라의 외관은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가동 패널부(203)의 이동으로서는, 우선, 도 4b에 도시한 위치 상태로부터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살표(YJ1)의 방향을 따라서 일으켜 세우도록 하여 그 위치 상태를 바꿀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경우, 표시 화면(표시 패널(67))은 촬영자(뷰파인더(204))측을 향하게 되어, 촬상 화상을 포착하는 카메라 렌즈(201)와는 거의 대향하는 방향을 향하게 된다. 상기 표시 패널의 위치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를 소지하는 촬영자가 표시 패널(67)에 표시된 촬상 화상을 모니터하면서 촬영(녹화)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6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화살표(YJ2)의 방향을 따라서 약 180°정도의 범위에서 가동 패널부(203)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67)이 피사체(카메라 렌즈)측을 향하는 위치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피사체측에 있는 유저가 촬상 화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디스크 착탈부(205)에 대하여 디스크의 삽입을 행하거나, 디스크의 꺼냄을 행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도 6a,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본체(200)로부터 가동 패널부(203)를 일으켜 세운 상태로 행하게 된다.
또한, 도 6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화살표(YJ3)의 방향에 가동 패널부(203)를 이동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표시 패널(67)이 외측에서 볼 수 있는 상태로, 가동 패널부(203)가 수납 위치에 있게 된다.
또한, 상술과 같이 하여 화살표(YJ2)의 방향을 따라서 표시 패널을 회전시키면, 표시 패널(67)이 촬영자측을 향하였을 때와 피사체측을 향하였을 때서는 표시 화상이 보이는 쪽이 상하 좌우로 반전하게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패널부(203)의 회동 상태에 따라서 표시 패널(67)의 표시 화상이 항상 유저(촬영자 및 피사체)로부터 적정한 방향에서 볼 수 있도록 반전 표시 제어를 행함으로써 이러한 불합리함을 해소하고 있다.
3. 비디오 카메라의 내부 구조
도 7은, 본 예의 비디오 카메라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하는 렌즈 블록(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실제로는 촬상 렌즈나 조리개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광학계(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 4b에 도시한 카메라 렌즈(201)는, 상기 광학계(11)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렌즈 블록(1)에는, 광학계(11)에 대하여 오토포커스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포커스 모터나, 상기 줌 키(304)의 조작에 기초하는 줌 렌즈의 이동을 행하기 위한 줌 모터 등이, 모터부(12)로서 구비된다.
카메라 블록(2)에는, 주로 렌즈 블록(1)에 의해 촬영한 화상 광을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부가 구비된다.
상기 카메라 블록(2)의 CCD(Charge Coupled Device)(21)에 대하여는, 광학계(11)를 투과한 피사체의 광 화상이 주어진다. CCD(21)는 상기 광 화상에 관해서 광전 변환을 행함으로써 촬상 신호를 생성하고, 샘플 홀드/AGC(Automatic Gain Control)회로(22)에 공급한다. 샘플 홀드/AGC 회로(22)에서는, CCD(21)로부터 출력된 촬상 신호에 관해서 게인 조정을 행함과 동시에, 샘플 홀드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파형 정형을 행한다. 샘플 홀드/AGC 회로(2)의 출력은, 비디오 A/D 컨버터(23)에 공급됨으로써, 디지털로서의 화상 신호 데이터로 변환된다.
상기 CCD(21), 샘플 홀드/AGC 회로(22), 비디오 A/D 컨버터(23)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 타이밍은, 타이밍 제너레이터(24)에서 생성되는 타이밍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타이밍 제너레이터(24)에서는, 후술하는 데이터 처리/시스템 컨트롤 회로(31)(비디오 신호 처리 회로부(3)내)에서 신호 처리에 이용되는 클록을 입력하고, 상기 클록에 기초하여 소요의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카메라 블록(2)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 타이밍을, 비디오 신호 처리부(3)에서의 처리 타이밍과 동기시키도록 하고 있다.
카메라 컨트롤러(25)는, 카메라 블록(2)내에 구비되는 상기 각 기능 회로부 가 적정하게 동작하도록 소요의 제어를 실행함과 동시에, 렌즈 블록(1)에 대하여 오토포커스, 자동 노출 조정, 조리개 조정, 줌 등을 위한 제어를 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오토포커스 제어이면, 카메라 컨트롤러(25)는, 소정의 오토포커스 제어 방식에 따라서 얻어지는 포커스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포커스 모터의 회전각을 제어한다. 이로써, 촬상 렌즈는 저스트 핀트 상태가 되도록 구동되어지게 된다.
비디오 신호 처리부(3)는, 기록시에 있어서는, 카메라 블록(2)으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화상 신호, 및 마이크로폰(202)에 의해 집음되는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압축 처리하고, 이들 압축 데이터를 유저 기록 데이터로서 후단의 미디어 드라이브부(4)에 공급한다. 또한 비디오 신호 처리부(3)는, 카메라 블록(2)으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화상 신호와 캐릭터 화상에 의해 생성한 화상을 뷰파인더 드라이브부(207)에 공급하고, 뷰파인더(204)에 표시시킨다.
또한, 재생시에 있어서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3)는, 미디어 드라이브부(4)로부터 공급되는 유저 재생 데이터(디스크(51)로부터의 판독 데이터), 즉 압축 처리된 화상 신호 데이터 및 음성 신호 데이터에 관해서 복조 처리를 실시하고, 이들을 재생 화상 신호, 재생 음성 신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 화상 신호 데이터(화상 데이터)의 압축/신장 처리 방식으로서는, 동화상에 관해서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를 채용하고, 정지 화상에 관해서는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를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음성 신호 데이터 압축/신장 처리 방식에는,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2를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비디오 신호 처리부(3)의 데이터 처리/시스템 컨트롤 회로(31)는, 주로, 해당 비디오 신호 처리부(3)에 있어서의 화상 신호 데이터 및 음성 신호 데이터의 압축/신장 처리에 관한 제어 처리와, 비디오 신호 처리부(3)를 경유하는 데이터의 입출력을 담당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시스템 컨트롤 회로(31)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3) 전체에 관해서의 제어 처리는, 비디오 컨트롤러(38)가 실행된다.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38)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카메라 플로터(2)의 카메라 컨트롤러(25),및 후술하는 미디어 드라이브부(4)의 드라이버 컨트롤러(46)와,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버스 라인 등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비디오 신호 처리부(3)에 있어서의 기록시의 기본적인 동작으로서, 데이터 처리/시스템 컨트롤 회로(31)에는, 카메라 블록(2)의 비디오 A/D 컨버터(23)로부터 공급된 화상 신호 데이터가 입력된다. 데이터 처리/시스템 컨트롤 회로(31)에서는, 입력된 화상 신호 데이터를 예를 들면, 이동 검출 회로(35)에 공급한다. 이동 검출 회로(35)에서는, 예를 들면 메모리(36)를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하면서 입력된 화상 신호 데이터에 관해서 이동 보상 등의 화상 처리를 실시한 후, MPEG2 비디오 신호 처리 회로(33)에 공급한다.
MPEG2 비디오 신호 처리 회로(33)는, 예를 들면 메모리(34)를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하면서, 입력된 화상 신호 데이터에 관해서 MPEG2의 포맷에 따라서 압축 처리를 실시하고, 동화상으로서의 압축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MPEG2 비트 스트림)을 출력한다. 또한, MPEG2 비디오 신호 처리 회로(33)에서는 예를 들면 동화상으로서의 화상 신호 데이터로부터 정지 화상으로서의 화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것에 압축 처리를 실시할 때는, JPEG의 포맷에 따라서 정지 화상으로서의 압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JPEG는 채용하지 않고, MPEG2의 포맷에 의한 압축 화상 데이터로서, 정규의 화상 데이터가 되는 I 픽처(Intra Picture)를 정지 화상의 화상 데이터로서 취급하는 것도 고려된다.
MPEG2 비디오 신호 처리 회로(33)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 화상 신호 데이터(압축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버퍼 메모리(32)에 대하여 소정의 전송율로 기록되어 일시 보유된다.
또한 MPEG2의 포맷에 있어서는, 주지와 같이 소위 부호화 비트율(데이터율)로서, 일정 속도(CBR; Constant Bit Rate)와, 가변 속도(VBR; Variable Bit Rate)의 양자가 서포트되어 있고, 비디오 신호 처리부(3)에서는 이들에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VBR에 의한 화상 압축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이동 검출 회로(35)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매크로 블록 단위에 의해 전후 수십 내지 수백 프레임 내의 범위에서 이동 검출을 행하여, 이동 있음으로 되면 상기 검출 결과가 이동 벡터 정보로서 MPEG2 비디오 신호 처리 회로(33)에 전송된다.
MPEG2 비디오 신호 처리 회로(33)에서는, 압축 부호화 후의 화상 데이터를 어떤 소요의 데이터율로 하도록, 상기 이동 벡터 정보를 시작으로 소요의 정보를 이용하면서, 매크로 블록마다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여 간다.
음성 압축 인코더/디코더(37)에는, A/D 컨버터(64)(표시/화상/음성 입출력부(6) 내)를 통해,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202)에 의해 집음된 음성이 디지털에 의한 음성 신호 데이터로서 입력된다.
음성 압축 인코더/디코더(37)에서는, 상술과 같이 ATRAC2의 포맷에 따라서 입력된 음성 신호 데이터를 압축 처리한다. 상기 압축 음성 신호 데이터도 또한, 데이터 처리/시스템 컨트롤 회로(31)에 의해서 버퍼 메모리(32)에 대하여 소정의 전송율에 의한 기록이 행하여지고, 여기서 일시 보유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버퍼 메모리(32)에는, 압축 화상 데이터 및 압축 음성 신호 데이터가 축적 가능하게 된다. 버퍼 메모리(32)는, 주로, 카메라 블록(2) 혹은 표시/화상/음성 입출력부(6)와 버퍼 메모리(32) 사이의 데이터 전송율과, 버퍼 메모리(32)와 미디어 드라이브부(4) 사이의 데이터 전송율의 속도차를 흡수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버퍼 메모리(32)에 축적된 압축 화상 데이터 및 압축 음성 신호 데이터는, 기록시이면, 순차 소정 타이밍으로 판독이 행하여져, 미디어 드라이브부(4)의 MD-DATA2 인코더/디코더(41)에 전송된다. 단지, 예를 들면 재생시에 있어서 버퍼 메모리(32)에 축적된 데이터의 판독과, 상기 판독된 데이터를 미디어 드라이브부(4)로부터 덱부(5)를 통해 디스크(51)에 기록하기까지의 동작은, 간헐적으로 행하여져도 관계없다.
이러한 버퍼 메모리(32)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 제어는, 예를 들면, 데이터 처리/시스템 컨트롤 회로(31)에 의해서 실행된다.
비디오 신호 처리부(3)에 있어서의 재생시의 동작으로서는,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된다.
재생시에는, 디스크(51)로부터 판독되고, MD-DATA2 인코더/디코더(41)(미디어 드라이브부(4)내)의 처리에 의해 MD-DATA2 포맷에 따라서 디코드된 압축 화상 데이터, 압축 음성 신호 데이터(유저 재생 데이터)가, 데이터 처리/시스템 컨트롤 회로(31)에 전송되어 온다.
데이터 처리/시스템 컨트롤 회로(31)에서는, 예를 들면 입력된 압축 화상 데이터 및 압축 음성 신호 데이터를, 일단 버퍼 메모리(32)에 축적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재생 시간축의 정합이 얻어지는 소요의 타이밍 및 전송율로, 버퍼 메모리(32)로부터 압축 화상 데이터 및 압축 음성 신호 데이터의 판독을 행하고, 압축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MPEG2 비디오 신호 처리 회로(33)에 공급하고, 압축 음성 신호 데이터에 관해서는 음성 압축 인코더/디코더(37)에 공급한다.
MPEG2 비디오 신호 처리 회로(33)에서는, 입력된 압축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 신장 처리를 실시하여, 데이터 처리/시스템 컨트롤 회로(31)에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시스템 컨트롤 회로(31)는, 상기 신장 처리된 화상 신호 데이터를, 비디오 D/A 컨버터(61)(표시/화상/음성 입출력부(6)내)에 공급한다.
음성 압축 인코더/디코더(37)에서는, 입력된 압축 음성 신호 데이터에 관해서 신장 처리를 실시하고, D/A 컨버터(65)(표시/화상/음성 입출력부(6)내)에 공급한다.
표시/화상/음성 입출력부(6)에 있어서는, 비디오 D/A 컨버터(61)에 입력된 화상 신호 데이터는, 여기서 아날로그 화상 신호로 변환되고, 표시 컨트롤러(62) 및 콤퍼짓 신호 처리 회로(63)에 대하여 분기하여 입력된다.
표시 컨트롤러(62)에서는, 입력된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6A)를 구동한다. 이로써, 표시부(6A)에서 재생 화상의 표시가 행하여진다. 또한, 표시부(6A)에 있어서는, 디스크(51)로부터 재생되어 얻어지는 화상의 표시뿐만 아니라, 당연한 것으로서, 렌즈 블록(1) 및 카메라 블록(2)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부위에 의해 촬영되어 얻어진 촬상 화상도, 거의 실시간으로 표시 출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재생 화상 및 촬상 화상 이외에, 상술과 같이, 기기의 동작에 따라서 소요의 메시지를 유저에게 알리기 위한 문자나 캐릭터 등에 의한 메시지 표시도 행하여진다. 이러한 메시지 표시는, 예를 들면 비디오 컨트롤러(38)가, 소요의 문자나 캐릭터 등이 소정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데이터 처리/시스템 컨트롤 회로(31)로부터 비디오 D/A 컨버터(61)에 출력해야 할 화상 신호 데이터에 대하여, 소요의 문자나 캐릭터 등의 화상 신호 데이터를 합성하는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표시부(6A)는, 터치 패널(6B)이 조합됨으로써, 표시 패널(67)을 구성한다.
터치 패널(6B)에서는, 표시부(6A) 상에 대하여 행하여진 가압 조작의 위치 정보를 검지하고, 이것을 조작 정보로서 비디오 컨트롤러(38)에 대하여 출력한다.
콤퍼짓 신호 처리 회로(63)에서는, 비디오 D/A 컨버터(61)로부터 공급된 아 날로그 화상 신호에 관해서 콤퍼짓 신호로 변환하여, 비디오 출력 단자(T1)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비디오 출력 단자(T1)를 통해, 외부 모니터 장치 등과 접속을 행하면, 해당 비디오 카메라로 재생한 화상을 외부 모니터 장치에 의해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표시/화상/음성 입출력부(6)에 있어서, 음성 압축 인코더/디코더(37)로부터 D/A 컨버터(65)에 입력된 음성 신호 데이터는, 여기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되고, 헤드폰/라인 단자(T2)에 대하여 출력된다. 또한, D/A 컨버터(65)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앰플리파이어(66)를 통해 스피커(205)에 대하여도 분기하여 출력되고, 스피커(205)로부터는, 재생 음성 등이 출력되어지게 된다.
미디어 드라이브부(4)는, 주로, 기록시에는 MD-DATA2 포맷에 따라서 기록 데이터를 디스크 기록에 적합하도록 인코드하여 덱부(5)에 전송하고, 재생시에 있어서는, 덱부(5)에 있어서 디스크(51)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대해서 디코드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재생 데이터를 얻어, 비디오 신호 처리부(3)에 대하여 전송한다.
상기 미디어 드라이브부(4)의 MD-DATA2 인코더/디코더(41)는, 기록시에 있어서는, 데이터 처리/시스템 컨트롤러 회로(31)로부터 기록 데이터(압축 화상 데이터+ 압축 음성 신호 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 기록 데이터를, MD-DATA2 포맷에 따른 소정의 인코드하고, 상기 인코드된 데이터를 일시 버퍼 메모리(42)에 축적한다. 그리고 MD-DATA2 인코더/디코더(41)는, 소요의 타이밍으로 판독을 행하면서 덱부(5)에 전송한다.
재생시에 있어서는, MD-DATA2 인코더/디코더(41)는, 디스크(51)로부터 판독되고, RF 신호 처리 회로(44), 2치화 회로(43)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 재생 신호를, MD-DATA2 포맷에 따라서 디코드하고, 재생 데이터로서 비디오 신호 처리부(3)의 데이터 처리/시스템 컨트롤 회로(31)에 대하여 전송한다.
또한, 이 때 있어서도, 필요가 있으면 재생 데이터가 일단 버퍼 메모리(42)에 축적되고, 여기로부터 소요의 타이밍으로 판독된 데이터가 데이터 처리/시스템 컨트롤 회로(31)에 전송 출력된다. 이러한, 버퍼 메모리(42)에 대한 기록/판독 제어는 드라이버 컨트롤러(46)가 실행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디스크(51)의 재생시에 있어서, 외란 등에 의해서 서보 등이 벗어나서, 디스크로부터의 신호의 판독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라도, 버퍼 메모리(42)에 대하여 판독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기간 내에 디스크에 대한 재생 동작을 복귀시키도록 하면, 재생 데이터로서의 시계열적 연속성을 보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RF 신호 처리 회로(44)에는, 디스크(51)로부터의 판독 신호에 관해서 소요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예를 들면, 재생 데이터로서의 RF 신호, 덱부(5)에 대한 서보 제어를 위한 포커스 에러 신호, 트랙킹 에러 신호 등의 서보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RF 신호는, 상기한 바와 같이 2치화 회로(43)에 의해 2치화되고 디지털 신호 데이터로서 MD-DATA2 인코더/디코더(41)에 입력된다.
또한, 생성된 각종 서보 제어 신호는 서보 회로(45)에 공급된다. 서보 회로(45)에서는, 입력된 서보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덱부(5)에 있어서의 소요의 서보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MD-DATA1 포맷에 대응하는 인코더/디코더(47)를 구비하고 있고, 비디오 신호 처리부(3)로부터 공급된 기록 데이터를, MD-DATA1 포맷에 따라서 인코드하여 디스크(51)에 기록하는 것, 혹은, 디스크(51)로부터의 판독 데이터가 MD-DATA1 포맷에 따라서 인코드되어 있는 것에 관해서는, 그 디코드 처리를 행하여, 비디오 신호 처리부(3)에 전송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본 예의 비디오 카메라로서는, MD-DATA2 포맷과 MD-DATA1 포맷에 관해서 호환성이 얻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드라이버 컨트롤러(46)는, 미디어 드라이브부(4)를 총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능 회로부가 된다.
덱부(5)는, 디스크(51)를 구동하기 위한 기구로 이루어지는 부위로 된다.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덱부(5)에 있어서는, 장전되어야 할 디스크(51)가 착탈 가능하게 되고, 유저의 작업에 의해서 교환이 가능하게 된 기구(디스크 슬롯(203)(도 4b 참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여기서의 디스크(51)는, MD-DATA2 포맷, 또는 MD-DATA1 포맷에 대응하는 광자기 디스크인 것이 전제가 된다.
덱부(5)에 있어서는, 장전된 디스크(51)를 CLV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52)에 의해서, CLV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상기 디스크(51)에 대하여는 기록/재생시에 광학 헤드(53)에 의해서 레이저광이 조사된다.
광학 헤드(53)는, 기록시에는 기록 트랙을 퀴리 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한 고레벨의 레이저 출력을 행하고, 또한 재생시에는 자기 카 효과에 의해 반사광으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비교적 저레벨의 레이저 출력을 한다. 따라서 광학 헤드(53)에는, 여기서는 자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레이저 출력 수단으로서의 레이저 다이오드, 편광 빔 스플리터나 대물 렌즈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학계, 및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한 디텍터가 탑재되어 있다. 광학 헤드(53)에 구비되는 대물 렌즈로서는, 예를 들면 2축 기구에 의해서 디스크 반경 방향 및 디스크에 접촉 분리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보유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51)를 삽입하여 광학 헤드(53)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자기헤드(54)가 배치되어 있다. 자기헤드(54)는 기록 데이터에 의해서 변조된 자계를 디스크(51)에 인가하는 동작을 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덱부(5)에 있어서는, 스레드 모터(55)에 의해 구동되는 스레드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레드 기구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광학 헤드(53) 전체 및 자기헤드(54)는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부(7)는 도 4a와 도 4b에 도시한 각종 조작자에 상당하고, 이들의 조작자에 의한 유저의 각종 조작 정보는 예를 들면 비디오 컨트롤러(38)에 출력된다.
비디오 컨트롤러(38)는, 앞에서 기술한 터치 패널(6B), 및 상기 조작부(7)로부터 출력되는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필요한 동작이 각부에서 실행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카메라 컨트롤러(25), 드라이버 컨트롤러(46)에 대하여 공급한다.
외부 인터페이스(8)는, 해당 비디오 카메라와 외부기기에서 데이터를 상호 전송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도면과 같이 I/F 단자(T3)와 비디오 신호 처리부 사이에 대하여 설치된다. 또한, 외부 인터페이스(8)로서는 여기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IEEE1394 등이 채용되면 된다.
예를 들면, 외부의 디지털 화상 기기와 본 예의 비디오 카메라가 I/F 단자(T3)를 통해 접속된 경우,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음성)을 외부 디지털 화상 기기에 녹화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외부 디지털 화상 기기로 재생된 화상(음성) 데이터 등을, 외부 인터페이스(8)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MD-DATA2(혹은 MD-DATA1) 포맷에 따라서 디스크(51)에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캡션의 삽입 등에 이용하는 문자 정보로서의 파일도 수신하여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원 블록(9)은, 내장의 배터리에 의해 얻어지는 직류 전원 또는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생성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각 기능 회로부에 대하여 소요의 레벨의 전원 전압을 공급한다. 전원 블록(9)에 의한 전원 온/오프는, 상술한 메인 다이얼(300)의 조작에 따라서 비디오 컨트롤러(38)가 제어한다.
또한 기록 동작 중은 비디오 컨트롤러(38)는 인디케이터(206)의 발광 동작을 실행시킨다.
4. 미디어 드라이브부의 구성
계속해서, 도 7도에 도시한 미디어 드라이브부(4)의 구성으로서, MD-DATA2에 대응하는 기능 회로부를 추출한 상세한 구성에 관해서, 도 8도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는, 미디어 드라이브부(4)와 함께 덱부(5)를 도시하고 있지만, 덱부(5)의 내부 구성에 관해서는 도 7에서 설명하였기 때문에, 여 기서는, 도 7과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미디어 드라이브부(4)에 있어서 도 7도의 블록에 상당하는 범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광학 헤드(53)의 디스크(51)에 대한 데이터 판독 동작에 의해 검출된 정보(포토 디텍터에 의해 레이저 반사광을 검출하여 얻어지는 광 전류)는, RF 신호 처리 회로(44)내의 RF 앰플리파이어(101)에 공급된다.
RF 앰플리파이어(101)는 입력된 검출 정보로부터, 재생 신호로서의 재생 RF 신호를 생성하고, 2치화 회로(43)에 공급한다. 2치화 회로(43)는, 입력된 재생 RF 신호에 관해서 2치화를 행함으로써, 디지털 신호화된 재생 RF 신호(2치화 RF 신호)를 얻는다.
상기 2치화 RF 신호는 MD-DATA2 인코더/디코더(41)에 공급되고, 먼저 AGC/클램프 회로(103)를 통해 게인 조정, 클램프 처리 등이 행하여진 후, 이퀄라이저/PLL 회로(104)에 입력된다.
이퀄라이저/PLL 회로(104)는, 입력된 2치화 RF 신호를 이퀄라이징 처리하여 비터비 디코더(105)에 출력한다. 또한 이퀄라이징 처리 후의 2치화 RF 신호를 PLL 회로에 입력함으로써, 2치화 RF 신호(RLL(1, 7) 부호열)에 동기한 클록 CLK을 추출한다.
클록 CLK의 주파수는 현재의 디스크 회전 속도에 대응한다. 이로 이해, CLV 프로세서(111)에서는, 이퀄라이저/PLL 회로(104)로부터 클록 CLK을 입력하고, 소정의 CLV 속도(도 3 참조)에 대응하는 기준치와 비교함으로써 오차 정보를 얻어, 상기 오차 정보를 스핀들 에러 신호 SPE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성분으로서 이용한다. 또한, 클록 CLK는, 예를 들면 RLL(1, 7) 복조 회로(106)를 시작으로 하는, 소요의 신호 처리 회로 시스템에서의 처리를 위한 클록으로서 이용된다.
비터비 디코더(105)는, 이퀄라이저/PLL 회로(104)로부터 입력된 2치화 RF 신호에 관해서, 소위 비터비 복호법에 따른 복호 처리를 행한다. 이로써, RLL(1, 7)부호열로서의 재생 데이터가 얻어지게 된다.
상기 재생 데이터는 RLL(1, 7) 복조 회로(106)에 입력되고, 여기서 RLL(1, 7)복조가 실시된 데이터 스트림으로 된다.
RLL(1, 7) 복조 회로(106)에 있어서의 복조 처리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 스트림은, 데이터 버스(114)를 통해 버퍼 메모리(42)에 대하여 기록이 행하여지고, 버퍼 메모리(42)상에서 전개된다.
이렇게 하여 버퍼 메모리(42)상에 전개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는, 우선, ECC 처리 회로(116)에 의해, RS-PC 방식에 따라서 에러 정정 블록 단위에 의한 에러 정정 처리가 실시되고, 더욱이, 디스크램블/EDC 디코드 회로(117)에 의해, 디스크램블 처리와, EDC 디코드 처리(에러 검출 처리)가 실시된다.
지금까지의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가 재생 데이터 DATAp가 된다. 상기 재생 데이터 DATAp는, 전송 클록 발생 회로(121)에서 발생된 전송 클록에 따른 전송율로, 예를 들면 디스크램블/EDC 디코드 회로(117)로부터 비디오 신호 처리부(3)의 데이터 처리/시스템 컨트롤 회로(31)에 대하여 전송되어지게 된다.
전송 클록 발생 회로(121)는, 예를 들면, 크리스털계의 클록을 미디어 드라이브부(4)와 비디오 신호 처리부(3)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나, 미디어 드라이브부(4)내에서의 기능 회로부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행할 때, 적절하게 적정이 되는 주파수의 전송 클록(데이터 전송율)을 발생하기 위한 부위가 된다.
또한, 전송 클록 발생 회로(121)는, 해당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미디어 드라이브부(4) 및 비디오 신호 처리부(3)의 각 기능 회로부에 공급해야 할 소요의 주파수의 클록을 발생한다.
광학 헤드(53)에 의해 디스크(51)로부터 판독된 검출 정보(광 전류)는, 매트릭스 앰플리파이어(107)에 대하여도 공급된다.
매트릭스 앰플리파이어(107)에서는, 입력된 검출 정보를 소요의 연산 처리함으로써, 트랙킹 에러 신호 TE, 포커스 에러 신호 FE, 그룹 정보(디스크(51)에 워블 그룹(WG)으로서 기록되어 있는 절대 어드레스 정보) GFM 등을 추출하여 서보 회로(45)에 공급한다. 즉 추출된 트랙킹 에러 신호 TE, 포커스 에러 신호 FE는 서보 프로세서(112)에 공급되고, 그룹 정보 GFM은 ADIP 밴드 패스 필터(108)에 공급된다.
ADIP 밴드 패스 필터(108)에 의해 대역 제한된 그룹 정보 GFM은, A/B 트랙 검출 회로(109), ADIP 디코더(110), 및 CLV 프로세서(111)에 대하여 공급된다.
A/B 트랙 검출 회로(109)는, 예를 들면 도 2의 (b)에서 설명한 방식 등에 기초하여, 입력된 그룹 정보 GFM으로부터, 현재 트레이스하고 있는 트랙이 트랙(Tr·A, Tr·B) 중 어느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인가에 관해서 판별을 행하고, 상기 트랙 판별 정보를 드라이버 컨트롤러(46)에 출력한다. 또한, ADIP 디코더(110)에서는, 입력된 그룹 정보 GFM을 디코드하여 디스크 상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인 ADIP 신호를 추출하여, 드라이버 컨트롤러(46)에 출력한다. 드라이버 컨트롤러(46)에서는, 상기 트랙 판별 정보 및 ADIP 신호에 기초하여, 소요의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CLV 프로세서(111)에는, 이퀄라이저/PLL 회로(104)로부터 클록 CLK와, ADIP 밴드 패스 필터(108)를 통한 그룹 정보 GFM이 입력된다. CLV 프로세서(111)에서는, 예를 들면 그룹 정보 GFM에 대한 클록 CLK과의 위상 오차를 적분하여 얻어지는 오차 신호에 기초하여, CLV 서보 제어를 위한 스핀들 에러 신호 SPE를 생성하고, 서보 프로세서(112)에 대하여 출력한다. 또한, CLV 프로세서(111)가 실행해야 할 소요의 동작은 드라이버 컨트롤러(46)에 의해서 제어된다.
서보 프로세서(1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입력된 트랙킹 에러 신호 TE, 포커스 에러 신호 FE, 스핀들 에러 신호 SPE, 드라이버 컨트롤러(46)로부터의 트랙 점프 지령, 액세스 지령 에 기초하여 각종 서보 제어 신호(트랙킹 제어 신호, 포커스 제어 신호, 스레드 제어 신호, 스핀들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서보 드라이버(113)에 대하여 출력한다.
서보 드라이버(113)에서는, 서보 프로세서(112)로부터 공급된 서보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소요의 서보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의 서보 드라이브 신호는, 2축 기구를 구동하는 2축 드라이브 신호(포커스 방향, 트랙킹 방향의 2종), 스레드 기구를 구동하는 스레드 모터 구동 신호, 스핀들 모터(52)를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 구동 신호가 된다.
이러한 서보 드라이브 신호가 덱부(5)에 대하여 공급됨으로써, 디스크(51)에 대한 포커스 제어, 트랙킹 제어, 및 스핀들 모터(52)에 대한 CLV 제어가 행하여지게 된다.
디스크(51)에 대하여 기록 동작이 실행될 때는, 예를 들면, 비디오 신호 처리부(3)의 데이터 처리/시스템 컨트롤 회로(31)로부터 스크램블/EDC 인코드 회로(115)에 대하여 기록 데이터 DATA가 입력되어지게 된다. 상기 유저 기록 데이터 DATAr은, 예를 들면 전송 클록 발생 회로(121)에서 발생된 전송 클록(데이터 전송율)에 동기하여 입력된다.
스크램블/EDC 인코드 회로(115)에서는, 예를 들면 기록 데이터 DATAr를 버퍼 메모리(42)에 기록하여 전개하고, 데이터 스크램블 처리, EDC 인코드 처리(소정 방식에 의한 에러 검출 부호의 부가 처리)를 실시한다. 이 처리 후, 예를 들면 ECC 처리 회로(116)에 의해서, 버퍼 메모리(42)에 전개시키고 있는 기록 데이터 DATAr 에 대하여 RS-PC 방식에 의한 에러 정정 부호가 부가된다.
여기까지의 처리가 실시된 기록 데이터 DATAr는, 버퍼 메모리(42)로부터 판독되어, 데이터 버스(114)를 통해 RLL(1, 7) 변조 회로(118)에 공급된다.
RLL(1, 7) 변조 회로(118)는, 입력된 기록 데이터 DATAr에 관해서 RLL(1, 7)변조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RLL(1, 7) 부호열로서의 기록 데이터를 자기 헤드 구동 회로(119)에 출력한다.
그런데, MD-DATA2 포맷에서는, 디스크에 대한 기록 방식으로서, 소위 레이저 스트로브 자계 변조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레이저 스트로브 자계 변조 방식이란, 기록 데이터에 의해 변조한 자계를 디스크 기록면에 인가함과 동시에, 디스크에 조사해야 할 레이저광을 기록 데이터에 동기하여 펄스 발광시키는 기록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레이저 스트로브 자계 변조 방식에서는, 디스크에 기록되는 피트 에지의 형성 과정이 자계의 반전 속도 등의 과도 특성에 의존하지 않고, 레이저 펄스의 조사 타이밍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단순 자계 변조 방식(레이저광을 디스크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조사함과 동시에 기록 데이터에 의해 변조한 자계를 디스크 기록면에 인가하도록 한 방식)과 비교하여, 레이저 스트로브 자계 변조 방식에서는, 기록 피트의 지터를 대단히 작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게 된다. 즉, 레이저 스트로브 자계 변조 방식은, 고밀도 기록화에 유리한 기록 방식으로 되는 것이다.
미디어 드라이브부(4)의 자기 헤드 구동 회로(119)에서는, 입력된 기록 데이터에 의해 변조한 자계가 자기헤드(54)로부터 디스크(51)에 인가되도록 동작한다. 또한, RLL(1,7) 변조 회로(118)는, 레이저 드라이버(120)에 대하여는 기록 데이터에 동기한 클록을 출력한다. 레이저 드라이버(120)는, 입력된 클록에 기초하여, 자기헤드(54)에 의해 자계로서 발생되는 기록 데이터에 동기시킨 레이저 펄스가 디스크에 대하여 조사되도록, 광학 헤드(53)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한다. 이 때,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발광 출력되는 레이저 펄스는, 기록에 적합한 소요의 레이저 파워에 기초한 것으로 된다. 이렇게 하여, 본 예의 미디어 드라이브부(4)에 의해 상기 레이저 스트로브 자계 변조 방식으로서의 기록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5. 본 실시예에 대응하는 디스크 구조예
다음에, 본 실시예에 대응하는 디스크(51)의 데이터 구조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MD-DATA2의 포맷으로서 섹터, 클러스터라고 불리는 데이터 단위에 관해서 기술한다.
섹터는, 디스크로부터의 물리적인 데이터 판독의 최소 단위이고, 각 섹터에는, PSA(Physical Sector Address)가 할당된다.
또한, 클러스터는, 디스크에의 물리적인 데이터 기록의 최소 단위가 되고, PSA가 0h 내지 Fh까지의 연속하는 16의 섹터의 집합에 의해 형성된다. 각 클러스터에는, PCA(Physical Cluster Address)가 할당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리드 인 에어리어(플리머스터드·에어리어)에 있는 섹터는, PCA에 의해서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레코더블 에어리어에 있는 클러스터는 동일의 PCA를 갖는 클러스터가 트랙(Tr·A, Tr·B)으로 1개씩 존재하게 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대응하게 되는 디스크(51)의 데이터 관리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면에 도시하는 디스크(51)의 물리 포맷에 관해서는, 먼저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의해 설명한 대로이다.
디스크(5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관리 정보로서 PTOC 및 RTOC가 설정된다. PTOC는, 피트 형태에 의해 소요의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상기 PTOC의 내용은 재기록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RTOC는, 예를 들면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가 기록된다.
예를 들면, 본 예의 경우이면, RTOC에는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로서, 트랙(파일과 동의인 경우 있음), 및 폴더(트랙을 그룹화하여 관리하기 위한 구조)를 기록 재생시에 있어서 관리하기 위한 정보가 격납된다.
또한, RTOC의 내용은, 예를 들면, 지금까지의 디스크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결과나, 트랙(파일), 폴더의 삭제 등의 편집 처리 결과에 따라서 순차 재기록이 행하여지게 된다.
유저 데이터는, 1개의 루트 폴더 내에 위치된 볼륨 폴더(Volume Folder)로서 관리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볼륨(Volume)이란, 유저 데이터가 완전한 집합으로서 정의되고, 1장의 디스크에는 단지 1개의 볼륨이 존재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그리고 상기 볼륨 내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상기 PTOC, RTOC에서 관리되는 것을 제외하고, 볼륨 폴더 이하의 폴더 및 트랙으로서 격납되어지게 된다.
볼륨 폴더 내에서는, 소정 사이즈(예를 들면 12 클러스터)의 볼륨 인덱스 트랙(VIT= VDlume Index Track)이 위치된다.
상기 볼륨 인덱스 트랙은, 예를 들면 상기 PTOC, RTOC가 주 관리 정보로 하면, 말하자면 부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으로 규정되는 것으로, 트랙(파일), 폴더, 및 보조 데이터(Auxiliary Data)에 관한 프로퍼티, 타이틀 및 트랙을 형성하는 패킷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가 기록되는 테이블을 갖는다.
또한, 볼륨 폴더 내에서 관리되는 트랙으로서, 섬네일 트랙(Thumb nail Picture Track)이 옵션으로 배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디스크에 기록된 각 파일마다 대응 부가하여, 소정 해상도에 의한 1장의 정지 화상을 섬네일 화상으로서 갖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섬네일 화상은, 파일을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하기 위한 대표 화상으로서 취급된다.
섬네일 트랙에는,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트랙)의 대응 부가와, 섬네일 화상의 격납 위치가 나타내는 인덱스 정보와 함께 기록된다. 섬네일 트랙의 데이터 길이는, 격납되는 섬네일 화상 수 등에 따라서 임의로 확장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유저가 촬영 등에 의해서 기록한 화상/음성 데이터는 파일 단위로 관리되고, 볼륨 폴더 내에서, 트랙으로서 볼륨 폴더의 아래에 위치되거나, 또는 볼륨 폴더 이하에 위치되는 폴더 내에 위치하게 된다.
도 9에서는, 어떤 1개의 파일이 1개의 트랙으로서 표현된 후에 상기 트랙이 어떤 1개의 폴더 내에 격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폴더는, 상술과 같이, 트랙 또는 폴더를 1 그룹으로 정리하여 관리하기 위한 구조이다.
따라서 볼륨 폴더 이하의 구조에 있어서는, 볼륨 폴더 내에 격납 가능한 최대 건수와, 폴더의 계층 구조의 최대 단수에 의해 규정되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수의 트랙 또는 폴더가 격납되어지게 된다.
또한, 볼륨 폴더 내에는, 보조 데이터(Auxiliary Data)가 격납되는 보조 데이터 트랙(Auxiliary Data Track)이 배치된다.
보조 데이터 트랙에 격납되어야 할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실제로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임의로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재생 제어 정보로서의 스크립트의 정보가 격납되어지게 된다. 또한, 여기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트랙(녹화 파일)에 대한 「녹화 편집」에 의해서 작성된 촬영된 화상 데이터에 중첩해야 할 화상 데이터(Image)도 격납된다.
그런데, 상기한 관리 정보인 PTOC, RTOC, 또한 아울러 볼륨 인덱스 트랙에 격납된 정보(이들의 정보를 총칭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 정보」라고 하기로 한다)는, 예를 들면, 디스크 장전 시에 판독되어, 예를 들면, 미디어 드라이브부(4)의 버퍼 메모리(42)(또는 버퍼 메모리(32))의 소 영역에 보유된다. 그리고 데이터 기록시나 편집 시에 있어서는, 그 기록 결과나 편집 결과에 따라서 버퍼 메모리에 보유되어 있는 이들 관리 정보가 재기록되고, 그 후, 소정의 기회, 타이밍으로서, 버퍼 메모리에 보유되어 있는 관리 정보의 내용에 기초하여, 디스크(51)의 관리 정보를 재기록되어 갱신된다(단지, PTOC에 관해서는 갱신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도 10은, 상기 도 9도에 도시한 데이터 관리 형태를 디스크(51)의 물리 구조에 대응시켜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하는 리드 인 에어리어는, 디스크 최내측 주변에 있어서의 피트 에어리어이고, 여기에 PTOC의 정보가 기록된다.
그리고 상기 리드 인 에어리어의 외측 주변에 대하여는, 트랜지션 에어리어를 통해 레코더블 에어리어가 형성된다. 상기 레코더블 에어리어는, 광 자기기록 재생이 가능하게 되는 광자기 기록 영역이 된다. 상기 레코더블 에어리어는, 앞에서 도 1,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트랙(Tr·A)과 트랙(Tr·B)의 2개의 트랙이 더블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된다.
레코더블 에어리어의 최내측 주변에 있어서는, 트랙(Tr·A, Tr·B) 모두, RTOC 에어리어가 설치된다. 그리고 트랙(Tr·A)의 RTOC 에어리어 내에, 4 클러스터의 사이즈의 RTOC의 정보가 3회 반복하여 기록된다. 그리고. 이것에 계속하여, 12 클러스터의 사이즈의 볼륨 인덱스 트랙이 배치된다.
그리고 볼륨 인덱스 트랙에 이어서는, 디스크(51)는, 섬네일 트랙을 옵션으로서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RTOC 에어리어 내의 섬네일 트랙으로서는, 적어도 최초의 1 클러스터가 위치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파일 수의 증가에 따라서 섬네일 화상 데이터 수가 많아지고, RTOC 에어리어내의 섬네일 트랙의 용량을 초과하였을 때는, 후술하는 레코더블 데이터 에어리어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기록하여 갈 수 있다. 또한, 이 때의 레코더블 데이터 에어리어 상의 섬네일 트랙은, 볼륨 인덱스 트랙(또는 RTOC)에 의해서 관리된다.
또한, 상기 RTOC 에어리어의 섬네일 트랙에 계속하여, 디스크(51)는, 보조 데이터인 스크립트와 이미지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을 옵션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스크립트와 이미지 데이터에 관해서도, RTOC 에어리어 내에서 기록 가능한 용량을, 초과하였을 때는, 볼륨 인덱스 트랙(또는 RTOC)에 의해 관리되는 형태로, 레코더블 데이터 에어리어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기록하여 갈 수 있다.
그리고 레코더블 데이터 에어리어 스타트 어드레스로 나타내는 어드레스 위치로부터는, 레코더블 데이터 에어리어가 설치된다. 상기 레코더블 데이터 에어리어에 대하여, AV 데이터, 즉 트랙(파일)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상술한 섬네일 화상 데이터 및 보조 데이터도 기록 가능하게 된다.
상기 레코더블 데이터 에어리어가 종료하면, 리드 아웃 에어리어 스타트 어드레스에로 나타내는 어드레스 위치로부터 최외측 주변에 걸쳐서 리드 아웃 에어리어가 형성된다.
상기 설명은, 트랙(Tr·A)에 관한 것이지만, 트랙(Tr·B)에 관해서도,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영역 설정은 트랙(Tr·A)에 준한다. 단지, RTOC 에어리어에 관해서는 현 단계에서는 미정의로 되어 있다. 즉, RTOC 에어리어는, 트랙(Tr·A) 에 관해서만 실질적으로 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디스크 구조예는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디스크 상에서의 각 에어리어의 물리적 위치 관계는, 실제의 사용 조건 등에 따라서 변경되어도 관계없고, 데이터가 격납되는 구조도 변경되어도 관계없다.
6.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
6-1. 동작 개요 1(카메라 모드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는, 간이 편집 기능으로서, 디스크에 파일(트랙) 단위로 관리되어 있는 데이터에 관해서, 그 최종 트랙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 이후의 데이터 부분을 삭제하는,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은,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로서, 카메라 모드에 의해 촬영된 동화상의 비디오 데이터(또는 정지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드 트랙과, 인터뷰 모드에 의해 기록된 음성/정지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인터뷰 트랙을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은, 메인 다이얼(300)의 포지션으로서, 카메라 모드 또는 인터뷰 모드가 되고, 카메라 모드 트랙 또는 인터뷰 트랙을 기록 가능한 모드에 있을 때 행하여지게 한다.
그래서 우선,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d)를 참조하여, 메인 다이얼(300)의 포지션을 카메라 모드로 하고 있는 경우에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을 행하는 경우의, 그 조작 순서와 조작에 따른 동작에 관해서 개요적으로 설명한다.
확인을 위해 기술하면, 카메라 모드란, 릴리스 키(301) 또는 포토 키(304)를 조작하면, 동화상 또는 정지 화상의 비디오 데이터가 기록 가능한 모드가 된다.
상기 카메라 모드의 상태로, 본 실시예에서는 재생/포즈 키(308)를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생/포즈 키(308)를 조작한 것으로 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에 기록된 트랙 중 마지막에 재생되어야 할(최후의 트랙 번호가 부가되어 있다)최종 트랙을 선택한다.
여기서, 최종 트랙으로서 선택되는 것은, 현재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것에 대응하여, 카메라 모드에 의해 디스크에 기록된 카메라 모드 트랙 중에서 최종 트랙이 된다. 즉, 역으로 말하면, 인터뷰 모드에 의해 기록된 인터뷰 모드 트랙을 시작으로, 카메라 모드 이외에 의하여 기록 또는 작성된 트랙은 선택 대상으로부터 제외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선택된 최종의 카메라 모드 트랙에 관해서의 재생을 실행한다.
즉, 예를 들면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상기 최종 트랙의 개시 어드레스(A1)로부터 재생을 개시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재생되는 최종 트랙의 화상은 표시 패널(67)에 대하여 표시되고, 유저는 상기 화상을 볼 수 있다. 또한, 이때는 동화상에 부수하여 기록된 마이크로폰 음성의 재생 출력도 동기하여 행하여진다.
또한, 도 11의 (a)에 있어서는, 최종 트랙의 종단 어드레스(A2)에 계속되는 어드레스(A3) 이후의 에어리어는 빈 에어리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최종 트랙의 재생이 진행하는 중, 유저는, 상기 최종 트랙내의 임의의 재생 위치에서, 재생의 일시 정지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일시 정지 조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시, 재생/포스 키(308)를 조작하면 된다. 또한, 유저가 선택하는 일시 정지 위치는, 예를 들면 최종 트랙에 있어서, 유저가 변경하고 싶어 하는 데이터 종단 위치에 대응하는 것으로, 바꾸어 말하면, 유저가 삭제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는 데이터 부분의 선두 위치에 대응하는 것이다.
여기서, 유저가 일시 정지 조작을 행함으로써 재생이 일시 정지된 위치를, 도 11의 (a)에 포즈 위치(Pst1)로서 나타낸다.
유저에 의해 상기 일시 정지 조작이 행하여지면, 표시 패널(67)에는 일시 정지 조작시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이 정지 상태로 표시된다. 즉, 도 11의 (a)의 포즈 위치(Pst1)에 대응한 데이터의 화상이 정지 화상으로서 표시부(67)에 표시된다. 그리고 이 상태하에서, 죠그 다이얼(303)이 회전 조작되면, 그 회전 조작의 방향에 따라서 도 11의 (a)의 포즈 위치(Pst1)에 대응하는 화상을 기점으로 하여, 그 전후로 화상이 코마 이송된다.
상기 화상의 코마 이송 조작을 데이터와 포즈 위치와의 관계에서 본 경우에는,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작의 일시 정지 위치에 대응한 포즈 위치(Pst1)를, 죠그 다이얼(303)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포즈 위치(Pst2)로 변경 설정하는 동작이 된다.
상기한 코마 이송 조작에 의해서, 유저는, 표시 화면상에서 화상을 확인하면서 포즈 위치(Pst1)를 변경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변경해야 할 데이터 종단 위치의 설정에 관해서의 미세한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유저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포즈 위치에 관해서 미세 조정을 행하여 최종적으로 포즈 위치(Pst2)를 설정한 것으로 한다(여기서는, 최종적인 포즈 위치 pst2= Pst1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후, 유저는, 삭제 키(302)를 조작한다.
상기 삭제 키가 조작되면,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우선, 유저에게 확인을 재촉하기 해서, 도 1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상기 최종적인 포즈 위치(pst2)로부터 최종 트랙의 종단 어드레스(A2) 구간의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때는 재생 화상/음성이 출력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 구간의 데이터는, 삭제되어야 할 데이터 부분이 된다. 또한, 이 구간의 재생은 반복하여 행하여진다.
유저는, 상술과 같이 반복하여 재생되는 화상을 표시 패널(67)에 의해 보고, 자기가 지금까지의 조작에 의해 설정하여 삭제를 행하려고 하는 화상의 확인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표시 화면상에는, 삭제를 결정할 것인가, 삭제를 캔슬할 것인가의 다이얼로그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다이얼로그에 대한 조작을, 유저는, 예를 들면 죠그 다이얼(303)의 회전 조작과 가압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다이얼로그에는 캔슬 버튼과 삭제 결정 버튼의 2개의 버튼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버튼간의 선택은, 유저는 죠그 다이얼(303)의 회전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버튼에 대한 클릭 조작(결정 조작)은, 유저는 죠그 다이얼(303)의 가압 조작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삭제해야 할 데이터 부분의 개시 위치(즉, 최종적인 포즈 위치(pst2))에 관해서 불만이 있는 등의 이유로, 유저가 지금까지의 설정을 캔슬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한 다이얼로그에 대하여 캔슬 결정을 위한 조작을 행한다. 이로써, 지금까지의 설정은 캔슬되어, 통상의 카메라 모드 하에서의 기록 스탠바이 상태로 이행한다.
이에 반해, 삭제를 결정하는 경우에는, 유저는 상기 다이얼로그에 대하여 삭제 결정을 위한 조작을 행한다.
상기 삭제가 결정됨으로써, 도 11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최종 트랙의 데이터 구간은, 개시 어드레스(A1)로부터, 종단 어드레스(A211)의 구간이 된다. 즉, 최종 트랙의 종단 어드레스는, 도 11의 (a), 도 11의 (c)에 도시하는 어드레스(A2)로부터, 도 11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드레스(A2)보다 앞에 존재하게 되는 최종적인 포즈 위치(Pst2)에 의해 지시되는 어드레스의 직전 어드레스인, 어드레스(A2-1)로 변경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과 같이 하여 변경된 종단 어드레스(A2-1)가, 실제로 최종 트랙의 종단 어드레스가 되도록, 예를 들면 관리 정보의 갱신이 행하여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적어도, RTOC, 볼륨 인덱스 트랙의 내용을 갱신하도록 재기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최종 트랙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파일이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고, 상기 종단 어드레스의 변경에 동반하여 내용의 변경을 요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크립트 파일에 관해서의 갱신도 행하여진다.
상술과 같이 하여, 데이터의 종단 어드레스가 변경된 후는, 도 11의 (d)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앞에서 기술한 어드레스(A2-1)에 계속되는 다음의 어드레스(A2-2) 이후의 영역은, 공간 에어리어로서 관리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본 비디오 카메라는, 상기 최종 트랙을 재생하면, 그 재생은 종단 어드레스(A2-1)에 이르러 재생을 종료하게 된다.
또한, 디스크에 있어서는, 도 11의 (d)의 어드레스(A2-2 내지 A2)로 나타내는 영역에는, 원래의 최종 트랙의 데이터가 기록된 채로 남아 있는 것이지만, 이 영역이 공간 에어리어로서 관리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과 같이 하여 데이터의 종단 어드레스가 변경된 후에 있어서, 카메라 모드에 의해 신규로 트랙의 기록을 행한 경우에는, 데이터의 종단 어드레스가 변경되기 전에 최종 트랙으로 되어 있던 트랙이 1개 앞의 트랙으로서 관리되고, 상기 신규로 기록된 트랙이 최종 트랙이 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트랙을 연속적으로 재생하면, 우선, 최종 트랙의 1개 앞의 트랙으로서 도 11의 (d)에 도시하는 개시 어드레스(A1)로부터 종단 어드레스(A211)의 구간이 재생되고, 이것에 이어서, 신규로 기록된 최종 트랙이 재생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데이터 종단 위치(종단 어드레스)를 변경함으로써, 카메라 모드를 기초로 최종 트랙의 임의의 데이터 위치 이후를 삭제하여, 그 다음에 새로운 최종이 되는 트랙을 기록해 가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유저가, 최종 트랙에 있어서 삭제해야 할 데이터 위치(포즈 위치(Pst1))를 잘 선택함으로써, 간이한 연결 녹화 편집을 용이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최종 트랙에 있어서의 포즈 위치(Pst1) 이후의 데이터 부분을 삭제함에 있어서도, 코마 이송 조작 및 캔슬 결정/삭제 결정 조작과 같은 유저의 사용의 편리함, 및 준비되지 않은 데이터 소거에 관해서의 안전성 확보를 고려한 부가적인 조작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는, 재생 일시 정지→ 삭제 키 조작이라고 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이것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데이터 종단 위치란, 트랙 단위로 본 경우의 데이터 종단 위치가 되지만, 여기서는, 데이터 종단 위치의 변경 대상이 최종 트랙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에 기록된 유저 데이터(단지 여기서는, 카메라 모드 트랙으로서의 데이터에 한정된다)의 종단 위치에 대응하게 된다.
또한, 지시된 포즈 위치(Pst2)로부터 종단 어드레스(A2)의 구간이 삭제 대상 으로 되어 있지만, 포즈 위치(Pst2)를 그대로, 종단 어드레스(A211)로 하여도 관계없다.
또한, 포즈 위치는, 화상인 경우 프레임 단위로 지정되기 때문에, 실시예의 A2-1은, 포즈 위치(Pst2)에서 지시되는 화상보다 1 프레임 앞의 화상의 종단 어드레스가 A2-1에 대응하게 된다.
6-2. 동작 개요 2(인터뷰 모드 트랙인 경우)
계속해서, 메인 다이얼(300)의 포지션을 인터뷰 모드로 하고 있는 경우에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을 행하는 경우의, 그 조작 순서와 조작에 따른 동작에 관해서,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인터뷰 모드에 있어서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을 행하는 경우의 조작 및 동작은, 이후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d)에서 설명한 카메라 모드시에 준하는 것이다.
인터뷰 모드에서는, 유저가 녹음 키(313)를 조작함으로써 마이크로폰(202)에 의해 수음되는 음성의 기록이 개시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폰 음성의 기록 중에, 유저가 포토 키(304)(또는 릴리스 키(301))를 조작하면, 그 타이밍으로 정지 화상이 기록된다. 그리고 재생/편집 모드로 인터뷰 트랙의 재생이 행하여질 때는, 본 비디오 카메라는, 주체로서 음성을 재생하고, 정지 화상 기록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타이밍으로, 순차 정지 화상이 전환되어 표시된다.
인터뷰 모드 시에 재생/포스 키(308)가 조작된 경우, 디스크에 기록된 트랙 중에서, 최종 트랙이 선택된다.
그리고 이 때는 상기 최종 트랙으로서, 현재 인터뷰 모드인 것에 대응하여, 인터뷰 모드에 의해 디스크에 기록된 인터뷰 모드 트랙 중에서 최종이 되는 트랙이 선택된다.
그리고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최종의 인터뷰 트랙에 관해서의 재생이 실행된다. 이때는, 인터뷰 트랙으로서의 재생 음성이 출력되며, 또한, 정지 화상은 기록시의 타이밍을 표시 개시 타이밍으로서 전환되도록 하여 표시가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상기 도 12의 (a)에 도시하는 경우이면, 최종의 인터뷰 트랙은, 정지 화상(1)과 정지 화상(2)이 촬영 기록된 것으로 되어 있고, 정지 화상(1)은 재생 개시 이후, 재생 시간(t1)에서 표시 출력이 행하여지고, 재생 시간(t2)에서 정지 화상(2)의 표시로 전환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정지 화상(2)의 표시는, 이 경우, 트랙의 재생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된다.
상기 도 12의 (a)에 있어서도, 최종 트랙의 종단 어드레스(A2)에 계속되는 어드레스(A3) 이후의 에어리어를 공간 에어리어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유저는, 상기 최종 트랙내의 임의의 재생 위치에서 일시 정지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도. 도 12의 (a)에 도시하는 포즈 위치(Pst1)에서, 유저가 일시 정지 조작을 행한 것으로 하면, 재생 음성 출력이 일시 정지된 후에, 일시 정지 조작시에 있어서 정지 화상 표시를 행하고 있던 것이면, 그 정지 화상이 계속 표시된다. 도 12의 (a)의 경우이면, 일시 정지 조작시에는 정지 화상(2)이 표시되어 있던 것으로, 상기 정지 화상(2)이 표시부(67)에 표시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인터뷰 모드에 있어서도, 이 상태 하에서, 죠그 다이얼(303)의 조작에 대한 회전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음성에 관해서의 코마 이송적인 조작이 행하여진다. 즉, 도 12의 (b)에 도시하는 포즈 위치(Pst1)에 관해서는, 음성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변경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가령, 상기한 음성 코마 이송 조작에 의해 포즈 위치(Pst1)의 변경이 행하여졌을 때, 그의 포즈 위치(Pst1)의 어드레스(재생 시간)에 대응하여 표시시키는 정지 화상이 변하는 것이면, 정지 화상의 표시에 관해서의 전환도 행하여진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유저가 포즈 위치(Pst)에 관해서 조정을 행하여 최종적으로 포즈 위치(Pst2)를 설정한 것으로서, 삭제 키(302)를 조작하면, 이 경우에도 도 1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본 비디오 카메라는, 이 최종적인 포즈 위치(pst2)로부터 최종 트랙의 종단 어드레스(A2) 구간의 음성 데이터를 반복하여 재생한다. 또한, 본 비디오 카메라는, 상기 구간에 대응하여 표시해야 할 정지 화상이 있으면, 이 정지 화상도 출력한다. 도 12의 (c)에 도시하는 경우에서는, 음성과 함께, 정지 화상(2)의 표시가 행해진다. 이 경우에도, 반복하여 재생되는 구간의 데이터는, 삭제되어야 할 데이터 부분이 된다.
또한, 표시 화면상에는, 캔슬 버튼과 삭제 결정 버튼의 2개의 버튼 표시를 동반하는 다이얼로그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캔슬 버튼과 삭제 결정 버튼에 대한 조작을, 유저는, 죠그 다이얼(303)의 회전 조작과 가압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유저가 캔슬 버튼에 대한 조작을 행하면, 이제까지의 설정은 캔슬되어, 통상의 카메라 모드 하에서의 기록 스탠바이 상태로 이행한다.
한편, 삭제 결정 버튼에 대한 조작을 행하면, 이 경우에도. 도 12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종 트랙의 데이터 구간은, 개시 어드레스(A1)로부터, 종단 어드레스(A2-1)의 구간이 되도록 변경 설정된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변경된 종단 어드레스(A2-1)가, 실제로 최종 트랙의 종단 어드레스가 되도록 예를 들면 관리 정보(RTOC, 볼륨 인덱스 트랙, 스크립트 파일 등)의 갱신이 행하여진다.
이 결과, 도 12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어드레스(A2-1)에 계속되는 다음 어드레스(A2-2) 이후의 영역은 공간 에어리어로서 관리된다. 그리고 상기 최종 트랙의 재생은 어드레스(A1)로부터의 음성 재생을 행하고, 이후 재생 시간(t1)에 이르러 정지 화상(1)의 표시를 재생 시간(t2)까지 행한다. 그리고 재생 시간(t2)으로부터는 정지 화상(2)을 표시하여, 종단 어드레스(A2-1)에 이르러 재생을 종료하게 된다.
6-3. 처리 동작
계속해서, 상기한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 동작에 관해서 도 13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d)에서 설명한 카메라 모드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도면에 도시하는 처리 동작은, 예를 들면 비디오 컨트롤러(38)가 마스터 컨트롤러로서 기능한 후에, 필요에 따라서 데이터 처리/시스템 컨트롤 회로(31), 카메라 컨트롤러(25), 드라이버 컨트롤러(46) 등이 제어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이하, 상술의 각종 컨트롤러를 정리하여 컨트롤러라고 기술한다.
우선, 단계(S101)는, 카메라 모드가 설정된 상태이다. 다음 단계(S102)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기록 조작이 행하여 졌는지의 여부를 컨트롤러가 판별하고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에 의해, 기록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이 판별되면, 단계(S103)로 진행하여 재생 조작이 행해 졌는지의 여부에 관해서 컨트롤러가 판별을 행한다. 그리고 컨트롤러에 의해 재생 조작이 행하여 지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단계(S101)로 되돌아가게 된다. 상기 단계(S102) 및 단계(S103)에 의해 기록 조작 또는 재생 조작의 대기를 하고 있는 상태가, 카메라 모드 하에서의 스탠바이 상태가 된다.
여기서, S102에 있어서 동화상 기록을 위한 릴리스 키(301)의 조작, 또는 정지 화상 기록을 위한 포토 키(304)의 조작이 행하여진 것으로 컨트롤러에 의해 판별된 경우에는, 단계(S114)로 진행하여, 정지 화상을 동화상 데이터 또는 정지 화상 데이터로서 디스크에 기록하기 위한 제어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다음 단계(S115)에서는, 컨트롤러가 기록 종료인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기록 종료인 것이 판별되지 않는 한은, 단계(S114)로 되돌아감으로써 기록 동작을 계속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디스크에 있어서의 기록 잔량이 없거나, 또는 정지 화상 기록이면 정지 화상의 기록이 완료하거나, 또한, 동화상 기록 중에 기록 정지 조작 등이 행하여지는 것으로서 기록 종료해야 할 것이 컨트롤러에 의해 판별된 경우에는, 단계(S116)로 진행하여 기록 종료를 위한 제어 처리(기록 결과에 대응하는 관리 정보의 갱신 등도 포함한다)가 실행되어, 단계(S101)로 되돌아가게 된다. 즉 스탠바이 상태로 이행한다.
또한 단계(S103)에 있어서 재생/포즈 키(308)에 대한 재생 조작이 행하여진 것이 컨트롤러에 의해 판별된 것이면, 단계(S104)로 진행한다. 단계(S104)에서는, 컨트롤러는, 카메라 모드 트랙으로서의 최종 트랙의 재생을 개시시키고, 다음 단계(S105)에 있어서, 포즈 조작이 행하여지는 것이 판별될 때까지, 단계(S104)에서의 최종 트랙의 재생을 실행한다. 이때는, 컨트롤러는, 재생 데이터로서의 동화상을 표시 패널(67)에 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도 실행하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다시 재생/포즈 키(308)에 대한 조작이 행하여져 단계(S105)에서 포즈 조작이 있는 것이 컨트롤러에 의해 판별된 경우, 단계(S106)로 진행한다.
단계(S106)에서는, 컨트롤러는, 지금까지의 재생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이때는, 일시 정지 조작 시점이 행하여져 있던 데이터 위치인 포즈 위치(Pst1)에서, 데이터 재생이 정지된다. 또한, 상기 포즈 위치(Pst)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에 의해 나타내는 데이터를, 정지 화상으로서 표시 패널(67)에 표시 출력하도록, 컨트롤러는 표시 제어한다.
다음 단계(S107)에 있어서는, 코마 이송을 위한 죠그 다이얼(303)에 대한 회전 조작이 행하여 졌는지의 여부를 컨트롤러가 판별하고, 죠그 다이얼 조작이 행하여 지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단계(S109)로 진행하여, 삭제 키(302)에 대한 조작이 행하여 졌는지의 여부를 컨트롤러가 판별한다. 여기서 삭제 키(302)에 대한 조작이 행하여 지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단계(S106)의 처리로 되돌아감으로써 포즈 위치(Pst1)에서의 일시 정지 상태가 유지된다.
단계(S107)에 있어서는 죠그 다이얼 조작이 행하여진 것으로 컨트롤러 의해 판별된 경우에는 단계(S108)로 진행하고, 컨트롤러는, 상기 죠그 다이얼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화상 코마 이송을 위한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결국은, 도 11의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죠그 다이얼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컨트롤러는, 포즈 위치(Pst1)를 변경 설정하고, 상기 변경된 포즈 위치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계(S108)의 처리를 실행하여, 단계(S109)로부터 단계(S106)의 처리로 되돌아간 경우에는, 상기 코마 이송을 위한 제어 처리에 의해서 변경된 포즈 위치(Pst1)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의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단계(S109)에 있어서, 삭제 키(302)에 대한 조작이 행하여진 것이 컨트롤러에 의해 판별된 경우에는 단계(S110)로 진행한다.
단계(S110)에 있어서는, 도 11의 (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는 최종적으로 설정된 포즈 위치(Pst1)보다 이후의 어드레스로부터 개시되는 트랙 부분을 리피트 재생하기 위한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이때는, 재생된 데이터로서의 화상이 표시 패널(67)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지만, 상기 표시 화면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는, 캔슬 버튼과 삭제 결정 버튼을 표시하는 다이얼로그 표시를 위한 표시 제어도 실행하고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최종적으로 설정된 포즈 위치(Pst1)보다 이전의, 후부를 트리밍된 데이터를 리피트 재생하도록 제어하여도 관계없다.
그리고 다음 단계(S111)에서는, 상기 단계(S110)의 처리에 의해서 재생이 행하여져 있는 상태 하에서, 컨트롤러는, 다이얼로그 표시상의 캔슬 버튼에 대한 조작, 즉, 캔슬 결정 조작이 행하여 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있다.
여기서 캔슬 조작이 행하여진 것이 판별된 것이면, 단계(S101)의 처리로 되돌아감으로써, 여기서는, 카메라 모드의 스탠바이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하고 있다. 이에 반해 캔슬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은 것이 판별된 경우에는, 단계(S112)로 진행한다.
단계(S112)에서는, 삭제 결정 조작(다이얼로그 표시상의 결정 버튼에 대한 조작)이 행하여졌는지의 여부에 관해서 컨트롤러는 판별한다. 여기서 삭제 결정조작이 행하여 지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단계(S110)로 되돌아감으로써 포즈 위치(Pst1)보다 뒤의 트랙 데이터의 리피트 재생이 계속된다. 이에 반해 삭제 결정 조작이 행하여진 것이 판별된 것이면, 단계(S113)로 진행함으로써, 포즈 위치(Pst1)보다도 뒤의 트랙 데이터 부분을 삭제하기 위한 처리를 컨트롤러가 실행한다. 결국은, 포즈 위치(Pst1)보다도 뒤의 최종 트랙의 데이터 부분이 기록되어 있는 에어리어가 공간 영역으로서 관리되도록, 컨트롤러는 소요의 관리 정보 내용에 대해서의 갱신을 행한다. 또한, 이때는, 데이터의 삭제가 실행된 것을 나타내는 표시 등을 표시 패널(67)에 대하여 행하도록 행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S113)의 처리가 완료하면, 단계(S101)의 처리로 되돌아감으로써, 카메라 모드로서의 스탠바이 상태로 이행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인터뷰 모드에서의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동작을 위한 처리 동작도 도 13에 도시한 처리에 준하면 된다. 단지 이 경우에는, 단계(S101)에서 인터뷰 모드를 설정하게 된 후에, 단계(S104)에서는, 인터뷰 모드 트랙의 최종 트랙을 재생한다. 또한, 이 때의 재생 동작으로서는 인터뷰 모드 트랙으로서의 음성/정지 화상의 출력이 행하여지도록 재생 제어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단계(S102)에서의 기록 조작의 유무의 판별은, 예를 들면 녹음 키(313)의 조작의 유무를 컨트롤러가 판별하고, 컨트롤러에 의해 기록 조작이 있었던 것으로 되는 경우는, 인터뷰 모드에 따라서의 기록 동작이 단계(S114)에서 실행된다.
또한,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드(또는 인터뷰 모드)이외의 다른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도 13에 도시하는 루틴을 제외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으로서는, 예를 들면, 보다 간이한 조작으로 하고 싶은 것이면, 코마 이송 조작의 과정은 생략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으로서는, 예를 들면, 소정 조작에 의해서 호출한 편집 메뉴 중에서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을 선택하여, 어떤 트랙에 관해서의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도 관계없다.
단지,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드 또는 인터뷰 모드와 같은 기록 가능한 모드 하에서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을 행할 수 있도록 하면, 유저가 기록을 행할 작정으로 카메라 모드 또는 인터뷰 모드로 하고 있을 때, 특히 다른 편집 모드로 이행시키도록 하는 조작을 행하지 않고, 간단하게 재생 조작을 행하는 조작으로 편집 가능한 모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그만큼, 기기의 사용의 편리함, 편리성으로서는 유리해지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의 대상으로 하는 트랙은,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임의로 선택 가능하게 구성하여도 관계없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최종 트랙을 편집 대상으로 하면, 다음에 촬영 기록하는 장면을 상정하여, 상기 장면에 연결되는 현재 최종이 되는 트랙에 관해서의 편집이 즉석에서 행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점에서도, 유저의 사용의 편리함의 향상이 도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포즈 위치(Pst1)에 대응하여 종단 어드레스를 변경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포즈 위치(Pst)에 대응하여, 그 포즈 위치(Pst1)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트랙의 개시 어드레스를 변경하는, 즉, 포즈 위치(Pst)보다 앞에 있게 되는 트랙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7. 트리밍 동작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트랙의 종단 어드레스를 변경할 뿐만 아니라, 그 개시 어드레스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고려에서 보면, 개시 어드레스를 변경하는 경우로서, 상기한 종단 어드레스의 변경도 동일 조작 과정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로 인한 조작은, 재생 데이터에 있어서의 2점의 위치를 지정한다. 그리고 상기 2점 중 앞의 지정 위치에 기초하여 개시 어드레스의 변경을 행하고, 이후의 지정 위치에 기초하여 종단 어드레스에 관해서의 변경이 행하여진다. 즉, 지정된 2점간의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는 삭제되고, 2점 사이의 데이터가 트리밍되어 신규의 트랙 데이터가 된다.
그래서 이러한 트리밍 편집 예에 관해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트랙으로서, 어떤 트랙(#N)에 관해서 재생이 개시된 것으로 한다. 상기 트랙은, 예를 들면 도면과 같이, 개시 어드레스(A2), 종단 어드레스(A7)로 되어 있고, 개시 어드레스(A2)로부터 재생이 개시된다.
이렇게 하여 트랙(#N)이 재생되어 있을 때, 유저는 소정의 키 조작 등에 의해서, 2점을 지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면에 있어서는, 데이터의 재생시간적으로 개시 어드레스(A2)보다 뒤가 되는 어드레스(A3)에 대응하는 데이터 위치에서 1회째의 위치 지정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A점에 관해서의 지정이 행하여지고 있다.
상기 A점 지정의 이후도 트랙 재생 동작은 계속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하에서, 유저가 2회째의 위치 지정 조작을 행하면 B 점이 지정되어지게 된다. 상기 도면에서는, 어드레스(A5)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B 점이 지정된 상태가 도시된다.
이렇게 하여 A-B의 2점이 지정된 후, 유저에 의한 예를 들면 삭제 키(302)에 대한 조작 등을 수반하는 소정 조작에 의해서 삭제의 결정이 행하여지면,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트랙(#N)의 개시 어드레스는 어드레스(A2)로부터, A점에 대응하는 어드레스(A4)로 변경 설정된다. 또한, 종단 어드레스는, 어드레스(A7)로부터, B 점에 대응하는 어드레스(A5)로 변경 설정되도록, 관리 정보에 관해서의 재기록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이에 수반하여 어드레스(A4) 이전의 트랙 데이터이었던 어드레스(A2-A3)의 데이터 구간과, 어드레스(A5)보다 뒤의 트랙 데이터이었던 어드레스(A6-A7)의 데이터 구간은 공간 에어리어가 되도록 관리 정보상에서 관리가 행하여지게 된다. 즉, 원래의 트랙 데이터로부터는 삭제된 것으로서 취급된다.
데이터 재생을 행하여 2점 사이를 지정하는 조작을 행하고, 이후, 삭제 결정을 위한 조작을 행하는 간략한 조작 순서에 의해서, 원트랙의 중간 부분의 데이터를 뽑아내어(트리밍), 신규 트랙을 형성하는 편집이 실현된다.
그리고 재생시에 있어서는, 트랙(#N) 이전의 트랙(#N-1)의 재생이 어드레스(A1)에서 종료하면, 어드레스(#N)의 재생은, 어드레스(A4)로부터 개시되어 어드레스(A5)에서 종료된다. 그리고 계속해서는, 어드레스(A8)로부터 트랙(#N+1)의 재생이 개시된다.
또한, 상기 도 14에 도시한 트리밍 편집으로서도, 앞에서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d),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코마 이송 조작에 의해서 A 점과 B 점에 관해서의 미세 조정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되는 것이다. 상기 트리밍 편집으로서는 임의의 트랙을 선택하여 편집 가능하게 하면 되지만, 앞에서의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과 마찬가지로, 카메라 모드 또는 인터뷰 모드 하에서 재생 조작이 행하여지면, 최종 트랙을 대상으로 하여 편집이 행하여지도록 하는 것도 고려된다.
또한, 트리밍 편집으로서는, 재생 순서가 연속하는 복수의 트랙에 걸쳐서 A 점-B점의 구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트랙 데이터(실시예에서는 동일의 모드 트랙에서의 전 트랙이 된다)중, A 점-B 점 구간 이외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트리밍의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 및 트리밍 편집은, 동화상/음성이 기록 재생되는 카메라 모드 트랙, 및 음성 주체로 정지 화상이 부수하는 인터뷰 모드 트랙에 관해서 편집을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의 데이터 종단 위치 변경 편집 및 트리밍 편집에서는, 음성만의 오디오 트랙을 편집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화상/음성에 관한 트랙만이 아니고, 예를 들면 텍스트 데이터 등의 문자 정보의 파일에 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현상에 있어서는, 음성 인식 기능이 향상하여, 인식된 음성을 문자 정보 파일로 변환하는 것도 행하여지고 있다.
이렇게 하여 작성되는 문자 정보 파일에 관해서,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 종단 위치 갱신 편집 및 트리밍 편집을 적용하면, 그 교정 작업을 간이한 조작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이터가 기록 재생되는 미디어는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로 하고 있지만, 최근 보급되어 있는, 메모리 소자를 매체로 하는 불휘발성의 메모리 매체에 대하여도 적용이 가능하다(Flash Memory 등). 예를 들면, 메모리 매체로서는, 기억 데이터를 소위 FAT(File Allocation Table)에 의해 관리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적용에 의해 데이터 종단 위치 갱신 편집 및 트리밍 편집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FAT의 내용을 갱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MD-DATA2에 대응하는 Audio Codec로서 ATRAC2로 하고 있지만, 상술의 반도체 메모리에의 음성 기록을 고려하면, 포맷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ATRAC3, MPEG1, Audio Layor3(MP3), AAC(MPEG2 Advanced Audio Codec), TwinVQ(Tranceform Domain Weighted Interleave Vector Quantization), WMA(Windows Media Audio)이어도 관계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 재생을 행하고 있을 때, 예를 들면 정지 조작에 의해서 정지(일시 정지)된 데이터 위치에 대응하는 정지 위치 대응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신규의 데이터의 종단 어드레스 또는 개시 어드레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종단 어드레스 또는 개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관리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관리 정보에 의해서 기록되지 않은 테이프 미디어에 대응하는 장치에 있어서는, 이러한 편집은 정보의 오버라이트 또는 소거를 실제로 테이프에 대하여 행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재생이 정지된 데이터 위치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종단 어드레스 또는 개시 어드레스의 정보를 관리 정보상에서 갱신하는 처리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결국은, 관리 정보의 갱신이라고 하는 데이터에 직접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수법을 채용함으로써, 간단한 조작 순서에 의해서, 종단 어드레스 또는 개시 어드레스의 변경 편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록 매체 상에서 데이터가 관리 정보에 의해 관리되는 시스템에 있어 서, 상기와 같은 종단 어드레스 또는 개시 어드레스의 변경 편집과 같은 편집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우선, 편집 대상이 되는 데이터에 관해서 분할을 행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고, 이후 분할된 데이터의 한쪽을 삭제하는 조작 순서를 밟을 필요가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는, 정지 조작에 의해서 재생 정지상태로 한 후에, 데이터 삭제를 위한 조작을 행하는 대단히 간이한 조작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을 토대로, 삭제 지시를 위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관리 정보의 갱신, 즉, 데이터 삭제를 실행하도록 구성하면, 유저로서는 삭제 지시 조작에 의해서 데이터 삭제를 실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우연한 조작 미스에 의해서, 준비되지 않은 데이터 삭제를 실행시키게 되는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를 기록 가능한 기록 모드(카메라 모드/인터뷰 모드)하에서, 상기한 종단 어드레스 또는 개시 어드레스의 변경 편집이 행하여지도록 구성하면, 유저가 촬영을 행하기 위해서 기록 모드를 설정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특히, 편집 모드에의 전환 조작을 행하지 않고, 기록 모드를 설정한 채로 편집 조작을 행할 수 있어, 그만큼 사용의 편리함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록 모드로서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드와 인터뷰 모드와 같이 복수의 모드가 설정 가능한 경우에는,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모드에 의해서 기록된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는 설정되어 있는 기록 모드와, 선택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대응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점에서도 편집상에서의 사용의 편리함은 향상된다.
또한, 편집 대상이 되는 데이터로서는, 최종의 프로그램(트랙)으로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실제의 사용에 있어서는, 이것으로부터 기록하는 데이터는, 이 최종 프로그램에 계속되는 데이터이고, 따라서 유저가 편집하고 싶은 프로그램으로서는 최종 프로그램일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먼저 최종 트랙을 재생시켜 즉석에서 편집을 행할 수 있도록 하면, 그만큼, 본 발명의 편집 기능을 유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재생을 정지시킨 후에, 이 때의 정지 위치 대응 어드레스(포즈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하여 변경하는 조작을 행할 수 있게 하면, 편집을 위한 데이터의 삭제 위치에 관해서 미세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유저에게 있어서 만족이 가는 편집 결과가 얻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정지 위치 대응 어드레스(포즈 위치)보다 뒤 또는 앞의 데이터 부분을 재생하도록 하면, 유저는 상기 재생 출력에 의해서, 자기가 설정한 포즈 위치(즉 삭제 위치)가 고려한 대로의 것인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부분의 재생을 반복하여 행하도록 함으로써, 유저는, 여유 있게 확인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재생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2점의 데이터 위치를 지정하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2점의 데이터 위치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개시 어드레스 및 종단 어드레스를 변경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은, 재생 데이터에 대하여 2점 사이의 지정을 행하면, 상기 지정된 2점 사이에 대응하는 개시 어드레스-종단 어드레스의 구간을 트리밍하고, 나머지 전후의 데이터 부분에 관해서는, 삭제하는 편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이러한 편집을 테이프 미디어로 행하는 경우보다도 용이하게 편집을 행하며, 또한, 데이터의 분할 조작 후에 삭제의 조작을 행하게 하는 단계를 밟는 데이터 편집 조작도 요하지 않는 것이다.

Claims (41)

  1. 데이터가 기억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가 기억되는 관리 영역을 갖는 기억 매체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데이터의 재생을 정지하는 정지 수단과,
    상기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가 상기 재생된 데이터의 종단 어드레스가 되도록, 상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갱신 수단에 의한 상기 관리 정보의 갱신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지시 수단에 의한 지시가 있을 때, 상기 관리 정보의 갱신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데이터 기록 가능한 기록 모드일 때, 상기 관리 정보의 갱신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복수의 기록 모드에 의해 상기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 가능한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생 수단은, 현재 설정되는 기록 모드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또한, 피사체의 광 화상을 화상 데이터에 광전 변환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록 모드의 1개는,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 가능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또한, 음성을 입력함과 함께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성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록 모드의 1개는,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 가능함과 함께,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정지 화상으로서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 가능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데이터는 프로그램 단위로 상기 관리 정보에 의해 관리되고, 상기 재생 수단은 최종 프로그램으로서 관리되는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재생된 데이터의 종단 어드레스로 설정하는 어드레스를, 상기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를 기점으로 한 주변의 어드레스로 설정하도록 조작 가능한 조작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회전 가압 조작이 가능하고, 회전 조작에 따라서 상기 주변 어드레스 각각에 대한 선택을 이동하고, 가압 조작에 따라서 상기 선택된 어드레스를 상기 재생된 데이터의 종단 어드레스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갱신 수단에 의한 상기 관리 정보의 갱신 전에, 상기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보다 뒤인, 상기 데이터로부터 삭제되어야 할 부분을 확인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갱신 수단에 의한 상기 관리 정보의 갱신 전에, 상기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 이전인, 후반부가 삭제된 상기 데이터를 확인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확인 재생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보다 뒤의 상기 데이터의 일부가 삭제되고, 해당 어드레스가 상기 재생된 데이터의 종단 어드레스가 되도록, 상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는 광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는, 양측면이 워블링되는 워블 트랙(wobbled track)과 양측면이 논워블링인 논워블 트랙(non-wobbled track)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트랙을, 랜드 및 트랙의 한쪽으로 형성하고, 상기 워블 트랙 및 상기 논워블 트랙에 삽입되는 랜드 및 트랙의 다른 쪽으로 형성된 제 2 트랙에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1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는 광디스크이고,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자계를 상기 광디스크 기록면에 인쇄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자계를 상기 광디스크 기록면에 인가함과 함께, 상기 광디스크 기록면에 상기 데이터에 동기하여 상기 광을 펄스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는 불휘발성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19. 데이터가 기억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가 기억되는 관리 영역을 갖는 기억 매체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되는 데이터의 소정 시점을 지정하는 지정 수단과,
    상기 지정되는 상기 데이터의 소정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가, 상기 재생된 데이터의 개시 어드레스가 되도록, 상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지정되는 상기 데이터의 소정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가 상기 재생된 데이터의 종단 어드레스가 되도록, 상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수단은 상기 재생되는 데이터의 소정 시점으로서 2시점을 지정 가능하고,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2시점 중 한쪽의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를, 상기 재생된 데이터의 개시 어드레스에, 상기 2시점 중 다른 쪽의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를, 상기 재생된 데이터의 종단이 되도록, 상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갱신 수단에 의한 상기 관리 정보의 갱신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지시 수단에 의한 지시가 있을 때, 상기 관리 정보의 갱신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23. 제 19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데이터 기록 가능한 기록 모드일 때, 상기 관리 정보의 갱신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24. 제 19 항에 있어서,
    또한, 복수의 기록 모드에 의해 상기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 가능한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생 수단은, 현재 설정되는 기록 모드에 의해서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또한, 피사체의 광 화상을 화상 데이터에 광전 변환하는 촬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록 모드의 1개는,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 가능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또한, 음성을 입력함과 함께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성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록 모드의 1개는,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 가능함과 함께,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정지 화상으로서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 가능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27.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데이터는 프로그램 단위로 상기 관리 정보에 의해 관리되고,
    상기 재생 수단은, 최종 프로그램으로서 관리되는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28. 제 19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재생된 데이터의 개시 어드레스로 설정하는 어드레스를, 상기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를 기점으로 한 주변의 어드레스로 설정하도록 조작 가능한 조작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회전 가압 조작이 가능하고, 회전 조작에 따라서 상기 주변 어드레스 각각에 대한 선택을 이동하고, 가압 조작에 따라서 상기 선택된 어드레스를 상기 재생된 데이터의 개시 어드레스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3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갱신 수단에 의한 상기 관리 정보의 갱신 전에, 상기 지정되는 데이터의 소정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보다 앞인, 상기 데이터로부터 삭감되어야 할 부분을 확인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3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갱신 수단에 의한 상기 관리 정보의 갱신 전에, 상기 지정되는 데이터의 소정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 이후인, 전반부가 삭제된 상기 데이터를 확인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확인 재생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3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보다 앞의 상기 데이터의 일부가 삭제되고, 해당 어드레스가 상기 재생된 데이터의 개시 어드레스가 되도록, 상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3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는 광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는, 양측면이 워블링되는 워블 트랙과 양측면이 논워블링인 논워블 트랙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트랙을, 랜드 및 트랙의 한쪽으로 형성하고, 상기 워블 트랙 및 상기 논워블 트랙에 삽입되는 랜드 및 트랙의 다른 쪽으로 형성된 제 2 트랙에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3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는 광디스크이고,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자계를 상기 광디스크 기록면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자계를 상기 광디스크 기록면에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광디스크 기록면에 상기 데이터에 동기하여 상기 광을 펄스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38.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는 불휘발성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39. 데이터가 기억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가 기억되는 관리 영역을 갖는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의 재생을 정지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가 상기 재생된 데이터의 종단 어드레스가 되도록, 상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법.
  40. 데이터가 기억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가 기억되는 관리 영역을 갖는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되는 데이터의 소정 시점을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지정되는 상기 데이터의 소정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가, 상기 재생된 데이터의 개시 어드레스가 되도록, 상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법.
  41. 데이터가 기억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가 기억되는 관리 영역을 갖는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되는 데이터의 소정의 2시점을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지정되는 소정의 2시점 중 한쪽의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가, 상기 재생된 데이터의 개시 어드레스에 다른 쪽의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매체상의 어드레스가, 상기 재생된 데이터의 종단 어드레스가 되도록, 상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법.
KR1020017005218A 1999-08-27 2000-08-25 기록 재생 장치 및 편집 방법 KR100711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41540 1999-08-27
JP24154099A JP4592844B2 (ja) 1999-08-27 1999-08-27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再生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354A KR20010089354A (ko) 2001-10-06
KR100711952B1 true KR100711952B1 (ko) 2007-05-02

Family

ID=1707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218A KR100711952B1 (ko) 1999-08-27 2000-08-25 기록 재생 장치 및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099557B1 (ko)
EP (1) EP1126462A4 (ko)
JP (1) JP4592844B2 (ko)
KR (1) KR100711952B1 (ko)
CN (1) CN100578648C (ko)
WO (1) WO20010169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2844B2 (ja) * 1999-08-27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再生方法
JP4214665B2 (ja) * 2000-07-25 2009-01-28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KR100769375B1 (ko) 2001-05-12 2007-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립트 파일이 포함 기록된 기록매체와, 그 재생장치 및방법
KR100769371B1 (ko) * 2001-05-12 2007-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립트 파일이 포함 기록된 기록매체와, 그 재생장치 및방법
KR100771264B1 (ko) * 2001-05-12 2007-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립트 파일이 포함 기록된 기록매체와, 그 재생장치 및방법
CN1226734C (zh) * 2001-12-10 2005-11-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重放装置和记录/重放方法
JP3760467B2 (ja) * 2002-04-09 2006-03-29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021996A (ja) * 2002-06-12 2004-01-22 Sony Corp 記録装置、サーバ装置、記録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EP1543509A4 (en) * 2002-09-02 2008-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INFORMATION ON AND / OR FROM THE OPTICAL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7340157B2 (en) 2002-11-20 2008-03-04 Apacer Technology Portable transcription device and method of the same priority
EP1435618A3 (en) * 2003-01-06 2005-01-05 Acer Incorporated Video editing device and video editing method
JP2005159491A (ja) * 2003-11-21 2005-06-16 Canon Inc 記録装置
KR100555551B1 (ko) * 2004-02-02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픽업의 포즈 동작 수행 장치 및 방법
JP2005267559A (ja) * 2004-03-22 2005-09-29 Sony Corp 記録再生装置、情報転送管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20060092319A1 (en) * 2004-10-18 2006-05-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pickup apparatus
JP2006127600A (ja) 2004-10-27 2006-05-18 Funai Electric Co Ltd 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dvdレコーダ及び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録画装置
JP2006191300A (ja) * 2005-01-05 2006-07-20 Toshiba Corp デジタルカメラ及び電子機器
JP2006191301A (ja) * 2005-01-05 2006-07-20 Toshiba Corp デジタルカメラ及び電子機器
KR101669618B1 (ko) * 2010-01-15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JP6058933B2 (ja) * 2012-07-26 2017-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動画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7436A (ja) * 1993-08-10 1995-03-03 Sony Corp ディスク装置
KR970060874A (ko) * 1996-01-31 1997-08-12 이대원 촬상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4745A (en) * 1980-04-11 1983-07-19 Sony Corporation Video editing apparatus
US4468751A (en) * 1981-05-11 1984-08-28 Lanier Business Products, Inc. Dictation recording and transcribing system with variable playback sequence
JP2733502B2 (ja) 1982-12-22 1998-03-30 レックス・コンピュータ・アンド・マネジメント・コーポレーション ビデオ編成方法及び装置
CA1217559A (en) * 1982-12-22 1987-02-03 Ronald C. Barker Video composition method and apparatus
JPS61139905A (ja) 1984-12-10 1986-06-27 Sony Corp デジタル映像・音声記録装置の回転磁気ヘツド装置
JPH04313876A (ja) 1991-02-01 1992-11-05 Pioneer Electron Corp 情報再生装置
US5488409A (en) * 1991-08-19 1996-01-30 Yuen; Henry 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the playing of VCR programs
JPH05225759A (ja) 1992-02-07 1993-09-03 Kenwood Corp 記録再生装置
JP3380962B2 (ja) 1992-10-29 2003-02-24 ソニー株式会社 電子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画像表示方法
WO1994023428A1 (en) * 1993-03-26 1994-10-13 Sony Corporation Disklike recording medium,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disk,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disk
JPH07312737A (ja) 1994-05-17 1995-11-28 Sony Corp 画像サーチ方法
JPH07320454A (ja) 1994-05-26 1995-12-08 Aiwa Co Ltd 信号記録装置
JPH0836801A (ja) 1994-07-21 1996-0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磁気記録媒体の記録方法
JPH08205077A (ja) 1995-01-31 1996-08-09 Nippon Hoso Kyokai <Nhk> Vtr編集システム
US5999406A (en) * 1995-02-23 1999-12-07 Avid Technology, Inc. Dockable electronic equipment container
WO1996026602A1 (en) 1995-02-23 1996-08-29 Avid Technology, Inc. Portable moving picture recording device including switching control for multiple data flow configurations
JP3439589B2 (ja) 1995-12-28 2003-08-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3772374B2 (ja) 1996-01-19 2006-05-10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データ記録装置
JP3251491B2 (ja) 1996-03-19 2002-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10106237A (ja) 1996-09-25 1998-04-24 Sony Corp 編集装置
JP4406094B2 (ja) 1996-11-12 2010-01-27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再生装置および画像記録装置
US20020054049A1 (en) 1996-11-12 2002-05-09 Kenji Toyoda Image playback apparatus,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JP3224513B2 (ja) 1996-11-27 2001-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再生方法
US6052508A (en) * 1997-04-04 2000-04-18 Avid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for managing track assignment for portable digital moving picture recording and editing system
JPH10304234A (ja) 1997-04-24 1998-11-13 Sony Corp 撮像システム、及びビデオカメラ装置
JP4303798B2 (ja) * 1997-09-11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編集装置及び編集システム
JP3797762B2 (ja) 1997-09-19 2006-07-19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動画像編集方法
CA2247626C (en) * 1997-09-17 2011-05-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video data edit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 editing program, reproduction apparatus for the optical disc,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 reproduction program
US6400378B1 (en) * 1997-09-26 2002-06-04 Sony Corporation Home movie maker
JP3895849B2 (ja) * 1997-11-11 2007-03-22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ノンリニア映像編集システム
TW385436B (en) * 1997-12-12 2000-03-21 Toshiba Corp Digital recording system using variable recording rate
JPH11195288A (ja) 1997-12-26 1999-07-21 Sony Corp 編集装置、ディスク状記録媒体
JPH11273230A (ja) 1998-03-20 1999-10-08 Sony Corp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4592844B2 (ja) * 1999-08-27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再生方法
US6882793B1 (en) * 2000-06-16 2005-04-19 Yesvideo, Inc. Video processing system
US7444593B1 (en) * 2000-10-04 2008-10-28 Apple Inc. Disk space management and clip remainder during edit oper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7436A (ja) * 1993-08-10 1995-03-03 Sony Corp ディスク装置
KR970060874A (ko) * 1996-01-31 1997-08-12 이대원 촬상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7057436 *
101997006087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16953A1 (fr) 2001-03-08
JP4592844B2 (ja) 2010-12-08
JP2001067838A (ja) 2001-03-16
US7970259B2 (en) 2011-06-28
CN1321316A (zh) 2001-11-07
EP1126462A4 (en) 2005-01-19
US7099557B1 (en) 2006-08-29
EP1126462A1 (en) 2001-08-22
KR20010089354A (ko) 2001-10-06
CN100578648C (zh) 2010-01-06
US20050232600A1 (en)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952B1 (ko) 기록 재생 장치 및 편집 방법
JP3982072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表示方法
US7236684B2 (en) Editing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JPH11196372A (ja) 記録装置
JP4269465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JP4820485B2 (ja) 画像処理装置
JP4178679B2 (ja) 記録再生装置、画像表示方法
JP3988266B2 (ja)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1069387A (ja) 記録装置、記録方法
JP2000215648A (ja) 記録装置
JPH11273230A (ja)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H11339446A (ja) 記録再生装置
JP4114317B2 (ja) 編集装置
JP2002135709A (ja) 編集装置、記録再生装置、編集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0217055A (ja) 画像処理装置
JPH11219525A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4423698B2 (ja) サムネイル表示装置
JPH11195288A (ja) 編集装置、ディスク状記録媒体
JPH11213524A (ja) 記録再生装置
JPH11205719A (ja) 画像処理装置
JP2000236466A (ja) 記録装置、再生装置
JP2002374432A (ja) 撮像装置
JP4553054B2 (ja) 編集装置、記録再生装置、編集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0050191A (ja) 編集装置
JP2003189215A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