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541B1 - Cvt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Cvt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541B1
KR100701541B1 KR1020017002482A KR20017002482A KR100701541B1 KR 100701541 B1 KR100701541 B1 KR 100701541B1 KR 1020017002482 A KR1020017002482 A KR 1020017002482A KR 20017002482 A KR20017002482 A KR 20017002482A KR 100701541 B1 KR100701541 B1 KR 100701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value
ratio
transmission ratio
cv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3012A (ko
Inventor
루요하임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73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61/6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61/6625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controlling of shifting being influenced by a signal derived from the engine and the main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무단 변속기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변속비의 조정은 전기 신호를 통해 하나 이상의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외에도 변속비는 변속기의 어느 한 작동 모드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전기 신호가 사전 설정 가능한 값에 세팅되어 있다. 그런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밸브는 위에서 언급한 중앙 위치(차단 위치)를 취하게 된다. 이 작동 모드는 레이쇼-홀드-모드(ratio-hold-mode)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핵심은 자동차의 정상 작동에서 사전 설정 가능한 값이 가변적이라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장점으로는 부품의 허용오차가 자동차 또는 변속기의 작동 중에 보상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자동차 조립 시에 정밀 조정 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을 통해 부품의 노후화, 특히 밸브에서 스프링의 변경이 (예를 들어 스프링의 장착) 작동 중에 보상된다.
변속비, 무단 변속기, 오프셋값, 사전 설정 가능한 값, 종가속도, 풀리, 오일 챔버

Description

CVT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SYSTEM FOR HYDRAULICALLY ADJUSTING THE TRANSMISSION OF A CVT}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 무단 변속기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CVT는 예를 들어 독일 특허 제196 49 483호 또는 유럽 특허 제451 887호에 공지되어 있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변속비의 조정은 소위 1차 밸브의 조정을 통해 유압식으로 이루어진다. 변속비를 조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실시될 수 있는 1차 밸브는 전류에 의해 작동되어, 결정된 유압이 변속기에서 설정된다. 그런 밸브는 일반적으로 제어 전류의 정확한 평가를 통해 조정되는 다수의 스위칭 단계를 갖는다. 밸브의 소정 위치, 통상적으로, 중간 위치는 상기 밸브를 오일이 지나가지 않게하는데 이용된다(차단 위치).
상기 밸브의 제어 시에 매우 중요한 점은 자동차의 주행 작동 중에 밸브 부품의 허용오차에 실제로 무관하게 그리고/또는 상기 밸브의 부품의 노후화에 무관하게 제어 전류가 매우 정확하게 평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정상 작동 중에 제어 전류를 매우 정확하게 평가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들을 통해 달성된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은 자동차 무단 변속기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변속비의 조정은 전기 신호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변속비는 변속기의 한 작동 상태에서 실제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전기 신호가 사전 설정 가능한 값에 세팅된다. 예를 들어 밸브는 상술된 중간 위치(차단 위치)를 취한다. 이러한 작동 상태는 레이쇼-홀드-모드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핵심은, 사전 설장 가능한 값이 자동차의 정상 작동 중에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품 허용 오차가 자동차 또는 변속기의 작동 중에 보상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로써, 정밀 조정 비용이 자동차의 조립 시에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부품의 노후화, 특히 밸브 내의 스프링(스프링 세팅)의 변화가 작동 중에 보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사전 설정 가능한 값의 변경은 적응에 따라서 이루어지고, 상기 적응은 설정된 작동 조건이 나타나면 실시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서 밸브의 중간 위치의 설정을 위해 안내되어야 하는 밸브 전류가 작동 중에 현재 존재하는 특성(노후화, 허용오차)에 적응된다.
그 외에도 사전 설정 가능한 값은 (고정된) 기초값과 오프셋값으로 이루어진다. 그런 경우, 상기 오프셋값은 본 발명에 따라 변경되거나 또는 적응된다. 이 때 특히 상기 오프셋값은 밸브의 이미 언급한 중간 위치의 조정을 위해 이용될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전기 신호의 형성 시에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서 사전 설정 가능한 값은, 특히 오프셋값은, 사전 설정 가능한 작동 조건(레이쇼-홀드-모드, ratio-hold-mode)이 나타날 때 변속비의 변화가 검출되면, 변경된다.
이 때 특히 사전 설정 가능한 작동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작동 조건은, 변속비가 실제로 항상 같게 유지되도록 전기 신호가 사전 설정 가능한 값에 세팅되어 있는 작동 모드(레이쇼-홀드-모드)에 변속기가 위치하면, 존재한다. 이미 설명한 밸브의 특수한 경우에, 이는 밸브가 중간 위치(차단 위치)의 설정을 위해 제어되어, 변속비가 전혀 변경되지 않거나 또는 단지 약간 변경되는 것이 이상적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변속비가 상당히 변경되면, 제어 전류의 적응이 필요하다. 이 때 사전 설정 가능한 값은, 특히 오프셋값은 변속비의 변경이 억제되도록 변경된다.
상기 언급한 작동 조건 외에도 사전 설정 가능한 작동 조건 중 다른 조건들은,
- 자동차 종방향 가속도, 특히 변속기의 출력 회전 속도가 시간에 따라 현저히 변경되지 않는 경우, 변속기의 준정적 작동 모드가 존재하면, 그리고/또는
- 자동차 종방향 가속도, 특히 변속기의 출력 회전 속도 또는 입력 회전 속도가 사전 설정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면, 그리고/또는
- 상기 변속기의 온도가 사전 설정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면, 그리고/또는
- 변속기의 변속비가 사전 설정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서, 변속기의 변속비가 실제로 일정하거나 또는 시간에 따라 변경되지 않는 작동 모드에 변속기가 위치하면, 사전 설정 가능한 작동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작동 조건이 존재한다.
제1 변형예에서, 전기 신호가 사전 설정 가능한 값으로 세팅되는 변속기의 작동 모드 중에 적응이 이루어지는 반면, 제2 변형예는 변속비가 일정하게 제어되는 작동 모드이다. 먼저 최소 및 최대 변속비가 제외되면, 상기 밸브는 일정한 변속비에서는 중간 위치에 위치해야 한다. 이는 적응에 이용될 수 있고, 사전 설정 가능한 값, 특히 오프셋값이 사전 설정 가능한 작동 조건의 존재 시에 조정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서 변경 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작동 조건 외에도 사전 설정 가능한 작동 조건 중 다른 조건들은,
- 변속기의 변속비가 사전 설정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면, 그리고/또는
- 변속기의 변속비의 시간에 따른 변경이 사전 설정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면, 그리고/또는
- 자동차 종방향 가속도가, 특히 변속기의 출력 회전 속도가 시간에 따라 변경되지 않은 경우 변속기의 준정적 작동 모드가 제공되면, 그리고/또는
- 변속기의 온도가 설정 범위 내에 위치하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압력이 제어되어 변속기의 레이쇼-홀드-작동 모드에서의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값이 검출된다. 그런 경우 상기 사전 설정 가능한 값은 검출된 압력값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의 설계는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센서가 제공되거나 상기 압력이 다른 값들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는 것을 기초로 한다. 상기 밸브의 중간 위치는 조정되거나 또는 적응되어 특정 압력이 조정된다.
그 외에도 상기 전기 신호는 즉, 전류값은 적응 중에 변속비가 더 높은 변속비로 조정되도록 설정다. 즉, CVT가 높은 단으로 변속된다. 이 때 상기 적응 중에 설정되는 전기 신호는 상기 적응 이전에 조정된 전기 신호보다 그 차이값만큼 더 작다. 즉, 상기 적응 중에 조정되는 전류는 "레이쇼-홀드"-전류값을 차감한 차이값과 같으므로, 상기 전류는 적응 동안 "레이쇼-홀드"-전류보다 약간 더 작다.
또 다른 구성은 종속항에서 파악된다.
도1은 무단 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 알고리즘과 변속기 제어부의 접속 블록도이다.
도3,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1에서 엔진(1)으로부터 차륜의 구동 샤프트(3)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자동차의 무단 변속기는 도면 부호 2로 표시된다. 그러한 무단 변속기는 예를 들어 엔진(1)과 배리에이터(variater, 6) 사이에 배열된 전진 변속 및 후진 변속을 위한 클러치(5) 및 토크 컨버터(4)를 갖는다. 상기 배리에이터(6)는 구동측(1차) 및 피동측(2차) 풀리 세트(7, 8)로 이루어지며, 체인 또는 스틸 벨트(9)를 이용해 동력이 구동 풀리 세트(7)로부터 피동 풀리 세트(8)로 전달된다. 각각의 풀리 세트는 축고정형 풀리와 축가동형 풀리로 이루어진다. 구동 및 피동 풀리 세트에서 축가동형 풀리가 움직이면, 배리에이터(6)의 변속비는 높은 출발 변속비(로우(low))로부터 작은 변속비(오버드라이브(overdrive))로 변경된다.
상기 피동 풀리 세트는 차동 기어(10)에 의해 차륜의 구동 샤프트(3)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축가동형 풀리(7, 8)는 유압식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오일 챔버(11, 12)를 갖고 있다.
압축 오일을 공급하기 위해, 변속기는 예를 들어 엔진(1)의 회전 속도와 동일하게 작동하는 오일 펌프(13)를 갖고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벨트(9)의 장력은 피동측 오일 챔버(12)의 압력, 즉 2차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 제한 밸브(14)를 이용해 조정된다. 변속비는 1차 측에서 레귤레이터 밸브(1차 밸브)(15)를 이용해 조정된다. 상기 밸브(15)는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실시될 수도 있다. 상기 2차 압력은 압력 센서(22)를 통해 검출되며 신호(Ps)로서 제어 장치(20)에 제공된다.
상기 1차 밸브(15)는 위치(A)에서 구동측 오일 챔버(11)(1차 오일 챔버)로부터 오일 탱크로 오일을 배출하므로 압력을 줄일 수 있어, 변속비가 로우로 조정된다. 위치(C)에서 오일은 구동측 오일 챔버(11)로 유입되므로, 변속비는 오버드라이브 방향으로 바뀌고 구동측 오일 챔버(11)에서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15)가 위치(B)에 있으면 밸브가 폐쇄되고 1차 오일 챔버(11)가 기밀하게 되는, 즉 오일 챔버(11)로부터 오일의 유입 및 유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변속기의 변속비는 적어도 변함없다.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15)는 예를 들어 직접 제어될 수 있거나 예비 제어 밸브를 통해 종래와 같이 제어된다.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의 경우 자석(16)에서의 전류(I)를 조정하여 힘이 밸브 슬라이더쪽으로 발생된다. 상기 밸브 슬라이더에 제공된 스프링(17)을 통해 레귤레이터 밸브(15)의 특정 위치가 일정하게 설정된다. 이는 전류(I)가 자석(16)을 통해 레귤레이터 밸브(15)의 위치 및 밸브의 개도를 결정하게 됨을 의미한다.
그 외에도 센서(18)가 1차 회전 속도(Np)를 검출하며 센서(19)는 2차 회전 속도(Ns)를 검출한다. 상기 1차 및 2차 센서 신호(Np, Ns)는 제어 장치(20)에 제공되며, 이 때 상기 제어 장치(20)는 레귤레이터 밸브(15)의 자석(16)을 통해 전류(I)를 설정한다.
그 외에도, 예를 들어 운전자가 조작한 가속 페달의 위치(α)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21)가 연결되어 있다.
변속기 또는 변속기 오일 온도가 온도 센서(17)를 통해 검출되어 신호(Tg)로서 제어 장치(20)에 제공된다.
상기 1차 밸브(15)의 전류(I)는 차량이 정지해 있는 경우 고정값에 세팅되어 있으며, 소위 중간 지점 전류에 세팅된다. 그런 경우, 상기 밸브(15)는 적어도 위치(B)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변속비는 일정하고 변속비 레귤레이터는 소위 레이쇼-홀드-모드에 위치하게 된다. 조정되는 중간 지점 전류는 부품 허용 오차에 의존적이며 변속기 수명 동안 적응되어 예를 들어 상기 1차 밸브(15)의 스프링의 노후화를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서 중간 지점 전류의 적응을 위한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부품 허용 오차는 자동차의 작동 중에 조정될 수 있다. 이는 정밀 조정 비용이 변속기의 조립 시에 감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 외에도 부품의 노후화는, 특히 1차 밸브(15)에 스프링(17)을 세팅함으로써, 작동 중에 보상된다.
변속기(2)의 변속 속도와 변속 방향은 제어 전류(I)와 직접 관련되어 있다. 1차 밸브(15)가 변속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제어 전류의 값이 변속비 제어에 중요한 변수가 된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이는 중간 지점 전류라고도 하며 고정 제어 편차의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5km/h보다 작은 저속 주행 속도에서는 비용상의 이유로 CVT-변속기(2)의 변속비를 검출할 수 없다. 이 경우 변속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어 전류(I)로서 중간 지점 전류가 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을 포함하는 단순화된 제어 회로는 도2에 도시되어 있다. 제어 구간(23)은 변속기 제어부, 유압 제어부 및 CVT-변속기로 이루어진다. 1차 밸브(15)의 제어 전류(I)로 변속기(2)의 변속비(U)가 조정된다. 상기 변속기 제어부는 적절한 센서를 이용해 1차 및 2차 회전 속도(Np, Ns)를 감지하며 그로부터 CVT-변속기(2)의 변속비(U)를 계산한다. 상기 변속비 레귤레이터(22)는 목표 속도(Np,soll)에서 1차 속도(Np)를 차감하여(차감부(25)) 1차 밸브(15)에 필요한 (잠정적) 제어 전류(Ia)를 계산한다. 변속비(U), 1차 속도(Np) 및 (잠정적) 제어 전류(Ia)는 적응부(21)로 가며, 이것은 (잠정적) 제어 전류(Ia)를 위한 오프셋값을 제공한다. 상기 오프셋값은 포인트(24)에서 (잠정적) 제어 전류(Ia)에 오버랩되어 밸브(15)에 제공될 제어 전류(I)가 된다. 적응하게 되는 오프셋 전류는 불변이다.
변속비 레귤레이터(22)에서는 CVT의 작동점에 따라서 3가지 작동 방식 중 하나로 작동한다:
- 레이쇼-홀드: 제어 전류가 중간 지점 전류의 값으로 조정된다. 그 때문에 변속비(U)는 거의 일정하다. 이 레이쇼-홀드 모드는 차량이 서 있는 경우에 설정된다. 그 밖에 속도가 낮은 경우, 상기 CVT-변속기가 초기 변속비를 조정해야 하며 실제 변속비는 초기 변속비 근처에 있으면, 조정된다.
- 레이쇼-로우: 상기 제어 전류는 느린 시프트 다운에 작용하는 값으로 조정된다. 상기 값은 고정값으로서 선택될 수 있지만, 반드시 고정값으로 선택될 필요는 없다. 이 작동 모드는, CVT-변속기(2)가 자동차의 서행 시에 초기 변속비에 있어야 하지만 실제 변속비가 임계값보다 작으며 초기 변속비에 근접하는 경우, 이용된다.
- 레귤레이팅: 상기 제어 전류는 목표 1차 속도와 실제 1차 속도의 차이에 근거하여 조정된다(결합점(25)의 출력).
상기 변속비(U)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중간 지점 전류는 특히 레이쇼-홀드-모드인 경우 변속비 레귤레이터(22)에 중요하다. 그러나 상기 CVT-변속기(2)는 레이쇼-홀드-모드에서 시프트업되고 설정된 변속비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변속비 레귤레이터(22)는 레이쇼-로우 모드로 바뀌고 초기 변속비를 다시 조정한다.
제1 변형예에서 적응 알고리즘의 흐름도는 도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적응은 확실한 작동을 보장하는 작동점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하기의 조건은 적응이 개시되기 전에 체크된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문의가 "아니오" 라는 결과를 가지면, 최종 단계(38)로 바로 가며 제1 변형예에 따른 적응이 실시되지 않는다.
상기 적응이 레이쇼-홀드-모드에서만, 즉 주행 속도가 작고 초기 변속비에서, 예를 들어 자동차가 공회전하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시작 단계(31) 후에 먼저 문의(32)에서 현재 레이쇼-홀드-작동 모드가 조정되어 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최종 단계(38)로 직접 가며 제1 변형예에 따른 적응이 실시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런 경우라면, 문의 단계(33)로 넘어간다. 그 외에도, 단계(33)의 제3의 문의를 통해 변속비(U)가 충분히 크게(임계값(SW4)) 보장된다.
상기 적응은 준정적 주행 상황에서만 적용된다. 이는 가속도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단계(33)의 제2의 문의에서 2차 속도 구배의 크기는, 즉 2차 속도(Ns)의 시간에 대한 변화가 충분히 작은 임계값(SW3)과 비교된다.
상기 적응은 적응 변수의 변화가 관찰되는 경우에만 실시된다. 예를 들어 변속기 변속비는 정지 상태에서 변경되지 않으며, 즉 정지 시에 적응이 이루어질 수 없다. 단계(33)의 제1 문의에서 1차 속도(Np)가 2개의 임계값(SW1과 SW2) 사이의 범위에 있는지 문의된다.
변속기 온도(Tg)가 매우 낮거나 높은 경우 적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단계(33)의 마지막 문의에서 온도(Tg)가 2개의 임계값(SW5와 SW6) 사이의 범위에 있는지 여부가 문의된다.
적응을 위한 전제 조건들이 있으면, 단계(34)에서 정해진 기간(Δt) 동안 변속비 조정(ΔU)의 방향이 정해진다(기준값 0.5s).
단계(35)에서 변속기(2)가 시프트업되는 것이 결정되면, 오프셋 전류가 단계(36)에서 증가되어야 한다. 그 때문에 변속기(2)가 더 서서히 시프트업된다.
단계(35)에서 변속기(2)의 시프트다운이 확인되면, 단계(37)에서 오프셋 전류는 작아진다. 그 때문에 변속기는 시프트업된다.
대기 시간(Δt) 동안 변속비 레귤레이터(22)에 의해 레이쇼-로우 작동 모드가 작동되면(단계(35)에서 문의), 그 근거는 변속기(2)가 너무 빠르게 시프트업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단계(36)에서 오프셋 전류가 증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적응은 오프셋 전류를 작은 값(기준값 예를 들어 1mA)만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2-포인트 레귤레이터로서 작동한다. 그러나, 이 때 오프셋 전류는 일정한 한계에서만 변경될 수 있다.
차량의 운전자는 상기 적응을 실제로 느끼지는 못하는데, 이는 변속비가 최소로만 변하기 때문이다.
제1 변형예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중간 지점 전류를 위한 오프셋 전류를 적응시키는 알고리즘이 제공된다. 이 적응은 특히 차량이 서행하는 경우 약 2 내지 8km/h에서 자동차의 가벼운 전진 출발 내지 급한 전진 출발에서 그리고 후진 시에 이루어진다. 이 적응은 일정한 작동 모드에서만 작동되며 오프셋 전류를 일정한 한계에서 변경시킨다. 상기 변속비 레귤레이터가 이미 설명한 레이쇼-홀드-모드에서 작동하면, 상기 적응이 작동된다. 이 작동 모드에서 제어 전류(I)는 항상 중간 지점 전류로 조정된다.
- 변속기 온도(Tg)가 매우 낮거나 높으면,
- 자동차 가속 또는 감속이 크면,
- 변속기 입력 속도가 일정한 한계 외에 있으면(차량이 정지해 있거나 상대적으로 빠르게 주행하면),
- 변속비가 최대 변속비(로우) 근처에 있지 않으면,
상기 적응은 차단된다.
상기 적응 알고리즘은 변속비 변화의 속도를 결정한다. 상기 변속기(2)가 레이쇼-홀드-모드에서 시프트다운되거나 변속기(2)가 정해진 시간내에서 로우에 있으면, 오프셋 전류는 작아진다.
변속기가 상기 시간내에서 시프트업되면, 오프셋 전류는 커진다.
전술한 제1 변형예의 사상은 변속비가 일정하면, 1차 밸브(15)가 중간 위치(B)에 있다는 것이다. 그 중에서 변속비가 오버드라이브(최소 변속비UE) 또는 로우(최대 변속비UE) 근처로 조정되는 작동 상황이 선택되면, 이는 1차 밸브(15)가 한 방향으로 완전히 개방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속비(UE)가 항상 일정하기 때문이다. 문제가 되는 운전 조작은 예를 들어 약 15 내지 60km/h의 속도의 일정 주행이다.
이는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적응의 제2 변형예이다.
시작 단계(41) 후에 문의(42)에서 상기 레이쇼-홀드-모드 또는 레이쇼-로우-모드는 조정도지 않는다. 상기 모드가 조정되면, 즉시 최종 단계(46)로 넘어가며 제2 변형예에 따른 어떠한 적응도 실시되지 않는다. 상황에 따라서는 이 경우 제1 적응 변형예가 실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레귤레이팅 모드가 조정되면, 단계(43)에서 여러 문의가 시행된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문의 중 하나가 부정적인 결과를 야기하면, 바로 최종 단계(46)로 넘어가며 제2 변형예에 따른 어떠한 적응도 실시되지 않는다.
단계(43)에서 제1 문의를 통해 변속비(UE)가 임계값(SW7, SW8)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가 체크된다. 변속비(UE)가 피크값(로우, 오버드라이브)과 충분히 구별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제2의 문의를 통해 변속비 구배(d△dt)의 값이 충분히 작고(임계값(SW9) 변속비가 변경되지 않은지 여부가 검출된다.
상기 변속기의 준정적 작동 모드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는 2차 속도 구배(dNs/dt)의 크기가 충분히 작기(임계값 SW10) 때문에 문의된다.
변속기 온도(Tg)가 매우 낮거나 높은 경우 적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단계(43)의 마지막 문의에서 온도(Tg)가 2개의 임계값(SW11, SW12) 사이의 범위에 있는지 여부가 문의된다.
단계(43)에서 모든 문의에 대해서 "예"라고 답하면, 상기 변속비 레귤레이터는 현재 제어 전류(I)를 통해 변속비(U)를 일정한 값으로 제어한다. 그러므로 상기 밸브(15)는 중간 위치(B)에 위치한다. 그런 경우 단계(44)에서 오프셋값은 현재 제어 전류(I)와 기억된 기준 중간 지점 전류(Im,ref) 사이의 차로서 형성된다.
단계(45)에서 오프셋값은 저역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다.
제3 변형예의 사상은 (도5) (도1에 도시되지 않은) 1차 압력 센서가 제공되거나 1차 압력(Pp)이 1차 밸브와 2차 밸브의 제어 전류와 2차 압력 센서 신호, 다른 값들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1차 밸브의 중앙 위치가 조정되어 1차 압력이 일정하게 조정된다.
이를 위해 도5에서 시작 단계(51) 후에 단계(52)에서 1차 압력(Pp)이 검출된다. 그 후 단계(53)에서 오프셋값은 1차 압력(Pp)의 함수(F)로서 형성되고, 최종 단계(54)로 넘어간다.

Claims (11)

  1. 자동차 무단 변속기(2)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변속비의 조정은 전기 신호(I)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밸브(15)를 제어함으로써 달성되고, 변속비가 변속기의 한 작동 상태(레이쇼-홀드)에서 실제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전기 신호(I)가 사전 설정 가능한 값에 세팅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가능한 값이 자동차의 정상 작동 중에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VT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가능한 값의 변경이 적응에 따라 행해지며, 상기 적응은 사전 설정 가능한 작동 조건이 나타나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VT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가능한 값은 기초값과 오프셋값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프셋값은 가변적이며, 상기 오프셋값이 전기 신호(I)의 형성 시에 고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VT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사전 설정 가능한 작동 조건이 제공될 때 변속비의 변경이 검출되면, 상기 사전 설정 가능한 값은 변경되며, 상기 사전 설정 가능한 값은 변속비의 변경을 억제하도록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VT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신호(I)가 사전 설정 가능한 값에 세팅됨으로써 변속비가 실제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작동 상태(레이쇼-홀드)에 변속기가 위치하면, 적어도 하나의 사전 설정 가능한 작동 조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VT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 자동차 종방향 가속도, 특히 변속기의 출력 회전 속도가 시간에 따라 현저히 변경되지 않는 경우 변속기의 준정적 작동 모드가 존재하거나,
    - 자동차 종방향 가속, 특히 변속기의 출력 회전 속도 또는 입력 회전 속도가 사전 설정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 상기 변속기의 온도가 사전 설정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또는
    - 변속기의 변속비가 사전 설정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면,
    사전 설정된 작동 조건들 중 추가의 조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VT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변속기의 변속비가 실제로 일정하거나 또는 시간에 따라 현저히 변하지 않는 작동 상태에 변속기가 위치하면, 적어도 하나의 사전 설정 가능한 작동 조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VT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8. 제3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사전 설정 가능한 값이 사전 설정 가능한 작동 조건의 존재 시에 조정되는 전기 신호(I)에 따라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VT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 변속기의 변속비가 사전 설정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 변속기의 변속비의 시간에 따른 변경이 설정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 자동차 종방향 가속도, 특히 변속기의 출력 회전 속도가 시간에 따라 변경되지 않는 경우 변속기의 준정적 작동 모드가 제공되거나, 또는
    - 변속기의 온도가 설정 범위 내에 위치하면,
    사전 설정 가능한 작동 조건 중 추가의 조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VT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밸브(15)의 제어를 통해 압력이 제어되고 압력값이 검출되고, 이 압력값은 변속기의 작동 상태(레이쇼 홀드)에서의 압력을 나타내며, 사전 설정 가능한 값은 검출된 압력값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VT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11. 제2항에 있어서, 전기 신호(I)는 적응 중에 변속비의 조정을 통해 변속비가 더 커지도록 조정되고, 적응 중에 조정되는 전기 신호는 적응 전에 조정된 전기 신호(I)보다 차이값(ΔI)만큼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CVT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017002482A 1999-06-30 2000-06-23 Cvt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KR100701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29869 1999-06-30
DE19929869.6 1999-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012A KR20010073012A (ko) 2001-07-31
KR100701541B1 true KR100701541B1 (ko) 2007-03-30

Family

ID=791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482A KR100701541B1 (ko) 1999-06-30 2000-06-23 Cvt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99207B1 (ko)
EP (1) EP1108162B1 (ko)
JP (1) JP4988113B2 (ko)
KR (1) KR100701541B1 (ko)
DE (2) DE10030405A1 (ko)
WO (1) WO20010027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1832A1 (en) * 2005-10-08 2007-05-17 Luk Lamellen A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Method for controlling the adjustment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6449819B2 (ja) * 2016-07-23 2019-01-09 メレキシス テクノロジーズ エス エー 変位検出装置及び無段変速装置
KR20210103320A (ko) 2020-02-13 2021-08-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vt 제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5187A2 (en) * 1990-11-07 1992-05-13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Second harmonic generator using a laser as a fundamental wave source
DE19649483A1 (de) * 1996-11-29 1998-06-04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tomatischen Übersetzungsverstellung
DE19733960A1 (de) * 1997-08-06 1999-02-11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setzungsverstellung bei einem CV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2822A (en) * 1986-12-01 1991-01-08 Borg-Warner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line pressure in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4964317A (en) * 1987-08-10 1990-10-23 Suzuk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Hydraulic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ly variable speed change gear mechanism for a vehicle and a drive control method for a pressure valve thereof
DE69108754T2 (de) * 1990-02-01 1995-08-17 Toyota Motor Co Ltd Hydraulisches Steuerungssystem eines stufenlosen Riemengetriebes mit Riemendruckoptimierung.
NL9000860A (nl) 1990-04-12 1991-11-01 Doornes Transmissie Bv Elektronisch geregelde continu variabele transmissie.
JPH05126239A (ja) * 1991-06-29 1993-05-21 Mazda Motor Corp 車両用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05106728A (ja) * 1991-10-11 1993-04-27 Fuji Heavy Ind Ltd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H05240331A (ja) * 1992-02-24 1993-09-17 Toyota Motor Corp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油圧制御装置
US5314385A (en) * 1992-11-13 1994-05-24 Borg-Warner Automotive, Inc. System for cooling a starting clutch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H06159490A (ja) * 1992-11-27 1994-06-07 Hitachi Ltd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H07259939A (ja) * 1994-03-17 1995-10-13 Nissan Motor Co Ltd 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US5447029A (en) * 1994-04-08 1995-09-05 Caterpillar Inc. Hydrostatic transmission control system
JPH08178036A (ja) * 1994-12-28 1996-07-12 Aisin Seiki Co Ltd 変速機制御装置
JPH08189552A (ja) * 1995-01-11 1996-07-23 Nissan Motor Co Ltd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US5575735A (en) * 1995-04-06 1996-11-19 Caterpillar Inc. Integrated power transmitting system
JP3141193B2 (ja) * 1996-02-02 2001-03-05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3726377B2 (ja) * 1996-09-25 2005-12-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1163218A (ja) * 1997-08-27 1999-03-05 Yanmar Diesel Engine Co Ltd 電子制御式hst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5187A2 (en) * 1990-11-07 1992-05-13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Second harmonic generator using a laser as a fundamental wave source
DE19649483A1 (de) * 1996-11-29 1998-06-04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tomatischen Übersetzungsverstellung
DE19733960A1 (de) * 1997-08-06 1999-02-11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setzungsverstellung bei einem CV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005976D1 (de) 2004-05-13
US6599207B1 (en) 2003-07-29
WO2001002754A9 (de) 2002-09-06
EP1108162A1 (de) 2001-06-20
WO2001002754A1 (de) 2001-01-11
JP2003503665A (ja) 2003-01-28
EP1108162B1 (de) 2004-04-07
KR20010073012A (ko) 2001-07-31
DE10030405A1 (de) 2001-01-18
JP4988113B2 (ja)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4317A (en) Hydraulic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ly variable speed change gear mechanism for a vehicle and a drive control method for a pressure valve thereof
US5058716A (en) Control system for a hydrokinetic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
KR100644735B1 (ko) 무단 변속기의 변속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EP0231059B1 (en) Control system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6041276A (en) Device for controlling a starting procedure
KR101362103B1 (ko)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
US7637843B2 (en) Control device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5480363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lip of lock-up clutch on motor vehicle during deceleration of the vehicle
EP2128499B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5074166A (en) Continuous speed variable transmission control method
US20010023216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slip in the control system of a cvt in a motor vehicle
EP1177934B1 (en) Shift control system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5003482A (en) Automotive constant speed cruise control system
US4936403A (en) Drive speed control system for a motor vehicle hav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6522965B1 (en) Method for setting a multiplication of a continuously variable automatic transmission equipped with a variator
US5462499A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shifting comfort in motor vehicles hav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EP0421183B1 (en) Continuous speed variabl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EP0108507B1 (en) Control system for an infinitely variable transmission having an electromagnetic powder clutch
KR100701541B1 (ko) Cvt의 변속비를 유압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US6547693B1 (en) System for hydraulic transmission regulation of a CVT
KR100581989B1 (ko) Cvt에서의 변속비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JPH01153851A (ja) 車両用連続可変変速機の圧力弁駆動制御方法
US20080242501A1 (en) Lock-up clutch control unit
EP0240284B1 (en) System for controlling an electromagnetic clutch for a vehicle
JP4362943B2 (ja)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