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776B1 - L-아라비노즈로부터 고 순도의 l-리보즈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L-아라비노즈로부터 고 순도의 l-리보즈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776B1
KR100699776B1 KR1020017006158A KR20017006158A KR100699776B1 KR 100699776 B1 KR100699776 B1 KR 100699776B1 KR 1020017006158 A KR1020017006158 A KR 1020017006158A KR 20017006158 A KR20017006158 A KR 20017006158A KR 100699776 B1 KR100699776 B1 KR 100699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ose
arabinose
abandoned
payment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3079A (ko
Inventor
줌프파넨주호
누르미주하
파스티넨오씨
Original Assignee
자이로핀 오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이로핀 오위 filed Critical 자이로핀 오위
Publication of KR20010093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7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00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sugar derivatives
    • C07H1/06Separation; 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3/00Compounds containing only hydrogen atoms and saccharide radical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C07H3/02Monosacchar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아라비노즈의 수용액으로부터 출발하여, Mo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에피머화 반응을 수행하고, 이 에피머화 반응에 의해 형성된 생성물을,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를 함유하는 분리 영역을 통해 용출시킴으로써 순도 97% 이상의 L-리보즈 분획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L-리보즈 일수화물 결정이 형성되기에 효과적인 조건하에서 상기 L-리보즈 분획을 결정화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순도, L-리보즈, L-아라비노즈, 결정, 몰리브덴 화합물, 결정화, 에피머화 반응, 용출, 분리, 크로마토그래피, 양이온 교환 수지

Description

L-아라비노즈로부터 고 순도의 L-리보즈를 제조하는 방법{High purity production of L-ribose from L-arabinose}
본 발명은 L-아라비노즈 용액으로부터 L-리보즈 결정을 제조 및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L-아라비노즈를 출발 물질로 사용하여 순도 90% 이상의 L-리보즈 분획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고 순도의 L-리보즈 분획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평형상태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조건하에 Mo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L-아라비노즈를 L-리보즈로 촉매적으로 전환시킨후, L-리보즈에 대해 고 선택능을 가진 선택적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촉매 용액으로부터 L-리보즈를 분리해내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L-리보즈 분획을 본질적으로 무수(수분 함량 0.5% 미만) 상태인 고 순도의 L-리보즈 결정(순도 >95%)으로 결정화시키고, 이 결정을 회수하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의 결정화 방법에 의하면, 무수 형태로 전환가능한 L-리보즈 일수화물 결정이 형성된다.
상기한 각각의 방법들은 순도 95% 이상의 L-리보즈 결정을 제조하는 하나의 연속 공정으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L-리보즈 결정은 불순물이 거의 없으며, L-리보즈외에는 검출가능한 양의 L-당류(L-sugars)나 기타 불순물들을 거의 또는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다. L-리보즈 결정내에 키랄(chiral) 불순물 및 L-당류가 존재하곤 했던 종래의 방법에 비해 상기한 점이 본 발명의 크게 개선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제약 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특정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약물을 제조하는데 있어 출발 물질로서 고 순도의 반응물을 필요로 한다. 불순물은 소량의 존재로도 제조되는 최종 생성물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통상 검출가능한 양의 불순물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고 순도의 반응물이 요구된다. 따라서 반응물내 불순물은 미량일지라도 최종 생성물에 악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극한 경우에 있어서는 약물 투여 대상이 되는 환자에게 부-작용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존재는 바람직하지 않다.
고 순도의 키랄 반응물을 요하는 분야 중에서 하나로, 벤즈이미다졸 리보시드(benzimidazole riboside) 화합물을 함유하는 새로운 개량 약물 개발 분야를 들 수 있다. 이 화합물은 현재 HIV 등 각종 인체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고 품질의 벤즈이미다졸 리보시드 화합물을 다량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반응물로서 고 순도의 L-리보즈 결정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로서 리보즈(D-형 또는 L-형) 제조를 위한 다수의 방법들이 있기는 하지만, 후술되는 것들을 비롯하여 종래의 방법들은 고 순도의 벤즈이미다졸 리보시드 화합물 제조를 가능하게 할 정도로 충분히 높은 순도의 L-리보즈 결정을 형성하지는 못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있어, D-리보즈는 일반적으로 D-글루코즈를 알칼리 수용액중에 서 산소로 산화하여 수은 아연 염 같은 금속 염의 형태로 단리되는 D-아라본산을 형성하고, 이를 에피머화하고 락톤화하여 D-리보노락톤을 수득한 다음, 이후 나트륨 아말감에 의해 D-리보즈로 환원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왔다. 알칼리 수용액중에서 D-아라본산을 가열하게 되면, D-아라본산 대 D-리본산의 평형비가 70:30인 혼합물이 수득된다. 상기한 종래 방법에 의하면, 30% 이상의 D-리본산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수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아말감 형성시 다량의 수은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다.
빌릭 등(Bilik et al.)에 의해, L-아라비노즈를 L-리보즈로 에피머화시키는 것을 비롯하여 각종 사카라이드를 몰리브덴산 촉매의 존재하에 수용액중에서 에피머화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참조예: Czechoslovak 특허 제 149,472 호; Chemical Abstracts 81, 78 189 K).
이를 기초로 해서, D-글루콘산을 D-아라본산이 아닌 D-아라비노즈로 산화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 방법에서는 산화제로 하이포클로라이트(hypochlorite)를 사용하며, 이후, 몰리브덴 촉매의 존재하에 수용액중에서 D-아라비노즈를 에피머화하여 D-리보즈를 수득한다(참조: 일본 예비 공개 출원 제 164,699 호/1980 및 유럽 특허 제 20,959 호 및 미국 특허 제 4,355,158 호). 이 방법은 단지 대략 25% 정도의 에피머화 비율(평형상태의 혼합물내 리보즈의 비율)을 달성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수은을 사용하지 않으며 보다 적은 수의 단계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전술한 방법에 비해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이 방법의 한 변형예로, 대부분의 아라비노즈를 결정 형태로 단리해내어 에피머화 반응에 재활용한다. 에피머화 용액으 로부터 몰리브덴산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몰리브덴산 대신에 몰리브덴산-수용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는 방안(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 40 700 호/1981) 또는 몰리브덴산-수용 이온 교환 섬유를 사용하는 방안(참조: 일본 예비 공개 출원 제 76 894 호/1980)이 제시된 바 있다. D-아라비노즈 대 D-리보즈의 에피머화 비율은 69.4:30.6 이었다. 일본 예비 공개 출원 제 54 197 호/1982 에서는, 에피머화 비율이 27.2%의 D-리보즈로 나타났다.
디옥소비스-(2,4-펜타디오네이트-0,0')-몰리브덴(VI)의 존재하에 디메틸포름아미드중에서 L-아라비노즈를 가열하게 되면, 36%의 L-아라비노즈가 L-리보즈로 에피머화된다는 사실 또한 공지되어 있다(참조: Abe et al.,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28(1980), 1324).
에피머화 혼합물중에 붕소 화합물을 2 내지 3배 몰량으로 첨가하면, 리보즈 선택성이 더욱 향상된다(참조: JP-OS 제 1,890,976 호/1983, JP-OS 제 223,187 호/1983 및 독일 공개 출원 제 DOS 3,437,571 호). 이에 따르면, 수용액중에서는 약 60% 그리고 비수용액중에서는 최대 94%의 에피머화 평형이 이루어진다. 이 방법의 단점은 리보즈 및 아라비노즈를 제거하지 않고서는 붕산을 비타민 B2 제조시 허용가능한 정도로 분리해낼 수 없다는 즉, 붕산 분리로 총 당류의 수율이 매 측정시마다 크게 감소한다는 것이다. 또한, 붕산-함유 용액내 미전환 아라비노즈는 리보즈로부터 분리할 수 없어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D-아라비노즈로부터 D-리보즈를 제조하기 위한 또다른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 다른 문헌으로는 미국 특허 제 4,778,531 호 및 제 5,015,296 호가 있다. 미국 특허 제 4,778,531 호에 따르면, Mo(IV) 화합물과 화학식 MeX2(이때, Me는 Mg, Ca, Sr, Ba 또는 Zn 이고, X는 Cl 또는 Br 임)의 금속염 존재하에 수용액중에서 D-리보즈로의 D-아라비노즈의 에피머화 반응을 수행한다. 반면, 미국 특허 제 5,015,296 호에서는, 에피머화 반응을 Mo(IV) 화합물로 충전된 염기성 양이온 교환체의 존재하에서 수행한다.
현 단계의 기술 수준에도 불구하고, L-아라비노즈 용액으로부터 출발하여 고순도의 L-리보즈 결정을 효율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량 방법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이는 예컨대 항바이러스성 약물 제조시 출발 물질로서 고 순도의 L-리보즈 결정을 필요로 하는 제약 업계에서는 특히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벤즈이미다졸 리보시드 화합물 제조시 출발 물질로서 키랄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는 고 순도의 L-리보즈 결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벤즈이미다졸 리보시드 화합물은 최근 벤즈이미다졸 리보시드 화합물 치료 환자에게서 어떠한 부작용도 나타내지 않는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DNA 합성의 효과적인 억제제인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HIV 환자에게 있어,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는 실명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HIV 연구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L-아라비노즈 용액으로부터 고 순도의 L-리보즈 분획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L-아라비노즈 용액으로부터 고 순도의 L-리보즈 분획을 제조함에 있어, 전환율은 최대화하고, 부산물의 양은 최소화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L-당류에 비해 L-리보즈에 대해 고 친화성을 나타내는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고 순도의 L-리보즈 분획을, 불순물을 거의 또는 본질적으로 전혀 포함하지 않는 고 순도의 L-리보즈 결정으로 결정화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L-아라비노즈에서 L-리보즈로의 전환도를 조정함으로써, 그리고 Pb+2-형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체를 사용하여 에피머화 반응시 존재하는 기타 물질들(예, L-당류)로부터 L-리보즈를 분리해냄으로써 순도 90% 이상의 L-리보즈 분획을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환 반응은 금속 염의 부재하에 평형상태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고 순도의 L-리보즈 결정은:
(a) 반응 평형상태 미만의 양인 10-35%의 L-아라비노즈가 L-리보즈로 전환되도록 하는 조건하에, 용액내에 존재하는 L-아라비노즈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 0.05 내지 약 5 몰%의 Mo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교반 반응 영역내에 L-아라비노즈 용액을 가열하는 단계;
(b) 순도 90% 이상의 L-리보즈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분획이 제공되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상기 단계 (a)의 가열 용액으로부터 상기 L-리보즈를 분리해내고, 다른 선택된 분획들은 상기 교반 반응 영역 또는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영역으로 옮겨지도록 하는 단계;
(c) L-리보즈 일수화물 결정 형성에 효과적인 조건하에서 상기 L-리보즈 분획을 결정화시키는 단계; 및
(d) 고 순도의 L-리보즈 결정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 및 회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는, 순도 90% 이상의 L-리보즈 분획이 제공된다. 이 분획은:
(a) 10-35%의 L-아라비노즈가 L-리보즈로 전환되도록 하는 조건하에, 용액내 L-아라비노즈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 0.05 내지 약 5 몰%의 Mo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교반 반응 영역내에 L-아라비노즈 함유 용액을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형성된 반응 용액을, 납-형(lead-form)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가 포함된 분리 영역으로 옮기는 단계; 및
(c) 순도 90% 이상의 L-리보즈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분획이 제공되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상기 분리 영역을 통해 반응 용액을 용출시키고, 이 용출 단계에서 제공된 다른 선택된 분획들은 상기 교반 반응 영역 또는 다른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영역으로 옮겨지도록 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있어서는, L-리보즈 결정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양태는:
(a) 15-25%의 L-아라비노즈가 L-리보즈로 전환되도록 하는 조건하에, 용액내 L-아라비노즈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 몰%의 Mo 화합물의 존재 및 금속 할로겐화물의 부재하에서 교반 반응 영역내에 L-아라비노즈 함유 용액을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형성된 반응 용액을, 납-형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체가 포함된 분리 영역으로 옮기는 단계;
(c) 순도 90% 이상의 L-리보즈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분획이 제공되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상기 분리 영역을 통해 반응 용액을 용출시키고, 이 용출 단계에서 제공된 다른 선택된 분획들은 상기 교반 반응 영역 또는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영역으로 옮겨지도록 하는 단계;
(d) 건조 고체 함량이 약 85% 이상인 혼합물이 형성되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상기 L-리보즈 분획을 증발시키는 단계;
(e) 상기 L-리보즈 함유 혼합물을 약 40℃ 이하로 냉각시키고, 냉각된 혼합물에 무수 리보즈 결정을 시딩(seeding)함으로써 상기 온도에서 L-리보즈 일수화물 결정을 성장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L-리보즈 결정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그외 양태에서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된 L-리보즈 분획을 L-리보즈 결정으로 결정화시키고, 이 결정을 회수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양태는:
(a) L-리보즈 함량이 90% 이상이 되는 L-리보즈 과다(rich) 수용액을 제공하 는 단계;
(b) 건조 고체 함량이 약 85% 이상인 혼합물이 형성되기에 효과적인 조건하에서 상기 L-리보즈 용액을 증발시키는 단계;
(c) 상기 L-리보즈 함유 혼합물을 약 40℃ 이하로 냉각시키고, 냉각된 혼합물에 무수 리보즈 결정을 시딩함으로써 상기 온도에서 L-리보즈 일수화물 결정을 성장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L-리보즈 결정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양태는 L-아라비노즈를 함유하는 용액으로부터 출발하여 순도 90% 이상의 L-리보즈 분획을 연속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L-리보즈 분획의 순도는 약 95 내지 약 99%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따르면, L-아라비노즈 용액을 L-리보즈로 촉매 전환시킴으로써 L-리보즈를 제조한다. 이 촉매 전환을 본 명세서에서는 에피머화 반응이라 지칭한다. 특정 이론에 의하지 않더라도, 본 명세서에서 L-아라비노즈로부터 L-리보즈로의 전환반응은 리불로즈 중간물질의 형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이는 가열후 반응 용액내에, 본 발명 이전에는 다른 생성 분획으로부터 분리가 어려웠던 리불로즈 분획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후속 반응, 즉 분리 및 결정화 단계에 의해, 최종 L-리보즈 결정은 GC/MS 검출 한계치 이하에 속하는 0.03% 미만의 리불로즈를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L-아라비노즈 용액은 약 1 내지 약 60%의 L-아라비노즈를, 이 L-아라비노즈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중에 존재하는 형태로 포함한다. L-아라비노즈 출발 용액은 L-아라비노즈 용해가능 용매중에 약 10 내지 약 15%의 L-아라비노즈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L-아라비노즈 용액은 L-아라비노즈외에 다른 L-당류 및/또는 불순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L-아라비노즈는 하드우드(hardwood) 전가수분해물, 하드우드 폐액(hardwood spent liquor) 또는 사탕 무우 펄프 가수분해물로서 헤미셀룰로즈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아라비노즈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L-아라비노즈를 용해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용매로는 물, 메탄올이나 에탄올 같은 알코올류, 또는 에틸렌 글리콜이나 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같은 에테르류가 있으나, 이들로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들 용매의 혼합물 또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 L-아라비노즈 용해에 사용되는 용매는 물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에피머화 반응은 약 10 내지 약 35%의 L-아라비노즈가 L-리보즈로 전환되도록 하는 조건하에, Mo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L-아라비노즈 용액을 가열함으로써 수행된다. 후술되는 에피머화 반응 조건에 의해 약 15 내지 약 25%의 L-아라비노즈가 L-리보즈로 전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가열 단계는 연속식 교반 탱크 반응기를 비롯한 연속식 교반 반응 영역내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으나, 이것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 단계에서 이용된 조건은 약 10 내지 약 35%의 L-아라비노즈가 L-리보즈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에서와는 달 리, 본 발명에서 이용된 에피머화 반응 조건은 반응시 완전 평형상태에 도달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을 실제 실시하는데 있어, 전환도는 특정 작업 조건하에서 목적하지 않는 색상이 발색되는 일이 없이 최대 생성물 전환율(수율)을 획득하도록 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에피머화 반응은 미국 특허 제 4,778,531 호에 개시되고 요구되는 바와 같은 금속 할로겐화물의 존재하에서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전환을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된 Mo 화합물의 양은 약 0.05 내지 약 5 몰% 이다. L-리보즈로의 L-아라비노즈의 전환은 L-아라비노즈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 몰%의 Mo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전환 단계에서 사용된 Mo 화합물의 양을 약 0.3 내지 약 0.5 몰%로 한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Mo 화합물로는 MoO3, H2MO4, (NH4 )2MoO4 및 기타 MoO2- 4염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들 Mo 화합물의 혼합물 또한 사용가능하다. 상기 Mo 화합물중에서 Mo 화합물로 MoO3 가 가장 바람직하다.
L-아라비노즈를 L-리보즈로 전환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가열 단계는 약 0.1 내지 약 24시간 동안 약 60℃ 내지 약 110℃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이 가열 단계는 약 2 내지 약 3시간 동안 약 92℃ 내지 약 98℃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열 단계는 평형상태의 유지를 위해 통상의 종래 기술에서는 필 수적인 공정인 상기 L-아라비노즈 용액과 Mo 화합물을 함유하는 반응 용액의 pH 보정 과정이 필요치 않다. 에피머화 반응의 평형상태가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반응 용액의 pH 보정은 불필요하다.
상기 조건의 반응 결과, L-아라비노즈, L-리보즈, 리불로즈(ribulose), 크실로즈(xylose), 갈락토즈, 릭소즈(lyxose) 및 Mo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본질적으로 투명한 반응 용액이 수득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것들 이외에, 다른 L-당류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질적으로 투명한"이라 함은, 가열후, 반응 용액내에 광 투과를 방해할만한 발색체가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점 또한 일반적으로 착색된 형태의 용액을 생성하는 종래의 방법과 다른 점이다. 따라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를 수행하기에 앞서, 착색 용액을 탈색시키는 과정이 종래 기술에서는 필수적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선택적이고 일반적으로는 필요치 않다.
이렇게 해서 수득된 L-아라비노즈, L-리보즈, 리불로즈, Mo 화합물 및 기타 L-당류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반응 용액은 이후, 교반 반응 영역에서 분리 영역으로 옮겨진다. 본 발명에서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반응 용액에 선택적으로 통상의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전환 단계에서 사용된 과량의 Mo 를 제거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 Mo 에 대해 높은 친화성을 가진 이온 교환 수지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이온 교환 수지의 일례로는 DOW 66 이 있다. DOW 66 은 주쇄가 스티렌 디비닐벤젠으로 되어 있고, 큰 구멍을 가진 다공성의 구조로 된 구형의 이온 교환 수지 이다. 수지내 활성기는 디메틸 암모늄이다. 수지는 양이온성이어서 용액내 음이온과 결합한다. 이는 3차 아민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약 음이온 교환 수지이다.
반응 용액 또는 선택적로 이온 교환 용액은 이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함으로써 순도 90% 이상의 L-리보즈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분획을 제공한다. 기타 용출 분획은 수득시, 이를 교반 반응 영역으로 복귀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분리 영역으로 반응 혼합물을 옮긴 후, 목적 순도의 L-리보즈 분획이 제공되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이를 상기 이온 교환 수지에 용출시킴으로써 고 순도의 L-리보즈 분획을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해낸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온 교환 수지로는 다른 L-당류에 비해 L-리보즈에 대해 고 성능 즉, 친화성을 지닌 것이 적합하다. 통상, 본 발명에서는 이온 교환 수지로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 주쇄를 포함하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한다. Pb+2-형의 이온 교환 수지를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가장 바람직한 Pb+2-형 이온 교환 수지는 약 3 내지 약 16%,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의 디비닐벤젠으로 가교결합된 술폰화 폴리스티렌 수지이다.
Pb+2-형의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뜻밖에도 Ca+2, La+2 또는 Ba+2-교환체를 사용한 종전의 경우에 비해 분리 공정의 선택성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리불로즈로부터 리보즈를 분리해내는데 있어 Pb+2-형의 교환체(1.22)를 사용한 경우의 선택성 수치가 Ca+2-교환체(1.05), La+2-교환체(1.04) 또는 Ba+2-교환체(1.14)를 사용한 경우보다 높다는 결과를 얻어냈다. 이러한 선택성의 증대는 보통 L-리보즈에서 발견되는 주 불순물인 L-리불로즈로부터 L-리보즈의 효율적인 분리와 초-고 선택능이 함께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아라비노즈로부터 리보즈 분리에 대한 각 수지별 선택성 수치는 Pb 2.8; Ca 2.3; La 4.0 및 Ba 1.6 이다. Pb+2-형 수지 사용시, 모든 다른 L-당류는 반응 혼합물에 존재한 상태에서 리보즈에 대한 선택성만이 우수하게 나타나므로, 최상의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분리 영역으로는 회분식 컬럼 형태 또는 시뮬레이션식 이동층 형태로 된 것 모두 가능하다. 약 10℃ 내지 약 90℃의 온도에서 시간당 약 0.2 내지 약 10 m의 유속으로 반응 용액이 분리 영역을 통과하도록 한다. 약 50℃ 내지 약 65℃의 온도에서 시간당 약 1 내지 3 m의 유속으로 반응 용액이 용출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분리 단계 결과, 순도 90% 이상의 분획이 하나 이상 수득된다. 통상, 이러한 분획은 약 95 내지 약 99%의 L-리보즈를 포함한다. 이 공정에서 분리된 다른 대부분의 분획들은 L-아라비노즈, 리불로즈, 크실로즈, 글루코즈, 갈락토즈 및 릭소즈를 포함하고 있다. 통상의 분리 공정에서는, 다른 용출 분획이 약 20 내지 90%의 L-아라비노즈, 약 0 내지 약 10%의 크실로즈, 약 0 내지 약 2%의 글루코즈, 약 0 내지 약 2%의 갈락토즈, 약 0 내지 약 5%의 릭소즈 및 약 0 내지 약 5%의 리불로즈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경우에 있어서는, 용출 분획에 약 97% 내지 98%의 L-리보즈, 약 0 내지 약 0.5%의 L-아라비노즈, 약 0 내지 약 0.5%의 크실로즈, 약 0 내지 약 2%의 리불로즈 및 약 0 내지 약 0.5%의 릭소즈를 포함한다. 이용된 분리 조건에 따라 다른 함량 범위도 또한 가능하다.
분리 영역으로부터 수득된 고 순도의 L-리보즈 분획은 이후, 후술된 바와 같이 결정화 및 회수 단계를 거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에서 수득된 고 순도(순도 90% 이상)의 L-리보즈 분획은 건조 고체 함량이 약 85% 이상인 혼합물이 형성되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증발시킨다. 증발은 건조 고체 함량이 약 88 내지 약 92%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증발 단계는 약 0.5 내지 약 15시간 동안 진공하에 약 30℃ 내지 약 70℃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약 1 내지 약 5시간 동안 약 35℃ 내지 약 55℃의 온도에서 증발을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L-리보즈 분획 증발후에는, 증발된 용액을 약 4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8℃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냉각된 증발 용액에 리보즈 결정을 시딩하여 결정화를 수행한다. 고온에서는 리보즈 일수화물 결정이 나타나지 않으니 유의해야 한다. 그 이유는 고온에서는 L-리보즈 결정의 용해도가 결정의 수분 함량보다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결정화 공정의 한 구체예로서, 약 10℃ 내지 약 30℃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냉각시킨 후, 용액을 약 0 내지 약 100시간 동안 동일 온도에서 유지시킨다. 상기 온도에서 약 5 내지 약 10시간 동안 용액을 유지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통상, 건조 고체 함량을 기준으로 45% 이상의 결정이 수득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최대 약 5 내지 약 0.2℃/시간의 속도로 냉각 및 결정화를 수행한다. 결정 형성에는 일반적으로 총 약 5 내지 약 100시간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총 약 10 내지 약 50시간이 소요된다. 시딩에는 수분 함량이 5% 미만이고, 통상 입경이 약 5 내지 약 100 ㎛인 리보즈 결정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 0.001 내지 약 1 중량%의 시드 결정을 증발 용액에 첨가한다.
증발된 혼합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 핸들링이 용이치 않거나 또는 결정화 공정중에 지나치게 높아지면, 통상의 점도 저하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점도 저하제로는 알코올류, 탄화수소류 및 기타 수 혼화성 용매를 예로 들 수 있으나, 이들로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는, 점도 저하제로 알코올을 사용하며,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한 알코올이다. 에탄올 사용시, 이는 냉각 결정화 공정중에 35℃ 이하의 온도에서 첨가한다.
효과적인 결정 성장을 위해, 결정화 단계는 입경이 500 ㎛ 미만인 침상 L-리보즈 결정 형성에 효과적인 기계식 교반기 같은 교반 수단의 존재하에서 수행한다. 수득된 L-리보즈 결정의 입경은 약 20 내지 약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결정 생성물은 염 형태 또는 수화물, 알코올화물 및 기타 유사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 전단 조건 즉, 약 10℃ 내지 약 40℃의 온도 및 약 0.5 내지 약 50 rpm의 혼합 속도로 작동되는 교반기 이용시, 목적하는 크기의 결정 이 수득된다.
이렇게 해서 제조된 L-리보즈 결정은 이후, 당해 기술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잘 알려진 통상의 수단을 사용하여 모액 즉, L-리보즈 결정의 결정화가 이루어진 용액으로부터 분리 및 회수한다. 이러한 수단으로는 원심분리, 세척 즉, 정제, 탈수, 여과 또는 이들을 병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과정후에는, 통상 약 0℃ 내지 약 40℃의 온도에서 약 0.5 내지 약 50시간 동안 건조를 수행한다. 건조 단계는 약 1 내지 약 10시간 동안 약 10℃ 내지 약 3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냉각 단계후에는 L-리보즈 일수화물 결정을 알코올이나 무수 에테르 같은 재결정화 즉, 탈수 용매를 사용하여 1회 이상 세척함으로써 정제 및 부분 탈수할 수 있으나, 이 단계의 수행 여부는 선택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재결정화 용매로서 에탄올을 사용한다. 이러한 재결정화 즉, 정제 및 탈수 단계 결과, 목적하는 크기와 순도를 가진 고 순도의 무수 L-리보즈 결정(수분 함량 약 0.5% 미만)이 제공된다. 재결정화후에는, 세척된 결정을 전술한 건조 조건을 이용하여 건조시킨다.
전술한 단계를 수행한 결과, 키랄 불순물 또는 기타 불순물 예를 들면, Pb, Mo, 리불로즈 등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고 순도의 L-리보즈 결정(순도 95% 이상)이 제조된다. 또한, 정제 및 부분 탈수 단계까지 수행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L-리보즈 결정의 수분 함량이 0.5% 미만으로 낮아져, 입경이 약 50 내지 100 ㎛인 유동성 백색 미분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이러한 생성물은 최근 들어 사 이토메갈로바이러스 치료시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진 벤즈이미다졸 리보시드 화합물 제조시 출발 물질로 특히 유용하다.
결정화 단계의 모액은 결정화 단계로 또는 분리 영역으로 다시 옮겨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 순도의 L-리보즈 결정을 제조하는 연속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이러한 연속 방법은 전술한 공정 단계들 모두를 포함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이들 실시예는 예시를 위해 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이들로만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하기 실시예 1-7에서는, 본 발명의 전환 단계가 예시되어 있다.
40 g의 L-아라비노즈, 400 ㎖의 물 및 2.0 g의 MoO3를 첨가하여 수득한 용액을 9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에 가열함으로써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냉각시키고,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 용액은 L-아라비노즈(89%)와 L-리보즈(10%)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환율은 90% 이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전환율"은 에피머화 반응에 사용된 L-아라비노즈의 양에 대하여 형성된 L-리보즈의 양을 나타낸다.
실시예 2
100 g의 L-아라비노즈, 200 ㎖의 물 및 0.50 g의 H2MoO4를 첨가하여 수득한 용액을 9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에 가열함으로써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냉각시키고, 이온 교환 처리하여 상기 촉매를 제거하였다. 이 용액은 L-아라비노즈(71.3%), L-리보즈(17.3%) 및 미량의 크실로즈와 릭소즈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환율은 61% 이었다.
실시예 3
100 g의 L-아라비노즈, 200 ㎖의 물 및 1.0 g의 H2MoO4를 첨가하여 수득한 용액을 9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에 가열함으로써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냉각시키고,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 용액은 L-아라비노즈(59.4%), L-리보즈(18.6%) 및 크실로즈와 릭소즈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환율은 45.8% 이었다.
실시예 4
100 g의 L-아라비노즈, 200 ㎖의 물 및 2.0 g의 H2MoO4를 첨가하여 수득한 용액을 9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에 가열함으로써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냉각시키고,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 용액은 L-아라비노즈(57%), L-리보즈(18.9%) 및 크실로즈와 릭소즈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환율은 44.0% 이었다.
실시예 5
100 g의 L-아라비노즈, 400 ㎖의 물 및 2.0 g의 H2MoO4를 첨가하여 수득한 용 액을 9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에 가열함으로써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냉각시키고,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 용액은 L-아라비노즈(57.8%), L-리보즈(22.6%) 및 미량의 크실로즈와 릭소즈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환율은 53.7% 이었다.
실시예 6
10 g의 L-아라비노즈, 100 ㎖의 물 및 500 ppm의 MoO3를 첨가하여 수득한 용액을 9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에 가열함으로써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냉각시키고,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 용액은 L-아라비노즈(69.2%), L-리보즈(19.1%) 및 미량의 크실로즈와 릭소즈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환율은 61% 이었다.
실시예 7
40 g의 L-아라비노즈, 400 ㎖의 물 및 2.0 g의 (NH4)2MoO4를 첨가하여 수득한 용액을 9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에 가열함으로써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냉각시키고,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 용액은 L-아라비노즈(54.6%) 및 L-리보즈(21.8%)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환율은 48.1% 이었다.
실시예 8
10-30 중량%의 L-아라비노즈를 함유하는 L-아라비노즈 수용액에, 0.5-2 중량%의 Mo(IV) 촉매를 첨가하였다. 약 95-98℃에서 약 2-3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에피머화 반응을 수행한 결과, 효율은 최대 9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촉매는 MoO3로 하였다.
10 중량%의 L-아라비노즈 용액에 약 0.5%의 MoO3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97℃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에피머화 용액에는 약 20%의 L-리보즈가 건 성분으로 포함되어 있었으며, 나머지는 L-아라비노즈와 미량의 기타 당 성분이었다.
Pb2+-형의 양이온 교환체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다른 물질도 미량 함유하고 있는 L-리보즈 및 L-아라비노즈의 에피머화 혼합물로부터 L-리보즈를 분리해냈다.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은 폴리스티렌-DVB 수지(즉, Finex C 16 S, 8% DVB, dp= 0.34 mm)로 준비하였다. 컬럼의 높이는 약 5 m 이었다. 60℃의 온도에서 시간당 약 1 m의 속도로 당 용액이 컬럼을 통과하도록 하였다.
별도의 처리를 위해 유출물로부터 L-리보즈 과다 분획을 수거하고, 반면 L-아라비노즈 과다 분획은 에피머화 영역으로 재순환시켰다.
L-리보즈(20%) 및 L-아라비노즈(78%)의 건 성분을 함유하는 150 ℓ의 이온-교환된 당 용액을 진공하에 40℃에서 40 중량%가 되도록 증발시켰다(Karl Fischer analysis). 직경 0.225 m 및 높이 5.5 m의 컬럼을 Pb2+-형의 파이넥스(Finex) C 13 S 수지로 충진시키고, 대기압하에서 당 용액이 컬럼을 통과하도록 하였다. 온도는 60℃로 하고, 유속은 시간당 약 1 m로 하였다. 유출물로부터 약 2 중량%의 L-리보즈 과다 용액 115 ℓ가 수거되었다. HPLC 분석 결과, L-리보즈 분획의 순도는 96 중량%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 용액을 양이온-교환 수지에 적용시켜 미량의 Pb 및 기타 금속들을 제거하였다.
미량의 기타 당류, 금속 염류 및 유기 물질들을 함유하는 L-리보즈 과다 수용액을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및 선택적으로는 2차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에 의해 정제하였다.
H+-형의 양이온 교환체(즉, IMAC C 16 P)상에서 이온 교환함으로써 L-리보즈 과다 용액을 정제하여 미량의 금속류를 제거하였다. 이후, 이 용액을 약 60 중량%가 되도록 증발시키고, 선택적으로는 Na-형의 양이온 교환체(즉, Finex CS 11 GC, 5.5% DVB, dp= 0.34 mm)상에서 2차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실시하였다. 컬럼 높이는 약 5 m로 이었으며, 온도는 약 60℃로 하고, 유속은 시간당 약 1 m로 하였다. 별도의 처리를 위해 L-리보즈 과다 분획을 수거하고, 미정제 분획은 1차 또는 2차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로 재순환시켰다. 각각 H+ 및 OH+-형의 수지를 포함하는 컬럼상에서 양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및 색도 제거(즉, IMAC C 16 P 양이온 교환체 및 Dowex Optipore 흡착체)에 의해 L-리보즈 과다 용액을 정제하였다.
리보즈 순도 96% 이상(HPLC)의 용액 40 중량%를 Na+-형의 양이온 교환 컬럼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에 적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의 높이는 5.5 m 이고, 직경은 0.225 m 이었다. 이 컬럼을 Na+-형의 파이넥스 CS 11 GC 수지로 충진시켰다. 대기압하에 60℃에서 당 용액이 컬럼을 시간당 1 m의 속 도로 통과하도록 하였다. 유출물로부터 순도 98%의 12 중량% L-리보즈 용액을 30ℓ 수거하였다. 상기 리보즈-분획을 양이온 교환(H+-형의 IMAC C 16 P) 및 색도 제거(OH+-형의 Dowex Optipore)에 적용하였다. 양 컬럼 모두 높이가 약 1.5 m이고, 직경이 0.10 m이었다.
98 중량% 이상의 L-리보즈를 건 성분으로 포함하는 L-리보즈 용액을 진공하에 60℃에서 약 90 중량%의 농도가 되도록 증발시켰다. 이후 온도를 약 35-40℃로 낮추고, 용액에 약 1%의 분쇄 무수 결정형 L-리보즈를 시딩하였다. L-리보즈 일수화물 결정이 성장하도록 최대 시간당 약 1℃의 속도로 계속 냉각시켰다. 결정 덩어리의 점도가 증가하면, 1:1-2:1의 에탄올/물 비율로 에탄올을 첨가하였다. 주변 온도 이하로 계속 냉각시켰다. 덩어리의 양이 약 45%에 이르게 되자, L-리보즈 결정을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하여 20-50℃ 온도의 대기중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결정을 분석한 결과, 침상 결정이 순도 99% 이상(HPLC)의 무수 상태인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9
8.63 ㎏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및 증발된 리보즈 시럽(DS(건 고체) 68.1% w/w, 리보즈 93.5%/DS)을 진공 증발기(60℃ 수조내 회전 조(jar) 구비)에 의해 추가 증발시켰다. 6.0 ㎏의 시럽(DS 92.4% w/w)을 교반기와 가열/냉각수 자켓이 장착된 6 ℓ용량의 수직 냉각 결정기에 넣었다.
이 시럽을 36℃로 냉각시키고, 건조된 무수 리보즈 결정으로 시딩하였다. 시 딩후 격렬하게 결정화가 시작되었다. 고 점성의 덩어리 때문에 냉각은 35℃까지만 지속하였다. 이후, 덩어리를 40℃로 가열하고, 70 ㎖의 물로 희석시킨 후(DS 91.6%), 25℃로 냉각시키고, 70 ㎖의 물로 재차 희석시켰다(DS 90.6%). 굴절계로 모액의 농도를 측정한 후, 현미경 사진 몇 장을 촬영하였다.
분석 결과 및 물질수지 계산에 따르면, 결정은 초기에는 일수화물(수화물 물 10.5%) 상태이었다. 그러나, 모액 농도가 96% w/w이고, 과포화도 4 및 리보즈 수율 55%일 때 결정 형태는 무수 상태로 변하였다. 수 결정의 해리로 인해, 모액의 농도는 87% 이하로 떨어지고, 덩어리의 점도 또한 낮아지게 되었다. 계측 및 물질수지에 따른 결정화 공정은 다음 표 1과 같았다:
시간 (시:분) 온도 (℃) DS, ㎖ (% w/w) Q1, ㎖ (% DS) 리보즈 수율 SS2 설명
0 36.0 92.4 93.5 0 2.07 시딩 0.5 g
1:15 36.0 92.7 93.0 7 2.13 점성 덩어리; 일수화물
1:50 34.7 95.9 86.3 56 3.84 광: 고 점성 덩어리; 일수화물
20:15 34.7 86.6 87.7 51 1.06 광: 백색의 고 점성 덩어리; 무수
45:30 40.0 88.0 89.2 43 1.05 38,000 cP; 1차 시험 원심분리; 무수
115 25.0 84.9 87.4 52 1.18 730,000 cP; 2차 시험 원심분리; 무수
138 24.9 83.5 87.6 51 1.08 230,000 cP; 3차 시험 원심분리; 무수
1Q, ㎖는 리보즈 순도(리보즈의 DS %)를 의미한다.
2SS는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 리보즈 과포화도를 의미한다.
SS = DS * (100-DS1) / (DS1 * (100-DS))
이때, DS 는 측정된 리보즈 농도(g/100 g 용액)를, DS1은 측정 온도에서의 리보즈 수 용해도(g/100 g 용액)를 나타낸다.
0.15 mm 스크린상에 천(cloth)을 가진 소형 원심분리기(5,500 rpm/10분, 비 세척)를 사용하여 원활한 모액 제거와 함께, 결정 분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정 및 모액의 DS 및 순도를 분석하였다.
0.15 mm 스크린 구멍과 천을 가진 대형 원심분리기(6,300 rpm/5분, 비 세척)을 사용하여 결정 분리를 실시하였다. 원활한 모액 제거가 이루어지면서, 517 g의 결정 케이크가 1,078 g의 결정화 덩어리로부터 수득되었다. 분리 수율은 47.9% 이었다. 샘플 분석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았다:
DS(% w/w) pH 전도도(uS/㎝) 리보즈(%/DS)
결정화 덩어리 93.0 3.7 60 93.5
1차 시험 원심분리 케이크 94.9 3.9 38 96.3
2차 시험 원심분리 케이크 94.3 3.9 36 96.7
3차 시험 원심분리 케이크 95.0 4.0 31 97.0
원심분리 케이크 95.2 3.9 32 97.1
1차 시험 원심분리 m.1 87.7 3.6 72 89.1
2차 시험 원심분리 m.1 84.4 3.6 84 83.8
3차 시험 원심분리 m.1 84.1 3.6 81 84.5
- DS는 칼-피셔(Karl-Fisher)법으로 측정하였다.
- pH 및 전도도(Cond.)는 실온에서 5% w/w 용액으로부터 측정하였다.
- 리보즈 함량은 Pb2+ 수지를 사용한 HPLC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시예 10
11.47 ㎏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및 증발된 리보즈 시럽(DS 62.7% w/w, 리보즈 95%/DS)을 진공 증발기(60℃ 수조내 회전 바 구비)에 의해 추가 증발시켰다. 약 8 ㎏의 시럽(DS 89.4% w/w)을 교반기와 가열/냉각수 자켓이 장착된 10 ℓ용량의 수 직 냉각 결정기에 넣었다.
이 시럽을 35℃로 냉각시키고, 건조된 무수 리보즈 결정으로 시딩하였다. 시딩후 격렬하게 결정화가 시작되었다. 고 점성의 덩어리 때문에 냉각은 33℃까지만 지속하였다. 굴절계로 모액의 농도를 측정한 후, 현미경 사진 몇 장을 촬영하였다. 분석 결과 및 물질수지 계산에 따르면, 결정은 일수화물 상태이었다. 아주 높은 결정화 수율에도 불구하고, 모액의 농도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모액과 결정 모두 약간의 수분 함량을 가지고 있음). 계측 및 물질수지에 따른 결정화 공정은 다음 표 3과 같았다:
시간 (시간:분) 온도 (℃) DS, ㎖ (% w/w) Q, ㎖ (% DS) 리보즈 수율 SS 설명
0 35.0 89.4 95.0 0 1.50 시딩 0.1 g
16:30 34.0 89.3 92.2 38 1.49 광: 점성 덩어리; 일수화물
35:30 33.0 87.9 82.5 75 1.19 광: 고 점성 덩어리; 1차 시험 원심분리, 일수화물
43:15 32.0 88.2 84.4 72 1.28 원심분리; 일수화물
0.15 mm 스크린상에 천을 가진 소형 원심분리기(5,500 rpm/10분, 비 세척)를 사용하여 결정 분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원활한 모액 제거가 이루어지면서, 11.5 g의 결정 케이크가 20.5 g의 결정화 덩어리로부터 수득되었다. 분리 수율은 56% 이었다. 결정 및 모액의 DS 및 순도를 분석하였다.
0.15 mm 스크린 구멍과 천을 가진 대형 원심분리기(6,300 rpm/5분, 80㎖의 99.5% EtOH 세척)을 사용하여 결정 분리를 실시하였다. 원활한 모액 제거가 이루어지면서, 총 255 g의 결정 케이크가 714 g의 결정화 덩어리로부터 수득되었다. 분리 수율은 35.7% 이었다. 샘플 분석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았다:
DS(% w/w) pH 전도도(uS/㎝) 리보즈(%/DS)
결정화 덩어리 89.2 4.7 10 95.0
1차 시험 원심분리 케이크 92.3 4.7 8 96.7
원심분리 케이크 94.0 3.9 40 97.0
1차 시험 원심분리 m.1 87.4 4.5 15 92.2
- DS는 칼-피셔법으로 측정하였다.
- pH 및 전도도는 실온에서 5% w/w 용액으로부터 측정하였다.
- 리보즈 함량은 Pb2+ 수지를 사용한 HPLC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시예 11
500 g의 건조된 무수 리보즈 결정과 50 g의 물을 가열/냉각수 자켓이 구비된 1000 ㎖ 용량의 수직 냉각 결정기내에서 혼합하였다. 결정을 60℃에서 완전 용해시켰다.
시럽(DS 91.0% w/w, 리보즈 98.6 면적-%)을 40℃로 냉각시키고, 건조된 무수 리보즈 결정으로 시딩한 후, 35℃가 될 때까지 계속 냉각시켰다. 결정화 덩어리가 고 점성이 되어, 물로 희석하였다(DS 84.5% w/w). 20℃가 될 때까지 계속 냉각시킨 후, 대형 원심분리기(0.15 mm 스크린 구멍과 천, 3,000 rpm/10분, 20 ㎖ 수세)를 사용하여 결정 분리를 실시하였다. 원활한 모액 제거가 이루어지면서, 총 85 g의 결정 케이크가 29 g의 결정화 덩어리로부터 수득되었다. 분리 수율은 28.4% 이었다.
94% EtOH로 세척함으로써 습윤 결정 케이크를 추가 정제 및 건조시켰다. 실온에서 34.6 g의 케이크와 35 g의 EtOH를 혼합한 후, 원심분리에 의해 결정을 분리 하였다. 아주 원활한 모액 제거가 이루어지면서, 총 30 g의 결정 케이크가 70 g의 덩어리로부터 수득되었다. 수율은 43.0% 이었다. 샘플의 분석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았다:
DS(% w/w) 리보즈(면적-%)
원심분리 덩어리 84.8 98.6
1차 원심분리 케이크 90.2 99.3
EtOH 세척 케이크 94.2 99.2
실시예 12
300 g의 건조된 무수 리보즈 결정과 47 g의 물을 가열/냉각수 자켓이 구비된 1000 ㎖ 용량의 수직 냉각 결정기내에서 혼합하였다. 결정을 55℃에서 완전 용해시켰다.
시럽을 35℃로 냉각시키고, 건조된 무수 리보즈 결정으로 시딩하였다. 결정은 용액 상태로 유지되었다. 이후, 29.5℃가 될 때까지 계속 냉각시켰다. 굴절계로 모액의 농도를 측정한 후, 현미경 사진 몇 장을 촬영하였다. 결정화 덩어리의 리보즈 및 DS 함량은 분석 결과, 98.6 면적-% 및 86.4% w/w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및 물질수지 계산에 따르면, 결정 형태은 일수화물이었다. 계측 및 물질수지에 따른 결정화 공정은 다음 표 6과 같았다:
시간 (시간:분) 온도 (℃) DS, ㎖ (% w/w) Q, ㎖ (% DS) 리보즈 수율 SS 설명
0 35.0 86.4 98.6 0 1.17 시딩 0.04 g
11:00 33.5 86.3 98.5 4 1.21 광: 묽은 덩어리
38:30 30.5 86.3 98.5 4 1.31 광: 묽은 덩어리
48:45 29.5 85.0 98.0 32 1.21 광: 점성 덩어리
49:50 29.5 84.7 97.8 37 1.17 원심분리
0.15 mm 스크린 구멍과 천을 구비한 소형 원심분리기(5,500 rpm/10분, 비 세척)를 사용하여 결정 분리를 실시하였다. 원활한 모액 제거가 이루어지면서, 총 8.11 g의 결정 케이크가 21.5 g의 결정화 덩어리로부터 수득되었다. 이는 33.7%의 분리 수율 및 39.4%의 리보즈 수율에 해당한다.
0.15 mm 스크린 구멍과 천을 구비한 대형 원심분리기(3,000 rpm/분, 비 세척)을 사용하여 결정 분리를 실시하였다. 총 155 g의 결정 케이크가 218 g의 결정화 덩어리로부터 수득되었으나, 모액 제거는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분리 수율은 71.1% 이었다.
94% EtOH로 세척함으로써 습윤 결정 케이크를 추가 정제 및 건조시켰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온에서 90.5 g의 케이크와 41.7 g의 EtOH를 30분 동안 혼합한 후, 원심분리(3,000 rpm/3분, 비 세척)에 의해 결정을 분리하였다. 아주 원활한 모액 제거가 이루어지면서, 48 g의 결정 케이크가 123 g의 덩어리로부터 수득되었다. 분리 수율은 53.0% 이었다. EtOH 세척된 결정 케이크를 실온에서 약 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샘플의 분석 결과는 하기 표 7와 같았다:
DS(% w/w) pH 리보즈(면적-%)
시딩 시점 86.4 3.2 98.6
시험 원심분리 케이크 89.6 3.7 99.3
시험 원심분리 m.1 84.4 3.8 97.9
1차 원심분리 케이크 87.2 3.4 99.2
EtOH 세척 케이크 90.7 3.7
건조 결정 91.9 3.6 99.6
- DS는 칼-피셔법으로 측정하였다.
- pH는 실온에서 30-50% w/w 용액으로부터 측정하였다.
- 리보즈 함량은 Pb2+ 수지를 사용한 HPLC에 의해 측정하였다.
일부 건조된 결정을 추가 건조(1시간/40℃, 이후 1시간/60℃ 그리고 건조 실리카 겔상의 데시세이터내에서 16시간)시켰다. 차동 스캐닝 열량계에 의해 10℃/분의 가열 속도로 결정을 분석하였다. 단지 하나의 흡열 피크가 온도기록(건조 결정: 91.4℃ 및 그외 89.2℃)상에 나타났다.
상기 구체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및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것이다. 당해 기술 분야의 기술자라면 이들 구체예와 실시예로부터 다른 구체예와 실시예를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다른 구체예 및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범주내에 속하며; 본 발명은 첨부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L-리보즈 결정내에 키랄 불순물 및 L-당류가 존재하곤 했던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L-리보즈 결정은 불순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특징이 있으며, 고 순도의 반응물을 필요로 하는 제약업계, 특히 HIV 등 각종 인체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개량 약물 개발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2)

  1. (a) 10-35%의 L-아라비노즈가 L-리보즈로 전환되도록 하는 조건하에, 용액내에 존재하는 L-아라비노즈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 0.05 내지 약 5 몰%의 몰리브덴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교반 반응 영역내에 L-아라비노즈 함유 용액을 가열하는 단계;
    (b) 순도 90% 이상의 L-리보즈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분획이 제공되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상기 단계 (a)의 가열 용액으로부터 상기 L-리보즈를 분리해내고, 선택된 다른 분획들은 상기 교반 반응 영역 또는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영역으로 옮겨지도록 하는 단계;
    (c) L-리보즈 일수화물 결정 형성에 효과적인 조건하에서 상기 L-리보즈 분획을 결정화시키는 단계; 및
    (d) 고 순도의 L-리보즈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L-아라비노즈 용액으로부터 고 순도의 L-리보즈 결정을 제조 및 회수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리브덴 화합물이 MoO3, H2MoO4, (NH4)2MoO 4 및 기타 MoO2- 4의 염으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몰리브덴 화합물이 MoO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L-아라비노즈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 몰%의 몰리브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L-아라비노즈에 대하여 약 0.3 내지 약 0.5 몰%의 몰리브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단계를 약 0.1 내지 약 24시간 동안 약 60℃ 내지 약 11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단계를 약 2 내지 약 3시간 동안 약 92℃ 내지 약 98℃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아라비노즈 용액이 이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중에 약 1 내지 약 60%의 농도로 L-아라비노즈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L-아라비노즈 용액이 이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중에 약 10 내지 약 15%의 농도로 L-아라비노즈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물, 알코올, 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를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교환 수지로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가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 주쇄를 가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납-형(lead-for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납 수지가 약 3 내지 약 16%의 디비닐벤젠으로 가교결합된 술폰화 폴리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납 수지가 약 8 내지 약 10%의 디비닐벤젠으로 가교결합된 술폰화 폴리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가, 상기 단계 (a)에서 형성된 가열 용액을 납-형의 강산성 양 이온 교환체를 포함하는 분리 영역으로 옮기는 단계; 및 상기 L-리보즈 분획과 다른 선택된 분획들이 제공되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가열 용액이 상기 분리 영역을 통해 용출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용액이 약 10℃ 내지 약 90℃의 온도에서 시간당 약 0.2 내지 약 10 m의 유속으로 상기 분리 영역을 통해 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용액이 약 50℃ 내지 약 65℃의 온도에서 시간당 약 1 내지 약 3 m의 유속으로 상기 분리 영역을 통해 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용출 분획들이 약 20 내지 약 90%의 L-아라비노즈, 약 0 내지 약 10%의 크실로즈, 약 0 내지 약 2%의 글루코즈, 약 0 내지 약 2%의 갈락토즈, 약 0 내지 약 5%의 릭소즈 및 약 0 내지 약 5%의 리불로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가, 건조 고체 함량이 약 85% 이상인 혼합물이 형성되도록 하 는 조건하에서 상기 L-리보즈 분획을 증발시키는 단계; 및 상기 L-리보즈 분획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약 40℃ 이하로 냉각시킨 후, 냉각된 혼합물에 리보즈 결정을 시딩(seeding)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단계를 수중에서, 선택적으로는 1종 이상의 점도 저하제의 존재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 저하제가 알코올류, 탄화수소류 및 수 혼화성 유기 용매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 저하제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을 상기 냉각 결정화중에 약 35℃ 이하의 온도에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단계를 약 10℃ 내지 약 30℃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고, 0 내지 약 100시간 동안 상기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2 항에 있어서,
    냉각후, 1회 이상 탈수 용매로 세척하여 L-리보즈 결정을 정제 및 부분 탈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용매가 알코올 또는 무수 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이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단계가 원심분리, 세척, 탈수, 여과 또는 이들의 병용; 및 건조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를 약 0.5 내지 약 50시간 동안 약 0℃ 내지 약 4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청구항 3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를 약 1 내지 약 10시간 동안 약 10℃ 내지 약 3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L-리보즈의 순도가 9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청구항 3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결과, 15-25%의 상기 L-아라비노즈가 L-리보즈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아라비노즈가 헤미셀룰로즈 가수분해물, 하드우드 폐액(hardwood spent liquor) 또는 사탕 무우 펄프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아라비노즈로부터 회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고체 함량이 약 88 내지 약 9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a) 10-35%의 L-아라비노즈가 L-리보즈로 전환되도록 하는 조건하에, 용액내 L-아라비노즈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 0.05 내지 약 5 몰%의 몰리브덴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교반 반응 영역내에 L-아라비노즈 함유 용액을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형성된 반응 용액을, 납-형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체가 포함된 분리 영역으로 옮기는 단계; 및
    (c) 순도 90% 이상의 L-리보즈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분획이 제공되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상기 분리 영역을 통해 반응 용액을 용출시키고, 이 용출 단계에서 제공된 다른 선택된 분획들은 상기 교반 반응 영역 또는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영역으로 옮겨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순도 90% 이상의 L-리보즈 분획을 제조하는 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 분획이 약 97 내지 약 98%의 L-리보즈, 약 0 내지 약 0.5%의 L-아라비노즈, 약 0 내지 약 0.5%의 L-크실로즈, 약 0 내지 약 2%의 L-리불로즈, 약 0 내지 약 0.5%의 L-릭소즈 및 기타 소량의 L-당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 38 항에 있어서,
    L-리보즈 일수화물 결정이 형성되기에 효과적인 조건하에서 상기 L-리보즈 분획을 결정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결정화된 L-리보즈 분획으로부터 상기 L-리보 즈 결정을 회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청구항 4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 단계가, 건조 고체 함량이 약 85% 이상인 혼합물이 형성되기에 효과적인 조건하에서 상기 L-리보즈 분획을 증발시키는 단계; 및 상기 L-리보즈 함유 혼합물을 약 40℃ 이하로 냉각시킨 후, 냉각된 혼합물에 리보즈 결정을 시딩하여 상기 온도에서 L-리보즈 일수화물 결정 성장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청구항 4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단계를 수중에서, 선택적으로는 1종 이상의 점도 저하제의 존재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청구항 4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 저하제가 알코올류, 탄화수소류 및 수 혼화성 유기 용매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청구항 4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 저하제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청구항 4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을 상기 냉각 결정화중에 약 35℃ 이하의 온도에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청구항 4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결정화를 약 10℃ 내지 약 30℃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한 후, 0 내지 약 100시간 동안 상기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청구항 4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1 항에 있어서,
    냉각후, 1회 이상 탈수 용매로 세척하여 상기 L-리보즈 일수화물 결정을 정제 및 부분 탈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청구항 4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용매가 알코올 또는 무수 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청구항 4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이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청구항 5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단계가 원심분리, 세척, 탈수, 여과 또는 이들의 병용; 및 건조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청구항 5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고체 함량이 약 88 내지 약 9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청구항 5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8 항에 있어서,
    15-25%의 상기 L-아라비노즈가 L-리보즈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a) 15-25%의 L-아라비노즈가 L-리보즈로 전환되도록 하는 조건하에, 용액내 L-아라비노즈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 몰%의 몰리브덴 화합물의 존재 및 금속 염의 부재하에, 교반 반응 영역내에서 L-아라비노즈 함유 용액을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형성된 반응 용액을, 납-형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체가 포함된 분리 영역으로 옮기는 단계;
    (c) 순도 97% 이상의 L-리보즈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분획이 제공되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상기 분리 영역을 통해 상기 반응 용액을 용출시키고, 이 용출 단계에서 제공된 다른 선택된 분획들은 상기 교반 반응 영역 또는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영역으로 옮겨지도록 하는 단계;
    (d) 건조 고체 함량이 약 85% 이상인 혼합물이 형성되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상기 L-리보즈 분획을 증발시키는 단계;
    (e) 상기 L-리보즈 함유 혼합물을 약 40℃ 이하로 냉각시키고, 냉각된 혼합물에 무수 리보즈 결정을 시딩함으로써 상기 온도에서 L-리보즈 일수화물 결정을 성장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L-리보즈 결정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순도 99% 이상의 L-리보즈 일수화물 결정을 제조하는 방법.
  54. 청구항 5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고체 함량이 약 88 내지 약 9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5. 청구항 5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 분획이 약 97 내지 약 98%의 L-리보즈, 약 0 내지 약 0.5%의 L-아라비노즈, 약 0 내지 약 0.5%의 L-크실로즈, 약 0 내지 약 2%의 L-리불로즈, 약 0 내지 약 0.5%의 L-릭소즈 및 기타 소량의 L-당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6. 청구항 5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전에, 1회 이상 탈수 용매로 세척하여 상기 L-리보즈 일수화물 결정을 정제 및 부분 탈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7. 청구항 5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 용매가 알코올 또는 무수 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8. 청구항 5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 용매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9. 청구항 5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a) L-리보즈 함량이 90% 이상이 되는 L-리보즈 과다 수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b) 건조 고체 함량이 약 85% 이상인 혼합물이 형성되기에 효과적인 조건하에서 상기 L-리보즈 용액을 증발시키는 단계;
    (c) 상기 L-리보즈 함유 혼합물을 약 40℃ 이하로 냉각시키고, 냉각된 혼합물에 무수 리보즈 결정을 시딩함으로써 상기 온도에서 L-리보즈 일수화물 결정을 성장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L-리보즈 결정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된 L-리보즈 용액을 L-리보즈 결정으로 결정화시키고, 그 결정을 회수하는 방법.
  60. (a) L-아라비노즈를 L-리보즈로 부분 에피머화시키는 단계,
    (b) 상기 L-리보즈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L-리보즈를 결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L-아라비노즈로부터 L- 리보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i) 상기 부분 에피머화에 몰리브덴 화합물을 이용하는 공정,
    (ii) 상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에 납-형의 양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하는 공정, 및
    (iii) 상기 결정화 단계에 L-리보즈 일수화물 결정 형성에 효과적인 결정화 조건을 이용하는 공정중 2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1. L-리보즈 함량이 95% 이상이고, 수분 함량이 0.5% 미만인 결정형 L-리보즈를 포함하는 생성물.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L-리보즈의 입경이 약 50 내지 약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물.
KR1020017006158A 1998-11-17 1999-11-15 L-아라비노즈로부터 고 순도의 l-리보즈를 제조하는 방법 KR100699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93,466 US6140498A (en) 1998-11-17 1998-11-17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high purity L-ribose
US09/193,466 1998-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079A KR20010093079A (ko) 2001-10-27
KR100699776B1 true KR100699776B1 (ko) 2007-03-28

Family

ID=22713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6158A KR100699776B1 (ko) 1998-11-17 1999-11-15 L-아라비노즈로부터 고 순도의 l-리보즈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40498A (ko)
EP (1) EP1131329B1 (ko)
JP (1) JP4865128B2 (ko)
KR (1) KR100699776B1 (ko)
AT (1) ATE342269T1 (ko)
AU (1) AU1271500A (ko)
DE (1) DE69933578T2 (ko)
WO (1) WO20000294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560B1 (ko) * 2002-07-15 2004-09-04 주식회사 삼천리제약 2-데옥시-l-리보오스의 제조방법
US6930150B2 (en) * 2002-08-29 2005-08-16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Method for making polymer mixtures and compositions thereof
US20050096464A1 (en) * 2003-10-30 2005-05-05 Heikki Heikkila Separation process
CN101792471B (zh) * 2009-12-16 2011-12-14 安徽丰原发酵技术工程研究有限公司 一种l-核糖晶体的制备方法
CN102108088A (zh) * 2009-12-29 2011-06-29 唐传生物科技(厦门)有限公司 高纯度l-核糖的制备方法
CN101891773B (zh) * 2010-07-15 2012-07-25 山东福田药业有限公司 一种l-核糖制备工艺
CN101974037B (zh) * 2010-10-27 2012-05-09 山东福田药业有限公司 一种l-核糖的结晶工艺
CN102276661B (zh) * 2011-06-16 2014-04-09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以催化氢化法还原酮糖制备l-核糖的方法
CN103145771B (zh) * 2013-03-15 2016-08-03 江西诚志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采用超滤与离子交换技术从发酵液中提取d-核糖的方法
CN109232676B (zh) * 2018-11-16 2021-08-03 山东福田药业有限公司 一种l-核糖的分离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5296A (en) * 1987-04-30 1991-05-14 Basf Aktiengesellschaft Continuous epimerization of sugars, in particular D-arabinose to D-ribos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S149472B1 (ko) * 1971-03-29 1973-07-25
US4029878A (en) * 1975-05-19 1977-06-14 Ici United States Inc. Process for preparing mannitol from glucose
DE3063952D1 (en) * 1979-06-08 1983-08-04 Merck Patent Gmb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riboflavin
JPS5956162A (ja) * 1982-09-24 1984-03-31 Hitachi Chem Co Ltd カラム充てん剤およびその製造法
JPS59162953A (ja) * 1983-03-05 1984-09-13 Showa Denko Kk 陽イオン交換樹脂を用いて糖類及び糖アルコール類を分離する方法
US4602086A (en) * 1983-10-13 1986-07-22 Tokyo Tanabe Company, Limited Method of producing solution containing D-ribose
JPS6081196A (ja) * 1983-10-13 1985-05-09 Tokyo Tanabe Co Ltd D―リボースの製造方法
JPS60115595A (ja) * 1983-11-29 1985-06-22 Tokyo Tanabe Co Ltd D―リボースの製造方法
DE3622643A1 (de) * 1986-07-05 1988-01-14 Basf Ag Verbessertes verfahren zur epimerisierung von zuckern, insbesondere von d-arabinose zu d-ribose
US4718405A (en) * 1986-07-25 1988-01-12 Uop Inc. Enhancing L-glucose yield: epimerization of L-mannose by molybdate in presence of epimerization inhibitors
US4815445A (en) * 1988-02-09 1989-03-28 Allied-Signal Inc. Solid catalysts for epimerization of aldoses; continuous interconversion of epimeric sugars
JP2784230B2 (ja) * 1988-02-09 1998-08-06 ユーオーピ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エピマーアルドースおよびアルドース同族体の連続相互変換に用いる固体触媒
JP2979442B2 (ja) * 1991-06-18 1999-11-15 東和化成工業株式会社 マンニット及びマンノースの製造方法
FR2742164B1 (fr) * 1995-12-11 1999-01-29 Beghin Say Eridania Sucre microcristallin : composition et methode d'obtention
JP4012596B2 (ja) * 1996-05-16 2007-11-21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L−リボースイソメラーゼ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3932609B2 (ja) * 1996-10-14 2007-06-20 三菱化学株式会社 L−リボースの製造方法
JPH1112294A (ja) * 1997-06-24 1999-01-19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L−リボース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5296A (en) * 1987-04-30 1991-05-14 Basf Aktiengesellschaft Continuous epimerization of sugars, in particular D-arabinose to D-ribo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31329A1 (en) 2001-09-12
WO2000029417A1 (en) 2000-05-25
EP1131329B1 (en) 2006-10-11
JP2002530287A (ja) 2002-09-17
DE69933578D1 (de) 2006-11-23
ATE342269T1 (de) 2006-11-15
DE69933578T2 (de) 2007-06-21
JP4865128B2 (ja) 2012-02-01
US6140498A (en) 2000-10-31
KR20010093079A (ko) 2001-10-27
AU1271500A (en)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0671B1 (ko) 타가토스의제조방법
JP3140775B2 (ja) ラムノリピドからラムノースを製造する方法
KR100699776B1 (ko) L-아라비노즈로부터 고 순도의 l-리보즈를 제조하는 방법
US6617444B1 (en) Dinucleotide tetraphosphate crystals
US4536221A (en) Process for preparing lactulose from lactose, in the form of a syrup or a crystalline product
EP0039127A2 (en) A process for making ketose sugars
US6204378B1 (en) Method for producing palatinitol
US4778531A (en) Epimerization of sugars, in particular of D-arabinose to D-ribose
KR100762289B1 (ko) 말티톨의 결정화 방법
KR920002139B1 (ko) 알킬 글리코시드의 제조방법
US3557081A (en) Alkali metal salts of guanosine
US5856469A (en) Method for producing palatinitol
JPS61212592A (ja) D−リボ−スの製造方法
JPS6313438B2 (ko)
EP0505573B1 (en) Process for producing d-altrose
JPH06234785A (ja) 1,2−5,6−ジアセトン−d−グルコースの製造方法
JPH06319600A (ja) 市販のシロップからの結晶性ラクツロースの調製方法
JP3053510B2 (ja) D−キロ−イノシトールの製造法
KR880001575B1 (ko) 5'-이노신산나트륨 및 5'-구아닐산 나트륨 혼합물의 정제방법
JPH0597847A (ja) 核酸化合物の新規な製造方法
JPH0432833B2 (ko)
JPH07100709B2 (ja) 新規グリコシル化法
JPH0450320B2 (ko)
JPH04131090A (ja) 糖液の分離法
IT8224814A1 (it)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lattulosio da lattosio, sotto forma di sciroppo o come prodotto cristallin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