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660B1 - 미싱 - Google Patents

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660B1
KR100699660B1 KR1020067008303A KR20067008303A KR100699660B1 KR 100699660 B1 KR100699660 B1 KR 100699660B1 KR 1020067008303 A KR1020067008303 A KR 1020067008303A KR 20067008303 A KR20067008303 A KR 20067008303A KR 100699660 B1 KR100699660 B1 KR 100699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bobbin
tension
needle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6128A (ko
Inventor
이쿠오 다지마
데츠로우 곤도우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6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7/00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 D05C7/08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for attaching cords, tapes, band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회전 수납체(10)로부터 차례로 풀어 내어진 피봉제 재료(A)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 검출 수단(26)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회전 수납체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14)을 설치하고, 그 장력 검출 수단에 의한 장력 검출에 기초하여 그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 피봉제 재료에 작용하는 장력이 강해진 경우, 그 구동 수단의 구동에 의해 회전 수납체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그 피봉제 재료를 스무스하게 차례로 풀어낼 수 있다. 회전 수납체를 대형화하고, 다량의 피봉제 재료를 감아 돌려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 유리하다.

Description

미싱{SEWING MACHINE}
본 발명은, 테이프나 코드 등의 끈 형상 부재를 박음질(lock stitch)에 의해 천에 꿰매는 형식의 미싱에 관한 것이다. 특히, 끈 형상 부재가 감겨진 보빈(bobbin)을 침봉(針峰)의 위쪽에 배치하여 보빈을 대형화한 경우에 있어서, 끈 형상 부재를 꿰맬 때에 보빈을 적극적으로 회전시켜 끈 형상 부재를 스무스(smooth)하게 차례로 풀어낼 수 있도록 한 미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하로 구동되는 침봉과, 침봉의 하단부에 설치된 바늘과, 침봉과 동축심상에 조립되어 그 축심 회전의 회전이 자유로운 회전체와, 이 회전체에 설치되어 바늘의 침원(針元) 위치로 끈 형상 부재(예를 들면, 테이프나 코드 등의 끈 형상의 자수재(刺繡材))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하고, 자수 데이터에 기초하는 천의 이동 방향을 따라 회전체를 회전 제어하며, 침원으로의 끈 형상 부재의 안내 방향이 적정하게 되도록 가이드의 방향을 변경하면서, 이 끈 형상 부재를 박음질에 의해 천에 꿰매는 형식의 미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미싱의 일례로서는, 아래에 나타내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미싱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상기 형식의 미싱에 있어서, 끈 형상 부재가 감겨진 보빈을 침봉의 위쪽에 배치하여 보빈의 대형화를 가능하게 한 미싱이 개시되어 있다. 이 미싱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끈 형상 부재가 감겨진 보빈은 미싱 프레임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 부재에 양단이 지지된 보빈 축에 설치되어 있고, 보빈 축 상에 설치한 한 쌍의 유지 부재로 보빈의 양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보빈의 대략 중간 위치의 아래쪽에는, 보빈으로부터 보내어진 끈 형상 부재를 감아 돌려 위쪽 방향으로 반전(反轉)시키는 제1 가이드 롤러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부재에는 각각 롤러 지지 틀의 기단부(基端部)가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롤러 지지 틀의 보빈의 대략 중간 위치와 대응하는 개소에는, 제 1 가이드 롤러에서 반전된 끈 형상 부재를 감아 돌려 아래쪽 방향으로 반전시키는 제 2 가이드 롤러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롤러 지지 틀에는, 롤러 지지 틀을 위쪽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유지 부재와 마찰 접촉이 가능한 제동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특개평3-286797호 공보
보빈으로부터 차례로 풀어 내어진 끈 형상 부재는 제 1 가이드 롤러, 제 2 가이드 롤러를 거쳐서 침원으로 유도된다. 끈 형상 부재가 꿰매짐에 따라 제 2 가이드 롤러가 끈 형상 부재로 인장되면, 롤러 지지 틀이 아래쪽 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끈 형상 부재로 인장되고 보빈이 회전되어 끈 형상 부재가 차례로 풀어 내어진다. 끈 형상 부재가 풀어내어져 끈 형상 부재의 텐션이 작아지게 되면, 롤러 지지 틀이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위쪽 방향으로 회동된다. 끈 형상 부재가 충분히 풀어 내어져서, 롤러 지지 틀이 더욱 위쪽 방향으로 회동되면 제동 부재가 유지 부재에 마찰 접촉하고, 보빈의 회전이 정지되어 타성(惰性) 회전(오버런)이 억제된다. 이와 같은 미싱에서는, 끈 형상 부재가 감겨진 보빈을 침봉의 위쪽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보빈을 대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보빈에 대량의 끈 형상 부재를 감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 알려진 미싱에 있어서는, 보빈에 감겨진 끈 형상 부재가 천에 꿰매져 가는 것에 수반하여, 그 바늘 동작에 맞추어 끈 형상 부재가 인장되는 것에 의해 보빈이 회전하고, 보빈으로부터 또한 끈 형상 부재가 풀어 내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렇지만, 대량의 끈 형상 부재를 감은 대형의 보빈은 그 중량이 대폭적으로 증가해 버림으로, 그 보빈을 회전시켜 끈 형상 부재를 차례로 풀어내기 위해서는 매우 큰 힘을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너무 보빈의 중량이 무거우면, 종래에서는 보빈의 회전이 늦어지기 쉽게 되어 끈 형상 부재의 풀어냄이 바늘 동작에 비하여 늦어져 버리거나, 혹은 보빈이 회전하기 시작할 때에 급격히 회전하여 버리는 필요 이상으로 끈 형상 부재가 풀어내어져 버리는 일이 있었다. 또, 보빈 및 끈 형상 부재의 중량에 의해서는, 끈 형상 부재에 인장되어도 보빈이 회전하지 않고 끈 형상 부재가 모두 풀어 내어지지 않는 일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는 끈 형상 부재를 스무스하게 차례로 풀어내지 못하고,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을 정확하고 깨끗하게 행할 수 없거나, 혹은 끈 형상 부재의 바늘 동작이 정지하여 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빈을 대형화하여 대량의 피봉제 재료(끈 형상 부재)를 감아 돌릴 수 있으면서, 그것에 의해 그 대형화된 보빈의 중량이 무거워졌다고 하더라도, 그 보빈으로부터 그 피봉제 재료를 스무스하게 차례로 풀어낼 수 있도록 한 미싱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싱은, 왕복 구동되는 침봉과, 침봉의 선단에 설치된 바늘과, 그 침봉과 동축에서 그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체와, 길이가 긴 피봉제 재료를 감아 돌려 수납한 회전 수납체와, 상기 회전 수납체로부터 풀어 내어진 상기 피봉제 재료를 상기 바늘의 침원 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로서,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구비하고, 바느질 데이터에 따라 상기 회전체를 회전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이드의 방향을 변경하면서, 상기 피봉제 재료를 봉제 대상물에 꿰매도록 한 미싱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납체로부터 차례로 풀어 내어진 상기 피봉제 부재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 검출 수단과, 상기 회전 수납체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장력 검출 수단에 의한 장력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수납체(보빈)로부터 풀어 내어진 피봉제 부재(예를 들면, 끈 형상 부재)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 검출 수단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회전 수납체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을 설치하고, 그 장력 검출 수단에 의한 장력 검출에 기초하여 그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회전 수납체(보빈)로부터 피봉제 재료(끈 형상 부재)를 차례로 풀어내어 봉제 대상물(천)에 꿰맬 때에, 회전 수납체(보빈)의 무게나 그 밖의 원인으로, 그 피봉제 재료(끈 형상 부재)에 작용하는 장력(텐션)이 강해진 경우, 그 구동 수단의 구동에 의해 회전 수납체(보빈)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그 피봉제 재료(끈 형상 부재)를 스무스하게 차례로 풀어낼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봉제 재료(끈 형상 부재)가 충분히 풀어내어져 그 텐션이 약해지면 그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정지시켜 끈 형상 부재의 풀어냄을 멈춘다. 이와 같이, 끈 형상 부재에 작용하는 장력에 맞추어 보빈을 적극적으로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끈 형상 부재를 스무스하게 차례로 풀어낼 수 있고, 또한 끈 형상 부재의 꿰맴을 정확하고 깨끗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피봉제 재료(끈 형상 부재)가 감겨진 회전 수납체(보빈)를 침봉의 위쪽의 비어 있는 스페이스에 배치함으로써, 그 회전 수납체(보빈)를 대형화하고, 다량의 피봉제 재료(끈 형상 부재)를 감아 돌릴 수 있도록 한 경우에 아주 유리하게 된다. 즉, 피봉제 재료(끈 형상 부재)의 텐션에 따라 회전 수납체(보빈)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설치하여 회전 수납체(보빈)를 적극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대형화된 회전 수납체(보빈)에 대량의 피봉제 재료(끈 형상 부재)를 감아서 보빈의 중량이 무거운 경우에 있어서도, 피봉제 재료(끈 형상 부재)를 적정히 풀어내어 그 꿰맴을 정확하고 깨끗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자수 미싱의 일부를 나타내는 외관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자수 미싱을 좌측에서 본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자수 미싱을 우측에서 본 일부 파단 상태의 우측면도 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자수 미싱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리밋(limit) 스위치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미싱 헤드의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자수 미싱의 일부를 나타내는 외관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자수 미싱을 좌측에서 본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동일하게 도 1에 나타낸 자수 미싱을 우측에서 본 일부 파단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주로 이들 도 1 ~ 도 3에 나타낸 각 도면에 의해서, 그 자수 미싱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 1 ~ 도 3에 있어서, 자수 미싱에 있어서의 미싱 프레임(M)의 전면(前面)(여기에서는 도 1의 바로 앞측, 도 2의 우측, 도 3의 좌측이 각각 전면에 상당한다)에는 복수 개의 미싱 헤드(H)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1개의 미싱 헤드(H)만이 나타내어져 있다. 미싱 프레임(M)의 전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미싱 헤드(H)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한 쌍의 지지 부재(1a, 1b)가 미싱 헤드(H)를 사이에 두는 좌우의 소정 위치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미싱 프레임(M)의 전면에 고정되어 있는 양지지부재(1a, 1b)의 일단과 반대측의 끝에는, 양지지부재(1a, 1b) 사이에 걸쳐서 2개의 로드(2)가 보강을 위해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양지지부재(1a, 1b)는 자수 미싱의 전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암(arm)부를 각각 가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양암부의 선단부에는 베어링 오목부(3a, 3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베어링 오목부(3a, 3b)는, 보빈 축(4)의 양단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회전 베어링이다. 또, 양지지부재(1a, 1b)에는, 보빈 축(4)이 베어링 오목부(3a, 3b)로부터 돌출되어 보빈(10)이 낙하하는 일이 없도록 보빈 축(4)을 베어링 오목부(3a, 3b)에 고정해두기 위한 록(lock) 부재(5a, 5b)가 각각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록 부재(5a, 5b)에는 보빈 축(4)과 맞물리는 맞물림 오목부(6a, 6b)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손잡이부(7a, 7b)가 설치되어 있다. 유저(user)는 이 손잡이부(7a, 7b)를 가지고 록 부재(5a, 5b)를 수동으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보빈 축(4)과 보빈(10)을 그 미싱에 장착하거나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보빈 축(4)의 양단 부근에는, 지지 부재(1a, 1b)의 내측면과 맞닿아서 보빈 축(4)의 좌우 위치(도 1에 있어서의 좌우 위치)를 규제하는 칼라(collar)(8)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보빈 축(4) 위에는 한 쌍의 유지 부재(9)가 회전이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양유지부재(9)의 외주면은,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여 지름이 커지게 되는 테이퍼 면(도시생략)을 가지고 있다. 양유지부재(9) 사이에는 예를 들면 테이프나 코드 등과 같은 끈 형상 부재(A)가 감겨지는 보빈(10)을 배치할 수 있고, 배치된 보빈(10)의 양단부를 양유지부재(9)의 테이퍼 면 으로 지지하고 있다. 즉, 양유지부재(9)를 서로 접근 혹은 이간(離間)시킴으로써 각종 보빈(10)의 내경에 대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내경의 크기가 다른 각종 보빈(1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양유지부재(9)는 보빈(10)을 유지한 후는, 각 유지 부재(9)의 외측에 있어서 각각 스토퍼(11)를 보빈 축(4)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양유지부재(9)의 축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양유지부재(9)의 축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보빈(10)을 미싱 헤드(H)의 위쪽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주로 도 2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1a)에는, 보빈(10)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지지 플레이트(12)가 도 2의 오른쪽 방향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 플레이트(12)의 기단부에는 구동 풀리(13)가 배치되어 있고, 그 구동 풀리(13)는 지지 부재(1a)에 고정된 구동 모터(14)의 모터 축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12)의 선단부에는 종동 풀리(1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종동 풀리(15)와 구동 풀리(13)에는 둥근 벨트(16)가 걸쳐져 있다. 종동 풀리(15)는 지지 플레이트(12)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샤프트(17)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고, 샤프트(17)의 타단에는 미끄럼 방지 부재(2개의 둥근 벨트)(18a)가 감겨진 회전 풀리(18)가 고정되어 있다(도 3 참조). 회전 풀리(18)는, 미끄럼 방지 부재(18a)를 통하여 보빈(10)의 좌측 플랜지의 하단에 맞닿아 있다(후술의 도 4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구동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구동 풀리(13)가 회전하는 것에 수반하여, 그 회전이 둥근 벨트(16)에 의해 종동 풀리(15)에 전달되어, 종동 풀리(15)와 공통의 샤프트(17)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 풀리(18)가 회전되게 된다. 즉, 구동 모터(14)의 구동에 맞추어서, 구동 모터(14)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이 구동 풀리(13), 둥근 벨트(16), 종동 풀리(15), 샤프트(17), 회전 풀리(18)로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최종적으로 보빈(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빈(10)의 아래쪽에는, 보빈(10)으로부터 보내진 끈 형상 부재(A)를 감아 돌려 위쪽 방향으로 반전시키기 위한 제 1 가이드 롤러(19)와, 제 1 가이드 롤러(19)에서 반전된 끈 형상 부재(A)를 감아 돌려 아래쪽 방향으로 반전시키기 위한 제 2 가이드 롤러(20)가, 각각 소정 위치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 1 가이드 롤러(19)가 도 1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1b)에 고정된 지지 암(21)의 선단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제 2 가이드 롤러(20)가 지지 부재(1b)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요동 암(22)의 선단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양 가이드 롤러(19, 20)에는, 감겨진 끈 형상 부재(A)가 각 가이드 롤러(19, 2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2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요동 암(22)은 지지 부재(1b)에 고정된 베이스 부재(24)에 축 지지되어 있고, 요동 암(22)의 기단부에는 베이스 부재(24)와 반대측의 표면에 작동편(25)이 고정되어 있다. 이 요동 암(22)은, 끈 형상 부재(A)에 가하는 텐션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24)에 있어서의 축 지지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력을 받아 요동한다. 요동 암(22)이 요동하면, 그것에 수반하여 작동편(25)이 회동 동작을 행하게 된다. 도 5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작동편(25)에는 베이스 부재(24)에 고정 한 리밋 스위치(26)를 조작하기 위한 돌기부(25a)가 형성되어 있고, 작동편(25)이 회동하는 것에 의해 리밋 스위치(26)를 온/오프(on/off) 조작한다. 리밋 스위치(26)가 온 조작되면 구동 모터(14)의 구동이 개시되고, 리밋 스위치(26)가 오프 조작되면 구동 모터(14)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요동 암(22)과 지지 부재(1b)의 암부 사이에는, 요동 암(22)을 위쪽을 향하여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27)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1b)로의 조정 걸쇠(28)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27)에 의한 요동 암(22)에 걸리는 가압력의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미싱 헤드(H)의 전면(도 1의 바로 앞측, 도 2의 우측, 도 3의 좌측)에는 브래킷(29)을 통하여 홀더(30)가 고정되어 있고, 그 홀더(30)에는 끈 형상 부재(A)를 통과하는 가요성(可撓性)의 제 1 튜브(31)가 고정되어 있다. 또, 제 1 튜브(31)의 선단에는, 제 1 튜브보다 용이하게 휘는 제 2 튜브(예를 들면, 스파이럴(spiral) 튜브)(32)가 접속되어 있다. 제 2 튜브(32)의 선단은, 후술하는 회전 부시(42)(도 6 참조)에 고정한 홀더 암(33)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가이드 롤러(20)에 감아 돌려 아래 방향으로 반전된 끈 형상 부재(A)는 양 튜브(31, 32)를 통과하여 후술하는 가이드(51)(도 6 참조)를 통하여, 항상 바늘(34)의 바늘 끝에 닿는 올바른 위치(침원 위치)에 끈 형상 부재(A)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싱 프레임(M)의 전면(도 1의 바로 앞측, 도 3의 좌측)에는 브래킷(53)을 통하여 알림 부재(52)가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나타내는 알림 부재(52)에는, 바늘(34)이 히터 와이어(heat wire)에 박혔 을 때에 발생되는 알림음의 음량을 조정하기 위한 음량 조정용의 볼륨(55)과, 바늘(34)이 히터 와이어에 박힌 것을 검지(檢知)하는 감도를 조정하기 위한 감도 조정용의 볼륨(5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 알림 부재(52)는 끈 형상 부재(A)가 히터 와이어의 때에 기능하므로, 히터 와이어에 바늘(34)이 박힌 경우를 이상 상태로 하여 작업자에 대하여 알리기 위한 것이다. 즉, 히터 와이어를 꿰맬 때에 히터 와이어에 바늘(34)이 박혀 버리면, 외측의 피막 튜브에 구멍이 생겨 버려 그 제품은 불량품이 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알림 부재(52)는 히터 와이어에 바늘(34)이 박혔을 때에, 알림 램프(54)를 점등하고 알림음을 울림으로써 작업자에 대하여 이상이 발생한 것을 알림과 동시에, 바늘 동작을 그 이상 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자수 미싱의 동작을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바늘(34)이 히터 와이어에 박힌 것을 바로 시각이나 청각에 의해 확인할 수 있고, 그 이후의 바늘 동작을 중지하는 등의 대처를 재빠르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미싱 헤드(H)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주로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미싱 헤드(H)의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이 미싱 헤드(H)는 주지(周知)의 것이고, 하단부에 바늘(34)을 구비한 침봉(35)가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미싱 헤드(H)의 바닥 판에는 가이드 파이프(36)가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 파이프(36) 내에는 천 누름 구동 파이프(37)가 상하 움직임 및 그 축심 둘레를 회동이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이 천 누름 구동 파이프(37)의 내부에는, 침봉(35)의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게 끼워 통해져 있다. 천 누름 구동 파이프(37)의 상단부 외주에는 맞물림 링(38)이 고정되어 있고, 맞물림 링(38)에는 모터(39)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는 스트로크 암(40)이 맞물려 있다. 천 누름 구동 파이프(37)의 하단부에는, 천 누름(41)이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파이프(36)의 외주에는, 회전 부시(42)가 침봉(35)의 축심 둘레를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 부시(42)의 상단부 외주에는 타이밍 풀리부(43)가 형성되어 있고, 타이밍 풀리부(43)는, 모터(44)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풀리(45)와 타이밍 벨트(46)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터(44)를 구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회전 부시(42)가 회전되게 된다.
상기 회전 부시(42)에는 아래 방향에 연장한 맞물림 부재(47)가 고정되어 있고, 맞물림 부재(47)의 선단의 맞물림부(47a)는 천 누름(41)의 외주에 대하여 상하 방향에 따라 형성한 홈(41a)에 맞물려 있다. 이것에 의해, 천 누름(41)은 상하로 작동하면서 회전 부시(42)와 함께 침봉(35)의 축심 주위로 회전되게 된다. 회전 부시(42)의 외주에는 연동 부재(48)가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부시(42)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연동 부재(48)의 외주에 형성된 홈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상하 작동되는 링(49)이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 부시(42)의 외주에는, 가이드 레버(50)(예를 들면, 지그재그 진동 레버)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버(50)는 연동 부재(48)의 상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동하도록 연동 부재(48)와 연결되어 있고, 이 가이드 레버(50)의 하단에는 끈 형상 부재(A)를 바늘(34)의 침원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파이프 형상의 가이드(51)가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자수 미싱에 있어서, 박음질에 의해 테 이프와 같은 끈 형상 부재(A)를 천(도시생략)에 꿰매는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보빈(10)에 감겨진 끈 형상 부재(A)를 풀어내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 롤러(19), 제 2 가이드 롤러(20), 제 1 튜브(31), 제 2 튜브(32), 가이드(51)를 지나 바늘(34)의 침원 위치로 상기 풀어낸 끈 형상 부재(A)를 유도한다.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천을 소정의 자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XY 방향으로 이동 제어함과 동시에, 침봉(35)를 상하로 구동하여 바늘(34)과 도시하지 않는 가마와의 기능에 의해 주지의 박음질을 행한다. 이때에, 모터(39)의 구동에 의해 천 누름(41)은 침봉(35)의 상하 구동에 대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하로 움직여져서 천 누름의 기능을 다하는 것은 주지의 대로이다. 링(49)은 침봉(35)의 상하 구동에 대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하로 구동되고, 이것에 수반한 연동 부재(48)의 상하 동작에 의해 가이드 레버(50)가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레버(50)의 하단에 고정된 가이드(51)에 의해 바늘(34)의 바늘 끝 위치로 안내되어 있는 끈 형상 부재(A)는, 예를 들면 침봉(35)의 1회의 왕복마다(1바느질마다) 침원 위치의 좌우로 흔들리게 된다. 이것에 의해 끈 형상 부재(A)는, 이른바 지그재그 바느질에 의해 차례차례 천에 꿰매어지게 된다.
이때에, 회전 부시(42)는 모터(44)의 구동에 의해 구동 풀리(45), 타이밍 벨트(46), 타이밍 풀리(43)를 통하여 회전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가이드(51)는 천의 이동에 기초하는 미싱 헤드(H)의 상대적인 진행 방향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 끈 형상 부재(A)가 바늘(34)의 침원 위치로 적정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시(42)를 360°이상 회전시키면 제 2 튜브(32)가 미싱 헤드(H) 에 얽힐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회전 부시(42)를 360°이상 회전시키지 않도록 자수 데이터를 작성하여 두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끈 형상 부재(A)를 천에 꿰매져감에 따라, 제 2 가이드 롤러(20)가 끈 형상 부재(A)에 인장되어 요동 암(22)은 아래 방향으로 요동된다. 그러면, 요동 암(22)의 기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편(25)이 요동 암(22)의 요동 동작에 맞추어서 반시계 방향(도 3에 있어서)으로 회동되고, 요동 암(22)이 도 3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요동되면, 작동편(25)의 돌기부(25a)가 리밋 스위치(26)를 온 조작하여 온 상태로 한다. 리밋 스위치(26)가 온 상태로 된 경우에는, 구동 모터(14)가 구동되어 보빈(10)을 회전하는 것에 의해 끈 형상 부재(A)를 풀어낸다. 한편, 끈 형상 부재(A)가 풀어내져서 그 텐션이 약하게 되면, 코일 스프링(27)이 가지는 가압력에 의해 요동 암(22)이 위쪽 방향으로 요동된다. 그러면, 이 경우에는 작동편(25)이 요동 암(22) 요동 동작에 맞추어서 시계 방향(도 3에 있어서)으로 회동되고, 요동 암(22)이 도 3에 나타내는 위치보다 위에서 요동되면, 작동편(25)의 돌기부(25a)가 리밋 스위치(26)를 조작하여 온 상태를 해제(즉 오프 상태로)한다. 리밋 스위치(26)가 오프 상태로 되면 구동 모터(14)의 구동이 정지됨으로써, 보빈(10)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어서, 끈 형상 부재(A)가 꿰매어짐에 따라 다시 요동 암(22)이 아래 방향으로 요동되면, 보빈(10)이 회동되어 끈 형상 부재(A)가 풀어내지고, 충분히 풀어내지면 보빈(10)의 회전이 정지한다. 이와 같이, 끈 형상 부재(A)의 천으로의 꿰맴을 행할 때에, 끈 형상 부재(A)에 관한 텐션에 따라 구동 모터(14)의 온/오프 제어에 의한 보빈(10)의 회전, 정지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끈 형상 부재(A)를 스무스하게 바늘(34)의 침원 위치에 차례로 풀어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자수 미싱에 의하면, 보빈(10)을 미싱 헤드(H)의 위쪽 부위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보빈(10)을 대형화하여 대량의 끈 형상 부재(A)를 감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빈(10)을 구동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대형화한 보빈(10)에 대량의 끈 형상 부재(A)를 감는 것에 의해 보빈 중량이 증대하였어도, 끈 형상 부재(A)의 텐션에 따라 보빈(10)을 적극적으로 회전시켜 끈 형상 부재(A)를 스무스하게 풀어낼 수 있게 된다. 즉, 끈 형상 부재(A)의 바늘 동작할 때에, 작동편(25) 및 리밋 스위치(26)에 의해, 끈 형상 부재(A)의 풀어낸 양에 따라 구동 모터(14)로 보빈(10)을 회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끈 형상 부재(A)를 스무스하게 차례로 풀어낼 수 있으므로, 끈 형상 부재(A)의 꿰맴을 정확하고 깨끗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빈(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14)는, 회전 풀리(18)를 직접 회전하도록 배치하거나, 혹은 보빈 축(4)을 직접 회전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끈 형상 부재(A)를 이른바 지그재그 바느질에 의해 천에 꿰매는 예를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센서 등을 사용하여 끈 형상 부재(A)의 장력을 검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구동 모터(14)를 제어하여 끈 형상 부재(A)를 차례로 풀어내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끈 형상 부재란, 테이프 혹은 끈은 물론, 그 외의 길이가 긴 피봉제 재료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하고, 요컨대, 보빈(회전 수납체)에 감아 돌려 수납 가능한 유연성을 갖는 것이면 좋다. 또, 봉제 대상물은, 섬유로 이루어진 천에 한하지 않고, 그 외의 것이어도 좋다. 또, 봉제 대상물의 형태는, 웹(web)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것 혹은 평면적인 것에 한하지 않고, 곡면 형상 또는 만곡(彎曲)물에 있어서도 좋으며, 단편(斷片)에 있어서도 좋다. 또, 봉제 대상물(천)을 유지한 자수틀을 바느질 데이터에 따라 움직이는 타입의 미싱에 한하지 않고, 바늘 낙하 위치를 바느질 데이터에 따라 움직이는 타입의 미싱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모터에 의한 보빈(회전 수납체)의 구동 방법은,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상은 바느질 작업의 진전에 따른 피봉제 재료(끈 형상 부재(A))의 인출에 따라 보빈(회전 수납체)의 자유 회전(종동 회전)에 의해 그 피봉제 재료(끈 형상 부재(A))를 풀어내도록 하고, 소정 이상의 장력이 검출된 경우에 모터를 구동하여 보빈(회전 수납체)의 자유 회전(종동 회전)을 보조하도록 이를 회전 구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테이프나 코드 등의 끈 형상 부재를 박음질에 의해 천에 꿰매는 형식의 미싱에 관한 것이다. 특히, 끈 형상 부재가 감겨진 보빈을 침봉의 위쪽에 배치하여 보빈을 대형화한 경우에 있어서, 끈 형상 부재를 꿰맬 때에 보빈을 적극적으로 회전시켜 끈 형상 부재를 스무스하게 차례로 풀어낼 수 있도록 한 미싱에 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7)

  1. 왕복 구동되는 침봉과, 침봉의 선단에 설치된 바늘과, 그 침봉과 동축에서 그 축심 주위로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체와, 길이가 긴 피봉제 재료를 감아 돌려 수납한 회전 수납체와, 상기 회전 수납체로부터 차례로 풀어 내어진 상기 피봉제 재료를 상기 바늘의 침원 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구비하고, 바느질 데이터에 따라 상기 회전체를 회전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이드의 방향을 변경하면서, 상기 피봉제 재료를 봉제 대상물에 꿰매도록 한 미싱으로서,
    상기 회전 수납체로부터 차례로 풀어 내어진 상기 피봉제 재료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 검출 수단과,
    상기 회전 수납체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장력 검출 수단에 의한 장력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검출 수단은, 상기 피봉제 재료에 작용하는 장력에 따라 기계적으로 변위하는 변위 부재와, 그 변위 부재의 변위를 검지하는 검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납체로부터 차례로 풀어 내어진 상기 피봉제 재료의 방향을 바꾸는 전향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전향 부재는, 상기 피봉제 재료에 작용하는 장력에 따라 기계적으로 변위하는 것이며,
    상기 장력 검출 수단은, 상기 전향 부재의 변위를 검지하는 검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기는, 상기 변위 부재 또는 전향 부재의 변위 위치에 따라 온 또는 오프하는 리밋 스위치인 미싱.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피봉제 재료에 장력이 작용할 때에 구동되고, 그 피봉제 재료를 차례로 풀어내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 수납체를 회전 구동하는 미싱.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납체는 상기 침봉의 위쪽의 스페이스에 배치된 비교적 대형의 보빈으로 이루어지는 미싱.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봉제 재료는 끈 형상 부재인 미싱.
KR1020067008303A 2003-11-19 2004-11-16 미싱 KR100699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89795 2003-11-19
JP2003389795A JP2005144056A (ja) 2003-11-19 2003-11-19 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128A KR20060066128A (ko) 2006-06-15
KR100699660B1 true KR100699660B1 (ko) 2007-03-23

Family

ID=3461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303A KR100699660B1 (ko) 2003-11-19 2004-11-16 미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70592B2 (ko)
JP (1) JP2005144056A (ko)
KR (1) KR100699660B1 (ko)
CN (1) CN1867724A (ko)
DE (1) DE112004002089T5 (ko)
WO (1) WO20050499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9829A (ja) 2005-12-14 2007-06-28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JP4943713B2 (ja) * 2006-02-21 2012-05-30 株式会社バルダン ボビン保持具
JP2008302070A (ja) * 2007-06-08 2008-12-18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刺繍ミシン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138771B1 (ko) * 2009-08-14 2012-04-24 주식회사 썬스타 열선 봉착용 재봉기
JP5785684B2 (ja) * 2009-11-18 2015-09-30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ミシン
JP5766405B2 (ja) * 2010-04-19 2015-08-19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ミシン
CN102619033B (zh) * 2011-01-27 2014-01-29 日星株式会社 发热线缝合用缝纫机
US8448588B1 (en) 2011-08-18 2013-05-28 Leonard Samuel Lindley Force sensing device adapted for sensing thread tension in a long-arm or mid-arm sewing machine
JP6049361B2 (ja) * 2012-09-03 2016-12-21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ミシン
EP3260590A1 (de) * 2016-06-22 2017-12-27 Forster Rohner Ag Zuführvorrichtung zum kontrollierten zuführen eines länglichen mediums, verwendung einer zuführvorrichtung und stickmaschine mit zuführ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9674A (en) * 1975-06-25 1977-03-01 Coats & Clark, Inc. Method of stacking rolls
JP2002177675A (ja) * 2000-12-11 2002-06-25 Morimoto Mfg Co Ltd ゴム糸縫付け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22A (en) * 1894-07-24 lintz
US740654A (en) * 1902-03-31 1903-10-06 Singer Mfg Co Embroidering attachment for sewing-machines.
US797308A (en) * 1904-08-29 1905-08-15 Morris P Nassberg Machine for sewing spangles on fabrics.
US1004912A (en) * 1910-09-06 1911-10-03 Albert Russell Embroidering-machine.
US1356762A (en) * 1917-11-10 1920-10-26 Joseph A Groebli Bead-sewing machine
DE3844043A1 (de) * 1988-12-27 1990-07-05 Cramer Anton Gmbh Co Kg Bandzufuhreinrichtung fuer eine naehmaschine
DE3917130C1 (ko) * 1989-05-26 1990-11-15 Union Special Gmbh, 7000 Stuttgart, De
JPH03286797A (ja) 1990-03-31 1991-12-17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刺繍ミシン
JPH06134162A (ja) * 1992-10-28 1994-05-17 Juki Corp ミシンの上糸供給制御装置
JPH08299639A (ja) * 1995-05-12 1996-11-19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JP2003320189A (ja) 2002-04-26 2003-11-11 Gakuchu Ro ミシン用帯状材送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9674A (en) * 1975-06-25 1977-03-01 Coats & Clark, Inc. Method of stacking rolls
JP2002177675A (ja) * 2000-12-11 2002-06-25 Morimoto Mfg Co Ltd ゴム糸縫付けミシン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특개 2002-17767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128A (ko) 2006-06-15
US7370592B2 (en) 2008-05-13
WO2005049907A1 (ja) 2005-06-02
JP2005144056A (ja) 2005-06-09
CN1867724A (zh) 2006-11-22
DE112004002089T5 (de) 2006-12-14
US20070137540A1 (en)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660B1 (ko) 미싱
KR101217940B1 (ko) 미싱에 있어서의 피봉제 부품의 절단 장치 및 절단 방법
JP7105090B2 (ja) ミシン
JP2007159829A (ja) ミシン
KR101689038B1 (ko) 미싱
US7488011B2 (en) Button wrapping and knot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6049361B2 (ja) ミシン
US4438713A (en) Embroidery stitch formation device for sewing machine
EP0533464A1 (en) Thread breakage detecting system for sewing machine
JP3455737B2 (ja) 釣糸ユニットおよび釣糸巻取装置
KR200431368Y1 (ko) 미싱에 있어서의 피봉제 부품의 절단 장치
JP4230330B2 (ja) ミシン
JP4732598B2 (ja) 多色刺繍ミシンの糸切れ検出装置
JP4510949B2 (ja) ミシンの下糸手繰装置
JP2002355464A (ja) ミシンの自動糸調子装置
JPH05117956A (ja) 紐刺しゆうミシン
JP3822095B2 (ja) ルーパー天秤装置
JP6975555B2 (ja) 縫製装置の縫い糸送り機構、および、縫い糸送り機構を備えた縫製装置
KR200465633Y1 (ko) 셔닐 자수기의 미싱헤드
JP2004243001A (ja) ミシンの下糸供給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釜部材
JP2010284247A (ja) ミシン
JPH09192381A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
JP2005312513A (ja) ミシン
JP2008280631A (ja) 刺繍方法
JP2002320786A (ja) ミシンにおける縫糸の緊張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