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644B1 - 디스크 카트리지, 데이터 저장 매체 및 디스크 드라이브 - Google Patents

디스크 카트리지, 데이터 저장 매체 및 디스크 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644B1
KR100699644B1 KR1020047020051A KR20047020051A KR100699644B1 KR 100699644 B1 KR100699644 B1 KR 100699644B1 KR 1020047020051 A KR1020047020051 A KR 1020047020051A KR 20047020051 A KR20047020051 A KR 20047020051A KR 100699644 B1 KR100699644 B1 KR 100699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disc
cartridge
shutters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0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2083A (ko
Inventor
다키자와데루유키
사지요시토
오카자와히로노리
나카타구니코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2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8Shut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3Container cases
    • G11B23/0316Constructional details, e.g. shape

Abstract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 제 1 셔터, 제 2 셔터 및 회전식 부재를 구비한다. 카트리지 본체는 회전가능한 상태로 디스크를 저장하는 디스크 저장부와, 디스크를 외부에서 고정하도록 디스크 저장부의 저부상에 제공되는 고정 구멍과,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디스크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헤드가 디스크를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디스크 저장부의 저부상에 제공되는 헤드 액세스 윈도우를 구비한다. 제 1 셔터 및 제 2 셔터는 디스크 저장부내에서 회전함으로써 헤드 액세스 윈도우를 노출하거나 덮기 위해 디스크 저장부내에 제공된다. 회전식 부재도 디스크 저장부내에서 회전하도록 제공된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그리고 각각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회전식 부재와 상호 결합한다.

Description

디스크 카트리지, 데이터 저장 매체 및 디스크 드라이브{DISC CARTRIDGE}
본 발명은, 광학 디스크 또는 자기 디스크와 같은 디스크 저장 매체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단일 또는 이중 데이터 저장 면을 갖는 디스크 형상의 데이터 저장 매체(본 명세서에서는 단순히 "디스크"라 칭할 것임)용 보호 케이스로서 각종 디스크 카트리지가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7-153264 호에는 디스크가 디스크 저장부내에 완전히 봉입되는 디스크 카트리지가 개시되어 있다. 디스크 저장부는 상반부 및 하반부로 구성되는 카트리지 본체의 내측에 규정된다. 카트리지 본체는 고정 구멍(chucking hole)과, 헤드 액세스 윈도우(head access window)를 구비한다. 고정 구멍은 클램퍼(clamper)와 스핀들 모터(spindle motor)의 턴테이블(turntable)이 삽입될 디스크를 고정하게 하는 한편, 헤드 액세스 윈도우(head access window)는 헤드가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디스크상에 데이터를 기록하게 한다. 고정 구멍중 하측의 구멍은 헤드 액세스 윈도우와 연속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이러한 카트리지를 운반하는 동안, 먼지가 이러한 구멍을 통해 카트리지의 내부에 유입하기 쉬우며 또한 디스크는 손가락 자국으로 얼룩지기 쉽다. 그러한 이유로, 디스크 카트리지에는 이러한 구멍을 폐쇄하기 위한 셔터(shutter)를 더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는 하기의 단점을 갖는다. 첫째로,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그다지 얇아질 수 없다. 이것은, 디스크 드라이브가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 내에 저장된 디스크로부터 신호(또는 정보)를 정확하게 판독하거나 디스크상에 신호(또는 정보)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도록, 상반부와 하반부 사이에 규정된 디스크 저장 공간이 충분히 두꺼워야 하기 때문이다. 디스크 저장 공간이 비교적 두꺼워야 하는 이유로는, 회전하는 디스크의 예상되는 디스크의 들뜸 또는 요동, 그리고 디스크 드라이브 내측의 소정의 위치에 디스크 카트리지를 배치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들 수 있다.
둘째로, 이러한 고정 및 헤드 액세스 윈도우를 동시에 폐쇄하기 위한 셔터는 저비용으로 제작될 수 없으므로,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특히, 디스크 카트리지의 하반부에는 스핀들 모터의 턴테이블용 구멍과, 헤드 액세스 윈도우가 형성되는 한편, 그의 상반부에는 클램퍼용으로 다른 구멍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3개의 개구부를 동시에 폐쇄하기 위해서는, 셔터가 장방형 저부를 갖는 U자형으로 형성될 필요가 있어서, 제조 비용이 저렴하지 않다.
셋째로,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내에 저장된 디스크는 많은 경우에 있어서 고정되지 않으므로, 먼지 또는 미세한 입자가 부착되고 긁히는 문제가 야기된다. 특히, 금속 허브를 갖는 디스크가, 예컨대 불규칙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디스크 카트리지내에 자석으로 소정 위치에 끌어당져져 고정될 수 있지만, 허브가 없는 광학 디스크, 예컨대 CD 또는 DVD는 디스크 카트리지내에서 통상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가 디스크 카트리지의 내벽과 접촉하지 않는 정도로 흔들리는 경우, 디스크의 데이터 저장면이 긁힐 수 있거나, 미세한 입자가 뒤흔들려 디스크상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셔터가 선형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본체는 그 내부에 저장될 디스크보다 훨씬 클 필요가 있다.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가, 예컨대 이동 전자 장치 또는 디스크 캠코더용으로 소형 디스크를 저장하는데 이용되는 경우, 이동 전자 장치 또는 디스크 캠코더 자체가 디스크 카트리지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커야 한다. 더욱이, 소형의 카트리지의 헤드 액세스 윈도우의 크기는 보통 대형 카트리지의 헤드 액세스 윈도우의 크기와 상이하다. 따라서, 소형 및 대형의 카트리지 양자를 수용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 즉, 적어도 이러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조는 2가지 유형의 디스크를 수용하기 위해 지나치게 복잡해진다.
발명의 요약
상술한 문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크기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와, 제 1 및 제 2 셔터와, 회전식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 본체는 디스크 저장부와, 고정 구멍과, 헤드 액세스 윈도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저장부는 디스크가 디스크 저장부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그내에 디스크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구멍은 디스크가 외부에서 고정되도록 디스크 저장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 액세스 윈도우는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디스크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헤드가 디스크에 접근하게 하도록 디스크 저장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디스크 저장부내에서 회전함으로써 헤드 액세스 윈도우를 노출 또는 피복하기 위해 디스크 저장부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식 부재는 디스크 저장부내에서 회전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및 제 2 셔터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그리고 각각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회전식 부재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와, 제 1 및 제 2 셔터와, 회전식 부재와, 디스크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 본체는 디스크 저장부와, 고정 구멍과, 헤드 액세스 윈도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저장부는 디스크 윈도우와, 저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내에 제 1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저장하여 디스크가 디스크 저장부내에서 회전가능하고 디스크의 제 1 면이 디스크 윈도우를 통해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구멍은 디스크가 외부에서 고정되게 하도록 디스크 저장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 액세스 윈도우는 디스크의 제 2 면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제 2 면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헤드가 디스크의 제 2 면에 액세스하게 하도록 디스크 저장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디스크 저장부내에서 회전함으로써 헤드 액세스 윈도우를 노출하거나 덮기 위한 디스크 저장부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식 부재는 그내에서 회전하도록 디스크 저장부의 저부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및 제 2 셔터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유지부는 디스크가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카트리지 본체상에 고정되도록 디스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그리고 각각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회전식 부재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크 유지부는 제 1 또는 제 2 셔터가 폐쇄되려고 할 때 디스크 유지부상에 디스크를 유지하도록 제 1 또는 제 2 셔터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크 유지부는 제 1 또는 제 2 셔터가 개방하려고 할 때 디스크를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셔터는 고정 구멍 주위에 원호형의 제 1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셔터는 고정 구멍 주위에 원호형의 제 2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디스크 저장부는 고정 구멍 주위에 원호형의 제 3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또는 제 2 셔터는 그의 외측 에지를 따라 제 2 볼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유지부는 디스크의 제 2 면이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볼록부와 접촉함으로써 디스크 유지부상에 디스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디스크는 디스크의 제 2 면상의 데이터 저장 영역이 제 1, 제 2, 제 3 볼록부와 제 4 볼록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카트리지 본체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및 제 2 셔터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헤드 액세스 윈도우와 정렬되는 노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저장부는 저부의 외주를 따라 측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유지부는 디스크 유지부상에 디스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노치가 위치되는 위치에 디스크의 외측면이 디스크 저장부의 측벽과 접촉하도록 디스크 저장부의 중심으로부터 디스크의 중심이 편위된 상태로 디스크 저장부에 대해 디스크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크 유지부는 제 1 디스크 유지 부재와, 제 2 디스크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제 1 디스크 유지 부재는 디스크의 외측면이 디스크 저장부의 측벽과 접촉하도록 디스크에 외향력(outward force)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디스크 유지 부재는 디스크 저장부의 저부쪽으로 디스크에 힘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셔터는 그의 외측 에지 주위에 측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셔터의 측벽은 노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제 1 디스크 유지 부재는 노치를 통해 디스크에 힘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방되려고 할 때, 제 1 셔터의 회전은 제 1 디스크 유지 부재가 제 1 셔터의 측벽과 접촉하게 하여, 디스크에 힘이 가해지는 것을 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셔터는 측벽의 내부면 근방에 가이드 리브(guide ri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디스크 유지 부재는 디스크 윈도우쪽으로 돌출하도록 탄성 부재를 거쳐 카트리지 본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방되려고 하는 동안, 제 2 디스크 유지 부재는 가이드 리브와 접촉하고 가이드 리브에 의해 상승되어, 디스크를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크 유지부는 복수의 디스크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디스크 유지 부재는 하측으로 테이퍼진 슬로프(slope)를 갖고 디스크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며, 디스크 유지 부재의 각각상에 디스크를 파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슬로프가 디스크의 외측면과 접촉함으로써 디스크를 카트리지 본체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크 유지부는 디스크 윈도우쪽으로 돌출하도록 카트리지 본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셔터는 그의 외측 에지 주위에 측벽과, 측벽의 내부면 근방에 가이드 리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방되려고 하는 동안, 디스크 유지부는 가이드 리브와 접촉하고 가이드 리브에 의해 상승되어, 디스크를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크 유지부는 카트리지 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셔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하도록 디스크 저장부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식 부재는 기어가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제 1 래크(rack)와, 제 2 래크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래크는 제 1 및 제 2 셔터의 중심에 그들의 중심이 맞춰지도록 원호형이 바람직하고, 서로 상이한 반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식 부재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셔터는 회전식 부재를 수용하도록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셔터의 제 1 래크는 제 1 개구부의 일부를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셔터의 제 2 래크는 제 2 개구부의 일부를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식 부재로는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방 또는 폐쇄되어 있는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및 제 2 셔터와 중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셔터는 제 1 및 제 2 셔터의 회전 중심 및 회전식 부재의 중심을 함께 연결하는 라인을 따라 회전식 부재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셔터는 약 1.2 내지 약 3 의 회전 속도비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셔터의 단부는 헤드 액세스 윈도우의 돌출 영역내에서 서로 중첩함으로써, 헤드 액세스 윈도우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식 부재는 제 1 및 제 2 셔텨의 두께의 합과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는 기어가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만약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디스크의 제 2 면상의 제 1 지점까지의 거리가 Rin이며, 제 1 지점은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디스크 저장 영역의 내부 경계보다 디스크의 중심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디스크 저장 영역의 내부 경계 근방에 규정되고;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디스크의 제 2 면상의 제 2 지점까지의 거리가 Rout이며, 제 2 지점은 제 1 및 제 2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디스크 저장 영역의 외측 에지보다 디스크의 외측 에지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디스크 저장 영역의 외측 경계 근방에 규정되고; 높이(S)를 갖는 공간은 디스크의 제 2 면 아래에 제공될 필요가 있고; Rout의 반경을 갖는 제 1 원(circle)은 디스크의 제 2 면상에 규정되고; (Rout-1.2S)의 반경을 갖는 제 2 원은 0.3S의 거리만큼 제 2 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제 2 면에 평행한 평면상에 규정되며; (Rout-16.2S)의 반경을 갖는 제 3 원은 거리(S)만큼 제 2 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제 2 면에 평행한 평면상에 규정된다면, 공간은 디스크의 중심 및 높이(S)로부터 측정된 바와 같이 Rin의 저부 반경을 갖는 원형 실린더를 제 1 및 제 2 절두 원추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 1 절두 원추의 저부 및 상 부는 제 1 및 제 2 원에 의해 각각 규정되고, 제 2 절두 원추의 저부 및 상부는 제 2 및 제 3 원에 의해 각각 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S는 1mm가 바람직하고, Rin은 20mm가 바람직하며, Rout는 39mm 또는 59mm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매체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중 어느 것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와,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저장부내에 저장되고 데이터를 기록할 준비가 되어 있는 디스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중 어느 것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와 함께 로딩되어, 디스크 카트리지내에 저장되는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디스크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과,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디스크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헤드와,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중 하나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를 지지하고 구동 수단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서 그내에서 디스크를 저장하는 지지 구조체와, 디스크가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저장부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하고 디스크 유지부로부터 디스크가 해제되게 하는 셔터 개방/폐쇄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를 구동 수단상에 탑재하는 클램퍼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구조체는 소정의 위치에 디스크 카트리지를 고정하는 위치설정 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 요소, 공정, 단계,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디스크가 저장된 상태 및 디스크가 저장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특정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카트리지 상부 쉘이 제거된 상태의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셔터가 폐쇄된 상태 및 셔터가 개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개폐기 부근에서의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일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셔터가 폐쇄될 때 및 셔터가 개방될 때의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취한 디스크 유지 부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내에 저장된 디스 크 아래에 제공되는 공간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디스크의 만곡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디스크 아래에 제공되는 다른 예시적인 공간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디스크 아래에 제공되는 또 다른 예시적인 공간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특정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카트리지 상부 쉘이 제거된 상태의 도 11에 도시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셔터가 폐쇄된 상태 및 셔터가 개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카트리지의 디스크 유지 방법을 도시한 평면도,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셔터가 폐쇄될 때 및 셔터가 개방될 때의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취한 디스크 유지 부재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를 도시한 사시도.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특정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를 설명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디스크(100)가 저장된 상태와 디스크(100)가 저장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제 1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카트리지의 상부 쉘(12)이 제거된 상태의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제 1 및 제 2 셔터(16, 15)가 폐쇄된 상태와, 제 1 및 제 2 셔터(16, 15)가 개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그내에 디스크(100)를 구비하는 전체의 디스크 카트리지(101)는 때때로 "디스크(disc)" 또는 "데이터 저장 매체(data storage medium)"로서 본원에서 언급될 것임을 알아야 한다.
디스크(100)는 제 1 면과, 제 2 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그의 라벨이 보통 인쇄되는 디스크(100)의 제 1 면은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한편, 제 2 면, 즉 데이터 저장면(100A)은 도 2 및 도 3에서 배면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1)는 카트리지 하부 쉘(11)과, 카트리지 상부 쉘(12)과, 기어(14)와, 제 1 셔터(16)와, 제 2 셔터(1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부 쉘(11)은 고정 구멍(11c)과,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구멍(11c)은 고정 부재(chucking member)[예컨대, 디스크(100)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가 디스크 카트리지(101) 외부에서 인입되게 한다.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는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면(100A)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데이터 저장면(100A)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헤드가 디스크 카트리지(101)에 인입되고 디스크(100)상의 목표 위치에 접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구멍(11c) 및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는 서로 연속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볼록부(11s)는 고정 구멍(11c)을 봉입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는 카트리지 하부 쉘(11)의 측면에 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 하부 쉘(11)은 디스크 드라이브(도시하지 않음)의 카트리지 위치설정 핀(17)과 결합하는 2개의 위치설정 구멍(11w)을 구비하여, 디스크 드라이브내의 소정의 위치에 디스크 카트리지(101)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카트리지 본체는, 디스크 카트리지(101)가 자세설정되어 디스크 드라이브내에 로딩되는 경우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101)가 체인저(changer)내에 저장되는 경우, 자세설정 노치(pull-in notch) 또는 위치설정 리세스로서 한쌍의 오목부(10c)를 구비할 수 있다. 카트리지 하부 쉘(11)은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면(100A)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 상부 쉘(12)은 디스크(100)의 상부를 노출하도록 디스크(100)의 전체 돌출 영역 이상으로 팽창되는 원형 디스크 윈도우(12w)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 상부 및 하부 쉘(12, 11)은 그들의 외측 에지에 함께 점착 또는 용착되어 카트리지 본체(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디스크 윈도우(12w)내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110)를 그내에 저장하기 위한 디스크 저장부(10d)는 카트리지 하부 쉘(11)의 내부면(11u)과, 카트리지 상부 쉘(12)의 측벽(12i)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면(11u)은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면(100A)에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한 한편, 측벽(12i)은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디스크 윈도우(12w)를 내부에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부면(11u)은 디스크 저장부(10d)의 저부가 된다.
디스크 저장부(10d)에 있어서, 디스크(100)를 자유롭게 회전하게 하기에 충분히 넓은 갭은 측벽(12i)과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 사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디스크 윈도우(12w) 및 측벽(12i)에 의해 규정된 원의 직경은 저장될 디스크(100)의 직경보다 커야 한다. 또한, 디스크 저장부(10d)의 상반부는 디스크 저장부(10d)내에 저장된 디스크(100)가 디스크 윈도우(12w)를 통하여 완전히 노출되는 2개의 측면중 하나를 갖도록 디스크 윈도우(12w)를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101)는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를 갖는 측면(10e)이 디스크 드라이브를 향하도록 화살표(1A)로 나타낸 방향으로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로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측면(10e)은 볼록 만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디스크 윈도우(12w)로부터 보이는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는 감소된 크기를 가지고,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101)와 함께 로딩될 디스크 드라이브도 감소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측면(10f, 10g, 10h)이 평면인 경우,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삽입 방향(1A)은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형상에 의해 쉽게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표면상에 나타낸 삽입 방향을 확인하지 않고 디스크 카트리지를 디스크 드라이브내에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셔터 각각은 부분적으로 노치 형성된 링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링의 내경은 고정 구멍(11c)의 직경에 의해 규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셔터(16)는 카트리지 하부 쉘(11)의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의 것과 거의 동일한 치수와 형상을 갖는 노치(16f)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셔터(15)는 반부 링(half ring)보다 약간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셔터는 제 2 셔터(15)가 제 1 셔터(16)와 디스크 저장부(10d)의 저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면(100A)과 디스크 저장부(10d)의 내부면(11u)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호형의 제 1 볼록부(16s) 및 원호형의 제 2 볼록부(15s)는 각각 제 1 및 제 2 셔터(16, 15)의 내측 에지를 따라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호형의 제 4 볼록부(16m)는 제 1 셔터(16)의 외측 에지를 따라 더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볼록부(16s, 15s)는 제 3 볼록부(11s)와 간섭하지 않도록 카트리지 하부 쉘(11)의 제 3 볼록부(11s)보다 큰 반경을 갖는 원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카트리지(101)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볼록부(16s, 15s, 11s, 16m) 모두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카트리지(101)에 있어서, 이 볼록부들은 디스크 저장부(10d)내에 저장될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 영역의 내외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립 벽(standup wall)(16i)은 제 1 셔터(16)의 외측 에지를 따라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개폐기(opener/closer)(16t)를 구비한다. 또한, 가이드 리브(16c)의 개수는 제 4 볼록부 (16m)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16, 15)는 고정 구멍(11c)의 중심인 셔터의 회전 중심(11q)의 둘레를 미끄럼 운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볼록부(16s, 15s) 각각이 고정 구멍(11c) 둘레에 제공된 제 3 볼록부(11s)와 중첩하여 접촉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가 폐쇄될 때, 제 1 및 제 2 셔터(16, 15)의 단부는 모두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내에 위치되고 서로 중첩되어,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로서, 제 1 및 제 2 셔터(16, 15)는 제 2 셔터(16)의 외측 에지 둘레에 제공된 측벽(11)과 접촉하는 동안 미끄럼 운동하여 회전할 수도 있다.
기어(14)는 카트리지 하부 쉘(11)에 제공되는 회전 샤프트(11r)상에서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16, 15)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지에 관계없이, 회전 샤프트(11r)는 항상 카트리지 하부 쉘(11)상의 서로 중첩하는 돌기 영역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어(14)는 제 1 및 제 2 셔터(16, 15)의 두께의 합과 대략 동일한 두께가 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래크(16r) 및 제 2 래크(15r)가 제 1 및 제 2 셔터(16, 15)에 각각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래크(16r) 및 제 2 래크(15r)의 원호는 또한 셔터의 회전 중심(11q)[즉, 고정 구멍(11c)의 중심]에 대해 규정된다. 게다가, 제 1 윈도우(16w) 및 제 2 윈도우(15w)는 회전하는 셔터가 기어(14)와 간섭하지 않도록 제 1 및 제 2 셔터(16, 15)에 각각 더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래크(16r, 15r)는 제 1 윈도우(16w)의 일부와, 제 2 윈도우(15w)의 일부를 각각 규정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래크(16r, 15r)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미끄러져 회전하도록 셔터의 회전 중심(11q)을 기어(14)의 회전 중심(11p)에 연결하는 라인상에 기어(14)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어(14)는 제 1 및 제 2 셔터(16, 15)와 결합하는 회전식 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제 1 및 제 2 셔터(16, 15)의 작동 방법을 기술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가 폐쇄된 제 1 및 제 2 셔터(16, 15)로 덮인 상태에서, 제 1 셔터(16)의 노치(16f)를 규정하는 2개의 에지(16x, 16y)중 하나(16x)는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는 제 1 셔터(16)만을 완전히 덮을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제 1 셔터(16)의 노치(16f)가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내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 2 셔터(15)는 제 1 셔터(16)의 노치(16f)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제 1 셔터(16)에 의해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셔터(16, 15)는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를 덮도록 서로 협동한다. 지금 현재로서는, 제 2 셔터(15)의 일단부(15y)는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셔터(16, 15)는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내의 비교적 넓은 영역내에서 서로 중첩되어,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먼지 및 다른 외부 입자가 헤드 접근 윈도우(11h)를 통해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내의 증가된 영역에서 2개의 셔터를 중첩함으로써, 전체 디스크 카트리지(101)는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 제 2 및 제 3 볼록부(16s, 15s, 11s)는 고정 구멍(11c)을 완전히 봉입하도록 고정 구멍(11c) 둘레의 원내에 배치된다. 또한, 제 1, 제 2 및 제 3 볼록부(16s, 15s, 11s)는 반경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A2)내에 서로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각각의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그의 중심과, 디스크 저장부(10d)의 저부쪽으로 디스크(100)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디스크 저장부(10d)에 있어서, 디스크(100)는 제 1 셔터(16)에 대해 디스크 유지 부재(12a)에 의해 가압되면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면(100A)의 외측 에지는 제 4 볼록부(16m)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한 한편, 그의 내측 에지는 제 1, 제 2 및 제 3 볼록부(16s, 15s, 11s)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 영역은 제 4 볼록부(16m)와 제 1, 제 2 및 제 3 볼록부(16s, 15s, 11s) 사이에 규정된 공간에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볼록부(16m)는 노치(16f)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은 완전히 폐쇄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매우 적은 먼지가 노치(16f)에 의해 그의 라벨측으로부터 디스크 저장부(10d)내에 유지된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면(100A)에 도달한다. 또한, 고정 구멍(11c)은 제 1, 제 2 및 제 3 볼록부(16s, 15s, 11s)로 완전히 봉입되어, 먼지가 고정 구멍(11c)을 통해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 영역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 영역은 제 1 셔터(16)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터 저장 영역상에 스크래치가 생기지 않을 것이다.
디스크 카트리지(101)가 화살표(1A)로 나타낸 방향으로 디스크 드라이브내에 삽입될 때, 디스크 드라이브에 제공되는 개방/폐쇄 레버(opening/closing lever)(도시하지 않음)는 화살표(16A)로 나타낸 방향으로 제 1 셔터(16)의 개폐기(16t)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제 1 셔터(16)는 화살표(16A)로 나타낸 방향으로 고정 구멍(11c) 둘레를 회전한다. 제 1 셔터(16)가 회전할 때, 그의 래크(16r)는 기어(14)를 회전시킨다. 그 결과, 기어(14)가 래크(15r)와 결합되어, 제 2 셔터(15)를 구동한다. 그 다음, 제 2 셔터(15)는 제 1 셔터(16)가 회전하는 방향에 반대인 화살표(15A)로 나타낸 방향으로 고정 구멍(11c) 둘레를 회전한다. 제 1 및 제 2 셔터(16, 15)가 회전할 때,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는 점차적으로 노출되려고 한다. 이 경우, 제 1 셔터(16)는 노치(16f)가 카트리지 하부 쉘(11)의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와 정렬할 때까지 회전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셔터(15)의 양 단부(15y, 15x)는 그들 사이에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를 개재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제 1 및 제 2 셔터(16, 15)는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셔터(16, 15)의 회전 속도는, 셔터의 회전 중심(11q)과 래크(16r)가 기어(14)와 결합하는 지점(16p) 사이의 거리 및 셔터의 회전 중심(16r)과 래크(15r)가 기어(14)와 결합하는 지점(15p) 사이의 거리에 각각 반비례한다. 따라서,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 1 셔터(16)의 회전 각도는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 2 셔터의 회전 각도와 상이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셔터(15)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데 필요한 회전 각도는 제 1 셔터(16)를 개방 또는 폐 쇄하는데 필요한 회전 각도의 1.2 내지 1.3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개폐기(16t)를 40°내지 60°만 회전함으로써,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는 의도한 만큼만 노출시키거나 덮을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2개의 폐쇄된 셔터가 회전하여 개방하기 시작할 때,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제 1 셔터(16)가 회전할 때 디스크(100)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디스크(100)는 디스크 유지 부재(12a)에 의해 유지가 해제되고 디스크 저장부(10d)내에서 회전하기 쉽다. 그렇지만, 디스크 유지 부재(12a)가 이동하면서 디스크 윈도우(12w)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디스크(100)는 디스크 윈도우(12w)를 통해 절대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셔터가 서로 동일한 속도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2개의 셔터중 하나가 작은 정도로만 회전함으로도 큰 개구부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대직경의 디스크와 호환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조는 소직경의 디스크를 저장하지만 대직경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대응부 만큼 넓은 헤드 액세스 윈도우를 갖도록 설계된 디스크 카트리지에 사용하기에 효과적일 수 있다.
더욱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셔터를 함께 결합하는 기어는 디스크 저장부내에 제공되어,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은 특히 감소된 전체 크기를 필요로 하는 소직경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사용하기에 효과적이다.
다음에, 개폐기(16t)를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보다 큰 축척으로 개폐 기 부근에서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일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기(16t)는 탄성 부재(16e)를 이용하여 제 1 셔터(16)의 직립 벽(16i)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식 볼록부(16g)는 개폐기(16t)의 단부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카트리지 하부 쉘(11)은 오목부(11g)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제 1 셔터(16)의 결합식 볼록부(16g)는 카트리지 하부 쉘(11)의 오목부(11g)와 결합하고 그에 로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1 셔터(16)는 그 상태로 회전할 수 없다. 또한, 제 1 셔터(16)가 제 2 셔터(15)와 교대로 결합하기 때문에, 제 2 셔터는 회전할 수도 없다. 즉, 셔터가 폐쇄 유지될 수 있다.
셔터를 개방하기 위해, 개폐기(16t)는 화살표(16B)로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의 중심쪽으로 아래로 눌러질 필요가 있다. 그 다음, 오목부(11g)와 결합식 볼록부(16g)는 서로 분리되어, 화살표(16B)로 나타낸 방향으로 개폐기(16t)를 계속 이동시킨다. 그 다음, 제 1 셔터(16)는 화살표(16A)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 2 셔터(15)는 기어(14)에 의해 회전되기 시작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개폐기(16t)는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셔터가 개방될 때, 개폐기(16t)는 카트리지 하부 쉘(11)의 측벽(11)의 노치(11k)내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디스크 드라이브의 헤드가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를 액세스하더라도, 개폐기(16t)는 헤드의 액세스에 방해받지 않는다.
이하, 도 3, 도 4a, 도 4b,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디스크(100)의 원주 둘레에 분산된 복수의 디스크 유지 부재(12a)의 디스크(100) 유지 방법을 기술할 것이다. 도 6a는 제 1 및 제 2 셔터(16, 15)가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를 덮고 제 1 및 제 2 셔터(16, 15)상에 디스크(100)를 유지하는 경우에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취한 디스크 유지 부재(12a)중 하나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 6b는 제 1 및 제 2 셔터(16, 15)가 고정 구멍(11c)과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를 노출하여 디스크 카트리지(101)내에서 디스크(100)가 회전가능하도록 디스크(100)를 해제한 경우에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취한 디스크 유지 부재(12a)의 단면도이다.
각각의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디스크 윈도우(12w)내로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슬릿을 거쳐 카트리지 상부 쉘(12)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부(12e)에 의해 카트리지 상부 쉘(12)과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의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디스크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3개의 디스크 유지 부재(12a)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디스크 유지 부재(12a)의 단부는 슬로프(12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슬로프(12b)는 디스크의 돌기 영역과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 위로 돌출하도록 경사져 있다.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슬로프(12b)를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100c) 또는 디스크(100)의 제 1 면의 외측 경계와 접촉시켜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를 디스크 유지 부재(12a)상에 파지하고, 화살표(100t)로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디스크(100)를 가압하며,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면(100A)(즉, 제 2 면)을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볼록부(16s, 15s, 11s, 16m)와 면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디스크(100)는 그의 데이터 저장 영역을 제외한 데이터 저장면(100A)의 내외측 에지상에 유지되어 고정된다. 또한,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면(100A)의 데이터 저장 영역은 데이터 저장 영역과 오목부(16b) 사이에 허용된 임의의 갭으로 대략 밀봉된다. 결과적으로, 디스크 저장면(100A)의 데이터 저장 영역상에 먼지가 유입되거나 부착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낸 가이드 리브(12c)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 부재(12a)로부터 분리된다.
셔터가 폐쇄되어 디스크(100)가 디스크 유지 부재(12a)에 의해 유지되는 동안, 디스크(100)의 중심은 구정 구멍(11c)의 중심(11q)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 구멍(11c)의 중심은 데이터 저장부(10d)의 중심이다.
도 4b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폐쇄된 셔터가 회전하여 개방되기 시작할 때, 제 1 셔터(16)에 제공된 가이드 리브(16c)는 디스크 유지 부재(12a)의 각각의 내부면상의 (도 4b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볼록부(12c)와 접촉하여, 디스크 유지 부재(12a)를 들어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디스크(100)는 슬로프(12b)의 파지로부터 해제되어 회전할 준비가 된다. 지금 현재로서는,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디스크 윈도우(12w)내로 또는 그 위로 돌출하고 있고 디스크의 돌출 영역의 일부(즉, 그의 외측 에지)를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크(100)를 수직방향으로 장착하도록 설계된 디스크 드라이브내에서 디스크(100)가 해제되더라도, 디스크(100)는 디스크 카트리지(101)로부터 낙하하지 않을 것이다. 즉, 디스크 카트리지가 디스크 드라이브내에 수직방향으로 로딩되도록 사용되려고 하더라도,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디스크(100)를 디스크 윈도우(12w)를 통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탄성 부재를 거쳐 카트리지 하부 쉘(11)과 일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 부재(12a)의 볼록부(12c)를 가이드 리브(16c)와 접촉시킴으로써,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들어올려질 수 있고 디스크(100)는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리브(16c)의 위치 및 원주방향 길이가 디스크 유지 부재(12a)에 대해 조절되는 경우, 디스크(100)는 셔터 개폐 작동시 적절한 타이밍으로 해제 또는 파지될 수 있다. 그러나, 3개의 디스크 유지 부재(12a)의 모든 볼록부(12a)가 동시에 가이드 리브(16c)와 접촉해야 하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셔터가 개방 또는 폐쇄되려는 동안 디스크(100)를 디스크 윈도우(12w)를 통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 부재(stopper member)로서도 기능한다.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카트리지 상부 쉘(12)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101)가 조립된 후에 디스크 윈도우(12w)를 통해 임의의 디스크(100)를 삽입하기가 어렵다. 그러한 이유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크(100)는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조립 공정시 디스크 저장부내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제 1 셔터(16)의 오목부(16b)의 구조를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각종 바람직한 실시예중 어느 것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와 달리 디스크의 일면을 노출시킨 채 그내에 디스크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종래의 것보다 얇아질 수 있다. 또한, 디스크의 라벨면이 표시되기 때문에, 전체 디스크 카트리지는 양호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디스크의 일면이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내에서 노출되려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디스크의 라벨면을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부주의한 사용자는 디스크의 라벨면을 너무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유형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의 데이터 저장면이 긁히거나 디스크 자체가 이러한 상황에서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디스크를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잠재적인 불리한 상황에 있어서, 본 발명자는 제 1 셔터(16)의 오목부(16b)가 디스크의 데이터 저장면상에 어떠한 긁힘이 생기지 않고 디스크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형상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 정확하게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도 7은 디스크 유지 구조체(59)상에 디스크(100)를 유지하기 위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볼록부(16s, 15s, 11s, 16m)로 구성된] 유지 구조체(59)와, 디스크(100)가 사용자에 의해 너무 강하게 가압되더라도 유지 구조체(59)에 의해 긁히지 않도록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 영역(100d) 아래에 제공되는 공간을 도시하고 있다. 유지 구조체(59)의 일부분의 크기는 그러한 공간을 규정하는 유지 구조체(59)의 특성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 7에서 축적되어 있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종횡비(aspect ratio)가 실제와는 상이하다.
복수의 공간이 디스크(100) 아래에 허용되었다면, 공간의 높이는 디스크(100)의 최대 만곡부보다 약간 커야만 했다. 이것은,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디스 크(100)가 아무리 많이 변형했더라도 유지 구조체(59)와 절대 접촉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충분한 공간을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는 너무 두꺼울 것이다. 그래서 디스크(100) 아래의 공간은 실제적으로 최소화되어야 한다.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디스크(100)는 가능한 한 작은 만곡부를 갖도록 유지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만곡부를 축소시키기 위해, 유지 구조체(59)에 의해 유지되는 디스크(100)의 부분이 가능한 한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 영역(100d)에 근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면(100A)이 지지되는 유지 구조체(59)의 부분은 내측 반경(Rin)과 외측 반경(Rout)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디스크(100)는 내측 반경(Rin)의 내부에 위치되는 유지 구조체(59)의 내부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외측 반경(Rout)의 외부에 위치되는 유지 구조체(59)에 의해서도 유지된다. "내측 반경(Rin)"은 본 명세서에서 디스크(100)의 중심으로부터 데이터 저장 영역(100d)의 내측 경계보다 디스크(100)의 중심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그리고 그 근방에 규정되는 지점까지의 거리로 한다. 한편, "외측 반경(Rout)은 본 명세서에서 디스크(100)의 중심으로부터 데이터 저장 영역(100d)의 외측 경계보다 디스크(100)의 중심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그리고 그 근방에 규정되는 지점까지의 거리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및 외측 반경(Rin, Rout)을 규정하는 2개의 지점은 가능한 한 데이터 저장 영역(100d)에 근접한다. 예를 들면, 디스크(100)가 약 5인치의 직경(즉, 약 60mm의 반경)을 갖는다면, 내측 반경(Rin)은 약 20mm가 바람직하고 외측 반경(Rout)은 약 59mm가 바람직하다. 한편, 디스크(100)가 약 80mm의 직경을 갖는다면, 내측 반경(Rin)은 약 20mm가 바람직하 고 외측 반경(Rout)은 약 39mm가 바람직하다.
데이터 저장 영역(100d)이 긁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크(100) 아래에 제공되는 공간(69b)은 하기의 방식으로 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로, 공간(69b)의 높이(또는 깊이)(S)(mm)가 규정된다. 다음으로, 3개의 원(69d, 69e, 69f)이 규정된다. 구체적으로, 원(69d)은 외측 반경(rout)과 동일한 반경을 갖고 데이터 저장면(100A)상에 규정되고; 원(69e)은 (Rout-1.2S)에 의해 얻어진 반경을 갖고 데이터 저장면(100A)에 평행한 평면상에 그리고 그로부터 0.3S mm 떨어진 평면상에 규정되고; 원(69f)은 (Rout-16.2S)에 의해 얻어진 반경을 갖고 데이터 저장면(100A)에 평행한 평면상에 그리고 그로부터 S mm 떨어진 평면상에 규정된다. 상부 및 저부가 원(69d, 69e)에 의해 각각 규정되는 절두 원추는 측면(59a)을 가지는 반면, 상부 및 저부가 원(69e, 69f)에 의해 규정되는 절두 원추는 측면(59b)을 갖는다.
또한, 원형 실린더는 디스크(100)의 중심으로부터 측정되는 바와 같은 반경(Rin)을 갖는 원형 저부와, 데이터 저장면(100A)으로부터 측정되는 바와 같은 높이(또는 깊이)(S)를 갖는 측면(59d)을 갖도록 규정된다. 데이터 저장 영역(100d) 아래에 제공되는 공간(69b)은 측면(59d)에 의해 규정되는 원형 실린더를 측면(59a, 59b)에 의해 규정되는 2단 절두 원추(two stepped truncated cone)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얻어진다.
S값은 공간(69b)의 높이를 규정한다. 따라서, S값이 클수록 디스크(100)가 변형되더라도 데이터 저장 영역(100d)이 적게 긁힌다. 그러나, S값이 증가될 때, 디스크 카트리지의 두께는 증가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해, S값은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는, 디스크(100)가 5인치의 직경을 가졌을 경우, 디스크(100)의 만곡부가 사용자의 손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의해 야기되는 한 0.8mm 내지 1.0mm의 S값이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 영역(100d)을 긁힘으로부터 보호하기에 충분히 크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알게되고 확인하였다. S값은 1.0mm가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크(100)가 80mm의 직경을 갖는 경우, 디스크(100)의 만곡부가 사용자의 손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의해 야기되는 한 0.5mm 내지 0.8mm의 S값이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 영역(100d)을 긁힘으로부터 보호하기에 충분히 크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도 8은 1mm로 설정된 S값을 갖는 디스크(100) 아래에 공간(69b)이 제공되고 공간(69b)쪽으로 디스크(100)상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디스크(100)가 얼마나 변형되는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사용자에 의해 디스크(100)상에 수동으로 가해진 압력이 3kg을 초과하지 않음을 실험을 통해 알게 되어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3kg의 최대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도 디스크(100)는 공간(69b)내에서 완전히 만곡되었고 측면(59a, 59b)과 절대 접촉하지 않음을 알게 되었다.
이 경우에, 규정된 공간(69b)은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 영역(100d)이 긁히는 것이 방지되기 위해 최소 요구된 치수를 갖는다. 따라서,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 영역(100d) 아래에 보다 큰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즉, 공간(69b)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59a, 59b)을 지나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에,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를 디스크 유지 구조체(59)상에 유지하도록 유지 구조체(59)의 외측부의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증가시키기 위해, 강화부(reinforced portion)(59' 또는 59")는 외측부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59a, 59b)은 그러한 강화부(59', 59")의 허용가능한 형상을 결정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볼록부(16s, 15s, 11s, 16m) 및 이러한 볼록부를 구성하는 오목부(16b)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 아래에 공간(69b)을 규정하도록 제 1 및 제 2 셔터(16, 15)를 설계함으로써, 디스크 카트리지(101)내의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얼마의 압력하에서도 보호될 수 있다는 결과가 나타나 있다.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디스크 윈도우(12w)쪽으로 돌출하고 카트리지 본체(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도록 제공된다. 그러나, 디스크 유지 부재가 디스크 윈도우(12w)를 통해 디스크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고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디스크를 디스크 유지 부재상에 유지할 수 있는 한, 디스크 유지 부재는 임의의 다른 형상일 수 있고 임의의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비록 그렇다 하더라도, 디스크 유지 부재는 셔터가 개방 또는 폐쇄하려 할 때 유지 또는 해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저장부(10d)내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디스크 윈도우(12w)쪽으로 돌출하고 제 1 또는 제 2 셔터와 상호 결합하는 링형상의 디스크 유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제 2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를 설명할 것이다. 도 11은 이러한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102)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카트리지 상부 쉘(12)이 제거된 상태로 디스크 카트리지(102)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제 1 및 제 2 셔터(16, 15)가 폐쇄된 상태 및 이들 셔터(16, 15)가 개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1, 도 12a 및 도 12b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대응부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임의의 구성요소는 도 3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부호로 간주된다.
상술한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101)에 있어서,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디스크(100)의 중심이 디스크 저장부(10d)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디스크 유지 부재(12a)상의 디스크(100)를 파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크(100)는 디스크 저장부(10d)의 중심으로부터 편위되도록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목적으로, 디스크 카트리지(102)는 디스크 유지 부재(1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셔터(16)의 직립 벽(16i)은 노치(16k)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 부재(18)는 금속, 합성 수지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재료로 이루어진 리프 스프링(leaf spring)인 것이 바람직하고, 디스크 유지 부재(18)의 일단부는 카트리지 하부 쉘(1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디스크 유지 부재(18)는 디스크 저장부(10d) 내에 저장되는 디스크(100)에 화살표(1C)로 나타낸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제 1 셔터(16)의 노치(16k)를 통해 디스크 저장부(10d)에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저장부(10d)의 측벽(12i)의 곡률 반경(r1)은 중심이 지점(11q)에 의해 규정되는 원형의 디스크 저장부(10d)의 곡률 반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셔터(16)의 노치(16f)가 위치되는 영역(10r)은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의 것과 동일한 곡률 반경(r2)을 갖는다. 이 영역(10r)의 중심은 지점(100q)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1C)로 나타낸 방향으로 디스크 유지 부재(18)로부터 디스크 저장부(10d)내의 디스크(100)까지 탄성력이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디스크 저장부(10d)의 중심으로부터 디스크(100)의 중심이 방향(1C)으로 편위된 상태로 디스크(100)가 유지되어,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가 영역(10r)내의 디스크 저장부(10d)의 측벽(12i)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서, 디스크 유지 부재(18)는 방향(1C)으로만 디스크(100)를 가압하여 제 1 셔터(16)에 대해 디스크(100)를 가압할 수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대신, 디스크(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른 디스크 유지 부재(12a')에 의해 제 1 셔터(16)에 대해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터 개방시에, 셔터는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16A)로 나타낸 방향으로 개폐기(16t)를 움직임으로써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셔터(16)가 방향(16A)으로 회전될 때, 직립 벽(16i)의 노치(16k)도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그 다음, 직립 벽(16i)은 곧 디스크 유지 부재(18)와 접촉하여, 방향(1C)의 반대 방향으로 디스크 유지 부재(18)를 가압한다. 그 결과, 디스크 유지 부재(18)는 디스크(100)로부터 분리되어 디스크 저장부(10d)내의 디스크(100)에 방향(1C)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는 것을 중지한다.
그리고 셔터가 이러한 방식으로 폐쇄될 때, 디스크 유지 부재(18)는 디스크 저장부(10d)의 중심에 대해 디스크(100)를 유지 및 편위시켜서,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가 제 1 셔터(16)의 노치(16f)가 위치되는 영역내의 측벽(12i)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디스크 유지 부재(18)는 디스크(100)에 평행하게 규정된 평면상의 소정의 위치에 디스크(100)를 유지 및 고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디스크 유지 부재(12a')의 디스크(100) 유지 방법을 기술할 것이다. 도 14a는 제 1 및 제 2 셔터(16, 15)가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를 덮어 디스크(100)를 제 1 및 제 2 셔터(16, 15)상에 유지하는 경우에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취한 디스크 유지 부재(12a')중 하나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 14b는 제 1 및 제 2 셔터(16, 15)가 고정 구멍(11c)과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를 노출하여 디스크 카트리지(102)내에서 디스크(100)가 회전가능하도록 디스크(100)를 해제한 경우에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취한 디스크 유지 부재(12a')의 단면도이다.
각각의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그의 단부 부근에 그리고 디스크(100)에 대향된 표면상에 접촉부(12m)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부(12m)는 디스크의 돌출 영역 및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를 넘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접촉부(12m)를 디스크(100)의 라벨면의 외측 에지와 접촉 시켜서,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100t)로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디스크(100)를 가압하고,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면(100A)(즉, 제 2 면)을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볼록부(16s, 15s, 11s, 16m)와 면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에서 디스크(100)를 유지 및 고정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부(12m)는 디스크(100)와 점접촉 또는 선접촉하도록 만곡된 융기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로서, 접촉부(12m)는 디스크(100)와 면접촉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폐쇄된 셔터가 회전하여 개방되기 시작할 때, 제 1 셔터(16)에 제공된 가이드 리브(16c)는 디스크 유지 부재(12a')의 각각의 내부면상의 볼록부(12c)와 접촉하여, 디스크 유지 부재(12a')를 들어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디스크(100)는 접촉부(12m)의 파지로부터 해제된다. 지금 현재로서는,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디스크의 돌출 영역의 일부(즉, 그의 외측 에지)를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크(100)가 해제되더라도, 디스크(100)는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101)로부터 낙하하지 않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디스크 유지 부재(18)는 디스크(100)의 2개의 주 표면(principal surface)에 평행한 방향으로 디스크(100)를 고정하고,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그의 두께 방향으로 디스크(100)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100)는 디스크 저장부내의 소정의 위치에서 유지 및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및 제 3 볼록부(16s, 15s, 11s)를 구성하는 링형상인 일련의 볼록부는 그의 데이터 저장 영역의 내부에서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면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한 한편, 제 4 볼록부(16m)는 데이터 저장 영역의 외부에서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면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노치(16f)가 위치되는 영역에서,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는 디스크 저장부(10d)의 측벽(12i)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촉을 통해, 디스크의 데이터 저장 영역이 노출되는 공간은 완전히 기밀하게 폐쇄될 수 있어서, 먼지가 이 공간으로 유입되고 데이터 저장 영역상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크(100)를 디스크 저장부(10d)의 중심으로부터 약간 편위시키면서 디스크(100)를 유지 및 고정하기 위해, 디스크 유지 부재(18)는 디스크(100)를 수평방향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수직방향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로서, 디스크(100)는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술한 바와 같이 슬로프(12b)를 갖는 디스크 유지 부재(12a)를 이용하여 디스크 저장부(10d)의 중심으로부터 유지, 고정 및 편위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102)의 3개의 디스크 유지 부재(12a')중 2개는 화살표(M)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로프(12b)를 갖는 디스크 유지 부재(12a')로 대치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셔터가 폐쇄되려고 하는 동시에 디스크(100)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로프(12b)는 디스크(100)와 접촉할 때 방향(1C)으로 디스크 (100)를 가압하는 합력을 발생하도록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화살표(M)로 나타낸 2개의 유지 부재(12a)는 디스크(100)를 영역(10r)내의 디스크 저장부(10d)의 측벽(12i)과 접촉시켜서, 디스크(100)를 수평방향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디스크(100)는 디스크 유지 부재(12a', 12a)에 의해 마찬가지로 수직방향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실시예 3
이하, 본 발명의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를 설명할 것이다. 도 15는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900)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101) 또는 상술한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102)는 이 디스크 드라이브(900)내에 로딩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특정예에 있어서,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101)는 이 디스크 드라이브(900)내에 로딩된다. 도 15에 있어서, 디스크(100)가 도시되진 안았지만, 디스크 드라이브의 내부 구조를 완전히 볼 수 있도록 점선으로 디스크(100)의 윤곽이 표시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드라이브(900)는 디스크 카트리지(101)내에 저장되는 디스크(100)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drive mechanism)(902)와, 디스크(100)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디스크(100)상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헤드(90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기구(902)는 스핀들 모터(904)와, 이 스핀들 모터(904)의 샤프트와 끼워맞춰지는 턴테이블(90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핀들 모터(904)는 기부 (910)상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908)는 가이드 샤프트(912)를 따라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드라이브(900)는 아암(914)에 의해 지지되는 클램퍼(91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턴테이블(906)과 클램퍼(916)는 예컨대 자석과, 자기체(magnetic body)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100)는 자석 사이의 인력을 이용함으로써 클램퍼(916)와 턴테이블(906) 사이에 개재 및 유지되어서, 턴테이블(906)상에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핀들 모터(904)의 구동력은 의도한 만큼만 디스크(100)에 전달될 수 있어 디스크(100)는 요동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900)는 셔터(16, 15)를 개폐하기 위한 제 1 셔터(16)의 개폐기(16t)와 결합하는 셔터 개폐 기구(shutter opening/closing mechanism)(91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터 개폐 기구(918)는 디스크 드라이브(900)내로 삽입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개폐기(16t)와 나란히 위치될 필요가 있다. 셔터 개폐 기구(918)는 개폐기(16t)와 결합하는 결합부(918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트(post)(920)는 기부(910)에 대해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수직 레벨을 규정하는 기부(910)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디스크 카트리지(101)는 포스트(920)의 상부상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치설정 핀(922)은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위치설정 구멍(11w)과 결합하도록 기부(910)상에 더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포스트(920) 및 위치설정 핀(922)은 구동 기구(902)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서 디스크 카트리지(101)를 설정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로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포스트(920) 및 위치설정 핀(922) 대신에, 트레이(tray)가 디스크 드라이브(900)용으로 변형된 지지 구조체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 경우에, 트레이는, 디스크 카트리지(101)를 트레이상에 탑재하기 위해 끌어내어지고, 그 다음 디스크(100)를 디스크 드라이브(900)내로 로딩하고 구동 기구(902) 및 헤드(908)에 대한 소정의 위치에 디스크 카트리지(101)를 놓기 위해 디스크 드라이브(900)내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변형된 지지 구조체로서, 트레이와 위치설정 핀(922)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디스크 드라이브(900)의 작동 방법을 기술할 것이다.
첫째로, 디스크(100)를 그내에 저장하는 디스크 카트리지(101)는 디스크 드라이브(900)내에 로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카트리지(101)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로딩되거나 로딩 기구(loading mechanism)(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자동으로 로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로딩 기구는 디스크 카트리지(101)를 디스크 드라이브(900)의 디스크 카트리지 삽입 슬롯(disc cartridge insert slot)(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도 15에 도시한 위치까지 이송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2에 도시한 오목부(10c)가 로딩 기구와 결합하도록 디스크 카트리지에 제공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트레이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중 어느 것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101)는 구동 기구(902) 및 헤드(908)에 대한 소정의 위치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카트리지(101)가 도 15에 도시한 위치에 안착될 때, 셔터 개폐 기구(918)는 개폐기(16t)와 결합하여서, 화살표(20B)로 나타낸 방향으로 개폐기(16t)를 미끄럼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 1 및 제 2 셔터(16, 15)는 결국 헤드 액세스 윈도우(11h)와 고정 구멍(11c)을 개방하여 노출하기 시작한다. 또한,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셔터 개폐 기구(918)는 제 1 셔터(16)에 의해 디스크 유지 부재(12a)를 해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디스크(100)는 디스크 유지 부재(12a)로부터 해제된다. 그 후, 클램퍼(916)를 아암(914)상에 유지하는 아암(914)이 낮춰져서, 클램퍼(916)와 턴테이블(906) 사이에 디스크를 개재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디스크(100)는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디스크 저장부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턴테이블(906)상에 탑재된다.
다음에, 스핀들 모터(904)가 디스크(100)를 회전시키는 동안, 헤드(908)는 디스크(100)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디스크(100)상의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디스크(100)의 데이터 저장 영역을 액세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카트리지(101)를 디스크 드라이브(900)로부터 언로딩하기 위해, 우선, 아암(914)이 상승되어 클램퍼(916)를 디스크(10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셔터 개폐 기구(918)는 개폐기(16t)를 미끄럼 운동하기 위해 화살표(20B)로 표시된 것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 1 및 제 2 셔터(16, 15)가 폐쇄된다. 제 1 및 제 2 셔터(16, 15)가 폐쇄되려고 할 때,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디스크(100)를 제 1 및 제 2 셔터(16, 15)상에 파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셔터가 완전히 폐쇄될 때, 디스크 유지 부재(16, 15)는 디스크(100)를 디스크 유지 부재(12a)상에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언로딩 기구(도시하지 않음)는 디스크 카트리지(101)를 디스크 드라이브(900)로부터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에 도시한 디스크 드라이브(900)내로, 디스크 카트리지(101)가 수평방향으로 로딩되게 되어 있다. 변형예로서, 디스크 드라이브(900)는 디스크 카트리지가 수직방향으로 그에 로딩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탑재될 수도 있다. 이것은, 디스크 카트리지가 디스크 드라이브(900)내로 수직방향으로 로딩될 때에도, 디스크 윈도우(12w)내로 돌출하는 디스크 유지 부재(12a)는 디스크(100)가 디스크 윈도우(12w)를 통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돌출 영역은 디스크가 저장될 돌출 영역과 거의 동일할 수 있다. 2개의 셔터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식 부재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개의 셔터중 하나는 증가된 속도로 개폐하여 소형 카트리지내에서도 비교적 큰 헤드 액세스 윈도우에 대해 매끄럽게 셔터를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소형 카트리지의 헤드 액세스 윈도우는 대형 카트리지의 헤드 액세스 윈도우만큼 크고, 이에 따라 소형 카트리지와 대형 카트리지간의 호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단일면 디스크를 저장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본체는 디스크의 데이터 저장면만 덮고 그의 다른 면을 노출하도록 설계되어서, 카트리지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킨다.
또한, 셔터를 디스크 카트리지의 일면만을 덮는 형상으로 설계함으로써, 셔 터는 단순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유지 부재는 셔터 또는 카트리지 본체에 대해 디스크를 가압함으로써 디스크를 유지한다. 따라서, 디스크는 카트리지 본체내에서 불규칙하게 움직일 수 없고, 디스크의 데이터 저장면상에 먼지가 전혀 부착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윈도우를 통해 디스크의 라벨면을 표시함으로써 심미감이 양호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의 작은 돌출 영역용으로 비교적 큰 헤드 액세스 윈도우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 결과, 얇고 방진성(dustproof)이 높고 심미감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캠코더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디스크 드라이브중 어느 것에 적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다양한 기록 장치의 포맷을 따르는 디스크 저장 매체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방진성이 있어서 고밀도의 저장 매체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쉽게 크기 축소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디스크 카트리지는 예컨대 디스크 카트리지용 소형 디스크 드라이브내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만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으로 부터 일탈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31)

  1.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 저장부, 고정 구멍 및 헤드 액세스 윈도우를 구비하는 카트리지 본체로서, 상기 디스크 저장부는 디스크가 상기 디스크 저장부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크를 그 내부에 저장하고; 상기 고정 구멍은 디스크를 외부에서 고정하도록 상기 디스크 저장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 액세스 윈도우는 상기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디스크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헤드가 상기 디스크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디스크 저장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디스크 저장부내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헤드 액세스 윈도우를 노출하거나 덮기 위해, 상기 디스크 저장부내에 제공되는 제 1 셔터 및 제 2 셔터와,
    상기 디스크 저장부내에서 회전하도록 제공되고 또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와 상호 결합하는 회전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그리고 각각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식 부재와 상호 결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2.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 저장부, 고정 구멍 및 헤드 액세스 윈도우를 구비하는 카트리지 본체로서, 상기 디스크 저장부는 디스크 윈도우와 저부를 갖고 있고 제 1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그 내부에 저장하여 상기 디스크가 상기 디스크 저장부내에서 회전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디스크의 제 1 면이 상기 디스크 윈도우를 통해 노출되고; 상기 고정 구멍은 디스크를 외부에서 고정하도록 상기 디스크 저장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 액세스 윈도우는 상기 디스크의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제 2 면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헤드가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디스크 저장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디스크 저장부내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헤드 액세스 윈도우를 노출하거나 덮기 위해, 상기 디스크 저장부내에 제공되는 제 1 셔터 및 제 2 셔터와,
    상기 디스크 저장부내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디스크 저장부의 저부상에 제공되고, 제 1 및 제 2 셔터와 상호 결합하는 회전식 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상기 디스크가 상기 카트리지 본체상에 고정되도록 상기 디스크를 유지하는 디스크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그리고 각각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식 부재와 상호 결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유지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하려고 할 때 디스크를 상기 디스크 유지부상에 유지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와 상호 결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유지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방하려고 할 때 상기 디스크를 해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셔터는 상기 고정 구멍 둘레에 아치형의 제 1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셔터는 상기 고정 구멍 둘레에 아치형의 제 2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 저장부는 상기 고정 구멍 둘레에 아치형의 제 3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는 그의 외측 에지를 따라 제 4 볼록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디스크 유지부는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을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볼록부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를 상기 디스크 유지부상에 유지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상의 데이터 저장 영역이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볼록부와 제 4 볼록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디스크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내에 고정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상기 헤드 액세스 윈도우와 정렬하는 노치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크 저장부는 상기 저부의 외주부를 따라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디스크 유지 부재는 상기 디스크를 상기 디스크 유지부상에 유지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상기 디스크의 외측면이 상기 노치가 위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디스크 저장부의 측벽과 접촉하도록 상기 디스크 저장부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중심이 편위된 상태로 상기 디스크 저장부에 대해 상기 디스크를 고정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유지부는 제 1 디스크 유지 부재와, 제 2 디스크 유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제 1 디스크 유지 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외측면이 상기 디스크 저장부의 측벽과 접촉하도록 상기 디스크에 외향력을 가하고, 상기 제 2 디스크 유지 부재는 상기 디스크 저장부의 저부쪽으로 힘을 가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셔터는 그의 외측 에지 둘레에 상기 노치를 형성하는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 1 디스크 유지 부재는 상기 노치를 통해 상기 디스크에 힘을 가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방되려고 할 때, 상기 제 1 셔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디스크 유지 부재가 상기 제 1 셔터의 측벽과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에 힘을 가하는 것을 중지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셔터는 상기 측벽의 내부면 근방에 가이드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디스크 유지 부재는 상기 디스크 윈도우쪽으로 돌출하도록 탄성 부재를 거쳐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방되려고 하는 동안, 상기 제 2 디스크 유지 부 재는 상기 가이드 리브와 접촉하고 상기 가이드 리브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디스크를 해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유지부는, 하측으로 테이퍼진 슬로프를 갖고 상기 디스크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크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를 상기 디스크 유지부상에 파지하여 상기 슬로프를 상기 디스크의 외측면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를 상기 카트리지에 고정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유지부는 상기 디스크 윈도우쪽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카트리지에 제공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셔터는 그의 외측 에지 둘레에 측벽과, 상기 측벽의 내부면 근방에 가이드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방되려고 하는 동안, 상기 디스크 유지부는 상 기 가이드 리브와 접촉하고 상기 가이드 리브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디스크를 해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유지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는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도록 상기 디스크 저장부내에 제공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부재는 기어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는 제 1 래크와, 제 2 래크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래크는 그들의 중심이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도록 아치형이고, 서로 상이한 반경을 가지며, 상기 회전식 부재와 결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는 상기 회전식 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제 1 개구부와 제 2 개구부를 각각 구비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셔터의 제 1 래크는 상기 제 1 개구부의 일부를 규정하고, 상기 제 2 셔터의 제 2 래크는 상기 제 2 개구부의 일부를 규정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폐되는 동안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의 회전 중심과 상기 회전식 부재의 회전 중심을 함께 연결하는 라인을 따라 상기 회전식 부재와 결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는 약 1.2 내지 약 3의 회전 속도비로 회전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2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의 단부는 상기 헤드 액세스 윈도우의 돌출 영역에서 서로 중첩하여, 상기 헤드 액세스 윈도우를 덮는
    디스크 카트리지.
  2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의 두께의 합과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는 기어인
    디스크 카트리지.
  2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상의 제 1 지점까지의 거리가 Rin이고,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 1 지점은 상기 디스크 저장 영역의 내측 경계보다 상기 디스크의 중심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디스크 저장 영역의 내측 경계 근방에 규정되고;
    상기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상의 제 2 지점까지의 거 리가 Rout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디스크 저장 영역의 외측 경계보다 상기 디스크의 외측 에지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디스크 저장 영역의 외측 경계 근방에 규정되고;
    높이(S)를 갖는 공간이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 하부에 제공될 필요가 있고;
    Rout의 반경을 갖는 제 1 원이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상에 규정되고;
    (Rout-1.2S)의 반경을 갖는 제 2 원이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0.3S의 거리만큼 분리되고 상기 제 2 면에 평행한 평면상에 규정되며;
    (Rout-16.2S)의 반경을 갖는 제 3 원이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거리(S)만큼 분리되고 상기 제 2 면에 평행한 평면상에 규정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공간은, 상기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측정할 때 Rin의 저부 반경 및 높이(S)를 갖는 원형 실린더를, 제 1 및 제 2 절두 원추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며, 상기 제 1 절두 원추의 저부 및 상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에 의해 각각 규정되고, 상기 제 2 절두 원추의 저부 및 상부는 상기 제 2 및 제 3 원에 의해 각각 규정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S는 1mm이고, 상기 Rin은 20mm이며, 상기 Rout는 39mm 또는 59mm인
    디스크 카트리지.
  27. 데이터 저장 매체에 있어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디스크 카트리지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데이터 저장부내에 저장되고 데이터를 기록할 준비가 되어 있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매체.
  2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디스크 카트리지가 로딩되고,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내에 저장되는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디스크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설계된
    디스크 드라이브.
  29.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디스크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헤드와,
    상기 디스크를 그 내부에 저장하는 제 2 항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상기 구동 수단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하는 지지 구조체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하고, 상기 디스크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저장부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크 유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크를 해제시키는 셔터 개폐 기구를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를 상기 구동 수단상에 탑재하는 클램퍼를 더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를 고정하는 위치설정 핀을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KR1020047020051A 2003-04-09 2004-04-06 디스크 카트리지, 데이터 저장 매체 및 디스크 드라이브 KR100699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05277 2003-04-09
JPJP-P-2003-00105277 2003-04-09
JPJP-P-2003-00433372 2003-12-26
JP2003433372 2003-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083A KR20050042083A (ko) 2005-05-04
KR100699644B1 true KR100699644B1 (ko) 2007-03-23

Family

ID=33161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051A KR100699644B1 (ko) 2003-04-09 2004-04-06 디스크 카트리지, 데이터 저장 매체 및 디스크 드라이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03901B2 (ko)
EP (1) EP1629497B1 (ko)
JP (1) JP4592684B2 (ko)
KR (1) KR100699644B1 (ko)
CA (1) CA2484524C (ko)
DE (1) DE602004021801D1 (ko)
MY (1) MY137393A (ko)
TW (1) TWI338282B (ko)
WO (1) WO20040908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0829A (ja) * 2003-04-03 2004-11-04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CN1867996A (zh) * 2003-11-10 2006-11-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盘盒
US20120271123A1 (en) 2010-06-09 2012-10-25 Mark Castle Integrated lanc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0577A (ja) * 1985-03-15 1986-09-18 Seiko Epson Corp カ−トリツジ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7175U (ja) * 1983-09-07 1985-04-0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デイスクカ−トリツジ
NL8401672A (nl) * 1984-05-25 1985-12-16 Philips Nv Houder voor een starre informatieplaat alsmede systeem omvattende een dergelijke houder en een daarmee samenwerkend laadmechanisme.
JPS6168782A (ja) * 1984-09-12 1986-04-09 Sony Corp デイスクカ−トリツジ
JPS61104381A (ja) 1984-10-22 1986-05-22 Fuji Photo Film Co Ltd デイスクカ−トリツジ
US4613044A (en) * 1984-12-21 1986-09-23 Nikkodo Co., Ltd. Compact disc case
DE3581391D1 (de) * 1985-01-07 1991-02-21 Polygram Gmbh Tablett zur aufnahme und halterung einer steifen kreisfoermigen informationsplatte sowie kombination eines solchen tabletts mit einer aufbewahrungskassette.
JPS6329278U (ko) * 1986-08-07 1988-02-26
US4773061A (en) * 1986-10-27 1988-09-20 Eastman Kodak Company Carrier for data storage disk
NL8701345A (nl) * 1987-06-10 1989-01-02 Philips Nv Houder bestemd voor het opnemen van een plaat, alsmede verpakking omvattende een dergelijke houder met een daarin opgenomen plaat.
JPH0544923Y2 (ko) 1988-10-26 1993-11-16
JPH02214081A (ja) * 1989-02-13 1990-08-27 Gunma Nippon Denki Kk 光ディスク用カートリッジ
DE4116344A1 (de) * 1990-05-23 1991-11-28 Tdk Corp Diskettenkassette
JP2766384B2 (ja) 1990-07-06 1998-06-18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5499233A (en) * 1994-06-20 1996-03-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disk carrier with write-protect mechanism
JPH09153264A (ja) 1995-11-29 1997-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6243350B1 (en) * 1996-05-01 2001-06-05 Terastor Corporation Optical storage systems with flying optical heads for near-field recording and reading
TW396334B (en) * 1996-07-12 2000-07-01 Sony Corp Disk tray and tray allocation box
JPH1031856A (ja) 1996-07-15 1998-02-03 Aka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保持装置
JPH10172227A (ja) * 1996-12-11 1998-06-26 Victor Co Of Japan Ltd ライトプロテクタ及び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TW378316B (en) * 1997-12-16 2000-0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c cartridge and adapter
JPH11238335A (ja) 1998-02-19 1999-08-31 Sony Corp リムーバブル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6111726A (en) * 1998-04-28 2000-08-29 Imation Corp. Data storage cartridge with rotary shutter
JPH11339424A (ja) 1998-05-22 1999-12-10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0011574A (ja) * 1998-06-26 2000-01-14 Toshiba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備えたカートリッジシステム
JP2000090628A (ja) * 1998-07-13 2000-03-31 Sony Corp ディスクカ―トリッジ
JP3042507B2 (ja) 1998-07-31 2000-05-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0113630A (ja) 1998-10-05 2000-04-21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362879B2 (ja) * 1998-10-29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BE1012279A3 (fr) * 1998-11-18 2000-08-01 Staar Sa Boitiers pour support de donnees.
JP3840346B2 (ja) * 1999-01-08 2006-11-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DE60000078T4 (de) * 1999-06-04 2003-07-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lattenkassette
JP3500408B2 (ja) * 1999-09-20 2004-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1256752A (ja) * 2000-03-09 2001-09-21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1283556A (ja) * 2000-03-31 2001-10-12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296683B2 (ja) 2000-03-31 2009-07-1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TW522385B (en) * 2000-05-17 2003-03-01 Sony Corp Disk cartridge
JP4089140B2 (ja) * 2000-07-28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666646B2 (ja) * 2000-12-08 2005-06-29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ディスクドライブ
JP3416675B2 (ja) * 2001-01-12 2003-06-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6820275B2 (en) * 2001-03-16 2004-11-16 Fuji Photo Film Co., Ltd. Disc cartridge with transparent windows
JP2003022580A (ja) * 2001-05-02 2003-01-24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記録担体、情報記録担体の製造方法、情報記録担体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担体記録装置
EP1274082B1 (en) * 2001-07-06 2006-12-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cartridge
US6910219B2 (en) 2001-07-06 2005-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cartridge
TWI241562B (en) 2001-10-18 2005-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k cartridge
CN1253889C (zh) * 2001-11-05 2006-04-26 索尼公司 用于封装记录介质的盘盒
CN100466092C (zh) * 2001-11-09 2009-03-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盘盒及用于该盘盒的盘驱动器
JP3919084B2 (ja) * 2001-11-21 2007-05-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3242740A (ja) * 2002-02-15 2003-08-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100604497B1 (ko) * 2002-07-26 2006-07-24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0577A (ja) * 1985-03-15 1986-09-18 Seiko Epson Corp カ−トリツ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90894A1 (en) 2004-10-21
CA2484524A1 (en) 2004-10-21
EP1629497B1 (en) 2009-07-01
US7103901B2 (en) 2006-09-05
EP1629497A1 (en) 2006-03-01
DE602004021801D1 (de) 2009-08-13
TWI338282B (en) 2011-03-01
CA2484524C (en) 2007-10-02
JP2006522992A (ja) 2006-10-05
MY137393A (en) 2009-01-30
JP4592684B2 (ja) 2010-12-01
KR20050042083A (ko) 2005-05-04
US20050120365A1 (en) 2005-06-02
TW200423033A (en) 2004-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0273B2 (en) Disc cartridge
US724936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caling and rotating an image in a single operation
US7216357B2 (en) Disc cartridge having a shutter that includes a convex portion protruding into a center hole of the disc
US7007291B2 (en) Disc cartridge
JPH07320359A (ja) 光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699644B1 (ko) 디스크 카트리지, 데이터 저장 매체 및 디스크 드라이브
US7673311B2 (en) Disc cartridge for storage of a disc
EP1274082A2 (en) Disc cartridge
US7237247B2 (en) Disc cartridge having deeper concave portion continuous with shutter opener/closer groove
JP3776383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20070074239A1 (en) Disc cartridge
JP3776444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776440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77644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525138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8090930A (ja) 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