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 오븐 레인지의 본체 내부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티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형성되고, 전기 오븐 레인지를 구동하는 각종 전장품이 설치되는 전장실;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팬과, 공기를 오븐 레인지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팬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기팬과 배기팬은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전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양흡입식 송풍팬; 상기 전장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며, 상기 흡입팬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배기팬으로 안내하는 팬 하우징; 상기 송풍팬이 작동함에 따라 외기를 상기 송풍팬으로 안내하는 흡기덕트와, 상기 송풍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전기 오븐 레인지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오븐 레인지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오븐 레인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전기 오븐 레인지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음식물 등이 수용되어 조리가 이루어지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티(120)와, 상기 본체(100)의 전면을 이루면서 상기 캐비티(120)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140), 그리고, 상기 캐비티(120)의 상부에서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전장실(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대략 장방체로서, 상면을 이루는 탑 플레이트(101)와, 후면을 이루는 백 플레이트(102), 그리고,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103) 및, 상기 도어(1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장실(130)의 전면을 이루는 컨트롤 패널(131)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20) 내부의 소정 개소(예를 들어, 상면 및 저면)에는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히터(121)가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120)의 후면에는 상기 히터(121)에서 발생한 열을 캐비티(120) 내부로 고르게 전달되도록 상기 캐비티(120)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컨벡션 팬(convection fan)(122)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121)는 통상 세라믹 히터, 할로겐 히터, 또는 그릴 히터 등이 채용된다.
상기 전장실(130)에는 상기 캐비티(120) 내부로 열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150)과 흡기덕트(133)와 배기덕트(134) 및 전기 오븐 레인지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등의 전장품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131)은 상기 전장실(130) 내부의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전기 오븐 레인지의 작동을 입력하고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50)은 상기 흡기덕트(133)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전장실(130) 내부로 공급하여 전장실(130) 및 전장실(13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전장품(미도시)을 냉각시키고, 상기 전장실(130) 내부의 공기를 배기덕트(134)로 안내하여 강제 배출시킨다.
상기 송풍팬(150)은 흡기팬(151)과 배기팬(152)이 하나의 모터(155)에 의해 구동되는 양흡입식 원심팬이다.
즉, 상기 흡기팬(151)과 배기팬(152)은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식 팬이고, 상기 흡기팬(151)과 배기팬(152)의 구동축(156,157)은 상기 모터(155)에서 양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흡기팬(151)과 배기팬(15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덕트(133,134)는 일단이 상기 송풍팬(150)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140)의 상단과 컨트롤 패널(131)의 하단 사이로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흡기덕트(133)과 배기덕트(134)는 상기 송풍팬(150)이 수용되는 팬 하우징(154)에 의해 연통된다. 즉, 상기 흡기덕트(133)에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흡기팬(151)에서 토출되어 상기 팬 하우징(154) 내부를 돌아서, 상기 배기팬(134)로 유입되고, 상기 배기덕트(134)로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 팬 하우징(154)은 상기 송풍팬(150)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상기 흡기팬(133)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배기팬(134)로 안내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팬 하우징(154)에는 상기 전장실(130) 내부의 공기가 직접 팬 하우징(154)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팬 흡입 루버(154a)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140)는 도어(140)의 외측 둘레 및 외관을 형성하는 도 어 프레임(141)과, 상기 도어(140)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도어(140)를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핸들(142)과,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힌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141) 내부에는 사용자가 캐비티(120)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캐비티(12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글래스(146,147,148,149)가 설치된다.
상기 글래스(146,147,148,149)는 대략 도어(140)의 외측면을 이루는 외부 글래스(146)와, 내측면을 이루는 내부 글래스(147) 및, 상기 외부 글래스(146)와 내부 글래스(147)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글래스(148,149) 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간 글래스(148,149)는 2 장의 글래스가 설치되고, 상기 중간 글래스(148,149) 중 상기 외부 글래스(146)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글래스는 제 1 중간 글래스(148), 상기 내부 글래스(147)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글래스를 제 2 중간 글래스(149)라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2 장의 중간 글래스(148,149)를 포함하여 총 4 장의 글래스가 설치되었으나, 설치되는 글래스의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도어(140) 하단에는 외기가 도어(14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 내지는 슬롯(slot)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140) 내부에는 상기 도어(140) 하단에서 유입된 외기가 도어(140) 내부를 유동하는 외기흡입 유로(A,B,C)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글래스(146,147,148,149)가 설치된 순서에 따라 도어(140)의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제 1 외기흡입 유로(A)(즉, 상기 외부 글래스(146)와 제 1 중간 글래스(148) 사이로 형성되는 유로), 제 2 외기흡입 유로(B), 제 3 외기 흡입 유로(C)라 지칭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140)의 상단에서 상기 제 1,2 외기흡입 유로(A,B)가 상기 흡기덕트(133)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40) 하부에서 유입된 차가운 외기는 상기 제1,2 외기흡입 유로(A,B)를 따라 도어(140)의 상단으로 유동하여 상기 흡기덕트(133)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외기흡입 유로(A,B,C)는 별도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도어(140) 내부의 공간 즉, 상기 글래스(146,147,148,149)들 사이의 공간을 활용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외기흡입 유로(A,B,C)는 상기 글래스(146,147,148,149)의 면과 면 사이를 따라 공기가 유동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캐비티(120)에서의 열전달에 의해 상기 도어(140) 및 글래스(146,147,148,149)가 가열되더라도, 상기 외기흡입 유로(A,B,C)를 따라 차가운 외기가 유동하면서 상기 글래스(146,147,148,149)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위험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제 3 외기흡입 유로(C)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2 중간 글래스(149)와 내부 글래스(147) 사이를 완전 단열공간으로 형성하여 상기 캐비티(120)에서의 열전달 차단 효율이 높아지고, 상기 캐비티(120)에서의 열손실 을 최소화하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도어(140)와 접하게 되는 캐비티(120)의 전면 테두리에는 개스킷(gasket)(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도어(140)를 닫으면 도어(140)가 캐비티(120)의 테두리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캐비티(120)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탑 플레이트(101)와 컨트롤 패널(131)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결합부가 일정부분 개구됨으로써,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흡입 루버(111)가 형성된다. 상기 외기흡입 루버(111)는 상기 송풍팬(132)이 작동함에 따라 외기가 직접 상기 전장실(130) 내부로 유입되어 유동함에 따라 전장실(130)의 냉각효과를 높이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기흡입 루버(111)는 상기 송풍팬(150)이 전기 오븐 레인지의 후방쪽에 치우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외기흡입 루버(111)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전장실(130)을 고르게 유동할 수 있도록 전방에 위치한 상기 탑 플레이트(101)와 컨트롤 패널(131)의 결합부에 형성되었으나, 상기 외기흡입 루버(111)의 위치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탑 플레이트(101)와 백 플레이트(102)의 결합부에도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의 탑 플레이트(101)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각 탑 플레이트(101)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외기유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 외기가 유입되는 유로는 상기 도어(140)의 제 1,2 외기흡입 유로(A,B)와, 상기 도어(140)의 하단에서 유입된 외기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3)의 저부를 통과하는 바닥 외기유로(135)와, 상기 백 플레이트(102)를 지나는 후방 외기유로(136) 및, 상기 외기흡입 루버(111)를 통해 유입되는 전방 외기유로(132)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와 같은 외기가 유입되는 유로 중에서 상기 제 1, 2 외기흡입 유로(A,B)가 주 유로로서, 전기 오븐 레인지로 유입되는 외기의 대부분은 상기 제 1, 2 외기흡입 유로(A,B)를 통해 유입된다.
먼저, 상기 제 1,2 외기흡입 유로(A,B)는, 상기 도어(140)의 하단에서 유입된 외기가 상기 도어(140)의 외부 글래스(146)와 중간 글래스(147,148)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상기 도어(140)의 상단의 흡기덕트(133)로 유입되는 유로이다. 상기 제1,2 외기흡입 유로(A,B)는 상술하였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 외기유로(135)는 상기 도어(140)의 하단부에서 유입된 외기가 베이스 플레이트(103)와 캐비티(120)의 저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전기 오븐 레인지의 후방으로 유동하면서 캐비티(120) 및 전기 오븐 레인지의 하부를 냉각시키는 유로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3)와 상기 캐비티(120) 저부 사이의 공간에는 히터(121)가 설치되는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3)와 히터(121)의 사이가 비교적 가깝기 때문에, 상기 히터(121)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3) 및 더 나아가 장(欌)에 열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변형이 발 생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3)는 저부에서 전기 오븐 레인지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3)가 변형되는 경우 제품의 성능 및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3)에 "∩" 형상의 단면을 갖는 바닥 덕트(103a)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3)를 집중냉각시키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3)에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들과 유입되는 외기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유로저항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닥덕트(103a)는 상기 바닥 외기유로(135)가 되는 공간을 확보함과 더불어, 상기 캐비티(120)의 저부에서 상기 히터(121) 및 캐비티(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덕트(103a)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캐비티(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03) 사이의 공간을 바닥 외기유로(135)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공간에서의 공기 유동이 불균일하게 된다. 즉, 상기 히터(121)가 설치된 부분인 중앙부분과 비교적 히터(121)의 영향을 적게 받는 모서리 부분에서의 온도분포가 불균일함에 따라, 캐비티(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03) 사이의 간격이 불균일해지게 되어 공기의 유동 역시 불균일하게 된다. 특히, 히터(121)가 설치되어 있는 중앙부분에서의 기류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바닥덕트(103a)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캐비티(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03)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그 중앙부분과 모서리 부분에서의 유동 불균형을 해소시킴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후방 외기유로(136)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후방 외기유로(136)는 상기 바닥 외기유로(135)에서 유입된 외기를 상기 전장실(130)로 안내하는 유로이다.
이때, 상기 본체(100) 후방에서 굴뚝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백 플레이트(102) 내부의 공간과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백 플레이트(102)의 내측 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는 경우, 상기 바닥 외기유로(135)를 지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3) 및 캐비티(120)를 냉각시켰기 때문에 이미 유입된 외기의 온도가 상승된 상태인데, 상기 백 플레이트(102)의 내측을 지나면서, 상기 백 플레이트(102)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벡션 히터(convection heater)(미도시)에 의해 재가열되므로 상기 전장실(130)에 유입되었을 때는 냉각효과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후방 외기유로(136)는 상기 백 플레이트(102) 내부와는 분리된 공간으로서, 상기 백 플레이트(102)의 양측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후방 외기유로(136)의 일측에는 외기가 상기 후방 외기유로(136)로 직접 유입될 수 있도록 냉각 루버(136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 외기유로(136)에서 상기 바닥 외기유로(135)에서 유입된 외기에 상기 냉각 루버(136a)에서 차가운 외부 공기를 섞어줌으로써 외기의 온도를 낮추어 상기 전장실(130)로 비교적 저온의 외기를 공급하여 전장실(130)의 냉각 효율을 좀더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외기유로(132)는 상기 외기흡입 루버(111)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후방에 설치된 송풍팬(150) 쪽으로 유동하면서 전장실(130)을 냉각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외기흡입 루버(111)가 전방에 형성되므로, 전장실(130)의 전방에 설치되는 부품의 냉각에 효과적이고, 특히, 상기 컨트롤 패널(131) 및 상기 컨트롤 패널(131)에 실장되는 부품의 냉각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팬 하우징(154)에 형성된 팬 흡입 루버(154a)는 상기 전장실(130) 내부 공기를 상기 배기덕트(134) 쪽으로 배출되도록 강제함으로써 상기 전장실(130) 내부의 공기 유동을 강제하여 송풍팬(150)의 흡입력이 미치는 영향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전방 외기유로(132) 및 후방 외기유로(136) 등 전기 오븐 레인지 내부의 공기 유동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기덕트(133)와 배기덕트(134)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흡기덕트(133)와 배기덕트(134)는 일단이 상기 송풍팬(15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140)와 컨트롤 패널(131) 사이로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기덕트(133)는 상기 도어(140)의 제 1,2 외기흡입 유로(A,B)와 연통되어 상기 제 1,2 외기흡입 유로(A,B)에서 유입된 외기를 상기 흡기팬(151)로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덕트(134)는 상기 배기팬(15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도어(140)의 상단부로 안내하여 외부로 배기시킨다.
여기서, 상기 흡기덕트(133)와 배기덕트(134)는 상하방향으로 2층을 이루도 록 설치된다. 즉, 상기 흡기덕트(133)는 상기 제 1,2 외기흡입 유로(A,B)와 연통되어야 하므로, 상기 배기덕트(134)의 하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팬(152)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배기팬(152)에서 토출될 때의 유동상태와, 상기 배기덕트(134)의 형상이 상기 배기팬(152)이 설치된 쪽에 비해 출구가 해당하는 도어(140) 쪽이 더 넓은 단면을 가지게 형성되는 것 때문에, 배기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덕트(152)의 단부에서는 넓게 확산된다.
그런데, 배기되는 공기의 온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배기되는 공기가 배기덕트(134) 또는 도어(140)에 부딪히면서 열전달이 발생하여 장이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배기덕트(134)의 단부에 공기의 풍향 가이드(134a)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기덕트(134) 단부에서의 공기의 확산을 일정 영역 안으로 제한하게 되어, 배기에 의해 장이 가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풍향 가이드(134a)는 상기 배기덕트(134)에서 도어(140) 쪽 단부에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직선구간을 형성하여 상기 풍향 가이드(134a)를 지나는 동안 공기가 선형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흡기팬(151)과 배기팬(152) 사이에는 흡기와 배기를 구획하는 팬 가이드(153)가 설치된다.
상기 팬 가이드(153)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기팬(151) 및 배기팬(152)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판으로서, 상기 흡기팬(151)과 배기팬(152)를 지지함과 더불어, 흡기와 배기가 섞이지 않도록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흡기팬(151)과 배기팬(152)의 둘레에는 상기 각 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역류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흡기팬(151)과 배기팬(15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 하는 제 1 유로 가이드(153a)와 제 2 유로 가이드(153b)가 설치된다.
상기 각 유로 가이드(153a,153b)는 상기 흡기팬(151)과 배기팬(152)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일정한 높이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팬(151,152)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에는 소정 구간 개구부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유로 가이드(153a)는 상기 흡기팬(151)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팬(152) 쪽으로 안내하도록 후방이 개구된 원주형으로 형성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유로 가이드(154b)는 상기 배기팬(152)에서 토출되는 공기 배기덕트(133)로 토출되도록 전방이 개구된 원주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각 유로 가이드(153a,153b)의 형상은 일부가 개구된 원주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흡기덕트(133)으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제 1 유로 가이드(153a)를 넘어서 상기 흡기팬(151)으로 유입되어, 후방의 개구부를 통해 토출되어, 상기 팬 하우징(154)의 내벽을 따라 유동하여 상부에 위치한 상기 배기팬(152) 쪽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팬(152) 쪽으로 유입되는 외기는 상기 제 2 유로 가이드(153b)를 넘어서 상기 배기팬(152)으로 유입된 후, 전방의 제 2 유로 가이드(153b) 의 개구부를 통해 배기덕트(134)로 토출된다.
다음으로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침투 방지단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탑 플레이트(101)에는 외기가 상기 전장실(130)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흡입 루버(111)가 형성되는데, 상기 외기흡입 루버(111)를 통해 전장실(130)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침투 방지단(111a,111b,111c,111d)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침투 방지단(111a,111b,111c,111d)은 상기 외기흡입 루버(111)가 형성되는 탑 플레이트(101)가, 상기 탑 플레이트(101)의 다른 부분에 비해 소정 높이로 돌출된 단차부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탑 플레이트(101)의 단부가 상기 컨트롤 패널(131)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외기흡입 루버(111)를 형성하되, 상기 컨트롤 패널(131)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컨트롤 패널(131)로 삽입되는 단부는 물이 전장실(130) 내부로 유입되기 어렵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더 나아가 물의 진행방향에 대해 절곡부를 형성하여 물의 흐름을 방해하도록 형성된다.
즉,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물침투 방지단(111a,111b,111c,111d)은 그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도면에 도시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