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4498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84498A KR20240084498A KR1020230175968A KR20230175968A KR20240084498A KR 20240084498 A KR20240084498 A KR 20240084498A KR 1020230175968 A KR1020230175968 A KR 1020230175968A KR 20230175968 A KR20230175968 A KR 20230175968A KR 20240084498 A KR20240084498 A KR 202400844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haust
- cooking appliance
- disposed
- door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05B6/6423—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wherein the microwave oven air circulation system is also used as air extracting hoo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조리기기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한 후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팬 어셈블리가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의 측부측 및 후방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 기능과 후드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챔버, 즉 조리실이 본체의 내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밀폐형 조리기기 중 전자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켜서 조리실 내부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침투시켜, 내부에서 분자운동을 일으키는 것에 의하여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조리장치이다.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의 고주파를 조리물에 조사시켜 그 내부 및 외부를 동시에 가열하는 주방용 기구로서, 열효율이 높아 조리물의 조리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조리물의 조리나 해동 및 데우기 과정에서 영양가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조리물을 용기에 저장한 채로 직접 조리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된다.
근래에는, 후드 기능을 구비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일명 OTR(Over the range) 타입 전자레인지가 출시되고 있다.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그 하방에 설치되는 조리기기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이하, '조리 가스'라 한다)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여과 후 실내로 배출하는 후드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는,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기 위한 팬이 구비된다. 이러한 팬은, 통상적으로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의 상부측에 배치된다. 즉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서, 팬은 캐비티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위치에 팬이 배치되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하단에 배치된 흡입구와 팬 간의 거리가 캐비티의 상하방향 길이 이상의 거리만큼 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흡입구와 팬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조리 가스 포집 성능은 낮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팬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 기류의 유속은, 팬으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형태로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위치에 팬이 배치되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전체의 상하방향 길이가 증가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상하방향 길이가 증가되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상부 수납장에 설치되었을 때,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상부 수납장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상부 수납장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면, 마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상부 수납장 하부에 설치된 쿡탑과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상부 수납장의 하측으로 돌출되면서 쿡탑과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 쿡탑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시야를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가리는 문제, 쿡탑의 조리 영역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리기기 전체의 상하방향 길이 증가를 억제하면서 후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기기 전체의 부피 증가를 억제하면서 조리기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동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조리기기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한 후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팬 어셈블리가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조리기기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한 후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팬 어셈블리가 조리기기 내부에 배치되되, 캐비티의 후방측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조리기기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한 후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팬 어셈블리가 조리기기 내부에 배치되되,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의 배면과 조리기기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조리기기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한 후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팬 어셈블리가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의 측부측 및 후방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캐비티의 측부측에는 캐비티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팬 어셈블리에 비해 크기가 작은 팬 어셈블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조리기기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한 후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팬 어셈블리가 조리기기 내부에 배치되고, 이 팬 어셈블리에 의해 조리기기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배기구가 조리기기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조리기기 내부에서 조리실을 형성하는 본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한 후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팬 어셈블리가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이 팬 어셈블리에 의해 본체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본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배기구가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조리기기의 내부에서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와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사이에 배치된 전면 플레이트에 상기 배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며, 흡기구 및 배기구가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토출하는 송풍부; 및 상기 배기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도어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상기 도어에 형성하는 도어배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는, 함몰면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몰면은, 상기 함몰면을 제외한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나머지 영역보다 후방으로 함몰된 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구는, 상기 함몰면에 마련되며,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배기부는, 상기 도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함몰면과 전후방향으로 맞닿으며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캐비티, 및 상면이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는 캐비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구는, 상기 캐비티의 상면과 상기 캐비닛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공간부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풍부는, 흡입한 공기를 상기 상부공간부로 토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의 배후측에 배치되는 리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부는, 상기 캐비티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배후공간부에 배치되는 팬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부는,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팬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풍부는, 상기 조리실의 측방측에 형성된 측부공간부에 배치되는 제2팬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배기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측 및 상기 도어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배기부는, 상기 도어의 상단에 배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배기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배기부는, 상기 배기구와 상기 배기본체부 내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도어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배기부는, 상기 배기본체부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본체부 외부로 배출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하는 도어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배기구는, 상기 도어유입구보다 전방 및 상방으로 더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유입구는, 상기 본체와 마주보는 상기 도어배기부의 배면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배기구는, 상기 배기본체부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부흡기구 및 상부배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와 상기 상부흡기구 및 상기 상부배기구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게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리실의 측방측에 형성된 측부공간부에 배치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와 상기 상부흡기구 및 상기 상부배기구 중 상기 상부흡기구가 상기 측부공간부 또는 상기 냉각팬에 가장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후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송풍부가 캐비티의 상부측이 아닌 측부측 또는 배후측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상하방향 길이 증가를 억제하며 후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부공간부와 배후공간부에 모두 팬 어셈블리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부공간부에는 좁은 공간에 배치되기에 더 적합한 제2팬 어셈블리가 배치되고, 측부공간부에 비해 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배후공간부에는 성능이 더 높은 제1팬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송풍부를 구비함으로써, 조리기기의 크기 증가를 억제하면서 더욱 향상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구와 일직선 상으로 연결된 배후공간부에 제1팬 어셈블리가 배치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유동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더욱 향상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의 설치 공간이 상부공간부에서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컴팩트한 사이즈를 유지하며 조리 가스의 여과 및 실내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수납장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조리기기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쿡탑 사용자의 시야 방해 및 조리기기와의 충돌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리기기 및 그 주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1팬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2팬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팬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배기 및 냉각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1팬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2팬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팬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배기 및 냉각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조리기기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조리기기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조리기기의 도어 앞에서 조리기기를 바라볼 때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캐비티(11)과 캐비닛(13) 및 베이스 플레이트(14)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11)는, 본체(10)의 내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티(11)는,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11)의 내부에는, 조리실(10a)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0a)은, 캐비티(11)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즉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0a)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리실(10a)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10a)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면서 요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조리기기에서는, 조리실(10a)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캐비티(11)의 전방에는, 전면 플레이트(1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 플레이트(12)는, 캐비티(11)의 전방에서 본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면 플레이트(12)는 중공이 형성된 금속판 형태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캐비닛(13)은, 캐비티(11)의 외측에서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닛(13)은, 캐비티(11)를 상부 및 측부에서 덮으며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4)는, 캐비티(11)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4)는, 조리기기의 저면을 형성하며, 캐비티(11)의 하부측에서 캐비티(11)를 커버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0)는, 리어 플레이트(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15)는, 캐비티(11)의 배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리어 플레이트(15)는, 조리기의 배면을 형성하며, 캐비티(11)의 후방측에서 캐비티(11)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15)는, 캐비닛(13)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캐비닛(13)과 별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10)의 전방에는, 조리실(10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0)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어(20)는, 그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측방향 타측이 좌우로 회동하는 사이드 스윙(Side-swing) 방식으로 조리실(10a)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2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와 도어(20) 사이에는, 힌지가 설치될 수 있다. 힌지는, 본체(10)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도어(20)의 측방향 일측을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의 전면에서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조리실(10a)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조리실(10a) 내 가열을 위한 조리실 열원이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 열원은 한 가지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고, 두 가지 이상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조리실 열원은 조리실(10a) 내부에 고주파 열원을 공급할 수 있는 마그네트론(Magnetron)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마그네트론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조리실(10a)의 상부 또는 측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본체(10) 내 조리실(10a)의 상부 또는 측부에 위치되는 전장실(10b)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트론 및 전장실(10b)이 조리실(10a)의 측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전장실(10b)의 내부에는, 마그네트론, 고압트랜스 등의 전장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0)의 전방측에는, 컨트롤패널(30)이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컨트롤패널(30)은 도어(20)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제공될 수 있다. 입력부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컨트롤패널(30)은 캐비티(11)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30)은 조리실(10a)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조리실(10a)의 측부에는 전장실(10b)이 배치될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30)은 전장실(10b)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송풍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에는, 흡기구(101)와 제1배기구(103) 및 제2배기구(105)가 마련될 수 있다.
송풍부(100)는, 조리기기의 내부에 수용되며, 흡기구(101)를 통해 조리 가스를 흡입하고, 흡입한 조리 가스를 제1배기구(103)와 제2배기구(1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후드 기능과 관련된 구성들의 전반적인 구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흡기구(101)는 조리기기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흡기구(101)는 베이스 플레이트(14)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흡기구(101)는, 조리 가스가 조리기기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조리기기의 하단에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흡기구(101)가 후술할 측부공간부(10c)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배기구(103) 및 제2배기구(105)는, 조리기기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배기구(103) 및 제2배기구(105)는,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조리기기의 상단에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배기구(103) 및 제2배기구(105)는 캐비닛(13)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배기구(103) 및 제2배기구(105)는, 캐비닛(13)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제1배기구(103)는, 본체(1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배기구(105)는, 본체(1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배기구(105)는, 도어(20)에 인접한 측에 배치되며, 제1배기구(103)에 비해 전방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배기구(103)는,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배기구(105)는,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배기구(103)는 조리기기의 상측에 설치된 상부 수납장과 상하방향으로 중첩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배기구(105)는, 상기 상부 수납장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배기구(103)는, 본체(10)의 측방향 대략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전방측에는, 복수개의 제2배기구(105)가 측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10)의 측방향 대략 중앙에 배치된 제1배기구(103)는, 실외와 연결된 배기덕트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배기구(105)는, 상부 수납장의 전방측에서 조리기기의 상측을 향해 조리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조리 가스는, 조리기기의 내부에서 여과된 상태로 제2배기구(10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부는, 캐비티(11)와 캐비닛(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는, 측부공간부(10c)와 배후공간부(10d)로 구분될 수 있다. 측부공간부(10c)는, 캐비티(11)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후공간부(10d)는, 캐비티(11)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측부공간부(10c)는 캐비티(11)의 측면과 캐비닛(13)의 측면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그리고 배후공간부(10d)는, 캐비티(11)의 배면과 리어 플레이트(1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측부공간부(10c) 중 어느 하나에는, 전장실(10b)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패널(30)의 후방측에 배치된 측부공간부(10c)에 전장실(10b)이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송풍부(100)는,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송풍부(100)는 공간부, 즉 캐비티(11)와 캐비닛(13)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팬 어셈블리(110)를 포함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10)는, 조리기기 외부의 조리 가스를 흡입한 후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 어셈블리(110)는, 흡기구(101)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시키기고 유입된 조리 가스를 제1배기구(103)와 제2배기구(1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송풍부(100)에 마련되는 팬 어셈블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기구(101)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배후공간부(10d)를 통과한 후 제1배기구(103) 또는 제2배기구(10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10)의 구체적인 배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체(10)의 내부에는, 상부공간부(10e)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부공간부(10e)는, 캐비티(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공간부(10e)는, 캐비티(11)의 상면과 캐비닛(13)의 상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공간부(10e)는, 측부공간부(10c) 및 배후공간부(10d)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배후공간부(10d)로 유입된 공기는, 상부공간부(10e)를 통과하여 제1배기구(103) 또는 제2배기구(105)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측부공간부(10c)로 유입된 공기도, 상부공간부(10e)를 통과하여 제1배기구(103) 또는 제2배기구(105)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전장실(10b)의 내부에는, 냉각팬(16; 도 18 참조)이 마련될 수 있다. 냉각팬(16)은, 전장실(10b)에 설치되는 전장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냉각팬(16)은, 전장실(10b) 내부로 유입된 후 조리실(10a)을 통과하여 제2배기구(105)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냉각팬(16)은 제2배기구(1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외부 공기를 전장실(10b)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전장실(10b)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10b) 내부의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후, 조리실(10a)로 배출될 수 있다. 전장실(10b)에서 조리실로(10a)로 배출된 공기는, 복수개의 제2배기구(1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1팬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2팬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송풍부(100)는 제1팬 어셈블리(110)와 제2팬 어셈블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제1팬 어셈블리(110)는, 도 2 내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하우징(111)과 임펠러(113) 및 팬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팬하우징(111)은, 제1팬 어셈블리(110)의 외관을 형성하며, 임펠러(113)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팬하우징(111)의 측부에는, 흡입구(111a)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1a)는, 제1팬 어셈블리(110) 외부의 공기가 임펠러(113)의 내부로 흡입되는데 필요한 통로를 팬하우징(111)에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팬하우징(111)은 양측부가 개방된 누운 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팬하우징(111)의 개방된 양측부가 흡입구(111a)로 제공될 수 있다.
팬하우징(111)의 내부에는, 임펠러(113)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111)의 내부에는 임펠러(113)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수용공간과 마주보는 팬하우징(111)의 내주면은 임펠러(113)의 외주면을 감싸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11b)는, 팬하우징(111)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111b)는, 임펠러(113)가 수용된 수용공간으로 흡입된 공기가 송풍부(100)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토출구(111b)는 팬하우징(111)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구(111a)를 통해 측방향으로 팬하우징(111)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토출구(111b)를 통해 팬하우징(111)의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임펠러(113)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임펠러(113)의 내부에는 임펠러(113)의 측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임펠러(113)는, 팬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팬모터의 회전축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이러한 팬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임펠러(113)는, 팬모터의 회전축과 함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팬 어셈블리(110)는, 한 쌍의 임펠러(113) 및 팬하우징(111)이 팬모터의 양측에 배치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임펠러(113)와 팬하우징(111)의 조립체를 '팬모듈'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에 따르면, 제1팬 어셈블리(110)는 팬모터의 양측에 한 쌍의 팬모듈이 연결된 형태로 마련된다고 할 수 있다.
제1팬 어셈블리(110)에서, 팬모터는 그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임펠러(113)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팬모터와 한 쌍의 팬모듈을 포함하는 제1팬 어셈블리(110)는, 제1팬 어셈블리(110)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흡입구(111a)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제1팬 어셈블리(110)의 상측에 배치된 한 쌍의 토출구(111b)를 통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제1팬 어셈블리(110)는, 본체(10) 내부에 배치되되, 측부공간부(10c)와 배후공간부(10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팬 어셈블리(120)는, 제1팬 어셈블리(110)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팬어셈블리(120)는, 도 2 내지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팬 어셈블리(1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의 팬하우징(121)과 임펠러(123) 및 팬모터를 포함하되, 제1팬 어셈블리(110)에 구비된 것들보다는 크기가 작은 팬하우징(121) 및 임펠러(123)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21a)와 토출구(121b)의 배치 위치는, 제1팬 어셈블리(110)의 것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제2팬 어셈블리(120)는, 제1팬 어셈블리(110)에 비해 약간 작은 크기로 마련되며, 제1팬 어셈블리(110)보다는 약간 낮은 흡입 또는 토출 성능을 갖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제2팬 어셈블리(120)는, 제1팬 어셈블리(110)에 비해 더 짧은 전후방향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팬 어셈블리(120)에서, 팬모터는 그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임펠러(123)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팬모터와 한 쌍의 팬모듈을 포함하는 제2팬 어셈블리(120)는, 제2팬 어셈블리(120)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흡입구(121a)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제2팬 어셈블리(120)의 상측에 배치된 한 쌍의 토출구(121b)를 통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제2팬 어셈블리(120)는, 본체(10) 내부에 배치되되, 측부공간부(10c)와 배후공간부(10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송풍부(100)는, 제1팬 어셈블리(110)와 제2팬 어셈블리(120)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제1팬 어셈블리(110)와 제2팬 어셈블리(120) 중 어느 하나는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팬 어셈블리(110)와 제2팬 어셈블리(120) 중 다른 하나는 측부공간부(10c)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팬 어셈블리(110)는 배후공간부(10d), 즉 캐비티(11)의 배면과 리어 플레이트(15)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팬 어셈블리(120)는, 측부공간부(10c), 즉 캐비티(11)의 측면과 캐비닛(13)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팬 어셈블리(110)는, 배후공간부(10d)의 측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팬 어셈블리(110)는, 조리기기의 내부에서 대략 후방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팬 어셈블리(120)는, 측부공간부(10c)의 전후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팬 어셈블리(120)는, 조리기기의 내부에서 대략 후방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팬 어셈블리(120)는 측부공간부(10c) 내에서 전방측으로, 또는 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배기구(103)는 본체(10)의 측방향 대략 중앙에 배치되되, 캐비닛(13)의 상면 상에서 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배기구(103)는 배후공간부(10d)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송풍부(100)는, 제1송풍부 및 제2송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송풍부는 캐비티(11)의 배후측에 배치되고, 제2송풍부는 캐비티(120)의 측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송풍부는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되고, 제2송풍부는 측방공간부(10c)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제1팬 어셈블리(110)와 제2팬 어셈블리(120) 중,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되는 것을 제1송풍부, 측부공간부(10c)에 배치되는 것을 제2송풍부라 지칭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송풍부가 제1팬 어셈블리(110)를 포함하고, 제2송풍부가 제2팬 어셈블리(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제1배기구(103)와 제1팬 어셈블리(110)가 모두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되며, 배후공간부(10d) 상에서 제1배기구(103)와 제1팬 어셈블리(110)가 상하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리어 플레이트(15)에는, 후방돌출면(15a)이 마련될 수 있다. 후방돌출면(15a)은, 후방돌출면(15a)을 제외한 리어 플레이트(15)의 나머지 영역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리어 플레이트(15)는 전후방향 축과 직교하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돌출면(15a)은 리어 플레이트(15)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되, 후방돌출면(15a)을 제외한 리어 플레이트(15)의 나머지 영역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어 플레이트(15)의 측방향 및 상하방향 중앙에 후방돌출면(15a)이 배치될 수 있다.
제1팬 어셈블리(110)는, 리어 플레이트(15)의 전방측에 배치되되, 후방돌출면(15a)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팬 어셈블리(110)는, 후방돌출면(15a)을 제외한 리어 플레이트(15)의 나머지 영역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후방돌출면(15a)이 돌출된 길이만큼 후방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후방돌출면(15a)은, 배후공간부(10d)에서 송풍부(100)의 배치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즉 후방돌출면(15a)은, 크기가 더 크고 높은 성능을 갖는 제1팬 어셈블리(110)가 송풍부(100)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후방돌출면(15a)은,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벽면과 조리기기의 배면 사이를 이격시키는데 이용되는 구조물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제2팬 어셈블리(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부공간부(10c)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티(11)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측부공간부(10c) 중 어느 하나에는 전장실(10b)이 배치되며, 제2팬 어셈블리(120)는 한 쌍의 측부공간부(10c)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장실이 배치되지 않은 측부공간부(10c)의 측방향 길이는 배후공간부(10d)의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짧게 설정된다. 즉 상기 측부공간부(10c)는 배후공간부(10d)에 비해 좁은 공간만을 제공할 수 있다.
배후공간부(10d)에는, 조리기기의 종류에 따라 각종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컨벡션 기능을 제공하는 조리기기의 경우, 배후공간부(10d)에는 컨벡션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비해, 전장실(10b)을 형성하지 않는 측부공간부(10c)에는, 별다른 장치가 배치되는 일이 매우 드물다. 따라서 상기 측부공간부(10c)의 측방향 폭은, 불필요하게 증가될 필요가 없다. 측부공간부(10c)의 측방향 길이가 불필요하게 증가되면, 조리기기의 성능 향상 여부와 무관하게 조리기기의 전체 크기만이 커질 뿐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측부공간부(10c)는 배후공간부(10d)에 비해 좁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용 절감을 위해, 조리실 용적이 같은 조리기기는 동일 규격의 본체(10)를 공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고주파 기능 및 컨벡션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조리기기가 고주파 기능만을 제공하는 조리기기와 동일한 규격의 본체(10)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본체(10)는 컨벡션 모듈이 배치되기에 적합한 공간을 제공하는 배후공간부(10d)를 포함할 수 있고, 측부공간부(10c)는 배후공간부(10d)에 비해 좁은 공간만을 제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팬 어셈블리(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팬 어셈블리(110)에 비해 작은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측부공간부(10c)에 제2팬 어셈블리(120)가 배치된다. 즉 제1팬 어셈블리(110)와 제2팬 어셈블리(120) 중, 좁은 공간에 배치되기에 더 적합한 제2팬 어셈블리(120)가 측부공간부(10c)에 배치된다.
또한 제1팬 어셈블리(110)는, 측부공간부(10c)에 비해 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후공간부(10d)에 송풍부(100)가 배치됨으로써, 더 크고 성능이 높은 팬 어셈블리가 송풍부(100)에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즉 측부공간부(10c)에는 좁은 공간에 배치되기에 더 적합한 제2팬 어셈블리(120)가 배치되고, 측부공간부(10c)에 비해 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배후공간부(10d)에는 제1팬 어셈블리(110)가 배치되는 형태로, 송풍부(100)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0) 내부의 한정된 공간 내에 설치되어야 하는 송풍부(100)의 흡입 또는 토출 성능이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제1팬 어셈블리(110) 및 제2팬 어셈블리(120)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규격의 본체(10)를 이용하여 조리기기의 크기 증가를 억제하면서 더욱 향상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유로형성부재(140,15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형성부재(140,150)는, 송풍부(1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게 마련된다.
유로형성부재(140,150)는, 조리기기의 내부에 배기유로(A1,A2)를 형성할 수 있다. 배기유로(A1,A2)는, 송풍부(100)와 상부공간부(10d) 사이를 연결할 수 있으며, 제1팬 어셈블리(110)와 제2팬 어셈블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부공간부(10e)로의 공기 유동을 안내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배기유로(A1,A2)는, 송풍부(1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배기구(103,105)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유로(A1,A2)가 제1배기유로(A1) 및 제2배기유로(A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제1배기유로(A1)는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되며, 제2배기유로(A2)는 측부공간부(10c)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배기유로(A1)의 입구는 제1팬 어셈블리(110)를 향해 개방될 수 있으며, 제2배기유로(A2)의 입구는 제2팬 어셈블리(120)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기유로(A1) 및 제2배기유로(A2)의 출구는 상부공간부(10e)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즉 제1배기유로(A1)는, 제1팬 어셈블리(110)의 토출구(111b)에서 상부공간부(10e)로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유로를 조리기기의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배기유로(A2)는, 제2팬 어셈블리(120)의 토출구(121b)에서 상부공간부(10e)로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유로를 조리기기의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형성부재(140,150)가 제1유로형성부재(140) 및 제2유로형성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유로형성부재(140)는 제1팬 어셈블리(11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게 마련되며, 제2유로형성부재(150)는 제2팬 어셈블리(12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제1유로형성부재(140)는, 체결플레이트(141) 및 한 쌍의 세로플레이트(143)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플레이트(141)는, 제1팬 어셈블리(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플레이트(141)는, 토출구(111b)를 상측으로 개방하며 제1팬 어셈블리(1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세로플레이트(143)는, 체결플레이트(14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세로방향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세로플레이트(143)는, 체결플레이트(141)를 사이에 두고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한 쌍의 세로플레이트(143) 중 어느 하나는 체결플레이트(141)의 측방향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한 쌍의 세로플레이트(143) 중 다른 하나는 체결플레이트(141)의 측방향 타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유로형성부재(140)에서, 체결플레이트(141)는 제1배기유로(A1)의 하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세로플레이트(143)는 제1배기유로(A1)의 좌측 경계면 및 우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 제1배기유로(A1)의 후방측 경계면 및 전방측 경계면은, 캐비티(11)의 배면과 리어 플레이트(15)에 의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세로플레이트(143)는, 캐비티(11)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세로플레이트(143)는 세로플레이트(143)의 상단이 캐비닛(13)의 상면과 맞닿을 정도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배기유로(A1)의 출구는 상부공간부(10e)와만 연결될 수 있게 되고, 제1팬 어셈블리(110)에서 토출된 공기의 흐름은 제1배기유로(A1)를 통해 상부공간부(10e)로만 유도될 수 있게 된다.
제2유로형성부재(150)는, 체결플레이트(151) 및 세로플레이트(153)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플레이트(151)는, 제2팬 어셈블리(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플레이트(151)는, 토출구(121b)를 상측으로 개방하며 제2팬 어셈블리(12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세로플레이트(153)는, 체결플레이트(15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세로방향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유로형성부재(150)는, 제1유로형성부재(140)와 달리, 하나의 세로플레이트(153)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세로플레이트(153)는 체결플레이트(151)의 후방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유로형성부재(150)에서, 체결플레이트(151)는 제2배기유로(A2)의 하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으며, 세로플레이트(153)는 제2배기유로(A2)의 후방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 제2배기유로(A2)의 좌측 경계면 및 우측 경계면은, 캐비티(11)의 측면과 캐비닛(13)의 측면에 의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세로플레이트(153)는, 캐비티(11)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세로플레이트(153)는 세로플레이트(153)의 상단이 캐비닛(13)의 상면과 맞닿을 정도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배기유로(A2)의 출구는 상부공간부(10e)와만 연결될 수 있게 되고, 제2팬 어셈블리(120)에서 토출된 공기의 흐름은 제2배기유로(A2)를 통해 상부공간부(10e)로만 유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1연결플레이트(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플레이트(160)는, 제1유로형성부재(140)와 제2유로형성부재(150) 사이의 틈을 가로막을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제1연결플레이트(160)는 제1유로형성부재(140)의 세로플레이트(143)와 제2유로형성부재(150)의 세로플레이트(153) 사이를 연결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제1연결플레이트(160)는 제1유로형성부재(140)와 제2유로형성부재(150) 사이의 틈을 막음으로써, 상부공간부(10e)의 공기가 상기 틈을 통해 배후공간부(10d) 및 제1팬 어셈블리(11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구획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재(170)는, 전장실(10b)과 상부공간부(10e) 사이, 전장실(10b)과 제1팬 어셈블리(110) 사이를 가로막는 차단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획부재(170)는, 상부공간부(10e)의 공기가 전장실(10b)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상부공간부(10e)의 공기가 전장실(10b)을 통해 제1팬 어셈블리(11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2연결플레이트(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플레이트(165)는, 제1유로형성부재(140)와 구획부재(170)사이의 틈을 가로막을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제2연결플레이트(165)는 제1유로형성부재(140)의 세로플레이트(143)와 구획부재(170) 사이를 연결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제1연결플레이트(160)는 제1유로형성부재(140)와 구획부재(170) 사이의 틈을 막음으로써, 상부공간부(10e)의 공기가 상기 틈을 통해 배후공간부(10d) 및 제1팬 어셈블리(11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조리기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조리기기의 하단에 흡기구(101)가 마련되고, 조리기기의 상단에 제1배기구(103) 및 제2배기구(105)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배기구(103)는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되며, 제2배기구(105)는 조리기기의 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송풍부(100)는 제1팬 어셈블리(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팬 어셈블리(110)는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팬 어셈블리(110)는, 배후공간부(10d) 내에서 측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팬 어셈블리(110)는 제1배기구(103)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송풍부(100)는 제2팬 어셈블리(1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팬 어셈블리(120)는 측부공간부(10c)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팬 어셈블리(110)의 동작이 시작되면, 조리기기 외부의 공기를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흡입 기류는, 조리기기의 하단에 배치된 흡기구(101)를 통해 흡입 대상이 되는 외부 공기에 작용하게 된다. 흡기구(101) 주변의 외부 공기, 즉 조리 가스는, 이와 같이 작용하는 흡입 기류에 의해 흡기구(101)를 통과하여 본체(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본체(10)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는, 본체(10) 내부의 공간부 중 배후공간부(10d)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후공간부(10d) 내부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제1팬 어셈블리(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흡입구(111a)를 통해 제1팬 어셈블리(110)의 내부로 흡입된 후, 제1팬 어셈블리(110)의 상측에 배치된 토출구(111b)를 통해 제1팬 어셈블리(110)의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즉 흡기구(101)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배후공간부(10d)에 형성된 제1배기유로(A1)를 통해 상부공간부(10e)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공간부(10e)로 유동한 조리 가스는, 제1배기구(103)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배기구(103)는, 상부공간부(10e)를 조리기기의 외부와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배기구(103)는, 상부공간부(10e)의 상측에 배치되되, 배후공간부(10d)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팬 어셈블리(110)와 배후공간부(10d)와 제1배기유로(A1) 및 제1배기구(103)는,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팬 어셈블리(110)와 배후공간부(10d)와 제1배기유로(A1) 및 제1배기구(103)가 상하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팬 어셈블리(110)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기의 유동은, 제1팬 어셈블리(110)와 배후공간부(10d) 및 제1배기구(103)의 배치 방향과 동일한 직선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직선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면, 그만큼 공기 유동에 대한 저항이 낮아져 공기의 유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팬 어셈블리(110)에 의한 공기 흡입 및 배출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이 그만큼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팬 어셈블리(110)의 동작시 제2팬 어셈블리(120)의 동작도 함께 시작될 수 있다. 제2팬 어셈블리(120)의 동작이 시작되면, 흡기구(101) 주변의 조리 가스가 측부공간부(10c)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부공간부(10c) 내부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제2팬 어셈블리(120)의 내부로 흡입된 후, 제2팬 어셈블리(120)의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제2팬 어셈블리(120)에 의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측부공간부(10c)에 형성된 제2배기유로(A2)를 통해 상부공간부(10e)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공간부(10e)로 유동한 조리 가스는, 제1팬 어셈블리(10c)에 의해 상부공간부(10e)로 유동한 조리 가스와 함께 제1배기구(103)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부공간부(10c)와 배후공간부(10d)에 모두 팬 어셈블리가 배치됨으로써, 측부공간부(10c)와 배후공간부(10d)에만 팬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송풍부(100)의 흡입 또는 토출 성능이 매우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필요에 따라 실내로 배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는 제2배기구(105)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즉 흡기구(101)를 통해 측부공간부(10c) 또는 배후공간부(10d)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상부공간부(10e)를 통과한 후 제2배기구(105)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측부공간부(10c) 또는 배후공간부(10d)에서 상부공간부(10e)로 유동한 조리 가스는, 필터를 통과하며 필터에 의해 여과된 상태로 제2배기구(105)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팬 어셈블리(110)는 리어 플레이트(15)와 인접한 본체(10)의 후방측에 배치되며, 제2배기구(105)는 도어(20)와 인접한 본체(1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배기구(105)는 상부공간부(10e) 중 전방측에 배치되며, 제1팬 어셈블리(110)는 상부공간부(10e)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기구(103)는 상부공간부(10e) 중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공간부(10e)에는 조리 가스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마련될 수 있다. 제1팬 어셈블리(110)가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되고 제2팬 어셈블리(120)가 측부공간부(10c)에 배치되므로, 상부공간부(10e)에는 필터의 설치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즉 송풍부(100)가 본체(10)의 측부 공간 및 배후 공간, 즉 측부공간부(10c) 및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됨으로써, 필터의 설치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이 상부공간부(10e)에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송풍부(100)가 상부공간부(10e)에 배치된다면, 상부공간부(10e)의 대부분의 공간이 송풍부(100)에 의해 점유됨으로 인해, 필터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상부공간부(10e)에서 확보되기 어렵게 된다. 게다가 송풍부(100)가 상부공간부(10e)에 배치된다면, 조리기기의 상하 길이가 증가되는 문제도 함께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송풍부(100)가 측부공간부(10c) 및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기기의 상하 길이가 증가되지 않도록 하면서 필터의 설치 공간을 상부공간부(10e)에서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측부공간부(10c)와 배후공간부(10d)에 모두 팬 어셈블리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측부공간부(10c)에는 좁은 공간에 배치되기에 더 적합한 제2팬 어셈블리(120)가 배치되고, 측부공간부(10c)에 비해 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배후공간부(10d)에는 제2팬 어셈블리(120)에 비해 성능이 더 높은 제1팬 어셈블리(110)가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송풍부(100)를 구비함으로써, 조리기기의 크기 증가를 억제하면서 더욱 향상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되는 제1팬 어셈블리(110)에 의해 유도되는 공기의 흐름, 즉 흡기구(101)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어 제1배기구(103)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직선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유동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더욱 향상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필터의 설치 공간이 상부공간부(10e)에서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컴팩트한 사이즈를 유지하며 조리 가스의 여과 및 실내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팬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12에서는, 유로형성부재의 도시가 제외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조리기기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 간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송풍부(200)의 구성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부(200)는 제2팬 어셈블리(120) 및 제3팬 어셈블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제1팬 어셈블리(110; 도 7 참조)는, 한 쌍의 임펠러(113) 및 팬하우징(111)이 팬모터의 양측에 배치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임펠러(113)와 팬하우징(111)의 조립체를 '팬모듈'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에 따르면, 각각의 제2팬 어셈블리(120)는 팬모터의 양측에 한 쌍의 팬모듈이 연결된 형태로 마련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송풍부(200)에서, 제3팬 어셈블리(130)는 팬모터에 하나의 팬모듈이 연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3팬 어셈블리(130)는, 팬모터의 하측에 하나의 팬모듈이 연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3팬 어셈블리(130)에서, 임펠러(113)는 상하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구(111a)는 팬하우징(111)의 하측에 배치되며, 토출구(111b)는 팬하우징(111)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팬 어셈블리(130)는, 대략 제1팬 어셈블리(110)의 절반이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부공간부(10c)에는 제2팬 어셈블리(120)가 배치되며, 배후공간부(10d)에는 제3팬 어셈블리(1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팬 어셈블리(130)는,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되되, 전장실(10b)에 인접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팬 어셈블리(130)는, 캐비티(211)를 사이에 두고 제2팬 어셈블리(120)와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예시된 송풍부(100; 도 2 참조) 대비 본 실시예의 송풍부(200) 간의 주요 차이점 중 다른 하나는, 본 실시예의 송풍부(200)에서는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되어 있던 제1팬 어셈블리(110)가 제3팬 어셈블리(130)로 대체된다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송풍부(200)는, 제1팬 어셈블리(110) 및 제2팬 어셈블리(120)를 포함하는 대신, 제2팬 어셈블리(120) 및 제3팬 어셈블리(130)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송풍부(200)는, 하나의 제2팬 어셈블리(120)와 하나의 제3팬 어셈블리(130)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송풍부(20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팬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가 제3팬 어셈블리(130)로 대체되고, 이 제3팬 어셈블리(130)가 제1팬 어셈블리(110)를 대체하는 형태로 적용된다면, 송풍부(200) 전체의 측방향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제2팬 어셈블리(120)를 포함하는 송풍부(200)에 비해, 하나의 제2팬 어셈블리(120)와 하나의 제3팬 어셈블리(130)를 포함하는 송풍부(200)의 측방향 길이가 더 짧게 측정될 수 있다.
제3팬 어셈블리(130)는, 제1팬 어셈블리(110)가 포함하는 팬모듈 중 일부만을 포함할 뿐 아니라,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형태의 팬모듈을 포함한 형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제3팬 어셈블리(130)의 측방향 길이는, 제1팬 어셈블리(110) 및 제2팬 어셈블리(120)에 비해 매우 짧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제3팬 어셈블리(130)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송풍부(200)는 제1팬 어셈블리(110)나 제2팬 어셈블리(120)를 포함하는 송풍부에 비해 상당히 작은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송풍부(200)가 조리기기에 적용되면, 송풍부(200)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지는 만큼 조리기기의 크기, 특히 조리기기의 측방향 길이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제1팬 어셈블리(110)와 제2팬 어셈블리(120)가 복수개 배치되기에는 조리기기의 크기가 약간 작을 때, 이 조리기기에 본 실시예의 송풍부(200)가 적용되기에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제3팬 어셈블리(13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제1팬 어셈블리(110)에 비해 후방 및 측방으로 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우수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더욱 더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3팬 어셈블리(130)에서는, 흡입구(111a)가 팬하우징(11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구(111a)는, 제3팬 어셈블리(130)의 최하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조리기기의 하단에 마련된 매우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111a)와 흡기구(101)간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팬모터의 출력 대비 팬 어셈블리의 흡입 성능이 큰 폭으로 향상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와 같이 제3팬 어셈블리(130)의 흡입구(111a)가 흡기구(101)와 가까워짐에 따라 제3팬 어셈블리(130)의 흡입 성능이 상당 수준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3팬 어셈블리(130)의 성능이 제2팬 어셈블리(120)에 비해 낮을 수 있지만, 이러한 성능 차이는 흡입구(111a)와 흡기구(101) 간의 거리 단축으로 인해 얻어지는 성능 향상치에 의해 대부분 상쇄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본 실시예의 송풍부(200)는 다른 형태의 송풍부 대비 동등 수준 이상의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조리기기의 소형화에 기여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고 평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우수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가지면서도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조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유로형성부재(240,25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형성부재(240,250)는, 송풍부(2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게 마련된다.
유로형성부재(140,150)는, 조리기기의 내부에 배기유로(A1,A2)를 형성할 수 있다. 배기유로(A1,A2)는, 송풍부(200)와 상부공간부(10d) 사이를 연결할 수 있으며, 제3팬 어셈블리(130)와 제2팬 어셈블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부공간부(10e)로의 공기 유동을 안내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배기유로(A1,A2)는, 송풍부(2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배기구(103,105)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유로(A1,A2)가 제1배기유로(A1) 및 제2배기유로(A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제1배기유로(A1)는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되며, 제2배기유로(A2)는 측부공간부(10c)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유로(A1,A2)가 제1배기유로(A1) 및 제2배기유로(A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배기유로(A1) 및 제2배기유로(A2)는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배기유로(A1)의 입구는 제3팬 어셈블리(130)를 향해 개방될 수 있으며, 제2배기유로(A2)의 입구는 제2팬 어셈블리(120)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기유로(A1) 및 제2배기유로(A2)의 출구는 상부공간부(10e)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즉 제1배기유로(A1)는, 제3팬 어셈블리(130)의 토출구(121b)에서 상부공간부(10e)로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유로를 조리기기의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배기유로(A2)는, 제2팬 어셈블리(120)의 토출구(111b)에서 상부공간부(10e)로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유로를 조리기기의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유로형성부재(240,250)는, 제1유로형성부재(240) 및 제2유로형성부재(2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유로형성부재(240)는 제3팬 어셈블리(13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게 마련되며, 제2유로형성부재(250)는 제2팬 어셈블리(12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조리기기의 측방향 중앙에서 측부공간부(10c)를 향한 측을 우측, 그 반대편, 즉 조리기기의 측방향 중앙에서 전장실(10b)를 향한 측을 좌측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일례로서, 제1유로형성부재(240)는 대략 "U"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형성부재(240)의 좌측은, 우측 제3팬 어셈블리(130)의 토출구(111b)를 좌측으로 개방하며 우측 제3팬 어셈블리(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유로형성부재(240)에서, 제1유로형성부재(240)의 좌측과 우측은 제1배기유로(A1)의 측방향 양측 경계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유로형성부재(240)의 저면은 제1배기유로(A1)의 하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
제1유로형성부재(240)의 좌측 상단 및 우측 상단은, 캐비티(11)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제1유로형성부재(240)의 좌측 상단 및 우측 상단이 캐비닛(13)의 상면과 맞닿을 정도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배기유로(A1)의 출구는 상부공간부(10e)와만 연결될 수 있게 되고, 제3팬 어셈블리(130)에서 토출된 공기의 흐름은 제1배기유로(A1)를 통해 상부공간부(10e)로만 유도될 수 있게 된다.
제2유로형성부재(250)는, 체결플레이트(251) 및 세로플레이트(253)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플레이트(251)는, 제2팬 어셈블리(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플레이트(251)는, 토출구(121b)를 상측으로 개방하며 제2팬 어셈블리(12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세로플레이트(253)는, 체결플레이트(25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세로방향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세로플레이트(253)는 체결플레이트(251)의 후방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유로형성부재(250)에서, 체결플레이트(251)는 제2배기유로(A2)의 하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으며, 세로플레이트(253)는 제2배기유로(A2)의 후방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 제2배기유로(A2)의 좌측 경계면 및 우측 경계면은, 캐비티(11)의 측면과 캐비닛(13)의 측면에 의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세로플레이트(253)는, 캐비티(11)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세로플레이트(253)는 세로플레이트(253)의 상단이 캐비닛(13)의 상면과 맞닿을 정도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배기유로(A2)의 출구는 상부공간부(10e)와만 연결될 수 있게 되고, 제2팬 어셈블리(120)에서 토출된 공기의 흐름은 제2배기유로(A2)를 통해 상부공간부(10e)로만 유도될 수 있게 된다.
도 19는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20은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조리기기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 간의 주요 차이점 중 다른 하나는, 제2배기구(205)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배기구(205)는 캐비닛(13)이 아닌 전면 플레이트(212)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전면 플레이트(212)에 복수개의 제2배기구(205)가 마련될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212)에는 관통홀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조리실(10a)은 이 관통홀을 통해 본체(10)의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각각의 제2배기구(205)는, 이 관통홀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면 플레이트(212)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배기구(205)는, 상부공간부(10e; 도 22 참조)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부공간부(10e)를 전방으로 개방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배기구(205)는,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 그리고 냉각팬(16)에 의한 공기 유입 및 배출을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배기구(205)는, 도어(20)와 전후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20)와 전면 플레이트(212)는 서로 밀착되지 않으며, 도어(20)와 전면 플레이트(212) 사이는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배기구(205)와 도어(20) 사이도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플레이트(212)에는 함몰면(212a)이 마련될 수 있다. 함몰면(212a)은, 배기구(205)가 마련된 전면 플레이트(212)의 상단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함몰면(212a)은, 전면 플레이트(212)의 다른 영역에 비해 후방으로 함몰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함몰면(212a)은, 전면 플레이트(212)의 다른 영역이 형성하는 세로방향의 평면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되며, 전면 플레이트(212)의 다른 영역이 형성하는 세로방향의 평면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함몰면(212a)과 전면 플레이트(212)의 나머지 영역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며, 이들 사이는 연결면(212b)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배기구(205)는, 함몰면(212a)에 형성되며, 전면 플레이트(212)의 다른 영역에 비해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필요에 따라 실내로 배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는 제2배기구(205)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즉 흡기구(101)를 통해 배후공간부(10d)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상부공간부(10e)를 통과한 후 제2배기구(205)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배후공간부(10d)에서 상부공간부(10e)로 이동한 조리 가스는, 필터를 통과하며 필터에 의해 여과된 상태로 제2배기구(205)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어(20)에는, 도어배기부(50)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배기부(50)는, 도어(20)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배기부(50)는, 도어(20)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배기부(50)는, 함몰면(212a)과 전후방향으로 맞닿으며 전면 플레이트(212)에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어배기부(50)는 도어(2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배기부(50)는, 전면 플레이트(212)의 함몰면(212a) 및 연결면(212b)과 맞물리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어(20)가 조리실(10a)을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배기부(50)의 배면은 함몰면(212a)과 전후방향으로 맞닿을 수 있고, 도어배기부(50)의 저면은 연결면(212b)과 상하방향으로 맞닿을 수 있다.
상기 도어배기부(50)는, 배기본체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본체부(51)는, 도어배기부(50)의 골격을 형성하며, 도어(20)의 상단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배기본체부(51)의 내부에는, 제2배기구(205)와 연결 가능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배기본체부(51)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본체부(51)의 배면에는 도어유입구(51)도어유입구(52)가 마련될 수 있으며, 배기본체부(51)의 상면에는 도어배기구(53)도어배기구(54)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유입구(51)도어유입구(52)는, 배기본체부(51)의 배면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유입구(51)도어유입구(52)는, 제2배기구(205)와 배기본체부(51) 내부와 제2배기구(205)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도어유입구(52)는, 제2배기구(205)에서 배출된 공기가 도어배기부(50) 내부로 유입되는데 필요한 통로를 배기본체부(51)에 형성할 수 있다.
도어배기구(53)도어배기구(54)는, 배기본체부(51)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배기구(53)도어배기구(54)는, 도어배기부(5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도어배기부(50) 외부로 배출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배기구(205)를 통해 배출되는 조리 가스의 흐름은, 도어배기부(50)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즉 제2배기구(205)를 통해 배출된 조리 가스는, 도어배기부(50)를 통과한 후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배기구(205)를 통해 배출된 조리 가스는, 제2배기구(205)와 연결된 도어유입구(51)도어유입구(52)를 통해 도어배기부(50) 내부로 유입된 후, 도어배기부(50)의 상면에 마련된 도어배기구(53)도어배기구(54)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제2배기구(205)를 통해 배출되는 조리 가스의 흐름은, 도어배기부(50)에 의해 조리기기의 상방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배기부(50)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실내로 배기되는 조리 가스가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기 가스와 사용자의 접촉 가능성을 낮추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배기부(50는, 제2배기구(205)를 전방에서 덮을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도어배기부(50)를 포함하는 도어(20)는, 제2배기구(205)가 도어(20)의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2배기구(205) 및 전면 플레이트(12)를 전방에서 덮을 수 있다.
도어배기부(50)에 도어유입구(51)도어유입구(52)와 도어배기구(53)도어배기구(54)가 형성되지만, 도어유입구(51)도어유입구(52)는 도어배기부(50)의 배면에 배치되어 조리기기의 전방에서는 도어유입구(51)도어유입구(52)가 보이지 않는다. 또한 도어배기부(50)는, 높은 위치에 설치된 조리기기의 상단에 배치되므로, 잘 보이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도어배기부(50)는, 배기를 위해 형성된 구멍들이 눈에 잘 띄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미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제2배기구(205) 중 일부는, 냉각팬(16)에 의한 공기 유입 및 배출을 위한 통로로 이용될 수도 있다.
냉각팬(16)의 작동시, 복수개의 제2배기구(205) 중 냉각팬(16)과 가장 근접한 제2배기구(205)를 통해 외부 공기가 본체(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냉각팬(16)과 가장 근접한 제2배기구(205)를 통해 상부공간부(10e)로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10b)로 이동하여 전장실(10b) 내부의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후, 조리실(10a)로 배출될 수 있다. 전장실(10b)에서 조리실(10a)로 배출된 공기는, 다시 상부공간부(10e)를 거쳐 제2배기구(205)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배기구(205)가 캐비닛(13)의 상면에 배치되는 대신 전면 플레이트(12), 즉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됨에 따라, 조리기기는 공기를 실내로 배출할 때 본체(10)의 전면을 통해 전방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제2배기구가 캐비닛(13)의 상면에 배치될 경우, 제2배기구가 상부 수납장의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어(20)뿐 아니라 본체(10)의 적어도 일부분도 상부 수납장의 전방으로 돌출되어야만 한다.
즉 조리기기가 상부 수납장의 하측에 설치될 때, 제2배기구가 상부 수납장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게 본체(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부 수납장의 전방으로 돌출되어야, 제2배기구를 통한 조리기기의 실내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2배기구(205)가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되므로, 조리기기의 전후방향 설치 위치와 관계없이 제2배기구(205)는 항상 조리기기 및 상부 수납장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상부 수납장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조리기기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쿡탑 사용자의 시야 방해 및 조리기기와의 충돌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리기기 및 그 주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배기 및 냉각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배기 및 냉각 구조의 다른 예가 예시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체(10)는 상부흡기구(206) 및 상부배기구(2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흡기구(206) 및 상부배기구(207)는, 본체(10)의 상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캐비닛(13)의 상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부흡기구(206) 및 상부배기구(207)는, 냉각팬(16)에 의한 공기 유입 및 배출을 위한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송풍부(200; 도 20 참조)에 의한 조리 가스 배출 통로와 냉각팬(16)에 의한 공기 유입 및 배출을 위한 통로가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송풍부에 의한 조리 가스 배출은 제2배기구(205)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냉각팬(16)에 의한 공기 유입 및 배출은 상부흡기구(206) 및 상부배기구(207)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흡기구(206)는 냉각팬(16)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흡기구(206)와 상부배기구(207) 및 복수개의 제2배기구(205) 중에서 상부흡기구(206)가 냉각팬(16) 또는 전장실(10b; 도 21 참조)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배기구(207)는, 조리실(10a; 도 12 참조)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배기구(207)는, 상부흡기구(206)와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측부공간부에 배치된 제2팬 어셈블리(120; 도 12 참조)와도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방향에 대해서, 상부배기구(207)와 상부흡기구(206)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배기구(205)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배기구(207)와 제2팬 어셈블리(120) 사이에도 적어도 하나의 제2배기구(205)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부흡기구(206) 및 상부배기구(207)는, 제2배기구(205)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흡기구(206)와 상부배기구(207) 및 복수개의 제2배기구(205) 중 어느 것도 상하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흡기구(206)와 상부배기구(207) 및 복수개의 제2배기구(205)는 서로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배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냉각팬(16)의 작동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흡기구(206)를 통해 외부 공기가 본체(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냉각팬(16)과 가장 근접한 상부흡기구(206)를 통해 상부공간부(10e)로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10b)로 이동하여 전장실(10b) 내부의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후, 조리실(10a)로 배출될 수 있다. 전장실(10b)에서 조리실(10a)로 배출된 공기는, 다시 상부공간부(10e)를 거쳐 상부배기구(207)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공되는 배기 및 냉각 구조에 따르면, 송풍부(200)에 의해 이루어지는 실내 배기와 냉각팬(16)에 의해 이루어지는 흡기 및 배기가 서로 다른 통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송풍부(200)에 의해 이루어지는 실내 배기가 냉각팬(16)에 의해 이루어지는 흡기 및 배기에 미치는 영향 및 그 반대로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며, 송풍부(200)에 의해 이루어지는 실내 배기가 냉각팬(16)에 의해 이루어지는 흡기 및 배기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210 : 본체
10a : 조리실
10b : 전장실
10c : 측부공간부
10d : 배후공간부
10e : 상부공간부
11 : 캐비티
212 : 전면 플레이트
13 : 캐비닛
14 : 베이스 플레이트
15 : 리어 플레이트
15a : 후방돌출면
16 : 냉각팬
20 : 도어
21 : 벤트그릴부
30 : 컨트롤패널
50 : 도어배기부
51 : 도어유입구
53 : 도어배기구
100,200 : 송풍부
101 : 흡기구
103 : 제1배기구
105,205 : 제2배기구
110 : 제1팬 어셈블리
111 : 팬하우징
111a : 흡입구
111b : 토출구
113 : 임펠러
120 : 제2팬 어셈블리
121 : 팬하우징
121a : 흡입구
121b : 토출구
123 : 임펠러
130 : 제3팬 어셈블리
206 : 상부흡기구
207 : 상부배기구
10a : 조리실
10b : 전장실
10c : 측부공간부
10d : 배후공간부
10e : 상부공간부
11 : 캐비티
212 : 전면 플레이트
13 : 캐비닛
14 : 베이스 플레이트
15 : 리어 플레이트
15a : 후방돌출면
16 : 냉각팬
20 : 도어
21 : 벤트그릴부
30 : 컨트롤패널
50 : 도어배기부
51 : 도어유입구
53 : 도어배기구
100,200 : 송풍부
101 : 흡기구
103 : 제1배기구
105,205 : 제2배기구
110 : 제1팬 어셈블리
111 : 팬하우징
111a : 흡입구
111b : 토출구
113 : 임펠러
120 : 제2팬 어셈블리
121 : 팬하우징
121a : 흡입구
121b : 토출구
123 : 임펠러
130 : 제3팬 어셈블리
206 : 상부흡기구
207 : 상부배기구
Claims (14)
-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며, 흡기구 및 배기구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토출하는 송풍부; 및
상기 배기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도어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상기 도어에 형성하는 도어배기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는, 함몰면이 마련되고,
상기 함몰면은, 상기 함몰면을 제외한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나머지 영역보다 후방으로 함몰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함몰면에 마련되며,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배기부는, 상기 도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함몰면과 전후방향으로 맞닿으며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캐비티, 및 상면이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는 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캐비티의 상면과 상기 캐비닛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공간부와 연통되고,
상기 송풍부는, 흡입한 공기를 상기 상부공간부로 토출하는 조리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의 배후측에 배치되는 리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캐비티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배후공간부에 배치되는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조리실의 측방측에 형성된 측부공간부에 배치되는 제2팬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배기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측 및 상기 도어의 상단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배기부는,
상기 도어의 상단에 배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배기본체부;
상기 배기구와 상기 배기본체부 내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도어유입구; 및
상기 배기본체부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본체부 외부로 배출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하는 도어배기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배기구는, 상기 도어유입구보다 전방 및 상방으로 더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유입구는, 상기 본체와 마주보는 상기 도어배기부의 배면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배기구는, 상기 배기본체부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부흡기구 및 상부배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와 상기 상부흡기구 및 상기 상부배기구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게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조리기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측방측에 형성된 측부공간부에 배치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와 상기 상부흡기구 및 상기 상부배기구 중 상기 상부흡기구가 상기 측부공간부 또는 상기 냉각팬에 가장 근접하게 배치되는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20168530 | 2022-12-06 | ||
KR1020220168530 | 2022-12-0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84498A true KR20240084498A (ko) | 2024-06-13 |
Family
ID=91480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75968A KR20240084498A (ko) | 2022-12-06 | 2023-12-06 | 조리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84498A (ko) |
-
2023
- 2023-12-06 KR KR1020230175968A patent/KR20240084498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56201B1 (ko) | 조리기기 | |
EP1795812B1 (en) | Cooking appliance | |
KR101450879B1 (ko) | 밴트그릴 | |
US6797930B2 (en) |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 |
EP3412975B1 (en) | Cooking appliance | |
US20060011622A1 (en) | Microwave having a top vent | |
KR20120126215A (ko) | 전기오븐의 도어 | |
CN110448191A (zh) | 一种具有散热结构的烤箱 | |
US7671310B2 (en) | Microwave range having hood | |
US20240015859A1 (en) | Cooking device | |
US7019272B2 (en) | Wall mounted microwave oven having an exhaust ventilation system | |
JP2002039546A (ja) | 加熱調理器 | |
EP2235445B1 (en) | A microwave oven | |
JPH1163512A (ja) | 電子レンジ | |
US20230093325A1 (en) | Cooking apparatus | |
JP2004184059A (ja) | 壁掛け型電子レンジ | |
KR20240084498A (ko) | 조리기기 | |
CN110848765A (zh) | 抽屉式微波炉 | |
KR20240084500A (ko) | 조리기기 | |
KR20240084499A (ko) | 조리기기 | |
EP1649220B1 (en) | Air flow system in an oven | |
KR20240084501A (ko) | 조리기기 | |
KR20220136027A (ko) | 조리기기 | |
KR20090017299A (ko) | 컨벡션 커버에 에어 가이드가 형성된 전기오븐 | |
CN100541005C (zh) | 通风罩型微波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