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027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027A
KR20220136027A KR1020210087802A KR20210087802A KR20220136027A KR 20220136027 A KR20220136027 A KR 20220136027A KR 1020210087802 A KR1020210087802 A KR 1020210087802A KR 20210087802 A KR20210087802 A KR 20210087802A KR 20220136027 A KR20220136027 A KR 20220136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cooling fan
cooking
cook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0393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211341A1/ko
Publication of KR20220136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027A/ko
Priority to US18/237,193 priority patent/US2024006487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기기는 전면이 개방된 조리실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 내부 하우징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부 하우징, 조리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냉각 공간, 조리실 하부 후방의 냉각 공간에 배치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토출하는 쿨링팬, 냉각 공간에 배치된 제1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쿨링팬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를 상측으로 안내하고, 냉각 공간에 배치된 제2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쿨링팬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나머지 일부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제1 덕트 및 도어를 냉각하도록 제1 덕트에서 전방으로 안내된 공기 중 일부를 조리실 내부로 안내하는 제2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QOOKING APPARATUS}
본 개시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장품의 냉각을 위한 유로구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조리 대상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조리 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로는 예를 들어,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 레인지, microwave), 가스 레인지, 전기 레인지,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히터 등의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원을 통해 음식물에 직접 열을 전달하거나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고, 전자레인지는 고주파를 가열원으로 하여 음식물의 분자 배열을 교란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분자간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조리기기는 기능을 하기 위해 여러가지 전장품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장품은 작동 시 열을 발생시킨다. 일정 온도 이상의 열이 발생하는 경우 전장품은 목표하는 기능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전장품의 높아진 온도를 떨어뜨려주는 역할을 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공기를 가이드하는 유로구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은 조리실 내부 도어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게 공기를 가이드하는 유로구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전면이 개방된 조리실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조리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냉각 공간, 상기 조리실 하부 후방의 상기 냉각 공간에 배치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토출하는 쿨링팬, 상기 냉각 공간에 배치된 제1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상기 쿨링팬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를 상측으로 안내하고, 상기 냉각 공간에 배치된 제2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상기 쿨링팬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나머지 일부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제1 덕트 및 상기 제1 덕트에서 전방으로 안내된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조리실 내부로 안내하는 제2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조리실을 가열하도록 상기 조리실 상면에 마련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장품은 상기 히터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장품은 상기 조리실 내부를 비추도록 상기 조리실의 외측면에 배치된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장품은 상기 조리실에 배치되는 조리물을 가열하도록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쿨링팬을 둘러싸게 위치하고, 상기 쿨링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팬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팬박스는 상기 제1 덕트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덕트는 입구가 상기 쿨링팬을 향해 위치하여 상기 쿨링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1 덕트부품 및 상기 제1 덕트부품과 결합되고, 상기 제2 전장품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전장품 측으로 연장되는 제2 덕트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덕트부품은 상기 제2 덕트부품과 결합하고, 상기 제1 덕트부품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제1전장품으로 가이드하는 덕트 제1 영역 및 상기 덕트 제1 영역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덕트부품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냉각공간으로 가이드하는 덕트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 제1 영역과 상기 덕트 제2 영역의 단면적 비는 20~30 : 80~70과 같을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는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유출구에 대응되는 조리실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제2 덕트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제2 덕트에서 상기 조리실 내부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조리실을 가열하도록 상기 조리실 상면에 마련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장품은 고주파를 발생기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히터가 작동하지 않고 상기 마그네트론이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덕트의 공기가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는 입구가 상기 제1 덕트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덕트에서 유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 바디 및 상기 덕트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조리실을 향해 상측으로 연장되는 덕트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 바디는 전방으로 향해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 전방 하단에는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전면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덕트에서 유출된 공기는 상기 제2 전장품을 거쳐 상기 제2 덕트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제3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상기 조리실 하부 후방의 상기 냉각 공간에 상기 쿨링팬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다른 쿨링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쿨링팬과 상기 다른 쿨링팬은 하나의 팬모터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사상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전면이 개방된 조리실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조리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냉각 공간, 상기 조리실 하부 후방의 상기 냉각 공간에 배치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토출하는 제1 쿨링팬, 상기 냉각 공간에 배치된 제1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상기 제1 쿨링팬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를 상측으로 안내하고, 상기 냉각 공간에 배치된 제2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상기 제1 쿨링팬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나머지 일부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덕트 및 제3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상기 조리실 하부 후방의 상기 냉각 공간에 상기 제1 쿨링팬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제2 쿨링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쿨링팬과 상기 제2 쿨링팬은 하나의 팬모터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조리실을 가열하도록 상기 조리실 상면에 마련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장품은 상기 가열원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전장품은 상기 조리실 내부를 비추도록 상기 조리실의 외측면에 배치된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장품은 상기 조리실에 배치되는 조리물을 가열하도록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입구가 상기 쿨링팬을 향해 위치하여 상기 쿨링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1 덕트부품 및 제1 덕트부품과 결합되고, 상기 제1 전장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전장품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제2 덕트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덕트부품은 상기 제2 덕트부품과 결합하고, 상기 제1 덕트부품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제2 덕트부품으로 가이드하는 덕트 제1 영역 및 상기 덕트 제1 영역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덕트부품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냉각공간으로 가이드하는 덕트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 제2 영역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2 전장품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전면이 개방된 조리실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조리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냉각 공간, 상기 조리실 하부 후방의 상기 냉각 공간에 배치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토출하는 제1 쿨링팬, 상기 제1 쿨링팬에서 토출된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조리실 내부로 안내하는 덕트 및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상기 조리실 하부 후방의 상기 냉각 공간에 상기 제1 쿨링팬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제2 쿨링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쿨링팬과 상기 제2 쿨링팬은 하나의 팬모터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유출구에 대응되는 조리실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는 상기 덕트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덕트에서 상기 조리실 내부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공기를 전장품으로 가이드하는 유로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전장품을 냉각할 수 있다. 나아가, 별도의 쿨링팬의 설치 없이도, 효율적으로 전장품을 냉각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도어 측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유로구조를 포함함으로써, 도어에 맺힌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리기기를 외부 하우징의 전면판과 평행한 면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조리기기에서 하우징 커버를 제거하고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조리기기에서 전장품을 보이게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을 투명하게 처리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조리기기의 제1 덕트와 제2 덕트를 중심으로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조리기기의 후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조리기기를 상측에서 보아 전장품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조리기기를 좌측에서 보아 전장품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조리기기를 정면에서 보아 전장품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11는 도 4의 제1 덕트, 제2 덕트, 제2 전장품을 중심으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 덕트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댐퍼가 열려 있을 때의 도면이다.
도 13은 제2 덕트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댐퍼가 닫혀 있을 때의 도면이다.
도 14은 도 4의 조리기기의 제1 덕트를 중심으로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제1 덕트부품과 쿨링팬을 중심으로 AA'단면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H1과 H2에 대한 실험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하 방향",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전자레인지를 일 예로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오븐과 같은 다른 조리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조리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100)과, 외부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1)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조리기기(1)는 외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조리실(201)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0)과 내부 하우징(200)은 조리기기(1)의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내부 하우징(200)의 개구를 통해 조리물을 조리실(201)에 위치시키거나 조리실(201)에서 꺼낼 수 있다.
조리실(201)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외부 하우징(100) 및 내부 하우징(200)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30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1)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미도시)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 또는 화상을 터치하여 신호를 입력하게 마련되는 터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300)는 도어(300)가 폐쇄될 시 사용자가 조리실(201)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투명부재(301)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조리실(201) 내부에 거치되고, 사용자가 조리물을 위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반(202)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202)은 조리실(201) 내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조리물이 열에 의해 조리되도록 조리실(201) 내부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월은 선반(202)이 위치하는 조리물에 열을 제공하여 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조리물은 선반(202)없이 조리실(201)의 하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에도 가열원은 하면에 위치한 조리물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가열원은 조리실(201)의 상면에 배치되는 히터(40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400)는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복사시켜 조리물에 직접 열을 전달할 수 있다.
가열원은 조리실(201)의 하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론(520, 도 3)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52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는 조리물 내부로 주사되어 조리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분자들 사이의 마찰열에 의해 조리물의 내부가 조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히터(400)와 마그네트론을 포함하여 조리물의 조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조리기기(1)를 외부 하우징(100)의 전면판(110)과 평행한 면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는 내부 하우징(200)과 외부 하우징(100)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냉각 공간(101)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공간(101)에는 각종 전장품이 위치하고, 냉각 공간(101)에는 각종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후술하는 쿨링팬(530a, 530b, 도 5)에 의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전장품은 열을 발생할 수 있다. 전장품은 위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전장품 중에 일부는 냉각 공간(101)의 상측 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냉각 공간(101)의 상측 측방에 조리실(201)의 내부를 비추는 램프(51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장품 중에 일부는 냉각 공간(101) 하측에도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열원인 마그네트론(520), HVT(High voltage Transformer)(540, 도 5), HVC(High Voltage Capaciter)(550, 도 5)등이 냉각 공간(101)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냉각 공간(101) 하측에 위치한 전장품 중에 일부는 냉각 공간(101)의 좌하측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는 냉각 공간(101)의 우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520)은 냉각 공간(101)의 좌하측에 위치하고, HVT(540)와 HVC(550)는 우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조리기기(1)에서 외부 하우징(100)의 일부를 제거하고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는 전장품을 냉각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이드하는 덕트(600, 70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600, 700)는 외부 하우징(100)과 내부 하우징(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냉각 공간(101)에 위치할 수 있다. 냉각 공간(101)에는 쿨링팬(530a, 530b)에 의하여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덕트(600, 700)가 냉각 공간(101)에 위치함으로써 유입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덕트(600, 700)는 내부 하우징(200)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600, 700)는 제1 덕트(600) 및 제2 덕트(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덕트(600)와 제2 덕트(700)는 각각 원하는 위치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덕트(600)는 램프(510) 측으로 공기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제2 덕트(700)는 조리실(201) 내부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덕트(700)는 조리실(201) 내부의 도어(300) 투명부재(301)를 향해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덕트(600) 및 제2 덕트(700)는 내부 하우징(200)의 같은 측면(좌측면)에 결합된다. 그러나 제1 덕트(600)과 제2 덕트(700)이 내부 하우징(200)의 각각 다른 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덕트(600)는 제2 덕트(700)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1 덕트(600)와 제2 덕트(700)의 위치는 바뀔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도 1의 조리기기(1)에서 전장품을 보이게 외부 하우징(100)과 내부 하우징(200)을 투명하게 처리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공간(101) 후면에는 PCB(560)와 모터(570)와 같은 전장품이 위치할 수 있다. PCB(560)와 모터(570)는 쿨링팬(530a, 530b)이 외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냉각 공간(101) 후면 하측에는 쿨링팬(530a, 530b)과, 쿨링팬(530a, 530b)을 구동하기 위한 팬모터(531)가 위치할 수 있다. 쿨링팬(530a, 530b)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즉, 쿨링팬(530a, 530b)은 좌측의 제1 쿨링팬(530a)과, 우측의 제2 쿨링팬(530b)을 포함할 수 있다.
쿨링팬(530a, 530b)은 모터(570)를 중심으로 좌우에 하나씩 위치할 수 있다. 좌측 쿨링팬(530a)은 덕트(600, 700)가 있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우측 쿨링팬(530b)은 덕트(600, 700)의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 쿨링팬(530a)과 우측 쿨링팬(530b)은 각각 냉각 공간(101)의 후방 하측에 위치하며, 조리기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토출할 수 있다. 좌측 쿨링팬(530a)과 우측 쿨링팬(530b)은 크로스 플로우 팬일 수 있다.
좌측 쿨링팬(530a)에 의하여 토출된 공기는 덕트(600, 700)를 향해서 유동할 수 있다. 덕트(600, 700)는 좌측 쿨링팬(530a)에서 토출된 공기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우측 쿨링팬(530b)에서 토출된 공기는 HVT(540), HVC(550) 등을 냉각할 수 있다.
쿨링팬(530a, 530b)과 팬모터(531)는 팬박스(532)에 의해 둘러싸여 질 수 있다. 팬박스(532)는 쿨링팬(530a, 530b)과 모터(57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팬박스(532)에는 제1 덕트(600)가 결합될 수 있다. 팬박스(532) 내부에는 쿨링팬(530a)이 위치하므로, 팬박스(532)는 쿨링팬(530a)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제1 덕트(600)로 가이드할 수 있다.
팬박스(532)의 전면에는 쿨링팬(530a, 530b)에 대응되도록 개구(532a, 532b)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쿨링팬(530a)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좌측 개구(532a)를 통해 제1 덕트(600)로 유동할 수 있다.
제1 덕트(600)는 제1 덕트부품(610)과 제2 덕트부품(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덕트부품(610)은 입구가 쿨링팬(530a)을 향해 위치하여 쿨링팬(530a)에서 토출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2 덕트부품(620)은 제1 덕트부품(610)과 결합되고, 제1 전장품(510)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전장품(510) 방향으로 공기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제1 덕트(600)에 의해 가이드되는 공기의 일부는 램프(510) 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하여 램프(5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1 덕트(600)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공기의 나머지 일부는 전방의 마그네트론(520) 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하여 마그네트론(520)을 냉각시킬 수 있다.
제1 덕트(600)의 전방에 제2 덕트(70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덕트(600)에서 유출된 공기는 마그네트론(520)을 냉각시킨 후에 제2 덕트(700)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덕트(700)로 유입된 공기는 조리실(201) 내부로 가이드될 수 있다.
제2 덕트(700)는 덕트 바디(710)와 덕트 연장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 바디(710)는 제1 덕트(600) 및 마그네트론(52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덕트(600)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마그네트론(520)을 냉각시킨 후에 덕트 바디(710)로 유입될 수 있다. 덕트 연장부(720)의 일측은 덕트 바디(710)에 결합되고, 덕트 연장부(720)의 타측은 냉각공간(101)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덕트 연장부(720)의 타측은 조리실(201)의 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덕트 연장부(720)에서 유출된 공기는 조리실(201)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덕트(700)는 댐퍼(73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730)는 제2 덕트(700)의 덕트 바디(7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댐퍼(730)는 덕트 바디(710)로 흘러 들어오는 공기를 덕트 연장부(720)로 가이드하거나, 덕트 연장부(720)로 향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댐퍼(730)는 조리실(201) 내부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댐퍼(730)에 의하여 공기가 덕트 연장부(720)로 흐르는 것이 차단되면 덕트 바디(710)의 개구(711)를 통하여 공기가 흘러갈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0)의 전면판(110)에는 홀(111)이 형성되어 있고, 덕트 바디(710)의 개구(711)를 통해 흘러나온 공기는 전면판(110)의 홀(111)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조리기기(1)의 제1 덕트(600)와 제2 덕트(700)를 중심으로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덕트(600)는 제1 덕트부품(610)과 제2 덕트부품(62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덕트부품(610)은 팬박스(532)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덕트부품(610)은 덕트 제1 영역(611)과 덕트 제2 영역(612)을 포함할 수 있다. 덕트 제1 영역(611)은 제1 덕트부품(610)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제 램프(510)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덕트 제2 영역(612)은 덕트 제1 영역(611)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제1 덕트부품(610)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냉각 공간(101)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제1 영역(611)은 제1 덕트부품(610)의 상측에 위치하고, 덕트 제2 영역(612)은 제1 덕트부품(6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의하면 제1 덕트부품(610)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덕트 제1 영역(611)에 의하여 램프(510) 측으로 가이드되고, 나머지 공기는 덕트 제2 영역(612)에 의하여 하측의 냉각 공간(101)으로 가이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덕트(700)는 덕트 바디(710)와 덕트 연장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덕트(700)는 댐퍼(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댐퍼(730)는 덕트 바디(7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댐퍼 가이드(731)에 의하여 댐퍼(730)의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덕트 바디(710)와 덕트 연장부(720)는 결합부재(721)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덕트 연장부(720)는 내부 하우징(20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조리실 유입구(203)를 통해 조리실(201)에 연통될 수 있다.
이하 냉각 공간(101)에서의 공기의 유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쿨링팬(530a, 530b)이 작동하면 외부 하우징(100) 후면판의 홀(121)을 통하여 냉각 공간(101)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냉각 공간(101) 후면에는 PCB(560)와 모터(57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외부 공기가 쿨링팬(530) 측으로 유입되면서 PCB(560)와 모터(570)를 냉각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조리기기(1)를 상측에서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쿨링팬(530a, 530b)은 각각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하고, 각각의 전방에 있는 전장품을 냉각할 수 있다. 특히 우측 쿨링팬(530b)은 공기를 토출하여 그 전방에 있는 HVT(540) 등의 전장품을 냉각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조리기기(1)를 좌측에서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좌측 쿨링팬(530a)에 의하여 토출된 공기는 제1 덕트(600)의 제1 덕트부품(6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덕트부품(610)으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제1 덕트부품(610)의 상측에 위치한 덕트 제1 영역(611)에 의해 제2 덕트부품(620)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제2 덕트부품(620)으로 가이드 된 공기는 제2 덕트부품(620)에 의해 냉각 공간(101) 상측에 위치한 램프(51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램프(510)가 냉각될 수 있다.
램프(510)은 냉각 공간(101) 상측에 히터(400)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온도가 고온으로 상승할 수 있으나, 제1 덕트(600)의 구성으로 인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덕트(600)의 구성으로 인해 램프(510)의 냉각을 위한 별도의 추가의 쿨링팬이 불필요하며, 이에 따라 비용이 저감되고 조립 구조가 단순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덕트부품(610)의 전방으로 토출된 공기는 마그네트론(520)을 향해유동할 수 있다. 제1 덕트부품(610)의 전방으로 토출된 공기는 마그네트론(520)을 냉각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520)을 냉각한 공기는 제2 덕트(700)의 덕트 바디(710)로 향할 수 있다. 덕트 바디(710)로 유입되는 공기는 덕트 바디(710)에 의해 덕트 연장부(720)로 가이드 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조리기기(1)를 정면에서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덕트(700)의 덕트 바디(710)로 유입된 공기는 덕트 연장부(720)를 통해서 상측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덕트 연장부(720)의 상측에는 유출구(722)가 마련되고, 유출구(722)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리실 유입구(203)가 마련될 수 있다. 덕트 연장부(720)에 의해 가이드 된 공기는 유출구(722)와 조리실 유입구(203)를 지나 조리실(20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조리실(2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도어(300)의 투명부재(301)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조리기기(1)의 마그네트론(520)만 작동하는 경우, 조리실(201) 내부의 음식은 가열되지만, 조리실(201) 자체는 가열되지 않을 수 있다. 가열된 음식에서 뜨거운 수증기가 음식 외부로 토출되게 되고, 이러한 수증기는 가열되지 않은 도어(300)의 투명부재(301)와 맞닿게 된다. 이 때, 온도 차이에 의하여 수증기가 액화하고, 이에 따라 투명부재(301)에는 뿌옇게 김이 서릴 수 있다. 따라서, 도어(300)의 투명부재(301)를 통하여 조리실(201) 내부의 상황을 명확하게 보기 어려울 수 있다.
제1 덕트(600)에서 유출되어 마그네트론(520)을 통과한 공기는 마그네트론(520)에서 발생한 열을 포함하고 그 온도는 약 90도 정도일 수 있다. 이 공기가 제2 덕트(700)를 통해 조리실(201) 내부의 도어(300) 투명부재(301) 측으로 유동되어, 투명부재(301)에 맺힌 수증기를 기화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어(300)의 투명부재(301)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므로 이에 의하여, 투명부재(301)와 인접한 공기의 온도 차이가 줄어들고 수증기가 액화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부재(301)를 통해 조리실(201) 내부의 상황을 선명히 볼 수 있게 된다.
만약 조리기기(1)의 작동 시 히터(400)를 작동하는 경우, 조리실(201)의 온도도 같이 상승하기에 도어(300)에 서리가 발생하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오히려 히터(400)가 작동하는 경우에, 마그네트론(520)을 지나온 공기를 흐르게 한다면, 조리실(201)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공기를 조리실(201) 내부로 흐르게 하는 것이 오히려 조리기기(1)의 효율을 낮추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히터(400)는 작동하지 않고 마그네트론(520)만 작동하는 때에는 제2 덕트(700)를 통해 조리실(201) 내부로 공기를 투입하고, 마그네트론(520)은 작동하지 않고 히터(400)만 작동하거나, 마그네트론(520)과 히터(400)가 함께 작동하는 경우에는 제2 덕트(700)를 통해 조리실(201) 내부로 공기가 투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덕트 바디(710) 내부의 유로를 조절하는 댐퍼(730)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 아래에서 상술한다.
도 11는 도 4의 제1 덕트(600), 제2 덕트(700), 제2 전장품(520)을 중심으로 본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바디(710)의 내부에는 댐퍼(730)가 마련된다. 댐퍼(730)는 마그네트론(520)을 지나온 공기를 덕트 연장부(720)로 흐르게 하거나, 또는 덕트 바디(710) 전방에 형성된 개구(711)로 흐르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12를 보며 자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제2 덕트(700)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댐퍼(730)가 열려 있을 때의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730)가 열려 있을 때, 즉 댐퍼(730)가 덕트 바디(710) 전방에 형성된 개구(711)로의 공기의 흐름을 막고, 덕트 연장부(720)로 공기를 가이드 할 때에는 공기가 덕트 연장부(720)로 흐를 수 있다. 히터(400)가 작동하지 않고, 마그네트론(520)만 작동하는 상태에서는, 이러한 공기의 흐름을 통해 투명부재(301)에 수증기가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마그네트론(520)만 작동하고 히터(40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댐퍼(730)는 열린 상태가 될 수 있다. 댐퍼(730)가 열린 상태가 되면, 덕트 연장부(720) 쪽으로 공기가 가이드 되므로, 조리실(201) 내부의 도어(300) 투명부재(301) 측으로 공기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13은 제2 덕트(700)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댐퍼(730)가 닫혀 있을 때의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730)가 닫혀 있을 때, 즉 댐퍼(730)가 덕트 연장부(720)로의 공기의 흐름을 막고, 덕트 바디(710) 전방에 형성된 개구(711)로 공기를 가이드 할 때에는 공기가 덕트 바디(710) 전방에 형성된 개구(711)로 흐를 수 있다. 히터(400)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조리실(201) 내부로 공기가 흐르는 것이 조리기기(1)의 효율을 나쁘게 할 수 있으므로, 덕트 연장부(720)로 공기가 가이드 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즉, 히터(400)만 작동하는 경우, 댐퍼(730)는 닫힌 상태가 될 수 있다. 댐퍼(730)가 닫힌 상태가 되면, 덕트 바디(710) 전방에 형성된 개구(711)로 공기가 가이드 되므로, 조리기기(1)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덕트 바디(710) 전방에 형성된 개구(711)로 흘러간 공기는 외부 하우징(100) 전면판(110)에 형성된 홀(111)을 통하여 조리기기(1)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하에서는 제1 덕트(600) 제1 덕트부품(610)의 덕트 제1 영역(611)과 덕트 제2 영역(612)의 적절한 면적 비율에 관하여 서술한다.
도 14은 도 4의 조리기기(1)의 제1 덕트(600)를 중심으로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덕트부품(610)은 상측에 형성된 덕트 제1 영역(611) 및 그 하측에 형성된 덕트 제2 영역(612)을 포함한다.
쿨링팬(530a)을 수용하고 있는 팬박스(532)와 제1 덕트부품(610)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쿨링팬(530a)에 의하여 토출된 공기는 제1 덕트부품(6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쿨링팬(530a)에서 토출된 공기는 덕트 제1 영역(611)과 덕트 제2 영역(612)으로 나뉘어 유동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1의 제1 덕트부품(610)과 쿨링팬(530a, 530b)을 중심으로 AA'단면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제1 영역(611)과 덕트 제2 영역(612)의 단면적 비는 그 높이인 H1과 H2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도 16은 H1과 H2에 대한 실험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전, Case 1, Case 2 그리고 최종이라는 이름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Case 1 Case 2 최종
H1(mm) 22 16 11
H2(mm) 34 40 45
Q(CCM) 변경전 Case 1 Case 2 최종
H1 - 0.13 0.11 0.08
H2 - 0.35 0.39 0.43
Total 0.57 0.49(14%감소) 0.50(12%감소) 0.52(11%감소)
[표 1]에 표시된 것과 같이, 전체의 높이는 56mm로 고정한 상태에서 H1과 H2의 높이를 변경하여 보았다. 변경 전은 덕트의 영역을 나누지 않은 채로 실험을 진행한 것이다. Case 1은 H1이 22mm, H2가 34mm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Case 2는 H1이 16mm. H2가 40mm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최종은 H1이 11mm, H2가 45mm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표 2]에 표시된 것과 같이, 각각을 실험한 결과 변경전은 총 풍량이 0.57CCM 이 되었다. Case 1의 경우에는 총 풍량은 0.49CCM이 되어 변경전보다 14% 풍량이 감소하였다. Case 2의 경우에는 총 풍량이 0.50CCCM이 되어 변경전보다 12% 풍량이 감소하였다. 최종의 경우에는 총 풍량이 0.52CCM이 되어 변경전보다 11% 풍량이 감소하였다.
덕트 제1 영역(611)으로 흐르는 유량은 Case 1은 0.13CCM, Case 2는 0.11CCM, 최종은 0.08CCM이었다.
H1이 증가할수록 총 풍량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다만 어느 정도 H1이 증가한 이후에는 풍량이 줄어드는 변화량이 감소하였다.
H1으로 흘러가야 하는 풍량은 0.08CCM이면 충분하고, 마그네트론을 냉각시키기에는 H2로 흘러가야 하는 풍량이 0.43CCM 정도는 필요하였다.
따라서 H1과 H2의 비율은 20 ~ 30 : 80 ~ 70이 적절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80 이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조리기기
100 : 외부 하우징
101 : 냉각공간
200 : 내부 하우징
201 : 조리실
203 : 조리실 유입구
300 : 도어
400 : 히터
510 : 제1 전장품
520 : 제2 전장품
530 : 쿨링팬
531 : 팬모터
532 : 팬박스
600 : 제1 덕트
610 : 제1 덕트부품
611 : 덕트 제1 영역
612 : 덕트 제2 영역
620 : 제2 덕트부품
700 : 제2 덕트
710 : 덕트 바디
720 : 덕트 연장부
722 : 유출구
730 : 댐퍼

Claims (20)

  1. 전면이 개방된 조리실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조리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냉각 공간;
    상기 조리실 하부 후방의 상기 냉각 공간에 배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토출하는 쿨링팬;
    상기 냉각 공간에 배치된 제1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상기 쿨링팬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를 상측으로 안내하고, 상기 냉각 공간에 배치된 제2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상기 쿨링팬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나머지 일부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제1 덕트; 및
    상기 제1 덕트에서 전방으로 안내된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조리실 내부로 안내하는 제2 덕트;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을 가열하도록 상기 조리실 상면에 마련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장품은 상기 히터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조리기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장품은 상기 조리실 내부를 비추도록 상기 조리실의 외측면에 배치된 램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장품은 상기 조리실에 배치되는 조리물을 가열하도록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팬을 둘러싸게 위치하고, 상기 쿨링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팬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팬박스는 상기 제1 덕트와 결합된 조리기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는
    입구가 상기 쿨링팬을 향해 위치하여 상기 쿨링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1 덕트부품; 및
    상기 제1 덕트부품과 결합되고, 상기 제1 전장품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전장품 측으로 연장되는 제2 덕트부품;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부품은
    상기 제2 덕트부품과 결합하고, 상기 제1 덕트부품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제1전장품으로 가이드하는 덕트 제1 영역; 및
    상기 덕트 제1 영역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덕트부품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냉각공간으로 가이드하는 덕트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제1 영역과 상기 덕트 제2 영역의 단면적 비는 20~30 : 80~70과 같은 조리기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덕트는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유출구에 대응되는 조리실 유입구가 형성된 조리기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제2 덕트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제2 덕트에서 상기 조리실 내부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조리기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을 가열하도록 상기 조리실 상면에 마련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장품은 고주파를 발생기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히터가 작동하지 않고 상기 마그네트론이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덕트의 공기가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유동하도록 구성된 조리기기.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덕트는
    입구가 상기 제1 덕트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덕트에서 유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 바디; 및
    상기 덕트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조리실을 향해 상측으로 연장되는 덕트 연장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바디는 전방으로 향해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 전방 하단에는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전면판 홀이 형성된 조리기기.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에서 유출된 공기는 상기 제2 전장품을 거쳐 상기 제2 덕트로 유입되는 조리기기.
  15. 제1 항에 있어서,
    제3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상기 조리실 하부 후방의 상기 냉각 공간에 상기 쿨링팬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다른 쿨링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쿨링팬과 상기 다른 쿨링팬은 하나의 팬모터를 통해 구동되는 조리기기.
  16. 전면이 개방된 조리실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조리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냉각 공간;
    상기 조리실 하부 후방의 상기 냉각 공간에 배치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토출하는 제1 쿨링팬;
    상기 냉각 공간에 배치된 제1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상기 제1 쿨링팬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를 상측으로 안내하고, 상기 냉각 공간에 배치된 제2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상기 제1 쿨링팬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나머지 일부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덕트; 및
    제3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상기 조리실 하부 후방의 상기 냉각 공간에 상기 제1 쿨링팬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제2 쿨링팬;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쿨링팬과 상기 제2 쿨링팬은 하나의 팬모터를 통해 구동되는 조리기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을 가열하도록 상기 조리실 상면에 마련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장품은 상기 가열원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전장품은 상기 조리실 내부를 비추도록 상기 조리실의 외측면에 배치된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장품은 상기 조리실에 배치되는 조리물을 가열하도록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입구가 상기 쿨링팬을 향해 위치하여 상기 쿨링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1 덕트부품; 및
    제1 덕트부품과 결합되고, 상기 제1 전장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전장품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제2 덕트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덕트부품은
    상기 제2 덕트부품과 결합하고, 상기 제1 덕트부품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제2 덕트부품으로 가이드하는 덕트 제1 영역; 및
    상기 덕트 제1 영역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덕트부품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냉각공간으로 가이드하는 덕트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 제2 영역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2 전장품을 향해 유동하는 조리기기.
  19. 전면이 개방된 조리실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조리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냉각 공간;
    상기 조리실 하부 후방의 상기 냉각 공간에 배치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토출하는 제1 쿨링팬;
    상기 제1 쿨링팬에서 토출된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조리실 내부로 안내하는 덕트; 및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상기 조리실 하부 후방의 상기 냉각 공간에 상기 제1 쿨링팬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제2 쿨링팬;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쿨링팬과 상기 제2 쿨링팬은 하나의 팬모터를 통해 구동되는 조리기기.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유출구에 대응되는 조리실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는
    상기 덕트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덕트에서 상기 조리실 내부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조리기기.
KR1020210087802A 2021-03-31 2021-07-05 조리기기 KR20220136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3936 WO2022211341A1 (ko) 2021-03-31 2022-03-22 조리기기
US18/237,193 US20240064879A1 (en) 2021-03-31 2023-08-23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349 2021-03-31
KR20210042349 2021-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027A true KR20220136027A (ko) 2022-10-07

Family

ID=83596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802A KR20220136027A (ko) 2021-03-31 2021-07-05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60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750A1 (ko) * 2022-10-24 202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750A1 (ko) * 2022-10-24 202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201B1 (ko) 조리기기
KR101450879B1 (ko) 밴트그릴
KR101291426B1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US20070102426A1 (en) Microwave oven having a door ventilation system
KR102581788B1 (ko) 냉각 시스템을 구비한 조리장치
KR100694254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20220136027A (ko) 조리기기
US6768090B2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KR100402578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402587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20070008045A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배기장치
KR102600945B1 (ko) 조리기기
EP1649220B1 (en) Air flow system in an oven
US20240064879A1 (en) Cooking appliance
KR200232523Y1 (ko) 전자레인지 캐비티의 흡배기 구조
KR20090017299A (ko) 컨벡션 커버에 에어 가이드가 형성된 전기오븐
KR20050010565A (ko) 전자레인지
KR101652999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0735973B1 (ko) 조리기기
KR100716001B1 (ko) 오븐 레인지
KR20240084501A (ko) 조리기기
KR20240084498A (ko) 조리기기
KR20240084500A (ko) 조리기기
KR20240084499A (ko) 조리기기
KR100285842B1 (ko) 벽걸이형전자레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