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4501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4501A
KR20240084501A KR1020230175971A KR20230175971A KR20240084501A KR 20240084501 A KR20240084501 A KR 20240084501A KR 1020230175971 A KR1020230175971 A KR 1020230175971A KR 20230175971 A KR20230175971 A KR 20230175971A KR 20240084501 A KR20240084501 A KR 20240084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space
fan assembly
cooking appliance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5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태
황근재
이재호
김해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84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4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05B6/6423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wherein the microwave oven air circulation system is also used as air extract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조리기기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한 후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팬 어셈블리가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의 측부측 및 후방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 기능과 후드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챔버, 즉 조리실이 본체의 내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밀폐형 조리기기 중 전자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켜서 조리실 내부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침투시켜, 내부에서 분자운동을 일으키는 것에 의하여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조리장치이다.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의 고주파를 조리물에 조사시켜 그 내부 및 외부를 동시에 가열하는 주방용 기구로서, 열효율이 높아 조리물의 조리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조리물의 조리나 해동 및 데우기 과정에서 영양가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조리물을 용기에 저장한 채로 직접 조리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된다.
근래에는, 후드 기능을 구비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일명 OTR(Over the range) 타입 전자레인지가 출시되고 있다.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그 하방에 설치되는 조리기기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이하, '조리 가스'라 한다)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여과 후 실내로 배출하는 후드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는,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기 위한 팬이 구비된다. 이러한 팬은, 통상적으로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의 상부측에 배치된다. 즉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서, 팬은 캐비티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위치에 팬이 배치되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하단에 배치된 흡입구와 팬 간의 거리가 캐비티의 상하방향 길이 이상의 거리만큼 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흡입구와 팬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조리 가스 포집 성능은 낮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팬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 기류의 유속은, 팬으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형태로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위치에 팬이 배치되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전체의 상하방향 길이가 증가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상하방향 길이가 증가되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상부 수납장에 설치되었을 때,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상부 수납장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상부 수납장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면, 마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상부 수납장 하부에 설치된 쿡탑과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상부 수납장의 하측으로 돌출되면서 쿡탑과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 쿡탑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시야를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가리는 문제, 쿡탑의 조리 영역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리기기 전체의 상하방향 길이 증가를 억제하면서 후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기기 전체의 부피 증가를 억제하면서 조리기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동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조리기기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한 후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팬 어셈블리가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조리기기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한 후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팬 어셈블리가 조리기기 내부에 배치되되, 캐비티의 후방측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조리기기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한 후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팬 어셈블리가 조리기기 내부에 배치되되,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의 배면과 조리기기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조리기기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한 후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팬 어셈블리가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의 측부측 및 후방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캐비티의 측부측에는 캐비티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팬 어셈블리에 비해 크기가 작은 팬 어셈블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배후공간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티는, 상기 조리실과 상기 배후공간부 사이에 배치되는 배면과, 상기 조리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면과 상기 조리실의 측방측에 배치되는 측면, 및 상기 배면과 상기 상면 사이를 연결하는 함몰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배후공간부와 함몰면으로 둘러싸인 확장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풍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확장공간에 배치되는 팬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에 대해서, 상기 상면이 상기 배면보다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상면과 상기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하방향에 대해서, 상기 상면이 상기 배면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상면과 상기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풍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함몰면의 상측에 배치되는 팬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상면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송풍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흡기구, 및 상기 흡기구의 상측에 배치되는 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부는, 상기 배후공간부에 배치되는 팬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흡기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토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팬 어셈블리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마련되는 팬하우징, 및 상기 팬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는,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측방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임펠러는,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하방향에 대해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흡기구보다 상기 배기구에 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팬 어셈블리가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캐비티의 측방측에 형성된 측부공간부에 배치되는 제2팬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후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송풍부가 캐비티의 상부측이 아닌 측부측 또는 배후측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상하방향 길이 증가를 억제하며 후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부공간부와 배후공간부에 모두 팬 어셈블리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부공간부에는 좁은 공간에 배치되기에 더 적합한 제2팬 어셈블리가 배치되고, 측부공간부에 비해 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배후공간부에는 성능이 더 높은 제1팬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송풍부를 구비함으로써, 조리기기의 크기 증가를 억제하면서 더욱 향상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구와 일직선 상으로 연결된 배후공간부에 제1팬 어셈블리가 배치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유동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더욱 향상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의 설치 공간이 상부공간부에서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컴팩트한 사이즈를 유지하며 조리 가스의 여과 및 실내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1팬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2팬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조리기기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조리기기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조리기기의 도어 앞에서 조리기기를 바라볼 때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캐비티(11)과 캐비닛(13) 및 베이스 플레이트(14)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11)는, 본체(10)의 내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티(11)는,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11)의 내부에는, 조리실(10a)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0a)은, 캐비티(11)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즉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0a)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리실(10a)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10a)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면서 요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조리기기에서는, 조리실(10a)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캐비티(11)의 전방에는, 전면 플레이트(1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 플레이트(12)는, 캐비티(11)의 전방에서 본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면 플레이트(12)는 중공이 형성된 금속판 형태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캐비닛(13)은, 캐비티(11)의 외측에서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닛(13)은, 캐비티(11)를 상부 및 측부에서 덮으며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4)는, 캐비티(11)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4)는, 조리기기의 저면을 형성하며, 캐비티(11)의 하부측에서 캐비티(11)를 커버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0)는, 리어 플레이트(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15)는, 캐비티(11)의 배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리어 플레이트(15)는, 조리기의 배면을 형성하며, 캐비티(11)의 후방측에서 캐비티(11)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15)는, 캐비닛(13)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캐비닛(13)과 별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10)의 전방에는, 조리실(10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0)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어(20)는, 그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측방향 타측이 좌우로 회동하는 사이드 스윙(Side-swing) 방식으로 조리실(10a)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2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와 도어(20) 사이에는, 힌지가 설치될 수 있다. 힌지는, 본체(10)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도어(20)의 측방향 일측을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의 전면에서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조리실(10a)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조리실(10a) 내 가열을 위한 조리실 열원이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 열원은 한 가지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고, 두 가지 이상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조리실 열원은 조리실(10a) 내부에 고주파 열원을 공급할 수 있는 마그네트론(Magnetron)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마그네트론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조리실(10a)의 상부 또는 측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본체(10) 내 조리실(10a)의 상부 또는 측부에 위치되는 전장실(10b)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트론 및 전장실(10b)이 조리실(10a)의 측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전장실(10b)의 내부에는, 마그네트론, 고압트랜스 등의 전장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0)의 전방측에는, 컨트롤패널(30)이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컨트롤패널(30)은 도어(20)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제공될 수 있다. 입력부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컨트롤패널(30)은 캐비티(11)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30)은 조리실(10a)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조리실(10a)의 측부에는 전장실(10b)이 배치될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30)은 전장실(10b)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송풍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에는, 흡기구(101)와 제1배기구(103) 및 제2배기구(105)가 마련될 수 있다.
송풍부(100)는, 조리기기의 내부에 수용되며, 흡기구(101)를 통해 조리 가스를 흡입하고, 흡입한 조리 가스를 제1배기구(103)와 제2배기구(1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후드 기능과 관련된 구성들의 전반적인 구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흡기구(101)는 조리기기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흡기구(101)는 베이스 플레이트(14)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흡기구(101)는, 조리 가스가 조리기기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조리기기의 하단에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흡기구(101)가 후술할 측부공간부(10c)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배기구(103) 및 제2배기구(105)는, 조리기기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배기구(103) 및 제2배기구(105)는,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조리기기의 상단에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배기구(103) 및 제2배기구(105)는 캐비닛(13)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배기구(103) 및 제2배기구(105)는, 캐비닛(13)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제1배기구(103)는, 본체(1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배기구(105)는, 본체(1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배기구(105)는, 도어(20)에 인접한 측에 배치되며, 제1배기구(103)에 비해 전방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배기구(103)는,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배기구(105)는,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배기구(103)는 조리기기의 상측에 설치된 상부 수납장과 상하방향으로 중첩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배기구(105)는, 상기 상부 수납장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배기구(103)는, 본체(10)의 측방향 대략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전방측에는, 복수개의 제2배기구(105)가 측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10)의 측방향 대략 중앙에 배치된 제1배기구(103)는, 실외와 연결된 배기덕트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배기구(105)는, 상부 수납장의 전방측에서 조리기기의 상측을 향해 조리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조리 가스는, 조리기기의 내부에서 여과된 상태로 제2배기구(10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부는, 캐비티(11)와 캐비닛(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는, 측부공간부(10c)와 배후공간부(10d)로 구분될 수 있다. 측부공간부(10c)는, 캐비티(11)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후공간부(10d)는, 캐비티(11)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측부공간부(10c)는 캐비티(11)의 측면과 캐비닛(13)의 측면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그리고 배후공간부(10d)는, 캐비티(11)의 배면과 리어 플레이트(1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측부공간부(10c) 중 어느 하나에는, 전장실(10b)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패널(30)의 후방측에 배치된 측부공간부(10c)에 전장실(10b)이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송풍부(100)는,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송풍부(100)는 공간부, 즉 캐비티(11)와 캐비닛(13)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팬 어셈블리(110)를 포함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10)는, 조리기기 외부의 조리 가스를 흡입한 후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 어셈블리(110)는, 흡기구(101)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시키기고 유입된 조리 가스를 제1배기구(103)와 제2배기구(1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송풍부(100)에 마련되는 팬 어셈블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기구(101)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배후공간부(10d)를 통과한 후 제1배기구(103) 또는 제2배기구(10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10)의 구체적인 배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체(10)의 내부에는, 상부공간부(10e)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부공간부(10e)는, 캐비티(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공간부(10e)는, 캐비티(11)의 상면과 캐비닛(13)의 상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공간부(10e)는, 측부공간부(10c) 및 배후공간부(10d)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배후공간부(10d)로 유입된 공기는, 상부공간부(10e)를 통과하여 제1배기구(103) 또는 제2배기구(105)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측부공간부(10c)로 유입된 공기도, 상부공간부(10e)를 통과하여 제1배기구(103) 또는 제2배기구(105)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송풍부의 일 실시예]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1팬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2팬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송풍부(100)는 제1팬 어셈블리(110)와 제2팬 어셈블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제1팬 어셈블리(110)는, 도 2 내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하우징(111)과 임펠러(113) 및 팬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팬하우징(111)은, 제1팬 어셈블리(110)의 외관을 형성하며, 임펠러(113)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팬하우징(111)의 측부에는, 흡입구(111a)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1a)는, 제1팬 어셈블리(110) 외부의 공기가 임펠러(113)의 내부로 흡입되는데 필요한 통로를 팬하우징(111)에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팬하우징(111)은 양측부가 개방된 누운 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팬하우징(111)의 개방된 양측부가 흡입구(111a)로 제공될 수 있다.
팬하우징(111)의 내부에는, 임펠러(113)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111)의 내부에는 임펠러(113)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수용공간과 마주보는 팬하우징(111)의 내주면은 임펠러(113)의 외주면을 감싸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11b)는, 팬하우징(111)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111b)는, 임펠러(113)가 수용된 수용공간으로 흡입된 공기가 송풍부(100)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토출구(111b)는 팬하우징(111)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구(111a)를 통해 측방향으로 팬하우징(111)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토출구(111b)를 통해 팬하우징(111)의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임펠러(113)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임펠러(113)의 내부에는 임펠러(113)의 측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임펠러(113)는, 팬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팬모터의 회전축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이러한 팬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임펠러(113)는, 팬모터의 회전축과 함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팬 어셈블리(110)는, 한 쌍의 임펠러(113) 및 팬하우징(111)이 팬모터의 양측에 배치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임펠러(113)와 팬하우징(111)의 조립체를 '팬모듈'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에 따르면, 제1팬 어셈블리(110)는 팬모터의 양측에 한 쌍의 팬모듈이 연결된 형태로 마련된다고 할 수 있다.
제1팬 어셈블리(110)에서, 팬모터는 그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임펠러(113)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팬모터와 한 쌍의 팬모듈을 포함하는 제1팬 어셈블리(110)는, 제1팬 어셈블리(110)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흡입구(111a)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제1팬 어셈블리(110)의 상측에 배치된 한 쌍의 토출구(111b)를 통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제1팬 어셈블리(110)는, 본체(10) 내부에 배치되되, 측부공간부(10c)와 배후공간부(10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팬 어셈블리(120)는, 제1팬 어셈블리(110)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팬어셈블리(120)는, 도 2 내지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팬 어셈블리(1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의 팬하우징(121)과 임펠러(123) 및 팬모터를 포함하되, 제1팬 어셈블리(110)에 구비된 것들보다는 크기가 작은 팬하우징(121) 및 임펠러(123)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21a)와 토출구(121b)의 배치 위치는, 제1팬 어셈블리(110)의 것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제2팬 어셈블리(120)는, 제1팬 어셈블리(110)에 비해 약간 작은 크기로 마련되며, 제1팬 어셈블리(110)보다는 약간 낮은 흡입 또는 토출 성능을 갖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제2팬 어셈블리(120)는, 제1팬 어셈블리(110)에 비해 더 짧은 전후방향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팬 어셈블리(120)에서, 팬모터는 그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임펠러(123)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팬모터와 한 쌍의 팬모듈을 포함하는 제2팬 어셈블리(120)는, 제2팬 어셈블리(120)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흡입구(121a)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제2팬 어셈블리(120)의 상측에 배치된 한 쌍의 토출구(121b)를 통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제2팬 어셈블리(120)는, 본체(10) 내부에 배치되되, 측부공간부(10c)와 배후공간부(10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송풍부(100)는, 제1팬 어셈블리(110)와 제2팬 어셈블리(120)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제1팬 어셈블리(110)와 제2팬 어셈블리(120) 중 어느 하나는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팬 어셈블리(110)와 제2팬 어셈블리(120) 중 다른 하나는 측부공간부(10c)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팬 어셈블리(110)는 배후공간부(10d), 즉 캐비티(11)의 배면과 리어 플레이트(15)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팬 어셈블리(120)는, 측부공간부(10c), 즉 캐비티(11)의 측면과 캐비닛(13)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팬 어셈블리(110)는, 배후공간부(10d)의 측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팬 어셈블리(110)는, 조리기기의 내부에서 대략 후방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팬 어셈블리(120)는, 측부공간부(10c)의 전후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팬 어셈블리(120)는, 조리기기의 내부에서 대략 후방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팬 어셈블리(120)는 측부공간부(10c) 내에서 전방측으로, 또는 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배기구(103)는 본체(10)의 측방향 대략 중앙에 배치되되, 캐비닛(13)의 상면 상에서 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배기구(103)는 배후공간부(10d)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송풍부(100)는, 제1송풍부 및 제2송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송풍부는 캐비티(11)의 배후측에 배치되고, 제2송풍부는 캐비티(120)의 측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송풍부는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되고, 제2송풍부는 측방공간부(10c)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제1팬 어셈블리(110)와 제2팬 어셈블리(120) 중,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되는 것을 제1송풍부, 측부공간부(10c)에 배치되는 것을 제2송풍부라 지칭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송풍부가 제1팬 어셈블리(110)를 포함하고, 제2송풍부가 제2팬 어셈블리(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제1배기구(103)와 제1팬 어셈블리(110)가 모두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되며, 배후공간부(10d) 상에서 제1배기구(103)와 제1팬 어셈블리(110)가 상하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리어 플레이트(15)에는, 후방돌출면(15a)이 마련될 수 있다. 후방돌출면(15a)은, 후방돌출면(15a)을 제외한 리어 플레이트(15)의 나머지 영역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리어 플레이트(15)는 전후방향 축과 직교하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돌출면(15a)은 리어 플레이트(15)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되, 후방돌출면(15a)을 제외한 리어 플레이트(15)의 나머지 영역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어 플레이트(15)의 측방향 및 상하방향 중앙에 후방돌출면(15a)이 배치될 수 있다.
제1팬 어셈블리(110)는, 리어 플레이트(15)의 전방측에 배치되되, 후방돌출면(15a)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팬 어셈블리(110)는, 후방돌출면(15a)을 제외한 리어 플레이트(15)의 나머지 영역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후방돌출면(15a)이 돌출된 길이만큼 후방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후방돌출면(15a)은, 배후공간부(10d)에서 송풍부(100)의 배치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즉 후방돌출면(15a)은, 크기가 더 크고 높은 성능을 갖는 제1팬 어셈블리(110)가 송풍부(100)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후방돌출면(15a)은,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벽면과 조리기기의 배면 사이를 이격시키는데 이용되는 구조물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제2팬 어셈블리(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부공간부(10c)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티(11)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측부공간부(10c) 중 어느 하나에는 전장실(10b)이 배치되며, 제2팬 어셈블리(120)는 한 쌍의 측부공간부(10c)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장실이 배치되지 않은 측부공간부(10c)의 측방향 길이는 배후공간부(10d)의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짧게 설정된다. 즉 상기 측부공간부(10c)는 배후공간부(10d)에 비해 좁은 공간만을 제공할 수 있다.
배후공간부(10d)에는, 조리기기의 종류에 따라 각종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컨벡션 기능을 제공하는 조리기기의 경우, 배후공간부(10d)에는 컨벡션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비해, 전장실(10b)을 형성하지 않는 측부공간부(10c)에는, 별다른 장치가 배치되는 일이 매우 드물다. 따라서 상기 측부공간부(10c)의 측방향 폭은, 불필요하게 증가될 필요가 없다. 측부공간부(10c)의 측방향 길이가 불필요하게 증가되면, 조리기기의 성능 향상 여부와 무관하게 조리기기의 전체 크기만이 커질 뿐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측부공간부(10c)는 배후공간부(10d)에 비해 좁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용 절감을 위해, 조리실 용적이 같은 조리기기는 동일 규격의 본체(10)를 공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고주파 기능 및 컨벡션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조리기기가 고주파 기능만을 제공하는 조리기기와 동일한 규격의 본체(10)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본체(10)는 컨벡션 모듈이 배치되기에 적합한 공간을 제공하는 배후공간부(10d)를 포함할 수 있고, 측부공간부(10c)는 배후공간부(10d)에 비해 좁은 공간만을 제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팬 어셈블리(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팬 어셈블리(110)에 비해 작은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측부공간부(10c)에 제2팬 어셈블리(120)가 배치된다. 즉 제1팬 어셈블리(110)와 제2팬 어셈블리(120) 중, 좁은 공간에 배치되기에 더 적합한 제2팬 어셈블리(120)가 측부공간부(10c)에 배치된다.
또한 제1팬 어셈블리(110)는, 측부공간부(10c)에 비해 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후공간부(10d)에 송풍부(100)가 배치됨으로써, 더 크고 성능이 높은 팬 어셈블리가 송풍부(100)에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즉 측부공간부(10c)에는 좁은 공간에 배치되기에 더 적합한 제2팬 어셈블리(120)가 배치되고, 측부공간부(10c)에 비해 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배후공간부(10d)에는 제1팬 어셈블리(110)가 배치되는 형태로, 송풍부(100)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0) 내부의 한정된 공간 내에 설치되어야 하는 송풍부(100)의 흡입 또는 토출 성능이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제1팬 어셈블리(110) 및 제2팬 어셈블리(120)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규격의 본체(10)를 이용하여 조리기기의 크기 증가를 억제하면서 더욱 향상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유로형성부재(140,15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형성부재(140,150)는, 송풍부(1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게 마련된다.
유로형성부재(140,150)는, 조리기기의 내부에 배기유로(A1,A2)를 형성할 수 있다. 배기유로(A1,A2)는, 송풍부(100)와 상부공간부(10d) 사이를 연결할 수 있으며, 제1팬 어셈블리(110)와 제2팬 어셈블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부공간부(10e)로의 공기 유동을 안내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배기유로(A1,A2)는, 송풍부(1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배기구(103,105)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유로(A1,A2)가 제1배기유로(A1) 및 제2배기유로(A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제1배기유로(A1)는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되며, 제2배기유로(A2)는 측부공간부(10c)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배기유로(A1)의 입구는 제1팬 어셈블리(110)를 향해 개방될 수 있으며, 제2배기유로(A2)의 입구는 제2팬 어셈블리(120)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기유로(A1) 및 제2배기유로(A2)의 출구는 상부공간부(10e)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즉 제1배기유로(A1)는, 제1팬 어셈블리(110)의 토출구(111b)에서 상부공간부(10e)로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유로를 조리기기의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배기유로(A2)는, 제2팬 어셈블리(120)의 토출구(121b)에서 상부공간부(10e)로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유로를 조리기기의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형성부재(140,150)가 제1유로형성부재(140) 및 제2유로형성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유로형성부재(140)는 제1팬 어셈블리(11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게 마련되며, 제2유로형성부재(150)는 제2팬 어셈블리(12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제1유로형성부재(140)는, 체결플레이트(141) 및 한 쌍의 세로플레이트(143)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플레이트(141)는, 제1팬 어셈블리(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플레이트(141)는, 토출구(111b)를 상측으로 개방하며 제1팬 어셈블리(1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세로플레이트(143)는, 체결플레이트(14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세로방향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세로플레이트(143)는, 체결플레이트(141)를 사이에 두고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한 쌍의 세로플레이트(143) 중 어느 하나는 체결플레이트(141)의 측방향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한 쌍의 세로플레이트(143) 중 다른 하나는 체결플레이트(141)의 측방향 타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유로형성부재(140)에서, 체결플레이트(141)는 제1배기유로(A1)의 하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세로플레이트(143)는 제1배기유로(A1)의 좌측 경계면 및 우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 제1배기유로(A1)의 후방측 경계면 및 전방측 경계면은, 캐비티(11)의 배면과 리어 플레이트(15)에 의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세로플레이트(143)는, 캐비티(11)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세로플레이트(143)는 세로플레이트(143)의 상단이 캐비닛(13)의 상면과 맞닿을 정도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배기유로(A1)의 출구는 상부공간부(10e)와만 연결될 수 있게 되고, 제1팬 어셈블리(110)에서 토출된 공기의 흐름은 제1배기유로(A1)를 통해 상부공간부(10e)로만 유도될 수 있게 된다.
제2유로형성부재(150)는, 체결플레이트(151) 및 세로플레이트(153)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플레이트(151)는, 제2팬 어셈블리(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플레이트(151)는, 토출구(121b)를 상측으로 개방하며 제2팬 어셈블리(12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세로플레이트(153)는, 체결플레이트(15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세로방향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유로형성부재(150)는, 제1유로형성부재(140)와 달리, 하나의 세로플레이트(153)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세로플레이트(153)는 체결플레이트(151)의 후방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유로형성부재(150)에서, 체결플레이트(151)는 제2배기유로(A2)의 하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으며, 세로플레이트(153)는 제2배기유로(A2)의 후방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 제2배기유로(A2)의 좌측 경계면 및 우측 경계면은, 캐비티(11)의 측면과 캐비닛(13)의 측면에 의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세로플레이트(153)는, 캐비티(11)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세로플레이트(153)는 세로플레이트(153)의 상단이 캐비닛(13)의 상면과 맞닿을 정도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배기유로(A2)의 출구는 상부공간부(10e)와만 연결될 수 있게 되고, 제2팬 어셈블리(120)에서 토출된 공기의 흐름은 제2배기유로(A2)를 통해 상부공간부(10e)로만 유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1연결플레이트(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플레이트(160)는, 제1유로형성부재(140)와 제2유로형성부재(150) 사이의 틈을 가로막을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제1연결플레이트(160)는 제1유로형성부재(140)의 세로플레이트(143)와 제2유로형성부재(150)의 세로플레이트(153) 사이를 연결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제1연결플레이트(160)는 제1유로형성부재(140)와 제2유로형성부재(150) 사이의 틈을 막음으로써, 상부공간부(10e)의 공기가 상기 틈을 통해 배후공간부(10d) 및 제1팬 어셈블리(11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구획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재(170)는, 전장실(10b)과 상부공간부(10e) 사이, 전장실(10b)과 제1팬 어셈블리(110) 사이를 가로막는 차단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획부재(170)는, 상부공간부(10e)의 공기가 전장실(10b)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상부공간부(10e)의 공기가 전장실(10b)을 통해 제1팬 어셈블리(11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2연결플레이트(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플레이트(165)는, 제1유로형성부재(140)와 구획부재(170)사이의 틈을 가로막을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제2연결플레이트(165)는 제1유로형성부재(140)의 세로플레이트(143)와 구획부재(170) 사이를 연결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제1연결플레이트(160)는 제1유로형성부재(140)와 구획부재(170) 사이의 틈을 막음으로써, 상부공간부(10e)의 공기가 상기 틈을 통해 배후공간부(10d) 및 제1팬 어셈블리(11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조리기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조리기기의 하단에 흡기구(101)가 마련되고, 조리기기의 상단에 제1배기구(103) 및 제2배기구(105)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배기구(103)는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되며, 제2배기구(105)는 조리기기의 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송풍부(100)는 제1팬 어셈블리(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팬 어셈블리(110)는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팬 어셈블리(110)는, 배후공간부(10d) 내에서 측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팬 어셈블리(110)는 제1배기구(103)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송풍부(100)는 제2팬 어셈블리(1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팬 어셈블리(120)는 측부공간부(10c)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팬 어셈블리(110)의 동작이 시작되면, 조리기기 외부의 공기를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흡입 기류는, 조리기기의 하단에 배치된 흡기구(101)를 통해 흡입 대상이 되는 외부 공기에 작용하게 된다. 흡기구(101) 주변의 외부 공기, 즉 조리 가스는, 이와 같이 작용하는 흡입 기류에 의해 흡기구(101)를 통과하여 본체(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본체(10)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는, 본체(10) 내부의 공간부 중 배후공간부(10d)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후공간부(10d) 내부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제1팬 어셈블리(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흡입구(111a)를 통해 제1팬 어셈블리(110)의 내부로 흡입된 후, 제1팬 어셈블리(110)의 상측에 배치된 토출구(111b)를 통해 제1팬 어셈블리(110)의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즉 흡기구(101)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배후공간부(10d)를 통해 상부공간부(10e)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공간부(10e)로 유동한 조리 가스는, 제1배기구(103)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배기구(103)는, 상부공간부(10e)를 조리기기의 외부와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배기구(103)는, 상부공간부(10e)의 상측에 배치되되, 배후공간부(10d)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팬 어셈블리(110)와 배후공간부(10d) 및 제1배기구(103)는,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팬 어셈블리(110)와 배후공간부(10d) 및 제1배기구(103)가 상하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팬 어셈블리(110)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기의 유동은, 제1팬 어셈블리(110)와 배후공간부(10d) 및 제1배기구(103)의 배치 방향과 동일한 직선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직선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면, 그만큼 공기 유동에 대한 저항이 낮아져 공기의 유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팬 어셈블리(110)에 의한 공기 흡입 및 배출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이 그만큼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팬 어셈블리(110)의 동작시 제2팬 어셈블리(120)의 동작도 함께 시작될 수 있다. 제2팬 어셈블리(120)의 동작이 시작되면, 흡기구(101) 주변의 조리 가스가 측부공간부(10c)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부공간부(10c) 내부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제2팬 어셈블리(120)의 내부로 흡입된 후, 제2팬 어셈블리(120)의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제2팬 어셈블리(120)에 의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측부공간부(10c)를 통해 상부공간부(10e)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공간부(10e)로 유동한 조리 가스는, 제1팬 어셈블리(10c)에 의해 상부공간부(10e)로 유동한 조리 가스와 함께 제1배기구(103)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부공간부(10c)와 배후공간부(10d)에 모두 팬 어셈블리가 배치됨으로써, 측부공간부(10c)와 배후공간부(10d)에만 팬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송풍부(100)의 흡입 또는 토출 성능이 매우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필요에 따라 실내로 배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는 제2배기구(105)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즉 흡기구(101)를 통해 측부공간부(10c) 또는 배후공간부(10d)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상부공간부(10e)를 통과한 후 제2배기구(105)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측부공간부(10c) 또는 배후공간부(10d)에서 상부공간부(10e)로 유동한 조리 가스는, 필터를 통과하며 필터에 의해 여과된 상태로 제2배기구(105)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팬 어셈블리(110)는 리어 플레이트(15)와 인접한 본체(10)의 후방측에 배치되며, 제2배기구(105)는 도어(20)와 인접한 본체(1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배기구(105)는 상부공간부(10e) 중 전방측에 배치되며, 제1팬 어셈블리(110)는 상부공간부(10e)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기구(103)는 상부공간부(10e) 중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공간부(10e)에는 조리 가스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마련될 수 있다. 제1팬 어셈블리(110)가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되고 제2팬 어셈블리(120)가 측부공간부(10c)에 배치되므로, 상부공간부(10e)에는 필터의 설치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즉 송풍부(100)가 본체(10)의 측부 공간 및 배후 공간, 즉 측부공간부(10c) 및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됨으로써, 필터의 설치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이 상부공간부(10e)에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송풍부(100)가 상부공간부(10e)에 배치된다면, 상부공간부(10e)의 대부분의 공간이 송풍부(100)에 의해 점유됨으로 인해, 필터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상부공간부(10e)에서 확보되기 어렵게 된다. 게다가 송풍부(100)가 상부공간부(10e)에 배치된다면, 조리기기의 상하 길이가 증가되는 문제도 함께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송풍부(100)가 측부공간부(10c) 및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기기의 상하 길이가 증가되지 않도록 하면서 필터의 설치 공간을 상부공간부(10e)에서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측부공간부(10c)와 배후공간부(10d)에 모두 팬 어셈블리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측부공간부(10c)에는 좁은 공간에 배치되기에 더 적합한 제2팬 어셈블리(120)가 배치되고, 측부공간부(10c)에 비해 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배후공간부(10d)에는 제2팬 어셈블리(120)에 비해 성능이 더 높은 제1팬 어셈블리(110)가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송풍부(100)를 구비함으로써, 조리기기의 크기 증가를 억제하면서 더욱 향상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배후공간부(10d)에 배치되는 제1팬 어셈블리(110)에 의해 유도되는 공기의 흐름, 즉 흡기구(101)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어 제1배기구(103)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직선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유동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더욱 향상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필터의 설치 공간이 상부공간부(10e)에서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컴팩트한 사이즈를 유지하며 조리 가스의 여과 및 실내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후공간부(10d)에 제1팬 어셈블리(110)가 배치되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배후공간부(10d)에 제1팬 어셈블리(110) 대신 제2팬 어셈블리(120)가 배치될 수도 있고, 제1팬 어셈블리(110)과 제2팬 어셈블리(120)가 함께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복수개의 제2팬 어셈블리(120)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송풍부의 다른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투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조리기기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 간의 주요 차이점은, 본체(2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캐비티(211)의 형상, 그리고 송풍부(200)의 배치 구조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조리기기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 간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캐비티(211)의 일부분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는 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티(211)의 일부분에 함몰면(212)이 마련될 수 있다. 함몰면(212)은, 캐비티(211)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함몰면(212)은 캐비티(211)의 배면(211a) 주변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함몰면(212)은 배면(211a)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캐비티(211)의 상면(211c)과 배면(211a)의 상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함몰면(212)은 캐비티(211)의 상면(211c)과 배면(211a)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면(212)은,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비티(211)의 후단은, 배면(211a)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함몰면(122)은 캐비티(211)의 상면(211c)과 배면(211a)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함몰면(212)은 전방 및 하방으로 오목한 곡면 형태로 캐비티(211)의 상면(211c)과 배면(211a)의 상단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함몰면(212)이 상면(211c)과 배면(211a)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함몰면(211)을 포함하는 캐비티(11)가 본체(10) 내부에 배치됨에 따라, 배후공간부(10d)와 함몰면(211) 사이에는 공간이 추가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즉 배후공간부(10d) 중 함몰면(212)과 마주보는 상측 영역이 전후방향으로 확장되면서, 배후공간부(10d)의 상측 영역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배후공간부(10d)의 상측 영역의 크기가 확장되면, 조리기기 전체에서 송풍부(200)에 의해 점유 가능한 공간이 차지하는 비율이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동일한 송풍부를 구비하는 다른 조리기기 대비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가 더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게 되거나, 동일 사이즈의 다른 조리기기에 구비된 송풍부 대비 더 크고 성능이 높은 송풍부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함몰면(212)의 존재로 인해, 캐비티(211)의 일부분의 전후방향 길이가 감소되면서, 조리실(10a)의 용적이 약간 감소될 수는 있다.
그러나 조리실(10a) 내에서, 조리물의 대부분이 조리실(10a)의 하측 영역에 배치되고, 조리물의 높이가 함몰면(212)이 위치한 높이 이상이 되는 경우는 드문 편이다.
또한 조리실(10a)의 전체 영역이 아닌 조리실(10a)의 후방측 영역의 높이만 감소되는 것이기 때문에, 조리실(10a)의 입구가 좁아지는 것도 아니고, 조리실(10a) 용적의 감소가 조리물의 출입에 미치는 영향도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배후공간부(10d)의 상측 영역을 확장시키기 위해 조리실(10a)의 상측 영역의 부피가 다소 감소된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조리기기의 조리 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미미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팬 어셈블리(110)가 상기 배후공간부(10d)의 상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팬 어셈블리(110)는 전장실(11b)의 상면을 덮는 캐비닛(13)의 상면과 리어 플레이트(15)와 함몰면(212)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팬 어셈블리(110)는, 캐비티(211)의 배면(211a)과 리어 플레이트(15) 사이의 공간에서 상측으로 빗겨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후공간부(10d)의 전후방향 길이가 제1팬 어셈블리(110)의 전후방향 길이 이상으로 확보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배후공간부(10d)의 전후방향 길이가 제31팬 어셈블리(110)의 길이보다 짧아지더라도, 이것이 제1팬 어셈블리(110)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배후공간부(10d)의 전후방향 길이가 감소되는 만큼 조리기기의 전체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배후공간부(10d)의 전후방향 길이가 감소되는 만큼 캐비티(211)의 전후방향 길이가 증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리기기의 크기 변화 없이 조리실(10a)의 용적만이 증가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팬 어셈블리(110)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제1팬 어셈블리(110)에 비해 후방 및 측방으로 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우수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더욱 더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후공간부(10d)의 상측 영역에 제1팬 어셈블리(110)가 배치되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배후공간부(10d)에 제1팬 어셈블리(110) 대신 제2팬 어셈블리(120)가 배치될 수도 있고, 제1팬 어셈블리(110)과 제2팬 어셈블리(120)가 함께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복수개의 제2팬 어셈블리(120)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210 : 본체
10a : 조리실
10b : 전장실
10c : 측부공간부
10d : 배후공간부
10e : 상부공간부
11,211 : 캐비티
12 : 전면 플레이트
13 : 캐비닛
14 : 베이스 플레이트
15 : 리어 플레이트
15a : 후방돌출면
20 : 도어
30 : 컨트롤패널
100,200: 송풍부
101 : 흡기구
103 : 제1배기구
105 : 제2배기구
110 : 제1팬 어셈블리
111 : 팬하우징
111a : 흡입구
111b : 토출구
113 : 임펠러
120 : 제2팬 어셈블리
121 : 팬하우징
121a : 흡입구
121b : 토출구
123 : 임펠러
211a : 배면
211b : 측면
211c : 상면
212 : 함몰면

Claims (11)

  1.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배후공간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조리실과 상기 배후공간부 사이에 배치되는 배면과, 상기 조리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면과 상기 조리실의 측방측에 배치되는 측면, 및 상기 배면과 상기 상면 사이를 연결하는 함몰면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배후공간부와 함몰면으로 둘러싸인 확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확장공간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후방향에 대해서, 상기 상면이 상기 배면보다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상면과 상기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에 대해서, 상기 상면이 상기 배면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상면과 상기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함몰면의 상측에 배치되는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상면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송풍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흡기구, 및 상기 흡기구의 상측에 배치되는 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배후공간부에 배치되는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흡기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토출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마련되는 팬하우징, 및 상기 팬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측방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조리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마련되는 팬하우징, 및 상기 팬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조리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에 대해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흡기구보다 상기 배기구에 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0. 제6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팬 어셈블리가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조리기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측방측에 형성된 측부공간부에 배치되는 제2팬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230175971A 2022-12-06 2023-12-06 조리기기 KR202400845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533 2022-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4501A true KR20240084501A (ko) 2024-06-1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5812B1 (en) Cooking appliance
US6797930B2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KR102656201B1 (ko) 조리기기
KR101450879B1 (ko) 밴트그릴
EP3412975B1 (en) Cooking appliance
US20060011622A1 (en) Microwave having a top vent
KR20120126215A (ko) 전기오븐의 도어
US7671310B2 (en) Microwave range having hood
US6818874B2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US7019272B2 (en) Wall mounted microwave oven having an exhaust ventilation system
EP2235445B1 (en) A microwave oven
US20230093325A1 (en) Cooking apparatus
US20040104226A1 (en) Wall-mounted microwave oven
KR20240084501A (ko) 조리기기
KR20240084498A (ko) 조리기기
KR20240084500A (ko) 조리기기
KR20240084499A (ko) 조리기기
KR102512751B1 (ko) 조리기기
KR20090017299A (ko) 컨벡션 커버에 에어 가이드가 형성된 전기오븐
CN116097039A (zh) 烹饪器具
JP4462778B2 (ja) 加熱調理器
CN100541005C (zh) 通风罩型微波炉
US20240015859A1 (en) Cooking device
CN220870941U (zh) 一种集成灶
JP4297622B2 (ja) 加熱調理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