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485B1 -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485B1
KR100690485B1 KR1020040092388A KR20040092388A KR100690485B1 KR 100690485 B1 KR100690485 B1 KR 100690485B1 KR 1020040092388 A KR1020040092388 A KR 1020040092388A KR 20040092388 A KR20040092388 A KR 20040092388A KR 100690485 B1 KR100690485 B1 KR 100690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drum
cartridge
process cartridge
photosensitiv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6822A (ko
Inventor
미야베시게오
도바신지로오
사또오마사아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6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03G21/1832Shielding members, shutter, e.g. light, heat shielding, prevention of toner scatte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03G2221/1609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protective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a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03G2221/1609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protective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amage
    • G03G2221/161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protective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amage plural shutters for openings of process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Abstract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사진 감광 드럼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카트리지 프레임과, 드럼 셔터를 포함하고, 드럼 셔터는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 노출되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노출부를 드럼 셔터가 덮는 폐쇄 위치와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부분을 노출하도록 폐쇄 위치로부터 드럼 셔터가 후퇴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1 셔터부와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2 셔터부를 구비하며, 폐쇄 위치에서, 제1 셔터부는 드럼 셔터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개방 방향에 대하여 노출부의 상류측을 덮고, 제2 셔터부는 개방 방향에 대하여 노출부의 하류측을 덮고, 개방 위치에서, 제1 셔터부 및 제2 셔터부는 드럼 셔터의 폭방향으로 서로 중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드럼 셔터, 폐쇄 위치, 개방 위치, 카트리지 접촉부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3의 (a)는 카트리지의 전방 코너들 중 하나 위에서 비스듬하게 볼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도3의 (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다른 전방 코너 아래에서 비스듬하게 볼 때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4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프로세스 카트리지, 힌지된 주 조립체의 전방 커버 및 정전 전사 장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분해 개략 사시도.
도5는 드럼 셔터가 개방 위치에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6은 드럼 셔터의 제1 부분의 사시도.
도7은 드럼 셔터의 제2 부분의 사시도.
도8은 제1 실시예의 드럼 셔터의 구조 및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8의 (a)는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8의 (b)는 길이방향 단부들 중 하나의 구조를 도시하는 드럼 셔터의 사시도이고, 도8의 (c)는 드럼 셔 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9는 드럼 셔터의 개폐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10은 전방 커버와 정전 전사 장치 사이의 링크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
도11은 드럼 셔터의 개폐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12는 드럼 셔터의 개폐를 위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13은 드럼 셔터의 개폐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기구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방향 단부들 중 하나를 장치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삽입 개구측에서 본 사시도.
도14는 드럼 셔터의 개폐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드럼 셔터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감광 드럼
4: 현상 수단
5: 전사 장치
6: 세척 수단
7: 프로세스 카트리지
20: 정착 스테이션
70: 드럼 셔터
76: 노출 창
100: 주 조립체
101: 전방 도어
200: 셔터 이동 수단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법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기록 매체(예를 들어, 용지, OHP 시트 등)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는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 프린터(예를 들어, 레이저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시밀리 장치, 워드프로세서, 장치들(다기능 프린터 등) 중 2가지 이상의 조합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카트리지를 의미하고,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 중 적어도 하나와 전자사진 감광 드럼이 일체로 위치되어서 이들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전자사진 화상 형 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적어도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현상 수단과 전자사진 감광 드럼이 일체로 위치되어서 이들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섹션으로 드럼 셔터를 제조함으로써 콤팩트하게 드럼 셔터를 수납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실개소 61-49359호 공보에는 제1 및 제2 이동가능부를 포함하는 셔터가 구비된 카트리지를 설명한다.
하지만, 이 출원에 따르면, 셔터의 제2 부분(34)은 카트리지 프레임에 부착되는 아암(24)에 의해 카트리지 프레임에 보유되어서 아암 지지부(25)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셔터의 제2 부분(34)이 개방될 때, 이는 셔터의 제1 부분(35)의 연결 홈(35b) 내로 끼워져 활주하고, 이후에 셔터의 제2 부분(34)은 카트리지 프레임이 제공되는 연결 홈(26) 내로 끼워져 활주한다. 다시 말해, 카트리지 프레임은 아암 지지부(25)외에 연결 홈(26)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아암(24)이 이동하여야 하는 거리는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특허 출원에 개시된 셔터 설계를 채용하면 화상 형성 장치뿐만 아니라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게 된다.
일본 특허 출원 제2001-042753호는 2개의 섹션을 갖는 다른 드럼 셔터를 개시한다. 이 출원에 따르면, 셔터는 2개의 섹션이 대향 방향으로 개방되게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셔터를 개폐하는 기구를 복잡하게 한다. 또한, 감광 드럼에 대하여 셔터의 2개의 섹션이 개별적으로 수납되는 2개의 공간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셔터 설계를 채용하면 카트리지 크기 및 화상 형성 장치 크기를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종래 기술을 해결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카트리지의 드럼 셔터의 제1 및 제2 섹션에 의해 완전히 덮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 및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부합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그 드럼 셔터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공간이 작게 되어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보다 작게 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부합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 프레임으로부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내로 드럼 셔터가 이동될 때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드럼 셔터가 콤팩트하게 수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부합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되고,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사진 감광 드럼에 대하여 작용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카트리지 프레임과, 드럼 셔터를 포함하고, 드럼 셔터는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 노출되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노출부를 드럼 셔터가 덮는 폐쇄 위치와 전자사진 감 광 드럼의 부분을 노출하도록 폐쇄 위치로부터 드럼 셔터가 후퇴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1 셔터부와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2 셔터부를 구비하며, 폐쇄 위치에서, 제1 셔터부는 드럼 셔터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개방 방향에 대하여 노출부의 상류측을 덮고, 제2 셔터부는 개방 방향에 대하여 노출부의 하류측을 덮고, 개방 위치에서, 제1 셔터부 및 제2 셔터부는 드럼 셔터의 폭방향으로 서로 중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고, 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거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 수단과, 기록재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포함하고,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드럼 셔터를 포함하고, 이 드럼 셔터는,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 노출되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노출부를 드럼 셔터가 덮는 폐쇄 위치와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부분을 노출하도록 폐쇄 위치로부터 드럼 셔터가 후퇴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1 셔터부와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2 셔터부를 구비하며, 폐쇄 위치에서, 제1 셔터부는 드럼 셔터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개방 방향에 대하여 노출부의 상류측을 덮고, 제2 셔터부는 개방 방향에 대하여 노출부의 하류측을 덮고, 개방 위치에서, 제1 셔터부 및 제2 셔터부는 드럼 셔터의 폭방향으로 서로 중첩된다.
본원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되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욱 명확해진다.
이후부터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설명된다.
실시예 1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자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먼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가 도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
도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완전 컬러 레이저 비임 프린터이다. 이 프린터의 주 조립체(100)는 종방향으로 병설되는 복수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Pa, Pb, Pc 및 Pd)]을 갖는다. 화상 형성 스테이션(Pa, Pb, Pc 및 Pd) 각각은 카트리지 장착 수단(도시 안됨)이 제공되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후부터는, 단순히 카트리지라 부른다)(7)[7a, 7b, 7c, 7d]는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본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스테이션(Pa, Pb, Pc 및 Pd)은 정수직 방향에 대해 약간 경사진 방향으로 적층된다. 하지만, 약간 경사진 방향으로 적층될 필요는 없고, 정 수직 방향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7)[7a, 7b, 7c, 7d] 각각에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이후부터는, 단 순히 감광 드럼이라고 부른다)(1)[1a, 1b, 1c, 1d]가 구비된다. 감광 드럼(1)은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구동 수단(도시 안됨)에 의해 회전식 구동된다.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근방에는, 화상 형성 단계의 순서대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2)[2a, 2b, 2c, 2d],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으로 레이저 광의 비임을 화상 형성 데이터로 변조하면서 레이저 광의 비임을 조사하는 스캐너 유닛(3)[3a, 3b, 3c, 3d], 잠상에 토너를 부착시킴으로써 (토너로 형성된)가시 화상으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4)[4a, 4b, 4c, 4d], 감광 드럼(1) 상의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S) 상으로 전사하는 전사 장치(5) 및 토너 화상의 전사 후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세척 수단(6)[6a, 6b, 6c, 6d]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1), 대전 수단(처리 수단)(2), 현상 수단(처리 수단)(4), 세척 수단(처리 수단)(6)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서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카트리지 내에 일체로 위치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도2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필수 부품이 감광 드럼(1)을 시작으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감광 드럼(1)[1a, 1b, 1c, 1d]은 원통체 및 원통체의 주연면 상에 도포된 감광성 물질 층을 포함한다. 감광 드럼(1)은 그 길이방향 단부까지 한쌍의 지지 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반시계 방향으로 감광 드럼(1)을 회전식으로 구동하도록 모터(도시 안됨)로부터의 구동력이 감광 드럼(1)의 길이 방향 단부들 중 하나로 전달된다.
대전 수단(2)[2a, 2b, 2c, 2d]은 접촉 대전 방법을 이용한다. 대전 수단(2)은 전기 도전성 롤러이고, 이 롤러의 주연면은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되게 위치된다.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은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롤러(2)에 인가함으로써 균일하게 대전된다.
스캐너 유닛(3)[3a, 3b, 3c, 3d]은 레이저 다이오드(도시 안됨), 고속으로 회전되는 다각 거울(도시 안됨), 결상 렌즈(도시 안됨) 등을 포함한다. 영상 신호로 변조된 화상 형성 광의 비임은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고, 고속으로 회전되는 다각 거울에 의해 편향(반사)되고, 결상 렌즈를 통해 감광 드럼(1)의 대전된 주연면 상에 포커싱된다. 결과적으로, 감광 드럼(1)의 대전된 주연면의 다수의 점들이 선택적으로 노광되고, 영상 신호를 반영하는 정전 잠상을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형성한다.
현상 수단(4)[4a, 4b, 4c, 4d]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 또는 블랙 컬러의 토너가 각각 저장되는 토너 용기(4)를 구비한다. 현상 수단은 토너 이송 기구(42)에 의해 토너 용기(41) 내의 토너를 토너 공급 롤러(43)로 보낸다.
토너 공급 롤러(43)는 현상제 담지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40)에 토너를 공급하고, 감광 드럼(1) 상의 잠상을 현상한 후 현상 롤러(40)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현상 롤러(40)로부터 제거하도록 화살표로 지시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현상 롤러(40)로 공급된 후, 토너는 마찰전기식 대전되면서 현상 롤러(40)의 주연면 상에 가압 유지된 현상 블레이드(44)에 의해 (화살표 Y로 지시되는 방향으 로 회전되는)현상 롤러(40)의 주연면 상에 도포된다. 이후, 현상 바이어스가, 그 주연면이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대향하는 현상 롤러(40)에 인가될 때, 토너는 잠상의 패턴으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부착되고, 이 잠상이 토너에 의해 현상된다.
전사 장치(5)에는, 그 외향면이 모든 감광 드럼(1)[1a, 1b, 1c, 1d]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면서 순환식 구동되는 정전 전사 벨트(11)가 구비된다. 정전 전사 벨트(11)는 구동 롤러(13), 종동 롤러(14a, 14b) 및 인장 롤러(15)를 감싸고 이들 주위에서 신장된다. 이는 그 외향면(도면의 좌측의 표면)에 기록 매체(S)를 정전기적으로 보유하고, 각각의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하여 기록 매체(S)를 위치시키도록 순환식 구동된다. 정전 전사 벨트(11)의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기록 매체(S)는 감광 드럼(1) 상의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S) 상으로 전사되는 전사 스테이션으로 전사 벨트(11)에 의해 반송된다.
전사 벨트(11)에 의해 형성된 루프 내에서, 4개의 전사 롤러(12)[12a, 12b, 12c, 12d]는, 이들이 4개의 감광 드럼(1)[1a, 1b, 1c, 1d]과 각각 대향되고 루프에 대하여 전사 벨트(11)의 내향면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는 위치에 위치된다. 전사 처리동안 이러한 전사 롤러(12)로 바이어스가 인가되어서, 전기 대전이 전사 벨트(11)를 통해 기록 매체(S)로 인가되어 전기장을 생성한다. 이 전기장에 의해, 감광 드럼(1) 상의 토너 화상은 기록 매체(S)가 각각의 감광 드럼(1)과 접촉할 때 기록 매체(S) 상으로 전사된다.
기록 매체 급송 스테이션(16)은 기록 매체(S)가 각각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 (Pa, Pb, Pc, Pd)으로 반송되는 스테이션이다. 이는 복수의 기록 매체(S)가 저장되는 카세트(17)를 구비한다. 화상을 형성하는 동안, 급송 롤러(반원통형 롤러)(18) 및 한쌍의 레지스트 롤러(19)는 화상 형성 작동의 진행과 동기하여 회전식 구동되어 기록 매체(S)를 하나씩 분리하면서 장치 주 조립체 내로 급송한다. 각각의 기록 매체(S)는, 그 선단 에지가 레지스트 롤러(19)와 접촉될 때 레지스트 롤러(19)에 의해 상향으로 약간 구부러진채로 일시적으로 대기 상태로 유지된다. 이후, 이는 전사 벨트(11)의 회전 및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 화상의 선단 에지와 동기하여 해제되고, 이후 한쌍의 레지스트 롤러(19)에 의해 전사 벨트(11)로 반송된다.
정착 스테이션(20)은 컬러가 상이하고 기록 매체(S) 상으로 전사된 복수의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S)에 정착되는 스테이션이다. 정착 스테이션(20)은 기록 매체(S)에 열 및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회전식 가열 롤러(21a) 및 가열 롤러(21a)에 대하여 가압유지된 가압 롤러(21b)를 포함한다. 더 상세하게는, 토너 화상이 감광 드럼(1)으로부터 전사된 기록 매체(S)는 가압 롤러(21b)에 의해 정착 스테이션(20)을 통해 반송되고, 기록 매체(S)가 정착 스테이션(20)을 통해 반송될 때 가열 롤러(21a)에 의해 기록 매체(S)에 열 및 압력이 가해져 컬러가 상이한 복수의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S)의 표면에 정착된다.
화상 형성 동작과 관련하여, 먼저 카트리지(7)[7a, 7b, 7c, 7d]는 화상 형성 타이밍과 동기하여 순차적으로 구동되어 감광 드럼(1)[1a, 1b, 1c, 1d]을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회전시키고, 카트리지(7)와 하나씩 대응되는 스캐너 유닛(3) 이 순차적으로 구동된다. 감광 드럼(1)이 구동될 때, 대전 롤러(2)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고, 스캐너 유닛(3)은 영상 신호에 응답하여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을 노광하여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 수단(4)의 현상 롤러(40) 각각은 포텐셜 레벨이 낮은 정전 잠상의 다수의 점 상으로 토너를 전사시킴으로써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토너 화상(토너로 형성된 화상)을 형성한다(이는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한편, 레지스트 롤러(19)는 회전하기 시작하여 기록 매체(S)를 전사 벨트(11)로 반송하여서, 전사 벨트(11)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최상류측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의 선단 에지가 감광 드럼(1)의 회전에 의해 감광 드럼(1)과 전사 벨트(11) 사이의 접촉 영역으로 이르는 타이밍이, 기록 매체(S) 상으로의 토너 화상의 전사가 시작되는 기록 매체(S) 상의 이론적 라인이 접촉 영역으로 이르는 타이밍과 일치하게 된다.
기록 매체(S)는 흡착 롤러(22)에 의해 전사 벨트(11)의 외향면 상에 가압되고 흡착 롤러(22)와 전사 벨트(11) 사이에 핀치되어 유지된다. 또한, 전사 벨트(11)와 롤러(22) 사이에 전기 전압이 인가되고, 유전체 매체인 기록 매체(S)와 전사 벨트(11)의 유전체층 사이에 전기 전하가 유도되어 기록 매체(S)를 전사 벨트(11)의 외향면에 정전 흡착시킨다. 따라서, 기록 매체(S)가 전사 벨트(11)에 흡착되고 최하류측 전사 스테이션으로 반송될 때까지 이에 흡착되어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기록 매체(S)가 상기와 같이 반송될 때, 각각의 감광 드럼(1) 상의 토너 화 상은 감광 드럼(1)과 전사 롤러(12)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기록 매체(S) 상으로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컬러가 상이한 4개의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S) 상으로 전사한 후, 기록 매체(S)는 구동 롤러(13)의 곡률에 의해 전사 벨트(11)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설명된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S)에 가열 정착되는 정착 스테이션(20) 내로 반송된다. 이후, 기록 매체(S)는 화상 담지면이 아래로 향하게 하면서 기록 매체 출구(24)를 통해 한쌍의 배출 롤러(23)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배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조)
다음으로,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설명된다.
도2는 카트리지(7)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의 토너를 수용하는 카트리지(7)의 단면도이고, 도3은 도2에 도시된 카트리지(7)의 사시도이다.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토너를 수용하는 각각의 카트리지(7a, 7b, 7c, 7d)는 구조가 동일하다.
상기 설명된 부품들은 카트리지 프레임에 일체로 부착되거나 또는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체품이다.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는 감광 드럼(1), 대전 수단(2) 및 세척 수단(6)을 갖는 클리너 유닛(50)과,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4)을 구비하는 현상 유닛(4A)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의 카트리지 프레임은 클리너 유닛 프레임(51)과 현상 유닛 프레임(45)을 구비한다. 감광 드럼(1)은 감광 드럼(1)과 프레임(51) 사이에 위치된 한쌍의 베어링(도시 안됨)에 의해 클리너 유닛(50)의 일부인 클리너 유닛 프레임(5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근방에는, 감광 드럼(1)의 감광층, 즉 최외곽층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2)과, 화상 전사 후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세척 블레이드(60)[이후부터는, 블레이드(60)라고 부른다]가 위치되고, 이들은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되게 위치된다. 블레이드(60)에 의해 감광 드럼(1)의 주연면으로부터 제거된 후, 잔류 토너(제거된 토너)는 세척 수단 프레임(51)의 일체품인 제거된 토너 저장 챔버(55) 내에 저장된다.
현상 유닛(4A)은 토너가 저장되는 현상 유닛 프레임(45)[부-프레임(45a, 45b, 45e)으로 구성됨]을 갖는다.
현상 롤러(40)는 한쌍의 베어링을 삽입시킴으로써 현상 유닛 프레임(45)에 의해 지지되어서, 현상 롤러(40)는 현상 롤러(40)와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사이의 미세한 간극을 갖고 (화살표 Y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현상 유닛 프레임(45)은 현상 롤러(40)의 주연면과 접촉하여 위치되는 현상 블레이드(44) 및 현상제 공급 롤러(43)를 또한 보유한다. 현상제 공급 롤러(34)는 현상 롤러(40)의 주연면과 접촉하여(화살표 Z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현상 유닛 프레임(45)은 토너를 교반하면서 저장된 토너를 공급 롤러(43)에 반송하도록 현상 유닛 프레임(45) 내에 위치되는 토너 반송 기구(42)를 또한 보유한다.
현상 유닛(4A)에는 현상 유닛 프레임(45)의 길이방향 단부에 하나씩 위치되 는 한쌍의 연결 구멍(47, 48)이 구비되고, 클리너 유닛(50)의 클리너 유닛 프레임(51)에는 클리너 유닛 프레임(51)의 길이 단부에 위치되는 한쌍의 지지 구멍(52, 53)이 제공된다. 현상 유닛(4A) 및 클리너 유닛(50)은, 연결 구멍(47, 48)과 지지 구멍(52, 53)이 하나씩 정렬하게 2개의 유닛을 보유하면서 2개의 유닛의 외향으로부터 연결 구멍(47, 48)과 지지 구멍(52, 53)을 통해 한쌍의 핀(49)을 삽입시킴으로써 서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전체 현상 유닛(4A)은 핀(49)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클리너 유닛(50)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현상 유닛(4A)은 지지 구멍(52, 53)의 축선에 대하여 현상 유닛(4A)을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한쌍의 스프링(도시 안됨)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유지되어서 현상 롤러(40)는 감광 드럼(1)과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현상 동작동안, 토너 용기(41) 내의 토너는 교반 기구(42)에 의해 공급 롤러(43)로 반송된다. 결과적으로, 공급 롤러(43)의 주연면은 현상 롤러(40)의 주연면에 대해 마찰되어서, 공급 롤러(43)의 주연면 상의 토너가 현상 롤러(40)의 주연면에 공급(부착)되게 된다. 현상 롤러(40)의 주연면에 부착된 토너는 현상 롤러(40)의 회전에 의해 현상 블레이드(44)로 보내진다. 이에 따라, 현상 롤러(40)의 주연면 상의 토너층은 현상 블레이드(44)에 의해 소정 두께로 균일한 토너 박층으로 규제되고, 소정의 전기 대전량이 부여된다. 이후, 현상 롤러(40)의 주연면 상의 토너 박층은 현상 롤러(40)의 추가적인 회전에 의해 감광 드럼(1)과 현상 롤러(40) 사이의 거리가 매우 작은 현상 스테이션에 이른다. 현상 스테이션에서, 현상 롤러(40)의 주연면 상의 토너 박층으로부터의 토너는 전원(도시 안됨)으로부터 현상 롤 러(40)에 인가된 현상 바이어스에 의해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의 정전 잠상에 부착, 즉 현상 롤러(40)는 잠상을 현상한다. 잠상의 현상에 관여하지 않는 토너, 즉 화상 전사후 현상 롤러(40) 상에 잔류하는 토너는 현상 롤러(40)의 추가적 회전에 의해 현상 유닛 프레임(45)으로 복귀되고, 여기서 이는 공급 롤러(43)와 현상 롤러(40)의 주연면이 서로 마찰되는 영역에서 공급 롤러(43)에 의해 현상 롤러(43)로부터 벗겨져 잔류 토너는 현상 유닛 프레임(45)로 회수된다. 회수된 토너는 교반 기구(42)에 의해 현상 유닛 프레임(45) 내의 토너와 혼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에 장착하고 이로부터 제거하는 방법)
다음으로, 도4 및 도10을 참조하여 카트리지(7)를 장치 주 조립체(100)에 장착하고 이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4 및 도10을 참조하면, 장치 주 조립체(100)에는 힌지된 도어(101)[전방 커버]가 구비된다. 도어(101)는 장치 주 조립체(100)에 힌지되어 도어 지지 샤프트(102)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장치 주 조립체(100)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연결 수단(링크 기구)을 사용하여 힌지된 도어(101)에 부착되는 전사 장치(5)가 또한 구비된다. 이에 따라, 힌지된 도어(101)가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될 때, 전사 장치(5)는 도어 지지 샤프트(102) 주위로 회전된다.
힌지된 도어(101)가 개방되어 전사 장치(5)가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떨어질 때, 카트리지(7)는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장착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카트리지(7)에는 카트리지(7)를 장착하거나 또는 제거하는 동안 작동 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한쌍의 손잡이부(90)가 제공된다. 한쌍의 손잡이부(90)는 감광 드럼(1)이 지지되는 카트리지의 길이방향 단부 근방에 하나씩 위치된다.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삽입될 때, 카트리지(7)가 구비되는 한쌍의 삽입 안내부(54)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0)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Pa, Pb, Pc, Pd) 각각이 구비되는 한쌍의 안내 레일(도시 안됨)과 결합된다. 따라서,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때, 이는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설정되고, 장치 주 조립체(100) 내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다.
(드럼 셔터의 구조)
다음으로, 도2, 도3 및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드럼 셔터의 구조가 설명된다. 도6 및 도7은 드럼 셔터의 사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100) 내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감광 드럼(1)이 노출되는 카트리지(7)의 노출 창(76)은 감광 드럼(1)을 보호하도록 드럼 셔터(70)로 덮여진 상태로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드럼 셔터(70)는 2개의 피스의 셔터를 갖는다. 즉, 이는 제1 및 제2 부분(71, 72)를 갖는다. 제1 셔터부(71)는 감광 드럼이 회전되는 방향에 대하여 노출 창(76)의 하류측[셔터(70)가 개방되는 방향에 대하여는 상류측]을 덮고, 제2 셔터부(72)는 노출 창(76)의 상류측[셔터 개방 방향에 대하여는 셔터(70)의 하류측]을 덮는다. 제1 및 제2 셔터부(71, 72)의 주요부는 1 내지 3 mm의 두께로 평평한 수지 판으로 형성된다.
도6을 참조하면, 셔터(70)의 제1 부분(71)은 [감광 드럼(1)의 축 방향에 평행한]길이방향에 대하여 단부에 하나씩 위치되며 U형 홈을 갖는 한쌍의 홈부(71a, 71b)[이후부터는, 단순히 홈이라고 부른다]를 구비한다. 도3 및 도5를 참조하면, 이러한 홈(71a, 71b)은 클리너 유닛 프레임(51)의 한쌍의 지지 샤프트(51a, 51b)가 끼워지는 위치에 있어서, 셔터(70)의 제1 부분(71)이 샤프트(74)의 축선 또는 지지 샤프트(51a, 51b)의 중심선을 연결하는 라인 주위를 회전하게 한다. 셔터(70)의 제1 부분(71)에는 제1 부분(71)의 길이방향 단부에 위치되는 한쌍의 홈(71d, 71e)이 구비되고, 셔터(70)가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될 때 제2 부분(72)의 동작을 규제하도록 셔터(70)의 제2 부분(72)에 연결된다. 즉, 셔터(70)가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될 때, 셔터(70)의 부분(72)의 동작은 셔터(70)의 제1 부분(71)의 연결 홈(71d, 71e)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연결 홈(71d, 71e)은 셔터(70)의 제1 부분(71)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긴 구멍의 형태이고, 적어도 내향측[길이 방향에 대하여는 홈(71e) 측]에서 개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홈(71d, 71e)은 개략적인 도면인 도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관통 구멍이다.
나아가, 셔터(70)의 제1 부분(71)에는 길이 방향으로 제1 부분(71)의 길이방향 단부들 중 하나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핀(71c)이 구비된다. 이 핀(71c)은 드럼 셔터(70)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도3의 화살표(F)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장치 주 조립체(100)의 셔터 이동 아암(202)[도12 참조]에 의해 제1 부분(71)이 하향으로 가압되는 부분이다. 이는 이후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7을 참조하면, 셔터(70)의 제2 부분(72)에는 부분(72)의 [감광 드럼(1)의 축선에 평행한] 길이방향 단부에 위치되는 한쌍의 샤프트(72a, 72b)가 구비된다. 도3 및 도5를 참조하면, 이 샤프트(72a, 72b)는 U형 단면을 갖는 현상 유닛 프레임(45)의 홈(45c, 45d)내로 끼워져서, 셔터(70)의 제2 부분(72)이 샤프트(75)의 회전축 또는 샤프트(45c, 45d)의 중심선을 연결하는 라인 주위를 현상 유닛 프레임(45)에 대하여 회전되게 한다.
도5를 참조하면, 셔터(70)의 [감광 드럼(1)의 축선에 평행한] 길이방향에 대하여, 셔터(70)의 제1 부분(71)의 홈(71a, 71b)은 셔터(70)의 제2 부분(72)의 샤프트(72a, 72b)의 외향측에 있다.
나아가, 셔터(70)의 제2 부분(72)에는 제2 부분(72)의 길이방향 단부에 위치되는 한쌍의 연결 샤프트(72c, 72d)가 제공되고, 셔터(70)의 제1 부분(71)의 상기 설명된 연결 홈(71d, 71e) 내로 끼워진다. 연결 샤프트(72c, 72d)는 셔터(70)가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될 때 셔터(70)의 제2 부분(72)의 동작을 제어한다. [감광 드럼(1)의 축선에 평행한] 길이방향에 대하여, 연결 샤프트(72c, 72d)는 셔터(70)의 제1 부분(71)의 홈(71a, 71b)과 셔터(70)의 제2 부분(72)의 샤프트(72a, 72b)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설명된 구조를 채용함으로 인해, 홈(71a, 71b), 샤프트(72a, 72b), 연결 홈(71d, 71e) 및 연결 샤프트(72c, 72d)는 공간 효율성 면에서 더 양호하게 위치설정될 수 있어서, 카트리지(7)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셔터(70)는 압력 부여 수단으로서의 한쌍의 리턴 스프링(73)에 의해 발생된 일정 압력하에서 유지되어서,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드럼 셔터(70)[71, 72]는 감광 드럼(1)이 노출되는 노출 창(76)을 완전히 덮는다. 리턴 스프링(73)은 코일 스프링이다. 이들은 이의 토크 중심이 셔터(70)의 제1 부분(71)의 샤프트(74)의 회전축과 일치하도록 부착된다.
셔터(70)의 제1 부분(71)에는 제1 부분(71)이 이동될 때 셔터(70)의 제1 부분(71)이 현상 유닛 프레임(45)의 샤프트(45c, 45d)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쌍의 직사각 노치(71g)[제1 개구]가 제공된다. 셔터(70)의 제2 부분(72)에는 제2 부분(72)이 개방될 때 제2 부분(72)이 현상 유닛 프레임(45)의 샤프트(45c, 45d)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쌍의 구멍(72f)[제2 개구]이 제공된다. 따라서, 셔터(70)의 제1 및 제2 부분(71, 72)은 샤프트(45c, 45d)를 방해하지 않고 넓게, 즉 공간 효율면에서 매우 효율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감광 드럼(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현상 유닛 프레임(45)의 샤프트(45c, 45d)는 현상제 화상(현상제로 형성된 화상)이 형성되는 범위의 외향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셔터(70)의 제1 및 제2 부분(71, 72)이 폐쇄된 후에도 직사각 노치(71g) 및 구멍(72f)를 통과하는 주위 광은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영역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카트리지 크기를 감소시키게 한다.
(드럼 셔터 개폐 기구)
다음으로, 도3, 도5 및 도8을 참조하여 드럼 셔터(이후부터는, 단순히 셔터라 부른다)를 개폐시키기 위한 기구가 설명된다. 도5는 드럼 셔터(70)[71, 72]가 완전 개방되는 카트리지(7)의 사시도이다. 도8은 드럼 셔터(70)[71, 72]의 개폐 처리의 3단계 "C, D 및 E"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의 (a) 및 도8의 (b)는 드럼 셔터(70)의 사시도이고, 도8의 (c)는 감광 드럼(1)과 드럼 셔터(70)[71, 72]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드럼 셔터(7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3은 노출 창(76)[도2 참조]이 리턴 스프링(73)에 의해 일정 압력하에 있는 드럼 셔터(70)[71, 72]에 의해 덮여지는 카트리지(7)를 도시한다(도8의 단계 "C"). 사용자가 카트리지(7)를 장치 주 조립체(100)로 삽입하기 전에, 카트리지(7)는 이러한 상태에 있다.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카트리지(7)를 삽입한 후 사용자가 전방 도어(101)를 폐쇄할 때, 장치 주 조립체(100)의 셔터 이동 아암(202)[도12 참조]은 전방 도어(101)의 동작에 의해 도12에 도시된 화살표(E)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셔터 이동 아암(202)은 셔터(70)의 제1 부분(71)의 핀(71c)과 접촉하여 하향으로, 즉 화살표(F2)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가압하여, 셔터(70)의 제1 부분(71)이 샤프트(74)의 축선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도8의 (c) 참조].
셔터(70)의 제2 부분(72)의 연결 샤프트(72c, 72d)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셔터(70)의 제1 부분(71)의 연결 홈(71d, 71e) 내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셔터(70)의 제1 부분(7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연결 샤프트(72c, 72d)는 화살표(B)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홈(71d, 71e) 각각에 대해 홈(71d, 71e) 내로 이동되어[도8의 (b) 참조], 셔터(70)의 제2 부분(72)이 샤프트(75)의 축선에 대하여 회전되게 한다.
셔터(70)의 제1 부분(71)이 소정 각도 회전될 때, 제1 부분(71)이 회전하는 각도에 비례한 각도로 셔터(70)의 제2 부분(72)를 회전시킨다(도8의 단계 "D"). 샤프트(74)의 축선은 샤프트(75)의 축선과 평행하다. 나아가, 샤프트(74)의 축선은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샤프트(75)의 축선의 하류측[셔터(70)의 개방 방향에 대하여는 상류측]에 위치된다. 상기 설명된 구조가 제공됨으로 인해,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이 노출되는 카트리지 프레임(45, 51)의 노출 창(76)을 덮는 폐쇄 위치에 셔터(70)가 있을 때, 셔터(70)의 제1 부분(71)은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노출 창(76)의 하류측[셔터(70)의 개방 방향에 대하여는 상류측]을 덮고, 셔터(70)의 제2 부분(72)은 노출 창(76)의 상류측{셔터(70)의 개방 방향[화살표(A)에 의해 지시된 방향]에 대하여는 하류측}을 덮는다. 하지만, 셔터(70)가 노출 창(76)을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내로 이동될 때, 셔터(70)의 제1 및 제2 부분(71, 72)은 중첩된다.
셔터(7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셔터(70)의 제1 및 제2 부분(71, 72)의 편평부는 중첩된 상태로 유지된다(도8의 단계 "E" 또는 도5 참조). 전방 도어(101)가 완전히 폐쇄될까지 셔터(70)의 제1 부분(71)은 대략 180°회전된다. 더 상세하게는, 셔터(70)의 제1 및 제2 부분(71, 72)은 중첩되어서, 드럼 셔터(70)가 개방 위치에 있는 카트리지(7)가, 노출 창(76)이 대면하는 방향 [도8의 (c)의 화살표(V1)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부터 관찰될 때 제2 부분(72)은 제2 부분(72)의 관찰자 측에 있다. 또한, 셔터(70)의 제1 및 제2 부분(71, 72)은 중첩되어서, 드럼 셔터(70)가 개방 위치에 있는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장착되는 방 향에 대하여 상류로부터 관찰될 때 제2 부분(72)은 제1 부분(71)의 상류측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셔터(70)가 V1 방향으로부터 볼 때 관찰자 측에 있는 셔터(70)의 부분은 셔터(70)의 제2 부분(72)의 편평면(72f)이다. 편평면(72f)은 셔터(70)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대면하는 제2 부분(72)의 표면이다. 다시 말해, 셔터(7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셔터(70)의 제1 및 제2 부분(71, 72)은 중첩되어서 제1 부분(71)의 편평면(71f)은 제2 부분(72)의 편평면(72e)과 대면한다. 제1 부분(71)의 편평면(71f)은 셔터(7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대면하는 표면이고, 제2 부분(72)의 편평면(72e)은 카트리지(7)의 외향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표면이다.
따라서, 셔터(70)에 대한 상기 설명된 구조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이 노출되는 노출 창(76)을 셔터(70)의 제1 및 제2 부분(71, 72)의 조합이 완전히 덮는 것을 보장할뿐만 아니라, 드럼 셔터(70)가 상기 설명된 폐쇄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셔터(70)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작은 공간내로 원활하게 수납될 수 있다.
전방 도어(101)를 개방하는 동안 셔터의 동작과 관련하여, 전방 도어(101)가 개방될 때 상기 설명된 장치 주 조립체(100)의 셔터 이동 아암(202)은 전방 도어(101)가 폐쇄될 때 이동하는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드럼 셔터(70)는 리턴 스프링(73)의 탄성에 의해 발생된 힘에 의해, 상기 설명된 개방 방 향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노출 창(76)은 전방 도어(101)가 완전히 폐쇄될 때까지 드럼 셔터(70)[71, 72]에 의해 완전히 덮여진다(도3 참조).
상기 설명된 드럼 셔터(70)[71, 72]는, 감광 드럼(1)이 노출되는 카트리지(7)의 노출 창(76)을 노출시키도록, 장치 주 조립체(100)가 제공되는 드럼 셔터 기구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설명된 제1 실시예의 경우에, 셔터(70)를 이동시키는 핀(71c)은 셔터(70)의 제1 부분(71)의 일부이다. 하지만, 필요하다면 이는 제2 부분(72)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고, 이러한 배열은 핀(71c)이 제1 부분(71)의 일부일 때 달성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70)가 개방될 때 셔터(70)의 제1 및 제2 부분(71, 72)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작은 공간 내로 수납되고, 상기 설명된 효과들은 필수적으로 제1 및 제2 부분(71, 72)으로 구성된 드럼 셔터(70)의 채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어서, 이를 위한 기구를 단순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드럼 셔터 기구에 의한 드럼 셔터의 개폐)
다음으로, 도9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드럼 셔터(70)[71, 72]를 개폐시키기 위한 본 실시예의 기구가 설명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0) 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각각의 카트리지(7)[7a, 7b, 7c, 7d]에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을 보호하도록 카트리지(7)의 노출 창(76)을 덮는 드럼 셔터(70)[70a, 70b, 70c, 70d] 가 제공된다.
다시 말해, 드럼 셔터(70)는, 감광 드럼(1)이 노출되는 카트리지 프레임의 노출 창(76)을 덮는 폐쇄 위치와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0) 내로 장착될 때 이동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드럼 셔터(70)는 드럼 셔터 기구에 의해 개폐된다.
본 실시예의 드럼 셔터 기구는, 드럼 셔터 기구가 연동 수단(110)을 사용하여 연결되는 장치 주 조립체(100)의 전방 도어(101)의 개폐 동작에 의해 이동된다. 드럼 셔터 기구는 연동 수단(110), 랙(120) 및 랙(120)에 의해 이동되는 셔터 이동 수단(200)을 포함한다.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전방 도어(101) 및 전사 장치(5)는 지지 샤프트(102, 103) 각각을 사용하여 그 바닥 단부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100)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나아가, 전방 도어(101) 및 전사 장치(5)의 길이방향 상방 단부는, 샤프트(104, 105)를 사용하여 전방 도어(101) 및 정전 전사 장치(5)에 그 단부가 부착되는 한쌍의 아암(106)을 사용하여 연결된다. 이에 따라, 장치 주 조립체(100), 전방 도어(101), 정전 전사 장치(5) 및 각각의 아암(106)은 4절 링크 기구로 구성된다.
상기 설명된 구조를 제공함으로 인해, 전방 도어(101)가 소정의 위치에 대하여 폐쇄될 때[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하여 완전히 폐쇄], 전사 장치(5)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주 조립체(100)의 각각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Pa 내지 Pd)에 정확하게 위치설정된 각각의 카트리지(7)[7a, 7b, 7c, 7d]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설정되는 소정의 위치 내로 잠겨진다. 반면에, 전방 도어(101)가 개방될 때, 전사 장치(5)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스테이션(Pa 내지 Pd)로부터 떨어지는 위치로 이동되어, 각각의 카트리지(7)[7a, 7b, 7c, 7d]의 우측 단부(도9 참조)가 노출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치 주 조립체(100)에는 전방 도어(101)의 개폐 동작에 의해 이동되는 드럼 셔터 이동 기구로서의 상기 설명된 링크 기구가 제공된다. 드럼 셔터 이동 기구 또는 링크 수단(110)은 링크 수단(110)의 원운동을 수직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랙(120)과, 드럼 셔터(70)를 개방시키도록 이 수직 직선 운동을 드럼 셔터(70)에 전달하기 위하여 각각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Pa 내지 Pd) 각각에 대하여 하나씩 제공된 4세트의 셔터 이동 수단(200)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을 보호하도록 감광 드럼(1)의 노출 창(76)을 덮는 드럼 셔터(70)는 링크 수단(110), 랙(120) 및 셔터 이동 수단(200)에 의해 개폐된다.
먼저, 링크 수단(110)이 설명된다.
본 실시예의 링크 수단(110)은 전방 도어(101)의 개폐에 의해 생성된 회전 운동을 수직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전사 장치(5)의 지지 샤프트(103)에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부착되는 제1 캠(111)과, 제1 캠(111)에 의해 요동식으로 이동되는 제2 캠(112)을 포함한다. 제2 캠(112)은 핀(113)을 사용하여 장치 주 조립체(100)에 부착되어 요동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9는 전방 도어(101)가 완전 개폐되기 전에 그 전방 도어(101)가 대략 절반 개방되는 장치 주 조립체(100)를 도시한다. 제2 캠(112)의 길이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 핀(113)으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져 위치되는 제2 캠(112)의 돌출부(112a)는 제1 캠(111)의 주연면의 리세스(111a) 내로 끼워지기 때문에 이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제2 캠(112)에는 돌출부(112a)로부터 핀(113)의 대향측에 위치되고 랙(120)의 핀(114)이 끼워지는 긴 구멍(112b)이 제공된다. 핀(114)은 이후에 상세히 설명된다.
랙(120)은 종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Pa 내지 Pd)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12를 참조하면, 랙(120)은 단편의 판을 절곡함으로써 형성되고, 길고 좁은 바닥부(120a) 및 바닥부(120a)에 직교하는 측부(120b)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랙(120)은 각진 부재 또는 L형의 단면을 갖는 부재이다.
랙(120)[120a, 120b]은 카트리지(7)[7a, 7b, 7c, 7d]가 장치 주 조립체(100)에 평행하게 적층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위치되며, 즉 정수직 방향에 약간 경사져 위치설정된다. 랙(120)의 바닥부(120a)에는 바닥부(120a)에 일체로 부착되는 한쌍의 지지판(121)이 제공된다. 각각의 바닥부(120a)는, 지지핀(123)이 랙(120)이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하여 이동되게 끼워지는 긴 홈(구멍)[122]을 갖는다.
랙(120)은 제1 및 제2 캠(111, 112)을 통해 전방 도어(101)로부터 이에 전달된 토크를 수직 직선력으로 변환하여, 이를 4개의 컬러 화상 형성 스테이션(Pa 내지 Pd)에 전달한다.
다음으로, 도12 및 도13을 참조하면, 랙(120)으로부터 드럼 셔터(70)로 힘을 전달하는 셔터 이동 수단(200)이 설명된다. 도12는 장치 주 조립체(100)의 내측으 로부터 볼 때의 셔터 이동 수단(200)의 측면도이고, 도13은 장치 주 조립체(100)의 카트리지 삽입 개구로부터 볼 때의 셔터 이동 수단(200)의 사시도이다.
도12 및 도13을 참조하면, 셔터 이동 수단(200)은 나사(도시 안됨) 등을 사용하여 장치 주 조립체(100)에 부착된 기부 부재(201)를 갖는다. 기부 부재(201)의 샤프트(203) 주위에 상기 설명된 셔터 이동 부재(202)가 끼워져서 셔터 이동 부재(202)는 요동식으로 샤프트(203)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셔터 이동 부재(202)는, 그 길이방향 단부들 중 하나(202a)가 드럼 셔터(70)를 향하여 연장되는 길고 좁은 아암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서, 셔터 이동 아암(202)의 길이방향 단부(202a)는 셔터 이동 아암(202)에 의해 가압되는 셔터(70)의 제1 부분(71)의 핀(71c)을 넘어 연장된다. 셔터 이동 아암(202)은 도3의 화살표(F)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전방 도어의 이동에 의해 이에 가해진 힘에 의해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셔터 이동 아암(202)은 셔터(70)의 제1 부분(71)의 핀(71c)을 하향 가압하여 제1 부분(71)을 이동시킨다.
셔터 이동 아암(202)에는 아암(202)과 일체이고 캠으로서 기능을 하는 돌출부(204)가 제공된다. 돌출부(204)는 랙(120)의 상기 설명된 바닥부(120a)가 제공되는 캠 부재(124)와 결합될 수 있다.
셔터 이동 부재(202)는 샤프트(203) 주위에 끼워진 압력 부여 부재로서의 리턴 코일 스프링(205)에 의해 도12의 시계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유지되어, 외력이 셔터 이동 부재(202)에 가해지지 않으면 셔터 이동 부재(202)는 도12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홈 위치, 즉 감광 드럼(1)이 노출되는 노출 창(76)을 셔터(70)가 덮 는 위치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셔터 이동 수단(200)의 작동이 설명된다.
이 작동에 대한 이해를 보다 쉽게 하기 위하여, 전방 도어(101)가 대략 절반 개방되는 위치로부터 완전히 개방되는 경우(도9 참조)와, 전방 도어(101)가 대략 절반 개방되는 위치로부터 장치 주 조립체에 대해 완전 폐쇄되는 경우(도11 참조)가 설명된다.
전방 도어(101)가 도9에 도시된 상태에 있을 때, 제2 캠(112)의 돌출부(112a)는 제1 캠(111)의 리세스(111a) 내에 있다.
먼저, 도11을 참조하여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카트리지(7)가 장착된 후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 도어(101)가 폐쇄될 때 발생하는 셔터 이동 수단(200)의 작동이 설명된다. 도11의 전방 도어(101)의 상태는 도9에서와 동일하다.
전방 도어(101)를 폐쇄하도록 전방 도어(101)가 도11의 반시계 방향[화살표(A)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전사 장치는 전방 도어(101)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캠(111)이 시계 방향[화살표(B)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제1 캠(111)의 리세스(111a)의 하류(셔터 개방 방향에 대하여 상류 방향)에 위치되는 제1 캠(111)의 돌출부(111c)는 제2 캠(112)의 돌출부(112a)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1 캠(111)이 추가로 회전될 때, 제2 캠(112)은 핀(113)에 대하여 [화살표(C)에 의해 지시된]시 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 캠(112)의 이 시계 방향 회전은 제2 캠(112)의 긴 구멍(112b) 내에 있는 랙(120)의 핀(121)이 상향으로 가압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랙(120)은 상향[화살표(D)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랙(120)의 이 상향 운동은 셔터 이동 아암(202)의 캠(204)이 랙(120)의 돌출부(124) 상으로 이동하게 하여서, 셔터 이동 아암(202)이 샤프트(203)에 대하여 도12의 화살표(E)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셔터 이동 아암(202)의 회전 운동의 결과로서, 셔터 이동 부재(202)는 셔터(70)의 제1 부분(71)의 핀(71)과 접촉하게 된다. 이후, 셔터 이동 아암(202)이 반시계 방향으로 추가로 회전될 때, 핀(71)은 하향으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드럼 셔터(70)[71, 72]는 도5 및 도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어, 감광 드럼(1)이 노출되는 카트리지(7)의 노출 창(76)을 노출시킨다. 드럼 셔터(70)가 도5 및 도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개방될 때까지, 정전 전사 벨트(11)는 화상 형성을 준비하는 도1에 도시된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도9를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 도어(101)가 개방될 때 발생하는 셔터 이동 아암(202)의 작동이 설명된다.
전방 도어(101)를 개방하도록, 도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완전 개방되는 전방 도어(101)가 시계 방향[화살표(F)의 방향]으로 이동될 때(도9 참조), 전사 장치(5)는 또한 시계 방향으로 전방 도어(101)과 함께 회전되어, 제1 캠(111)이 [화살표(G)에 의해 지시된]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따라서, 제2 캠(112)은 [화살 표(H)에 의해 지시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제2 캠(112)의 돌출부(112a)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캠(111)의 리세스(111a) 내로 끼워진다.
이후, 제1 캠(111)이 추가로 회전될 때, 제2 캠(112)의 돌출부(112a)는 제1 캠(111)의 실제 캠부(111b)와 접촉되게 되어, 제2 캠(112)이 반시계 방향으로 핀(113)에 대하여 회전되게 한다.
이 제2 캠(112)의 반시계 방향 회전은 제2 캠(112)의 긴 구멍 내에 있는 랙(120)의 핀(121)을 하향으로 가압하여, 랙(120)이 하향[화살표(I)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 랙(120)의 하향 이동은 랙(120)의 돌출부(124) 상으로 이동되는 셔터 이동 아암(202)의 캠(204)로부터 랙(120)의 돌출부(124)를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셔터 이동 아암(202)은 셔터 이동 아암(202)에 부착된 리턴 코일 스프링(205)의 탄성에 의해 발생된 힘에 의해,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J)에 의해 지시된]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셔터 이동 아암(202)의 회전 운동은 핀(71c)을 하향[도3의 화살표(F) 방향]으로 셔터(70)의 제1 부분(71)의 핀(71c)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한다. 결과적으로, 드럼 셔터(70)[71, 72]는 도2, 도3 및 도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스프링(205)의 탄성에 의해 발생된 힘에 의해 폐쇄되어, 감광 드럼(1)이 노출되는 카트리지 프레임의 노출 창(76)을 덮는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노출 창(76)을 덮는 [2개의 부분(71, 72)을 포함하 는]드럼 셔터(70)가 개방될 때, 셔터(70)의 2개의 부분(71, 72)은 이들이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수납될 때 중첩되어, 장치 주 조립체(100)의 작은 공간 내로 셔터(70)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 상세하게는, 도1을 참조하면 카트리지(7d)의 드럼 셔터(70d)는 현상 장치(4d)와 정전 전사 벨트(11) 사이의 작은 공간 내로 수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드럼 셔터(70d)가 개방되는 방향은, 셔터(70d)가 개방될 때 현상 롤러(40)에 더 근접하여 위치되는 방향이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7d)를 장치 주 조립체(100)에 장착한 후, 드럼 셔터(70)는 감광 드럼(1) 아래에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2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감광 드럼(1)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장치 주 조립체(100)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될 때 가장 효과적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드럼 셔터를 작은 공간 내에 수납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지 하나의 감광 드럼을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될 때 또한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장치 주 조립체(100)의 드럼 셔터 이동 기구는 셔터의 2개의 부분들 중 단지 하나에 작용할 필요가 있고, 다른 하나의 부분은 제1 부분의 회전 운동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장치 주 조립체(100)의 셔터 이동 기구를 단순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드럼 셔터(70)는, 드럼 셔터(70)가 개폐될 때 모두가 회전식 이동되는, 2개의 부분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 셔터(70)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 셔터보다 회전 반경이 실질적으로 작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측에서의 드럼 셔터 이동 부재의 스트로크가 훨씬 짧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셔터(70)는 화상 형성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는데 효율적이다.
나아가, 드럼 셔터의 제1 부분에는 드럼 셔터의 제2 부분을 안내하는 연결 홈이 제공되고, 드럼 셔터의 제2 부분에는 제1 부분의 연결 홈 내로 끼워지는 연결 샤프트가 제공된다. 따라서, 드럼 셔터의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연결과, 제2 부분의 이동의 제어는 하나의 설정에 의해 달성될 수 있어서, 드럼 셔터를 구조적으로 단순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드럼 셔터의 제1 부분의 회전축은 감광 드럼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셔터의 제2 부분의 회전축의 하류측[셔터(70)의 개방 방향에 대하여는 상류측]에 있다. 다시 말해, [화살표(R)에 의해 지시된]회전 방향에 대하여, 2개의 회전축은 드럼 셔터의 제1 및 제2 부분과 동일한 순서로 위치설정되어서, 드럼 셔터의 2개의 부분이 효율적으로 중첩되게 한다.
나아가, 드럼 셔터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 셔터의 크기의 절반의 드럼 셔터의 2개의 부분과, 한쌍의 리턴 스프링으로만 구성된다. 다시 말해, 드럼 셔터의 부품수가 최소화되어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드럼 셔터를 작은 공간 내에 수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감광 드럼이 드럼 셔터의 제1 및 제2 부분에 의해 완전히 덮여질 수 있고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드럼 셔터가 이동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보장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드럼 셔터가 카트리지 프레임으로부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노출시키도록 개방될 때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콤팩트하게 수납되게 한다.
본 발명은 본문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이는 상세한 설명이 설명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출원은 개선의 목적 또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변형예 및 변경예를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 카트리지의 드럼 셔터의 제1 및 제2 섹션에 의해 완전히 덮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 및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부합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카트리지 프레임과,
    드럼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 셔터는,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노출부를 상기 드럼 셔터가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부분을 노출하도록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드럼 셔터가 후퇴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1 셔터부와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2 셔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1 셔터부는 상기 드럼 셔터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개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노출부의 상류측을 덮고, 상기 제2 셔터부는 개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노출부의 하류측을 덮고,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제1 셔터부 및 상기 제2 셔터부는 상기 드럼 셔터의 폭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상기 제1 셔터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셔터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개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류에 배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은 상기 제1 셔터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셔터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에 대해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 지지부 외측에 배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현상 화상이 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주연면 상에 형성되는 영역 외측에 배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은 상기 제1 셔터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셔터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셔터부와 상기 제2 셔터부 중 하나의 회전 작동과 관계하여 다른 하나의 셔터가 회전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부는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제2 셔터부와 결합하여 이동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셔터부 상에 제공된 연결 샤프트를 안내하는 연결 홈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에 대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드럼 셔터는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상기 드럼 셔터를 이동시키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결합 수단에 의해 접촉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접촉부는 상기 제1 셔터부 내에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제1 셔터부는, 상기 노출부가 보 여지는 방향에 대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보여질 때 상기 제2 셔터부의 후방에 에 위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제1항에 있어서, 개방 방향은 프로세스 수단인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롤러에 드럼 셔터가 접근하도록 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부는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개방 위치 내로 진입하는 제1 개구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셔터부는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개방 위치 내로 진입하는 제2 개구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드럼 셔터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아래에 위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탈거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 수단과,
    기록재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드럼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 셔터는,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노출부를 상기 드럼 셔터가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부분을 노출하도록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드럼 셔터가 후퇴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1 셔터부와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2 셔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1 셔터부는 상기 드럼 셔터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개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노출부의 상류측을 덮고, 상기 제2 셔터부는 개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노출부의 하류측을 덮고,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제1 셔터부 및 상기 제2 셔터부는 상기 드럼 셔터의 폭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통과를 허용하는 삽입 개구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삽입 개구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개방가능한 부재와, 상기 개방가능한 부재와 상호관련되어 이동하는 결합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제공된 카트리지 접촉부에 인접됨으로써 상 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상기 드럼 셔터를 이동시키는데 효과적인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장착될 때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실질적으로 수직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컬러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인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20040092388A 2004-03-31 2004-11-12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6904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06511 2004-03-31
JPJP-P-2004-00106511 2004-03-31
JPJP-P-2004-00289303 2004-09-30
JP2004289303A JP3970274B2 (ja) 2004-03-31 2004-09-30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822A KR20050096822A (ko) 2005-10-06
KR100690485B1 true KR100690485B1 (ko) 2007-03-09

Family

ID=3492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388A KR100690485B1 (ko) 2004-03-31 2004-11-12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49457B2 (ko)
EP (1) EP1602988A1 (ko)
JP (1) JP3970274B2 (ko)
KR (1) KR100690485B1 (ko)
CN (1) CN10042808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0892B2 (ja) * 2004-01-30 2007-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657282B1 (ko) * 2004-10-29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7660550B2 (en) * 2006-12-11 2010-02-0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48382B2 (ja) * 2006-12-22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ドラム取り付け用カップリング部材
JP4498407B2 (ja)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5084257B2 (ja) * 2006-12-28 2012-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7983589B2 (en) * 2007-01-31 2011-07-19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311854B2 (ja) 2007-03-23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US7711287B2 (en) 2007-05-15 2010-05-04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292671A (ja) * 2007-05-23 2008-12-0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4458377B2 (ja) 2007-06-29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839337B2 (ja) * 2008-05-27 2011-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306050B2 (ja) * 2008-06-20 201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外し方法
JP5127584B2 (ja) 2008-06-20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730413B2 (ja) * 2008-08-28 2011-07-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335329B2 (ja) * 2008-09-01 2013-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63801B2 (ja) * 2008-09-01 2011-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2333620A1 (en) 2008-09-01 2011-06-1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5147607B2 (ja) * 2008-09-01 201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029284B2 (en) * 2008-09-29 2011-10-04 Maxillent Ltd. Implants, tools, and methods for sinus lift and lateral ridge augmentation
JP5751779B2 (ja) * 2009-10-30 2015-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031451B2 (en) * 2011-12-30 2015-05-1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CN110333649B (zh) 2012-06-15 2022-06-17 佳能株式会社 处理盒
JP6128780B2 (ja) 2012-09-05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JP6202911B2 (ja) 2012-09-07 2017-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980064B2 (ja) 2012-09-13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の製造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2014237472A (ja) 2013-06-07 2014-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部材、梱包部材に梱包されたカートリッジ
JP6376749B2 (ja) 2013-12-06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584138B2 (ja) 2014-06-17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418855B2 (ja) * 2014-09-10 2018-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DE112015005353B4 (de) 2014-11-28 2022-02-03 Canon Kabushiki Kaisha Kartusche
US9360797B1 (en) 2015-08-13 2016-06-07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movable projection for providing installation feedback to an image forming device
US9477178B1 (en) 2015-08-13 2016-10-25 Lexmark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determining the open or closed state of a toner cartridge shutter
US9563169B1 (en) 2015-12-14 2017-02-07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retractable electrical connector
TW202328831A (zh) 2016-03-04 2023-07-16 日商佳能股份有限公司 匣及影像形成裝置
JP6855284B2 (ja) 2017-03-03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MA55384A (fr) 2019-03-18 2022-01-26 Canon Kk Dispositif de formation d'image électrophotographique et cartouche
US10698363B1 (en) 2019-04-12 2020-06-30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ion for an imaging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649399B1 (en) 2019-04-12 2020-05-12 Lexmark Internatioan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agnetic sensor
US10761476B1 (en) 2019-04-12 2020-09-01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ov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649389B1 (en) 2019-04-12 2020-05-12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s of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WO2021029335A1 (ja) 2019-08-09 2021-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容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895A (ko) * 2002-02-22 2003-08-2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용 스페이서
KR20040008930A (ko) * 2002-07-19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드럼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9359A (ja) 1984-08-14 1986-03-11 Sony Corp セラミツクピンの製造方法
KR950001428Y1 (ko) * 1990-09-29 1995-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사진장치의 감광드럼 보호커버 개폐장치
EP0577893B1 (en) * 1992-06-30 1997-04-1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JP2877729B2 (ja) * 1994-04-28 1999-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ャッタ部材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154642B2 (ja) * 1995-04-28 2001-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トナー現像枠体とクリーニング枠体の結合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3768632B2 (ja) 1996-02-27 2006-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32818B2 (ja) * 1996-08-29 2002-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接続端子の接続方法
JP3363751B2 (ja) * 1996-08-29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71738B2 (ja) 1997-03-03 2003-01-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332813B2 (ja) * 1997-08-01 2002-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290619B2 (ja) * 1997-11-20 2002-06-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296051A (ja) * 1998-04-08 1999-10-2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673658B2 (ja) * 1998-10-28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042753A (ja) * 1999-07-28 2001-02-16 Canon Inc 結合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12771B2 (ja) * 2000-11-28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端部部材、現像剤収納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989826B2 (ja) * 2001-08-23 2012-08-01 パナソニッ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記録装置
JP3634807B2 (ja) * 2002-02-20 2005-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809402B2 (ja) * 2002-05-17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895A (ko) * 2002-02-22 2003-08-2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용 스페이서
KR20040008930A (ko) * 2002-07-19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드럼 유닛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69895 *
102004000893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70274B2 (ja) 2007-09-05
US7149457B2 (en) 2006-12-12
JP2005316359A (ja) 2005-11-10
KR20050096822A (ko) 2005-10-06
CN1677279A (zh) 2005-10-05
EP1602988A1 (en) 2005-12-07
CN100428081C (zh) 2008-10-22
US20050220486A1 (en)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485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7155141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747192B2 (en) Process cartridge, main body cartridge, image carrier body cartridge, developing cartridge,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733934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 설정 기구 및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EP169628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ner cartridge and development cartridge
KR101696125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0723557B1 (ko) 전자 사진 감광 드럼,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화상 형성 장치
US7466939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a plurality of process cartridges are detachably mountable by using a moving guide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KR100731216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463623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7272341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164875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for detachably mounting a plurality process cartridges
KR20050021343A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20030063132A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4617197B2 (ja)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のフランジの組立方法
US20060051127A1 (en) Unit for screening photosensitive medium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H1010501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5560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47398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