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934B1 -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 설정 기구 및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 설정 기구 및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934B1
KR100733934B1 KR1020030099984A KR20030099984A KR100733934B1 KR 100733934 B1 KR100733934 B1 KR 100733934B1 KR 1020030099984 A KR1020030099984 A KR 1020030099984A KR 20030099984 A KR20030099984 A KR 20030099984A KR 100733934 B1 KR100733934 B1 KR 100733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 cartridge
main assembly
image forming
photosensitive drum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2859A (ko
Inventor
호시노부하루
무라야마가즈나리
마에시마히데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2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221/1861Rotational subunit conn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84Projections on process cartridge for guiding mounting thereof in main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가동 안내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수용 위치로부터 장착 위치까지 이동 가능한 가동 안내부 상에 수반될 수 있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주 조립체에 마련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드럼 상에서 작용 가능한 처리 수단과, 카트리지 프레임과,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 조립체에 대해 위치되고 드럼의 일 종단부에 인접한 프레임으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제1 위치 설정부와,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 조립체에 대해 위치되고 드럼의 타 종단부에 인접한 프레임으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제2 위치 설정부와, 가동 안내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드럼의 일 종단부에 마련되고 프레임의 바닥면에 배치된 제1 피지지부와, 가동 안내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드럼의 타 종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바닥면에 배치된 제2 피지지부와,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해 선단측에서 제1 피지지부 또는 제2 피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마련되고 가동 안내부에 접촉함으로서 제1 위치 설정부 및 제2 위치 설정부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을 중단시키기 위한 제1 회전 스토퍼 표면을 갖는 제3 위치 설정부를 포함한다.
가동 안내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프로세스 카트리지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 설정 기구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MECHANISM THEREFO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도1은 장치의 도어가 어떻게 개폐되는지를 도시하며,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
도2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형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하나인 컬러 레이저 프린터의 개략적 단면도.
도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어떻게 가동 안내부에 의해 유지되는가를 도시하며,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가동 안내부 및 가동 안내부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 사시도.
도4는 장치가 화상 형성 작용을 하는 상태에서의 기계적 연결부를 도시하며, 그 측면 커버 중 하나가 제거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5는 기계적 연결부를 도시하며, 그 주 도어가 개방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6은 장치가 화상 형성 작용을 하는 상태에서의 기계적 연결부 및 그 인접부에 대한 확대 개략적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다른 개략적 사시도.
도10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어떻게 가동 안내부에 장착되는가를 도시하며,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가동 안내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도.
도1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장치의 전면 패널에 평행한 평면에서 한 쌍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유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가동 안내부에 대한 개략적 수직 단면도.
도12는 카트리지가 가동 안내부 내로 장착되는 위치에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 설정 기구를 도시하며, 장치의 측면 패널에 평행한 평면에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가동 안내부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 수직 단면도.
도13은 주 도어를 폐쇄함으로서 장치 주 조립체에 대해 정밀하게 위치된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시하며, 장치의 측면 패널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가동 안내부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 수직 단면도.
도1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 감광 드럼으로부터 현상 롤러를 분리하기 위한 기구를 도시하며, 장치의 측면 패널에 평행한 평면에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가동 안내부에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그 인접부에 대한 개략적 수직 단면도.
도15는 현상 롤러가 감광 드럼으로부터 분리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태를 도시하며, 장치의 측면 패널에 평행한 평면에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가동 안내부에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 수직 단면도.
도16은 특히 현상제 롤러 가압 부재를 도시하며, 카트리지가 가동 안내부 내로 장착되는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 단면도.
도1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위치에 있는 가동 안내부 내로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 특히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폐하기 위한 기구를 도시하며, 장치의 측면 패널에 평행한 평면에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가동 안내부 내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 수직 단면도.
도18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의 도어를 폐쇄함으로서 정밀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폐하기 위한 기구를 특히 도시하며, 장치의 측면 패널에 평행한 평면에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가동 안내부 내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 수직 단면도.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단부 중 일 단부의 사시도.
본 발명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 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 설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방법 중 한 방법을 사용해서 기록 매체(예컨대, 기록 종이, OHP 시트 등)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서,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예컨대, 레이저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시밀리 기계, 워드 프로세서 및 둘 이상의 이들 장치의 일체형 조합체(다기능 프린터 등)가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란 처리 수단으로서의 대전 수단과, 처리 수단으로서의 현상수단 또는 세척 수단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이 일체로 배치되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서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또한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 중 최소 하나의 처리 수단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이 일체로 배치되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서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또한, 이것은 처리 수단으로서 최소 현상 수단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이 일체로 배치되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서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분야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이 이용되어 왔으며, 이 시스템에 따르면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이하, "감광 드럼")과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처리 수단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에 일체로 배치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에 따르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작동자 혼자만에 의해, 즉 수리공의 도움없이 보수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작업 효율을 크게 개선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중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 분야에도 사용된다.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 현상 컬러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어서, 작업 효율이라는 면에서 작업자를 보조한다.
또한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수직하게 평행으로 적층되어서 장치의 설치 면적을 줄인다.
즉,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 복수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야 하며, 이는 작업자가 수행해야 할 작업의 수를 추가한다.
따라서,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 장치 주 조립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효율을 더욱 개선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종래,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주 조립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 안내부를 제공한다. 가동 카트리지 장착 안내부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한 후, 카트리지 장착 안내부는 장치 주 조립체의 소성 위치 내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운반하기 위해 이동된다. 장치 주 조립체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이런 카트리지 장착 안내부를 이용할 것이 제안되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4-90561호).
다른 제안(예컨대, 미국 특허 제6,351,620호)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는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단부에 하나씩 위치된 한 쌍의 안내부가 마련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가동 안내부에 장착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각각의 안내부는 주 조립체측 상의 카트리지 포획부와 탄성 부재 사이에 파지됨으로서, 장치 주 조립체에 대해 카트리지를 정밀하게 위치시키도록 적소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을 더욱 발전시킴으로서 얻어진 결과이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작업 효율이 종래 기술에 따른 조합보다 뛰어난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소정 위치에 정밀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소정 위치에 정밀하게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 제3 카트리지 위치 설정부에 의해 제1 및 제2 카트리지 위치 설정부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을 조절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 장착 안내부에 장착 가능하고 카트리지 장착 안내부의 이동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 위치로부터 화상 형성 위치로 이동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가동 안내부에 의해 지지되게 하고 카트리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 단부 중 일 단부의 바닥면의 일부인 제1 카트리지 지지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가동 안내부에 의해 지지되게 하고 카트리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 단부 중 타 단부의 바닥면의 일부인 제2 카트리지 지지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 내로 장착되는 방향으로 제1 또는 제2 카트리지 지지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의 전방에 위치되고 구동력이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로 전달될 때 발생된 힘에 의해 제1 및 제2 위치 설정부의 축선 둘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회전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접촉함으로서 추가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제1 회전 제어면과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설정하기 위한 기구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제3 카트리지 위치 설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고려할 때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구성 요소의 구성, 재료 및 측정과 구성 요소 간의 위치 관계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다. 또한, 일단 소정 요소가 설명되면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그 재료, 구성 등은 본 출원 전체에 걸쳐 동일하다.
또한, 이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종) 방향이란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거나 제거되는 방향과 교차하는(대략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감광 드럼의 길이 방향을 의미하기도 한다. 카트리지의 상부면 및 바닥면이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카트리지를 정밀하게 위치시킨 후 각각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부 및 바닥이 되는 카트리지의 표면을 의미한다.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 구조에 대한 설명]
우선, 그 일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컬러 레이저 프린터, 즉 전자 사진 처리를 이용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형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의 단면도인 도2를 참조로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 레이저 프린터(이하, "프린터")는 네 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2Y, 2M, 2C, 2Bk)와, 중간 전사 부재(매체)(35)와, 전사된 컬러 화상을 기록 매체(P)(예컨대, 기록 종이, OHP 시트 등) 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부(50)와, 장치 주 조립체의 상부 상에 있는 전달 트레이(56) 상으로 기록 매체(P)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 쌍의 배출 롤러(53, 54, 56)를 포함하는 4드럼식(인-라인식) 프린터이다.
네 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2Y, 2M, 2C, 2Bk)는 수직 적층되어서 컬러 프린터(A)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다.
카트리지(2Y)는 옐로우 컬러의 현상제를 저장하며 옐로우 현상제의 화상을 형성한다. 카트리지(2M)는 마젠타 컬러의 현상제를 저장하며 마젠타 현상제의 화상을 형성한다. 카트리지(2C)는 시안 컬러의 현상제를 저장하며 시안 현상제의 화상을 형성한다. 카트리지(2Bk)는 블랙 컬러의 현상제를 저장하며 블랙 현상제의 화상을 형성한다.
중간 전사 부재(3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현상제로 형성된 화상이 층으로 일시 전사되어서 서로 다른 컬러의 현상제로 형성된 화상(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부재이며, 화상(컬러 화상)은 이로부터 기록 매체(P) 상으로 전사된다.
네 개의 카트리지(2)는 개별적으로 프린터의 주 조립체(A)에 장착되거나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2를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다양한 부분에 대해 논리적 순서의 구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주어진 구조적 특징을 고려할 때 모든 카트리지가 동일한 경우, 이런 구조적 특징을 고려하여 단지 카트리지(2Y)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며, 이런 구조적 특징을 고려하여 다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해서는 인용 부호를 병기하기 않고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감광 드럼]
감광 드럼(21)은 알루미늄 실린더와, 알루미늄 실린더의 주연면 상에 피복된 유기 감광 물질로 된 층을 포함한다. 감광 드럼은 드럼 프레임(2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감광 드럼(21)의 이면(도2)에서, 카트리지 구동 모터(도시 안됨)로부터의 구동력이 감광 드럼(21)의 길이 방향 단부로 전달됨으로서, 감광 드럼(21)은 화상 형성과 동시에 도면에서 화살표로 지시된 반시계 방향(도7)으로 회전된다.
[대전 수단]
대전 수단은 접촉 대전법을 이용한다. 대전 수단은 감광 드럼(21)의 주연면과 접촉되게 위치된 전기 도전성 롤러(대전 롤러)(23)(23Y)를 갖는다. 전압이 대전 롤러(23)로 인가되면, 감광 드럼(21)의 주연면은 균일하게 대전된다.
[노광 수단]
감광 드럼(21)은 스캐너부(1)(1Y)에 의해 노광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 형성 신호가 레이저 다이오드(도시되지 않음)로 주어지면, 레이저 다이오드는 화상 형성 신호에 반응해서 다각 거울(11)(11Y)쪽으로 화상 형성광 비임(10)(10Y)을 방출한다.
다각 거울(11)은 스캐너 모터(12)(12Y)에 이해 고속으로 회전되고 있다. 화상 형성광 비임(10)은 다각 거울(11)에 의해 반사되고 집속 렌즈(13)(13Y)를 통해서 일정한 주연 속도로 회전되는 감광 드럼(21)의 주연면으로 안내되어서, 감광 드럼(21)의 주연면 상의 다양한 지점을 선택적으로 노광시킨다. 결국, 전자 사진 잠상이 감광 드럼(21)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현상 수단]
현상 수단은 정전 잠상을 가시 화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현상 수단에는 잠상이 현상제로 현상될 수 있도록 하는 현상 유닛(2b)이 마련된다. 현상 유닛(2b)은 감광 드럼(21)과 접촉하며 회전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현상 롤러(22)(22Y)를 갖는다. 현상 수단은 감광 드럼(21) 상의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사용한다.
[중간 전사 부재]
중간 전사 부재(35)는 현상제 유닛(2b)에 의해 감광 드럼(21) 상의 현상제로 형성된 복수개의 화상이 각각 컬러 화상 형성 동안 층으로 하나씩 전사되는 부재이다. 중간 전사 부재(35)는 감광 드럼(21)의 주연 속도와 동일한 주연 속도로 시계 방향(도2)으로 회전식으로 구동된다.
감광 드럼(21) 상에 형성된 후, 감광 드럼(21) 상의 현상제로 형성된 화상은 1차 전사부(T1)(T1Y, T1M, T1C, T1Bk)에서 하나씩 1차 전사 롤러(34)(34Y, 34M, 34C, 34Bk)에 의해 중간 전사 부재(35)에 층으로 전사된다. 각각의 전사 롤러(34)는 중간 전사 부재(35)가 전사 롤러(34) 및 감광 드럼(21)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대응하는 감광 드럼(21) 상에 가압 유지되도록 배치된다.
현상제로 형성된 복수개의 화상이 중간 전사 부재(35)에 층으로 전사된 후, 기록 매체(P)가 중간 전사 부재(35)와 2차 전사 롤러(51) 사이에 개재되며 이것들에 의해 이송된다. 결국, 중간 전사 부재(35) 상에서 현상제로 형성된 컬러 화상은 기록 매체(P) 상으로 모두 즉시 전사된다.
본 실시예의 중간 전사 부재(중간 전사 벨트)(35)는 원주 치수가 대략 620 ㎜인 무봉합선 수지 벨트이다. 중간 전사 부재는 구동 롤러(31), 중간 전사 부재 지지 롤러(32) 및 장력 롤러(33) 둘레에 펼쳐져서 이들에 의해 지지된다. 장력 롤러(44)는 롤러(33)의 길이 방향 단부로 인가된 압력에 의해 중간 전사 부재(35)가 형성하는 루프의 외향으로 가압되어 유지된다. 이런 구조적 배열을 제공함로서, 중간 전사 부재(벨트)(35)의 원주 치수가 장치 주 조립체(A)의 내부 온도 및/또는 습도 변화로 인해 변화되면 이 변화는 구조적 배열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중간 전사 부재(35)는 장치(프린터)의 주 조립체(A)에 피봇식으로 유지되어 구동 롤러(31)의 회전축 둘레에서 피봇식으로 이동하도록 된다. 모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구동력은 구동 롤러(31)의 후방 단부(도2)로 전달되어 화상 형성과 동시에 전사 부재(35)를 시계 방향(도2)으로 회전시킨다.
[급송부]
급송부는 프린터의 주 조립체(A) 내의 카트리지(2)로 기록 매체(P)를 이송하기 위한 부분이다. 급송부는 복수개의 기록 매체(P)를 수용할 수 있는 카세트(7), 급송 롤러(41), 분리 패드(42), 이송 안내부(42) 및 한 쌍의 정합 롤러(44) 등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동안에, 롤러(41)는 화상 형성과 동시에 회전식으로 구동됨으로써, 카세트(7) 내의 기록 매체(P)는 카세트(7)로부터 하나씩 급송되고 안내부(43)에 의해 한 쌍의 정합 롤러(44)로 안내되며, 정합 롤러는 후속 처리, 즉 화상 전사 처리 동안 기록 매체(P)를 중간 전사 부재(35) 상의 화상과 정렬시키기 위해 기록 매체(P)를 대기 상태에서 유지하기 위한 비회전 처리 및 중간 전사 부재(35)쪽으로 기록 매체(P)를 이송하기 위한 회전 처리를 소정 순서로 수행한다.
[전사부]
전사부는 회전식으로 구동되는 2차 전사 롤러(51)를 가지며 사실상 수직하게 이동 가능하다(도2). 전사부에 컬러 화상이 도착함과 동시에, 전사 롤러(51)는 소정량의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중간 전사 부재(35)와 전사 롤러(51) 사이에 물려있는 기록 매체(P) 상으로 캠(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중간 전사 부재(35)에 대해 가압된다. 이런 처리 동안, 바이어스가 전사 롤러(51)로 인가된다. 결국, 중간 전사 부재(35) 상의 현상제로 형성된 화상은 기록 매체(P) 상으로 전사된다. 또한, 중간 전사 부재(35) 및 전사 롤러(51)는 서로 개별적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전사 처리 후, 전사 처리 동안 중간 전사 부재(35) 및 전사 롤러(51)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유지된 기록 매체(P)는 좌측으로(도2) 이송되어서 정착 장치(60)에 도달한다.
[정착부]
정착부에서, 기록 매체(P) 상의 현상제로 형성된 컬러 화상은 막 안내 유닛(61)과 가압 롤러(62)를 포함하는 정착 장치(50)에 의해 기록 매체(P)에 정착된다. 막 안내 유닛(61)은 기록 매체(P)를 가열하기 위한 세라믹 히터(63)를 수용한다. 가압 롤러(62)는 막 안내 유닛(61)에 대해 기록 매체(P)를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런 구조적 배열을 제공함으로서, 기록 매체(P)는 열과 압력을 받게 되고, 이로써 현상제로 형성된 컬러 화상은 기록 매체(P)에 정착된다.
[화상 형성 작업]
다음으로, 상술한 구조의 장치를 사용해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2에 도시된 급송 롤러(41)가 회전됨으로써 카세트(1) 내의 기록 매체(P) 중 하나를 한 쌍의 정합 롤러(44)로 이송한다.
한편, 감광 드럼(21) 및 중간 전사 부재(35)는 소정의 주연 속도(이하, 처리 속도)로 화살표(도2)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그 주연면을 가로질러 대전 롤러(23)에 의해 대전된 후, 감광 드럼(21)은 레이저 광(10)(화상 형성광)의 비임에 노광된다. 결국, 감광 드럼(21)의 주연면 상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화상 형성 작업은 모든 컬러 성분에 대해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옐로우 컬러 성분에 대한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옐로우 화상의 형성]
옐로우 컬러 성분의 목표 화상에 대응하는 잠상이 스캐너부(1Y)로부터 투사된 옐로우 컬러 성분의 목표 화상에 대응하는 레이저 광 비임(10Y)에 감광 드럼(21Y)의 주연면을 노광시킴으로서 형성된다. 이 잠상의 형성과 동시에, 옐로우 현상 롤러(22Y)는, 감광 드럼(21Y) 상의 잠상에 옐로우 현상제를 부착시키기 위해, 즉 옐로우 현상제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감광 드럼(21)의 극성과 동일 극성을 갖는 전압이 옐로우 현상 롤러(22Y)로 인가되는 동안 회전된다. 현상된 잠상, 즉 옐로우 현상제로 형성된 화상은 전사부(T1Y)에서 중간 전사 부재(35)의 주연면 상으로 전사(1차 전사)된다.
그 후, 상술한 처리와 유사한 잠상을 형성하고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처리가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컬러 성분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형성된 현상제 화상들은 각각 1차 전사부(T1M, T1C, T1Bk)에서 중간 전사 부재(35) 상으로 전사된다. 결국, 네 개의 현상제, 즉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현상제로 구성된 전-컬러 화상이 중간 전사 부재(35)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또한, 블랙 현상제로 형성된 화상이 중간 전사 부재(35) 상에 완전히 전사되기에 앞서, 상술한 한 쌍의 정합 롤러(44)에 의해 대기 상태로 유지된 기록 매체(P)가 추가적인 이송을 위해 한 쌍의 정합 롤러(44)에 의해 해제된다.
네 컬러 화상이 중간 전사 부재(35) 상에 전사되는 기간을 제외하고, 전사 롤러(51)는 중간 전사 부재(35)로부터 떨어진 바닥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러나, 중간 전사 부재(35) 상에 네 컬러 화상이 전사되기 직전에, 전사 롤러(51)는 네 화상이 전사되는 동안 제2 전사부(T2)에서 전사 롤러(51)에 의해 기록 매체(P)를 중간 전사 부재(35)에 가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캠(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향 이동된다. 또한, 네 컬러 화상의 2차 전사 동안, 극성이 현상제와 반대되는 바이어스가 전사 롤러(51)에 연속적으로 인가된다. 결국, 중간 전사 부재(35) 상에서 전-컬러 화상을 이루는 네 컬러 화상은 기록 매체(P) 상으로 모두 즉시 전사된다.
그 후, 기록 매체(P)는 중간 전사 부재(35)로부터 분리되며 현상제로 형성된 화상이 정착되는 정착 장치(50)로 이송된다. 그 후, 기록 매체(P)는 세 쌍의 배출 롤러에 의해 프린터의 주 조립체의 상부에 있는 전달 트레이(56) 상으로 배출되어서 기록 매체(P) 중 하나에 전-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작업을 종료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조합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주 도어가 개방된 프린터(A), 즉 화상 형성 장치 형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의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0)의 도어(16)는 화상 형성 장치(프린터)(A)의 바닥 전방에 위치된 회전축 둘레에서 주 조립체(100)에 대해 피봇식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술한 중간 전사 부재(35)는 도어(16)에 부착된다. 따라서, 도어(16)가 개방되면 중간 전사 부재는 작업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2)(2Y, 2M, 2C, 2Bk)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도어(16)는 장치 주 조립체(A) 내로 단일 또는 복수개의 카트리지(2)를 장착하기 위해 또는 장치 주 조립체(A)로부터 단일 또는 복수개의 카트리지(2)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할 때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도록 된다.
가동 안내부(101)는 복수개의 카트리지(2)(2Y, 2M, 2C, 2Bk)를 함께 유지한다. 피봇(101a-b, 101b-b)(도3)은 장치 주 조립체(A)의 상단부에 위치되며 한 세트의 기계적 연결부(후술함)에 의해 도어(16)에 연결된다. 이런 구조적 배열을 제공함으로써, 도어(16)가 개방될 때 가동 안내부(101)는 피봇(101a-b, 101b-b) 둘레에서 장치 주 조립체(100)의 전방으로 피봇되며, 따라서 가동 안내부(101)에 의해 지지되는 카트리지(2)도 장치 주 조립체(100)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동 안내부(101)가 도어(16)의 개방에 의해 피봇식으로 이동되는 각도는 대략 45˚이다.
가동 안내부(101)가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지면, 도면에서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어떤 방해물도 없기 때문에 작업자는 가동 안내부(101) 내로 또는 가동 안내로부터 카트리지(2)를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빼낼 수 있다.
다음으로, 장치 주 조립체(100)에 프로세스 카트리지(2)를 장착하고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2)를 제거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가동 안내부(101)와 가동 안내부(101)에 의해 지지되는 카트리지(2)의 사시도이다. 설명 편의상, 프로세스 카트리지(2Bk, 2C)는 도시하지 않았다.
가동 안내부(101)에는 우측 및 좌측 판(101a, 101b)이 마련된다. 우측 판(101a)은 각각의 카트리지(2Y, 2M, 2C, 2Bk)의 우측 단부를 지지하며 좌측 판(101b)은 각각의 카트리지(2Y, 2M, 2C, 2Bk)의 좌측 단부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동 안내부(101)의 우측 및 좌측 판(101a, 101b)은 비용 절감을 위해 개별적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가동 안내부(101)는 단편 요소 또는 가동 안내부(101) 내로 조립된 복수개의 조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동 안내부(101)의 우측 및 좌측 판(101a, 101b)은 연결 부재(후술함)로 연결됨으로서, 우측 및 좌측 판(101a, 101b)은 피봇식 이동 상에서 동기되어 유지되며 또한 본 실시예의 가동 안내부(101)는 단일편 가동 안내부와 정확히 동일한 기능을 한다.
우측 및 좌측 판(101a, 101b)에는 카트리지(2)가 우측 및 좌측 판(101a, 101b) 사이에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면으로부터 카트리지(2)를 지지하는 안내 리브(101a-a, 101b-a)가 각각 마련된다.
우측 및 좌측 판(101a, 101b)에는 또한 피봇(101a-b, 101b-b)이 각각 마련되며, 복수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들이 함께 적층된 가동 안내부(101)가 그 둘레에서 피봇식으로 이동 가능하다.
우측 판(101a)에는 개구(101a-c)가 마련됨으로서, 우측 판(101a)이 각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제1 및 제2 구동력 전달부(78, 79)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 때 카트리지(2)는 제1 및 제2 구동력 전달부를 통해서 주 조립체(100)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한다. 한편, 좌측 판(101b)에는 개구(101b-c)가 마련됨으로서, 좌측 판(101b)이 각 카트리지(2)의 카트리지 위치 설정 베어링(27)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두 개의 판(101a, 101b)에는 판들을 후술하는 기계적 연결부에 연결시키는 두 개의 보스가 마련된다.
다음으로, 기계적 연결부에 대한 가동 안내부(101)의 연결 및 가동 안내부(101)의 작업적 이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4, 도5 및 도6은 우측 및 좌측 판(101a, 101b)을 연결하는 기계적 연결부 세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내부 사시도이다. 도4는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 형성 작용을 하는 상태의 기계적 연결부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5는 도어(16)가 개방된 상태에 있는 기계적 연결부를 도시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내부 사시도이다. 도6은 도4에 도시된 기계적 연결부의 확대 개략적 사시도이다.
우선, 도4 및 도6을 참조로 도어(16)가 폐쇄된 상태의 기계적 연결부에 대해 설명한다. 본 상태에서, 보유 스프링(109)은 도어(16)가 폐쇄된 상태로 기계적 연결부를 유지하기 때문에 가동 안내부(101)는 기계적 연결부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100) 내측에 유지된다. 기계적 연결부는 도어 연결판(105), 중간 연결 로드(104), 회전 로드(103) 및 가동 안내부(101)에 연결된 연결 로드(102)를 포함한 다.
본 상태에서, 가동 안내부(101)의 각각의 카트리지(2)는 카트리지(2)의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연장된 각각의 베어링(27, 28)이 장치 주 조립체(100)의 프레임의 대응하는 측벽(106)의 카트리지 위치 설정 슬롯(106a)의 벽과 접촉한 상태로 하나씩 유지되도록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가압되어 유지된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2)를 정밀하게 위치시키는 것은 가동 안내부(101)가 아니라 주 조립체(100)의 프레임의 측벽(106)이다. 상술한 구조적 배열을 제공함으로써, 가동 안내부(101)는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프로세스 카트리지(2)를 장착할 때 장치 주 조립체(100)의 카트리지(2)에 대한 최종 위치에 바로 근접하게 카트리지(2)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수단으로서 단순히 기능한다. 따라서, 가동 안내부(101)에 카트리지(2)를 장착할 때, 작업자가 가동 안내부(101)에 대해 카트리지(2)를 위치 설정하는 것을 과도하게 염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가동 안내부(101) 내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할 때, 작업자는 카트리지(2)가 가동 안내부(101)에 정확하게 위치되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카트리지(2)가 장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되는 효율이 개선된다.
다음으로, 도5를 참조하여 도어(16)가 완전 개방된 기계적 연결부의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16)가 개방될 때, 도어(16)의 이동에 의해 이동되는 상술한 연결판(105), 중간 로드(104), 회전 로드(103) 및 연결 로드(102)는 화상이 형성되는 가동 안내 위치로부터 장치 주 조립체(100)의 궤도 외향으로 대략 45˚에 있고 카트리지가 가동 안내부(101) 내로 장착될 가동 안내 위치(200)에 대응하는 그들의 위치로 이동된다. 즉, 도어(16)가 완전히 개방될 때, 작업자가 가동 안내부(101)의 카트리지 슬롯에 접근하기가 더 용이하게 됨으로서, 작업자가 장치 주 조립체(100)에 카트리지(2)를 장착하거나 이로부터 카트리지를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가동 안내부(101)에 대한 상술한 카트리지 장착 위치(200)는 장치 주 조립체(100)의 전방측, 즉 도어(16)가 존재하는 측 상에 있는 반면, 화상이 형성되는 가동 안내 위치(이하, "화상 형성 위치(300)")는 화상 형성을 위해,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해 카트리지(2)를 정밀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가동 안내부(101)가 도어(16)의 폐쇄 이동에 의해 이동되는 장치 주 조립체(100) 내의 위치이다.
즉, 이 위치는 베어링(27, 28)이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해 위치 설정 슬롯(106a, 106b)의 벽에 의해 정밀하게 위치되는 위치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구동력이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전달되는 카트리지(2)의 위치는 카트리지(2)가 도어(16)의 폐쇄에 의해 이동되는 장치 주 조립체(100)의 소정의 최종 위치와 조금 다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다음으로, 도7, 도8 및 도9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카트리지(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7은 카트리지(2)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8 및 도9는 카트리지(2)의 사시도이다. 또한,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구조가 동일하다.
카트리지(2)는 주로 두 개의 유닛, 즉 드럼 유닛(2a)과 현상 유닛(2b)으로 구성된다. 드럼 유닛(2a)은 감광 드럼(21)과 대전 롤러(23)와 세척 수단(26)을 지지하는 반면, 현상 유닛(2b)은 감광 드럼(2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을 지지한다.
이들 유닛(2a, 2b)은 이것들이 서로에 대해 피봇식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해 연결된다.
드럼 유닛(2a)은 감광 드럼(21)이 드럼 프레임(24)에 부착된 베어링(27, 28)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되는 상태로 감광 드럼(21)을 유지한다. 드럼 프레임(24)은 감광 드럼(21)의 주연면을 균일하게 대전하기 위한 처리 수단으로서의 대전 롤러(23)와, 감광 드럼(21)의 주연면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처리 수단으로서의 세척 블레이드(26a)를 유지한다.
잔류 토너 입자, 즉, 감광 드럼(21)의 주연면 상에 잔류하는 토너 입자들이 세척 블레이드(26a)에 의해 이로부터 제거된 후, 이들 입자들은 드럼 프레임(24)의 후방부에 있는 폐토너용 토너 챔버(30) 내로 토너 이송 기구(29)에 의해 전달된다. 이 토너 챔버(30)는 드럼 유닛(2a)의 일체부이다.
현상 유닛(2b)은 현상 유닛(2b) 및 감광 드럼(21) 사이의 접촉에 의해 화살표(Y)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되는 처리 수단으로서의 현상 롤러(22)와, 현상제가 유지되는 현상제 용기(70)와, 현상 롤러(22)를 지지하고 현상제 용기(70)를 포함하는 현상 프레임(71)을 포함한다. 현상 롤러(22)는 베어링을 개재함으로서 현상 프레임(71)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또한, 현상 프레임(71)은 현상제 공급 롤 러(72) 및 현상 블레이드(73)를 내부에 유지한다. 현상제 공급 롤러(72)는 현상 롤러(22)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된다. 현상 프레임(71)은 또한 현상제 용기(70) 내에 있고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현상제 공급 롤러(72)로 현상제 용기(70) 내의 현상제를 이송하는 교반 부재(74)를 내부에 유지한다.
현상 유닛(2b)은 드럼 유닛(2a)에 연결되어 드럼 유닛(2a)에 대해 피봇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 유닛(2b)에는 현상 유닛(2b)의 길이 방향 단부에 하나씩 위치된 한 쌍의 베어링(75, 76)이 마련되며, 한 쌍의 핀(77a)이 베어링(75, 76)의 구멍으로 하나씩 삽입됨으로써, 현상 유닛(2b) 전체가 구멍(77)(핀(77a))의 축선 둘레에서 드럼 유닛(2a)에 대해 피봇식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현상 유닛(2b)은 드럼 유닛(2a)으로부터 현수된다. 이런 구조적 배열을 제공함으로써, 현상 롤러(22)는 구멍(77)(핀(77a))의 축선 둘레에서 현상 유닛(2b)의 회전 이동에 의해 감광 드럼(21)과 접촉되어 유지된다. 또한, 현상 유닛(2b)과 감광 드럼(2a) 사이에는 한 쌍의 압축 스프링(93)이 배치되어서 그 탄성에 의해 현상 롤러(22)가 감광 드럼(21) 상에 가압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카트리지 프레임"은 드럼 프레임(24)과 현상 프레임(71)의 조합에 대한 용어이다.
현상 프로세스에서, 현상제는 (화살표 Z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제 공급 롤러(72)로 교반 부재(74)에 의해 이송된다. 그 후, 현상제가 현상제 공급 롤러(72)로 이송될 때, 현상제 공급 롤러(72)의 주연면이 현상 롤러(22)의 주연면을 문지르기 때문에 현상제는 (화살표 Y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 롤러(22) 상에 피복된다. 즉, 현상제는 현상 롤러(22)의 주연면 상에서 담지된다. 현상 롤러(22)의 주연면 상에서 담지되는 현상제는 현상 롤러(22)의 후속 회전으로 인해 현상 블레이드(73)에 도달하고, 소정량의 전하가 주어지는 동안 현상 블레이드(73)에 의해 조절된다. 결국, 소정 두께의 현상층이 현상 롤러(22)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현상 롤러(22)가 더욱 회전하면 현상 롤러(22) 상의 현상제 층의 균일한 부분이 현상부, 즉 감광 드럼(21)의 주연면 상의 잠상이 동력원(도시 안됨)으로부터 현상 롤러(22)로 인가된 DC 전압(현상 바이어스)에 의해 현상되는 감광 드럼(21) 및 현상 롤러(22) 사이의 접촉 영역으로 가게 된다. 현상 후 현상 롤러(22)의 주연면 상에서 잔류하는 현상제 입자는 현상 롤러(22)의 주연면에서 벗겨져서 현상제 용기(70)로 복귀해서 그 안에서 교반 부재(74)에 의해 용기(70)의 현상제와 혼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 설정을 위한 구조)
이하, 도10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고 제거하고 위치 설정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0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어떻게 가동 안내부(101) 내로 장착되는지를 도시한 가동 안내부(101)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사시도이며, 도11은 그 구성을 도시한 본 실시예의 가동 안내부(101)의 단면도이다. 도1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어떻게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가동 안내부(101))에 대해 위치되는지를 도시하며,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 카트리지 장착 위치에 있는 가동 안내부(101)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13은 도어(16)를 완전히 폐쇄함으로서 프로세스 카트 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최종 위치에 위치된 후,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하, 도12 및 도13을 참조하여 카트리지가 가동 안내부(101) 내로 장착되는 가동 안내부(101)의 위치를 카트리지(Bk), 즉 화상 형성 장치(100)의 최상부 카트리지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블랙 프로세스 카트리지 외의 카트리지에 대해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 다른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가동 안내부(101)의 부분은 블랙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가동 안내부(101)의 부분의 구조와 동일하다.
카트리지(2)에는 카트리지가 장착되거나 제거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카트리지(2)의 양 단부에 하나씩 한 쌍의 리브(80)가 마련된다. 리브(80)들은 장치 주 조립체(100)에 의해 지지되면서 카트리지(2)를 안내하는 카트리지(2)의 부분들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브(80)는 감광 드럼(21)의 길이 방향으로 카트리지(2)의 단부들의 일체부이다.
카트리지(2)의 길이 방향 단부들 중 일 단부(우측 단부)에는 감광 드럼(2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전달되는 커플러 형태의 제1 구동력 전달부(78)와, 현상 롤러(22) 및 교반 부재(7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전달되는 제2 구동력 전달부(79)가 마련된다. 안내부(80)의 일부로서의 안내면(80a)이 두 개의 구동력 전달부(78, 79) 위에 있다. 이것은 드럼 프레임(24)의 상부면의 일부이다.
안내부(80)의 다른 부분으로서의 안내면(80b)이 두 개의 구동력 전달부(78, 79) 아래에 있다. 이것은 현상 프레임(71)의 바닥면의 일부이다.
카트리지(2)의 다른 길이 방향 단부에 처리 수단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기 접촉부(81a, 81b)가 마련된다. 안내부(80)의 다른 부분으로서의 안내면(80c)은 전기 접촉부(81a, 81b) 위에 있다. 이것은 드럼 프레임(24)의 상부면의 일부이다.
안내부(80)의 다른 부분으로서의 안내면(80d)은 전기 접촉부(81a, 81b) 아래에 있다. 이것은 현상 프레임(71)의 바닥면의 일부이다.
전기 접촉부(81a)는 대전 롤러(23)에 인가될 대전 바이어스가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이를 통해 수용되는 전기 접촉부이다. 전기 접촉부(81b)는 현상 롤러(22)에 대전될 현상 바이어스가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이를 통해 수용되는 전기 접촉부이다.
장치 주 조립체(100)에는 위치적으로 카트리지(2)의 안내부(80)에 대응하는 안내 리브(101a-a, 101b-1)(도3)가 마련된다.
도12를 참조하면, 현상 프레임(71)에는 카트리지(2)가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장착되는 방향으로 안내부(80)의 전방에 위치된 제3 카트리지 위치 설정부로서의 회전 제어부(82)가 마련된다. 회전 제어부(82)는 회전 제어부도 가동 안내부(101)의 안내 리브(101a-a) 상에 카트리지(2)를 위치시키기 위한 안내부로서 기능하도록 형성된다. 안내 리브(101a-a)에는 안내 리브(101a-a)의 내향 단부의 일부이고 카트리지(2)가 전부 안내 리브(101a-a) 상에 놓일 때 회전 제어부(82)에 대향하는 카트리지 위치 설정면(101a-f)이 마련된다.
다음으로,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카트리지(2)를 장착할 때 장치 주 조립 체(100)에 대해 카트리지(2)를 위치 설정시키기 위한 기구를 설명하기로 한다.
카트리지(2)는 가동 안내부(101)가 화상 형성 위치로부터 대략 40˚만큼 장치 주 조립체(100)의 외향으로 피봇식으로 이동됨으로서 이동되는 카트리지 장착 위치에 가동 안내부(101)가 있을 때 가동 안내부(101) 내로 삽입된다. 가동 안내부(101)가 이 위치에 있을 때, 카트리지(2)는 가동 안내부(101) 내에 임시로 장착될 수 있다(장치 주 조립체(100)).
도12를 참조하면, 가동 안내부(101) 내로 카트리지(2)를 삽입할 때, 가동 안내부(101)가 카트리지 장착 위치에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2)는 수평면에 대해 사실상 경사진 안내 리브(101a-a, 101b-a) 상에서 하향 활주한다. 그 후, 카트리지(2)가 안내 리브(101a-a, 101b-a)의 가장 깊은 단부에 도달하기 조금 전에, 회전 제어부(82)의 바닥면인 회전 제어면(82a)은 카트리지 위치 설정면(101a-f)과 접촉하게 된다.
카트리지 위치 설정면(101a-f)은 가동 안내부(101)의 일부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트리지 위치 설정면(101a-f)은 카트리지 장착 방향(X)으로(도13) 가동 안내부(101)의 하류 단부의 일부이고 상류측으로부터 조금 계단 상승된다.
따라서, 카트리지(2)가 안내 리브(101a-a, 101b-a) 상에서 하향 활주하면 카트리지 위치 설정면(82a), 즉 카트리지 프레임의 바닥면의 일부는 카트리지 위치 설정면(101a-f) 상에 놓인다.
다음으로, 도어(16)가 폐쇄된다. 도어(16)가 폐쇄되면 가동 안내부(101)는 장치 주 조립체(100)에 연결된 상술한 기계적 연결부에 의해 화상 형성 위치(300), 즉 장치 주 조립체(100)에서 도13에 도시된 화상 형성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된다. 가동 안내부(101)가 화상 형성 위치(300) 내로 이동될 때, 그 축선이 감광 드럼(21)의 축선과 일치하는 드럼 프레임(24)의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돌출하고 베어링으로서 뿐 아니라 카트리지 위치 설정부로서도 기능하는 베어링(27, 28)이 장치 주 조립체(100)의 주 프레임의 측벽(106)의 카트리지 위치 설정 슬롯(106a) 내로 하나씩 끼워진다. 베어링(27, 28)이 위치 설정 슬롯(106a) 내로 끼워지면 각각의 베어링(27, 28)은 대응하는 위치 설정 슬롯(106a, 106b)의 후방 및 바닥면에 가압됨으로써,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한 위치에 고정되고 따라서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해 감광 드럼(21)의 축을 정밀하게 위치시킨다.
베어링(27, 28)은 감광 드럼(21)의 지지 샤프트를 지지한다.
따라서, 가동 안내부(101)가 화상 형성 위치(최종 위치)(300) 내로 이동되더라도, 회전 방향에서 카트리지(2)의 자세는 카트리지(2)의 회전 제어면(82a)과 가동 안내부(101)의 카트리지 위치 설정면(101a-f)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제어된다.
다음으로, 도13 및 도19를 참조해서, 카트리지(2)가 화상 형성 장치(A)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기 시작할 때 일어나는 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카트리지(2)에는 길이 방향 단부들 중 일 단부에 있는 제1 구동력 전달부(커플링)(78)가 마련된다. 커플링(78)은 감광 드럼(21)의 지지 샤프트에 연결되고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력 전달 수단(도시 안됨)과의 결합에 의해 구동력을 수용함으로써, 감광 드럼(21)을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도13 및 도19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커플링(78)이 구동력을 수용할 때, 드럼 유닛(2a)은 각각 제1 및 제2 카트리지 위치 설정부로서 베어링(27, 28)의 축선을 연결한 라인 둘레에서 드럼 유닛(2a)을 회전시키기 위해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 즉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작용력을 받는다.
결국, 회전 제어면(82a)은 카트리지 위치 설정면(101a-f)과 접촉하게 됨으로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모멘트를 포획한다. 따라서,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한 카트리지(2)의 위치는 카트리지(2)가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수용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방향으로 고정된다.
(감광 드럼으로부터 현상 롤러를 분리하기 위한 기구)
다음으로, 도14, 도15 및 도16을 참조로 장치 주 조립체 내로 카트리지(2)를 장착할 때 또는 그로부터 카트리지(2)를 제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2)에서, 감광 드럼(21)으로부터 현상 롤러(22)를 분리하기 위한 기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4는 감광 드럼(21)으로부터 현상 롤러(22)를 분리시키기 위한 기구를 도시하며, 카트리지(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2)와 그 인접부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15는 카트리지(2)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에 있고 현상 롤러가 감광 드럼(2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카트리지(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2)와 그 인접부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16은 현상제 롤러 가압 부재를 도시하며, 카트리지(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장치 주 조립체(100)에는 카트리지(2)의 한 쌍의 압축 스프링(93)의 탄성을 받아 감광 드럼(21)으로부터 현상 롤러(22)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수단(110)이 마련된다. 분리 수단(110)은 카트리지(2)가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장착되는 방향으로 장치 주 조립체(100)의 가장 깊은(가장 하류측) 단부에 위치된다. 분리 수단은 현상 유닛(2b)의 길이 방향 단부에 마련되는 힘 수용부(92)를 상향으로 밀기 위한 현상제 분리부(판)(111)를 갖는다.
분리 수단(110)은 현상 롤러(22)와 감광 드럼(21) 사이에 접촉이 없는 분리 지점까지 분리판(111)을 밀기 위해 또는 현상 롤러(22)가 감광 드럼(21)과 접촉되어 유지되는 현상 지점까지 분리판(111)이 복귀하도록 분리판(111)을 해제시키기 위해 모터(도시 안됨)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분리 수단(110)은 화상이 실질적으로 형성되는 기간 동안에만 현상 유닛(2b)이 현상 위치에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판(111)은 카트리지(2)가 장치 주 조립체(100)에서 가동 안내부(101)의 화상 형성 위치(300)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위치 내로 위치 설정된 후 스테핑 모터(도시 안됨)에 의해 밀어 올려진다. 또한, 카트리지(2)는 현상 유닛(2b)이 드럼 유닛(2a)으로부터 한 쌍의 핀(77a)으로 현수되어서 핀(77a) 둘레에서 피봇식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따라서, 분리판(111)이 밀어 올려지면, 분리판은 현상 유닛(2b)의 힘 수용부(92)와 접촉하게 되고 힘 수용부(92)를 밀어 올린다. 결국, 드럼 유닛(2a)의 회전 제어부(82)의 상부면이고 카트리지(2)의 현상제 롤러 분리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 제어면(82b)은 가동 안내부(101)의 안내 리브(101a)의 일부이고 회전 제어면(82b)에 위치적으로 대응하는 카트리지 포획면(101a-g)과 접촉하게 되어서, 드럼 유닛(2a)(카트리지(2))이 더 상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도18 및 도19).
드럼 유닛(2a)이 더 상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때, 현상 유닛(2b)은 핀(77a) 둘레에서 회전됨으로서, 현상 롤러(22)를 감광 드럼(21)으로부터 분리시키며 현상 롤러(22) 및 감광 드럼(21) 사이에 소정 거리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작업이 인쇄 신호에 의해 시작되면, 분리판(111)을 위로 밀어 올리도록 인가된 힘은 현상 작업 타이밍과 동시에 중단되어서 현상 롤러(22)가 감광 드럼(21)과 접촉하게 위치되도록, 즉 현상 롤러(22)가 현상을 준비하도록 함으로서, 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주어진 화상 형성 작업이 완료된 후, 분리판(111)은 밀어 올려지고, 현상 롤러(22)는 감광 드럼(21)으로부터 분리되어 유지된다. 이런 구조적 배열을 제공함으로서, 화상 형성 장치(A)가 사실상 긴 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고 유지되더라도, 현상 롤러(22)의 탄성층이 사실상 긴 시간 동안 감광 드럼(21) 상에서 가압 상태로 유지됨으로서 영구 변형되는 문제가 확실히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카트리지(2)는 현상 유닛(2b)이 드럼 유닛(2a)으로부터 현수되어서 드럼 유닛(2a)에 대해 피봇식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카트리지가 어떤 구속을 받지 않을 때, 현상 유닛(2b)은 현상 롤러(22)를 감광 드럼(21)과 접촉 상태로 유지시키는 방향으로 스프링(93)의 탄성에 의해 가압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현상 롤러(22)를 감광 드럼(21)으로부터 분리되게 유지하는 힘을 제거한 후, 즉 화상 형성 작업 동안, 현상 롤러(22)는 장치 주 조립체 측 상의 구조적 배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스프링(93)의 탄성에 의해서만 감광 드럼(21)과 접촉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소정량의 접촉 압력이 현상 롤러(22)와 감광 드럼(21) 사이에 유지된다.
한 쌍의 압축 스프링(93)은 카트리지(2)의 길이 방향 단부에 부착된 한 쌍의 장력 스프링으로 하나씩 교체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장력 스프링의 일 단부는 감광 드럼(21)의 축선에 대해 위치적으로 대략 대응하는 드럼 프레임(2a)의 길이 방향 단부의 부분에 부착되고 타 단부는 현상 롤러(22)의 축선에 대해 대략 대응하는 현상 프레임(2b)의 길이 방향 단부의 부분에 부착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압축 스프링(93a)은 한 쌍의 장력 스프링(93b)과 함께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베어링(27:제1 위치 설정부; 28:제2 위치 설정부)은 장치 주 조립체(100)의 주 프레임의 측벽(106)의 위치 설정 슬롯(106a, 106b)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해 정밀하게 위치된다. 즉, 그들의 위치는 장치 주 조립체(100)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카트리지(2)로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야기된 베어링(27, 28)의 축선 둘레에서의 카트리지(2)의 회전 이동은 회전 제어부(82)(위치 설정면(82a))에 의해 제어된다. 즉, 카트리지(2)의 위치는 가동 안내부(101)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카트리지(2)가 가동 안내부(101)의 이동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100)에서 가동 안내부(101)의 화상 형성 위치(300)에 대응하는 그들의 화상 형성 위치 내로 이동되도록 화상 형성 장치(A)가 구성되더라도 카트리지(2)는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해 신뢰성 있고 정밀하게 위치된다.
또한, 감광 드럼(21)으로부터 현상 롤러(22)를 분리시킬 때 발생하는 카트리지(2) 내향 단부의 상향 이동은 회전 제어부(82)(위치 설정면(82b))에 의해 제어된다. 즉, 카트리지(2)는 가동 안내부(101)에 의해 적소에 고정된다.
따라서, 카트리지(2)가 가동 안내부(101)의 이동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100)에서 가동 안내부(101)의 화상 형성 위치(300)에 대응하는 그들의 화상 형성 위치 내로 이동되도록 화상 형성 장치(A)가 구성되더라도, 카트리지(2)는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해 신뢰성 있고 정밀하게 위치되어 유지된다.
또한, 회전 제어부(82)의 바닥면은 위치 설정면(82b)을 구성하며 회전 제어부(82)의 상부면은 위치 설정면(82b)을 구성한다. 또한, 가동 안내부(101)의 위치 설정면(101a-f)은 가동 안내부(101)의 조금 더 두터운 부분인 부분(101a-h)의 상부면이다.
따라서, 카트리지(2)가 가동 안내부(101) 내로 삽입되고 가동 안내부(101) 내로 깊이 활주할 때, 카트리지(2)의 바닥면은 부분(101a-h) 상으로 오름으로서, 카트리지(2) 및 위치 설정면(101a-f) 사이의 거리와 카트리지(2) 및 가동 안내부(101)의 하향 대면하는 내향면(101a-i) 사이의 거리를 줄인다.
따라서, 가동 안내부(101)가 이동되는 동안 카트리지(2)가 예기치 않게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회전 제어부(82)는 제1 및 제2 구동력 전달부(78, 79)가 존재하는 측면 상에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2)의 회전은 보다 양호하게 제어 될 수 있다. 이 경우, 세 부분, 즉 카트리지(2)의 회전 제어부(82) 및 베어링(27, 28)은 장치 주 조립체(100)와 접촉 상태로 남아서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해 카트리지(2)를 정밀하게 위치시킨다. 그러나, 회전 제어부는 카트리지(2)의 다른 측면, 즉 회전 제어부가 본 실시예에서 위치한 곳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 있거나 카트리지(2)의 양쪽 길이 방향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셔터를 개폐하기 위한 기구)
다음으로, 도17 및 도18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2)의 감광 드럼(21)을 보호하는 드럼 셔터를 개폐하기 위한 기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7은 드럼 셔터를 개폐하기 위한 기구를 도시하고 카트리지(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카트리지 장착 위치(200)에 있는 가동 안내부(101)의 카트리지(2) 및 그 인접부들에 대한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18은 도어(16)가 폐쇄된 후, 셔터를 개폐하기 위한 기구의 상태를 도시하고 카트리지(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화상 형성 위치(300)에 있는 가동 안내부(101)의 카트리지(2) 및 그 인접부들에 대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카트리지(2)에는 카트리지 프레임에 회전식으로 부착된 감광 드럼(21)의 주연면을 차폐하기 위한 드럼 셔터가 마련된다. 셔터(87)는 블랙 수지성 물질로 형성된 차폐 부재(85)와 셔터 로드(86)를 포함한다. 셔터 로드(86)는 일 단부에 의해 드럼 유닛(2a)에 회전식으로 부착되며 타 단부에 의해 차폐 부재(85)에 부착된다. 따라서, 셔터 로드(86)가 회전될 때, 차폐 부재(85)는 이동되어서 감광 드럼(21)의 주연면을 노광시킨다.
가동 안내부(101)가 카트리지 장착 위치에 있을 때, 가동 안내부(101)의 카트리지(2)(들)의 드럼 셔터(87)는 감광 드럼(21)을 덮는다. 그 후, 장치 주 조립체(100)의 도어(16)가 폐쇄되면, 카트리지(2)(들)는 가동 안내부(101)와 함께 그 최종 위치, 즉 도어(16) 및 가동 안내부(101)에 연결된 기계적 연결부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100)에서 가동 안내부(101)의 화상 형성 위치(300)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위치(들)로 궤도적으로 이동된다. 이런 이동 동안, 셔터(87)의 셔터 로드(86)는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내향 돌출한 셔터 제어 부재(112)와 접촉함으로서, 감광 드럼(21)의 주연면을 노광시키는 방향으로 셔터(87)의 차폐 부재(85)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셔터 제어 부재(112)는 위치적으로 셔터 로드(86)와 일치하며, 카트리지 장착 위치(200)의 가동 안내부(101)에 있는 위치로부터 그 화상 형성 위치, 즉 가동 안내부(101)의 화상 형성 위치(300)에 대응하는 장치 주 조립체(100)의 최종 위치까지의 카트리지(2)의 궤도 경로에 있다.
카트리지(2)가 가동 안내부(101)와 함께 이동하는 동안, 상술한 위치 설정면(82a) 및 회전 제어면(82b)은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가동 안내부(101)의 카트리지(2)의 선단부의 자세를 제어함으로서, 카트리지(2)가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궤도적으로 이동될 때 셔터 로드(86)가 셔터 제어 부재(112)와 접촉하게 되도록 하고 셔터(87)가 셔터 로드(86) 및 셔터 제어 부재(112) 사이의 접촉에 이어 카트리지(2)의 이동에 의해 개방된 동안 셔터 로드(86)가 셔터 제어 부재(112)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트리지(2)가 셔터(87)로부터의 저항에 의해 가동 안내부(101)에서 덜컥거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즉, 위치 설정면(82a) 및 회전 제어면(82b)은 덜컥거림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함으로써, 셔터(87)가 적절히 개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카트리지 장착 위치(200)로부터 화상 형성 위치(300)까지 카트리지(2)를 이동시키기 위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A)의 주 조립체(100)에 부착된 가동 안내부(101)에 위치 가능하고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해 이동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21)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21) 상에서 작용하는 처리 수단(예컨대, 현상 롤러(22), 대전 롤러(23) 및 세척 수단(26))과,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장착될 때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2)를 정밀하게 위치 설정하기 위한 것이고 카트리지(2)의 길이 방향으로 카트리지 프레임(감광 드럼(24) 및 현상 프레임(71))의 길이 방향 단부 중 일 단부로부터 외향 돌출한 제1 카트리지 위치 설정부(베어링(27))와,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장착될 때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2)를 정밀하게 위치 설정하기 위한 것이고 카트리지(2)의 길이 방향으로 카트리지 프레임(감광 드럼(24) 및 현상 프레임(71))의 길이 방향 단부 중 타 단부로부터 외향 돌출한 제2 카트리지 위치 설정부(베어링(28))와,
카트리지(2)가 가동 안내부(101)에 의해 지지되게 하고 카트리지 프레임(드럼 프레임(24) 및 현상 프레임(71))의 길이 방향 단부 중 일 단부의 바닥면의 일부인 제1 카트리지 지지부(안내면(80d))와,
카트리지(2)가 가동 안내부(101)에 의해 지지되게 하고 카트리지 프레임(감광 드럼(24) 및 현상 프레임(71))의 타 길이 방향 단부의 바닥면의 일부인 제2 카트리지 지지부(안내면(80b))와,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장착되는 방향으로 제1 또는 제2 카트리지 지지부(안내면(80d 또는 80b))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의 전방에 위치되고, 구동력이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2)로 전달됨에 따라 발생된 힘에 의해 제1 및 제2 위치 설정부(베어링(27, 28))의 축선 둘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회전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접촉함으로서 추가적인 회전이 방지되는 제1 회전 제어면(자세 제어면(82a))을 포함하는 제3 카트리지 위치 설정부(회전 제어부(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 태양에 따르면, 상술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서 감광 드럼(21)으로부터 상술한 처리 수단 중 하나로서 현상 롤러(22)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수용하기 위한 힘 수용부(92)와,
힘 수용부(92)에 의해 포획된 외력에 의해 제1 및 제2 위치 설정부(베어링(27, 28))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회전 제어면(분리-회전 제어면(82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 태양에 따르면, 상술한 힘 수용부(92)는, 두 개의 프레임(71, 24)이 현상 롤러(22)가 감광 드럼(21)과 접촉하게 위치되거나 분리되는 곳에 대해 서로에 대해 피봇식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 부분으로서 현상 프레임(71)과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부분으로서 감광 드럼 지지 드럼 프레임(24)을 연결하는 연결부(구멍(77) 및 핀(77a))의 축선과 일치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수직 평면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 태양에 따르면, 제3 위치 설정부(회전 제어부(8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게 하는 구동력 수용부로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동일한 길이 방향 단부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 태양에 따르면, 제3 위치 설정부(회전 제어부(8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게 하는 구동력 수용부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하류측 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 태양에 따르면, 제1 위치 설정부(베어링(27))는 장치 주 조립체(100)의 제1 위치 설정부(위치 설정 슬롯(106a))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해 정밀하게 위치되는 반면, 제2 위치 설정부(베어링(28))는 장치 주 조립체(100)의 제2 위치 설정부(위치 설정 슬롯(106b))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해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 태양에 따르면, 제1 및 제2 위치 설정부(베어링(27, 28))의 축선은 전자 사진 감광 드럼(21)의 축선과 일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 태양에 따르면, 장치 주 조립체(100)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장착되는 방향으로 장치 주 조립체(100)의 가동 안내부(101)의 선단부의 일체부인 제3 카트리지 위치 설정부를 포함하며, 제3 카트리지 위치 설정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 수단(도시 안됨)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제1 및 제2 위치 설정부의 축선 둘레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회전 제어면과,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외력에 의해 감광 드럼(21)으로부터 현상 롤러(22)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 위치 설정부의 축선 둘레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회전 제어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특징은 후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1) 카트리지 프레임(드럼 프레임(24) 및 현상 프레임(71))의 바닥면의 부분들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를 지지하는 부분들(안내면(80b, 80d))로서 이용되고 카트리지 위치 설정면(82a)은 카트리지 지지부와 일체로 제조되기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치수를 길이 방향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족적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카트리지 자세 제어면(82a)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치 주 조립체(1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카트리지 지지부(안내면(80b))의 일체부로서 마련되고 카트리지 자세 제어면(82a)에 대해 회전 제어부(82)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간단한 구조적 배열을 이용함으로서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해 정밀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1)에서 설명된 길이 방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치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족적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3) 현상 유닛이 감광 드럼(21)으로부터 현상 롤러(22)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 제어면(82a, 82b)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가동 안내부(101) 내로 보다 깊이 장착될 때 각각 가동 안내부(101)의 카트리지 위치 설정면(101a-f, 101a-g)과 접촉함으로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자세를 제어하도록 위치되기 때문에, 셔터 로드(86)가 셔터 제어 부재(112)와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셔터 로드(86)가 셔터 제어 부재(112)를 지나치거나 그 위로 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셔터(87)가 적절히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정밀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설명된 세부에 국한되지 않으며 그 적용은 후술하는 청구항의 범위 또는 개선 목적 내에 있는 변경이니 개조를 포괄한다.

Claims (20)

  1.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가동 안내부 상에 지지될 수 있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가동 안내부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수용 위치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가동 안내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수용 위치로부터 장착 위치를 향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접하는 동안에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지지하는 드럼 유닛과,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드럼 유닛과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한 연결부에서 연결되는 현상 유닛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가 서로 접촉하도록 상기 드럼 유닛과 상기 현상 유닛 사이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위치되고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일 종단부에 인접한 상기 드럼 유닛으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제1 위치 설정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위치되고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타 종단부에 인접한 상기 드럼 유닛으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제2 위치 설정부와,
    가동 안내부에 의해 지지 되도록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상기 일 종단부에 마련되는 제1 피지지부와,
    가동 안내부에 의해 지지 되도록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상기 타 종단부에 마련되는 제2 피지지부와,
    상기 현상 유닛에 구비되고, 서로 접하고 있는 상기 현상 롤러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반하여 각각 분리시키려는 외력을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힘 수용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선단측 상에 구비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구동력을 받을 때 가동 안내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및 상기 제2 위치 설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제1 회전 스토퍼 표면을 갖는 제3 위치 설정부와,
    상기 힘 수용부가 외력을 수용할 때 가동 안내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및 상기 제2 위치 설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드럼 유닛의 외력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제1 회전 스토퍼 표면과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회전 스토퍼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 설정부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를 포함하는 측면과 동일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 설정부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기는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설정부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구비된 제1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에 대해 위치되며, 상기 제2 위치 설정부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구비된 제2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에 대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및 상기 제2 위치 설정부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동축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지지부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를 포함하는 측면과 동일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위치 설정부는 상기 제1 피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 설정부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력 수용부의 위치에 대향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 설정부는 상기 제1 피지지부 및 상기 제2 피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주 조립체에 대해 이동가능한 가동 안내부를 포함하는 주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가동 안내부가 상기 프로세서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수용 위치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접하는 동안에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지지하는 드럼 유닛과,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드럼 유닛과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한 연결부에서 연결되는 현상 유닛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가 서로 접촉하도록 상기 드럼 유닛과 상기 현상 유닛 사이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주 조립체에 대해 위치되고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일 종단부에 인접한 상기 드럼 유닛으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제1 위치 설정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주 조립체에 대해 위치되고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타 종단부에 인접한 상기 드럼 유닛으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제2 위치 설정부와,
    상기 가동 안내부에 의해 지지 되도록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상기 일 종단부에 마련되는 제1 피지지부와,
    상기 가동 안내부에 의해 지지 되도록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상기 타 종단부에 마련되는 제2 피지지부와,
    상기 현상 유닛에 구비되고 서로 접하고 있는 상기 현상 롤러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반하여 각각 분리시키려는 외력을 상기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힘 수용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선단측 상에 구비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 조립체로부터 구동력을 받을 때 상기 가동 안내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및 상기 제2 위치 설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제1 회전 스토퍼 표면을 갖는 제3 위치 설정부와,
    상기 힘 수용부가 외력을 수용할 때 상기 가동 안내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및 상기 제2 위치 설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드럼 유닛의 외력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제1 회전 스토퍼 표면과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회전 스토퍼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 설정부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력 수용부를 포함하는 측면과 동일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 설정부는 상기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설정부는 상기 주 조립체에 구비된 제1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에 대해 위치되며, 상기 제2 위치 설정부는 상기 주 조립체에 구비된 제2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에 대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및 제2 위치 설정부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동축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4.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하며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ⅰ)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가동 안내부와,
    (ⅱ) 상기 가동 안내부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수용 위치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접하는 동안에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지지하는 드럼 유닛과,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드럼 유닛과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한 연결부에서 연결되는 현상 유닛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가 서로 접촉하도록 상기 드럼 유닛과 상기 현상 유닛 사이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탄성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위치되고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일 종단부에 인접한 상기 드럼 유닛으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상기 제1 위치 설정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위치되고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타 종단부에 인접한 상기 드럼 유닛으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제2 위치 설정부와,
    상기 가동 안내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상기 일 종단부에 마련되는 제1 피지지부와,
    상기 가동 안내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상기 타 종단부에 마련되는 제2 피지지부와,
    상기 현상 유닛에 구비되고 서로 접하고 있는 상기 현상 롤러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반하여 각각 분리시키려는 외력을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힘 수용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선단측 상에 구비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구동력을 받을 때 상기 가동 안내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및 상기 제2 위치 설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제1 회전 스토퍼 표면을 갖는 제3 위치 설정부와,
    상기 힘 수용부가 외력을 수용할 때 가동 안내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및 상기 제2 위치 설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드럼 유닛의 외력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제1 회전 스토퍼 표면과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회전 스토퍼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드럼 구동력 수용부가 배치된 부분과 동일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에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현상 롤러 구동력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 설정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선단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제3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 설정부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력 수용부의 위치에 대향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30099984A 2003-08-29 2003-12-30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 설정 기구 및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733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09843A JP3970217B2 (ja) 2003-08-29 2003-08-29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JP-P-2003-00209843 2003-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859A KR20050022859A (ko) 2005-03-08
KR100733934B1 true KR100733934B1 (ko) 2007-07-02

Family

ID=34209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984A KR100733934B1 (ko) 2003-08-29 2003-12-30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 설정 기구 및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127194B2 (ko)
EP (1) EP1536296B1 (ko)
JP (1) JP3970217B2 (ko)
KR (1) KR100733934B1 (ko)
CN (2) CN10163966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252B1 (ko) 2008-02-29 2008-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와 그 메모리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7509B2 (ja) 1998-05-07 2010-09-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378221B2 (ja) * 2003-10-08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40636B2 (ja) * 2005-03-24 2008-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92099B2 (ja) * 2005-06-24 2011-06-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7292804B2 (en) * 2005-06-28 2007-11-06 Xerox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mounting an imaging media cartridge to a printer
JP4661507B2 (ja) 2005-09-30 2011-03-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280770B2 (ja) 2006-01-11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67444B2 (ja) 2006-12-13 2011-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948382B2 (ja) 2006-12-22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ドラム取り付け用カップリング部材
JP4498407B2 (ja)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4040665B1 (ja) * 2006-12-28 2008-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95649B1 (ja) 2006-12-28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移動部材
JP5311854B2 (ja) 2007-03-23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JP5094186B2 (ja) * 2007-04-10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004833B2 (ja) 2007-05-23 2012-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58378B2 (ja) 2007-06-29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58377B2 (ja) 2007-06-29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968957B2 (ja) 2008-03-31 201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枠体ユニット、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枠体ユニット、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5127565B2 (ja) * 2008-05-23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306050B2 (ja) 2008-06-20 201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外し方法
JP5106656B2 (ja) 2010-06-22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846062B1 (ja) 2010-08-20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350455B2 (ja) 2010-12-16 2013-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3122489A (ja) 2011-11-09 2013-06-20 Canon Inc カートリッジ及びユニット
CN107678261B (zh) 2011-11-09 2020-10-23 佳能株式会社 盒和成像装置
JP6004717B2 (ja) 2012-04-16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ユニット、現像剤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057651B2 (ja) 2012-10-01 2017-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2014119534A (ja) 2012-12-14 2014-06-3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0025266B2 (en) 2012-12-14 2018-07-1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including a coupling member and a sheet that contacts the coupling member
JP6184311B2 (ja) 2012-12-14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242201B2 (ja) 2012-12-14 2017-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696684B2 (en) 2012-12-14 2017-07-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3951509B1 (en) 2014-11-28 2024-05-15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member constitut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809661B1 (en) * 2019-06-03 2020-10-20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positioning features including guides extending outward from sides of the toner cartridge and an engagement member on a rear of the toner cartrid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5147A (ja) * 1999-10-08 2001-06-2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装着機構、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2278411A (ja) * 2001-03-16 2002-09-2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着脱機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208074A (ja) * 2002-01-11 2003-07-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0561A (ja) 1990-08-03 1992-03-2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着脱方法
JPH04333066A (ja) 1991-05-08 1992-11-2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604840B2 (ja) * 1996-09-30 2004-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1265135A (ja) * 1998-03-16 1999-09-28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157792A (en) * 1998-03-31 2000-12-05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having plural image forming modes, and a process cartridge applied to such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DE19829031A1 (de) * 1998-06-30 2000-01-05 Thomson Brandt Gmbh Kompensation von Bildrohralterungseffekten
JP3554200B2 (ja) * 1998-08-31 2004-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部材取り付け方法
JP2000075733A (ja) * 1998-08-31 2000-03-14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取り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交換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673658B2 (ja) 1998-10-28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194248A (ja) * 1998-12-28 2000-07-14 Canon Inc 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帯電ユニット及び現像ユニット
JP3768706B2 (ja) * 1998-12-28 2006-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79645B2 (ja) * 1999-03-29 200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0321843A (ja) 1999-05-07 2000-11-24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679665B2 (ja) * 1999-11-19 200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間隙保証部材および現像装置および帯電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478797B2 (ja) * 1999-12-28 2003-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50294B2 (ja) * 2000-02-16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1249601A (ja) * 2000-03-03 2001-09-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829455B2 (en) * 2000-10-20 2004-12-07 Canon Kabushiki Kaisha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such a mechanism, and process unit of such an apparatus
JP3432218B2 (ja) * 2000-10-31 2003-08-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負荷発生部材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32208B2 (ja) 2000-11-17 2003-08-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装着方法
JP3667243B2 (ja) * 2000-12-01 2005-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装着機構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244382A (ja) * 2000-12-13 2002-08-3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気接点部材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735408B2 (en) * 2001-03-21 2004-05-1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djustable removal and developing nips
JP2003162203A (ja) * 2001-09-13 2003-06-06 Canon Inc ユニット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73755B2 (ja) 2001-12-28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125007B2 (ja) * 2002-01-11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54923B2 (ja) 2002-01-18 2006-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795671B2 (en) * 2002-01-15 2004-09-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eaturing switchable, contact and spaced, clutch-operated developing units
JP3884960B2 (ja) 2002-01-15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011930B2 (ja) * 2002-02-20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634807B2 (ja) * 2002-02-20 2005-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658372B2 (ja) * 2002-02-22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用の離間保持部材
JP3673793B2 (ja) * 2003-08-29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装着機構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5147A (ja) * 1999-10-08 2001-06-2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装着機構、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2278411A (ja) * 2001-03-16 2002-09-2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着脱機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208074A (ja) * 2002-01-11 2003-07-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252B1 (ko) 2008-02-29 2008-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와 그 메모리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36296A3 (en) 2005-06-08
CN101639660A (zh) 2010-02-03
US7127194B2 (en) 2006-10-24
KR20050022859A (ko) 2005-03-08
EP1536296B1 (en) 2018-12-05
JP2005077442A (ja) 2005-03-24
CN100545759C (zh) 2009-09-30
US20050047820A1 (en) 2005-03-03
JP3970217B2 (ja) 2007-09-05
US7349649B2 (en) 2008-03-25
CN1591208A (zh) 2005-03-09
US20060257164A1 (en) 2006-11-16
CN101639660B (zh) 2012-09-05
EP1536296A2 (en)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934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 설정 기구 및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7149457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731216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7155141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466939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a plurality of process cartridges are detachably mountable by using a moving guide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US6968142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151459A (en) Development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76820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artridge supporting member and preventing members for ensuring mounting of cartridges in associated mounting portions
US7158735B2 (en) Process cartridge, mounting method of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and replacing method of the photosensitive drum
JPH0798402B2 (ja) レーザプリンタ
KR100270222B1 (ko) 현상 장치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2001066968A (ja) 画像形成装置
JP3997247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7839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