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810B1 - 키리스 엔트리 장치 - Google Patents

키리스 엔트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810B1
KR100682810B1 KR20020030523A KR20020030523A KR100682810B1 KR 100682810 B1 KR100682810 B1 KR 100682810B1 KR 20020030523 A KR20020030523 A KR 20020030523A KR 20020030523 A KR20020030523 A KR 20020030523A KR 100682810 B1 KR100682810 B1 KR 100682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automatic
signal
automatic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20030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3559A (ko
Inventor
사사키요시히로
요시무라미노루
Original Assignee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3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20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keyless data carrier being hand operated
    • G07C2009/0022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keyless data carrier being hand operated by more than one push butt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Abstract

본 키리스 엔트리 장치는, 도어의 로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로크 신호를 수신한 후 운전석의 도어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천이한 것을 검출하여 도어의 자동 로크를 실행하는 차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미리 송신기를 조작하여 차재 장치를 자동 로크 모드로 설정하여 두면, 작업 종료 후 다시 송신기를 조작하여 로크 요구를 송신하지 않고, 도어를 닫음으로써 자동적으로 도어 로크가 실행된다.
키리스 엔트리 장치, 로크 신호, 차재 장치

Description

키리스 엔트리 장치{KEYLESS ENTRY APPARATU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장치의 송신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장치의 차재(車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장치의 수신기 프로그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장치의 자동 로크 모드 설정 처리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장치의 자동 로크 모드 설정 처리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장치의 자동 로크 모드 설정 처리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장치의 자동 로크 모드 설정 처리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장치의 자동 로크 모드 설정 처리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장치의 자동 로크 모드 설정 처리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장치의 자동 로크 모드 설정 처리의 제 7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장치의 자동 로크 실행 처리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장치의 자동 로크 실행 처리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장치의 자동 로크 실행 처리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장치의 자동 로크 해제 처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장치의 자동 로크 모드 설정 실행 처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장치에서 사용되는 응답 신호(answer back)의 각종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송신기
2 : 로크 버튼
3 : 언로크 버튼
4 : 시프트 버튼
5 : 차재 장치
6 : 도어 스위치
7 : 로크 모터
8 : 버저
9 : 해저드
본 발명은 송신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 로크를 원격 제어하는 키리스(keyless) 엔트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키리스 엔트리 장치는 송신기를 이용하여 차량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도어를 원격 로크 제어하는 것이며, 편리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양손으로 들지 않으면 안될 만큼의 대량의 짐을 차내에서 차 밖으로 가지고 나가 도어의 로크를 행하고자 할 경우, 송신기의 조작을 위해 차 밖으로 가지고 나간 짐을 일단 아래에 놓아둘 필요가 있어, 상당히 번거로웠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로크 신호를 송신하지 않더라도, 도어가 닫힌 후 소정 시간 후에 자동적으로 도어 로크가 실행되도록 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도어를 로크할 의사가 없는 경우에도 도어를 닫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로크가 실행되어, 부적당한 사태를 발생시킬 경우가 있다.
일본국 특개평9-217534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이러한 사태를 회피하기 위해, 도어를 닫은 후 송신기에 의해 언로크 요구를 행했을 때에, 자동 로크를 허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국 특개평9-217534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자동 로크를 행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닫은 후, 다시 송신기 조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 즉 양손이 가득 차 있을 경우 일단 짐을 내려서 송신기 조작을 해야만 한다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자동 로크 기능을 나타내는 종래예로서, 일본국 특개평5-156851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평10-196181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가 있다. 전자의 경우는, 휴대 송신기와 수신기에 모두 송수신 회로를 설치하고, 수신기로부터 정기적으로 미약한 서치 신호를 송신하며, 휴대 송신기가 이 서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기에 ID 코드를 회신하지 않으면 도어를 로크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휴대 송신기를 가진 사람이 차량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휴대 송신기가 수신기로부터의 서치 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며, 따라서, ID 코드도 회신하지 않기 때문에, 송신기를 조작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도어가 로크된다. 그러나, 이 장치에서는 휴대 송신기와 수신기에 모두 송수신 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지고 비용도 높아지는 결점을 갖고 있다.
한편, 일본국 특개평10-196181호 공보에 개시되는 장치에서는, 일본국 특개평5-156851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상은 송신기로부터의 로크 요구에 따라 도어를 로크하도록 해두고, 소정 조건이 성립했을 때만 자동 로 크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휴대 송신기와 수신기에 모두 송수신 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간단한 구성으로 조작자의 의사를 반영한 자동 로크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국 특개평10-196181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자동 로크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매우 복잡하다. 즉, 이 장치에서는, 1) 운전자가 차량에 타서 차량의 주행을 행할 것, 2) 주행을 마치고 송신기의 언로크 스위치를 2회 조작할 것 등, 이들 이외의 조건도 포함하여 모든 조건이 성립했을 때만 자동 로크 모드가 설정된다. 따라서, 자동 로크 모드의 설정은 간단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시키지 않고 자동 로크 모드로 이행시키고자 하여도,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량의 짐을 양손으로 안고 있는 등과 같이 송신기 조작이 곤란한 상태에서도, 구성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 용이하게 도어를 자동 로크할 수 있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키리스 엔트리 장치는, 도어의 로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로크 신호를 수신한 후 운전석의 도어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천이한 것을 검출하여, 도어의 자동 로크를 실행하는 차재(車載)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키리스 엔트리 장치는, 도어의 로크 및 자동 로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자동 로크 요구를 수신한 후 운전석의 도어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천이한 것을 검출하여 도어의 자동 로크를 실행하는 차재 장치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키리스 엔트리 장치에서는, 조작자가 운전석의 도어를 연 상태에서, 또는 운전석의 도어를 열기 이전에, 미리 송신기를 조작하여 로크 신호 또는 자동 로크 신호를 송신하여 두면, 운전석의 도어를 닫음으로써 도어가 자동적으로 로크된다. 따라서, 양손이 가득 차 있는 등과 같이 송신기 조작이 곤란한 상황 하에서, 도어 로크 때문에 송신기를 조작할 필요가 없어, 도어 로크를 위한 작업 효율이 대폭으로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상기 로크 신호의 수신 후 소정 시간 내에 도어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천이한 경우에, 자동 로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오조작에 의한 도어의 자동 로크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로크 신호를 수신하고 도어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천이한 것을 검출한 후, 일정 시간 후에 상기 도어의 자동 로크를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차내에 실수로 송신기 등의 중요한 물건을 두고 내린 후에 도어를 닫아버린 경우 등에도, 도어 로크가 실행되는 일정 시간 내에 알아차리면, 다시 도어를 열어 잊어버린 물건을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자동 로크를 설정한 경우, 자동 로크를 설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운전석 이외의 도어가 열려 있어 로크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 또는 로크하여도 의미가 없는 경우 등, 버저, 음성, 광의 점멸 등으로 그 상태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하기 편리한 키리스 엔트리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키리스 엔트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특히, 도 1a는 송신기 측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1b는 차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송신기(1)는 통상 휴대용으로 구성된 송신기로서, 도어 로크 요구를 송신하기 위한 로크 버튼(2), 도어의 언로크 요구를 송신하기 위한 언로크 버튼(3), 및 버튼 기능의 확장을 도모하기 위한 시프트 버튼(4)을 구비하고, 이들 각 버튼의 조작에 의해 소정 신호를 송신한다. 차재 장치(5)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고, 송신기(1)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와 도어의 로크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5')를 갖고 있다. 도어의 로크 기구에는, 예를 들어, 운전석 도어, 조수석 도어, 후부 우석(右席) 도어, 후부 좌석(左席) 도어 등의 도어에 설치된 도어 커티시(door courtesy) 스위치(SW1, SW2, SW3, SW4) 및 도어 노브(SW), 더 나아가서는 이그니션 키의 상태를 나타내는 키(SW)를 포함하는 스위치(6), 각각의 도어의 로크 기구를 구동시키는 로크 모터(7), 도어 로크의 이상 상태를 통지하는 버저(8) 및 해저드(예를 들어, 해저드 램프)(9)가 포함된다. 또한, 송신기(1) 및 차재 장치(5)는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갖고 있다.
도 2는 차재 장치의 제어 유니트(5') 내에 설치된 CPU를 제어하기 위한 수신기 프로그램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프로그램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 로크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처리 블록(10), 자동 로크를 실행하기 위한 처리 블록(20), 자동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처리 블록(30)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14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자동 로크 모드 설정 프 로그램의 각종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의 플로차트는 자동 로크 모드 설정 처리 블록(10)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특징은, 도어가 개방 상태이며 휴대 송신기로부터 로크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 자동 로크 모드가 설정되는 것이다. 먼저, 스텝 101에서 이그니션 키가 이그니션 키 실린더에 집어넣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키가 집어넣어져 있지 않을 경우(N), 스위치(102)에서 송신기로부터 로크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로크 요구가 있을 경우(Y), 스텝 103에서 차량 전체의 도어가 닫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모든 도어가 닫혀 있을 경우(Y), 스텝 104에서 도어를 로크한다.
스텝 103에서 어느 한쪽의 도어가 열려 있다고 판단되면(N), 스텝 105에서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을 세워, 자동 로크 모드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스텝 106에서, 예를 들어, 1초 동안에 버저를 2회 울리는 것과 같은 응답 신호(도 15의 응답 신호 1 참조)를 행하여, 자동 로크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조작자에게 통보한다. 이 응답 신호는, 버저 대신에, 예를 들어, 「도어를 닫으면 자동 로크합니다」와 같은 음성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스텝 1O2에서 로크 요구가 없다고 판단되면(N), 스텝 107에서 도어의 언로크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요구가 있을 경우(Y)는 스텝 108에서 도어를 언로크한다. 또한, 스텝 101에서 이그니션 키가 키 실린더에 삽입되어 있을 경우(Y), 및 스텝 107에서 언로크 요구가 없을 경우(N)는, 도어 로크에 관한 조작을 행하지 않고 처리 플로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의 어느 한쪽의 도어가 개방 상태일 때에 로크 요구가 있으면 자동 로크 모드가 설정되기 때문에, 양손을 차지하는 것과 같은 대량의 짐을 차내로부터 가지고 나갈 경우, 먼저 도어를 연 상태에서 로크 요구를 행하여 둠으로써, 그 후 짐을 가지고 나가 도어를 닫으면(양손이 가득 차 있어도 가능) 자동 로크가 실행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짐을 지닌 채로 휴대 송신기를 조작한다는 번잡한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도어를 열어 작업을 계속하고 있는 동안은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도어 로크가 실행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안심하고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자동 로크의 실행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자동 로크 실행 처리의 각 실시형태를 참조하기 바란다.
도 4는 자동 로크 모드 설정 처리 블록(10)의 제 2 실시형태의 플로차트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달리, 도어 로크 요구가 있으면 도어의 개폐 여부에 관계없이 자동 로크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것을 실시하기 위해, 스텝 103에서 전체 도어가 폐쇄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 104에서 즉시 도어 로크를 실행하고, 스텝 110에서, 예를 들어, 버저를 2회 울리는 응답 신호 1(도 15 참조)을 행하여 스텝 111에서 자동 로크 모드로 이행한다. 스텝 103에서 어느 한쪽의 도어가 열려 있을 경우는, 스텝 104를 스킵하고, 스텝 110 및 스텝 111을 거쳐 자동 로크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및 이후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텝 103의 전체 도어가 닫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스텝은, 로크 기구와의 관계에서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예를 들면, 로크 기구의 설계에 있어서, 전체 도어가 닫혀 있지 않더라도 도어 로크가 실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이 스텝은 필요가 없다. 또한, 스텝 110의 응답 신호는 생략할 수도 있고(통상의 로크 시에 시끄럽기 때문 에), 또는 스텝 103의 판단 N의 직후에 갖고 와서, 도어가 개방 상태일 때만 버저를 울리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는 도 3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는 달리, 조작자가 운전석의 도어를 열기 전에 차내에서 송신기를 조작하여 미리 자동 로크 모드로 설정하고 나서, 운전석 도어를 열어 차 밖으로 나가는 경우를 상정한 실시형태이다.
도 5는 자동 로크 모드 설정 처리 블록(20)의 제 3 실시형태의 플로차트이다. 이 실시형태는 도 4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의 개량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장치에서는, 송신기로부터의 로크 요구가 있었을 경우, 도어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스텝 112에서 자동 로크 모드 준비 플래그 F0을 세워(F0←1) 자동 로크 준비 상태에 들어가고, 그 후, 스텝 114에서 운전석 도어가 열린 것을 확인하면, 스텝 116에서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을 세워 자동 로크 모드에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송신기로부터의 로크 요구 후 도어가 열리지 않으면 자동 로크 모드는 설정되지 않는 구성이다. 또한, 스텝 115는 응답 신호 1을 실행하는 스텝, 스텝 116은 자동 로크 모드를 설정하는 스텝, 스텝 117은 자동 로크 준비 상태 플래그를 해제하여 준비 상태로부터 나오기 위한 스텝이다.
도 6은 자동 로크 모드 설정 처리 블록(10)의 제 4 실시형태의 플로차트이다. 이 실시형태는, 도 3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처리 플로에 있어서, 송신기로부터의 로크 요구가 2초간(임의 지정) 이상 계속되었을 경우에 자동 로크 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6의 플로차트에 있어서, 이그니션 키가 차량에 부착되어 있을 경우 및 로크 요구가 없을 경우, 즉, 통상의 상태에서는, 스텝 120에서 로크 신호 수신중 플래그 F2가 0으로 설정되어, 로크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를 인식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스텝 102에서 처음으로 로크 요구가 검출되면, 로크 신호 수신중 플래그 F2의 상태를 검출하는 스텝 121에서는 F2=0이 검출된다. 따라서, 스텝 121에서는 N이라고 판단되어, 스텝 122에서 타이머 T1이 2초로 세트되고, 스텝 123에서 로크 신호 수신중 플래그 F2가 1로 세트된다. 그 후, 스텝 103에서 전체 도어가 폐쇄 상태라고 판단되면(Y), 스텝 104에서 도어 로크가 실행된다. 스텝 103에서 어느 한쪽의 도어가 개방 상태이면(N), 이후의 처리를 속행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요구는 연속적으로 보내지고 있기 때문에, 다음 스텝 102에서는 Y라고 판단된다. 스텝 121에서는 로크 신호 수신중 플래그 F2의 상태를 검출하나, 이 경우, 이전의 루프에서의 스텝 123에서 이미 플래그 F2가 1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121에서는 예스(Y)라고 판정된다. 따라서, 스텝 124에서 타이머 T1이 2초 경과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2초 경과했으면, 스텝 105에서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을 1로 설정하여 자동 로크 모드에 들어가고, 스텝 106에서 응답 신호 1(도 15 참조)을 실행한다. 물론, 응답 신호 1은 「도어를 닫으면 자동 로크합니다」라는 음성일 수도 있다. 스텝 124에서 2초가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는, 스텝 101로 되돌아가 다시 타이머의 경과를 기다린다. 또한, 스텝 124에서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2초의 경과를 기다린다는 조건일 수도 있다. 이상에 의해, 로크 요구가 2초간(임의 지정) 이상 계속되었을 경우에, 자동 로크 모드가 설정된다.
도 7은 자동 로크 모드 설정 처리 블록(10)의 제 5 실시형태의 플로차트이다. 이 실시형태는, 로크 요구가 2초 이내에 2회 있으면 자동 로크 모드가 설정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하, 플로차트에 따라 이 실시형태의 구성을 설명한다. 송신기로부터의 로크 요구가 없을 경우, 언로크 요구의 유무에 관계없이, 스텝 120에서 로크 신호 수신중 플래그 F2는 0(플래그 해제 상태)으로 되며, 스텝 134에 의해 로크 요구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C의 값도 클리어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 1 회째의 로크 요구가 있으면, 스텝 102에서 로크 요구가 있었다고 판단되고(Y), 스텝 121에서 로크 신호 수신중 플래그 F2의 값이 검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때의 F2 값은 0이기(N) 때문에, 스텝 130에서 타이머 T1이 카운트 중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로크 요구는 최초의 로크 요구이기 때문에, 스텝 130에서는 N이라고 판단되고, 다음 스텝 122에서 타이머 T1이 2초로 세트된다. 또한, 스텝 123에서 로크 신호 수신중 플래그 F2가 1로 세트되고, 스텝 131에서 로크 요구 카운터 C의 값이 1만큼 증분된다. 증분되기 전의 카운터 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 134에서 클리어되어 있기 때문에 0이며, 따라서, 증분의 결과, 그 값은 1로 된다. 다음으로, 스텝 103에서 전체 도어가 폐쇄 상태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전체가 폐쇄 상태일 경우, 신속하게 도어 로크가 실행된다. 스텝 103에서 어느 한쪽의 도어가 열려 있다고 판정되면, 도어 로크 스텝 104를 스킵하여 다음 스텝 132로 이행한다.
스텝 132에서는 다시 타이머 T1이 카운트 중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미 스텝 122에서 타이머 T1이 2초로 설정되어 있어 카운트 중이기 때문에, 다음 스텝 133으로 이행하고, 카운터 C의 값이 판정된다. 스텝 131에서 카운터 C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133은 N이라고 판정되고, 처리를 종료한다. 1회째의 로크 요구 송신 후, 송신기는 송신을 일단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다음 처리 루프에 있어서, 스텝 102에서는 N이라고 판단되고, 스텝 107에서 언로크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경우, 언로크 요구는 없기 때문에 N이라고 판단되어, 스텝 120에서 로크 신호 수신중 플래그 F2가 0으로 설정되고, 스텝 132로 이행한다. 또한, 2초 이내에 로크 요구가 2회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스텝 132에서는 T1이 카운트 중이라고 판정되고, 스텝 133에서 카운터 C의 값이 조사된다. 이 때, 카운터 C의 값은 전회의 로크 요구에 의해 1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133에서는 N이라고 판정되고, 다시 스텝 1O1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2회째의 로크 요구가 있으면, 스텝 102 및 스텝 121을 거쳐 스텝 130에서 타이머 T1이 카운트 중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잇달아 타이머가 카운트를 계속하고 있기 때문에, 스텝 130에서는 Y라고 판단되고, 스텝 123으로 스킵하며, 여기서 로크 신호 수신중 플래그 F2가 1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스텝 131에서 카운터 C의 값이 1만큼 증분되어, 2로 된다. 따라서, 스텝 133에서는 Y라고 판정되고, 스텝 105에서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이 1로 세트되어, 차재 장치는 자동 로크 모드에 들어간다. 그 후, 스텝 106에서 응답 신호 1을 행하여, 조작자에게 자동 로크 모드에 들어갔음을 알린다. 또한, 최초의 로크 요구로부터 2초 경과한 후에 2회째의 로크 요구가 있었을 경우는, 카운터 C가 타이머 T1의 타임 업에 의해 이미 클리어되어 있기(스텝 132-스텝 134) 때문에, 이 로크 요구는 1 회째의 로크 요구로 간주된다. 따라서, 그 후 2초 이내에 새로운 로크 요구가 없을 경우는, 이 2회째의 로크 요구에 의해 자동 로크 모드는 설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텝 133에서 도어가 개방인 것을 조건에 넣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스텝 103의 N 후에, 스텝 130 내지 스텝 131을 행하는 것이 좋다.
도 8은 자동 로크 모드 설정 처리 블록(10)의 제 6 실시형태의 플로차트이다. 이 실시형태는, 도 3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송신기에 시프트 버튼(4)을 설치하고, 시프트 버튼(4)과 로크 버튼(2)을 동시에, 또는 시프트 버튼(4) 후에 로크 버튼(2)을 누른 경우에 자동 로크 모드로 설정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 102 후에, 그 로크 요구가 시프트 버튼과 로크 버튼에 의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 140을 마련하고, 이 스텝에서 Y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스텝 105와 스텝 106으로 구성되는 자동 로크 모드 설정 스텝으로 이행하도록 하고 있다.
도 9는 자동 로크 모드 설정 처리 블록(10)의 제 7 실시형태의 플로차트이다. 이 실시형태는, 도 4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으로서, 자동 로크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언로크 버튼(3)을 누르고 나서 2초 이내에 로크 버튼을 눌렀을 경우에, 자동 로크 모드로 설정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107에서 언로크 요구가 있었을 경우, 스텝 1O8에서 신속하게 도어를 언로크하는 동시에, 타이머 T1을 2초로 세트한다. 타이머 T1이 2초를 카운트하기 전에 로크 요 구가 있으면, 스텝 143에서는 타이머 T1의 카운트 중이라고 판단하기(Y) 때문에, 다음 스텝 110에서 응답 신호 1을 행하여 스텝 111에서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을 세워 이 모드에 들어간다. 언로크 요구가 있은 후, 2초 이상 후에 로크 요구가 있으면, 스텝 143에서 카운터 T1은 카운트를 종료하고 있기 때문에 N이라고 판단되고, 자동 로크 모드 설정을 위한 스텝 110과 스텝 111은 스킵된다. 따라서, 스텝 103에서 모든 도어가 폐쇄 상태이면 도어 로크가 실행되나, 이 로크 요구에 의해 자동 로크 모드는 설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2의 자동 로크 실행 처리 블록(20)의 각종 실시형태에 대해서 그 플로차트를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자동 로크 실행 처리 블록(20)의 제 1 실시형태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스텝 201에서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이 1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Y의 경우, 스텝 202에서 운전석의 도어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천이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Y의 경우, 다음 스텝 203에서 차량의 전체 도어가 폐쇄 상태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 전체 도어가 폐쇄 상태이면, 스텝 204에서 모든 도어의 로크가 실행되고, 스텝 205에서, 예를 들어, 약간 장음의 버저 1회와 같은 응답 신호 2(도 15 참조)를 행하여, 도어가 로크되었음을 조작자에게 통보한다. 다음으로, 스텝 206에서 자동 로크 완료 플래그 F4를 1로 설정하며, 스텝 207에서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을 0으로 한다. 스텝 203에서 어느 한쪽의 도어가 개방 상태이면, 스텝 208에서 알람(도 15 참조)을 울려 사용자에게 경고하고, 도어를 닫도록 주의를 재촉한다. 또한, 이 알람은, 예를 들어, 「도어가 열려 있 습니다」와 같은 음성에 의한 경고일 수도 있다.
도 11은 자동 로크 실행 처리 블록(20)의 제 2 실시형태의 플로차트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로크 모드로 된 시점으로부터 5초 이내에 운전석의 도어가 닫혔을 경우만 자동 로크가 실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5초 이내에 운전석의 도어가 닫히지 않을 경우는, 자동 로크 모드는 종료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먼저, 스텝 210에서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이 0에서 1로 천이한 상태, 즉, 자동 로크 모드가 설정된 순간을 검출한다. 다음으로, 스텝 211에서 타이머 T2를 5초(임의 설정)로 설정한다. 그 후, 스텝 201에서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이 서 있는 것을 확인하고(Y), 스텝 212에서 5초를 카운트하는 타이머 T2가 카운트 업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스텝 212에서 타임 업하고 있지 않을 경우(N), 스텝 202에서 운전석의 도어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천이한 상태를 검출한다. 도어가 개방으로부터 폐쇄 상태로 천이하면(스텝 202의 Y), 스텝 203에서 차량의 전체 도어가 폐쇄 상태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Y의 경우 스텝 204에서 도어 로크가 실행된다. 또한, 스텝 205에서 응답 신호 2가 스텝 206에서 자동 로크 완료 플래그 F4를 세우는 처리가 실행되고, 스텝 207에서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을 0으로 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203에서 차량의 어느 한쪽의 도어가 열려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N), 스텝 208에서 알람을 울려 경고한다. 이 때, 스텝 213에서 타이머 T2를, 예를 들어, 10초로 설정한다. 이 시간은 열려 있는 도어를 찾아내기 위해 약간 길게 취하고 있다. 10초 경과 전에 모든 도어가 닫히면, 도어 로크가 실행된다.
도 12는 자동 로크 실행 처리 블록(20)의 제 3 실시형태의 플로차트이다. 도 11의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로크 모드로 된 시점으로부터 5초 이내에 도어가 닫히면 자동 로크가 실행되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를 닫은 후 차내에 송신기 또는 그 이외의 물건을 두고 내렸음을 알아차린 경우를 생각하여, 도어가 닫히고 나서 자동 로크를 행할 때까지 더 지연을 부여하고, 도어가 닫히고 나서 T2 시간(5초 또는 10초) 후에 로크가 실행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지연 시간 내에 도어가 열리면, 다시 전체 도어가 닫히기를 기다리고 나서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자동 로크 모드로 설정되고 나서 자동 로크가 완료될 때까지 버저 또는 해저드에 의해 자동 로크 모드로 설정되어 있음을 조작자에게 알린다. 또한, 버저 음량이나 해저드 점멸 주기는, 도어가 닫히기 전후에 바꿀 수도 있다.
도 12의 플로차트에 있어서, 지연을 설정하기 위해, 먼저, 스텝 211 후의 스텝 215에서 자동 로크 대기중 플래그 F3이 서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자동 로크 모드로 설정된 최초의 단계에서는 이 플래그 F3은 서 있지 않기 때문에(N, F3=0), 스텝 201을 거쳐 스텝 212로 이행하고, 타이머 T2가 카운트 업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는 5초가 경과하지 않았기 때문에(N), 스텝 216으로 이행하여, 버저의 취명(吹鳴)(음량 소) 또는 해저드의 점멸(장주기)이 실행되고, 조작자에게 자동 로크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통보한다. 다음으로, 스텝 202에서 운전석의 도어가 개방으로부터 폐쇄로 천이한 것을 검출하면(Y), 스텝 203에서 전체 도어가 폐쇄 상태인지의 여부가 판정되어, Y일 경우, 스텝 217에서 타이머 T2를 다시 5초로 설정하고, 스텝 218에서 자동 로크 대기중 플래그 F3을 1로 설정하여, 자동 로크 대기중 상태에 들어가는 동시에, 스텝 207에서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을 0으로 설정한다. 스텝 202 및 스텝 203에서 N일 경우는, 도 1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동작을 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스텝 207이 종료되면 다시 스텝 210에서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의 0으로부터 1로의 천이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텝 210에서 N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에 스텝 215로 스킵하고, 자동 로크 대기중 플래그 F3이 서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미 스텝 218에서 플래그 F3이 1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215에서는 Y라고 판정되고, 스텝 219에서 타이머 T2가 카운트 업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현재의 상태에서는 아직 타이머 T2가 카운트 업하지 않았기(N) 때문에, 스텝 220으로 이행하고, 음량을 크게 하여 버저를 울리거나 주기를 짧게 하여 해저드를 점멸시켜, 조작자에게 자동 로크 대기중임을 경고한다. 이 상태에서 조작자가 잊어버린 물건을 꺼내기 위해 운전석의 도어를 다시 열면, 스텝 221에서 이것이 검출되어(Y), 스텝 222에서 자동 로크 대기중 플래그 F3을 0으로 설정하고, 스텝 223에서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을 1로 설정하며, 스텝 224에서 다시 타이머 T2를 5초로 설정하여 스텝 210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221에서 도어가 열리지 않을 경우(N)는 스텝 210을 거쳐 스텝 219로 되돌아가 다시 타이머 T2가 5초를 카운트 업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 219에서 Y, 즉, 자동 로크 대기중의 상태에서 5초가 경과하면, 스텝 204로 이행하여 도어 로크를 실행하고, 스텝 205에서 응답 신호 2를 행하고, 스텝 225에서 자동 로크 대기중 플래그 F3을 0으로 되돌리며, 스텝 206에서 자동 로크 완료 플래그 F4를 1로 설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 로크 모드로 되고 나서 자동 로크가 완료될 때까지 버저 또는 해저드에 의해 자동 로크 모드중임을 조작자에게 알리나, 도어가 닫히기 전후에 버저의 음량 또는 해저드의 점멸 주기를 바꾸어, 조작자가 현재의 상태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버저는, 예를 들어, 「도어가 열려 있습니다」와 같은 음성에 의한 경고일 수도 있다.
이하, 도 2의 자동 로크 해제 처리 블록(30)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그 플로차트를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자동 로크 해제 처리 블록(30)의 제 1 실시형태의 플로차트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로크 모드로 설정된 후, 자동 로크 취소 조작인 언로크 버튼을 누름으로써, 자동 로크가 실행되기 전에 자동 로크 모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언로크 버튼을 누르는 이외에, 다시 로크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다시 자동 로크 모드로 설정함으로써, 로크 해제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3의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로크 완료 후에 송신기를 차내에 두고 내렸음을 알아차린 경우를 생각하여, 자동 로크 완료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3초)을 해제 유예 기간으로 하고, 이 소정 시간 내에 도어 노브를 끌어당기면 언로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는 도어 폐쇄에서 즉시 로크할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있어서, 먼저, 스텝 301에서 자동 로크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자동 로크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Y), 스텝 302에서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언로크 신호가 송신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송신되어 있을 경우(Y), 스텝 303에서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이 0으로 설정되고, 스텝 304에서 응답 신호 3(도 15 참조)이 실행되어, 조작자에게 자동 로크 모드를 해제함을 통보한다. 또한, 이 응답 신호 3은 비교적 긴 버저일 수도 있고, 또는, 예를 들어, 「자동 로크를 해제했습니다」라는 음성일 수도 있다. 또한, 스텝 302에서의 언로크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시 로크 버튼을 누르는 등과 같이 그 이외의 신호로 대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스텝 305에서 자동 로크 완료 플래그 F4가 0으로부터 1로 천이했는지의 여부, 즉, 자동 로크가 완료된 직후인지가 판단된다. 이 시점에서는, 자동 로크 실행 처리(도 10, 도 11, 도 12 참조)가 완료되었기 때문에, 자동 로크 완료 플래그 F4는 0으로부터 1로 천이하고 있으며, 따라서, 스텝 305에서는 Y라고 판단된다. 이것에 의해 다음 스텝 306에서 타이머 T3이 3초로 설정된다. 스텝 307에서 타이머 T3이 3초 경과했는지의 여부가 감시되고,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는 스텝 308에서 도어 노브가 온으로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도어 노브 온의 경우(Y)는, 스텝 309에서 도어의 언로크가 실행되고, 스텝 310에서 자동 로크 완료 플래그 F4를 0으로 재설정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307에서 타이머 T3의 3초 경과가 확인되면, 도어 노브가 온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즉, 도어 노브가 온일지라도 도어를 언로크하지 않고, 자동 로크 완료 플래그 F4를 0으로 되돌려, 처리를 종료한다.
도 14는 자동 로크 모드 설정 처리 및 자동 로크 실행 처리를 조합시킨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플로차트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1) 로크 요구가 있 었을 경우, 2) 로크 요구 후 도어가 열린 경우, 3) 자동 로크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 도어의 개폐 기구가 자동 로크 모드로 설정되어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도 14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요구 후 도어가 닫힌 시점에서 자동 로크 모드로 되고, 소정 시간 후에 도어 로크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103에서 전체 도어가 폐쇄 상태라고 확인되면, 스텝 104에서 도어를 신속하게 로크한 후, 스텝 140에서 자동 로크 모드 준비 플래그 F0을 세운다(1로 설정한다). 스텝 103에서 어느 한쪽의 도어가 개방 상태라고 판단되면, 도어를 로크하지 않고, 스텝 140 또는 스텝 141에서 자동 로크 모드 준비 플래그 F0을 세운다. 또한, 스텝 102에서 도어 요구가 없고 스텝 107에서 도어의 언로크 요구가 있다고 판단되면, 스텝 142에서 자동 로크 모드 준비 플래그 F0은 0으로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자동 로크 모드 준비 플래그 F0이 1 또는 0으로 설정되면, 스텝 143에서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현재의 시점에서는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은 서 있지 않기 때문에, 스텝 143에서는 N이라고 판단되고, 스텝 144에서 다시 자동 로크 모드 준비 플래그 F0이 서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 1O2에서 도어의 로크 요구가 있으면 자동 로크 모드 준비 플래그 F0은 1이기 때문에, 스텝 144에서는 Y라고 판단되고, 스텝 145에서 도어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 145에서 Y의 경우, 즉, 로크 요구 후에 도어가 닫히면, 스텝 146에서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을 세워, 스텝 147에서 자동 로크 모드 준비 플래그를 해제하고(0으로 설정), 스텝 148에서 타이머 T2를 5초로 설정한다. 이 상태에서 스텝 101로부 터 처리를 반복하면, 스텝 143에서는 금회 Y라고 판단되기 때문에, 스텝 149에서 타이머 T2의 5초간 경과가 판정된다. 스텝 149에서 5초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스텝 150에서 즉시 도어 로크가 실행되고, 스텝 151에서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이 해제되며, 스텝 152에서 자동 로크 완료 플래그 F4가 세워져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 149에서 5초가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스텝 153에서 버저를 취명시키거나 해저드 램프를 점멸시켜 자동 도어 로크 모드에 들어갔음을 조작자에게 알린다. 다음으로, 스텝 154에서 도어가 개방 상태가 아님을 확인하여(N), 다시 스텝 149에서 타이머 T2의 5초간 경과를 판정한다. 5초가 경과하면, 스텝 150 이하를 실행하여, 도어를 자동 로크한다.
스텝 154에서 도어가 열려 있다고 판단되면, 스텝 155에서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을 해제하고, 스텝 156에서 자동 로크 모드 준비 플래그 F0을 세운다. 그 후, 스텝 101로 되돌아가 처리를 속행하나, 자동 로크 모드 플래그 F1이 0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143에서는 N으로 되고, 자동 로크 모드 준비 플래그 F0이 1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144에서는 Y라고 판정되며, 다음 스텝 145에서 도어의 개폐가 판정된다. 또한, 스텝 154에서 일단 열린 도어가 그 상태를 유지하면, 스텝 145에서는 N이라고 판단되고, 그대로 스텝 101로 되돌아가 동일한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스텝 154에서 일단 열린 도어가 그 후 닫히면, 스텝 145에서는 Y라고 판단되고, 스텝 146 및 스텝 147을 거쳐 스텝 148에서 다시 타이머 T2가 5초로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5초 경과 후, 스텝 150 이하를 실행함으로써, 도어 로크가 실행된다. 이상에 의해, 로크 요구가 있은 후 도어가 닫힌 시점에서 자동 로 크 모드가 설정되고, 소정 시간 후(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5초) 도어 로크가 실행된다.
도 15는 상술한 3종류의 응답 신호 및 알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응답 신호 1은 비교적 짧은 버저음으로 구성되고, 이것은 자동 로크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며, 「도어를 닫으면 자동 로크합니다」라는 음성에 의해 대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응답 신호 2는 약간 긴 버저음으로 구성되고, 도어가 로크된 상태를 나타내다. 응답 신호 3은 비교적 긴 버저음으로 구성되고, 자동 로크 모드를 해제했음을 나타내며, 따라서, 「자동 로크를 해제했습니다」라는 음성에 의해서도 대체할 수 있다. 알람은 짧은 버저음으로 구성되고,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를 경고하고, 따라서, 「도어가 열려 있습니다」와 같은 음성에 의해서도 대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응답 신호 1, 2, 3 및 알람은, 해저드 램프 또는 그 이외의 램프수단(LED 등)의 점멸에 의해 대체시킬 수도 있다.
이상의 도 3 내지 도 5의 실시형태에서는 다음의 효과가 있다. 즉, 차내에서 차 밖으로 나가 통상의 송신기에 의한 로크를 행했을 때, 도어 개방 상태임을 알아차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경우, 도어를 다시 닫고 나서 송신기 로크를 다시 행할 필요가 있으나, 이들 실시형태에서는 최초의 송신기 로크를 행함으로써 자동 로크 모드로 되기 때문에, 도어를 다시 닫고 난 후의 송신기 로크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아 번거로움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송신기로부터 로크 신호와 언로크 신호가 각각 별도로 송신되도록 구성했으나, 로크와 언로크를 1개의 버튼으로 하여 송신 신호를 1종류로 하고, 차재 장치 측에서 상기 신 호를 수신했을 때에 도어의 로킹(locking) 상태에 따라 로크 또는 언로크를 판단하는 타입의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각 실시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리스 엔트리 장치에서는, 송신기로부터 로크 요구가 있으며 도어의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의 천이가 있을 경우에 자동 로크가 실행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아직 차내에 있어 도어를 열고 차 밖으로 나가기 이전에 송신기를 조작하여 자동 로크 모드를 설정하여 두거나, 도어를 열었을 때 또는 도어를 열고 차 밖으로 나갔을 때에 송신기를 조작하여 자동 로크 모드를 설정하여 두면, 운전석의 도어를 닫음으로써 도어가 자동적으로 로크된다. 이것은 반대로, 운전석의 도어를 닫지 않으면, 자동 로크 모드로 설정되어 있어도, 도어는 로크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어떠한 작업 중에 조작자의 의도에 반대하여 도어가 로크되는 것, 또는 손이 가득 찬 상태에서 송신기를 조작하여 도어를 로크해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해소되고, 사용하기 편리한 키리스 엔트리 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0)

  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도어의 로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도어의 로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 출력에 의해 제어되는 도어 로크 기구와,
    이그니션 키 실린더에 키가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키 스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 로크 기구는 상기 키 스위치 검출 수단이 상기 키 스위치의 오프(off) 상태를 검출하고, 또한 상기 수신기가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도어의 로크 신호를 수신한 경우, 운전석측의 도어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천이하면 도어의 자동 로크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크 기구에서의 도어의 자동 로크는, 상기 로크 신호의 수신 후 소정 시간 내에 도어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천이한 경우에 실행되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크 기구는, 상기 로크 신호의 수신 후 운전석의 도어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천이했을 때 적어도 1개의 그 이외의 도어가 개방 상태인 것을 검출하여 그 사실을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크 기구는, 상기 로크 신호를 수신하고 도어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천이한 것을 검출한 후, 일정 시간 후에 상기 도어의 자동 로크를 실행하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크 기구는, 상기 로크 신호를 수신하고 운전석 도어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천이한 경우, 그 사실을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크 기구는, 이그니션 키 실린더에 키가 삽입되어 있을 경우, 상기 자동 로크를 실행하지 않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크 기구는, 상기 자동 로크 실행 후 소정 시간 내에 도어 노브 스위치가 온으로 되었을 경우, 상기 로크를 해제하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운전석의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송신기로부터 로크 신호가 송신되었을 경우, 상기 도어 로크 기구는 도어가 일단 열리고, 그 후 닫혔을 경우에 상기 자동 로크를 실행하는 것인 키리스 엔트리 장치.
  9.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도어의 로크 및 자동 로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도어의 로크 신호 및 자동 로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 출력에 의해 제어되는 도어 로크 기구와,
    이그니션 키 실린더에 키가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키 스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 로크 기구는 상기 키 스위치 검출 수단이 상기 키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검출하고, 또한 상기 수신기가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자동 로크 신호를 수신한 경우, 운전석측의 도어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천이하면 도어의 자동 로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크 기구는, 상기 자동 로크 신호의 수신 후 소정 시간 내에 운전석 도어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천이한 경우에, 도어의 자동 로크를 실행하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로크 신호는, 상기 로크 신호를 소정 시간 계속하여 송신한 신호로 구성되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로크 신호는, 상기 로크 신호를 소정 시간 내에 소정 횟수 반복하여 송신한 신호로 구성되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로크 신호는, 소정 시간 내에 차례로 송신되는 로크 신호 및 언로 크 신호의 조합 신호로 구성되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도어의 로크 신호를 송신하는 로크 버튼과, 도어의 언로크 신호를 송신하는 언로크 버튼과, 시프트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자동 로크 신호는 상기 시프트 버튼과 상기 로크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송신되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크 기구는, 상기 자동 로크 신호의 수신 후 운전석의 도어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천이했을 때 적어도 1개의 그 이외의 도어가 개방 상태인 것을 검출하여 그 사실을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크 기구는, 상기 자동 로크 신호를 수신하고 도어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천이한 것을 검출한 후, 일정 시간 후에 상기 도어의 자동 로크를 실행하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크 기구는, 상기 자동 로크 신호를 수신하고 운전석 도어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천이했을 경우, 그 사실을 보고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크 기구는, 이그니션 키 실린더에 키가 삽입되어 있을 경우, 상기 자동 로크를 실행하지 않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크 기구는, 상기 자동 로크 실행 후 소정 시간 내에 도어 노브 스위치가 온으로 되었을 경우, 상기 로크를 해제하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크 기구는, 자동 로크를 실행하기 전에 자동 로크 취소 조작을 검출하면, 자동 로크의 실행을 취소하는 키리스 엔트리 장치.
KR20020030523A 2001-06-06 2002-05-31 키리스 엔트리 장치 KR100682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71462A JP4636735B2 (ja) 2001-06-06 2001-06-06 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
JPJP-P-2001-00171462 2001-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559A KR20020093559A (ko) 2002-12-16
KR100682810B1 true KR100682810B1 (ko) 2007-02-15

Family

ID=1901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30523A KR100682810B1 (ko) 2001-06-06 2002-05-31 키리스 엔트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01437B2 (ko)
JP (1) JP4636735B2 (ko)
KR (1) KR100682810B1 (ko)
CN (1) CN120954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1809B2 (en) * 2004-05-21 2006-04-18 Jens Erik Sorensen Remote control of automobile component arrangements
JP4513542B2 (ja) * 2004-12-17 2010-07-28 株式会社デンソー 音声アンサーバック装置
KR100776106B1 (ko) * 2005-08-01 2007-11-15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 설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7099157A (ja) * 2005-10-06 2007-04-19 Calsonic Kansei Corp 車用シート装置
US7688179B2 (en) * 2005-12-12 2010-03-30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ands-free vehicle door opener
US8427276B2 (en) * 2006-02-24 2013-04-2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nitiating sequence of vehicle functions
JP5100105B2 (ja) * 2006-03-13 2012-12-19 Dt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ドアクローザー付きドア用ディレイ装置、ディレイ装置付きドアクローザー及びディレイ装置を備えたドアクローザー付きドア
JP4941823B2 (ja) * 2007-01-24 2012-05-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10128893B2 (en) 2008-07-09 2018-11-13 Secureal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lanar, multi-function, multi-power sourced, long battery life radio communication appliance
US10447334B2 (en) 2008-07-09 2019-10-15 Secureal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mprehensive security-lockdown
US11469789B2 (en) 2008-07-09 2022-10-11 Secureal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mprehensive security-lockdown
US9642089B2 (en) 2008-07-09 2017-05-02 Secureal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lanar, multi-function, multi-power sourced, long battery life radio communication appliance
JP2010059742A (ja) * 2008-09-05 2010-03-18 Denso Corp 車両ドア制御システム
US8952782B2 (en) * 2010-03-18 2015-02-10 Mark Kilbourne Remotely actuatable locking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doors for accommodating such systems
JP2011214341A (ja) * 2010-04-01 2011-10-27 Mitsubishi Motors Corp 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
JP5653711B2 (ja) * 2010-10-20 2015-01-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ドアロックシステム
US8902040B2 (en) 2011-08-18 2014-12-02 Greisen Enterprises Llc Electronic lock and method
CN102436725A (zh) * 2011-10-11 2012-05-02 王运章 一种车用复合式信号发射器
CN102496257A (zh) * 2011-12-09 2012-06-13 王运章 一种车用多功能遥控装置
JP5449420B2 (ja) * 2012-02-06 2014-03-19 フジ電機工業株式会社 接続切換装置
JP5846024B2 (ja) * 2012-04-11 2016-01-20 株式会社デンソー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US9807172B2 (en) * 2013-10-18 2017-10-3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obile device intermediary for vehicle adaptation
US9203843B2 (en) 2013-11-08 2015-12-01 At&T Mobility Ii Llc Mobile device enabled tiered data exchange via a vehicle
CN103971434B (zh) * 2014-05-21 2016-08-17 华域汽车系统股份有限公司 车辆无钥匙门锁系统
JP2017166167A (ja) * 2016-03-15 2017-09-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EP3643859A4 (en) * 2017-06-23 2021-02-17 Global Mobility Service, Inc. ON-BOARD DEVICE FOR CLOSING / OPENING VEHICLE DOOR LOCK, VEHICLE EQUIPPED WITH ON-BOARD DEVICE, AND SYSTEM FOR CLOSING / OPENING OF VEHICLE DOOR LOCK WITH ON-BOARD DEVICE
US10580236B2 (en) * 2018-02-18 2020-03-03 Ulysse McConnell Key fob
CN112196399B (zh) * 2020-09-30 2023-02-24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厕所门及其控制策略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2137A (ja) * 1995-09-06 1997-03-18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H1193477A (ja) * 1997-09-18 1999-04-06 Toyota Motor Corp 車両用施錠制御装置
KR19990043075A (ko) * 1997-11-28 1999-06-15 김영환 자동 도어 록킹 방법
JP2000064678A (ja) * 1998-08-20 2000-02-29 Fujitsu Ten Ltd ドアのキーレス開閉システム
JP2000352243A (ja) * 1999-06-14 2000-12-19 Naldec Corp 車両のスマート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2002070393A (ja) * 2000-08-31 2002-03-08 Fujitsu Ten Ltd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1769A (ja) * 1985-10-28 1987-05-12 国産金属工業株式会社 車輌の電波錠システム
US4866417A (en) * 1987-04-24 1989-09-12 Specific Cruise Systems, Inc. Automobile intruder alarm system
US5293160A (en) * 1989-11-02 1994-03-08 Nissan Motor Company, Ltd. Keyless vehicle lock system with distance measuring
US5113182B1 (en) * 1990-01-19 1995-11-07 Prince Corp Vehicle door locking system detecting that all doors are closed
JP2901394B2 (ja) * 1991-08-09 1999-06-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遠隔操作装置
JP3192715B2 (ja) 1991-12-04 2001-07-30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ヤレスドアロック制御装置
US5850173A (en) * 1993-10-21 1998-12-15 Audiovox Corp. Vehicle alarm system
AU1669595A (en) * 1994-02-17 1995-09-04 Rover Group Limited Vehicle security system
JP2975536B2 (ja) * 1994-08-01 1999-11-10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ドアロック装置の制御方法
US5568120A (en) * 1994-12-06 1996-10-22 Ford Motor Company Anti-theft system with remote controlled verification of arming
US5973611A (en) * 1995-03-27 1999-10-26 Ut Automotive Dearborn, Inc. Hands-free remote entry system
US6140938A (en) * 1995-04-14 2000-10-31 Flick; Kenneth E. Remote control system suitable for a vehicle and having remote transmitter verification
US5835022A (en) * 1995-08-02 1998-11-10 Nissan Motor Co., Ltd. Keyless entry system
JPH09132114A (ja) * 1995-11-06 1997-05-20 Tokai Rika Co Ltd 車両盗難防止装置
JP3430747B2 (ja) * 1995-11-16 2003-07-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防盗装置
JP3296177B2 (ja) 1996-02-09 2002-06-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キーレスシステムの自動ロック装置
JPH10159419A (ja) * 1996-11-29 1998-06-16 Aisin Seiki Co Ltd オートドアロック制御装置
JPH10196181A (ja) 1997-01-09 1998-07-28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自動ロック機能付き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及び自動ロックモード切換方法
JPH10292702A (ja) * 1997-04-21 1998-11-04 Aisin Seiki Co Ltd ドア近接通信装置およびドアロック制御装置
DE19833451C1 (de) * 1998-07-24 1999-08-19 Siemens Ag Diebstahlschut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4649703B2 (ja) * 1999-08-27 2011-03-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動体自動施錠装置
EP1143090B1 (en) * 2000-04-03 2005-03-16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Vehicular electronic key system
JP2003097113A (ja) * 2001-09-21 2003-04-03 Fujitsu Ten Ltd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2137A (ja) * 1995-09-06 1997-03-18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H1193477A (ja) * 1997-09-18 1999-04-06 Toyota Motor Corp 車両用施錠制御装置
KR19990043075A (ko) * 1997-11-28 1999-06-15 김영환 자동 도어 록킹 방법
JP2000064678A (ja) * 1998-08-20 2000-02-29 Fujitsu Ten Ltd ドアのキーレス開閉システム
JP2000352243A (ja) * 1999-06-14 2000-12-19 Naldec Corp 車両のスマート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2002070393A (ja) * 2000-08-31 2002-03-08 Fujitsu Ten Ltd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64222A (ja) 2002-12-18
JP4636735B2 (ja) 2011-02-23
US20020190842A1 (en) 2002-12-19
US7301437B2 (en) 2007-11-27
CN1389637A (zh) 2003-01-08
CN1209542C (zh) 2005-07-06
KR20020093559A (ko) 200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810B1 (ko) 키리스 엔트리 장치
JP2003097113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4561612B2 (ja) 車両ドア制御システム
US20070120644A1 (en) Smart entry system and warning method thereof
US6703919B2 (en) Method of confirming remote keyless entry lock button status
US20050151630A1 (en) Automotive antitheft system
JP494182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07023620A (ja) 車両スライドドア制御装置
JP5344115B2 (ja) ドアロック制御方法、ドアロック制御装置、ドアロック制御装置の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制御プログラム
US6628196B1 (en) Vehicle control system with piggyback controller and associated methods
JP2004211539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4051917B2 (ja) 車両用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
JP2644276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US7649443B2 (en) Antitheft apparatus
JPH0515873B2 (ko)
JP3296177B2 (ja) 車両用キーレスシステムの自動ロック装置
JP2613817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S6337742B2 (ko)
JP4022426B2 (ja) 車両用ワイヤレスドアロック装置
JP4451866B2 (ja) 車両盗難防止機能の制御装置
JP2008255665A (ja) 車両のスマートエントリーシステム
JP3141797B2 (ja) 自動ロック機能付き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及び自動ロックモード切換方法
JPH0771338B2 (ja) 受信装置
JPH0340677Y2 (ko)
JPS633774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729

Effective date: 200610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