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104B1 - 취성재료의 스크라이브 방법, 스크라이브 헤드 및스크라이브 장치 - Google Patents

취성재료의 스크라이브 방법, 스크라이브 헤드 및스크라이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104B1
KR100665104B1 KR1020010014794A KR20010014794A KR100665104B1 KR 100665104 B1 KR100665104 B1 KR 100665104B1 KR 1020010014794 A KR1020010014794 A KR 1020010014794A KR 20010014794 A KR20010014794 A KR 20010014794A KR 100665104 B1 KR100665104 B1 KR 100665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ibe
chip holder
scribing
chip
scrib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5157A (ko
Inventor
마에카와가즈야
치요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5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 C03B33/105Details of cutting or scoring means, e.g. tips
    • C03B33/107Wheel design, e.g. materials, construction,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7Scoring tool holders; Driving mechanism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7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26D3/085On sheet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크로스 스크라이브를 할 때에 칩홀더의 좌우의 회전범위를 제어함으로써 교차점 건너뛰기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또한 스크라이브 시작단에서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되지 않는 일이 없는 스크라이브 방법, 스크라이브 헤드 및 스크라이브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스크라이브를 하는 중에 칩홀더를 그 좌우의 회전범위가 0°보다 크고 2° 이하의 범위로 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취성재료의 스크라이브 방법, 스크라이브 헤드 및 스크라이브 장치{A SCRIBING HEAD, A SCRIBING METHOD FOR BRITTLE MATERIALS AND A SCRIBING APPARATUS THEREFOR}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스크라이브 방법, 스크라이브 헤드 및 스크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 칩홀더 및 커터휠칩의 위치관계, 칩홀더의 좌우의 회전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스크라이브 헤드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칩홀더의 좌우의 회전범위를 측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칩홀더의 좌우의 회전범위를 측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스크라이브 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6은, 칩홀더의 좌우의 회전범위와 교차점 건너뛰기의 발생율의 상 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7은, 칩홀더의 좌우의 회전범위와 교차점 건너뛰기의 발생율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8은, 칩홀더의 좌우의 회전범위와 교차점 건너뛰기의 발생율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9는, 칩홀더의 좌우의 회전범위와 교차점 건너뛰기의 발생율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0, 칩홀더의 좌우의 회전범위와 교차점 건너뛰기의 발생율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1은, 칩홀더의 좌우의 회전범위와 교차점 건너뛰기의 발생율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2는, 종래의 스크라이브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13은, 교차점 건너뛰기의 현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스크라이브 헤드 2 :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
4 : 칩홀더 5 : 커터휠칩
7 : 회전축 A : 좌우의 회전범위
20 : 테이블 G : 유리판(취성재료)
본 발명은, 판유리 등의 취성재료(脆性材料)의 표면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교차하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데 적합한 스크라이브 방법, 스크라이브 헤드 및 스크라이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부품 재료로서 사용되는 4각형 글래스는, 1장의 큰 유리판을 모재(母材)로 하여 이것을 작게 절단함으로써 얻고 있다. 절단에 있어서는, 우선, 모재 표면에 대하여 커터휠칩을 한 방향으로 주행시키는 작업을 주행시작 위치를 순차적으로 바꾸어 가면서 소정의 회수 반복하여 평행한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나서, 이번에는 커터휠칩의 주행방향을 그 때까지의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바꾸어서 서로 교차하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한다고 하는 크로스 스크라이브(CROSS SCRIBE) 작업을 한다. 다음에 이렇게 하여 크로스 스크라이브된 모재를 브레이크 머신에 보내어, 거기서 모재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모재를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절단되고, 이에 따라 목적으로 하는 4각형 글래스를 얻는다.
상기한 스크라이브 작업에 사용되는 스크라이브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좌우방향을 X방향, 지면(紙面)과 직교하는 방향을 Y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 스크라이브 장치는, 재치된 유리판G을 진공 흡착수단에 의해서 고정하고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테이블20과, 이 테이블20을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평행한 한 쌍의 안내레일21, 21과, 이 안내레일21, 21을 따라 테이블20을 이동시키는 볼나사(ball screw)22와, X방향을 따라 테이블20의 상방에 가설된 가이드바23와, 이 가이드바23에 X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스크라이브 헤드1와, 이 스크라이브 헤드1를 슬라이딩시키는 모터24와, 스크라이브 헤드1의 하부에 승강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칩홀더4와, 이 칩홀더4의 하단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커터휠칩5과, 가이드바23의 상방에 설치되어 테이블20상의 유리판G에 표시되어 있는 얼라인먼트 마크(alignment mark)를 인식하는 한 쌍의 CCD 카메라25를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스크라이브 장치에 있어서는,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에 유리판G 면과 수직인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하도록 칩홀더4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칩홀더4에 회전축의 축심에서 주행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커터휠칩5을 설치함으로써 스크라이브 헤드 주행중에 커터휠칩5가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를 따라가게 하고, 이에 의해서 커터휠칩5의 직진 안정성을 얻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스크라이브 장치에 있어서는, 유리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한 방향으로만 형성할 때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크로스 스크라이브를 하는 경우에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형성된 스크라이브 라인L1∼L3을 커터휠칩5이 통과하는 부근에서, 형성되어야 할 스크라이브 라인L4∼L6이 형성되지 않는다고 하는 소위 「교차점 건너뛰기(cross jump)」라고 불리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었다. 이러한 교차점 건너뛰기가 유리판에 발생하면, 전술한 브레이크 머신으로 유리판을 절단하고자 할 때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서 유리판이 절단되지 않고, 그 결과 불량품이 대량으로 발생하여 생산효율이 지극히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교차점 건너뛰기의 원인을 밝혀내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우선 커터휠칩이 먼저의 즉 이미 생성되어 있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통과할 때에 칩홀더가 미묘하게 흔들리는 것을 발견했다. 거기서 또한 이러한 칩홀더의 진동이 발생하는 원인을 추적한 결과, 먼저 형성된 스크라이브 라인을 사이에 두고 양측의 글래스 표면 부근에 잠재(潛在)하는 내부 응력(應力)이 원인인 것을 알았다. 즉, 커터휠칩이 기존의 스크라이브 라인을 통과할 때에, 스크라이브 헤드에 대하여 유리판 면방향으로 가해지고 있는 스크라이브에 필요한 힘이 그 스크라이 브 라인의 양측에 잠재하는 내부 응력에 의해 잠식되는 결과, 교차점 건너뛰기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알았다.
스크라이브 시작시에, 커터휠칩이 유리판 단면(端面)에 올라타는 순간에 칩홀더가 흔들려 버려 단면에 있어서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되지 않는 원인이 되는 것도 알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창안된 것으로서, 크로스 스크라이브를 할 때에 칩홀더의 좌우의 회전범위를 제어함으로써 교차점 건너뛰기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또한 스크라이브 시작단에서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되지 않는 일이 없는 스크라이브 방법, 스크라이브 헤드 및 스크라이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스크라이브 방법은, 칩홀더가 취성재료 면과 수직인 회전축을 통하여 그 회전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하도록 취성재료상을 주행하는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에 설치됨과 동시에, 커터휠칩이 상기 회전축의 축심에서 상기 주행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변위(變位)한 위치에서 상기 칩홀더에 설치되는 스크라이브 헤드를 사용하여, 취성재료의 표면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서로 교차(交叉)시켜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스크라이브를 하는 중에 상기 칩홀더를, 그 좌우의 회전범위가 0°보다 크고 2° 이하의 범위로 되도록 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스크라이브 헤드는, 칩홀더가 취성재료 면과 수직인 회전축을 통하여 그 회전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하도록 취성재료상을 주행하는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에 설치됨과 동시에, 커터휠칩이 상기 회전축의 축심에서 상기 주행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변위한 위치에서 상기 칩홀더에 설치되는 스크라이브 헤드에 있어서, 스크라이브를 하는 중에 상기 칩홀더를, 그 좌우의 회전범위가 0°보다 크고 2° 이하의 범위로 되도록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이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스크라이브 장치는, 취성재료를 재치하는 테이블과, 이 테이블의 상방에 배치되는 스크라이브 헤드와, 이 스크라이브 헤드에 의해 상기 테이블상의 취성재료에 서로 교차하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시키는 크로스 스크라이브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라이브 헤드는, 칩홀더가 취성재료 면과 수직인 회전축을 통하여 그 회전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하도록 취성재료상을 주행하는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에 설치됨과 동시에, 커터휠칩이 상기 회전축의 축심에서 상기 주행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변위한 위치에서 상기 칩홀더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스크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스크라이브를 하는 중에 상기 칩홀더를, 그 좌우의 회전범위가 0°보다 크고 2° 이하의 범위로 되도록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스크라이브 방법, 스크라이브 헤드 및 스크라이브 장치, 상기한 것과 같은 특징을 구비함으로써, 커터휠칩의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칩홀더의 좌우의 회전동작을 확보하면서 단부(端部)의 스크라이브 시작위치 부근 및 교차점 부근에 잠재하는 내부 응력의 영향을 극도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칩홀더의 좌우의 회전범위를 상기한 바와 같이 0°보다 크고 2° 이하의 범위로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Q1로부터 Q2까지의 거리, 즉 변위량a를 2.5㎜로 하고, 좌우의 회전범위를 약 1°로 했을 때에 최대의 효과를 얻는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스크라이브 방법은, 스크라이브 헤드 및 스크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실시되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스크라이브 헤드와 스크라이브 장치에 관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스크라이브 방법의 실시예의 설명을 대신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스크라이브 방법, 스크라이브 헤드 및 스크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 칩홀더 및 커터휠칩의 위치관계, 칩홀더의 좌우의 회전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스크라이브 헤드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 이다.
스크라이브 헤드1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2와, 베어링 케이스3와, 칩홀더4와, 커터휠칩5과, 가압수단6을 구비하고 있다.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2는 그 하부가 개구(開口)되어 있고, 이 홈부8내에 베어링 케이스3가 수용되어 있다. 베어링 케이스3는, 그 일단부가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2에 삽입된 수평인 지축9에 베어링10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는 한편, 타단부가,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2내에 지축9과 평행하게 설치된 저지축11과 접속되고 있어, 저지축11에 의해서 저지되는 범위내에서 지축9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칩홀더4는, 취성재료 면과 수직인 회전축7을 통하여 회전축7의 축심Q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베어링 케이스3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7과 베어링 케이스3의 사이에는 베어링12이 중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7의 상방에는 가압수단6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가압수단6에 의한 가압력이 회전축7 및 칩홀더4를 통하여 커터휠칩5에 가하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터휠칩5은,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7의 축심Q1에서 스크라이브 헤드의 주행방향과는 역방향(도1에 있어서 왼쪽방향)으로 변위(變位)한 위치 Q2에서 칩홀더4에 설치되어 있다.
통상, Q1에서 Q2까지의 거리, 즉 변위량a는 0.5 mm 이상 10㎜ 이 하로 설정된다.
여기에서, 칩홀더4는 스크라이브를 하는 중에 그 좌우의 회전범위A가 0° 이상, 2° 이하로 제어되지만, 그 제어수단으로서는 도2에 나타내는 예의 경우에 베어링 케이스3의 밑면에 형성한 홈13을 이용한다. 즉, 칩홀더4를 그 상단부가 베어링 케이스3의 홈13내에 수용되도록 부착하여, 칩홀더4가 좌우의 회전범위의 최대치까지 회전했을 때에 칩홀더4의 상단부에서의 네 구석의 각(角)중에서 대각(對角)에 위치하는 어느 한 조의 각41, 44(42, 43)이 홈13의 양 내벽면131, 132과 닿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홈13의 양 내벽면131,132과 칩홀더4의 상단부에서의 양 측면45,46 사이의 클리어런스(간극)를 조정함으로써 칩홀더4의 좌우의 회전범위A가 상기 소정의 범위로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클리어런스를 크게 잡으면 좌우의 회전범위A를 크게 할 수 있고, 반대로 클리어런스를 작게 잡으면 좌우의 회전범위를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칩홀더4의 좌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는, 상기한 예 이외에 커터휠칩5에 대한 칼끝 하중의 증감(增減)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칼끝 하중을 증가시키면 칩홀더4의 좌우의 회전동작이 억제되는 것을 이용하여, 칼끝 하중을 감소시킴으로써 좌우의 회전범위A를 크게 하고, 반대로 증가시킴으로써 좌우의 회전범위A를 작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칩홀더4의 좌우의 회전범위A를 조정한다.
우선, 칩홀더4의 좌우의 회전범위A는, 취성재료의 재질, 두께 및 커 터휠칩5의 종류의 각 인자(因子)에 의해서 좌우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각 데이터를 스크라이브 장치의 제어부의 메모리(도시 생략)에 기억시켜 놓는다.
이어서, 스크라이브를 하는 취성재료의 재질, 두께, 및 사용하는 커터휠칩5의 종류를, 스크라이브 장치의 조작부(도시 생략)을 조작하여 선택한다. 이것을 받은 스크라이브 장치의 제어부는 커터휠칩5에 대한 칼끝 하중의 값을 결정하고, 이 값이 일단 설정된다.
계속해서, 이 설정치를 갖고 시험적인 스크라이브를 실시한다. 이 때에 칩홀더4의 좌우의 회전범위A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이 상기한 0° 이상이고 2° 이하의 범위내로서 스크라이브를 하는 취성재료에 적합한 값이 되도록, 칼끝 하중을 조정한다.
여기에서, 칩홀더4의 좌우의 회전범위A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3 또는 도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도3에 나타내는 방법은, 투과형의 레이저 변위센서를 이용하는 것이다. 레이저 변위센서는, 그 발광측14과 수광측15이,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2의 밑면에 칩홀더4를 그 사이에 두도록 스크라이브 헤드1의 주행방향을 따라 마주보게 설치된다. 발광측14으로부터는 복수의 평행한 레이저광L이 발사되고, 수광측15에서는 칩홀더4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은 레이저광L이 수광된다. 여기에서, 도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칩홀더4가 스크라이브 헤드1의 주행방향과 완전히 일치하고 있을 때에는, 발광측14으로부터 발사 된 레이저광L 중에서 칩홀더4의 양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레이저광L이 전부 수광측15에 도달한다. 칩홀더4가 좌우로 회전하면, 그때까지 칩홀더4의 양측을 통과하고 있었던 레이저광L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각각 칩홀더4에 의하여 차단되어 수광측15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이 차단된 레이저광L의 광량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칩홀더4가 어느 정도 좌우로 회전하고 있느냐, 즉 칩홀더4의 좌우의 회전범위A를 측정할 수 있다.
도4에 나타내는 방법은, 물체의 이격거리를 검출하는 변위센서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변위센서는,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2의 밑면에서 칩홀더4의 네 구석의 모서리중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41의 옆쪽에 칩홀더4에 근접시켜 설치된다. 칩홀더4가 좌우로 회전하면 그에 따라서 그 모서리41와 변위센서16와의 거리가 변하기 때문에 그 변동량을 알게 됨으로써 칩홀더4가 어느 정도 좌우로 회전하고 있느냐를 측정할 수 있다.
전술한 칼끝 하중을 사용하여 시험 스크라이브를 실시하면서, 전술한 측정방법으로 칩홀더4의 좌우의 회전범위A를 측정한 결과, 측정값이 스크라이브를 하는 취성재료에 적합한 값에서 벗어나 있으면 칼끝 하중을 단계적으로 조금씩 증감한다.
여기에서, 칼끝 하중을 아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시하지 않은, 예를 들면 가압수단6으로 에어 실린더를 사용하고, 이 에어 실린더에 전공 레귤레이터(電空 regulator; electro-pneumatic)로 압력공기를 공급하도록 해 주면, 예를 들면 0 MPa∼4.903325×10-1MPa를 256 분할하는 미세한 압력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칩홀더4의 좌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는, 좌우의 회전범위를 0°보다 크고 2°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라면 여러 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2개의 수단, 즉 베어링 케이스3의 홈13을 이용하는 수단과 커터휠칩5에 대한 칼끝 하중의 증감을 이용하는 수단을 조합시키더라도 좋다. 이 경우는, 더 적합한 스크라이브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칩홀더4의 좌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회전축7의 적당한 곳에 예를 들면 돌기를 설치하는 한편, 이것과 닿아 그 회전을 저지하는 저지홈을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2의 적당한 곳에 설치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스크라이브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스크라이브 장치는, 도12에 나타낸 종래의 스크라이브 장치와는 스크라이브 헤드가 다를 뿐이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스크라이브 장치의 스크라이브 헤드1도, 전술한 스크라이브 헤드1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스크라이브의 동작에 관하여만 설명하는 것으로 그친다.
우선, 테이블20에 세트된 유리판G의 위치가 정위치에서 어긋나 있느 냐 아니냐가, 상방의 CCD 카메라25, 25에 의해 유리판G상의 얼라인먼트 마크를 인식함으로써 판정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유리판이 정위치로부터 테이블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θ° 어긋나 있는 것이 검출되면, 테이블20이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θ° 회전된다. 또한 유리판G이 예를 들면 Y방향으로 거리a만큼 어긋나 있는 것이 검출되면, 테이블20이 Y방향으로 거리 -a만 이동된다.
다음에 모터24가 기동되어 스크라이브 헤드1가 가이드바23을 따라 스크라이브 시작위치로 이동된다.
스크라이브 헤드1가 스크라이브 시작위치로 이동되었으면, 커터휠칩5이 글래스면에 도달할 때까지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2가 하강된다.
다음에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2내의 가압수단에 의해 커터휠칩5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상태로 모터24에 의해 스크라이브 헤드1가 가이드바23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X방향의 스크라이브 라인이 유리판G 면에 형성된다. 이 동작은, 목표로 하는 스크라이브 라인의 개수만큼 되풀이된다.
이렇게 하여 X방향의 모든 스크라이브가 완료했으면, 테이블20이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90° 회전되고, 상기한 바와 같은 스크라이브 동작이 이루어져 Y방향의 스크라이브 라인이 소정의 개수 형성된다. 이에 따라 크로스 스크라이브가 완료한다. 이것은 크로스 스크라이브 수단의 한 예이다.
도6내지 도11은, 다음에 설명하는 누프(Knoop) 경도(硬度) 및 두께가 다른 6종류의 유리판에 대하여 직경이 다른 칩을 수 종류 사용하여, 스크라이브 헤드의 주행속도 및 글래스면의 파인 양의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하고(주행속도 300mm/sec, 파인 양 0.15mm), 칩홀더의 좌우의 회전범위를 4°에서 0°의 범위로 1°씩 변화시켜, 교차점 건너뛰기의 발생율(이하, 교차점 건너뛰기 비율이라고 한다)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그래프는, 세로축에 교차점 건너뛰기 비율을 나타내고, 가로축에 좌우의 회전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누프(Knoop)경도라 함은, 제1의 대능각(對稜角)이 172°30'이고, 제2의 대능각이 130°인 단면이 마름모꼴인 다이아몬드 사각 추압자(錐壓子)를 사용하여, 시험면(試驗面)에 홈을 낼 때의 하중을, 영구(永久) 홈의 긴 쪽의 대각선 길이로 구한 투영면적(投影面積)으로 나눈 몫을 말한다. 식으로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Hk = 14.229·F/d2
여기에서, Hk는 누프(Knoop) 경도, F는 하중(kgf), d는 홈의 긴 쪽의 대각선의 길이(㎜)이다.
상기의 각 그래프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칩홀더의 좌우의 회전범위를 0°보다 크게 하고 2° 이하로 했을 때에 교차점 건너뛰기 비율이 이 범위 밖의 경우와 비교하여 낮게 되고, 1°일 때에 최선의 결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크로스 스크라이브를 할 때에 칩홀더의 좌우의 회전범위를 제어함으로써 교차점 건너뛰기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또한 스크라이브 시작단에서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되지 않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크로스 스크라이브 후에 있어서의 절단공정에서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유리판을 절단할 수 있어, 불량품의 발생을 없애어 생산효율을 종래와 비교하여 월등하게 향상시킨다라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3)

  1. 칩홀더가 취성재료 면과 수직인 회전축을 통하여 그 회전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하도록 취성재료상을 주행하는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에 설치됨과 동시에, 커터휠칩이 상기 회전축의 축심에서 상기 주행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변위(變位)한 위치에서 상기 칩홀더에 설치되는 스크라이브 헤드를 사용하여, 취성재료의 표면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서로 교차(交叉)시켜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스크라이브를 하는 중에 상기 칩홀더를, 그 좌우의 회전범위가 0°보다 크고 2° 이하의 범위로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 재료의 스크라이브 방법.
  2. 칩홀더가 취성재료 면과 수직인 회전축을 통하여 그 회전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하도록 취성재료상을 주행하는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에 설치됨과 동시에, 커터휠칩이 상기 회전축의 축심에서 상기 주행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변위한 위치에서 상기 칩홀더에 설치되는 스크라이브 헤드에 있어서,
    스크라이브를 하는 중에 상기 칩홀더를, 그 좌우의 회전범위가 0°보다 크고 2° 이하의 범위로 되도록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이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헤드.
  3. 취성재료를 재치하는 테이블과,
    이 테이블의 상방에 배치되는 스크라이브 헤드와,
    이 스크라이브 헤드에 의해 상기 테이블상의 취성재료에 서로 교차하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시키는 크로스 스크라이브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라이브 헤드는, 칩홀더가 취성재료 면과 수직인 회전축을 통하여 그 회전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하도록 취성재료상을 주행하는 스크라이브 헤드 본체에 설치됨과 동시에, 커터휠칩이 상기 회전축의 축심에서 상기 주행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변위한 위치에서 상기 칩홀더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스크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스크라이브를 하는 중에 상기 칩홀더를, 그 좌우의 회전범위가 0°보다 크고 2° 이하의 범위로 되도록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KR1020010014794A 2000-05-16 2001-03-22 취성재료의 스크라이브 방법, 스크라이브 헤드 및스크라이브 장치 KR100665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42969A JP4249373B2 (ja) 2000-05-16 2000-05-16 脆性材料のクロススクライブ方法
JP2000-142969 2000-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157A KR20010105157A (ko) 2001-11-28
KR100665104B1 true KR100665104B1 (ko) 2007-01-04

Family

ID=18649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794A KR100665104B1 (ko) 2000-05-16 2001-03-22 취성재료의 스크라이브 방법, 스크라이브 헤드 및스크라이브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49373B2 (ko)
KR (1) KR100665104B1 (ko)
TW (1) TW4994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9316B2 (ja) * 2000-07-03 2010-07-21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マルチスクライブヘッドによるスクライブ法およびスクライバー
JP4118804B2 (ja) * 2001-07-18 2008-07-16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スクライブヘッド及びそのスクライブヘッドを用いたスクライブ装置ならびに脆性材料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
AU2003281461A1 (en) * 2002-07-18 2004-02-09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Method of scribing on brittle matetrial, scribe head, and scribing apparatus with the scribe head
TWI286232B (en) * 2002-10-29 2007-09-01 Mitsuboshi Diamond Ind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cribing fragile material substrate
WO2004067243A1 (ja) * 2003-01-29 2004-08-12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基板分断装置および基板分断方法
KR100672838B1 (ko) * 2006-03-08 2007-01-22 김종성 스크라이브 장치용 스크라이브 헤드
TW200906746A (en) * 2007-08-10 2009-02-16 Mitsuboshi Diamond Ind Co Ltd Scribing head, scribing device, and scribing method
JP5239547B2 (ja) * 2008-06-23 2013-07-17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チップホルダ、ホルダユニット、スクライブヘッド及びスクライブ装置
JP5399768B2 (ja) 2009-05-01 2014-01-29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スクライブヘッド及び該スクライブヘッドを用いたスクライブ装置
KR101085861B1 (ko) 2011-05-13 2011-11-22 한재승 편심보상용 스크라이버 장치
JP5783873B2 (ja) * 2011-10-04 2015-09-24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
JP5826652B2 (ja) * 2012-01-31 2015-12-02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ホルダユニット及びスクライブ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4533A (ja) * 1981-10-28 1983-05-06 Hitachi Ltd スクライブ装置
JPS61120728U (ko) * 1985-01-17 1986-07-30
JP2000119030A (ja) * 1998-10-13 2000-04-25 Mitsuboshi Diamond Kogyo Kk ガラススクライバ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4533A (ja) * 1981-10-28 1983-05-06 Hitachi Ltd スクライブ装置
JPS61120728U (ko) * 1985-01-17 1986-07-30
JP2000119030A (ja) * 1998-10-13 2000-04-25 Mitsuboshi Diamond Kogyo Kk ガラススクライ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328833A (ja) 2001-11-27
KR20010105157A (ko) 2001-11-28
TW499402B (en) 2002-08-21
JP4249373B2 (ja) 200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104B1 (ko) 취성재료의 스크라이브 방법, 스크라이브 헤드 및스크라이브 장치
JP4118804B2 (ja) スクライブヘッド及びそのスクライブヘッドを用いたスクライブ装置ならびに脆性材料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
US7994451B2 (en) Laser beam processing machine
US7338345B2 (en) Cutting machine
CN101068666B (zh) 脆性材料基板的划线方法和划线装置以及脆性材料基板的切断系统
JP5328049B2 (ja) 基板分断装置および基板分断方法
US8040520B2 (en) Device for detecting the edges of a workpiece, and a laser beam processing machine
US7459655B2 (en) Laser beam processing machine
US7521337B2 (en) Wafer laser processing method
US20050224475A1 (en) Laser beam processing machine
KR100681828B1 (ko) 멀티 절단 시스템
JP5216017B2 (ja) 脆性材料基板の分断方法
CN103030263B (zh) 母基板的分断方法
CN102110587B (zh) 切削刀片的消耗量管理方法
US8513566B2 (en) Laser beam processing machine
US8536486B2 (en) Method of dividing workpiece using laser beam
JP6744626B2 (ja) スクライブ方法並びにスクライブ装置
JP4205664B2 (ja) 脆性材料のスクライブ方法及びスクライブヘッド並びにこのスクライブヘッドを備えたスクライブ装置
KR101186279B1 (ko) 레이저 가공 시스템 및 그 가공방법
JP5301919B2 (ja) 硬質脆性板の面取装置
JP2009123875A (ja) レーザーダイシング方法
JP2020050570A (ja) スクライブ方法
JP4484303B2 (ja) スクライブヘッド
JP2003221252A (ja) マザーガラス基板の切断用溝形成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010452A (ja) 硬質脆性板の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