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878B1 - 한방간장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간장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878B1
KR100647878B1 KR1020050042601A KR20050042601A KR100647878B1 KR 100647878 B1 KR100647878 B1 KR 100647878B1 KR 1020050042601 A KR1020050042601 A KR 1020050042601A KR 20050042601 A KR20050042601 A KR 20050042601A KR 100647878 B1 KR100647878 B1 KR 100647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oy sauce
herbal
natural seasoni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복
Original Assignee
이수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복 filed Critical 이수복
Priority to KR1020050042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8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70Germinated pulse products, e.g. from soy bean spr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easoning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의 이로운 성분을 추출하여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는 한방간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방간장은 녹용, 홍삼, 상황버섯 및 동충하초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 25∼40중량%; 멸치, 다시마, 청국장 및 건포도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제조된 천연조미료 추출액 25∼40중량%; 및 통상의 간장 25∼40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상황버섯과 홍삼, 다시마, 청국장, 된장 등이 포함되어 암 억제력을 높이고, 활력 증강, 간기능 향상 및 소화기능을 돕는 효과가 있다.
간장, 한방, 약재, 상황버섯, 동충하초, 녹용, 홍삼, 헛개나무, 벌나무

Description

한방간장 및 그 제조방법{HERB SOY SAUC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한방간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녹용, 홍삼, 상황버섯, 동충하초 등의 한약재의 이로운 성분을 추출하여 암억제력이 있고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는 한방간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장은 음식의 간을 맞추는데 쓰는 짠맛이 나는 액체 조미료로 음식의 맛을 내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간장은 25% 정도의 염분을 함유하므로 건강을 위하여는 많은 양의 간장 섭취는 좋지 않은 데 우리나라 음식 특성상 간장은 다량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단지 간을 맞추기 위한 간장이 아닌 간을 맞춤은 물론 몸에 이로운 기능을 갖는 기능성 간장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음식 제조시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간장을 섭취함과 동시에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는 간장에 대한 연구를 거듭하던 중 한약재를 이용, 한약재의 이로운 성분을 추출하여 간강 증진에 도움이 되는 한방간장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녹용, 홍삼, 상황버섯 및 동충하초 등의 한약재를 이용하여 암억제력 등의 효력이 있고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는 한방간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는 한방간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방간장은 한약재를 우려내어 제공되는 한약재 추출액과 천연물을 우려내어 제공되는 천연조미료 추출액 및 통상의 간장을 혼합하여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의 한방간장은 녹용, 홍삼, 상황버섯 및 동충하초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 25∼40중량%; 멸치, 다시마, 청국장 및 건포도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제조된 천연조미료 추출액 25∼40중량%; 및 통상의 간장 25∼40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한약재를 하기에서 설명한다.
녹용은 보정강장약(補精强壯藥)으로 한방약재로 많이 쓰이는 것으로, 원기를 도우며 빈혈 및 허약증 치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하여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 효과가 있다. 또한 조혈작용과 혈당치를 저하시켜주고, 항염 및 항종양작용,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보호하고 부드럽게하는 작용이 있다. 홍삼의 중요한 효과는 어댑토겐(adaptogen; 適應素) 효과로서 주 위 환경으로부터 오는 각종 유해작용인 누병(淚病), 각종 스트레스 등에 대해 방어능력을 증가시켜 생체가 보다 쉽게 적응하도록 하는 능력이 있음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상황버섯은 적은 양으로도 큰 기대를 얻을 수 있는 약용버섯으로 칼륨, 칼슘, 마그네슘, 비타민 B2, B3, C, 섬유질 및 아미노산 등의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으며 인체 내 면역기능을 강화하는데 탁원한 베타글루칸이라는 다당체가 함유되어 있다. 특히 항암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져져 있는데, 초기암의 증식을 막는 효과가 뛰어나고 암 수술후 재발 방지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동충하초는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며 면역증강 작용과 스트레스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한방간장은 상기한 한약재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한약재의 유효 성분을 우려내고 그 추출한 액을 이용함으로써 항암 효과, 피로회복, 면역증강 등에 도움이 되는 한방간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방간장에서 사용되는 한약재 재료는 그 혼합량이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한방간장에 있어서 사용되는 한약재는 녹용 10∼30중량%, 홍삼 20∼40중량%, 상황버섯 20∼40중량% 및 동충하초 20∼4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간장에 있어서 사용되는 천연조미료는 멸치 10∼30중량%, 다시마 30∼50중량%, 청국장 10∼30중량% 및 건포도 10∼3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약재 성분들이 상기한 범위에서 사용될 때 본 발명의 한방간장 효용성이 극대화되고, 상기 천연조미료들이 상기한 범위에서 사용될 때 간장의 맛을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방간장에서, 간기능 보호를 위하여 헛개열매, 헛개나무 및 벌나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헛개나무(지구자나무)는 <본초강목>에 술을 썩히는 작용이 있다고 하며 생즙은 술독을 풀고 구역질을 멎게 한다고 하여 예로부터 간질환에 효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헛개열매는 은은한 향기가 있고 단맛이 있으며 음식맛을 한결 돋우고 숙취해소와 피로회복에 도움이 된다.
벌나무는 독성이 없어 어떤 체질에도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약재로 알려져 있으며 맛이 담백하며 청혈제(淸血劑)와 이수제(利水劑)로도 쓰인다. 이는 간의 온도를 정상으로 회복시키고 수분이 잘 배설되게 하여 간 치료약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한방간장은 헛개열매, 헛개나무, 벌나무, 녹용, 홍삼, 상황버섯 및 동충하초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 25∼40중량%; 멸치, 다시마, 청국장, 호박, 건포도 및 표고버섯을 물에 넣고 가열하여 제조된 조미료 추출액 25∼40중량%; 및 통상의 간장 25∼40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방간장에 있어서, 사용되는 한약재는 헛개열매 5∼30중량%, 헛개나무 5∼30중량%, 벌나무 20∼45중량%, 녹용 0.5∼5중량%, 홍삼 0.5∼5중량%, 상황버섯 0.5∼5중량% 및 동충하초 0.5∼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 간장에 위염증에 효과가 있는 알로에가 5∼25중량%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한약재 성분들이 상기한 범위에서 사용될 때 본 발명의 한방간장 효용성이 극대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간장은 한약재가 당귀, 오가피, 대추, 감초 및 알로에로 구성되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당귀, 오가피, 대추, 감초는 기력보강에 효험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당귀 0.5∼5중량%, 오가피 5∼25중량%, 대추 5∼25중량% 및 감초 0.5∼5중량%가 더 포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생알로에 5∼25중량%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한방간장에서 사용되는 천연조미료는 그 혼합량이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연조미료는 멸치 3∼20중량%, 다시마 5∼35중량%, 청국장 3∼20중량%, 호박 5∼30중량%, 건포도 3∼20중량% 및 표고버섯 1∼1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연조미료는 된장, 생강, 대파, 양파, 마늘, 무우, 배 및 곶감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천연조미료의 선택은 제조되는 간장의 맛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선택되어 사용되는 조미료에 따라 간장 맛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조하고자 하는 간장 맛에 따라 상기한 천연조미료 군에서 선택적으로 성분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연조미료는 된장 3∼20중량%, 생강 1∼5중량%, 대파 5∼25중량%, 양파 5∼20중량%, 마늘 5∼30중량%, 무우 5∼35중량%, 배 5∼35중량% 및 곶감 1∼5중량%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간장은 양조간장, 혼합간장, 산분해간장, 효소분해간장, 한식간장 등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간장은 양조간장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한약재와 천연조미료 재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이용되고 특정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한방간장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방간장 제조방법은 녹용, 홍삼, 상황버섯 및 동충하초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만드는 단계; 멸치, 다시마, 청국장 및 건포도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조미료 추출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 25∼40중량%와 조미료 추출액 25∼40중량% 및 통상의 양조간장 25∼40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혼합액을 가열하여 졸이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한약재로 건조된 녹용, 홍삼, 상황버섯 및 동충하초를 준비하고, 준비된 한약재 총중량의 20∼30배의 물을 붓고 가열시킨다. 첨가된 물의 양이 약 1/3∼1/2 정도로 줄면 가열을 멈추고 일정시간 휴식을 취한다. 이는 한약재 성분이 최대 한 추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휴식시간은 사용되는 한약재와 물의 양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휴식시간후 이어 한약재 총량의 10∼20배의 물을 붓고 재가열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만든다.
한약재 추출액 만드는 단계에서 가열시간은 사용되는 한약재와 물의 양, 가열기구의 화력, 가열통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특히 상기 한약재 중 상황버섯 및 동충하초는 자루 속에 넣고 우려낼 수 있다. 상기한 약재를 그냥 우려내면 추출액이 걸죽하게 되므로 추출액을 맑게 우려내기 위함이다.
한약재 추출액 만드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한약재는 녹용 10∼30중량%, 홍삼 20∼40중량%, 상황버섯 20∼40중량% 및 동충하초 20∼4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기능 보호 등을 위하여 헛개열매, 헛개나무 및 벌나무를 포함하여 간장을 제조할 때에는, 한약재 추출액 만드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한약재는 헛개열매 5∼30중량%, 헛개나무 5∼30중량%, 벌나무 20∼45중량%, 녹용 0.5∼5중량%, 홍삼 0.5∼5중량%, 상황버섯 0.5∼5중량% 및 동충하초 0.5∼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약재로 헛개열매가 사용될 때는 헛개열매를 자루 속에 넣고 우려낼 수 있다. 헛개열매를 그냥 우려내면 추출액이 걸죽하게 되므로 추출액을 맑게 우려내기 위함이다.
또한, 한약재 추출액 만드는 단계에서 한약재가 당귀, 오가피, 대추, 감초 및 알로에로 구성되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어 더 포함되어 한약재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당귀 0.5∼5중량%, 오가피 5∼25중량%, 대추 5∼25중량% 및 감초 0.5∼5중량%가 더 포함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로에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생알로에 5∼25중량%가 더 포함된다.
이어 천연조미료 재로로 멸치, 다시마, 청국장 및 건포도를 준비하고, 준비된 천연조미료 재료 총중량의 7∼15배의 물을 붓고 가열시킨다. 첨가된 물의 양이 약 1/7∼1/4 정도로 졸여질 때까지 가열하여 천연조미료 추출액을 만든다.
천연조미료 추출액 만드는 단계에서 가열시간은 사용되는 천연조미료 재료와 물의 양, 가열기구의 화력, 가열통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천연조미료 추출액 만드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천연조미료는 멸치 10∼30중량%, 다시마 30∼50중량%, 청국장 10∼30중량% 및 건포도 10∼3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장의 맛을 좋게하고 영양을 높이기 위하여 천연조미료 추출액 만드는 단계에서 호박과 표고버섯이 더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천연조미료는 멸치 3∼20중량%, 다시마 5∼35중량%, 청국장 3∼20중량%, 호박 5∼30중량%, 건포도 3∼20중량% 및 표고버섯 1∼1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천연조미료 추출액 만드는 단계에서 천연조미료가 된장, 생강, 대파, 양파, 마늘, 무우, 배 및 곶감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어 더 포함되어 천연조미료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된장 3∼20중량%, 생강 1∼5중량%, 대파 5∼25중량%, 양파 5∼20중량%, 마늘 5∼30중량%, 무우 5∼35중량%, 배 5∼35중량% 및 곶감 1∼5중량%가 더 포함된다.
상기에서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과 천연조미료 추출액 및 통상의 간장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되, 혼합물 총중량에 대하여 각각 25∼40중량% 씩을 혼합한다.
상기에서 혼합된 혼합액을 가열하여 졸여 한방간장을 제조한다.
상기 혼합액 졸이는 단계에서 혼합액을 혼합액 총부피의 1/6∼2/3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한방간장 및 그 제조방법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한약재로, 건조된 녹용 70g, 홍삼 110g, 상황버섯분말 110g 및 동충하초분말 110g을 찜통(높이 275㎝, 내경 335㎝)에 넣고 물 10ℓ를 붓고 가열시켰다. 5시간 가열후 첨가된 물이 1/2 정도 줄어든 것을 확인하고 가열을 중단시키고 6시간 방치하였다, 이어 물 6ℓ를 붓고 4시간 동안 재가열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천연조미료로, 멸치 300g, 다시마 500g, 청국장 200g 및 건포도 200g을 찜통에 넣고 물 10ℓ를 붓고 5시간 동안 가열하여 천연조미료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 1.8ℓ, 천연조미료 1.8ℓ및 통상의 양조간장 1.8ℓ를 혼합한 후 2시간 가열하여 졸여 한방간장 1.8ℓ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한약재로, 건조된 헛개열매 100g, 헛개나무 100g, 벌나무 160g, 녹용 8g, 홍삼 8g, 상황버섯분말 12g 및 동충하초분말 12g을 사용하고, 천연조미료로, 멸치 180g, 다시마 360g, 청국장 180g, 호박 240g, 건포도 180g 및 표고버섯 60g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방간장 1.8ℓ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한약재로, 건조된 헛개열매 90g, 헛개나무 90g, 벌나무 140g, 녹용 8g, 홍삼 8g, 상황버섯분말 10g, 동충하초분말 10g, 당귀 4g 및 오가피 40g을 사용하고, 천연조미료로, 멸치 150g, 다시마 250g, 청국장 120g, 호박 100g, 건포도 100g, 표고버섯 40g, 된장 100g, 생강 20g, 대파 120g 및 무우 200g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방간장 1.8ℓ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한약재로, 건조된 헛개열매 90g, 헛개나무 90g, 벌나무 140g, 녹용 8g, 홍삼 8g, 상황버섯분말 10g, 동충하초분말 10g, 대추 40g 및 감초 4g을 사용하고, 천연조미료로, 멸치 150g, 다시마 250g, 청국장 120g, 호박 100g, 건포도 100g, 표고버섯 40g, 양파 150g, 마늘 100g, 배 170g 및 곶감 20g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방간장 1.8ℓ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한약재로, 건조된 헛개열매 70g, 헛개나무 70g, 벌나무 100g, 녹용 6g, 홍삼 6g, 상황버섯분말 10g, 동충하초분말 10g, 당귀 4g, 오가피 40g, 대추 40g, 감초 4g 및 생알로에 40g을 사용하고, 천연조미료로, 멸치 80g, 다시마 140g, 청국장 70g, 호박 100g, 건포도 100g, 표고버섯 30g, 된장 70g, 생강 30g, 대파 100g, 양파 100g, 마늘 100g, 무우 100g, 배 130g 및 곶감 50g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방간장 1.8ℓ를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예가 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하기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한방간장은 녹용, 홍삼, 상황버섯 및 동충하초 등의 한약재를 이용하여 이들에 함유되어 있는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추출하여 제공됨으로써 음식의 맛을 냄과 동시에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특히 상황버섯과 홍삼, 다시마, 청국장, 된장 등이 어우러져 암억제력이 있고 녹용, 홍삼, 당귀, 오가피, 대추 등은 몸의 활력을 도우며 헛개열매, 헛개나무, 벌나무 등은 간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청국장, 된장, 무우, 호박 및 알로에는 소화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어 섭취하였을때 몸에 이롭다.

Claims (15)

  1. 녹용, 홍삼, 상황버섯 및 동충하초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 25∼40중량%; 멸치, 다시마, 청국장 및 건포도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제조된 천연조미료 추출액 25∼40중량%; 및 통상의 간장 25∼40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간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녹용 10∼30중량%, 홍삼 20∼40중량%, 상황버섯 20∼40중량% 및 동충하초 20∼40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연조미료는 멸치 10∼30중량%, 다시마 30∼50중량%, 청국장 10∼30중량% 및 건포도 10∼3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간장.
  3. 헛개열매, 헛개나무, 벌나무, 녹용, 홍삼, 상황버섯 및 동충하초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 25∼40중량%; 멸치, 다시마, 청국장, 호박, 건포도 및 표고버섯을 물에 넣고 가열하여 제조된 천연조미료 추출액 25∼40중량%; 및 통상의 간장 25∼40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간장.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헛개열매 5∼30중량%, 헛개나무 5∼30중량%, 벌나무 20∼45중량%, 녹용 0.5∼5중량%, 홍삼 0.5∼5중량%, 상황버섯 0.5∼5중량% 및 동충하초 0.5∼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간장.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가 당귀, 오가피, 대추, 감초 및 알로에로 구성된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간장.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천연조미료는 멸치 3∼20중량%, 다시마 5∼35중량%, 청국장 3∼20중량%, 호박 5∼30중량%, 건포도 3∼20중량% 및 표고버섯 1∼1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간장.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천연조미료가 된장, 생강, 대파, 양파, 마늘, 무우, 배 및 곶감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간장.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당귀 0.5∼5중량%, 오가피 5∼25중량%, 대추 5∼25중량% 및 감초 0.5∼5중량%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간장.
  9.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생알로에 5∼25중량%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간장.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천연조미료는 된장 3∼20중량%, 생강 1∼5중량%, 대파 5∼25중량%, 양파 5∼20중량%, 마늘 5∼30중량%, 무우 5∼35중량%, 배 5∼35중량% 및 곶감 1∼5중량%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간장.
  11. 녹용, 홍삼, 상황버섯 및 동충하초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만드는 단계;
    멸치, 다시마, 청국장 및 건포도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천연조미료 추출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 25∼40중량%와 천연조미료 추출액 25∼40중량% 및 통상의 간장 25∼40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혼합액을 가열하여 졸이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간장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추출액 만드는 단계에서 한약재로 헛개열매, 헛개나무 및 벌나무가 더 포함되어 제조되고, 상기 천연조미료 추출액 만드는 단계에서 천연조미료 재로로 호박 및 표고버섯이 더 포함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간장 제조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추출액 만드는 단계에서 한약재가 당귀, 오가피, 대추, 감초 및 생알로에로 구성되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어 더 포함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간장 제조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천연조미료 추출액 만드는 단계에서 천연조미료가 된장, 생강, 대파, 양파, 마늘, 무우, 배 및 곶감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어 더 포함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간장 제조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 졸이는 단계에서 혼합액을 혼합액 총부피의 1/6∼2/3로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간장 제조방법.
KR1020050042601A 2005-05-20 2005-05-20 한방간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647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601A KR100647878B1 (ko) 2005-05-20 2005-05-20 한방간장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601A KR100647878B1 (ko) 2005-05-20 2005-05-20 한방간장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7878B1 true KR100647878B1 (ko) 2006-11-23

Family

ID=3771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601A KR100647878B1 (ko) 2005-05-20 2005-05-20 한방간장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87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261B1 (ko) 2010-08-11 2010-12-16 이성재 청국장을 이용한 분말간장, 이를 이용한 정제형 간장, 페이스트형 간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1538B1 (ko) 2008-09-10 2011-09-01 지진환 벌나무를 이용한 복어육수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복어 요리
KR101274954B1 (ko) * 2011-06-24 2013-06-13 장흥군 헛개나무를 이용한 간장 제조방법
KR101429450B1 (ko) 2011-04-15 2014-08-20 이금순 산겨릅나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KR20150081100A (ko) 2014-01-03 2015-07-13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청국장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미 증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저나트륨 천연 조미료 조성물
KR101752368B1 (ko) * 2015-12-18 2017-06-30 논산시(관리부서:논산시농업기술센터) 시래기 비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시래기 비빔장
KR102279702B1 (ko) * 2020-10-27 2021-07-21 주식회사 가지푸드바이오 농업회사법인 간장 달임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간장 달임물
KR102360914B1 (ko) * 2021-05-14 2022-02-14 김숙희 맛간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맛간장
KR20220070700A (ko)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현대그린푸드 구기자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구기자 간장소스 제조 방법 및 구기자 간장소스 제조 시스템
KR102455493B1 (ko) * 2021-11-16 2022-10-18 이선영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저염도 간장의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538B1 (ko) 2008-09-10 2011-09-01 지진환 벌나무를 이용한 복어육수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복어 요리
KR101001261B1 (ko) 2010-08-11 2010-12-16 이성재 청국장을 이용한 분말간장, 이를 이용한 정제형 간장, 페이스트형 간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9450B1 (ko) 2011-04-15 2014-08-20 이금순 산겨릅나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KR101274954B1 (ko) * 2011-06-24 2013-06-13 장흥군 헛개나무를 이용한 간장 제조방법
KR20150081100A (ko) 2014-01-03 2015-07-13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청국장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미 증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저나트륨 천연 조미료 조성물
KR101752368B1 (ko) * 2015-12-18 2017-06-30 논산시(관리부서:논산시농업기술센터) 시래기 비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시래기 비빔장
KR102279702B1 (ko) * 2020-10-27 2021-07-21 주식회사 가지푸드바이오 농업회사법인 간장 달임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간장 달임물
KR20220070700A (ko)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현대그린푸드 구기자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구기자 간장소스 제조 방법 및 구기자 간장소스 제조 시스템
KR102360914B1 (ko) * 2021-05-14 2022-02-14 김숙희 맛간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맛간장
KR102455493B1 (ko) * 2021-11-16 2022-10-18 이선영 베타글루칸 함유 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저염도 간장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878B1 (ko) 한방간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209173B1 (ko) 삼계탕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삼계탕
CN104041799A (zh) 一种竹笋辣椒酱及其制备方法
CN103584073A (zh) 一种食用菌风味食品的制备方法
KR101374538B1 (ko) 천년초 선인장을 이용한 식품용 분말의 제조방법
KR20080092521A (ko) 백숙용 한방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백숙의 제조방법
KR101319101B1 (ko) 노린내가 제거된, 한약재를 이용한 쌀국수용 육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861250B (zh) 一种黄精茶及其制备方法
CN106616823A (zh) 一种火锅底料
KR20090120041A (ko)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및 양념소스
CN108450921A (zh) 一种不易上火的食用菌风味辣椒酱及其制备方法
KR101369229B1 (ko) 백하수오 김치양념 및 그 제조방법과 그 백하수오 김치양념이 배합된 김치
KR101030953B1 (ko) 능이버섯이 함유된 백숙 및 제조방법
CN104643082B (zh) 枸杞大枣
KR100980249B1 (ko) 해물삼계탕의 제조방법
CN104397691A (zh) 一种刺梨火棘茶汤冲剂及其加工方法
KR102396380B1 (ko) 한방 숙성 양념의 제조방법
CN104068151A (zh) 一种带清凉型的茶叶及其制备方法
KR20040060615A (ko) 유황 오리 엑기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53417A (ko) 삼백초를 주성분으로 한 건강식품
KR20050008096A (ko) 진공포장된 한방 숙성 자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진공포장된 한방 숙성 자반
CN107737282A (zh) 一种治疗肝部癌症的药剂
CN104904951A (zh) 一种玛卡桂花茶及其制备方法
KR101800787B1 (ko) 홍삼 시래기밥의 제조방법
CN103989207A (zh) 一种清凉型的麻辣串汤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