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763B1 - 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763B1
KR100641763B1 KR1020050032537A KR20050032537A KR100641763B1 KR 100641763 B1 KR100641763 B1 KR 100641763B1 KR 1020050032537 A KR1020050032537 A KR 1020050032537A KR 20050032537 A KR20050032537 A KR 20050032537A KR 100641763 B1 KR100641763 B1 KR 100641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housing
frame
reinforc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240A (ko
Inventor
마사오 곤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마케팅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가덴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마케팅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가덴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60047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상부 플레이트의 강도 상승을 도모하면서, 그 외주 단부를 덮는 프레임을 키친 유닛의 상면판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높이 치수 등을 억제한 소형화로 하는 것이다.
상부 플레이트(22) 상에 적재되는 조리 용기를 거쳐서 피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열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22)의 주연부 하면에 보강판(23)을 대고 접착하는 동시에, 상기 보강판(23)을 하우징(12)측의 내부 상자(14)와 연결 고정하고,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22)의 주위 단부의 상면에 상기 단부를 덮도록 프레임(24)을 접착한 구성으로 한다.
상부 플레이트, 보강판, 하우징, 내부 상자, 접착제

Description

가열 조리기{HEATING FOOD PROCESSOR}
도1은 본 발명의 가열 조리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2는 제1 실시예의 가열 조리기가 키친 유닛에 삽입된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3은 제1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5는 제2 실시예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6은 종래예를 도시한 주요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키친 유닛 상면판
12 : 하우징
13 : 외부 상자
14 : 내부 상자
15, 16 :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가열 수단)
21, 39 : 상부 플레이트 조립체
22 : 상부 플레이트
23, 34 : 보강판
24 : 프레임
26 : 접착제
27 : 오목홈
33 : 냄비(조리 용구)
35, 36 : 관통 구멍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51739호 공보
본 발명은 키친 유닛(kitchen unit) 등에 삽입되고 상부 플레이트(top-plate) 상에 적재된 조리 용기를 거쳐서, 그 조리 용기 내의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유도 가열 코일(induction heating coil)을 이용한 가열 조리기가 키친 유닛에 조립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 조립에는 드롭 인(drop-in) 방식이 일반적으로 채용되어 있다. 이 조립 방식은, 키친 유닛의 상면판에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개구에 조리기 하우징을 삽입하고, 상기 하우징 상부의 플랜지부(flange portion)가 개구 주연부에 지지되도록 하여, 하우징 내에 내장되는 상기 가열 수단을 비롯하여 로스터(roaster) 기능부, 제어부 및 냉각 팬(cooling fan) 등의 중량을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 하우징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개구보다 폭이 넓은 상부 플레이트가, 그 외주연부에 피착된 지지 프레임을 거쳐서 상기 개구 주연부 상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종류의 가열 조리기의 종래예를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키친 유닛의 상면판(1)의 개구(1a)에 삽입된 하우징(2)은, 그 상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a)가 개구 주연부에 걸려 지지된다. 이 하우징(2) 내에는, 가열 수단(3)을 구비한 내부 상자(4)가 설치되고, 이 내부 상자(4)의 상단부에 연결된 고정 부재(5)를 거쳐서 지지 프레임(6)의 부착 부재(6a)에 나사(screw)(7)로 체결되어 있다. 이 지지 프레임(6)은 하우징(2) 상면을 덮는 상부 플레이트(8)의 외주 단부에 접착제(9)로 접착되어, 이 외주 단부나 나사(7)의 체결 부위가 은폐된다.
그런데, 상기 상부 플레이트(8)는 키친 유닛의 상면판(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그 외주 단부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6)의 높이(H)는 부착 부재(6a) 등의 체결부를 갖는 것도 더불어 더욱 증가하게 되고, 아울러 횡폭(W)도 커 전체적으로 대형화한다. 그러나, 이 지지 프레임(6)은 직접 가열 수단에 관여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며, 상부 플레이트(8)의 상면이나 상면판(1)의 유효 공간(valid space ; effective space)을 좁히거나 하므로, 오히려 콤팩트(compact)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높이(H)가 크면 지지 프레임(6)을 경계로 조리대로서도 기능하는 상면판(1)과의 사이에 큰 고저의 단차를 발생시켜, 냄비(10) 등의 조리 용기가 이동될 때에 구르거나, 심하게 경도(傾到)하거나, 혹은 단차 부분에 충돌하거나 하여 조리 용기 내의 내용물이 넘쳐 흘러 나올 우려가 있어, 작업을 하기 어렵고 또한 안전성의 점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지지 프레임(6)의 높이(H)나 횡폭(W)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부착 부재(6a)를 작게 하거나 상부 플레이트(8)와의 접합 부위를 작게 해야만 해 모두 부착 강도를 주로 한 강도 부족이 발생되는 동시에, 특히 상부 플레이트(8) 자체가 내열성의 유리(glass) 재료로 이루어지는 휘기 쉬운 구성인 것으로부터도 지지 프레임(6)의 소형화가 곤란하다.
이리하여, 예를 들어 상기 특허 문헌 1에는 지지 프레임의 이면의 전방부 모서리부에 배치한 특수한 코너판(corner plate)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의 필요 이상의 휨 변형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서는 강도를 필요로 하는 코너판을 내장할 필요가 있으므로, 역시 지지 프레임 전체가 대형화되는 경향에 있을뿐만 아니라 조리 용기 등의 하중을 받는 경우도 있어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강도적으로도 무리가 있고, 게다가 상부 플레이트의 휨 방지도 전방부 모서리부에 국부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반드시 강도는 충분히 향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부 플레이트의 전체적인 강도 향상을 도모하면서 높이 치수 등을 억제한 사용 편의성이 좋은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열 조리기는 키친 유닛의 상면판의 개구 내에 수용 지지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배치된 가열 수단과, 상기 하 우징의 상방을 덮도록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피가열물을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에 적재되는 조리 용기를 거쳐서 가열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는 그 주위 단부의 상면에 상기 단부를 덮도록 프레임을 접착하는 동시에, 그 주연부 하면에는 보강판을 대어 접착하고 또한 이 보강판의 주연 부위에서는 상기 상면판과의 사이에 밀봉재(sealing structure)를 개재하고, 또한 그보다 내측 부위에서는 상기 하우징과 연결 고정한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제1 실시예의 가열 조리기가 키친 유닛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키친 유닛의 상면판(11)에는, 조리기 수납용 개구(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11a)에 조리기 하우징(12)이 삽입되고, 상단부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3a)가 개구 주연부에 걸려 지지되어 있다. 이 하우징(12)은 자성 강판 재료에 의해 상면이 개구한 직사각형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직사각형 상자의 상부에 상기 플랜지부(13a)를 갖는 외부 상자(13)와, 그 내측 상부에 수용된 바닥이 얕은 직사각형 상자 형상을 이루는 내부 상자(14)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상자(14)는 외부 상자(13)의 전방에 나사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내부 상자(14)는, 비자성 금속판[예를 들어, 알루미늄판(Aluminum panel)]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가열 출력이 다른 제1 유도 가열 코일(15)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16)이 배치된다. 또한, 니크롬선 히터(nichrome wire heater)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15, 16)은 로드(rod)(17) 및 코일 베이스(coil base)(18)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의 개구 근방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상부 플레이트(22)와 소정 거리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부 상자(14)의 하방인 외부 상자(13)의 내측 하부 좌측에 시드 히터(sheathed heater)를 갖는 로스터부(19), 내측 하부 우측에 상기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15, 16)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기판이나 주파수 변환 장치로 이루어지는 제어 수단(20)이 배치된다. 이 제어 수단(20)의 전방면에는 다양한 가열 조리 조건을 설정하는 다이얼을 구비한 조작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하우징(12)의 상방에는 상부 플레이트 조립체(21)가 피착되어 있다. 이 상부 플레이트 조립체(21)는, 직사각형 판상의 상부 플레이트(22)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22)의 주연부 하면에 접합된 보강판(23)과, 이들 외주 단부를 덮도록 피착된 프레임(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 조립체(21)는 하우징(12)의 내부 상자(14)의 상단부와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 조립체(21)의 주연부 하면과, 상면판(11)의 개구(11a)의 주연부와의 대향면 사이에는, 탄성 쿠션(elastic cushion)으로 이루어지는 링 형상(ring shape)의 밀봉재(25)가 개재되고, 이 밀봉재(25)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 조립체(21)는 상면판(11) 상에 수밀(水密)하게 부착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1 및 도3을 참조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 조립체(21)의 상세한 구성 및 하우징(12) 상방으로의 그 부착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부 플레이트(22)는 표면이 평평한 내열성의 강화 유리로 구성되어, 적색의 가시광을 잘 투과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그 상면은 유색 불투명한 색, 예를 들어 흑색으로 착색되 어 있다. 그 형상은, 평면 면적이 상면판(11)의 개구(11a)보다 크고, 좌우의 폭이 600 내지 750 mm, 세로가 400 내지 440 mm, 두께가 4 mm 정도인 직사각형 판상을 이루고, 특히 길이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휘기 쉽다.
이 상부 플레이트(22)의 기계적인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보강판(23)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22)의 하면에 접착제(26)(예를 들어, 실리콘 접착제)로 접합 고정되어 있다. 이 보강판(23)은, 비자성 금속 재료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플레이트(22)와 접합되고, 이 면 상의 주위에 연속된 오목홈(2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 단부 중 전방부 및 좌우의 3변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28a 및 28b, 28b)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22)와의 위치 결정이나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28a, 28b, 28b)의 각각 일부가 절결되어, 하방으로 절곡된 같은 형상의 복수의 절결 부재(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의 직사각 형상의 개구(30)는, 하우징(12)의 내부 상자(14)의 상단부 개구와 맞추어져 있다.
이리하여, 상기 보강판(23)은 오목홈(27) 내에 충전된 접착제(26)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22)에 견고하게 접착되어 있다. 오목홈(27)은, 접착제 저장부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보강판(23) 자체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이 오목홈은 불연속이라도 좋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22)의 주위 단부의 상면에 상기 접착제(26)에 의해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24)이 접착되고, 상기 프레임(24)에 의해 상기 보강판(23) 및 상부 플레이트(22)의 외주 단부가 은폐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 임(24)이 접착될 때 그 내면이 상기 절결 부재(29)의 외면에 닿게 됨으로써, 그 위치 결정이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상부 플레이트 조립체(21)는, 키친 유닛의 상면판(11)의 개구에 수납 지지된 하우징(12)의 상방에 조립되어 있다. 그 구체적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판(23)의 개구(30) 주변의 4 부위에 결합 부재(31)가 하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들 결합 부재(31)는 하우징(12)의 내부 상자(14)의 내벽 상단부에 나사(32)로 체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밀봉재(25)가 보강판(23)과 상면판(11)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어 하우징(12)과의 사이의 수밀성이 확보되는 한편, 이 조립 상태에서 프레임(24)은 상면판(11)과 접촉 혹은 근접하는 것만으로 상면판(11)의 하중을 받는 일 없이 배치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22)의 상면에는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15, 16)에 대향하는 부위에 링 형상의 마크(mark)(도시하지 않음)가 인쇄 표시되어, 도2에 도시한 냄비(33) 등의 조리 용기가 유효하게 가열되는 영역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다.
하우징(12)은 상면판(11)의 개구(11a)로부터 삽입되어, 외부 상자(13)의 플랜지부(13a)가 상기 개구(11a)의 주연부에 걸려 수납 상태로 지지되고, 하우징(12)의 중량은 개구(11a)의 주연부에서 지지된다. 한편, 하우징(12)의 상방에 부착된 상부 플레이트 조립체(21)에는 상부 플레이트(22)의 상면에 냄비(33) 등의 조리 용기의 하중이 가해진다.
그러나, 휘기 쉬운 상부 플레이트(22)는 하면에 프레임 형상의 상기 보강판 (23)을 대고 접합되어 있으므로, 냄비(33) 등의 조리 용기의 하중이 가해져도 변형되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일은 없다. 게다가, 보강판(23)의 접합면에 형성된 오목홈(27)이 보강판(23) 자체의 강도를 높이고 있으므로, 더욱 높은 강도가 확보된다. 또한, 상기 오목홈(27)이 접착제 저장소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접착제의 과부족이 발생되지 않아 확실하고 견고한 접착이 이루어진다.
또는, 상부 플레이트(22)가 반송이나 운반될 때, 상부 플레이트 조립체(21)로서 혹은 적어도 상부 플레이트(22)에 보강판(23)이 접착된 형태로 반송이나 운반할 수 있으므로, 특히 길이 방향으로 휘기 쉬운 상부 플레이트(22)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좌우의 양단부에 손을 걸어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등, 취급이 용이하다.
이리하여, 상부 플레이트(22)의 하면측 보강용 보강판(23)은 프레임 형상이므로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22)의 상면측 프레임(24)은 다른 부재의 하중이 걸리는 일이 없으므로 소형화할 수 있다. 게다가, 이들 보강판(23)이나 프레임(24)은 상부 플레이트(22)에 대해 모두 접착에 의해 고정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성이 우수하고 또한 접합 공간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24)은 상부 플레이트(22)나 보강판(23)의 외주 단부를 덮는 데 상응하는 형상 혹은 구성이라도 좋고, 그 높이(H)나 횡폭(W)(도1 참조)을 함께 작게 할 수 있어 소형화에 매우 유효하다.
이 결과, 프레임(24)과 상면판(11)과의 경계에 발생되는 고저의 단차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상부 플레이트(22) 상에 적재되는 냄비(33) 등의 조리 용기가 심하게 경사지거나, 그 경도시에 내용물이 넘쳐 흐르거나 하는 문제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리 용기를 상부 플레이트(22) 상으로부터 상면판(11) 상으로 이동할 때에 조리 용기가 단차부에 충돌하는 일이 없으므로 안전하다. 또한, 프레임(24)은 높이나 횡폭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비용면(on the cost front)에서 유리한 동시에, 상부 플레이트(22) 혹은 상면판(11)의 유효 공간을 좁히는 일이 없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4는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5는 그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4 및 도5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는, 보강판(34)이 방자(防磁) 기능도 구비하는 점이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즉, 상기 보강판(34)은 비자성 금속 재료인 알루미늄제이며, 가열 수단인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15, 16)과 대향하는 위치에 원형의 관통 구멍(35, 36)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35, 36)은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15, 16)의 외형과 거의 동일한 치수(엄밀하게는, 약간 대경)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관통 구멍(35, 36)에 대향하는 부위이며 상부 플레이트(22) 상에, 조리 용기가 유효하게 가열되는 영역을 도시하는 마크(도시하지 않음)가 인쇄 표시되어 있다. 또한 보강판(34)의 외주 단부에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절곡부(37a 및 37b)와 복수 의 절결 부재(3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22)에 대해 프레임(24) 및 상기 보강판(34)이 접착되어 상부 플레이트 조립체(39)가 구성되는 것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보강판(34)과 내부 상자(14)와의 연결 고정은, 보강판(34)의 평탄면의 일부가 꺾어 세워져 하방으로 절곡되어 복수의 결합 부재(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결합 부재(40)는 내부 상자(14)의 내주벽의 4면에 접합되고, 상방으로부터 내부 상자(14)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 고정(screw cramp)(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이리하여, 비자성 금속제의 보강판(34)이 방자판으로서 기능하여, 관통 구멍(35, 36)을 통해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15, 16)로부터 조리 용기에 자속이 집중적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자속 누설을 억제하여 효율적으로 가열 조리를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강판(34)은 상기 제1 실시예와 그 밖에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하고 또한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가열 수단은 1개라도 좋다. 또한, 가열 수단에는 유도 가열 코일에 한정되지 않고 할로겐 램프 히터(halogen lamp heater)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보강판을 하우징의 내부 상자와 연결하였지만, 예를 들어 외부 상자와 연결 고정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각 실시예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실시할 수도 있는 등, 실시시에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열 조리기에 따르면, 상부 플레이트의 주연부 하면에 보강판을 설치하였으므로, 상부 플레이트 상에 적재된 냄비 등의 조리 용기의 하중에 대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휨 변형을 억제하여 지지하는 데 충분한 강도 상승을 얻을 수 있는 한편, 프레임은 종래의 지지 프레임과 같은 하중을 받는 일 없이 소형화가 가능하고, 게다가 프레임이나 보강판은 접착하였으므로 고정을 위한 공간은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후의 프레임과 상면판 사이의 고저의 단차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고, 냄비가 이 단차에 의해 심하게 경사져 내용물이 넘쳐 흘러 나오거나 냄비가 단차부에 충돌하거나 하는 문제점을 경감시킬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다. 또한, 미리 프레임이나 보강판을 상부 플레이트에 접착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 등의 반송이나 이동시에 보강판으로 보강된 상부 플레이트의 좌우의 양단부 주연부를 들어 올려도 상부 플레이트가 크게 휘는 일 없이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다. 따라서, 그 이동이 용이한 등의 실용적 효과가 높은 가열 조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키친 유닛의 상면판에 형성된 개구에 수용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배치된 가열 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상방을 덮도록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에 적재되는 조리 용기를 거쳐서 상기 조리 용기 내의 피가열물을 가열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주위 단부 상면에 상기 주위 단부를 덮도록 접착된 프레임과 상기 주위 단부 하면에 접착된 보강판을 갖고, 이 보강판의 주연부와 상기 상면판과의 사이에 밀봉재가 개재되고, 이 보강판이 상기 하우징과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의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접착되는 면에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은 유도 가열 코일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판에는 상기 유도 가열 코일의 외형과 대응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KR1020050032537A 2004-04-21 2005-04-20 가열 조리기 KR100641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25518 2004-04-21
JP2004125518A JP2005308296A (ja) 2004-04-21 2004-04-21 加熱調理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240A KR20060047240A (ko) 2006-05-18
KR100641763B1 true KR100641763B1 (ko) 2006-11-06

Family

ID=3534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537A KR100641763B1 (ko) 2004-04-21 2005-04-20 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308296A (ko)
KR (1) KR100641763B1 (ko)
CN (1) CN100466870C (ko)
TW (1) TWI2551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6488B2 (ja) * 2007-02-14 2011-11-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込み型加熱調理器
JP4893473B2 (ja) * 2007-05-29 2012-03-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込み型加熱調理器
JP5162168B2 (ja) * 2007-06-30 2013-03-13 クリナップ株式会社 システムキッチンの天板ユニット
JP4703636B2 (ja) * 2007-12-13 2011-06-15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JP6670567B2 (ja) * 2015-08-19 2020-03-25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6851238B2 (ja) * 2017-03-29 2021-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6919888B2 (ja) * 2017-06-19 2021-08-18 株式会社パロマ ガスコンロ
JP6946096B2 (ja) * 2017-07-21 2021-10-06 リンナイ株式会社 ドロップイン式コンロ
CN112873873B (zh) * 2020-12-07 2023-05-30 自贡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热压治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2953A (ja) * 1997-04-25 1998-11-13 Sharp Corp 誘導加熱装置
CN2466556Y (zh) * 2000-07-15 2001-12-19 广东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电磁炉防滑挡圈
JP3893946B2 (ja) * 2001-11-13 2007-03-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3933917B2 (ja) * 2001-11-15 2007-06-20 リンナイ株式会社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36439A (en) 2005-11-01
KR20060047240A (ko) 2006-05-18
CN100466870C (zh) 2009-03-04
JP2005308296A (ja) 2005-11-04
TWI255154B (en) 2006-05-11
CN1691844A (zh)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763B1 (ko) 가열 조리기
JP6249374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1258442A (ja) 誘導加熱調理器
AU2013224347A1 (en) An induction cooking hob
KR100518069B1 (ko) 유도 가열 조리기
JP5076737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3933917B2 (ja) 加熱調理器
KR20180046573A (ko) 전기 레인지의 상판을 설치하기 위한 체결 구조체
KR100550479B1 (ko) 가열 조리기
JP488937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919491B2 (ja) 組込み型加熱調理器
KR200392946Y1 (ko) 전기 레인지의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고정구조
JP486442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5083639A (ja) 加熱調理器
JP5911411B2 (ja) 加熱調理器
JP4818302B2 (ja) 加熱調理器
JP7355997B2 (ja) 圧力式炊飯器
CN209899155U (zh) 烹饪器具
JP3849493B2 (ja) 炊飯器
JP2004171855A (ja) 誘導加熱調理器
JPH0937952A (ja) 電磁調理器
JPH075772Y2 (ja) 誘導加熱炊飯器
JP2010218725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
JP4301907B2 (ja) こんろの天板
JP3119402B2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