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456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456B1
KR100631456B1 KR1020050083453A KR20050083453A KR100631456B1 KR 100631456 B1 KR100631456 B1 KR 100631456B1 KR 1020050083453 A KR1020050083453 A KR 1020050083453A KR 20050083453 A KR20050083453 A KR 20050083453A KR 100631456 B1 KR100631456 B1 KR 100631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aterial
temperature
end temperature
image forming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1086A (ko
Inventor
노리유끼 이또
겐이찌 오가와
리꾸오 가와까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62923A external-priority patent/JP48273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23639A external-priority patent/JP4886185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03G15/204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specially for the axial heat part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21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34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siz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미정착 화상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부재를 가지며, 가열 부재의 길이방향 중심이 기록재의 반송 중심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화상 형성 장치는 반송 중심에 근접하는 중앙부 온도 검지부, 가열 부재의 단부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단부 온도 검지부 및 기록재의 측방향 폭을 검출하기 위한 폭 검출부를 포함하며, 폭 검출부는 기록재의 반송 중심 위치에 대하여 배치된 단부 온도 검지부의 측부에 대향하는 측부에 배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는 폭 검출부 및 단부 온도 검지부에 기초하여 기록재의 잘못된 셋팅을 제어한다.
화상 형성 장치, 기록재, 가열 부재, 반송 중심, 온도 검지부, 폭 검출부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1은 실시예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2는 실시예1에 따른 정착 장치 주요부의 횡방향 측면도.
도3은 실시예1에 따른 정착 장치 주요부의 길이방향 정면도.
도4는 급지 트레이로부터 배지 트레이까지의 기록재 반송로의 개략적 전개 평면도.
도5는 큰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 트레이에 놓여 있는 평면도.
도6은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 트레이에 대한 반송 중심 기준에 놓여 있는 평면도.
도7은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 트레이에 부정확하게 놓여있는 상태(제1 상태)의 평면도.
도8은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 트레이에 부정확하게 놓여있는 상태(제2 상태)의 평면도.
도9는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 트레이에 부정확하게 놓여있는 상태(제3 상태)의 평면도.
도10은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 트레이에 부정확하게 놓여있는 상태(제4 상태)의 평면도.
도11은 실시예2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일례의 급지 트레이로부터 배지 트레이까지의 기록재 반송로의 개략적 전개 평면도.
도12는 실시예3에 따른 가열 장치 주요부의 횡방향 측면도.
도13은 실시예3에 따른 가열 장치 주요부의 길이방향 정면도.
도14는 급지 트레이로부터 배지 트레이까지의 기록재 반송로의 개략적 전개 평면도.
도15는 큰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 트레이에 놓여 있는 평면도.
도16은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 트레이에 대한 반송 중심 기준에 놓여있는 평면도.
도17은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 트레이에 부정확하게 놓여있는 상태(제1 상태)의 평면도.
도18은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 트레이에 부정확하게 놓여있는 상태(제2 상태)의 평면도.
도19는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 트레이에 부정확하게 놓여있는 상태(제3 상태)의 평면도.
도20은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 트레이에 부정확하게 놓여있는 상태(제4 상태)의 평면도.
도21은 실시예4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일례의 급지 트레이로부터 배지 트레이까지의 기록재 반송로의 개략적 전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광 드럼
3: 레이저 스캐너
5 : 전사 롤러
4 : 전개 장치
7 : 카세트 급지부
8 : 급지 트레이
9 : 시트 경로
10 : 레지스터 롤러
11 : 정착 장치
11a : 정착 롤러
11b : 가압 롤러
11c : 할로겐 히터
13 : 용지 배출 개구
100 : 프린터
101 : 프린터 제어부
200 : 호스트 장치
O : 중앙 통지 기준선
P : 기록재
T : 전사 닙부
TH1, TH2, TH3 : 단부 온도 검지부
본 발명은 미정착 화상을 담지한 기록재 가열용 가열 부재를 가지며, 가열 부재의 길이방향의 중심이 기록재의 반송 중심(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중심)이 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 즉 반송되는 기록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셋팅하여 기록재를 반송(급지)하기 위한 전자 사진 시스템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용지 폭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기록재가 정확하게 놓여있는 경우, 이러한 구성에서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한 임의의 위치(통상적으로, 가열 부재의 길이방향의 중심 위치)로 반송된 각 기록재의 폭 중심은 "중앙 통지 기준(中央通紙基準)"으로 부르고, 그 선은 "중앙 통지 기준선(中央通紙基準線)"으로 부른다.
종래의 전자 사진 시스템의 화상 형성 장치로는, 기록재(기록지)에 토너 화상을 정착하는 수단으로서 할로겐 램프를 사용하는 가열 롤러 시스템 또는 세라믹 히터를 사용하는 필름 가열 시스템 등으로 대표되는 가열 장치를 사용하여 가열 및 가압을 동시에 받으면서, 샌드위치 관계로 반송하여 기록재 표면에 토너 화상을 정착하는 시스템이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다.
엽서 및 봉투와 같은 좁은 용지 폭을 갖는 기록재가 연속적으로 급지 될 때, 기록재가 통과되지 않는 영역에서 온도가 단계적으로 상승되는 비급지부 온도 상승 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03-18883호 및 제2001-282036호에서 알 수 있듯이, 가열 장치의 가열 수단 길이방향의 단부에 온도 검지부를 장착하여 가열 수단의 비급지부인 단부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하가 되도록 가열 수단의 제어 온도 및 기록재의 반송 시간 간격을 변화시키는 제어가 통상적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기록재의 급지에 대한 기준 역할을 하는 중앙 통지 기준을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급지부에 대하여 기록재를 놓는 동안의 조작 실수로 인하여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상기 중앙 통지 기준에 종종 부정확하게 놓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되어 중앙 통지 기준선에서 측방향 편차로 일측 급지 기준 반송처럼 화상 형성 장치 내로 반송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열 수단의 단부 온도 검지부가 급지 영역 내에 덮여서, 비급지부 온도 상승이 전혀 검지될 수 없는 상황이 가능하다. 따라서, 단부 온도 검지부가 제공되어 있는 측부에 대향하는 단부측에 나타나는 비급지 영역 폭에 대응하는 가열 수단부는 비급지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없게 증가시켜서,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연속적으로 급지되어 반송될 때 과도하게 가열된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단부 온도 검지부만이 제공되기 때문에, 특히 적어도 A3 크기의 기록재를 급지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비표준 크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크기를 갖는 기록재가 급지될 때 최고온부를 정확하게 검지하기가 어려워, 안전을 고려하여 설계 사양을 낮추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발명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96965호 및 제2003-15498호에 개시되어 있지만, 추가의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졌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재가 부정확하게 놓여있는 것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재의 급지를 위해서 중앙 통지 기준을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급지부에 기록재가 부정확하게 놓여있을 때 기록재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의 단부에서의 온도 상승을 정확하게 검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기록재에 있어서, 가열 수단의 단부에서의 온도 상승을 정확하게 검지하여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기록재가 급지부에 부정확하게 놓여있는 것을 원활하게 검지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미정착 화상을 담지한 기록재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가지며, 가열 부재의 길이방향 중심이 기록재의 반송 중심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화상 형성 장치는 가열 부재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로 제어하기 위해 반송 중심에 근접하게 배치된 중앙부 온도 검지부, 가열 부재의 단부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단부 온도 검지부 및 기록재의 측방향 폭을 검출하기 위한 폭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폭 검출부는 단부 온도 검지부가 기록재의 반송 중심 위치에 대하여 배치된 측부의 대향 측부에 배치된다.
양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폭 검출부는 반송 중심 위치에서 기록재의 단부 까지의 영역 내에 배치된다.
양호하게는, 복수의 폭 검출부는 반송 중심 위치에서 기록재의 단부까지의 영역 내에 배치되고, 복수의 폭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단부 온도 검지부 및 반송 중심 위치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양호하게는, 폭 검출부 및 단부 온도 검지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기록재가 정확하게 놓여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된다.
양호하게는, 가열 부재 가열용 공급 전력 및 기록재의 반송 간격을 제어하거나, 폭 검출부 및 단부 온도 검지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작동을 정지하기 위한 제어부가 더 포함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미정착 화상을 담지한 기록재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가지며, 가열 부재의 길이방향 중심이 기록재의 반송 중심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화상 형성 장치는 반송 중심에 대응하거나 이에 근접한 가열 부재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중앙부 온도 검지부와, 가열 부재의 길이방향의 일측에서의 일단부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와, 가열 부재의 길이방향의 타측에서의 타단부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와, 중앙부 온도 검지부,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 및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가열 부재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 및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는 반송 중심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로 배치되고, 제어부는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 및 타측단부 온 도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가장 높은 단부 온도 검지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한다.
양호하게는, 제어부는 세 개의 온도 검지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기록재가 정확하게 놓여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양호하게는, 제어부는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 및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의 검지 온도 중에서 일측의 검지 온도가 타측의 검지 온도보다 높고, 타측의 검지 온도가 중앙부 온도 검지부의 검지 온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때 급지부에서 기록재의 정렬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양호하게는, 제어부는 가열 부재 가열용 공급 전력 또는 기록재의 반송 간격을 제어하거나, 일측 또는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를 한다.
상기 구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따라, 급지부에 대하여 기록재를 놓는 동안의 조작 실수로 인하여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중심 기준에 부정확하게 놓이는 경우에도,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하여 가열 장치의 가열 수단의 비급지부에서의 과도한 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기록재가 부정확하게 놓여 있어도, 단부에서 온도 상승을 정확하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기록재에 있어서, 단부에서 온도 상승을 정확하게 검지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장치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기록재가 급지부에 부정확하 게 놓여있는 것을 원활하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기술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1>
도1은 실시예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전사형 전자 사진 방법을 사용하는 레이저 빔 프린터(이후에는 "프린터"라고 부른다)이다.
프린터(100)는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 장치(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프린터(100)는 호스트 장치(200) 및 화상 데이터에서 인쇄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화상 데이터는 제어 수단인 프린터 제어부(101)에 의해 신장된다. 그 후, 화상 담지 부재 역할을 하는 드럼형 전자 사진 감광 부재(1)(이후에는 "감광 드럼"이라고 부른다)는 프린터 제어부(101)에 의해 화상 형성 순서 제어의 소정의 제어 타이밍에 따른 소정 속도로 화살표로 표시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노광 장치인 레이저 스캐너(3)가 작동된다.
감광 드럼(1)은 회전 과정 동안 정전 대전 장치 역할을 하는 대전 롤러(2)에 접촉함으로써 소정의 극성 및 포텐셜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 후, 이런 식으로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 드럼(1)의 표면은 스캔되어 레이저 스캐너(3)에 의해 전술한 신장된 화상 데이터에 응하여 변조될 때까지 레이저 빔(3a) 출력에 의해 노광되어, 감광 드럼(1)의 표면에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4)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한편, 기록재(기록지)(P)의 한 시트는 소정의 제어 타이밍으로 카세트 급지부(7) 또는 급지 트레이(8)(MP 트레이: 다목적 트레이)로부터 분리 및 공급되어, 시트 경로(기록재 반송로)(9)를 따라 레지스터 롤러(10)의 쌍으로 반송된다. 레지스터 롤러(10)의 쌍은 회전 정지 제어 상태의 닙부(nip portion)에서 기록재(P)를 일단 취하여 기록재(P)의 비스듬한 급지의 보정을 수행하고, 감광 드럼(1) 및 전사 롤러(5)의 접촉부인 전사 닙부(T)에 기록재(P)를 급지하기 위해서 소정의 제어 타이밍으로 회전된다.
도면 부호(S2)는 레지스터 롤러(10)의 쌍에 의해 전사 닙부(T)에 급지된 기록재(P)의 선단 에지를 검지하기 위해서 레지스터 롤러(10)의 쌍과 전사 닙부(T) 사이의 시트 경로부에 위치된 상부 센서이다. 프린터 제어부(101)는 상부 센서(S2)에 의해 검지된 기록재의 선단 에지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1)에 대한 화상 기록 타이밍 등을 제어한다.
전사 닙부(T)에 급지된 기록재(P)는 전사 닙부(T)에서 샌드위치 관계가 유지되면서 반송된다. 그 시간 동안, 토너의 대전된 극성과 반대인 극성을 갖는 전사 바이어스(bias)가 전사 롤러(5)에 적용되어, 감광 드럼 표면의 토너 화상이 기록재(P) 표면에 연속하여 정전기적으로 전사된다. 기록재(P)에 토너 화상을 전사한 후, 반복적인 화상 형성을 위해서 감광 드럼 표면의 전사 잔류 토너, 용지 분말 등이 세척 장치(6)에 의해 제거된다.
전사 닙부(T)에서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재(P)는 정착 장치(11)로 유도되고, 토너 화상이 기록재에 가열 정착된다. 정착 장치(11)로부터 나온 기록재(P)는 배지 롤러(12)를 통과하여 배지 개구(13)로부터 배지 트레이(14)로 분배되어 배출된다. 도면 부호(S3)는 배지 개구부(13)에 위치된 배지 센서이다. 프린터 제어부(101)는 배지 센서(S3)에서의 기록재 유무 검지 신호에 의해 기록재(P)가 프린터 밖으로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실시예의 프린터(100)에서, 카세트 급지부(7)는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제1 내지 제3 급지 카세트(71, 72, 73)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 다른 크기의 기록재(P)가 각 급지 카세트에 적층되어 포함된다. 호스트 장치(200)에 의해 선택 지정된 크기의 기록재(P)를 포함하는 급지 카세트의 급지 롤러(74)는 급지 카세트로부터 기록재(P)의 한 시트를 분리하여 급지한다. 또한, 급지 트레이(8)로부터의 급지가 선택 지정될 때, 급지 트레이의 급지 롤러(81)는 급지 트레이(8)에 놓여있는 기록재(P)의 한 시트를 분리하여 급지한다.
카세트 급지부(7)는 주로 표준 보통 용지를 기록재(P)로 급지한다. 급지 트레이(8)는 주로 특수 용지, 예를 들면 좁은 폭의 엽서 및 봉투, 표준 또는 비표준의 두꺼운 편지 및 OHP 시트를 기록재(P)로 급지한다. 물론, 표준 보통 용지의 급지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린터(100)에서, 기록재(P)의 급지 기준은 기록재의 중심인 중앙 통지 기준이고, 상기 기준은 카세트 급지부(7) 및 급지 트레이(8)로부터의 급지와 반송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정착 장치(11)는 가열 롤러 시스템의 가열 장치이다. 도2는 정착 장치(11) 주요부의 횡방향 측면도이고, 도3은 상기 정착 장치 주요부의 길이방향 정면도이다. 정착 장치(11)는 가열 수단 역할을 하는 정착 롤러(11a)(가열 롤러) 및 가압 수단 역할을 하는 탄성 가압 롤러를 갖는 한 쌍의 평행한 가압 접촉 롤러로 기본적으로 구성되며, 롤러 쌍은 회전되고, 형성되어 담지된 미정착 토너 화상(t)을 갖는 기록재(P)는 롤러 쌍의 상호 가압 접촉부인 정착 닙부(N)상으로 샌드위치 관계로 반송되도록 유도되고, 미정착 토너 화상(t)은 고온 가압되어 정착 롤러(11a)의 가열 및 정착 닙부(N)의 가압력에 의해 기록재의 표면에 정착된다.
정착 롤러(11a)는 기부 역할을 하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중공 강성 롤러를 갖는다. 플루오르 수지와 같은 토너 이형층이 상기 롤러 표면에 덮이고, 열원 역할을 하는 할로겐 히터(11c)가 상기 롤러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정착 롤러(11a)는 할로겐 히터(11c)에 전력의 공급으로 인한 히터의 발열에 의해 내부로부터 가열된다. 가압 롤러(11b)는 예를 들면 철 같은 금속 코어 바(metal cored bar)와, 정착 닙부의 소정 폭을 유지하기 위해서 금속 코어 바 주위에 형성된 내열 탄성층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용지 폭은 기록재의 평면에서 기록재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기록재 크기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린터의 기록재 급지는 기록재 중심의 중앙이 기준이된다. 도3에서, 도면 부호(O)는 기록재의 중앙 통지 기준선(가상선)을 나타낸다. 도면 부호(A)는 프린터(100)에 급지가 가능한 최대 용지 폭을 갖는 기록재의 급지 영역 폭을 나타낸다. 상기 급지 영역 폭(A)에 대응하는 용지 폭을 갖는 기록재는 큰 크기의 기록재로 부른다. 도면 부호(B)는 큰 크기의 기록재의 용지 폭보다 좁은 용지 폭을 갖는 기록재의 급지 영역 폭을 나 타낸다. 큰 크기의 기록재의 용지 폭보다 좁은 용지 폭을 갖는 기록재는 작은 크기의 기록재로 부른다. 도면 부호(C)는 큰 크기의 기록재 급지 영역 폭(A)과 작은 크기의 기록재 급지 영역 폭(B) 사이의 차이 영역의 폭을 나타낸다. 즉, 이는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될 때 프린터의 기록재 반송로의 표면에 나타나는 비급지 영역의 폭이다. 기록재 급지는 중앙 기준에 기초하기 때문에,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될 때 비급지 영역은 작은 크기의 기록재 급지 영역 폭(B)의 좌우 측부 양측에 나타난다. 또한, 비급지 영역 폭(C)은 급지된 작은 크기의 기록재의 다양한 크기의 용지 폭에 따라 다르다.
도면 부호(TH1, TH2)는 각각 정착 롤러(11a)의 실질적인 중앙부의 표면 온도 및 길이방향(기록재 반송로의 표면에서 기록재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단부 표면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중앙부 온도 검지부(수단) 및 단부 온도 검지부(수단)이다. 서미스터(thermister)와 같은 각각의 온도 검지 요소들이 정착 롤러의 표면에 접촉되거나 또는 근접하여 비접촉 상태로 배치된다.
정착 롤러(11a)의 온도 제어 역할을 하는 중앙부 온도 검지부(TH1)는 다양한 크기의 폭을 갖는 임의의 용지가 기록재로 급지되어도, 기록재 급지 영역인 정착 롤러의 실질적인 길이 중심부의 위치(기록재의 중앙 급지 기준선의 근접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프린터 제어부(101)는 중앙부 온도 검지부(TH1)로부터 입력된 정착 롤러 표면 온도 정보가 소정의 설정된 정착 온도에 대응하여 유지될 수 있도록 전원 공급부(도시 안됨)로부터 할로겐 히터(11c)까지의 공급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기록재 급지 영역의 정착 롤러 표면 온도를 소정의 설정된 정착 온도로 제어한 다.
정착 롤러(11a)의 비급지부의 온도 상승 모니터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단부 온도 검지부(TH2)는 큰 크기의 기록재 급지 영역 폭(A)의 영역 폭 내의 일측의 단부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연속적으로 급지될 때, 정착 롤러(11a)의 작은 크기의 기록재 급지 영역 폭(B)에 대응하는 부분의 온도는 중앙부 온도 검지부(TH1)를 사용하여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소정의 정착 온도로 유지된다. 그러나, 정착 롤러(11a)의 비급지 영역 폭(C)에 대응하는 부분은 기록재의 가열로 인한 열이 소모가 없으므로 열이 축적되어, 소정의 정착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로 단계적으로 상승된다(비급지부 온도 상승). 단부 온도 검지부(TH2)는 비급지부 온도 상승에 의한 온도를 검지한다. 프린터 제어부(101)는 정착 롤러 열원인 할로겐 히터(11c)에 전원 공급 또는 기록재의 반송 시간 간격(연속 인쇄 간격, 처리량) 변경을 제어하여, 단부 온도 검지부(TH2)로부터 입력된 비급지부 온도 상승의 온도에 기초하여 정착 롤러(11a)의 비급지 영역 폭(C)에 대응하는 부분의 온도가 소정의 허용 온도 이하가 되게 한다.
도4는 프린터(100)의 급지 트레이(8)로부터 배지 트레이(14)까지의 기록재 반송로의 개략적 전개 평면도이다. 급지 트레이(8)에서, 도면 부호(82)는 급지 트레이(8)에 배치된 기록재 측부 조절판(이후에는 "조절판"이라고 부름)의 좌우 쌍이다. 조절판(82)은 급지 트레이(8)의 좌우로 평행하게 미끄러지듯이 이동할 수 있고, 한쪽 조절판이 좌우로 움직일 때, 다른 쪽 조절판은 전자의 조절판 이동과 연계하여 대향 방향으로 이동하여, 양쪽 조절판 사이의 공간은 중앙 기준에 대하여 좁게 또는 넓게 조절될 수 있다. 조절판(82) 사이의 공간이 벌어질 때, 기록재(P)는 급지 트레이(8)에 위치되고, 조절판(82)은 기록재(P)의 폭에 대응하여 좁아진다. 이러한 조작으로, 기록재(P)의 좌우 측부는 좌우 조절판(82)의 내측부들 사이에서 조절되고, 그 결과 기록재(P)는 용지 폭 중심이 중앙 통지 기준선(O)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급지 트레이(8)에 놓여진다. 도5는 큰 크기의 기록재가 놓여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6은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놓여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 부호(S1)는 급지 트레이(8)의 기록재(P) 유무 센서(용지 유무)를 나타낸다. 기록재 유무 센서(S1)는 급지 트레이(8)의 선단 에지 측부 및 급지 롤러(81)의 전방 측부에서 기록재 중앙 통지 기준선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큰 크기의 기록재 및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중앙 기준으로 급지 트레이(8)에 정확하게 놓여있을 때, 기록재의 존재는 기록재 유무 센서(S1)에 의해 검지될 수 있다. 상기 센서(S1)에 의한 기록재 유무 검지 정보는 프린터 제어부(101)에 입력된다.
급지 트레이(8)로부터 급지가 선택된 경우, 프린터 제어부(101)는 상기 센서(S1)로 급지 트레이(8)의 기록재의 유무를 확인하고, 기록재의 존재가 확인되면 급지 롤러(81)에 의한 급지 작동을 구동하고, 기록재의 부재가 확인되면 프린터(100)의 인쇄 작동을 금지하고, 호스트 장치(200)에 기록재 부재라는 경고를 표시한다.
기록재 유무 센서가 기록재의 존재를 검지하면, 급지 롤러(81)가 구동되어, 급지 트레이(8)의 기록재(P)는 중앙 기준으로 프린터(100)에 급지되고, 기록재에 대한 인쇄 작동이 전술한 바와 같이 수행된다.
또한, 전술한 상부 센서(S2) 및 배지 센서(S3)는 급지 트레이(8)에 놓여져 중심 기준으로 공급되는 다양한 크기의 폭을 갖는 임의의 용지인 기록재를 검지하기 위해서 중앙 통지 기준선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나, 카세트 급지부(7)로부터 기록재를 급지하는 경우에는, 큰 크기의 기록재 및 작은 크기의 기록재는 대체로 확실하게 중앙 기준으로 급지되어 반송된다. 그러나, 급지 트레이(8)로부터 기록재를 급지하는 경우에는,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 트레이(8)에 종종 부정확하게 놓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중앙 통지 기준선(O)에서 측방향 편차를 갖는 일측 급지 기준 반송처럼 프린터에 급지되어 반송될 가능성이 있다.
즉, 급지 트레이(8)에 대한 기록재(P)의 셋팅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판(82) 사이의 공간이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기록재(P)는 급지 트레이(8)에 위치되고, 그 후 조절판(82)은 기록재(P)의 폭에 따라 좁혀진다. 이러한 조작으로, 기록재(P)의 좌우 측부는 용지 폭 중심이 중앙 통지 기준선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조절판(82)의 좌우 내측부 사이에서 조절된다. 그러나, 작은 크기의 기록재 셋팅에서, 예를 들어 도7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재의 측부가 넓게 벌어져 있는 좌우 조절판(82)의 내측부 중 하나와 접촉하여 놓여 있는 상태에서는, 좌우 조절판(82)이 기록재(P)의 용지 폭에 따라 좁혀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 작은 크기의 기록재는 일측 기준 반송의 급지 트레이 경우처럼 급지 트레이(8)의 좌 측부 또는 우 측부에 대하여 오프셋된다.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오프셋된 상태에서, 도7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셋된 상태의 기록재(P)는 기록재(P)의 비교적 작은 용지 폭 때문에 급지 트레 이(8)의 기록재 유무 센서(S1)의 위치를 덮지 못할 때, 급지 트레이(8)로부터 급지가 선택되어도 상기 센서(S1)가 기록재의 부재를 검지하기 때문에 프린터 제어부(101)는 프린터(100)의 인쇄 작동을 금지하고, 호스트 장치(200)에 기록재 부재라는 경고를 표시한다. 조작자는 경고 표시에 따른 급지 트레이(8)의 상태를 주시함으로써 기록재의 셋팅 에러를 인지한다.
그러나, 기록재가 오프셋된 상태에서, 작은 크기의 기록재이지만 용지 폭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도19 내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재(P)가 기록재 유무 센서(S1)의 위치를 덮을 때, 상기 센서(S1)는 기록재의 존재를 검지한다. 그러므로, 이 경우 급지 트레이(8)로부터 급지가 선택되면, 상기 센서(S1)는 기록재의 존재를 검지하기 때문에, 프린터 제어부(101)는 급지 롤러(81)에 의한 급지 작동을 구동하고 프린터(100)의 인쇄 작동을 실행한다. 그러나, 감광 드럼(1)에 대한 토너 화상의 형성은 기록재의 중앙 기준 반송에 반응하여 수행되는데 반하여, 프린터 내로 급지되어 반송된 실제 기록재는 중앙 통지 기준선(O)에서 좌측 또는 우측 편차가 있는 상태이므로, 기록재에 형성된 화상은 측방향 편차 또는 결함이 있는 화상이다. 조작자는 화상 결함(잘못된 인쇄)을 주시함으로써 기록재의 셋팅 에러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 트레이(8)의 좌우 조절판(82)에서,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정착 장치(11)에 제공되어 있는 단부 온도 검지부(TH2) 측부와 동일한 측부에서 조절판(82)에 대하여 오프셋된 경우, 단부 온도 검지부(TH2)는 작은 크기의 기록재의 급지 영역 폭(B)으로 덮인다. 그러므로,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연속적으로 급지되는 동안 단부 온도 검지부(TH2)에 의해 정착 롤러 단부의 비급지부 온도 상승이 전혀 검지 될 수 없다. 따라서,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실제로 연속적으로 급지 되어 반송되어도, 프린터 제어부(101)는 비급지부 온도 상승을 발생시키지 않는 큰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 되어 반송될 때처럼 프린터를 제어한다. 그 결과, 정착 롤러(11a)의 단부 온도 검지부(TH2)가 제공된 측단부에 대향하는 측단부에 나타나는 비급지 영역 폭(C)에 대응하는 정착 롤러부는 비급지부 온도 상승이 발생하여,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연속으로 급지되어 반송됨에 따라 온도를 제어할 수 없을 정도로 상승시켜 과도하게 가열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단부 온도 검지부(TH2)에 제공된 정착 롤러 측단부에 대향하는 측부에서 조절판(82)에 대하여 오프셋된 경우, 단부 온도 검지부(TH2)는 작은 크기의 기록재 급지 영역 폭(B) 내에 덮이지 않기 때문에,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연속적으로 급지되는 동안 단부 온도 검지부(TH2)에 의해 정착 롤러 단부의 비급지부 온도 상승이 검지될 수 있다. 프린터 제어부(101)는 정착 롤러 열원인 할로겐 히터(11c)에 전원 공급 또는 기록재의 반송 시간 간격 변경을 제어하여, 단부 온도 검지부(TH2)로부터 입력된 비급지부 온도 상승의 온도에 기초하여 정착 롤러(11a)의 비급지 영역 폭(C)에 대응하는 부분의 온도가 소정의 허용 온도 이하가 되게 한다. 그러므로, 도9의 경우와 같이 정착 롤러(11a) 비급지부에서의 과도하게 가열된 상태는 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9의 경우와 같이 정착 롤러(11a) 비급지부에서 과도하게 가열된 상태를 피하기 위해서,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 의 횡방향 폭을 검출하기 위한 폭 검출부(S3)(용지 폭 검출부)가 레지스터 롤러(10)의 쌍과 전사 닙부(T) 사이의 시트 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록재의 급지 기준 위치인 중앙 통지 기준선(O)에 대하여, 단부 온도 검지부(TH2)가 정착 장치(11)에 배치된 측부에 대향하는 측부에 배치된다. 폭 검출부(S3)는 기록재 유무 검지 센서이다.
그 후,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단부 온도 검지부(TH2)의 측부에서 조절판(82)을 따라 오프셋된 경우,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이 상태로 연속적으로 급지될 때, 프린터 제어부(101)의 단부 온도 검지부(TH2)에 의해 정착 롤러 단부의 비급지부 온도 상승이 검지되지 않으면, 폭 검출부(S3)가 반송되는 작은 크기의 기록재(P)에 의해 덮이지 않기 때문에, 프린터 제어부(101)는 폭 검출부(S3)로부터의 기록재 부재 신호에 의해 급지되는 기록재가 작은 크기의 기록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린터 제어부(101)는 정착 롤러 열원인 할로겐 히터(11c)에 전원 공급 또는 기록재의 반송 시간 간격 변경을 제어하여, 정착 롤러(11a)의 비급지 영역 폭(C)에 대응하는 부분의 온도가 상기에 기초하여 소정의 허용 온도 이하가 되게한다. 그러므로, 정착 롤러(11a)의 비급지부에서 과도하게 가열된 상태를 피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측방향 편차를 갖는 화상 또는 결함이 있는 화상처럼 보이는 인쇄는 잘못 인쇄된 것이다.
다르게는, 급지 트레이(8)로부터 기록재를 연속적으로 급지하는 모드(mode)에서, 단부 온도 검지부(TH2)가 정착 롤러 단부의 비급지부 온도 상승을 검지하지 못하고, 폭 검출부(S3)로부터의 입력 신호가 기록재 부재 신호인 경우, 프린터 제어부(101)는 중심 반송 기준에 있어서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 트레이(8)에 부정확하게 놓여 있다고 인정하여, 즉시 프린터의 화상 인쇄 작동을 정지하고, 호스트 장치(200)에 경고를 표시하여, 정착 롤러(11a) 비급지부의 과도한 가열 상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프린터의 화상 형성 작동을 정지함으로써 뒤따르는 잘못된 인쇄 입력을 예방할 수 있다.
<실시예2>
도11은 실시예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1은 도4에서와 같은 실시예1의 프린터(100)의 급지 트레이(8)로부터 배지 트레이까지의 기록재 반송로(14)의 개략적 전개 평면도이다. 실시예3의 프린터와 동일한 구성 부재들 및 부분들은 동일한 도면 참조 숫자/부호로 주어지고 이들에 대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폭 검출부(S4)는 제1 폭 검출부인 폭 검출부(S3) 이외에 실시예2에 더 추가된 제2 폭 검출부이다. 제2 폭 검출부(S4)는 기록재의 급지 기준 위치인 중앙 통지 기준선(O)에 대하여, 정착 장치(11)에 배치되어 있는 단부 온도 검지부(TH2)의 측부에 대향하는 측부에 배치되고, 중앙 통지 기준선(O)의 위치에 대하여 단부 온도 검지부(TH2)의 타측에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단부 온도 검지부(TH2)의 측부에서 조절판(81)을 따라 오프셋되어 있고, 작은 크기의 기록재의 용지 폭이 제1 폭 검출부(S3)를 덮는 크기를 갖는 경우, 급지된 기록재는 제2 폭 검출부(S4)에 의해 작은 크기의 기록재로 검지된다. 즉,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도11의 셋팅 상태로 연속적으로 급지될 때, 프린터 제어부(101)의 단부 온도 검지부(TH2)에 의해 정착 롤러 단부의 비급지부 온도 상승이 검지되지 않는 경우, 제1 폭 검출부(S3)가 반송된 기록재(P)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기록재의 존재가 검지 되어도 제2 폭 검출부(S4)는 반송되는 기록재(P)에 의해 덮이지 않기 때문에, 프린터 제어부(101)는 제2 폭 검출부(S4)로부터의 기록재 부재 검지 신호에 의해 급지된 기록재가 작은 크기의 기록재라고 인식한다.
프린터 제어부(101)는 정착 롤러 열원인 할로겐 히터(11c)에 전원 공급 또는 기록재의 반송 시간 간격 변경을 제어하여, 정착 롤러(11a)의 비급지 영역 폭(C)에 대응하는 부분의 온도가 상기에 기초하여 소정의 허용 온도 이하가 되게한다. 그러므로, 정착 롤러(11a)의 비급지부에서 과도하게 가열된 상태를 피할 수 있다.
다르게는, 급지 트레이(8)로부터 기록재를 연속적으로 급지하는 모드에서, 단부 온도 검지부(TH2)가 정착 롤러 단부의 비급지부 온도 상승을 검지하지 못하고, 제2 폭 검출부(S4)로부터의 입력 신호가 기록재 부재 신호인 경우, 프린터 제어부(101)는 중심 반송 기준에 있어서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 트레이(8)에 부정확하게 놓여 있다고 인정하여, 즉시 프린터의 화상 인쇄 작동을 정지하고, 호스트 장치(200)에 경고를 표시하여, 정착 롤러(11a) 비급지부의 과도한 가열 상태를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A4 크기의 용지가 A3 크기용 기종에 횡방향으로 급지 되는 다수의 적용가능한 급지 폭이 있으므로, 하나의 폭 검출부 만으로는 그러한 모든 급지 폭을 커버하기에는 불충분하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폭 검출부(S3) 및 제2 폭 검출부(S4)가 제공된다. 큰 크기의 기록재인 경우, 제1 폭 검 출부(S3) 및 제2 폭 검출부(S4) 둘 다 기록재(P)에 의해 덮인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폭 검출부(S3, S4)가 제공되므로, 다수의 다른 크기를 갖는 기록재를 급지할 수 있는 장치에서, 특히 A3 크기 또는 더 큰 용지를 급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검지가 확실히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3>
본 실시예에서 정착 장치(11)는 가열 롤러 시스템의 가열 장치이다. 도12는 정착 장치(11)의 가열 장치 주요부의 횡방향 측면도이고, 도13은 상기 정착 장치의 가열 장치 주요부의 길이방향 정면도이다. 정착 장치(11)는 가열 수단 역할을 하는 정착 롤러(11a)(가열 롤러)와, 가압 수단 역할을 하는 탄성 가압 롤러를 갖는 한쌍의 평행한 가압 접촉 롤러로 기본적으로 구성되며, 롤러 쌍은 회전되고, 형성되어 담지된 미정착 토너 화상(t)을 갖는 기록재(P)는 롤러 쌍의 상호 가압 접촉부인 정착 닙부(N)에 샌드위치 관계로 반송되도록 유도되고, 미정착 토너 화상(t)은 고온 가압되어 정착 롤러(11a)의 가열 및 정착 닙부(N)의 가압력에 의해 기록재의 표면에 정착된다.
정착 롤러(11a)는 기부 역할을 하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중공 강성 롤러를 갖는다. 플루오르 수지와 같은 토너 이형층이 상기 롤러 표면에 덮이고, 열원 역할을 하는 할로겐 히터(11c)가 상기 롤러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정착 롤러(11a)는 할로겐 히터(11c)에 전력의 공급으로 인한 히터의 발열에 의해 내부로부터 가열된다. 가압 롤러(11b)는 예를 들면 철 같은 금속 코어 바 및 정착 닙부의 소정 폭을 유지하기 위해서 금속 코어 바 주위에 형성된 내열 탄성층 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용지 폭은 기록재의 평면에서 기록재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기록재 크기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린터의 기록재 급지는 기록재 중심의 중앙이 기준이된다. 도13에서, 도면 부호(O)는 기록재의 중앙 통지 기준선(가상선)을 나타낸다. 도면 부호(A)는 프린터(100)에 급지가 가능한 최대 용지 폭을 갖는 기록재의 급지 영역 폭을 나타낸다. 상기 급지 영역 폭(A)에 대응하는 용지 폭을 갖는 기록재는 큰 크기의 기록재로 부른다. 도면 부호(B)는 큰 크기의 기록재의 용지 폭보다 좁은 용지 폭을 갖는 기록재의 급지 영역 폭을 나타낸다. 큰 크기의 기록재의 용지 폭보다 좁은 용지 폭을 갖는 기록재는 작은 크기의 기록재로 부른다. 도면 부호(C)는 큰 크기의 기록재 급지 영역 폭(A)과 작은 크기의 기록재 급지 영역 폭(B) 사이의 차이 영역의 폭을 나타낸다. 즉, 이는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될 때 프린터의 기록재 반송로의 표면에 나타나는 비급지 영역의 폭이다. 기록재 급지는 중앙 기준에 기초하기 때문에,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될 때 비급지 영역은 작은 크기의 기록재 급지 영역 폭(B)의 좌우 측부 양측에 나타난다. 또한, 비급지 영역 폭(C)은 급지된 작은 크기의 기록재의 다양한 크기의 용지 폭에 따라 다르다.
도면 부호(TH1, TH2, TH3)는 가열 수단인 정착 롤러(11a)의 온도를 각각 검지하기 위한 중앙부 온도 검지부,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제1 단부 온도 검지부) 및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제2 단부 온도 검지부)이다. 세 개의 온도 검지부(TH1, TH2, TH3)는 정착 롤러의 표면에 접촉되거나 또는 근접하여 비접촉 상태로 배치된 서미스터(thermister)와 같은 각각의 온도 검지 요소들을 갖는다.
정착 롤러(11a)의 온도 제어 역할을 하는 중앙부 온도 검지부(TH1)는 다양한 크기의 폭을 갖는 임의의 용지가 기록재로 급지되어도, 기록재 급지 영역인 정착 롤러의 길이방향(기록재 반송로의 표면에서 기록재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실질적인 중심 위치(기록재의 중앙 통지 기준선 위치(O)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그것에 근접한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제어 수단으로서 프린터 제어부(101)는 중앙부 온도 검지부(TH1)로부터 입력된 정착 롤러 표면 온도 정보가 소정의 설정된 정착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전원 공급부(도시 안됨)로부터 할로겐 히터(11c)까지의 공급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기록재 급지 영역의 정착 롤러 표면 온도를 소정의 설정된 정착 온도로 제어한다.
정착 롤러(11a)의 비급지부에서의 온도 상승 모니터부 역할을 하는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TH2)는 정착 롤러의 길이방향에서 기록재의 중앙 통지 기준선(O) 위치에 기초하여 일측부에서 정착 롤러의 단부 온도를 검지하기 위해서 큰 크기의 기록재 급지 영역(A)의 영역 폭 내에 배치된다.
정착 롤러(11a)의 비급지부에서의 온도 상승 모니터부 역할을 하는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TH3)는 정착 롤러의 길이방향에서 기록재의 중앙 통지 기준선(O) 위치에 기초하여 타측부에서 정착 롤러의 단부 온도를 검지하기 위해서 큰 크기의 기록재 급지 영역(A)의 영역 폭 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TH2) 및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TH3)는 기록재의 중앙 통지 기준선(O) 위치에 대하여 대칭 위치로 배치된다.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연속적으로 급지될 때, 정착 롤러(11a)의 작은 크기의 기록재 급지 영역 폭(B)에 대응하는 부분의 온도는 중앙부 온도 검지부(TH1)를 사용하여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소정의 정착 온도로 유지된다. 그러나, 정착 롤러(11a)의 비급지 영역 폭(C)에 대응하는 부분은 기록재의 가열로 인한 열이 소모가 없으므로 열이 축적되어, 소정의 정착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로 단계적으로 상승된다(비급지부 온도 상승). 전술한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TH2) 및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TH3)는 각각의 측부에서의 비급지부 온도 상승의 온도를 검지한다.
프린터 제어부(101)는 정착 롤러 열원인 할로겐 히터(11c)에 전원 공급 또는 기록재의 반송 시간 간격(연속 인쇄 간격, 처리량) 변경을 제어하여,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TH2) 및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TH3)로부터 입력된 비급지부 온도 상승의 온도에 기초하여 정착 롤러(11a)의 비급지 영역 폭(C)에 대응하는 부분의 온도가 소정의 허용 온도 이하가 되게 한다.
도14는 프린터(100)의 급지 트레이(8)로부터 배지 트레이(14)까지의 기록재 반송로의 개략적 전개 평면도이다. 급지 트레이(8)에서, 도면 부호(82)는 급지 트레이(8)에 배치된 기록재 측부 조절판(이후에는 "조절판"이라고 부름)의 좌우 쌍이다. 조절판(82)은 급지 트레이(8)의 좌우로 평행하게 미끄러지듯이 이동할 수 있고, 한쪽 조절판이 좌우로 움직일 때, 다른 쪽 조절판은 전자의 조절판 이동과 연계하여 대향 방향으로 이동하여, 양쪽 조절판 사이의 공간은 중앙 기준에 대하여 좁게 또는 넓게 조절될 수 있다. 조절판(82) 사이의 공간이 벌어질 때, 기록재(P)는 급지 트레이(8)에 위치되고, 조절판(82)은 기록재(P)의 폭에 대응하여 좁아진 다. 이러한 조작으로, 기록재(P)의 좌우 측부는 좌우 조절판(82)의 내측부들 사이에서 조절되고, 그 결과 기록재(P)는 용지 폭 중심이 중앙 통지 기준선(O)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급지 트레이(8)에 놓여진다. 도15는 큰 크기의 기록재가 놓여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16은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놓여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 부호(S1)는 급지 트레이(8)의 기록재(P) 유무 센서(용지 유무)를 나타낸다. 기록재 유무 센서(S1)는 급지 트레이(8)의 선단 에지 및 급지 롤러(81)의 전방 측부에서 기록재 중앙 통지 기준선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큰 크기의 기록재 및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중앙 기준으로 급지 트레이(8)에 정확하게 놓여있을 때, 기록재의 존재는 기록재 유무 센서(S1)에 의해 검지될 수 있다. 상기 센서(S1)에 의한 기록재 유무 검지 정보는 프린터 제어부(101)에 입력된다.
급지 트레이(8)로부터 급지가 선택된 경우, 프린터 제어부(101)는 상기 센서(S1)로 급지 트레이(8)의 기록재의 유무를 확인하고, 기록재의 존재가 확인되면 급지 롤러(81)에 의한 급지 작동을 구동하고, 기록재의 부재가 확인되면 프린터(100)의 인쇄 작동을 금지하고, 호스트 장치(200)에 기록재 부재라는 경고를 표시한다.
기록재 유무 센서(S1)가 기록재의 존재를 검지하고, 급지 롤러(81)가 구동되면, 급지 트레이(8)의 기록재(P)는 중앙 급지 기준으로 프린터(100)에 급지되고, 기록재에 대한 인쇄 작동이 전술한 바와 같이 수행된다.
또한, 전술한 상부 센서(S2) 및 배지 센서(S3)는 급지 트레이(8)에 놓여져 중심 기준으로 공급되는 다양한 크기의 폭을 갖는 임의의 용지인 기록재를 검지하기 위해서 기록재의 중앙 통지 기준선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나, 카세트 급지부(7)로부터 기록재를 급지하는 경우에는, 큰 크기의 기록재 및 작은 크기의 기록재는 대체로 확실하게 중앙 기준으로 급지되어 반송된다. 그러나, 급지 트레이(8)로부터 기록재를 급지하는 경우에는,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급지 트레이(8)에 종종 부정확하게 놓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중앙 통지 기준선(O)에서 측방향 편차를 갖는 일측 급지 기준 반송처럼 프린터에 급지되어 반송될 가능성이 있다.
즉, 급지 트레이(8)에 대한 기록재(P)의 셋팅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판(82) 사이의 공간이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기록재(P)는 급지 트레이(8)에 위치되고, 그 후 조절판(82)은 기록재(P)의 폭에 따라 좁혀진다. 이러한 조작으로, 기록재(P)의 좌우 측부는 용지 폭 중심이 중앙 통지 기준선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조절판(82)의 좌우 내측부 사이에서 조절된다. 그러나, 작은 크기의 기록재 셋팅에서는, 예를 들어 도17 내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재의 측부가 넓게 벌어져 있는 좌우 조절판(82)의 내측부 중 하나와 접촉하여 놓여 있는 상태에서는, 좌우 조절판(82)이 기록재(P)의 용지 폭에 따라 좁혀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 작은 크기의 기록재는 일측 급지 기준 반송의 급지 트레이 경우처럼 급지 트레이(8)의 좌 측부 또는 우 측부에 대하여 오프셋된다.
작은 크기의 기록재가 오프셋된 상태에서, 도17 내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셋된 상태의 기록재(P)는 기록재(P)의 비교적 작은 용지 폭 때문에 급지 트레이(8)의 기록재 유무 센서(S1)의 위치를 덮지 못할 때, 급지 트레이(8)로부터 급지가 선택되어도 상기 센서(S1)가 기록재의 부재를 검지하기 때문에 프린터 제어부 (101)는 프린터(100)의 인쇄 작동을 금지하고, 호스트 장치(200)에 기록재 부재라는 경고를 표시한다. 조작자는 경고 표시에 따른 급지 트레이(8)의 상태를 주시함으로써 기록재의 셋팅 에러를 인지한다.
그러나, 기록재가 오프셋된 상태에서, 작은 크기의 기록재이지만 용지 폭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도19 내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재(P)가 기록재 유무 센서(S1)의 위치를 덮을 때, 상기 센서(S1)는 기록재의 존재를 검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센서(S1)는 기록재의 존재를 검지하기 때문에, 프린터 제어부(101)는 급지 롤러(81)에 의한 급지 작동을 구동하고 프린터(100)의 인쇄 작동을 실행한다.
이 경우, 기록재가 오프셋되어 있는 측부에 정렬된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TH2) 또는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TH3)는 급지 영역 내에 덮인다. 그러므로, 정착 롤러 비급지부에서의 온도 상승은 단부 온도 검지부에 의해 검지될 수 없다. 그러나, 정착 롤러 비급지부에서의 온도 상승은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에 의해 정확하게 검지 될 수 있다. 프린터 제어부(101)는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로부터 입력된 정착 롤러 비급지부의 온도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 제어를 수행한다. 즉, 프린터 제어부(101)는 정착 롤러 열원인 할로겐 히터(11c)에 전원 공급 또는 기록재의 반송 시간 간격 변경 제어와 같은 제어를 수행하여, 정착 롤러(11a)의 비급지 영역 폭(C)에 대응하는 부분의 온도가 소정의 허용 온도 이하가 되게 한다. 이는 장치의 열손실 등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측방향 편차를 갖는 화상 또는 결함이 있는 화상처럼 보이는 인쇄는 잘못 인쇄된 것이다.
또한, 프린터 제어부(101)는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TH2) 및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TH3)의 검지 온도 중에서, 일측의 검지 온도가 타측의 검지 온도보다 높고, 타측의 검지 온도가 중앙부 온도 검지부(TH1)의 검지 온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때, 급지부인 급지 트레이(8)에서 기록재의 정렬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기록재 셋팅 결함). 그 후, 프린터 제어부(101)는 프린터(100)의 인쇄 작동을 금지하고 호스트 장치(200)에 기록재 셋팅 결함이라는 경고를 표시한다. 이는 장치에 손상을 주지 않고 최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적절한 기록재 셋팅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19 및 도20에서 기록재의 셋팅 결함이 있는 경우에, 감광 드럼(1)에 대한 토너 화상의 형성은 기록재의 중앙 기준 반송에 대응하여 수행되는데 반하여, 프린터 내로 급지되어 반송된 실제 기록재는 중앙 통지 기준선(O)에서 좌측 또는 우측 편차가 있는 상태이므로, 기록재에 형성된 측방향 편차를 갖는 화상 또는 결함이 있는 화상인 잘못된 인쇄가 출력된다.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잘못된 인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 작동을 금지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4>
도21은 실시예4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1은 도14에서와 같은 실시예3의 프린터(100) 급지 트레이(8)로부터 배지 트레이까지의 기록재 반송로(14)의 개략적 전개 평면도이다. 실시예3의 프린터에서 사용되는 부재들 및 부분들은 동일한 도면 참조 숫자/부호로 주어지고 이들에 대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TH2) 및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TH3)는 중앙 통지 기준선(O)의 위치에 대하여 대칭 위치로 배치된다. 제어 수단 역할을 하는 프린터 제어부(101)는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TH2) 및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TH3)에 의해 검지 된 온도 중 가장 높은 단부 온도 검지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특징이 있다.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TH2) 및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TH3)는 중앙 통지 기준선(O)의 위치에 대하여 대칭 위치로 배치되어, 다양한 폭을 갖는 기록지 시트가 급지되어도 정착 롤러의 길이방향에서의 최고 온도를 정확하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각 종류의 용지 시트에 대하여 최대 인쇄 속도로 급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19 및 도20의 경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가 오프셋되어 있는 측부에 정렬된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TH2) 또는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TH3)는 급지 영역 내에 덮인다. 그러므로, 정착 롤러 비급지부에서의 온도 상승은 단부 온도 검지부에 의해 검지될 수 없다. 그러나, 정착 롤러 비급지부에서의 온도 상승은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에 의해 정확하게 검지 될 수 있다. 프린터 제어부(101)는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로부터 입력된 정착 롤러 비급지부의 온도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를 제어한다. 즉,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TH2) 및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TH3)에 의해 검지 된 온도 중 가장 높은 단부 온도 검지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장치를 제어한다. 특히, 프린터 제어부(101)는 정착 롤러 열원인 할로겐 히터(11c)에 전원 공급 또는 기록재의 반송 시간 간격 변경을 제어하여, 정착 롤러(11a)의 비급지 영역 폭(C)에 대응하는 부분의 온도가 소정의 허용 온도 이하가 되게 한다. 이는 장치의 열손실 등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측방향 편차를 갖는 화상 또는 결함이 있는 화상처럼 보이는 인쇄는 잘못 인쇄된 것이다.
또한, 프린터 제어부(101)는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TH2) 및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TH3)의 검지 온도 중에서, 일측의 검지 온도가 소정의 온도보다 높고, 타측의 검지 온도가 중앙부 온도 검지부(TH1)의 검지 온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때, 급지부인 급지 트레이(8)에서 기록재의 정렬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 후, 프린터 제어부(101)는 프린터(100)의 인쇄 작동을 금지하고 호스트 장치(200)에 기록재 셋팅 결함이라는 경고를 표시한다.
여기서, 전술한 실시예1 또는 실시예2에서, 장치는 복수의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TH2) 및 복수의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TH3)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에서, 정착 장치용으로 사용되는 가열 장치는 본 실시예의 가열 롤러 시스템의 가열 장치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4-4407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세라믹 히터를 사용하는 필름 가열 시스템의 가열 장치, 전자기 유도 가열 시스템의 가열장치 등이 선택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록재에 대한 미정착 화상의 화상 형성 시스템은 전사형 전자 사진 시스템에 제한되지 않으며, 직접형 전자 사진 시스템, 전사형 또는 직접형 정전 기록 시스템 및 자기 기록 시스템 등이 선택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재가 부정확하게 놓여있는 것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재의 급지를 위해서 중앙 통지 기준을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급지부에 기록재가 부정확하게 놓여있을 때 기록재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의 단부에서의 온도 상승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기록재에 있어서, 가열 수단의 단부에서의 온도 상승을 정확하게 검지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기록재가 급지부에 부정확하게 놓여있는 것을 원활하게 검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미정착 화상을 담지한 기록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부재를 가지며, 가열 부재의 길이방향 중심이 기록재의 반송 중심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이며,
    가열 부재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가 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반송 중심에 근접하여 배치된 중앙부 온도 검지부와,
    가열 부재의 단부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단부 온도 검지부와,
    기록재의 측방향 폭을 검출하기 위한 폭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폭 검출부는 상기 단부 온도 검지부가 기록재의 반송 중심 위치에 대하여 배치되는 측부의 대향 측부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폭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반송 중심 위치로부터 기록재 단부까지의 영역 내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폭 검출부가 반송 중심 위치로부터 기록재 단부까지의 영역 내에 배치되고, 복수의 폭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단부 온도 검지부 및 반송 중심 위치에 대하여 대칭 위치로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폭 검출부의 출력 및 단부 온도 검지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기록재가 정확하게 놓여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가열 부재 가열용 전원 공급 또는 기록재의 반송 간격을 제어하거나, 폭 검출부의 출력 및 단부 온도 검지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작동 정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미정착 화상을 담지한 기록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부재를 가지며, 가열 부재의 길이방향 중심이 기록재의 반송 중심이 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이며,
    반송 중심에 대응하거나 상기 반송 중심에 근접한 가열 부재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중앙부 온도 검지부와,
    가열 부재의 길이방향의 일측에서의 일단부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와,
    가열 부재의 길이방향의 타측에서의 타단부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와,
    중앙부 온도 검지부,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 및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가열 부재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 및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는 반송 중 심에 대하여 대칭 위치로 배치되며, 제어부는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 및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가장 높은 단부 온도 검지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세 개의 온도 검지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기록재가 정확하게 놓여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일측단부 온도 검지부 및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의 검지 온도 중에서, 일측의 검지 온도가 타측의 검지 온도보다 높고, 타측의 검지 온도가 중앙부 온도 검지부의 검지 온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때, 급지부상의 기록재의 정렬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가열 부재를 가열하기 위한 전원 공급 또는 기록재의 반송 간격을 제어하거나, 일측단부 또는 타측단부 온도 검지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작동 정지시키는 제어를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50083453A 2004-09-09 2005-09-08 화상 형성 장치 KR100631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62923A JP4827394B2 (ja) 2004-09-09 2004-09-09 画像形成装置
JPJP-P-2004-00262923 2004-09-09
JPJP-P-2004-00323639 2004-11-08
JP2004323639A JP4886185B2 (ja) 2004-11-08 2004-11-08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086A KR20060051086A (ko) 2006-05-19
KR100631456B1 true KR100631456B1 (ko) 2006-10-09

Family

ID=3524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453A KR100631456B1 (ko) 2004-09-09 2005-09-08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7397488B2 (ko)
EP (2) EP1635228B1 (ko)
KR (1) KR100631456B1 (ko)
DE (1) DE60200501316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7488B2 (en) 2004-09-09 2008-07-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4701050B2 (ja) * 2005-09-13 2011-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72439B2 (ja) * 2006-06-08 2012-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064816B2 (en) * 2008-03-26 2011-11-22 Lexmark International, Inc. Printer including a fuser assembly with backup member temperature sensor
US20090245838A1 (en) * 2008-03-26 2009-10-01 David William Shuman Fuser heater temperature control
JP2010107942A (ja) * 2008-09-30 2010-05-13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5473293B2 (ja) * 2008-10-28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1064773A (ja) * 2009-09-15 2011-03-31 Brother Industries Ltd 画像形成装置
JP5761157B2 (ja) * 2012-10-31 2015-08-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229660B2 (ja) 2017-11-21 2023-02-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883A (ja) 1989-06-16 1991-01-28 Hitachi Ltd 定着装置
JP2884714B2 (ja) 1990-06-11 1999-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JPH0482765A (ja) 1990-07-26 1992-03-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4136971A (ja) * 1990-09-28 1992-05-11 Ricoh Co Ltd 定着装置
JPH04322284A (ja) * 1991-04-22 1992-11-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580665A (ja) * 1991-09-24 1993-04-02 Canon Inc 像加熱装置
JP3491973B2 (ja) * 1994-06-24 2004-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加熱装置
JP3441820B2 (ja) * 1994-11-01 2003-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加熱装置
JPH0944026A (ja) * 1995-07-28 1997-02-14 Oki Data:Kk 定着温度制御装置
US5787321A (en) * 1996-02-09 1998-07-28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for fixing unit
JPH09281845A (ja) * 1996-04-09 1997-10-31 Ricoh Co Ltd 定着装置
JP2001075415A (ja) * 1999-09-02 2001-03-2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282036A (ja) 2000-03-31 2001-10-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2091226A (ja) 2000-09-13 2002-03-2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DE10065935A1 (de) * 2000-12-11 2002-07-04 Agfa Gevaert Ag Induktionsheizvorrichtung und-verfahren sowie Prozessor
GB0104503D0 (en) * 2001-02-23 2001-04-11 Shipley Co Llc Solvent swell for texturing resinous material and desmearing and removing resinous material
JP3814543B2 (ja) * 2001-02-23 2006-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JP2002296965A (ja) * 2001-03-30 2002-10-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720725B2 (ja) * 2001-04-17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785506B2 (en) * 2001-06-21 2004-08-31 Canon Kabushiki Kaisha Fixing member having layers with radiation-transmitting and radiation-absorbing properties, and a fixing assembly including such a fixing member
JP5054868B2 (ja) * 2001-07-03 2012-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81775B2 (ja) 2001-08-31 2011-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加熱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3186321A (ja) * 2001-10-09 2003-07-04 Canon Inc 像加熱装置
JP2003149984A (ja) 2001-11-13 2003-05-21 Canon Inc 定着装置の温度制御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3271004A (ja) 2002-03-14 2003-09-2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724999B2 (en) * 2002-04-22 2004-04-20 Kabushiki Kaisha Toshiba Fixing apparatus
JP2004006299A (ja) * 2002-04-22 2004-01-08 Canon Inc 基板に発熱抵抗体を有するヒータ及びこのヒータを用いた像加熱装置
JP2004109183A (ja) * 2002-09-13 2004-04-08 Hitachi Printing Solutions Ltd 連続用紙用電子写真印刷装置の定着装置
US7031624B2 (en) * 2002-10-21 2006-04-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lowering period in which the temperature of a fixing unit is reduced
US7010256B2 (en) * 2002-11-14 2006-03-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apparatus having recording medium conveying nip nonuniform in pressure distribution
JP4532989B2 (ja) * 2003-06-12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99176B2 (ja) * 2004-01-23 2010-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及びこの装置に用いられるヒータ
US7027749B2 (en) * 2004-02-24 2006-04-11 Kabushiki Kaisha Toshiba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397488B2 (en) 2004-09-09 2008-07-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50091B2 (en) 2010-01-19
EP1635228A3 (en) 2006-09-27
US7397488B2 (en) 2008-07-08
KR20060051086A (ko) 2006-05-19
US20060062610A1 (en) 2006-03-23
EP2045670A1 (en) 2009-04-08
DE602005013166D1 (de) 2009-04-23
US20080240803A1 (en) 2008-10-02
EP1635228B1 (en) 2009-03-11
US7890009B2 (en) 2011-02-15
EP1635228A2 (en) 2006-03-15
US20100080599A1 (en) 2010-04-01
EP2045670B1 (en)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1456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701050B2 (ja) 画像形成装置
US742121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28077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fixing control based on recording material type
US9977385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6801729B2 (en) Imaging apparatus with image fixing throughput control based on sheet siz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4847144B2 (ja) 画像形成装置
CN100412722C (zh) 图像形成装置
JP2006240831A (ja) シートサイズ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08932B2 (ja) 画像形成装置
JP6758996B2 (ja) 画像加熱装置
JP3501735B2 (ja) 画像形成装置
JP4886185B2 (ja) 画像形成装置
JP4684828B2 (ja) 画像形成装置
JP501681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29696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33031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5663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0330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066548A (ja) 定着装置
JP200700868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1523039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1258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