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125B1 - 시이트 접음 장치, 및 이 시이트 접음 장치를 이용하는시이트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이트 접음 장치, 및 이 시이트 접음 장치를 이용하는시이트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125B1
KR100614125B1 KR1020050040818A KR20050040818A KR100614125B1 KR 100614125 B1 KR100614125 B1 KR 100614125B1 KR 1020050040818 A KR1020050040818 A KR 1020050040818A KR 20050040818 A KR20050040818 A KR 20050040818A KR 100614125 B1 KR100614125 B1 KR 100614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olding
roller
discharge
sta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955A (ko
Inventor
신고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6004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18Oscillating or reciprocating blade f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7Deforming piles, e.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5Folding, unfolding
    • B65H2301/4505Folding bound sheets, e.g. stapl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8Form of handled article or web
    • B65H2701/182Piled package
    • B65H2701/1829Bound, bundled or stapled stacks or packages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왕복 진동 등을 시키지 않아도 간단하게 시이트의 단면을 정합시킬 수 있는 시이트 접음 장치, 시이트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이트 이송로와 시이트 이송 수단과 상기 이송로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접음 판과 한 쌍의 접음 롤러를 구비하고, 동시에 시이트 접음 시에 시이트를 지지하는 상기 이송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펜스와, 시이트를 가압 이송하는 이송 기구를 구비하는 시이트를 접는 시이트 접음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펜스를 시이트의 접음 위치가 접음 판의 위치보다 더욱 상기 이송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곳에 대기시키고, 상기 이송 기구의 가압이 해제되었을 때에 시이트를 접음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시이트 위치 조정 수단, 접음 판, 접음 롤러, 시이트 후처리 장치, 화상 형성 장치

Description

시이트 접음 장치, 및 이 시이트 접음 장치를 이용하는 시이트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SHEET FOLDING DEVICE,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INCLUDING THE SHEET FOLD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후처리 장치를 주로 나타내는 시이트 처리 장치와 화상 형성 장치로 이루어지는 화상 처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후처리 장치의 시프트 기구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주요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후처리 장치의 시프트 트레이 승강 기구의 주요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후처리 장치의 시프트 트레이에 대한 배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후처리 장치의 스태플 처리부를 시이트 이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후처리 장치의 스태플 처리부와 그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후처리 장치의 시이트 묶음의 방출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후처리 장치의 단부 스태플의 스태플러를 이동 기구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단부 스태플 스태플러의 경사 회전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후처리 장치의 시이트 묶음 편향 기구의 동작 설명도로서, 시이트 또는 시이트 묶음을 시프트 트레이로 배출 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후처리 장치의 시이트 묶음 편향 기구의 동작 설명도로, 도 10 상태로부터 분기 안내판이 방출 롤러 측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후처리 장치의 시이트 묶음 편향 기구의 동작 설명도로, 도 11 상태로부터 가동 안내판가 분기 안내판 측으로 회전하여 중간 접음 처리부 측으로 시이트 묶음을 편향시키는 경로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후처리 장치의 접음 판 이동 기구의 동작 설명도로, 중간 접음 동작에 들어가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후처리 장치의 접음 판 이동 기구의 동작 설명도로, 중간 접음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후처리 장치의 스태플 처리부와 중간 접음 처리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후처리 장치의 제어 회로를 화상 형성 장치와 함께 나타낸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처리 장치의 스태플 처리부에서 시이트 묶음의 중간부 스태플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처리 장치의 스태플 처리부로부터 중간 접음 처리부로 시이트 묶음을 이송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처리 장치의 스태플 처리부로부터 중간 접음 처리부로 시이트 묶음이 이송되었을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처리 장치의 스태플 처리부로부터 중간 접음 처리부로 시이트 묶음이 이송되었을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처리 장치 중간 접음 처리부에서 묶음 이송 롤러의 가압력이 해제되어 가동 후단 펜스에 의해 접음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처리 장치 중간 접음 처리부에서 시이트 묶음이 접음 판에 의해 접음 롤러의 닙부로 삽입되어 접어질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처리 장치 중간 접음 처리부에서 시이트 묶음이 접음 롤러로 접어질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처리 장치 중간 접음 처리부에서 시이트 묶음이 접음 롤러로 접어져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동작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26a, 2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 후단 펜스의 구동 기구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로서, 도 26a는 시이트 후처리 장치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26b는 도 26a의 측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롤러 요동 모터의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2  방출 벨트
54  분기 안내판
55  가동 안내판
56  방출 롤러
57  가압 롤러
71  묶음 이송 위 롤러
72  묶음 이송 아래 롤러
73  가동 후단 펜스
74  접음 판
81 접음 롤러
157 방출 모터
161  묶음 분기 구동 모터
166  접음 판 구동 모터
350  제어 장치
360  CPU
370  I/O 인터페이스
F 스태플 처리부
G 중간 접음 처리부
PD 시이트 후처리 장치
PR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은 화상 형성을 끝낸 시이트(기록 매체)에 대하여 접음 처리를 수행하는 시이트 접음 장치, 시이트에 대하여 상기 시이트 접음 장치에 의한 접음 처리를 포함한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여 배출하는 시이트 처리 장치, 및 이 시이트 처리 장치를 일체 또는 별체로 마련한 복사기, 프린터, 인쇄기 등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프린터 등 화상 출력 장치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출력되는 기록지에 스태플 처리 등을 수행하는 후처리 장치는 널리 알려져 있지만, 요즈음 그 기능이 다기능화되어 종래의 단부(端部) 스태플에 더하여 중간부 스태플 처리도 가능한 것이 고안되어 있다. 중간부 스태플에 대해서는 중간 접음을 실행한 후, 간이적인 제본(製本)까지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시이트 처리 장치에서는 접음 수단으로서 롤러쌍을 이용하고, 상기 롤러쌍 사이에 시이트 묶음을 통과시켜 롤러의 닙부로 강제적으로 접음으로써 시이트 묶음의 반접음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간이적인 제본까지 실시하면, 묶음을 접었을 때의 끝부분이 가지런하지 않아 시이트 정렬의 정밀도가 문제로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끝부분이란, 시이트 묶음의 접음 부분을 제외한 3면의 끝을 가리키며, 책을 펼치는 쪽의 재단 부분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나아가, 시이트 묶음의 끝부분이 정합된 제본으로 마무리하는 공지의 기술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1-146363호에 개시된 발명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접음 처리부로 이송되어 온 시이트 묶음의 이송 방향 선단부를 접음부 스토퍼에 접촉시키는 타이밍에 맞추어 구동 수단에 의해 접음부 스토퍼를 시이트 묶음의 이송 방향으로 왕복 진동시킴으로써 접음 처리부로 이송되어 오는 시이트 묶음의 시이트들이 고르지 않아도 이 고르지 않은 시이트 묶음을 위치 결정 부재의 진동에 의해 교정하여 확실하게 시이트를 정렬시킨 후, 접음 처리함으로써 시이트 끝부분이 가지런한 제본으로 완성시켜 제품 품위를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공개 공보 2001-146363호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접음부 스토퍼에 접촉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구동 수단에 의해 접음부 스토퍼를 시이트 묶음의 이송 방향으로 왕복 진동시켜 끝 면을 가지런히 하고 있지만, 이와 같이 하게 되면 시간이 여분으로 걸리고, 또 기구도 복잡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특별히 왕복 진동 등을 수행하지 않아도 간단하게 시이트의 단면을 가지런히 할 수 있는 시이트 접음 장치, 시이트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이트 이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돌출되고, 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시이트에 접이 금을 내는 접음 판과, 상기 접음 판에 의해 형성된 접이 금 부분을 닙부에 삽입시켜 시이트를 접는 접음 롤러와, 상기 시이트를 지지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접음 판에 의한 접음 위치를 조정하는 시이트 위치 조정 수단과, 상기 시이트를 가압하여 상기 시이트 위치 조정 수단 측으로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구비하는 시이트 접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음 판에 의한 접음 위치보다 더 시이트 이송 방향 하류 측에 상기 시이트 위치 조정 수단을 대기시키고, 상기 이송 수단의 가압이 해제된 후, 상기 시이트 위치 조정 수단을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접음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송 수단은 중력 방향을 따라 마련된 이송로를 따라 상기 시이 트를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접음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이트가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되어 접음 위치까지 도달한 후, 상기 이송 수단의 가압력을 해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접음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압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시이트와 상기 시이트 위치 조정 수단의 사이에는 간격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시이트는 자유 낙하에 의해 상기 시이트 위치 조정 수단과 충돌하여 시이트 조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접음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자유 낙하하는 거리는 시이트 사이즈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접음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이송 수단의 가압력이 해제된 후, 상기 시이트 위치 조정 수단에 의해 상기 시이트를 접음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접음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 수단은 펄스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접음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7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시이트 접음 장치와, 적어도 스태플 처리 장치, 분류 처리 장치, 펀치 처리 장치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청구항 1 내지 7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시이트 접음 장치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나아가,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시이트 위치 조정 수단은 가동 후단 펜스(73)에, 구동 수단은 가동 후단 펜스를 구동하는 모터에, 제어 수단은 CPU(360)에 각각 대응한다.
실시예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처리 장치로서의 시이트 후처리 장치(PD)와 복사기, 프린터 등 화상 형성 장치(PR)로 이루어지는 화상 형성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에서는 시이트 후처리 장치(PD)의 전체와 화상 형성 장치(PR)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시이트 후처리 장치(PD)는 화상 형성 장치(PR)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고, 화상 형성 장치(PR)로부터 배출된 시이트(기록 매체)가 시이트 후처리 장치(PD)로 유도된다. 시이트 후처리 장치(PD)에서는 1매의 시이트에 후처리를 실시하는 후처리 수단(여기에서는 천공 수단으로서의 펀치 유닛(100)을 가리킴)을 포함하는 이송로(A), 이 이송로(A)를 통하여 위쪽 트레이(201)로 유도하는 이송로(B), 시프트 트레이(202)로 유도하는 이송로(C), 정합 및 스태플 등을 실시하는 처리부(F)(이하, 스태플 처리부라고 함)로 유도하는 이송로(D)로 각각 분기톱(15) 및 분기톱(16)에 의해 상기 시이트를 배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송로(A) 및 이송로(D)를 지나 스태플 처리부(F)로 유도된 후, 스태플 처리부에서 정합 및 스태플 등이 실시된 시이트를 편향 수단인 분기 안내판(54)과 가동 안내판(55)에 의해 시프트 트레이(202)로 유도하는 이송로(C), 접음 등을 수행하는 처리부(G)(이하, 중간 접음 처리부라고 함)로 배분하도록 하고, 상기 중간 접음 처리부(G)에서 접음 등이 실시된 시이트는 이송로(H)를 통하여 아래 트레이(203)로 유도된다. 또, 이송로(D) 내에는 분기톱(17)이 배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는 저하중 스프링에 의해 도면에 나타낸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며, 시이트 후단이 이 분기톱(17)을 통과한 후, 이송 롤러(9, 10), 스태플 시이트 배출 롤러(11) 중 적어도 이송 롤러(9)를 역전시켜 프리 적재 롤러(8)에 의해 시이트 후단을 시이트 수용부(E)로 유도하여 체류시킨 후, 다음 시이트와 중첩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2매 이상의 시이트를 중첩 이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송로(B), 이송로(C) 및 이송로(D)의 상류에 위치하고 또한 각자에 대하여 공통되는 이송로(A)에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접수하는 시이트를 검출하는 입구 센서(301), 그 하류에 입구 롤러(1), 펀치 유닛(100), 펀치 쓰레기 호퍼(101), 이송 롤러(2), 분기톱(15) 및 분기톱(16)이 순차로 배치되어 있다. 분기톱(15), 분기톱(16)은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도 1의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는 솔레노이드를 온(ON)함으로써 분기톱(15)은 상부로, 분기톱(16)은 하부로 각각 회전하여 시이트를 이송로(B), 이송로(C) 또는 이송로(D)로 배분한다.
이송로(B)로 시이트를 유도하는 경우에는 분기톱(15)은 도 1의 상태로 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는 오프(OFF)로 되며, 이송로(C)로 시이트를 유도하는 경우에는 도 1 상태로부터 상기 솔레노이드를 온(ON)함으로써 분기톱(15)은 위쪽으로, 분기톱(16)은 아래쪽으로 각각 회전한 상태로 되며, 이송로(D)로 시이트를 유도하는 경우에는 분기톱(16)은 도 1의 상태로 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는 오프로 되며, 분기톱 (15)은 도 1 상태로부터 상기 솔레노이드를 온함으로써 위쪽으로 회전한 상태로 된다.
이 시이트 후처리 장치에서는 시이트에 대하여 예컨대 아래와 같은 각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1.펀치 유닛(100)을 이용하는 천공 처리
2. 조거 펜스(53)와 단부 스태플러(S1)를 이용하는 시이트 정렬 및 단부 스태플 처리
3. 조거 펜스(53)와 중간부 스태플러(S2)을 이용하는 시이트 정렬 및 중간부 스태플 처리
4. 시프트 트레이(202)를 이용하는 시프트 분류 처리
5. 접음 판(74)과 접음 롤러(81)를 이용하는 중간 접음 처리등 각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아래에 각 처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시프트 트레이부>
이 시이트 후처리 장치(PD)의 최하류부에 위치하는 시프트 트레이 배출부(I)는 시프트 배출 롤러(6)와, 복귀 롤러(13)와, 시이트면 검지 센서(330)와, 시프트 트레이(202)와, 도 2에 나타내는 시프트 기구(J)와, 도 3에 나타내는 시프트 트레이 승강 기구(K)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도 2는 시프트 기구(J)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시프트 트레이 승강 기구(K)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에 있어서, 부호 13은 시프트 배출 롤러(6)로부터 배출된 시이트와 접촉하여 상기 시이트 후단을 도 2에 나타내는 엔드 펜스(32)에 충돌시켜 후단을 가지런히 하기 위한 스펀지제의 복귀 롤러를 나타낸다. 이 복귀 롤러(13)는 시프트 배출 롤러(6)의 회전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귀 롤러(13)의 근처에는 트레이 상승 제한 스위치(333)(도 3 참조)가 설치되어 있고, 시프트 트레이(202)가 상승하여 복귀 롤러(13)를 밀어 올리면, 상기 트레이 상승 제한 스위치(333)가 온되어 트레이 승강 모터(168)가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시프트 트레이(202)의 오버 런(overrun)이 방지된다. 또, 복귀 롤러(13)의 근처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프트 트레이(202) 상으로 배출된 시이트 또는 시이트 묶음의 시이트면 위치를 검지하는 시이트면 위치 검지 수단으로서의 시이트면 검지 센서(3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상세하게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시이트면 검지 센서(330)는 도 3에 나타내는 시이트면 검지 레버(30)와 시이트면 검지 센서(스태플용)(330a)와 시이트면 검지 센서(논스태플용)(330b)로 구성되어 있다. 시이트면 검지 레버(30)는 레버의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프트 트레이(202)에 적재된 시이트의 후단 표면에 접촉하는 접촉부(30a)와 선형(扇形)의 가림부(30b)를 구비하고 있다. 위쪽에 위치하는 시이트면 검지 센서(스태플용)(330a)는 주로 스태플 배출 제어에 이용되고, 시이트면 검지 센서(논스태플용)(330b)는 주로 시프트 배출 제어에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이트면 검지 센서(스태플용)(330a) 및 시이트면 검지 센 서(논스태플용)(330b)는 가림부(30b)에 의해 차단되었을 때에 온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시프트 트레이(202)가 상승하여 시이트면 검지 레버(30)의 접촉부(30a)가 위쪽으로 회전하면, 시이트면 검지 센서(스태플용)(330a)가 오프하고, 한층 더 회전하면 시이트면 검지 센서(논스태플용)(330b)가 온한다. 시이트의 적재량이 소정 높이에 이른 것이 시이트면 검지 센서(스태플용)(330a)와 시이트면 검지 센서(논스태플용)(330b)에 의해 검지되면, 시프트 트레이(202)는 트레이 승강 모터(168)의 구동에 의해 소정량 하강한다. 이것에 의해 시프트 트레이(202)의 시이트면 위치는 대략 일정하게 유지된다.
<<시프트 트레이의 승강 기구>>
아래에, 시프트 트레이(202)의 승강기 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프트 트레이(202)는 구동 유닛(L)에 의해 구동축(21)이 구동됨으로써 승강한다. 구동축(21)과 종동축(22)의 사이에는 타이밍 벨트(23)가 타이밍 풀리를 통하여 팽팽하게 씌워져 있고, 이 타이밍 벨트(23)에 시프트 트레이(202)를 지지하는 측판(24)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시프트 트레이(202)를 포함한 유닛이 상하로 승강할 수 있게 된다.
구동 유닛(L)은 트레이 승강 모터(168)와 웜 기어(25)로 구성되고, 구동원으로서의 정역전 가능한 트레이 승강 모터(168)에서 발생한 동력이 웜 기어(25)를 통하여 구동축(21)에 고정된 기어열의 최종 기어에 전달되어 시프트 트레이(20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동력 전달 계통이 웜 기어(25)를 개재하고 있기 때문에, 시프트 트레이(202)를 일정 위치에 유지할 수 있고, 이 기어 구성에 의해 시프트 트레이(202)의 불의의 낙하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시프트 트레이(202)의 측판(24)에는 가림판(24a)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적재 시이트가 가득 찬 것을 검출하는 검지 센서(334)와 하한 위치를 검출하는 하한 센서(335)가 배치되어 있으며, 가림판(24a)에 의해 검지 센서(334)와 하한 센서(335)가 온렛의졔풩돈 되어 있다. 검지 센서(334)와 하한 센서(335)는 포토 센서이며, 가림판(24a)에 의해 차단되었을 때에 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 시프트 배출 롤러(6)는 생략되어 있다.
시프트 트레이(202)의 요동(시프트) 기구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프트 모터(169)와 시프트 캠(31)으로 구성되고, 시프트 모터(169)를 구동원으로서 시프트 캠(31)을 회전시킴으로써 시프트 트레이(202)는 시이트 배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시프트 캠(31)에는 회전축 중심으로부터 일정량 떨어진 위치에 핀(31a)이 시프트 캠(31)에 대하여 직립 설치되고, 그 핀(31a)의 타단부는 엔드 펜스(32)의 결합 부재(32a)의 긴 구멍부(32b)에 유동 가능토록 삽입되어 있다. 결합 부재(32a)는 엔드 펜스(32)의 뒷면(시프트 트레이(202)가 위치하지 않는 쪽의 면)에 고정되어 상기 시프트 캠(31)의 핀(31a) 회전 위치에 따라 시이트 배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이것에 따라 시프트 트레이(202)도 시이트 배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시프트 트레이(202)는 도 1에서 앞쪽과 안쪽의 2개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고(도 2의 시프트 캠(31)의 확대도에 대응), 그 정지 제어는 시프트 캠(31)의 노치를 시프트 센서(336)에 의해 검출하고, 이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시프트 모터(169)를 온(ON), 오프(OFF) 제어함으로 써 수행된다.
엔드 펜스(32)의 앞면 측에는 상기 시프트 트레이(202)의 안내판용 긴 돌기(32c)가 설치되고, 시프트 트레이(202)의 후단부가 이 긴 돌기(32c)에 상하 이동 자유롭게 삽입되며, 이것에 의해 시프트 트레이(202)는 상하 이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엔드 펜스(32)에 지지된다. 나아가, 엔드 펜스(32)는 시프트 트레이(202) 상의 적재 시이트 후단을 안내하여 후단을 정합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시이트 배출부>>
도 4는 시프트 트레이(202)로 시이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에 있어서, 시프트 배출 롤러(6)는 구동 롤러(6a)와 종동 롤러(6b)를 구비하고, 종동 롤러(6b)는 시이트 배출 방향 상류측이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요동 자유롭게 설치된 개폐 안내판(33)의 자유 단부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종동 롤러(6b)는 자중 또는 부가되는 세력에 의해 구동 롤러(6a)에 접촉하고, 시이트는 양 롤러(6a, 6b) 사이로 배출된다. 스태플 처리된 시이트 묶음이 배출될 때에는 개폐 안내판(33)이 위쪽으로 끌어 올려지고, 소정의 타이밍 후 복귀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타이밍은 시프트 배출 센서(303)의 검지 신호에 따라 결정된다. 그 정지 위치는 배출 안내판 개폐 센서(331)의 검지 신호에 따라 결정되고 배출 안내판 개폐 모터(167)에 의해 구동된다. 나아가 배출 안내판 개폐 모터(167)는 배출 안내판 개폐 제한 스위치(332)의 온 오프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스태플 처리부>
<<스태플 처리부의 전체 구성>>
아래에, 스태플 처리를 수행하는 스태플 처리부(F)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이 스태플 처리부(F)를 시이트 이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 도 6은 스태플 처리부(F)의 스태플 처리 트레이(500)와 그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시이트 묶음의 방출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플 시이트 배출 롤러(11)에 의해 스태플 처리부(F)로 유도된 시이트는 스태플 처리 트레이(500) 상에 순차로 적재된다. 이 경우, 매 시이트마다 충돌 롤러(12)에 의해 종방향(시이트 이송 방향)의 정합을 수행하고, 조거 펜스(53)에 의해 횡방향(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시이트 폭 방향이라 함)의 정합을 수행한다. 작업과 작업 사이, 즉, 시이트 묶음의 최종 시이트로부터 다음 시이트 묶음 선두 시이트까지의 사이에 제어 장치(도 16 참조)로부터의 스태플 신호에 따라 단부 스태플러(S1)가 구동되어 스태플 처리를 수행한다. 스태플 처리된 시이트 묶음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출톱(52a)이 돌출되게 설치된 방출 벨트(52)에 의해 시프트 배출 롤러(6)로 이송되어 시이트 받이 위치에 세트되어 있는 시프트 트레이(202)로 배출된다.
<<시이트 방출 기구>>
방출톱(52a)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출 벨트 홈 포지션 센서(311)에 의해 그 홈 포지션이 검지되도록 되어 있고, 이 방출 벨트 홈 포지션 센서(311)는 방출 벨트(52)에 설치된 방출톱(52a)에 의해 온렛의졔홱 . 이 방출 벨트(52)의 외주 상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2개의 방출톱(52a, 52b)이 배치되어 스태플 처리부(F)의 트레이(500)에 수용된 시이트 묶음을 교대로 이송시킨다. 또 필요에 따라 방출 벨트(52)를 역회전하여 지금부터 시이트 묶음을 이동하고자 대기 중인 방출톱(52a)과 대향측 방출톱(52b)의 뒷면으로 스태플 처리 트레이(500)에 수용된 시이트 묶음의 이송 방향 선단을 가지런히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방출톱(52a, 52b)은 시이트 묶음의 시이트 이송 방향 정합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출 모터(157)에 의해 구동되는 방출 벨트(52)의 구동 축에는 시이트 폭 방향의 정합 중심에 방출 벨트(52)와 그 구동 풀리(62)가 배치되고 구동 풀리(62)에 대하여 대칭으로 방출 롤러(5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방출 롤러(56)의 주속은 방출 벨트(52)의 주속보다 빨라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처리 기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돌 롤러(12)는 지지점(12a)을 중심으로 충돌 솔레노이드(170)에 의해 진자 운동이 부여되어 스태플 처리 트레이(500)로 이송되어 오는 시이트에 간헐적으로 작용하여 시이트를 후단 펜스(51)에 부딪히게 한다. 여기서, 충돌 롤러(12)는 역시계 바늘 방향으로 회전한다.
조거 펜스(53)는 정역전 가능한 조거 모터(158)에 의해 타이밍 벨트를 통하여 구동됨으로써 시이트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단부 스태플러(S1)는 도 8의 스태플러(S1)와 이동 기구를 함께 나타낸 사시 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정역전 가능한 스태플 이동 모터(159)에 의해 타이밍 벨트를 통하여 구동되어 시이트 단부의 소정 위치를 철하기 위하여 시이트 폭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이동 범위의 일측단에는 단부 스태플러(S1)의 홈 포지션을 검출하는 스태플 이동 홈 포지션 센서(312)가 설치되어 있고, 시이트 폭 방향의 스태플 위치는 상기 홈 포지션으로부터의 단부 스태플러(S1) 이동량에 의해 제어된다. 단부 스태플러(S1)는 도 9의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을 찍는 각도를 시이트 단부와 평행 또는 경사지게 변경할 수 있도록 스태플러(S1) 전체를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홈 포지션 위치에서 스태플러(S1)가 스태플 기구부만을 소정 각도 경사지게 회전시켜 스태플 침 교환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스태플러(S1)는 경사 모터(160)에 의해 경사 회전하여 침 교환 위치 센서(313)에 의해 소정의 경사 각도에 이른 것이 검출되거나, 또는 상기 침 교환 위치까지 이른 것이 검출되면, 경사 모터(160)를 정지시킨다. 경사 스태플이 종료하거나, 또는 침 교환이 종료하면, 원래의 위치까지 복귀되어 다음의 스태플에 대비한다.
중간부 스태플러(S2)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단 펜스(51)로부터 중간부 스태플러(S2)의 스태플 위치까지의 거리가 중간부 스태플이 가능한 최대 시이트 사이즈의 이송 방향 길이 절반에 상당하는 거리 이상이 되도록 배치되는 한편, 시이트 폭 방향의 정합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2개 배치되되록 고정부(63)에 고정되어 있다. 중간부 스태플러(S2) 자체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중간부 스태플을 실시하는 경우, 조거 펜스(53)로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시이트를 정렬하고, 후단 펜스(51)와 충돌 롤러(5) 로 시이트 이송 방향으로 시이트를 정렬한 후, 방출 벨트(52)를 구동하여 방출톱(52a, 52b)에 의해 시이트 묶음의 후단부를 들어 올리며, 중간부 스태플러(S2)의 스태플 위치에 시이트 묶음 이송 방향의 중앙부가 위치하도록 정지시킨 후 스태플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철해진 시이트 묶음은 중간접음 처리부(G) 측으로 이송되어 중간 접음이 수행된다.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나아가, 도 5 중 부호 64a는 앞측판, 64b는 뒷측판이며, 부호 310은 스태플 처리부(F)의 시이트 유무를 검출하는 시이트 유무 센서이다.
<<시이트 묶음 편향 기구>>
상기 스태플 처리부(F)에서 중간부 스태플이 실시된 시이트 묶음은 시이트 중앙부에서 중간 접음이 수행된다. 이 중간 접음은 중간 접음 처리부(G)에서 수행된다. 이 때문에, 철해진 시이트 묶음을 중간 접음 처리부(G)로 이송할 필요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태플 처리부(F)의 이송 방향 최하류측에 시이트 묶음 편향 수단이 설치되어 중간 접음 처리부(G) 측으로 시이트 묶음을 이송한다.
시이트 묶음 편향 기구는 도 1 및 도 15의 스태플 처리부(F)와 중간 접음 처리부(G)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기 안내판(54)과 가동 안내판(55)으로 이루어진다. 분기 안내판(54)은 도 10 내지 도 12의 동작 설명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점(54a)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요동 자유롭게 설치되고, 그 하류 측에 회전 자유로운 가압 롤러(57)가 설치되어 스프링(58)에 의해 방출 롤러(56) 측으로 가압된다. 또, 분기 안내판(54)의 위치는 묶음 분기 구동 모터(161)로부터 구동 힘을 부여받아 회전하는 캠(61)의 캠면(61a)과의 접촉 위치에 의해 규정된다.
가동 안내판(55)은 방출 롤러(56)의 회전축에 요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가동 안내판(55)의 일단(분기 안내판(54)의 반대측 단부)에는 연결부(60a)로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링크 아암(60)이 설치되어 있다. 링크 아암(60)은 도 5에 나타내는 앞측판(64a)에 고정된 축이 긴 구멍부(60b)에 유동 가능토록 삽입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가동 안내판(55)의 요동 범위는 규제된다. 또, 스프링(59)에 의해 하부로 힘을 부여받음으로써 도 10의 위치로 유지된다. 또한, 묶음 분기 구동 모터(161)로부터 구동 힘을 부여받아 회전하는 캠(61)의 캠면(61b)에 의해 링크 아암(60)이 밀리면, 연결되어 있는 가동 안내판(55)은 위쪽으로 회전한다.
묶음 분기 안내판 홈 포지션 센서(315)는 캠(61)의 가림부(61c)를 검지하여 캠(61)의 홈 포지션을 검지한다. 이것에 의해 캠(61)은 그 홈 포지션을 기준으로서 묶음 분기 구동 모터(161)의 구동 펄스를 카운트함으로써 정지 위치의 제어를 수행한다.
도 10은 캠(61)이 홈 포지션에 위치했을 때의 분기 안내판(54)과 가동 안내판(55)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가동 안내판(55)의 안내면(55a)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프트 배출 롤러(6)를 향한 경로로 시이트를 안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도 11은 캠(61)이 회전함으로써 분기 안내판(54)이 지지점(54a)을 중심으로 도면에서 역시계 바늘 방향(하부)으로 회전하여 가압 롤러(57)가 방출 롤러(56) 측에 접촉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2는 캠(61)이 더 회전함으로써 가동 안내판(55)이 도면에서 시계 바늘 방향(위쪽)으로 회전하여 시이트를 스태플 처리부(F)로부터 중간 접음 처리부(G)로 유도하는 경로를 분기 안내판(54)과 가동 안내판(55)에 의해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분기 안내판(54)과 가동 안내판(55)은 1개의 구동 모터에 의해 동작하지만, 각자에 구동 모터를 마련하여 시이트 사이즈나 스태플 매수에 따라 이동 타이밍이나 정지 위치를 제어 가능토록 구성하여도 좋다.
<<중간 접음 처리부>>
도 13 및 도 14는 중간 접음 처리부(G)에서 중간 접음을 수행하기 위한 접음 판(74) 이동 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다.
접음 판(74)은 각각 전후 측판(64a, 64b)에 설치된 2개의 축(64c)에 긴 구멍부(74a)를 유동 가능토록 삽입함으로써 지지되어 있고, 또한 접음 판(74)으로부터 직립 설치된 축부(74b)가 링크 아암(76)의 긴 구멍부(76b)에 유동 가능토록 삽입되어 링크 아암(76)이 지지점(76a)을 중심으로 요동함으로써 접음 판(74)이 도 13 및 도 14에서 좌우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링크 아암(76)의 긴 구멍부(76c)에 접음 판 구동 캠(75)의 축부(75b)가 유동 가능토록 삽입되어 있고, 접음 판 구동 캠(75)의 회전 운동에 따라 링크 아암(76)이 요동함으로써, 도 15에서 접음 판(74)이 묶음 이송 아래 안내판(91) 및 묶음 이송 위 안내판(92)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접음 판 구동 캠(75)은 접음 판 구동 모터(166)에 의해 도 13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정지 위치는 반달 형상의 가림부(75a)의 양단부를 접음 판 홈 포지션 센서(325)에 의해 검지함으로써 결정된다.
도 13은 중간 접음 처리부(G)의 시이트 묶음 수납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후퇴한 홈 포지션 위치를 나타낸다. 접음 판 구동 캠(75)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접음 판(74)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중간 접음 처리부(G)의 시이트 묶음 수납 영역으로 돌출된다. 도 14는 중간 접음 처리부(G)의 시이트 묶음 중앙을 접음 롤러(81)(도 15 참조)의 닙부로 밀어넣는 위치를 나타낸다. 접음 판 구동 캠(75)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접음 판(74)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중간 접음 처리부(G)의 시이트 묶음 수납 영역으로부터 후퇴한다.
나아가, 이 실시예에서는 중간 접음에 대해서는 시이트 묶음을 접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1매의 시이트를 접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1매이므로 중간부 스태플이 불필요하므로 1매 배출된 시점에서 중간 접음 처리부(G) 측으로 보내어 접음 판(74)과 접음 롤러에 의해 접음 처리를 실행하여 아래 트레이(203)로 배출하도록 한다.
<제어장치>
제어 장치(350)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360), I/O 인터페이스(370) 등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고, 화상 형성 장치(PR)의 본체 제어 패널의 각 스위치, 및 도 1 내지 도 15에 나타낸 입구 센서(301), 위 배출 센서(302), 시프트 배출 센서(303), 프리 적재 센서(304), 스태플 배출 센서(305), 시이트 유무 센서(310), 방출 벨트 홈 포지션 센서(311), 스태플 이동 홈 포지션 센서(312), 스태플 경사 홈 포지션 센서(313), 조거 펜스 홈 포지션 센서, 묶음 분기 안내판 홈 포지션 센서(315), 묶음 도달 센서(321), 가동 후단 펜스 홈 포지션 센서(322), 접음부 통과 센서(323), 접음 판 홈 포지션 센서(325), 시이트면 검지 센서(330, 330a, 330b), 배출 안내판 개폐 센서(331), 접음 검지 센서(601)(후술하는 제4 실시예) 등 각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I/O 인터페이스(370)를 통하여 CPU(360)에 입력된다.
CPU(360)는 입력된 신호에 근거하여 도 1 내지 도 15에 나타낸 시프트 트레이(202)용의 트레이 승강 모터(168), 개폐 안내판을 개폐하는 배출 안내판 개폐 모터(167), 시프트 트레이(202)를 이동하는 시프트 모터(169), 충돌 롤러(12)를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는 충돌 롤러 모터, 충돌 솔레노이드(170) 등의 각 솔레노이드, 각 이송 롤러를 구동하는 이송 모터, 각 배출 롤러를 구동하는 배출 모터, 방출 벨트(52)를 구동하는 방출 모터(157), 단부 스태플러(S1)를 이동하는 스태플 이동 모터(159), 단부 스태플러(S1)를 경사지게 회전시키는 경사 모터(160), 조거 펜스(53)를 이동하는 조거 모터(158), 분기 안내판(54) 및 가동 안내판(55)을 회전하는 묶음 분기 구동 모터(161), 그 묶음을 이송하는 이송 롤러를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는 묶음 이송 모터, 가동 후단 펜스(73)를 이동시키는 도시하지 않는 후단 펜스 이동 모터, 접음 판(74)을 이동시키는 접음 판 구동 모터(166), 접음 롤러(81a, 81b)를 구동하는 접음 롤러 구동 모터(164), 접음 해제 구동 모터(700)(후술하는 제2 실시예) 등의 구동을 제어한다. 스태플 배출 롤러를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는 스태플 이송 모터의 펄스 신호는 CPU(360)에 입력되어 카운트되고 이 카운트에 따라 충돌 솔레노이드(170) 및 조거 모터(158)가 제어된다.
나아가, 접음 롤러 구동 모터는 스텝 모터로 구성되고, CPU(360)로부터 모터 드라이버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I/O 인터페이스(370)와 모터 드라이버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제어된다.
또, 펀치 유닛(100)도 클러치나 모터를 제어하여 CPU(360)의 지시에 따라 천공을 실행한다.
나아가, 시이트 후처리 장치(PD)의 제어는 상기 CPU(360)가 도시하지 않는 ROM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도시하지 않는 RAM을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하여 실행함으로써 수행된다.
<시이트 후처리 장치 동작>
이하, 상기 CPU(360)에 의해 실행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후처리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처리 모드에 따라 아래와 같은 배출 형태를 취한다.
1) 논스태플 모드 A
2) 논스태플 모드 B
3) 분류, 적재 모드
4) 스태플 모드
5) 중간부 스태플 제본 모드
6) 간이 제본 모드
이하, 각 모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논스태플 모드 A:
이 모드는 이송로(A)로부터 이송로(B)를 거쳐 위쪽 트레이(201)로 시이트를 철하지 않고 배출하는 모드이다. 이 모드에서는 분기톱(15)이 도 1에서 시계 바늘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로(B) 측이 개방된 상태로 된다.
이 모드에서는 동작이 개시하여 시이트가 화상 형성 장치(PR) 측으로부터 시이트 후처리 장치(PD)로 반입되는 상태로 되면, 시이트 후처리 장치(PD)의 이송로(A)의 입구 롤러(1) 및 이송 롤러(2), 이송로(B)의 이송 롤러(3) 및 위 배출 롤러(4)가 각각 회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입구 센서(301)의 온, 오프와 위 배출 센서(302)의 온, 오프를 확인하고 시이트의 통과를 확인하며 최종 시이트가 통과하여 소정 시간 경과하면, 상기 각 롤러, 즉, 입구 롤러(1), 이송 롤러(2), 이송 롤러(3) 및 위 배출 롤러(4)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PR)로부터 반입되어 온 시이트를 모두 위쪽 트레이(201)로 철하지 않고 배출하여 적재한다. 나아가 이 실시예에서는 펀치 유닛(100)이 입구 롤러(1)와 이송 롤러(2)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사이에서 펀치 유닛(100)에 의해 천공할 수도 있다.
2) 논스태플 모드 B:
이 모드는 시이트를 철하지 않고 이송로(A)로부터 이송로(C)를 거쳐 시프트 트레이(202)로 배출하는 모드이다. 이 모드에서는 분기톱(15)이 역시계 바늘 방향으로, 분기톱(16)이 시계 바늘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여 이송로(C)가 개방된 상태로 된다.
이 모드에서는 동작이 개시하여 시이트가 화상 형성 장치(PR) 측으로부터 시이트 후처리 장치(PD)로 반입되는 상태로 되면, 시이트 후처리 장치(PD)의 이송로 (A)의 입구 롤러(1) 및 이송 롤러(2), 이송로(C)의 이송 롤러(5) 및 시프트 배출 롤러(6)가 각각 회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분기톱(15) 및 분기톱(16)을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온하여 분기톱(15)을 역시계 바늘 방향으로, 분기톱(16)을 시계 바늘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킨다. 그리고, 입구 센서(301)의 온, 오프와 시프트 배출 센서(303)의 온, 오프를 확인하고 반입되어 온 시이트의 통과를 확인한다.
최종 시이트가 통과하여 소정 시간 경과하면, 상기 각 롤러, 즉, 입구 롤러(1), 이송 롤러(2), 이송 롤러(5) 및 시프트 배출 롤러(6)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분기톱(15, 16)을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오프로 한다. 이것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PR)로부터 반입되어 온 시이트를 모두 시프트 트레이(202)에 철하지 않고 배출하여 적재한다. 나아가 이 실시예에서는 펀치 유닛(100)이 입구 롤러(1)와 이송 롤러(2)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사이에서 펀치 유닛(100)에 의해 천공할 수도 있다.
3) 분류, 적재 모드:
이 모드는 시이트를 이송로(A)로부터 이송로(C)를 거쳐 시프트 트레이(202)로 배출하는 모드로서, 시프트 트레이(202)를 부(部)별로 배출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요동시켜 시프트 트레이(202) 상으로 배출되는 시이트를 분류하는 모드이다. 이 모드에서는 논스태플 모드 B와 같이, 분기톱(15)이 역시계 바늘 방향으로, 분기톱(16)이 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여 이송로(C)가 개방된 상태로 된다. 이 모드에서는 동작이 개시되어 시이트가 화상 형성 장치(PR) 측으로부터 시이트 후처리 장치(PD)로 반입되는 상태로 되면, 시이트 후처리 장치(PD)의 이송로(A)의 입구 롤러 (1) 및 이송 롤러(2), 이송로(C)의 이송 롤러(5) 및 시프트 배출 롤러(6)가 각각 회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분기톱(15) 및 분기톱(16)을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온으로 하여 분기톱(15)을 역시계 바늘 방향으로, 분기톱(16)을 시계 바늘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킨다. 그리고, 입구 센서(301)의 온, 오프와 시프트 배출 센서(303)의 온을 확인한다.
이 확인에 의해 시프트 배출 센서(303)를 통과한 시이트가 부의 선두 시이트이면, 시프트 모터(169)를 온하여 시프트 센서(336)가 시프트 트레이(202)를 검출할 때까지 시프트 트레이(202)를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시이트를 시프트 트레이(202)에 배출하고 시프트 배출 센서(303)가 오프로 되어 시이트의 시프트 배출 센서(303) 통과가 확인되면, 그 시이트가 부의 최종 시이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최종 시이트가 아니면, 이 경우에는 선두 시이트이므로, 부가 1매로 구성되어 있지 않으면, 다음의 시이트에 대하여 같은 처리를 반복하고, 부가 1매로 구성되어 있으면, 상기 각 롤러, 즉, 입구 롤러(1), 이송 롤러(2), 이송 롤러(5) 및 시프트 배출 롤러(6)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분기톱(15, 16)을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오프로 한다.
한편, 시프트 배출 센서(303)를 통과한 시이트가 부의 선두 시이트가 아니면, 이미 시프트 트레이(202)는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 배출한 후, 그 배출한 시이트가 최종 시이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최종 시이트가 아니면, 다음의 시이트에 대하여 같은 처리를 반복하며, 최종 시이트이면, 최종 시이트가 통과하여 소정 시간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각 롤러, 즉, 입구 롤러(1), 이송 롤러(2), 이송 롤러(5) 및 시프트 배출 롤러(6)의 회전을 정지시켜 분기톱(15, 16)을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오프로 한다. 이것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PR)로부터 반입되어 온 시이트를 모두 시프트 트레이(202)에서 철하지 않고 배출하여 분류 적재한다. 나아가 이 경우도 펀치 유닛(100)에 의해 천공한 시이트의 분류나 적재가 가능하다.
4) 스태플 모드:
이 모드는 시이트를 이송로(A)와 이송로(D)를 거쳐 스태플 처리부(F)로 이송하고, 스태플 처리부(F)에서 정합 및 스태플 처리를 실행한 후, 이송로(C)를 거쳐 시프트 트레이(202)로 배출하는 모드이다. 이 모드에서는 분기톱(15)과 분기톱(16)은 동시에 역시계 바늘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로(A)로부터 이송로(D)에 이르는 경로가 개방된 상태로 된다.
이 모드에서는 동작이 개시되어 시이트가 화상 형성 장치측(PR)으로부터 시이트 후처리 장치(PD)로 반입되는 상태로 되면, 시이트 후처리 장치(PD)의 이송로(A)의 입구 롤러(1) 및 이송 롤러(2), 이송로(D)의 이송 롤러(7, 9, 10) 및 스태플 시이트 배출 롤러(11), 스태플 처리부(F)의 충돌 롤러(12)가 각각 회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분기톱(15)을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온으로 하여 분기톱(15)을 역시계 바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다음, 단부 스태플러(S1)를 스태플 이동 홈 포지션 센서(312)로 검지하여 홈 포지션을 확인한 후, 스태플 이동 모터(159)를 구동하여 단부 스태플러(S1)를 스태플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 방출 벨트(52)의 홈 포지션도 방출 벨트 홈 포지션 센서(311)로 검지하여 그 위치를 확인한 후, 방출 모터(157)를 구동하여 대기 위치 로 방출 벨트(52)를 이동시킨다. 또, 조거 펜스(53)도 조거 펜스 홈 포지션 센서로 홈 포지션 위치를 검출한 후 대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나아가 분기 안내판(54)과 가동 안내판(55)을 홈 포지션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입구 센서(301)의 온, 오프와 스태플 배출 센서(305)의 온, 오프 및 시프트 배출 센서(303)의 온, 오프를 확인한다. 스태플 배출 센서(305)가 온, 시프트 배출 센서(303)가 오프이면, 스태플 처리부(F)에 시이트가 배출되어 시이트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충돌 솔레노이드(170)를 소정 시간 온으로 하여 충돌 솔레노이드(12)를 시이트에 접촉시켜 후단 펜스(51) 측으로 부세하여 시이트 후단을 가지런히 정합한다. 그 다음, 조거 모터(158)를 구동함으로써 조거 펜스(53)를 소정량 안쪽으로 이동시켜 시이트의 폭 방향(시이트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정렬 동작을 실시한 후, 대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것에 의해 스태플 처리부(F)로 이송된 시이트의 종횡(이송 방향에 평행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정합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1매마다 반복하여 부의 최종 시이트로 되면, 조거 펜스(53)를 소정량 안쪽으로 이동시켜 시이트 묶음 단면이 어긋나지 않는 상태로 하고, 이 상태에서 단부 스태플러(S1)를 온하여 단부 스태플을 실행한다.
한편, 시프트 트레이(202)를 소정량 하강시켜 배출 공간을 확보하고, 시프트 배출 모터를 구동하여 시프트 배출 롤러(6)의 회전을 개시하며, 나아가 방출 모터(157)를 온하여 방출 벨트(52)를 소정량 회전시켜 철해진 시이트 묶음을 이송로(C) 방향으로 밀어 올린다. 이것에 의해 시이트 묶음은 시프트 배출 롤러(6)의 닙부로 삽입되어 시프트 트레이(202)를 향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시프트 배출 센서(303) 가 온되어 시이트 묶음이 센서(303) 위치로 진입하고 시프트 배출 센서(303)가 오프되어 시이트 묶음이 센서(303) 위치를 빠져 나간 것이 확인되면, 시이트 묶음은 시프트 배출 롤러(6)에 의해 시프트 트레이로 배출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방출 벨트(52) 및 조거 펜스(53)를 대기 위치로 이동시키고, 시프트 배출 롤러(6)의 회전을 소정 시간 경과후 정지시켜 시프트 트레이(202)를 시이트 받이 위치로 상승시킨다. 이 상승 위치는 시이트면 검지 센서(330)에 의해 시프트 트레이(202) 상에 적재된 시이트 묶음의 최상위 시이트 표면을 검지함으로써 제어된다. 이러한 일련 동작을 작업의 최종부까지 반복한다.
그리고, 최종부가 되면, 단부 스태플러(S1), 방출 벨트(52), 조거 펜스(53)를 각각 홈 포지션으로 이동시키고, 입구 롤러(1), 이송 롤러(2, 7, 9, 10), 스태플 시이트 배출 롤러(11) 및 충돌 롤러(12)의 회전을 정지시키며, 분기톱(15)의 분기 솔레노이드를 오프로 하여 전부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고 처리를 끝낸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 형성 장치(PR)로부터 반입되어 온 시이트를 스태플 처리부(F)에서 스태플 처리하여 시프트 트레이(202)로 배출하여 적재한다. 나아가 이 경우도 펀치 유닛(100)에 의해 천공한 시이트의 스태플 처리가 가능하다.
이 스태플 모드시의 스태플 처리부(F)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태플 모드가 선택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거 펜스(53)는 홈 포지션으로부터 이동하여 스태플 처리부(F)로 배출되는 시이트 폭보다 각각 7 mm 정도 떨어진 대기 위치에서 대기한다. 시이트가 스태플 시이트 배출 롤러(11)에 의해 이송되어 시이트 후단이 스태플 배출 센서(305)를 통과하면, 조거 펜스(53)가 대기 위치로부터 5 mm 안쪽으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또, 스태플 배출 센서(305)는 시이트 후단 통과 시점에 그 시이트 후단 통과를 검지하고, 그 신호는 CPU(360)에 입력된다. CPU(360)에서는 이 신호 수신 시점으로부터 스태플 시이트 배출 롤러(11)를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는 스태플 이송 모터로부터의 발신 펄스수를 카운트하여 소정 펄스 발신 후에 충돌 솔레노이드(170)를 온시킨다. 충돌 롤러(12)는 충돌 솔레노이드(170)의 온렛의좆 의해 진자 운동을 하고, 온 시에는 시이트와 충돌하여 아래 방향으로 후단 펜스(51)에 부딪히게 하여 시이트 정렬을 실행한다. 이 때, 스태플 처리부(F)에 수용되는 시이트가 입구 센서(301) 또는 스태플 배출 센서(305)를 통과할 때마다 그 신호가 CPU(360)에 입력되어 시이트 매수가 카운트된다.
충돌 솔레노이드(170)가 오프되어 소정 시간 경과후, 조거 펜스(53)는 조거 모터(158)에 의해 2.6 mm 내측으로 이동하여 일단 정지하면, 측면 정렬이 종료된다. 조거 펜스(53)는 그 후 7.6 mm 외측으로 이동하여 대기 위치로 복귀한 후 다음의 시이트를 대기한다. 이 동작을 최종 페이지까지 실행한다. 그 후, 다시 7 mm 내측으로 이동하여 정지하고, 시이트 묶음의 양 측단을 눌러 스태플 동작에 대비한다. 그 후, 소정 시간 후에 도시하지 않는 스태플 모터에 의해 단부 스태플러(S1)가 작동하여 스태플 처리를 수행한다. 이 때 두 곳 이상의 스태플이 지정되어 있으면, 한 곳의 스태플 처리가 종료한 후, 스태플 이동 모터(159)를 구동하여 단부 스태플러(S1)가 시이트 후단을 따라 적정 위치까지 이동하여 기타 개소의 스태플 처리를 실행한다. 
스태플 처리가 종료하면, 방출 모터(157)가 구동되어 방출 벨트(52)가 구동된다.
이 때, 배출 모터도 구동되어 방출톱(52a)에 의해 들어 올려진 시이트 묶음을 접수할 수 있도록 시프트 배출 롤러(6)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 때, 조거 펜스(53)는 예컨대, 스태플 매수가 설정 매수보다 적거나, 또는 설정 사이즈보다 작은 경우에는 조거 펜스(53)에 의해 시이트 묶음을 누르면서 방출톱(52a)에 의해 시이트 묶음 후단을 걸어 이송한다.
그리고, 시이트 유무 센서(310) 또는 방출 벨트 홈 포지션 센서(311)에 의해 검지하여 소정 펄스 경과 후, 조거 펜스(53)를 2 mm 후퇴시켜 조거 펜스(53)의 구속을 해제한다. 상기 소정 펄스는 방출톱(52a)이 시이트 후단과 접촉하여 시이트 후단이 조거 펜스(53)의 선단을 빠져 나가는 타이밍만큼 설정되어 있다.
또, 스태플 매수가 설정 매수보다 많거나, 또는 설정 사이즈보다 큰 경우에는, 미리 조거 펜스(53)를 2 mm 후퇴시킨 후 방출을 실행한다. 시이트 묶음이 조거 펜스(53)를 다 빠져 나가면, 조거 펜스(53)는 5 mm 더 외측으로 이동하여 대기 위치로 복귀한 후 다음 시이트에 대비한다.
5) 중간부 스태플 제본 모드:
이 모드는 시이트를 이송로(A)와 이송로(D)를 거쳐 스태플 처리부(F)로 이송하여 스태플 처리부(F)에서 정합 및 중앙 스태플을 실행한 후, 나아가 중간 접음 처리부(G)에서 중간 접음을 실행하여 중간이 접어진 시이트 묶음을 이송로(H)를 거쳐 아래 트레이(203)로 배출하는 모드이다. 이 모드에서는 분기톱(15)과 분기톱 (16)이 동시에 역시계 바늘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로(A)로부터 이송로(D)에 이르는 경로가 개방된 상태로 된다. 또, 분기 안내판(54)과 가동 안내판(55)이 후술하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 상태로 되고, 시이트 묶음을 중간 접음 처리부(G)로 유도하여 중간 접음을 실행한다.
5-1) 처리 순서
이 모드에서는 동작이 개시되어 시이트가 화상 형성 장치(PR) 측으로부터 시이트 후처리 장치(PD)로 반입되는 상태로 되면, 시이트 후처리 장치(PD) 이송로(A)의 입구 롤러(1) 및 이송 롤러(2), 이송로(D)의 이송 롤러(7, 9, 10) 및 스태플 시이트 배출 롤러(11), 스태플 처리부(F)의 충돌 롤러(12)가 각각 회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분기톱(15)을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온으로 하여 분기톱(15)을 역시계 바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방출 벨트(52)의 홈 포지션을 방출 벨트 홈 포지션 센서(311)로 검지하여 그 위치를 확인한 후, 방출 모터(157)를 구동하여 방출 벨트(52)를 대기 위치로 이동하고, 또, 조거 펜스(53)도 조거 펜스 홈 포지션 센서로 홈 포지션 위치를 검출한 후, 대기 위치로 이동하며, 나아가 분기 안내판(54)과 가동 안내판(55)을 홈 포지션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입구 센서(301)의 온, 오프, 스태플 배출 센서(305)의 온, 오프 및 시프트 배출 센서(303)의 온, 오프를 확인하고, 스태플 배출 센서(305)가 온, 시프트 배출 센서(303)가 오프이면, 스태플 처리부(F)에 시이트가 배출되어 시이트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충돌 솔레노이드(170)를 소정 시간 온하고 충돌 솔레노이드 (12)를 시이트에 접촉시켜 후단 펜스(51) 측으로 밀어 시이트 후단을 가지런히 정렬한다. 그 다음, 조거 모터(158)를 구동함으로써 조거 펜스(53)를 소정량 내측으로 이동시켜 시이트 폭 방향(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정렬 동작을 실행한 후, 대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것에 의해 스태플 처리부(F)로 이송된 시이트의 종횡(이송 방향에 평행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정렬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1매마다 반복하여 부의 최종 시이트로 되면, 조거 펜스(53)를 소정량 내측으로 이동시켜 시이트 묶음 단면이 어긋나지 않는 상태로 하고, 이 상태에서 방출 모터(157)를 구동하여 방출 벨트(52)를 소정량 회전시키고, 중간부 스태플러(S2)가 스태플 위치까지 시이트 묶음을 상승시킨다. 그 후, 시이트 묶음의 중앙부에서 중간부 스태플러(S2)를 온하여 중간부 스태플을 실행한다. 그 다음에, 분기 안내판(54)과 가동 안내판(55)을 소정량 변위시켜 중간 접음 처리부(G)를 향하는 경로를 형성하고, 중간 접음 처리부(G)의 묶음 이송 위 롤러, 아래 롤러(71, 72)의 회전을 개시하여 중간 접음 처리부(G)에 설치되어 있는 가동 후단 펜스(73)의 홈 포지션을 검지한 후, 가동 후단 펜스(73)를 대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중간 접음 처리부(G)의 시이트 묶음 접수 태세가 갖추어지면, 방출 벨트(52)를 한층 더 소정량 회전시켜 방출 롤러(56)와 가압 롤러(57)에 시이트 묶음 선단을 끼워 넣은후, 중간 접음 처리부(G) 측으로 시이트 묶음을 이송한다. 시이트 선단이 묶음 도달 센서(321) 위치에 이르면, 접음 롤러(81)를 역전시켜 도 20에 나타내는 Q부에서 종이가 접히지 않고 하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시이트의 선단이 Q부를 완전히 빠져 나가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접음 롤러(81)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시이트를 소정 거리 이송하면, 묶음 이송 위 롤러, 아래 롤러(71, 72)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묶음 이송 아래 롤러(72)의 가압 상태를 해제시킨다. 그 다음에, 접음 판(74)에 의한 접음 동작을 개시하고, 접음 롤러(81) 및 아래 배출 롤러(83)의 회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접음부 통과 센서(323)에 의해 중간이 접어진 시이트 묶음의 통과를 감시하고, 접음부 통과 센서(323) 위치를 시이트 묶음의 선단이 통과하면, 접음 판(74)을 홈 포지션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묶음 도달 센서(321)가 오프되면, 묶음 이송 아래 롤러 (72)를 서로 가압시키고, 분기 안내판(54) 및 가동 안내판(55)을 홈 포지션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시이트 묶음 통과를 접음부 통과 센서(323)에 의해 감시하고, 접음부 통과 센서(323)를 시이트 묶음 후단이 통과하면, 접음 롤러(81), 아래 배출 롤러(83)를 소정 시간(예컨대, 일회전) 더 회전시킨 후, 정지시킨다. 그 후, 방출 벨트(52)와 조거 펜스(53)를 대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작업의 최종부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작업의 최종부가 아니면 다음의 시이트에 대하여 같은 처리를 반복하고, 최종부이면 방출 벨트(52) 및 조거 펜스(53)를 홈 포지션으로 이동시키고, 입구 롤러(1), 이송 롤러(2, 7, 9, 10), 스태플 시이트 배출 롤러(11) 및 충돌 롤러(12)의 회전을 정지하며, 분기톱(15)의 분기 솔레노이드를 오프로 하여 모두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 후, 처리를 끝낸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 형성 장치(PR)로부터 반입되어 온 시이트를 스태플 처리부(F)에서 중간부 스태플하고, 중간 접음 처리부(G)에서 중간 접음을 한 후, 아래 트레이(203) 상으로 중간이 접어진 시이트 묶음을 배출하여 적재한다.
5-2) 동작
도 17 내지 도 24는 중간부 스태플 제본 모드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로서, 이들 도면에서는 접음 롤러쌍(81a, 81b)에 부대되는 가압 기구 및 가압 해제 기구를 생략하고 있다. 중간부 스태플 제본 모드에서는 이송로(A)로부터 분기톱(15), 분기톱(16)으로 배분된 시이트는 이송 롤러쌍(7, 9, 10)에 의해 이송로(D)로 유도되고, 이송 롤러(7), 이송 롤러(9), 이송 롤러(10), 스태플 시이트 배출 롤러(11)에 의해 스태플 처리부(F)의 스태플 처리 트레이(500)로 배출된다. 스태플 처리 트레이(500)에서는 배출 롤러(11)에 의해 순차로 배출되는 시이트를 정합한다(도 17 참조). 그 후, 시이트 묶음은 방출톱(52a)에 의해 시이트 사이즈별로 설정된 소정 거리만큼 하류로 옮겨진 후, 시이트 중앙이 중간부 스태플러(S2)에 의해 스태플 처리된다(도 18 참조). 철해진 시이트 묶음은 방출톱(52a)에 의해 하류로 시이트 사이즈별로 설정된 소정 거리만큼 이송되어 시이트 묶음 선단부는 방출 롤러(56)와 가압 롤러(57)에 끼워지고, 분기 안내판(54)과 가동 안내판(55)이 회전함으로써 형성되는 처리부(G)로의 경로를 따라 재차 방출톱(52a)과 방출 롤러(56)에 의해 하류로 이송된다(도 19, 도 20 참조). 이 방출 롤러(56)는 방출 벨트(52)의 구동 축에 설치되어 있고 방출 벨트(52)와 동기하여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시이트 묶음은 묶음 이송 위 롤러(71)와 묶음 이송 아래 롤러(72)에 의해 미리 그 시이트의 사이즈에 대응한 위치로 홈 포지션으로부터 이동하고, 아래쪽 단면을 안내하기 위하여 정지하고 있는 가동 후단 펜스(73)까지 이송된다. 이 때, 방출톱(52a)은 방출 벨트(52)의 외주 상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또 하나의 방출톱(52b)이 후단 펜스(51) 근처에 도달하는 위치에서 정지하고, 분기 안내판(54)과 가동 안내판(55)은 홈 포지션으로 복귀하여 다음의 시이트에 대비한다.
가동 후단 펜스(73)에 충돌된 시이트 묶음은 묶음 이송 아래 롤러쌍(72a, 72b)의 가압이 해제된다(도 21 참조). 그 후, 철해진 침부 근처는 대략 직각 방향으로 접음 판(74)에 의해 눌러지고 대향하는 접음 롤러(81)의 닙부로 유도된다(도 22 참조). 미리 회전하고 있는 접음 롤러쌍(81a, 81b)에 의해 시이트 묶음에 대하여 왕복 가압 동작을 수행하여 중간 접음을 실시한 후, 접음 롤러쌍(81a, 81b) 및 아래 배출 롤러(83)에 의해 시이트 묶음을 배출한다(도 23, 도 24 참조).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동작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이 타이밍도는 스태플 모터(중간부 스태플러(S2)를 구동하는 모터), 개폐 안내판 모터(묶음 분기 구동 모터(161)), 방출 모터(157), 구동 롤러 요동 모터(묶음 이송 아래 롤러쌍(72a, 72b)을 접촉, 이탈하는 모터), 후단 펜스 모터(가동 후단 펜스(73)를 이동시키는 모터), 접음부 도달 센서(321), 접음부 통과 센서(323), 접음 판 모터(접음 판 구동 모터(166)), 접음 모터(묶음 이송 위 롤러(71), 묶음 이송 아래 롤러(72), 접음 롤러(81), 이송 롤러(83)를 구동하는 모터)의 구동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부 스태플러(S2)의 스태플 모터를 구동하여 중간부 스태플 처리를 종료한 후, 방출 모터(157)가 구동하여 중간부 스태플 처리된 시이트 묶음을 방출 벨트(52)와 방출톱(52a)에 의해 위쪽으로 들어 올린다. 이 때, 개폐 안내판 모터(묶음 분기 구동 모터(161))가 구동되어 분기 안내판(54)과 가동 안내판(55)에 의해 방출 롤러(56)의 외주를 따라 경로가 형성되고, 시이트 묶음은 이송 위 안내판(92)으로 유도된다. 이 때, 시이트 선단이 묶음 이송 위 안내판(92)의 접음부 도달 센서(321)에 도달하면, 시이트 사이즈에 따라 가동 후단 펜스(73)가 시이트의 접음 위치보다 10 mm 아래의 도 25 중의 A 만큼 이동하여 대기한다. A의 대기 위치는 본 실시예에서는 A3, B4, A4, B5 사이즈이면 접음 위치로부터 10 mm 아래의 위치로 설정되고, 특수 시이트(12인치×18인치)이면, 5 mm 아래의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접음 모터가 CW(시계 바늘 방향)으로 회전하여 묶음 이송 위 안내판(92)을 따라 시이트 묶음을 이송한다. 그 후, 분기 안내판(54)의 가압이 해제되므로 방출 모터(157) 및 접음 모터의 회전을 정지하고, 그후 방출 모터(157)와 접음 모터의 구동이 재개된다.
그리고, 시이트 묶음 선단이 접음부 도달 센서(321)에 의해 검지되면, 그 시점으로부터 접음 모터가 소정 펄스 구동되어 시이트 사이즈에 따라 설정된 스텝수(도 25 중의 B로 나타냄)에 대응하는 분량만큼 묶음 이송 위 안내판, 묶음 이송 아래 안내판(92, 93)을 따라 시이트 묶음을 이송한다. B로 나타내는 스텝수만큼 구동함으로써 A3, B4, A4, B5 사이즈에서는 접음 위치로부터 7 mm, 특수 시이트(12인치×18인치)에서는 2 mm의 위치까지 시이트가 이송된다. 이 위치에서 구동 롤러 요동 모터가 묶음 이송 아래 롤러(72)의 닙부를 개방한다. 이것에 의해 시이트 묶음은 자유 낙하하여 시이트 사이즈에 대응한 위치에 대기하고 있는 가동 후단 펜스(73)에 접촉하여 정합된다. 이 상태에서 가동 후단 펜스(73)를 접음 위치로 이동시키고, 소정 시간 후, 접음 판 구동 모터(166)를 도 25의 C만큼 구동하여 접음 판(74) 을 시이트 묶음 측으로 진출시킨다. 이 진출량은 예컨대 시이트가 2매 내지 5매에서는 접음 롤러(81) 닙부의 앞 2.8 mm, 6매 내지 25매에서는 상기 닙부의 앞 0.5 mm로 설정된다. 그 다음에 접음 모터를 구동하여 접음 롤러(81)를 회전시켜 시이트 묶음을 끼워넣고(도 25의 D), 접음 판(74)을 복귀시키며(도 25의 E), 접음부 통과 센서(323)가 시이트 묶음 선단을 검지한 후, 필요에 따라 접음 롤러(81)를 왕복 가압 동작시킨 후, 배출 롤러(83)로부터 시이트 묶음을 배출한다. 이 때, 시이트 묶음을 확실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접음 모터는 일회전 여분으로 구동시킨다. 그 동안, 구동 롤러 요동 모터에 의해 묶음 이송 롤러(72)를 가압 접촉시켜 다음의 시이트 묶음 이송에 대비한다.
도 26a, 26b는 가동 후단 펜스(73)의 구동 기구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6a는 시이트 후처리 장치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26b는 도 26a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묶음 이송 위 안내판, 아래 안내판(92, 91)을 따라 이송되어 온 시이트 묶음을 지지하여 정합시키는 지지면을 구비하는 가동 후단 펜스(73)는 후단 펜스 모터(163)에 의해 승강 가능토록 설치되고, 시이트 묶음을 두 점(73a, 73b)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두 점(73a, 73b)은 중간 접음할 수 있는 최소 사이즈인 B5 세로 사이즈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10 mm 내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가동 후단 펜스(73)와 후단 펜스 모터(163)는 베이스(501)에 장착되어 있고, 베이스(501)는 회전 지지점(501a)을 중심으로 묶음 이송 아래 안내판(91)으로 정역회전 가능토록 지지되어 있다. 베이스(501)의 우측 하단부에는 조절 나사(503)와 압축 스프링(504)이 설치되어 있다. 조절 나 사(503)는 앞측판의 외측으로부터 압축 스프링(504)을 통하여 나사부(503a)에 의해 베이스(501)에 연결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504)은 베이스(501)를 뒷측판 측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항상 부여할 수 있고, 조절 나사(503)를 우회전시키면, 나사부(503a)에 의해 베이스(501)를 끌어 당겨 앞측판 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조절 나사(503)를 좌회전시키면, 나사는 헐겁게 되어 베이스(501)는 압축 스프링(504)에 의해 뒷측판 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베이스(501)는 가동 후단 펜스(73)에 지지된 시이트 묶음의 접이 금과 시이트 묶음 이송 방향의 단면, 즉 가동 후단 펜스(73)에 의해 상기 두 점(73a, 73b)으로 지지된 시이트 묶음(시이트)의 지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0도(평행)로 되도록 상기 조절 나사(503)에 의해 조정한 후, 베이스(501)의 고정부(501b)에 의해 앞뒤 측판에 저지 나사(505)로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캠 등을 이용하여 조정하기 쉽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시이트 이송 방향에 대해 평행인 단면과 접이 금이 이루는 각(α)이 90°로 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
도 27은 구동 롤러 요동 모터의 구동 기구(55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기구는 묶음 이송 아래 롤러(72)의 종동측 롤러(72a)를 묶음 이송 위 안내판(92)으로부터 후퇴시켜 묶음 이송 아래 롤러(72)의 닙부를 개방하거나 또는 다시 접촉시켜 닙부를 형성하기 위한 기구이다. 이 구동 기구는 구동 롤러 요동 모터(551)의 구동을 감속 기구(552)를 통하여 롤러(72a)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캠 기구(55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시이트 묶음을 가동 후단 펜스(73)에 의 해 접음 위치까지 이송할 수 있고, 또 시이트 묶음의 자유 낙하에 의해 가동 후단 펜스(73)로 시이트 묶음의 스큐(skew)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접음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접음부 도달 센서(321)에 의해 시이트 묶음 선단을 검지한 후, 접음 위치 근처까지 시이트 묶음을 이송한 후에 묶음 이송 아래 롤러(72)의 가압 해제를 실행하므로, 만일 시이트 묶음이 이송 경로에 걸려 가동 후단 펜스(73)까지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도, 가동 후단 펜스(73)가 시이트의 접음 위치까지 이동하여 와서 스큐 보정을 실시하므로, 접음 품질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시이트 묶음(73)을 접을 수 있다.
아래에, 도 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이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PR)의 구성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700)는 본체(710) 상부에 원고 이송 장치(600)가 마련되어 있고, 본체(710)는 화상 형성부(720) 및 용지 공급부(730)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부(720)에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색의 상 담지체(701) 주위에 노광 장치(711), 대전 장치(721), 현상 장치(722), 1차 전사 장치(723), 클리닝 장치(724)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근처에 2차 전사 롤러(725), 전사지 이송 벨트(726) 및 정착 장치(727)가 설치되어 있다.
상 담지체(701)는 광도전성을 구비하는 비정형 실리콘, 비정형 셀렌 등 비정질 금속, 비스아조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등 유기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는데, 환경 및 사용후의 후처리를 고려하면, 유기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 장치(721)는 코로나 방식, 롤러 방식, 브러시 방식, 블레이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장치이어도 좋지만, 여기에서는 롤러 방식의 대전 장치(721)를 이용한다. 대전 장치(721)는 상 담지체(701)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 담지체(701)와 대전 장치(721) 사이에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상 담지체(70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것이다.
노광 장치(711)는 스캐너(판독부)로 읽어낸 데이터 및 도시하지 않는 PC 등 외부로부터 전송되어 온 화상 신호를 변환시키고, 폴리건 모터로 레이저광을 주사하며 미러를 통해 판독된 상기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상 담지체(701)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 장치(722)는 현상제를 담지하여 상 담지체(701)에 공급하는 현상제 담지체 및 현상제 공급실 등을 구비하고, 현상제 담지체의 외주면에 현상제를 자기(磁氣)적으로 흡착시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현상제 담지체는 전도성을 구비한 비자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하여 전원이 접속되어 있다. 현상제 담지체와 상 담지체(701)의 사이에는 전원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어 현상 영역에 전계가 형성된다.
1차 전사 장치(723)는 전사 벨트(723a)와 전사 롤러(723b)로 이루어지고, 상 담지체(701)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 벨트(723a)에 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리닝 장치(724)는 상 담지체(701)에 부착한 잔류 토너를 상 담지체(701)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착 장치(727)는 할로겐 램프 등 가열 수단인 히터를 구비하는 정착 롤러와 그 정착 롤러에 압력 접촉되는 가압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또, 화상 형성 장치(700)의 하부에 마련된 용지 공급부(730)에는 기록지가 수납된 용지 공급 카세트(731a, 731b, 731c, 731d)가 설치되어 있고, 이 용지 공급 카세트 (731a, 731b, 731c, 731d)에 수납된 기록지는 공급 롤러(732a, 732b, 732c, 732d), 이송 롤러(733, 734), 및 레지스트레이션 롤러(735)에 의해 2차 전사 롤러(725)까지 이송된다.
기록지는 2차 전사 롤러(725)에 의해 화상이 전사된 후, 중간 이송 벨트(726)에 의해 정착 장치(727)까지 이송되고, 정착 장치(727)에 의해 기록지의 화상이 정착된 후, 시이트 후처리 장치(PD)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별히 왕복 진동 등을 실행시키지 않고도, 시이트 묶음의 자유 낙하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시이트의 단면을 가지런히 할 수 있다.

Claims (9)

  1. 시이트 이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돌출되고, 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시이트에 접이 금을 내는 접음 판과
    상기 접음 판에 의해 형성된 접이 금 부분을 닙부에 삽입시켜 시이트를 접는 접음 롤러와
    상기 시이트를 지지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접음 판에 의한 접음 위치를 조정하는 시이트 위치 조정 수단과
    상기 시이트를 가압하여 상기 시이트 위치 조정 수단 측으로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구비하는 시이트 접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음 판에 의한 접음 위치보다 더 시이트 이송 방향 하류 측에 상기 시이트 위치 조정 수단을 대기시키고, 상기 이송 수단의 가압이 해제된 후, 상기 시이트 위치 조정 수단을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접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중력 방향을 따라 마련된 이송로를 따라 상기 시이트를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접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가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되어 접음 위치까지 도달한 후, 상기 이송 수단의 가압력을 해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접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시이트와 상기 시이트 위치 조정 수단의 사이에는 간격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시이트는 자유 낙하에 의해 상기 시이트 위치 조정 수단과 충돌하여 시이트 조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접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낙하하는 거리는 시이트 사이즈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접음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이송 수단의 가압력이 해제된 후, 상기 시이트 위치 조정 수단에 의해 상기 시이트를 접음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접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펄스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접음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시이트 접음 장치와, 적어도 스태플 처리 장치, 분류 처리 장치, 펀치 처리 장치 중의 하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처리 장치.
  9. 화상 형성 장치에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시이트 접음 장치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KR1020050040818A 2004-05-17 2005-05-16 시이트 접음 장치, 및 이 시이트 접음 장치를 이용하는시이트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 KR100614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46701 2004-05-17
JP2004146701 2004-05-17
JP2005053731A JP4336322B2 (ja) 2004-05-17 2005-02-28 用紙折り装置、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5-00053731 2005-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955A KR20060047955A (ko) 2006-05-18
KR100614125B1 true KR100614125B1 (ko) 2006-08-22

Family

ID=3493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818A KR100614125B1 (ko) 2004-05-17 2005-05-16 시이트 접음 장치, 및 이 시이트 접음 장치를 이용하는시이트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27259B2 (ko)
EP (1) EP1598296B1 (ko)
JP (1) JP4336322B2 (ko)
KR (1) KR100614125B1 (ko)
DE (1) DE60200500589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6322B2 (ja) 2004-05-17 2009-09-30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折り装置、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413181B2 (en) * 2004-11-15 2008-08-19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capable of effectively performing sheet finishing operation
JP4950566B2 (ja) * 2005-09-12 2012-06-13 株式会社リコー 穿孔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7106597A (ja) * 2005-09-15 2007-04-26 Ricoh Co Ltd シート揃え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909316B2 (en) * 2008-02-27 2011-03-22 Kabushiki Kaisha Toshiba Sheet fol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511446B2 (ja) * 2010-03-11 2014-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05119B2 (ja) * 2010-09-21 2014-10-15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折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67951B2 (ja) * 2011-02-10 2016-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こ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25294B1 (ja) * 2012-11-21 2014-02-26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バリアブルカットオフ折機、及びバリアブルカットオフ折機を備える印刷機
JP7039941B2 (ja) 2017-11-10 2022-03-23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移動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5786A (en) * 1989-06-28 1990-06-19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uplex printing
DE4101399A1 (de) * 1991-01-18 1992-07-23 Kodak Ag Vorrichtung zum falten von blaettern
US5364332A (en) * 1993-07-01 1994-11-15 Xerox Corporation Soft nip folder
US5377965A (en) * 1993-11-08 1995-01-03 Xerox Corporation Automatic on-line signature booklets finisher for electronic printers
US5473419A (en) * 1993-11-08 1995-12-05 Eastman Kodak Company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uplex path with an inverter
JP3566492B2 (ja) * 1996-11-01 2004-09-15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後処理装置
JP3478720B2 (ja) * 1997-12-27 2003-12-15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束折り装置及びシート処理装置
JPH11322180A (ja) * 1998-05-13 1999-11-24 Canon Aptex Inc 画像形成装置
JP2001146363A (ja) 1999-11-24 2001-05-29 Konica Corp 用紙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921069B2 (en) * 2002-01-10 2005-07-26 Ricoh Company, Ltd. Sheet finisher and image forming system using the same
JP2003276937A (ja) * 2002-03-20 2003-10-02 Ricoh Co Ltd 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021705B2 (ja) * 2002-05-23 2007-12-12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6592506B1 (en) * 2002-06-25 2003-07-15 Pitney Bowes Inc. Folder apparatus
JP4000962B2 (ja) * 2002-09-05 2007-10-31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用紙後処理装置
US6939283B2 (en) * 2003-08-12 2005-09-06 Xerox Corporation Booklet maker with flexible gate upstream of crease rolls
JP4336322B2 (ja) 2004-05-17 2009-09-30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折り装置、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05896D1 (de) 2008-05-21
KR20060047955A (ko) 2006-05-18
DE602005005896T2 (de) 2009-06-04
US7427259B2 (en) 2008-09-23
EP1598296B1 (en) 2008-04-09
EP1598296A1 (en) 2005-11-23
JP2006001738A (ja) 2006-01-05
US20050277537A1 (en) 2005-12-15
JP4336322B2 (ja)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125B1 (ko) 시이트 접음 장치, 및 이 시이트 접음 장치를 이용하는시이트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
JP4446960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071642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7344130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0541902B1 (ko) 시트 이송 장치와, 시트 후처리 장치와, 시트 이송 장치및 시트 후처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JP4890393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40038331A (ko) 시트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491287B1 (ko) 시트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4012014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そのシート処理装置を具備する画像形成の後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5151711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158295A (ja) シート積載装置、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4168499A (ja) 裁断装置及びその裁断装置を具備する画像形成の後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3857012B2 (ja) シート状媒体処理装置
JP4378264B2 (ja) シート積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40008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084300B2 (ja) 用紙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921051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208849A (ja) シート折り装置、シート処理装置、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063704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184639B2 (ja) 用紙処理装置
JP2004240318A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4075271A (ja) 折り装置及びその折り装置を具備する画像形成の後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044461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300040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3720814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