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908B1 -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908B1
KR100599908B1 KR1020050051772A KR20050051772A KR100599908B1 KR 100599908 B1 KR100599908 B1 KR 100599908B1 KR 1020050051772 A KR1020050051772 A KR 1020050051772A KR 20050051772 A KR20050051772 A KR 20050051772A KR 100599908 B1 KR100599908 B1 KR 100599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ilicon
silicon oxide
silicon nitride
oxid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404A (ko
Inventor
시로 나까니시
쯔또무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2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2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 H01L21/225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using diffusion into or out of a solid from or into a solid phase, e.g. a doped oxide layer
    • H01L21/2251Diffusion into or out of group IV semiconductors
    • H01L21/2254Diffusion into or out of group IV semiconductors from or through or into an applied layer, e.g. photoresist, 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42Thin film unipolar transistors
    • H01L29/6675Amorphous silicon or polysilicon transistors
    • H01L29/66757Lateral single gate single channel transistors with non-inverted structure, i.e. the channel layer is formed before the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2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modify their internal properties, e.g. to produce internal imperfections
    • H01L21/322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modify their internal properties, e.g. to produce internal imperfections of silicon bodies, e.g. for gettering
    • H01L21/3223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modify their internal properties, e.g. to produce internal imperfections of silicon bodies, e.g. for gettering using cavities formed by hydrogen or noble gas ion impla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24Thermal treatment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 bodies, e.g. annealing, sin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42Thin film unipolar transistors
    • H01L29/6675Amorphous silicon or polysilicon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42Thin film unipolar transistors
    • H01L29/6675Amorphous silicon or polysilicon transistors
    • H01L29/66765Lateral single gate single channel transistors with inverted structure, i.e. the channel layer is formed after the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51Silicon transistors
    • H01L29/7866Non-monocrystalline silicon transistors
    • H01L29/78672Polycrystalline or microcrystalline silicon transistor
    • H01L29/78675Polycrystalline or microcrystalline silicon transistor with normal-type structure, e.g. with top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51Silicon transistors
    • H01L29/7866Non-monocrystalline silicon transistors
    • H01L29/78672Polycrystalline or microcrystalline silicon transistor
    • H01L29/78678Polycrystalline or microcrystalline silicon transistor with inverted-type structure, e.g. with bottom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박막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의 결정 결함을 수소 이온으로 매립하도록 한다.
게이트 전극(22)이 배치된 투명 기판(21) 상에 게이트 절연막으로 되는 질화 실리콘막(23) 및 산화 실리콘막(24)이 적층되고, 또한 활성 영역으로 되는 반도체막으로서의 다결정 실리콘막(25)이 적층된다. 게이트 전극(22)에 대응하는 다결정 실리콘막(25) 상에 스토퍼(26)가 배치되고, 이 스토퍼(26)를 덮도록 층간 절연막으로 되는 산화 실리콘막(27) 및 질화 실리콘막(28)이 적층된다. 스토퍼(26)와 산화 실리콘막(27)을 합한 막 두께 T1은 질화 실리콘막(28)의 막 두께 T2와 4000Å의 곱의 제곱근보다 얇게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 수소 이온, 질화 실리콘막, 산화 실리콘막

Description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THIN-FILM TRANSIST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3은 박막 트랜지스터 임계치와 층간 절연막의 막 두께 비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6a ∼ 도 6c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 방법의 전반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별 단면도.
도 7d ∼ 도 7f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 방법의 후반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별 단면도.
도 8a ∼ 도 8d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별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41 : 투명 기판
2, 22, 46 : 게이트 전극
3, 8, 23, 28, 42, 48 : 질화 실리콘막
4, 7, 24, 27, 43, 47 : 산화 실리콘막
5, 25, 44 : 다결정 실리콘막
5c, 25c, 44c : 채널 영역
5s, 25s, 44s : 소스 영역
5d, 25d, 44d : 드레인 영역
6, 26 : 스토퍼
9, 12, 29, 32, 49, 52 : 컨택트 홀
10s, 30s, 50s : 소스 전극
10d, 30d, 50d : 드레인 전극
11, 31, 51 : 아크릴 수지층
12, 33, 35 : 투명 전극
본 발명은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 패널의 화소 표시용 스위칭 소자에 적합한 박막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버텀(bottom) 게이트형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절연성의 투명 기판(1)의 표면에 텅스텐이나 크롬 등의 고융점 금속으로 이 루어지는 게이트 전극(2)이 배치된다. 이 게이트 전극(2)은 양단부가 투명 기판(1)측에서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룬다. 게이트 전극(2)이 배치된 투명 기판(1) 상에는 질화 실리콘막(3)을 통해 산화 실리콘막(4)이 적층된다. 질화 실리콘막(3)은 투명 기판(1)에 포함되는 불순물이 후술하는 활성 영역으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고, 산화 실리콘막(4)은 게이트 절연막으로서 동작한다. 산화 실리콘막(4) 상에는 게이트 전극(2)을 횡단하여 다결정 실리콘막(5)이 적층된다. 이 다결정 실리콘막(5)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활성 영역으로 된다.
다결정 실리콘막(5) 상에는 산화 실리콘 등의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토퍼(6)가 배치된다. 이 스토퍼(6)에 의해 피복된 다결정 실리콘막(5)은 채널 영역(5c)이 되고, 그 밖의 다결정 실리콘막(5)이 소스 영역(5s) 및 드레인 영역(5d)이 된다. 스토퍼(6)가 형성된 다결정 실리콘막(5) 상에는 산화 실리콘막(7) 및 질화 실리콘막(8)이 적층된다. 이 산화 실리콘막(7) 및 질화 실리콘막(8)은 소스 영역(5s) 및 드레인 영역(5d)을 포함하는 다결정 실리콘막(5)을 보호하는 층간 절연막이 된다.
소스 영역(5s) 및 드레인 영역(5d) 상의 산화 실리콘막(7) 및 질화 실리콘막(8)의 소정 개소에는 컨택트 홀(9)이 형성된다. 이 컨택트 홀(9) 부분에, 소스 영역(5s) 및 드레인 영역(5d)에 접속되는 소스 전극(10s) 및 드레인 전극(10d)이 배치된다. 소스 전극(10s) 및 드레인 전극(10d)이 배치된 질화 실리콘막(8) 상에는 가시광에 대해 투명한 아크릴 수지층(11)이 적층된다. 이 아크릴 수지층(11)은 게이트 전극(2)이나 스토퍼(6)에 의해 생기는 요철(凹凸)을 매립하여 표면을 평탄화 한다.
소스 전극(10s) 상의 아크릴 수지층(11)에는 컨택트 홀(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컨택트 홀(12)을 통해 소스 전극(10s)에 접속되는 ITO(산화 인듐 주석)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극(13)이 아크릴 수지층(11) 상에서 확장하도록 배치된다. 이 투명 전극(13)이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 전극을 구성한다.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표시 전극과 함께 투명 기판(1) 상에 복수개가 행렬 배치되고, 게이트 전극(2)에 인가되는 주사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드레인 전극(10d)에 공급되는 영상 정보를 표시 전극에 각각 인가한다.
그런데, 다결정 실리콘막(5)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활성 영역으로서 기능하도록 결정 입자 지름이 충분한 크기로 형성된다. 다결정 실리콘막(5)의 결정 입자 지름을 크게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한 레이저 어닐법이 알려져 있다. 이 레이저 어닐법은 게이트 절연막으로 되는 산화 실리콘막(4) 상에 비정질 상태의 실리콘을 적층하고, 우선 저온의 열 처리에 의해 비정질 실리콘막에 포함되는 수소를 막 밖으로 배출한 후, 그 실리콘에 엑시머 레이저를 조사하여 실리콘을 일단 융해시킴으로써, 실리콘을 결정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레이저 어닐법을 이용하면, 투명 기판(1) 상에서 고온으로 되는 부분이 국소적이기 때문에, 투명 기판(1)으로서 융점이 낮은 유리 기판을 채용할 수 있게 된다.
레이저 어닐법에 의해 결정화된 다결정 실리콘막(5)은 결정 결함이 많기 때문에, 막 안을 이동하는 전자가 포착되기 쉽고, 트랜지스터의 활성 영역으로 하기 에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래서, 일단 형성한 다결정 실리콘층(5) 상에 수소 이온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절연막을 형성하고, 그 절연막과 함께 질소 분위기에서 어닐함으로써 결정 결함을 수소 이온으로 메우도록 하고 있다.
수소 이온을 다량으로 포함하는 절연막으로서는 질화 실리콘막이 알려져 있다.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성막된 질화 실리콘막의 수소 이온 농도는 통상 1022/㎤ 정도이고, 동일한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형성된 산화 실리콘막의 수소 이온 농도(1020/㎤)와 비교하여 2자릿수 정도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수소 이온의 공급원으로서는 질화 실리콘막이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활성 영역 상에 질화 실리콘막을 직접 형성하면, 트랜지스터 특성이 열화하기 때문에, 활성 영역과 질화 실리콘막 사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 실리콘막이 형성된다. 그러나, 다결정 실리콘막(5)과 질화 실리콘막(8) 사이에 산화 실리콘막(7)이 개재되는 경우, 산화 실리콘막(7)의 막 두께에 따라서는 다결정 실리콘막(5)에 충분한 수소 이온이 공급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제조 공정에서 어닐 처리의 온도를 높이거나, 시간을 길게 할 필요가 생겨,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반도체막에 생기는 결정 결함을 수소 이온으로 효율적으로 메울 수 있도록, 각각의 막 두께를 최적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한 주면 상에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을 피복하여 적층되는 게이트 절 연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적층되는 반도체막과, 상기 반도체막 상에 적층되는 층간 절연막을 구비하고, 상기 층간 절연막은 상기 반도체막에 접하는 산화 실리콘막 및 상기 산화 실리콘막에 접하는 질화 실리콘막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 실리콘막의 막 두께가 상기 질화 실리콘막의 막 두께에 8000Å을 곱한 값의 제곱근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한 주면 상에 적층되는 반도체막과, 상기 반도체막 상에 적층되는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상기 반도체막과 교차하여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을 피복하여 적층되는 층간 절연막을 구비하고, 상기 층간 절연막은 상기 반도체막에 접하는 산화 실리콘막 및 상기 산화 실리콘막에 접하는 질화 실리콘막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 실리콘막의 막 두께가, 상기 질화 실리콘막의 막 두께에 8000Å을 곱한 값의 제곱근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성 영역으로 되는 반도체막 상에 산화 실리콘막 및 질화 실리콘막이 층간 절연막으로서 적층된다. 질화 실리콘막은 층간 절연막으로 도입되는 수소 이온의 공급원으로 되고, 산화 실리콘막은 질화 실리콘막이 반도체막에 접하는 것을 방지한다. 산화 실리콘막은 질화 실리콘막의 막 두께에 따라 얇게 적층되기 때문에, 질화 실리콘막으로부터 반도체막으로의 수소 이온의 도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기판의 한 주면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을 피복하여 게이트 절연막을 적층하고, 이 게이트 절연막 상에 반도체막을 적층하는 제2 공정과, 상기 반도체막 상에 층간 절연막을 적층하는 제3 공정과, 상기 반도체막 및 상기 층간 절연막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층간 절연막에 포함되는 수소 이온을 상기 반도체막 내로 도입하는 제4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3 공정은 상기 반도체막에 접하여 산화 실리콘막을 제1 막 두께로 적층하는 공정 및 상기 산화 실리콘막에 접하여 질화 실리콘막을 제2 막 두께로 적층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막 두께를 상기 제2 막 두께에 8000Å을 곱한 값의 제곱근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기판의 한 주면 상에 반도체막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반도체막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적층하고, 이 게이트 절연막 상에 상기 반도체막과 교차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2 공정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을 피복하여 층간 절연막을 적층하는 제3 공정과,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층간 절연막에 포함되는 수소 이온을 상기 반도체막 내로 도입하는 제4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3 공정은 상기 반도체막에 접하고 산화 실리콘막을 제1 막 두께로 적층하는 공정 및 상기 산화 실리콘막에 접하여 질화 실리콘막을 제2 막 두께로 적층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막 두께를 상기 제2 막 두께에 8000Å을 곱한 값의 제곱근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3 공정에서 반도체막 상에 산화 실리콘막 및 질화 실리콘막을 적층한 후, 제4 공정에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질화 실리콘막에 포함되는 수 소 이온이 산화 실리콘막을 통해 반도체막 안으로 도입된다. 이때, 산화 실리콘막의 막 두께를 질화 실리콘막의 막 두께에 따라 얇게 함으로써, 질화 실리콘막에 포함되는 수소 이온이 산화 실리콘막에 의해 저지되지 않고, 반도체막에 충분한 양만큼 도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그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이 도면에서, 투명 기판(21), 게이트 전극(22), 질화 실리콘막(23), 산화 실리콘막(24) 및 다결정 실리콘막(25)은 도 9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투명 기판(1), 게이트 전극(2), 질화 실리콘막(3), 산화 실리콘막(4) 및 다결정 실리콘막(5)과 동일하다.
투명 기판(21)의 표면에 게이트 전극(22)이 배치되고, 이 게이트 전극(22)을 피복하며, 게이트 절연막으로서의 질화 실리콘막(23) 및 산화 실리콘막(24)이 적층된다. 그리고, 산화 실리콘막(24) 상에, 활성 영역으로 되는 반도체막으로서의 다결정 실리콘막(25)이 적층된다.
다결정 실리콘막(25) 상에는 산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스토퍼(26)가 배치된다. 이 스토퍼(26)에 피복된 다결정 실리콘막(25)은 채널 영역(25c)이 되고, 그 밖의 다결정 실리콘막(25)은 소스 영역(25s) 및 드레인 영역(25d)이 된다. 스토퍼(26)가 형성된 다결정 실리콘막(25) 상에는 다결정 실리콘막(25)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접하는 것이 가능한 산화 실리콘막(27)이 적층된다. 그리고, 그 산화 실리콘막(27) 상에, 산화 실리콘막(27)보다도 다량의 수소 이온을 포함하며 수소 이 온의 주된 공급원이 되는 질화 실리콘막(28)이 적층된다. 이 산화 실리콘막(27) 및 질화 실리콘막(28)에 의해 다결정 실리콘막(25)을 보호하는 층간 절연막이 형성된다.
여기서, 채널 영역(25c) 상에서 스토퍼(26)와 산화 실리콘막(27)을 합한 막 두께 T1은 스토퍼(26) 상의 질화 실리콘막(28)의 막 두께 T2에 대해,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Figure 112005031804915-pat00001
즉, 수소 이온의 공급량은 질화 실리콘막(28)의 막 두께에 의존하고 있고, 그 공급량에 따라 산화 실리콘막(27)의 막 두께를 얇게 설정하면, 다결정 실리콘막(25)에 대해 충분한 양의 수소 이온을 공급할 수 있다. 수학식 1에 따르면, 예를 들면 질화 실리콘막(28)의 막 두께(=T2)를 2000Å으로 한 경우, 스토퍼(26)와 산화 실리콘막(27)의 막 두께의 합계(=T1)는 약 4000Å 이하로 설정해야 한다. 바꾸어 말하면, 스토퍼(26)의 막 두께를 2000Å으로 하고, 산화 실리콘막(27)의 막 두께를 2000Å으로 한 경우, 질화 실리콘막(28)의 막 두께는 2000Å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소정의 막 두께로 형성된 산화 실리콘막(27) 및 질화 실리콘막(28)에는 다결정 실리콘막(25)에 도달하는 컨택트 홀(29)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 컨택트 홀(29) 부분에, 소스 영역(25s) 및 드레인 영역(25d)에 접속되는 소스 전극(30s) 및 드레인 전극(30d)이 배치된다. 또한, 질화 실리콘막(28) 상에는 소스 전극(30s) 및 드레인 전극(30d)을 피복하고 표면을 평탄하게 하는 아크릴 수지층(31)이 적층된다. 또한, 아크릴 수지층(31)에 소스 전극(30s)에 도달하는 컨택트 홀(32)이 설치되고, 소스 전극(30s)에 접속되는 투명 전극(33)이, 아크릴 수지층(31) 상에서 확장되도록 배치된다. 이 소스 전극(30s), 드레인 전극(30d) 및 투명 전극(33)은 도 9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10s), 드레인 전극(10d) 및 투명 전극(13)과 동일하다.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에서는, 다결정 실리콘막(25) 상의 [스토퍼(26)를 포함하는] 산화 실리콘막(27)의 막 두께가 질화 실리콘막(28)의 막 두께에 따라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질화 실리콘막(28) 중에 많이 포함되는 수소 이온이 충분히 다결정 실리콘막(25) 안으로 도입된다.
도 3은 활성 영역의 결정 결함이 어느 정도 메워졌는지를 알기 위한 척도가 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임계치 전압 Vt가 질화 실리콘막(28)의 막 두께 T2와 산화 실리콘막(27)의 막 두께 T1의 2승과의 비(T12/T2)에 따라 어느 정도 변화하는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은 층간 절연막의 막의 구성비(T12/T2)를 약 2000Å에서 약 10000Å까지 단계적으로 변화시키고, 각 단계에서의 박막 트랜지스터 임계치 전압 Vt를 측정한 실측치이다. 이 측정 결과에 따르면, T12/T2가 4000Å 이하일 때에, 임계치 전압 Vt가 거의 일정해져 안정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T12/T2가 6000Å 이하에서도 임계치 전압 Vt의 변동은 적고, T12/T2가 8000Å으로부 터 10000Å 사이에서 임계치 전압 Vt가 급격히 변화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T12/T2는 8000Å 이하로 하는 것이 최저한의 조건이고, 바람직하게는 4000Å 이하로 하는 것이 최적의 조건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그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톱(top) 게이트형을 나타내고 있다.
절연성의 투명 기판(41) 표면에 질화 실리콘막(42) 및 산화 실리콘막(43)이 적층된다. 질화 실리콘막(42)은 투명 기판(41)에 포함되는 나트륨 등의 불순물 이온의 석출을 방지하고, 산화 실리콘막(43)은 활성 영역으로 되는 다결정 실리콘막(44)의 적층을 가능하게 한다. 산화 실리콘막(43) 상의 소정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의 활성 영역이 되는 반도체막으로서의 다결정 실리콘막(44)이 적층된다.
다결정 실리콘막(44)이 적층된 산화 실리콘막(43) 상에 게이트 절연막으로 되는 산화 실리콘막(45)이 적층된다. 그리고, 산화 실리콘막(45) 상에 텅스텐이나 크롬 등의 고융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전극(46)이 배치된다. 이 게이트 전극(46)은 다결정 실리콘막(44)이 연장하는 방향으로 교차하여 배치된다.
이 게이트 전극(46)에 의해 피복된 다결정 실리콘막(44)이 채널 영역(44c)으로 되고, 그 밖의 다결정 실리콘막(44)이 소스 영역(44s) 및 드레인 영역(44d)으로 된다. 게이트 전극(46)이 배치된 산화 실리콘막(45) 상에 산화 실리콘막(47) 및 질화 실리콘막(47)이 적층된다. 이 산화 실리콘막(47) 및 질화 실리콘막(48)에 의 해 다결정 실리콘막(44)을 보호하는 층간 절연막이 형성된다.
여기서, 다결정 실리콘막(44) 상에서, 게이트 절연막으로서의 산화 실리콘막(45)과 층간 절연막으로서의 산화 실리콘막(47)을 합한 막 두께 T1은 질화 실리콘막(48)의 막 두께 T2에 대해 상술한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설정한다. 다결정 실리콘막(44)에 대한 수소 이온의 공급은 버텀 게이트형과 톱 게이트형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된다. 이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버텀 게이트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수학식 1에서 설정되는 막 두께를 만족하면, 다결정 실리콘막(44)에 대해 충분한 양의 수소 이온을 공급할 수 있다.
소정의 막 두께로 형성된 산화 실리콘막(45, 47) 및 질화 실리콘막(48)에는 다결정 실리콘막(45)에 도달하는 컨택트 홀(49)이 설치되고, 소스 영역(45s) 및 드레인 영역(45d)에 접속되는 소스 전극(50s) 및 드레인 전극(50d)이 배치된다. 그리고, 질화 실리콘막(48) 상에, 소스 전극(50s) 및 드레인 전극(50d)을 피복하여 표면을 평탄하게 하는 아크릴 수지층(51)이 적층된다. 또한, 아크릴 수지층(51)에 소스 전극(50s)에 도달하는 컨택트 홀(52)이 설치되고, 소스 전극(50s)에 접속되는 투명 전극(53)이 아크릴 수지층(51) 상에서 확장되도록 배치된다. 이 소스 전극(50s), 드레인 전극(50d) 및 투명 전극(53)은 버텀 게이트형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에서도 버텀 게이트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결정 실리콘막(44) 상의 산화 실리콘막(45, 46)의 막 두께가 질화 실리콘막(48)의 막 두께에 따라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질화 실리콘막(48) 중에 많이 포함되는 수소 이온이 충분한 양만큼 다결정 실리콘막(44) 안으로 도입된다.
도 6a ∼ 도 6c 및 도 7d ∼ 도 7f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별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는 도 1과 동일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a) 제1 공정
절연성의 투명 기판(21) 상에, 크롬이나 몰리브덴 등의 고융점 금속을 스퍼터법에 의해 1000Å의 막 두께로 적층하여, 고융점 금속막(34)을 형성한다. 이 고융점 금속막(34)을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22)을 형성한다. 이 패터닝 처리에서는 테이퍼 에칭에 의해 게이트 전극(22)의 양단부가 투명 기판(21)측에서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b) 제2 공정
투명 기판(21) 상에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질화 실리콘을 500Å 이상의 막 두께로 적층하고, 연속하여 산화 실리콘을 1300Å 이상의 막 두께로 적층한다. 이에 따라, 투명 기판(21)으로부터의 불순물 이온의 석출을 저지하는 질화 실리콘막(23) 및 게이트 절연막으로 되는 산화 실리콘막(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산화 실리콘막(23) 상에, 마찬가지로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실리콘을 400Å의 막 두께로 적층하고, 비정질의 실리콘막(25')을 형성한다. 그리고, 430℃ 정도에서 1시간 이상 열처리하여 실리콘막(25') 안의 수소를 막 밖으로 배출하고, 수소 농도를 1% 이하로 한 후, 엑시머 레이저를 실리콘막(25')에 조사하여, 비정질 상태의 실리콘이 융해될 때까지 가열한다. 이에 따라, 실리콘이 결정화되어, 다결정 실리콘막(25)으로 된다.
(c) 제3 공정
다결정 실리콘막(25) 상에 산화 실리콘을 1000Å의 막 두께로 적층하여, 산화 실리콘막(35)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산화 실리콘막(35)을 게이트 전극(22)의 형상에 맞춰 패터닝하고, 게이트 전극(22)에 겹쳐지는 스토퍼(26)를 형성한다. 이 스토퍼(26)의 형성에서는 산화 실리콘막(35)을 피복하여 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 그 레지스트층을 투명 기판측으로부터 게이트 전극(22)을 마스크로 하여 노광함으로써, 마스크 편차를 없앨 수 있다.
(d) 제4 공정
스토퍼(26)가 형성된 다결정 실리콘막(25)에 대해 형성해야 할 트랜지스터의 타입에 대응하는 P형 또는 N형 이온을 주입한다. 즉, P채널형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붕소 등의 P형 이온을 주입하고, N채널형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인 등의 N형 이온을 주입한다. 이 주입에 의해, 스토퍼(26)로 피복된 영역을 제외하고 다결정 실리콘막(25)에 P형 또는 N형의 도전성을 나타내는 영역이 형성된다. 이들 영역이 스토퍼(26)의 양측에서 소스 영역(25s) 및 드레인 영역(25d)으로 된다.
(e) 제5 공정
소스 영역(25s) 및 드레인 영역(25d)이 형성된 다결정 실리콘막(25)에 엑시머 레이저를 조사하고, 실리콘이 융해되지 않을 정도로 가열한다. 이에 따라, 소스 영역(25s) 및 드레인 영역(25d) 내의 불순물 이온이 활성화된다. 그리고, 스토퍼[26: (게이트 전극(22)]의 양측에 소정 폭을 남기고 다결정 실리콘막(25)을 섬 형상으로 패터닝하여, 트랜지스터를 분리 독립시킨다.
(f) 제6 공정
다결정 실리콘막(25) 상에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산화 실리콘을 1000Å의 막 두께로 적층하고, 연속하여 질화 실리콘을 3000Å의 막 두께로 적층한다. 이에 따라, 산화 실리콘막(27) 및 질화 실리콘막(28)의 2층으로 이루어지는 층간 절연막이 형성된다. 여기서, 스토퍼(26)와 산화 실리콘막(27)을 합한 막 두께 T1은 2000Å인데 비해, 질화 실리콘막(28)의 막 두께 T2는 3000Å이고, 상술한 수학식 1이 만족되고 있다.
산화 실리콘막(27) 및 질화 실리콘막(28)을 형성한 후, 질소 분위기 속에서 가열하고, 질화 실리콘막(28) 내에 포함되는 수소 이온을 다결정 실리콘막(25)에 도입한다. 이 가열 처리의 온도는 수소 이온의 이동이 충분하고, 투명 기판(21)이 손상을 받지 않는 범위로 할 필요가 있고, 350 ∼ 450℃의 범위가 적당하다. 질화 실리콘막(28) 내에 포함되는 수소 이온은 질화 실리콘막(28)의 막 두께에 따라 얇게 형성된 산화 실리콘막(27)을 통해 다결정 실리콘층(25)에 도입되기 때문에, 다결정 실리콘층(25)에서 필요한 양이 확실하게 공급된다. 이에 따라, 다결정 실리콘층(25) 내의 결정 결함이 수소 이온으로 메워진다.
수소 이온에 의한 다결정 실리콘층(25) 내의 결정 결함의 보충이 완료된 후에는 소스 영역(25s) 및 드레인 영역(25d)에 대응하여 산화 실리콘막(27) 및 질화 실리콘막(28)을 관통하는 컨택트 홀(29)을 형성하고, 이 컨택트 홀(29) 부분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소스 전극(30s) 및 드레인 전극(30d)을 형성한 다. 이 소스 전극(30s) 및 드레인 전극(30d)의 형성은 예를 들면 컨택트 홀(29)이 형성된 질화 실리콘막(28) 상에 스퍼터링한 알루미늄을 패터닝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계속해서, 소스 전극(30s) 및 드레인 전극(30d)이 형성된 질화 실리콘막(28) 상에 아크릴 수지 용액을 도포하고, 소성하여 아크릴 수지층(31)을 형성한다. 이 아크릴 수지층(31)은 스토퍼(26)나 소스 전극(30s), 드레인 전극(30d)에 의한 요철을 매립하여 표면을 평탄화한다. 또한, 소스 전극(30s) 상에 아크릴 수지층(31)을 관통하는 컨택트 홀(32)을 형성하고, 이 컨택트 홀(32) 부분에 소스 전극(30s)에 접속되는 ITO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극(33)을 형성한다. 이 투명 전극(33)의 형성은 예를 들면, 컨택트 홀(32)이 형성된 아크릴 수지층(31) 상에 스퍼터링한 ITO를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상의 제1 내지 제6 공정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구조를 구비한 버텀 게이트형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도 8a ∼ 도 8d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별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는 도 4와 동일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a) 제1 공정
절연성의 투명 기판(41) 상에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질화 실리콘을 500Å 이상의 막 두께로 적층하고, 연속하여 산화 실리콘을 500Å의 막 두께로 적층한다. 이에 따라, 투명 기판(41)으로부터의 불순물 이온의 석출을 저지하는 질화 실리콘막(42) 및 다결정 실리콘막(44)의 적층을 가능하게 하는 산화 실리콘막(43)이 형성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실리콘을 400Å의 막 두께로 적층하고, 비정질의 실리콘막(44')을 형성한다. 그리고, 430℃ 정도에서 1시간 이상 열처리하여 실리콘막(44') 내의 수소를 막 밖으로 배출하여, 수소 농도를 1% 이하로 한 후, 엑시머 레이저를 실리콘막(44')에 조사하여, 비정질 상태의 실리콘이 융해될 때까지 가열한다. 이에 따라, 실리콘이 결정화되어, 다결정 실리콘막(44)으로 된다.
(b) 제2 공정
트랜지스터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다결정 실리콘막(44)을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하여, 트랜지스터마다 분리한다. 다결정 실리콘층(44)을 분리한 후,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산화 실리콘을 1000Å의 막 두께로 적층하고, 게이트 절연막으로 되는 산화 실리콘막(45)을 형성한다. 그리고, 스퍼터법에 의해 크롬이나 몰리브덴 등의 고융점 금속을 1000Å의 막 두께로 적층하여, 고융점 금속막(54)을 형성한다. 이 고융점 금속막(54)을 다결정 실리콘막(45)을 가로지르는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46)을 형성한다.
(c) 제3 공정
게이트 전극(46)을 마스크로 하여, 형성해야 할 트랜지스터의 타입에 대응하는 P형 또는 N형의 이온을 다결정 실리콘막(44)에 주입한다. 이 주입에서는 게이트 전극(46)으로 피복된 영역을 제외하고 다결정 실리콘막(44)에 P형 또는 N형의 도전성을 나타내는 영역이 형성된다. 이들 영역이 소스 영역(44s) 및 드레인 영역(44d)으로 된다. 그리고, 소정의 도전형의 불순물 이온이 주입된 다결정 실리콘막 (44)에 엑시머 레이저를 조사하고, 실리콘이 융해되지 않을 정도로 가열한다. 이에 따라, 소스 영역(44s) 및 드레인 영역(44d) 내의 불순물 이온이 활성화된다.
(d) 제4 공정
게이트 전극(46)이 형성된 산화 실리콘막(45) 상에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산화 실리콘을 1000Å의 막 두께로 적층하고, 연속하여 질화 실리콘을 3000 Å의 막 두께로 적층한다. 이에 따라, 산화 실리콘막(47) 및 질화 실리콘막(48)의 2층으로 이루어지는 층간 절연막이 형성된다. 여기서, 산화 실리콘막(45)과 산화 실리콘막(47)을 합한 막 두께 T1은 2000Å 인데 비해, 질화 실리콘막(48)의 막 두께 T2는 3000Å이고, 상술한 수학식 1을 만족하고 있다.
산화 실리콘막(47) 및 질화 실리콘막(48)을 형성한 후, 질소분위기 속에서 가열하고, 질화 실리콘막(48) 내에 포함되는 수소 이온을 다결정 실리콘막(44)으로 도입한다. 이 가열 처리 자체는 도 7f에 도시된 버텀 게이트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의 제6 공정에서의 가열 처리와 동일하다. 그런데, 다결정 실리콘막(44)과 게이트 전극(46) 사이에서는 각각의 계면에서 수소 이온이 매우 확산되기 쉽기 때문에, 다결정 실리콘막(44)의 게이트 전극(46)에 피복된 부분에서는 게이트 전극(46) 측면으로부터 수소 이온이 감돌아 침입한다. 따라서, 고융점 금속으로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46)이 수소 이온을 통과하지 않는다고 해도 문제는 없다. 이에 따라, 다결정 실리콘막(44) 내의 결정 결함이 수소 이온으로 메워진다.
다결정 실리콘막(4) 내에 수소 이온을 도입한 후에는 소스 영역(44s) 및 드레인 영역(44d)에 대응하여, 산화 실리콘막(45, 47) 및 질화 실리콘막(48)을 관통 하는 컨택트 홀(49)을 형성한다. 그리고, 컨택트 홀(49) 부분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소스 전극(50s) 및 드레인 전극(50d)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소스 전극(50s) 및 드레인 전극(50d)이 형성된 질화 실리콘막(48) 상에 아크릴 수지 용액을 도포하고, 소성하여 아크릴 수지층(51)을 형성한다. 이 아크릴 수지층(51)은 게이트 전극(46)이나 소스 전극(50s), 드레인 전극(50d)에 의한 요철을 매립하여 표면을 평탄화한다. 또한, 소스 전극(50s) 상에 아크릴 수지층(51)을 관통하는 컨택트 홀(52)을 형성하고, 이 컨택트 홀(52) 부분에 소스 전극(50s)에 접속되는 ITO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극(53)을 형성한다.
이상의 제1 내지 제4 공정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구조를 구비한 톱 게이트형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각 부의 막 두께에 대해서는 특정한 조건에서의 최적값이고, 반드시 이들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활성 영역으로 되는 반도체막(다결정 실리콘막)에 겹쳐지는 산화 실리콘막 및 질화 실리콘막의 막 두께가 상술한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값이면,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성 영역을 형성하는 다결정 실리콘막 상에 산화 실리콘막을 통해 질화 실리콘막을 형성한 경우에도, 다결정 실리콘막의 결정 결함이 질화 실리콘막으로부터 공급되는 수소 이온에 의해 확실하게 메워진다. 따라서, 질화 실리콘막으로부터 다결정 실리콘막으로 수소 이온을 도입하기 위한 어닐 처리의 조건을 완화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을 간략화하여, 결과적으로 제조 수율의 향상이 도 모된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기판의 한 주면 상에 반도체막을 형성하는 제1 공정;
    상기 반도체막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적층하고, 이 게이트 절연막 상에 상기 반도체막과 교차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2 공정;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을 피복하여 층간 절연막을 적층하는 제3 공정; 및
    350℃ 내지 450℃의 범위로 가열하여 상기 층간 절연막에 포함되는 수소 이온을 상기 반도체막 내에 도입하는 제4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공정은 게이트 절연막이 상기 반도체막에 접하여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제1 산화 실리콘막을 적층하고, 연속하여,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상기 제1 산화 실리콘막에 접하여 질화 실리콘막을 적층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질화 실리콘막 중에 포함되는 수소 이온이 상기 반도체막 중에 충분히 도입되도록 상기 산화 실리콘막의 막 두께를 상기 산화 실리콘막의 상방에 형성된 상기 질화 실리콘막의 막 두께에 8000Å을 곱한 값의 제곱근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은 상기 기판 상에 비정질 실리콘을 적층한 후, 그 비정질 실리콘을 융해하고 결정화하여 다결정 실리콘층으로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5. 삭제
KR1020050051772A 1997-09-30 2005-06-16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100599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670597A JP3599972B2 (ja) 1997-09-30 1997-09-30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JP-P-1997-00266705 1997-09-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640A Division KR100544919B1 (ko) 1997-09-30 1998-09-29 박막트랜지스터및박막트랜지스터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404A KR20050072404A (ko) 2005-07-11
KR100599908B1 true KR100599908B1 (ko) 2006-07-19

Family

ID=1743454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640A KR100544919B1 (ko) 1997-09-30 1998-09-29 박막트랜지스터및박막트랜지스터의제조방법
KR1020050051772A KR100599908B1 (ko) 1997-09-30 2005-06-16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1020050051773A KR100599910B1 (ko) 1997-09-30 2005-06-16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640A KR100544919B1 (ko) 1997-09-30 1998-09-29 박막트랜지스터및박막트랜지스터의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773A KR100599910B1 (ko) 1997-09-30 2005-06-16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265730B1 (ko)
JP (1) JP3599972B2 (ko)
KR (3) KR100544919B1 (ko)
TW (1) TW4052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1994A (ja) * 1997-10-03 1999-04-23 Sanyo Electric Co Ltd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US6534826B2 (en) 1999-04-30 2003-03-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769997B2 (ja) * 2000-04-06 2011-09-07 ソニー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有機el装置、有機el装置の製造方法
JP2002050764A (ja) * 2000-08-02 2002-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薄膜トランジスタ、アレイ基板、液晶表示装置、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26329B2 (ja) 2001-03-27 2012-05-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電気器具
KR100764273B1 (ko) * 2001-05-31 2007-10-05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TW200304227A (en) * 2002-03-11 2003-09-16 Sanyo Electric Co Top gate type thin film transistor
TWI272556B (en) 2002-05-13 2007-02-01 Semiconductor Energy Lab Display device
US20040087116A1 (en) * 2002-10-30 2004-05-06 Junichiro Nakayama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KR101130232B1 (ko) 2003-11-14 2012-03-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WO2006117900A1 (ja) * 2005-04-26 2008-12-18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JP2008085251A (ja) 2006-09-29 2008-04-10 Sony Corp 薄膜半導体装置、表示装置、および薄膜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704790B2 (ja) * 2008-05-07 2015-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および、表示装置
KR101969253B1 (ko) * 2009-10-08 2019-04-1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WO2011048925A1 (en) * 2009-10-21 2011-04-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CN103140920B (zh) * 2010-09-28 2016-05-04 凸版印刷株式会社 薄膜晶体管、其制造方法以及装备有该薄膜晶体管的图像显示装置
US9721973B2 (en) 2014-02-24 2017-08-01 Lg Display Co., Ltd.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display using the same
US10325937B2 (en) * 2014-02-24 2019-06-18 Lg Display Co., Ltd.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with intermediate insulating layer and display using the same
EP2911202B1 (en) 2014-02-24 2019-02-20 LG Display Co., Ltd.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display using the same
EP2911200B1 (en) * 2014-02-24 2020-06-03 LG Display Co., Ltd.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display using the same
US9691799B2 (en) 2014-02-24 2017-06-27 Lg Display Co., Ltd.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display using the same
US10985196B2 (en) 2014-02-24 2021-04-20 Lg Display Co., Ltd.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with intermediate insulating layer and display using the same
US10186528B2 (en) 2014-02-24 2019-01-22 Lg Display Co., Ltd.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display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7215A (ja) 1982-02-08 1983-08-15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の絶縁膜のエツチング方法
US5162892A (en) * 1983-12-24 1992-11-10 Sony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with polycrystalline silicon active region and hydrogenated passivation layer
JPS6432678A (en) * 1987-07-28 1989-02-02 Ricoh Kk Thin-film transistor
JPS6453559A (en) 1987-08-25 1989-03-01 Sharp Kk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US5130772A (en) 1989-12-15 1992-07-14 Samsung Electron Devices Co., Ltd. Thin film transistor with a thin layer of silicon nitride
JPH04162668A (ja) 1990-10-26 1992-06-08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239731A (ja) 1991-01-23 1992-08-27 Casio Comput Co Ltd 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DE69228868D1 (de) * 1991-01-30 1999-05-12 Minnesota Mining & Mf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olysilizium-Dünnfilmtransistors
EP0499979A3 (en) 1991-02-16 1993-06-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optical device
TW223178B (en) 1992-03-27 1994-05-01 Semiconductor Energy Re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production method
US5707746A (en) * 1992-09-25 1998-01-13 Sharp Kabushiki Kaisha Thin film transistor device with advanced characteristics by improved matching between a glass substrate and a silicon nitride layer
US5440168A (en) 1993-02-22 1995-08-08 Ryoden Semiconductor System Engineering Corporation Thin-film transistor with suppressed off-current and Vth
JPH06260649A (ja) * 1993-03-02 1994-09-16 Casio Comput Co Ltd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H06338601A (ja) 1993-05-31 1994-12-06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150692A (en) 1993-07-13 2000-11-21 Sony Corporation Thin film semiconductor device for active matrix panel
US5492843A (en) 1993-07-31 1996-02-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substrate
US5627089A (en) 1993-08-02 1997-05-06 Goldstar Co., Ltd. Method for fabricating a thin film transistor using APCVD
JP3208976B2 (ja) 1993-12-03 2001-09-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シリコン薄膜トランジスタ
US5545576A (en) 1994-04-28 1996-08-13 Casio Computer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hin film transistor panel
US5641974A (en) 1995-06-06 1997-06-24 Ois Optical Imaging Systems, Inc. LCD with bus lines overlapped by pixel electrodes and photo-imageable insulating layer therebetween
JPH0982982A (ja) * 1995-09-19 1997-03-28 Sony Corp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表示装置
JP3604106B2 (ja) 1995-09-27 2004-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646999B2 (ja) 1995-09-28 2005-05-11 シャープ株式会社 透過型液晶表示装置
US5616933A (en) * 1995-10-16 1997-04-01 Sony Corporation Nitride encapsulated thin film transistor fabrication technique
KR0171984B1 (ko) 1995-12-11 1999-03-30 김주용 박막 트랜지스터의 자기 정렬 노광 방법
JP3317387B2 (ja) 1996-06-03 2002-08-26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880018A (en) 1996-10-07 1999-03-09 Motorola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a low dielectric constant inter-level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JP3323889B2 (ja) 1996-10-28 2002-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4086925B2 (ja) 1996-12-27 2008-05-1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ディスプレイ
JP3269787B2 (ja) 1997-05-27 2002-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6140668A (en) 1998-04-28 2000-10-31 Xerox Corporation Silicon structures having an absorption layer
US6261881B1 (en) * 1998-08-21 2001-07-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provided with semiconductor circuit consisting of semiconductor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13618B1 (en) 2003-09-02
KR20050072404A (ko) 2005-07-11
JP3599972B2 (ja) 2004-12-08
TW405270B (en) 2000-09-11
KR20050072405A (ko) 2005-07-11
JPH11111989A (ja) 1999-04-23
KR19990030268A (ko) 1999-04-26
KR100599910B1 (ko) 2006-07-19
KR100544919B1 (ko) 2006-04-21
US6265730B1 (en) 2001-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9908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100546540B1 (ko) 박막트랜지스터및박막트랜지스터의제조방법
US6555419B2 (en) Thin film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in film transistor
US6992435B2 (en) Thin film transist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TW482938B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335232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hin film transistor
CN1329966C (zh) 薄膜晶体管的制造方法
US6548828B2 (en) Thin-film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in-film transistor with tapered gate of 20 degrees or less
KR100560586B1 (k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0599909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JP2003031817A (ja) コンタクト構造の形成方法
JPS61145582A (ja) 表示装置
JP2004363626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2004363627A (ja)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11999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2905641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H11111997A (ja) 薄膜トランジスタ
JPS59104173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H0572749B2 (ko)
JPH05136412A (ja) 薄膜素子
JPH11111996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2000323717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この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