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570B1 - 드럼식 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식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570B1
KR100598570B1 KR1020040035732A KR20040035732A KR100598570B1 KR 100598570 B1 KR100598570 B1 KR 100598570B1 KR 1020040035732 A KR1020040035732 A KR 1020040035732A KR 20040035732 A KR20040035732 A KR 20040035732A KR 100598570 B1 KR100598570 B1 KR 100598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rotor
washing machine
rotation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1001A (ko
Inventor
호시노히로유키
요시다켄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1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2Automatic drum positio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06F2103/46Current or voltage of the motor driving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Abstract

드럼둘레면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개구부를 형성한 드럼식세탁기에 있어서, 드럼의 회전상태에서 드럼을 정지시켜 그 위치를 고정할 때의 동작을 신속하게 실시하게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먼저 드럼의 정지를 실시할 때에, 드럼모터의 로터와 스테이터의 자력의 흡인력과 반발력의 양쪽을 이용한 구동방식에 의해 로터(202)를 회전시키고(A), 로터(202)에 부착된 자석(203b)이 홀IC기판(203a)을 통과하여 잠금위치를 나타내는 검출신호가 얻어지면(B), 스테이터와 로터의 자력의 흡인력만을 이용한 구동방식으로 전환하여 로터(202)를 일단 정지시킨다(C). 그 후, 저속으로 조금씩 반대방향으로 로터(202)를 회전시키고, 상기의 검출신호를 얻게 되면, 드럼의 잠금구동부(21)로부터 결합핀(21)을 진출시켜서 홈부(22)에 결합시키고(D), 드럼을 잠그는 구성으로 한다.
드럼식세탁기

Description

드럼식 세탁기{Drum Type Wa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드럼식세탁기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드럼식세탁기의 내부 주요부의 면종단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드럼식세탁기의 내부 주요부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드럼식세탁기의 주요부의 전기계 구성도.
도 5는 드럼모터인 직류 브러시리스 모터의 구동제어부의 상세한 구성도.
도 6은 드럼 잠금수단의 확대도이며, 드럼의 잠금 해제상태(A) 및 드럼의 잠금상태(B)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실시예의 드럼식세탁기에 있어서의 드럼의 잠금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실시예의 드럼식세탁기에 있어서 로터와 스테이터의 자기장의 흡인력을 이용한 구동방식의 동작설명도.
도 9는 본 실시예의 드럼식세탁기에 있어서의 드럼의 잠금해제동작의 제어흐름도.
도 10은 본 실시예의 드럼식세탁기에 있어서의 드럼의 잠금해제동작의 설명도.
도 11은 본 실시예의 드럼식세탁기에 있어서의 드럼의 잠금해제방식의 효과 를 나타내는 실험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機體)상자 2; 상부뚜껑 3 ; 세탁물투입구
10 ; 세탁조 101 ; 세탁조 개구 102 ; 세탁조 문
13 ; 드럼 131 ; 드럼개구 132 ; 드럼 문
14 ; 주축 15 ; 보조축 16, 18 ; 베어링케이스
17, 19 ; 베어링 20 ; 드럼모터(직류모터)
201 ; 스테이터 202 ; 로터
203 ; 회전센서 203a ; 홀IC기판
203b ; 정지위치 검지용자석 21 ; 결합구동구동부
211 ; 토크모터 212 ; 결합핀
213 ; 작동체 213a ; 개구 214 ; 스프링
215 ; 캠 216 ; 볼록부 217 ; 회전위치 검출기
22 ; 결합홈부 30 ; 제어부 31 ; 부하(負荷)구동부
311 ; 인버터회로 40 ; 상용(商用)교류전원 41 ; 직류변환기
42 ; 전류검출부 R1 ; 분류(shunt)저항 O1∼Q6 ; 스위칭소자
본 발명은, 수평 또는 경사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을 구비하는 드럼식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드럼식세탁기로써, 수평 또는 경사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배설된 드럼의 둘레면에 개폐가 자유로운 의류투입구가 형성되며, 이 드럼을 내부에 구비하는 기체상자의 상면에 설치한 상부뚜껑을 열어, 상기 의류투입구를 통해서 드럼내에 세탁물을 넣고 꺼낼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2834855호 공보 및 동 특개2000-103095호 공보). 이와 같은 드럼식세탁기에 의하면, 세탁물의 출입시에 사용자는 허리를 구부릴 필요가 없으며, 사용편의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드럼식세탁기에서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하여, 기체상자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의 하방에 드럼의 의류(세탁물)투입용 개구가 있는 상태로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그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하는 드럼의 잠금기구로서, 상기 특허 2834855호 공보에서는,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부착 풀리의 기어에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설치하여, 드럼 잠금위치의 근방에서 전기적으로 직류모터에 브레이크를 걸어서 소정의 위치에 정지시킨 후에 도어잠금을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일본국 특개2003-103095호 공보에는, 드럼을 내장하는 세탁조의 일단면에 설치된 드럼위치 고정장치로부터 내주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와, 모터의 로터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와의 맞물림에 의해 드럼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의 둘레면에 의류투입구를 형성한 구성의 드럼식세탁기에서는, 드럼의 잠금기구에 의해 드럼이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된 후에 상부뚜껑을 개방하도록 하지 않으면 안전성의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드럼의 잠금동작에 시간이 걸리게 되면, 예를 들면, 사용자가 운전을 중단시키고 상부뚜껑을 개방하기 위한 조작(예를 들면, 상부뚜껑개방지시용 버튼을 누름)을 실시하고 나서, 실제로 상부뚜껑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 될 때까지 사용자를 오래 기다리게 한다. 따라서,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드럼의 잠금동작을 가능한 한 신속하게 완료시키는 것이 요망된다.
또, 드럼의 잠금이 걸린 상태에서는 드럼을 회전시키기 전에 반드시 드럼의 잠금해제를 실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운전개시시나 일시적으로 운전을 정지한 후의 운전재개시에 신속하게 운전을 개시하게 하는 데는, 드럼의 잠금해제동작도 가능한 한 신속하게 완료하도록 하는 것이 요망된다.
일반적으로 직류모터에 있어서, 로터를 회전시킬 때에는, 로터와 스테이터와의 사이의 자력의 흡인력과 반발력의 양쪽을 이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흡인력과 반발력의 양쪽을 이용하는 경우, 로터를 일시적으로 정지시켰을 때의 위치 유지의 안정성이 그다지 양호하지 않고, 드럼의 잠금동작에 지장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때문에, 본출원인은 일본국 특원 2002-59787호에 기재된 드럼식세탁기에 있어서, 드럼의 잠금을 실시하려고 할 때에, 로터와 스테이터와의 사이의 자력의 반발력을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주로 흡인력만을 이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의해, 드럼을 일시적으로 정지하였을 때에 그 위치 유지의 안정성이 매우 높아짐과 동시에, 회전의 원활성은 손상되지만 간헐적인 회전이 용이해진다. 그 때문에, 드럼내에서의 세탁물의 이동이나 세탁물의 쏠림이 있는 경우에도, 스테이터의 슬롯과 로터의 자석과의 배치로 결정되는 복수의 회전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드럼을 정지시킬 수가 있다. 또, 매우 저속으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높은 토크(torque)를 얻을 수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모터의 구동방식에서는, 세탁물의 쏠림에 의한 편심하중이 큰 경우에 비정상구동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로터의 회전속도를 올리기가 어렵고, 드럼의 잠금이 가능한 위치까지 드럼을 회전시키는데 시간을 필요로 할 때가 있다.
또, 통상적으로, 드럼의 잠금기구에 의해 드럼이 잠겨져 있을 때에는 드럼을 회전구동하는 모터에로의 통전을 정지시키는데, 그 상태에서는, 드럼의 잠금기구의 볼록부와 오목부와의 맞물림의 칫수에 있어서의 여유분만큼, 극히 미소하지만 드럼은 회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그 상태에서 드럼에 세탁물이 투입되어 그것이 크게 쏠리는 경우, 그 편심하중에 의해 드럼이 약간이라도 회전하여 드럼의 잠금기구의 볼록부와 로터측의 오목부가 강하게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드럼의 잠금을 해제하려고 할 때에, 큰 마찰력에 의해 볼록부가 오목부로부터 이탈할 수 없게 되며, 드럼의 잠금이 해제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제1의 목적은, 드럼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 회전을 정지시키는 드럼의 잠금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드럼식세탁기를 제공한다.
또, 제2의 목적은, 드럼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쏠림등에 의해 드럼의 잠금이 해제되기 어려운 상태가 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드럼의 잠금을 해제하여 운전으로 이행하게 할 수가 있는 드럼식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제1발명은, 기체상자 내에 배설된 세탁조의 내부에, 둘레면이 대략 원통형상의 드럼을 수평 또는 경사진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배설된 드럼식세탁기에 있어서,
a) 드럼을 회전구동할 수 있는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에 구동력을 주는 스테이터로 이루어지는 직류모터와,
b) 상기 직류모터의 로터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스테이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회로를 사용한 구동제어수단과,
c) 드럼을 그 회전상의 소정의 잠금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드럼 또는 상기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회전하지 않는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진/퇴가 자유로운 볼록부와 이 볼록부를 받는 오목부와의 결합동작을 실시하는 드럼의 잠금수단과,
d) 상기 구동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로터와 스테이터와의 사이의 흡인력 및 반발력을 함께 이용하여 드럼을 상기 잠금위치의 근방에 도달시키는 제1단계의 정지제어동작과, 상기 로터와 스테이터와의 사이의 흡인력을 주로 이용하여 드럼을 저속으로 상기 잠금위치에 도달시키는 제2단계의 정지제어동작을 실시하고, 상기 제2단계의 정지제어동작에 있어서 드럼이 상기 잠금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볼록부를 진출시켜서 오목부와 결합시키는 상기 드럼의 잠금수단을 제어하는 드럼의 잠금실행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직류모터의 로터를 회전시킬 때에는, 로터와 스테이터와의 사이의 자력의 흡인력과 반발력의 양쪽을 이용한다. 이 구동방식에 있어서는, 로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나, 그 반면, 임의의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로터를 정지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한편, 로터와 스테이터와의 사이의 자력의 흡인력만을 주로 이용하는 구동방식에 있어서는, 로터를 조금씩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용이하며, 또한 로터를 정지하였을 때의 위치 유지의 안정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그 반면, 전자의 구동방식과 같이 로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극히 어렵다.
따라서, 상기 양 구동방식의 특징을 살리기 위하여, 본 제1발명에 있어서의 드럼식세탁기에 있어서 드럼의 잠금실행수단은, 드럼이 잠금위치의 근방에 도달할때까지 전자의 구동방식으로, 즉, 로터와 스테이터와의 사이의 자력의 흡인력 및 반발력을 함께 이용하여 드럼을 회전시키고(제1단계의 정지제어동작), 이어서, 드럼이 잠금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후자의 구동방식으로, 즉, 로터와 스테이터와의 사이의 자력의 흡인력을 주로 이용하여 드럼을 저속으로 회전시킨다(제2단계의 정지제어동작). 그리고, 제2단계의 정지제어동작에 있어서 드럼이 잠금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드럼의 잠금수단의 볼록부를 진출시켜서 오목부에 끼워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드럼의 잠금을 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드럼이 드럼의 잠금에 필요한 소정의 잠금위치 근방까지 신속하게 회전된 후에, 그 잠금위치까지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드럼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신속하게 드럼의 잠금을 완료시킬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사용자가 운전을 일시적으로 중단 또는 중지하여 세탁물의 출입을 원하는 경우에, 뚜껑체가 개방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대기시간을 단축하여 사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제1의 발명에 있어서의 드럼식세탁기의 구체적인 일형태로써, 드럼이 상기 잠금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회전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드럼의 잠금실행수단은, 상기 제1단계의 정지제어 동작시에, 상기 회전검지수단에 의해 드럼이 상기 잠금위치에 온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제2단계의 정지제어동작으로 전환되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구성에서는, 로터와 스테이터와의 사이의 자력의 흡인력 및 반발력을 함께 이용하여 드럼을 회전시켰을 때에, 회전검지수단에 의해 잠금위치를 검지하여 제2단계의 정지제어동작으로 전환시킨다. 관성회전에 의해 드럼은 잠금위치를 통과하여 그 잠금위치근방의 소정의 범위내에서 일단 정지하고, 그 위치부터 로터와 스테이터와의 사이의 자력의 흡인력의 작용에 의해 역방향으로 저속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드럼의 잠금동작 중에서도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는 제2단계의 정지제어동작에 필요한 시간을 언제나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드럼의 잠금에 필요한 시간을 안정적으로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제1의 발명에 있어서의 드럼식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수단은, 로터와 스테이터와의 사이의 자력의 흡인력을 주로 이용하도록 하여 제어를 실시할 때에,상기 인버터회로의 전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전류가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인버터회로를 On/Off제어하는 방법으로, 상기 직류모터의 토크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스테이터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등에 의한 온도상승 등의 요인으로 코일저항값이 변동한 경우에도, 그 코일에 대략 일정한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직류모터의 토크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드럼내에서의 세탁물의 이동이나 세탁물의 쏠림이 있는 경우에도, 제2단계의 드럼정지제어동작시에 드럼의 간헐회전이 원활하게 되며, 목적하는 잠금위치에 드럼을 정확하게 위치하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제2발명은, 기체상자 내에 배설된 세탁조의 내부에, 둘레면이 대략 원통형상의 드럼을 수평 또는 경사진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배설된 드럼식세탁기에 있어서,
a) 드럼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b)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제어수단과,
c) 드럼을 그 회전상의 소정의 잠금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드럼 또는 상기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회전하지 않는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진/퇴가 자유로운 볼록부와 이 볼록부를 받는 오목부와의 결합동작을 실시하는 드럼의 잠금수단과,
d)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볼록부를 후퇴시켜서 결합해제를 실시할 때에, 드럼을 회전전방 및 후방으로 왕복회전운동시킬 수 있는 상기 구동제어수단을 제어하는 드럼의 잠금해제 실행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드럼이 정지하여 드럼에 잠금이 걸린 상태에 있을 때, 예를 들면, 드럼내에서의 세탁물의 쏠림 등의 요인으로 드럼이 약간 회전하여 드럼 잠금수단의 볼록부와 오목부와의 강한 마찰에 의해 볼록부의 후퇴(이탈)동작이 방해를 받게 되는 경우에 있어도, 드럼의 잠금해제 실행수단이 드럼을 회전전방 및 후방으로 왕복회전운동시키도록 구동제어수단을 제어하면, 드럼 잠금수단의 볼록부와 오목부의 결합의 치수에 있어서의 여유분만큼 드럼이 회전운동하고, 상기와 같은 강한 마찰이 단시간에 해소되고 그 사이에 볼록부의 후퇴동작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확실하게 드럼의 잠금해제동작을 달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제2발명에 있어서의 드럼식세탁기에 의하면, 드럼 잠금수단의 볼록부와 오목부와의 결합헤제가 곤란한 경우에도, 신속하게 그 결합을 해제하여 드럼을 회전가능한 상태로 이행시킬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운전개시나 운전재개 등 다음 차례의 운전동작으로 신속하게 이행할 수가 있으며, 운전시간이 원치 않게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제2의 발명에 있어서의 드럼식세탁기의 구체적인 일형태로써, 상기 드럼의 잠금해제실행수단은, 먼저 드럼의 상기 왕복회전운동을 실시하지 않고, 상기 볼록부의 후퇴동작을 시도하고, 그 상태에서 볼록부가 오목부로부터 이탈할 수 없는 경우에 드럼의 왕복회전운동을 실시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드럼 잠금수단의 볼록부와 오목부와의 사이에 일어나는 강한 마찰 등의 문제가 없이 볼록부가 부드럽게 후퇴가능한 경우에는 드럼의 왕복회전운동은 실시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모터가 구동되는 일이 없고, 그만큼 신속하게 드럼의 잠금 해제동작을 완료하여 다음 동작으로 이행할 수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정할 수 있을 정도의 세탁물의 쏠림 등이 원인이라면, 드럼을 어느 정도 왕복회전운동시키는 사이에 볼록부의 후퇴동작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드럼의 왕복회전운동을 소정의 회수 또는 소정의 시간동안 실시하여도 드럼의 잠금해제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세탁물의 쏠림상황이 이상상태이거나, 혹은 세탁물들이 서로 엉키는 등의 어떤 이상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드럼의 왕복회전운동을 소정의 회수 또는 소정의 시간 실시하여도 드럼의 잠금해제를 실시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에 대하여 이상상태를 알리는 이상알림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에 의해, 이상상태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려서, 필요한 처리를 할 수가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드럼식세탁기에 대하여, 도 1∼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드럼식세탁기의 외관사시도이다.
이 드럼식세탁기에 있어서, 기체상자(1)는. 상면과 전면과의 사이의 각이 약간 완만하게 앞으로 처진 경사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사부에서 그 후방에 걸쳐서 큰 세탁물투입구(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세탁물투입구(3)는 그 후방에 2단접이 상태로 기립가능한 상부뚜껑(2)에 의해 패쇄가 자유롭게 되어 있다. 상부뚜껑(2)의 좌측에는 전방으로 자유롭게 잡아당길 수 있는 세제용기(4)가, 우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조작패널(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패널(5)에는, 운전코스나 예약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것 등의 각종 조작키와, 이들 설정에 따라서 점등하거나, 세탁행정의 진척상황을 알리거나, 혹은 예약이나 운전의 잔여시간 등을 표시하거나 하기 위한 각종의 표시기가 적당하게 분산 배치되어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드럼식세탁기의 내부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는 내부주요부의 정면종단면도, 도3은 내부주요부의 좌측면도이다. 이 도2, 도3에서는 외형을 이루는 기체상자(1)에 대한 기재는 생략하고 있다.
대좌부(6)위에는, 둘레면이 대략 원통형상으로서 양단면이 거의 폐쇄된 세탁조(10)가, 기체상자(1)의 좌우측면에 각각 양면이 대향하는 상태로, 좌우양측 상방으로부터 현수지지하는 2개의 스프링(11)과, 전후방향으로 세탁조(10)의 하부를 받치는 댐퍼(12)에 의해 적당하게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세탁조(10)의 내부에는, 다수의 통수홀이 천공된 대략 원통형상의 둘레면의 양단면이 거의 폐쇄되어 있는 가로형의 드럼(13)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축선C를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드럼(13)의 좌측 단면의 중앙에 고착된 주축(14)은, 세탁조(10)의 좌단면에 고정되어 있는 알루미늄다이캐스트제의 제1베어링케이스(16)에 지지된 베어링(17)에 의해 지탱된다. 한편, 드럼(13)의 우측 단면의 중앙에 고착된 보조축(15)은, 세탁조(10)의 우측단면에 고정되어 있는 제2베어링케이스(18)에 지지된 베어링(19)에 의해 지탱된다. 이 주축(14) 및 보조축(15)에 의해 수평축선 C가 형성된다.
세탁조(10)의 좌측 단면에서 측방으로 돌출한 주축(14)의 선단에는, 아웃로터형의 직류모터인 드럼모터(20)의 로터(202)가 고정되고, 한편, 모터대를 겸한 제1베어링케이스(16)에는 그 드럼모터(20)의 스테이터(201)가 고정된다. 후술하는 제어부로부터 스테이터(201)에 구동전류가 공급되면 이에 따라서 로터(202)가 회전하고, 주축(14)에 의해 로터(202)와 동일한 회전속도로 드럼(13)이 회전구동된다.
세탁조(10)의 둘레면의 상부에서부터 경사진 전방에 걸쳐서, 기체상자의 세탁물투입구와 일치하는 위치에,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세탁조개구(101)가 형성되며, 세탁조 개구(101)는 세탁조 문(102)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다. 또, 드럼(13)의 둘레면에도 세탁물을 넣고 내기 위한 드럼개구(131)가 형성되며, 드럼개구(131)는 전후에 좌우로 여닫는 쌍바리지문의 구조를 갖는 2매의 문짝으로 이루어지는 드럼문(132)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다. 드럼(13)은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드럼개구(131)가 세탁조개구(101)와 지름방향으로 일치한 위치(본 발명에 있어서의 잠금위치에 해당)에서 드럼(13)이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테이터(201)의 하방에는 드럼의 잠금 구동부(21)가 설치되어 있으며, 로터(202)의 외연부에 형성된 결합홈부(22)와 함께 본 발명에 있어서의 드럼 잠금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드럼 잠금수단의 구성의 상세와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드럼 잠금수단의 확대도이며, (A)는 드럼의 잠금해제상태(드럼(13)이 회전가능), (B)는 드럼의 잠금상태(드럼(13)이 회전불가능)를 나타내고 있다.
드럼의 잠금구동부(21)는, 토크모터(211)와, 결합핀(212 ;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볼록부에 해당)을 단부에 갖는 작동체(213)와, 작동체(213)를 가세하는 스프링(214)과, 토크모터(211)의 회전축에 고정된 캠(2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동체(213)는 안내홈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며, 캠(215)에 형성된 돌기부(216)는, 작동체(213)에 형성된 개구(213a)내를 이동할 수 있다.
도6(A)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돌기부(216)가 최저위치에 있을 때에는, 돌기부(216)는 스프링(214)에 가세력에 저항하여 작동체(213)를 아래쪽으로 압압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서 결합핀(212)은 아래쪽으로 끌려서 후퇴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토크모터(211)가 좌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에 따라서 돌기부(216)는 상승하고, 스프링(214)의 가세력에 의해 작동체(213)는 서서히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결함핀(212)은 상방으로 진출하기 시작한다.
도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확히 캠(215)이 반회전하여 돌기부(216)가 최고위치이 도달하였을 때에, 작동체(213)도 최고위치에 도달하고, 결합핀(212)은 가장 많이 진출한다. 이 때. 그 진출전방의 위치에 결합홈부(22)가 존재하고 있다면, 결합핀(212)은 결합홈부(22)의 홈(구명)에 끼워결합되고, 이에 의해 로터(202)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즉, 드럼(13)은 잠금위치에서 드럼이 잠금 상태로 된다.
토크모터(211)가 좌회전 방향으로 다시 회전하면, 회전에 따라서 돌기부(216)는 하강하고, 이에 따라서 작동체(213)는 서서히 아래쪽으로 이동한다(후퇴한다). 그리고, 결합핀(212)은 결합홈부(22)의 홈구멍에서 이탈하고, 로터(202)는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로 된다. 즉, 드럼의 잠금이 해제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토크모터(211)의 회전동작에 따라서, 드럼의 잠금과 드럼의 잠금해제가 달성된다.
도4는, 본 실시예의 드럼식세탁기의 주요부의 전기계 구성도이다. 제어부(30)는 CPU, ROM, RAM, 타이머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ROM에 격납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세탁, 헹금, 탈수 및 건조의 각 행정의 운전동작을 실시하기 위한 각종의 제어를 실행한다. 제어부(30)에는, 시용자가 각종 설정이나 지시를 주기 위하여 조작패널(5)에 설치된 각종 조작키(5a)로부터 키의 입력신호가 주어지는 것과 동시에, 세탁조(10)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센서(37), 드럼모터(20)에 부설되며, 그 로터(202)의 회전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홀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센서(203)등으로부터 각각 검출신호가 입력된다. 회전센서(203)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 제어부(30)에는 부하(負荷)구동부(31)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부하구동부(31)에 의해 드럼모터(20), 팬모터(32), 물가열히터(33), 건조용히터(34), 급수밸브(35), 배수밸브(36) 등의 동작을 각각 제어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드럼의 잠금동작을 실시하기 위하여, 제어부(30)는, 드럼의 잠금구동부(21)에 구비되어 있는 토크모터(211)에 내장된 회전위치 검출기(217)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받으면서, 상기 토크모터(211)의 동작을 제어한다. 회전위치 검출기(217)는 결합핀(212)의 진출위치 및 후퇴위치를 각각 검지하는 것이다.
도5는, 드럼모터(20)인 직류 브러시리스 모터의 구동제어회로의 상세한 구성도이다. 상용교류전원(40)으로부터의 100V교류전압은 교류-직류변환부(41)에 의해 직류화되고, 복수의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인버터회로(상기 부하구동부(31)에 포함된다 ; 311)에서 드럼모터(20)의 스테이터(201)의 각 코일에 대응하는 PWM신호로 변환된다. 분류(shunt)저항(R1)에는 인버터회로(311)의 구동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전류검출부(42)는 이 인버터 구동전류에 따른 전압값을 검출하고, 제어부(30)는 검출된 전압값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각 스위칭소자 Q1∼Q6의 제어단자에 인가하는 PWM신호의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의 드럼식세탁기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201)와 로터(202)와의 사이의 자력의 흡인력만을 이용한 구동방식에 의해 드럼모터(20)를 구동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와 같은 구동방식은 통상의 흡인력과 반발력의 양쪽을 이용한 구동방식과는 다르며, 로터(202)를 유지하면서 회전을 실시하기 위하여 스테이터(201)의 코일전류가 상당히 커진다(예를 들면 7암페어정도). 이에 대하여, 상기 구성에서는, 상대적으로 코일전류가 커서 코일의 온동상승이 크며, 그 영향 등으로 코일저항값이 변동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코일전류를 항상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대체로 일정한 토크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도5의 구성은, 드럼모터(20)의 스테이터(201)가 3슬롯(코일이 3개)인 경우의 간략화한 예시인바, 실제에 있어서는, 여기에서는 드럼모터(20)의 로터(202)의 자석은 24극, 스테이터(201)는 36슬롯으로 하고 있다.
이어서, 회전센서(203)의 구성에 대하여 도3 및 도7에 의해 설명한다. 도7은 본 실시예에의 드럼식세탁기에 있어서의 드럼 잠금동작의 설명도이며, 로터(202)의 회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드럼모터(20)의 스테이터(201)에는, 회전센서(203)로서 홀IC기판(203a)이 부착되어 있다. 이 홀IC기판(203a)에는 드럼모터(20)의 회전제어에 필요한 2 내지 3 개의 홀IC 이외에, 로터(202)가 잠금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기 위한 홀IC가 1개 설치되어 있다. 로터(202)에는 정지위치검지용의 자석(203b)이 부착되어 있으며, 로터(202)가 회전하여 이 자석(203b)이 홀IC(203a)위에 왔을 때에, 로터(202)의 결합홈부(22)가 정확히 드럼의 잠금구동부(21)의 결합핀(212)의 진출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드럼식세탁기에 있어서, 드럼(13)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드럼(13)을 정지시켜서 드럼의 잠금동작을 완료시킬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브러시리스 모터의 회전제어는, 스테이터와 로터와의 사이에서의 자력의 흡인력과 반발력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원활하게 로터를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구동방식으로 저속도로 드럼을 회전구동시킬려고 하면 일반적으로 토크가 낮아진다. 그 때문에, 드럼내에 세탁물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드럼을 미소회전시킨 후의 일시정지시에 세탁물이 이동하고, 그 세탁물의 쏠림에 의한 편심하중에 의해서 드럼이 회전해버리기 쉽고, 안정적인 일시정지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대하여, 스테이터와 로터와의 사이에서의 자력의 반발력을 사용하지 않고 흡인력만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간헐적으로 로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방식에서는, 저속의 간헐적인 회전시에도 충분한 토크를 발생시키고, 일시적 정지시의 위치 유지성을 높힐 수가 있다. 그 반면, 이 구동방식에서는 로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어렵고, 드럼의 고정위치까지의 회전각도가 큰 경우에는, 그 고정위치까지 회전시키는 데에 시간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드럼식세탁기에서는, 상기 양 구동방식의 특징을 살릴 수 있도록, 드럼의 잠금동작시에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제어를 실행하고 있다.
지금, 로터(202)가 도7(A)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제어부(30)는 부하구동부(31)에 의해, 흡인력 및 반발력의 양쪽을 이용한 통상의 구동방식에 의해 로터(202)를 30∼40rpm정도의 회전속도로 우회전시킨다. 홀IC기판(203a)상의 정지위치검출용 홀IC의 검출신호에 의해, 제어부(30)는 로터(202)가 잠금위치에 도달한 것을 인식한다(도7(B) 참조). 이에 따라서 제어부(30)는, 드럼모터(20)의 구동방식을 흡인력만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고, 로터(20)를 일단 정지시킨다.
로터(202)는 관성회전에 의해 잠금위치를 통과하고, 우회전 방향으로 진행한 위치에서 일단 정지한다(도7(C) 참조). 그 후, 스테이터(201)와 로터(202)와의 사이의 자력의 흡인력만을 이용한 구동방식에 의해, 로터(202)를 서서히(약 2rpm)좌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어부(30)는 정지위치 검출용 홀IC의 검출신호에 의해 로터(202)가 잠금위치에 도달한 것을 인식하면, 로터(202)를 그 위치에서 유지하고, 그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토크모터(211)를 구동하여 결합핀(212)을 진출시켜서 결합홈부(22)에 끼워 결합시킨다(도7(D) 참조).
이와 같이 하여, 먼저 스테이터(201)와 로터(202)와의 사이에서의 자력의 흡인력과 반발력을 사용한 구동방식에 의해 로터(202)가 소정의 잠금위치 근방에 오 도록 제어한 후, 그 구동방식을 흡인력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전환하고, 로터(202)를 잠금위치까지 회전시키고 나서 드럼의 잠금구동부(21)에서 결합핀(212)을 진출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신속하고 확실한 드럼의 잠금을 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자의 검증에 의하면, 처음부터 흡인력만을 이용한 구동방식으로 드럼의 잠금을 실시하는 경우에 1분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었던 것이, 상기와 같은 2단계의 구동방식 전환에 의해 20초정도로까지 단출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흡인력만을 이용하여 로터(202)를 회전구동할 때의 구체적인 제어동작을, 도8에 의해 설명한다. 이 동작의 원리도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중앙에 2극의 로터, 외주측에 U, V, W의 3상(3슬롯)으로 구성하는 스테이터를 배치하고 있다.
도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상(相) 및 V상에 각각 전류를 흐르게 하고 U상을 N극, V상을 S극으로 한다. 이 때, 로터(202)의 영구자석은 스테이터(201)에 발생하는 자기장과 맞당기어, 도시하는 바와 같은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만약, 이 상태에서 전류를 계속 흐르게 한다면, 로터(202)는 회전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 채로 머무른다.
이어서, 도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W상 및 V상에 각각 전류를 흐르게 하고, W상을 N극, V상을 S극으로 하면, 로터(202)는 약 60°좌회전하여 도시하는 위치에 유지된다. 계속하여, 도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W상 및 V상에 각각 전류를 흐르게 하여 W상을 N극, U상을 S극으로 하면, 로터(20)는 다시 약 60°좌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에도, 이 상태로 동일하게 전류를 계속 흐르게 하면, 로터(202)의 위치는 고정된채로 머무른다.
이와 같이 하여, 차례로, 전류가 흐르는 상(相)을 하나씩 바꾸어 가는 것에 의해, 로터(202)를 60°씩 간헐적으로 좌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도8(A)∼(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각 상태에서는, 로터(202)는 자석의 흡인력에 의해서만 그 회전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로터(202)의 위치는 안정되어 있으며, 가령 외부로부터 로터(202)를 회전하도록 하는 힘이 작용하여도, 용이하게 회전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설명은, 스테이터(201)가 3상인 경우인 바, 본 실시예의 드럼식세탁기에서는 스테이터(201)는 36상이기 때문에, 로터(202)의 회전스탭각도는 5°가 되며, 각 상으로의 통전을 전환할때마다 5°씩 저속으로 로터(202)를 회전시키고, 또한 그 각도 단위에서의 임의의 위치에서 로터(202)를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가 있다. 또, 각 상으로 직사각형파상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이 아니고, 사인파상(sine波相)상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에 의해, 그 슬롯수로 결정되는 각도(상기 설명의 예에서는 60°, 실제의 예에서는 5°)보다도 미세한 단위로 로터(202)의 정지각도를 제어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의 잠금구동부(21)의 결합핀(212)을 진출시킬 때에는 상기와 같이 로터(202)의 회전을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결합핀(212)이 결합홈부(22)의 홈구멍에 끼워삽입될 때에 로터(202)가 움직이지 않고, 결합핀(212)에 걸리는 충격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드럼의 잠금 구동부(21)의 결합핀(212)이 결합홈부(22)에 끼워결합된 후에 는, 드럼모터(20)에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그 상태에서는, 결합홈부(22)와 결합핀(212)결합에 있어서 결함의 치수의 여유분만큼 드럼(13)은 회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드럼(13)의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드럼(13)내에 세탁물이 쏠린 상태로 투입되면, 그 편심하중에 의해 드럼(13)은 미소하게 회전하고, 결합홈부(22)의 전연부 또는 후연부에 결합핀(212)이 강하게 접촉한다. 그 상태의 일례를 도 10(A)에 나타낸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드럼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토크모터(211)를 구동하여도, 결합핀(212)을 결합홈부(22)로부터 이탈시킬 수 없는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드럼식세탁기에서는, 드럼의 잠금해제동작시에 도 9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제어를 실시한다.
즉, 예를 들면, 운전을 개시할 때 등의 드럼의 잠금해제가 필요하게 되면, 제어부(30)는 드럼모터(20)의 스테이터(201)에 대하여 잠금위치에 따른 통전을 실시하고, 로터(202)의 위치를 전기적으로 고정한다(스텝S10). 다만, 편심하중이 큰 경우에는 도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상태는 해소되지 않는다. 이어서, 회전위치 검출기(217)에 의한 검출신호에 의해 결합핀(212)이 후퇴위치에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S11), 만약 후퇴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드럼의 잠금해제동작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결합핀(212)이 후퇴위치에 있지 않다고 판정될 경우, 결합핀(212)은 진출위치에 있거나, 혹은 후퇴위치도 진출위치도 아닌 이동도중의 부정확한 상태에 있다고 생각된다. 이 때에는, 결합핀(212)을 작동시키도록, 제어부(30)는 토크모터(211)에 통전을 실시한다(스텝S12), 작동체(213)가 이동가능한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토크모터(211)의 동작에 따라서 작동체(213)는 후퇴동작하고, 또는 일단 진출동작한 후에 후퇴동작을 한다. 그리고, 다음에 회전위치 검출기(217)에 의한 검출신호에 의해 결합핀(212)이 후퇴위치에 있는 지의 여부를 재차 판정하고(스텝S13), 후퇴위치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드럼의 잠금해제동작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토크모터(211)의 동작을 정지하여(스텝S19)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S13에서 결합핀(212)이 후퇴위치에 없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토크모터(211)의 동작개시로부터 10초가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S14), 10초가 경과하고 있지 않다면 스텝S13으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스텝S13, S14에 의해, 토크모터(211)의 동작개시로부터 10초가 경과할 때까지 로터(202)의 회전제어는 실행하지 않고, 단순히 토크모터(211)의 작동만으로 결합핀(212)의 후퇴동작을 시도한다.
토크모터(211)의 동작개시로부터 10초가 경과하면, 이어서 토크모터(211)를 동작시킨 채, 드럼(13)의 왕복회전운동동작을 실행한다. 즉, 제어부(30)는 로터(202)를 현재의 위치에서 약 ±4°의 범위에서 1왕복회전운동을 시키도록, 스테이터(201)에로의 통전을 실시하도록 구동제어를 실시하고(스텝S15), 그 후, 회전위치 검출기(217)에 의한 검출신호에 의해 결합핀(212)이 후퇴위치에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6). 드럼(13)을 상기와 같이 회전운동시킨 경우,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핀(212)과 결합홈부(22)와의 강한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일시적으로 없어지거나 또는 약해져서, 결합핀(212)이 결합홈부(22)로부터 빠지기 쉬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왕복회전운동의 사이에 결합핀(212)이 후퇴위치까지 이동하고, 스텝S16에서 결합핀(212)이 후퇴위치에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가 많다. 그 경우에는, 스텝(S16)으로부터 S19로 진행하여 토크모터(211)의 동작을 정지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S16에서 결합핀(212)이 후퇴위치에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S15)의 드럼왕복회전운동동작이 3회 반복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S17), 3회 실행되고 있지 않다면 스텝S15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스텝S15∼S17의 반복에 의해 결합핀(212)이 후퇴위치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에는 드럼 왕복회전운동동작은 최대 3회 반복된다. 간혹 1회의 드럼 왕복회전운동동작에 의해 결합핀(212)이 결함홈부(22)로부터 이탈할 수 없었던 경우에라도, 통상, 3회의 드럼왕복회전운동동작을 하는 동안 결합핀(212)은 결함홈부(22)로부터 이탈하여 드럼의 잠금은 해제된다.
스텝S17에서 드럼왕복회전운동동작이 3회 반복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다른 원인으로 드럼의 잠금을 해제할 수 없는 등, 어떤 이상상태가 발행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부저로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혹은 이상경고 LED를 점등시키는 등의 이상상태(알림음)을 실행하고(스텝S18), 사용자에게 이상발생을 알린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의 드럼식세탁기에서는, 드럼의 잠금이 해제하기 어려운 경우에 있어서도, 드럼(13)을 왕복회전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결합핀(212) 이 빠지기 쉬운 상태로 하여, 드럼의 잠금 해제를 촉진시킬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제어방법에 의한 드럼의 잠금해제동작의 효과를, 실험에 의해 검증한 결과를 도11에 도시한다. 도11은 드럼(13)을 회전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편심하중을 드럼(13)내부에 주었을 때에, 결합홈부(22)로부터 결합핀(212)의 이탈이 가능한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이다. 여기서 말하는 종래의 제어방식이란 드럼(13)의 왕복회전운동을 실행하지 않는 것이다. 이 종랭제어방식에서는, 결합핀(212)의 조작력(인발력)이 3kgf일 때에 편심하중이 5.98kgf로 결합핀(212)이 빠지지 않게 되고, 결합핀(212)의 조작력이 4kgf일 때에도 편심하중이 9.18kgf에서 결합핀(212)은 빠지지 않게 된다. 이에 대하여, 드럼(13)의 왕복회전운동을 부가한 새로운 제어방식에 의하면, 조작력이 3kgf이라도 9.18kgf의 편심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결합핀(212)은 문제없이 이탈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체(213)를 동작시키는 토크모터(211)의 토크가 그만큼 작아질 수 있으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한 예로서, 본 발명이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취지의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수정 또는 추가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럼둘레면에 세탁물투입구의 개구부를 형성한 드럼식세탁기에 있어서, 드럼회전상태에서 드럼을 정지시키고 그 위치를 고정할 때의 동작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드럼식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킨 드럼식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기체상자내에 배설된 세탁조의 내부에, 둘레면이 대략 원통형상의 드럼을 수평 또는 경사진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배설된 드럼식세탁기에 있어서,
    a) 드럼을 회전구동할 수 있는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에 구동력을 주는 스테이터로 이루어지는 직류모터와,
    b) 상기 직류모터의 로터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스테이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회로를 사용한 구동제어수단과,
    c) 드럼을 그 회전상의 소정의 잠금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드럼 또는 상기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회전하지 않는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진/퇴가 자유로운 볼록부와 이 볼록부를 받는 오목부와의 결합동작을 실시하는 드럼의 잠금수단과,
    d) 상기 구동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로터와 스테이터와의 사이의 흡인력 및 반발력을 함께 이용하여 드럼을 상기 잠금위치의 근방에 도달시키는 제1단계의 정지제어동작과, 상기 로터와 스테이터와의 사이의 흡인력을 주로 이용하여 드럼을 저속으로 상기 잠금위치에 도달시키는 제2단계의 정지제어동작을 실시하고, 상기 제2단계의 정지제어동작에 있어서 드럼이 상기 잠금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볼록부를 진출시켜서 오목부와 결합시키는 상기 드럼의 잠금수단을 제어하는 드럼의 잠금실행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드럼이 상기 잠금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회전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드럼의 잠금실행수단은, 상기 제1단계의 정지제어동작시에 상기 회전검지수단에 의해 드럼이 상기 잠금위치에 온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제2단계의 정지제어동작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수단은, 상기 로터와 스테이터와의 사이의 흡인력을 주로 이용하도록 제어를 실시할 때에, 상기 인버터회로의 전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전류가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인버터회로를 온/오프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직류모터의 토크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세탁기.
  4. 기체상자내에 배설된 세탁조의 내부에, 둘레면이 대략 원통형상의 드럼을 수평 또는 경사진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배설된 드럼식세탁기에 있어서,
    a) 드럼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b)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제어수단과,
    c) 드럼을 그 회전상의 소정의 잠금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드럼 또는 상기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회전하지 않는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진/퇴가 자유로운 볼록부와 이 볼록부를 받는 오목부와의 결합동작을 실시하는 드럼의 잠금수단과,
    d)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볼록부를 후퇴시켜서 결합해제를 실시할 때에, 드럼을 회전전방 및 후방으로 왕복회전운동시킬 수 있는 상기 구동제어수단을 제어하는 드럼의 잠금해제 실행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잠금 해제실행수단은, 먼저 드럼의 상기 왕복회전운동을 실시하지 않고 상기 볼록부의 후퇴동작을 시도하고, 그 상태에서 볼록부가 오목부로부터 이탈할 수 없는 경우에 드럼의 왕복회전운동을 실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세탁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드럼의 왕복회전운동을 소정의 회수 또는 소정의 시간동안 실시하여도 드럼의 잠금해제를 실시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상상태를 알리는 이상상태 알림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드럼식세탁기.
KR1020040035732A 2003-05-23 2004-05-19 드럼식 세탁기 KR100598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45936 2003-05-23
JP2003145936A JP2004344463A (ja) 2003-05-23 2003-05-23 ドラム式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001A KR20040101001A (ko) 2004-12-02
KR100598570B1 true KR100598570B1 (ko) 2006-07-13

Family

ID=33532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732A KR100598570B1 (ko) 2003-05-23 2004-05-19 드럼식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344463A (ko)
KR (1) KR100598570B1 (ko)
CN (1) CN100336962C (ko)
TW (1) TWI23936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427A (ko) * 2015-08-31 2018-04-25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내통의 로킹기구 및 세탁기
KR20180043833A (ko) * 2015-08-31 2018-04-30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내통의 로킹기구 및 세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8466B2 (ja) * 2003-06-13 2008-09-10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回転体制御機構、回転体制御ユニット及び回転体の制御方法
KR100564442B1 (ko) * 2003-12-10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로딩방식 드럼 세탁기
CN101063270B (zh) * 2006-04-30 2011-05-25 海尔集团公司 滚筒式洗衣机的内桶定位方法及其装置
JP4609443B2 (ja) * 2007-02-28 2011-01-12 日立工機株式会社 遠心分離機
JP5171237B2 (ja) * 2007-12-17 2013-03-2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蓋ロック装置
ES2407431T3 (es) 2008-05-14 2013-06-12 Whirlpool Corporation Lavadora con un sistema de accionamiento directo
KR101649632B1 (ko) * 2009-10-29 2016-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SI2812476T1 (sl) * 2012-02-09 2021-08-31 Electrolux Laundry Systems France Snc Blokirna naprava, ki obsega premični element, zlasti pralnega stroja, in z njo povezan postopek
CN103946437B (zh) * 2012-04-24 2016-08-24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03290656A (zh) * 2013-06-27 2013-09-11 苏州祺尚纺织有限公司 一种蓄能纺织脱水机
CN105662127B (zh) * 2014-12-08 2018-01-02 (株)酷晨 电压力饭锅、自动锁定装置、自动压力锁定功能控制方法
CN105986403B (zh) * 2015-02-04 2019-08-2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内桶的锁止机构及洗衣机
CN106480631B (zh) 2015-08-31 2019-10-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节水洗衣机的控制方法及洗衣机
CN106208836A (zh) * 2016-09-05 2016-12-07 广东金霸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集成高速无刷电机控制器
CN106571802B (zh) * 2016-10-26 2020-01-1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具有非接触感应旋钮开关的设备的工作状态控制方法
CN107190469B (zh) * 2017-05-02 2021-11-26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洗衣机滚筒的定位装置和滚筒洗衣机
CN109402940B (zh) * 2017-08-16 2021-05-25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内筒定位方法和衣物处理设备
CN110042623B (zh) * 2018-01-15 2021-06-1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滚筒洗衣机
CN111088650B (zh) * 2018-10-23 2022-07-12 佛山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的控制方法
CN111691129B (zh) * 2019-03-13 2022-12-27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
CN112430983B (zh) * 2019-08-20 2022-11-18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定位装置及洗衣机
CN112481926B (zh) * 2019-08-20 2022-06-2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涤设备及洗涤设备滚筒解锁的判定方法
CN112411115B (zh) * 2019-08-20 2022-06-10 佛山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涤设备及洗涤设备滚筒锁定的判定方法
CN112647247A (zh) * 2019-10-12 2021-04-1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
CN112647239A (zh) * 2019-10-12 2021-04-1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
CN112779719A (zh) * 2019-11-01 2021-05-11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减速方法、系统、存储介质及洗衣机
CN111020966B (zh) * 2019-11-12 2020-12-11 曹建胜 一种多功能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4855B2 (ja) * 1990-06-26 1998-12-14 三洋電機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CN1078275A (zh) * 1992-11-18 1993-11-10 清远市清城区丰泰家用电器厂 顶装式洗衣机滚筒及其生产工艺
AU766902B2 (en) * 1998-11-09 2003-10-23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Top loading washing machi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427A (ko) * 2015-08-31 2018-04-25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내통의 로킹기구 및 세탁기
KR20180043833A (ko) * 2015-08-31 2018-04-30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내통의 로킹기구 및 세탁기
KR102051446B1 (ko) * 2015-08-31 2019-12-03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내통의 로킹기구 및 세탁기
KR102051443B1 (ko) * 2015-08-31 2019-12-03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내통의 로킹기구 및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44463A (ja) 2004-12-09
KR20040101001A (ko) 2004-12-02
TWI239364B (en) 2005-09-11
CN1572957A (zh) 2005-02-02
TW200426271A (en) 2004-12-01
CN100336962C (zh) 200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8570B1 (ko) 드럼식 세탁기
JP3609789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5573596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8006182A (ja) 洗濯機
JP2000279679A (ja) ドラム式洗濯機
JP6062152B2 (ja) 脱水兼用洗濯機
JP6311126B2 (ja) 洗濯機
JP3263382B2 (ja) 電気洗濯機
KR100501175B1 (ko) 세탁기의 뚜껑 잠금장치
KR100501591B1 (ko) 드럼식 세탁기
KR20050107730A (ko) 세탁기
JP3858036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H1155977A (ja) コンデンサモータの制御回路およびこの制御回路を備える脱水装置
JP3668086B2 (ja) 洗濯機
KR100487399B1 (ko)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
JP2004321695A (ja) 洗濯機
JP4103250B2 (ja) 洗濯機
JP2001204992A (ja) 洗濯機
KR100636450B1 (ko) 세탁기
JP2004097837A (ja) ドラム式洗濯機
JP3520279B2 (ja) 二槽式洗濯機の制御装置
JP2003290592A (ja) 洗濯機
JP2004160062A (ja) 洗浄機、及び電気機器
JP2006175079A (ja) 電気洗濯機
JP2002153774A (ja) 遠心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