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730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730A
KR20050107730A KR1020040097397A KR20040097397A KR20050107730A KR 20050107730 A KR20050107730 A KR 20050107730A KR 1020040097397 A KR1020040097397 A KR 1020040097397A KR 20040097397 A KR20040097397 A KR 20040097397A KR 20050107730 A KR20050107730 A KR 20050107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laundry
current value
current
rotat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3988B1 (ko
Inventor
하기하라히사시
마츠이쇼이치
쇼지아키라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7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대략 수평 또는 경사진 회전 중심축을 갖는 회전 드럼과, 상기 회전 드럼을 내포하는 물받이조,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 수단, 상기 모터 및 일련의 세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세탁 동작중인 상기 모터의 전류값에 의해 상기 회전 드럼내의 세탁물의 상태를 판정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대략 수평 방향 또는 경사 방향으로 회전 중심축을 갖는 회전 드럼내에서 세탁, 헹굼, 탈수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종류의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납하고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드럼을 물받이조내에 내포하고 물받이조의 정면측에 도어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의류 출입구를 형성하고 의류 출입구로부터 회전 드럼내로 세탁물을 투입하고 물받이조내로의 급수 및 배수, 회전 드럼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세탁, 헹굼, 탈수의 각 공정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10-211393호(제 3 내지 4페이지, 도 1)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소량의 의류를 회전 드럼내에 넣고 세탁하는 경우, 물받이조내에 필요 이상의 세탁수가 주수되어 있으면 회전 드럼을 회전시키더라도 의류가 세탁수상에 떠버려 의류에 기계력을 가할 수 없어 의류의 오염 빼기가 나쁘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특히, 화학섬유 등 물을 흡수하기 어려운 재질의 의류를 세탁하는 경우 이 현상이 현저하게 일어나 의류의 오염 빼기가 매우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세탁되는 의류의 양이나 질에 영향받는 일없이 최적의 세탁운전으로 확실하게 의류의 오염을 뺄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세탁기는 대략 수평 또는 경사진 회전 중심축을 갖는 회전 드럼, 상기 회전 드럼을 내포하는 물받이조,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 수단, 상기 모터 및 일련의 세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세탁 동작중인 상기 모터의 전류값에 의해서 상기 회전 드럼내의 세탁물의 상태를 판정하는 것으로, 예컨대 회전 드럼내의 의류가 세탁수에 떠서 기계력을 정확하게 가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정했을 때에 세탁수량을 감소시키도록 하면 의류의 양 또는 의류의 질에 따른 최적의 세탁운전을 할 수 있어 의류의 오염을 확실히 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탁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세탁기 본체(9)는 물받이조(3)와 그 물받이조(3)내에 회전 자유롭게 배치된 회전 드럼(1)을 내장하고 있다. 회전 드럼(1)은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 전면에 다수의 통수구멍(2)을 갖고 있다. 회전 드럼(1)의 회전중심에 대략 경사 방향으로 회전축(회전 중심축)(4)을 설치하고 회전 드럼(1)의 축심 방향을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시켜 배치하고 있다. 이 회전축(4)에 물받이조(3)의 배면에 장착한 모터(5)를 연결하고 회전 드럼(1)을 정회전,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회전 드럼(1)의 내벽면에 수개의 돌기판(6)을 설치하고 있다.
물받이조(3)의 정면측의 상향 경사면에 마련한 개구부(3a)를 덮개(7)에 의해 개폐 자유롭게 덮고 이 덮개(7)를 여는 것에 의해 의류 출입구(8)를 통해서 회전 드럼(1)내에 세탁물을 출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덮개(7)를 상향 경사면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세탁물의 출납을 허리를 굽히지 않고 실행할 수 있다.
물받이조(3)는 세탁기 본체(9)로부터 용수철체(도시하지 않음)로 요동 가능하게 매달려 있고, 물받이조(3)의 하부에 배수 경로(10)의 한쪽 단부를 접속하고, 배수 경로(10)의 다른쪽 단부를 배수밸브(배수 수단)(11)에 접속하여 물받이조(3)내의 세탁수를 배수하도록 하고 있다. 급수밸브(급수 수단)(12)는 급수 경로(13)를 통해서 물받이조(3)내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드럼(1)의 회전중심에 대략 경사 방향으로 회전축(4)을 설치하고 회전 드럼(1)의 축심 방향을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시켜 배치하고 있지만, 회전 드럼(1)의 회전중심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회전축(4)을 설치하고 회전 드럼(1)의 축심 방향을 대략 수평 방향으로 배치해도 무방하다.
다음에, 각 전기부품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4)에 대하여 회로도를 도시한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제어 장치(14)는 모터(5), 배수밸브(11), 급수밸브(12) 등의 동작을 제어하여 세탁, 헹굼, 탈수의 일련의 행정을 차례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제어 수단(15)을 갖고 있다. 제어 수단(15)은 운전코스 등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 설정 수단(16)으로부터의 정보가 입력되고 그 정보를 기초로 표시 수단(17)에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림과 동시에, 입력 설정 수단(16)에 의해 운전 개시가 설정되면 물받이조(3)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검지 수단(18)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스위칭 수단 구동 회로(19)를 거쳐서 스위칭 수단(20)을 제어하고 배수밸브(11), 급수밸브(12) 등의 동작을 제어하여 세탁운전을 한다.
이 때, 제어 수단(15)은 모터(5)의 로터(도시하지 않음)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21)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인버터 구동 회로(22)를 거쳐서 인버터(23)를 제어함으로써 모터(5)를 회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모터(5)는 직류 브러쉬리스 모터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3상 코일을 갖는 스테이터와 링상에 2극의 영구자석을 배치하고 있는 로터로 구성하고 스테이터는 3상 코일을 구성하는 제 1 코일(5a), 제 2 코일(5b), 제 3 코일(5c)을 슬롯을 마련한 철심에 감아 구성하고 있다.
인버터(23)는 파워 트랜지스터(IGBT)와 역도통 다이오드의 병렬 회로로 이루어지는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스위칭 소자(23a)와 제 2 스위칭 소자(23b)의 직렬 회로, 제 3 스위칭 소자(23c)와 제 4 스위칭 소자(23d)의 직렬 회로, 제 5 스위칭 소자(23e)와 제 6 스위칭 소자(23f)의 직렬 회로로 구성하고 각 스위칭 소자의 직렬 회로는 병렬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각 스위칭 소자의 직렬 회로의 양단부는 입력 단자에서 직류 전원이 접속되어 각 스위칭 소자의 직렬 회로를 구성하는 2개의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에 각각 출력 단자를 접속하고 있다. 출력 단자는 3상 코일의 U단자, V단자, W단자의 각각에 접속되고 스위칭 소자의 직렬 회로를 구성하는 2개의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의 조합에 의하여 U단자, V단자, W단자를 각각 정전압, 영전압, 해방의 3 상태로 한다.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는 홀 IC로 이루어지는 3개의 위치 검출 수단(21a, 21b, 21c)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 수단(15)에 의해 제어된다. 위치 검출 수단(21a, 21b, 21c)은 전기각으로 120도의 간격으로 로터가 갖는 영구자석에 대향하도록 스테이터에 배치되어 있다.
로터가 1회전하는 동안에 3개의 위치 검출 수단(21a, 21b, 21c)은 각각 전기각으로 120도의 간격으로 펄스를 출력한다. 제어 수단(15)은 3개의 위치 검출 수단(21a, 21b, 21c) 중 어느 하나의 신호의 상태가 변했을 때를 검지하여 위치 검출 수단(21a, 21b, 21c)의 신호를 기초로 스위칭 소자(23a 내지 23f)의 온·오프 상태를 바꿔감으로써 U단자, V단자, W단자를 정전압, 영전압, 해방의 3 상태로 하고, 스테이터의 제 1 코일(5a), 제 2 코일(5b), 제 3 코일(5c)에 통전하여 자계를 작성하여 로터를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스위칭 소자(23a, 23c, 23e)는 각각 펄스폭 변조(PWM) 제어되고, 예컨대 반복하여 주파수 10kHz에서 하이, 로우의 통전비를 제어함으로써 로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고, 제어 수단(15)은 3개의 위치 검출 수단(21a, 21b, 21c) 중 어느 하나의 신호의 상태가 변할 때마다 그 주기를 검출하고 그 주기로부터 로터의 회전수를 산출하여, 설정 회전수가 되도록 스위칭 소자(23a, 23c, 23e)를 PWM 제어한다. 이때, 스위칭 소자(23b, 23d, 23f)는 PWM 제어를 받지 않는다.
전류 검지 수단(24)은 인버터(23)의 한쪽의 입력 단자에 접속한 저항(25)과 이 저항(25)에 접속한 전류 검지 회로(26)로 구성되고, 인버터(23)의 입력 전류, 즉 모터(5)의 전류를 검지하여 그것을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그 전압 신호를 제어 수단(15)에 입력하고 있다. 또한, 제어 수단(15)은 입력한 전압 신호를 A/D 변환하여 디지털 데이터로서 연산 처리하여 모터(5)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모터(5)가 직류 브러쉬리스 모터인 경우에는 토크는 입력 전류에 거의 비례하기 때문에, 저항(25)에 접속한 전류 검지 회로(26)에 의해 인버터(23)의 입력 전류값을 검지함으로써 모터(5)의 토크를 검지할 수 있다.
포량 검지 수단(27)은,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는 것으로, 회전 드럼(1)을 소정 회전수(예컨대, 200r/min)로 일으킬 때의 전류 검지 수단(24)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용 전원(28)은 다이오드 브리지(29), 초크 코일(30), 평활용 콘덴서(31)로 이루어지는 직류 전원 변환 장치를 거쳐서 인버터(23)에 접속하고 있다. 단, 이것은 일례이며 직류 브러쉬리스 모터(5)의 구성, 인버터(23)의 구성 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다음에, 도 3을 이용하여 입력 설정 수단(16), 표시 수단(17)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 설정 수단(16)으로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 시간을 설정하는 세탁 시간 설정 스위치(16a), 헹굼 회수를 설정하는 헹굼 회수 설정 스위치(16b), 탈수 시간을 설정하는 탈수 시간 설정 스위치(16c), 코스 설정 스위치(16d), 스타트·일시정지 스위치(16e), 전원 온 스위치(16f), 전원 오프 스위치(16g) 등을 갖고, 표시 수단(17)은 세탁 시간 표시부(17a), 헹굼 회수 표시부(17b), 탈수 시간 표시부(17c), 코스 설정 표시부(17d), 세제량 표시부(17e), 잔여 시간 표시부(17f), 숫자 표시부(17g) 등을 갖고 있다.
여기서, 제어 수단(15)은 물받이조내(3)에 물을 담은 상태로 회전 드럼(1)을 회전시켜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에 기계력을 가하는 세정(세탁) 행정을 한다. 세탁물에 회전력, 마찰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세탁물에 부착한 오염을 없앤다.
또한, 제어 수단(15)은 세정 공정 중 포량 검지 수단(27)에서 검지한 세탁물의 양에 따른 세탁수량의 물을 급수밸브(12)를 구동하여 물받이조내(3)로 급수한다.
이 때의, 물받이조내(3)의 수위는 수위 검지 수단(18)에 의해 검지한다. 포량 검지 수단(27)으로 검지한 세탁물의 양에 근거하여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받이조내(3)로 급수하는 수위를 설정하도록 한다.
세탁물의 양 급수량
0 내지 2kg 50mm
2 내지 4kg 100mm
4 내지 6kg 130mm
6 내지 8kg 150mm
표 1에서, 급수량은 회전 드럼(1)의 최하점으로부터의 높이를 나타낸다.
포량이 많다고 검지한 경우에는 보다 많은 세탁수로 세정 동작을 하는 편이 오염이 떨어지기 쉽고 또한 포량이 적다고 검지한 경우에는 적은 세탁수로 세정 동작하더라도 오염은 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수위 설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어 수단(15)은 세정 공정중에 전류 검지 수단(24)이 검지하는 모터 전류값에 의해 물받이조(3)내의 세탁물의 회전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모터(5)가 직류 브러쉬리스 모터인 경우, 모터(5)에 걸리는 토크는 모터 전류값에 비례하기 때문에 제어 수단(15)에 입력되는 모터(5)의 전류값이 크면 모터에 큰 부하(토크)가 걸려 있는 상태이며, 또한 모터(5)의 전류값이 작으면 모터(5)에는 적은 부하(토크)밖에 걸려있지 않은 것이 된다.
모터 전류값이 큰 경우에는 물받이조(3)내의 세탁물의 양이 실제로 많거나(예컨대, 6kg 내지 8kg 정도의 양), 또는 세탁물의 양으로서 많지는 않지만(예컨대, 2kg 내지 3kg의 양) 세탁수를 흡수하기 쉬운 세탁물을 세탁하고 있는 등으로 추측할 수 있다. 세탁수를 흡수하기 쉬운 세탁물은 실제의 포량에 비하여 많은 세탁수를 흡수하여 무거운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회전시키려고 한 경우, 모터에는 큰 토크가 필요하다.
모터(5)의 전류값이 작은 경우는 물받이조(3)내의 세탁물이 적거나(예컨대, 2kg 이하), 또는 세탁물이 세탁수에 뜬 상태로 세탁되고 있는 등으로 추측할 수 있다. 세탁물이 세탁수에 뜨는 상태란 회전 드럼(1)을 회전시키더라도 돌기판(6)과 세탁물이 닿지 않고 회전 드럼(1)만이 회전하여 세탁물은 세탁수의 수면상에 떠있는 상태라는 의미이다. 이 상태가 되면 세탁물에 기계력이 가해지기 어렵게 되어 오염 빼기가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세탁물이 세탁수에 뜬 상태는 세탁물의 양에 대하여 최적량 이상의 세탁수를 물받이조(3)내에 급수한 경우나 화섬 등의 물을 흡수하기 어려운 세탁물을 세탁하려고 한 경우 등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양이 많더라도 모터(5)의 전류값이 작아지는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회전 드럼(1)의 회전과 동기하여 세탁물이 그대로 회전하는 경우 등이다. 회전 드럼(1)과 함께 세탁물이 회전하면 세탁물의 상태가 유지된 채로 회전하기 때문에 모터(5)에 걸리는 부하는 적어지고 모터(5)의 전류값은 작아진다. 이러한 상태는 세탁물의 양이 많으면 반드시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회전 드럼(1)내로의 세탁물의 넣은 방법, 또한 포질에 따라서 변화한다.
이와 같이, 세정 공정 중 모터(5)의 전류값에 의해 회전 드럼(1)내에서의 세탁물의 회전 상태를 추측할 수 있다. 또한, 세탁 운전 개시시에 포량 검지 수단(27)이 검지하는 세탁물의 양의 조건을 추가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회전 상태를 추측할 수 있다. 포량 검지 수단(27)(수위는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포량에 따라 바꾸고 있음)의 검지와 모터(5)의 전류값에 의해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회전 상태를 표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추측할 수 있다.
세탁물의 양[kg]
8 내지 6 6 내지 4 4 내지 2 2 내지 0
모터 전류값 A 4.0~ 정상 회전 정상 회전 ---- ----
3.0 내지 4.0 정상 회전 정상 회전 정상 회전 ----
2.0 내지 3.0 정상 회전 정상 회전 정상 회전 ----
1.5 내지 2.0 동기 회전 정상 회전 정상 회전 정상 회전
1.0 내지 1.5 동기 회전 동기 회전 정상 회전 정상 회전
0.5 내지 1.0 ---- 동기 회전 헛돎 정상 회전
0.0 내지 0.5 ---- ---- 헛돎 헛돎
세탁물의 오염 빼기를 저하시키는 세탁물의 부유 상태의 검지가 세탁물의 회전 상태 검지에서는 특히 중요하다. 이 상태를 검지함으로써 세탁물의 부유 상태를 개선하는 제어를 하여 세탁물의 오염을 보다 잘 뺄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물이 세탁수에 뜨는 조건으로서는 크게 2개의 조건이 있다. 첫번째는 세탁물의 양에 대하여 최적량 이상의 세탁수를 물받이조(3)내에 급수한 경우이며, 두번째는 화섬 등 물을 흡수하기 어려운 섬유로 이루어지는 세탁물을 세탁하려고 한 경우이다. 세탁물의 양에 대하여 모터의 전류값이 작은 것이 이 2개의 조건에 해당한다. 그래서 표 2에 나타내는 사선의 부분이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는 상태라고 판정하도록 한다.
첫번째의 조건은 포량 검지 수단(27)의 검지 정밀도에 따라서 발생빈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의류가 소량(0kg 내지 2kg 정도)임에도 불구하고 2 내지 4kg 정도라고 판정하여,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수를 100mm까지 급수하면 0kg 내지 2kg의 세탁물의 양에 대하여 수량이 지나치게 많아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버린다. 이와 같이, 포량 검지 수단(27)의 검지 정밀도를 고려하여 포량이 2 내지 4kg이라고 검지되더라도, 모터 전류값이 작은 경우에는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는 상태라고 판정한다.
두번째의 조건은 포량 0 내지 2kg 정도의 화섬 등의 의류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이 포량의 영역의 모터 전류값을 검지함으로써 판정할 수 있다. 즉, 포량이 0 내지 2kg 이며 모터의 전류값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떠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수단(15)은 세정 공정중에 전류 검지 수단(24)이 검지하는 모터 전류값의 변동에 의해서 물받이조(3)내의 세탁물의 회전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모터(5)가 직류 브러쉬리스 모터인 경우, 모터(5)에 걸리는 토크는 모터 전류값에 비례하기 때문에 제어 수단(15)에 입력되는 모터(5)의 전류값이 크면 모터(5)에 큰 부하(토크)가 걸려 있는 상태이며, 또한 모터(5)의 전류값이 작으면 모터(5)에는 적은 부하(토크)밖에 걸려 있지 않은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서, 회전중인 모터 전류의 변화에 의해 세탁물의 회전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도 4a,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폭값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전류값의 변화가 적은 경우에는 모터(5)에 걸리는 부하 상태의 변화가 적은 것과 동등하기 때문에 회전 드럼(1)내의 의류가 일정 상태로 회전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세탁수에 세탁물이 떠서 회전 드럼(1)만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다. 도 4a처럼 회전 드럼(1)의 회전과 동기하여 모터 전류값에 큰 진폭이 있는 경우에는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이 정확하게 회전하여 세정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회전 드럼(1)의 회전에 동기한 모터 전류값의 진폭의 크기를 검지함으로써 세탁물의 회전 상태를 검지할 수 있고 특히 세정운전에서 중요한 세탁수에 세탁물이 떠 있는 상태도 검지할 수 있다. 세탁물의 양과 전류 진폭값과 회전 상태의 관계를 표 3에 나타낸다.
세탈물의 양[kg]
8 내지 6 6 내지 4 4 내지 2 2 내지 0
진폭값A 2.0~ 정상 회전 정상 회전 정상 회전 ----
1.5 내지 2.0 정상 회전 정상 회전 정상 회전 ----
1.0 내지 1.5 동기 회전 정상 회전 정상 회전 정상 회전
0.5 내지 1.0 ---- 동기 회전 정상 회전 정상 회전
0.0 내지 0.5 ---- ---- 헛돎 헛돎
또한, 제어 수단(15)은 세정 공정중에 상기한 모터 전류값의 절대값과 모터 전류의 진폭의 크기를 양쪽 검지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회전 드럼(1)내의 의류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세탁수에 세탁물이 뜬 상태는 모터 전류값의 절대값이 작고 더구나 진폭의 크기도 작다고 하는 조건을 2개 합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진폭의 크기가 작은 경우라도 모터 전류값의 절대값이 소정값 이상이면 세탁물이 회전 드럼(1)에 붙어서 회전하고 있는 경우가 있고, 또한 모터 전류값의 절대값이 소정값 이하라도 진폭의 크기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소량의 세탁물이 회전하여 세정되고 있는 상태가 있기 때문이다.
제어 수단(15)은, 전류 검지 수단(24)에 의해 세정 공정중에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는 상태를 검지한 경우에는 세탁수가 최적량이 되도록 배수밸브(11)에 의해서 물받이조(3)내의 세탁수를 소정량 배수한다. 배수하는 양은 수위 검지 수단(18)이 검지하는 수위로 제어되고, 예컨대 150mm에서 100mm까지 약 50mm 배수하거나, 또는 현재의 수위에 따라서 표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시간만큼 배수하게 된다.
세탁물의 양 배수 시간
0 내지 2kg 10초
2 내지 4kg 20초
4 내지 6kg 30초
6 내지 8kg 40초
또한, 배수 동작 후에도 전류 검지 수단(24)이 검지하는 모터(5)의 전류값에 의해 다시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는 것을 검지하여 배수밸브(11)에 의해 세탁수를 물받이조(3)내로부터 배수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1회의 배수 동작으로 세탁물의 헛도는 상태를 수정할 수 없는 경우라도, 복수 회 배수 동작을 함으로써 확실히 헛도는 상태를 수정할 수 있다. 두번째 이후의 배수 제어 방법도 마찬가지로 수위 검지 수단(18)이 검지하는 수위에서 배수밸브를 제어하여, 예컨대 100mm에서 80mm까지 배수하도록 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소정 시간 배수밸브(11)를 동작시켜 소정 시간 세탁수를 배수하도록 한다. 소정 시간 배수하는 경우에는 배수하는 상태 등에 따라 배수량이 변하기 때문에 물받이조(3)의 세탁수가 전부 없어지지 않도록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하는 회수에 상한을 마련하여 놓는다.
세탁물의 양 배수 회수
0 내지 2kg 1회
2 내지 4kg 2회
4 내지 6kg 3회
6 내지 8kg 4회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 5a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동작을 설명한다. 회전 드럼(1)내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전원 온 스위치(16f)를 온하고, 코스 설정 스위치(16d)에 의해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운전코스를 선택 입력한 후, 단계 100에서 스타트·일시정지 스위치(16e)를 온하여 동작을 개시한다. 먼저, 단계 101에서, 제어 수단(15)은 회전 드럼(1)을 회전시켜 포량 검지 수단(27)에 의해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양을 검지한다.
단계 102에서, 검지한 포량을 2kg마다 순위 0 내지 3까지 설정한다. 0 내지 2kg을 순위 0, 2 내지 4kg을 순위 1, 4 내지 6kg을 순위 2, 6 내지 8kg을 순위 3으로 한다. 그리고, 검지한 세탁물의 양에 따라서 세제량을 세제량 표시부(17e)와 숫자 표시부(17g)에 표시함과 동시에, 이후의 세탁운전을 개시한다. 예컨대, 세탁 행정중에 물받이조(3)내에 급수하는 수량(수위로 제어)을 표 1과 같이 검지한 포량에 따라 설정한다.
단계 103부터 세탁 행정을 개시한다. 단계 103에서, 급수밸브(12)를 온하여 표 1에 나타내는 설정수위까지 물받이조(3)내에 세탁수를 급수한다. 포량이 많은 경우에는 수위를 높게, 적은 경우에는 낮은 수위를 설정한다. 단계 104에서, 모터(5)를 구동하여 회전 드럼(1)을 회전시켜 세탁(세정) 동작을 개시한다. 세정 동작중에는 모터(5)를 도 9에 나타내는 것 같은 타이밍 차트에 따라 좌우 구동하여 회전 드럼(1)을 회전시킨다.
단계 105에서 모터의 기동을 개시하고, 단계 106에서 기동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예컨대 3초) 경과했는가를 판정한다. 소정 시간 경과했으면 단계 106으로 진행하여 전류 검지 수단(24)에 의해서 모터(5)의 전류를 검지한다. 모터(5)의 기동시에는 모터(5)를 정상 상태에서 회전시킬 때보다도 더욱 큰 토크(기동 토크)가 필요하기 때문에 더욱 많은 전류가 흐른다. 모터(5)의 회전중 기동으로부터의 경과 시간과 모터(5)에 흐르는 전류값과의 관계를 도 4a, 도 4b에 나타낸다. 기동으로부터 소정 시간(3초)은 모터에 흐르는 전류에는 오버 슈트가 있어 전류가 안정될 때까지는 소정 시간(3초) 필요하다.
이 오버 슈트의 크기와 시간은 모터(5)의 기동 제어 방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전류가 안정되기까지의 소정 시간도 기동 제어의 방법에 의해 변화한다. 이 소정 시간은 제어 방법의 결정후 실험 등으로부터 구하여 설정한다. 모터(5)의 회전중에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이 어떠한 상태로 회전하고 있는가를 검지하고자 한 경우, 이 기동 제어중의 전류값을 검지하더라도 반드시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회전 상태를 검지한 것으로는 되지 않기 때문에 기동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는 모터(5)의 전류값을 검지하지 않도록 한다.
단계 107에서, 모터(5)의 회전중에 흐르는 평균 전류값(Imo_avg)을 검출한다. 모터(5)에 흐르는 전류값은 여러가지 조건(검지 회로로의 노이즈, 세탁물의 극소적인 회전 상태의 변화)에 의해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1)의 회전 주기에 따라서 모터(5)에 흐르는 전류값도 동기하여(1회전하면, 세탁물은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감) 변화하기 때문에 소정 시간중(예컨대 2초, 또는 모터 1회전당 시간 등)의 평균 전류값에 의해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회전 상태를 판단하도록 한다.
평균 전류값(Imo_avg)의 검출 방법을 도 6의 플로우차트로 설명한다. 단계 120에서 모터(5)의 전류를 검지하는 타이밍인가를 판정한다. 예컨대, 0.1초마다 검지한다고 하면 전회의 검지로부터 0.1초 경과했는가를 판정하고, 0.1초 경과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121로 진행하여 모터(5)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한다. 0.1초 경과 이전에는 전류 검지하지 않는다고 하고 단계 127로 진행하여 이 서브루틴을 종료한다.
단계 121에서, 전류 검지 수단(24)이 검지하는 모터(5)의 전류값에 상당하는 전압 신호를 제어 수단(16)에 입력하고, 제어 수단(16)은 이 입력 전압 신호로부터 모터 전류값 Imo을 구한다. 단계 122에서, 제어 수단(16)은 평균 전류값을 산출하기 위한 모터 전류값 적산 Isum에 이번에 검지한 모터 전류값 Imo를 적산한다. 이 때, 적산한 회수를 카운트하는 적산 카운트 Ct의 카운트수를 +1한다. 단계 123에서, 평균 전류값을 산출하는 타이밍인지를 판정한다.
예컨대, 상기한 바와 같이 2초 간격으로 평균 전류값을 구한다고 하면, 전회 평균 전류값을 산출하고 나서 2초 경과했는가를 판정하여 2초 경과했으면, 단계 124로 진행하여 모터 평균 전류값 Imo_avg를 산출한다. 2초 경과하지 않았으면 단계 127로 진행하여 이 서브루틴을 종료한다.
단계 124에서는 모터 전류값 적산 Isum과 적산 카운트 Ct로부터 모터 평균 전류값 Imo_avg를 산출한다. 산출 방법은 Imo_avg=Isum/Ct이다. 단계 124에서 모터 평균 전류값 Imo_avg을 산출한 후, 단계 125에서 다음번 모터 평균 전류값을 산출하기 위해서 모터 전류값 적산 Isum과 적산 카운트 Ct를 클리어한다. 단계 126에서, 모터 평균 전류값을 산출시켜 소량 검지를 하는 타이밍인 것을 나타내는 소량 검지 1 타이밍 F를 세팅한다. 그리고, 이 서브루틴을 종료한다.
평균 전류값의 도 6의 플로우차트 종료후, 다시 도 5a, 도 5b의 플로우차트로 되돌아가 단계 108에서 소량 검지 1 판정을 한다. 소량 검지 1 판정의 플로우차트는 도 7a, 도 7b에 나타낸다. 단계 130에서, 소량 검지 종료 F가 세트되어 있는가를 판정한다. 소량 검지 종료 F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미 세탁물의 소량 상태를 검지하여 물받이조내(3)내의 세탁수를 소정 회수 배수하여 세탁물이 세탁수에 뜨는 상태를 수정하고 있는 때이며, 즉 다시 소량 검지를 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소량 검지 종료 F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142로 진행하여 이 서브루틴을 종료하고 소량 검지 종료 F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31로 진행한다. 단계 131에서는 세탁물의 소량 상태를 검지하여 그 수정을 위해서 배수 동작을 현재 실행하고 있는가를 판정한다. 현재 배수 동작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소량 배수중 F가 세트되어 있고, 이 동안 소량 상태를 검지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단계 142로 진행하여 이 서브루틴을 종료한다.
배수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32에서 소량 검지 1 타이밍 F가 세트되어 있는가를 판정한다. 이 소량 검지 1 타이밍 F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 평균 전류값 Imo_avg가 산출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이며,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으면 새로운 모터 평균 전류값 Imo_avg가 산출되었으므로 소량 검지 1을 하기 위해서 단계 133으로 진행한다.
단계 133에서는 다음번의 검지를 위해서 소량 검지 1 타이밍 F를 클리어하고 단계 134에서 소량 검지 1의 검지 총수를 나타내는(모터 평균 전류값 Imo_avg가 산출된 모든 회수) 검지 총수 CT를 +1한다. 단계 135에서, 이번에 산출된 모터 평균 전류값 Imo_avg가 소정 전류값 이하인지(예컨대, 모터 평균 전류값 Imo_avg 의 피크값이 1.0A 이하인지)를 판정한다. 세탁물이 세탁수에 대하여 적어 세탁수에 떠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5)에 걸리는 부하(토크)는 적어지고 모터(5)에 흐르는 전류값도 적어진다. 그래서, 모터 평균 전류값 Imo_avg가 소정 전류값 이하인 것은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다고 판정하는 것과 동등하다. 소정 전류값 이하라고 판정한 경우는 단계 136에서 소량 검지 CT를 +1한다.
단계 137에서 검지 총수 CT가 소정 검지 회수(예컨대, 20회) 이상인가를 판정한다. 세탁물의 회전 상태에 따라서 모터 평균 전류값의 진폭은 상하하기 때문에, 예컨대 한 번(2초간)만의 전류값을 갖고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느냐를 판정하는 것은 무리이며 잘못 검지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예컨대 20회(모터 : 30r/min 속도로, 2초 간격으로 검지한 경우는 회전 드럼의 20회전에 상당)로 검지하도록 한 경우, 보다 정확하게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회전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소정 검지 회수 검지를 한 경우에는, 단계 138에서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는가를 판정하고, 소정 검지 회수 검지를 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 서브루틴을 종료하고 계속해서 검지를 계속한다.
단계 138에서 소량 검지 CT가 소정값 이상(예컨대 19회)인지 판정한다. 검지 총수에 대하여 소정 회수 이상 모터 평균 전류값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다고 판정한다. 검지 오차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검지 총수 20회에 대하여 19회 이상 모터 평균 전류값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다고 판정하기로 한다. 검지한 경우에는 단계 139에서 소량 F를 세트하고, 검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39를 뛰어넘어 단계 140으로 진행한다. 단계 140, 단계 141에서 다음번의 소량 검지를 위해 소량 검지 CT와 검지 총수 CT를 클리어한다.
소량 검지 1 판정 종료후, 도 5a, 도 5b의 플로우차트로 되돌아가 단계 109의 배수 제어 처리를 한다. 배수 제어 처리는 도 8a, 도 8b의 플로우차트에 도시한다. 소량 검지를 한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물받이조(3)내의 세탁수를 소정량 배수하여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는 상태를 수정한다.
단계 150에서, 소량 검지 종료 F가 세트되어 있는가를 판정하여, 소량 검지 종료 F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는, 배수 제어 처리를 종료시킨다. 단계 151에서는, 소량 배수중 F가 세트되어 있는지 판정하여 소량 상태를 검지하여 현재 배수중인 경우에는 계속해서 배수 동작을 하기 때문에 단계 156으로 진행하고, 현재 배수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52로 진행하여 소량 F가 세트되어 있는가를 판정한다. 소량 F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서 단계 153이후의 처리를 하고, 소량 F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배수 제어 서브루틴을 종료한다.
단계 153에서 소량 F를 클리어하고 단계 154에서 현재 배수중인 것을 나타내는 소량 배수중 F를 세트한다. 그리고, 단계 155에서 제어 수단(15)에 의해 배수밸브(11)를 동작시켜 배수 동작을 개시한다. 단계 156에서는 배수밸브(11)의 구동을 계속하여 배수 동작을 하고, 단계 157에서 배수 시간인 제 3 소정 시간 경과했는가를 판정하여 경과한 경우에는 배수 동작을 종료한다.
제 3 소정 시간은 표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량 검지 수단(27)에 의해 결정된 포량에 따라 설정하도록 한다. 예컨대, 포량이 많다고 판정되어 높은 수위까지 급수되어 있는 경우는 보다 많은 세탁수를 배수해야 하기 때문에 30초간 배수하도록 제 3 소정 시간을 설정하고, 포량이 적다고 판정한 경우는, 많은 세탁수를 지나치게 배수하면 세탁수가 없어져 세탁 동작을 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적은 시간 10초간 배수하도록 제 3 소정 시간을 설정한다.
제 3 소정 시간 경과후에는 배수 동작 종료후, 단계 158에서 소량 검지에 의해 몇번 배수 제어가 실행되었는가를 카운트하는 배수 CT를 +1하고, 단계 159에서 소량 배수중 F를 클리어한다. 단계 160에서 배수 CT가 소정 회수 이상(표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량에 따라 설정)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161에서 앞으로 소량 검지를 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소량 검지 종료 F를 세트한다. 한 번의 배수 제어만으로는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는 상태를 해소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몇 회 배수 동작을 나눠 실행하기 위해서 이러한 반복을 실행한다. 또한, 상한의 회수를 설정하는 것은 지나치게 배수하여 세탁 동작이 정지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이것으로, 단계 162에서 배수 제어 서브루틴을 종료하고 다시 도 5a, 도 5b의 플로우차트의 단계 110으로 되돌아간다.
다시, 도 5a, 도 5b의 플로우차트에 의해 설명한다. 단계 110에서, 모터(5)를 구동하는 시간이 경과했는가를 판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탁 동작은 도 9에 나타내는 타이밍차트로 모터를 좌우 구동하여 실행하므로, 그 1회당 구동 동작이 경과했는가를 판정한다. 구동 시간이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07로 되돌아가 다시 소량 검지를 하고, 구동 시간이 종료한 경우에는 모터(5)를 오프시키기 위해서 단계 111으로 진행하여 모터(5)를 오프한다. 모터(5)의 오프 시간이 경과한 것을 단계 112에서 검지하면 단계 113에서 세탁 동작(예컨대 30분간)의 종료 시간이 되었는가를 판정하여, 종료 시간이 된 경우에는 단계 114로 진행하여 다음 공정(배수하여 헹굼 등)을 한다. 종료 시간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단계 105로 되돌아가 모터(5)를 기동시켜 세탁 동작을 계속함과 동시에,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지 않은지 여부의 검지를 한다.
이와 같이, 세탁 동작중에 전류 검지 수단(24)이 검지하는 모터(5)의 전류값으로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이 소량이고, 더구나 회전 드럼(1)내에서 헛도는 상태인 것을 검지하도록 하고, 더구나 그 후, 물받이조(3)내의 세탁수를 소정량 배수하도록 했기 때문에 세탁물의 상태에 따른 세탁운전을 할 수 있게 되어 의류의 오염을 확실하게 없앨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탁기에 대하여 도 10a 내지 도 12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회전 상태를 전류 검지 수단(24)이 검지하는 모터(5)의 전류값의 진폭으로 판정하도록 한 것으로, 이하에 도 10a 내지 도 12b를 참조하면서 동작을 설명한다.
회전 드럼(1)내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전원 온 스위치(16f)를 온하고 코스 설정 스위치(16d)에 의해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운전코스를 선택 입력한 뒤, 단계 200에서 스타트·일시정지 스위치(16e)를 온하여 운전을 개시한다. 먼저, 단계 201에서 제어 수단(15)은 회전 드럼(1)을 회전시켜 포량 검지 수단(27)에 의해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양을 검지한다. 단계 202에서, 검지한 포량을 2kg마다 0 내지 2kg을 순위 0, 2 내지 4kg을 순위 1, 4 내지 6kg을 순위 2, 6 내지 8kg을 순위 3으로 4개의 순위로 나눈다.
그리고, 검지한 세탁물의 양에 따라서 세제량을 세제량 표시부(17e)와 숫자 표시부(17g)에 표시함과 동시에 이후의 세탁운전을 한다. 예컨대, 세탁 행정중에 물받이조(3)내에 급수하는 수량(실제는 수위로 제어함)을 표 1과 같이 검지한 포량에 따라 설정한다. 단계 203부터, 세탁 행정을 개시한다.
단계 203에서, 급수밸브(12)를 온하여 표 1에 나타내는 설정 수위까지 물받이조(3)내에 세탁수를 급수한다. 포량이 많은 경우에는 수위를 높게, 적은 경우에는 낮은 수위를 설정한다. 단계 204에서, 모터(5)를 구동하여 회전 드럼(1)을 회전시켜 세탁(세정) 동작을 개시한다. 세정 동작중에는 모터(5)를 도 9에 나타내는 것 같은 타이밍차트로 좌우 구동하여 회전 드럼(1)을 회전시킨다.
단계 205에서 모터(5)를 기동하고 단계 206에서 기동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예컨대 3초) 경과했는가를 판정한다. 소정 시간 경과했으면, 단계 207로 진행하여 전류 검지 수단(24)에 의해 모터(5)의 전류를 검지한다. 모터(5)의 기동시에는 모터(5)를 정상 상태에서 회전시킬 때보다도 더욱 큰 토크(기동 토크)가 필요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전류가 흐른다.
모터(5) 회전중, 기동으로부터의 경과 시간과 모터(5)에 흐르는 전류값과의 관계를 도 4a, 도 4b 에 나타낸다. 기동으로부터 소정 시간(3초)은 모터에 흐르는 전류에는 오버 슈트가 있어 전류가 안정될 때까지는 소정 시간(3초) 필요하다. 이 오버 슈트의 크기와 시간은 모터(5)의 기동 제어 방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전류가 안정되기까지의 소정 시간도 기동 제어의 방법에 의해 변화한다. 이 소정 시간은 제어 방법의 결정후 실험 등으로 구하여 설정한다. 모터(5)의 회전중에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이 어떠한 상태로 회전하고 있는가를 검지하고자 한 경우, 이 기동 제어중인 전류값을 검지하더라도 반드시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회전 상태를 검지한 것으로는 되지 않기 때문에 기동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는 모터(5)의 전류값을 검지하지 않도록 한다.
단계 207에서, 모터(5)에 흐르는 전류값의 전류진폭(Imo_amp)을 검출한다. 회전 드럼(1)의 회전주기에 따라서, 모터(5)에 흐르는 전류값도 동기하여(1회전하면, 세탁물은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감) 변화하기 때문에 소정 시간중(예컨대 2초, 또는 모터 1회전당 시간 등)의 모터 전류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에 의해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회전 상태를 판단하도록 한다.
전류진폭(Imo_amp)의 검출 방법을 도 11의 플로우차트로 설명한다.
단계 220에서 모터(5)의 전류를 검지하는 타이밍인가를 판정한다. 예컨대, 0.1초마다 검지한다고 하면 전회의 검지로부터 0.1초 경과했는가를 판정하고 0.1초 경과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221로 진행하여 전류를 검지한다. 0.1초 경과 이전에는, 이번에는 전류 검지하지 않는다고 하여 단계 228로 진행하여 이 서브루틴을 종료한다.
단계 221에서, 전류 검지 수단(24)이 검지하는 모터(5)의 전류값에 상당하는 전압 신호를 제어 수단(15)에 입력하고, 제어 수단(15)은 이 입력 전압 신호로부터 모터 전류값 Imo를 구한다. 단계 222에서, 제어 수단(15)은 전류값의 진폭을 산출하기 위한 모터 전류값의 최대값 Imo_max를 오버 라이트한다. 지금까지 검출한 모터 전류값의 최대값 Imo_max와 이번에 검지한 모터 전류값 Imo를 비교하여, 최대값 Imo_max 이상이면 이번에 검지한 모터 전류값 Imo를 새로운 모터 전류값의 최대값 Imo_max로 한다.
단계 223에서, 제어 수단(15)은 전류값의 진폭을 산출하기 위한 모터 전류값의 최소값 Imo_min을 오버 라이트한다. 지금까지 검출한 모터 전류값의 최소값 Imo_min과 이번에 검지한 모터 전류값 Imo를 비교하여 최소값 Imo_min 이하이면, 이번에 검지한 모터 전류값 Imo를 새로운 모터 전류값의 최소값 Imo_min으로 한다.
단계 224에서, 전류 진폭값을 산출하는 타이밍인가를 판정한다. 예컨대, 상기한 바와 같이 2초 간격으로 전류 진폭값을 구한다고 하면 전회 전류 진폭값을 산출한 후에 2초 경과했는가를 판정하여, 2초 경과했으면 단계 225로 진행하여 전류 진폭값 Imo_amp(=Imo_max-Imo_min)을 산출한다.
2초 경과하지 않았으면, 단계 228로 진행하여 이 서브루틴을 종료한다. 2초 간격으로 전류 진폭값을 검지하는 이유는 회전 드럼(1)(모터)을 30r/min으로 회전 제어시킨 경우 2초가 회전 드럼(1)을 1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시간이며, 2초간의 전류진폭이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회전 상태를 그대로 나타내는 것이 된다.
단계 226에서, 다음번 모터 전류의 전류진폭을 산출하기 위해서 모터 전류의 최소값 Imo_min과 최대값 Imo_max를 클리어한다. 그리고, 단계 227에서 모터 전류의 전류 진폭값을 산출시켜 소량 검지를 하는 타이밍인 것을 나타내는 소량 검지 2 타이밍 F를 세트한다. 그리고, 단계 228에서 이 서브루틴을 종료한다.
전류 진폭값을 산출하는 도 11의 플로우차트 종료후 다시 도 10a, 도 10b의 플로우차트로 되돌아가 단계 208에서 소량 검지 2 판정을 한다. 소량 검지 2 판정의 플로우차트는 도 12a, 도 12b에 나타낸다.
단계 230에서, 소량 검지 종료 F가 세트되어 있는가를 판정한다. 소량 검지 종료 F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미 세탁물의 소량 상태를 검지하고 물받이조내(3)내의 세탁수를 소정 회수 배수하여 세탁물이 세탁수에 뜨는 상태를 수정하고 있는 때이며, 즉, 다시 소량 검지를 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소량 검지 종료 F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242로 진행하여 이 서브루틴을 종료하고 소량 검지 종료 F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231로 진행한다. 단계 231에서는 세탁물의 소량 상태를 검지하고 그 수정을 위해서 배수 동작을 현재 실행하고 있는가를 판정한다. 현재 배수 동작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소량 배수중 F가 세트되어 있고 이 동안 소량 상태를 검지할 필요는 없으므로, 단계 242로 진행하여 이 서브루틴을 종료한다. 배수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232에서 소량 검지 2 타이밍 F가 세트되어 있는가를 판정한다.
이 소량 검지 2 타이밍 F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 전류의 전류 진폭값 Imo_amp이 산출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이며,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으면 새로운 전류 진폭값 Imo_amp이 산출되었으므로 소량 검지 2를 하기 위해서 단계 233으로 진행한다.
단계 233에서는 다음번의 검지를 위해 소량 검지 2 타이밍 F를 클리어하고, 단계 234에서 소량 검지 2의 검지 총수를 나타내는(전류 진폭값 Imo_amp이 산출된 모든 회수) 검지 총수 CT를 +1한다. 단계 235에서 이번에 산출된 전류 진폭값 Imo_amp이 소정 전류값(예컨대, 0.5A) 이하인가를 판정한다. 세탁물이 세탁수에 대하여 적어 세탁수에 떠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에 걸리는 부하(토크)는 적고 더구나 회전 드럼(1)[모터(5)]이 1회전하는 동안의 부하 변동도 작아진다. 즉, 세탁물의 부하를 받지 않고 헛도는 상태인 것과 모터 전류의 진폭값이 소정값 이하가 되는 것이 동등한 상태이다. 그래서, 전류 진폭값 Imo_amp이 소정 전류값 이하인지는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다고 판정하여, 단계 236으로 진행하여 소량 검지 CT를 +1한다.
단계 237에서 검지 총수 CT가 소정 검지 회수(예컨대, 20회) 이상인 가를 판정한다. 검지 정밀도를 향상하기 위해서 복수회 검지하여 그 검지 총수에 대하여 어떤 일정 회수 이상이면, 정말로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다고 판정하도록 한다. 소정 회수 검지할 때까지는 계속해서 검지를 계속하기 때문에 단계 242로 진행하여 이 서브루틴을 종료한다.
단계 238에서 소량 검지 CT가 소정값 이상(예컨대 19회)인지 판정한다. 검지 총수에 대하여 소정 회수 이상 전류 진폭값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다고 판정한다. 검지한 경우에는 단계 239에서 소량 F를 세팅하고, 검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239를 뛰어 넘어 단계 240으로 진행한다. 단계 240 과 단계 241에서, 다음번의 소량 검지를 위해 소량 검지 CT와 검지 총수 CT를 클리어한다.
단계 242에서 소량 검지 2 판정 종료후 도 10a, 도 10b의 플로우차트로 되돌아가 단계 209의 배수 제어 처리를 한다. 배수 제어 처리는 실시예 1에서 나타낸 도 8a, 도 8b의 플로우차트와 동일하며 설명은 생략한다. 배수 제어를 하는 것에 의해 세탁수를 적게 하여 세탁물의 헛도는 상태를 수정한다.
도 8a, 도 8b의 플로우차트에 근거하는 배수 제어 종료후 다시 도 10a, 도 10b의 플로우차트의 단계 210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210에서, 모터(5)를 구동하는 시간이 경과했는가를 판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탁 동작은 도 9에 나타내는 타이밍차트로 모터를 좌우 구동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그 1회당 구동 동작이 경과했는가를 판정한다. 구동 시간이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207로 되돌아가 다시 소량 검지를 하고, 구동 시간이 종료한 경우에는 모터(5)를 오프시키기 위해서 단계 211로 진행하여 모터(5)를 오프한다.
모터(5)의 오프 시간이 경과한 것을 단계 212에서 검지했으면 단계 213에서 세탁 동작(예컨대 30분간)의 종료 시간이 되었는가를 판정하고 종료 시간이 된 경우에는 단계 214로 진행하여 다음 공정(배수하여 헹굼 등)을 한다. 종료 시간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단계 205로 되돌아가 모터(5)를 기동시켜 세탁 동작을 계속함과 동시에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있지 않은지 여부의 검지를 한다.
이와 같이, 세탁 동작중에 전류 검지 수단(24)이 검지하는 모터(5)의 전류값의 진폭으로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이 소량이고, 더구나 회전 드럼(1)내에서 헛도는 상태라는 것을 판정하도록 하고, 더구나, 그 후 물받이조(3)내의 세탁수를 소정량 배수하도록 했기 때문에 세탁물의 상태에 따른 세탁운전을 할 수 있게 되어 의류의 오염을 확실히 없앨 수 있게 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탁기에 대하여 도 13a, 도 13b 내지 도 15a, 도 15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회전 드럼(1)내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전원 온 스위치(16f)를 온하고, 코스 설정 스위치(16d)에 의해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운전코스를 선택 입력한 뒤 단계 300에서 스타트·일시정지 스위치(16e)를 온하여 동작을 개시한다.
먼저, 단계 301에서, 제어 수단(15)은 회전 드럼(1)을 회전시켜 포량 검지 수단(27)에 의해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양을 검지한다. 단계 302에서, 검지한 포량을 2kg마다, 0 내지 2kg을 순위 0, 2 내지 4kg을 순위 1, 4 내지 6kg을 순위 2, 6 내지 8kg을 순위 3으로 4개의 순위로 나눈다. 그리고, 검지한 세탁물의 양에 따라서 세제량을 세제량 표시부(17e)와 숫자 표시부(17g)에 표시함과 동시에 이후의 세탁운전을 한다.
예컨대, 세탁 행정중에 물받이조(3)내에 급수하는 수량(수위로 제어)을, 표 1과 같이, 검지한 포량에 따라 설정한다. 단계 303부터 세탁 행정을 개시한다. 단계 303에서 급수밸브(12)를 온하여 표 1에 나타내는 설정수위까지 물받이조(3)내에 세탁수를 급수한다. 포량이 많은 경우에는 수위를 높게, 적은 경우에는 낮은 수위를 설정한다. 단계 304에서, 모터(5)를 구동하여 회전 드럼(1)을 회전시켜 세탁(세정) 동작을 개시한다. 세정 동작중에는 모터(5)를 도 9에 나타내는 것 같은 타이밍차트로 좌우 구동하여 회전 드럼(1)을 회전시킨다.
단계 305에서 모터(5)의 기동을 개시하고, 단계 306에서 기동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예컨대 3초) 경과했는가를 판정한다. 소정 시간 경과했으면 단계 307로 진행하여 전류 검지 수단(24)에 의해 모터(5)의 전류를 검지한다. 모터(5)의 기동시에는 모터(5)를 정상 상태에서 회전시킬 때보다도 더욱 큰 토크(기동 토크)가 필요하기 때문에 모터(5)를 정상 회전시킬 때보다도 더욱 많은 전류가 흐른다.
모터(5) 회전중, 및 기동으로부터의 경과 시간과 모터(5)에 흐르는 전류값과의 관계를 도 4a, 도 4b에 나타낸다. 기동으로부터 소정 시간(3초)은 모터(5)에 흐르는 전류에는 오버 슈트가 있어 전류가 안정될 때까지는 소정 시간(3초) 필요하다. 이 오버 슈트의 크기와 시간은 모터(5)의 기동 제어 방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전류가 안정되기까지의 소정 시간도 기동 제어의 방법에 의해 변화한다. 이 소정 시간은 제어 방법의 결정후, 실험 등으로부터 구하도록 한다. 모터(5)의 회전중에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이 어떠한 상태에서 회전하고 있는가를 판정하는 데, 기동시의 모터(5)의 전류를 검지하더라도 반드시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회전 상태를 검지한 것으로는 되지 않기 때문에, 기동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는 모터(5)의 전류값을 검지하지 않도록 한다.
단계 307에서, 모터(5) 회전중에 흐르는 평균 전류값(Imo_avg)과 전류값의 전류진폭(Imo_amp)을 검출하도록 한다. 모터(5)에 흐르는 전류값은 여러가지 조건(검지 회로로의 노이즈, 세탁물의 극소적인 회전 상태의 변화)에 의해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4a,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1)의 회전주기에 따라서 모터(5)에 흐르는 전류값도 동기하여(1회전하면, 세탁물은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감) 변화하기 때문에 소정 시간중(예컨대 2초, 또는 모터 1회전당 시간 등)의 평균 전류값에 의해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회전 상태를 판단하도록 한다.
또한, 회전 드럼(1)의 회전주기에 따라서 모터(5)에 흐르는 전류값도 동기하여(1회전하면, 세탁물은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감) 변화하기 때문에, 소정 시간중(예컨대 2초, 또는 모터 1회전당 시간 등)의 모터 전류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에 의해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회전 상태를 판단하도록 한다. 이 2개의 상태를 함께 검지함으로써 보다 정확히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회전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평균 전류값(Imo_avg)과 전류진폭(Imo_amp)의 검출 방법을 도 14a, 도 14b의 플로우차트로 설명한다. 단계 320에서 모터(5)의 전류를 검지하는 타이밍인가를 판정한다. 예컨대, 0.1초마다 검지한다고 하면 전회의 검지로부터 0.1초 경과했는가를 판정하고, 0.1초 경과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321로 진행하여 전류를 검지한다. 0.1초 경과 이전에는, 이번에는 전류 검지하지 않는다고 하여 단계 331로 진행하여 이 서브루틴을 종료한다.
단계 321에서, 전류 검지 수단(24)이 검지하는 모터(5)의 전류값에 상당하는 전압 신호를 제어 수단(15)에 입력하고 제어 수단(15)은 이 입력 전압 신호로부터 모터 전류값 Imo를 구한다. 단계 322에서, 제어 수단(15)은 평균 전류값을 산출하기 위한 모터 전류값 적산 Isum에 이번에 검지한 모터 전류값 Imo를 적산한다. 이 때, 적산한 회수를 카운트하는 적산 카운트 Ct의 카운트수를 +1한다.
단계 323에서, 제어 수단(15)은 전류값의 진폭을 산출하기 위한 모터 전류값의 최대값 Imo_max를 오버 라이트한다. 지금까지 검출한 모터 전류값의 최대값 Imo_max와 이번에 검지한 모터 전류값 Imo를 비교하여 이번에 검지한 모터 전류값 Imo가 최대값 Imo_max 이상이면, 그 모터 전류값 Imo를 새로운 모터 전류값의 최대값 Imo_max로 한다.
단계 324에서, 제어 수단(15)은 전류값의 진폭을 산출하기 위한 모터 전류값의 최소값 Imo_min을 오버 라이트한다. 지금까지 검출한 모터 전류값의 최소값 Imo_min과 이번에 검지한 모터 전류값 Imo를 비교하여 이번에 검지한 모터 전류값 Imo가 최소값 Imo_min 이하이면, 이번 검지한 모터 전류값 Imo를 새로운 모터 전류값의 최소값 Imo_min으로 한다. 단계 325에서, 모터 평균 전류값과 전류 진폭값을 산출하는 타이밍인지를 판정한다. 예컨대 상기한 이유에 의해 2초마다 검지하도록 한다. 전회 산출한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2초) 경과했는가를 판정하여 2초 경과했으면, 단계 326으로 진행한다.
단계 326에서, 모터 전류값 적산 Isum과 적산 카운트 Ct로부터 모터 평균 전류값 Imo_avg를 산출한다. 산출 방법은 Imo_avg=Isum/Ct이며, 평균 전류값 Imo_avg의 산출후에는 단계 327에서 다음번 모터 평균 전류값을 산출하기 위해서 모터 전류값 적산 Isum과 적산 카운트 Ct를 클리어한다.
단계 328에서는 전류 진폭값 Imo_amp(=Imo_max-Imo_min)을 산출하고, 그리고 단계 329에서 다음번 모터 전류의 전류진폭을 산출하기 위해서 모터 전류의 최소값 Imo_min과 최대값 Imo_max를 클리어한다. 단계 330에서는, 모터 전류의 전류 평균치와 전류 진폭값이 산출되어 소량 검지를 하는 타이밍인 것을 나타내는 소량 검지 3 타이밍 F를 세트한다. 그리고, 단계 331에서 이 서브루틴을 종료한다.
전류 평균치와 전류 진폭값을 산출하는 도 14a, 도 14b의 플로우차트 종료후, 다시 도 13a, 도 13b의 플로우차트로 되돌아가 단계 308에서 소량 검지 3 판정을 한다. 소량 검지 3 판정의 플로우차트는 도 15a, 도 15b에 나타낸다.
단계 340에서, 소량 검지 종료 F가 세트되어 있는가를 판정한다. 소량 검지 종료 F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미 세탁물의 소량 상태를 검지하여 물받이조내(3)내의 세탁수를 소정 회수 배수하고, 세탁물이 세탁수에 뜨는 상태를 수정하고 있는 때이며, 즉, 다시 소량 검지를 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단계 356으로 진행하여 이 서브루틴을 종료한다.
그리고, 소량 검지 종료 F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341로 진행한다. 단계 341에서는 세탁물의 소량 상태를 검지하여, 그 수정을 위해 배수 동작을 현재 실행하고 있는가를 판정한다. 현재 배수 동작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소량 배수중 F가 세트되어 있고, 이 동안 소량 상태를 검지할 필요는 없으므로 단계 356으로 진행하여 이 서브루틴을 종료한다.
배수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342에서 소량 검지 3 타이밍 F가 세트되어 있는가를 판정한다. 이 소량 검지 3 타이밍 F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 평균 전류값 Imo_avg와 모터 전류의 전류 진폭값 Imo_amp이 산출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이며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으면, 새로운 모터 평균 전류값 Imo_avg와 전류 진폭값 Imo_amp이 산출되었기 때문에 소량 검지 3를 하기 위해서 단계 343으로 진행한다.
단계 343에서는 다음번의 검지를 위해 소량 검지 3 타이밍 F를 클리어하고 단계 344에서 소량 검지 3의 검지 총수를 나타내는(평균 모터 전류값 Imo_avg와 전류 진폭값 Imo_amp이 산출된 모든 회수) 검지 총수 CT를 +1한다.
단계 345에서 이번에 산출된 모터 평균 전류값 Imo_avg가 소정 전류값 이하인지(예컨대, 모터 평균 전류값 Imo_avg의 피크값이 1.0A 이하인지)를 판정한다. 세탁물이 세탁수에 대하여 적어 세탁수에 떠 있는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5)에 걸리는 부하(토크)는 적어지고 모터(5)에 흐르는 전류값도 적어진다. 그래서, 모터 평균 전류값 Imo_avg가 소정 전류값 이하인 경우에는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다고 판정하는 것과 동등하다. 소정 전류값 이하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346에서 평균 전류 검지 CT를 +1한다.
또한, 단계 347에서, 이번에 산출된 전류 진폭값 Imo_amp이 소정 전류값(예컨대, 0.5A) 이하인가를 판정한다. 세탁물이 세탁수에 대하여 적어 세탁수에 떠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5)에 걸리는 부하(토크)는 적고 더구나 회전 드럼(1)(모터(5))이 1회전하는 동안의 부하 변동도 작아진다. 즉, 세탁물의 부하를 받지 않고 헛도는 상태인 것과, 모터 전류의 진폭값이 소정값 이하가 되는 것이 동등한 상태이다. 그래서, 전류 진폭값 Imo_amp이 소정 전류값 이하인 경우,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다고 판정하여 단계 348로 진행하여 진폭 검지 CT를 +1한다.
단계 349에서 검지 총수 CT가 소정 검지 회수(예컨대, 20회) 이상인 가를 판정한다. 검지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복수회 검지하고 그 검지 총수에 대하여 어떤 일정 회수 이상이면, 정말로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다고 판정하도록 한다. 소정 회수 검지할 때까지는 계속해서 검지를 계속하기 위해서 단계 356으로 진행하여 이 서브루틴을 종료한다.
단계 350에서, 평균 전류 검지 CT가 소정값 이상(예컨대 19회)인지 판정한다. 검지 총수에 대하여 소정 회수 이상 모터 평균 전류값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다고 판정한다. 검지한 경우에는 또한 전류진폭에 의한 판정을 단계 351에서 실행한다. 단계 351에서, 진폭 전류 검지 CT가 소정값 이상(예컨대 19회)인지 판정한다. 검지 총수에 대하여 소정 회수 이상 전류 진폭값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다고 판정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모터 전류의 평균치와 진폭값의 양쪽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다고 판정하도록 했기 때문에, 세탁물이 실제는 세탁수에 떠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떠있다고 오검지할 우려가 적어져 보다 정확히 세탁물의 회전 상태를 검지할 수 있게 된다.
단계 350과 단계 351에서 모두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352에서 소량 F를 세트하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352를 뛰어 넘어 단계 353으로 진행한다. 단계 353, 단계354, 단계 355에서 다음번의 소량 검지를 위해 평균 전류값 검지 CT와 진폭 검지 CT와 검지 총수 CT를 클리어한다.
단계 356에서 소량 검지 3 판정 종료후 도 13a, 도 13b의 플로우차트로 되돌아가 단계 309의 배수 제어 처리를 한다. 배수 제어 처리는 실시예 1에서 나타낸 도 8a, 도 8b의 플로우차트와 동일하며 설명은 생략한다. 배수 제어를 하는 것에 의해 세탁수를 적게 하여 세탁물의 헛도는 상태를 수정한다.
도 8a, 도 8b의 플로우차트 종료후 다시 도 13a, 도 13b의 플로우차트의 단계 310으로 되돌아가 모터(5)를 구동하는 시간이 경과했는가를 판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탁 동작은 도 9에 나타내는 타이밍차트로 모터(5)를 좌우 구동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그 1회당 구동 동작이 경과했는가를 판정한다. 구동 시간이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307로 되돌아가 다시 소량 검지를 하고 구동 시간이 종료한 경우에는 모터(5)를 오프시키기 위해서 단계 311로 진행하여 모터(5)를 오프한다.
모터(5)의 오프 시간이 경과한 것을 단계 312에서 검지하였으면 단계 313에서 세탁 동작(예컨대 30분간)의 종료 시간이 되었는가를 판정하고 종료 시간이 된 경우에는 단계 314로 진행하여 다음 공정(배수하여 헹굼 등)을 한다. 종료 시간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두 번째 단계 305로 되돌아가 모터(5)를 기동시켜 세탁 동작을 계속함과 동시에 세탁물이 세탁수에 떠 있지 않은지 여부의 검지를 한다.
이와 같이, 세탁 동작중에 전류 검지 수단(24)이 검지하는 모터(5)의 전류값과 전류값의 진폭으로,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이 소량이고 더구나, 회전 드럼(1)내에서 헛도는 상태라는 것을 검지하도록 한다. 그 후, 물받이조(3)내의 세탁수를 소정량 배수하도록 했기 때문에 세탁물의 상태에 따른 세탁운전을 할 수 있게 되어 의류의 오염을 확실히 없앨 수 있다.
또한, 제어 수단(15)은 세탁 동작중에 전류 검지 수단(24)이 검지하는 모터(5)의 전류값에 의해 회전 드럼(1)내에서의 세탁물의 상태를 검지함으로써 회전 드럼(1)내의 의류가 세탁수에 떠서 기계력이 정확하게 가해지지 않는 상태를 검지할 수 있고, 그 후, 의류의 양 또는 포질에 따른 최적의 세탁운전을 함으로써 의류의 오염을 확실히 없앨 수 있다.
또한, 제어 수단(15)은 모터(5) 기동의 소정 시간 경과후부터 전류 검지 수단(24)에 의해 모터(5)의 전류값을 검지하여 전류 검지 수단(24)이 검지하는 모터(5)의 전류값에 의해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의 상태를 판정하도록 함으로써, 모터(5) 기동시의 오버 슈트가 있는 기동 전류를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 드럼(1)내에서의 의류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수단(15)은 세탁 동작중에 전류 검지 수단(24)이 검지하는 모터(5)의 전류값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회전 드럼내의 세탁물이 소량이고, 회전 드럼내에서 헛도는 상태라고 판정함으로써, 의류의 상태에 따른 세탁운전을 할 수 있게 되어 의류의 오염을 확실히 없앨 수 있다. 또한, 모터(5)에 흐르는 전류값을 검지하는 것은 모터(5)에 걸리는 부하 상태를 직접 검지하는 것과 동등하기 때문에 모터 전류의 절대값의 검지에 의해 회전 드럼(1)내의 의류의 상태를 정확하고 또한 간단한 방법으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수단(15)은 세탁 동작중에 전류 검지 수단(24)이 검지하는 모터(5)의 전류값의 변동폭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이 소량이고 회전 드럼(1)내에서 헛도는 상태라고 판정하도록 한 것에 의해, 의류의 상태에 따른 세탁운전을 할 수 있게 되어, 의류의 오염을 확실하게 없앨 수 있다. 또한, 회전 드럼(1)의 회전중의 모터 전류값의 변동폭이 적다는 것은 회전 드럼(1)내의 의류가 정확하게 회전하고 있지 않다고 추측할 수 있어 이에 따라 회전 드럼내의 의류의 회전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수단(15)은 세탁 동작중에 전류 검지 수단(24)이 검지하는 모터(5)의 전류값이 소정값 이하이고 또한 전류 검지 수단(24)이 검지하는 모터(5)의 전류값의 변동폭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이 소량이고 회전 드럼(1)내에서 헛도는 상태라고 판정하도록 한 것에 의해 보다 정확히 회전 드럼(1)내의 의류의 회전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수단(15)은 회전 드럼(1)내의 세탁물이 소량으로 헛돌고 있다고 검지한 경우, 배수밸브(11)에 의해 물받이조(3)내의 세탁수를 소정량 배수하도록 함으로써 세탁물의 헛도는 상태를 해소할 수 있어 의류의 오염을 확실하게 없앨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는 세탁물의 양, 포질에 영향 받지 않고 최적의 세탁운전을 하여 의류의 오염을 확실하게 없앨 수 있는 것으로 대략 수평 방향 또는 경사 방향으로 회전 중심축을 갖는 회전 드럼을 이용하여 세정, 헹굼, 탈수 등을 하는 세탁기, 세정 장치 등 각종 기기 및 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물의 양과 포질에 영향을 받지 않고 회전 드럼내의 세탁물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정하여 세탁물의 오염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상기 세탁기의 일부 블럭화한 회로도,
도 3은 상기 세탁기의 입력 설정 수단 및 표시 수단의 정면도,
도 4a는 상기 세탁기의 통상 회전시에 있어서의 세정 동작시의 경과 시간과 모터 전류와의 관계도, 도 4b는 상기 세탁기의 공회전시에 있어서의 세정 동작시의 경과 시간과 모터 전류와의 관계도,
도 5a 및 도 5b는 상기 세탁기의 세정 동작시의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상기 세탁기의 모터의 평균 전류값을 산출하는 서브루틴의 플로우차트,
도 7a 및 도 7b는 상기 세탁기의 세탁물의 소량 상태를 검지하는 서브루틴의 플로우차트,
도 8a 및 도 8b는 상기 세탁기의 소량 검지시의 배수 제어의 서브루틴의 플로우차트,
도 9는 상기 세탁기의 세정 동작시의 모터의 타이밍차트,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세정 동작시의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상기 세탁기의 전류 진폭값을 산출하는 서브루틴의 플로우차트,
도 12a 및 도 12b는 상기 세탁기의 세탁물의 소량 상태를 검지하는 서브루틴의 플로우차트,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세정 동작시의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4a 및 도 14b는 상기 세탁기의 모터 전류의 평균과 진폭값을 산출하는 서브루틴의 플로우차트,
도 15a 및 도 15b는 상기 세탁기의 세탁물의 소량 상태를 검지하는 서브루틴의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 드럼 3 : 물받이조
5 : 모터 11 : 배수 수단
15 : 제어 수단 24 : 전류 검지 수단

Claims (8)

  1. 대략 수평 또는 경사진 회전 중심축을 갖는 회전 드럼과, 상기 회전 드럼을 내포하는 물받이조와,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 수단과, 상기 모터 및 일련의 세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세탁 동작중의 상기 모터의 전류값에 의해 상기 회전 드럼내의 세탁물의 상태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모터 기동의 소정 시간 경과 후부터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서 검지한 모터의 전류값에 의해 상기 회전 드럼내의 세탁물의 상태를 판정하도록 한
    세탁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류 검지 수단이 검지하는 모터의 전류값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회전 드럼내에서 세탁물이 헛도는 상태에 있다고 판정하도록 한
    세탁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류 검지 수단이 검지하는 모터의 전류값의 변동폭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회전 드럼내에서 세탁물이 헛도는 상태라고 판정하도록 한
    세탁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류 검지 수단이 검지하는 모터의 전류값이 소정값 이하이고, 또한 상기 전류값의 변동폭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회전 드럼내에서 세탁물이 헛도는 상태라고 판정하도록 한
    세탁기.
  6. 제 3 항에 있어서,
    물받이조내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회전 드럼내에서 세탁물이 헛돌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배수 수단에 의해 물받이조내의 세탁수를 소정량 또는 소정 시간 배수하도록 한
    세탁기.
  7. 제 4항에 있어서,
    물받이조내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회전 드럼내에서 세탁물이 헛돌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배수 수단에 의해 물받이조내의 세탁수를 소정량 또는 소정 시간 배수하도록 한
    세탁기.
  8. 제 5 항에 있어서,
    물받이조내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회전 드럼내에서 세탁물이 헛돌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배수 수단에 의해 물받이조내의 세탁수를 소정량 또는 소정 시간 배수하도록 한
    세탁기.
KR1020040097397A 2004-05-10 2004-11-25 세탁기 KR100643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39583 2004-05-10
JP2004139583A JP4114631B2 (ja) 2004-05-10 2004-05-10 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730A true KR20050107730A (ko) 2005-11-15
KR100643988B1 KR100643988B1 (ko) 2006-11-10

Family

ID=35349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397A KR100643988B1 (ko) 2004-05-10 2004-11-25 세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114631B2 (ko)
KR (1) KR100643988B1 (ko)
CN (1) CN100372989C (ko)
MY (1) MY138805A (ko)
SG (1) SG117513A1 (ko)
TW (1) TW2006062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3063A (ko) * 2009-08-28 201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23061A (ko) * 2009-08-28 201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7373B2 (ja) * 2008-02-18 2010-11-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5374141B2 (ja) * 2008-12-22 2013-12-25 株式会社ハーマン ミスト発生装置
CN107653627B (zh) * 2017-10-24 2022-08-02 天津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洗衣机内水量检测控制方法和洗衣机
CN112011956B (zh) * 2019-05-13 2023-04-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控制方法及洗衣机
CN212611479U (zh) * 2019-11-02 2021-02-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多桶洗衣机
JP7181180B2 (ja) 2019-12-20 2022-11-30 E&C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生体等価ファント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6708Y2 (ja) * 1992-08-26 1997-12-08 三甲株式会社 容器におけるカード差し
CN1125275A (zh) * 1993-08-27 1996-06-26 朱亮 一种洗衣机模糊控制方法及其控制器
JP3962668B2 (ja) * 2002-09-24 2007-08-22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3063A (ko) * 2009-08-28 201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23061A (ko) * 2009-08-28 201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3988B1 (ko) 2006-11-10
CN100372989C (zh) 2008-03-05
TW200606298A (en) 2006-02-16
CN1696381A (zh) 2005-11-16
MY138805A (en) 2009-07-31
TWI317394B (ko) 2009-11-21
JP4114631B2 (ja) 2008-07-09
JP2005319075A (ja) 2005-11-17
SG117513A1 (en)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46779A (ja) 洗濯機
KR100643988B1 (ko) 세탁기
JP3134848B2 (ja) 洗濯機
JP2005319075A5 (ko)
KR100645670B1 (ko) 세탁기
JP4329641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8054910A (ja) ドラム式洗濯機
JP4380468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5131116A (ja) 洗濯機
JP4329643B2 (ja) 洗濯機
JP4103250B2 (ja) 洗濯機
JPH10192585A (ja) 洗濯機
JP2006068053A (ja) 洗濯機
JP4158295B2 (ja) 洗濯機
JP2574305B2 (ja) 洗濯機の負荷量検知装置
KR100420309B1 (ko) 인버터세탁기의포량감지장치
JP2011139812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6075477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224188B1 (ko) 세탁기의 헹굼제어방법
JP2000350886A (ja) 洗濯機
JP2003071182A (ja) 洗濯機
JP2001293286A (ja) 洗濯機
JP2001120877A (ja) 洗濯機
JP2006068275A (ja) 洗濯機
JP2005143792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