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399B1 -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399B1
KR100487399B1 KR10-2002-0053301A KR20020053301A KR100487399B1 KR 100487399 B1 KR100487399 B1 KR 100487399B1 KR 20020053301 A KR20020053301 A KR 20020053301A KR 100487399 B1 KR100487399 B1 KR 100487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washing
shaft
dehydr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8598A (ko
Inventor
히로오카히로시
요리타마사미
Original Assignee
니혼 겐테쓰 가부시키가이샤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겐테쓰 가부시키가이샤,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겐테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8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 전환시 전동기의 회전속도를 펄스 모터를 사용하는 일 없이, 초저속도로 할 수 있으며, 클러치의 결합부의 갭을 적게 하더라도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고, 전환시에 큰 충격음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서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는, 탈수축을 클러치장치를 통해 세탁축에 연결하고, 상기 클러치장치는, 탈수축에 고정장착되어 전자 코일에 의해 흡인·반발되는 플런저에 마련된 클러치핀을, 전동기의 세탁축에 고정장착한 클러치판에 결합 분리가 자유롭게 조합하고, 세탁과 탈수의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한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세탁모드와 탈수모드의 전환시에는, 상기 전동기를 기동시킨 후, 전원을 차단하고, 그 후의 관성회전에 의한 세탁축의 회전수가 소정치까지 감속되었으면, 전자 코일에 통전되어 클러치판에 클러치핀을 접속한다.

Description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METHOD OF CONTROL FOR CLUTCH OF SINGLE VESSEL TYPE OF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일조식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이러한 일조식 전자동 세탁기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상자(20)에 수조(21)를 요동 자유롭게 설치되고, 이 수조(21) 내에 세탁겸 탈수조(18)를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세탁겸 탈수조(18)의 저부에 회전날개(3)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날개(3)에 접속되는 세탁축(구동축)을 감속기구를 통해 전동기(1)에 접속하고, 세탁겸 탈수조(18)에 접속되는 탈수축을 클러치장치(8)를 통해 세탁축에 접속하고, 세탁과 헹굼운전시에는 회전날개(3)만을 저속으로 회전하고, 세탁겸 탈수조(18) 내에 와류를 발생시켜 세탁·헹굼을 행하고, 탈수운전시에는 탈수축을 세탁축에 접속하여 회전날개(3)와 세탁겸 탈수조(18)를 동시에 고속 회전하고, 세탁겸 탈수조(18) 내의 세탁물의 수분을 원심력으로 분산시킨다.
상기 클러치장치(8)는,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성기어에 의한 감속기구(22)의 하부에 조합되고, 전자 코일과 플런저에 의해 클러치 전환을 행하는 핀클러치 구조로 하는 것인데, 전동기(1)로는, 예를 들면 유도전동기를 사용하고, 그 세탁축(2)의 선단에 회전날개(3)를 고정나사(4)에 의해 고정하고, 세탁축(2)의 베이스부분인 주축 아래의 베이스부에 클러치판(16)을 가압에 의해 고정장착한다. 이 클러치판(16)에는 클러치를 맞물리게 하기 위한 결합 오목부(15)를 마련하였다.
베어링에 의해 탈수축(17)을 구동축인 세탁축(2)의 외측에서 동축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마련하고, 해당 탈수축(17)의 선단에 세탁겸 탈수조(18)를 고정하고, 베이스부에 클러치로서의 기능을 하는 원통 형상의 영구자석(12)을 주위에 동시 성형한 수지제의 플런저(11)를 고정한다. 이 플런저(11)는 클러치판(16)의 윗쪽에 누름스프링(14)에 의해 상하운동이 자유롭게 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 오목부(15)에 대응하는 개소에 위치시켜 결합돌기인 클러치핀(13)을 아래쪽을 향해 돌출 설치하였다.
플런저(11)의 외측에서 영구자석(12)에 대향하는 위치에 요크(10)에 장착한 전자 코일(9)을 설치하고, 이들 플런저(11), 전자 코일(9)의 주위를 클러치 케이스(8a)로 덮는다.
다음에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세탁이나 행굼을 행하는 데에는, 조작부를 조작하여 세탁행정이나 헹굼행정의 내용을 설정하여 온 하면, 컨트롤 유닛으로부터의 출력으로 전자 코일(9)에 통전되고, 플런저(11)의 영구자석(12)이 전자 코일(9)에 흡인되어 누름스프링(14)의 탄력에 저항하여 윗쪽으로 이동하고, 클러치핀(13)이 클러치판(16)의 결합 오목부(15)로부터 빠져나와, 탈수축(17)과 세탁축(2)과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리고 급수밸브가 작동하여 세탁겸 탈수조(18) 내에 급수되고, 전동기(1)에 통전되면 세탁축(2)만이 회전하고, 회전날개(3)가 저속회전하여 세탁운전이 행하여진다.
세탁행정으로부터 탈수행정으로 이행할 때는, 배수밸브가 열리고, 세탁겸 탈수조(18) 내의 물이 배수관으로부터 배출되면, 전자 코일(9)에는 세탁공정의 때와는 반대방향의 전류가 흐르고, 그 결과, 플런저(11)가 아래쪽으로 이동되고, 클러치핀(13)이 클러치판(16)에 마련되어 있는 결합 오목부(15)에 삽입되고, 클러치가 맞물린다.
이로써, 플런저(11)가 고정되어 있는 탈수축(17)과, 클러치판(16)이 고정되어 있는 구동축인 세탁축(2)이 접속된다. 따라서 전동기(1)의 회전이 세탁축(2)과 탈수축(17)에 동시에 전달되고, 회전날개(3)와 세탁겸 탈수조(18)가 동시에 고속 회전하여 세탁겸 탈수조(18) 내의 세탁물의 수분이 원심력에 의해 탈수된다.
그런데 세탁행정으로부터 탈수행정으로 이행할 때에 클러치가 완전히 전환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회전날개(3)와 세탁겸 탈수조(18) 각각의 회전 관성 모멘트를 이용하고 있다. 즉, 탈수공정으로 이행하기 위해 클러치를 맞물리게 할 때, 우선, 플런저(11)를 내려서 전동기(1)에 단시간 통전한 후, 클러치핀(13)과 클러치판(16)에 마련되어 있는 결합 오목부(15)를 끼워맞추고, 그 후, 클러치의 위치 검출을 행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방식의 핀클러치 구조에서는, 클러치의 전환을 용이한 것으로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클러치핀(13)과 결합 오목부(15)와의 결합부의 회전방향의 갭을 크게 확보하고, 전동기(1)의 회전속도를 인버터 또는 위상 제어 등에 의해 저속도 제어하여 접속하고 있다.
클러치핀(13)과 결합 오목부(15)와의 결합부의 회전방향의 갭을 크게 하면, 클러치 맞물림 부분의 회전방향의 헐거움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 변동시의 충격음도 커져서, 최근, 요구되고 있는 정음화(靜音化)에 따를 수 없다.
이러한 불합리함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결합부의 회전방향의 헐거움을 적게 하면 좋지만, 이와 같이 하면, 현재의 인버터 또는 위상 제어 등에 의해 전동기를 저속도 제어를 행하는 방법에서는, 속도가 빨라서, 결합부가 맞물리지 않고 튀어 넘어감이 발생하고, 결합부가 파손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전동기에 펄스 모터를 사용하면, 초저속도로 회전할 수 있지만, 코스트면에서 높아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예의 불합리함을 해소하고, 클러치 전환시 전동기의 회전속도를 펄스 모터를 사용하는 일 없이, 초저속도로 할 수 있어서 클러치의 결합부의 갭을 적게 하더라도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고, 전환시에 큰 충격음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서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세탁겸 탈수조에 접속되는 탈수축을 클러치장치를 통해 세탁축에 연결하고, 상기 클러치장치는, 탈수축에 고정장착되어 전자 코일에 의해 흡인 또는 반발되는 플런저에 마련된 클러치핀을, 전동기의 세탁축에 고정장착한 클러치판에 결합 분리가 자유롭게 조합하고, 세탁모드와 탈수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한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세탁모드와 탈수모드로의 전환시에는, 상기 전동기를 기동시킨 후, 전원을 차단하고, 그 후의 관성회전에 의한 세탁축의 회전수가 소정치에까지 감속하였으면, 전자 코일에 통전하고, 클러치판에 클러치핀을 접속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로써, 저속 제어할 수 없는 교류단상 전동기를 펄스 모터와 같이 기능시킬 수 있어서, 클러치의 결합부의 갭을 적게 하더라도 튀어 넘어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맞물리게 할 때의 충격음도 저감할 수 있고, 결합부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클러치판에 클러치핀을 접속, 해제하는 조작을 행한 후, 전동기에 일정시간 통전하고, 이 사이에 계측되는 펄스 수에 의해 클러치장치가 세탁모드와 탈수모드중 어느 측으로 전환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클러치가 맞물려서 세탁축에 탈수축이 연결되어 있는 탈수모드에서는, 세탁축에 탈수축의 부하가 가해지기 때문에, 회전속도(가속도)가 늦게 되어 펄스 수가 적어지지만, 클러치가 끊어져 세탁축에 탈수축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세탁모드에서는, 세탁축에는 탈수축의 부하가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회전속도(가속도)가 빠르게 되어 펄스 수가 많아진다.
따라서 이 가속도(펄스 수)의 차이를 검출하면, 세탁축에 탈수축이 연결되어 있는지, 즉 클러치가 세탁모드와 탈수모드중 어느 측으로 전환되고 있는지를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관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클러치의 접속 제어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서, 본 발명의 클러치 구조가 실시되는 일조식 세탁기의 구성은 도 5에 도시하고, 또한 클러치 구조의 전체의 기본 구성은 도 3에 도시하는 것으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기 때문에,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클러치장치(8)도, 도 4, 도 5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유성기어에 의한 감속기구(22)의 하부에 조합되고, 전자 코일과 플런저에 의해 클러치 전환을 행하는 핀클러치 구조로 하는 것이지만, 전동기(1)에는 예를 들면 유도전동기를 사용하고, 그 구동축인 세탁축(2)의 선단에 회전날개(3)를 고정나사(4)에 의해 고정하고, 세탁축(2)의 베이스부분인 주축 아래의 베이스부에 클러치판(16)을 압입에 의해 고정장착한다. 이 클러치판(16)에는 도 6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를 맞물리게 하기 위한 결합 오목부(15)를 마련하였다.
베어링에 의해 탈수축(17)을 구동축인 세탁축(2)의 외측에서 동축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마련하고, 해당 탈수축(17)의 선단에 세탁겸 탈수조(18)를 고정너트(19)로 고정하고, 베이스부에 클러치로서 기능하는 원통 형상의 영구자석(12)을 주위에 동시 성형한 수지제의 플런저(11)를 세레이션(serration) 가공에 의해 끼워맞추어 고정한다.
이 플런저(11)는 클러치판(16)의 윗쪽에 상하운동(화살표방향)이 자유롭게 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 오목부(15)에 대응하는 개소에 위치시켜 결합돌기인 클러치핀(13)을 아래쪽을 향해 돌출 설치하였다. 이 경우, 결합 오목부(15)와 클러치핀(13)과의 결합의 갭은 적게 하여, 헐거움이 없도록 형성하였다.
플런저(11)의 외측에서 영구자석(12)에 대향하는 위치에 요크(10)에 장착한 전자 코일(9)을 설치하고, 이들 플런저(11), 전자 코일(9)의 주위를 클러치 케이스(8a)로 덮는다. 이로써, 플런저(11)는 전자 코일(9)의 여자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영구자석(12)과 요크(10)와의 사이에 흡인. 반발하여, 상하(화살표방향)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면중 14는, 누름스프링을 도시하며 전자 코일(9)로의 통전을 차단한 후, 클러치판(16)에 플런저(11)를 접속시키는 역할을 갖는다.
또한 세탁축(2)의 하단에는 전동기(1)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원반 형상의 영구자석(5)을 고정나사(6)에 의해 고정하였다. 도면중 7은 속도 검출용의 홀 소자로서, 전동기(1)의 브래킷에 부착되고, 전동기(1)가 1회전하면 18개의 펄스가 발생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펄스 사이의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회전속도를 검출하고, 펄스 수를 카운트 함으로써 회전 각도를 계측하도록 구성하였다.
다음에 클러치의 접속 제어동작을 도 1의 플로우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세탁행정이 종료하고, 탈수행정으로 이행하면 제어부 장치에 의해서 초기 설정부에서 접속 미스 카운터(N), 펄스 카운터(P), 속도 검출기(S), 탈수 타이머(T1), 계측용의 타이머(T2)가 각각 0으로 초기화 된다(스텝 100).
다음에 클러치의 접속상태를 체크하는 접속 미스 카운터(N)를 세트하고 (스텝 101), 전동기(1)에 통전하여 기동시킨다(스텝 102).
이어서 계측용의 타이머(T2)를 세트하고(스텝 103), 통전시간을 계측한다.
이 계측은, O.1초마다 T2에 가산하는 것으로 하고(스텝 104), 시간 판정부에서 T2 = 1(초)가 되고(스텝 105), 기동 후, 1초가 경과하면, 계측용의 타이머(T2)를 리셋하고(스텝 106) 전동기(1)에의 통전을 차단한다(스텝 107). 이로써, 이후, 전동기(1)는 관성회전하게 된다.
다음에 이 관성회전의 회전수를 홀 소자(7)에 의한 속도 검출기(S)에서 검출하는 데, 우선, 속도 검출기(S)를 세트하고(스텝 108), 펄스 사이의 간격에 의해 전동기(1)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고(스텝 109), 속도 판정부에서 판정되는 회전속도가 예를 들면 S<15Orpm이며, 소정의 저속치에 달하였다고 판단되면(스텝 110), 속도 검출기(S)를 리셋하고(스텝 111), 클러치용의 전자 코일(9)에 통전한다(스텝 112).
이로써, 플런저(11)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의 영구자석(12)과 요크(10)의 양단에 발생하는 자계가 반발 자계로 되고, 플런저(11)는 누름스프링(14)의 탄력에 저항하여 아래쪽으로 이동되고, 클러치핀(13)이 저속회전하고 있는 클러치판(16)의 결합 오목부(15)와 맞물려지며, 클러치 접속동작이 시작된다.
다음에, 계측용의 타이머(T2)를 세트하고(스텝 113), 0.1초마다 T2에 1을 가산하고(스텝 114), 시간 계측 판정부에서 T2 = 1(초)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스텝 115), 계측용의 타이머(T2)를 리셋하고(스텝 116), 전자 코일(9)에의 통전을 차단하여 클러치를 오프 한다(스텝 117).
이러한 클러치 접속동작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동기(1), 즉 그 세탁축(2)에 고정장착된 클러치판(16)이 15Orpm 이하의 초저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사이에 행하여지기 때문에, 결합 오목부(15)와 클러치핀(13)이 확실하게 끼워맞추어지고, 세탁축(2)에 탈수축(17)이 접속된다. 따라서 탈수모드로 된다.
그리고 결합 오목부(15)와 클러치핀(13)과의 사이에는 갭이 적고 헐거움이 없기 대문에, 결합에 의한 접속을 할 때 발생하는 충격음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갭이 적더라도 전동기(1)는 초저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펄스 모터와 같이 작용시킬 수 있어, 튀어넘어가는 일 없이 확실하게 끼워맞출 수 있다. 더구나, 이러한 초저속도는, 전동기(1)로의 통전을 차단한 후의 회전수가 확실하게 떨어져 가는 관성회전에 의해 얻도록 하였기 때문에, 확실성이 높은 것이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결합 오목부(15)와 클러치핀(13)이 끼워맞추어져 클러치가 탈수측으로 전환된 것의 체크를 행한다. 그를 위해서는, 우선, 전동기(1)에 통전하고(스텝 118), 펄스 카운터(P)와 계측용의 타이머(T2)를 세트하고(스텝 119), (스텝 120), 시간과 펄스 수를 카운트한다(스텝 121), (스텝 122).
계측용의 타이머(T2)에서는 O.1초마다 T2에 가산하고, 계측시간 판정부에서 T2 = 2(초)로 되었다고 판단되면(스텝 123), 계측용의 타이머(T2)를 리셋하는(스텝 124) 동시에, 전동기(1)에의 통전을 차단한다(스텝 125).
그리고 이 2초간의 시간 내에 카운트된 펄스 수가 P < 3이라고 펄스 판정부에서 판정되면(스텝 126), 클러치가 탈수모드로 설정되었다고 판단한다. 이것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가 탈수측에 접속되어 있을 때는, 전동기(1)의 세탁축(2)에 탈수축(17)이 접속됨으로써 전동기(1)에 부하가 가해지고, 회전 시작의 가속도가 늦어지기 때문에, 세탁축(2)에 탈수축(17)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세탁모드의 경우에 비교하여 검출되는 펄스 수가 적은 것에 의한다.
따라서 탈수운전의 준비가 완료되어, 펄스 카운터(P)를 리셋하고(스텝 127), 탈수 타이머(T1)(1분)를 세트하고(스텝 128), 전동기(1)에 통전하여(스텝 129) 탈수운전을 시작된다.
탈수운전 시작 후, 탈수 타이머(T1)는 1분마다 가산되고(스텝 130), 탈수행정이 진행하여 탈수시간 판정부에서 T1 = 5(분)이라고 판단되어 설정된 탈수시간에 달하면(스텝 131), 전동기(1)에의 통전을 차단하여 탈수행정이 종료된다(스텝 132)(133).
그런데 클러치가 탈수측으로 전환되지 않은 경우는, 세탁축(2)에는 탈수축(17)이 접속되어 있지 않고 부하가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가속도가 크고, (스텝 126)에서 카운트되는 펄스 수가 P > 3으로 되기 때문에, 접속 미스 카운터(N)에 1을 가산하고(스텝 134), 접속 미스회수 판정부에서 판정되는 접속 미스회수가 5회에 달하지 않는 동안은(스텝 135), (스텝 102)으로 되돌아가, 상기한 클러치 접속동작을 반복 행한다.
그런데 접속에 불량이 있는 등으로 하여 접속 미스회수 판정부에서 판정되는 접속 미스회수가 5회가 되면(스텝 135), 장치에 어떠한 고장이 있다고 판단하여 접속 미스 카운터(N)를 리셋하고(스텝 136), 접속 미스를 표시하고(스텝 137) 운전을 중지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은, 첫째, 세탁겸 탈수조에 접속되는 탈수축을 클러치장치를 통해 세탁축에 연결하고, 상기 클러치장치는, 탈수축에 고정장착되어 전자 코일에 의해 흡인 또는 반발되는 플런저에 마련된 클러치핀을, 전동기의 구동축인 세탁축에 고정장착한 클러치판에 결합 분리가 자유롭게 조합하여, 세탁모드와 탈수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한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세탁모드와 탈수모드와의 전환시에는, 상기 전동기를 기동시킨 후, 전원을 차단하고, 그 후의 관성회전에 의한 세탁축의 회전수가 소정치에까지 감속하였으면, 전자 코일에 통전하여, 클러치판에 클러치핀을 접속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로써, 저속 제어할 수 없는 교류단상전동기를 펄스 모터와 같이 기능시킬 수 있어, 클러치의 결합부의 갭을 적게 하더라도 튀어넘어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맞물리게 할 때의 충격음도 저감할 수 있고, 결합부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클러치판에 클러치핀을 접속, 해제하는 조작을 행한 후, 전동기에 일정시간 통전하고, 이 사이에 계측되는 펄스 수에 의해 클러치장치가 세탁모드와 탈수모드중 어느 측으로 전환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클러치가 맞물려서 세탁축에 탈수축이 연결되어 있는 탈수모드에서는, 세탁축으로 탈수축의 부하가 가해지기 때문에, 회전속도(가속도)가 늦게 되어 펄스 수가 매달아 지지만, 클러치가 끊어져 세탁축에 탈수축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세탁모드에서는, 세탁축으로는 탈수축의 부하가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회전속도(가속도)가 빠르게 되어 펄스 수가 많아진다.
따라서 이 가속도(펄스 수)의 차이를 검출하면, 세탁축에 탈수축이 연결되어 있는지, 즉 클러치가 세탁모드와 탈수모드중 어느 측으로 전환되고 있는지를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의 클러치 접속 제어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의 클러치 접속시의 펄스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이 실시되는 세탁기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이 실시되는 클러치장치의 종단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이 실시되는 클러치장치의 주요부 종단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이 실시되는 클러치장치의 주요부인 클러치판 부분의 횡단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동기 2 : 세탁축(구동축)
3 : 회전날개 4, 6 : 고정나사
5, 12 : 영구자석 7 : 홀 소자
8 : 클러치장치 8a : 클러치 케이스
9 : 전자 코일 10 : 요크
11 : 플런저 13 : 클러치핀(결합돌기)
14 : 누름스프링 15 : 결합 오목부
16 : 클러치판 17 : 탈수축
18 : 세탁겸 탈수조 19 : 고정너트
20 : 바깥상자 21 : 수조
22 : 감속기구

Claims (2)

  1. 세탁겸 탈수조에 접속되는 탈수축을 클러치장치를 통해 세탁축에 연결하고, 상기 클러치장치는, 탈수축에 고정장착되어 전자 코일에 의해 흡인 또는 반발되는 플런저에 마련된 클러치핀을, 전동기의 구동축인 세탁축에 고정장착한 클러치판에 결합 분리가 자유롭게 조합하고, 세탁모드와 탈수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한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동기를 유도전동기로 하고 세탁모드에서 탈수모드로의 전환시에는, 상기 전동기를 기동시킨 후 전원을 차단하고, 그 후의 관성회전에 의한 세탁축의 회전수가 상기 전동기의 통전 회전에서는 얻어지지 않는 소정치까지 감속하였을 때, 전자 코일에 통전되어 클러치판의 결합오목부에 결합돌기인 클러치핀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클러치판에 클러치핀을 접속, 해제하는 조작을 행한 후, 전동기에 일정시간 통전하고, 이 사이에 계측되는 펄스 수에 의해 클러치장치가 세탁모드와 탈수모드중 어느 측으로 전환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
KR10-2002-0053301A 2002-03-28 2002-09-04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 KR100487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90938 2002-03-28
JP2002090938A JP2003284894A (ja) 2002-03-28 2002-03-28 一槽式洗濯機のクラッチ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598A KR20030078598A (ko) 2003-10-08
KR100487399B1 true KR100487399B1 (ko) 2005-05-03

Family

ID=28786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301A KR100487399B1 (ko) 2002-03-28 2002-09-04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284894A (ko)
KR (1) KR100487399B1 (ko)
CN (1) CN121045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1428B2 (en) * 2006-08-01 2012-04-1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de shifter in a washing machine from a motor controller
US8046855B2 (en) 2007-08-07 2011-11-0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dundancy in monitoring the lid switch and basket of a washing machine
CN102296439B (zh) * 2010-10-13 2016-01-13 海尔集团公司 直驱双动力全自动洗衣机
CN102560968B (zh) * 2012-02-23 2014-01-01 刘富春 洗衣机及其工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3478A (ja) * 1991-11-07 1993-05-21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機のクラツチ切換方法
KR960005804B1 (ko) * 1991-02-28 1996-05-01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세탁기
KR20020085192A (ko) * 2001-05-07 2002-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클러치 구동 방법
KR20030008636A (ko) * 2001-07-19 2003-0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세탁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804B1 (ko) * 1991-02-28 1996-05-01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세탁기
JPH05123478A (ja) * 1991-11-07 1993-05-21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機のクラツチ切換方法
KR20020085192A (ko) * 2001-05-07 2002-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클러치 구동 방법
KR20030008636A (ko) * 2001-07-19 2003-0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세탁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84894A (ja) 2003-10-07
CN1448575A (zh) 2003-10-15
KR20030078598A (ko) 2003-10-08
CN1210453C (zh)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33025A1 (zh) 电子膨胀阀、控制系统以及控制方法
JP4741690B2 (ja) 洗濯機のクラッチ誤動作感知装置及び感知方法
KR100598570B1 (ko) 드럼식 세탁기
KR100545967B1 (ko) 전기 세탁기의 교반 장치
JP2012090831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1162087A (ja) 洗濯機
KR100487399B1 (ko)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
KR100521525B1 (ko) 세탁기의 뚜껑 잠금장치
EP15656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power transmission mode of washing machine
JP2008079884A (ja) 脱水兼用洗濯機
KR100476962B1 (ko) 1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
JP6062152B2 (ja) 脱水兼用洗濯機
KR0149467B1 (ko) 세탁기
JP3493120B2 (ja) 洗濯機
KR100487402B1 (ko)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
JP3622717B2 (ja) 洗濯機
JP3388872B2 (ja) 洗濯機
JP3107430B2 (ja) 洗濯機の制動制御方法
JP2008307413A (ja) 洗濯機
JPH05123478A (ja) 洗濯機のクラツチ切換方法
KR950007851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 제어장치
JP2001178990A (ja) 洗濯機
JP2014054282A (ja) 洗濯機
JP2003181192A (ja) 一槽式洗濯機のクラッチ制御方法
JP2006094923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