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766B1 -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766B1
KR100594766B1 KR1020050067151A KR20050067151A KR100594766B1 KR 100594766 B1 KR100594766 B1 KR 100594766B1 KR 1020050067151 A KR1020050067151 A KR 1020050067151A KR 20050067151 A KR20050067151 A KR 20050067151A KR 100594766 B1 KR100594766 B1 KR 100594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gnal
module
outpu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6727A (ko
Inventor
유이치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6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data-bus transmiss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2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ho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용, 출력용 단말기의 기능을 동시에 아울러 갖는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고, 장착 스페이스의 스페이스 절약화가 도모되며,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 시스템 설계나 변경을 유연하게 행할 수 있는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말회로부(14)는 장착부(12)를 통해서 보내어져 오는 식별신호에 기초하여 장착부(12)에 장착된 단말모듈(13)이 입력모듈(13A)인지 출력모듈(13B)인지를 판단하는 기능과, 입력모듈(13A)이 장착된 장착부(1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감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입력단말 기능과, 출력모듈(13B)이 장착된 장착부(12)에 대응한 어드레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신호가 신호 송수신부(15)에서 수신되면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부(18)를 제어하고, 구동부(18)로부터의 출력전압에 의해서 출력모듈(13B) 내의 릴레이를 구동하는 출력단말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용 단말기{TERMINAL DEVICE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도 1은 일실시형태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2는 일실시형태의 일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부분은 입력모듈을 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배면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b)부분은 입력모듈을 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c)부분은 하나의 입력모듈을 장착한 상태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실시형태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부분은 출력모듈을 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배면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b)부분은 출력모듈을 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c)부분은 4개의 출력모듈을 장착한 상태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의 (a)부분은 입력모듈을 장착한 상태의 일실시형태의 주요부의 회로도, (b)부분은 출력모듈을 장착한 상태의 일실시형태의 주요부의 회로도이다.
도 5는 종래예의 단말기를 사용한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원격제어시스템에 이용되는 전송신호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TU : 단말기 Va, Vb : 직류전압
2 : 신호선 10 : 공용회로부
11 : 장착대 12 : 장착부
13 : 단말모듈 14 : 단말회로부
15 : 신호 송수신부 16 : 광신호 수신부
17 : 어드레스 기억용 메모리 18 : 구동부
22 : 신호 송수신부
본 발명은, 조명부하 등의 부하의 원격감시 제어를 행하는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에 이용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으로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이 종래 제공되고 있다.
이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은, 2선식의 신호선(2)에 전송유닛(3)과, 조작스위치(SW1…)의 상태를 감시하는 입력용 단말기(4)나 신호원(SG)의 상태를 받아들이는 입력용 단말기(4')와, 릴레이(Ry)의 릴레이 접점에 의해 조명기구와 같은 부하(1)를 제어하는 출력용 단말기(5)는 기본적인 구성요소로서 이용되고, 출력용 단말기(5)에 제어되는 릴레이(Ry)의 릴레이 접점(도시생략)을 통해서 부하(1)를 전원(도시생략)에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Tr은 릴레이(Ry) 구동용의 전원 변압기이다.
이와 같은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에서는, 전송유닛(3)으로부터 도 6(a)에 나타내는 형식을 갖는 전송신호(Vs)를 송출함으로써, 각 단말기(4, 4', 5)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주고받음을 행한다. 즉, 전송신호(Vs)는 신호의 송출개시를 나타내는 스타트 펄스(ST), 신호의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데이터(MD), 각 단말기(4, 4', 5)를 개별로 인식하기 위한 어드레스 데이터(AD), 부하(1)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제어데이터(CD), 전송오류를 검출하는 체크섬(checksum) 데이터와 같은 에러 정정부호(CS), 각 단말기(4, 4', 5)로부터 반송신호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대기기간(WT)으로 이루어지는 복극성(±24V)의 시분할 다중신호이고, 펄스폭 변조에 의해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
각 단말기(4, 4', 5)에서는, 2선식의 신호선(2)을 통해서 수신된 전송신호(Vs)의 어드레스 데이터(AD)에 포함되는 어드레스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자기 어드레스와 일치하였을 때에, 그 전송신호(Vs)의 제어데이터(CD)를 받아들임과 아울러, 전송신호(Vs)의 반송 대기기간(WT)에 동기하여 반송신호를 전류모드신호(신호선(2)의 선간을 적당한 저임피던스를 통해서 단락하여 송출되는 신호)로서 반송한다.
입력용 단말기(4 혹은 4')에서는 조작스위치(SW1)의 조작 혹은 신호원(SG)의 상태변화가 있으면, 도 6(b)에 나타내는 통상시에 전송되어 오는 전송신호(Vs)의 스타트 펄스(ST)의 수신기간에 인터럽트신호(interrupt signal)(Vi)를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류모드에 의해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전송유닛(3)은 신호송신수단과 인터럽트 처리수단이 설치되고, 신호 송신수단에 의해 모드 데이터(MD)를 폴링모드로서 상시 감시하는 대상의 단말기 혹은 더미의 어드레스 데이터 (AD)를 갖는 전송신호(Vs)를 상시 송출하고 있고, 이 모드의 전송신호(Vs)의 스타트 펄스(ST)에 동기하여 입력용 단말기(4 혹은 4')로부터 조작스위치(SW1…)의 조작 혹은 신호원(SG)의 변화에 대응하여 송출되는 인터럽트신호(Vi)가 수신되면, 인터럽트 처리수단에서는 입력용 단말기(4 혹은 4')를 그룹단위로 식별하는 그룹 어드레스를 갖는 전송신호(Vs)를 순차 송신하고, 인터럽트신호(Vi)를 송신한 입력용 단말기(4 혹은 4')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인터럽트신호(Vi)를 송출한 입력용 단말기(4 혹은 4')는 자기가 속하는 그룹 어드레스의 액세스시에 자기 어드레스를 반송 대기기간(WT)에 반송신호로서 반송하고, 이 반송신호를 수신한 전송유닛(3)에서는 보내어져 온 어드레스 데이터로 인터럽트신호(Vi)를 송출한 입력용 단말기(4 혹은 4')를 검출하면, 상기 입력용 단말기(4 혹은 4')를 액세스하는 전송신호(Vs)를 송출하여 상기 입력용 단말기(4 혹은 4')로부터 반송 대기기간(WT)에 조작스위치(SW1…)의 조작데이터 혹은 신호원(SG)의 상태를 감시데이터로서 반송신호에 의해 반송시킨다.
전송유닛(3)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일련의 인터럽트 처리를 거쳐, 상기 입력용 단말기(4 혹은 4')에 대응됨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출력용 단말기(5)에의 제어데이터(CD)를 감시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하여 상기 출력용 단말기(5)의 어드레스 데이터(AD)와 함께 전송신호(Vs)에 의해 시분할 다중전송한다. 이 전송신호(Vs)에 의해 액세스된 출력용 단말기(5)는 릴레이(Ry)를 제어구동하여 그 릴레이 접점에 의해 부하(1)를 온/오프한다.
이와 같이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에서는 입력용 단말기(4 혹은 4')의 조작스위 치(SW1…) 혹은 신호원(SG)의 상태에서 대응되어 있는 출력용 단말기(5)에 의해 릴레이(Ry)를 통해서 부하(1)를 온/오프할 수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평10-98782호 공보(단락번호 0009, 도 1)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0-278777호 공보(단락번호 0045∼0048, 도 1)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제3069368호 공보(도 1)
그런데, 이러한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에 이용되는 입력용 단말기(4')로서는 신호원(SG)으로서 무전압 접점을 접속하는 단말기(예를 들면 특허문헌 1)나 열선센서를 접속하는 단말기(예를 들면 특허문헌 2)가 있는 한편, 출력용 단말기(5)에는 리모콘 릴레이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단말기(특허문헌 3)가 있고, 각각의 역할에 따른 전용단말기가 개개로 제공되도록 되어 있었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레이(Ry)를 외부장착하는 출력용 단말기(5)에서는, 릴레이(Ry)와 단말기(5)를 각각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고,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전반(6) 내에 배치하는 경우, 한정된 분전반(6) 내의 스페이스의 유효사용에 대해서는 불리하였다.
또한 제조측에서는 각각의 단말기를 개개로 제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단말기의 제조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고, 또 시스템 변경 등에 따라 단말기를 교체하는 경우, 불필요하게 된 단말기를 떼어내고, 새롭게 대응하는 기능의 단말기를 접속하거나 할 필요가 있어, 시스템 변경 등의 비용도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 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입력용, 출력용의 단말기의 기능을 동시에 아울러 갖는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고, 부착 스페이스의 스페이스 절약화가 도모되며,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시스템 설계나 변경을 유연하게 행할 수 있는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를 신호선에 의해 접속하고, 신호선을 통해서 단말기를 불러내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신호를 송신함과 아울러, 상기 전송신호에 설정되는 반송 대기기간에 단말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감시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감시데이터를 송신한 단말기에 대응되어 있는 단말기를 불러내는 어드레스 데이터 및 작성한 제어데이터를 전송신호에 의해 송출하는 전송유닛을 구비한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에 이용되고, 부하제어용의 릴레이를 구비한 출력모듈이나, 감시대상의 신호원으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이는 입력모듈로 이루어지는 단말모듈을 착탈가능하게 각각 장착하는 복수의 장착부와, 상기 전송신호를 수신함과 아울러, 상기 전송신호의 반송 대기기간에 동기하여 감시데이터를 반송신호에 의해 상기 송신하는 신호 송수신부와, 단말기 고유로 또한 각 장착부를 식별하는 상기 어드레스가 외부로부터의 광신호에 의해 설정되는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어드레스 설정부와, 각 장착부를 통해서 보내어져 오는 장착모듈로부터의 식별신호에 기초하여 장착부 에 장착된 단말모듈이 입력모듈인지 출력모듈인지를 판단하는 기능과, 입력모듈이 장착된 장착부로부터 입력모듈이 받아들인 신호에 기초하여 감시데이터를 작성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서 상기 반송신호를 송출시키는 입력단말 기능과, 출력모듈이 장착된 장착부에 대응한 설정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신호가 상기 신호 송수신부에서 수신되면 상기 전송신호에 포함되는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부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구동부를 제어하고, 그 구동부로부터의 출력전압에 의해서 출력모듈 내의 릴레이를 구동하는 출력단말 기능을 구비한 단말회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장착부에 장착되는 모듈을 입력모듈로 할지, 출력모듈로 할지에 의해, 입출력 양용의 단말기를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신호 송수신부나 단말회로부를 공통화함으로써 전용의 입력용 단말기, 출력용 단말기를 각각 제조하는 비용에 비해서 저렴하게 되며, 또한 전용의 입력용 단말기나 출력용 단말기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부착스페이스가 작아져서 부착스페이스가 한정되어 있는 분전반 등에 장착하는 경우에 스페이스 절약화가 도모되고, 또한 단말모듈로 출력용이나 입력용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을 유연하게 설계 및 변경할 수 있고, 또 시스템 변경시에는 단말모듈의 교환만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변경시의 비용도 저렴하게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신호원이 무전압 접점인 입력모듈을 장착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무전압 접점을 신호원으로 하는 입력용 단말기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신호원이 열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열선센서를 이용한 인체검지용 단말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고, 본 실시형태의 단말기(TU)는 공용회로부(10)와, 후술하는 장착대(11)에 설치한 장착부(12…)를 통해서 각각 따로 접속되는 외부장착의 단말모듈(13)로 구성되고, 단말모듈(13)에는 후술하는 무전압 접점의 온/오프 신호나 신호원의 상태신호를 받아들이는 입력모듈(13A)과 부하제어용 릴레이를 구비한 출력모듈(13B)이 있고, 이들 모듈(13A, 13B)을 혼재시킴으로써 입/출력 양용 단말기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공용회로부(10)는, 단말기 전체의 신호처리와 제어처리를 행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단말회로부(14)와, 신호선(2)에 접속되어 도 6에서 나타내는 복극의 베이스 밴드로 이루어지는 전송신호(Vs)를 수신하여 전송신호(Vs)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데이터(AD) 및 제어데이터(CD)를 단말회로부(14)로 보냄과 아울러 단말회로부(14)로부터 출력되는 감시데이터를 전송신호(Vs)에 설정되는 반송 대기기간(WT)에 있어서 전류모드의 반송신호를 신호선(2) 상으로 송출하는 신호 송수신 기능에 추가하여, 복극의 전송신호(Vs)를 정류하여 직류전압(Va 및 Vb)을 얻어 공용회로부(10) 내의 동작용 전원으로서 공급하는 전원기능을 구비한 신호 송수신부(15)와, 외부의 어드레스 설정기(도시생략)로부터 광신호(X)에 의해 어드레스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말회로부(14)로 보내는 광신호 수신부(16)와, 이 광신호 수신부(16)에서 수신된 어드레스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상기 단말기(TU)의 어드레스 데이터를 단말회로부(14)의 제어하에서 소거가능하게 기입되는 EEPROM으로 이루어지는 어드레스 기억용 메모리(17)와, 각 장착부(12)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출력포트(O1, O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출력단에 발생시키는 전압극성의 방향을 제어하는 구동부(18)로 구성된다.
여기서 단말기(TU)의 고유의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어드레스 설정부는, 광신호 수신부(16), 단말회로부(14)의 설정기능 및 어드레스 기억용 메모리(17)로 구성되고, 장착부(12)마다 어드레스를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시스템으로서 입력용, 출력용의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어드레스 범위로부터 소정의 어드레스를 장착되는 단말모듈(13)의 종별로 대응하여 설정함으로써, 각 장착부(12)에 장착되는 단말모듈(13)의 종별에 따른 어드레스를 각 장착부(12)에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단말기(TU)의 본체(19)는, 합성수지 성형품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도 2(a) 혹은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관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배면에는 상술의 장착대(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장착대(11)는 길이방향으로 칸막이벽으로 구획된 4개의 오목평면부(20…)를 형성함과 아울러, 각 오목평면부(20)의 편측에는 5개의 접속단자부(211∼215)를 설치하고 있다. 상술의 장착부(12)는 오목평면부(20) 및 5개의 접속단자부(211∼215)로 구성되는 것으로, 1대의 단말기(TU)에는 4개 설치되어 있다. 즉 4대의 단말모듈(13)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체(19)의 정면의 편측 상부에는 도 2(b) 혹은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신호선(2)을 접속하기 위한 한쌍의 신호단자(21)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체(19)의 상면 중앙부에는 광신호 수신부(16)의 수광부(16a)를 설치하고 있다.
접속단자부(211, 212)는, 구동부(18)의 한쌍의 출력단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을 단말모듈(13)측으로 출력하기 위한 것이고, 접속단자부(213)는 단말모듈(13)측에 설치되는 보조접점이나 감시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릴레이 접점의 일단을 각 장착부(12)에 대응하여 설치한 단말회로부(14)의 감시 입력포트(I1)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접속단자부(214)는 단말모듈(13)측의 보조접점이나 릴레이 접점의 타단을 본체(19) 내에서 그라운드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또 접속단자부(215)는 장착부(12)에 장착된 단말모듈(13)의 종별을 검지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회로부(14)의 존재 검지포트(I2)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들 접속단자부(211∼215)는 오목평면부(20)에 단부를 끼워맞춘 단말모듈(13)측의 접속단자(311∼315)의 플러그날을 삽입/이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받침날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a), (b)는 하나의 장착부(12)에 단말모듈(13)을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구체 회로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부(18)는, 출력포트(O1, O2)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된 2세트의 전압극성 전환회로로 이루어지고, 각 전압극성 전압회로는 직류전압(Va)과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NPN형 트랜지스터(Q11 또는 Q12)와 PNP형 트랜지스터(Q21 또는 Q22)의 직렬회로와, 직류전압(Va)과 그라운드 사이에 저항(R11 또는 R21)을 통해서 접속된 NPN형의 트랜지스터(Q31 또는 Q32)를 구비하고, 트랜지스터(Q11 또는 Q12)의 베이스 또는 트랜지스터(Q21 또는 Q22)의 베이스를 저항(R12 또는 R22)을 통해서 트랜지스터(Q31 또는 Q32)의 콜렉터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31 또는 Q32)의 베이스를 저항(R13 또는 R23)을 통해서 출력포트(O1 또는 O2)에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한쪽의 전압극성 전환회로의 트랜지스터(Q11 또는 Q12)의 에미터를 접속단자부(211)에 접속하는 출력단으로 하고, 다른쪽의 전압극성 전환회로의 트랜지스터(Q21 또는 Q22)의 에미터를 접속단자부(212)에 접속하는 출력단으로 하고 있다. 또한 양 출력단 사이에는 전압을 클립하기 위한 정전압소자(ZD)를 접속하고 있다.
여기에서 단말회로부(14)가 출력포트(O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L"레벨로, 출력포트(O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H"레벨로 하면, 트랜지스터(Q31)가 오프, 트랜지스터(Q32)가 온, 트랜지스터(Q11)가 온, 트랜지스터(Q12)가 오프, 트랜지스터(Q21)가 오프, 트랜지스터(Q22)가 온으로 되고, 직류전압(Va)이 트랜지스터(Q11)를 통해서 접속단자부(211)에 접속되고, 그라운드가 트랜지스터(Q22)를 통해서 접속단자부(212)에 접속되게 된다.
역으로 단말회로부(14)가 출력포트(O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H"레벨로, 출력포트(O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L"레벨로 하면, 트랜지스터(Q31)가 온, 트랜지스터(Q32)가 오프, 트랜지스터(Q11)가 오프, 트랜지스터(Q12)가 온, 트 랜지스터(Q21)가 온, 트랜지스터(Q22)가 오프상태로 되고, 직류전압(Va)이 트랜지스터(Q21)를 통해서 접속단자부(212)에, 그라운드가 트랜지스터(Q12)를 통해서 접속단자부(212)에 접속되게 된다.
즉 출력포트(Q1, Q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H" 또는 "L"로 설정함으로써, 접속단자부(211, 212)에 나타내어지는 전압극성을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단말회로부(14)의 감시 입력포트(I1)는 통상 직류전압(Vb)으로 풀업되고, 그라운드에 접속된 그라운드용 접속단자부(214)와, 감시 입력포트(I1)에 접속된 감시입력용 접속단자부(213)의 사이가 단말모듈(13) 내에서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H"레벨의 신호를, 단말모듈(13) 내에서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L"레벨의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단말회로부(14)의 존재 검지포트(I2)도 통상 직류전압(Vb)으로 풀업되고, 접속단자부(215)가 단말모듈 내에서 그라운드에 접속되는지의 여부에 의해 받아들이는 신호가 "H"나 "L"로 되고, 그 받아들이는 신호, 즉 식별신호에 의해 장착부(14)에 장착된 단말모듈(13)이 입력모듈(13A)인지 출력모듈(13B)인지를 단말회로부(14)가 판단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 4(a)에 나타내는 단말모듈(13)은 입력모듈(13A)이고, 이 입력모듈(13A)은 무전압 접점 혹은 신호원의 상태신호, 즉 검지출력에 연동하는 릴레이의 릴레이 접점(S)과, 릴레이 구동용의 전원부(30)를 구비하고 있고, 전원부(30)의 +측에는 접속단자부(211)에 접속하는 전원입력용의 접속단자(311), -단자에는 접속단자부(212)에 접속하는 전원입력용 접속단자(312)를 접속하고, 또 릴레이 접점(S) 의 일단에는 접속단자부(213)에 접속하는 신호용 접속단자(313)를, 타단에는 접속단자부(214)에 접속하는 그라운드용 접속단자(314)를 구비하고 있다. 또 존재검지용 접속단자부(215)에 대응하는 접속단자는 구비하고 있지 않다.
즉 입력모듈(13A)은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9)의 장착부(12)에 끼워맞추는 모듈 본체(32)의 전단부에 상기 단자(311∼314)에 대응하는 4개의 플러그날을 돌출하고 있고, 장착하고 싶은 장착부(12)의 접속단자부(211∼214)에 플러그날을 삽입 접속함으로써 본체(19)측의 공용회로부(10)에 접속되어 입력단말기를 구성한다.
또, 도 2는 열선센서의 센서를 신호원으로 하는 입력용 단말기나 외부의 무전압 접점을 신호원으로 하는 입력용 단말기를 구성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고, 모듈 본체(32)의 후단부에는 센서 혹은 무전압 접점 등의 신호원 출력을 접속하는 단자부(33)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입력모듈(13A)이 본체(19)의 어느 하나의 장착부(12)에 장착되면, 본체(19) 내의 단말회로부(14)는 대응하는 장착부(12)의 존재 검지포트(I2)가 "H"레벨로 된 것을 검지하고, 상기 장착부(12)에 장착된 단말모듈(13)이 입력모듈(13A)이라고 판단하고, 이 판단에 기초하여 입력단말 기능을 상기 장착부(12)에 할당하여 출력포트(O1)로부터 "L"레벨의 제어신호를, 또 출력포트(O2)로부터 "H"레벨의 제어신호를 고정출력하는 처리를 행하고, 이 처리에 의해 대응하는 구동부(18)의 출력전압의 극성을 접속단자부(211)가 +극, 접속단자부(212)가 -극으로 고정하고, 입력모듈(13A)의 전원부(30)에 구동부(18)를 통하여 직류전압(Va)으로 이루어지는 전원을 공급한다. 물론 상기 장착부(12)의 어드레스로서 입력용의 단말기에 대응하는 소정의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한편 도 4(b)에 나타내는 단말모듈(13)은 출력모듈(13B)이고, 이 출력모듈(13B)은 1권선의 래칭 릴레이를 내장하고, 그 주접점(도시생략)에서 부하를 온/오프하는 것으로, 래칭 릴레이의 여자코일(CL)의 일단에는 접속단자부(211)에 접속하는 전원입력용의 접속단자(311)를 접속하고, 타단에는 접속단자부(212)에 접속하는 전원입력용의 접속단자(312)를 구비하며, 또 주접점의 동작에 연동하여 주접점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보조접점(S')의 일단에는 접속단자부(213)에 접속하는 신호용의 접속단자(313)를, 타단에는 접속단자부(214)에 접속하는 그라운드용의 접속단자(3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접속단자부(215)에 대응하는 접속단자(315)를 구비하고, 이 접속단자(315)를 접속단자(314)에 모듈 내에서 접속하고 있다.
즉 출력모듈(13B)은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12)에 끼워맞추는 모듈 본체(32)의 단부에는 접속단자(311∼315)에 대응하는 5개의 플러그날을 돌출하고 있고, 장착하고 싶은 장착부(12)의 접속단자부(211∼215)에 플러그날을 삽입 접속함으로써 본체(19) 내의 공용회로부(10)에 접속되어 출력용 단말기를 구성한다. 또 모듈 본체(34)의 상면에는 내장한 래칭 릴레이의 상태를 수동으로 반전시키기 위한 수동용 핸들의 조작부(35)를 노출시키고 있다. 또 모듈 본체(34)의 후단부에는 주접점을 통하여 전원과 부하의 직렬회로를 접속하는 부하접속단자(36)와, 송출배선용 단자(37)를 각각 한쌍씩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본체(19)의 횡폭 치수는 분전반 협약치수에 대응하여 4P폭의 모듈로 되어 있다. 또 입력모듈(13A) 혹은 출력모듈(13B)을 장착부(12)에 장착한 상태(도 2(c), 도 3(c))에서는 본체(19)의 전단면에서 모듈 본체(34)의 후단까지의 길이가 분전반 협약치수에 대응하는 길이로 되도록 각각의 치수를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출력모듈(13B)이 장착되면, 공용회로부(10)의 단말회로부(14)는 대응하는 장착부(12)의 존재 검지포트(I2)가 "L"로 된 것으로부터, 상기 장착부(12)에 장착된 단말모듈(13)이 출력모듈(13B)이라고 판단하고, 출력포트(O1, O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전송유닛에서 설정된 어드레스 앞으로 보내어져 오는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출력단말 기능을 상기 장착부(12)에 대하여 할당하게 된다. 물론 상기 장착부(12)의 어드레스로서, 출력용의 단말기에 대응하는 소정의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또한, 도 2, 도 3에서는 단일종의 단말모듈(13)을 장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각각의 장착부(12)에 입력모듈(13A), 출력모듈(13B)을 혼재시켜서 접속하여도 좋고, 공용회로부(10)의 단말회로부(14)는 장착부(12)마다 장착된 단말모듈(13)의 종별로 대응한 단말 기능을 할당하여 대응하는 동작처리를 장착부(12)마다 행하는 모드를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에 본 실시형태의 단말기(TU)를 접속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현재 설정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데이터(AD)를 포함하는 전송신호(Vs)가 신호 송수신부(15)에서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TU)의 단말회로부(14)는 전송신호(Vs)에 포함되는 제어데이터(CD)를 받아들이고, 대응하는 어드레스의 장착부 (12)에 접속되어 있는 구동부(18)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포트(O1, O2)로부터 출력한다. 여기에서 단말회로부(14)는 상기 장착부(12)에 장착되어 있는 출력모듈(13B)에 설치된 래칭 릴레이의 주접점의 상태를 제어데이터(CD)가 나타내는 상태로 반전시키기 위하여, 대응하는 접속단자부(211, 212)의 출력전압 극성을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포트(O1, O2)로부터 출력시키는 출력단말 기능의 동작모드로 신호처리를 행한다. 또 말단회로부(14)는 보조접점(S')의 반전동작에 의해서 받아들인 래칭 릴레이의 동작상태에 대응한 감시데이터를 반송 대기기간(WT)에 있어서 반송신호로서 반송하는 처리를 행한다.
한쪽 장착부(12)에 장착되어 있는 입력모듈(13A)의 릴레이 접점(S)의 상태가 반전되면, 단말회로부(14)에서는 입력단말 기능의 동작모드로 처리를 행하고, 그 접점 정보를 종래의 입력용 단말기와 같은 인터럽트 처리를 거쳐 감시데이터로서 전송유닛(3)으로 보낸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호 송수신부(15), 단말회로부(14), 광신호 수신부(16), 어드레스 기억용 메모리(17), 구동부(18)를 공용회로부(10)로 하고, 각 장착부(12)에 장착되는 단말모듈(13)에 의해서 입력용, 출력용의 단말기를 복합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장착부에 장착하는 모듈을 입력모듈로 할지, 출력모듈로 할지에 의해, 입출력 양용의 단말기를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신호 송수신부나 단말 회로부를 공통화함으로써, 전용의 입력용 단말기, 출력용 단말기를 각각 따로 제조하는 비용에 비하여 저렴하게 되고, 또한 전용의 입력용 단말기나 출력용 단말기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부착스페이스가 작아져서 부착스페이스가 한정되어 있는 분전반 등에 장착하는 경우에 스페이스 절약화가 도모되고, 또한 단말모듈로 출력용이나 입력용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을 유연하게 설계 및 변경할 수 있고, 또 시스템 변경시에는 단말모듈의 교환만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변경시의 비용도 저렴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를 신호선에 의해 접속하고, 신호선을 통해서 단말기를 불러내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신호를 송신함과 아울러, 상기 전송신호에 설정되는 반송 대기기간에 단말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감시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감시데이터를 송신한 단말기에 대응되어 있는 단말기를 불러내는 어드레스 데이터 및 작성한 제어데이터를 전송신호에 의해 송출하는 전송유닛을 구비한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에 이용되고,
    부하제어용의 릴레이를 구비한 출력모듈이나, 감시대상의 신호원으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이는 입력모듈로 이루어지는 단말모듈을 착탈가능하게 각각 장착하는 복수의 장착부;
    상기 전송신호를 수신함과 아울러, 상기 전송신호의 반송 대기기간에 동기하여 감시데이터를 반송신호에 의해 송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단말기 고유로 또한 각 장착부를 식별하는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어드레스 설정부; 및
    각 장착부를 통해서 보내어져 오는 장착모듈로부터의 식별신호에 기초하여 장착부에 장착된 단말모듈이 입력모듈인지 출력모듈인지를 판단하는 기능과, 입력모듈이 장착된 장착부로부터 입력모듈이 받아들인 신호에 기초하여 감시데이터를 작성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서 상기 반송신호를 송출시키는 입력단말 기능과, 출력모듈이 장착된 장착부에 대응한 설정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어드레스 데이 터를 포함하는 전송신호가 상기 신호 송수신부에서 수신되면 상기 전송신호에 포함되는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부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구동부를 제어하고, 그 구동부로부터의 출력전압에 의해서 출력모듈 내의 릴레이를 구동하는 출력단말 기능을 구비한 단말회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신호원이 무전압 접점인 입력모듈을 장착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용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신호원이 열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용 단말기.
KR1020050067151A 2004-07-27 2005-07-25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용 단말기 KR100594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19311A JP3835467B2 (ja) 2004-07-27 2004-07-27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用端末器
JPJP-P-2004-00219311 2004-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727A KR20060046727A (ko) 2006-05-17
KR100594766B1 true KR100594766B1 (ko) 2006-07-03

Family

ID=3569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151A KR100594766B1 (ko) 2004-07-27 2005-07-25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용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022791A1 (ko)
JP (1) JP3835467B2 (ko)
KR (1) KR100594766B1 (ko)
CN (1) CN100403352C (ko)
CA (1) CA2512809A1 (ko)
TW (1) TWI3465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2541B2 (ja) * 2005-04-15 2007-09-26 松下電工株式会社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用設定器
JP4442503B2 (ja) * 2005-04-25 2010-03-3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操作スイッチ配線器具及びそれに用いるハンドル部材
JP4808118B2 (ja) * 2006-08-25 2011-11-02 株式会社 エニイワイヤ 入出力ターミナル
JP4996318B2 (ja) * 2007-04-24 2012-08-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CA2690585C (en) * 2009-01-21 2013-03-2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JP5250456B2 (ja) * 2009-03-10 2013-07-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機器システム及びカード型機器
TWI451768B (zh) * 2009-03-25 2014-09-01 Panasonic Corp 負載控制系統
CN103547018A (zh) * 2012-07-15 2014-01-29 黄如金 一种无需设置地址的灯光控制系统
JP6353709B2 (ja) * 2014-06-09 2018-07-04 矢崎総業株式会社 負荷制御用バックアップ信号発生回路
JP2018207195A (ja) * 2017-05-31 2018-12-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回路装置及び電子機器
CN107977332A (zh) * 2017-11-13 2018-05-01 浪潮金融信息技术有限公司 自助终端的输入输出控制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5661A (ja) * 1993-09-24 1995-04-07 Sony Corp 電子機器及びリモートコマンダー
JPH09198119A (ja) * 1996-01-23 1997-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操作ボード、リモートi/o通信制御方式
JP2003031377A (ja) 2001-07-16 2003-01-31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4991B2 (ja) * 1987-05-26 1996-06-05 松下電工株式会社 遠隔制御用端末器
JPH0198782A (ja) * 1987-10-08 1989-04-17 Tokyo Gas Co Ltd 弁装置
CA1338639C (en) * 1989-09-26 1996-10-08 Seiichi Kubo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TW299950U (en) * 1992-07-30 1997-03-01 Sharp Kk Communication means for an electrical device in a refrigerator
JPH11331890A (ja) * 1998-05-08 1999-11-30 Fujitsu Ltd 情報処理システム
JP3514160B2 (ja) * 1999-03-26 2004-03-31 松下電工株式会社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リレー端末器
CN2475234Y (zh) * 2001-04-17 2002-01-30 北京安控科技发展有限公司 通用型远程终端控制器
CN2522906Y (zh) * 2001-12-19 2002-11-27 北京安控科技发展有限公司 通用一体化远程测控终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5661A (ja) * 1993-09-24 1995-04-07 Sony Corp 電子機器及びリモートコマンダー
JPH09198119A (ja) * 1996-01-23 1997-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操作ボード、リモートi/o通信制御方式
JP2003031377A (ja) 2001-07-16 2003-01-31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03352C (zh) 2008-07-16
CA2512809A1 (en) 2006-01-27
CN1734518A (zh) 2006-02-15
US20060022791A1 (en) 2006-02-02
JP3835467B2 (ja) 2006-10-18
TWI346510B (en) 2011-08-01
JP2006041956A (ja) 2006-02-09
KR20060046727A (ko) 2006-05-17
TW200608815A (en) 200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4766B1 (ko)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용 단말기
KR20060049613A (ko) 원격제어 배선기구
JP4763580B2 (ja) 車載通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車載通信方法
EP3572737B1 (en) Air conditioner
KR20070105254A (ko)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제어 단말기
JP3195664B2 (ja) リモコンシステム
JP2006040874A (ja) リモコン配線器具
CN105191503B (zh) 用于控制具有多个子单元的灯具的方法
JP2000341770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およびリモコン端末器
CN220383256U (zh) 一种震动感应led电路
JP3666417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制御内容切替ユニット
JP3157916B2 (ja) リモコンシステム
JP2002061921A (ja) 電源供給システムと電源供給方法
JPH11331219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2780984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2002134280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調光端末器
JPH11329755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調光用操作端末器
JP2000188788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用の設定器
KR200351353Y1 (ko) 멀티탭 장치
JP2023143306A (ja) 無線制御器具及び無線制御システム
JPH0817506B2 (ja) 住宅機器用の機能別ユニット化制御盤
JPH0353839B2 (ko)
JP2003274465A (ja) リモコンシステム、リモコン本体ユニット、及びリモートモジュールユニット
JP2888439B2 (ja) 遠隔制御用端末器
JP2000252086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