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613A - 원격제어 배선기구 - Google Patents

원격제어 배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613A
KR20060049613A KR1020050051801A KR20050051801A KR20060049613A KR 20060049613 A KR20060049613 A KR 20060049613A KR 1020050051801 A KR1020050051801 A KR 1020050051801A KR 20050051801 A KR20050051801 A KR 20050051801A KR 20060049613 A KR20060049613 A KR 20060049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lay
main body
termi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3013B1 (ko
Inventor
타케시 하테마타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data-bus transmiss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Operational modes, e.g. switching from manual to automatic mode or prohibiting specific op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7Details concerning mounting a relays
    • H01H50/048Plug-in mounting or sock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following a pre-assigned programmed sequence; Logic control [L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lay Circuit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결선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시스템 구축을 위한 부재의 취급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시스템의 구축을 용이하게 한 원격제어 배선기구를 제공한다.
본체유닛(20)은, 신호선이 접속되는 신호 단자(27)를 구비함과 아울러 릴레이의 구동에 이용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28)를 구비한다. 릴레이를 구비하는 릴레이 유닛(30)은, 본체유닛(20)에 설치된 릴레이 소켓(26)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고, 본체유닛(20)과 일체로 결합된다.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를 포함한 전송신호를 신호선을 통해 수신하면, 스위치의 온오프가 릴레이의 개폐에 반영된다.

Description

원격제어 배선기구{REMOTE CONTROL WIRING MECHANIS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이용하는 친기(親器)를 나타내고, 도 1(a)은 평면도, 도 1(b)은 측면도, 도 1(c)은 정면도이다.
도 2는 동상에 이용하는 친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동상에 이용하는 자기(子器)를 나타내고, 도 3(a)은 평면도, 도 3(b)은 측면도, 도 3(d)은 정면도이다.
도 4는 동상에 이용하는 자기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동상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사용하는 친기를 나타내고, 도 6(a)은 평면도, 도 6(b)은 측면도, 도 6(c)은 정면도이다.
도 7은 동상에 이용하는 친기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동상에 이용하는 자기를 나타내고, 도 8(a)은 평면도, 도 8(b)은 측면도, 도 8(c)은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3에 이용하는 친기를 나타내고, 도 9(a)는 평면도, 도 9(b)는 측면도, 도 9(c)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4에 사용하는 친기를 나타내고, 도 10(a)은 평면도, 도 10(b)은 측면도, 도 10(c)은 정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친기 2 … 자기
13 … 스위치 14 … 릴레이
15 … 신호선 20 … 본체유닛
20a … 전원 유닛 20b … 소켓 유닛
21 … 기체(器體) 26 … 릴레이 소켓
29 … 연접용 커넥터 30 … 릴레이 유닛
31 … 기체 41 … 전원회로
42 … 신호 입출력부 44 … 릴레이 구동회로
55 … 릴레이 소켓 61 … 신호 입출력부
63 … 릴레이 구동회로
본 발명은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신호가 신호선을 통해서 전송됨으로써 스위치의 온오프가 릴레이의 개폐에 반영되는 원격제어 배선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부하의 원격감시제어를 행하기 위해서 신호선을 통해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신호를 전송하고, 부하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릴레이를 전송신호에 따라 개폐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스위치로서는, 사람이 실제로 조작하는 스위치뿐만 아니라, 각종 센서의 검지결과에 호응해서 온오프되는 접점신호를 출력하는 자동 스위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으로서는, 예컨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13)를 구비하는 감시 단말기(11)와 부하에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릴레이(14)가 접속되는 제어 단말기(12)를 단말장치로서 구비하고, 전송유닛(10)을 센터장치로서 구비하는 집중제어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1 참조). 전송유닛(10)과 감시 단말기(11)와 제어 단말기(12)는 2선식의 신호선(15)에 접속되어 있고, 감시 단말기(11) 및 제어 단말기(12)에 설정되어 있는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전송유닛(10)이 감시 단말기(11) 및 제어 단말기(12)를 각각 별도로 인식한다. 또한, 전송유닛(10)과 감시 단말기(11)와 제어 단말기(12)는 모두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송유닛(10)은, 감시 단말기(11)와 제어 단말기(12)를 어드레스에 따라 대응시킨 데이터 테이블인 제어테이블을 격납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고, 어느 하나의 감시 단말기(11)에 있어서의 스위치(13)의 온오프 정보가 전송신호(시분할 다중전송신호를 사용하고 있는)를 이용하여 전송유닛(10)에 통지되면, 제어테이블에 의해서 상기 감시 단말기(11)에 대응시켜져 있는 제어 단말기(12)에 대해서 전송신호를 이용하여 릴레이(14)를 개폐하는 지시를 전송하고, 이 지시를 받은 제어 단말기(12)에 있어서 릴레이(14)가 개폐된다. 릴레이(14)를 개폐하는 지시는 스위치(13)의 온오프 정보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감시 단말기(11)와 제어 단말기(12) 사이 에 전송유닛(10)이 개재되어 있지만, 스위치(13)의 온오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신호가 신호선(15)을 통해 전송됨으로써 스위치(13)의 온오프가 릴레이(14)의 개폐에 반영되게 된다. 또한, 1대의 감시 단말기(11)는 최대 4회로의 스위치(13)를 구별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1대의 제어 단말기(12)는 최대 4회로의 릴레이(14)를 구별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전송유닛(10)에 설치된 제어테이블에서는 스위치(13) 및 릴레이(14)의 회로별로 대응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어테이블에서는, 스위치(13)와 릴레이(14)를 1:1로 연결시키는 것 외에, 1:다수로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령, 릴레이(14)를 이용하여 부하로서의 조명기구에의 전원을 온 오프하면, 전송유닛(10)에서는, 1개의 스위치로 1회로의 조명기구의 점등과 소등을 행하는 개별제어와, 1개의 스위치로 복수 회로의 조명기구의 점등과 소등을 일괄해서 행하는 일괄제어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개별제어는 1지시로 1회로의 부하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하고, 일괄제어는 1지시로 복수 회로의 부하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괄제어로서는, 제어대상이 되는 부하의 범위를 스위치에 대응시키고 있고, 1개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범위의 부하를 일괄해서 온 또는 오프로 하는 그룹제어와, 제어대상이 되는 부하의 어드레스의 범위와 각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부하의 온과 오프의 구별을 스위치에 대응시켜 두고, 1개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범위의 부하를 각각 온 또는 오프로 하는 패턴제어가 있다.
그룹제어 혹은 패턴제어를 행하기 위해서는, 전송유닛(10)에 설치한 제어테이블에 있어서, 그룹제어 혹은 패턴제어를 행하는 스위치에 대응하는 그룹번호 또 는 패턴번호에, 제어대상이 되는 범위의 부하의 어드레스를 대응시켜 두고, 그룹제어 혹은 패턴제어를 행하는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에, 전송유닛(10)에 있어서 제어테이블과 대조함으로써 제어대상이 되는 부하의 어드레스를 전개하고, 또한 부하의 온 및 오프의 상태를 결정한 후, 제어테이블의 참조에 의해 얻어진 어드레스를 가지는 제어 단말기(12)에 지시를 준다.
그런데, 상술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에서는, 전송유닛(10)이 전송신호를 신호선(15)에 정기적으로 송출하고 있고, 전송신호로서는 ±24V의 쌍극성의 펄스폭 변조신호를 이용하고 있다. 감시 단말기(11) 및 제어 단말기(12)에서는, 상기 전송신호를 전파 정류함으로써 내부전원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전송유닛(10)은 상용전원에 의해서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 한편, 릴레이(14)를 제어하는 제어 단말기(12)에서는 릴레이(14)의 구동용 전원이 필요하고, 조명기구와 같은 부하를 제어하는 릴레이(14)에서는, 상용전원(예컨대 교류 100V)으로부터 릴레이 구동용의 교류 24V를 얻기 위해서 강압 트랜스인 원격제어 트랜스(16)가 이용된다. 즉, 제어 단말기(12)와 릴레이(14)를 구동 전원선(17)을 통해 원격제어 트랜스(16)에 접속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송유닛(10)과 감시 단말기(11)와 제어 단말기(12)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하여 둔다. 전송유닛(10)에서는, 평상시는 어드레스를 주기적으로 변경한 전송신호를 주기적으로 신호선(15)에 송출하는 상시(常時) 폴링을 행하고 있다. 전송신호에는, 신호송출개시를 나타내는 시작 펄스, 신호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데이터, 감시 단말기(11)나 제어 단말기(12)를 각각 별도로 호출하기 위한 어드레스[감 시 단말기(11), 제어 단말기(12)의 어드레스]를 전송하는 어드레스 데이터,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 데이터(부하의 회로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전송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체크섬 데이터, 감시 단말기(11)나 제어 단말기(12)로부터의 반송신호를 수신하는 타임슬롯인 신호반송기간을 포함하는 쌍극성(±24V)의 신호를 이용하고 있다.
어느 하나의 감시 단말기(11)에 있어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한 감시 입력이 발생하면, 감시 단말기(11)는 전송신호의 시작 펄스에 동기하는 인터럽트 신호를 신호선(15)에 송출한다.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감시 단말기(11)는 인터럽트 플래그를 설정한 래치 상태로 된다. 한편, 전송유닛(10)은 인터럽트 신호를 검출하면, 모드 데이터를 서치 모드로 한 전송신호를 송출한다. 래치 상태로 되어 있는 감시 단말기(11)는, 서치 모드의 전송신호를 수신하면 신호반송기간에 있어서 어드레스를 반송하고, 어드레스를 수취한 전송유닛(10)은, 상기 어드레스의 감시 단말기(11)에 래치 상태의 반송을 요구하는 전송신호를 전송하여, 래치 상태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감시 단말기(11)인 것을 확인한다.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감시 단말기(11)인 것이 확인되면, 래치 상태를 해제시키는 전송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감시 단말기(11)의 래치 상태를 해제시킨다.
전송유닛(10)은, 상술의 동작에 의해서 감시 단말기(11)로부터의 요구를 수취하면, 제어테이블에 따라서 상기 감시 단말기(11)에 대응시켜진 제어 단말기(12)에 대해서 부하의 제어를 요구한다. 다음에, 제어대상인 제어 단말기(12)에 설치한 릴레이(14)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전송신호를 송출하고, 제어 단말기(12)로 부터 릴레이(14)의 동작상태를 반송시킨다. 제어 단말기(12)로부터 수취한 릴레이(14)의 동작상태는, 전송유닛(10)에 있어서 확인되고, 릴레이(14)의 현상의 동작상태가 오프이면 동작상태를 온으로 반전시키는 내용의 전송신호를 스위치(13)의 조작이 있던 감시 단말기(11)에 송신함과 아울러, 제어 단말기(12)에도 동일 내용의 전송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제어 단말기(12)를 제어하는 내용의 전송신호를 감시 단말기(11)에도 전송하고 있는 것은, 감시 단말기(11)에 설치한 온오프 표시용 표시등 등의 표시상태에 반영시키기 위함이다. 동작상태를 지시하는 전송신호를 수취한 제어 단말기(12)는, 수신 확인을 위한 에코백(echo back)을 반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송유닛(10)에 있어서 스위치(13)[감시 단말기(11)의 어드레스 및 스위치(13)의 회로]를 제어테이블에 조합하고, 스위치(13)와의 대응 관계가 설정되어 있는 릴레이(14)를 구비하는 제어 단말기(12)에 대해서 릴레이(14)의 제어를 지시하는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스위치(13)의 온오프 정보를 릴레이(14)의 개폐에 반영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0-10694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전송유닛(10), 감시 단말기(11), 제어 단말기(12), 릴레이(14), 원격제어 트랜스(16)가 필요하며, 구성요소가 많고,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을 구축할 때의 구성요소를 골라내는 작업이 번거롭고, 숙련을 요한다라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송유닛(10), 감시 단말기(11), 제어 단말기(12)를 신호선(15)에 접속함과 아울러, 제어 단말기(12), 릴레이(14)를 구동 전원선(17)을 통해서 원격제어 트랜스(16)에 접속하는 것이 필 요하기 때문에, 신호선(15)과 구동 전원선(17)의 결선작업이 번거롭고, 특히 제어 단말기(12)로 복수 회로의 릴레이(14)를 제어할 경우에는, 제어 단말기(12)와 릴레이(14)와 원격제어 트랜스(16)의 접속관계가 복잡하게 되어, 결선작업이 번거롭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유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결선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시스템 구축을 위한 부재의 취급을 쉽게 함으로써 시스템의 구축을 용이하게 한 원격제어 배선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1의 발명은,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신호가 신호선을 통해서 전송됨으로써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릴레이의 개폐가 원격 제어되는 원격제어 배선기구로서,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를 전송하는 신호선에 접속되는 신호 입출력부를 가진 본체유닛과, 릴레이를 갖고 본체유닛에 설치된 릴레이 설치부에 착탈가능하며 장착시에 본체유닛과 일체화되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릴레이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본체유닛은 릴레이 구동에 이용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신호 입출력부에서 수신한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에 따라 릴레이 유닛에 설치된 릴레이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신호선에 접속되는 본체유닛에 릴레이 설치부를 설치하고, 릴레이를 가진 릴레이 유닛을 본체유닛에 장착했을 때에 본체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때문에, 릴레이의 결선작업이 불필요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결 선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릴레이를 가진 릴레이 유닛을 본체유닛의 릴레이 설치부에 장착했을 때에 본체유닛과 일체화되기 때문에, 본체유닛과 릴레이 유닛을 결합한 상태에서는, 1개의 부재로서 취급할 수 있고, 시스템을 구축하는 부재 중 부하측의 부재가 1부재로 되어 시스템 구축을 위한 부재의 골라내기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2의 발명에서는,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를 구비하는 감시 단말기와,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 단말기와, 감시 단말기와 제어 단말기를 각각의 어드레스에 따라 대응시키는 제어테이블을 구비하여 감시 단말기로부터의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신호를 제어테이블로 대응시킨 제어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부하의 원격조정을 가능하게 한 전송유닛을 구비하는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에 이용되고, 상기 본체유닛은 전송유닛을 구비하고, 제어테이블에서는 상기 릴레이에도 스위치가 대응시켜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를 전송하는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고 감시 단말기와 본체유닛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릴레이의 개폐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3의 발명에서는,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전원회로를 구비하는 전원 유닛과, 상기 릴레이 설치부를 구비하는 소켓 유닛을 연접시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원회로를 내장한 전원 유닛과, 릴레이 설치부를 구비하는 소켓 유닛을 연접하고 있기 때문에, 릴레이의 필요수에 따른 개수의 소켓 유닛 을 전원 유닛에 연접함으로써, 릴레이 설치부를 낭비 없이 이용할 수 있어, 릴레이 구동회로 및 릴레이 설치부에 잉여가 생길 경우와 비교하면 공간절약이 된다.
청구항4의 발명에서는, 청구항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닛은 상기 릴레이 설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원회로를 내장한 전원 유닛과, 릴레이 설치부를 구비하는 소켓 유닛을 연접하고 있기 때문에, 릴레이의 필요수에 따른 개수의 소켓 유닛을 전원 유닛에 연접함으로써, 릴레이 구동회로 및 릴레이 설치부를 낭비 없이 이용할 수 있어, 릴레이 구동회로 및 릴레이 설치부에 잉여가 생길 경우와 비교하면 공간절약이 된다. 또한, 전원 유닛에 릴레이 설치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원 유닛에 설치된 릴레이 설치부에서 필요수의 릴레이에 대응할 수 있을 경우에는, 소켓 유닛을 설치하지 않고 전원 유닛과 릴레이만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청구항5의 발명에서는, 청구항3 또는 청구항4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켓 유닛은 다른 소켓 유닛과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연접용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켓 유닛을 연접용 커넥터에 의해 접속하기 때문에, 소켓 유닛을 연접할 때의 결선이 불필요하고, 또한 연접용 커넥터는 착탈가능하기 때문에, 릴레이의 필요수에 따라서 소켓 유닛의 개수를 용이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
청구항6의 발명에서는, 청구항5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켓 유닛은 상기 릴레이 설치부를 1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켓 유닛과 릴레이가 1대1로 대응하기 때문에, 릴레이의 필요한 수만큼의 소켓 유닛을 설치하면 되어, 소켓 유닛에 낭비가 생기지 않는다.
청구항7의 발명에서는,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켓 유닛은 상기 릴레이 설치부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1대의 소켓 유닛에 대해서 복수개의 릴레이를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소켓 유닛을 배치하는 공간을 확보하여 두면, 그 범위 내에서 릴레이의 개수를 증감시킬 수 있다.
청구항8의 발명에서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과 상기 릴레이 유닛을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외형 치수가 분전반(分電盤) 협약 치수로 되도록 본체유닛 및 릴레이 유닛의 기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유닛과 릴레이 유닛을 결합한 상태에서 분전반 협약 치수로 되기 때문에, 치수조절용 어댑터 등을 이용하는 일없이, 분전반 내에 수납할 수 있다.
이하에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하는 원격제어 배선기구에는, 도 11에 나타낸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전송유닛(10)의 기능을 구비하는 친기(1)(도 5 참조)와, 전송유닛(10)의 기능은 구비하지 않고 제어 단말기(12)의 기능을 구비하는 자기(2)(도 5 참조)가 있다. 또한, 친기(1)와 자기(2)는, 본체유닛(20)에 릴레이 유닛(30)을 착탈가능하게 접속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릴레이 유닛(30)은, 부하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릴레이를 갖고 있다.
친기(1)는 전송유닛(10)의 기능을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2선식의 신호선 (15)을 이용하여 감시 단말기(11)를 접속함으로써, 감시 단말기(11)에 설치한 스위치(13)의 조작을 친기(1)에 설치한 릴레이 유닛(30)이 구비하는 릴레이의 온오프에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자기(2)에는 제어 단말기(12)에 기능을 구비하기 때문에, 2선식의 신호선(15)을 이용하여 감시 단말기(11)를 접속하고 있는 친기(1)에, 2선식의 신호선(15)을 이용하여 자기(2)를 접속하면, 감시 단말기(11)에 설치한 스위치(13)의 조작을 자기(2)에 설치한 릴레이 유닛(30)이 구비하는 릴레이의 온오프에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친기(1)의 릴레이 유닛(30)을 자기(2)의 릴레이 유닛(30)과 등가로 취급할 수 있도록, 제어 단말기(12)의 기능을 친기(1)에 설치해도 좋지만, 친기(1)의 릴레이 유닛(30)은 친기(1)의 내부처리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신호를 사용하지 않고(즉, 데이터를 펄스폭 변조하는 일없이) 릴레이 유닛(30)을 제어한다. 단, 전송신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자기(2)의 릴레이 유닛(30)과 등가로 취급하기 위해서는 제어 단말기(12)의 어드레스에 상당하는 정보는 이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친기(1)의 릴레이 유닛(30)은 제어테이블을 이용하여 스위치(13)와 대응시켜진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친기(1)와 자기(2)를 조합시켜 이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친기(1)에 설치하는 릴레이의 필요수가 친기(1)에 설치되는 릴레이 유닛(30)의 개수의 범위 내이면, 친기(1)만을 이용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실시형태1)
도 5에 나타낸 시스템을 구축하는 친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유닛(20)의 기체(21)가, 직사각형상의 바닥판(22)의 인접하는 2변 중 한쪽에 측방 프레임(23)을 세워 설치하고, 다른쪽에 후방 프레임(24)을 세워 설치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측방 프레임(23)과 후방 프레임(24)은 바닥판(22)으로부터의 돌출치수가 같고, 바닥판(22)의 1개의 코너부에 있어서 측방 프레임(23)과 후방 프레임(24)은 연속한다. 요컨대, 측방 프레임(23)과 후방 프레임(24)이 연속함으로써 평면에서 바라봐서 L자 형상으로 된다. 바닥판(22)과 측방 프레임(23)과 후방 프레임(24)으로 둘러싸여지는 부위는, 릴레이 유닛(30)이 배치되는 릴레이 유지대(25)가 된다.
릴레이 유지대(25)에는, 최대 8개의 릴레이 유닛(30)을 배열할 수 있다. 즉,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프레임(24)에 있어서 릴레이 유지대(25)에 면하는 면에는, 8조의 릴레이 설치부인 릴레이 소켓(26)이 형성되고, 각 릴레이 소켓(26)에 각각 릴레이 유닛(30)이 착탈가능하게 접속되게 되어 있다. 릴레이 소켓(26)은, 각각 4개의 삽입구를 구비하고, 각 삽입구는 바닥판(22)의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유닛(20)의 측방 프레임(23)에 있어서 바닥판(22)에 평행하며 바닥판(22)으로부터 먼 면(이하에서는 상면이라 한다)에는, 단자 나사를 구비한 전원단자(27)와 신호 단자(28)가 설치된다. 전원단자(27)에는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접속되고, 신호 단자(28)에는 신호선(15)(도 5 참조)이 접속된다. 또한, 전원단자(27)는 후방 프레임(24)으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배치되고, 신호 단자(28)는 후방 프레임(24)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배치된다. 즉, 전원단자(27)와 신호 단자(28)는 이간하도록 배치된다.
릴레이 유닛(30)은, 래칭형 릴레이를 기체(31) 내에 내장하고 있고, 세트용 권선과 리셋용 권선에 각각 접속된 코일 단자(32)가 돌출되게 설치된다. 즉, 코일 단자(32)는 4개의 삽입편으로 이루어진다. 코일 단자(32)의 각 삽입편은 릴레이 소켓(26)의 각 삽입구에 각각 삽입되고, 본체유닛(20)에 릴레이 유닛(30)이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본체유닛(20)과 릴레이 유닛(30)이 일체로 된다. 릴레이 유닛(30)의 기체(31)에 있어서 코일 단자(32)가 돌출되게 설치된 면과는 반대측이 되는 면에는 단자 나사를 갖은 부하 단자(33)가 배열된다. 또한, 릴레이 유닛(30)의 기체(31)의 상면에는 내장된 릴레이의 개폐를 수동으로 행할 수 있게, 수동 레버(34)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친기(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단자(27)에 접속되어 내부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회로(41)와, 신호 단자(28)에 접속되어 전송신호의 주고받기를 행하는 신호 입출력부(42)를 구비한다. 전원회로(41)는, 본체유닛(20)의 측방 프레임(23)에 수납되어 있고, 다른 내부회로는 후방 프레임(24)에 수납된다. 따라서, 내부회로의 절연거리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원회로(41)는, 다른 전압의 상용전원에 대응할 수 있게 교류 100~242V의 입력에 대해서 내부회로의 전원을 생성한다. 신호 입출력부(42)는 종래 구성에 있어서 설명한 쌍극성의 전송신호를 송신하고, 신호선(15)의 선간을 적절한 저 임피던스를 통해 단락함으로써 얻어지는 전류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감시 단말기(11)나 제어 단말기(12)[혹은 자기(2)]에 대한 데이터는 전압신호로 송신하고, 감시 단말기(11)나 제어 단말기(12)[혹은 자기(2)]로부터의 데이터는 전류신호로 수신한다.
전원회로(41) 및 신호 입출력부(42)는,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신호처리부(40)에 접속되어 있고, 신호처리부(40)에서는, 감시 단말기(11)로부터 신호 입출력부(42)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에 의해, 릴레이 유닛(30)에 내장한 릴레이 혹은 제어 단말기(12)[혹은 자기(2)]에 설치한 릴레이의 개폐를 제어한다. 감시 단말기(11)에 설치한 스위치(13)에 대해서 어느 릴레이를 제어할지는, 신호처리부(40)에 설치한 메모리(43)에 있어서의 제어테이블에 격납되어 있고, 제어테이블에 의해서 1대1, 혹은 1 대 다수의 대응 관계가 설정된다. 요컨대, 개별제어, 패턴제어, 그룹제어를 위한 제어테이블이 메모리(43)에 설정된다. 또한, 메모리(43)에는 릴레이의 개폐의 상태를 기억하는 영역도 설치되어 있다. 메모리(43)에는 EEPROM과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가 이용된다.
또한, 신호처리부(40)에는 릴레이 구동회로(44)가 접속되고, 신호처리부(40)는 릴레이 유닛(30)에 내장된 릴레이의 개폐를 릴레이 구동회로(44)를 통해 제어한다. 신호처리부(40)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은 예컨대 직류 5V이며, 릴레이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전압은 예컨대 교류 24V이며, 릴레이 구동회로(44)를 설치함으로써 구동 전압의 변환이 이루어진다. 또한, 신호처리부(40)에는 단락 표시부(45)가 부설되어 있고, 신호선(15)의 단락이 검출되었을 때에, 단락 표시부(45)에서 표시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유닛(20)에 릴레이 유닛(30)을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도 1(b)의 각 치수(L1~L3)가 각각 106.3㎜, 90㎜, 60㎜이며, 소위 분전반 협약 치수[분전반의 내기(內器)의 규격으로서 JIS규격에 정해진 치수]로 되어 있고, 브 레이커의 수납에 이용되고 있는 분전반에 수납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1개의 릴레이 유닛(30)의 폭치수[도 1(a)의 치수(L4)]는 24.9㎜로서 분전반 협약 치수에 있어서의 단위치수의 1개분의 치수이며, 본체유닛(20)의 가로 프레임(22)의 폭치수도 릴레이 유닛(30)의 폭치수와 같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본체유닛(20)에 8개의 릴레이 유닛(30)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분전반 협약 치수에 있어서의 단위치수의 9개분에 상당하는 치수가 된다. 바꿔 말하면, 분전반 협약 치수에 있어서의 단위치수의 9개분의 공간에서 친기(1)를 분전반에 수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유닛(20)에는 상용전원을 접속하는 전원단자(27)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유닛(20)에 내장된 전원회로(41)에 의하여 릴레이를 구동하는 전원을 생성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 필요했던 원격제어 릴레이가 불필요하고, 또한 전송유닛의 기능을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전송유닛도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종래 구성에서는 제어 단말기(12)와 릴레이(14)가 별체이며, 시스템을 구축하는 때는 부재의 골라내기가 필요함과 아울러, 시공시에 있어서는 제어 단말기(12)와 릴레이(14)의 설치에 수고가 들었지만,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본체유닛(20)과 릴레이 유닛(30)을 일체화하여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부재의 골라내기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종래 구성에서는, 제어 단말기(12)와 릴레이(14)와 원격제어 트랜스(16)의 결선작업이 필요했던 것에 대해서, 릴레이 소켓(26)에 릴레이 유닛(30)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릴레이 유닛(30)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스템 구축을 위한 결선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체유닛(20)에 있어서는, 전원단자(27)와 신호 단자(28)를 이간해서 배치하고 있고, 또한 본체유닛(20) 및 전원단자(27)는 릴레이 유닛(30)의 부하 단자(33)에 인접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단자(27) 및 부하 단자(33)에 접속되는 전원선과, 신호 단자(28)에 접속되는 신호선의 절연거리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시스템을 구축하는 자기(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유닛(20)의 기체(51)가, 직사각형상의 바닥판(52)의 1변에 후방 프레임(53)을 세워 설치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자기(2)의 기체(51)에서는, 바닥판(52)과 후방 프레임(53)으로 둘러싸여지는 부위가 릴레이 유닛(30)을 배치하는 릴레이 유지대(54)가 된다.
자기(2)의 릴레이 유지대(54)에는, 최대 4개의 릴레이 유닛(30)을 배열할 수 있다.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프레임(53)에 있어서 릴레이 유지대(54)에 면하는 면에는 4조의 릴레이 소켓(55)이 형성된다. 릴레이 소켓(55)의 구성은 친기(1)와 마찬가지이며, 직사각형상인 4개의 삽입구를 구비한다. 본체유닛(20)의 후방 프레임(53)의 상면[도 3(b)의 상면]에는 신호선(15)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 나사가 부착된 신호 단자(56)가 형성된다. 자기(2)의 본체유닛(20)에는 전원단자는 설치되지 않고, 신호 단자(56)를 통해서 친기(1)로부터 전송신호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2)는 제어 단말기(12)(도 11 참조)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고, 어드레스가 설정된다. 자기(2)의 어드레스는 후방 프레임(53)의 상면에 배치한 어드레스 설정 손잡이(57)를 회전시킴으로써 선택한다. 릴레이 유닛(30)은 친기(1)에 이용하는 것과 동일한 구성이며, 릴레이 소켓(55)에 착탈가능하게 접속 되어, 릴레이 유닛(30)의 삽입편을 릴레이 소켓(55)의 삽입구에 삽입함으로써, 본체유닛(20)에 릴레이 유닛(30)을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자기(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 단자(28)에 접속되어 전송신호의 주고받기를 행하는 신호 입출력부(61)를 구비한다. 신호 입출력부(61)는 종래 구성에 있어서 설명한 쌍극성의 전송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선(15)의 선간을 적절한 저 임피던스를 통해서 단락함으로써 얻어지는 전류신호를 송신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친기(1)의 신호 입출력부(42)에서는 전압신호를 송신하여 전류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대해서, 자기(2)의 신호입출력부(61)에서는 전압신호를 수신하여 전류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신호 입출력부(61)는,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신호처리부(60)에 접속되어 있고, 신호처리부(60)에서는, 친기(1)로부터 신호 입출력부(61)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에 의해, 릴레이 유닛(30)에 내장된 릴레이의 개폐를 제어한다. 또한, 자기(2)의 어드레스는 상술한 어드레스 설정 손잡이(57)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가능하며, 어드레스 설정 손잡이(57)가 연동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어드레스 설정부(62)가 신호처리부(60)에 접속된다.
또한, 신호처리부(60)에는 릴레이 구동회로(63)가 접속되고, 신호처리부(60)는 릴레이 유닛(30)에 내장된 릴레이의 개폐를 릴레이 구동회로(63)를 통해 제어한다. 릴레이 유닛(30)을 구동하는 전원은 신호 단자(56)를 통해 수신한 전송신호를 전파 정류함으로써 얻고 있고, 이 기능은 신호 입출력부(61)가 구비한다. 즉, 자기(2)에 있어서는 신호 입출력부(61)가 전원회로로서 기능한다.
자기(2)는 친기(1)와 마찬가지로, 본체유닛(20)에 릴레이 유닛(30)을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소위 분전반 협약 치수로 되어 있고, 브레이커의 수납에 이용되고 있는 분전반에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 자기(2)에 있어서 제어가능한 릴레이 유닛(30)은 최대 4개이며, 자기(2)에 있어서는 4개의 릴레이 유닛(30)을 본체유닛(20)에 장착한 상태에서 분전반 협약 치수에 있어서의 단위치수의 4개분에 상당하는 치수로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친기(1)와 도 3에 나타낸 자기(2)는 병설할 수 있다.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서는, 친기(1)를 전원선에 의해서 상용전원에 접속하고, 친기(1)의 신호 단자(27) 및 자기(2)의 신호 단자(56)에 신호선(15)을 접속하고, 또한, 신호선(15)에 감시용 단말기(11)를 접속하면 좋은 것이며, 종래 구성에 비교하면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부재수가 적고, 또 결선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자기(2)에 있어서도 본체유닛(20)과 릴레이 유닛(30)을 일체화하여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부재의 골라내기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종래 구성에서는, 제어 단말기(12)와 릴레이(14)와 원격제어 트랜스(16)의 결선작업이 필요했던 것에 대해서, 릴레이 소켓(26)에 릴레이 유닛(30)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릴레이 유닛(30)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스템 구축을 위한 결선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실시형태2)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1의 구성을 변형한 것이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유닛(20)이, 전원회로(41)를 내장하고 릴레이 구동회로(44)는 내장하지 않은 전원 유닛(20a)과, 전원회로(41)는 내장하지 않고 릴레이 구동회로(44)를 내장함과 아울러 릴레이 소켓(26)을 구비하는 소켓 유닛(20b)을 연접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소켓 유닛(20b)은, 1개의 릴레이 소켓(26)을 구비하고, 최대 8개의 소켓 유닛(20b)을 연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전원 유닛(20a)은 실시형태1의 본체유닛(20)에 있어서의 측방 프레임(23)에 상당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소켓 유닛(20b)은 1개의 릴레이 유닛(30)을 장착할 수 있는 폭치수[도 1의 치수(L4)]이며, 바닥판(22)과 후방 프레임(24)을 구비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꿔 말하면, 전원 유닛(20a)은 분전반 협약 치수에 있어서의 단위치수이고, 또한, 소켓 유닛(20b)에 릴레이 유닛(30)을 장착한 상태의 외형 치수도 분전반 협약 치수에 있어서의 단위치수로 된다.
전원 유닛(20a) 및 소켓 유닛(20b)에는 각각 연접용 커넥터(29)의 암(雌)커넥터(29a)가 설치된다. 또한, 소켓 유닛(20b)에는 암커넥터(29a)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연접용 커넥터(29)의 수(雄)커넥터(29b)도 설치된다. 암커넥터(29a)는 직사각형상으로 개구되는 복수개의 삽입구가 2열로 배열되고, 수커넥터(29b)는 암커넥터(29a)의 삽입구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 개의 삽입편을 구비한다.
전원 유닛(20a)에는, 전원회로(41) 외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처리부(40), 신호 입출력부(42), 메모리(43), 단락 표시부(45)가 설치된다. 또한, 소켓 유닛(20b)에는 릴레이 구동회로(44)만이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원 유닛(20a)과 소켓 유닛(20b)을 연접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 유닛(20a)에 설치한 단 말처리부(40)가 각 소켓 유닛(20b)에 설치한 릴레이 구동회로(44)를 각각 별도로 식별할 수 있도록, 단말처리부(40)와 릴레이 구동회로(44)의 접속관계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단, 각 소켓 유닛(20b)을 다른 사양으로 설계하는 것은 문제점이 있으므로, 도시하지 않은 선택 스위치에 의해 각 소켓 유닛(20b)과 단말처리부(40)의 접속관계를 선택한다.
즉, 전원 유닛(20a)에 설치되는 암커넥터(29a)의 복수개의 삽입구는 8개의 릴레이 구동회로(44)를 각각 별도로 접속할 수 있게 설치되고, 각 소켓 유닛(20b)에 있어서 선택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소켓 유닛(20b)을 8개의 릴레이 구동회로(44) 중 어느 것으로 할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현재, 8개의 릴레이 구동회로(44)를 식별하기 위해서 각각 1~8번의 식별번호를 부여한다고 하면, 전원 유닛(20a)에 결합된 소켓 유닛(20b)에 있어서는 선택 스위치에 의해 1번을 선택하고, 상기 소켓 유닛(20b)을 1번에 할당한다. 또한, 1번의 소켓 유닛(20b)에 결합되는 소켓 유닛(20b)에 있어서는 선택 스위치에 의해 2번을 선택하고, 상기 소켓 유닛(20b)을 2번에 할당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하여, 각 소켓 유닛(20b)에 1~8번 중 어느 하나의 식별번호를 할당할 수 있다.
상술의 예에서는, 전원 유닛(20a)으로부터 몇 개째의 소켓 유닛(20b)인지에 대응시켜 각 소켓 유닛(20b)에 식별번호를 할당하고 있지만, 소켓 유닛(20b)의 위치와 식별번호는 반드시 대응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또한, 동일한 식별번호를 복수대의 소켓 유닛(20b)에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예에서는, 암커넥터(29a)에 12개의 삽입구를 형성하고 있고, 그 중 4개 는 릴레이 유닛(30)에 설치한 릴레이의 제어를 지시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나머지 8개는 소켓 유닛(20b)의 식별번호를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한다. 즉, 8개의 각 삽입구가 각 식별번호에 대응한다. 릴레이 유닛(30)을 제어할 경우에는, 8개의 삽입구 중 어느 1개에 대응하는 신호를 다른 삽입구에 대응하는 신호의 신호값과는 다르게 하여 두고(여기에서는, 2값신호를 상정하고 있다), 릴레이의 제어를 지시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지정된 소켓 유닛(20b)에 결합되어 있는 릴레이 유닛(30)만이 제어된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각 릴레이 유닛(30)은 동시에 제어되는 것은 아니고, 1개씩 제어되게 된다. 릴레이 유닛(30)에 설치한 릴레이는 랜치형이므로, 접점을 일단 반전시키면, 다음에 접점을 반전시키는 신호를 줄 때까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한다.
실시형태1의 구성에서는, 본체유닛(2)이 8개의 릴레이 유닛(30)을 장착가능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전반 협약 치수에 있어서의 단위치수의 9개분의 설치공간이 필요하게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릴레이 유닛(30)의 필요수에 따라 소켓 유닛(20b)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릴레이 유닛(30)의 필요수에 따라 필요한 설치공간을 증감시킬 수 있다. 예컨대, 릴레이 유닛(30)을 4개만 이용하는 경우에는, 실시형태1의 구성에서는 분전반 협약 치수에 있어서의 단위치수의 9개분의 설치공간이 필요한 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분전반 협약 치수에 있어서의 단위치수의 5개분의 설치공간이 되어, 릴레이 유닛(30)의 필요수가 적을 때에는 공간절약이 된다.
실시형태1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기(2)는 내부전원을 신호선(15)으 로부터 얻고 있고, 신호 입출력부(61)가 전원회로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자기(2)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 입출력부(61)를 구비한 전원 유닛(20a)과, 릴레이 소켓(55)을 구비하는 소켓 유닛(20b)을 연접함으로써 구성된다. 또한, 자기(2)에서는 전원 유닛(20a)에도 릴레이 소켓(55)이 설치된다.
자기(2)는, 신호 입출력부(61) 외에, 신호처리부(60), 어드레스 설정부(62), 릴레이 구동회로(63)가 필요하며, 전원 유닛(20a)에는, 신호처리부(60), 신호 입출력부(61), 어드레스 설정부(62), 릴레이 구동회로(63)가 설치된다. 또한, 소켓 유닛(20b)에는, 릴레이 구동회로(63)가 설치된다. 자기(2)의 전원 유닛(20a)에는, 신호선(15)을 접속하기 위한 신호 단자(56) 외에 어드레스 설정 손잡이(57)가 설치된다. 자기(2)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릴레이 유닛(30)의 최대 개수는 4개이지만, 친기(1)에 이용하는 소켓 유닛(20b)에 있어서의 8개의 식별번호 중 4개만을 사용하도록 하면, 친기(1)에서 이용하는 소켓 유닛(20b)을 자기(2)에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부재의 공용화에 의해서 부품 품종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상술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친기(1) 및 자기(2)는, 모두 전원 유닛(20a)과 1개의 소켓 유닛(20b)의 조합이 최소 구성이고, 최소 구성의 경우에는 분전반 협약 치수에 있어서의 단위치수의 2개분의 치수로 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3)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친기(1)의 전원을 상용전원으로부터 공급하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는 상용전원을 원격제어 트랜스와 같은 강압 트랜스로 강압한 전원 을 친기(1)의 전원에 이용하는 것이다. 즉, 친기(1)에 설치하는 전원회로(41)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차가 작기 때문에, 전원회로(41)를 소형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내부회로의 절연 대책도 간이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1에 나타낸 본체유닛(20)으로부터 측방 프레임(23)을 제거한 형상의 본체유닛(20)을 사용한다. 요컨대, 본체유닛(20)의 후방 프레임(24)에 전원회로(41)를 내장하고 있는 것이다. 전원단자(27)와 신호 단자(28)는 단자 나사를 구비하고, 후방 프레임(24)의 각 일단부에 이간시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본체유닛(20)에 측방 프레임(23)을 설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본체유닛(20)의 치수를 실시형태1의 구성보다 작게 할 수 있고, 릴레이 유닛(30)을 본체유닛(20)에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분전반 협약 치수에 있어서의 단위치수의 8개분의 치수가 되어, 결과적으로 실시형태1의 구성보다 공간절약이 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4)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3과 마찬가지로, 상용전원을 강압한 전원을 친기(1)의 전원에 사용하고 있는 것이고, 실시형태2와 마찬가지로, 본체유닛(20)을 전원 유닛(20a)과 소켓 유닛(20b)으로 구성한 것이다. 실시형태2에 있어서의 전원 유닛(20a)은 릴레이 유닛(30)을 결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의 전원 유닛(20a)은 릴레이 유닛(30)을 결합하는 릴레이 소켓(26)을 구비하고 있고, 소켓 유닛(20b)뿐만 아니라 전원 유닛(20a)에도 릴레이 구동회로(44)가 설치된다. 또한, 전원 유닛(20a)과 소켓 유닛(20b)은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전원 유닛(20a)은 전원회로(41)와 신호 입출력부(42)를 구비하기 때문에, 전원 유닛(20a)에는 전원단자(27) 및 신호 단자(28)가 설치된다.
신호선이 전송되는 전송신호는 ±24V의 쌍극성의 전압신호이고, 본체유닛(20a)에 공급되는 전원은 교류 24V이며, 양자의 피크 전압은 같으므로, 절연 대책은 양자가 혼입되지 않는 정도이면 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원단자(27)와 신호 단자(28)를 인접하게 배치하고 있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형태3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실시형태1,2에 각각 나타낸 자기(2)는 다른 실시형태의 친기(1)와 조합시켜 이용할 수 있고, 친기(1)와 자기(2)의 조합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신호선에 접속되는 본체유닛에 릴레이 설치부를 설치하고, 릴레이를 가진 릴레이 유닛을 본체유닛에 장착했을 때에 본체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때문에, 릴레이의 결선작업이 불필요하고,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결선작업이 용이하게 된다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릴레이를 가진 릴레이 유닛을 본체유닛의 릴레이 설치부에 장착했을 때에 본체유닛과 일체화되기 때문에, 본체유닛과 릴레이 유닛을 결합한 상태에서는, 1개의 부재로서 취급할 수 있고, 시스템을 구축하는 부재 중 부하측의 부재가 1부재로 되어 시스템 구축을 위한 부재의 골라내기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Claims (8)

  1.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신호가 신호선을 통하여 전송됨으로써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릴레이의 개폐가 원격제어되는 원격제어 배선기구로서,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를 전송하는 신호선에 접속되는 신호 입출력부를 가진 본체유닛과, 릴레이를 갖고 본체유닛에 설치된 릴레이 설치부에 착탈가능하며 장착시에 본체유닛과 일체화되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릴레이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본체유닛은 릴레이 구동에 이용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신호 입출력부에서 수신한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에 따라 릴레이 유닛에 설치된 릴레이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배선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를 구비하는 감시 단말기와,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 단말기와, 감시 단말기와 제어 단말기를 각각의 어드레스에 따라 대응시키는 제어테이블을 구비하여 감시 단말기로부터의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신호를 제어테이블로 대응시킨 제어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부하의 원격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전송유닛을 구비하는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에 이용되고, 상기 본체유닛은 전송유닛을 구비하고, 제어테이블에서는 상기 릴레이에도 스위치가 대응시켜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배선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전원회로를 구비하는 전 원 유닛과, 상기 릴레이 설치부를 구비하는 소켓 유닛을 연접시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배선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닛은 상기 릴레이 설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배선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유닛은 다른 소켓 유닛과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연접용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배선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유닛은 상기 릴레이 설치부를 1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배선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유닛은 상기 릴레이 설치부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배선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과 상기 릴레이 유닛을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외형 치수가 분전반 협약 치수로 되도록 본체유닛 및 릴레이 유닛의 기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배선기구.
KR1020050051801A 2004-06-25 2005-06-16 원격제어 배선기구 KR100643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88798 2004-06-25
JPJP-P-2004-00188798 2004-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613A true KR20060049613A (ko) 2006-05-19
KR100643013B1 KR100643013B1 (ko) 2006-11-10

Family

ID=35505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801A KR100643013B1 (ko) 2004-06-25 2005-06-16 원격제어 배선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05648B2 (ko)
KR (1) KR100643013B1 (ko)
CN (1) CN1722909B (ko)
CA (1) CA2510120C (ko)
TW (1) TWI27613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628B1 (ko) * 2006-08-22 2009-02-06 김진형 데이터 수신형 릴레이 보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8156B1 (ko) * 2015-04-17 2015-07-21 주식회사 라텍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
KR20200068317A (ko) 2018-12-05 2020-06-15 채기정 잔량에 따라 바닥의 모양이 변하는 샴푸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22140C (en) 2004-10-26 2007-08-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Operation switch wiring mechanism
EP2255212A4 (en) * 2008-03-17 2017-10-18 Jps Électronique Inc. Switching unit adapted for communicating with a processing unit
CN102117061B (zh) * 2009-12-31 2014-09-17 北京国电智深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分布式控制系统
CN102117060B (zh) * 2009-12-31 2015-04-29 北京国电智深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分布式控制系统中的数字输出板卡
CN104299814A (zh) * 2013-07-18 2015-01-21 李耀强 一种开关
CN104102161B (zh) * 2014-07-28 2016-08-31 安徽继远电网技术有限责任公司 智能一体化电源开关量监控模块
KR20160016721A (ko) * 2014-08-05 2016-02-15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콘택터, 콘택터 어셈블리 및 제어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8902A (en) * 1968-01-22 1971-01-26 Everett R Casey Remote control wiring system
US3872319A (en) * 1972-07-31 1975-03-18 Jr George E Platzer Lazy-man type switching circuit
US3971028A (en) * 1974-12-26 1976-07-20 Larry L. Funk Remote light control system
JP3752852B2 (ja) 1998-06-25 2006-03-08 松下電工株式会社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CN2396458Y (zh) * 1999-07-27 2000-09-13 常州供电局 用于进行高压试验的电源装置
CN2529420Y (zh) * 2002-02-07 2003-01-01 范学勇 一种电源自动控制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628B1 (ko) * 2006-08-22 2009-02-06 김진형 데이터 수신형 릴레이 보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8156B1 (ko) * 2015-04-17 2015-07-21 주식회사 라텍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
KR20200068317A (ko) 2018-12-05 2020-06-15 채기정 잔량에 따라 바닥의 모양이 변하는 샴푸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20364A (en) 2006-06-16
CN1722909A (zh) 2006-01-18
US20050286196A1 (en) 2005-12-29
CA2510120C (en) 2009-08-25
CN1722909B (zh) 2010-10-06
KR100643013B1 (ko) 2006-11-10
TWI276133B (en) 2007-03-11
CA2510120A1 (en) 2005-12-25
US7405648B2 (en) 2008-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013B1 (ko) 원격제어 배선기구
CA2520310C (en) Setting device of control system
CA2512811C (en) Setting apparatus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KR100594766B1 (ko)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용 단말기
KR20060052092A (ko) 조작스위치 배선기구
CN107251317B (zh) 电气设备、包括此类电气设备的系统、以及在此类系统中实现的方法
JPH0728662Y2 (ja) 接触器及びこれを制御する制御装置の接続構造
US20100283627A1 (en) Ceiling-mounted hooking receptacle
JP4229076B2 (ja) リモコン配線器具
CN102034347B (zh) 遥控系统
JP3514160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リレー端末器
CN105210243B (zh) 无线连接器节点和系统
JP2011049723A (ja) 監視制御装置
CN106488337B (zh) 操作终端器
JP3922297B1 (ja) 配線システム
JP2019204665A (ja) センサユニット、照明器具、電子機器
JP3704797B2 (ja) 遠隔制御用リレーユニット
JP2007174844A (ja) 配線システム
JP2007150635A (ja) 配線システム
JPH0955988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制御用端末器
JP4591340B2 (ja) 配線システム
JPH03128594A (ja) 遠隔制御用端末器
JPH04123695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H08154285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状態表示用端末器
JPH03198605A (ja) スイッチ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