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156B1 -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156B1
KR101538156B1 KR1020150054298A KR20150054298A KR101538156B1 KR 101538156 B1 KR101538156 B1 KR 101538156B1 KR 1020150054298 A KR1020150054298 A KR 1020150054298A KR 20150054298 A KR20150054298 A KR 20150054298A KR 101538156 B1 KR101538156 B1 KR 101538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unit
central processing
input
signal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수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텍
Priority to KR1020150054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2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 H01H47/32Energising current supplied by semiconductor device
    • H01H47/325Energising current supplied by semiconductor device by switching reg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 H01H47/0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for hold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hen initial energising circuit is interrupted; for maintain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ith reduced energising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에 관한 것으로, 전압 레벨이 다른 2개 이상의 AC 신호와 DC 신호 중 어느 한 개를 입력 신호 전압 레벨 선택 스위치를 이용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한 개의 신호 전압을 중앙 처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적합한 전압 레벨로 감압하고 AC 신호 또는 DC 신호의 입력 신호 로직을 중앙 처리 장치의 입력 포트로 전달하는 입력 신호 선택 처리부와, 상기 입력 신호 선택 처리부를 통해 인입된 입력 신호 로직과 메모리부에 저장된 저장 신호 로직을 비교한 다음 만약 일치할 경우 메모리부에 저장된 출력 신호 로직을 출력하며 만약 일치하지 않을 경우 알람(Alarm)을 발생하는 중앙 처리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INTEGRATED RELAY BOARD HAVING CONTROL FUNCTION OF MULTIFORM AC/DC INPUT/OUTPUT SIG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포트로 인입되는 전기 신호의 전압 레벨과 입력 신호 로직을 분석한 다음, 상기 입력 신호 로직을 메모리부에 저장된 저장 신호 로직과 비교하고, 만약 동일하다면 메모리부에 저장된 출력 신호 로직을 출력 포트로 내보내도록 한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에 적용되면서 릴레이로만 구성된 전기 회로는 220V 구동에 4극의 사양으로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구분이 없고 전기 회로에 대한 이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릴레이로만 구성된 전기 회로는 순차적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서 하드 와이어드(hard-wired) 형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배선 작업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문제가 발생되었을 때 문제를 쉽게 찾아냄과 더불어 문제 해결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릴레이로만 구성된 전기 회로는 생산 공정에서 여러 대의 동일한 전기 회로를 똑같이 작업하더라도 작업자의 숙련도나 집중도에 따라 작업 실수나 품질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 부분에서 문제가 될 수가 있다.
또, 상기 릴레이로만 구성된 전기 회로는 입력 신호에 따른 코일 구동에 의해 릴레이 접점이 지속적으로 붙었다 떨어지기 때문에 릴레이 구동간에 발생될 수 있는 스파크나 과도한 동작 횟수에 의해 릴레이 수명이 현저히 나빠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릴레이로만 구성된 전기 회로는 입력 포트로 인입되는 신호가 AC 220V이거나 AC 110V, DC 48V, 또는 DC 24V 등으로 다양한 경우 릴레이로 구성되면서 하드 와이어드 형식으로 구성된 전기 회로는 굉장히 복잡해질 수밖에 없으며, 한번 구성된 전기 회로는 수정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는 특허공개번호 10-2008-0017669호의 "데이터 수신형 릴레이 보드 및 그 제어 방법"이 있는데, 상기 데이터 수신형 릴레이 보드 및 그 제어 방법은 외부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전압 신호를 입력받아 레벨 변환시키는 전압 레벨 변환부와, 상기 전압 레벨 변환부에서 레벨 변환된 전압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외부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제어 전압을 입력받아 레벨 변환시키는 제1 신호 레벨 변환부, 상기 전압 레벨 변환부에서 레벨 변환된 전압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신호 레벨 변환부에서 레벨 변환된 제어 전압에 따라 릴레이 어셈블리 내의 복수 개의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릴레이 제어부, 상기 전압 레벨 변환부에서 레벨 변환된 전압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릴레이 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 전압의 레벨을 변환시켜 릴레이 어셈블리로 전달하는 제2 신호 레벨 변환부, 및 상기 제2 신호 레벨 변환부에서 레벨 변환된 제어 전압을 입력받아 구동되는 복수개의 릴레이를 구비한 릴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데이터 수신형 릴레이 보드 및 그 제어 방법"은 전압 레벨이 다양한 AC 신호 또는 DC 신호 중 어느 한개를 선택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입력 신호 로직과 중앙 처리 장치에 저장된 저장 신호 로직을 비교하는 시스템이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신호를 입력받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 기술은 적용 분야가 달라졌을 때 하드웨어를 변경해야 되므로 비용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재사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6-0049613 (2006.05.19)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8-0017669 (2008.02.27)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 포트로 인입되는 다양한 전압 레벨과 입력 신호 로직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회로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으면서 프로그램의 구성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응용이 가능한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드(Board)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의 구성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응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드(Board)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제품의 신뢰성 및 수명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는 일체형 릴레이 보드의 한계점과 하드 와이어드(Hard-wired) 타입의 릴레이 구동 회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은 전압 레벨이 다른 2개 이상의 AC 신호와 DC 신호 중 어느 한 개를 입력 신호 전압 레벨 선택 스위치를 이용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한 개의 신호 전압을 중앙 처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적합한 전압 레벨로 감압하고 AC 신호 또는 DC 신호의 입력 신호 로직을 중앙 처리 장치의 입력 포트로 전달하는 입력 신호 선택 처리부와, 상기 입력 신호 선택 처리부를 통해 인입된 입력 신호 로직과 메모리부에 저장된 저장 신호 로직을 비교한 다음 만약 일치할 경우 메모리부에 저장된 출력 신호 로직을 출력하며 만약 일치하지 않을 경우 알람(Alarm)을 발생하는 중앙 처리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은 저장된 펌웨어에 따라 구동되면서 입력 신호 전압 레벨 선택 스위치의 정보를 파악하여 여러 개의 신호 중 선택된 어느 한 개를 파악하고 입력 신호 선택 처리부를 통해 입력된 입력 신호 로직과 중앙 처리 장치에 저장된 저장 신호 로직을 비교한 다음 만약 일치할 경우 중앙 처리 장치에 저장된 출력 신호 로직으로 릴레이 구동부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은 입력 포트로 인입되는 다양한 전압 레벨과 입력 신호 로직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회로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으면서 프로그램의 구성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보드(Board)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의 구성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응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드(Board)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제품의 신뢰성 및 수명을 높일 수 있다.
또, 기존의 통합 릴레이 보드는 기본 펌웨어의 내용에 따라 입력 신호 로직이나 출력 신호 로직이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밖에 없는데, 본 발명은 펌웨어를 다시 프로그램해 주는 방법을 채택함으로서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면 1a는 본 발명의 외관에 대한 사시도,
도면 1b는 본 발명의 외관에 대한 평면도,
도면 2는 본 발명이 구성되는 PCB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면 3은 본 발명의 전체 제어 블록도,
도면 4는 중앙 처리 장치에 펌웨어와 신호 처리용 텍스트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구성도,
도면 5는 입력 신호 선택 처리부에 대한 구성도,
도면 6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앙 처리 장치로 인입되는 펌웨어와 신호 처리용 텍스트의 코드(Code)를 도시한 도면,
도면 7은 입력 신호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면 8은 본 발명에 펌웨어(Firmware) 또는 신호 처리용 텍스트가 다운로드되는 과정과 본 발명이 외부 단말기와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는 도면 1a 내지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 레벨이 다른 2개 이상의 AC 신호와 DC 신호 중 어느 한 개를 입력 신호 전압 레벨 선택 스위치(13)를 이용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한 개의 입력 신호 전압을 중앙 처리 장치(1)의 입력 포트에 적합한 전압 레벨로 감압하고 AC 신호 또는 DC 신호의 입력 신호 로직을 중앙 처리 장치(1)의 입력 포트로 전달하는 입력 신호 선택 처리부(3)와, 상기 입력 신호 선택 처리부(3)를 통해 인입된 입력 신호 로직과 메모리부에 저장된 저장 신호 로직을 비교한 다음 만약 일치할 경우 메모리부에 저장된 출력 신호 로직을 출력하는 중앙 처리 장치(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앙 처리 장치(1)에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저장 신호 로직의 정보가 포함된 신호 처리 로직 텍스트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텍스트 다운로더(5)가 부가 장착된다.
상기 신호 처리 로직 텍스트는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 환경 입출력 신호 정의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작성된 다음, 전용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텍스트 파일로 변환된다.
또한, 상기 텍스트 파일은 PC 구동 다운로드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중앙 처리 장치(1)의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PC 구동 다운로드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입출력 신호 로직을 쉽게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 장치(1)는 입력 신호 선택 처리부(3)를 통해 인입된 입력 신호 로직과 텍스트 다운로더(5)를 통해 중앙 처리 장치(1)에 저장된 저장 신호 로직을 비교한 다음 만약 일치하지 않을 경우 알람(Alarm)을 발생한다.
상기 중앙 처리 장치(1)에는 중앙 처리 장치(1)의 출력 신호 로직에 따라 릴레이(7)를 구동시키는 릴레이 구동부(9)와, 상기 릴레이 구동부(9)에 의해 스위치를 열거나 닫는 릴레이(7)가 부가 장착된다.
상기 릴레이(7)는 외부에 다양한 전원인 AC/DC를 공급할 수 있어 다양한 응용 분야의 신호 출력에 활용하기 좋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1)는 출력 상태를 확인한 다음, 출력 상태를 저장하거나 외부 요청이 있을 때 저장된 출력 상태를 제공한다.
상기 입력 신호 선택 처리부(3)는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 레벨이 다른 2개 이상의 AC/DC 신호가 연결되는 입력 단자대(11)와, 전압을 분압시켜 상기 입력 신호 전압 레벨 선택 스위치(13)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한개의 신호 전압을 옵토 커플러(15)(Opto-coupler)의 입력에 적합한 신호로 감압시키는 입력단 저항부(17), LED와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 사이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입력단 저항부(17)로부터 인입되는 입력 신호 로직에 따라 중앙 처리 장치(1)에 입력 신호 로직을 출력하면서 중앙 처리 장치(1)의 입력 포트에 적합하도록 신호를 감압시키는 옵토 커플러(15)(Opto-coupl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입력 신호 전압 레벨 선택 스위치(13)는 AC/DC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중앙 처리 장치(1)에 입력 가능하도록 감압 및 신호 처리한 다음 입력 신호 로직을 중앙 처리 장치(1)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 장치(1)에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웨어(Firmware)를 다운로드시키는 펌웨어 다운로더(19)(Firmware downloader)가 부가 장착되고, 상기 릴레이(7)에는 릴레이(7)의 스위치 단자와 연결됨과 더불어 릴레이(7)와 연동되는 외부 장치가 연결되도록 하는 출력 단자대(21)가 부가 장착된다.
기존의 중앙 처리 장치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저장 신호 로직은 처음 구성되고 난 다음, 특정 사양으로 규정된 입력 신호 로직만 처리 가능한데,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요구 사항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저장 신호 로직을 추후 변경하거나 규정된 방법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자면, 규정된 제어 정의 구문에서 논리적인 연산만을 제공하는데, 이를 비트 연산을 가능하게 하거나 입력 신호를 산술 연산하여 다른 입력값과 비교하는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규정 방법을 이해 및 적용할 수 있도록 원천적으로 중앙 처리 장치(1)의 펌웨어를 새로운 것으로 업데이트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레이 보드 구동 소스 프로그램을 작성한 다음, MCU 컴파일러를 통해 컴파일(Complile)한 다음, 생성된 MCU 실행 파일인 HEX 코드를 PC 구동 다운로드 전용 프로그램인 펌웨어 다운로드(19)를 이용하여 중앙 처리 장치(1)에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펌웨어 다운로더(19) 및 텍스트 다운로더(5)와 중앙 처리 장치(1) 사이에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시켜 외부 통신 장치와 중앙 처리 장치(1)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변환 모듈(29)이 부가 장착되고, 상기 통신 변환 모듈(29)은 USB 통신 방식을 UART 통신으로 변환한다.
도면 6은 PC 구동 다운로드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중앙 처리 장치(1)에 전송되는 펌웨어의 HEX 파일과 저장 신호 로직 정보를 담은 TEXT 파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중앙 처리 장치(1)에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3)가 부가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23)는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부(25)와, 상기 전원 입력부(25)로 인입된 전원 전압을 중앙 처리 장치(1)에 적합하도록 감압시키는 전원 변환부(27)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릴레이(7)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 상태 인디케이터(31)가 부가 장착되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1)에는 외부 단말기(33)와 정보 교환을 위해 통신 모듈(35)이 장착되는데, 상기 통신 모듈(35)은 RS485 프로토콜 방식을 통해 통신하는 RS485 트랜시버(Transceiver)임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해 입력 신호가 처리되는 과정은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신호 전압 레벨 선택 스위치(13)로부터 2개 이상의 AC 신호와 DC 신호 중 어느 한 개를 선택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101)와, 입력 신호를 중앙 처리 장치(1)의 입력 포트에 적합한 전압 레벨로 감압한 다음 입력 신호 로직과 중앙 처리 장치(1)에 저장된 저장 신호 로직을 비교하는 단계(S103), 만약 입력 신호 로직과 중앙 처리 장치(1)에 저장된 저장 신호 로직이 동일할 경우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반면 입력 신호 로직과 중앙 처리 장치(1)에 저장된 저장 신호 로직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S105), 상기 입력 신호와 중앙 처리 장치(1)에 저장된 신호 처리 로직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에서 알람 해제 상황이 되는지 반복적으로 확인하는 단계(S107), 상기 알람 해제 상황이 되는지 반복적으로 확인하는 단계(107)를 거친 다음 입력 신호 전압 레벨 선택 스위치(13)로부터 2개 이상의 AC 신호와 DC 신호 중 어느 한 개를 선택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101)로 복귀하는 단계(S109), 및 만약 입력 신호 로직과 중앙 처리 장치(1)에 저장된 저장 신호 로직이 동일할 경우 입력단으로 들어온 신호를 입력 처리하고(S111) 중앙 처리 장치(1)는 중앙 처리 장치(1)에 저장된 저장 신호 로직과 맞대응되는 출력 신호 로직을 출력하는 단계(S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펌웨어나 신호 처리 텍스트를 다운로드하거나 본 발명이 외부 단말기(33)와 통신하는 방법은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장치(1)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S201)와,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모드(Mode)가 메모리 업그레이드 모드인지 또는 외부 단말기(33) 통신 모드인지 파악하는 단계(S203), 만약 현재 모드가 메모리 업그레이드 모드이면 펌웨어 업그레이드 모드 또는 신호 처리 로직 텍스트 다운로드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205), 펌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신호 처리 로직 텍스트 다운로드가 완료되었다면 메모리 업그레이드 모드를 완료하는 단계(S207), 상기 중앙 처리 장치(1)의 통신부가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S209), 및 상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모드(Mode)가 메모리 업그레이드 모드인지 또는 외부 단말기(33) 통신 모드인지 파악하는 단계(S203)에서 만약 현재 모드가 외부 단말기(33) 통신 모드이면 외부 단말기(33) 통신 모드에 대한 명령을 확인하고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S211,S213)를 거친 다음 상기 중앙 처리 장치(1)의 통신부가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S20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은 저장된 펌웨어에 따라 구동되면서 입력 신호 전압 레벨 선택 스위치(13)의 정보를 파악하여 여러 개의 신호 중 선택된 어느 한 개를 파악하고 입력 신호 선택 처리부(3)를 통해 입력된 입력 신호 로직과 중앙 처리 장치(1)에 저장된 저장 신호 로직을 비교한 다음 만약 일치할 경우 중앙 처리 장치(1)에 저장된 출력 신호 로직으로 릴레이 구동부(9)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은 입력 포트로 인입되는 다양한 전압 레벨과 입력 신호 로직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회로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으면서 프로그램의 구성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보드(Board)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의 구성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응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드(Board)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제품의 신뢰성 및 수명을 높일 수 있다.
또, 기존의 통합 릴레이 보드는 기본 펌웨어의 내용에 따라 입출력 신호 로직이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밖에 없는데, 본 발명은 펌웨어를 다시 프로그램해 주는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 중앙 처리 장치 3. 입력 신호 선택 처리부
5. 텍스트 다운로더 7. 릴레이
9. 릴레이 구동부 11. 입력 단자대
13. 입력 신호 전압 레벨 선택 스위치 15. 옵토 커플러
17. 입력단 저항부 19. 펌웨어 다운로더
21. 출력 단자대 23. 전원 공급부
25. 전원 입력부 27. 전원 변환부
29. 통신 변환 모듈 31. 출력 상태 인디케이터
33. 외부 단말기 35. 통신 모듈

Claims (6)

  1. 전압 레벨이 다른 2개 이상의 AC 신호와 DC 신호 중 어느 한 개를 입력 신호 전압 레벨 선택 스위치(13)를 이용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한 개의 신호 전압의 입력 신호 로직을 중앙 처리 장치(1)의 입력 포트로 전달하는 입력 신호 선택 처리부(3)와;
    상기 입력 신호 선택 처리부(3)를 통해 인입된 입력 신호 로직과 메모리부에 저장된 저장 신호 로직을 비교한 다음, 일치할 경우 메모리부에 저장된 출력 신호 로직을 출력하며, 일치하지 않을 경우 알람(Alarm)을 발생하는 중앙 처리 장치(1)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력 신호 선택 처리부(3)는 전압 레벨이 다른 2개 이상의 AC/DC 신호가 연결되는 입력 단자대(11)와,
    전압을 분압시켜 상기 입력 신호 전압 레벨 선택 스위치(13)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한 개의 신호 전압을 옵토 커플러(15)(Opto-coupler)의 입력 신호로 감압시키는 입력단 저항부(17),
    LED와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 사이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입력단 저항부(17)로부터 인입되는 입력 신호 로직에 따라 중앙 처리 장치(1)에 입력 신호 로직을 출력하면서 중앙 처리 장치(1)의 입력 포트에 적합하도록 신호를 감압시키는 옵토 커플러(15)(Opto-coupler)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 처리 장치(1)에는 펌웨어(Firmware)를 다운로드시키는 펌웨어 다운로더(19)(Firmware downloader)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저장 신호 로직의 정보가 포함된 신호 처리 로직 텍스트를 다운로드시키는 신호 처리 로직 텍스트 다운로더(5)가 부가 장착되고,
    상기 입력 신호 전압 레벨 선택 스위치(13)는 AC/DC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중앙 처리 장치(1)에 입력 가능하도록 감압 및 신호 처리한 다음 입력 신호 로직을 중앙 처리 장치(1)로 전달하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1)에는 외부 단말기(33)와 정보 교환을 위해 통신 모듈(35)이 부가 장착되며,
    상기 중앙 처리 장치(1)에는 중앙 처리 장치(1)의 출력 신호 로직에 따라 릴레이(7)를 구동시키는 릴레이 구동부(9)와,
    상기 릴레이 구동부(9)에 의해 스위치를 열거나 닫는 릴레이(7)가 부가 장착되고,
    상기 릴레이(7)에는 릴레이(7)의 스위치 단자와 연결됨과 더불어 릴레이(7)와 연동되는 외부 장치가 연결되도록 하는 출력 단자대(21)가 부가 장착되며,
    상기 펌웨어 다운로더(19) 및 텍스트 다운로더(5)와 중앙 처리 장치(1) 사이에는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시켜 외부 통신 장치와 중앙 처리 장치(1)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변환 모듈(29)이 부가 장착되고, 상기 통신 변환 모듈(29)은 USB 통신 방식을 UART 통신으로 변환하며,
    상기 중앙 처리 장치(1)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3)가 부가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23)는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부(25)와, 상기 전원 입력부(25)로 인입된 전원 전압을 중앙 처리 장치(1)에 적합하도록 감압시키는 전원 변환부(27)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 처리 로직 텍스트는 PC 환경 입출력 신호 정의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작성된 다음, 전용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텍스트 파일로 변환되고,
    상기 텍스트 파일은 PC 구동 다운로드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중앙 처리 장치(1)의 메모리부에 저장되며,
    상기 중앙 처리 장치(1)의 펌웨어를 새로운 것으로 업데이트시키기 위해서는 릴레이 보드 구동 소스 프로그램을 작성한 다음, MCU 컴파일러를 통해 컴파일(Complile)한 다음, 생성된 MCU 실행 파일인 HEX 코드를 PC 구동 다운로드 전용 프로그램인 상기 펌웨어 다운로드(19)를 이용하여 중앙 처리 장치(1)에 업데이트 시키며,
    상기 릴레이(7)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 상태 인디케이터(31)가 부가 장착되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1)에는 외부 단말기(33)와 정보 교환을 위해 통신 모듈(35)이 장착되며, 상기 통신 모듈(35)은 RS485 프로토콜 방식을 통해 통신하는 RS485 트랜시버(Transceiv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54298A 2015-04-17 2015-04-17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 KR101538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298A KR101538156B1 (ko) 2015-04-17 2015-04-17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298A KR101538156B1 (ko) 2015-04-17 2015-04-17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156B1 true KR101538156B1 (ko) 2015-07-21

Family

ID=5387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298A KR101538156B1 (ko) 2015-04-17 2015-04-17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1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9512A1 (de) * 2015-11-12 2017-05-18 Eaton Electrical Ip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elektromagnetischen Antriebs eines Schaltgerä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0225A (ja) * 1998-03-10 1999-09-24 Chino Corp 入力切換装置
KR20060049613A (ko) * 2004-06-25 2006-05-19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원격제어 배선기구
KR20080017669A (ko) * 2006-08-22 2008-02-27 김진형 데이터 수신형 릴레이 보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0225A (ja) * 1998-03-10 1999-09-24 Chino Corp 入力切換装置
KR20060049613A (ko) * 2004-06-25 2006-05-19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원격제어 배선기구
KR20080017669A (ko) * 2006-08-22 2008-02-27 김진형 데이터 수신형 릴레이 보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9512A1 (de) * 2015-11-12 2017-05-18 Eaton Electrical Ip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elektromagnetischen Antriebs eines Schaltgerä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065B1 (ko) 전자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576638B2 (en) Teaching device
US10782938B2 (en) Multiple interface led driver programmer
JP5018477B2 (ja) インバータ
US6601115B1 (en) Communication protocol converter system and monitor device
KR101538156B1 (ko) 다양한 ac/dc 입출력 신호의 제어 기능을 갖춘 통합 릴레이 보드 및 동작 방법
US20160147695A1 (en) Field bus coupler for connecting input/output modules to a field bus, and method of operation for a field bus coupler
JP2010097390A (ja) データ書換システム
US11646914B2 (e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KR101536119B1 (ko) 다양한 아날로그/디지털 입출력 신호의 실시간 처리와 hmi 기능을 갖는 vfd 통합 제어 보드
Lai et al. Bluetooth based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ndroid and arduino
KR101632416B1 (ko) 배선작업 간소화를 위한 실시간 입출력 정보 상호 교환을 통한 로컬/원격입출력 확장 및 연동 처리 기능을 갖는 입출력 분산제어모듈 및 그 동작 방법
CN110008160B (zh) 信息处理装置
WO2021005824A1 (ja) 信号処理装置
JP2016062850A (ja) 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装置および照明制御方法
KR20170106797A (ko) 펌웨어 다중 다운로드가 가능한 plc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plc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lc 시스템의 펌웨어 다중 다운로드 방법
US20220050622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rewrite device
EP3396872A1 (en) State display apparatus, state display system, and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KR20160096398A (ko) 티칭 펜던트를 이용한 이종 로봇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16152090A (ja) 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JP2020112955A (ja) 負荷制御スイッチ
US9059629B2 (en) Power supply device system,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control parameter generation device, and program
JP6580890B2 (ja)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8287618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2006185077A (ja) 伝送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