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806B1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806B1
KR100592806B1 KR1020030073713A KR20030073713A KR100592806B1 KR 100592806 B1 KR100592806 B1 KR 100592806B1 KR 1020030073713 A KR1020030073713 A KR 1020030073713A KR 20030073713 A KR20030073713 A KR 20030073713A KR 100592806 B1 KR100592806 B1 KR 100592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weight
canopy
work vehicle
lower attachment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587A (ko
Inventor
카츠미 요코오
토시후미 오기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츠 세이사꾸쇼
고마츠제노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4264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9755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42613A external-priority patent/JP453443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츠 세이사꾸쇼, 고마츠제노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40036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면을 대략 원호형으로 성형한 주조제의 카운터웨이트로서, 상기 카운터웨이트(1)는, 하부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으로 대략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연장부의 선단부와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중앙부의 하부에는 하부 부착 시트를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는 캐노피 부착 시트를 마련한 카운터웨이트(1)와, 지붕부(22)와, 상기 지붕부를 지지하는 좌우에 세워 설치한 일직선의 지주(21)와, 상기 지주의 하단부를 고정 부착시키는 주조제의 하부 부착 부재(23)를 갖는 캐노피(2)를 구비하며, 상기 캐노피(2)가 상기 카운터웨이트(1)에 얹혀진다.
작업차량, 캐노피, 카운터웨이트, 지붕

Description

작업 차량 {WORK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카운터웨이트와 캐노피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카운터웨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카운터웨이트와, 스페이서와, 캐노피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카운터웨이트에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캐노피를 얹어 놓은 부착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캐노피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플로어가 틸팅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캐노피를 갖는 작업 차량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ROPS 캐노피와, 카운터웨이트와,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작업 차량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운터웨이트 2: 캐노피
9: 작업 차량 11: 연장부
12: 연장부 22: 지붕
23: 브라켓
본 발명은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도 9에 도시 토목 공사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소형 굴삭 작업 차량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소형 굴삭 작업 차량은 작업 장치(90)의 장착 위치의 반대측에 작업 장치에 걸리는 하중에 대하여 차량의 균형을 잡기 위한 카운터웨이트(100)를 설치함과 동시에, 캐노피(200)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안전성 향상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서, 차량이 전도되었을 때에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ISO 규격 등에 규정된 강도 기준에 적합한 운전자 보호 구조, 즉 ROPS(Roll-overProtective Structure)를 구비한 캐노피, 또는 운전실(cab)이 요구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도 10은 소형 굴삭 작업차에 장착되는 종래의 ROPS 캐노피의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50)에 판금 구성의 ROPS 캐노피 지지 부재(110)를 부착하고, 이 ROPS 캐노피 지지 부재(110) 위에 판금 구성의 캐노피(210)를 부착하여 규정 강도를 갖게 함으로써 ROPS 캐노피를 구성하고 있다(예컨대, 「Bobcat, Model56 Hydraulic Excavator Parts Manual」 Melroe Company, 1986년 11월, p.A3 참조).
또한, 예컨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운터웨이트(120)를 상측으로 연장되게 설치하고, 카운터웨이트(120)의 상단측에 캐노피(220)를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221)를 마련하여 캐노피(220)를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개평 10-140607호 공보(제2-5페이지, 제1-6도)참조).
그러나,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종래의 ROPS 캐노피 지지 부재(110)는 판금 구성이기 때문에, ROPS 캐노피(210)를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규정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또한 중량이 증대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대폭 상승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도 10에 도시하는 ROPS 캐노피 지지 부재(110)의 후방부에는 엔진(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 ROPS 캐노피 지지 부재(110)는 엔진의 점검, 정비 등을 행하기 위한 작업에 방해가 되어, 엔진의 정비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카운터웨이트(120)는 카운터 웨이트(120)를 상측으로 연장되게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카운터웨이트(120)의 무게 중심을 후단측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어 작업시의 안정성이 개선되지만, ROPS 캐노피를 지지하는 카운터웨이트로서 규정 강도를 만족시키는 구조물이 아니므로, 캐노피(220)는 ROPS 캐노피를 구성할 수 없다.
또한, 캐노피(220)의 서포트 부재(220a)는 운전석(S) 후방에 2개가 폭이 좁게 세워져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특개평 10-140607 참조), 후방 확인이 많은 작업자에게 있어서, 후방 시계의 중앙부 근방 영역에 2개의 서포트 부재(220a)가 위치하게 되어, 후방 시계가 반드시 양호하지는 않다.
또한, 특개평 10-140607에는 제2 실시예로서, 굵은 서포트 부재(220a)를 1개 설치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작업자의 좌석 위치의 바로 뒤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후방 시계의 중앙부에 서포트 부재(220a)가 위치하게 되어, 시계의 중앙부를 가리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후방 시계에 관하여 한층 더 개선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구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ROPS 캐노피를 구비함과 동시에, 정비성을 개선하고, 또한, 작업자의 후방 시계를 양호하게 한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의 발명은, 외면을 대략 원호형으로 성형한 주조제의 카운터웨이트로서,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하부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으로 대략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연장부의 선단부와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중앙부의 하부에는 하부 부착 시트를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는 캐노피 부착 시트를 마련한 카운터웨이트와, 지붕부와, 상기 지붕부를 지지하는 좌우에 세워 설치한 일직선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하단부를 고정 부착시키는 주조제의 하부 부착 부재를 갖는 캐노피를 구비하며, 상기 캐노피가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얹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1 발명에 의하면, 외면을 대략 원호형으로 성형한 주조제 의 카운터웨이트로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하부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으로 대략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연장부의 선단과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중앙부의 하부에는 하부 부착 시트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원호형으로 떨어진 3개소의 하부 부착 시트에서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외력에 대하여 강고히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 부착하는 ROPS 캐노피의 받침대로서 요구되는 규정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지붕부를 지지하는 좌우에 세워 설치한 지주는 일직선이기 때문에, 굽힘 가공이 곤란한 고강도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지주의 하단부를 고정 부착시키는 하부 부착 부재가 주조제이기 때문에, 상기 지주의 부착부를 응력 집중을 경감시키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조에 의해 ROPS 캐노피에 요구되는 규정 강도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되기 때문에, 4개 지주에 비해서 전방 시계가 우수한 2개 지주의 ROPS 캐노피를 경량이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제2 발명은 제1 의 발명에 기초하여,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중앙부에 점검 구멍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에 의하면,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중앙부에 점검 구멍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전방부의 엔진 룸에 설치되어 있는 엔진의 오일 레벨의 점검이나, 필터 교환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3 의 발명은, 제1 의 발명에 기초하여, 캐노피 부착용 탭구멍과,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대한 부착용 탭구멍을 형성한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상기 캐노피를 상 기 카운터웨이트에 얹어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에 의하면, 캐노피 부착용 탭구멍과,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대한 부착용 탭구멍을 형성한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하여 상기 캐노피를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얹어 놓았기 때문에, 상기 카운터웨이트 상면의 캐노피 부착 시트의 폭을 크게 형성하지 않고서, 이 스페이서의 폭을 크게 함으로써 상기 캐노피의 하부 부착 부재와의 접촉부의 폭을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캐노피의 부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카운터웨이트 상면의 캐노피 부착 시트의 폭을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엔진 룸의 스페이스가 좁아지지 않는다.
제 4의 발명은, 제 3의 발명에 기초하여, 상기 스페이서의 좌우 단부에 플로어 부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페이서의 좌우 단부에 플로어 부착부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부착시키고 있는 부착용 탭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를 제거함으로써, 플로어는 캐노피를 일체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플로어의 전단부에 마련된 틸트용 힌지의 힌지 핀을 중심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 룸의 상측 공간이 넓게 개방되기 때문에, 점검·정비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제 5발명은,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카운터웨이트 위에 마련되고, 지붕부를 지지하는 좌우 2개의 지주를 구비하는 캐노피와, 작업자가 착석하는 운전석을 구비하며, 상기 캐노피에 있어서의 2개의 지주는, 상기 운전석의 폭치수보다 넓은 간격 치수를 가지며, 또 상기 운전석의 측방이자 바로 옆 영역 또는 후방 영역에 위치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발명에 의하면, 캐노피에 있어서의 2개의 지주가 상기 운전석의 폭치수보다 넓은 간격 치수를 갖기 때문에, 횡방향 하중에 대한 지주의 내하중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캐노피에 있어서의 2개의 지주는 운전석의 측방이자 바로 옆 영역 또는 후방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후방 시계의 중앙부에 시계를 가리는 것이 없어 후방 시계성이 양호하다.
제 6발명은, 제 5발명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석의 아래쪽에 엔진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발명에 의하면, 엔진이 운전석의 아래쪽에 설치되기 때문에, 운전석을 보다 후방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의 운전 스페이스가 확대되어 조작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차체에 대한 승하차성이 양호하다.
제 7발명은, 제 5또는 제 6 발명에 기초하여, 상기 캐노피는 상기 2개의 지주의 하부에 차체의 중심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상기 캐노피를 장착하기 위한 하부 부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발명에 의하면, 캐노피의 하부 부착 부재가 차체의 중심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캐노피를 차체의 중심측에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하부 부착 부재가 차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차체의 컴펙트화에 기여한다.
제 8발명은, 제5 또는 제6 발명에 기초하여, 상기 캐노피는 상기 2개의 지주 를 하부에서 서로 연결하고, 상기 캐노피를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장착하기 위한 하부 부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발명에 의하면, 캐노피는 2개의 지주를 하부에서 하부 부착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하기 때문에, 캐노피가 직사각 형상의 견고한 구조체를 형성하여 횡방향 하중에 대한 내하중 강도가 높아진다.
제9발명은, 제 7 또는 제 8 발명에 기초하여, 상기 캐노피에 있어서의 하부 부착 부재는 주물제 또는 단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발명에 의하면, 캐노피의 하부 부착 부재가 주물제인 경우에는, 응력 집중을 경감시키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캐노피의 하부 부착 부재가 단조제인 경우에는, 단류선(鍛流線)이 표면을 따라서 흐르고 있기 때문에 제품 강도가 높다.
따라서, 캐노피의 하부 부착 부재가 주물제 또는 단조제의 어느 경우에도 내하중 강도가 높아져, ROPS 캐노피에 요구되는 규정 강도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제 10발명은, 카운터웨이트와, 지붕부가 좌우 2개의 지주로 지지되고, 이 2개의 지주의 하부에 하부 부착 부재를 구비하는 캐노피와, 상기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캐노피의 하부 부착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를 구비하며, 운전석 등을 구비하는 플로어에 상기 스페이서를 장착하고, 또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캐노피의 하부 부착 부재를 볼트에 의해 체결함과 동시에,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볼트에 의해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 발명에 의하면, 플로어는 전단부에 마련된 틸트용 힌지를 중심으로 캐 노피와 일체로 고정된 채로 틸팅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의 상측 공간이 넓게 개방되기 때문에, 점검·정비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카운터웨이트와 캐노피를 연결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캐노피 대신에 캐빈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스페이서를 제거하고 캐빈을 플로어에 부착할 수 있어, 구성상의 자유도가 높다.
제 11발명은, 하부의 좌우에 전방 및 측방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하부 부착 시트를 갖는 연장부와, 상부에 형성된 캐노피 부착 시트를 구비하는 카운터웨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상기 하부 부착 시트에 의해 프레임에 장착함과 동시에, 캐노피를 상기 캐노피 부착 시트를 개재하여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 발명에 의하면, 작업 차량의 카운터웨이트에, 하부에 있어서 좌우에 전방 및 측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고, 그 연장부에 하부 부착 시트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카운터웨이트를 연장부의 하부 부착 시트에서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트는 전방 및 측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에 의해 외력에 대하여 강고히 고정되기 때문에,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 부착하는 ROPS 캐노피의 받침대로서 요구되는 규정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4개 지주에 비해서 전방 시계가 우수한 2개 지주의 ROPS 캐노피를 경량이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제 12 발명은 제1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후방측의 외면이 전방에 위치하는 수직축 둘레의 대략 원호형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3발명은, 제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중앙부에 메인터넌스용의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3 발명에 의하면, 카운터 웨이트의 중앙부에 메인터넌스용의 개구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카운터웨이트의 전방부의 엔진 룸에 설치되어 있는 엔진의 오일 레벨의 점검이나, 필터 교환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 14 발명은, 제11 발명으로부터 13의 발명까지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주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4 발명에 의하면, 카운터웨이트가 주조제이기 때문에, 응력 집중을 경감시키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의 일례인 소형 굴삭 차량의 외관의 측면도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의 후단부에 카운터웨이트(1)가 설치되고, 이 카운터웨이트(1)는 프레임의 전단부에 설치된 작업 장치(9)에 걸리는 하중에 대하여 균형을 잡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카운터웨이트(1)의 전방이고, 작업자가 착석하는 운전석(Os)의 아래쪽에 엔진(36)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운전석(Os)을 차체상의 보다 후방에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 로 운전석(Os) 바로 앞의 작업자의 운전 스페이스를 넓힐 수 있어, 조작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작업자의 승하차성도 향상되어 있다.
도 3은 카운터웨이트(1)와, 카운터웨이트(1)에 얹혀진 캐노피(2)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카운터웨이트(1)는 주조제로서 외면이 대략 원호형으로 성형되고, 하부에는, 대략 원호형으로 좌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1)및 우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가 형성되며, 연장부(11)의 선단부 및 연장부(12)의 선단부, 및 중앙부의 하부(13)에 좌측의 하부 부착 시트(11a) 및 우측의 하부 부착 시트(12a), 및 중앙의 하부 부착 시트(13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카운터웨이트(1)는 각각 대략 원호형으로 떨어진 위치에 마련된 하부 부착 시트(11a) 및 하부 부착 시트(12a) 및 하부 부착 시트(13a)에 있어서 볼트(14) 및 볼트(15) 및 볼트(16)에 의해 프레임(5)(이점 쇄선으로 도시함)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5)에 강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전도시에, 카운터웨이트(1) 및 카운터웨이트(1)의 상면에 장착되는 ROPS 캐노피(2)에 걸리는 힘을 충분히 받아낼 수 있다.
또한, 캐노피(2)는, 도 4에 도시하는 카운터웨이트(1)의 상면(16)에 뚫린 복수개의 볼트 구멍(17)과, 도 3에 도시하는 캐노피(2)의 하부 부착 브래킷(23)의 볼트 구멍(23A)에 복수개의 볼트(28)를 삽입 관통시켜 너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카운터웨이트(1)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부착 브래킷(23)은 주조제이기 때문에, 지붕(22)을 지지하는 좌측의 지주(21a) 및 우측의 지주(21b)의 각각의 부착부(24a) 및 부착부(24b)를 응력 집중을 경감시키는 매 끄러운 형상으로 성형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지주(21a) 및 지주(21b)는 일직선의 굵은 파이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캐노피(2)는 ROPS 캐노피에 요구되는 규정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하부 부착 브래킷(23)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의 중심측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지주(21a), 지주(21b)의 하부가 끼워 넣어져 부착되며, 2개의 지주(21a), 지주(21b)는 하부 부착 브래킷(23)을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캐노피를 카운터웨이트(1)에 부착하기 위한 하부 부착 브래킷(23)이 중심측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캐노피(2)가 차체의 중심측에 있어서 부착되고, 캐노피(2)의 부착 스페이스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차체가 컴팩트하게 되어 있다.
또한, 캐노피(2)에 있어서의 2개의 지주(21a, 21b)가 하부 부착 브래킷(23)을 개재하여 하부에서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캐노피(2)는 직사각 형상의 견고한 구조체를 형성하며, 2개의 지주(21a, 21b)가 하부에서 분리된 구조에 비해서 캐노피(2)의 측방으로부터 인가되는 횡방향 하중에 대하여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캐노피(2)에 있어서의 2개의 지주(21a, 21b)의 하부를 하부 부착 브래킷(23)을 개재하여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연결하지 않고 분리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하부 부착 브래킷(23)이 주조제인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단조제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단조선이 표면을 따라서 흐르고 있기 때문에 주조제에 비해서 제품 강도가 높다고 하는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캐노피(2)의 지붕(22)은 2개의 지주(21a, 21b)로 지지되어 있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지주(21a, 21b) 사이의 간격 치수(21l)는 운전석(Os)의 폭치수(b)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주(21a, 21b) 사이의 간격 치수(21l)가 운전석(Os)의 폭치수(b)보다 넓기 때문에, 캐노피(2)의 측부에 횡방향의 하중이 인가된 경우에도, 하중점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지주{지주(21a, 21b) 중 어느 하나의 지주}까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반대쪽 지주에 가해지는 모멘트 아암의 길이가 길어져, 횡방향의 하중이 한쪽 지주에 인가된 경우 반대쪽 지주에 가해지는 모멘트에 따른 하중이 저하된다.
따라서, 지주(21a, 21b) 사이의 간격 치수(21l)를 운전석(Os)의 폭치수(b)보다 넓게 설정함으로써, 한쪽 지주에 가해지는 횡방향 하중에 의한 모멘트에 대한 캐노피(2)의 반대쪽 지주의 버팀능력이 커지게 된다.
또한, 캐노피(2)의 지주(21a, 21b)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석(Os)의 측방이자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주(21a, 21b)가 운전석(Os)의 측방이자 후방 영역에 위치하고, 또한, 지주 사이의 치수(21l)가 운전석(Os)의 폭치수(b)보다 넓기 때문에, 작업자의 바로 뒤의 시계는 넓게 개방되어, 작업자의 후방 시계를 가리는 것이 없어 후방 시계성이 양호하다.
단, 지주(21a, 21b)는 운전석(Os)의 측방이자 바로 옆 영역에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작업자의 바로 뒤의 시계는 넓게 개방되어, 작업자의 후방 시계를 가리는 것이 없어 후방 시계성이 양호하다.
여기서, 캐노피(2)의 지주(21a, 21b)의 최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차체가 후방으로 약간 선회 가능하며, 즉 작업 장치(9)의 선회시에 차체 후방부가 캐터필러(r)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고, 또한, 작업자의 운전 스페이스를 넓히기 위해서 운전석(Os)을 보다 후방에 배치하는 것 등이 조건으로 되어 있다.
추가로, 보다 좋은 제품이기 위해서는, 캐노피(2)의 강도 향상, 및 작업자의 시계성이 양호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지주(21a, 21b)의 배치는,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최적의 2개의 지주의 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운터웨이트(1)의 중앙부에 점검 구멍(18)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카운터웨이트(1)의 전방부의 엔진 룸에 설치되어 있는 엔진(36)의 오일 레벨의 점검이나, 필터 교환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3)를 개재하여 캐노피(2)를 카운터웨이트(1) 위에 얹어 놓아도 좋다. 즉, 도 6의 부분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3)에는 캐노피 부착용 탭구멍(31)과, 카운터웨이트에 대한 부착용 탭구멍(32)이 마련되어 있고, 스페이서(3)를 복수개의 볼트(33)에 의해 캐노피(2)의 하부 부착 브래킷(23)에 부착하며, 그 스페이서(3)를 복수개의 볼트(34)에 의해 카운터웨이트(1)에 부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카운터웨이트(1) 상면의 캐노피 부 착 시트(16)의 폭을 크게 형성하지 않고서, 스페이서(3)의 폭을 크게 취함으로써 캐노피(2)의 하부 부착 브래킷(23)과의 접촉부의 폭을 크게 할수 있게 되기 때문에, 부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카운터웨이트 상면의 캐노피 부착 시트(16)의 폭을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엔진 룸의 스페이스(35)가 좁아지지 않는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3)의 좌우 단부에는, 후술하는 플로어(4)의 좌측의 부착부(3a) 및 우측의 부착부(3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석(Os) 등을 구비하는 플로어(4)를 이 스페이서(3)의 부착부(3a, 3b)에 볼트(bf)에 의해 부착하는 구성이다.
본 구성에 의해, 도 6에 있어서 스페이서(3)를 카운터웨이트(1)에 부착시키고 있는 부착용 탭구멍(32)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34)를 제거함으로써, 플로어(4)가 틸팅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8과 같이, 플로어(4)는 전단부에 마련된 틸트용 힌지의 힌지 핀(41)을 중심으로 캐노피(2)와 일체로 고정된 채로 틸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36)의 상측 공간이 넓게 개방되기 때문에, 점검·정비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스페이서(3)를 개재하여 카운터웨이트(1)와 캐노피(2)를 연결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캐노피(2) 대신에 캐빈(도시하지 않음)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스페이서(3)를 제거하고 캐빈을 플로어(4)에 부착할 수 있어, 구성상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며, 구성상의 자유도가 높다.
본 발명의 작업차량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ROPS 캐노피를 구비함과 동시에, 정비성을 개선하고, 또한, 작업자의 후방 시계를 양호하게 한다.

Claims (14)

  1. 외면을 대략 원호형으로 성형한 주조제의 카운터웨이트로서,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하부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으로 대략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연장부의 선단부와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중앙부의 하부에는 하부 부착 시트를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는 캐노피 부착 시트를 마련한 카운터웨이트와, 지붕부와, 상기 지붕부를 지지하는 좌우에 세워 설치한 일직선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하단부를 고정 부착시키는 주조제의 하부 부착 부재를 갖는 캐노피를 구비하며, 상기 캐노피가 상기 카운터웨이트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중앙부에 점검 구멍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캐노피 부착용 탭구멍과,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대한 부착용 탭구멍을 형성한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상기 캐노피를 상기 카운터웨이트 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좌우 단부에 플로어 부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작업자가 착석하는 운전석을 더 구비하며,
    상기 캐노피에 있어서의 2개의 지주는, 상기 운전석의 폭치수보다 넓은 간격 치수를 가지며, 또 상기 운전석의 측방이자 바로 옆 영역 또는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의 아래쪽에 엔진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는 상기 2개의 지주의 하부에 차체의 중심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상기 캐노피를 장착하기 위한 하부 부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는 상기 2개의 지주를 하부에서 서로 연결하고, 상기 캐노피를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장착하기 위한 하부 부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에 있어서의 하부 부착 부재는 주물제 또는 단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10. 카운터웨이트와, 지붕부가 좌우 2개의 지주로 지지되고, 이 2개의 지주의 하부에 하부 부착 부재를 구비하는 캐노피와, 상기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캐노피의 하부 부착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를 구비하며,
    운전석 등을 구비하는 플로어에 상기 스페이서를 장착하고,
    또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캐노피의 하부 부착 부재를 볼트에 의해 체결함과 동시에,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볼트에 의해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11. 하부의 좌우에 전방 및 측방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하부 부착 시트를 갖는 연장부와, 상부에 형성된 캐노피 부착 시트를 구비하는 카운터웨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상기 하부 부착 시트에 의해 프레임에 장착함과 동시에, 캐노피를 상기 캐노피 부착 시트를 개재하여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후방측의 외면이 전방에 위치하는 수직축 둘레의 대략 원호형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중앙부에 메인터넌스용의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주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KR1020030073713A 2002-10-23 2003-10-22 작업 차량 KR100592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08639 2002-10-23
JP2002308639 2002-10-23
JP2003142647A JP2004197550A (ja) 2002-10-23 2003-05-20 作業車両
JPJP-P-2003-00142613 2003-05-20
JPJP-P-2003-00142647 2003-05-20
JP2003142613A JP4534433B2 (ja) 2003-05-20 2003-05-20 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587A KR20040036587A (ko) 2004-04-30
KR100592806B1 true KR100592806B1 (ko) 2006-06-26

Family

ID=3207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713A KR100592806B1 (ko) 2002-10-23 2003-10-22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31687B2 (ko)
EP (1) EP1413684A1 (ko)
KR (1) KR1005928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6265A1 (ja) * 2003-02-27 2004-09-10 Komatsu Ltd. 後端小旋回油圧ショベル
JP4211919B2 (ja) 2003-03-24 2009-01-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カウンタウエイト
JP2004360232A (ja) * 2003-06-02 2004-12-24 Komatsu Ltd 作業車両
JP4233494B2 (ja) * 2004-06-09 2009-03-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におけるキャノピ取付構造
JP2005350911A (ja) 2004-06-09 2005-12-22 Komatsu Ltd 作業車両
KR100693978B1 (ko) * 2004-11-19 2007-03-1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선회 작업기
JP4667142B2 (ja) * 2005-07-05 2011-04-06 ヤンマー株式会社 旋回作業車
JP4467595B2 (ja) * 2007-03-28 2010-05-2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キャノピ装置
US20090230710A1 (en) * 2008-03-14 2009-09-17 Clark Equipment Company Rear accessible service hatch
US9235644B2 (en) * 2008-07-14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Operator, device and platform independent aggregation, cross-platform translation, enablement and distribution of user activity catalogs
JP1525232S (ko) * 2014-05-08 2015-06-01
JP1525233S (ko) * 2014-05-08 2015-06-01
JP1524377S (ko) * 2014-05-08 2015-05-25
CN105443126A (zh) * 2014-08-25 2016-03-30 洛阳金马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掘进机司机棚
DE112015006147T5 (de) * 2015-10-20 2017-11-23 Komatsu Ltd. Raupenkettenglie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aupenkettenglieds
KR102586882B1 (ko) * 2018-03-09 2023-10-10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캐노피 조립체
USD917583S1 (en) * 2018-12-07 2021-04-27 Ssab Technology Ab Excavator bucket
USD918275S1 (en) * 2018-12-10 2021-05-04 Kubota Corporation Backhoe load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7484A (en) * 1970-05-05 1972-08-29 Clark Equipment Co Lift truck with overhead guard and counterweight
US3933371A (en) * 1975-04-21 1976-01-20 Clark Equipment Company Overhead guard for lift trucks
GB2051707B (en) * 1979-06-02 1983-02-16 Coventry Climax Ltd Industrial truck
US4666183A (en) * 1986-01-14 1987-05-19 J. I. Case Company Roll-over protection device
JP2659563B2 (ja) * 1988-09-03 1997-09-30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旋回形建設機械のフレーム構造
JPH0648693A (ja) 1992-07-28 1994-02-2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フォークリフトの車体構造
JP3716010B2 (ja) 1995-07-10 2005-11-16 石川島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H09328781A (ja) 1996-06-07 1997-12-22 Ishikawajima Constr Mach Co 建設機械
JPH10128490A (ja) 1996-10-21 1998-05-1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用カウンタウエイトの製造方法
JPH10140607A (ja) 1996-11-08 1998-05-26 Kubota Corp 旋回作業機
US5845940A (en) * 1996-12-11 1998-12-08 Daewoo Heavy Industries Ltd. Fuel tank mount for forklift trucks with a damped swing arm swingable along a tilted arc
US6170588B1 (en) * 1997-06-03 2001-01-09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Revolving construction machine
JPH11269928A (ja) 1998-03-25 1999-10-05 Kubota Corp バックホー並びに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装置
JP4200194B2 (ja) 1999-04-26 2008-12-24 ヤンマー建機株式会社 旋回作業車のキャノピー支持構造
JP3681923B2 (ja) * 1999-06-18 2005-08-10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ATE298685T1 (de) * 2000-04-14 2005-07-15 Hans Sauermann Rückhaltesystem für einen fahrer, insbesondere eines flurförderfahrzeugs
JP2002020085A (ja) * 2000-07-05 2002-01-23 Toyota Industries Corp フォークリフトのフード開閉装置
JP3973446B2 (ja) 2002-02-19 2007-09-12 石川島建機株式会社 作業機の上部旋回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13684A1 (en) 2004-04-28
KR20040036587A (ko) 2004-04-30
US20040084934A1 (en) 2004-05-06
US7131687B2 (en) 200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806B1 (ko) 작업 차량
KR100465185B1 (ko) 프레임형 트랙터
EP1748113A2 (en) Structure of upper frame for supporting cabin of construction machinery
CN100447352C (zh) 工程机械用司机室
EP1754835A1 (en) Canopy installation structure in working vehicle
CN213268067U (zh) 工程机械的顶棚组件
US8579364B2 (en) Work vehicle
KR100540503B1 (ko) 롤오버 프로텍트 시스템부착 트랙터를 위한 보강프레임 구조
JP2000309946A (ja) 旋回作業車のキャノピー支持構造
KR100675445B1 (ko) 작업차량
JP6488228B2 (ja) キャノピ及びキャノピを備えた作業機
JPH10276506A (ja) フロントローダ装着可能なトラクタ前部構造
JP4156973B2 (ja) 運転室補強構造
JP4333921B2 (ja) 作業車両
JP3697370B2 (ja) 旋回作業機
JP4569334B2 (ja) 作業機械
JP5240851B2 (ja) 作業機械
JP6567407B2 (ja) キャノピ及びキャノピを備えた作業機
JP4534433B2 (ja) 作業車両
JP2004197550A (ja) 作業車両
CN209837146U (zh) 工程机械的顶棚组件
JP2018087458A (ja) 建設機械
JP4197072B2 (ja) 作業用大型車両
JP6567366B2 (ja) 作業機のキャノピ及びこのキャノピを備えた作業機
JP2001063638A (ja) 旋回作業車のキャノピ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