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0984B1 -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984B1
KR100590984B1 KR1020040003520A KR20040003520A KR100590984B1 KR 100590984 B1 KR100590984 B1 KR 100590984B1 KR 1020040003520 A KR1020040003520 A KR 1020040003520A KR 20040003520 A KR20040003520 A KR 20040003520A KR 100590984 B1 KR100590984 B1 KR 100590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substrate
electro
wirings
optic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941A (ko
Inventor
다구치사토시
미야코유이치로
가네코히데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99288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9098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7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4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having more than one switching element per pixe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5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wo-electrode devi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9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액정 장치 등의 전기 광학 장치의 기판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선의 각각의 저항을 작게 한다.
기재(16b)와, 기재(16b)상에 형성된 복수의 배선(39a)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12)이다. 배선(39a)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16b)의 제 1 변(16c)으로부터 제 2 변(16f)을 향해서 그 선폭 W0이 점차 넓어지는 부분을 배선(39a)의 절곡 부분(49b)에 갖는다. 선폭 W0이 넓은 부분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배선(39a)의 배선 저항을 내릴 수 있어, 전기 광학 장치의 표시 영역에 누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및 전기 광학 장치의 각각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4의 X-X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의 단면도로서, 도 4의 Y-Y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구조의 주요부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장치에서 이용되는 스위칭 소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의 화살표 A에 따른 액정 장치(1)의 평면도,
도 7은 도 1의 화살표 A에 따라서 소자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1의 화살표 A에 따라서 컬러 필터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7의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다른 실시형태인 휴대 전화기를 나타내 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다른 실시형태인 휴대 정보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전기 광학 장치의 주요부인 소자 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17은 도 14의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은 도 14의 화살표 E로 나타내는 부분의 전극 배선의 선폭을 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9는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정 장치(전기 광학 장치) 2 : 액정 패널
3 : 구동용 IC 4 : 조명 장치
11 : 컬러 필터 기판(대향 기판)
12 : 소자 기판(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13 : 밀봉재 14 : 액정층
16a, 16b : 기재 16c : 제 1 변
16d, 16e : 인접변 16f : 제 2 변
17 : 수지층 17a : 제 1 층
17b : 제 2 층 18 : 반사층
19 : 착색층 21 : 차광층
22 : 오버코팅층 23a, 23b : 전극
24a, 24b : 배향막 25 : 전극 배선
28 : 관통 구멍 31 : TFD
39a, 39b : 배선 40 : 단자
42 : 도통재 46 : 반사층의 개구
48 : 도통용 패드 49a : 본선 부분
49b : 절곡부 70 : 휴대 전화기(전자 기기)
90 : 휴대 정보 기기(전자 기기)
101 : 액정 장치(전기 광학 장치)
112 : 소자 기판(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D : 표시 도트 E : 액정층의 두꺼운 부분
F : 액정 장치의 얇은 부분 L0 : 외부광
L1 : 조명광 R : 반사부
T : 투과부 V : 표시 영역
본 발명은, 액정 장치, EL 장치 등의 전기 광학 장치에 이용되는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그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을 이용한 전기 광학 장치, 및 그 전기 광학 장치를 이용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 전화기,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의 각종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액정 장치, EL 장치 등의 전기 광학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전자 기기에 관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로서 전기 광학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전기 광학 물질로서 액정을 이용한 장치, 즉 액정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전기 광학 물질로서 EL(Electro Luminescence)을 이용한 EL 장치도 알려져 있다.
액정 장치는, 일반적으로, 각각이 전극을 구비한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개재시킨 구조를 갖는다. 액정층에 광을 공급하고, 또한 해당 액정층에 인가되는 전압을 표시 도트마다 제어함으로써, 액정층내의 액정 분자의 배향을 표시 도트마다 제어한다. 액정층에 공급된 광은 액정 분자의 배향 상태에 따라서 변조되고, 이 변조된 편광이 편광판을 통과할지, 혹은 통과하지 않을지에 따라서, 외부에 문자, 숫자, 도형 등의 상(像)이 표시된다.
이 액정 장치에 있어서는, 각 전극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한 쌍의 기판 중 한쪽 또는 양쪽에 복수의 배선이 형성된다. 현 상태에서는, 세그먼트 전극 × 공통 전극 = 180개 × 220개 정도의 해상도가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그들 전극 개수에 대응한 수의 배선이 기판상에 마련될 필요가 있다.
액정 장치는, 일반적으로, 문자 등의 상이 표시되는 영역인 표시 영역과, 그 표시 영역의 주위에 형성되는 표시에 기여하지 않는 영역, 이른바 프레임 영역이 존재한다. 상기 복수의 배선은, 통상, 상기 프레임 영역에 마련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 액정 장치에 있어서, 최근에는, 표시에 기여하지 않는 프레임 영역을 가능한 한 작게 하고자 하는 요구가 강하다. 즉, 협프레임화의 요구가 강하다. 이 경우에는, 그 프레임 영역중에 수용되는 복수의 배선에 관해서, 그 배선폭 및 배선 간격을 좁게 해야만 한다.
또한, 최근에는, 고해상도의 표시가 요구되고 있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선폭이 가느다란 복수의 배선을 기판상에 형성해야만 한다. 예컨대, 세그먼트 전극 × 공통 전극 = 240개 × 320개의 QVGA 타입의 표시를 실현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배선폭이 3㎛에서, 배선간의 공간 간격이 3㎛정도, 즉 피치가 3 + 3 = 6㎛ 정도의 치수로 복수의 배선을 형성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선 공간의 협소화나 배선 개수의 증가에 따라 배선폭 및 배선 간격을 작게 하면, 배선 저항이 커져, 그 결과, 누화가 발생하고 표시 상이 흐트러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판상에 형성되 는 복수의 배선의 각각의 저항을 작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은, 기재와, 해당 기재상에 형성된 복수의 배선을 갖고, 해당 배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재의 제 1 변으로부터 제 2 변을 향해서 그 폭이 점차 넓어지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기판에 의하면, 배선의 선폭을 넓게 함으로써, 배선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선의 모든 선폭을 넓히는 것은 아니고, 넓히는 것은 부분적이며, 더구나 넓히는 방법은 점차 넓힌다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복수의 배선을 형성할 영역의 면적은 그다지 크게 넓힐 필요가 없다. 따라서, 협프레임화의 요구에 반하는 것도 없다.
상기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에 있어서, 상기 배선의 적어도 하나의 선폭은 연속적으로 점차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선의 선폭의 넓히는 방법으로서는, 연속적으로 점차 넓히는 방법이외에, 단계적으로 점차 넓히는 방법도 고려된다. 각 배선 사이에서의 배선 저항을 균일하게 하는 것을 고려하면, 단계적으로 넓히는 것보다, 연속적으로 넓히는 것 쪽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상기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에 관해서는, 멀리까지 연장되는 배선일수록 그 배선폭을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배선은 그 길이가 길어질수록 배선 저항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멀리까지 연장되는 배선일수록 그 배선폭을 넓히면, 길이가 길어지는 배선의 저항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은, 각각 절곡 부분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경우에는, 그 절곡 부분의 배선폭을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선의 절곡 부분을 이용하여 선폭을 넓히도록 하면, 기판상에 있어서의 복수의 배선을 형성할 영역의 면적을 거의 넓히는 일없이, 각각의 배선의 합계의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또, 이용할 배선의 절곡 부분은, 거의 90° 각도의 절곡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간의 간격은 모든 배선에 관해서 거의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누화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더구나 각 배선의 선폭을 가능한 한 넓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은 전극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레이아웃 배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레이아웃 배선은, 일반적으로, 그 길이가 길어지는 것이 많기 때문에, 배선 저항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배선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면, 배선 저항을 낮추는 것에 대해서 매우 유효하다.
상기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은 도통용 패드를 갖고, 해당 도통용 패드는 도통재에 의해서 다른 기판상의 전극에 도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도통재에 의해서 다른 전기 요소에 접속되는 배선은, 그 배선 저항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배선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면, 배선 저항을 낮추는 것에 대해서 매우 유효하다.
상기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Cr, Cr/Ta 또는 ITO/Cr/Ta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Cr/Ta는, 제 1 층의 Ta의 위에 제 2 층의 Cr을 적층하는 구조이다. 또한, ITO/Cr/Ta는, 제 1 층의 Ta의 위에 제 2 층의 Cr을 적층하고, 또한 제 2 층의 Cr의 위에 제 3 층의 ITO를 적층하는 구조이다.
Cr, Ta, ITO 등의 소재는, 2단자 소자를 형성하는 재료이며, 종래부터 도전용의 소재로서 이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이들 소재로 형성되는 배선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면, 공정을 증가시키는 일없이 배선 저항을 내릴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이상에 기재한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과, 해당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상에 마련된 전기 광학 물질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이용되는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에 관해서는, 그 위에 마련되는 복수의 배선의 배선 저항이 작기 때문에, 배선 개수를 증가시켜 표시 용량을 증대시킨 경우에도, 프레임 영역을 좁게 형성할 수 있고, 더구나 누화가 없는 선명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의 한 변은 배선 기판이 접속되는 변이고, 상기 복수의 배선은 상기 한 변에 인접하는 두 개의 변의 변 둘레에 가까운 영역의 각각에 마련되고, 또한 각 변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의 경우, 배선은 상기 두 개의 변을 따라 길게 마련되기 때문에, 그 배선 저항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배선 저항을 낮추는 것에 대해서 매우 유효하다.
상기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는, 상기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에 대향하는 대향 기판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상기 배선은 상기 대향 기판상에 마련된 전극에 도통재에 의해서 접속될 수 있다. 이 구성의 배선은 전기 광학 장치내에서 길게 연장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배선 저항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배선 저항을 낮추는 것에 대해서 매우 유효하다.
대향 기판을 갖는 상기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물질은 액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기 광학 장치는, 이른바 액정 장치이다. 이 액정 장치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면,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하기 위한 전극에 통하는 배선의 배선 저항을 작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누화가 없는 양호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이상에 기재한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와, 해당 전기 광학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전기 광학 장치는 프레임 영역이 좁음에도 불구하고, 누화가 없는 선명한 표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전기 광학 장치를 설치할 공간이 좁아지고, 전자 기기에 관한 정보를 선명히 표시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은, 상기 제 1 변으로부터 상기 제 2 변에 걸친 길이가 길수록, 그 전역의 배선폭이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각 배선의 배선 저항을 내릴 수 있고, 또한 각 배선간의 저항을 균일화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을 이용하여 전기 광학 장치를 제조했을 때, 그 전기 광학 장치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 표시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는,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에 대향하여 대향 기판을 마련할 수 있고, 그 대향 기판에는 복수의 전극 및 그들 전극에 연결되는 전극 배선을 마련할 수 있다. 이 복수의 전극 배선은, 각각 도통재에 의해서 상기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상의 상기 복수의 배선에 접속된다. 이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 배선의 각각의 폭은, 상기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상의 대응하는 배선의 길이가 길수록,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대향 기판상의 각 전극에 연결되는 배선의 배선 저항을 균일화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장치상의 상기 복수의 배선 중 상대적으로 짧은 하나 또는 복수의 배선에 대응하는, 상기 대향 기판상의 상기 전극 배선의 폭은, 상대적으로 긴 배선에 대응하는 것에 비해서 가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광학 장치상의 배선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그 배선의 배선 저항은 낮아진다. 이렇게 되면 길이가 긴 배선과의 사이에서 배선 저항에 편차가 발생하여 표시 불균일의 원인으로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길이가 짧은 배선의 배선폭을 가늘게 하여 배선 저항을 높게 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가늘게 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대향 기판상의 전극 배선의 폭을 가늘게 하면,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측의 배선을 가공하는 일없이,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과 대향 전극 양쪽에 걸쳐 마련되는 복수의 배선간의 배선 저항을 균일화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및 전기 광학 장치의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전기 광학 장치의 일례인 액정 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 이것 이후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앞으로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지만, 이 도면에서는, 복수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지는 구조 중 중요한 구성 요소를 이해하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서, 각 요소를 실제와는 다른 상대적인 치수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를 그 일례인 액정 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여기에 예로 든 액정 장치는, 2단자형의 스위칭 소자인 TFD(Thin Film Diode)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으로서,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으로서 소자 기판을 이용한, 반투과 반사형의 액정 장치이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을 액정 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형태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액정 장치(1)는, 액정 패널(2)과, 이 액정 패널(2)에 실장된 구동용 IC(3)와, 조명 장치(4)를 갖는다. 조명 장치(4)는, 관찰측(즉, 도aus의 상측)으로부터 보아 액정 패널(2)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백 라이트로서 기능한다. 조명 장치(4)는, 액정 패널(2)의 관찰측에 배치하여 프론트 라이트로서 기능시키더라도 좋다.
조명 장치(4)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점형상 광원이나, 냉음극관 등의 선형상 광원 등에 의해서 구성된 광원(6)과, 투광성의 수지에 의해서 형성된 도광체(7)를 갖는다. 관찰측에서 보아 도광체(7)의 배면측에는, 필요에 따라서, 반사층(8)이 마련된다. 또한, 도광체(7)의 관찰측에는, 필요에 따라서, 확산층(9)이 마련된다. 도광체(7)의 광도입구(7a)는 도 1의 지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고, 광원(6)으로부터 발생한 광은 이 광도입구(7a)를 통해서 도광체(7)의 내부로 도입된다.
액정 패널(2)은,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으로서의 소자 기판(12)과, 그것에 대향하는 대향 기판으로서의 컬러 필터 기판(11)과, 그들 기판을 접합하고 있는 화살표 A 방향에서 보아 정방형 또는 직사각형의 테두리 형상의 밀봉재(13)를 갖는다. 기판(11)과, 기판(12)과, 밀봉재(13)에 의해 둘러싸이는 간극, 이른바 셀갭내에 액정(14)이 봉입되어 액정층을 구성하고 있다.
컬러 필터 기판(11)은, 화살표 A 방향에서 보아 직사각형 또는 정방형의 제 1 기재(16a)를 갖고, 그 제 1 기재(16a)의 내측 표면에는, 요철, 즉 오목부와 비오목부와의 조합을 갖는 수지층(17)이 형성되고, 그 위에 반사층(18)이 형성되고, 그 위에 착색층(19) 및 차광층(21)이 형성되고, 그 위에 오버코팅층(22)이 형성되고, 그 위에 지면 수직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전극(23a)이 형성되고, 또한, 그 위에 배향막(24a)이 형성된다.
배향막(24a)에는 배향 처리, 예컨대 러빙 처리가 실시되고, 이것에 의해, 제 1 기재(16a)의 근방의 액정 분자의 배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재(16a)의 외측 표면에는, 위상차판(26a) 및 편광판(27a)이 점착 등에 의해서 장착된다. 제 1 기재(16a)는, 예컨대, 투광성의 유리, 투광성의 플라스틱 등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하나의 표시 도트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수지층(17)은, 제 1 층(17a) 및 제 2 층(17b)으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제 2 층(17b)의 표면에는, 미세한 요철, 즉 미세한 오목부 및 비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반사층(18)은, 예컨대, Al(알루미늄), Al 합금 등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 반사층(18)의 표면은, 그 하지층인 수지층(17)에 형성된 요철에 대응하여 요철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요철 형상에 의해, 반사층(18)에서 반사하는 광은 확산한다.
도 4는, 도 2를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평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착색층(19)은, 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 하나가 직사각형의 도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착색층(19)은, R(적), G(녹), B(청)의 3원색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이들 각 색의 착색층(19)은, 스트라이프 배열, 델타 배열, 모자이크 배열, 기타 적절한 배열로 되도록 나열되어 있다. 도 4에서는, 스트라이프 배 열이 예시되어 있다. 또, 착색층(19)은, C(시안), M(마젠타), Y(옐로우)의 3원색에 의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는, 도 4에 있어서의 X-X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차광층(21)은, 예컨대 Cr(크롬) 등의 차광성의 재료에 의해서, 복수의 착색층(19)의 사이를 매립하는 상태로 형성된다. 이 차광층(21)은, 블랙 매트릭스로서 기능하여 착색층(19)을 투과한 광에 의해서 표시되는 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킨다. 또, 차광층(21)은, Cr 등의 특정한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착색층(19)을 구성하는 R, G, B의 각 착색층을 포개는 것, 즉 적층하는 것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오버코팅층(22)은, 예컨대, 아크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감광성의 수지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한, 이 오버코팅층(22)의 적소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색층(19)의 표면에 도달하는 관통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관통 구멍(28) 대신에, 착색층(19)의 표면에 도달하는 일없이 오버코팅층(22)의 도중까지의 깊이의 유저(有底) 구멍, 즉 오목부를 오버코팅층(22)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의 지면 수직 방향에 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전극(23a)은, 예컨대 ITO(Indium Tin Oxide) 등의 금속 산화물에 의해서 형성되고, 그 중앙의 일부가 관통 구멍(28) 안으로 들어가 있다. 또한, 그 위에 형성된 배향막(24a)은, 예컨대 폴리이미드 등에 의해서 형성되고, 이 배향막(24a)에 관해서도, 관통 구멍(28)에 대응하는 부분이, 그 관통 구멍(28) 안으로 들어가 있다. 즉, 화살표 A 방향에서 평면적으로 보면, 전극(23a) 및 배향막(24a)에는 복수의 트렌치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컬러 필터 기판(11)에 대향하는 소자 기판(12)은 제 2 기재(16b)를 갖는다. 이 제 2 기재(16b)는, 확장부(29)가 형성되는 한 변이 제 1 기재(16a)의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다. 이 제 2 기재(16b)의 내측 표면에는, 스위칭 소자로서의 복수의 TFD(31)가 형성되고, 그들 TFD(31)에 접속하도록 복수의 도트 전극(23b)이 형성되며, 그들 위에 배향막(24b)이 형성된다. 배향막(24b)에는 배향 처리, 예컨대 러빙 처리가 실시되고, 이것에 의해, 제 2 기재(16b)의 근방의 액정 분자의 배향을 결정할 수 있다. 제 2 기재(16b)의 외측 표면에는, 위상차판(26b) 및 편광판(27b)이 점착 등에 의해서 장착된다.
제 2 기재(16b)는, 예컨대, 투광성의 유리, 투광성의 플라스틱 등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한, 도트 전극(23b)은 ITO 등의 금속 산화물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한, 배향막(24b)은, 예컨대 폴리이미드 등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 3은, 도 2의 Z-Z 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TFD(3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컬러 필터 기판(11)측의 차광층(2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TFD 요소(32a)와 제 2 TFD 요소(32b)를 직렬로 접속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은, 도 4의 Y-Y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TFD(31)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하여 형성된다. 즉, 우선, TaW(탄탈 텅스텐)에 의해서 라인 배선(33)의 제 1 층(34a) 및 TFD(31)의 제 1 금속(36)을 형성한다. 다음에, 양극 산화 처리에 의해서 라인 배선(33)의 제 2 층(34b) 및 TFD(31)의 절연막(37)을 형성한다. 다음에, 예컨대 Cr(크롬)에 의해서 라인 배선(33)의 제 3 층(34c) 및 TFD 소자(31)의 제 2 금속(38)을 형성한다.
도 3에 있어서, 컬러 필터 기판(11)상에 형성된 선형상 전극(23a)은, 지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또한, 소자 기판(12)상에 형성된 상기 라인 배선(33)은, 선형상 전극(23a)에 대하여 직각 방향, 즉 도의 지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제 1 TFD 요소(32a)의 제 2 금속(38)은 라인 배선(33)의 제 3 층(34c)으로부터 연장되고 있다. 또한, 제 2 TFD 요소(32b)의 제 2 금속(38)의 선단에 겹치도록, 도트 전극(23b)이 형성된다. 라인 배선(33)으로부터 도트 전극(23b)을 향해서 전기 신호가 흐르는 것을 생각하면, 그 전류 방향에 따라서, 제 1 TFD 요소(32a)에서는 제 2 전극(38) → 절연막(37) → 제 1 금속(36)의 순서대로 전기 신호가 흐르고, 한편, 제 2 TFD 요소(32b)에서는 제 1 금속(36) → 절연막(37) → 제 2 금속(38)의 순서대로 전기 신호가 흐른다.
즉, 제 1 TFD 요소(32a)와 제 2 TFD 요소(32b) 사이에서는 전기적으로 반대 방향의 한 쌍의 TFD 요소가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으로, 백-투-백(Back-to-Back) 구조라고 불리고 있고, 이 구조의 TFD 소자는, TFD 소자를 1개의 TFD 요소만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서, 안정한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제 1 금속(36) 등의 제 2 기재(16b)로부터의 박리를 방지하거나, 제 2 기재(16b)로부터 제 1 금속(36) 등으로 불순물이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등을 위해서, TFD(31)와 기재(16b) 사이 및 라인 배선(33)과 기재(16b) 사이 에 하지층(도시하지 않음)을 마련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의 화살표 A에 따라서 액정 장치(1)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6은, 주로, 전극 및 배선을 나타내고 있고, 그 이외의 요소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소자 기판(12)을 구성하는 제 2 기재(16b)는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소자 기판(12)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직선 형상의 라인 배선(33)이 전체로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라인 배선(33)에 적절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TFD(31)가 접속되고, 그들 TFD(31)에 도트 전극(23b)이 접속되어 있다. 도 7에서는, 라인 배선(33)을 적은 개수로 모식적으로 그리고 있지만, 실제로는 다수개, 예컨대 240개 정도가 형성된다. 또한, TFD(31) 및 도트 전극(23b)은 밀봉재(13)의 네 구석 부분에 대응하는 것만을 부분적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밀봉재(13)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영역내의 전역에 마련된다. 또한, TFD(31) 및 도트 전극(23b)은, 모식적으로 크게 그려져 있기 때문에, 수가 적게 그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도 7의 세로 방향, 즉 상하 방향의 1열에, 각각, 예컨대 320개 정도 형성되어 있다. 즉, 도트 전극(23b)은, 예컨대, 종 × 횡 = 320 × 240개의 수 만큼 마련되어 있다.
소자 기판(12)에 대향하는 컬러 필터 기판(11)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선형상 전극(23a)이 전체로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전극(23a)은, 컬러 필터 기판(11)과 소자 기판(12)을 밀봉재(13)에 의해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합했을 때, 라인 배선(33)과 직각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횡렬을 이루는 복수의 도트 전극(23b)에 평면적으로 겹친다.
이와 같이, 선형상 전극(23a)과 도트 전극(23b)이 겹치는 영역이, 표시의 최소 단위인 표시 도트를 구성한다. 이 표시 도트는 도 1로부터 도 4에 있어서 부호 D로 나타내는 영역이다. 복수의 표시 도트 D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 매트릭스 형상으로 나열된 영역이 표시 영역 V이다. 이 표시 영역 V에 문자, 숫자, 도형 등의 상이 표시된다.
도 7에 있어서, 소자 기판(12)을 구성하는 제 2 기재(16b)의 확장부(29)상에 실장되는 구동용 IC(3)는, 주사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용 IC(3a)와,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용 IC(3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 2 기재(16b)의 제 1 변(16c) 즉 입력측의 변에는 외부 접속용 단자(44)가 형성되고, 이들 단자(44)는 구동용 IC(3a 및 3b)의 입력용 단자, 예컨대 입력용 범프에 연결된다.
또한, 이 제 1 변(16c)에 인접하는 두 개의 변(16d 및 16e)의 근방에 그들 변의 변 둘레를 따라 복수의 배선(39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배선(39a)은, 구동용 IC(3a 및 3b)의 출력용 단자, 예컨대 출력용 범프로부터, 제 1 변(16c)에 대향하는 제 2 변(16f)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각 배선(39a)은, 2개의 변(16d 및 16e)의 각각에 평행한 본선 부분(49a)와, 그것에 대하여 거의 90°로 절곡하는 부분(49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 9는, 도 7에 있어서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부분의 배선(39a)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선(39a)의 절곡부(49b)의 선단에는 도통용 패드(48)가 형성되어 있다. 배선(39a)의 본선 부분(49a)의 선폭 W0은 4㎛ 정도이며, 배선간의 간격 δ은 3㎛ 정도이다. 배선(39a)의 본선 부분(49a)에서는 선폭 W0 및 배선 간격 δ이 일정하다.
한편, 본선 부분(49a)이 끝나는 곳 C에서 절곡부(49b)의 선단에 걸쳐서는, 배선(39a)의 선폭 W0이 본선 부분(49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점차 연속적으로 넓어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배선(39a)의 배선 저항을 낮게 억제하고 있다.
또한, 배선(39a)의 선폭 W0은, 본선 부분(49a)에 대하여 멀리까지 연장되는 배선일수록 그 선폭 W0이 넓어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배선 저항이 작아지는 정도가 큰 배선일수록 그 선폭 W0이 넓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길이가 짧은 배선(39a)으로부터 길이가 긴 배선(39a)의 모두에 걸쳐 배선 저항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 서로 이웃이 되는 배선(39a) 사이의 간격에 있어서는, 선폭 W0이 넓어지는 부분에 있어서도, 본선 부분(49a)과 마찬가지로 δ= 3㎛ 정도로 일정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밀봉재(13)의 내부에는, 구형 또는 원통형의 도통재(42)가 불규칙한 분산 상태로 포함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소자 기판(12)과 도 8에 나타내는 컬러 필터 기판(11)을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합했을 때, 소자 기판(12)측의 배선(39a)의 절곡부(49b)의 패드(48)(도 9 참조)와, 컬러 필터 기판(11)측의 선형상 전극(23a)의 단부가 도통재(42)에 의해서 도통된다. 이것에 의해, 컬러 필터 기판(11)측의 전극(23a)이 소자 기판(12)측의 배선(39a)을 통해서 구동용 IC(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선형상 전극(23a)와 배선(39a)의 도통은, 도 6의 좌변측과 우변측 사이 에서 교대로 실현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 대신에, 표시 영역 V의 상반부에 관해서는 좌변측 또는 우변측 중 한쪽에서 도통을 행하고, 표시 영역 V의 하반부에 관해서는 좌변측 또는 우변측 중 다른쪽에서 도통을 행하는 구동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7에 있어서, 소자 기판(12)상에 형성된 라인 배선(33)은, 마찬가지로 소자 기판(12)상에 형성된 배선(39b)을 통해서 구동용 IC(3b)의 출력 단자, 예컨대 출력 범프에 접속된다. 배선(39a 및 39b)은 Cr 단체나, Cr/Ta(즉, 제 1 층이 Ta이고, 제 2 층이 Cr인 적층 구조)나, ITO/Cr/Ta(즉, 제 1 층이 Ta이고, 제 2 층이 Cr이고, 제 3 층이 ITO인 적층 구조) 등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들 배선(39a 및 39b)은, 소자 기판(12)상에 TFD(31)나 도트 전극(23b)을 형성할 때에,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1의 소자 기판(12)의 확장부(29)상에 있어서, 구동용 IC(3)는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이방성 도전막)(43)에 의해서 실장되어 있다. ACF(43)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의 내부에 도전 입자를 분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구동용 IC(3)의 본체 부분은 열경화성 수지 등에 의해서 기판의 확장부(29)상에 고착된다. 또한, 구동용 IC(3)의 출력 범프와 배선(39a, 39b)이, 나아가서는, 구동용 IC(3)의 입력 범프와 외부 접속용 단자(44)가, ACF(43)에 포함되는 도전 입자에 의해서 도전 접속된다.
외부 접속 단자(44)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 기판, 예컨대 가요성 배선 기판이, 납땜, ACF, 히트 실(heat seal) 등의 도전 접속 방법에 의해서 접속된다. 이 배선 기판을 거쳐서, 전자 기기, 예컨대 휴대 전화기, 휴대 정보 단말기로부터 액정 장치(1)로 신호, 전력 등이 공급된다.
도 4에 있어서, 각각의 표시 도트 D는, 거의, 도트 전극(23b)과 같은 크기의 면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쇄선으로 나타내는 도트 전극(23b)은, 실선으로 나타내는 착색층(19)보다도 조금 크게 그려져 있지만, 이것은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서이며, 그들의 평면 형상은, 실제로는, 거의 같은 형상으로, 서로 겹치고 있다. 또한, 도트 형상의 각각의 착색층(19)은, 각각의 표시 도트 D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반사층(18)에는 각각의 표시 도트 D에 대응하여 개구(46)가 마련된다. 이들 개구(46)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보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4에서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개구(46)가, 실선으로 나타내는 오버코팅층(22)의 관통 구멍(28)보다도 조금 크게 그려져 있지만,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의 양자의 가장자리는, 거의 일치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R, G, B의 3색으로 이루어지는 착색층(19)을 이용하여 컬러 표시를 행하는 경우는, R, G, B의 3색에 대응하는 3개의 착색층(19)에 대응하는 3개의 표시 도트 D에 의해서 하나의 화소가 형성된다. 한편, 흑백 또는 임의의 1색으로 모노 컬러 표시를 행하는 경우는, 하나의 표시 도트 D에 의해서 하나의 화소가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각각의 표시 도트 D의 안에서 반사층(18)이 마련된 부분 R이 반사부이며, 개구(46)가 형성된 부분 T가 투과부이다. 관찰측으로부터 입사한 외부광, 즉 소자 기판(12)측으로부터 입사한 외부광 L0(도 2 참조)은, 반사부 R에서 반사한다.
한편, 도 1의 조명 장치(4)의 도광체(7)로부터 출사한 광 L1(도 2 참조)은, 투과부 T를 투과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태양광, 실내광 등의 외부광이 강한 경우는, 외부광 L0이 반사부 R에서 반사하여 액정층(14)으로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반사형 표시가 행해진다. 한편, 도 1의 조명 장치(4)가 점등된 경우는, 도광체(7)로부터 출사하는 평면 형상의 광이, 도 2의 투과부 T를 통해서 액정층(14)으로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투과형 표시가 행해진다. 이러한 반사형 표시 및 투과형 표시를 희망에 따라 선택하여 실행함으로써, 반투과 반사형의 표시가 행해진다.
액정층(14)을 사이에 유지하는 선형상 전극(23a) 및 도트 전극(23b)의 한쪽,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형상 전극(23a)에 주사 신호가 인가된다. 한편, 선형상 전극(23a) 및 도트 전극(23b)의 다른 한쪽,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트 전극(23b)에 데이터 신호가 인가된다. 주사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인가된 표시 도트 D에 부속하는 TFD(31)는 ON 상태로 되고, 당해 표시 도트 D에 있어서의 액정 분자의 배향 상태가 해당 표시 도트 D를 통과하는 광을 변조하도록 유지된다.
그리고, 이 변조된 광이 도 1의 편광판(27b)을 통과하는지, 하지 않는지에 따라서, 소자 기판(12)의 외측에, 문자, 숫자, 도형 등의 희망의 상이 표시된다. 외부광 L0을 이용하여 표시가 행해지는 경우가 반사형 표시이며, 투과광 L1을 이용 하여 표시가 행해지는 경우가 투과형 표시이다.
반사형 표시가 행해질 때, 반사광 L0은 액정층(14)을 2회 통과한다. 또한, 투과형 표시가 행해질 때, 투과광 L1은 액정층(14)을 한번만 통과한다. 이 때문에, 가령, 액정층(14)의 층두께가 반사부 R과 투과부 T에 걸쳐 균일하면, 반사광 L0을 이용한 반사형 표시와 투과광 L1을 이용한 투과형 표시 사이에서, 액정층(14)을 통과하는 거리에 차이가 발생하여, 반사형 표시와 투과형 표시 사이에서 표시 품질이 다르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것에 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버코팅층(22)에 관통 구멍(28)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투과부 T에서의 액정층(14)의 층두께 E를 두껍게, 반사부 R에서의 층두께 F를 얇게 하고 있기 때문에, 반사형 표시와 투과형 표시 사이에서 균일한 표시 품질을 얻을 수 있게 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자 기판(12)을 구성하는 제 2 기재(16b)의 변(16d 및 16e)을 따라 배선(39a)이 긴 거리로 라우팅되어 있다. 배선(39a)이 이와 같이 긴 거리에 걸쳐 라우팅되면, 배선 저항이 커져 누화가 발생하여 표시가 흐트러질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39a)에 선폭 W0이 점차 넓어지는 부분을 마련했기 때문에, 배선(39a)의 배선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표시 도트 D의 수가 320 × 240와 같이 고선명으로 되는 경우에도, 누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흐트러짐이 없는 표시를 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배선(39a)을 이용했다. 이 배선(39a)은, 절곡 부분(49a)에 선폭이 넓어지는 부분을 형성했다. 그러나, 선폭이 넓어지는 부분은 절곡 부분(49b) 이외의 위치에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의 실시형태에서는, 배선(39a)의 선폭 W0이 절곡 부분(49b)에서 연속적으로 점차 넓어지게 되어 있다. 이 구성 대신에, 배선(39a)은, 그 선폭 W0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곡 부분(49b)에서 단계적으로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소자 기판(12)상에 형성되는 배선(39a)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했다. 그러나, 필요가 있는 경우, 도 7의 배선(39b)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단, 배선(39b)의 길이는 짧기 때문에, 일부러 본 발명을 적용하여 그 배선 저항을 작게 할 필요가 없을지도 모른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소자 기판(12)상에 형성되는 배선(39a)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했다. 그러나, 컬러 필터 기판(11)상에 무엇인가의 배선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컬러 필터 기판측의 배선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컬러 필터 기판(11)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으로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TFD를 이용한 액정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했지만, 본 발명은, TFD 이외의 2단자형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TFT(Thin Film Transistor) 등 의 3단자형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지 않는 단순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 장치 이외의 전기 광학 장치, 예컨대, 유기 EL 장치, 무기 EL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DP: Plasma Display),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EPD: Electrophoretic Display),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 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전계 방출 표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전자 기기의 일실시형태의 블럭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전자 기기는, 액정 장치(1)와, 이것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80)을 갖는다. 액정 장치(1)는, 액정 패널(81)과, 반도체 IC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 회로(82)를 갖는다. 또한, 제어 수단(80)은, 표시 정보 출력원(83)과, 표시 정보 처리 회로(84)와, 전원 회로(86)와, 타이밍 발생기(87)를 갖는다.
표시 정보 출력원(83)은, ROM(Read Only Memory)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와, 자기 기록 디스크나 광 기록 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장 유닛과, 디지털 화상 신호를 동조 출력하는 동조 회로를 갖는다. 타이밍 발생기(87)에 의해서 생성된 각종의 클럭 신호에 근거하여, 소정 포맷의 화상 신호 등의 형태로 표시 정보를 표시 정보 처리 회로(84)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시 정보 처리 회로(84)는, 시리얼-패러랠 변환 회로, 증폭·반전 회로, 로테이션 회로, 감마 보정 회로, 클램프 회로 등의 주지의 각종 회로를 구비하고, 입력한 표시 정보의 처리를 실행하여, 그 화상 정보를 클럭 신호 CLK와 함께 구동 회로(82)로 공급한다. 구동 회로(82)는, 주사선 구동 회로, 데이터선 구동 회로 및 검사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 회로(86)는, 상기 각 구성 요소에 각각 소정의 전압을 공급한다.
도 12는, 본 발명을 전자 기기의 일례인 휴대 전화기에 적용한 경우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휴대 전화기(70)는, 본체부(71)와, 이것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표시체부(72)를 갖는다. 액정 장치 등의 전기 광학 장치에 의해서 구성된 표시 장치(73)는, 표시체부(72)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화 통신에 관한 각종 표시는, 표시체부(72)에 의해 표시 화면(74)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다. 본체부(71)의 전면에는 조작 버튼(76)이 배열하여 마련된다.
표시체부(72)의 한쪽 단부 부분으로부터 안테나(77)가 출몰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수화부(78)의 내부에는 스피커가 배치되고, 송화부(79)의 내부에는 마이크가 내장되어 있다. 표시 장치(73)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는, 휴대 전화기의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의 일부로서, 또는 그 제어부와는 별도로, 본체부(71) 또는 표시체부(72)의 내부에 저장된다.
도 13은, 전자 기기의 다른 일례인 휴대 정보 기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휴대 정보 기기(90)는, 터치 패널 을 구비한 정보 기기이며, 전기 광학 장치로서의 액정 장치(91)를 탑재하고 있다. 이 정보 기기(90)는, 액정 장치(91)의 표시면에 의해서 구성되는 표시 영역 V와, 그 표시 영역 V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 1 입력 영역 W1을 갖는다. 제 1 입력 영역 W1에는 입력용 시트(92)가 배치되어 있다.
액정 장치(91)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정방형 형상의 액정 패널과,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형상 또는 정방형 형상의 터치 패널이 평면적으로 겹치는 구조를 갖는다. 터치 패널은 입력용 패널로서 기능한다. 터치 패널은, 액정 패널보다도 크고, 이 액정 패널의 한쪽 단부 부분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표시 영역 V 및 제 1 입력 영역 W1에는 터치 패널이 배치되어 있고, 표시 영역 V에 대응하는 영역도, 제 1 입력 영역 W1과 마찬가지로 입력 조작 가능한 제 2 입력 영역 W2로서 기능한다. 터치 패널은, 액정 패널측에 위치하는 제 2 면과 이것과 대향하는 제 1 면을 갖고 있고, 제 1 면의 제 1 입력 영역 W1에 상당하는 위치에 입력용 시트(92)가 붙여져 있다.
입력용 시트(92)에는 아이콘(93) 및 손으로 쓴 문자 인식 영역 W3을 식별하기 위한 테두리가 인쇄되어 있다. 제 1 입력 영역 W1에 있어서는, 입력용 시트(92)를 거쳐서 터치 패널의 제 1 면에 손가락이나 펜 등의 입력 수단으로 하중을 거는 것에 의해, 아이콘(93)의 선택이나 문자 인식 영역 W3에서의 문자 입력 등의 데이터 입력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제 2 입력 영역 W2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의 상을 관찰할 수 있는 것 외에, 액정 패널에 예컨대 입력 모드 화면을 표시시키고, 터치 패널의 제 1 면에 손가락이나 펜으로 하중을 거는 것에 의해, 그 입력 모드 화면내의 적절한 위치를 지정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데이터 입력 등을 행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로서는, 이상에 설명한 휴대 전화기나 휴대 정보 기기의 외에도, 퍼스널 컴퓨터, 액정 텔레비젼, 디지털 스틸 카메라, 손목 시계, 뷰 파인더형 또는 모니터 직시형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카 네비게이션 장치, 페이저, 전자 수첩, 전자 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 스테이션, 화상 전화, POS 단말, 기타 각종의 기기가 고려된다.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및 전기 광학 장치의 제 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전기 광학 장치의 일례인 액정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액정 장치(101)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도 14의 액정 장치(101)에서 이용되는 소자 기판(112)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소자 기판(112)에 대향하는 대향 기판(111)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낸 앞에서의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형상 전극(23a)의 선단의 구성이 조금 다르다. 또,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낸 앞에서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로 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액정 장치(101)에서는, 소자 기판(112)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배선(39a)의 전체가 밀봉재(13)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영역중에 들어가 있다. 그리고, 대향 기판인 컬러 필터 기판(111)상에 마련한 선형상 전극(23a)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극 배선(25)의 선단이, 밀봉재(13)에 포함되는 도통재(42)에 의해서, 소자 기판(112)측의 배선(39a)의 선단, 즉 절곡 부분(49b)의 선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6은, 도 14에 있어서의 화살표 C의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6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전극 배선(25)은, 선형상 전극(23a)으로부터 표시 영역 V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선이다. 도 17은, 도 14에 있어서의 화살표 D의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배선 구조의 다른쪽 단부측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배선(39a)의 각각의 다른쪽 단부에는 단자(40)가 형성되고, 이들 단자(40)가 구동용 IC(3a)의 출력 범프(도시하지 않음)에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혹은 그 밖의 도전 접속재에 의해서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선(39a)의 절곡 부분(49b)에서, 배선폭이 점차 넓어지고 있다. 또한, 그 점차 넓어지는 영역에서, 배선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배선의 넓어지는 면적이 커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긴 배선의 고저항화를 방지하여, 복수의 배선(39a)간의 배선 저항의 균일화를 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5의 제 1 변(16c)으로부터 제 2 변(16f)에 걸 쳐서의 배선(39a)의 길이가 길수록, 그들 배선(39a)의 전역의 배선폭을 넓게 설정하고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15에 있어서 좌변(16e)측에 형성된 복수의 배선(39a)을 보았을 때, 그들 배선(39a)의 길이는, 좌측의 것이 가장 짧고, 우측의 것이 가장 길다. 도 16 및 도 17에 있어서, 가장 좌측의 배선(39a)의 선폭을 d1로 하고, 가장 우측의 배선(39a)의 선폭을 dn(여기서, n은 배선(39a)의 개수)로 했을 때,
d1 ≤ d2 ≤ d3 ≤···≤ dn-1 ≤ dn
로 설정하고 있다. 이 구성은, 도 15의 우변(16d)측에 형성된 복수의 배선(39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배선(39a)의 길이 방향의 전역에 관해서 배선폭을 배선 길이에 대응하여 변화시켰기 때문에, 복수의 배선(39a) 사이에서 배선 저항을, 더 한층 균일화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대향 기판(11)에 복수의 선형상 전극(23a)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들 전극(23a)으로부터 전극 배선(25)이 연장되고 있다. 이들 전극 배선(25)은, 각각, 도 14의 밀봉재(13)중에 분산된 도통재(42)에 의해서, 소자 기판상의 복수의 배선(39a)의 선단, 즉, 패드(48)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그리고, 복수의 전극 배선(25)의 각각의 폭 W1, W2, W3,····, Wn-2, Wn-1, Wn(여기서, n은 배선(39a)의 개수)는, 배선(39a)의 길이가 길수록, 넓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4에 있어서, 구동용 IC(3a)로부터 선형상 전극(23a)에 이르기까지의 배선(39a) 및 전극 배선(25)의 전체의 배선 저항을, 복수의 전극(23a) 사이에 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4에 화살표 E로 나타내는 영역을 생각하면, 이 영역에서는 배선(39a)의 길이가 매우 짧고, 그 저항치가 낮다. 이 저항치를 높게 하려고 해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자 기판측의 배선(39a)의 선폭만의 조정을 행하는 것만으로는, 도 18에 부호 F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선의 길이가 짧은 영역, 즉, 배선폭 방향 X의 값이 작은 영역에서 배선 저항이 작아져버려, 균일하지 않게 된다. 이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선 저항치가 작아진다고 생각되는, 도 18의 배선폭 영역, 즉 배선폭이 0∼40㎛의 영역에 있어서, 대향 기판측의 전극 배선(25)의 선폭(도 16의 W1∼Wn에 상당함)을 가늘게 하여 저항치를 올리는 것에 의해, 부호 G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든 배선(39a)에 대하여 배선 저항이 균일하게 되도록 설정했다. 이것에 의해, 불균일이 없는 깨끗한 표시가 가능해졌다.
(그 밖의 실시형태)
이상,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변할 수 있다.
[실시예 1]
다음 3종류의 액정 장치를 준비했다.
(1) 도 6의 액정 장치(1)로서, 배선(39a)의 길이에 관계없이 모든 배선(39a)의 선폭이 일정하게 가지런한 액정 장치(이하, 종래품이라고 함).
(2) 도 6의 액정 장치(1)로서, 복수의 배선(39a)의 선폭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선 부분(49a)에서는 일정하고, 절곡 부분(49b)에서는 점차 넓어지는 액정 장치(이하, 발명 A 제품이라고 함).
(3) 도 14의 액정 장치(101)로서, (a) 복수의 배선(39a)의 선폭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곡 부분(49b)에서 점차 넓어지고, (b)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선(39a)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본선 부분도 포함시킨 배선(39a)의 전체의 배선폭 dn을 넓히고, (c) 도 14의 화살표 E로 나타내는 영역에 있는 길이가 짧은 배선(39a)에 대하여, 대향 기판측의 배선 전극(25)의 폭을 가늘게 조정하는 처리를 행하지 않는 액정 장치(이하, 발명 B 제품이라고 함).
또, 상기 (b)의 배선폭의 조정은, 도 19(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배선폭 방향 X가 작은 측(즉, 배선 길이가 짧은 측)을 최소의 폭 "3㎛"로 설정하고, 배선폭을 점차 확대해 가서, 최대로 "7.6㎛"까지 확대했다.
이상의 3종류의 액정 장치에 대하여, 도 6 및 도 14에 있어서의 구동용 IC(3a)로부터 선형상 전극(23a)에 이르기까지의 배선 저항을 측정했다. 그 결과, 도 19(b)에 나타내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 19(b)에 있어서, 부호 H는 종래품의 배선 저항을 나타내고, 부호 I는 발명 A 제품의 배선 저항을 나타내고, 부호 J는 발명 B 제품의 배선 저항을 나타내고 있다. 도 19(b)로부터 알 수 있듯이, 배선(39a)의 선폭을 점차 넓히면(특성 I), 배선 저항을 상당히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배선(39a)의 선폭을 점차 넓히고, 또한 배선(39a)의 전체의 선폭도 배선 길이에 따라서 변화시키면(특성 J), 배선 저항을 더 균일화할 수 있다.
또, 도 19(b)의 특성 J에 있어서, 배선폭 방향 X가 작은 측에 있어서의 배선 저항이 낮은 영역에 대해서는, 도 18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대향 기판측의 전극 배선(25)의 선폭을 가늘게 함으로써, 배선 저항을 더 한층 균일화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은, 액정 장치, 유기 EL 장치 등의 기판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액정 장치, 유기 EL 장치 등에 있어서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표시를 실현할 때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휴대 전화기, 휴대 정보 단말기, PDA 등에 있어서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표시를 실현할 때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선의 각각의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Claims (16)

  1. 제 1 변과 이것에 대향하는 제 2 변과, 상기 제 1 변 및 상기 제 2 변에 교차하는 제 3 변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의 상기 제 3 변에 가까운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배선
    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배선은 상기 제 2 변에 따른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3 변에 따른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 부분을 갖고,
    상기 절곡 부분의 선폭은 상기 절곡 부분 이외의 부분의 선폭보다 넓고, 또한 상기 제 1 변으로부터 상기 제 2 변을 향하여 그 폭이 서서히 넓어지며,
    상기 복수의 배선 중 가장 상기 제 2 변측에 가깝게 배치된 배선은 상기 절곡 부분에서 상기 기판의 형상에 따른 각을 갖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배선에서, 상기 제 2 변측에 가깝게 배치된 배선일수록 상기 절곡부분의 선폭을 넓게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중 적어도 하나의 선폭은 연속적으로 점차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으로부터 상기 제 2 변을 향해서 연장되는 상기 복수의 배선에 관해서, 상기 제 2 변측까지 연장되는 배선일수록 그 선폭을 넓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간의 간격은, 모든 배선에 관해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은 전극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레이아웃 배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은 도통용 패드를 갖고, 상기 도통용 패드는 도통재에 의해서 다른 기판상의 전극에 도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Cr 단체(單體), 또는 Cr 및 Ta 또는 ITO, Cr 및 Ta의 적층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과, 상기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상에 마련된 전기 광학 물질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의 한 변은 배선 기판이 접속되는 변이고,
    상기 복수의 배선은 상기 한 변에 인접하는 두 개의 변의 변 둘레에 가까운 영역에 마련되고, 또한 각 변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에 대향하는 대향 기판을 갖고, 상기 배선은 상 기 대향 기판상에 마련된 전극에 도통재에 의해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물질은 액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3. 청구항 9에 기재된 전기 광학 장치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은, 상기 제 1 변으로부터 상기 제 2 변까지의 길이가 길수록, 그 전역의 배선폭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기판은 복수의 전극 및 그들 전극에 연결되는 전극 배선을 갖고,
    상기 복수의 전극 배선은, 각각 도통재에 의해서 상기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상의 상기 복수의 배선에 접속되며,
    상기 복수의 전극 배선의 각각의 폭은, 상기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상의 대응하는 배선의 길이가 길수록,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상의 상기 복수의 배선 중 길이가 긴 배선과 길이가 짧은 배선 사이에서 배선 저항이 균일하게 되도록, 길이가 짧은 배선에 대응하는 상기 대향 기판상의 상기 전극 배선의 선폭을 가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KR1020040003520A 2003-01-23 2004-01-17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0590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14733 2003-01-23
JP2003014733 2003-01-23
JPJP-P-2003-00377171 2003-11-06
JP2003377171A JP3925486B2 (ja) 2003-01-23 2003-11-06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941A KR20040067941A (ko) 2004-07-30
KR100590984B1 true KR100590984B1 (ko) 2006-06-19

Family

ID=32992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520A KR100590984B1 (ko) 2003-01-23 2004-01-17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68338B2 (ko)
JP (1) JP3925486B2 (ko)
KR (1) KR100590984B1 (ko)
CN (1) CN100343744C (ko)
TW (1) TWI28765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4520B2 (en) 2019-01-09 2022-08-0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7389B2 (ja) * 2004-08-20 2009-11-04 富士通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00653B1 (ko) * 2005-02-03 2007-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2006234918A (ja) * 2005-02-22 2006-09-07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JP4534972B2 (ja) * 2005-03-30 2010-09-01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7710739B2 (en) * 2005-04-28 2010-05-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device
JP4799952B2 (ja) * 2005-08-08 2011-10-26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775827B1 (ko) * 2005-12-22 2007-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균일한 저항값을 갖는 스캔 라인을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소자
JP2007287842A (ja) * 2006-04-14 2007-11-01 Ricoh Co Ltd 半導体装置
JP2008032900A (ja) * 2006-07-27 2008-02-14 Rohm Co Ltd 画像表示装置
KR101581245B1 (ko) * 2009-09-16 2015-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5471317B2 (ja) 2009-11-05 2014-04-16 日本精機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
TW201140204A (en) 2010-05-04 2011-11-16 Au Optronics Corp Electronic illuminating device
JP5991709B2 (ja) 2012-05-01 2016-09-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内蔵型液晶表示装置
JP6112544B2 (ja) * 2012-11-27 2017-04-12 国立大学法人電気通信大学 触覚提示装置の電極基板、触覚提示装置及び表示装置
CN103424901A (zh) 2013-08-19 2013-12-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模组
KR102276995B1 (ko) 2015-02-12 2021-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JP2017009716A (ja) * 2015-06-18 2017-01-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476563B1 (ko) * 2015-12-01 2022-1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TWI602002B (zh) * 2016-11-30 2017-10-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TWI684812B (zh) * 2018-11-26 2020-02-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93093B (ko) 1994-09-08 1996-12-11 Hitachi Ltd
US6128050A (en) * 1994-11-08 2000-10-03 Citizen Watch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separated anode oxide electrode
JPH117039A (ja) * 1997-06-17 1999-01-12 Hitachi Ltd 液晶表示素子
JP3296299B2 (ja) * 1998-08-03 2002-06-24 日本電気株式会社 引き出し配線のレイアウト方法および高密度配線を有する表示装置
JP4013476B2 (ja) 2000-11-14 2007-11-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2229009A (ja) 2001-02-06 2002-08-14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2268079A (ja) * 2001-03-09 2002-09-18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と電子機器
JP4002112B2 (ja) 2001-03-22 2007-10-31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702859B2 (ja) * 2001-04-16 2005-10-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2040475A (ja) * 2001-06-13 2002-02-06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4098049B2 (ja) * 2001-11-30 2008-06-1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パネ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4520B2 (en) 2019-01-09 2022-08-0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87656B (en) 2007-10-01
US7068338B2 (en) 2006-06-27
JP3925486B2 (ja) 2007-06-06
CN1517762A (zh) 2004-08-04
KR20040067941A (ko) 2004-07-30
US20040189915A1 (en) 2004-09-30
JP2004246330A (ja) 2004-09-02
CN100343744C (zh) 2007-10-17
TW200424644A (en) 200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0984B1 (ko)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US7167227B2 (en) Electrooptic device, driving IC, and electronic apparatus
US8009253B2 (en) Electro-optical device having insulating layer with varying thickness in th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displays
US6999151B2 (en)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optical device
US7202508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device
KR20020023155A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US7187426B2 (en)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6927831B2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ubstrate interval
JP2004258365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052293B2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4042725B2 (ja)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171388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7114337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4226712A (ja) 電気光学装置用マザー基板、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4114451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6234871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3649222B2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4432589B2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4645327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030829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5181604A (ja) カラーフィルタ基板、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058633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098706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195744A (ja)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5309149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