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939B1 - 수지케이스의초음파용착방법 - Google Patents

수지케이스의초음파용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939B1
KR100584939B1 KR1019970031042A KR19970031042A KR100584939B1 KR 100584939 B1 KR100584939 B1 KR 100584939B1 KR 1019970031042 A KR1019970031042 A KR 1019970031042A KR 19970031042 A KR19970031042 A KR 19970031042A KR 100584939 B1 KR100584939 B1 KR 100584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ase
ultrasonic
vibration
cas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3517A (ko
Inventor
카즈시 스즈키
타카히로 소네
히로시 후지나미
Original Assignee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8001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3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friction, e.g. spin welding
    • B29C65/0609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friction, e.g. spin welding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0618Lin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friction, e.g. spin welding
    • B29C65/0609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friction, e.g. spin welding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0627Angular, i.e. torsio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29C65/08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having a component of vibration not perpendicular to the weld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4Single butt joints
    • B29C66/1142Single butt to butt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29C65/08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having a component of vibration not perpendicular to the welding surface
    • B29C65/082Angular, i.e. torsional ultrasonic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29C66/542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joining hollow covers or hollow bottoms to open ends of contain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81Housings or casings incorporating or embedd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케이스의 초음파 용착방법으로서, 수지케이스의 용착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초음파 발진기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처리장치(13)에 의해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된 상기 초음파 진동을 상기 가압면을 통해 수지케이스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지케이스는 코일이 내장된 전자기형 전자음향 변환기에 사용되는 수지케이스이다.

Description

수지케이스의 초음파 용착방법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전자음향 변환기의 수지케이스를 구성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용착 고정할 때 적용되는 수지케이스의 초음파 용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착시의 진동의 전파를 억제하여 진동에 기인한 각종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음향 변환기는 예를 들어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다. 먼저, 상부케이스(201)가 있고, 제13도에서 볼 때 이 상부케이스(201)의 좌단측 중앙위치에는 방음구멍(203)이 형성되어 있다. 제13도에서 볼 때 상기 상부케이스(201)의 우측에는 하부케이스(202)가 초음파용착에 의해 용착, 고정되어 있다. 제13도에서 볼 때 상기 하부케이스(202)의 우측단에는 개구부(207)로 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207)에는 베이스(209)와 철심(211)이 미리 일체화되어 자극편으로서 실장되는 동시에 기판(213)이 부착된다.
상기 철심(211)의 외주에는 코일(215)이 감겨있고, 그 코일(215)의 각 코일단자(215a),(215b)는 상기 기판(213)에 부착된 리드단자(217),(219)에 예를들면 납땜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코일(215)의 외주에는 환상의 간극(221)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마그네트(223)가 배치된다. 상기 하부케이스(202)의 내주에는 스텝부(225)가 형성되고, 이 스텝부(225)에는 격막(226)이 설치된다. 이 격막(227)은 진동판(227)과 이 진동판(227)의 중앙에 부가질량으로서 부착된 자석편(229)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전자음향 변환기에 있어서 자석편(229)과 일체로된 진동판(227)은 마그네트(223)에 의해서 흡인된 상태로되고, 그것에 의해 어느 일정한 극성을 가진 상태로 세트된다. 이 상태에서 리드단자(217)(219)를 통해서 코일(215)에 전류가 흐르면 철심(211)이 전자석화하여 그 선단에 자체가 발생한다. 이 때, 철심(211)에 발생된 코일(215)에 의한 자극과 진동판(277)에 부착된 마그네트(223)에 의한 자극이 다른 극성이되는 경우에는 진동판(227)은 철심(211)에 흡인된다. 또 철심(211)에 발생된 코일(215)에 의한 자극과 진동판(227)이 갖는 마그네트(223)에 의한 자극이 같은 극성이 되는 경우에는 진동판(227)은 철심(211)에 대하여 반발하게 된다. 따라서 양방향으로 전류를 단속적으로 흐르게 하여 진동판(227)은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즉 진동판(227)이 소정의 주파수로 진동하게 되고, 그 진동에 의해 음이 발생하게 된다.
또, 다른 구성의 전자음향 변환기를 제14도에 나타낸다. 제14도에 나타낸 전자음향 변환기는 단자를 수지케이스에 삽입 성형한 형태이다. 먼저, 리드프레임(301)은 복수개의 전자음향 변환기의 제조에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소자(301a)를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제14도에는 1개의 리드 프레임 소자(301a)를 나타낸다. 이 리드 프레임 소자(301a)는 한쌍의 외측 프레임 가이드 레일(303),(303)을 구비하고, 또 4개의 가이드 구멍(304)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한쌍의 외측 프레임 가이드 레일(303),(303) 사이에는 공간부(30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305) 내에는 돌출편(307)(309)(311)(313)이 돌기하고, 이들 돌출편(307)(309)(311)(313)의 선단부(307a)(309a)(311a)(313a)가 완성품으로서의 전자음향 변환기에서 리드단자로서 기능하게 된다. 즉, 후에 각 돌출편(307)(309)(311)(313)을 제14도에 나타낸 절단선(A)을 따라서 절단하게 되며, 그 결과 리드단자(307a)(309a)(311a)(313a)로 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리드 프레임(301) 위에 베이스부(315)를 형성한다. 즉, 도시하지 않은 성형주형 내에 리드 프레임(301)을 배치하고, 도시하지 않은 요크(베이스)와 리드단자(307a)(309a)(311a)(313a)를 삽입 성형한다(단 이 시점에서는 제14도에 나타낸 절단선(A)을 따라 이루어지는 절단을 행하지는 않는다). 다음에, 자극부분에 도시하지 않은 코일을 감는다. 그리고 베이스부(315)의 내부에 지지링(323)을 설치하고, 그 내측에 도시하지 않은 마그네트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링(323) 위에 부가질량으로서의 자석편(327)을 구비한 진동판(329)을 설치한다. 다음에, 권회된 코일의 양쪽 코일단(329a)(329b)을 리드단자(307a)(309a)의 랜드부상에 인출하여 납땜을 시행한다.
또, 상기 코일, 마그네트는 제14도에 있어서는 진동판(329)의 하측에 위치한다.
한편, 케이스(331)를 별도로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하여 두고, 각 리드프레임 소자(301a)의 베이스부(315) 위에 배치한다. 그리고, 초음파 용착에 의해 케이스(331)를 베이스부(315)에 용착, 고정한다. 이 때 까지의 작업에 의해 리드 프레임(301) 위에 복수개의 전자음향 변환기가 구성된다. 그리고 최후로 각 리드 프레임 소자(301a)의 돌출편(307)(309)(311)(313)을 절단선(A)을 따라서 절단함으로써 각 전자음향 변환기를 독립시킨다. 후에 각 전자음향 변환기의 리드단자(307a)(309a)(311a)(313a)에 성형가공을 행함으로써 완성품으로서의 전자음향 변환기를 얻을 수 있다. 제14도의 부호333은 방음구멍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자음향 변환기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01)와 하부 케이스(202)가 초음파용착에 의해 용착, 고정되고, 또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자음향 변환기의 경우에도 케이스(331)를 베이스부(315)에 초음파용착에 의해 용착, 고정하게된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 용착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초음파 용접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초음파 전기에너지를 호른을 통해서 기계적 진동에너지로 변환하고, 이것을 피용착부재, 예를 들면 제12도, 제13도에 나타낸 상부케이스(201) 또는 제14도에 나타낸 케이스(331)에 부여한다. 그 진동은 대향하는 부재 즉 제12도, 제13도에 나타낸 하부케이스(202), 또는 제14도에 나타낸 베이스부(315)에도 전달된다. 이와 같은 진동을 부여하는 동시에 가압을 행함으로써 예를들면 상부케이스(201)와 하부케이스(202)의 용착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에너지 디렉터에 초음파진동이 집중 전달되고, 국부적인 마찰열이 발생하여 상부케이스(201)와 하부케이스(202)가 용착,고정된다. 또, 케이스(331)와 베이스부(315)도 같이 용착, 고정된다.
이와 같은 초음파 용착에 있어서, 종래는 초음파진동을 종진동으로 하여, 각 부재, 즉, 제12도, 제13도에 나타낸 상부케이스(201), 또는 제14도에 나타낸 케이스(331)에 부여한다. 그 이유는 종진동의 경우 용착부에 있어서의 에너지 디렉터로의 진동전달성이 양호하므로 비교적 낮은 에너지로 또한 단시간으로 용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문제가 발생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는 종진동을 이용한 초음파용착이 채용된다. 그런데 예를 들면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전자음향 변환기의 경우에는 상부케이스(210) 측으로부터 종진동을 가하므로 상부케이스(201) 및 하부케이스(202)의 용착부가 상호 충돌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케이스(201)에 가해진 종진동은 에너지 디렉터와 함께 하부케이스(202)에도 전달된다. 그때 하부케이스(202)에는 코일이 내장되므로 전달된 진동에 의해 이 코일(215)의 양 코일 단자(215a),(215b)가 단선될 가능성이 있다. 즉, 코일(215)의 양 코일단자(215a)(215b)는 리드단자(217)(219)에 납땜되며, 이 상태에서 진동이 전달되면 코일단자(215a)(215b)의 단선이 발생한 경우 당연히 전자음향 변환기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또, 최근 전자음향 변환기의 소형화,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소형화, 박형화에 있어서는 제13도에 나타낸 방음구멍(203), 상부케이스(201)와 하부케이스(202)의 용착면, 코일(215)의 양 코일단자(215a)(215b)의 거리, 즉 초음파진동의 발신원이 되는 호른으로부터 용착면 및 이 코일단자(215a),(215b)의 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코일(215) 자체가 가늘어지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에 의한 단선의 가능성이 현저히 커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전자음향 변환기의 소형화, 박형화에 대해 큰 장애가 된다.
또, 제14도에 나타낸 전자음향 변환기의 경우에 있어서도 같다. 제14도에 나타낸 전자음향 변환기는 상기 소형화, 박형화의 요구에 부응하는 타입이지만 이 경우에도 코일단자(329a),(329b)의 진동에 의한 단선 가능성이 현저히 크다.
또 이러한 타입의 경우에는 베이스부(315), 즉, 상기 코일단자(329a)(329b)가 진동하는 동시에 리드 프레임 소자(303a)의 단자, 즉 리드단자(307a),(309a)의 부분도 진동하게 된다. 베이스부(315) 및 리드단자(307a)(309a)는 박형의 평판형이므로 그 판의 두께 방향으로 가해지는 종진동에 대하여는 특히 그 영향을 받는 것이 용이하다. 또, 질량이 상이하여 양자의 진동모드가 다르게 되므로 가는 코일단자(329a),(329b)에 응력이 집중하고, 그 결과 코일단자(329a),(329b)의 부분이 단선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케이스의 구성부품이 초음파 용접으로 용착, 고정될 때 이들 구성부품 뿐만 아니라 그 관련부품에 대해 전달되는 진동의 전파를 최소화하여 이 진동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을 제거함으로써 제품의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지 케이스의 초음파 용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케이스의 초음파 용착방법은 상기 수지케이스의 용착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수지케이스에 대하여 초음파진동을 부여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종래 구성부품에 대해 종방향 진동을 부여하는 대신 횡방향 진동을 부여하여 구성체와 관련 부품에 대해 진동효과를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지케이스는 코일이 내장된 전자기형 전자음향 변환기에 사용되는 수지케이스이다.
또,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지케이스의 상기 용착면은 다각형상이며, 상기 용착면의 상기 다각형 각각의 측면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초음파진동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각형의 한예로서 상기 수지케이스의 상기 용착면은 사변형이며, 상기 용착면의 상기 사변형 중 어느 한 측면을 대하여 45˚의 경사방향으로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각형의 다른 예로서 상기 수지케이스의 상기 용착면은 직각형이며, 상기 용착면의 상기 직각형 중 어느 한 측면을 대하여 45˚의 경사방향으로 초음파진동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케이스의 상기 용착면은 원형이며, 상기 용착면의 상기 원형에 대하여 그 원주 방향으로 초음파진동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종래 종방향 진동을 부여하는 대신 횡방향 진동을 부여하므로 구성체와 그 관련부품에 대해 진동의 전파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코일을 갖는 전자음향 변환기의 수지케이스에 대하여 초음파용접에 대한 횡방향진동을 가할 때 코일단자에 전파되는 진동은 현저히 줄어들며, 코일단자의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다각형의 용접표면의 경우에 용접면의 각 측면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횡진동이 가해질 때 각 측에 대해 같은 양의 마찰열을 얻을 수 있으므로 용착, 고정을 확실히 할 수 있다. 사변형 또는 직각형의 용착표면의 경우 특히 임의의 한 측면에 대해 45˚ 경사방향으로 횡방향 진동을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도 있다.
또 용착면이 원형인 경우 용착면의 원형에 대하여 그 원주 방향으로 초음파진동을 부여할 때 용착면 전체 표면에 대해 균일하게 마찰열을 얻을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용착, 고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용착방법을 적용하는 전자음향 변환기의 외관을 나타내며,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수지케이스를 구성하는 부재로서의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3) 그리고 상부케이스(1)의 중앙부에는 방음구멍(5)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케이스(1) 및 하부케이스(3) 내에 있어서의 구성은 종래의 것과 같다. 상기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3)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용착방법에 의해 용착, 고정되지만 이 방법은 종래와 같은 종진동에 의한 초음파 용착방법에는 없는 것으로서 제2도에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같이 용착면(7)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진동을 부여하는 횡진동에 의한 초음파 용착방법을 채용한다.
즉, 횡진동에 의한 초음파 용착방법의 경우 종래의 종진동에 의한 초음파 용착방법의 경우와 같이 용착부재 즉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3)가 상호 충돌하는 방식이 아니라 각각이 상호 평행으로 마찰접촉에 의해 용착되므로 하부케이스(3)의 진동 전달량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따라서 하부케이스(3)에 내장된 코일의 단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횡진동에 의한 초음파 용착방법의 공정 및 구성은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먼저 초음파 발진기(11)로부터 초음파 전기에너지를 출력한다. 상기 출력된 초음파 전기에너지는 처리장치(13)에 의해 기계적 진동 에너지로 변환된다. 상기 처리장치(13)는 예를 들면 콘버터(15), 부스터(17), 호른(19)으로 구성된다. 상기 호른(19)의 가압면(19a)에는 복수의 돌기(21)가 형성되며 이 돌기(21)를 통해 가압면(19a)이 상부케이스(1)를 가압,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기계적 진동 에너지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3)에 대하여 용착면(7)에 평행한 방향으로 횡진동으로서 부여된다. 또 그와 동시에 가압도 행해진다. 상기 횡진동의 부여와 가압에 의해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3)의 용착면(7)에 마찰열이 발생하고 이 마찰열에 의해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3) 사이의 용착면에 위치하는 도시하지 않은 에너지 디렉터 부분이 용해하여 용착,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횡진동을 부여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2도에 화살표A로 나타낸 바와 같이 45˚의 방향으로 된다. 이와 같이 45˚의 방향으로 횡진동을 부여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 먼저, 가정으로 제2도에 있어서 좌우방향에 평행한 방향(제2도 중 화살표B로 나타낸 방향)으로 횡진동을 부여한다. 즉, 측벽(1a)(1b)(3a)(3b) 표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의 진동이 화살표B 방향의 횡진동에 상당하므로 그 경우에는 상부케이스(1)의 좌우 방향의 측벽(1a)(1b), 하부케이스(3)의 좌우방향의 측벽(3a)(3b)으로 큰 저항이 작용하게 되고, 그것에 의해 이들 측벽(1a)(1b)(3a)(3b)이 휘여져 충분한 마찰열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원하는 용착, 고정을 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수지로 형성된 상부케이스(1) 및 하부케이스(3)의 판두께가 박형화될 때 이러한 휘어짐 및 마찰열의 불충분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에 대하여 화살표A로 나타낸 바와 같이 45˚의 방향으로 횡진동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상기 측벽(1a)(1b)(3a)(3b)에 대한 부하가 경감되고, 그것에 의하여 측벽(1a)(1b)(3a)(3b)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분한 마찰열을 균일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종래의 종진동에 의한 초음파 용착방법과는 달리 횡진동에 의한 초음파 용착방법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하부케이스(3) 내측의 코일단자에 전달되는 진동은 큰 폭으로 경감되고, 그것에 의해 코일단자의 단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전자음향 변환기의 기능 상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부케이스(1), 하부케이스(3) 사이의 용착면(7)이 사각형으로 됨에 따라서 횡진동을 부여하는 방향을 45˚ 방향으로 설정하므로 측벽(1a)(1b)(3a)(3b)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각 4변에 있어서 균일하게 마찰열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확실하게 용착,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선의 세선화(細線化), 수지케이스의 소형화, 박형화가 가능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전자음향 변환기의 소형화,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다음에, 제5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으며, 케이스(31)와 베이스부(33) 사이의 용착면(35)이 장방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착면(35)에 평행인 45˚의 방향으로 횡진동을 부여하게 된다.
또, 케이스(31) 내측의 구조 및 베이스부(33)의 구조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베이스부(33) 위에 있어서 케이스(31)의 내측에는 베이스(37)와 철심(39)이 일체화된 포올 피스가 실장되어 있다. 상기 철심(39)의 외주에는 코일(41)이 감겨있고, 이 코일(41)의 외주에는 지지링(43)이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링(43)의 내측에는 (즉, 코일(41) 측 상의 공차(47)를 가진 지지링(43)과 코일(41) 사이의 공간에는) 마그네트(45)가 배치된다. 또, 지지링(43)의 스텝부(49)에는 부가질량으로서의 자석편(51)을 구비한 진동판(53)이 설치된다.
또, 제7도에 나타낸 타입의 전자음향 변환기는 종래예의 설명으로 사용한 제1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타입이다.
다음에, 횡진동에 의한 초음파 용착방법에 의해 용착, 고정되는 케이스(31)와 베이스부(33)의 용착면(35) 부근의 구성을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케이스(31) 측에는 스텝부(31a)가 형성되어 있고, 한편 베이스부(33) 측에도 스텝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횡진동에 의한 초음파 용착방법에 의해 용착, 고정되기 전의 단계에서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양 스텝부(31a)(33a)가 충돌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횡진동에 의한 초음파 용착방법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스텝부(31a),(33a)의 일부가 마찰열에 의해 용해되고, 그것에 의해 케이스(31)와 베이스부(33)가 용착,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제10도 및 제1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상부케이스(61)와 하부케이스(63) 사이의 용착면(65)이 원형(환형 또는 링형)이 되고, 여기서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착면(65)에 평행한 원주방향(회전방향)으로 상부케이스(61)와 하부케이스(63)에 횡진동을 부여한다.
제3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원리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횡진동을 부여한다.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용착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부여되는 횡진동이 제10도 및 제11도에서도 소정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이면 상부케이스(61)의 측벽에 큰 저항이 작용하게 되고, 그것에 의해 측벽이 휘어져 충분한 마찰열이 발생할 수 없으므로 원하는 용착, 고정을 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는 달리 제11도에 화살표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방향(회전방향)으로 횡진동을 상부케이스(61)에 부여하는 경우에는 상부케이스(61)의 측벽에 대한 부하가 경감하게 되어 측벽의 휘어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충분한 마찰열을 용착면(65) 전체에 균일하게 발생시킬 수 있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용착상태가 얻어진다.
또, 제10도 중 부호 67은 방음구멍이다. 또, 제3실시예에 따라서 횡진동을 부여하는 공정 및 구성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지만 회전방향으로 횡진동을 부여하는 관계로 제4도에 나타낸 처리장치(13)에서 횡방향의 왕복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성을 부여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지케이스로서 전자음향 변환기의 케이스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수지케이스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고, 부여하기 위한 구조는 공지된 것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수지케이스의 형상 등은 단지 일예로서 제시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전자음향 변환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용착면에 대하여 45˚ 방향으로 횡진동을 부여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초음파 용착방법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초음파 용착방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전자음향 변환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용착면에 대하여 45˚ 방향으로 횡진동을 부여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전자음향 변환기의 내부구조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용착전 케이스와 베이스부의 용착면 및 그 부근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용착후 케이스와 베이스부의 용착면 및 그 부근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전자음향 변환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용착면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횡진동을 부여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12도는 종래예로서, 전자음향 변환기의 바닥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
제13도는 종래예로서, 제12도의 X111-X111 단면도.
제14도는 종래예로서, 전자음향 변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Claims (6)

  1. 코일과 금속부재에 의한 베이스부를 갖고, 상기 코일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코일의 일단은 단자부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지케이스에 고정된 전자음향 변환기에서의 수지케이스를 초음파를 출력하는 초음파 발진기로부터의 상기 초음파를 지그에 의해 부착된 가압면에 상기 수지케이스를 가압하여 초음파 용착을 하는 상기 전자음향 변환기에서의 수지케이스의 초음파 용착방법에 있어서,
    수지케이스의 용착면에 대하여 평행인 방향이고 또한 코일의 감는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상기 초음파 발진기로부터 출력되고, 지그에 의해 변환되는 초음파 진동을 가압면을 통하여 수지케이스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지케이스는 코일을 내장한 전자형 전기음향 변환기에 사용되는 수지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케이스의 초음파 용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케이스의 상기 용착면은 다각형이며, 상기 평행한 방향으로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는 단계 중에, 상기 용착면의 상기 다각형 각각의 측면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상기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케이스의 초음파 용착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케이스의 상기 용착면의 다각형은 사변형이며, 상기 경사방향의 각도는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케이스의 초음파 용착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케이스의 상기 용착면의 다각형은 직각형이며, 상기 경사방향의 각도는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케이스의 초음파 용착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한 방향으로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는 단계 중에, 상기 수지케이스의 용착면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상기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케이스의 초음파 용착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면에 대해 평행으로 초음파진동을 인가하는 상기 단계를 통해 상기 수지케이스의 용착고정 중에 상기 전자기형 전자음향 변환기의 코일에 가해지는 진동전달이 감소되도록 초음파 진동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케이스의 초음파 용착방법.
KR1019970031042A 1996-07-05 1997-07-04 수지케이스의초음파용착방법 KR100584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570496A JP3877016B2 (ja) 1996-07-05 1996-07-05 樹脂ケースの超音波溶着方法
JP96-195704 1996-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3517A KR980013517A (ko) 1998-04-30
KR100584939B1 true KR100584939B1 (ko) 2006-09-20

Family

ID=16345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042A KR100584939B1 (ko) 1996-07-05 1997-07-04 수지케이스의초음파용착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30300A (ko)
EP (1) EP0816053A3 (ko)
JP (1) JP3877016B2 (ko)
KR (1) KR100584939B1 (ko)
CN (1) CN112856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3833B1 (en) 1998-09-04 2001-02-27 Spx Corporation Method of laser welding transmission filter housing components
US6494976B1 (en) * 1999-05-18 2002-12-17 Denso Corporation Ultrasonically joining apparatus and ultrasonically joining method
US6583364B1 (en) * 1999-08-26 2003-06-24 Sony Chemicals Corp. Ultrasonic manufacturing apparatuses, multilayer flexible wiring board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flexible wiring boards
KR20020072605A (ko) * 2001-03-12 2002-09-18 김영주 몰딩성형구조를 갖는 주화케이스 및 그 주화케이스의제조방법
JP4206496B2 (ja) * 2001-03-12 2009-01-14 四国化工機株式会社 容器超音波シール方法
AU2003223213A1 (en) * 2002-02-28 2003-09-16 Scimed Life Systems, Inc. Ultrasonic assisted apparatus and process
US20060033091A1 (en) * 2004-07-23 2006-02-16 Lmt Mercer Group Inc. Thermoplastic fencing construction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US7204898B2 (en) * 2004-07-23 2007-04-17 Lmt Mercer Group Inc. Thermoplastic fencing construction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US8668797B2 (en) 2004-07-23 2014-03-11 Lmt Mercer Group Inc. Method of assembly of thermoplastic fencing
US7748101B2 (en) * 2005-12-20 2010-07-06 Ip Technologies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metallic container
US20070137020A1 (en) * 2005-12-20 2007-06-21 Ip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metallic container
JP5052850B2 (ja) * 2006-09-21 2012-10-17 豊達電機(香港)有限公司 スピーカキャビネットの超音波溶着接合方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作製されたスピーカキャビネット
EP1930148A1 (de) * 2006-12-07 2008-06-11 Telsonic Holding AG Verwendung einer Vorrichtung zum torsionalen Ultraschallschweissen
EP2403704B1 (de) * 2009-03-05 2014-11-26 Faurecia Exteriors GmbH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s bauteils an ein kunststoffteil eines kraftfahrzeugs mit dem torsionalen ultraschallschweissverfahren
JP2010258302A (ja) * 2009-04-27 2010-11-11 Texas Instr Japan Ltd 超音波フリップチップ実装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基板
JP5536560B2 (ja) * 2010-06-25 2014-07-02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溶着条件の決定方法
DE102010043089A1 (de) * 2010-10-29 2012-05-03 Robert Bosch Gmbh Siegelbacke zur Siegelung eines Packstoffs mittels Ultraschall
EP2457683A1 (de) * 2010-11-25 2012-05-30 Telsonic Holding AG Torsionales Schweissen
EP3718647A1 (en) 2019-04-01 2020-10-07 Branson Ultraschall Niederlassung der Emerson Technologies GmbH & Co. oHG Torsional horn and ultrasonic processing method using the torsional hor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3926A (en) * 1969-03-26 1971-11-30 Ultrasonic Systems Ultrasoni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y of thermoplastic members
JPS57178826A (en) * 1981-04-30 1982-11-04 Akira Washida Method of welding ethylene tetrafluoride resin by ultrasonic wave
KR870009843A (ko) * 1986-04-04 1987-11-30 가부시끼가이샤 니후꼬 초음파 용착방법
JPS63221799A (ja) * 1987-03-11 1988-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イクロホンユニツト
JPS63227198A (ja) * 1987-03-16 1988-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イクロホンユニツト
JPH0687164A (ja) * 1992-09-08 1994-03-29 Star Micronics Co Ltd 樹脂ケースの超音波溶着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6179A (en) * 1964-06-12 1968-04-02 Cavitron Ultras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frequency joining or sealing of thermosoftening materials
US3860468A (en) * 1973-04-10 1975-01-14 Du Pont Angular welding process and apparatus
GB1524817A (en) * 1975-08-15 1978-09-13 Kerry Ultrasonics Welding thermoplastics materials
US4088257A (en) * 1977-02-14 1978-05-09 Christiana Metals Corporation Ultrasonic spot welder
US4326903A (en) * 1980-12-05 1982-04-27 Branson Ultrasonics Corporation Method for securing parts together by ultrasonic energy
FR2507531A1 (fr) * 1981-06-12 1982-12-17 Mecasonic Sa Procede et dispositif de soudage de films en matiere plastique par ultrasons
DE3229076A1 (de) * 1981-08-07 1983-03-24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Shizuok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schweissen des bodens eines rohrfoermigen behaelters aus kunstharz
DE3147255C2 (de) * 1981-11-28 1986-08-28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Vorrichtung zum Verschweißen von Bauteilen unter Verwendung von Ultraschall, insbesondere von Solarzellenkontakten und Solarzellenverbindern
GB2134847B (en) * 1983-02-04 1985-11-13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Assembly using ultrasonics
US4554034A (en) * 1984-11-15 1985-11-19 Battelle Memorial Institute Bonding capsules
US4767492A (en) * 1986-04-18 1988-08-30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Ultrasonic fuse-bonding sealing apparatus with improved contact surfaces
JPS62282914A (ja) * 1986-05-31 1987-12-08 Shinshin Shokai:Kk 特音波溶着パタ−ン
US4964941A (en) * 1988-07-20 1990-10-23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Apparatus for mounting a magnetic head on a suspension arm
US5223063A (en) * 1989-04-17 1993-06-29 Kabushiki Kaisha Shinkawa Method for bonding semiconductor elements to a tab tape
US5079387A (en) * 1990-01-31 1992-01-07 Emerson Electric Co. Electrical component with enclos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DE4015253A1 (de) * 1990-05-12 1991-11-14 Hoechst Ceram Tec Ag Piezoelektrischer tongeb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846512B2 (ja) * 1991-08-22 1999-01-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カラー受像管のシャドウマスク
JPH0691756A (ja) * 1992-01-24 1994-04-05 Choonpa Kogyo Kk 捩り振動を利用する超音波スウェージングツール
JP3190437B2 (ja) * 1992-07-07 2001-07-23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電子内視鏡用コネクタ
JP3336372B2 (ja) * 1993-11-10 2002-10-21 株式会社コーセー 合成樹脂製品とその溶着方法
JP3169153B2 (ja) * 1993-12-28 2001-05-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部材の接合方法
DE4437677C2 (de) * 1994-10-21 1997-12-04 Mann & Hummel Filter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augrohren und Saugrohr aus Kunststof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3926A (en) * 1969-03-26 1971-11-30 Ultrasonic Systems Ultrasoni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y of thermoplastic members
JPS57178826A (en) * 1981-04-30 1982-11-04 Akira Washida Method of welding ethylene tetrafluoride resin by ultrasonic wave
KR870009843A (ko) * 1986-04-04 1987-11-30 가부시끼가이샤 니후꼬 초음파 용착방법
JPS63221799A (ja) * 1987-03-11 1988-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イクロホンユニツト
JPS63227198A (ja) * 1987-03-16 1988-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イクロホンユニツト
JPH0687164A (ja) * 1992-09-08 1994-03-29 Star Micronics Co Ltd 樹脂ケースの超音波溶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564C (zh) 2003-11-19
CN1174486A (zh) 1998-02-25
KR980013517A (ko) 1998-04-30
JPH1023597A (ja) 1998-01-23
JP3877016B2 (ja) 2007-02-07
EP0816053A2 (en) 1998-01-07
EP0816053A3 (en) 1998-03-04
US5830300A (en) 1998-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939B1 (ko) 수지케이스의초음파용착방법
KR100417017B1 (ko) 전기 신호를 휴대 전자 장치의 소자의 진동으로 변환하는다기능 컨버터
KR101503868B1 (ko) 진동모터 겸용 스피커
JP3224690B2 (ja) 電気音響変換器の製造方法
WO2024022489A1 (zh) 发声装置和终端设备
JP3251868B2 (ja) 電磁音響変換器
JP2002152896A (ja) マイクロスピーカ
KR20080085467A (ko) 스피커
KR100987464B1 (ko) 지향성 스피커
CN101803403B (zh) 超薄型声换能器
KR100488654B1 (ko) 두개의 자기회로부를 가지는 스피커
KR101152646B1 (ko) 음향 변환 장치
KR101454717B1 (ko) 리니어 진동모터용 진동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03006B1 (ko) 소형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KR100967853B1 (ko) 다기능형 진동 액추에이터의 회로 기판 실장 구조
KR19990041872A (ko) 이중 보이스코일을 가지는 스피커 구조
KR100328875B1 (ko) 박판부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37777B1 (ko) 진동 모터
KR101339868B1 (ko) 음향변환장치
JP2002186094A (ja) 電気音響変換器
KR20090022704A (ko) 스피커
KR20210006041A (ko) 슬림 스피커
JP2009141521A (ja) 磁気ギャップ構造及びダイナミックスピーカ
KR20000060098A (ko) 소형 스피커용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금속요크의 조립방법
JPH0227897A (ja) 動電型電気音響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