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639B1 - 전지 팩의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지 팩의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639B1
KR100582639B1 KR1020027009438A KR20027009438A KR100582639B1 KR 100582639 B1 KR100582639 B1 KR 100582639B1 KR 1020027009438 A KR1020027009438 A KR 1020027009438A KR 20027009438 A KR20027009438 A KR 20027009438A KR 100582639 B1 KR100582639 B1 KR 100582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harging
battery
battery pack
charg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3153A (ko
Inventor
오누마노부히토
요시카와마사아키
오카구치히코카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 가이샤 도쿄 알 앤드 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 가이샤 도쿄 알 앤드 디 filed Critical 가부시키 가이샤 도쿄 알 앤드 디
Publication of KR20020083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battery ageing, e.g. to the number of charging cycles or the state of health [So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02J7/00719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of the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충전에 수반하는 발열에 의한 전지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면서 전지를 완전 충전 내지 완전 충전에 가까운 상태로 충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지 팩의 충전 시스템(1)은 전지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수단(15), 충전수단(12), 충전수단(12)을 전지온도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13)을 구비하며, 제어수단은(13)은 「온도에 의존하는 양」(ΔT/Δt)을 목표 값(Y)으로 하는 온도 피드백 충전을 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충전에 수반하는 발열에 의한 전지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면서 전지를 완전 충전 내지 완전 충전에 가까운 상태로 충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전지, 전지팩, 충전시스템, 온도피드백, 완전충전, battery pack

Description

전지 팩의 충전 시스템 {BATTERY PACK CHARGING SYSTEM}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로 대표되는 전동 차량 등에 탑재되는 전지의 충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에 따르는 발열에 의한 전지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면서 전지를 완전 충전 내지 완전 충전에 가까운 상태로 충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9)은 전지 팩(battery pack)(91), 이 전지 팩(91)을 충전하는 충전수단(92), 제어수단(93), 전지 팩(91)의 충전전류를 검출하는 충전전류 검출수단(94), 전지 팩(91)의 온도를 검출하는 전지온도 검출수단(95), 그리고 전지 팩(91)을 구성하는 단일 전지의 단자전압을 검출하는 충전전압 검출수단(9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지 팩(9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모듈(M1, M2, ···, Mn1)로 구성되고, 또 각 모듈은 복수의 단일 전지(C1, C2, ···, Cn2)로 구성되어 있다.
충전수단(92)은 AC/DC 변환부(921)와 전류 공급부(922)로 이루어진다. AC/DC 변환부(921)에는 상용전원(여기서는 단상 100〔V〕전원 GAC)이 접속된다. 전 류 공급부(922)는 다음에 설명하는 제어수단(93)으로부터의 제어신호(충전전류 명령 CCref)에 기초하여 AC/DC 변환부(921)의 직류출력으로부터 소정 듀티(duty)의 펄스(IP)를 생성하고, 이것을 전지 팩(91)에 공급하여 충전을 행한다.
제어수단(93)은 충전전류 검출수단(94)에 의해 검출된 충전전류(IC)의 값을 참조하며, 충전전류(IC)가 소정값(허용되는 최대 전류값)이 되도록 충전수단(92)에 상기의 제어신호(충전전류 명령 CCref)를 출력한다.
또, 제어수단(93)은 완전 충전 되었는지의 여부를 충전전압 검출수단(96)이 검출한 충전전압(VC)의 ΔV 피크(peak)(후술한다)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또는 전지온도 검출수단(95)이 검출한 전지 팩(91)의 온도(T)의 시간변화율(ΔT/Δt)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충전전압 검출수단(96)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복수 모듈의 직렬 접속전압을 검출함으로써 편의적으로 단일 전지 한 개당 충전전압을 추정하고 있다.
전지온도 검출수단(95)은 센서(951)와 AD 컨버터(952)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충전 시작 조건에는 전지온도(TB)에 상한이 규정되는(예를 들어, 초기온도가 45℃ 이상이면 충전 시작이 제한된다)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전지온도(TB)의 감시가 필요하게 된다.
도 4는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니켈·메탈하이드라이드(Ni-MH) 등의 보통의 이차전지의 공(空) 충전(완전 방전) 상태로부터 완전 충전에 이르기까지의 충전전 압(VC)과 충전전류(IC)와 전지온도(TB)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충전이 시작됨에 따라(도 4의 t1참조), 충전 전압(VC)이 상승하고(이 상승에 의한 경사를「제1 경사」라 한다), 이 제1 경사를 지나면 (도 4의 t2 참조), 충전전압(VC) 및 전지온도(TB)가 약간의 점증(漸增) 상태가 된다.
전지 팩(91)에의 충전이 진행하여 완전 충전에 가까워지면(예를 들어, 완전 충전의 80∼90% 정도 충전되면) 충전전압(VC)이 상승하기 시작하고(도 4의 t3 참조 : 이 상승에 의한 「제2 경사」라 한다), 약간 지연되어 전지온도(TB)가 상승을 시작한다(도 4의 t4 참조). 또 충전이 진행되면 충전전압(VC)은 「ΔV 피크」라고 불리우는 피크(도 4의 t5 참조)에 도달한다.
종래의 충전 시스템(9)에서는, 통상 ΔV 피크를 검출하고 여기에서의 전압 강하분(이 강하분을 「-ΔV」로 나타낸다)이 소정값에 도달했을 때에 충전을 종료한다(도 4의 t6 참조). 또, ΔV 피크의 검출에 상관없이 전지온도(TB)의 시간 변화(ΔTB/Δt)가 소정값을 넘었을 때에 충전을 종료하는 것도 행하여지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이차전지에서는 충전시 과도한 전지온도 상승은 그 성능이나 수명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충전 시스템(9)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Δ피크(t5 )부터 얼마되지 않은 시간(t6)에 충전이 종료하기 때문에 그래프 상에서는 전지 팩(91)을 구성하는 단일 전지는 성 능 저하의 원인이 되는 전지온도(이하, 「위험온도」라 한다)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또, 충전 시스템(9)에서는, 전지온도(TB)는 전지온도 검출수단(95)에 의해 검출되기 때문에 단일 전지(또는 모듈)는 위험온도에는 도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ΔV 피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개의 단일 전지(또는 개개의 모듈)에 대해 검출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단일 전지(또는 모듈)의 제조상 용량의 불균일, 또는 충전 시작시의 온도차(이것은 단일 전지가 전지 팩전체의 어디에 배치되어 있는가에 의해 생긴다)에 기초하는 용량의 불균일에 기인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측정 대상으로 되어 있지 않은 단일 전지(또는 모듈)는 이미 ΔV 피크에 도달하고 있지만 센서(951)의 측정 대상으로 되어 있는 단일 전지(또는 모듈)는 아직 ΔV 피크에 도달하지 않은 상황이 발생하기 쉽다.
또, 복수의 단일 전지(또는 모듈)를 직렬 접속하여 ΔV 피크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 센서(951)의 측정 대상으로 되어 있는 단일 전지(또는 모듈)의 일부가 ΔV 피크를 벌써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단일 전지(또는 모듈)의 직렬 접속 전체로서는 ΔV 피크에 도달하지 않은 상황도 발생하기 쉽다. 단일 전지(또는 모듈)의 하나 하나에 대해 보면, ΔV 피크를 지나면 그 단자전압은 저하되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은 더욱이 발생하기 쉽다.
또, 실제의 단일 전지 온도는 그 단일 전지가 냉각되기 쉬운 장소에 있는지 여부에도 의존하지만, 개개의 단일 전지(또는 개개의 모듈)의 온도가 전지온도 검출수단(95)에 의해 검출되는 것은 아니다. 단일 전지 중에는 실제 온도가 전지온도 검출수단(95)에 의해 검출된 온도보다도 높은 경우도 있다.
또한, 종래의 충전 시스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 종료시(도 4의 t6에는, 전지온도(TB)는 초기온도로부터 예를 들어 10∼40℃ 정도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단일 전지 중 몇 개가 충전 종료전에 위험온도를 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전기 자동차에서는, 전지 팩은 다수의 단일 전지의 직렬 접속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일부의 단일 전지의 고장(열화)이 전기 자동차 자체의 극단적인 기능 저하로 직결하는 경우가 많고, 또 이러한 기능 저하가 발생한 경우, 어떤 단일 전지가 고장이 난 것인지를 아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충전전압의 검출을 행하는 모듈군(모듈의 직렬 접속)의 수를 2개 내지 그 이상으로 하면(즉, 충전전압 검출수단을 복수 설치하면), 상기한 문제는 얼마쯤이라도 해소할 수 있다. 이 해결방법으로는 검출에 이용하는 AD 컨버터의 개수도 충전전압 검출수단의 개수만큼 필요하게 된다.
「-ΔV」의 값은 하나의 단일 전지당, 수 밀리볼트 정도로 작기 때문에, AD 컨버터로서 가격이 높은 것(정밀도가 높은 것)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다.
종래의 전원장치에서는 어떻게 충전수단의 제조비용을 내릴까가 연구과제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것으로부터도 상술한 충전전압의 검출을 행하는 모듈군의 수를 2개 내지 그 이상으로 하는 방법으로는 AD 컨버터의 개수의 증가에 의해 충전 시스템의 비용이 앙등하여 현실적이지 않다.
도 1은 종래의 충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충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충전 시스템에서의 충전전압 검출수단에 의해 단일 전지 한 개당 충전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지모듈의 접속도이다.
도 4는 도 1의 충전 시스템의 완전 방전상태로부터 완전 충전에 이르기까지의 충전전류와 전지온도와 충전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충전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의 충전 시스템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전지 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충전 시스템의 온도 피드백 충전모드에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5의 충전 시스템의 완전 방전상태로부터 완전 충전에 이르기까지의 충전전류와 전지온도와 충전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온도 피드백 충전모드에서의 충전전류, 충전전압 및 전지온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도 10에 의해 본 발명의 충전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전체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면 중에서 충전 시스템(1)은 전지 팩(11), 이 전지 팩(11)에 충전전류를 공급하는 충전수단(12), 충전수단(12)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3), 전지 팩(11)의 충전전류를 검출하는 충전전류 검출수단(14), 전지 팩(11)의 온도를 측정하는 전지온도 검출수단(15), 그리고 충전전압 검출수단(16)으로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팩(11)은 복수의 모듈(M1, M2, ···, Mn1)로 구성되고, 또 각 모듈은 복수의 단일 전지(C1, C2, ···, Cn2)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 전지로서 니켈-메탈하이드라이드(Ni-MH)가 사용되어 있다.
충전수단(12)은 AC/DC 변환부(121)와 전류 공급부(122)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AC/DC 변환부(121)에는 상용전원(여기서는 단상 100〔V〕전원) GAC가 접속된다. 전류 공급부(122)는 제어수단(13)으로부터의 제어신호[충전전류 명령(CCref)]에 기초하여 AC/DC 변환부(121)의 직류 출력으로부터 소정 듀티(duty)의 펄스(IP)를 생성하고, 이것을 전지 팩(11)에 공급하여 충전을 행한다.
제어수단(13)은, ΔT/Δt 산출부(131), 충전율 연산부(132) 및 평균값 연산수단(133)을 포함하며, 제어모드로서 온도 피드백 충전모드(TFB_CM)와 저전류 충전모드 (TCL_ CM)를 가지고, 각 모드에 따라서 충전전류 명령(CCref)을 충전수단(12)에 출력한다. 제어수단(13)은 온도 피드백 충전모드(TFB_CM)에서는 온도의 시간 변화율을 목표값으로 하는 피드백 제어에 의해 충전수단(12)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의 시간 변화율」은 전지 팩(11)의 온도(TB)의 시간 변화율(ΔT/Δt)을 나타내는 어떤 값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균값 연산수단(133)은 N개의 모듈의 온도 평균값을 산출하여 이것을 전지온도(TB)로 하고 있다.
도 7에 충전 시스템(1)의 온도 피드백 충전모드(TFB_CM)에서의 제어 블록도를 나타낸다.
먼저, 전지온도 검출수단(15)에 의해 전지온도가 검출되고, 이 전지온도(TB)는 제어수단(13)에 전송된다.
제어수단(13)에서는 ΔT/Δt 산출부(131)가 전지온도(TB)의 시간변화율(ΔT/Δ t)T=TB를 연산한다. 충전율 연산부(132)는 이 시간 변화율(ΔT/Δt)T=TB와 목표값(Y)의 편차(E)에 근거하여 충전전류 명령(CCref)을 충전수단(12)에 출력한다. 충전수단(12)은 충전전류 명령(CCref)에 기초하여 충전전류(IC)를 전지 팩(11)에 공급한다.
저전류 충전모드(TCL_CM)에서는, 제어수단(13)은 소정의 유지전류(ITC)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충전수단(12)을 제어한다. 또, 온도 피드백 충전모드(TFB_CM)에서 저전류 충전모드(TCL_ CM)로의 이행조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전지온도 검출수단(15)은 온도센서(151)와 AD 컨버터(152)를 포함한다.
충전전압 검출수단(16)은 전지 팩(11)에 대해 충전전압(VC)의 검출을 행하지만, 도 1∼도 4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과는 달리, ΔV 피크 또는 ΔV의 검출은 행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ΔV 피크 또는 ΔV의 검출에는 정밀도가 높은(즉 가격이 높은) A/D 컨버터가 필요하게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충전전압 검출수단(16)을 구성하는 AD 컨버터로서 저가격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충전전압 검출수단(16)은 전지 팩(11)의 하한전압·상한전압의 감시·관리에 사용된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낸 충전 시스템(1)의 완전 방전상태로부터 완전 충전에 이르기까지의 충전전류(IC)와 전지온도(TB)와 충전전압(VC)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전지 팩(11)의 충전이 시작되면(도 8의 t1 참조) 충전전압(VC)이 상승하기 시작하고, 제1 경사를 지나면 (도 8의 t2 참조), 충전전압(VC)이 대략 정상(定常)상태가 된다. 이 때, 전지온도(TB)도 대략 정상상태가 된다[또, 도 8에서는 전지온도(TB)의 초기값은 이 정상상태에서의 전지온도(TB)와 대략 동일하다].
전지 팩(11)에의 충전이 진행되어 완전 충전에 가까워지면(예를 들어, 완전 충전의 80% 정도 충전되면) 전지온도(TB)가 상승을 시작한다(도 8의 t3 참조).
제어수단(13)은 온도 피드백 충전모드(TFB_CM)에서는 도 7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Y를 목표값으로 하여 충전수단(12)을 제어하고 있다. 이 때, 도 7에 나 타낸 충전율 연산부(132)는 충전전류(충전율)(IC)가 예를 들어,
IC = IS ×〔 1 - (Gp·E + Gi·∫Edt+ Gd·ΔE)〕 ···(1)
IC : 충전 전류
IS : 정격전류
E : 편차(= Y - (ΔT/Δt)T=TB
ΔE : 편차 차이
Gp : 비례이득
Gi : 적분이득
Gd : 미분이득
이 되는 충전전류 명령(CCref)을 충전수단(12)에 출력할 수 있다.
피크를 지난 후는 충전전류(IC)는 서서히 저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충전전류가 ITC가 되면 (도 8의 t5 참조), 저전류 충전모드(TCL_CM)로 이행한다.
도 10에 온도 피드백 충전모드(TFB_CM) 에서의 충전전류(IC), 충전전압(VC) 및 전지온도(TB)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또, 이 측정에서는 저전류 충전모드(TCL_CM)에서의 제어는 행하지 않는다.
여기서는, 상기 (1)식에서, IS(정격전류) = 5〔A〕, Y(목표값) = 0.1〔℃/분 〕, Gp(비례이득) = 5.0, Gi(적분이득) = 0.5, Gd(미분이득) = 0으로 하였다.
또, 온도의 시간 변화율(ΔT/Δt)T= TB의 산출, 편차(E)의 갱신, 편차적(∫Edt)의 갱신, 편차 차이(ΔE)의 갱신에서 각 주기를 10〔초〕, 시정수를 1〔분〕, 충전전류(IC)의 하한치를 0.5〔A〕로 하였다.
충전 종료조건은 충전전류(IC)의 값이 처음으로 1〔A〕를 밑돌고 나서 30분으로 하였다.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목표값 Y = 0.1〔℃/분〕에 대하여 전지온도 TB = 0.12〔℃/분〕으로 할 수 있어, 충전시작에서 종료까지의 온도 상승폭 TW = 7〔℃〕, 완전 방전상태로부터 충전종료에 이르기까지의 시간 TTotal = 110분 이었다.
또, 충전종료 후 방전시험을 행하여 구한 전지용량은 종래의 충전 시스템에 의해 충전한 경우와 대략 동일하였다.
또, 상기한 측정에서, 전지 팩(11)의 충전 초기온도에 관계없이(외부 기온에 관계 없이) 상기의 온도 상승폭(TW)은 7℃ 정도였다. 또, 충전 중에 외부기온이 급격히 상승한 경우에는 충전율[충전전류 명령(CCref)]은 일시적으로 내려간다. 본 발명에서는 전지 팩(11)의 온도의 시간 변화율(ΔT/Δt)이 일정값(Y)이 되도록 충전수단(12)은 제어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내려 간 충전율은 다시 원래로 돌아간다.
종래의 충전 시스템에서는 도 4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 상승폭(TW)은 12℃ 정도나 되기 때문에 어떤 단일 전지가 위험온도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종래의 충전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전지온도 검출수단을 복수 준비하여 위험온도에 도달한 단일 전지(또는 모듈)를 조기에 발견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고, 충전함에 있어 초기온도가 높을 때에는 충전을 시작하지 않도록 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단일 전지가 위험온도 보다도 충분히 낮은 온도가 되도록 한 충전도 가능하기 때문에, 어떤 단일 전지가 위험온도에 도달하는 가능성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만일 충전함에 있어 초기온도가 어느 정도 높을 때에 충전을 시작하더라도 모든 단일 전지가 위험온도에 도달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어떠한 단일 전지도 충전이 원인으로 위험온도에 도달하는 사태는 발생하지 않든지 발생하기 어렵고, 어떠한 단일 전지에도 불필요한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경우가 없거나 가해질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단일 전지(또는 모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 및 전지 팩을 구성하는 각 단일 전지(또는 모듈)의 수명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것이 기대된다.
충전의 말기에 온도가 상승하는 특성을 가지는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적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 외에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여러 가지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ΔV 피크를 검출하지 않기 때문에, 충전전압 검출수단에 사용되는 AD 컨버터로서 저가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스템 전체의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 팩을 구성하는 모든 단일 전지가 위험온도가 되는 위험성을 회피 내지 감소시키고, 또한 완전 충전되는 상태로 충전이 가능한 충전 시스템을 가격을 앙등시키지 않고 제공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진다.
종래의 충전 시스템에서, 제2 경사의 후에 전지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은 상기 제2 경사를 지난 부근에서는 전지 팩의 충전이 대략(구체적으로 80% 정도) 종료하기 때문에, 주입되는 전류가 열로서 소비되어 버리기(충전효율이 저하된다) 때문이라 생각된다.
또, 단일 전지 중에 위험온도에 도달하는 것이 나오는 것은 완전 충전을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ΔV 피크에 따라(또는 전지온도의 시간 변화율에 근거하여) 충전종료를 결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들에 착안하여 전지온도와 충전 전류를 관련지음으로써
(1) 충전 전압의 급격한 상승을 피할 수 있고, 또한,
(2) ΔV 피크에 기초하지 않더라도 어떠한 단일 전지에 대해서도 위험온도가 되는 가능성을 없애는 것 내지 상기 가능성을 낮출 수 있고, 게다가 종래의 완전 충전이 되는 상태거나 그것에 필적하는 상태로 확실하게 충전할 수 있다
는 것을 알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전지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수단, 충전수단, 그리고 충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충전 시스템으로서, 제어수단은 전지온도에 기초하여 충전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 자동차의 전지 팩은 다수의 단일 전지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전지 팩은 복수의 모듈로 구성되고, 또, 각 모듈이 복수의 단일 전지로 구성된다.
온도 검출수단은 전지 팩을 구성하는 모듈의 온도, 또는 단일 전지의 온도를 전형적으로 나타내는 값을 「전지온도」로서 검출한다. 온도 검출수단은 복수의 모듈 중 하나의 모듈의 온도를 전지온도로서 검출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모듈의 각 온도의, 예를 들어 평균값을 전지온도로서 검출할 수도 있다. 또, 온도 검출수단은 복수의 단일 전지 중 하나의 단일 전지의 온도를 전지온도로서 검출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단일 전지의 각 온도의, 예를 들어 평균값을 전지온도로서 검출할 수도 있다.
온도검출 수단은 구체적으로는 온도센서와 AD 컨버터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모듈의 온도 평균값을 전지온도로서 검출하는 경우에는 평균값 연산수단도 포함할 수 있다. 또, 평균값 연산수단의 기능은 적절한 프로세서(예를 들어, 제어수단의 CPU)가 담당할 수 있다. 또, 이것과 실질상 동일하지만(즉, 「온도 검출수단」을 어떻게 정의하는가의 차이에 불과하지만) 온도 검출수단에 평균값 연산수단을 포함시키지 않고 제어수단 내에 상기 평균값 연산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수단은 「온도 T의 시간변화율(ΔT/Δt)」을 목표 값으로 하는 온도 피드백에 의해 충전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온도(T)의 시간 변화율이 어느 일정값 이상이 되지 않도록 충전 전류를 줄여감으로써 전지 팩을 구성하는 모든 단일 전지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즉, 각 단일 전지가 위험온도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종래의 충전 시스템에서, 전지온도(TB)의 시간 변화율(ΔT/Δt)이 소정 값을 넘었을 때에 충전을 종료하는 경우, 외기(外氣) 온도의 상승 등에 의하여 "원래의 ΔT/Δt"를 잘못 검출한 경우, 완전 충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충전을 종료하지만, 본 발명의 충전 시스템에서는 외기 온도의 상승 등에 의하여 "원래의 ΔT/Δt"를 잘못 검출한 경우, 제어수단이 온도 피드백에 의해 충전수단을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일단 충전온도는 억제된다. 그 후, ΔT/Δt가 저하되면, 다시 충전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제어수단이 온도 피드백에 의해 충전수단을 제어하는 것이며, 제어수단은 온도(T)의 시간변화율(ΔT/Δt)이 소정 값을 넘기 전에는 출력전류가 정전류 충전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소정 값을 넘은 후에는 온도 피드백에 의해 충전수단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수단은 온도 피드백에 의한 제어에서, 충전전류가 어느 값으로 저하되었을 때는 충전전류가 영(zero)이 되도록, 또는 저전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충전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저전류 충전이란 전지수명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의 전류값에서 의 충전을 의미한다.
또, 충전전류가 어느 값으로 저하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는 충전전류가 영이 되도록, 또는 저전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충전수단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전지온도가 어느 값에 도달했을 때는 충전전류가 영이 되도록, 또는 저전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충전수단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전지온도가 어느 값에 도달하고 나서 소정 정도만큼 상승했을 때는 충전 전류가 영이 되도록, 또는 저전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충전수단을 제어할 수도 있다.

Claims (10)

  1. 전지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수단, 충전수단, 그리고 상기 충전수단을 상기 전지온도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전지 팩의 충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온도 피드백에 의한 제어에서,
    충전전류가 어느 값으로 저하하였을 때,
    상기 충전전류가 어느 값으로 저하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상기 전지온도가 어느 값에 도달하였을 때, 또는
    상기 전지온도가 어느 값에 도달하고 나서 소정 정도만큼 상승하였을 때는 충전 전류가 0(zero)이 되도록 상기 충전수단을 제어하는
    전지 팩의 충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온도 피드백에 의한 제어를 할 때,
    상기 충전전류가 어느 값으로 저하하였을 때,
    상기 충전전류가 어느 값으로 저하한 후 소정의 시간(T0)이 경과하였을 때,
    상기 전지온도가 어느 값에 도달했을 때, 또는
    상기 전지온도가 어느 값에 도달하고 나서 소정 정도만큼 상승했을 때는 저전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충전수단을 제어하는
    전지 팩의 충전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전지 팩이 복수의 단일 전지로 구성되는 전지 팩의 충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온도검출수단은, 상기 복수의 단일 전지 중 일부의 단일 전지에 기초하여 상기 전지온도의 검출을 행하는 전지 팩의 충전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전지 팩이 복수의 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모듈이 복수의 단일 전지로 구성되는 전지 팩의 충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온도 검출수단은,
    복수의 상기 모듈 중 하나의 모듈의 온도, 또는 복수의 상기 단일 전지 중 하나의 단일 전지의 온도를 상기 전지온도로서 검출하거나,
    복수의 상기 모듈 중 2개 이상의 모듈의 온도에 기초하여 구하여진 온도, 또는 복수의 상기 단일 전지 중 2개 이상의 단일 전지의 온도에 기초하여 구하여진 온도를 상기 전지온도로서 검출하는
    전지 팩의 충전 시스템.
  9. 제8항에서,
    상기 온도 검출수단은,
    복수의 상기 모듈 중 2개 이상의 모듈의 평균온도 또는 복수의 상기 단일 전지 중 2개 이상의 단일 전지의 평균온도를 상기 전지온도로서 검출하거나,
    복수의 상기 모듈의 최대온도 또는 복수의 상기 단일 전지의 최대온도를 상기 전지온도로서 검출하는
    전지 팩의 충전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충전 시스템이 전동차량 등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의 충전 시스템.
KR1020027009438A 2000-11-24 2001-11-26 전지 팩의 충전 시스템 KR100582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57936 2000-11-24
JP2000357936A JP2002165380A (ja) 2000-11-24 2000-11-24 組電池の充電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153A KR20020083153A (ko) 2002-11-01
KR100582639B1 true KR100582639B1 (ko) 2006-05-23

Family

ID=1882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438A KR100582639B1 (ko) 2000-11-24 2001-11-26 전지 팩의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85936B2 (ko)
EP (1) EP1345304A4 (ko)
JP (1) JP2002165380A (ko)
KR (1) KR100582639B1 (ko)
CN (1) CN1314182C (ko)
CA (1) CA2431159A1 (ko)
WO (1) WO20020432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337A (ja) 2003-09-26 2005-04-21 Sanyo Electric Co Ltd 複数の電池の充電装置
JP2006280060A (ja) * 2005-03-28 2006-10-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充電装置
US7675269B2 (en) * 2006-11-03 2010-03-09 Broadcom Corporation Circuit and method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protection
US8222870B2 (en) 2007-03-07 2012-07-17 O2Micro, Inc Battery management systems with adjustable charging current
US7973515B2 (en) 2007-03-07 2011-07-05 O2Micro, Inc Power management systems with controllable adapter output
US20080218127A1 (en) * 2007-03-07 2008-09-11 O2Micro Inc. Battery management systems with controllable adapter output
JP4915273B2 (ja) * 2007-04-25 2012-04-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気機器および電気機器の制御方法
JP4228086B1 (ja) * 2007-08-09 2009-0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4640391B2 (ja) * 2007-08-10 2011-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JP4660523B2 (ja) 2007-09-19 2011-03-30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池セルの表面温度で充電制御する充電システム
US9118238B2 (en) * 2007-11-21 2015-08-25 O2Micro, Inc. Charge pump systems with adjustable frequency control
US8111038B2 (en) * 2008-06-12 2012-02-07 O2 Micro, Inc Vehicle electronic systems with battery management functions
JP2010029015A (ja) * 2008-07-23 2010-02-04 Mitsubishi Heavy Ind Ltd 組電池システム
CN102958740B (zh) * 2010-06-25 2014-11-1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动车辆及其控制方法
JP2012034425A (ja) * 2010-07-28 2012-02-16 Panasonic Corp 二次電池の充放電制御回路、電池パック、及び電池電源システム
JP5598601B2 (ja) 2011-04-22 2014-10-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装置および充電方法
WO2013008397A1 (ja) * 2011-07-08 2013-01-17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電池パック、充電制御システムおよび充電方法
WO2013008396A1 (ja) * 2011-07-08 2013-01-17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電池パック、充電制御システムおよび充電方法
JP5803848B2 (ja) * 2012-08-24 2015-11-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の制御装置
CN106816916B (zh) * 2015-11-27 2020-01-31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充电系统和充电方法
CN105680541B (zh) * 2016-03-28 2017-11-03 西安特锐德智能充电科技有限公司 一种低温充电策略的充电方法
US9921272B2 (en) * 2016-05-23 2018-03-20 Lg Chem, Ltd. System for determining a discharge power limit value and a charge power limit value of a battery cell
KR101867225B1 (ko) * 2017-03-31 2018-06-12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리튬 이온 배터리 급속 충전 방법
CN107037376B (zh) * 2017-05-28 2023-06-30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蓄电池组充放电电流监测系统及监测方法
CN107482724B (zh) * 2017-08-29 2020-05-19 普联技术有限公司 充电控制方法、装置与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948543B2 (en) * 2019-01-28 2021-03-16 Lg Chem, Ltd. System for determining a discharge power limit value and a charge power limit value of a battery cell
JP7314666B2 (ja) * 2019-07-09 2023-07-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制御装置
JP7234892B2 (ja) * 2019-10-02 2023-03-08 株式会社デンソー 充電制御装置
CN116190831B (zh) * 2023-04-25 2023-09-1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温度控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21990C (de) * 1932-05-03 1935-11-16 Lon Ladislaus Von Kramolin Verfahren zur Ableitung von Stroemen aus gas- bzw. dampffoermigen Medien, in denen durch Relativbewegung zwischen diesen Medien und elektromagnetischen Kraftfeldern elektrische Stroeme erzeugt werden
US3852652A (en) * 1973-08-06 1974-12-03 Motorola Inc Rapid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US5493199A (en) * 1982-06-07 1996-02-20 Norand Corporation Fast battery charger
CA2022802A1 (en) * 1989-12-05 1991-06-06 Steven E. Koenck Fast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US5391974A (en) * 1990-10-15 1995-02-21 Toshiba Battery Co., Ltd. Secondary battery charging circuit
US5563496A (en) * 1990-12-11 1996-10-08 Span, Inc. Battery monitoring and charging control unit
JPH0568347A (ja) * 1991-09-09 1993-03-19 Sony Corp 電池放電制御回路
EP0539640A1 (en) * 1991-10-30 1993-05-05 Texas Instruments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atteries
DE4200693C1 (ko) * 1992-01-14 1993-05-06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e
EP0623986B1 (en) * 1993-05-05 1998-04-29 Sgs-Thomson Microelectronics Pte Ltd. Battery charger
JP2732204B2 (ja) * 1993-09-29 1998-03-25 株式会社ジップチャージ 二次電池の高速充電方法及びその装置
US5519303A (en) * 1993-09-30 1996-05-21 Motorola, Inc. Fast battery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temperature gradient detection
US5550453A (en) * 1994-01-24 1996-08-27 Motorola, Inc. Battery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US5548201A (en) * 1994-09-13 1996-08-20 Norand Corporation Battery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thermal mass equalization
JP3157686B2 (ja) * 1994-11-08 2001-04-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組電池の充電制御装置
FR2739724B1 (fr) * 1995-10-05 1997-11-14 Accumulateurs Fixes Procede de charge de batteries nickel-cadmium etanches
US5668461A (en) * 1996-02-13 1997-09-16 Reserve Battery Cell, L.P. Reserve battery having temperture compensation
FR2745433B1 (fr) * 1996-02-27 1998-04-03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Dispositif de commande de la charge d'au moins une batterie
JPH09294337A (ja) * 1996-04-24 1997-11-11 Fuji Heavy Ind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充電制御システム
FR2760293B1 (fr) * 1997-03-03 1999-04-16 Alsthom Cge Alcatel Procede de charge d'accumulateurs nickel-hydrure metallique sans maintenance
EP0998780A1 (en) * 1997-07-21 2000-05-10 Chartec Laboratories A/S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rechargeable battery
US5825159A (en) * 1997-09-29 1998-10-20 Motorola, Inc. Battery charging method for properly terminating rapid charge
JPH11178231A (ja) 1997-12-09 1999-07-02 Denso Corp 電気自動車用組み電池の温度管理装置
JP3378189B2 (ja) * 1998-02-28 2003-02-17 株式会社マキタ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JP4438109B2 (ja) 1998-06-15 2010-03-24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組電池のための温度センサー取り付け構造
JP3495637B2 (ja) * 1999-03-26 2004-02-09 株式会社マキタ 充電装置及び充電方式
US6476584B2 (en) * 1999-03-25 2002-11-05 Makita Corporation Battery charger and battery charging method
JP3495636B2 (ja) * 1999-03-25 2004-02-09 株式会社マキタ 充電装置
JP3581064B2 (ja) * 1999-11-10 2004-10-27 株式会社マキタ 充電装置
JP3652191B2 (ja) * 1999-11-10 2005-05-25 株式会社マキタ 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4182C (zh) 2007-05-02
JP2002165380A (ja) 2002-06-07
KR20020083153A (ko) 2002-11-01
US7285936B2 (en) 2007-10-23
WO2002043219A1 (fr) 2002-05-30
CN1395756A (zh) 2003-02-05
EP1345304A4 (en) 2006-02-01
US20050099154A1 (en) 2005-05-12
EP1345304A1 (en) 2003-09-17
CA2431159A1 (en)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639B1 (ko) 전지 팩의 충전 시스템
EP2083494B1 (en) Abnormality detecting device for storage element, abnormality detecting method for storage element, abnormality detecting program for storage eleme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bnormality detecting program
US8004239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calculating charge and disharge powers
JP4865103B2 (ja)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JP4275078B2 (ja) 電池の制限電流制御方法
US8330427B2 (en) Charge control circuit, and charging device and battery pack incorporated with the same
JP4886008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の充電方法
KR100338293B1 (ko) 전원장치
US7714531B2 (en) Power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JP4499164B2 (ja)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KR101866020B1 (ko) 연료전지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
JP2006129588A (ja) 二次電池の電力制御方法及び電源装置
US11277011B2 (en) Management device, power storage system
JP3267998B2 (ja) 組みバッテリ充電装置
US20040130294A1 (en) Life cycle extending batteries and battery charging means, methods and apparatus
JPH1032020A (ja) 密閉形鉛蓄電池の充放電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