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293B1 -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293B1
KR100338293B1 KR1019980708541A KR19980708541A KR100338293B1 KR 100338293 B1 KR100338293 B1 KR 100338293B1 KR 1019980708541 A KR1019980708541 A KR 1019980708541A KR 19980708541 A KR19980708541 A KR 19980708541A KR 100338293 B1 KR100338293 B1 KR 100338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unit
power supply
discharge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5006A (ko
Inventor
도시아키 나카니시
유지 도리이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6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장치, 특히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이차전지를 구비한 전원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전지의 가속도적인 열화를 억제함과 동시에, 전지의 능력을 충분히 끌어내기 위한 충방전 제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충전시에 있어서 충전량이 설정치보다 커지면 충전을 정지하는 기능을 가진 제어부에, 더욱 충전중의 이차전지간의 충전용량 불균형이 소정치보다 커지면, 당초의 설정치보다 큰 값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Description

전원장치
알카리 이차전지나 니켈·수소 이차전지 등의 이차전지의 다수를 직렬로 접속한 전원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전원장치는, 특히 전기자동차의 구동용 전원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구동용 전원으로서는, 200∼300V의 고전압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차전지를 200개정도 직렬 접속하여 구성된 배터리부를 구비한 전원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원장치에 있어서는, 외부전원에 의해서 배터리부를 충전하고, 모터 등의 외부 부하로 방전한다. 통상, 이차전지의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원장치에는 전지의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제어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감시제어수단은, 충전시에는 배터리부의 전압이 소정의 상한에 도달하면 충전을 정지하여 과충전을 막고, 방전시에는 배터리부의 전압이 소정의 하한까지 저하하면 방전을 정지하여 과방전을 막고 있다.
전지의 종류에 상관없이, 전지용량의 저하, 내부저항의 상승 등으로 보여지는 이차전지의 열화는, 충방전 사이클을 반복함에 따라서, 가속도적으로 진행한다.또한, 다수의 이차전지를 사용한 경우에, 전지의 열화는, 다른 전지에 대해서도 악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상기의 제어에 의하면, 열화하여 용량이 저하한 이차전지는, 과방전되기 쉽기 때문에, 더욱 열화가 진행한다. 또한, 내부저항의 상승에 의한 발열은, 다른 이차전지의 출력의 저하나 열화를 야기한다. 한편, 정상적인 이차전지는, 가득 충전되어 있어도, 주위의 이차전지의 충전효율이 저하하고 있으면 충전이 계속되기 때문에 과충전되기 쉬워지고, 자체의 열화가 촉진됨과 동시에, 발열하여 주위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다수의 전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전지간의 온도차가, 전지의 열화의 원인이 된다. 고온에 의해 열화가 촉진되는 것 외에, 온도차에 기인한 충전효율이나 자기방전특성에 있어서의 전지간의 격차가, 전지의 과충전이나 과방전을 일으킨다. 또한, 모든 이차전지가 같은 조건에서 사용되더라도, 용량, 충전효율, 자기방전특성 등의 여러 가지 특성에 있어서의 이차전지간의 개개의 차이가, 열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 때문에, 종래로부터, 이러한 전지특성의 가속도적인 열화를 억제하는 수단이 많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6-231805호 공보에는, 복수의 전지를 직렬접속하여 구성되는 배터리부의 전압을 감시함과 동시에 각 전지의 전압을 감시하여, 전지전압의 불균형이 커지면, 충전 상한전압을 낮게 하고, 방전 하한전압을 높게 보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장치(30)는, 모터 등의 부하(33)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32)와, 배터리부(32)를 감시제어하는 감시제어수단(34)을 구비한다.
상기 공보에 제안된 전원장치의 충전시의 동작을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충전시에 있어서는, 감시제어수단(34)은, 배터리부(32)의 상황을 감시하면서, 배터리부(32)의 상황에 따라 전원(31)에 의한 배터리부(32)의 충전을 제어한다. 충전이 시작되면, 감시제어수단(34)은, 배터리부(32)를 구성하는 각 전지의 전압을 감시하면서, 전원(31)으로부터 배터리부(32)에 전류를 공급한다. 감시제어수단(34)은, 스텝 301에 있어서, 전지간의 전압 불균형(σ0)과 설정치(D0)를 비교한다. 여기서, σ0가 D0보다 작으면, 감시제어수단(34)은, 배터리부(32)가 정상이라고 판정하고, 전원(31)으로부터 배터리부(32)로의 전류 공급을, 배터리부(32)의 충전량(C)이 소정의 상한용량(Cu)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시킨다(스텝 302). 한편, σ0가 D0이상이면, 감시제어수단(34)은, 충전을 정지하는 충전량을 Cu에서, Cu보다도 작은 보정상한용량(Cuc)으로 변경한다(스텝 303). 이 때, 배터리부(32)는, 용량이 Cuc에 도달할 때까지 충전되어, 충전이 종료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전지의 가속도적인 열화를 막을 수 있지만, 열화하지 않는 전지가 충분히 충전되지 않기 때문에, 전지의 능력을 충분히 끌어 낼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이 전원장치의 방전시의 동작을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방전이 시작되면, 감시제어수단(34)은, 각 전지의 전압을 감시하면서,배터리부(32)로부터 부하(33)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 때, 스텝401에 있어서 전지간의 전압 불균형(σ1)과 설정치(D1)를 비교한다. σ1가 D1보다 작으면, 감시제어수단(34)은, 배터리부(32)가 정상이라고 판정하고, 배터리부(32)를 원래의 방전하한인 하한용량(C1)까지 방전시키고(스텝402), 방전을 종료한다. 그러나, σ1가 D1이상이 되면, 감시제어수단(34)은, 방전을 정지하는 용량치를 C1에서, C1보다도 큰 보정하한용량(CIC)으로 변경한다(스텝403). 이에 따라, 배터리부(32)는 CIC까지 방전하고, 방전이 종료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충전시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전지의 가속도적인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나, 전지의 능력을 충분히 끌어 낼 수 없다. 또한, 능력이 저하한 전지의 메모리 효과를 해소할 수 없기 때문에, 각 전지간의 용량 불균형을 본질적으로 해소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전원장치, 특히 직렬접속된 복수의 이차전지를 구비한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동 전원장치에 있어서 전지간의 용량의 불균형 및 전지의 가속도적인 열화를 해소하기 위한 충방전제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전원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동 전원장치의 충전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동 전원장치의 방전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종래의 전원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동 전원장치의 충전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동 전원장치의 충전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며, 전지의 가속도적인 열화를 억제함과 동시에, 전지의 능력을 충분히 끌어 낼 수 있는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 및 배터리부의 충전량이 설정치보다 커지면 충전을 정지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배터리부가 직렬접속된 복수의 이차전지를 구비하고, 제어부가 충전중의 상기 이차전지간의 충전용량 불균형이 커지면 배터리부의 충전량의 설정치를 보다 큰 값으로 변경하는기능을 구비한다.
충전량을 많게 함으로써, 충전특성의 저하에 의해 충전반응의 진행이 불충분한 전지는, 더욱 충전되기 때문에, 만충전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지간의 용량 불균형은 개선된다. 또한, 정상적인 전지는 충분히 충전되기 때문에, 배터리부의 용량을 충분히 끌어 낼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전지의 충전량의 저하에 기인하는 전원장치의 출력전압 급강하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전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레이트를 0.3C 이하로 함으로써, 충전시에 있어서의 전지의 내압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이차전지가 니켈·수소축전지인 경우에는, 전지의 상태 감시가 용이하게 되므로,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전원장치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 및 배터리부의 방전량이 설정치보다 커지면 방전을 정지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배터리부가 직렬접속된 복수의 이차전지를 구비하고, 제어부가 방전중의 이차전지간의 잔존용량 불균형이 커지면 배터리부의 방전량의 설정치를 보다 큰 값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방전시에 있어서는, 용량의 불균형이 커지면, 방전하한전압을 낮게 한다. 이에 따라, 용량이 저하한 전지는, 메모리효과가 해소되고, 용량이 회복한다. 따라서, 전지의 능력을 충분히 끌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충전용량 또는 방전용량의 불균형은, 예컨데, 제어부로서 감시하여, 그 불균형이 소정치보다도 커졌을 때, 설정치를 변경한다.
또한, 충방전 사이클이, 전지의 사이클 수명을 고려하여 미리 결정된 소정회수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와 같이 설정치를 변경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더욱, 배터리부가 충전 가득한 상태 또는 방전을 종료한 상태로 소정기간이상 경과한 경우에, 상기와 같이 설정치를 변경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상기의 충전용량 또는 잔존용량은, 직접 측정하지 않아도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의 용량 불균형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충방전시의 전지의 발열이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장치의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용량이 큰 출력을 필요로 하는 전기자동차 등에 사용하면 그 효과는 현저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장치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를 도 1에 나타낸다. 전원장치(20)는 출력원인 배터리부(2)와, 배터리부(2)의 충방전을 감시하고 제어하는제어부(4)를 구비한다. 배터리부(2)는 전원(1)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저장하고, 부하(3)에 공급한다. 예컨데 본 전원장치를 전기자동차의 구동용 전원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하(3)는 모터이다.
배터리부(2)는, 직렬접속된 복수의 이차전지(5)와, 이차전지(5)의 충전 및 방전을 각각 제어하는 충전회로(12) 및 방전회로(13)를 구비한다. 이차전지(5)에는, 예컨데 니켈·수소 이차전지, 알카리 이차전지 또는 연산 이차전지를 사용한다. 배터리부(2)내의 이차전지(5)는, 직렬 접속된 일정개수마다 구분되어 복수의 유니트(16∼19)를 구성하고 있다.
제어부(4)는, 유니트(16∼19)의 전압을 각각 검출하는 전압검출회로(6∼9), 및 이차전지(5) 전체의 전압을 검출하는 만충전검출회로(11)를 구비한다. 제어부(4)는, 또한 전압검출회로(6∼9) 및 만충전검출회로(11)가 검지한 신호에 따라 충전회로(12) 및 방전회로(13)에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어회로(10)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원장치의 충전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충전제어 동작을 설명한다.
전원(1)으로부터 배터리부(2)에 전류가 공급되어 충전이 시작되면, 만충전검출회로(11)는 이차전지(5) 전체의 전압을 검출하고, 그 값으로부터 이차전지(5)가 통상의 만충전값인 상한용량까지 충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l01에 있어서, 만충전검출회로(11)는 이차전지(5) 전체의 충전량(C)을상한용량(CC)과 비교하여, C가 CC에 도달하고 있지 않으면 충전을 계속한다.
C가 CC에도달하면, 스텝 102에 있어서, 전압검출회로(6∼9)에 의해 각 유니트의 충전량이 검출된다.
전압검출회로(6∼9)는, 각 유니트의 전압을 각각 검출하여, 검출한 값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회로(10)에 발신한다. 제어회로(10)는, 전압검출회로(6∼9)로부터의 신호를 비교하여, 유니트간의 전압 불균형(예를 들면 표준편차)을 산출한다. 제어회로(10)는, 또한 얻어진 유니트(16∼19)의 전압 불균형(σC)을 미리 설정된 값(DC)과 비교한다. σC가 DC이내이면, 제어회로(10)는, 충전이 정상으로 행하여진 것으로 판단하여 충전회로(12)에 충전을 종료하는 신호를 발신한다. 이에 따라, 충전은 정상으로 종료한다. 그러나, σC가 DC를 넘으면, CC을 CC보다도 큰 보정상한용량(CCC)으로 치환하여, 더욱 충전을 계속한다. 스텝 103에 있어서 C가 CCC에 도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충전을 종료한다.
즉, 충전효율이 낮아서 만충전되고 있지 않은 전지에 대해서는 더욱 충전하여, 만충전에 가까운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용량이 큰 전지는 용량이 작은 전지와 비교해서 보다 과충전에 가까워지지만, 각 전지간의 용량 불균형을 작게할 수 있고, 전지의 용량을 충분히 끌어낼 수 있다.
또, 전지 내압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충전레이트는, 0.3C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보정후의 상한용량(CCC)으로서 상한용량(CC)보다 30% 크게 한 값을 사용하였으나, 이보다 커지면, 과충전에 의한 폐해가 우려된다. 또한, 이보다도 작으면, 상기와 같은 효과가 적어진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마찬가지의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방전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방전제어 동작을 설명한다. 방전이 시작되면, 제어부(4)는, 이차전지(5) 전체의 전압 검출을 시작한다.
스텝 201에 있어서, 제어부(4)는, 이차전지(5) 전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컷오프 전압이 저하할 때까지 방전을 계속한다. 이 때의 이차전지(5) 충전량을 하한용량(Cd)으로 한다. 스텝 202에 있어서, 제어회로(10)는, 전압검출회로(6∼9)가 검출한 유니트(16∼19)의 전압값의 불균형(σd)을 미리 설정된 값(Dd)과 비교한다. σd가 Dd이내이면, 제어회로(10)는, 정상으로 방전이 행하여진 것으로 판단하여 방전회로(13)에 방전을 종료하는 신호를 발신한다. 이에 따라, 방전은 정상으로 종료한다. 그러나, σd가 Dd를 넘으면, 하한용량(Cc)을 보다 작은 보정하한용량(Cdc)으로 치환하여, 더욱 방전을 계속한다. 이차전지(5) 전체의 충전량이 Cdc로 저하할 때까지 방전되면 방전은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전지가 열화하였을 때에 컷오프 전압을 낮게 하여 방전함으로써, 메모리효과가 해소되어, 이차전지의 용량을 충분히 끌어 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한용량을 변경하여 충전하는 방법 및 방전시의 하한용량을 변경하는 방법을 각각 별개로 설명하였지만, 이들 방법을 조합하여도 좋다.
또, 상기와 같은 조작은, 반드시 계속적으로 행할 필요는 없다. 상기의 보정된 충방전을 한 번 행하면, 전지간의 용량 불균형은 거의 해소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지간의 용량 불균형을 항상 감시하여, 불균형이 생겼을 때에, 설정된 상한용량 또는 하한용량을 변경하여 충방전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용량의 체크는 항상 행할 필요는 없고, 제어부에 충방전 사이클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등을 배치하여, 일정 회수의 충방전 사이클이 이루어졌을 경우에, 상기와 같이 상한이나 하한을 변경하여도 좋다.
또한, 용량의 불균형이 커졌다고 추정되는 기간을 미리 제어회로에 기억시켜 두고, 그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치를 변경하여도 좋다. 이 때, 기억시키는 기간을, 예를 들면 전지의 온도를 가미하여 결정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용량의 불균형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부가 고온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나, 배터리부내의 전지에 온도격차가 있는 경우에는, 설정기간을 짧게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전지로 구성되는 유니트마다 전압을 검출하였으나, 각 전지에 대하여 각각 전압검출회로를 배치하여도 좋다. 물론, 전압검출회로의 수나 각 유니트내의 전지 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원장치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용도의 전원장치에 대하여 실시가능하다. 특히, 큰 용량을 필요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구동용 전원에 사용하면 보다 유용하다.

Claims (8)

  1.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 및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량이 설정치보다 커지면 충전을 정지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부가 직렬 접속된 복수의 이차전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가 충전중의 상기 이차전지간의 충전용량 불균형이 커지면,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량 설정치를 보다 큰 값으로 변경하는 기능과, 충전중의 상기 이차전지의 충전용량을 감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검지된 충전용량의 불균형이 소정치보다 커졌을 때,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량 설정치가 변경되는 전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충전시의 충전레이트가 0.3C이하인 전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량 사이클이 소정 회수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량 설정치가 변경되는 전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앞의 방전으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후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량 설정치가 변경되는 전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배터리부의 방전량이 설정치보다 커지면 방전을 정지하는 기능, 및 방전중의 상기 이차전지간의 잔존용량의 불균형이커지면, 상기 배터리부의 방전량 설정치보다 큰 값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더욱 구비한 전원장치.
  6.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 및 상기 배터리부의 방전량이 설정치보다 커지면 방전을 정지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부가 직렬 접속된 복수의 이차전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가, 방전중의 상기 이차전지간의 잔존용량의 불균형이 커지면, 상기 배터리부의 방전량 설정치보다 큰 값으로 변경하는 기능과, 방전중의 상기 이차전지의 잔존용량을 감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검지된 잔존용량의 불균형이 소정치보다 커졌을 때에, 상기 배터리부의 방전량 설정치가 변경되는 전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의 충방전 사이클이 소정 회수에 도달하였을 때, 상시 배터리부의 방전량 설정치가 변경되는 전원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앞의 충전으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후에 방전이 이루어질 경우에, 상기 배터리부의 방전량 설정치가 변경되는 전원장치.
KR1019980708541A 1997-02-25 1998-02-23 전원장치 KR100338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40411 1997-02-25
JP4041197 1997-02-25
JP335333 1997-12-05
JP9335333A JPH10304588A (ja) 1997-02-25 1997-12-05 電源装置
PCT/JP1998/000743 WO1998038721A1 (fr) 1997-02-25 1998-02-23 Dispositif d'alimentation en energ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006A KR20000065006A (ko) 2000-11-06
KR100338293B1 true KR100338293B1 (ko) 2002-08-28

Family

ID=263798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541A KR100338293B1 (ko) 1997-02-25 1998-02-23 전원장치
KR1019980708541A KR20000030274A (en) 1997-02-25 1998-10-24 Power supply devic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541A KR20000030274A (en) 1997-02-25 1998-10-24 Power supply device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54840A (ko)
EP (1) EP0926799B1 (ko)
JP (1) JPH10304588A (ko)
KR (2) KR100338293B1 (ko)
CN (1) CN1104771C (ko)
DE (1) DE69820017T2 (ko)
WO (1) WO19980387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3076B2 (ja) * 1997-10-13 2004-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の蓄電状態検出方法、検出装置、および組電池の充放電制御装置
JP4567109B2 (ja) * 1998-11-24 2010-10-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放電制御方法
JP3676134B2 (ja) * 1998-11-30 2005-07-27 三洋電機株式会社 充放電制御方法
JP2000166103A (ja) * 1998-12-01 2000-06-16 Sanyo Electric Co Ltd 充放電制御方法
JP3988324B2 (ja) * 1999-07-02 2007-10-10 株式会社デンソー 組電池の異常判定装置及び組電池の異常判定方法
JP4503746B2 (ja) * 1999-11-18 2010-07-14 フジテック株式会社 交流エレベータの電源装置
JP4503749B2 (ja) * 1999-12-13 2010-07-14 フジテック株式会社 交流エレベータの電源装置
JP3839761B2 (ja) * 2001-09-14 2006-11-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バッテリ制御装置
JP3615507B2 (ja) * 2001-09-28 2005-02-02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の充電率調整回路
JP2005110337A (ja) * 2003-09-26 2005-04-21 Sanyo Electric Co Ltd 複数の電池の充電装置
JP4843924B2 (ja) * 2004-09-10 2011-12-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の容量調整装置
JP4548289B2 (ja) * 2005-09-26 2010-09-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の容量調整装置
US8846224B2 (en) * 2006-10-16 2014-09-30 Lg Chem, Ltd. High power secondary battery system comprising asymmetric charged cells
KR100890158B1 (ko) * 2006-10-16 2009-03-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대칭 충전 셀들로 구성된 고출력 이차전지 시스템
JP4764324B2 (ja) * 2006-12-25 2011-08-31 株式会社東芝 エネルギー均等化装置
JP4871180B2 (ja) * 2007-03-20 2012-02-0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の制御装置
US8309259B2 (en) * 2008-05-19 2012-11-13 Arizona Board Of Regents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Electrochemical cell, and particularly a cell with electrodeposited fuel
EP2478583B1 (en) * 2009-09-18 2014-09-17 Fluidic, Inc.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 system with a charging electrode charge/discharge mode switching in the cells
MX2012004237A (es) * 2009-10-08 2012-10-03 Fluidic Inc Celda metalica-aire recargable con sistema de manejo de flujo.
CN202721244U (zh) 2010-06-24 2013-02-06 流体股份有限公司 具有阶梯形支架燃料阳极的电化学电池
CN202550031U (zh) 2010-09-16 2012-11-21 流体公司 具有渐进析氧电极/燃料电极的电化学电池系统
US9105946B2 (en) 2010-10-20 2015-08-11 Fluidic, Inc. Battery resetting process for scaffold fuel electrode
JP5908251B2 (ja) 2010-11-17 2016-04-26 フルイディック,インク.Fluidic,Inc. 階層型アノードのマルチモード充電
DE102011010585B4 (de) 2011-02-08 2019-01-03 Audi Ag Verfahren zum Überwachen der Nutzung eines elektrochemischen Energiespeichers in einem Kraftfahrzeug, sowie Kraftfahrzeug
JP5533724B2 (ja) * 2011-02-17 2014-06-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充電装置
JP5533725B2 (ja) * 2011-02-17 2014-06-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充電装置
KR101916970B1 (ko) * 2013-01-22 2018-11-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509895B1 (ko) * 2013-06-28 2015-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파워 제한방법
KR102565272B1 (ko) * 2016-01-04 2023-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장치
WO2017129259A1 (en) * 2016-01-29 2017-08-03 Toyota Motor Europe Nv/Sa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discharging a rechargeable battery
CN105490356A (zh) * 2016-02-26 2016-04-13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BR112019000713B1 (pt) 2016-07-22 2023-04-25 Nantenergy, Inc Célula eletroquímica e método de conservar umidade dentro de uma célula eletroquímica
JP2018152285A (ja) 2017-03-14 2018-09-27 株式会社東芝 蓄電池パック
JP6970289B2 (ja) * 2018-05-31 2021-11-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充電制御装置、輸送機器、及びプログラム
US11251476B2 (en) 2019-05-10 2022-02-15 Form Energy, Inc. Nested annular metal-air cell and systems contain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0910A (ja) * 1992-08-12 1994-03-04 Nec Corp 充電システム
JPH06133465A (ja) * 1992-08-27 1994-05-13 Sanyo Electric Co Ltd 二次電池の充電方法及び充電装置
JPH08223812A (ja) * 1994-12-14 1996-08-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充電式電気機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0717B2 (ja) * 1989-05-31 1996-09-04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池電圧判別回路
JP3429511B2 (ja) * 1992-05-28 2003-07-22 東芝電池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電回路
JP3096535B2 (ja) * 1993-02-01 2000-10-10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電方法及び充電装置
JP2903896B2 (ja) * 1992-09-22 1999-06-14 日本電気株式会社 リフレッシュ要求機能付電源
JP3133534B2 (ja) * 1993-01-29 2001-02-1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の過充電過放電防止方法
JPH07143680A (ja) * 1993-11-16 1995-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充電器
JPH07231571A (ja) * 1994-02-14 1995-08-29 Toshiba Corp メモリ効果の除去装置
JPH08140209A (ja) * 1994-11-11 1996-05-31 Fuji Heavy Ind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管理システム
JP3435613B2 (ja) * 1994-12-26 2003-08-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の充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0910A (ja) * 1992-08-12 1994-03-04 Nec Corp 充電システム
JPH06133465A (ja) * 1992-08-27 1994-05-13 Sanyo Electric Co Ltd 二次電池の充電方法及び充電装置
JPH08223812A (ja) * 1994-12-14 1996-08-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充電式電気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54840A (en) 2000-04-25
CN1104771C (zh) 2003-04-02
EP0926799A4 (en) 2002-10-16
DE69820017T2 (de) 2004-06-03
JPH10304588A (ja) 1998-11-13
EP0926799B1 (en) 2003-11-26
KR20000030274A (en) 2000-06-05
WO1998038721A1 (fr) 1998-09-03
KR20000065006A (ko) 2000-11-06
DE69820017D1 (de) 2004-01-08
EP0926799A1 (en) 1999-06-30
CN1217832A (zh) 1999-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293B1 (ko) 전원장치
US10340719B2 (en) Secondary battery charging method
US6373226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scharge of a plurality of rechargeable batteries, and battery assembly
CN101911429B (zh) 一种平衡高压电池组的方法
US6850041B2 (en) Battery pack used as power source for portable device
US10090683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controlling an energy storage assembly and method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an energy storage assembly
EP0440756B1 (en) Battery assembly and charging system
US20050001593A1 (en) Method of charging and discharging a plurality of batteries
KR100544845B1 (ko) 전기 자동차용 전원 장치
US20050099154A1 (en) Battery pack charging system
JP2009201336A (ja)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KR100326704B1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EP13409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of battery pack
US5642032A (en) Charging method for a battery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US74498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discharge between internal battery and external battery
US20100327808A1 (en) Control unit
US11824392B2 (en) Battery pack
JPH1032020A (ja) 密閉形鉛蓄電池の充放電制御方法
JPH04344129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677072B2 (ja) 二次電池の充電回路
EP0488426A2 (en) Battery charger with cell failure warning circuit
JP2002010504A (ja) 電気自動車の電源装置
JP2023076984A (ja) 電池システム
JPH06197464A (ja) 充放電装置
KR20220026184A (ko) 드론용 리튬 배터리의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