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087B1 -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 Google Patents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087B1
KR100576087B1 KR1019990055673A KR19990055673A KR100576087B1 KR 100576087 B1 KR100576087 B1 KR 100576087B1 KR 1019990055673 A KR1019990055673 A KR 1019990055673A KR 19990055673 A KR19990055673 A KR 19990055673A KR 100576087 B1 KR100576087 B1 KR 100576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sin
cavity
polyester
polyest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7989A (ko
Inventor
야마다고지
다카하시아키라
사사키야스시
Original Assignee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47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6Void-containing component contains also a solid fiber or solid p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 함유 구조에서 유래하는 우수한 특성(예, 쿠션성, 저유전율, 경량성)과 양호한 취급성을 모두 가진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그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 입자 상으로 분산된 상기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에 기인하는 공동을 필름 내부에 다수개 함유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서, 상기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면서, 이하의 요건 ①∼③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① 겉보기 비중이 1.3 이하임;
②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d가 15 ㎛ 이하임;
③ 링 크래시 강도 G(단위: ㎏/㎜)와 필름 두께 t(단위: ㎜)가 이하의 식을 만족한다.
G > 15×t3

Description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POLYESTER BASED FILM CONTAINING A POROSITY}
도 1은 재단된 필름으로서, 점선은 접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도면 중의 길이 단위는 mm임).
도 2는 도 1의 필름을 점선에 의해 접어 U 자형으로 구부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필름을 삽입하는 모터 슬롯 모델(도면 중의 길이 단위는 mm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름
2 : 필름을 접은 것
3 : 모터 슬롯 모델
4 : 필름 삽입부
본 발명은 공동 함유 구조에서 유래하는 특성(예컨대, 쿠션성, 저유전성, 경 량성) 및 후가공시의 취급성 양자를 모두 갖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저유전성이 우수하고 또한 양호한 취급성(실장성 등)을 갖는 전기 절연재로서 적합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쿠션성이 우수하고 또한 취급성(반송성 등)이 우수한, 각종 인쇄용 필름으로서 적합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관한 것이다.
합성 수지를 주원료로 하는 합성지는 내수성, 표면 광택, 평활한 표면에 의한 인쇄 적성 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다양한 용도 전개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합성지 원료 중에서는 내열성이 높고, 강성이 높다고 하는 특징을 가지므로,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예컨대, 공동 함유 구조에서 유래하는 저유전율을 이용하여 전기 모터용 절연재로서의 활용(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9-149576호 등)이 검토되고 있다.
또한, 공동 함유 구조에서 유래하는 쿠션성에 의해, 열전사 인쇄 용도(일본 특허 공보 소화 63-280687호)를 비롯하여 각종 인쇄용 필름으로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도로 이용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 무기 미립자를 혼합하여 연신함으로써, 입자 주변에 공동을 형성한 것이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성인 열가소성 수지 등을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 혼합하여 입자형으로 분산시켜 연신시킴으로써, 입자 주변에 공동을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히 후자는 필름을 경량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널리 채용되 고 있다.
이 공동 형성을 위해 이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이하, 공동 형성제라고도 함)로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나 폴리메틸펜텐계 수지(일본 특허 공고 공보 소화 49-34755호)로 대표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한 폴리스티렌계 수지(예컨대, 일본 특허 공고 공보 소화 49-2016호, 일본 특허 공고 공보 소화 54-2955호)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 특히 폴리메틸펜텐계 수지는 우수한 공동 형성능을 갖고 있고, 필름 내부에 효율적으로 공동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매우 우수하다. 그 반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중으로의 미분산화가 곤란하여, 공동의 조대화(粗大化)나 불균질화가 발생하기 쉽고, 필름의 가요성(변형에 대한 필름의 추종성)이 저하되며, 나아가서는 필름의 취급성이 크게 저하된다.
구체적으로는 전동 모터용 절연재로서 사용할 경우의 펀칭성 불량, 반송성 불량, 기계 삽입 적성(실장성) 불량이라는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그리고,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필름 중의 공동 함유율을 제한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공동 함유 구조에서 유래하는 특성(예컨대, 쿠션성, 저유전성, 경량성)을 희생시키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취급성의 저하는 상기 전기 절연재로서의 용도뿐만 아니라, 각종 인쇄 방식 등에서의 고속 취급시에도 반송성(급지 불량, 종이 걸림 등), 주름 위치에서의 인쇄 불량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역시 공동 함유율을 제한해야만 하므로, 공동 함유 구조에서 유래하는 특성(예컨대, 쿠션 성, 저유전성, 경량성)을 희생시키지 않을 수 없다.
한편,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공동 형성제로서 이용한 경우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비교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으로의 미분산화가 용이하고, 필름의 취급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폴리스티렌계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보다 공동 형성능이 낮아, 공동 함유 구조에서 유래하는 특성(예컨대, 쿠션성, 저유전성, 경량성)을 충분히 발현시킬 수 없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예컨대, 폴리메틸펜텐계 수지)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으로 미분산시키는 방법도 몇 가지 시도되고 있다. 예컨대, 계면 활성제의 사용(일본 특허 공고 공보 평성 7-17779호),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사용(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2-235942호), 또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사용(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4-264141호) 등의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확실히, 이들 방법에 의해, 공동의 조대화나 불균일화가 적어져서 필름의 가요성이 어느 정도 향상되므로, 필름의 취급성이 어느 정도 향상된다. 그러나,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는 방법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수지(예컨대 폴리메틸펜텐계 수지)와의 접착성이 높아지고, 연신했을 때의 공동의 형성을 저해한다. 한편, 폴리에틸렌글리콜이나 폴리에테르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방법은 이들 성분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하여 가소제로서 작용하는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본래 갖는 강직성(허리의 강도)을 현저히 저하시킨다. 그리고, 강직성의 저하는 필름의 취급성을 반대로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이들 에테르 성분은 용이하게 산화 열화하고, 그 자체가 필름의 착색의 원인이 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열화를 촉진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공동 함유 구조에서 유래하는 우수한 특성(예컨대, 쿠션성, 저유전성, 경량성)과 양호한 취급성을 모두 갖는 필름은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고, 공동 함유 구조에서 유래하는 우수한 특성(예컨대, 쿠션성, 저유전성, 경량성)과 양호한 취급성을 모두 갖는 필름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1)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그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그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 미립자형으로 분산된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에 기인하는 공동을 필름 내부에 다수 함유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동시에, 이하의 요건 ① 내지 ③ 모두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① 겉보기 비중이 1.3 이하임;
②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d가 15 ㎛ 이하임;
③ 링 크래시 강도 G(단위: ㎏/㎜)와 필름 두께 t(단위: ㎜)가 이하의 식을 만족한다.
G > 15×t3
(2) 미립자형으로 분산된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의 분산 입자의 필름 세로 방향으로 평행한 절단면에 있어서의 종횡비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3) 본문 중에 규정하는 좌굴 한계 반경 r(단위: ㎜) 및 필름 두께 t(단위: ㎜)가 이하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r < 25×t
(4) 유전율이 2.9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5)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메틸펜텐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6)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에 기재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7) 필름 중의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함유량(a 중량%), 폴리메틸펜텐의 함유량(b 중량%) 및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c 중량%)이 이하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에 기재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0.01 ≤a/(b+c) ≤1
c/b ≤1
3 ≤a+b+c ≤20
(8) 전동 모터용 절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9)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의 환형 3량체의 함유량이 필름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에 기재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0)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극한 점도가 0.68∼1.0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에 기재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1)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290℃의 온도에서 60 분간 용융되었을 때의 환형 3량체의 증가량이 0.5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에 기재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2)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중축합후 칩형으로 수처리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그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주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와 에틸렌글리콜을 원료로서 Ge 화합물 및/또는 Ti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에 기재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주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글리콜 성분으로부터 얻어지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이고, 더욱 바람 직하게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단위가 산 성분의 85 몰% 이상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단위가 산 성분의 90 몰% 이상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4,4'-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글리콜 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지방족 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지환족 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 공중합시켜 사용하는 상기 이외의 산 성분으로는 이소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p-옥시안식향산, 옥시카프론산 등의 옥시산 및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아디프산, 세바신산, 호박산, 글루타르산, 다이머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및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 공중합시켜 사용하는 상기 이외의 글리콜 성분으로는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지방족 글리콜, 비스페놀 A, 비스페놀 A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방향족 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실질적으로 선형인 범위 내에서 다관능 화합물, 예컨대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신산, 피로멜리트산, 트리카르파릴산, 글리세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을 공중합시켜도 좋고, 또한 단관능 화합물, 예컨대 안식향산, 나프토에산 등을 공중합시켜도 좋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바람직한 일례는 주된 반복 단위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85 몰% 이상 포함하는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90 몰% 이상 포함하는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바람직한 다른 일례는 주된 반복 단위가 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로 구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단위를 85 몰% 이상 포함하는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단위를 90 몰% 이상 포함하는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특히 주된 반복 단위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극한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0.50∼1.30 dl/g,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1.20 dl/g, 더욱 바람직하게는 0.60∼0.90 dl/g의 범위이다. 극한 점도가 0.50 dl/g 미만에서는 얻어진 필름의 기계적 특성이 나쁘다. 또한, 1.30 dl/g을 초과하는 경우는 성형기 등에 의한 용융 시에 수지 온도가 높아져서 열 분해가 심해지고, 유리된 저분자량 화합물이 증가하거나 필름이 황색으로 착색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특히 주된 반복 단위가 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로 구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극한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0.40∼1.00 dl/g, 보다 바람직하게는 0.42∼0.95 dl/g, 더욱 바람직하게는 0.45∼0.90 dl/g의 범위이다. 극한 점도가 0.40 dl/g 미만에서는, 얻어진 필름의 기계적 특성이 나쁘다. 또한 1.00 dl/g을 초과하는 경우는, 용융 압출시에 수지 온도가 높아져서 열 분해가 심해지고, 유리된 저분자량 화합물이 증가하거나 필름이 황색으로 착색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전동 모터용 절연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주로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와 에틸렌글리콜을 원료로서 Ge 화합물 및/또는 Ti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바람직한 극한 점도는 0.68 dl/g∼1.0 dl/g의 범위, 나아가서는 0.68 dl/g∼0.90 dl/g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극한 점도가 0.68 dl/g 미만에서는, 전동 모터용 절연재로서 고온·장기간의 사용 기간 동안에 현저한 강도 저하를 일으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극한 점도가 1.0 dl/g을 초과하면, 중합체의 용융 압출 공정에서의 압출기로의 부하나 필터의 압력 손실이 현저해지고, 중합체 토출량을 대폭 제한할 필요가 발생한다. 그 결과, 멜트 라인 중에서의 체류 시간이 길어져서 저분자량물이 대량으로 석출되고, 전동 모터계로의 올리고머 방출에 의한 모터의 신뢰성 저하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전동 모터용 절연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환형 3량체의 함유량이 필름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환형 3량체의 함유량이 필름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동 모터계로의 올리고머 방출이 급격히 증가하여, 모터의 신뢰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전동 모터용 절연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290℃의 온도에서 60분간 용융되었을 때의 환형 3량체의 증가량이 0.5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2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환형 3량체의 증가량이 0.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합체의 용융 압출 공정에서의 저분자량물의 석출량이 많아지고,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환형 3량체의 함유량을 필름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환형 3량체의 증가량은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예컨대 하기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폴리에스테르 칩을 처리조(處理槽) 속에서 처리수로 접촉 처리한다. 접촉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물 속에 담그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물과의 접촉 처리를 행하는 시간으로서는 5분∼2일간, 바람직하게는 10분∼1일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30분∼10시간이며, 물의 온도로서는 20∼180℃, 바람직하게는 40∼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20℃이다.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있어서의 공동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등을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 혼합하여 입자형으로 분산시키고 연신시킴으로써, 그 분산 입자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계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성인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필수 요건이지만, 기타 성분으로서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설폰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또,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환형 올레핀의 개환 중합물이나 환형 올레핀과 기타 올레핀과의 공중합 중합체 등이 예시되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은 목적으로 하는 공동의 양에 따라 달라지지만, 필름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3∼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18 중량%이다. 이 함유량이 3 중량% 미만인 경우는 공동의 생성량을 많게 하는 데 한계가 있고, 공동 함유 구조에서 유래하는 특성(예컨대, 저유전성, 쿠션성, 경량성)을 발휘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20 중량%를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본래 갖는 특성, 즉 필름의 연신성, 내열성, 강도, 강직성 등이 손상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폴리스티렌계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특정 비율, 즉 폴리스티렌계 수지/폴리올레핀계 수지를 0.01∼1로 혼합하여 이용하는 경우가 예시되고,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폴리메틸펜텐 및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는, 즉,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메틸펜텐 및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스티렌계 수지란, 폴리스티렌 구조를 기본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말하고, 불규칙 배열 폴리스티렌, 규칙 배열 폴리스티렌, 동일 배열 폴리스티렌 등의 호모 중합체 외에, 기타 성분을 그래프트 또는 블록 공중합한 개질 수지(예컨대,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나 폴리스티렌과 폴리페닐렌에테르와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 나아가서는 이들 폴리스티렌계 수지와 상용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폴리페닐렌에테르와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메틸펜텐이란, 8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이 4-메틸펜텐-1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갖는 중합체이며, 다른 성분으로서는 에틸렌 단위, 프로필렌 단위, 부텐-1 단위, 3-메틸부텐-1 등으로부터의 유도 단위가 예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동일 배열 폴리프로필렌, 규칙 배열 폴리프로필렌 등의 호모 중합체 외에, 기타 성분을 그래프트 또는 블록 공중합한 개질 수지도 포함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상기 폴리메틸펜텐 중에 공중합시킨 상태, 즉 프로필렌 단위를 공중합 단위로서 도입한 상태로 사용하여도 좋다.
이들 수지는 특정 비율로 혼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름 중의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함유량 a(중량%), 폴리메틸펜텐의 함유량 b(중량%) 및 폴리프로 필렌의 함유량 c(중량%)가 이하의 식을 만족하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0.01 ≤a/(b+c) ≤1
c/b ≤1
3 ≤a+b+c ≤20
여기서, a/(b+c)가 0.01 미만이면, 폴리스티렌계 수지에 따른 폴리올레핀(폴리메틸펜텐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에 대한 분산 효과가 불안정해지고, 필름의 불균일함이나 가요성이 불량해져서 취급성이 불량해질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반대로, a/(b+c)가 1을 초과하면, 공동의 생성량을 많게 하는 데 한계가 있어, 공동 함유 구조에서 유래하는 특성(예컨대, 저유전성, 쿠션성, 경량성)을 발휘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a/(b+c)의 값의 상한은 0.5, 하한은 0.1이 특히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c/b가 1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공동의 생성량을 많게 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c/b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1 미만이면, 필름의 불균일함이나 가요성이 불량해져서 취급성이 뒤떨어질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c/b의 값의 상한은 0.5, 하한은 0.1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a+b+c가 3 중량% 미만이면, 공동의 생성량을 많게 하는 데 한계가 있어, 공동 함유 구조에서 유래하는 특성(예컨대, 저유전성, 쿠션성, 경량성)을 발휘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a+b+c가 20 중량%를 넘으면,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본래 갖는 특성, 즉 필름의 연신성, 내열성, 강도, 강직성 등이 손상되어 취급성이 뒤떨어질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a+b+c의 상한은 18 중량%, 하한은 5 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중에, 은폐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무기 또는 유기 입자를 필요에 따라 함유시켜도 좋다. 사용 가능한 입자로서는, 실리카, 카올리나이트, 탈크,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알루미나, 황산바륨, 카본 블랙, 산화아연, 산화티탄, 황화아연, 유기 백색 안료 등이 예시되지만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들 입자는 미리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중에 첨가함으로써 필름 내에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제조 방법은 임의의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전술한 조성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필름형으로 성형하여 미연신 필름으로 한 후, 그 미연신 필름을 연신한다고 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미연신 시트를 연신·배향 처리하는 조건은 공동의 생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하에서는 가장 즐겨 사용되는 순차 2축 연신 방법, 특히 미연신 시트를 길이 방향 및 폭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신시키는 방법을 예로 들어 연신·배향 조건을 설명한다. 우선, 제1 단계의 세로 연신 공정에서는, 주속(周速)이 다른 2개 또는 다수개의 롤 사이에서 연신시킨다. 이 때의 가열 수단으로서는, 가열 롤을 이용하는 방법이어도 비접촉 가열 방법을 이용하는 방법이어도 좋고, 이들을 병용하여도 좋다. 단,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 지와의 계면에 공동을 다수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연신 온도를 폴리에스테르의 2차 전이 온도 Tg + 50℃ 이하로 하여 3∼5 배로 길이 방향으로 연신한다. 계속해서, 1축 연신 필름을 텐터에 도입하고, 폭방향으로 폴리에스테르의 융점 Tm - 10℃ 이하의 온도에서 2.5∼5배로 연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2축 연신 필름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서 열처리를 한다. 열처리는 텐터 속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의 융점 Tm - 50℃ 내지 Tm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단층이어도, 동종 또는 이종의 합성 수지 필름층을 복합한 복층 구성으로서도 좋다. 이러한 복합에 이용되는 합성수지 필름층은 공압출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 외에, 코팅법, 접착제층 등을 통해 라미네이트법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합성수지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아릴레이트 또는 폴리이미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주성분으로 하는 필름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필름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착색제, 내광제(耐光劑), 형광제, 대전 방지제 등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무기 입자나 유기 입자를 첨가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적어도 그 어느 한쪽 표면에 도포층을 갖고 있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도포층을 설치함으로써, 잉크나 코 팅제 등의 도포성이나 접착성을 개량할 수 있다. 도포층을 구성하는 화합물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지만, 이 밖에도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 개시되어 있는 화합물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도포층을 설치하는 방법으로서는, 그라비아 코팅 방식, 키스 코팅 방식, 딥 코팅 방식, 분무 코팅 방식, 커튼 코팅 방식, 에어 나이프 코팅 방식, 블레이드 코팅 방식, 역전 롤 코팅 방식 등 통상 이용되고 있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포하는 단계로서는, 필름을 연신시키기 전에 도포하는 방법, 세로로 연신한 후에 도포하는 방법, 연신 처리를 종료한 필름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 등의 어느쪽의 방법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공동 함유 구조에서 유래하는 우수한 특성(예컨대, 쿠션성, 저유전성, 경량성)과 양호한 취급성을 갖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분산제로서 계면 활성제나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에테르계 수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내열성도 우수하고, 자기 회수 원료를 재사용하여도 색조의 변화가 작으며, 필름 제조시의 안정성도 우수하다. 자기 회수 원료를 재사용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사용 비율은 5∼50 중량%이다.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겉보기 비중이 1.3 이하,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이하이다. 겉보기 비중이 1.3보다 큰 경우는, 필름에 내재하는 공동의 양이 너무 적어서 공동 함유 구조에서 유래하는 특성(예컨대, 저유전성, 쿠션성, 경량성)이 불충분해진다. 겉보기 비중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겉보기 비중이 0.8을 밑돌면, 후술하는 좌굴 한계 반경 r을 적합한 범위로 할 수 없고, 양호한 취급성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겉보기 비중을 1.3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량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방법,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의 편성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방법, 필름의 제조 조건(연신 배율, 연신 온도, 열처리 온도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d(단위: ㎛)가 15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d가 15 ㎛를 초과한 필름에서는, 분산 입자가 조대화하고 있고, 필름의 가요성이 뒤떨어지며, 따라서 취급성이 뒤떨어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d란, 분산 입자의 최대 직경의 평균치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d를 15 ㎛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함께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함유시키고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혼합 비율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방법(폴리스티렌의 비율을 크게 함으로써 d를 작게 할 수 있음), 필름의 제조 조건에 있어서 멜트 라인 중에서의 중합체에 가해지는 전단(剪斷) 이력을 제어하는(보다 큰 전단을 장시간 가함으로써 d를 작게 할 수 있음)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링 크래시 강도 G(단위: ㎏/㎜)와 필름 두께 t(단위: ㎜)가 하기 식을 만족한다.
G > 15×t3
본 발명에 있어서, 링 크래시 강도 G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 규정된다. G가 15×t3 이하인 경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본래 갖는 강직성이 손상되고, 기계에 의한 실장성의 향상, 하중 하에서의 좌굴 꺾임에 대한 내성 등이 불량해져서 양호한 취급성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G는 바람직하게는 20×t3 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링 크래시 강도 G와 필름 두께 t가 상기 식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폴리스티렌계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특정 비율, 폴리스티렌계 수지/폴리올레핀계 수지를 0.0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 중의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함유량 a(중량%), 폴리메틸펜텐의 함유량 b(중량%) 및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 c(중량%)가 이하의 식을 만족하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0.01 ≤a/(b+c) ≤1
c/b ≤1
3 ≤a+b+c ≤20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상기 요건 ①∼③(① 겉보기 비중이 1.3 이하이고, ②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d가 15 ㎛ 이하 이며, 또한 ③ 링 크래시 강도 G(단위: ㎏/㎜)와 필름 두께 t(단위: ㎜)가 상기 식을 만족함)을 전부 만족하는 것을 시작으로, 공동 함유 구조에서 유래하는 특성(예컨대, 쿠션성, 저유전성, 경량성)을 확보하면서, 양호한 취급성을 갖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들 어느 하나의 요건이라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동 함유 구조에서 유래하는 특성(예컨대, 쿠션성, 저유전성, 경량성)을 확보하면서, 양호한 취급성을 갖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을 수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필름 세로방향(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절단면에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종횡비가 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2∼8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횡비가 10을 초과하면, 공동의 생성량이 적고, 겉보기 비중을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종횡비란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긴 직경/짧은 직경)의 평균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횡비를 1∼10으로 하기 위해서는, 융점 또는 유리 전이점이 다른 복수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이용하는 방법,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혼합 비율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방법, 필름의 제조 조건에 있어서, 열처리 온도를 적절하게 선택하는 (고온으로 열처리할수록 종횡비가 커짐)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좌굴 한계 반경 r(단위: ㎜)과 필름 두께 t(단위: ㎜)가 하기 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 < 25×t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좌굴 한계 반경 r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 규정된다. 좌굴 한계 반경 r이 25×t 이상인 경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본 래의 강직성이 손상되고, 기계에 의한 실장성의 향상, 하중 하에서의 좌굴 꺾임에 대한 내성 등이 불량해져서 양호한 취급성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좌굴 한계 반경 r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t 미만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좌굴 한계 반경 r과 필름 두께 t가 상기 식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d를 15 ㎛ 이하로 하기 위한 방법과 같은 방법, 즉,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함께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함유시키고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혼합 비율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방법(폴리스티렌의 비율을 크게 함으로써 r을 작게 할 수 있음), 필름의 제조 조건에 있어서 멜트 라인 중에서 중합체에 가해지는 전단 이력을 제어하는(보다 큰 전단을 장시간 가함으로써, r을 작게 할 수 있음)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유전율은 바람직하게는 2.9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7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2.6 미만이다. 유전율이 2.9 이상이면, 전기 절연재로서 이용한 경우에, 누설 전류의 저감 효과(누설 전류의 표준 PET 필름에 대한 감소율)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전율을 2.9 미만으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겉보기 비중을 1.3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전기 절연재(전동 모터용 절연재, 특히 허메틱(hermetic) 모터용 절연재), 인쇄용 필름(예컨대, 열전사용)으로서 특히 유용한 필름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PET 병으로부터의 회수 중합체 또는 자기 카드, IC 카드 등으로부터의 회수 중합체도 재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측정·평가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1) 겉보기 비중
JIS K-7112 부침법(浮沈法)에 따랐다.
2)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d
필름 1.0 g을 미세하게 잘라내어 이것을 50 ㎖ 메스플라스크에 넣고, 계속해서 40℃로 가온한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였다. 그 플라스크를 2 시간동안 40℃로 가열하여 필름을 용해시켰다. 이것을 0.45 ㎛의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행하고, 미용해물(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을 추출하였다. 이것을 건조시킨 후, 무작위로 20점 선택하여,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이용하여 1500배로 확대하여, 최대 직경을 직경으로서 계측하여 평균치를 d로 하였다.
3) 미립자형으로 분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의 분산 입자의 종횡비
필름을 세로 방향(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절단하여, 마이크로톰으로 단면의 윤곽을 나타내고, 미립자형으로 분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의 분산 입자를 무작위로 50점 선택하여,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이용하여 300∼1000배로 임의로 확대하여, 개개의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긴 직경/짧은 직경을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종횡비로 하였다.
4) 좌굴 한계 반경 r (단위: ㎜)
필름을 길이 방향/폭 방향 각각 2개씩 10 ㎜×100 ㎜으로 잘라내었다. 부리 길이가 50 ㎜ 이상인 노기스를 이용하여 필름을 가볍게 만곡시켜 노기스의 부리 사이에 U 자형으로 삽입하여, 필름을 끼워 억지로 누르는 방향으로 치수를 단축시켰다. 필름이 만곡에 견뎌 끊어지지 않고, 모서리의 발생을 수반하면서 좌굴한 시점에서의 굽힘 폭을 노기스의 눈금으로 판독하여, 그 1/2값을 필름의 좌굴 한계 반경 r(단위: ㎜)로 하였다. 값은 4점의 평균을 취하였다.
5) 링 크래시 강도 G
JIS P-8126에 나타내는 판지의 압축 강도 시험 방법(링 크래시법)을 이용하였다.
사용 시험기: 도요볼드윈사에서 제조한 만능 압축/인장 시험기. 풀 스케일 100 ㎏으로 로드 셀을 사용하여 응력치를 판독한다. 시험 속도 13 ㎜/분으로 압축
시험편 지지 기구: JIS P-8126에 나타내는 직경 50 ㎜, 깊이 6.35 ㎜의 홈을 갖는 스테인레스 치구를 사용.
시험편: 필름을 길이 방향/폭 방향 각각 2개씩 길이 152.4 ㎜, 폭 12.07 ㎜로 잘라내었다.
측정 방법: 시험편을 시험편 지지 기구에 삽입하였다. 이것을 시험기에 걸어 시험 속도 13 ㎜/분으로 압축하면서 응력을 판독하였다. 시험편에 좌굴이 발생 한 시점의 응력을 시험편 길이 152.4 ㎜로 나눈 값을 링 크래시 강도 G(단위: ㎏/㎜)로 하였다. 값은 4점의 평균을 취하였다.
6) 필름의 두께 t
소니 프리시젼 테크놀로지 인코오포레이티드(Sony Precision Technology Inc.)에서 제조한 Digital Micrometer M-30을 사용하여 무작위로 20점 필름의 두께를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필름의 두께 t(㎜)로 하였다.
7) 필름의 취급성 - 1(저압 유도 전동기 슬롯 절연 부분에의 실장성)
각 샘플을 도 1에 도시하는 크기로 100장 잘라내어 이것을 각각 도 2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절곡시켜 도 3에 도시하는 모터 슬롯 모델(3)의 필름 삽입부(4)에 삽입하여 실장성을 평가하였다. 판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 100장 중에서 찌부러짐, 구부러짐에 의한 삽입 불량 없음
△: 100장 중에서 찌부러짐, 구부러짐에 의한 삽입 불량은 5회 미만
×: 100장 중에서 찌부러짐, 구부러짐에 의한 삽입 불량은 5회 이상
8) 필름의 취급성 - 2(낱장 필름의 반송성)
필름 표면에 대전 방지·블로킹 방지 가공을 행한 후, A6 엽서 사이즈로 재단한 샘플을 100장 준비하였다. 이 샘플을 오프셋 인쇄기(테크셀사 제품 AR-010)에 제공하여 반송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 테스트에 의해 발생한 꺾임, 주름, 종이 걸림 등에 의한 반송 불량의 발생 빈도에 의해 취급성을 평가하였다.
○: 100장 중에서 반송 불량 발생 없음
△: 100장 중에서 반송 불량 발생은 5회 미만
×: 100장 중에서 반송 불량 발생은 5회 이상
9) 유전율
JlS C 2151-1990 「전기용 플라스틱 필름 시험 방법」에 따랐다.
10) 열전사 감도 특성
하기 조성의 코팅액
수분산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2부
수분산성 아크릴·스티렌 공중합 수지 5부
수분산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0.5부
물 67.4부
이소프로필알콜 25부
계면 활성제 0.1부
를 건조시킨 후 중량이 4 g/m2가 되도록 필름 표면에 코팅하고, 치수 고정하여 160℃에서 30초간 열처리하여 기록층을 형성시킨 후, 열전사 수상 시트를 작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열전사 수상 시트를 A6 사이즈로 컷트한 샘플에 대해서, 시판되는 잉크 리본(가부시키가이샤 캬라벨 데이터 시스템에서 제조한 승화 전사 프린터용 프린트 세트 P-PS100)과 시판되는 열전사 프린터(본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열전사형 라벨 프린터 BLP-323)를 이용하여, 인자 스피드 100 ㎜/초, 헤드 전압 18 V로 인자하였다. 인자 패턴으로는, C(시안), M(마젠타), Y(옐로우) 및 이들을 겹쳐 인자한 K(블랙)의 4색에 대해서, 각 색 9 ㎜×9 ㎜의 정방형 전면 문자 를 7개씩(계 28개) A6 시트 내에 배치한 패턴을 이용하였다.
인자 후, 맥베스 농도계(TR-927)를 이용하여, CMYK 각 색의 반사 농도를 계측하고, 4색(계 28 지점)의 평균 반사 농도를 구하였다.
마찬가지로, 시판되는 수상지(受像紙)(가부시키가이샤 캬라벨 데이터 시스템에서 제조한 승화 전사 프린터용 프린트 세트 P-PS100: 천연지의 양면에 발포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라미네이트하여 기록층을 형성한 것)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평균 반사 농도를 구하여 시판되는 수상지의 평균 반사 농도에 대한 샘플의 평균 반사 농도의 비율(%)로 열전사 감도 특성을 평가하였다.
12)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극한 점도(IV)
1,1,2,2-테트라크롤에탄/페놀(2:3 중량비) 혼합 용매 중, 30℃에서의 용액 점도로부터 구하였다.
13)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환형 3량체의 함량(이하 “CT 함량”이라 함)
시료 300 ㎎을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클로로포름 혼합액(용량비=2/3) 3 ㎖에 용해시키고, 또한 클로로포름 30 ㎖를 첨가하여 희석한다. 이것에 메탄올 15 ㎖를 첨가하여 중합체를 침전시킨 후 여과한다. 여과액을 증발 건고시켜 디메틸포름아미드 10 ㎖로 일정 용량으로 하고,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법에 의해 환형 3량체를 정량하였다.
14)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시의 환형 3량체의 증가량(△CT)
건조시킨 폴리에스테르 칩 3 g을 유리로 제조된 시험관에 넣어, 질소 분위기하에서 290℃의 오일 배스에 60분 침지시켜 용융시켰다. 용융시의 환형 3량체의 증가량은 다음 식에 의해 구하였다.
용융시의 환형 3량체의 증가량(중량%) = 용융 후의 환형 3량체 함유량(중량%) - 용융전의 환형 3량체 함유량(중량%)
15) 연성 유지율
냉매로서 HFC-134a(CH2F-CF3) 20 g, 오일로서 POE 합성 오일 50 g을 사용하여, 140℃, 30 기압의 120 cc 고압 반응 용기 속에 측정 시료를 넣어 2000 시간 처리하였다. 또, 냉매와 오일의 투입에 앞서, 측정 시료를 고압 반응 용기 내에서 140℃, 26 Pa(0.2 Torr)의 진공 하에 3 시간의 탈수 처리를 실시하였다. 또한, 사용 오일은 미리 건조·가습하여 수분율을 300 ppm으로 제어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시험 전후에서의 파단 연성을 측정하여, 시험 전 시료의 파단 연성에 대한 시험후 시료의 파단 연성의 비율(유지율)로 평가하였다. 또, 파단 연성의 측정은 JIS-C231B에 규정된 방법에 따랐다.
16) 누설 전류의 감소율
냉매로서 HFC-134a와 활택제로서 POE 오일을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냉장고용 밀폐형 콤프레서의 전동기에 표준 전기 절연용 PET 필름을 삽입하여 누설 전류의 초기값(X1)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표준 전기 절연용 PET 필름과 교체하여 전동기에 삽입하고, 샘플의 누설 전류의 초기값(X2)을 측정하였다. 이하의 식으로부터 누설 전류의 감소율을 산출하였다.
누설 전류의 감소율(%) = [1 - (X2/X1)] x 100
실시예
(공동 형성제의 조정)
원료로서, 극한 점도가 0.62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70 중량%에, 용융 흐름율이 2.0인 폴리스티렌 수지(미쓰이도아쓰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토폴렉스 570-57U) 6 중량%, 용융 흐름율이 1.7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미쓰이도아쓰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노브렌 F0-50F) 6 중량% 및 용융 흐름율이 8.0인 폴리메틸펜텐 수지(미쓰이세키유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TPX, DX-845) 18 중량%를 펠릿 혼합하여, 2축 압출기에 공급하여 충분히 반죽하고, 스트랜드를 냉각, 절단하여 공동 형성제를 함유하는 마스터 펠릿(Pa)을 조정하였다.
계속해서, 극한 점도가 0.62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75 중량%와, 상기 공동 형성제 함유 마스터 펠릿(Pa) 25 중량%를 펠릿 혼합하여 진공 건조를 행하여 필름의 원료로 하였다.
(미연신 필름의 제작)
계속해서, 상기 필름의 원료를 압출기에 공급하고, T 다이를 이용하여 30℃로 조절된 냉각 드럼 상에 압출시켜 두께가 약 1900 ㎛인 미연신 필름을 작성하였다.
(2축 연신 필름의 제작)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가열 롤을 이용하여 65℃로 균일 가열하고, 주속이 다른 2쌍의 닙롤(저속 롤 속도=1 m/분, 고속 롤 속도=3.4 m/분) 사이에서 3.4배로 연신시켰다. 이 때, 필름의 보조 가열 장치로서, 닙롤 중간부에 금 반사막을 구비 한 적외선 가열 히터(정격 20 W/cm)를 필름의 양면에 대향시켜, 필름 표면으로부터 1 cm의 거리에 설치하여 가열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1축 연신 필름을 텐터로 유도하고, 150 ℃로 가열하여 3.7배로 가로 연신시킨 후, 폭 고정하여 220℃에서 5 초간 열처리를 행하고, 다시 210℃에서 폭방향으로 4% 완화시킴으로써, 두께가 188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실시예 1)을 얻었다.
비교예 1
원료로서, 진공 건조를 행한 극한 점도가 0.62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90 중량%에 용융 흐름율이 2.0인 폴리스티렌 수지(미씨이도아쓰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토폴렉스 570-57U) 10 중량%를 혼합한 것을 이용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비교예 1)을 얻었다.
비교예 2
원료로서, 진공 건조를 행한 극한 점도가 0.62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90 중량%에 용융 흐름율이 1.7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미쓰이도아쓰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노브렌 F0-50F) 10 중량%를 혼합한 것을 이용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비교예 2)을 얻었다.
비교예 3
원료로서, 진공 건조를 행한 극한 점도가 0.62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3 중량%에 용융 흐름율이 180인 폴리메틸펜텐(미쓰이세키유가가 꾸 가 부시키가이샤 제조 TPX, DX820) 칩 7 중량% 및, 분자량 4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플레이크 10 중량%를 혼합한 것을 이용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비교예 3)을 얻었다.
실시예 2
원료로서, 극한 점도가 0.62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49.5 중량%에 평균 입자 직경이 0.3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인 아나타아제형 이산화티탄(후지티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TA-300) 50 중량% 및 형광 표백제(이스트맨케미컬사 제조 OB-1) 0.5 중량%를 혼합한 것을 벤트식 2축 압출기에 공급하여 예비 반죽한 후, 용융 중합체를 연속적으로 벤트식 단축 혼련기에 공급하여 반죽하여, 미립자(산화티탄) 함유 마스터 펠릿(Pb)을 조정하였다. 계속해서, 실시예 1에서 이용한 공동 형성제 함유 마스터 펠릿(Pa) 30 중량%와, 상기 미립자 함유 마스터 펠릿(Pb) 5 중량% 및 극한 점도 0.64 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65 중량%를 펠릿 혼합하여 진공 건조를 행하여 필름 원료 (A)로 하였다.
한편, 상기 미립자 함유 마스터 펠릿(Pb) 50 중량%, 극한 점도가 0.64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50 중량%를 혼합하여 진공 건조를 행하여 필름원료 (B)로 하였다.
이들 원료(A 및 B)를 각각의 압출기에 공급하고, 피드 블록을 이용하여 원료 A의 양면에 균등하게 원료 B를 적층(B/A/B=5/90/5)하고, 두께 약 700 ㎛의 미연신 필름을 작성하였다.
계속해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단, 저속 롤 속도=2 m/분, 고속 롤 속도=6.8 m/분)에 의해 두께가 100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실시예 2)을 얻었다.
비교예 4
극한 점도 0.62 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0 중량%에 상기 미립자 함유 마스터 펠릿(Pb) 10 중량%를 혼합하여 진공 건조를 행하고, 다시 용융 흐름율이 2.0인 폴리스티렌 수지(미쓰이도아쓰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토폴렉스 570-57U) 10 중량%를 첨가하여 필름의 원료로 하였다.
계속해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단, 저속 롤 속도=2 m/분, 고속 롤 속도=6.8 m/분)에 의해, 두께가 100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비교예 4)을 얻었다.
비교예 5
극한 점도 0.62 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78 중량%에 상기 미립자 함유 마스터 펠릿(Pb) 10 중량%를 혼합하여 진공 건조를 행하고, 다시 용융 흐름율이 1.7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미쓰이도아쓰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노브렌 FO-50 F) 12 중량%를 첨가하여 필름의 원료로 하였다.
계속해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단, 저속 롤 속도=2 m/분, 고속 롤 속도=6.8 m/분)에 의해, 두께 100 ㎛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비교예 5)을 얻었다.
비교예 6
원료로서, 진공 건조를 행한 극한 점도 0.62 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 트 수지 80 중량%에 용융 흐름율이 180인 폴리메틸펜텐 칩(미쓰이세키유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TPX, DX820) 10 중량% 및 분자량 4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플레이크 10 중량%를 혼합한 것을 이용하였다.
계속해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단, 저속 롤 속도=2 m/분, 고속 롤 속도=6.8 m/분)에 의해, 두께 100 ㎛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비교예 6)을 얻었다.
실시예 3
(공동 형성제의 조정)
원료로서, 용융 흐름율이 2.0인 폴리스티렌 수지(미쓰이도아쓰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토폴렉스 570-57U) 20 중량%, 용융 흐름율이 1.7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미쓰이도아쓰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노브렌 F0-50F) 20 중량% 및 용융 흐름율 180인 폴리메틸펜텐 수지(미쓰이세키유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TPX, DX-820) 60 중량%를 펠릿 혼합한 후, 2축 압출기에 공급하여 충분히 반죽하고, 스트랜드를 냉각, 절단하여 공동 형성제를 함유하는 마스터 펠릿(Pc)을 조정하였다.
(필름의 제조)
계속해서, Sb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한 극한 점도 0.62 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90 중량%에 상기 공동 형성제를 함유하는 마스터 펠릿(Pc) 10 중량%를 펠릿 혼합하여 진공 건조를 행하여 필름 원료 (C)로 하였다.
한편, Sb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한 극한 점도 0.62 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단독으로 필름 원료 (D)로 하였다.
이들 필름 원료 (C) 및 (D)를 각각 별개의 압출기에 공급하여 290℃에서 용융시킨 후, 피드 블록을 이용하여 필름 원료 (C)의 양면에 균등하게 필름 원료 (D)를 적층(b/a/b=7.5/85/7.5)시키고, 두께 약 2600 ㎛의 미연신 필름을 작성하였다. 이 때, 원료를 압출기에 투입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기까지의 용융 수지의 체류 시간은 약 10분 이었다.
계속해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상기 미연신 필름을 2축 연신 및 열고정 처리를 행하고, 두께가 250 ㎛로, 겉보기 비중이 1.05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 필름(실시예 3)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 이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대신에 Ge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한 극한 점도가 0.75 dl/g, 환형 3량체량이 0.30 중량%, △CT가 0.6 중량%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에 의해,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 필름(실시예 4)을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3에서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칩 대신에 실시예 4에서 이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을 수 처리(95℃, 5시간)하여 얻은 극한 점도가 0.75 dl/g, 환형 3량체량이 0.30 중량%, △CT가 0.07 중량%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에 의해,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 필름(실시예 5)을 얻었다.
겉보기 비중 필름 두께 (mm) 평균 분산 입자 직경 d(㎛) 링 크래시 강도 G (Kg/mm) 15xt3 종횡비 좌굴 한계 반경 r (mm) 25xt 유전율 취급성(실장성)
실시예 1 1.05 0.188 7.2 0.16 0.10 3.9 2.5 4.7 2.4
비교예 1 1.31 0.188 - 0.18 0.10 11.3 1.0 4.7 3.0
비교예 2 1.03 0.188 16.2 0.14 0.10 8.7 5.0 4.7 2.4
비교예 3 1.02 0.188 5.2 0.09 0.10 2.8 3.0 4.7 2.4
실시예 3 1.05 0.250 5.3 0.38 0.23 2.9 3.8 6.3 2.4
겉보기 비중 필름 두께 (mm) 평균 분산 입자 직경 d(㎛) 링 크래시 강도 G (Kg/mm) 15xt3 종횡비 좌굴 한계 반경 r (mm) 25xt 열전사감도(%) 취급성(반송성)
실시예 2 1.00 0.100 6.8 0.035 0.015 3.8 1.8 2.5 95
비교예 4 1.32 0.100 - 0.050 0.015 11.5 0.8 2.5 78
비교예 5 1.00 0.100 15.9 0.030 0.015 9.1 3.0 2.5 89
비교예 6 0.75 0.100 5.1 0.010 0.015 2.8 3.0 2.5 89
겉보기 비중 필름 두께 (mm) 평균 분산 입자 직경 d(㎛) 링 크래시 강도 G (Kg/mm) 15xt3 종횡비 좌굴 한계 반경 r (mm) 25xt 유전율 취급성 (실장성) 환형 3량체의 함유량(중량%) 연성 유지율 (%) 누설 전류의 감소율(%)
실시예 4 1.06 0.250 5.2 0.35 0.23 2.9 3.5 6.3 2.4 0.42 54 23
실시예 5 1.06 0.250 5.2 0.38 0.23 2.8 3.8 6.3 2.4 0.31 57 22
이상의 방법으로 얻어진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측정 결과 일람을 표 1 내지 4에 나타내었다. 표 1 내지 4의 측정 결과로부터 이하와 같이 고찰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5의 필름은 본 발명에서 규정되는 요건을 만족하고 있기때문에, 공동 함유 구조에 의한 우수한 특성과 양호한 취급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겉보기 비중이 본 발명에서 규정되는 요건을 넘는 비교예 1 에서는 유전율이 높고, 또한 동일하게 겉보기 비중이 본 발명에서 규정되는 요건을 넘는 비교예 4에서는 열전사 감도 특성이 낮으며, 모두 공동 함유 구조에서 유래하는 우수한 특성이 손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이 본 발명에서 규정되는 요건을 넘는 비교예 2 및 링 크래시 강도가 본 발명에서 규정되는 요건에 충족되지 않는 비교예 3에서는, 모두 전동기(모터) 슬롯 절연 부분으로의 실장성 테스트시의 찌부러짐, 구부러짐에 의한 삽입 불량을 자주 일으켰다.
마찬가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이 본 발명에서 규정되는 요건을 넘는 비교예 5, 링 크래시 강도가 본 발명에서 규정되는 요건을 벗어나는 비교예 6에서는, 모두 낱장 필름의 반송성 테스트시에 반송 불량을 자주 일으켰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공동 함유 구조에서 유래하는 특성(예컨대, 쿠션성, 저유전성, 경량성) 및 후가공시의 취급성의 양쪽을 모두 갖기 때문에, 저유전성 및 취급성(실장성등)이 요구되는 전기 절연재(전동 모터용 절연재)로서, 또한 쿠션성 및 취급성(반송성등)이 요구되는 각종 인쇄용 필름으로서 매우 유용하다.

Claims (12)

  1.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그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그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 미립자형으로 분산된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에 기인하는 공동을 필름 내부에 다수 함유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동시에, 이하의 요건 ① 내지 ③ 모두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① 겉보기 비중이 1.3 이하이고,
    ②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d가 15 ㎛ 이하이며,
    ③ 링 크래시 강도 G(단위: ㎏/㎜)와 필름 두께 t(단위: ㎜)가 식
    G > 15×t3 을 만족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의 분산 입자의 필름 세로방향으로 평행한 절단면에 있어서의 종횡비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본문중에 규정하는 좌굴(挫屈) 한계 반경 r(단위: ㎜) 및 필름 두께 t(단위: ㎜)가 이하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r < 25×t
  4. 제1항에 있어서, 유전율이 2.9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메틸펜텐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필름 중의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함유량(a)(중량%), 폴리메틸펜텐의 함유량(b)(중량%) 및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c)(중량%)이 이하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0.01 ≤a/(b+c) ≤1
    c/b ≤1
    3 ≤a+b+c ≤20
  8.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의 환형 3량체의 함유량이 필름 전체 중량에 대해 0.5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 름.
  9. 제8항에 있어서, 전동 모터용 절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0. 제8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극한 점도가 0.68∼1.0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1. 제8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290 ℃의 온도에서 60 분간 용융되었을 때의 환형 3량체의 증가량이 0.5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2. 제8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중축합후 칩형으로 수 처리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그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와 에틸렌글리콜을 원료로서 Ge 화합물 및/또는 Ti 화합물을 촉매로 이용하여 얻을 수 있고,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단위가 산성분의 85 몰% 이상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19990055673A 1998-12-08 1999-12-08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0576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48973 1998-12-08
JP34897398 1998-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989A KR20000047989A (ko) 2000-07-25
KR100576087B1 true KR100576087B1 (ko) 2006-05-03

Family

ID=1840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673A KR100576087B1 (ko) 1998-12-08 1999-12-08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87680B1 (ko)
EP (1) EP1008619B1 (ko)
KR (1) KR100576087B1 (ko)
CN (1) CN1116162C (ko)
DE (1) DE69910958T2 (ko)
TW (1) TWI2495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22928T3 (es) * 1999-11-18 2005-02-1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Procedimiento de recuperacion de poliesteres o de mezclas de poliesteres.
KR100561960B1 (ko) * 2000-04-03 2006-03-21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0368571B1 (ko) * 2000-07-31 2003-01-24 주식회사 코스모링크 개질된 절연전선 피복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절연전선
US6869667B2 (en) * 2001-04-19 2005-03-22 Toray Industries, Inc. White laminate polyester film and receiving sheet for thermal transfer recording using it
KR100828524B1 (ko) * 2001-10-26 2008-05-13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US6844626B2 (en) * 2003-05-23 2005-01-1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Bond pad scheme for Cu process
US20050119359A1 (en) * 2003-12-02 2005-06-02 Shelby Marcus D. Void-containing polyester shrink film
DE602005017008D1 (de) 2004-01-29 2009-11-1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Biaxial orientierte folie
US20070004813A1 (en) * 2004-09-16 2007-01-04 Eastman Chemical Company Compositions for the preparation of void-containing articles
US20060121219A1 (en) * 2004-12-07 2006-06-08 Eastman Chemical Co. Void-containing polyester shrink film with improved density retention
GB0500906D0 (en) * 2005-01-17 2005-02-23 Dupont Teijin Films Us Ltd Coextruded polymeric film
WO2006118255A1 (ja) * 2005-04-28 2006-11-09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熱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icカードまたはicタグの製造方法、及びicカードまたはicタグ
JP5434067B2 (ja) * 2007-12-27 2014-03-05 東レ株式会社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20090227735A1 (en) * 2008-03-07 2009-09-10 Eastman Chemical Company Miscible polyester blends and shrinkable films prepared therefrom
US10329393B2 (en) 2012-12-12 2019-06-25 Eastman Chemical Company Copolysters plasticized with polymeric plasticizer for shrink film applications
US20140370218A1 (en) * 2013-06-14 2014-12-18 Eastman Chemical Company Foamed articles with deep undercuts
JP6176270B2 (ja) * 2015-02-21 2017-08-09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WO2018035341A1 (en) 2016-08-18 2018-02-22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compositions which comprise tetramethylcyclobutanediol and ethylene glycol for calendering
EP3500616B1 (en) 2016-08-18 2021-03-24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compositions which comprise tetramethylcyclobutandiol and ethylene glycol, with improved catalyst system
JP7130621B2 (ja) 2016-08-18 2022-09-05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改良された触媒系による、テトラメチルシクロブタンジオール及びエチレングリコールを含むポリエステル組成物
WO2019089535A2 (en) 2017-10-30 2019-05-09 Eastman Chemical Company Low density void containing films
US10543656B2 (en) 2018-01-11 2020-01-28 Eastman Chemical Company Tough shrinkable films
US11001979B2 (en) 2018-08-13 2021-05-11 Vergence Automation,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ultrawide entrance angle reflective articles for use with autonomous vehicle machine vision systems
US11762133B1 (en) 2018-09-13 2023-09-19 Vergence Automation, Inc. Retroreflective materials and articles incorporating near-ideal total internal retroreflective elements
CN112789155B (zh) 2018-10-08 2024-03-15 伊士曼化工公司 由反应器级树脂制成的可结晶收缩膜和可热成形片材
KR20210072065A (ko) 2018-10-08 2021-06-16 이스트만 케미칼 컴파니 수지 배합물로부터 제조된 결정화가능한 수축성 필름 및 열성형성 시트
US11021603B2 (en) * 2019-01-03 2021-06-01 Nan Ya Plastics Corporation White polyester film with properties of lightweight and low-shrinkage
EP4041797A1 (en) 2019-10-08 2022-08-17 Eastman Chemical Company Catalyst systems for crystallizable reactor grade resins with recycled content
US20220372216A1 (en) 2019-10-08 2022-11-24 Eastman Chemical Company Catalyst systems for crystallizable reactor grade resins
MX2022004815A (es) 2019-10-25 2022-05-16 Eastman Chem Co Copoliesteres producidos a partir de copoliesteres reciclados.
EP4132991A1 (en) 2020-04-06 2023-02-15 Eastman Chemical Company Crystallizable shrinkable films and thermoformable sheets made from resin blends
JP2023544828A (ja) 2020-10-08 2023-10-25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202315906A (zh) 2021-10-08 2023-04-16 美商伊士曼化學公司 具有減少收縮之可收縮聚酯膜
WO2023091544A1 (en) 2021-11-22 2023-05-25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making recyclable copolyesters articles with living hinges
WO2023091540A1 (en) 2021-11-22 2023-05-25 Eastman Chemical Company Recyclable copolyesters articles with living hinges
WO2023091542A1 (en) 2021-11-22 2023-05-25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making recyclable copolyesters articles with living hinges
WO2023091539A1 (en) 2021-11-22 2023-05-25 Eastman Chemical Company Recyclable copolyesters articles with living hinges
WO2023178221A1 (en) 2022-03-18 2023-09-21 Eastman Chemical Company Multilayer crystallizable shrinkable film and sheet
WO2023196829A1 (en) 2022-04-06 2023-10-12 Eastman Chemical Company Multilayer shrinkable polyester films with improved toughnes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8393B2 (ja) 1986-05-28 1995-07-26 花王株式会社 多孔性フィルム
US5698489A (en) * 1994-02-25 1997-12-16 Dai 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image-receiving sheet
JP3158026B2 (ja) 1995-11-24 2001-04-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機
JPH09286867A (ja) 1996-02-23 1997-11-04 Toray Ind Inc 電気絶縁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電気絶縁用積層フィルム、絶縁システムおよび密閉型コンプレッサー
KR100514018B1 (ko) 1997-08-25 2005-09-13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전기 절연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4232915B2 (ja) 1997-09-17 2009-03-04 東レ株式会社 電気絶縁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49548B (en) 2006-02-21
US6287680B1 (en) 2001-09-11
EP1008619A2 (en) 2000-06-14
EP1008619B1 (en) 2003-09-03
DE69910958D1 (de) 2003-10-09
DE69910958T2 (de) 2004-07-15
KR20000047989A (ko) 2000-07-25
EP1008619A3 (en) 2000-08-16
CN1260270A (zh) 2000-07-19
CN1116162C (zh) 200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6087B1 (ko)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0561960B1 (ko)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EP0360201A2 (en) Laminated polyester film
EP0795399A1 (en) Laminated polyester film
US10967552B2 (en) Void-containing polyest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3912556B2 (ja) 微細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6473985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34172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WO2017170002A1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31720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KR20050088245A (ko)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06241471A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1341259A (ja) 空洞含有複合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感熱転写記録材料用基材フィルム
JP4806861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KR100243945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3326033B2 (ja) 印画紙用微細気泡含有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636346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12229367A (ja) 二軸配向フィルム
JP4131452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0169607A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6028523A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H09239883A (ja) 微細気泡含有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及び当該フイルムから成るカラープリンター用受像紙
JP2006152138A (ja) 工程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168690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4053391A1 (ja) 離型フィルム、樹脂組成物、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