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988B1 -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988B1
KR100571988B1 KR1020007007621A KR20007007621A KR100571988B1 KR 100571988 B1 KR100571988 B1 KR 100571988B1 KR 1020007007621 A KR1020007007621 A KR 1020007007621A KR 20007007621 A KR20007007621 A KR 20007007621A KR 100571988 B1 KR100571988 B1 KR 100571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ine
correction
distortion
distortion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4844A (ko
Inventor
타케우치케사토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4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16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 H04N5/7441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the modulator being an array of liquid crystal cells
    • H04N2005/745Control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스크린 위에 투사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에 주어져야 하는 뒤틀림 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평보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화상형성부의 각 라인마다, 뒤틀림 보정화상의 표시개시위치와 표시종료화소 사이에 위치한 표시화소영역을 결정하고, 표시화소영역 내의 각 화소와 원화상의 각 화소와의 제1의 대응관계를 결정한다. 또한, 뒤틀림 보정화상의 상하방향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직보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화상형성부에 있어서 뒤틀림 보정화상의 표시개시 라인과 표시종료 라인 사이에 끼워진 표시 라인영역을 결정하고, 표시 라인영역 내의 각 라인과 원화상의 각 라인과의 제2의 대응관계를 결정한다. 제1의 대응관계 또는 제1및 제2의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원화상으로부터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한다. 이것에 의해, 스크린 위에 화상을 아오리 투사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화상 뒤틀림을 용이하게 보정한다.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투사형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아오리(あおり)투사 시킨 경우에 발생하는 화상의 뒤틀림을 보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8은, 종래의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투사화상의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투사형표시장치(20)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액정라이트밸브(액정패널)등의 광변조수단에 의해서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변조하고, 액정라이트밸브로부터 사출된 변조광을 투사광학계를 거처서 스크린(30)위에 결상(結像)시켜 투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이러한 투사형표시장치는, 액정라이트밸브에 표시된 화상을 스크린(30)위에 확대표시한다.
도 18a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투사형표시장치(20)의 광축(20c)과 스크린(30)의 중심위치의 법선(30n)이 일치하도록 투사형표시장치(20)를 배치한 경우에는, 스크린(30)위에 투사된 화상(32)은, 액정라이트밸브에 주어진 화상신호에 따른 화상과 서로닮은 뒤틀림(歪)이 없는 화상(이하, 정화상이라고도 부른다)이 된다(도 18b). 그러나, 이러한 배치로 한 경우에는, 예컨대 사용자와 스크린과의 사이에 투사형표시장치가 존재하고 있을 때에는, 사용자가 투사화상을 관찰하는 경우에 투사 형표시장치가 방해가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예컨대, 도 18c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투사형표시장치(20)를, 도 18a에 나타내는 위치보다도 낮은 위치(높은 위치라도 좋다)에 배치하고, 투사형표시장치(20)의 광축(20c)과 스크린(30)의 법선(30n)으로 이루어진 각(이하,「아오리각」이라고 부른다.)(
Figure 112000014365205-pct00001
p)이 O도 이상이 되도록 기울여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정해진 아오리 각을 가지고 배치된 투사형표시장치에 의한 화상의 투사는, 일반적으로「아오리 투사」라고 불리고 있다. 그러나, 아오리 투사가 되도록 투사형표시장치를 배치한 경우에 스크린(30)위에 투사되는 화상(34)에는, 도 18d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화상(32)보다도 수직상방향에 확대되고, 또한 화상의 상단연측에서 수평방향에 확대된 사다리꼴형상이 되는 사다리꼴 뒤틀림(「키스톤 뒤틀림」,「아오리 뒤틀림」이라고도 불린다.)이 발생한다. 이하, 스크린 위에 표시된 사다리꼴형상의 화상을 뒤틀림 화상이라고도 부른다. 또, 투사형화상표시장치가 높은 위치에 배치된 경우는, 화상의 하단연측에서 수평방향에 확대된 사다리꼴 뒤틀림이 발생한다. 이 사다리꼴 뒤틀림은, 아오리 각(
Figure 112000014365205-pct00002
p)이 커질수록 커진다.
이러한 사다리꼴 뒤틀림은, 광학적으로 보정하거나, 화상을 전기적으로 처리하여 보정할 수가 있다. 도 19는, 화상을 전기적으로 처리하여 사다리꼴 뒤틀림을 보정하는 방식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a는, 아오리 투사의 경우에 스크린(30)위에 투사된 화상{(34)(뒤틀림 화상)}과, 아오리 투사가 아닌 경우에 스크린(30)위에 투사된 화상{(32)(정화상)}을 화상의 하단연측을 기준으로 나타내고 있다. 뒤틀림 화상(34)의 뒤틀림을 제거하여, 정화상(32)과 서로닮은 화상(34')(도 19b)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아오리 투사가 아닌 경우에 스크린(30)위에 투사되는 화상이 도 19b에 파선으로 나타낸 보정화상(32')이 되도록, 화상신호를 액정라이트밸브에 주도록 하면 좋다. 즉, 뒤틀림 화상(34)은 반대의 형상으로 뒤틀림시킨 화상부분(32'a)에 대응하는 화상신호를 액정라이트밸브에 주도록 하면 좋다. 또한, 이하에서는 이 화상부분(32'a)을「유효화상부분」이라고 부르고, 이외의 화상부분{(32'b)(사선으로 나타낸다)}을「무효화상부분」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액정라이트밸브는, 2차원으로 복수 배열된 화소를 가지고, 각 화소에는 투사시키고 싶은 화상을 나타내는 화소신호가 주어져, 입사되는 광을 변조한다. 따라서, 액정라이트밸브의 각 화소의 전부에 화소신호를 줄 필요가 있다. 거기서, 보정화상(32')중, 유효화상부분(32'a)에 대응하는 액정라이트밸브의 화소에는 표시시키고 싶은 화상에 대응한 화소신호를 주고, 무효화상부분(32'b)의 화소에는, 아무것도 표시하지 않은 영역으로 하기 위해서 검정을 나타내는 화소신호를 준다.
아오리 투사의 경우에, 이 보정화상(32')에 대응하는 화상신호가 액정라이트밸브에 주어지면, 스크린(30)위에 투사되는 화상은, 뒤틀림 화상(34)이 아니고, 화상(32)에 거의 서로닮은 뒤틀림이 없는 화상{(정화상)(34')}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정방식의 일례로서, 특개평8-9811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보정방식은, 아오리 각(
Figure 112000014365205-pct00003
p)에 의거하여, 아오리 투사에 있어서 스크린(30)위에 투사된 화상(34')내의 임의의 화소(FP')(도 19b)의 위치와, 보정화상(32')내의 대응하는 화소(FP)(도 19b)의 위치와의 관계로부터, 보정화상(32')의 유효화상부분(32'a)과 무효화상부분(32'b)을 구하는 방식이다. 또한, 투사된 화상(34')내의 임의의 화소 (FP')의 위치와, 보정화상(32')내의 대응하는 화소(FP)의 위치와의 관계는, 이하의 수학식 la, 수학식 lb로 나타낸다.
Figure 112000014365205-pct00004
Figure 112000014365205-pct00005
여기서, 파라미터(Yb)는, 투사된 화상(34')내의 하단연부터 화소 (FP')의 위치까지의 수직방향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파라미터(Xb)는, 투사된 화상(34')내의 좌단연부터 화소(FP')의 위치까지의 수평방향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파라미터(Vn)는, 보정화상(32') 내의 하단연부터 화소(FP)의 위치까지의 수직방향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파라미터(hn)는, 보정화상(32')내의 좌단연부터 화소(FP)의 위치까지의 수평방향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파라미터(Vm)는, 보정화상(32')의 하단과 상단과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피라미터(L)는, 투사형표시장치(20)내의 투사렌즈부터 스크린(30)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있다. 파라미터(
Figure 112000014365205-pct00006
p)는 수직방향의 아오리 각, 즉, 투사형표시장치(20)의 광축(20c)과 스크린(30)의 법선(30n)과의 수직방향이 이루는 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수학식 1a, 수학식 1b로부터, 수직방향의 아오리 투사에 있어서 스크린(30)위에 사다리꼴 뒤틀림이 없는 화상(34')을 투사시키는 경우에, 화상(34')의 각 화소의 화소신호를 액정라이트밸브의 어느 배열화소에 주면 좋은가를 결정할 수가 있다.
상기 종래 예는, 수평면내에 있어서 투사형표시장치(20)의 광축(20n)과 스크린(30)의 법선(30n)이 일치하고, 수직면내에 있어서 투사형표시장치(20)의 광축(20 n)과 스크린(30)의 법선(30n)이 일치하지 않고, 아오리 각(
Figure 112000014365205-pct00063
p)을 가지는 경우, 즉, 좌우 대칭한 사다리꼴 뒤틀림이 발생하는 경우의 보정방식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수평면내에 있어서 투사형표시장치(20)의 광축(20n)과 스크린(30)의 법선(30n)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즉 스크린(30)에 대하여 투사형표시장치(20)가 좌우로 기울어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발생하는 사다리꼴 뒤틀림은, 좌우 비대칭인 형상이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종래 예의 기술로서는 뒤틀림을 잘 보정할 수가 없다.
또, 상기 수학식 la, 수학식 lb은, 수직방향의 아오리 각(
Figure 112000014365205-pct00064
p)이외에, 투사형표시장치{(20)(투사렌즈)}와, 스크린(30)과의 거리(L)에도 의존하지만, 이 거리(L)는, 사용환경에 의해서 변화하는 파라미터이다. 상기 수학식 la, 수학식 1b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개개의 사용환경에서, 거리(L)를 구하여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수학식 la, 수학식 1b를 이용하여 사다리꼴 뒤틀림을 적절히 보정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 이고, 스크린 위에 화상을 아오리 투사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화상 뒤틀림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가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의 화상처리장치는, 화상형성부 위에 형성된 화상을 스크린 위에 투사하여 표시하는 투사형표시장치의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되는 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화상처리장치로서,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된 뒤틀림이 없는 원화상이 상기 스크린 위에 아오리 투사되는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의 뒤틀림을 보정하기 위해서, 상기 원화상의 형상을 보정한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 주는 화상보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보정부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평보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의 각 수평 라인마다,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표시개시위치와 표시종료위치 사이에 위치한 표시화소영역을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화소영역 내의 화소수와 상기 원화상의 1라인에 포함되는 화소수와의 관계로부터 상기 표시화소영역 내의 각 화소와 상기 원화상의 각 화소와의 제1의 대응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제1의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는 제1의 보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화상처리장치에 의하면,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평보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아오리 투사에 의한 수평방향의 화상 뒤틀림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가 있다. 또, 화상형성부는, CRT와 같은 화상표시수단 뿐만 아니라, 라이트밸브나 공간광변조기 등의 광변조 수단을 포함한다. 라이트밸브로서는, 예컨대, 액정패널을 들 수 있다. 또한 공간광 변조기로서는, 예컨대, 화소에 따라서 배치된 경면소자(鏡面素子)에 있어서 반사를 이용한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보정 파라미터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적어도 2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은, 각각 독립하여 설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뒤틀림 보정화상의 좌측의 보정량과 우측의 보정량을 독립하여 설정할 수가 있으면, 수평방향의 화상 뒤틀림이 좌우 비대칭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보정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제1의 보정부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상기 표시화소영역내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원화상에 의거한 보간(補間)필터처리를 행하는 화소 필터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불연속화소의 존재에 의한 화상의 열화(劣火)를 완화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화상보정부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상하방향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직보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서의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표시개시라인과 표시종료라인 사이에 위치한 표시라인영역을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라인영역내의 각 라인과 상기 원화상의 각 라인과의 제2의 대응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제2의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는 제2의 보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직보정 파라미터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에 의해, 상하방향에 발생하는 화상 뒤틀림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의 대응관계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 중의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의 높이와 상기 원화상의 높이에 의거하여 결정되고, 상기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작은 쪽의 저변에 가까울수록 상기 유효화상부분의 1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원화상의 라인수가 많고, 상기 대략사다리꼴형상의 큰 쪽의 저변에 가까울수록 상기 유효화상부분의 1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원화상의 라인수가 적어지는 관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하면, 간단히 제2의 대응관계를 결정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2의 대응관계는,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2에 의해 결정할 수가 있다.
Figure 112002039742179-pct00184
여기서, MLAD는 상기 원화상의 라인을 나타내고, RSY는 상기 원화상의 높이에 대한 상기 표시화상영역의 높이의 비를 나타내고, LAD는 상기 표시라인영역내의 라인을 나타내고, IMGY는 상기 원화상의 높이를 나타내고, KSSY는 상기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의 높이를 나타낸다. 또, 상기 제2의 보정부는, 상기 뒤틀림보정화상의 상기 표시라인영역내의 라인에 대하여, 상기 원화상에 의거한 보간 필터처리를 행하는 라인 필터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하면, 불연속 라인의 존재에 의한 화상의 열화를 완화할 수가 있 다. 본 발명의 제2의 화상처리장치는, 화상형성부 위에 형성된 화상을 스크린 위에 투사하여 표시하는 투사형표시장치의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되는 화상을 처리하기위한 화상처리장치로서,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된 뒤틀림이 없는 원화상이 상기 스크린 위에 아오리 투사되는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의 뒤틀림을 보정하기 위해서, 상기 원화상의 형상을 보정한 뒤틀림보정화상을 작성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 주는 화상보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보정부는, 상기 원화상을 축소하여 축소화상을 생성하는 축소부와, 상기 축소화상의 각 수평 라인을,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평보정 파라미터 및 각 수평 라인의 위치에 따른 1이상의 확대율로 각각 확대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을 보정함으로써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는 수평보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의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도,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평보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아오리 투사에의한 수평방향의 화상뒤틀림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그 위에, 축소화상을 1이상의 확대율로 확대하는 것으로부터 뒤틀림보정화상을 작성하기 때문에, 뒤틀림보정화상의 수평방향의 해상도(解像度)를 거의 일정히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소화상의 수평 폭은, 상기 뒤틀림보정화상 중의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의 최소의 수평폭과 같게 하면좋다. 또, 상기 수평보정 파라미터는, 상기 뒤틀림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 보정량을 나타내는 적어도 2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 보정량은, 각각 독립하여 설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뒤틀림보정화상의 좌측의 보정량과 우측의 보정량을 독립하여 설정할 수가 있으면, 수평방향의 화상뒤틀림이 좌우 비대칭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보정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수평보정부는, 상기 뒤틀림보정화상의 상기 표시화소영역 내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축소화상에 의거한 보간 필터처리를 행하는 화소 필터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불연속화소의 존재에 의한 화상의 열화를 완화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축소화상의 수직방향의 높이는, 상기 뒤틀림보정화상 중의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의 수직방향의 높이 이하이고, 상기 화상보정부는, 상기 뒤틀림보정화상의 상하방향의 뒤틀림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직보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서의 상기 뒤틀림보정화상의 표시개시라인과 표시종료라인 사이에 위치한 표시라인영역을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라인영역내의 각 라인과 상기축소화상의 각 라인과의 대응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상기축소화상을 확대하여 상기 뒤틀림보정화상을 작성하는 수직보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직보정 파라미터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에 의해, 상하방향에 발생하는 화상뒤틀림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가 있다. 그 위에, 표시라인영역내의 각 라인과 상기 축소화상의 각 라인과의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축소화상을 확대하는 것에 의해 뒤틀림보정화상을 작성하기 때문에, 뒤틀림보정화상의 수직방향의 해상도를 거의 일정히 할 수 있다.
상기 대응관계는, 상기 화상형성부에 뒤틀림이 없는 화상이 형성되었다고 하 였을 때에 상기 스크린 위에 아오리 투사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수직방향의 뒤틀림을 제거하도록, 상기 축소화상으로부터 상기 뒤틀림보정화상에의 수직방향의 확대율을 수직방향의 위치마다 조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뒤틀림보정화상 중의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이 작성되도록 결정하면 좋다.
특히, 상기 대응관계는, 상기 뒤틀림보정화상 중의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의 높이와 상기 축소화상의 높이에 의거하여 결정되고, 상기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작은 쪽의 저변에 가까울수록 상기 유효화상부분의 1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원화상의 실질적인 라인수가 많고, 상기 대략사다리꼴형상의 큰 쪽의 저변에 가까울수록 상기 유효화상부분의 1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원화상의 실질적인 라인수가 적어지는 관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하면, 간단히 대응관계를 결정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대응관계는,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3에 의해 결정할 수가 있다.
Figure 112000014365205-pct00008
여기서, MLAD는 상기 원화상의 라인을 나타내고, LAD는 상기 표시라인영역내의 라인을 나타내고, IMGY는 상기 원화상의 높이를 나타내고, KSSY는 상기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의 높이를 나타내고, MEMY는 상기 축소화상의 높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의 화상처리방법은, 화상형성부 위에 형성된 화상을 스크린 위에 투사하여 표시하는 투사형표시장치의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되는 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화상처리방법으로서,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된 뒤틀림이 없는 원화상이 상기 스크린 위에 아오리 투사되는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의 뒤틀림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원화상의 형상을 보정한 뒤틀림보정화상을 작성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 주는 화상보정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보정공정은, 상기 뒤틀림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평보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의 각 수평 라인마다, 상기 뒤틀림보정화상의 표시개시위치와 표시종료위치 사이에 위치한 표시화소영역을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화소영역 내의 화소수와 상기 원화상의 1라인에 포함되는 화소수와의 관계로부터 상기 표시화소영역 내의 각 화소와 상기 원화상의 각 화소와의 제1의 대응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제1의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상기 뒤틀림보정화상을 작성하는 제1의 보정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의 화상처리방법은, 화상형성부 위에 형성된 화상을 스크린 위에 투사하여 표시하는 투사형표시장치의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되는 화상을 처리하기위한 화상처리방법으로서,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된 뒤틀림이 없는 원화상이 상기 스크린 위에 아오리 투사되는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의 뒤틀림을 보정하기 위해서, 상기 원화상의 형상을 보정한 뒤틀림보정화상을 작성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 주는 화상보정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보정공정은, 상기 원화상을 축소하여 축소화상을 생성하는 축소공정과, 상기 축소화상의 각 수평 라인을, 상기 뒤틀림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평보정 파라미터 및 각 수평 라 인의 위치에 따른 1이상의 확대율로 각각 확대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을 보정함으로써 상기 뒤틀림보정화상을 작성하는 수평보정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제2의 화상처리방법에 의하면, 상기 화상처리장치와 같은 작용
Figure 112000014365205-pct00176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화상처리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비디오프로세서(122)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사다리꼴뒤틀림보정회로(152)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프레임메모리(120)에 기록입력된 원화상(MF)과, 액정패널(126)에 주어져야하는 화상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표시화상영역(IF)과, 사다리꼴뒤틀림보정회로(152)에 의해서 보정되어 실제로 액정패널(126)에 주어지는 뒤틀림보정화상(CF)의 예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사다리꼴뒤틀림의 보정량을 결정하는 파라미터인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065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066
2X)를 설정하는 설정방법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사다리꼴뒤틀림의 보정량을 결정하는 파라미터인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067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068
2X)를 설정하는 설정방법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뒤틀림보정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수평보정제어회로(190) 및 화소어드레스발생회로(202)의 동작에 관련하는 각종의 파라미터 중 수직방향의 각 라인마다 산출되는 파라미터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수평보정제어회로(190) 및 화소어드레스발생회로(202)의 동작에 관련하는 각종의 파라미터중 1라인 중의 각 화소마다 산출되는 파라미터에 관해서, 라인어드레스LAD= 70의 경우를 예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수평보정회로(172)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챠트이다.
도 11은, 수직보정제어회로(180) 및 라인어드레스발생회로(200)의 동작에 관련하는 각종 파라미터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수직보정회로(170)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뒤틀림보정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수평보정제어회로(190) 및 화소어드레스발생회로(202)의 동작에 관련하는 각종의 파라미터 중 수직방향의 각 라인마다 산출되는 파라미터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수평보정제어회로(190) 및 화소어드레스발생회로(202)의 동작에 관련하는 각종의 파라미터 중 1라인 중의 각 화소마다 산출되는 파라미터에 관해서, 라인어드레스 LAD= 549의 경우를 예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수직보정제어회로(180) 및 라인어드레스발생회로(200)의 동작에 관련하는 각종의 파라미터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a-1 내지 도 17a-3과 도 17b-1 내지 도 17b-3은, 뒤틀림보정화상(CF)과 투사된 표시화상과의 관계를 수직방향에 착안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종래의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투사화상의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화상을 전기적으로 처리하여 보정하는 방식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A.제1실시예:
A-1.화상처리장치의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의 화상처리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화상처리장치(100)는, 제1의 비디오셀렉터(110)와, AD변환기(112)와, 제2의 비디오셀렉터(114)와, 비디오데코더{(video decoder)(116)}와, 프레임 메모리{(frame memory)(120)}와, 비디오프로세서{(video processor)(122)}와, 액정패널구동회로(124)와, 액정패널(126)과, CPU(130)와, 리모콘 제어부{(remote control)(132)}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화상처리장치(100)는, 액정프로젝터(액정투사형표시장치)내에 설치되어 있고, 액정패널(126)에 형성되는 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액정패널(126)에 형성된 화상은, 도시하지 않은 광학계를 사용하여 투사스크린 위에 투사된다.
제1의 비디오셀렉터(110)에는, 퍼스널컴퓨터(personal computer)에서 출력된 복수의 화상신호(GCAV1, GCAV2)가 주어져 있고, 비디오프로세서(122)로부터 주어지는 선택신호(SEL1)에 따라서 그 중의 1개가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제1의 비디오셀렉터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에는, 빨강(R),초록(G),파랑(B)의 3색의 아나로그화상신호(ARl, AGl, AB1)와, 수평동기신호(HSYNC1) 및 수직동기신호(VSYNC1)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화상신호는, 컴포넌트(component)화상신호라고 불린다.
AD변환기(112)는, 제1의 비디오셀렉터(110)로부터 출력된 3개의 아나로그화상신호(AR1,AG1,AB1)를, AD변환기(112)내의 3개의 AD변환회로에 의해서 각각 디지털 화상신호(DR1,DG1,DB1)로 변환한다. 또한, 이들 디지털 화상신호(DRl, DGl, DB1 )를 통틀어 디지털 화상신호(DV1)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제2의 비디오셀렉터(114)에는, 비디오레코더나 텔레비전 등으로부터 출력된 복수의 비디오신호(TVAV1,TVAV2)가 주어져 있고, 비디오프로세서(122)로부터 주어지는 선택신호(SEL2)에 따라서 그 중의 1개가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이들 비디오신호는, 휘도(輝度)신호와 색신호와 동기신호가 중첩된 화상신호이며, 컴포지트 (composite)화상신호라고 불린다.
비디오데코더(116)는, 제2의 비디오셀렉터(110)로부터 주어진 컴포지트화상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HSYNC2) 및 수직동기신호(VSYNC2)를 분리함과 동시에, R , G, B의 3개의 디지털 화상신호(DR2, DG2, DB2)로 변환한다. 또한, 이들 디지털 화상신호(DR2, DG2, DB2)를 통틀어 디지털 화상신호(DV2)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비디오프로세서(122)는, 프레임메모리(120)에의 화상의 기록입력이나 판독출력을 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고, 화상의 확대
Figure 112002039742179-pct00177
축소, 키스톤 뒤틀림(사다리꼴 뒤틀림)보정, 화면표시조정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비디오프로세서(122)의 내부구성과 기능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비디오프로세서(122)에는, AD변환기 (112)로부터 주어지는 디지털 화상신호(DV1), 비디오데코더(116)로부터 주어지는 디지털 화상신호(DV2) 외에, CPU130로부터 버스를 거쳐 디지털 화상신호(DV3)도 공급 가능하다.
프레임메모리(120)로부터 판독출력되어 비디오프로세서(122)로 처리된 디지털 화상신호(DV4)는, 액정패널구동회로(124)에 공급된다. 액정패널(126)에는, 이 디지털화상신호(DV4)에 따라서 화상이 형성된다. 또, 액정패널구동회로(124)는, 화상형성을 위한 수직동기신호 (VSYNC3)와 수평동기신호 (HSYNC3)를 생성하여 다른 회로에 출력하고 있다. 또, 수직동기신호 (VSYNC3)및 수평동기신호 (HSYNC3)를 생성하는 회로는, 액정패널구동회로(124)가 아니고 다른 회로에서 생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비디오프로세서(122)에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액정패널(126)이 본 발명의 화상형성부에 상당한다.
프레임메모리(120)로부터의 화상신호의 판독출력과, 판독출력된 화상신호의 처리는, 액정패널구동회로(124)로부터 출력된 동기신호(VSYNC3,HSYNC3)에 동기하여 행하게된다. 한편, 전술한 AD변환기(112)에 있어서 샘플링이나, 프레임메모리(120)에 화상신호를 기록입력하기 위한 처리는, 제1의 비디오셀렉터로부터 출력된 동기신호 (VSYNC1, HSYNC1)나 비디오데코더(116)로부터 출력된 동기신호(VSYNC2, HSYNC2)에 동기하여 행하게된다. 이들의 제1의 동기신호 (VSYNC1, HSYNC1)와, 제2 의 동기신호(VSYNC2, HSYNC2), 제3의 동기신호(VSYNC3, HSYNC3)는 서로 비동기(非同期)이다.
물론, 제1의 동기신호(VSYNC1, HSYNC1)와 제3의 동기신호(VSYNC3, HSYNC3)로서, 서로 동기하는 신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2의 동기신호(VSYNC2, H SYNC2)와 제3의 동기신호 (VSYNC3, HSYNC3)로서, 서로 동기하는 신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리모콘 제어부(132)는, 리모콘(134)로부터 지령에 의거하여, 투사형표시장치의 각부의 기능을 제어한다. 예컨대, 후술하는 화면조정이나,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 등을 위한 각종 파라미터의 설정을 리모콘(29)으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행하고, 각부의 기능을 제어한다.
A-2. 비디오프로세서(122)의 내부구성:
도 2는, 비디오프로세서(122)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비디오프로세서(122)는, 데이터셀렉터(142)와, 축소/필터회로(144)와, 기록입력/판독출력 제어회로(146)와, 조정화면표시회로(148)와, 비디오셀렉터(150)와,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152)와, 확대/필터회로(154)와, 화상조정회로(156)와, 제어조건 레지스터(register)(158)와, 제1의 기록입력클럭 생성회로(160)와, 제2의 기록입력클럭 생성회로(162)와, 판독출력클럭 생성회로(164)를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셀렉터회로(142)는, AD변환기(112)로부터 주어진 디지털 화상신호 (DV1)와, 비디오데코더(116)로부터 주어진 디지털화상신호(DV2)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또한, 데이터셀렉터(142)에 주어지는 선택신호는, CPU(130)로부 터 공급된다.
축소/필터회로(144)는, 프레임메모리(120)(도 1)에 기록입력되는 화상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축소함과 동시에, 축소 때에 결락(缺落)하는 라인이나 결락하는 화소에 관한 필터링처리를 행한다. 예컨대, 공급되는 디지털 화상신호(화상 데이터)(DV1, DV2)의 화상이 액정패널(126)(도 1)의 화상형성 가능영역보다도 큰 경우나, 액정패널(126)의 화상형성 가능영역내의 정해진 부분영역에 화상을 형성시키고 싶은 경우 등에, 축소/필터회로(144)에 입력되는 화상데이터의 축소처리가 실행된다.
기록입력/판독출력 제어회로(146)는, 화상신호를 프레임메모리(120)에 기록입력할 때나 프레임메모리(120)로부터 판독출력할 때의 메모리의 어드레스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프레임메모리(120)로부터 판독출력된 디지털 화상신호는, 제3의 비디오셀렉터(150)에 입력된다. 제3의 비디오셀렉터(150)에는, 조정화면표시회로(148)로부터 출력된 또 하나의 디지털 화상신호도 공급되어 있다. 조정화면표시회로(148)는, 액정패널(126)(도 1)에 형성되는 화상의 표시상태{휘도, 콘트라스트(contrast), 동기, 트랙킹(tracking), 색의 농도, 색조}등을 사용자가 조정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나타내는 디지털 화상신호를 생성하고 있다. 제3의 비디오셀렉터(150)는, 조정화면표시회로(148)로부터 공급되는 선택신호에 따라서, 입력된 2개의 디지털 화상신호를 바꾸면서 출력한다. 이 결과, 프레임메모리(120)로부터 판독출력된 디지털 화상신호가 나타내는 화상 내에, 메뉴화면이 중첩된 합성화상을 나타내는 디지털 화상신호가 제3의 비디오셀렉터(150)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메뉴화면의 사이즈는, 프레임메모리(120)로부터 판독출력된 디지털 화상신호가 나타내는 화상의 사이즈에 따라서 조정되어 출력된다.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152)는, 아오리 투사에 있어서 발생하는 사다리꼴 뒤틀림을 보정하도록, 비디오셀렉터(15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화상신호(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에, 아오리 투사에서 발생하는 사다리꼴 뒤틀림과는 역(逆)의 형상의 뒤틀림을 준다. 또한,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152)의 내부구성과 동작에 관해서는 더 후술한다.
확대/필터회로(154)는,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152)로부터 출력된 화상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을, 액정디스플레이패널의 표시해상도에 대응하는 화상이 되도록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확대함과 동시에, 확대 시에 추가되는 라인이나 추가되는 화소에 관한 필터링처리를 행한다. 예컨대, 제3의 비디오셀렉터(150)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이 액정패널(126)(도 1)의 화상형성 가능영역보다도 작은 경우에, 확대/필터회로(154)에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확대처리가 실행된다.
화상조정회로(156)는, 조정화면표시회로(148)에 의해서 표시된 메뉴화면에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한 표시상태로 되도록, 확대/필터회로(154)로부터 공급된 화상신호를 조정한다.
제어조건 레지스터(158)는, 화상신호를 프레임메모리(120)에 기록입력할 때나 프레임메모리(120)로부터 판독출력할 때의 여러가지 조건을 기억하는 레지스터 이다. 이들의 조건은, 버스를 거처서 CPU130에 의해서 설정된다. 도 2에 있어서, 「*」가 부착되어 있는 블록은, 제어조건 레지스터(158)에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각각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제어조건 레지스터에 등록되는 조건으로서는, 데이터셀렉터(142)나 제1,제2의 비디오셀렉터(110, 114)(도 1)에 있어서의 선택, 축소/필터회로(144)에 있어서의 축소 파라미터(예컨대 축소율), 확대/필터회로(154)에 있어서의 확대 파라미터(예컨대, 확대율),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152)에 있어서 뒤틀림보정 파라미터(예컨대, 아오리 각), 프레임메모리(120)의 기록입력/판독출력 개시위치, 화상조정회로(156)에 있어서의 조정 파라미터 등이 있다.
제1의 기록입력클럭 생성회로(160)는, 비디오셀렉터(110)(도 1)로부터 공급되는 수평동기신호(HSYNC1)에 따라서 도트클럭신호(DCLK1)를 생성한다. 또, 제2의 기록입력클럭 생성회로(162)는, 비디오데코더(116)로부터 공급되는 수평동기신호(HSYNC2)에 따라서 도트클럭신호(DCLK2)를 생성한다. 제1, 제2의 기록입력클럭 생성회로(160, 162)나 판독출력클럭 생성회로(164)는, 도시하지 않은 PLL회로를 가지고 있다. 이들의 PLL회로에서의 분주비(分周比)는, 제어조건 레지스터(158)로부터 주어진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기록입력/판독출력 제어회로(146)에 있어서의 기록입력처리는, 프레임메모리(120)에 기록입력되는 화상신호에 따라서, 도트클럭신호(DCLK1)와, 동기신호(VSYNC1, HSYNC1)에 동기하여, 혹은, 도트클럭신호(DCLK2)와, 동기신호(VSYNC2, HSYNC2)와 동기하여 실행된다.
판독출력클럭 생성회로(164)는, 액정패널구동회로(124)(도 1)부터 공급되는 수평동기신호(HSYNC3)에 따라서 도트클럭신호(DCLK3)를 생성한다. 판독출력클럭 생 성회로(164)도, 도시하지 않은 PLL회로를 가지고 있다. 이 PLL회로에서의 분주비도, 제어조건 레지스터(158)로부터 주어진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기록입력/판독출력 제어회로 (146)에 있어서 판독출력처리는, 도트클럭신호(DCLK3)와, 동기신호(VSYNC3, HSYNC3)에 동기하여 실행된다.
도 3은,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152)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152)는, 수직보정회로(170)와, 수평보정회로(17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라인 어드레스발생회로(200)와 화소 어드레스발생회로(202)는, 도 2에 도시한 기록입력/판독출력 제어회로(146)에 포함되는 회로이다.
수직보정회로(170)는, 수직보정제어회로(180)와, 라인버퍼(182)와, 가산기(184)와, 곱셈기(186)와, 셀렉터(188)를 가지고 있다. 수평보정회로(172)도, 수직보정회로(170)와 거의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고, 수평보정제어회로(190)와, 화소버퍼(192)와, 가산기(194)와, 곱셈기(196)와, 셀렉터(198)를 가지고 있다. 단지, 수직보정회로(170)의 라인버퍼(182)는 1라인 분의 화상신호를 격납하는 용량을 가지고 있는 데 대하여, 수평보정회로(172)의 화소버퍼(192)는 1화소분의 화상신호를 격납하는 용량을 가지고 있다. 라인버퍼(182)는, 입력된 화소신호가 1라인 분만 늦게 출력되도록 지연시키는 회로이다.
A-3. 뒤틀림 보정화상의 개요 및 보정 파라미터의 설정:
도 4는, 프레임메모리(120)에 기록입력된 원화상(MF)과, 액정패널(126)(도 1)에 주어져야 하는 화상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표시화상영역(IF)과, 사다리꼴 뒤틀 림 보정회로 (152)에 의해서 보정되어 실제로 액정패널(126)에 주어진 뒤틀림 보정화상(CF)의 예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원화상(MF)은, 수직 라인 수(ORGY)가 500, 수평화소수(ORGX)가 700의 해상도를 가지는 화상이고, 프레임메모리(120)에는, 도 4a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같은 해상도를 가지는 화상으로서 기록입력된다. 즉, 프레임메모리(120)에 기록입력된 원화상(MF)은, 수직 라인 수(MEMY)가 500, 수평화소수(MEMX)가 700의 해상도를 가지는 화상이다. 도 4b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표시화상영역(IF)도, 원화상(MF)과 같이, 수직 라인 수(IMGY)가 500, 수평화소수(IMGX)가 700의 해상도를 가지는 화상영역이다. 따라서, 도 4는, 원화상(MF)과 표시화상영역(IF)내의 화상과의 사이의 확대/축소율이 등배(等倍), 즉, 수직확대/축소율(RSY)이 1, 수평확대/축소율(RSX)도 1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뒤틀림 보정화상(CF)은, 표시화상영역(IF)내에 형성된 직사각형형상의 화상이고, 원화상(MF)에 상당하는 사다리꼴화상부(CFa)와, 스크린 위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완화상부(CFb)를 가지고 있다. 보완화상부(CFb)내의 각 화소의 화상 데이터는, 검정레벨로 설정되어 있다. 보완화상부(CFb)는 스크린 위에서는 관찰할 수 없으므로, 사다리꼴화상부(CFa)를 협의의 뒤틀림 보정화상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사다리꼴화상부(CFa)의 상단연은, 표시화상영역(IF)의 상단연 보다도 KSY (= IMGY-KSSY)라인 분 아래에 존재한다. 이 값(KSY)은, 수직보정율{KRSY (= KSSY/IMG Y)}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 KSSY는 사다리꼴화상부(CFa)의 수직 라인수, IMGY는 표시화상영역(IF)의 수직 라인 수이다. 사다리꼴화상부(CFa)의 좌단연은, 표시화상영역(IF)의 좌단연에 대하여 좌하점을 기준으로 기울기(
Figure 112002039742179-pct00069
1X)만큼 내측에 기울어져 있고, 또, 우단연은, 표시화상영역(IF)의 우단연에 대하여 우하점을 기준으로 기울기(
Figure 112002039742179-pct00070
2X)만큼 내측에 기울어져 있다. 도 4b의 XST는, 사다리꼴화상부 (CFa)의 상단 라인을 포함하는 뒤틀림 보정화상(CF)의 라인에 있어서 사다리꼴화상부 (CFa)의 좌측의 보완화상부(CFb)의 화소수(이하, 좌상단 보완화소수라고 한다)를 나타내고 있다. XED는, 사다리꼴화상부(CFa)의 상단 라인을 포함하는 뒤틀림 보정화상(CF)의 라인에 있어서 사다리꼴화상부(CFa)의 우측의 보완화상부(CFb)의 화소수(이하, 우상단 보완화소수라고 한다)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연산에 있어서는, 기울기(
Figure 112002039742179-pct00071
1X,
Figure 112002039742179-pct00072
2X)로서는, 화상이 수직방향으로 보정되었을 때의 값{XST/(KSSY-1), XED/(KSSY-1)}은 아니고, 화상이 수직방향으로 보정되어 있지 않을 때의 값 {XST/(IMGY-1),XED/(IMGY-1)}이 사용된다. 본 예의 뒤틀림 보정화상(CF)은, 수직보정율 KRSY=O.86, 기울기
Figure 112002039742179-pct00073
1X≒0.08,기울기
Figure 112002039742179-pct00074
2X≒0.12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수직방향의 보정 파라미터인 수직보정율(KRSY)과, 수평방향의 보정 파라미터인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075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076
2X)는, 완전히 독립하여 설정할 수가 있다. 수직보정율(KRSY)이나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077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078
2X)는, 사용자에 의해서 임의로 설정되고 제어조건 레지스터(158)에 격납되어 있다. 이 수직보정율(KRSY)이나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079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080
2X)는, 예컨대, 리모콘(134)(도 1)에 구비된 설정보턴에 의해서 설정할 수가 있다.
수직보정율 (KRSY)은, 예컨대 O에서 1까지의 사이의 임의의 값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설정된 수직보정율(KRSY)과 표시화상영역(IF)(도 4)의 수직방향의 라인 수(IMGY)에 의거하여, 사다리꼴화상부(CFa)의 수직방향의 라인 수{KSSY(= KRSY
Figure 112002039742179-pct00178
IMGY)}및 보완화상부(CFb)의 수직방향의 라인 수{KSY(=IMGY-KSSY)}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수직보정율(KRSY) 대신에 사다리꼴화상부(CFa)의 라인 수(KSSY)나 보완화상부(CFb)의 라인 수(KSY)를 파라미터로서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수평방향의 보정량, 즉, 사다리꼴 뒤틀림의 보정량을 결정하는 파라미터인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081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082
2X)도, 사용자가 각각 독립으로 임의의 값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혹은,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083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084
2X)의 값을 직접 설정하는 대신에, 이하에 설명하는바와 같이, 다른 2개 이상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085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086
2X)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은, 사다리꼴 뒤틀림의 보정량을 결정하는 파라미터인 기울기 (
Figure 112002039742179-pct00087
1X,
Figure 112002039742179-pct00088
2X)를 설정하는 설정방법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a는, 액정패널(126)의 표시화면에 상당하는 표시화상영역(IF)과, 표시화상영역(IF)의 좌단연에 대한 기울기(
Figure 112002039742179-pct00089
1X)와 우단연에 대한 기울기(
Figure 112002039742179-pct00090
2X)에 의하여 결정되는 사다리꼴화상부 (CFa')가, 이들의 하단이 표시화상영역(IF)의 하단과 일치하도록 X Y 좌표계의 제1상한(象限;quadrant)에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기울기(
Figure 112002039742179-pct00091
1X,
Figure 112002039742179-pct00092
2X)의 설정은, 도 5의 예에서는, 사다리꼴화상부(CFa)(도 4)의 수직방향의 라인 수(KSSY)(도 4b)가 표시화상영역(IF)의 수직방향의 라인 수(IMGY)와 같다고 가정하고 있다.
X Y 좌표상의 임의의 점{KP(KPX1, KPYl)}을 사용자가 설정하였을 때에, 이 점(KP)과 표시화상영역(IF)의 좌하점(P0) 및 우하점(P1)을 잇는 선분(KP-PO) 및 선분(KP-P1)을 형성할 수 있다. 거기서, 이들 선분(KP-PO, KP-P1)이, 사다리꼴화상부 (CFa')의 좌단연 및 우단연상에 겹치도록 사다리꼴화상부(CFa')의 기울기(
Figure 112002039742179-pct00093
1X,
Figure 112002039742179-pct00094
2X)가 결정된다. 이 때, 기울기(
Figure 112002039742179-pct00095
1X) 및 기울기(
Figure 112002039742179-pct00096
2X)는, 아래의 수학식 4a, 수학식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KP)의 좌표와, 표시화상영역(IF)의 사이즈{수직방향의 라인 수(IMGY), 수평방향의 화소 수(IMGX)}에 의하여 결정된다.
Figure 112000014365205-pct00009
Figure 112002039742179-pct00185
이와 같이, X Y 좌표의 제1 상한 위의 점(KP)의 좌표(KPX1, KPY1)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사다리꼴화상부(CFa')에 대응한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097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098
2X)를 설정할 수가 있다.
상술한바와 같이, 수직방향의 보정 파라미터(KRSY)는 수평방향의 보정 파라미터(
Figure 112000014365205-pct00099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100
2X)와는 완전히 독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b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수직보정율(KRSY=1)로서 설정된 사다리꼴화상부(CFa')(파선으로 도시된 사다리꼴화상)의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01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102
2X)는, 수직방향으로 보정된 사다리꼴화상부 (CFa)(실선으로 도시된 사다리꼴화상)의 실제의 기울기와는 다르다. 단지, 후술하는 보정연산으로서는, 수직보정율(KRSY)의 값에 관계없이, 파선으로 도시된 사다리꼴화상부(CFa')의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03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104
2X)의 값을 수직보정율(KRSY)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실선으로 나타내는 사다리꼴화상부(CFa)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5a와는 반대로, 사다리꼴화상부(CFa)의 하단연측의 폭이 축소되는 형상에 보정하고 싶은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표시화상영역(IF)과, 사다리꼴화상부(CFa')의 상단이 겹치도록, 또한, 그들의 좌상점이 원점이 되도록, X Y좌표계의 제4상한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하면 좋다. 이 경우에도, 점(KP)의 Y좌표의 값이 부(負)가 될 뿐이고, 도 5a에 나타내는 경우와 완전히 같이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05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106
2X)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기울기(
Figure 112005026138290-pct00107
1X,
Figure 112005026138290-pct00108
2X)의 대신에, 도 4b에 나타내는 좌상단 보완화소수(XST) 및 우상단 보완화소수(XED)를 파라미터로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단지, 이 경우에는, 파라미터(XST, XED)를, 표시화상영역(IF)의 수평화소수(IMGX)에 대한 비율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하면, 화상처리장치에 복수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이 입력되어도, 같은 아오리 각으로 투사표시되는 경우에는, 공통의 보정 파라미터 값으로 화상의 보정을 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원화상(MF)을, 도 4b에 나타내는 뒤틀림 보정화상(CF)으로 보정하는 경우의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152)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에 의해, 뒤틀림 보정화상의 생성내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A-4. 뒤틀림 보정화상 생성의 개요 및 사다리꼴 뒤틀림보정회로(152)의 동작:
도 7은, 뒤틀림 보정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뒤틀림 보정처리에서는 우선, 도 7a에 나타내는 원화상(MF)이 각 수평 라인마다 기울기(
Figure 112005026138290-pct00109
1X,
Figure 112005026138290-pct00110
2X)에 따른 수평보정율(FRSX)로 축소된다 (도 7b). 그리고, 수평방향으로 축소된 화상을 수직보정율(KRSY)로 축소함으로써 도 7c에 나타내는 뒤틀림 보정화상(CF)의 사다리꼴화상부(CFa)가 구해진다. 또한, 수직방향의 축소는, 윗 방향의 아오리 투사에 의해서 표시화상의 하부측에 비하여 상부측이 크게 확대되는 것으로 보정하도록, 원화상(MF)의 하부측을 기준으로 상부측을 크게 축소하도록 행해진다.
우선, 도 3에 나타내는 수평보정회로(172)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수평보정제어회로(190)에는, 라인 어드레스(LAD)와, 화소 어드레스(PAD)와, 제1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DSPV)가 입력된다. 라인 어드레스(LAD) 및 화소 어드레스(PAD)는, 표시화상영역(IF)의 라인 어드레스 및 화소 어드레스, 즉, 기록입력/판독출력 제어회로(146)(도 2)로부터 출력된 액정패널(126)의 수직방향의 라인 어드레스 및 수평방향의 화소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있다. 제1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DSPV)는, 후술하는 수직보정회로(170)의 수직보정제어회로(18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이다. 수평보정제어회로(190)에는, 제어 조건 레지스터(158)(도 2)에 격납되어 있는 사다리꼴화상부(CFa)의 좌우양단연의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11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112
2X)(도 4)가 주어진다. 수평보정제어회로(190)는, 이 라인 어드레스(LAD) 및 화소 어드레스(PAD)와, 제1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DSPV)와,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13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114
2X)에 따라서, 후술하는 연산을 행하여 제1,제2의 화소 셀렉트신호(DSPH, SELH)와, 제1, 제2의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 (PADC1, PADC2)를 생성한다. 제1,제2의 화소 셀렉트신호(DSPH, SELH)는, 셀렉터(198)에 공급된다. 제1,제2의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PADC1, PADC2)는, 화소 어드레스발생회로(202)에 공급된다.
화소 어드레스발생회로(202)는, 공급된 제1,제2의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 (PADC1, PADC2)에 의거하여 프레임메모리(120)(도 2)에 기록입력되어 있는 원화상(MF)을 판독출력하기 위한 판독출력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프레임메모리(120)에 공급한다.
프레임메모리(120)로부터 판독출력된 1화소분의 화상신호(VPa)는 화소버퍼 (192)에 격납된다. 화소버퍼(192)에 격납된 화상신호는, 다음 화소의 화상신호가 프레임메모리(120)로부터 공급될 때에 화소버퍼(192)로부터 판독출력된다. 따라서, 화소버퍼(192)로부터 판독출력되는 화상신호(VPb)는, 프레임메모리(120)로부터 주어지고 있는 화상신호(VPa)보다도 1화소 앞의 화상신호이다. 가산기(194)는, 프레임메모리(120)로부터 공급된 화상신호 (VPa)와, 화소버퍼(192)로부터 판독출력된 화상신호(VPb)를 가산하고, 가산된 화상신호에는, 곱셈기(196)에서 1/2이 곱해진다. 곱셈기(196)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VPab)는, 프레임 메모리(120)로부터 주어진 화상신호(VPa)와, 그 1화소 앞의 화상신호(VPb)를 평균한 것이다. 이 평균화된 화상신호(VPab)는, 셀렉터(198)의 A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셀렉터(198)의 B입력단자에는, 프레임메모리(120)로부터 주어진 화상신호(VPa)가 그대로 입력되어 있다. 또, 셀렉터(198)의 C입력단자에는, 검정레벨신호(VBLK)가 입력되어 있다. 셀렉터(198)는, 제1,제2의 화소 셀렉트신호(DSPH, SELH)의 레벨에 따라서, 입력된 3개의 화상신호(VPab, VPa, VBLK)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도 8은, 수평보정제어회로(190) 및 화소 어드레스발생회로(202)의 동작에 관련하는 각종의 파라미터 중 수직방향의 각 라인마다 산출되는 파라미터에 대해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여기서, LAD는 액정패널(126){표시화상영역(IF)}의 수직방향의 라인 어드레스이다. DSPV는, 표시화상영역(IF)의 각 라인마다 프레임메모리(120)로부터 화상데이터를 판독출력하거나 화상을 판독출력하지 않고 검정레벨의 화상으로 할 지를 제어하기 위한 제1의 라인 셀렉트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MLAD*는 후술하는 원화상(MF)의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와 같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STA는 표시화상영역(IF)의 각 라인에서 원화상(MF)의 화상데이터의 표시를 개시하는 화소 어드레스를, EDA는 원화상(MF)의 화상데이터의 표시를 종료하는 화소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있다. FRSX는, 액정패널(126)의 수평방향의 전 화소수{표시화상영역(IF)의 전 화소수}와, 원화상(MF)의 수평방향의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의 화소수와의 비를 나타내고 있다.
수평보정제어회로(190)(도 3)는, 제1의 라인 셀렉트신호(DSPV) 및 라인 어드레스(LAD)에 의거하여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와 같은 어드레스 값(MLAD*)을 구한다. 이 기능은 후술하는 라인 어드레스발생회로(200)가 가지는 기능과 마찬가지다. 따라서, 제1의 라인 셀렉트신호(DSPV)를 수평보정제어회로(190)에 입력하는 것이 아니고, 라인 어드레스발생회로(200)로부터 출력된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를 입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1의 라인 셀렉트신호(DSPV) 및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수평보정제어회로(190)는,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15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116
2X)와, 표시화상영역(IF)의 수직방향의 라인 수 {(IMGY)(액정패널(126)의 수직방향의 라인 수)}와,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에 의거하여, 개시화소 어드레스(STA) 및 종료화소 어드레스(EDA)를 하식의 수학식 5a, 수학식 5b에 의해서 산출한다.
Figure 112000014365205-pct00011
Figure 112002039742179-pct00186
수평보정제어회로(190)는, 그 위에, 개시화소 어드레스(STA)와, 종료화소 어드레스(EDA)와, 표시화상영역(IF)의 수평화소수(IMGX)에 의거하여, 표시화상영역 (IF)에 대하는 사다리꼴화상부(CFa)의 수평보정율(KRSX)을 하식의 수학식 6에 의해서 계산한다.
Figure 112000014365205-pct00013
그리고, 프레임메모리(120)에 기억되어 있는 원화상(MF)의 수평화소수(MEMX)와, 표시화상영역(IF)의 수평화소수(IMGX)와의 비율(축소율 RSX= IMGX/MEMX)과 상기 수학식 6으로 주어지는 수평보정율(KRSX)에 의거하여, 원화상(MF)에서 뒤틀림 보정화상도 5b를 얻기 위한 수평보정율(FRSX)이 하식의 수학식 7에 따라서 계산된다.
Figure 112000014365205-pct00014
상기 계산은, 표시화상영역(IF)의 각 라인마다 실행되어, 개시화소 어드레스(STA)와, 종료화소 어드레스(EDA)와, 수평보정율(FRSX)이 계산된다. 도 8은, 도 4에 나타내는 원화상(MF)(MEMX= 700화소, MEMY= 500 라인)과, 표시화상영역(IF)(lMGX= 700화소, IMGY= 500 라인)과,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17
1X≒ 0.08)와,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18
2X≒ 0.12)에 의거하여 계산된 각 라인마다의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있다.
수직보정제어회로(180)로부터 수평보정제어회로(190)에 주어지는 제1의 라인 셀렉트신호(DSPV)는, 도 7c 상단의 KSY라인 분(分) 동안은 L레벨로 유지된다. 이 동안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라인에는 화상이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화상신호를 프레임메모리(120)로부터 판독출력할 필요는 없다. 거기서, 수평보정제어회로(190)는 제1의 라인 셀렉트신호(DSPV)가 L레벨 동안은 제1의 화소 셀렉트신호 (DSPH)를 L레벨로 하고, 셀렉터(198)에서는 C입력단자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신호, 즉 검정레벨신호(VBLK)가 선택되어 출력화상신호(RV2)로서 출력된다. 또한, 제1의 라인 셀렉트신호(DSPV)가 L레벨 동안은 도 7에 나타내는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 (MLAD)는 0에서 변화하지 않고, 수학식 5 내지 수학식 7에 의거하여 계산되는 각 파라미터의 값도 변화하지 않는다. 제1의 라인 셀렉트신호(DSPV)가 H레벨로 변화된 후에는 라인 어드레스(LAD)의 변화와 함께,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도 변화하고, 이에 따라서 각 파라미터의 값이 계산된다.
상기한바와 같이,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19
1X)에 의거하여 개시화소 어드레스(STA)를, 또한,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20
2X)에 의거하여 종료화소 어드레스(EDA)를, 각각 독립하여 구할 수 있고, 원화상(MF)(도 4)의 1라인 분의 화상을 표시화상영역(IF)(도 4)의 대응하는 라인 중의 어느 만큼의 화소에 표시하는가를 결정하기 위한 수평보정율(FRSX)을 구할 수 있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라인 어드레스(LAD)마다의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와, 개시화소 어드레스(STA)와, 종료화소 어드레스(EDA)와, 수평보정율 (FRSX)은, 설정된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21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122
2X) 및 수직보정율(수직축소율)(KRSY)에 의거하여, 미리CPU(130)에 의해서 산출되어 제어조건 레지스터(158)에 기억되고, 수직보정제어회로(180)나 수평보정제어회로(190)에 공급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9는, 수평보정제어회로(190) 및 화소 어드레스발생회로(202)의 동작에 관련하는 각종의 파라미터 중 1라인 중의 각 화소마다 산출되는 파라미터에 관해서, 라인 어드레스(LAD=70)(도 8참조)의 경우를 예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여기서, FRSX는, 도 7b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액정패널(126)의 수평방향의 전화소수(표시화상영역 IF의 수평방향의 전 화소수)와, 그 중에서 실제로 원화상(MF)이 표시되는 화소수와의 비를 나타내고 있다. PAD는 액정패널(126)의 수평방향의 화소 어드레스(표시화상영역 IF의 수평방향의 화소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BPAD는 각 라 인상에 있어서 사다리꼴화상부(CFa)(도 4b)의 좌단 위치로부터 오른쪽으로 향하여 하나씩 순차 증가하는 기준화소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RSPAD는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를 수평보정율(FRSX)로 나눈 결과를 나타내고, MPAD는 원화상(MF)의 판독출력화소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있다. 또, PADC1 및 PADC2는 화소 어드레스발생회로(202)에 공급되는 제1, 제2의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를 나타내고, DSPH, SELH는 셀렉터(198)에 공급되는 제1, 제2의 화소 셀렉트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RV1는 프레임메모리(120)로부터 판독출력되는 화상데이터가 원화상(MF)의 어느 화소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RV2는 셀렉터(198)로부터 출력되는 화상데이터가 원화상(MF)의 어느 화소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도 7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화상부(CFa)는 각 라인마다 다른 화소수를 가지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는, 사다리꼴화상1 라인 중의 각 화소의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의 값은, 사다리꼴화상부(CFa)의 좌단위치(예컨대 LAD=70에 있어서의 PAD= 40의 위치)의 화소에서는 0이고, 사다리꼴화상부(CFa)의 우단위치(예컨대 LAD=70에 있어서의 PAD=639의 위치)의 화소에서는 599이다. 한편, 프레임메모리(120)에 주어지는 판독출력화소 어드레스(MPAD)의 값은, 사다리꼴화상부(CFa)의 좌단위치(LAD=70에서는, PAD=40)의 화소에서는 0이고, 사다리꼴화상부(CFa)의 우단위치(LAD=70에서는, PAD= 639)의 화소에서는 698이다. 따라서, 액정디스플레이패널의 화소 어드레스(PAD)와 판독출력화소 어드레스(MPAD)는, 프레임메모리(120)에 기억되어 있는 원화상(MF)의 각 라인 중의 각 화소와, 사 다리꼴화상부(CFa)의 각 라인 중의 각 화소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개시화소 어드레스(STA)(도 8)이상의 화소 어드레스(PAD)가 수평보정제어회로(190)에 입력되면,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PADC1)가 L레벨에서 H레벨로 변화하고, 이후, 화소 어드레스(PAD)가 1개 증가할 때마다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도 O에서 순차로 하나씩 증가한다. 그리고, 종료화소 어드레스(EDA)보다도 큰 화소 어드레스(PAD)가 수평보정제어회로(190)에 입력되면, 제1의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 (PADC1)가 L레벨에서 H레벨로 변화하고, 이후, 화소 어드레스(PAD)가 증가하여도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는 변화하지 않는다. 도 9의 예에서는, 화소 어드레스(PAD)=40보다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의 증가가 개시되어 화소 어드레스{(PAD)= 639}에서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의 갱신이 정지한다(BPAD= 599). 또한, RSPAD는,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를 수평보정율(FRSX)로 나눈 결과를 정수화한 값이고, 도 9의 예에서는, RSPAD가 구하여진다. 0, 1, 2, 3, 4, 5, 7, 8, 9,
Figure 112000014365205-pct00170
같이 변화한다.
제2의 화소 어드레스 제어신호(PADC2)는, 나눗셈결과(RSPAD)가 그 전의 나눗셈결과에서 +2 증가한 값이 되었을 때에 H레벨이 되고, 그 이외의 때에는 L레벨이 된다. 즉, 수평보정제어회로(190)는, 기준화소 어드레스가 갱신될 때마다,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를 수평보정율(FRSX)로 나누어, 그 나눗셈결과(RSPAD)가 전회(前回)의 나눗셈결과에서 2 증가한 경우에는, 제2의 화소어드레스제어신호(PADC2)를 H레벨로 변화시킨다. 한편, 나눗셈결과(RSPAD)가 전회의 나눗셈결과로부터 +1 증가한 경우에는,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PADC2)를 L레벨로 변화시킨다. 도 8의 예에서는,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가 6의 경우에 화소어드레스 제어신호(PADC2)가 H레벨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판독출력화소 어드레스(MPAD)는,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PADC2)가 L레벨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1증가하고, H레벨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2증가한다. 따라서, MPAD는 RSPAD와 같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화소 어드레스(PAD)가 0에서 STA(=40)까지의 사이는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PADC1)는 L레벨을 유지하고, 기준라인 어드레스(BPAD), 판독출력화소 어드레스(MPAD)도 0그대로 변화하지 않는다. 이때, 제1, 제2의 화소 셀렉트신호(DSPH, SELH)는 L레벨을 유지하고, 셀렉터(198)로서는 C입력단자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신호, 즉 검정레벨신호(VBLK)가 선택되어 출력화상신호(RV2)로서 출력된다.
화소 어드레스(PAD)가 STA이상 (PAD
Figure 112002039742179-pct00123
40)에서 EDA이하 (PAD
Figure 112002039742179-pct00124
639)의 사이에서는, 제1의 화소 어드레스 제어신호(PADC1) 및 제1의 화소 셀렉트신호(DSPH)가 H레벨로 유지됨과 동시에,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가 화소 어드레스(PAD)의 갱신에 따라서 변화하고, 판독출력화소 어드레스(MPAD)가 화소 어드레스발생회로(202)(도 3)로부터 출력된다. 프레임메모리(120)로부터 판독출력화소 어드레스(MPAD)의 변화 0, 1, 2, 3, 4, 5, 7, 9,
Figure 112002039742179-pct00171
에 따라서 화상데이터(DP0, DP1, DP2, DP3, DP4, DP5, DP7, DP9,
Figure 112002039742179-pct00172
)가 판독출력되고, 화상신호(RV1)로서 수평보정회로(172)에 입력된다. 제2의 셀렉트신호(SELH)는, 화소어드레스 제어신호(PADC2)와 같다. 제2의 셀렉트신호 (SELH)가 L레벨인 경우에는, 셀렉터(198)에서는 B입력단자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신호(VPa)가 선택되어 출력화상신호(RV2)로서 출력된다. 즉, 판독출력화소 어드레스(MPAD)가 0에서 +1씩 변화하고 있을 때는, 이것에 따라서 프레임메모리(120)에서 판독출력된 화상데이터(DP0, DP1, DP2, DP3,
Figure 112002039742179-pct00125
)가 선택되어 출력화상신호 (RV2)로서 출력된다.
한편,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PADC2)가 H레벨로 변화하였을 때는, 제2의 화소 셀렉트신호(SELH)도 L레벨에서 H레벨로 변화한다. 셀렉터(198)에서는 A입력단자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신호(VPab)가 선택되어 출력화상신호(RV2)로서 출력된다. 즉, 1화소 건너서 판독출력된 화상신호{(VPa)(7화소 번째의 화상데이터DP7)}와 그 1화소 전에 판독출력된 화상신호{(VPb)(1화소 번째의 화상데이터DP5)}를 평균한 신호{(DP5+ DP7)/2}가 출력화상신호(RV2)로서 출력된다. 이 화상신호(VPab)는,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가 1화소 건너지는 것에 따라서 결락한 그 사이의 화소의 화상데이터를 보간 하기 위해서, 결락 전후의 화소의 화상신호를 평균한 신호이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화소버퍼(192), 가산기(194), 곱셈기(196) 및 셀렉터(198)는, 화소의 결락에 의해 발생하는 화상의 불연속성을 완화하는 필터회로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화소 어드레스(PAD)가 EDA(〓639)보다도 커지면,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PADC1)는 H레벨에서 L레벨로 변화하고, 기준라인 어드레스(BPAD), 판독출력화소 어드레스(MPAD)는 갱신이 정지된다. 이 때, 제1, 제2의 화소 셀렉트신호(DSPH, SELH)도 L레벨 그대로 되고, 셀렉터(198)에서는 C입 력단자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신호, 즉 검정 레벨신호(VBLK)가 선택되어 출력화상신호(RV2)로서 출력된다.
또한, 화소 어드레스발생회로(202)에 있어서 판독출력화소 어드레스(MPAD)의 갱신을, 상술과 같이 제1, 제2의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PADC1, PADC2)의 레벨에 따라서 제어하는 대신에, 화소 어드레스발생회로(202)내에 있어서 독자적으로 판독출력화소 어드레스(MPAD)의 갱신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화소 어드레스발생회로(202)내에, 수평보정제어회로(190)와 거의 같은 회로를 설치하여, 제1, 제2의 화소어드레스 제어신호(PADC1, PADC2)와 등가(等價)한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면 좋다. 특히, 수평보정율(FRSX)이 0.5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판독출력화소 어드레스{(MPAD)(나눗셈결과 RSPAD)}가 2이상 변화하는 경우가 있고, 제1, 제2의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PADC1, PADC2)에 따라서 상술과 같이 화소 어드레스발생회로(202)에 있어서 판독출력화소 어드레스(MPAD)를 발생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평보정제어회로(190)에 화소 어드레스발생회로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수평보정회로(172)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0a은 화소 어드레스(PAD)를 나타내고, 도 10c은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b은 제1의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PADC1)를, 도 10d은 제2의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PADC2)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e는 판독출력화소 어드레스(MPAD)를 나타내고 있다. 도 l0f에 나타내는 판독출력제어신호(MPR#)는, 프레임메모리(120)에 있어서 판독출력을 허가하는 신호이고, 기록입력/판독출력제어회로(146)로부터 프 레임메모리(120)에 공급되어 있다. 이 신호(MPR#)는 부논리(負論理)이고, L레벨의 때에만 화상신호의 판독출력이 허가된다.
도 10a~c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화소 어드레스(PAD)가 1개씩 증가하여 개시화소 어드레스(STA=40)가 될 때까지는 제1의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 (PADC1)는 L레벨 그대로,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는 0에서 변화하지 않는다. 화소 어드레스(PAD)가 개시화소 어드레스(STA)이상이 되어 제1의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PADC1)가 H레벨로 변화하면,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도 화소 어드레스(PAD)의 변화에 따라 1개씩 증가한다.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의 변화에 따라 도 1Oe에 나타내는 판독출력화소어드레스도 1개씩 증가한다. 단지, 도 10d에 나타내는 제2의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PADC2)가 H레벨일 때는, 판독출력화소어드레스(MPAD)는 2개 증가한다. 또한, 이들의 어드레스의 변화는, 도 10m에 나타내는 도트클럭신호(DCLK3)에 동기하여 실행된다. 그리고, 도 1Of에 나타내는 판독출력제어신호(MPR#)가 L레벨의 사이에, 도 1Og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프레임메모리(120)(도 1)로부터 판독출력화소 어드레스(MPAD)에 따른 화상데이터(DPO, DP1, DP2, DP3, DP4, DP5, DP7, DP9,
Figure 112000014365205-pct00126
)가 화상신호(VPa)로서 수평보정회로(172)(도 3)에 입력되고, 셀렉터(198)에 입력된다. 또, 화소버퍼(192)(도 3)로부터는, 1화소 전의 화상신호(VPb)가 출력되고, 셀렉터(198)에 입력된다. 그 위에, 화상신호(VPa) 및 화상신호(VPb)가 가산평균되어 도 1Oi에 나타내는 VPab가 작성된다. 그리고, 이 화상신호 (VPab)가 셀렉터(198)에 입력된다.
도 1Oj에 나타내는 제1의 화소 셀렉트신호(DSPH)는, 도 10b에 나타내는 제1의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PADC1)의 변화에 맞추어서 변화한다. 제1의 화소 셀렉트신호(DSPH)가 L레벨인 동안은, 셀렉터(198)에서는 검정레벨신호(VBLK)가 선택되어 출력화상신호(RV2)로서 출력된다. 제1의 화소 셀렉트신호(DSPH)가 H레벨로 변화한 후에 있어서, 도 10k에 나타내는 제2의 화소 셀렉트신호(SELH)가 L레벨인 동안은, 셀렉터(198)에서는 화상신호(VPa)가 선택되어 출력화상신호(RV2)로서 출력된다. 한편, 제2의 화소 셀렉트신호(SELH)가 H레벨인 동안, 즉, 제2의 화소 어드레스 제어신호(PADC2)가 H레벨로 변화하여 판독출력화소 어드레스(MPAD)가 2개 증가하였을 때는, 셀렉터(198)에서는 화상신호(VPab)가 선택되어 출력화상신호(RV2)로서 출력된다.
이와 같이, 도 3에 나타내는 수평보정회로(172)에서는, 수평보정제어회로(190)에 있어서 산출된 수평방향 사다리꼴 뒤틀림보정 파라미터(도 8, 도 9)에 따라서, 액정패널(126)(도 1)에 대응하는 표시화상영역(IF)(도 4)의 각 라인의 각 화소에 대하여 원화상(MF)(도 4)의 어느 화소를 대응시키는 가를 결정하여 출력할 수가 있다. 더구나, 이 산출에 사용되는 (5)식~(7)식의 각 계산식에 있어서, 사다리꼴 뒤틀림보정을 위해 사용자가 조정하지 않으면 안되는 수평보정 파라미터는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27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128
2X)뿐 이므로, 용이하게 조정이 가능하다. 또,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29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130
2X)를 각각 독립으로 설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상하방향에 아오리 각이 발생하고 있을 때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에 아오리 각이 발생하고, 발생하는 사다리꼴 뒤틀림의 형상이 좌우대칭이 아닌 경우에도 사다리꼴 뒤틀림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다리꼴 뒤틀림의 형상이 좌우대칭일 때는,
Figure 112000014365205-pct00131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132
2X로 하면 좋고, 공통의 1개의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33
X)를 사용하여 사다리꼴 뒤틀림을 보정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3에 나타내는 수직보정회로(170)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수직보정제어회로(180)에는, 표시화상영역(IF)의 라인 어드레스, 즉, 액정패널(126)의 수직방향의 라인 어드레스(LAD)가 기록입력/판독출력 제어회로(146)(도 2)로부터 입력된다. 또, 제어조건 레지스터(158)(도 2)에 격납되어 있는 수직보정율(KRSY)이 주어진다. 수직보정제어회로(180)는, 이 라인 어드레스(LAD)와 수직보정율(KRSY)에 따라서, 후술하는 연산을 행하여 제1, 제2의 라인 셀렉트신호(DSPV, SELV)와, 제1, 제2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1, LADC2)를 생성한다. 제1, 제2의 라인 셀렉트신호 (DSPV, SELV)는, 셀렉터(188)에 공급된다. 제1, 제2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 (LADC1, LADC2)는, 라인 어드레스발생회로(200)에 공급된다.
라인 어드레스 발생회로(200)는, 공급된 제1, 제2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 (LADC1, LADC2)에 의거하여 메모리(120)에 기록입력되어 있는 원화상(MF)의 판독출력어드레스를 생성하고, 원화상(MF)의 판독출력을 실행한다.
수평보정회로(172)로부터 출력된 1라인 분(分)의 화상신호(VLa)는 라인버퍼 (182)에 격납된다. 라인버퍼(182)에 격납된 화상신호는, 다음 라인의 화상신호가 수평보정회로(172)로부터 공급될 때에 라인버퍼(182)로부터 판독출력된다. 따라서, 라인버퍼(182)로부터 판독출력된 화상신호(VLb)는, 수평보정회로(172)로부터 주어지고 있는 화상신호(VLa)보다도 1라인 앞의 화상신호이다. 가산기(184)는, 수평보정회로(172)로부터 공급된 화상신호(VLa)와, 라인버퍼(182)로부터 판독출력된 화상신호(VLb)를 가산하고, 가산된 화상신호에는, 곱셈기(186)에서 1/2이 곱해진다. 곱셈기(186)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VLab)는, 수평보정회로(172)로부터 주어진 화상신호(VLa)와, 그 1라인 앞의 화상신호(VLb)를 평균한 것이다. 이 평균화된 화상신호(VLab)는, 셀렉터(188)의 A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셀렉터(188)의 B입력단자에는, 수평보정회로(172)로부터 주어진 화상신호(VLa)가 그대로 입력되어 있다. 또한, 셀렉터(188)의 C입력단자에는, 검정레벨신호(VBLK)가 입력되어 있다. 셀렉터 (188)는, 제1, 제2의 라인 셀렉트신호(DSPV, SELV)의 레벨에 따라서, 입력된 3개의 화상신호(VLab, VLa, VBLK)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도 11은, 수직보정제어회로(180) 및 라인 어드레스발생회로(200)의 동작에 관련하는 각종 파라미터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여기서, LAD는 액정패널(126)의 수직방향의 라인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BLAD는 사다리꼴화상부 (CFa)(도 4b)의 상단위치에서 아래로 향하여, 하나씩 순차 증가하는 기준라인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OFFLAD는 기준라인 어드레스(BLAD)와 실제로 프레임메모리(120)에 주어지는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와의 차(오프셋트라인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있다. LADC(1) 및 LADC(2)는 라인 어드레스발생회로(200)에 공급되는 제1, 제2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를 나타내고, DSPV, SELV는 셀렉터(188)에 공급되는 제1, 제2의 라인 셀렉트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RV2는 수평보정회로(172)로부터 출력되는 화상데이터가 원화상(MF)의 어느 라인에 대응하고 있는가를 나타내고, RV3는 셀렉터(188)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가 원화상(MF)의 어느 라인에 대응하고 있는가를 나타내고 있다.
기준 라인 어드레스의 인크리멘트(increment)가 개시되는 라인 어드레스{LAD(개시 라인 어드레스STLAD)}의 값은, 수직보정율(KRSY) 및 표시화상영역(IF)의 수직방향의 라인 수(IMGY)에 의거하여 하식의 수학식 8a, 수학식 8b에 의해서 산출된다.
KSSY=KRSYㆍIMGY
STLAD=IMGY-KSSY
또, 오프셋트라인 어드레스(OFFLAD)는, 예컨대 하식의 수학식 9에 의해서 산출된다.
Figure 112000014365205-pct00015
또한, 오프셋트라인 어드레스(OFFLAD)를 구하는 계산식에 사용되는 함수는, (LAD-STLAD)=0일 때에 0이 되고, (LAD-STLAD)=(KSSY-1)일 때에 1이 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단조로운 함수를 이용할 수가 있고, 삼각함수 뿐만 아니라, 지수함수 등의 다른 함수를 이용할 수가 있다. 위 방향에의 아오리 투사에 의해서 발생하는 수직방향의 뒤틀림은, 화상의 상측일수록 크게 확대되고, 투사 스크린 위에 표시되는 화상의 라인밀도는, 화상의 상측일수록 작고, 화상의 하측일수록 크다. 따라서, 사다리꼴화상(CFa)의 작은 쪽의 저변에 대응하는 원화상(MF)의 라인 수는 많고, 큰 쪽의 저변에 대응하는 원화상(MF)의 라인 수는 적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프셋트라인 어드레스(OFFLAD)는, 사다리꼴화상(CFa)의 각 라인과 원화상(MF)의 각 라인이 상기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는, 기준라인 어드레스(BLAD)와 오프셋트라인 어드레스(OFFLAD)에 의거하여 하식의 수학식 10으로부터 산출된다.
Figure 112000014365205-pct00016
여기서, RSY는, 원화상(MF)의 수직라인 수(MEMY)에 대한 표시화상영역(IF)의 수직라인 수(IMGY)의 비인 수직확대/축소율을 나타내고 있다. 본 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SY=1이다. 수직확대/축소율(RSY)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4b로부터 아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화상부(CFa)는 430개의 라인을 가지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기준라인 어드레스(BLAD)는, 사다리꼴화상부(CFa)의 430개의 각 라인의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즉, 기준라인 어드레스(BLAD)의 값은, 사다리꼴화상부 (CFa)의 상단위치(LAD=70)의 라인에서는 0이고, 사다리꼴화상부 (CFa)의 하단위치 (LAD=499)의 라인에서는 429이다. 한편, 프레임메모리(120)에 주어지는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의 값은, 사다리꼴화상부(CFa)의 상단위치(LAD=70)의 라인에서는 0이고, 사다리꼴화상부(CFa)의 하단위치(LAD=499)의 라인에서는 499이다. 따라서, 액정디스플레이패널의 라인 어드레스(LAD)와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는 프레임메모리(120)에 기억되어 있는 원화상(IM)의 각 라인과, 사다리꼴화상부(CFa)의 각 라인과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 오프셋트 어드레스 (OFFLAD)는, 보완화상부(CFb)의 상단에서의 70개 분의 높이를, 사다리꼴화상부 (CFa)의 430개의 라인 중의 어느 위치에서 흡수하는가를 나타내고 있다.
개시라인 어드레스{STLAD(=70)}이상의 라인 어드레스(LAD)가 수직보정제어회로(180)에 입력되면,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1)가 L레벨에서 H레벨로 변화하고, 이후, 라인 어드레스(LAD)가 1개 증가할 때마다 기준라인 어드레스(BLAD)도 0에서 순차로 하나씩 증가한다. 라인 어드레스(LAD)가 0에서 STLAD까지의 사이에서는,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1)는 L레벨을 유지하고, 기준라인 어드레스(BLAD)와, 오프셋트라인 어드레스(OFFLAD)와,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는, 어느 것이나 0라인그대로 변화하지 않는다. 이 때, 제1, 제2의 라인 셀렉트신호(DSPV, SELV)는 L레벨을 유지하고, 셀렉터(188)에서는 C입력단자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신호, 즉 검정레벨신호(VBLK)가 선택되어 출력화상신호(RV3)로서 출력된다.
라인 어드레스(LAD)가 STLAD이상 (LAD
Figure 112002039742179-pct00134
70)일 때는, 제1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1) 및 제2의 라인 셀렉트신호(DSPV)가 H레벨로 유지된다. 이 때, 기준 라인 어드레스(BLAD)가 라인 어드레스(LAD)의 변화에 따라서 0에서 순차로 하나씩 변화하여 수학식8 내지 수학식 10에 의하여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가 산출된다.
단지, 도 3의 회로에서는, 라인 어드레스발생회로(200)는, 수학식 8~수학식 10을 사용하는 대신에, 수직보정제어회로(180)로부터 주어지는 라인 어드레스제어 신호 (LADC1, LADC2)에 따라서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를 아래와 같이 갱신한다. 오프셋트라인 어드레스(OFFLAD)가 하나 앞의 라인 어드레스(LAD)에서의 오프셋트라인 어드레스(OFFLAD)의 값으로부터 변화하지 않을 때는,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2)는 L레벨을 유지하고,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는 기준라인 어드레스(BLAD)의 변화에 따라서 하나씩 변화한다. 한편, 오프셋트라인 어드레스(OFFLAD)가 변화하였을 때는,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2)가 H레벨로 변화한다.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2)가 H레벨로 변화하였을 때는, 라인 어드레스발생회로(200)(도 3)는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를 +2증가시킨다. 도 11에서는, 예컨대, 라인 어드레스(LAD)가 71에서 72로 변화하면, 오프셋트라인 어드레스(OFFLAD)가 0에서 1로 변화한다. 이 때,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2)는 H레벨로 변화하고,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는 1에서 3으로 변화한다.
수평보정회로(172)에서는,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의 변화(0, 1, 3, 4,
Figure 112000014365205-pct00173
)에 따라서 화상 데이터(DL0, DLl, DL3, DL4,
Figure 112000014365205-pct00174
)가 출력화상신호(RV2)로서 수직보정회로(170)에 입력된다. 여기서,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가 하나씩 순서로 변화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의 셀렉트신호(SELV)는 L레벨을 유지하고, 셀렉터(188)에서는 B입력단자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신호(VLa)가 선택되어 출력화상신호 (RV3)로서 출력된다. 한편,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가 +2변화하는 경우에는, 제2의 셀렉트신호(SELV)는 H레벨로 변화하고, 셀렉터(188)에서는 A입력단자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신호(VLab)가 선택되어 출력화상신호(RV3)로서 출력된다. 즉, 1라인 건너서 판독출력된 화상신호{(VLa)(3라인 번째의 화상 데이터 DL3)}와 그 1라인 전에 판독출력된 화상신호{(VLb)(1 라인번째의 화상 데이터 DLl)}를 가중 평균한 신호가 출력화상신호(RV3)로서 출력된다. 이 화상신호(VLb)는,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가 1라인 건너진 것에 따라서 결락한 그 사이의 라인화상 데이터를 보간 하기 위해서, 결락 전후의 라인의 화상신호를 평균한 신호이다. 즉, 도 3 에 나타내는 라인버퍼(182), 가산기(184), 곱셈기(186) 및 셀렉터(188)는, 라인의 결락을 완화하는 필터회로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라인 어드레스발생회로(200)에 있어서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의 갱신을, 상술과 같이 제1, 제2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1, LADC2)의 레벨에 따라서 제어하는 대신에, 라인 어드레스발생회로(200)내에서 독자적으로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의 갱신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라인 어드레스발생회로(200)내에, 수직보정제어회로(180)와 거의 같은 회로를 설치하여, 제1, 제2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1, LADC2)와 등가인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면 좋다. 특히, 수직방향의 보정율(KRSY)이 0.5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오프셋트라인 어드레스OFFLAD)}가 둘 이상 변화하는 경우가 있고, 제1, 제2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1, LADC2)에 따라서 상술과 같이 라인 어드레스발생회로(200)에 있어서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를 발생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직보정제어회로(180)에 라인 어드레스발생회로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수직보정회로(170)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2a는 프레임메모리(120)에 있어서 라인 어드레스(LAD)를 나타내고, 도 12c는 기준라인 어드레스(BLAD)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b는 제1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1)를, 도 12d는 제2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2)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e는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f에 나타내는 판독출력제어신호(MLR#)는, 프레임메모리(120)에 있어서의 판독출력을 허가하는 신호이고, 기록입력/판독출력 제어회로(146)로부터 프레임메모리(120)에 공급되어 있다. 이 신호(MLR#)는 부논리이고, L레벨 때에만 화상신호의 판독출력이 허가된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라인버퍼(182)도, 이 신호(MLR#)와 마찬가지 신호가 입력되고, 프레임메모리(120)에서의 판독출력과 거의 같은 타이밍으로 라인버퍼(182)에 대하는 화상신호의 입력 및 출력이 실행된다.
도 12a~c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라인 어드레스(LAD)가 1개씩 증가하여 개시라인 어드레스{STLAD(=70)}가 될 때까지는 제1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1)는 L레벨 그대로, 기준라인 어드레스(BLAD)는 O에서 변화하지 않는다. 라인 어드레스(LAD)가 개시 라인 어드레스(STLAD) 이상이 되어 제1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1)가 H레벨로 변화하면, 기준라인 어드레스(BLAD)도 라인 어드레스(LAD)의 변화에 따라서 0에서 하나씩 증가한다. 기준 라인 어드레스(BLAD)의 변화에 따라서 도 12e에 나타내는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도 하나씩 증가한다. 단지, 도 12d에 나타내는 제2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2)가 H레벨일 때는,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는 2증가한다. 또, 이들의 어드레스의 변화는, 도 12m에 나타내는 동기신호 (HSYNC3)에 동기하여 실행된다. 그리고, 도 12f에 나타내는 판독출력제어신호(MLR#)가 L레벨의 사이에, 도 12g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프레임메모리(120)(도 1)에서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에 따른 화상 데이터(DLO, DL1, DL3,
Figure 112000014365205-pct00175
)가 판독출력되고, 수평보정회로(172)를 거처서 화상신호(RV2)로서 수직보정회로(170)(도 3)에 입력된다. 화상신호(RV2)는, 화상신호(VLa)로서 셀렉터(188) 및 라인버퍼(182)에 입력된다. 또, 라인버퍼(182)(도 3)에의 화상신호(VLa)의 입력과 거의 동시에, 라인버퍼(182)로부터는 1라인 전의 화상신호(VLb)가 출력되고, 셀렉터(188)에 입력된다. 그 위에, 화상신호(VLa) 및 화상신호(VLb)가 가산평균되어 도 12i에 나타내는 VLab가 작성된다. 그리고, 이 화상신호(VLab)가 셀렉터(188)에 입력된다.
도 12j에 나타내는 제1의 라인 셀렉트신호(DSPV)는, 도 12b에 나타내는 제1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1)의 변화에 맞추어서 변화한다. 제1의 라인 셀렉트신호(DSPV)가 L레벨인 동안은, 셀렉터(188)에서는 검정레벨신호(VBLK)가 선택되어 출력화상신호(RV3)로서 출력된다. 제1의 라인 셀렉트신호(DSPV)가 H레벨로 변화한 후에 있어서, 도 12k에 나타내는 제2의 라인 셀렉트신호(SELV)가 L레벨인 동안은, 셀렉터(188)에서는 화상신호(VLa)가 선택되어 출력화상신호(RV3)로서 출력된다. 한편, 제2의 라인 셀렉트신호(SELV)가 H레벨인 동안, 즉, 제2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2)가 H레벨로 변화하여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가 2개 증가하였을 때는, 셀렉터(188)에서는 화상신호(VLab)가 선택되어 출력화상신호(RV3)로서 출력된다.
이와 같이, 도 3에 나타내는 수직보정회로(170)에서는, 수직보정제어회로(180)에 있어서 결정된 수직방향의 보정 파라미터(도 11)에 따라 서, 액정패널(126)(도 1)에 대응하는 표시화상영역(IF)(도 4)의 각 라인에 대하여 원화상(MF)(도 4)의 어느 라인을 대응시키는 가를 결정할 수가 있다. 더구나, 이 결정에 사용되어지는 수학식 2~수학식 4의 각 계산식에 있어서, 아오리 투사에 의해서 발생하는 뒤틀림 화상을 보정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정하지 않으면 안되는 파라미터는 수직보정율(KSRY)뿐 이고, 종래에 비하여 용이하게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직보정회로(170)에서는, 수직보정율 (KSRY)에 따라서 뒤틀림 보정화상(CF) 중 검정 화상으로 하는 영역(라인 수 KSY의 영역)을 사다리꼴화상부 (CFa)의 위측에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 영역을 아래로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수직보정회로(170),수평보정회로(172)의 동작설명에서는, 확대/축소율 (RSX=1, RSY= 1)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물론 확대/축소율 (RSX, RSY)을 0~1의 범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2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축소/필터회로(144)를 거치지 않고 프레임메모리에 기록입력되는 화상신호(DV3), 예컨대, CPU(130)에 접속된 버스를 거처서 기록입력되는 화상신호는, 액정패널(126)의 표시사이즈, 즉, 표시화상영역(IF)(도 4)보다도 큰 사이즈의 화상인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축소율(RSX, RSY)을 대응하는 값에 설정하는 것에 의해 프레임메모리(120)에 기록입력되어진 화상을 표시화상영역(IF)의 사이즈에 축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다리꼴뒤틀림보정회로(152)는, 축소/필터회로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또, 원화상(MF)이 표시화상영역(IF)보다도 작은 화상인 경우에는, 확대/축소율(RSX=1, RSY=1)로서,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152)에 있어서 뒤틀림 보정화상을 생성하 고, 확대/필터회로(154)에 있어서 뒤틀림보정후의 화상을 확대하도록 하면 좋다.
또, 축소/필터회로(144)에 있어서, 수직보정율 (KRSY)에 따라서 화상을 축소하는 것에 의해 수직방향의 보정을 행하고,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152)에 있어서 수평방향의 보정만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상술의 설명으로서는, 도 4b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뒤틀림 보정화상(CF)을 구성하는 화상(CFa)이 화상의 상단연측의 폭이 축소되는 사다리꼴화상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고 있다. 상한역(上限逆)의 형상을 한 사다리꼴화상의 경우에는, 수학식 5 대신에 이하의 수학식 1la, 수학식 11b를 사용하면 좋다.
Figure 112000014365205-pct00135
Figure 112000014365205-pct00017
상기 설명과 같이,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152)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설정 가능한 수직보정율(KRSY)과,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36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137
2X)에 따라서, 아오리 투사에 의해서 발생하는 뒤틀림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뒤틀림 보정화상을 생성할 수가 있다. 또한,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38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139
2X)는 각각 독립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좌우대칭형의 뒤틀림 화상뿐만 아니라, 좌우비대칭인 뒤틀림 화상도 보정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결락 라인의 보간처리는, 결락 라인의 전후의 라인을 사용하여 실시되어지고 있지만, 결락 라인과, 결락 라인에 인접하는 1개의 라인 혹은 2개의 라인을 사용하여 보간을 실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결락화소의 보간처리 도 같다. 또한, 결락 라인나 결락 화소 그 자체를 사용하여 보간처리를 실시하고 싶은 경우에는, 표시속도의 2배 이상의 속도로 프레임메모리(120)에서 화상을 판독출력하여 보간처리를 실행한다. 이 때에는,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152)에, 2배의 속도로 판독출력된 화상신호를 표시속도로 래치(latch)하는 래치회로, 즉, 버퍼회로를 설치하면 좋다. 또, 수직보정제어회로(180)나 수평보정제어회로(190)에 있어서 판독출력 어드레스의 생성방법이 다르지만,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152)의 처리와 마찬가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비디오프로세서(122)가 본 발명의 화상보정부에 상당한다. 또, 수평보정회로(172)가 제1의 보정부에 상당하고, 수직보정회로(170)가 제2의 보정부에 상당한다.
B.제2실시예:
제2실시예로서의 화상처리장치의 각 구성은, 제1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100)와 같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차이는,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을 위한 뒤틀림 보정화상을 생성하는 처리내용에 있다.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뒤틀림 보정화상을 생성하는 처리내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B-1.뒤틀림보정화상의 개요:
도 13은, 제2실시예에 있어서 뒤틀림 보정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우선,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화상(MF)의 전체를, 축소/필터회로 (144)(도 3)에 있어서 축소하고, 도 13b에 나타내는 축소화상(MFa)을 작성한다. 또한, 원화상(MF)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고, 수평방향의 폭{ORGX(=IMGY)}이 700화소이고, 수직방향의 높이{ORGY(=1MGY)}가 500라인이다. 축소화상(MFa)의 수평방향의 폭은, 사다리꼴화상(CFla)의 사다리꼴의 윗 변과 아랫 변 중 짧은쪽의 길이에 동등하게 설정된다. 또, 축소화상(MFa)의 원화상(MF)에 대한 수직방향의 축소율은, 수직보정율(KRSY)의 2 제곱으로 설정된다. 또, 이 축소율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따라서, 도 13b의 예에서는, 프레임메모리(120)에 기록입력된 축소화상(MFa)의 수평방향의 폭(MEMX)은 6O0화소이고, 수직방향의 높이(MEMY)는 370라인이다. 축소/필터회로(144)에서 얻어진 축소화상(Ma)은, 프레임메모리(120)에 기록입력된다. 다음에, 도 13c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 (152)(도 3)에 있어서, 축소화상(MFa)을, 사다리꼴화상부(CF1a')의 좌단연 및 우단연의 기울기(
Figure 112002039742179-pct00140
1X'≒ O.11,
Figure 112002039742179-pct00141
2X'≒ O.16)에 따른 수평확대율(FRSX')로 각 수평 라인마다 확대한다. 더욱이, 도 13d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전체의 수직확대율(KRSY'≒ 1.16)로 수직방향을 확대함으로써, 뒤틀림 보정화상(CF1)의 사다리꼴화상부(CFla)를 얻는다. 여기서, 수직방향의 확대는, 상방향의 아오리 투사에 의해서, 표시화상의 하부측에 비하여 상부측이 크게 확대되는 것을 보정하도록, 축소화상(MFa)의 상부측을 기준으로 하부측을 크게 확대하도록 행해진다.
여기서, 기울기(
Figure 112005026138290-pct00142
1X',
Figure 112005026138290-pct00143
2X')는, 도 13c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축소화상의 화상(MFa)를 수평방향에만 확대 보정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사다리꼴화상부(CF1a)의 좌단연 및 우단연의 기울기를 나타내고 있다. 기울기(
Figure 112005026138290-pct00144
1X',
Figure 112005026138290-pct00145
2X')는, 하기의 수학식 12a, 수학식 12b에 의해 구해진다. 혹은, 기울기(
Figure 112005026138290-pct00146
1X',
Figure 112005026138290-pct00147
2X')를 직접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Figure 112002039742179-pct00187
Figure 112002039742179-pct00188
도 13d의 사다리꼴화상부(CF1a)에 따라서 스크린 위에 투사되는 투사화상은, 거의 직사각형의 정화상이 된다. 즉, 사다리꼴화상부(CFla)의 윗 변 부분은, 아랫 변 부분보다도 광학적으로 큰 확대율로 확대되어 투사표시된다. 한편, 사다리꼴화상부(CFla)의 아랫 변 부분은, 수평보정시{도 13b→13c}에, 윗 변 부분 보다도 큰 확대율로 전자적으로 확대되어 있다. 이러한 광학적 확대와 전자적 확대를 합쳐서 생각하면, 투사화상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축소화상(MFa)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서로 거의 같은 총합적인 확대율로 수평방향으로 각각 확대되어 투사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투사화상의 각 부는, 축소화상(MFa)가 총합적(전자적/광학적)으로 거의 일정한 확대율로 확대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투사화상의 각 부가 거의 일정한 확대율로 수평방향으로 각각 확대되어 투사표시되기 때문에, 제1실시예에 비하여 투사화상 내에서의 화상품질을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B-2.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152)의 동작: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152)의 동작은 제1실시예와 기본적으로 같지만, 수평보정제어회로(190) 및 화소 어드레스발생회로(202)의 동작에 관련하는 각종 파라미터의 처리내용이 다르다.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다른 수평보정제어회로(190)및 화소 어드레스발생회로(202)의 동작에 관련하는 각종 파라미터의 처리내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수평보정제어회로(190) 및 화소 어드레스발생회로(202)의 동작에 관련하는 각종 파라미터 중 수직방향의 각 라인마다 산출되는 파라미터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3b에 나타내는 축소화상{MFa(MEMX= 600화소, MEMY= 370 라인)}과, 도 13a에 나타내는 원화상{MF(ORGX= 700화소, ORGY= 500라인)}과 같은 표시화상영역{IF(lMGX= 700화소, IMGY= 500라인)}과,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48
1X'≒ 0.11)와,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49
2X'≒ 0.16)에 의거하여 계산된 각 라인마다의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의 파라미터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도 8의 파라미터와 기본적으로 같다. 단지, 도 8의(FRSX)가 표시화상영역(IF)의 전(前)화소수(IMGX)와, 원화상(MF)의 수평방향의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의 화소수와의 비(수평보정율)를 나타내고 있는데 대하여, 도 14의 FRSX'는 축소화상(MFa)의 수평방향의 화소수(MEMX)와, 사다리꼴화상부(CF1a)의 화소수, 즉 축소화상(MFa)의 수평방향의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의 화소수와의 비(수평확대율)를 나타내고 있다.
수평보정제어회로(190)(도 3)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도 8)와 같이, 제1의 라인 셀렉트신호(DSPV) 및 라인 어드레스(LAD)에 의거하여 구해진 기준 라인 어드레스(BLAD*)에 따라서,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를 구한다. 그 위에, 기울기(
Figure 112005026138290-pct00150
1X',
Figure 112005026138290-pct00151
2X')와, 축소화상(MFa)의 수직방향의 라인 수(MEMY)와, 표시화상영역(IF)의 수평화소수(IMGX)와,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에 의거하여, 개시화소 어드레스(STA) 및 종료화소 어드레스(EDA)가 하기의 수학식 13a, 수학식 13b에 의해서 산출된다.
Figure 112002039742179-pct00189
Figure 112002039742179-pct00190
또, 개시화소 어드레스(STA)와, 종료화소 어드레스(EDA)와, 원화상(MF)의 수평화소수(MEMX)에 의거하여, 축소화상(MFa)에 대한 사다리꼴화상부(CFla)의 수평확대율(FRSX'),즉, 원화상(MF)의 각 수평 라인마다의 수평확대율이 하기의 수학식 14에 의해서 계산된다.
Figure 112000014365205-pct00022
제1의 라인 셀렉트신호(DSPV)는, 제1실시예와 같이, 도 13d의 상단의 KSY 라인 분(分) 동안은 L레벨로 유지되고, 검정레벨신호(VBLK)가 선택되어 출력화상신호 (RV2)로서 수평보정회로(172)(도 3)로부터 출력된다. 또, 제1의 라인 셀렉트신호 (DSPV)가 L레벨인 동안은 도 14에 나타내는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는 0에서 변화하지 않고, 수학식 13, 수학식 14에 의거하여 계산되는 각 파라미터의 값도 변화하지 않는다. 제1의 라인 셀렉트신호(DSPV)가 H레벨로 변화된 후에는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의 변화에 따라서 각 파라미터의 값이 계산된다.
상기한바와 같이,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52
1X')에 의거하여 개시화소 어드레스(STA)를, 또,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53
2X')에 의거하여 종료화소 어드레스(EDA)를, 각각 독립하여 구할 수가 있고, 축소화상(MFa)도 13b의 각 라인의 화상을 표시화상영역(IF)(도 4)의 대응하는 라인 중의 어느 만큼의 화소에 표시하는 가를 결정하기 위한 수평확대율(FRSX')을 구할 수 있다.
도 15는, 수평보정제어회로(190) 및 화소 어드레스발생회로(202)의 동작에 관련하는 각종의 파라미터 중 1라인 중의 각 화소마다 산출되는 파라미터에 관해서, 라인 어드레스{LAD= 399(도 14참조)}의 경우를 예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파라미터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내는 파라미터와 같다. 여기서는, 각 파라미터 중 처리내용이 다른 파라미터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제2의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PADC2)는, 나눗셈결과(RSPAD)가 그 전의 나눗셈결과와 같은 값이 되었을 때에 H레벨이 되고, 그 이외의 때는 L레벨이 된다. 즉, 수평보정제어회로(190)는, 기준화소 어드레스가 갱신될 때마다, 기준화소 어드레스 (BPAD)를 수평확대율(FRSX')로 나누어, 그 나눗셈결과(RSPAD)가 전회의 나눗셈결과와 같은 경우에는, 제2의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PADC2)를 H레벨로 변화시킨다. 한편, 나눗셈결과(RSPAD)가 전회의 나눗셈결과로부터 +1증가한 경우에는, 화소 어드레스 제어신호(PADC2)를 L레벨로 변화시킨다. 도 15의 예에서는,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가 5인 경우에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PADC2)가 H레벨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판독출력화소 어드레스(MPAD)는, 제1의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PADC1)가 H레벨인 동안에만, 그 값이 변화하도록 설정된다. 이 때, 판독출력화소 어드레스 (MPAD)는, 화소 어드레스제어신호(PADC2)가 H레벨에서 L레벨로 변화한 경우를 제외하고 +1 증가하며, H레벨에서 L레벨로 변화한 경우에는 증가하지 않는다. 도 15에서는, 예컨대,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가 4, 5에 있어서, 나눗셈결과(RSPAD)는 4인 채로 변화하지 않고,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가 5에서 L레벨에서 H레벨로 변화하고,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가 6에서 H레벨에서 L레벨로 변화한다. 따라서, 기준화소 어드레스(BPAD)가 5에서 6으로 변화하여도 판독출력화소 어드레스(MPAD)는 5인 채로 변화하지 않는다.
도 16은, 수직보정제어회로(180) 및 라인 어드레스발생회로(200)의 동작에 관련하는 각종 파라미터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의 파라미터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의 파라미터와 같다. 여기서는, 각 파라미터 중 처리내용이 다른 파라미터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기준 라인 어드레스의 인크리트멘트가 개시되는 라인 어드레스{LAD(개시 라인 어드레스STLAD)}의 값은, 수직보정율(KRSY)) 및 표시화상영역(IF)의 수직방향의 라인 수(IMGY)에 의거하여 하기의 수학식 15a, 수학식 15b에 의해서 산출된다.
KSSY=KRSYㆍIMGY
STLAD=IMGY-KSSY
또, 오프셋트라인 어드레스(OFFLAD)는, 예컨대 하기의 수학식 16a~ 수학식 16c에 의해서 산출된다.
OFF=KSSY-MEMY
BLAD=LAD-STLAD
Figure 112000014365205-pct00023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는, 기준 라인 어드레스(BLAD)와 오프셋트라인 어드레스(OFFLAD)에 의거하여 하기의 수학식 17로부터 산출된다.
BLAD=BLAD-OFFLAD
오프셋트어드레스(OFFLAD)는, 원화상(MF)와 사다리꼴화상부(CF1a)와의 라인수의 차분(差分)을, 사다리꼴화상부(CFla)의 430개의 라인 중의 어느 위치로 흡수하는 가를 나타내고, 아오리 투사에 의해서 발생하는 수직방향의 확대 뒤틀림을 보정하도록 설정된다.
단지, 도 3의 회로에서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바와 같이, 라인 어드 레스발생회로(200)는, 수학식 15~ 수학식 17을 쓰는 대신에, 수직보정제어회로(180)로부터 주어지는 제1, 제2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1, LADC2)에 따라서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를 갱신한다.
제2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2)는, 오프셋트라인 어드레스(OFFLAD)가 하나 전의 라인 어드레스(LAD) 에서의 오프셋트라인 어드레스(OFFLAD)의 값에 대하여 변화하였을 때는,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2)는 L레벨을 유지하고,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는, 제1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1)가 H레벨인 동안에만, 그 값이 변화하도록 설정된다. 이 때,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는,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2)가 H레벨에서 L레벨로 변화한 경우를 제외하고 +1 증가하며, H레벨에서 L레벨로 변화한 경우에는 증가하지 않는다. 도 16으로서는, 예컨대, 기준 라인 어드레스(BLAD)의 180에서 181로 변화하면, 오프셋트라인 어드레스(OFFLAD)가 12에서 13으로 변화하고, 제2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2)가 L레벨에서 H레벨로 변화한다. 그리고, 기준 라인 어드레스(BLAD)의 181에서 182로 변화하면, 오프셋트라인 어드레스(OFFLAD)는 13을 유지하고, 제2의 라인 어드레스제어신호(LADC2)가 H레벨에서 L레벨로 변화한다. 따라서, 기준 라인 어드레스(BLAD)가 181에서 182로 변화하여도 판독출력라인 어드레스(MLAD)는 169 인 채로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수평보정회로(172) 및 수직보정회로(170)의 동작 타이밍은, 도 9 및 도 11에 도시한 제1실시예의 타이밍차트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뒤틀림보정화상(CF1)과 투사된 표시화상과의 관계를 수직방향으로 착안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7a-1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수직방향에 500라인을 가지는 원화상(MF)을 수직방향으로 축소하여, 도 17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틀림 보정화상(CF)을 작성하고, 이 뒤틀림 보정화상(CF)을 투사하여, 도 17a-3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거의 뒤틀림이 없는 표시화상을 얻는다. 뒤틀림 보정화상(CF)의 라인 어드레스가 99, 199, 299,399, 499인 각 라인에는 원화상(MF)의 라인 어드레스가 37, 161, 281, 394, 499인 각 라인이 대응한다. 그리고, 표시화상의 라인 어드레스가 37~161, 161~281, 281~394, 394~499인 각 라인사이에는, 각각 뒤틀림 보정화상(CF)의 라인 어드레스가 99~199, 199~299, 299~399, 399~499인 각 라인사이의 화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표시화상의 라인 어드레스가 37~161 사이의 124개의 표시 라인 위에는, 뒤틀림 보정화상(CF)의 100라인 분의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라인밀도 (KL)는 약0.81 (100/124)이다. 마찬가지로, 표시화상의 라인 어드레스가 161~281, 281~394, 394~499인 각 라인사이에서 실질적인 라인밀도 (KL)는, 각각 약 0. 83, 0. 89, 0. 95이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는, 표시화상에 있어서 실질적인 라인밀도가 수직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꽤 크게 변화하고, 이 결과, 표시화상의 상부와 하부에서의 수직방향의 실질적인 해상도가 크게 변화한다.
한편,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7a-1과 동일한 수직방향으로 500라인을 가지는 원화상(MF)을 도 17b-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소하고, 축소된 화상(MFa)을 수직방향으로 확대하여, 도 17b-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틀림 보정화상(CF1)을 작성하고, 이 뒤틀림 보정화상(CF1)을 투사하여, 도 17b-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뒤틀림이 없는 표시화상을 얻는다. 뒤틀림 보정화상(CF1)의 라인 어드레스가 99, 199, 299, 399, 499인 각 라인에는 축소화상(MFa)의 라인 어드레스가 29, 122, 209, 290, 369인 각 라인이 대응한다. 뒤틀림 보정화상(CF1)의 라인 어드레스가 99~199 사이의 100개의 라인은, 축소화상(MFa)의 93개의 라인이 확대된 것이므로, 이 부분의 실질적인 라인 수 (ML)는 93개이다. 마찬가지로, 뒤틀림 보정화상(CF1)의 199~299, 299~399, 399~499의 각 라인사이의 실질적인 라인 수{ML(즉 축소화상 (MFa)의 라인수)}는, 각각 87, 81, 79개이다. 따라서, 표시화상의 라인 어드레스가 37~161의 사이의 124개의 표시 라인 위에는, 실질적인 라인 수(ML)가 93개인 뒤틀림 보정화상(CF1)의 100라인 분의 화상이 표시되므로, 이 부분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라인밀도(KL)는 약 O.75(93/124)이다. 마찬가지로, 표시화상의 라인 어드레스가 161~281, 281~394, 394~499인 각 라인사이에는, 실질적인 라인 수(ML)가 87, 81, 79개인 화상이 각각 표시되기 때문에, 이들 부분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라인밀도(KL)는, 각각 약0.73, 0.72, 0.75이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 비하여 각 라인사이의 실질적인 라인밀도(KL)의 변화가 작아진다. 따라서,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비하여 표시화상의 상부와 하부에서의 수직방향의 실질적인 해상도의 변화를 작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투사표시되는 화상의 수직방향의 화상품질을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윗 방향으로의 아오리 투사에 의해서 발생하는 수직방향의 뒤틀림은, 화상의 상측일수록 크게 확대되고, 투사스크린 위에 표시되는 화상의 라인밀도는, 화상의 상측일수록 작고, 화상의 하측일수록 크다. 따라서, 사다리꼴화상(CFla)의 작은쪽 저변에 대응하는 원화상(MF)의 실질적인 라인 수는 많고, 큰 쪽 저변에 대응하는 원화상(MF)의 실질적인 라인 수는 적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비하여 수평방향의 화상품질도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비하여 아오리 투사에 의해서 표시되는 화상의 품질을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직확대율(KRSY')은, 상술과 같이 수직상방향의 아오리 투사에 의해서 발생하는 표시화상의 하부측 보다도 상부측의 라인밀도가 낮아지는 라인밀도의 변화를 보정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확대율(KRSY')은, 수직보정율(KRSY)의 역수(逆數)에 상당하는 확대율로 설정하고, 축소화상(MFa)을 축소화상(MFa)의 상부측을 기준으로 상부측에서부터 하부측으로 보다 크게 확대하도록, 원화상(MF)을 축소하여 축소화상(MFa)을 생성하고 있다. 이 대신에, 도 13d에 나타내는 보완화상부(CFlb)의 수직 라인 수(KSY)와 동등한 라인 수 만큼 축소화상을 수직방향으로 확대하여 사다리꼴화상부(CF1a)를 생성할 수 있도록, 축소화상(MFa)의 수직 라인 수를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수직확대율 (KRSY')이 1 이상으로 설정되도록, 축소화상(MFa)의 라인 수를 뒤틀림 보정화상 (CF1)의 유효화상부 (CFla)의 라인 수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면 좋다.
또한, 상기 이유에 의한 수직방향의 해상도 저하의 화상품질에 대한 영향은 그다지 현저하지 않기 때문에, 수직확대율(KRSY')을 1로 하여,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152)에 있어서의 수직방향의 확대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또, 수직방향의 뒤틀림 보정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해도 좋다. 즉, 원화상(MF)을 수평방향으로만 축소한 화상을 축소화상(MFa)으로 한다. 그리고, 수평방향의 뒤틀림 보정은, 상기와 같이, 축소화상(MFa)을 확대함으로써 행하고, 수직방향의 뒤틀림 보정은, 아오리 투사에 의한 화상의 확대를 제거하도록 축소하여도 좋다.
상술과 같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3에 나타내는 수평보정회로(172)에서는, 수평보정제어회로(190)에 있어서 산출된 수평방향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 파라미터(도 14, 도 15)에 따라서, 액정패널(126)(도 1)에 대응하는 표시화상영역(IF)(도 12)의 각 라인의 각 화소에 대하여 원화상(MF)(도 13)의 어느 화소를 대응시키는가를 결정하여 출력할 수가 있다. 더구나, 이 산출에 사용되는 수학식 13, 수학식 14의 각 계산식에 있어서,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을 위해서 사용자가 조정하지 않으면 안되는 수평보정 파라미터는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54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155
2X'),즉,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56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157
2X)뿐 이다. 따라서, 용이하게 조정이 가능하다. 또,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58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159
2x')를 각각 독립으로 설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상하방향에 아오리 각이 발생하고 있을 때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에 아오리 각이 발생하고, 발생하는 사다리꼴 뒤틀림의 형상이 좌우대칭이 아닌 경우에도 대응 가능하다. 또한, 사다리꼴 뒤틀림의 형상이 좌우대칭일 때는,
Figure 112000014365205-pct00160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161
2X라고 하면 좋고, 공통의 1개의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62
X)를 사용하여 사다리꼴 뒤틀림을 보정할 수도 있다.
또, 수직보정제어회로(180)에 있어서도, 결정된 수직방향의 보정 파라미터( 도 16)에 따라서, 액정패널(126)(도 1)에 대응하는 표시화상영역(IF)(도 12)의 각 라인에 대하여 원화상(MF)(도 13)의 어느 라인을 대응시키는가를 결정할 수가 있다. 더구나, 이 결정에 사용되는 수학식 15~ 수학식 17의 각 계산식에 있어서, 아오리 투사에 의해서 발생하는 뒤틀림 화상을 보정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정하지 않으면 안되는 파라미터는, 제1실시예와 같이 수직보정율(KSRY)뿐 이고, 종래에 비하여 용이하게 조정이 가능하다.
그 위에,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원화상(MF)을, 일단 축소하고, 축소화상(MFa)을 사다리꼴화상부(CFla)의 좌단연 및 우단연의 경사에 따른 수평확대율로 각 수평 라인마다 확대하는 것에 의해 뒤틀림 보정화상(CF1)의 사다리꼴화상부(CF1a)를 생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투사화상의 상부측과 하부측에서의 각 화상품질을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수직보정회로(170), 및 수평보정회로(172)의 동작설명에서는, 수평확대/축소율(RSX=1), 및 수직확대/축소율(RSY=1)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물론 확대/축소율(RSX, RSY)를 1이상의 범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원화상(MF)이 뒤틀림 보정화상(CF1)의 사다리꼴화상부(CFla)의 상부 저변의 수평화소수보다도 적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확대/축소율(RSX, RSY)를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프레임메모리(120)에 기록입력된 화상을 표시화상영역(IF)의 사이즈로 확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 (152)에 있어서는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을 위한 확대처리만을 행하고, 확대/축소율 (RSX, RSY)에 대응하는 확대는, 확대/필터회로(154)에서 행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상술한바와 같이,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152)는, 수평확대율(FRSX') 및 수직확대율 (KRSY')에 따라서 축소화상(MFa)을 확대 처리하는 회로이고, 확대/필터회로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수평확대율(FRSX'), 및 수직확대율(KRSY')에 각각 수평확대/축소율(RSX), 및 수직확대/축소율(RSY)을 곱한 값을 수평확대율(FRSX'), 및 수직확대율(KRSY')로 함으로써, 확대/필터회로(154)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154)를, 축소/필터회로(144)와 기록입력/판독출력제어회로 (146)와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뒤틀림 보정처리후의 화상을 프레임메모리(120)에 기록입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비디오프로세서(122)가 본 발명의 화상 보정부에 상당하고, 축소/필터회로(144) 및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회로(152)가 제1의 보정부에 상당한다. 또, 축소/필터회로(144)가 축소부에 상당하고, 수평보정회로(172)가 수평보정부에 상당하고, 수직보정회로(170)가 수직보정부에 상당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설정 가능한 수직보정 파라미터로서의 수직보정율(KRSY)과, 수평보정 파라미터로서의 기울기(
Figure 112002039742179-pct00163
1X,
Figure 112002039742179-pct00164
2X), 혹은 좌상단/우상단 보완화소수(XST, XED)에 따라서, 아오리 투사에 의해서 발생하는 뒤틀림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뒤틀림 보정화상을 생성할 수가 있다. 또, 수평보정 파라미터는, 화상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독립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좌우대칭형의 뒤틀림 화상뿐만 아니라, 좌우비대칭인 뒤틀림화상도 보정 가능하다. 그 위에,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뒤틀림 보정화상의 생성에 있어서 사다리꼴 뒤틀림에 따라서 발생하는 해상도의 변화를 억제하고, 화상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 태양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되어 있던 구성의 일부를소프트웨어로 치환(置換)하도록 하여도 좋고, 반대로,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현되어 있던 구성의 일부를 하드웨어로에 치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시의 라인의 결락이나 화소 결락의 완화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의 가중평균처리에 의해서 실현하고 있지만, 가중평균처리 이외의 여러가지의 보간처리를 사용하여, 화상 결락의 완화를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간처리로서는, 예컨대 기하평균이나 직선보간, 비직선보간 등의 여러가지 처리를 이용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변조수단으로서 액정라이트밸브(액정패널)를 사용한 투사형표시장치의 화상처리장치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액정 라이트밸브와 같이 2차원으로 배열된 배열화소를 가지는 것, 예컨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 가능하다. 또, CRT를 사용한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좌우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평보정 파라미터로서 각각 독립한 2개의 파라미터(예컨대,
Figure 112000014365205-pct00165
1X,
Figure 112000014365205-pct00166
2X)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좌우의 보정량이 대칭인 경우에는, 공통하는 1개의 수평보정 파라미터(예컨대, 기 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67
1X 또는
Figure 112000014365205-pct00168
2X의 한쪽에 상당하는 기울기
Figure 112000014365205-pct00169
X에 의거하여 뒤틀림 보정을 실시할 수 가 있다.
본 발명은, 화상을 투사하여 표시하는 투사형표시장치를 위한 화상처리장치에 적용가능하고, 예컨대, 액정프로젝터 등의 투사형표시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액정패널을 사용한 화상표시장치에 한정하지 않고, CRT나 디지탈
Figure 112000014365205-pct00182
마이크로미러
Figure 112000014365205-pct00183
디바이스(TI사의 상표) 등의 광변조장치를 사용한 투사형표시장치의 화상처리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4)

  1. 화상형성부 위에 형성된 화상을 스크린 위에 투사하여 표시하는 투사형표시장치의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되는 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화상처리장치로서,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된 뒤틀림이 없는 원화상이 상기 스크린 위에 아오리 투사되는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의 뒤틀림을 보정하기 위해서, 상기 원화상의 형상을 보정한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 주는 화상보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보정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평보정 파라미터(
    Figure 112005064218246-pct00193
    1X,
    Figure 112005064218246-pct00194
    2X)를 격납하는 제어조건 레지스터와,
    이 수평보정 파라미터(
    Figure 112005064218246-pct00195
    1X,
    Figure 112005064218246-pct00196
    2X)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의 각 수평 라인마다,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표시개시위치와 표시종료위치 사이에 위치한 표시화소영역을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화소영역내의 화소수와 상기 원화상의 1라인에 포함되는 화소수와의 관계로부터 상기 표시화소영역내의 각 화소와 상기 원화상의 각 화소와의 제1의 대응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제1의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는 제1의 보정부
    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보정 파라미터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적어도 2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은, 각각 독립하여 설정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보정부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상기 표시화소영역내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원화상에 의거한 보간(補間)필터처리를 행하는 화소 필터처리부를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보정부의 제어조건 레지스터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상하방향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직보정 파라미터(KRSY)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상보정부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상하방향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직보정 파라미터(KRSY)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서의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표시개시 라인과 표시종료 라인 사이에 위치한 표시 라인영역을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 라인영역내의 각 라인과 상기 원화상의 각 라인과의 제2의 대응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제2의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는 제2의 보정부
    를 더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대응관계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 중의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의 높이와 상기 원화상의 높이에 의거하여 결정되고, 상기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작은 쪽 저변에 가까울수록 상기 유효화상부분의 1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원화상의 라인수가 많고, 상기 대략사다리꼴형상의 큰 쪽의 저변에 가까울수록 상기 유효화상부분의 1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원화상의 라인수가 적어지는 관계인 화상처리장치.
  6. 화상형성부 위에 형성된 화상을 스크린 위에 투사하여 표시하는 투사형표시장치의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되는 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화상처리장치로서,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된 뒤틀림이 없는 원화상이 상기 스크린 위에 아오리 투사되는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의 뒤틀림을 보정하기 위해서, 상기 원화상의 형상을 보정한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 주는 화상보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보정부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평보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의 각 수평 라인마다,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표시개시위치와 표시종료위치 사이에 위치한 표시화소영역을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화소영역내의 화소수와 상기 원화상의 1라인에 포함되는 화소수와의 관계로부터 상기 표시화소영역내의 각 화소와 상기 원화상의 각 화소와의 제1의 대응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제1의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는 제1의 보정부와,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상하방향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직보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서의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표시개시 라인과 표시종료 라인 사이에 위치한 표시 라인영역을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 라인영역내의 각 라인과 상기 원화상의 각 라인과의 제2의 대응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제2의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는 제2의 보정부
    를 구비하며,
    상기 제2의 대응관계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 중의 대략 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의 높이와 상기 원화상의 높이에 의거하여 결정되고, 상기 대략 사다리꼴형상의 작은 쪽 저변에 가까울수록 상기 유효화상부분의 1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원화상의 라인수가 많고, 상기 대략사다리꼴형상의 큰 쪽의 저변에 가까울수록 상기 유효화상부분의 1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원화상의 라인수가 적어지는 관계이며,
    상기 제 2의 대응 관계는, 아래에 나타내는 수학식, 즉
    Figure 112005026138290-pct00024
    에 의해 결정되는데, 여기서, MLAD는 상기 원화상의 라인을 나타내고, RSY는 상기 원화상의 높이에 대한 상기 표시화상영역의 높이의 비를 나타내며, LAD는 상기 표시 라인영역내의 라인을 나타내고, IMGY는 상기 원화상의 높이를 나타내며, KSSY는 상기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의 높이를 나타내는, 화상처리장치.
  7. 화상형성부 위에 형성된 화상을 스크린 위에 투사하여 표시하는 투사형표시장치의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되는 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화상처리장치로서,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된 뒤틀림이 없는 원화상이 상기 스크린 위에 아오리 투사되는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의 뒤틀림을 보정하기 위해서, 상기 원화상의 형상을 보정한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 주는 화상보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보정부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평보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의 각 수평 라인마다,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표시개시위치와 표시종료위치 사이에 위치한 표시화소영역을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화소영역내의 화소수와 상기 원화상의 1라인에 포함되는 화소수와의 관계로부터 상기 표시화소영역내의 각 화소와 상기 원화상의 각 화소와의 제1의 대응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제1의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는 제1의 보정부와,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상하방향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직보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서의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표시개시 라인과 표시종료 라인 사이에 위치한 표시 라인영역을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 라인영역내의 각 라인과 상기 원화상의 각 라인과의 제2의 대응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제2의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는 제2의 보정부
    를 구비하며,
    상기 제2의 보정부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상기 표시 라인영역내의 라인에 대하여, 상기 원화상에 의거한 보간 필터처리를 실시하는 라인 필터처리부를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
  8. 화상형성부 위에 형성된 화상을 스크린 위에 투사하여 표시하는 투사형표시장치의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되는 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화상처리장치로서,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된 뒤틀림이 없는 원화상이 상기 스크린 위에 아오리 투사되는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의 뒤틀림을 보정하기 위해서, 상기 원화상의 형상을 보정한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 주는 화상보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보정부는, 상기 원화상을 축소하여 축소화상을 생성하는 축소부와, 상기 축소화상의 각 수평 라인을,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평보정 파라미터 및 각 수평 라인의 위치에 따라 1이상의 확대율로 각각 확대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을 보정함으로써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는 수평보정부를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화상의 수평폭은,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 중의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의 최소의 수평폭과 같은 화상처리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정 파라미터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적어도 2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은, 각각 독립하여 설정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정부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상기표시화소영역내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축소화상에 의거한 보간 필터처리를 행하는 화소 필터처리부를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화상의 수직방향의 높이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 중의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의 수직방향의 높이 이하이고,
    상기 화상보정부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상하방향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직보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서의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표시개시 라인과 표시종료 라인 사이에 위치한 표시 라인영역을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 라인영역 내의 각 라인과 상기 축소화상의 각 라인과의 대응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축소화상을 확대하여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는 수직보정부를 더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관계는, 상기 화상형성부에 뒤틀림이 없는 화상이 형성되었다고 하였을 때에 상기 스크린 위에 아오리 투사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수직방향의 뒤틀림을 제거하도록, 상기 축소화상으로부터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에의 수직방향의 확대율을 수직방향의 위치마다 조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 중의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이 작성되도록 결정되는 화상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관계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 중의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의 높이와 상기 축소화상의 높이에 의거하여 결정되고, 상기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작은 쪽의 저변에 가까울수록 상기 유효화상부분의 1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원화상의 실질적인 라인수가 많고, 상기 대략사다리꼴형상의 큰 쪽의 저변에 가까울수록 상기 유효화상부분의 1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원화상의 실질적인 라인수가 적어지는 관계인 화상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관계는, 아래에 나타내는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는 화상처리장치.
    Figure 112002039742179-pct00025
    여기서, MLAD는 상기 원화상의 라인을 나타내고, LAD는 상기 표시 라인영역내의 라인을 나타내고, IMGY는 상기 원화상의 높이를 나타내며, KSSY는 상기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의 높이를 나타내며, MEMY는 상기축소화상의 높이를 나타낸다.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정부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상기 표시 라인영역 내의 라인에 대하여, 상기 축소화상에 의거한 보간 필터처리를 행하는 라인 필터처리부를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
  17. 화상형성부 위에 형성된 화상을 스크린 위에 투사하여 표시하는 투사형표시장치의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되는 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화상처리방법으로서,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된 뒤틀림이 없는 원화상이 상기 스크린 위에 아오리 투사되는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의 뒤틀림을 보정하기 위해서, 상기 원화상의 형상을 보정한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 주는 화상보정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보정공정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평보정 파라미터(
    Figure 112005064218246-pct00197
    1X,
    Figure 112005064218246-pct00198
    2X)를 격납하는 제 1 격납 공정과,
    이 수평보정 파라미터(
    Figure 112005064218246-pct00199
    1X,
    Figure 112005064218246-pct00200
    2X)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의 각 수평 라인마다,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표시개시 위치와 표시종료 위치 사이에 위치한 표시화소영역을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화소영역 내의 화소수와 상기 원화상의 1라인에 포함되는 화소수와의 관계로부터 상기 표시화소영역 내의 각 화소와 상기 원화상의 각 화소와의 제1의 대응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제1의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는 제1의 보정공정
    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보정 파라미터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적어도 2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은, 각각 독립하여 설정 가능한,
    화상처리방법.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보정공정은,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상기 표시화소영역내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원화상에 의거한 보간 필터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화상처리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보정공정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상하방향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직보정 파라미터(KRSY)를 격납하는 제 2 격납 공정과,
    이 수직보정 파라미터(KRSY)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서의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표시개시 라인과 표시종료 라인 사이에 위치한 표시 라인영역을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 라인영역 내의 각 라인과 상기 원화상의 각 라인과의 제2의 대응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제2의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는 제2의 보정공정
    을 더 구비하는, 화상처리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대응관계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 중의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의 높이와 상기 원화상의 높이에 의거하여 결정되고, 상기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작은 쪽의 저변에 가까울수록 상기 유효화상부분의 1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원화상의 라인수가 많고, 상기 대략사다리꼴형상의 큰 쪽의 저변에 가까울수록 상기 유효화상부분의 1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원화상의 라인수가 적어지는 관계인 화상처리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대응관계는, 아래에 나타내는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는 화상처리방법.
    Figure 112002039742179-pct00026
    여기서, MLAD는 상기 원화상의 라인을 나타내고, RSY는 상기 원화상의 높이에 대한 상기 표시화상영역의 높이의 비를 나타내며, LAD는 상기 표시 라인영역내의 라인을 나타내고, IMGY는 상기 원화상의 높이를 나타내며, KSSY는 상기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의 높이를 나타낸다.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보정공정은,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상기 표시 라인영역 내의 라인에 대하여, 상기 원화상에 의거한 보간 필터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화상처리방법.
  24. 화상형성부 위에 형성된 화상을 스크린 위에 투사하여 표시하는 투사형표시장치의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되는 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화상처리방법으로서,
    상기 화상형성부에 형성된 뒤틀림이 없는 원화상이 상기 스크린 위에 아오리 투사되는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의 뒤틀림을 보정하기 위해서, 상기 원화상의 형상을 보정한 뒤틀림보정화상을 작성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 주는 화상보정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보정공정은,
    상기 원화상을 축소하여 축소화상을 생성하는 축소공정과,
    상기 축소화상의 각 수평 라인을,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평보정 파라미터 및 각 수평 라인의 위치에 따라 1이상의 확대율로 각각 확대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을 보정함으로써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을 작성하는 수평보정공정을 구비하는 화상처리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화상의 수평폭은,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 중의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의 최소의 수평폭과 같은 화상처리방법.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정 파라미터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적어도 2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은, 각각 독립하여 설정가능한 화상처리방법.
  27.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정공정은,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상기 표시화소영역 내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축소화상에 의거한 보간 필터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화상처리방법.
  28.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화상의 수직방향의 높이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 중의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의 수직방향의 높이 이하이고,
    상기 화상보정공정은,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상하방향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수직보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서의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표시개시 라인과 표시종료 라인 사이에 위치한 표시 라인영역을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 라인영역 내의 각 라인과 상기 축소화상의 각 라인과의 대응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축소화상을 확대하여 상기 뒤틀림보정화상을 작성하는 수직보정공정을 더 구비하는
    화상처리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관계는, 상기 화상형성부에 뒤틀림이 없는 화상이 형성되었다고 하였을 때에 상기 스크린 위에 아오리 투사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수직방향의 뒤틀림을 제거하도록, 상기 축소화상으로부터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에의 수직방향의 확대율을 수직방향의 위치마다 조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 중의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이 작성되도록 결정되는 화상처리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관계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 중의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의 높이와 상기축소화상의 높이에 의거하여 결정되고, 상기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작은 쪽의 저변에 가까울수록 상기 유효화상부분의 1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원화상의 실질적인 라인수가 많고, 상기 대략사다리꼴형상의 큰 쪽의 저변에 가까울수록 상기 유효화상부분의 1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원화상의 실질적인 라인수가 적어지는 관계인 화상처리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관계는, 아래에 나타내는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는 화상처리방법.
    Figure 112002039742179-pct00027
    여기서, MLAD는 상기 원화상의 라인을 나타내고, LAD는 상기 표시 라인영역 내의 라인을 나타내며, IMGY는 상기 원화상의 높이를 나타내며, KSSY는 상기 대략사다리꼴형상의 유효화상부분의 높이를 나타내며, MEMY는 상기 축소화상의 높이를 나타낸다.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정공정은,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상기 표시 라인영역 내의 라인에 대하여, 상기 축소화상에 의거한 보간 필터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화상처리방법.
  3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정 파라미터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적어도 2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은, 각각 독립하여 설정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3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정 파라미터는, 상기 뒤틀림 보정화상의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적어도 2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과 우측의 뒤틀림의 보정량은, 각각 독립하여 설정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KR1020007007621A 1998-02-18 1999-02-12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KR100571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453098 1998-02-18
JP10-54530 1998-02-18
JP10/324587 1998-10-28
JP32458798A JP4089051B2 (ja) 1998-02-18 1998-10-28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PCT/JP1999/000632 WO1999043155A1 (fr) 1998-02-18 1999-02-12 Dispositif et procede de traitement d'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844A KR20010024844A (ko) 2001-03-26
KR100571988B1 true KR100571988B1 (ko) 2006-04-17

Family

ID=2639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621A KR100571988B1 (ko) 1998-02-18 1999-02-12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50647B1 (ko)
EP (2) EP1058452B1 (ko)
JP (1) JP4089051B2 (ko)
KR (1) KR100571988B1 (ko)
CN (1) CN1241406C (ko)
DE (1) DE69933436T2 (ko)
TW (1) TW411699B (ko)
WO (1) WO19990431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3113B2 (ja) 1999-01-29 2010-06-30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ジェクタおよび投影画像補正装置
JP4252671B2 (ja) * 1999-05-21 2009-04-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
JP2001034245A (ja) * 1999-07-21 2001-02-09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制御システム、画像信号発生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154820B2 (ja) * 1999-12-09 2008-09-24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ドットクロック調整方法およびドットクロック調整装置
US6922483B2 (en) * 1999-12-28 2005-07-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for measuring DMD low frequency spatial uniformity
JP3530443B2 (ja) * 2000-01-05 2004-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3826659B2 (ja) * 2000-03-27 2006-09-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表示システム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GB0022065D0 (en) * 2000-09-08 2000-10-25 Wynne Willson Gottelier Ltd Image projection apparatus
TW480362B (en) * 2000-09-14 2002-03-21 Delta Electronics Inc Automatic calibration method and device of the projector display
JP2002090880A (ja) * 2000-09-20 2002-03-27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TW493143B (en) * 2001-03-02 2002-07-01 Ulead Systems Inc Correction for perspective distortion image and method for artificial perspective distortion image
DE20109394U1 (de) 2001-06-06 2001-08-16 Carl Zeiss Jena Gmbh, 07745 Jena Projektionsanordnung
JP4756567B2 (ja) * 2001-07-12 2011-08-24 株式会社リコー 投射型表示装置の画像補正方法
JP2003150296A (ja) * 2001-11-14 2003-05-23 Nec Corp 端末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3153135A (ja) * 2001-11-16 2003-05-23 Sanyo Electric Co Ltd 投射型表示装置
JP2003216130A (ja) * 2002-01-28 2003-07-30 Nec Viewtechnology Ltd ひずみ補正機能を備えた投写型表示装置
WO2003069556A1 (fr) * 2002-02-15 2003-08-21 Fujitsu Limited Procede et dispositif de conversion d'image, dispositif de reconnaissance d'image, dispositif de commande robotisee et dispositif de projection d'image
US7093202B2 (en) * 2002-03-22 2006-08-15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rpreting imprecise object selection paths
JP2004004284A (ja) * 2002-05-31 2004-01-08 Canon Inc 投射型表示装置
GB2396268B (en) * 2002-12-13 2006-04-12 Digital Projection Ltd Projection system
JP3541845B1 (ja) * 2003-02-17 2004-07-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の画像補正方法及びプロジェクタ
JP3630166B2 (ja) 2003-06-26 2005-03-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画像の歪補正量調整
JP3846592B2 (ja) * 2003-06-26 2006-1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7001023B2 (en) * 2003-08-06 2006-02-21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projectors to arbitrarily shaped surfaces with discrete optical sensors mounted at the surfaces
JP2005210418A (ja) * 2004-01-22 2005-08-04 Sanyo Electric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00361519C (zh) * 2004-03-17 2008-01-09 扬明光学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的投影方法
JP3888465B2 (ja) * 2004-05-26 2007-03-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7379619B2 (en) * 2005-03-09 2008-05-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wo-dimensional keystone correction for aerial imaging
US7587660B2 (en) * 2005-04-22 2009-09-08 Kansas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Multiple-access code generation
US7738712B2 (en) * 2006-01-04 2010-06-15 Aten International Co., Ltd. Mixing 2-D gradient-difference and interpolation/decimation method and device for scaling a digital image
EP1827003B1 (en) * 2006-02-22 2015-07-01 Océ-Technologies B.V. Method for correction of a trapezoidal distortion of images
CN101674391B (zh) * 2008-09-09 2011-11-30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crt电视机
JP4858532B2 (ja) * 2008-12-10 2012-0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及びその画像表示方法
JP5336939B2 (ja) * 2009-06-15 2013-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916175B (zh) * 2010-08-20 2012-05-02 浙江大学 自适应于投影表面的智能投影方法
DE102011101004A1 (de) 2011-05-10 2015-08-13 Audi Ag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Darstellung eines Gegenstandes auf einer Kraftfahrzeug-Anzeigeeinrichtung
JP5924020B2 (ja) * 2012-02-16 2016-05-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US9654743B2 (en) * 2012-08-29 2017-05-16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CN105404011B (zh) * 2015-12-24 2017-12-12 深圳点石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抬头显示器的3d图像校正方法以及抬头显示器
JP2019012361A (ja) * 2017-06-29 2019-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3061557A (ja) * 2021-10-20 2023-05-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投射方法及びプロジェクタ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9237A (ja) * 1995-04-12 1996-11-01 Sony Corp プロジエクタ装置
JPH08336092A (ja) * 1995-06-07 1996-12-17 Nec Corp 液晶プロジェクタの歪み補正回路
EP0777198A1 (en) * 1995-11-30 1997-06-04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H09261568A (ja) * 1996-03-21 1997-10-03 Nec Corp キーストン歪み補正装置
KR100188218B1 (ko) * 1995-11-13 1999-06-01 전주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비대칭화면 보정위치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2225A (en) * 1979-09-14 1981-04-20 Fuji Xerox Co Ltd Original for oblique projection and its making device
JP2925777B2 (ja) * 1991-04-23 1999-07-28 三洋電機株式会社 液晶プロジェクタの歪み補正回路
JPH0537880A (ja) * 1991-07-15 1993-02-12 Sanyo Electric Co Ltd 歪み補正回路
JP2911316B2 (ja) * 1992-08-28 1999-06-23 三洋電機株式会社 液晶プロジェクタのあおり補正回路
JPH08102900A (ja) * 1994-10-03 1996-04-16 Sony Corp 液晶プロジェクタ装置
EP0842582A1 (en) * 1995-08-02 1998-05-20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Linked list structure onscreen display
JPH09200663A (ja) * 1995-11-13 1997-07-31 Daewoo Electron Co Ltd 投射型の画像表示システムでの非対称画像の先補償方法
JPH09149284A (ja) * 1995-11-20 1997-06-06 Hitachi Ltd 左右非対称歪補正回路
JP2939795B2 (ja) * 1995-11-24 1999-08-25 株式会社ナナオ ビデオモニタの調整システム
JP3050282B2 (ja) * 1996-03-06 2000-06-12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プロジェクタの歪み補正装置
JPH09261569A (ja) * 1996-03-27 1997-10-03 Nec Corp キーストン歪み補正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9237A (ja) * 1995-04-12 1996-11-01 Sony Corp プロジエクタ装置
JPH08336092A (ja) * 1995-06-07 1996-12-17 Nec Corp 液晶プロジェクタの歪み補正回路
KR100188218B1 (ko) * 1995-11-13 1999-06-01 전주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비대칭화면 보정위치제어 방법
EP0777198A1 (en) * 1995-11-30 1997-06-04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H09261568A (ja) * 1996-03-21 1997-10-03 Nec Corp キーストン歪み補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844A (ko) 2001-03-26
EP1058452A1 (en) 2000-12-06
EP1711008A2 (en) 2006-10-11
JP4089051B2 (ja) 2008-05-21
TW411699B (en) 2000-11-11
DE69933436T2 (de) 2007-08-16
CN1241406C (zh) 2006-02-08
JPH11305715A (ja) 1999-11-05
EP1058452A4 (en) 2005-05-11
EP1058452B1 (en) 2006-10-04
CN1291407A (zh) 2001-04-11
DE69933436D1 (de) 2006-11-16
WO1999043155A1 (fr) 1999-08-26
EP1711008A3 (en) 2007-10-10
US6450647B1 (en) 2002-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1988B1 (ko)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US6695451B1 (en) Multi-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KR100188218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비대칭화면 보정위치제어 방법
US6814448B2 (en) Image projection and display device
TW468335B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JP2009225226A (ja) プロジェクタ、電子機器、および、プロジェクタの制御方法
EP1550979A1 (en) Image conversion device, image conversion method, and image projection device
JP3630166B2 (ja) 投写画像の歪補正量調整
US20030067587A1 (en) Multi-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JP520074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646580B2 (ja) 投写型表示装置、並びに、投写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の表示方法
JPH10507332A (ja) 投射型画像表示システムにおける非対称画像先補償方法及び装置
JP532094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3677188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H09200663A (ja) 投射型の画像表示システムでの非対称画像の先補償方法
JP2006033672A (ja) 曲面マルチスクリーン投射方法及び曲面マルチスクリーン投射装置
JP3959740B2 (ja) プロジェクタおよび画像補正方法
EP0774871A2 (en) Projector equipped with corrector circuit for color phase irregularities and brightness irregularities
JP3938346B2 (ja) 投射型表示装置
CN100394787C (zh) 图象处理装置和图象处理方法
JP4186640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9194420A (ja) 画素ずれ測定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画素ずれ測定方法
JPH05196913A (ja) 液晶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
JP2003162000A (ja) 映像表示装置
JPH09116912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