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416B1 - 습식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416B1
KR100561416B1 KR1020040004428A KR20040004428A KR100561416B1 KR 100561416 B1 KR100561416 B1 KR 100561416B1 KR 1020040004428 A KR1020040004428 A KR 1020040004428A KR 20040004428 A KR20040004428 A KR 20040004428A KR 100561416 B1 KR100561416 B1 KR 100561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ink
container
developing contain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6444A (ko
Inventor
신중광
송인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416B1/ko
Priority to US11/024,802 priority patent/US7260344B2/en
Priority to CNB2005100037685A priority patent/CN100399206C/zh
Publication of KR20050076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23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pneu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6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습식 현상장치는, 그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배출구가 마련되고 배출구보다 낮은 위치에 잉크카트리지와 연결된 유입구가 마련된 제1현상용기와, 배출구를 통하여 제1현상용기로부터 넘친 잉크가 수용되고 잉크카트리지와 연결된 회수구가 구비된 제2현상용기를 포함하여, 유입구를 통하여 잉크카트리지로부터 제1현상용기로 공급된 잉크는 배출구를 통하여 넘쳐서 일부는 현상롤러로 부착되고 나머지는 제2현상용기에 수용된 후에 잉크카트리지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고농도의 잉크를 별도의 희석과정을 거치지 않고 현상용기에 직접 공급하며 현상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잉크 공급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인쇄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현상장치{Liquid type developing apapratus}
도 1은 이러한 습식 현상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현상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제1현상용기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제1현상용기의 부분절개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습식 현상장치가 적용된 습식 칼라인쇄기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현상용기
210,220,230......제1, 제2, 제3현상용기
211......유입구 212......배출구
214......병목부 221......회수구
240......잉크카트리지 250......폐잉크통
270......플로우 가이드 2101......감광드럼
102......현상롤러 103......디포지트롤러
104......메터링롤러 105......클리닝롤러
110......대전기 120......노광기
130......클리닝블레이드 140......제전기
201......전사체, 전사벨트 202......전사롤러
203......정착기
본 발명은 현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농도의 습식 현상제를 사용하는 습식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습식 현상제는 분말상의 토너입자가 액상의 캐리어(용매)에 분산된 형태의 현상제를 말한다. 이하에서, 습식현상제는 잉크라 칭한다. 습식 현상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잉크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도 1은 이러한 습식 현상장치의 일 예로서, 미국특허 5,255,058호에 개시된 종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보면, 정전잠상에 형성되는 감광체(10)와, 감광체(10)에 잉크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잉크공급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참조부호 30은 감광체(10)에 현상된 이미지를 전사받아서 용지(72)에 인쇄하는 전사체이다.
상기 잉크공급유닛은 통상 토너 농도 3%solid 이하인 잉크를 준비하여 감광체(10)와 현상롤러(38) 사이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잉크공급유닛에는, 토너 농도 약 25%solid 정도의 농축잉크가 담긴 농축카트리지(82)(84)와, 순수 용매가 수용된 용매카트리지(86)와, 이들을 혼합하여 2∼3%solid 정도의 균일한 농도의 잉크를 준 비하는 혼합탱크(55,57,59,61)와, 이 혼합탱크(55,57,59,61)에 준비된 잉크를 펌프(90,92,94,96)로 펌핑하여 현상롤러(38)에 공급하는 공급부(20)와, 정전잠상을 현상하고 남은 잉여의 잉크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가 구비된다. 또한, 이 회수부는 상기 현상롤러(38)와 감광체(10)로 공급된 후 흘러내리는 잉크를 수집하여 각 색상별 혼합탱크(55,57,59,61)로 돌려보내는 수집콘테이너(50)와, 이미지가 현상된 감광체(10)를 압착하여 그 현상 이미지 중에 함유된 용매를 짜내는 스퀴즈롤러(26)와, 스퀴징된 잉크를 상기 수집콘테이너(50)를 통해 회수하여 토너는 분리해내고 용매는 용매탱크(65)로 보내는 세퍼레이터(66) 등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현상작업을 수행하려면, 먼저 엘로우(Y), 마젠터(M), 시안(C), 블랙(K)의 4가지 색상에 해당되는 잉크를 각각의 혼합탱크(55,57,59,61)에 2∼3%solid 농도에 맞춰서 준비해둔다. 물론, 흑백과 같이 단일 색상만으로 현상을 하는 시스템이라면 한 가지 잉크만 준비하면 되겠지만, 여기서는, 칼라 화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4가지 색상의 잉크를 모두 준비한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각 색상별 잉크를 준비하려면, 상기 잉크공급유닛에서는 농축카트리지(82)(84)와 용매카트리지(86)로부터 농축잉크와 순수 용매를 혼합탱크(55,57,59,61)로 각각 공급하여 해당 농도의 잉크를 제조한다. 이를 위해 각 혼합탱크(55,57,59,61)에는 통상적으로 농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서 혼합되는 잉크의 농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잉크가 준비되면 현상작업이 개시되는데, 우선, 상기 대전기(14)가 감광체(10)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킨다. 이 상태에서 광주사장치(16)가 대전된 감광체(10)에 광을 주사하면 광이 주사된 부분과 그렇 지 않은 부분 사이의 전위차에 의하여 원하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이어서, 펌프(90,92,94,96)를 가동하여 상기 혼합탱크(55,57,59,61)에 준비된 잉크를 공급부(20)를 통해 현상롤러(38)와 감광체(10) 사이로 공급하면서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이와 같이 현상된 이미지는 일단 전사롤러(30)에 전사되며, 만약 그 색상만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라면 이 상태로 용지(72)에 바로 찍히게 된다. 그러나, 복수 색상의 잉크를 중첩해서 칼라 이미지를 구현하는 경우라면, 상기와 같은 대전, 노광, 현상의 단계를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4가지 색상에 대해 반복해서 실시하여, 각 색상별로 현상된 이미지를 상기 전사롤러(30) 위에 중첩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중첩되어 형성된 칼라 화상을 압착롤러(71)와의 사이로 통과되는 용지(72)에 인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습식 화상현상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잉크의 준비부터 공급과 회수에 이르기까지 시스템이 요구하는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다. 즉, 상기와 같이 농축 잉크와 용매를 각각의 카트리지(82,84)(86)에 담아서 준비했다가 혼합탱크(55,57,59,61)로 보내어 현상을 위한 3%solid 이하의 저농도 잉크로 혼합하고, 이것으로 정전잠상을 현상한 다음에, 다시 인쇄에 적합한 고농도 상태가 되도록 그 현상된 이미지 안에 함유되어 있는 용매를 스퀴징하여 회수하는 등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구성해야 하므로, 전체 장치의 크기나 비용 등의 측면에서 많은 부담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고농도의 잉크 를 사용하는 소형화된 습식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습식 현상장치는, 잉크카트리지와, 상기 잉크카트리지와 연결되어 상호간에 잉크가 순환되는 현상용기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와 대면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정전잠상으로 잉크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와 디포지트 갭을 유지하고 설치되어 전위차에 의하여 상기 현상용기에 수용된 잉크를 상기 현상롤러로 부착시키는 디포지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용기는, 그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배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배출구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잉크카트리지와 연결된 유입구가 마련된 제1현상용기와,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제1현상용기로부터 넘친 잉크가 수용되고 상기 잉크카트리지와 연결된 회수구가 구비된 제2현상용기를 포함하여,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잉크카트리지로부터 상기 제1현상용기로 공급된 잉크는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넘쳐서 상기 디포지트 갭으로 공급되어, 일부는 상기 현상롤러로 부착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현상용기에 수용된 후에 상기 잉크카트리지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습식 현상장치는 현상과정을 거진 후에 상기 감광체로부터 제거된 폐잉크가 수용되는 제3현상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현상용기와 연결된 폐잉크통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제3현상용기에 수용된 폐잉크는 상기 폐잉크통으로 모인 후에 폐기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현상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보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드럼 형태의 감광드럼(101)이 도시되어 있다. 참조부호 110은 감광드럼(101)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전기(110)로서 코로나 방전기를 사용한다. 참조부호 120은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110)에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조사하는 노광기이다. 노광기(120)로서 LSU(laser scanning unit)이 보통 사용된다. 참조부호 130은 감광드럼(101)에 현상된 화상이 전사체(201)로 전사된 후에 감광드럼(101)의 표면에 잔류되는 잉크를 긁어내는 클리닝블레이드(클리닝수단)이다. 전사체(201)는 화상이 최종적으로 전사되는 용지이거나 전사벨트 등의 중간전사체일 수 있다. 참조부호 140은 감광드럼(101)에 현상된 화상이 전사체(201)로 전사된 후에 감광드럼(101)의 표면에 잔류되는 전하를 제거하는 제전기이다.
현상롤러(102)는 감광드럼(101)과 대면되어 감광드럼(10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 즉, 감광드럼(101)과 대면된 영역(현상영역)에서 그 표면이 감광드럼(101)의 표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현상롤러(102)는 정전잠상으로 잉크를 공급하여 현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롤러(102)는 감광드럼(101)과 접촉되어 회전된다. 현상롤러(102)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고무(polyurethane rubber), NBR 등의 도전성 고무(elastomer)이다. 일 실시예로서, 현상롤러(102)의 경도는 Shore A 25-65도, 표면거칠기는 Ra:1-4㎛이다. 일 실 시예로서, 현상롤러(102)의 저항은 105-108Ω 정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롤러(102)는 감광드럼(101)과 접촉되어 있지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현상롤러(102)는 감광드럼(102)과 소정의 현상갭, 예를 들면 50-500㎛ 정도 이격되어 회전될 수도 있다.
참조부호 103는 현상롤러(102)로 잉크를 부착시키는 디포지트롤러(디포지트부재)이다. 디포지트롤러(103)는 현상롤러(102)와 디포지트 갭을 유지하고 회전된다. 디포지트롤러(103)는 현상롤러(102)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 다시 말하면, 디포지트갭에서 그 표면이 현상롤러(102)의 표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디포지트롤러(103)는 회전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일 수도 있다. 정지된 형태의 디포지트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굳이 롤러형태일 필요는 없다. 참조부호 104는 메터링롤러이다. 메터링롤러(104)는 현상롤러(102)에 접촉되어 회전된다. 메터링롤러(104)는 현상롤러(102)와 접촉된 부분에서 그 표면이 현상롤러(102)의 표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방향, 다시 말하면, 현상롤러(102)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메터링롤러(104)는 현상롤러(102)에 부착된 잉크량을 균일하게 규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재질로 된 메터링롤러(104)를 사용한다. 참조부호 105는 클리닝롤러이다. 클리닝롤러(105)는 현상과정을 거친 후에 현상롤러(102)에 잔류되는 잉크를 제거한다. 클리닝롤러(105)는 현상롤러(102)와 동일한 방향, 다시 말하면, 현상롤러(102)와 접촉된 부분에서 그 표면이 현상롤러(102)의 표면과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클리닝롤러(105)는 일 실시예로 서, 잉크를 흡수할 수 있는 스펀지 재질로 제조된다.
도 2를 보면, 현상용기(200)와 잉크카트리지(240)가 도시되어 있다. 잉크카트리지(240)에는 3-40%솔리드(solid), 바람직하게는 3-18%솔리드의 고농도 잉크가 수용되어 있다. 잉크는 액상의 캐리어에 분발사이토너입자가 분산된 것이다. 현상용기(200)는 잉크카트리지(240)와 연결되어 상호간에 잉크가 순환된다. 현상용기(200)는 제1, 제2현상용기(210, 220)를 포함한다. 제1현상용기(210)는 제2현상용기(220) 내에 설치된다. 제1, 제2현상용기(210, 220)는 제1, 제2잉크경로(261, 262)에 의하여 각각 잉크카트리지(240)와 연결된다. 제1, 제2잉크경로(261, 262)에는 각각 펌프(P1, P2)가 설치된다. 참조부호 230은 클리닝블레이드(130)에 의하여 감광드럼(101)으로부터 제거된 폐잉크가 수용되는 제3현상용기이다. 잉크는 잉크카트리지(240)로부터 제1잉크경로(261)를 통하여 제1현상용기(210)로 공급되고, 제1현상용기(210)로부터 넘친 잉크는 제2현상용기(220)에 수용되었다가 제2잉크경로(262)를 통하여 잉크카트리지(240)로 회수된다.
도 3은 제1현상용기(210)를 자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보면, 제1현상용기(210)에는 유입구(211)가 마련된다. 유입구(211)는 제1잉크경로(261)와 연결된다. 제1현상용기(210)의 상부에는 배출구(212)가 마련된다. 유입구(211)는 배출구(212)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된다. 유입구(211)를 통하여 제1현상용기(210)로 유입된 잉크는 배출구(212)를 향하여 상승되어 디포지트갭으로 공급된다. 유입구(211)는 제1현상용기(210)의 길이방향(L)의 제1측벽(213)에 마련된다. 유입 구(211)는 제1측벽(213)의 길이방향(L)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입구(211)는 가능한 한 낮은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입구(211)가 제1측벽(213)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다. 제1현상용기(210)는 배출부(21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병목부(214)를 구비한다. 배출구(212)의 폭(W1)은 제1현상용기(210)의 하부(215)의 폭(W2)보다 좁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배출구(212)의 폭(W1)은 제1현상용기(210)의 하부(215)의 폭(W5)의 50% 정도로 한다.
도 4는 제1현상용기(210)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입구(211)와 배출구(212) 사이에 플로우 가이드(270)가 마련된다. 플로우 가이드(270)는 유입구(211)를 통하여 유입된 잉크가 배출구(212)를 향하여 상승될 길이방향으로 확산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서, 플로우 가이드(270)는 제1측벽(213)과 대면된 제2측벽(216)에 설치된다. 플로우 가이드(270)의 길이(L1)와 폭(W3)은 잉크가 배출구(212)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적절히 설정된다.
도 2를 보면, 제2현상용기(220)에는 회수구(221)가 마련된다. 회수구(221)는 제2현상용기(220)의 하부(222)에 마련된다. 제2현상용기(220)의 하부(222)는 회수구(221)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 화상형성장치는 폐잉크통(2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폐잉크통(250)은 제3현상용기(230)와 연결된다. 클리닝블레이드(130)에 의하여 감광드럼(101)으로부터 제거되어 제3현상용기(230)에 모인 폐잉크는 재사용될 수 없으며, 폐잉크통(250)에 수집된 후에 폐기된다.
이제, 도 2 내지 도 4를 보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습식 현상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대전기(110)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101)의 표면에 노광기(120)가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주사한다. 그러면, 광이 주사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과의 전위차에 의하여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펌프(P1)가 작동되면, 잉크카트리지(240)에 수용된 3-40%솔리드의 잉크는 별도의 희석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제1잉크경로(261)를 따라 제1현상용기(210)로 유입된다. 만일, 유입구(211)가 하부(215)에 마련되어 있다면, 잉크는 곧바로 배출구(212)를 향하여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구(212)의 전체영역 중에서 유입구(211)의 직상방에 해당되는 영역으로만 잉크가 배출되어 디포지트 갭 전체에 걸쳐서 잉크를 골고루 공급하기 어렵다. 또한, 펌프(P1)의 압력이 배출구(212)까지 직접 작용되므로 배출구(212)에서 와류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구(211)가 제1측벽(213)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잉크는 수평방향으로 유입되어 제2측벽(216)에 부딪힌 후에 제2측벽(216)을 따라 배출구(212)를 향하여 상승된다. 따라서, 배출구(212)에서의 와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배출구(212)와 유입구(211) 사이에는 플로우 가이드(270)가 구비되어 있다. 유입구(211)를 통하여 유입된 잉크는 제2측벽(216)에 부딪혀 배출구(212)를 향하여 상승하면서 플로우 가이드(270)에 부딪히게 된다. 그러면, 잉크는 플로우 가이드(270)를 우회하면서 제1현상용기(210)의 길이방향으로 확산된다. 따라서, 잉크가 배출구(212)의 전영역으로 골고루 배출된다. 또한, 배출구(21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병목부(214)는 잉크의 흐름을 빠르게 하므로 작은 펌핑압력으로도 충분한 양의 잉크가 배출구(212)로 공급된다.
배출구(212)로부터 배출된 잉크는 현상롤러(102)와 디포지트 롤러(103)가 대면된 디포지트 갭으로 유입된다. 디포지트 갭은 50-500㎛ 정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0-300㎛ 정도로 설정된다. 디포지트롤러(103)에는 잉크, 엄밀하게는 잉크 중에 분산된 토너입자를 현상롤러(102)로 부착시키기 위한 디포지트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서, 잉크 중에 분산된 토너입자는 정대전되어 있다. 일 실시예로서, 디포지트 바이어스는 500-1000V 정도이다. 현상롤러(102)에는 잉크, 엄밀하게는 토너입자를 감광드럼(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일 실시예로서, 현상바이어스는 300-550V 정도이다. 현상바이어스와 디포지트 바이어스는 토너입자의 대전극성과 대전량, 정전잠상의 전위 등의 제반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3-18%솔리드의 잉크를 디포지트 갭으로 공급한 경우에 디포지트 갭을 통과한 현상롤러(102)의 표면에 부착된 잉크의 농도는 약 6-20%정도가 된다. 이 때, 현상롤러(102)의 단위 면적당 부착된 토너입자의 양(M/A: mass/area)은 400-1100㎍/㎠ 정도가 된다. 균일한 화상농도를 얻기 위해서는 디포지트 갭으로 공급되는 잉크의 농도에 관계없이 현상영역으로 공급되는 잉크의 농도와 토너입자의 양이 균일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롤러(102)에는 메터링롤러(104)가 접촉되어 회전된다. 메터링롤러(104)에는 메터링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포지트 바이어스와 동일한 메터링 바이어스를 인가한 다. 메터링롤러(104)와 현상롤러(102)와의 접촉압력, 회전선속도비, 현상롤러(102)에 부착된 토너 입자의 부착력, 메터링 바이어스의 크기의 상관관계에 의하여 메터링롤러(104)를 통과한 후에 현상롤러(102)에 부착된 잉크의 농도와 토너입자의 양이 결정된다. 메터링롤러(104)에 의하여 규제되어 현상롤러(102)로부터 이탈된 잉크는 제2현상용기(220)로 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터링롤러(104)를 통과한 후에 현상롤러(102)의 표면에 남은 잉크는 약 18-36%솔리드 정도의 농도를 가지며, 약 150-500㎍/㎠ 정도의 토너입자가 부착되어 있다. 이 잉크는 현상롤러(102)와 감광드럼(101)이 대면된 현상영역을 통과하면서 현상바이어스에 의하여 감광드럼(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부착된다.
현상영역을 통과한 후에 현상롤러(102)의 표면에 잔류되는 잉크는 클리닝롤러(105)에 의하여 제거된다. 클리닝롤러(105)는 제1현상용기(210)의 제2측벽(216)의 단부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클리닝롤러(105)는 스펀지 형태로서, 현상롤러(102)로부터 잉크를 흡수한다. 흡수된 잉크는 클리닝롤러(105)가 제2측벽(216)과 접촉됨에 따라 짜져서 제2현상용기(220)로 회수된다. 제2현상용기(220)에 모인 잉크는 펌프(P2)가 작동됨에 따라 회수구(221)와 제2잉크경로(262)를 통하여 잉크카트리지(240)로 회수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잉크카트리지(240)로부터 제1현상용기(210)로 공급된 잉크는 배출구(212)를 통하여 넘쳐서 디포지트 갭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일부는 현상롤러(102)로 부착되어 현상영역으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제2현상용기(220)에 수용된 후에 다시 잉크카트리지(240)로 회수되는 순환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은 순 환과정을 거침으로써 3-40%솔리드의 넓은 농도범위의 잉크를 사용하더라도 항상 균일한 양의 잉크가 현상영역으로 공급될 수 있다. 현상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 제1현상용기(210)에 잉크가 남아 있으면, 건조되어 토너입자가 제1현상용기(210)의 내벽에 말라붙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현상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펌프(P1)가 역동작되어 제1현상용기(210)에 수용된 잉크를 잉크카트리지(240)로 회수한다.
감광드럼(210)의 표면에 현상된 화상은 전사체(201)로 전사된다. 전사된 후에 감광드럼(101)의 표면에 잔류되는 폐잉크는 클리닝블레이드(130)에 의하여 제거되어 제3현상용기(230)로 회수되고, 폐잉크통(250)으로 보내져서 폐기된다.
이러한 습식 현상장치는 단일 색상을 사용하는 인쇄기에서는 하나만 구비되겠지만, 만일 복수의 색상을 중첩해서 인쇄하는 칼라 인쇄기의 경우라면 도 5와 같이 각 색상별로 하나씩의 습식 현상장치가 구비된다. 각 감광드럼(101C, 101M, 101Y, 101K)으로부터 전사벨트(201)로 중첩전사된 칼라화상은 전사롤러(202)와 전사벨트(201)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로 전사된다. 정착기(203)는 용지에 전사된 칼라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지에 정착시킴으로써 칼라화상의 인쇄가 완료된다. 폐토너통(2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만이 마련될 수 있으며, 각 칼라별로 하나씩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현상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고농도의 잉크를 별도의 희석과정을 거치지 않고 현상용기에 직접 공급하며 현상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잉크 공급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인쇄기를 소형화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둘째, 현상용기를 현상작업에 사용되는 잉크가 순환되는 제1, 제2현상용기와 재사용될 수 없는 잉크가 수용되는 제3현상용기로 구분함으로써 현상용기 내에서 잉크가 정체되어 건조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제1현상용기에 잉크가 수평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잉크의 와류를 방지한다.
넷째,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플로우 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디포지트 갭 전체에 걸쳐서 잉크가 균일하게 공급된다.
다섯째, 병목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은 펌핑압력으로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 넷째, 고농도 현상제에 의한 현상에 따라 스퀴징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다섯째, 스퀴징과 같은 공정의 생략으로 현상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어서, 인쇄작업을 더욱 고속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20)

  1. 잉크카트리지와, 상기 잉크카트리지와 연결되어 상호간에 잉크가 순환되는 현상용기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와 대면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정전잠상으로 잉크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와 디포지트 갭을 유지하고 설치되어 전위차에 의하여 상기 현상용기에 수용된 잉크를 상기 현상롤러로 부착시키는 디포지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용기는,
    그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배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배출구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잉크카트리지와 연결된 유입구가 마련된 제1현상용기와,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제1현상용기로부터 넘친 잉크가 수용되고 상기 잉크카트리지와 연결된 회수구가 구비된 제2현상용기를 포함하여,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잉크카트리지로부터 상기 제1현상용기로 공급된 잉크는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넘쳐서 상기 디포지트 갭으로 공급되어, 일부는 상기 현상롤러로 부착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현상용기에 수용된 후에 상기 잉크카트리지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현상과정을 거진 후에 상기 감광체로부터 제거된 폐잉크가 수용되는 제3현상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현상용기와 연결된 폐잉크통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3현상용기에 수용된 폐잉크는 상기 폐잉크통으로 모인 후에 폐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 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현상용기는 상기 제2현상용기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현상용기의 길이방향의 제1측벽에 마련되어, 잉크는 수평방향으로 유입된 후에 상기 배출구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측벽의 하측 가장자리의 중앙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폭은 상기 제1현상용기의 하부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1현상용기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병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는 상기 제1현상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플로우 가이드가 구비되어, 잉크는 상기 플로우 가이드를 우회하면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확산되어 상기 배출구로 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현상용기의 길이방향의 제1측벽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는 상기 상기 제1현상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플로우 가이드가 구비되어,
    잉크는 수평방향으로 유입된 후에 상기 플로우 가이드를 우회하면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확산되어 상기 배출구로 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폭은 상기 제1현상용기의 하부의 폭보다 작으며,
    샹기 제현상용기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병목부를 더 구비하 며, 상기 플로우 가이드는 상기 유입구와 병목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장치.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 가이드는 상기 제1측벽과 대면되는 제2측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구는 상기 제2현상용기의 하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현상용기의 하부는 상기 회수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는 탄성을 갖는 반도전성 롤러로서, 상기 감광체와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는 105-108Ω의 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지트 갭은 50-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지트 부재는 상기 디포지트 갭에서 그 표면의 진행방향이 상기 현상롤러의 표면의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되는 롤러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와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현상롤러의 표면에 부착된 잉크량을 균일하게 규제하는 메터링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와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감광체로 잉크를 공급한 후에 상기 현상롤러의 표면에 잔류되는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닝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장치.
KR1020040004428A 2004-01-20 2004-01-20 습식 현상장치 KR100561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428A KR100561416B1 (ko) 2004-01-20 2004-01-20 습식 현상장치
US11/024,802 US7260344B2 (en) 2004-01-20 2004-12-30 Liquid developing device
CNB2005100037685A CN100399206C (zh) 2004-01-20 2005-01-11 液体显影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428A KR100561416B1 (ko) 2004-01-20 2004-01-20 습식 현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444A KR20050076444A (ko) 2005-07-26
KR100561416B1 true KR100561416B1 (ko) 2006-03-16

Family

ID=34747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428A KR100561416B1 (ko) 2004-01-20 2004-01-20 습식 현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60344B2 (ko)
KR (1) KR100561416B1 (ko)
CN (1) CN10039920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7210B2 (en) * 2005-12-20 2010-02-02 Seiko Epson Corporation Developer collection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7630671B2 (en) * 2005-12-20 2009-12-08 Seiko Epson Corporation Developing system that distributes carrier to developer containers in a manner to achieve stable image formation
US20080317514A1 (en) * 2006-10-19 2008-12-25 Kyocera Mit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DE102007026883A1 (de) * 2007-06-11 2008-12-24 Aurentum Innovationstechnologien Gmbh Druckmaschine und Druckverfahren hierfür
US8005384B2 (en) * 2007-11-14 2011-08-23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developer collect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2435251B1 (en) * 2009-05-29 2021-06-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quid marking agent development assemblies and liquid marking agent hard imaging methods
US8874006B2 (en) * 2009-08-31 2014-10-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quid marking agent development assemblies, hard imaging devices, and liquid marking agent hard imaging methods
EP2685320A1 (en) * 2012-07-10 2014-01-15 Xeikon IP BV Digital printing apparatus and digital printing process
CN108139709B (zh) * 2015-08-19 2022-04-15 惠普深蓝有限责任公司 用于设置湿零位电压的系统和方法
KR102004382B1 (ko) 2015-08-19 2019-07-26 에이치피 인디고 비.브이. 잉크 디벨로퍼
JP6612636B2 (ja) * 2016-02-01 2019-11-27 株式会社ミヤコシ 湿式現像装置
CN109791387B (zh) * 2016-09-30 2021-10-12 惠普深蓝有限责任公司 油墨显影
WO2019086109A1 (en) * 2017-10-31 2019-05-09 Hp Indigo B.V. Apparatus for use in an electrographic printer
CN108459478A (zh) * 2018-05-29 2018-08-28 浙江安吉华普电子有限公司 一种可填充墨粉的激光打印机用硒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5058A (en) * 1991-01-22 1993-10-19 Spectrum Sciences B.V. Liquid developer imaging system using a spaced developing roller and a toner background removal surface
JPH05289587A (ja) 1992-04-11 1993-11-05 Ricoh Co Ltd 湿式画像形成装置
JPH05313501A (ja) 1992-05-12 1993-11-2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7334004A (ja) 1994-06-06 1995-12-22 Ricoh Co Ltd 湿式画像形成装置
JPH08278735A (ja) 1995-04-05 1996-10-22 Ricoh Co Ltd 湿式画像形成装置
JPH09281809A (ja) 1996-04-18 1997-10-31 Ricoh Co Ltd 湿式画像形成装置
JP3509391B2 (ja) 1996-04-30 2004-03-22 株式会社リコー 湿式画像形成装置
JPH10177304A (ja) 1996-12-16 1998-06-30 Ricoh Co Ltd 湿式画像形成装置
JP2000010446A (ja) 1998-06-19 2000-01-14 Minolta Co Ltd 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
KR100343160B1 (ko) 1998-07-22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잉크전달시스템
US6236825B1 (en) * 1998-11-26 2001-05-2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liquid-type developing device
JP2001092258A (ja) * 1999-09-27 2001-04-06 Toshiba Corp 湿式電子写真装置
JP2001140854A (ja) * 1999-11-18 2001-05-22 Shin Etsu Polymer Co Ltd 半導電性ロール及び画像形成装置
JP3721048B2 (ja) * 2000-05-16 2005-11-30 株式会社Pfu 液体現像電子写真装置
KR100393076B1 (en) * 2002-01-10 2003-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system of wet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99206C (zh) 2008-07-02
KR20050076444A (ko) 2005-07-26
CN1645269A (zh) 2005-07-27
US7260344B2 (en) 2007-08-21
US20050158082A1 (en) 200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416B1 (ko) 습식 현상장치
US780930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leaner having member in contact with a surface of an image carrier
US759036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leaning intermediate transfer belt
EP15749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n image transfer device
JP4195259B2 (ja) 湿式画像現像システム
JPH1184885A (ja) 記録装置
JP5222480B2 (ja) 液体試料分離抽出装置
JP4468913B2 (ja) 液体現像装置および湿式画像形成装置
KR100462616B1 (ko) 습식 화상형성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화상형성방법
KR100396574B1 (ko) 습식 화상현상시스템
JP2003107913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JP3702523B2 (ja) 液体現像剤を用いた現像装置
US2011020641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00019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JP2008268917A (ja) 液体現像剤循環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038172A (ja) 湿式電子写真方式プリンタの現像剤ラップアラウンド防止装置
KR10039657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JP200916289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208029A (ja) 湿式電子写真方式画像形成機の現像システム
JPH08179632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JP2012155270A (ja) 現像剤濃度調整装置
JP2005010626A (ja) 液体現像装置
KR100503057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KR20020065213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KR200186334Y1 (ko)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 회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