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160B1 -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잉크전달시스템 - Google Patents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잉크전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160B1
KR100343160B1 KR1019980029523A KR19980029523A KR100343160B1 KR 100343160 B1 KR100343160 B1 KR 100343160B1 KR 1019980029523 A KR1019980029523 A KR 1019980029523A KR 19980029523 A KR19980029523 A KR 19980029523A KR 100343160 B1 KR100343160 B1 KR 100343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tank
carrier
cleaning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248A (ko
Inventor
유용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29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160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1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농축잉크와 액상 캐리어가 혼합된 소정 농도의 현상액을 현상유니트로 공급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 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된 바에 따르면, 순환탱크가 현상유니트에 공급될 현상액을 저장하고, 분사부는 순환탱크와 현상유니트 사이에 배치되어, 순환탱크 내의 잉크를 현상유니트의 현상갭에 분사하고, 잉크공급부가 농축잉크가 저장되어 인쇄기 본체에 내장되며, 잉크공급부 내의 농축잉크는 잉크공급경로에 의해 순환탱크로 공급되며, 캐리어탱크는 순환탱크로 공급될 캐리어가 저장하고, 캐리어탱크 내의 캐리어는 캐리어공급경로를 통해 순환탱크로 공급되고, 클리닝수단이 캐리어탱크 내의 캐리어를 잉크공급부로 공급함으로써 그 잉크공급부 내부를 클리링한다.
따라서, 캐리어탱크 내에 저장된 캐리어를 클리닝경로를 통해 잉크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밸브 및 펌프의 작동에 의해, 고점도를 가진 토너가 잉크탱크나 밸브 등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잉크탱크 내벽에 토너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잉크전달 시스템의 관로 및 밸브를 클리닝할 수 있음으로 인해 인쇄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 시스템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쇄기 본체 내에 고정된 잉크탱크 또는 그에 부속된 각종 밸브 등을 클리닝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감광매체에 레이저 주사유니트(LSU)를 통해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Latent electrosatic image)을 형성한 후, 농축잉크와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을 감광매체와 현상롤러 사이에 분사하여 감광매체를 현상하고 이를 인쇄용지에 전사하는 장치이다.
이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매체(10) 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대응되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유니트(20)와, 상기와 같은 현상 후 감광매체(10) 상에 잔류하는 캐리어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유니트 (30)와, 상기 현상에 적합하도록 소정 농도 및 소정 용량의 현상액을 현상유니트 (20)에 공급하기 위한 잉크전달 시스템(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현상액은 잉크탱크(41)에서 제공되는 분말상의 토너가 대략 9 wt% 함유된 농축잉크와, 캐리어카트리지(43) 또는 응축탱크(49)에서 제공되는 액상의 캐리어가 소정비로 혼합된 대략 2 내지 4 wt%의 토너 농도를 가지는 잉크이다.
잉크전달 시스템(40)은 농축잉크가 저장된 잉크탱크(41)와, 캐리어가 저장되는 캐리어카트리지(43)와, 현상액이 저장되는 순환탱크(44)와, 이 순환탱크(44) 내의 현상액을 현상유니트(20)의 현상롤러(21)와 현상백업롤러(22) 사이에 형성된 현상갭(G)에 분사하는 분사부(47)를 포함한다. 잉크탱크(41)는 그 내부에 수용된 농축잉크가 침전되지 않도록 하는 교반기(42)를 구비한다. 잉크탱크(41)는 인쇄기 본체(미도시) 내에 고정 배치되는 것으로서, 별도의 미도시된 잉크리필카트리지로부터 농축잉크를 공급받는다.
순환탱크(44)는 현상유니트(20) 하부에 설치되며, 분사부(47)를 통해 현상유니트(20) 내로 상기 현상액을 공급하고, 현상에 기여한 후 현상유니트(20)에 잔류하는 현상액을 재수용함으로써 상기 현상액이 현상갭(G)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순환탱크(44) 내부에는 현상액의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농도센서(45)와, 현상액의 수용량을 감지하는 상,하한 레벨센서(46a)(46b)가 각각 설치된다.
분사부(47)는 현상액을 공급하는 공급패스(47a)와, 이 패스(47a)에 설치되어 현상액을 펌핑하는 펌프(47b) 및 공급패스(47a)의 일단에 설치되어 현상액을 현상갭(G)에 분사하는 노즐(47c)로 구성된다.
건조유니트(30)는 감광매체(10)에 잔류하는 캐리어를 흡수하는 건조롤러(31)와, 이 건조롤러(31)에 접촉회전되면서 건조롤러(31)를 가열함으로써 흡수된 액상의 캐리어를 증기 상태로 변환시키는 리제너레이션롤러(33)와, 증기 상태의 캐리어를 응축시키는 응축기(35)를 포함한다. 이 응축기(35)를 통해 응축된 액체에 존재하는 캐리어는, 인쇄기 내에 설치되며 잉크전달 시스템(40)의 일 구성요소를 이루는 응축탱크(49)에 저장된다.
잉크탱크(41), 캐리어카트리지(43) 및 응축탱크(49)에 각각 수용된 농축잉크 또는 캐리어가 순환탱크(44)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공급경로 상에는 세 개의 유입구와 일 배출구를 갖는 3웨이 밸브(48a) 및 펌프(48b)가 배치된다. 여기서, 밸브 (48a) 및 펌프(48b)는 농도센서(45) 및/또는 레벨센서(46a)(46b)에 의해 감지된 순환탱크(44)에 수용된 현상액의 농도 및 용량에 따라 동작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종래의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 시스템은, 농축잉크를 저장하며 그것을 순환탱크(44)로 공급하는 잉크탱크(41) 및 그 공급경로 상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48a) 등은 인쇄기 본체에 착탈 가능한 잉크카트리지 형식 보다 그 유지 및 보수가 상대적으로 곤란하기 때문에, 토너 등의 입자에 의해 잉크탱크(41)의 내부 및 밸브(48a) 등이 오염될 확율이 높고, 따라서 잉크공급 시스템 내부가 상기한 바와 같이 오염되어 전체 인쇄기의 인쇄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잉크전달 시스템이 YELLOW, MAGENTA, CYAN, BLACK 등의 네 가지 색상이 순서대로 배치된 칼라 인쇄기에 적용된 도 2에서도 그러한 오염 문제가 상존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인쇄기 본체에 내장된 잉크탱크 내부로 캐리어카트리지 내에 저장된 캐리어를 분사함으로써 잉크탱크 내부를 클리닝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 시스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잉크전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잉크전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감광매체 20...현상유니트
110...순환탱크 130...건조/응축유니트
115...필터 120...분사부
121...분사경로 123,147,142,152...펌프
125...노즐 150.250...잉크공급부
151...잉크탱크 155...제1공급경로
156,146...밸브 157...잉크리필탱크
160.260...클리닝수단 161,261...클리닝경로
162,262...클리닝밸브 164,264...클리닝펌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농축잉크와 액상 캐리어가 혼합된 소정 농도의 현상액을 현상유니트로 공급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니트에 연결되며, 상기 현상유니트에 공급될 현상액이 저장되는 순환탱크; 상기 순환탱크와 상기 현상유니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탱크 내의 잉크를 상기 현상유니트의 현상갭에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농축잉크가 저장되도록 인쇄기 본체에 내장된 잉크공급부와; 상기 잉크공급부 내의 농축잉크를 상기 순환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잉크공급경로; 상기 순환탱크로 공급될 캐리어가 저장되는 캐리어탱크; 상기 캐리어탱크 내의 상기 캐리어를 상기 순환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캐리어공급경로; 및 상기 캐리어탱크 내의 상기 캐리어를 상기 잉크공급부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잉크공급부 내부를 클리링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수단은, 상기 캐리어탱크와 상기 잉크공급부를 연결하는 클리닝경로; 상기 클리닝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를 상기 잉크공급부로 전달하기 위한 클리닝펌프; 및 상기 클리닝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클리닝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클리닝밸브;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공급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공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공급 시스템은 현상에 적합하도록 소정 농도 및 소정 용량의 현상액을 현상유니트(20)로 공급하고 상기 현상에 기여한 현상액 중 캐리어를 건조/응축시키기 위한 건조/응축유니트(130)가 구비되고, 이 잉크전달 시스템은 현상액을 현상유니트(2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순환탱크(110)와, 순환탱크(110) 내의 현상액(D)을 현상유니트(20)의 현상갭(G)에 분사하는 분사부(120)와, 농축잉크가 저장된 잉크공급부(150)와, 캐리어가 저장되는 캐리어탱크(140)와, 이 캐리어탱크(140) 내의 캐리어를 잉크공급부(150)로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그 잉크탱크(151) 내부를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수단(16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한 현상유니트(20), 순환탱크(110), 잉크공급부(150), 캐리어탱크 (140)를 연결하는 다수의 경로를 포함한다.
순환탱크(110)는 현상유니트(20) 하부에 설치되며, 분사부(120)를 통해 현상유니트(20) 내로 현상액(D)을 공급하고, 현상에 기여한 후 잔류하는 현상액(D)을 재수용하여 현상시 현상액이 현상갭(G)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순환탱크(110)는 내부에 수용된 현상액(D)의 농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순환탱크(110)의 내부에 농도센서(111)가 설치되고, 현상액의 수용량을 감지하도록 그 외측 하부에는 하한 레벨센서(112)가 설치된다.
여기서, 현상유니트(20)에 분사된 현상액이 순환탱크(110)로 회수시 현상액 내에 포함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115)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필터(115)는 현상액 회수경로에 위치되도록 현상유니트(20)에 설치된다. 따라서, 별도로 교체되지 않고, 현상유니트(20)의 교체시 함께 교체된다.
분사부(120)는 현상액을 공급하는 분사경로(121)와, 이 분사경로(121)에 설치되어 현상액을 펌핑하는 펌프(123) 및, 분사경로(121)의 일단에 설치되어 현상액을 현상갭(G)에 분사하는 노즐(125)로 구성된다.
잉크공급부(150)는 인쇄기 본체에 고정 배치된 잉크탱크(151)와, 이 잉크탱크(151) 내에 설치되어 수용된 농축잉크를 교반시키는 교반기(153)를 포함한다. 이 경우, 잉크탱크(151)는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소모시 별도의 잉크리필카트리지(미도시)에 의해 잉크를 보충 받을 수 있는 구조이다. 잉크공급부(150)에 수용된 농축잉크는 순환탱크(110)와 잉크공급부(150)를 연결하는 제1공급경로(155)를 통해 순환탱크(110)로 공급된다. 이 제1공급경로(155)는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 (156)와, 농축잉크를 펌핑하는 펌프(152)를 포함한다. 또한, 잉크탱크(151)가 순환탱크(11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경우는 자중에 의해 농축잉크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펌프(152)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캐리어탱크(140)는 인쇄기 본체 내에 고정 배치되며, 순환탱크(110)에 공급될 캐리어가 저장된다. 이 캐리어탱크(140) 내에 저장된 캐리어는 제2공급경로 (145)를 통해 순환탱크(110)에 공급되면서 소모된다. 제2공급경로(145)에는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146)와 공급될 캐리어를 펌핑하는 펌프(1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제2공급경로(155)(145)는 각각 별도의 경로로 분리하여 설명되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밸브 예컨대, 2 웨이 밸브로 대체하고, 하나의 펌프에 의해 잉크탱크(150) 내의 농축잉크와 캐리어탱크(140) 내의 캐리어를 순차적으로 순환탱크(110)로 공급할 수 있다.
클리닝수단(160)은 잉크탱크(151) 내에 저장된 농축잉크가 소진될 때 마다, 다른 모든 경로의 액체의 유동을 차단하고, 캐리어탱크(140) 내에 저장된 저농도의 캐리어를 잉크탱크(151)로 공급함으로써 잉크탱크(151)의 내벽면에 고착된 토너 성분 또는 경로 및 밸브 등에 붙어 있는 토너 성분을 희석시킴으로써 클리닝하기 위한 것으로서, 캐리어탱크(140)와 잉크탱크(151)를 연결하는 클리닝경로(161)와 이 클리닝경로(161) 상에 설치되어 캐리어탱크(140) 내에 저장된 캐리어를 잉크탱크 (151)로 펌핑하는 클리닝펌프(164) 및 클리닝경로(161) 상에 설치되어 그 클리닝경로(16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클리닝밸브(162)를 포함한다.
여기서, 참조부호 138은 건조/응축유니트(130)와 캐리어탱크(140) 사이를 연결하여 캐리어를 회수하는 회수경로(158)를 나타낸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현상모드시, 순환탱크(110) 내의 현상액(D)이 분사부(120)를 통해 현상유니트(20)로 분사되면서, 감광매체(10)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대응되도록 화상을 현상한다. 이때, 순환탱크(110)에 설치된 농도센서(111) 및 하한레벨센서(112)는 순환탱크(110) 내의 현상액(D)의 농도와 잔량을 감지하게 된다. 농도센서(111)에 의해순환탱크(110) 내의 현상액 농도가 허용범위 미만 또는 초과를 감지하게 되면, 필요한 량의 농축잉크 및 캐리어를 각각 제1 및 제2공급경로(155)(145)를 통해 순환탱크(110)로 공급한다. 여기서, 현상유니트(20)와 순환탱크(110) 사이에는 필터 (115)가 설치되어 현상액 내에 포함된 이물을 여과시킨다.
한편, 잉크탱크(151) 내의 잉크가 소진되어 잉크보충을 위한 보충모드의 경우에는, 그러한 잉크 보충 작업전에 모든 경로 및 펌핑 동작을 일시 중단시키고, 캐리어탱크(140) 내에 저장된 저농도의 액체 캐리어를 클리닝경로(161) 상에 설치된 클리닝밸브(162)를 개방함과 동시에 클리닝펌프(164)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캐리어는 잉크탱크(151) 내부로 강하게 분사되면서 그 잉크내부(151)에 고착된 토너를 희석함으로써 그 내부를 클리닝한다. 또한, 잉크탱크(151) 내부의 교반기 (153)를 회전시킴으로써 탱크 내부를 클리닝함과 동시에 내부에 잔류된 토너가 신속하게 희석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분사되는 캐리어는 희석된 현상액이 가용범위의 농도값을 가질정도의 양으로 결정된다. 이 때, 잉크탱크(151)와 순환탱크 (110)를 연결하는 밸브(146)를 개방시켜 두면 그 밸브(146)의 내부도 클리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공급 시스템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도면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상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에 따르면, 잉크공급부(150)로 인쇄기 본체 내에 고정 배치된 잉크탱크(151)와, 이 잉크탱크(151) 내의 농축잉크 소모시 공급하는 잉크리필탱크(157)를 포함한다.
잉크탱크(151) 내에 수용된 농축잉크는 제1공급경로(155)에 의해 순환탱크 (110)로 공급되며, 잉크보충경로(159)를 통해 잉크리필탱크(157)로부터 농축잉크를 공급받는다. 이 잉크탱크(151)는 그 내부에 수용된 농축잉크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153) 등의 기능성 부품이 설치된다. 잉크리필탱크(157)는 인쇄기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교반기 등의 기능성 부품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잉크리필탱크(157)는 잉크탱크(151)에 잉크 충진시에만 인쇄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구조로 인쇄기 본체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잉크보충경로(159)에는 잉크리필탱크(157)의 착탈에 따라 개폐되는 셧-오프(shut-off)밸브(158)가 설치되어 농축잉크가 일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잉크공급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도면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상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잉크공급시스템은 현상에 적합하도록 각 칼라에 대응되는 소정 농도 및 소정 용량의 현상액을 다수의 현상유니트(220) 각각에 공급하고 현상에 기여한 후 건조/응축유니트(130)에 의해 응축된 캐리어를 회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풀-칼라(full-color)를 구현하기 위하여,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 잉크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각각의 잉크탱크(151)는 인쇄기 본체 내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잉크리필카트리지(미도시)에 의해 잉크를 보충받는다. 또한, 그 내부에 수용된 농축잉크는 이에 대응되는 순환탱크(110) 사이에 연결된 다수의 제1공급경로(155; 155Y, 155M, 155C, 155K)를 통해 순환탱크(110)에 공급된다. 농축잉크 공급경로(155)에는 그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156)가 설치된다. 잉크탱크(151)가 순환탱크 (110)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경우는 자중에 의해 농축잉크가 순환탱크(110)에 공급된다. 반면, 잉크탱크(151)의 위치가 바뀐 경우, 각 제1공급경로(155)에는 농축잉크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탱크(140)는 인쇄기 본체 내에 고정 배치되며, 복수의 순환탱크 (110)로 공급될 캐리어가 저장된다. 여기서, 각 현상유니트(20)는 동일한 캐리어를 사용하므로 캐리어탱크(140)는 하나 구비된다. 캐리어탱크(140)에 저장된 캐리어는 순환탱크(110)로 분기되는 캐리어 공급경로(145)를 통해 순환탱크(110)로 공급된다.
클리닝수단(260)은 각 잉크탱크(151) 내에 저장된 농축잉크가 소진될 때 마다, 해당 색상의 다른 모든 경로의 액체의 유동을 차단하고, 캐리어탱크(140) 내에 저장된 순수 캐리어를 잉크탱크(151)로 공급함으로써 잉크탱크(151)의 내벽면에 고착된 토너 성분 또는 경로 및 밸브 등에 붙어 있는 토너 성분을 희석시킴으로써 클리닝하기 위한 것으로서, 캐리어탱크(140)와 복수의 잉크탱크(151)를 연결하는 클리닝경로(261; 261Y, 261M, 261C, 261K)와 클리닝경로(161) 상에 설치되어 캐리어탱크(140) 내에 저장된 캐리어를 잉크탱크(151)로 펌핑하는 클리닝펌프(264) 및 각클리닝경로(261) 상에 설치되어 그 클리닝경로(26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클리닝밸브(262; 262Y, 262M, 262C, 262K)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잉크전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상모드시, 각 순환탱크(110) 내의 현상액이 분사부(120)를 통해 각 현상유니트(20)에 분사되면서, 감광매체(10)에 형성된 레이저 스캔유니트(LSU)에 의해 형성된 정전잠상에 대응되도록 칼라화상을 현상한다. 이때, 각각의 순환탱크(110)에 설치된 농도센서(111) 및 하한레벨센서(112)는 순환탱크(110) 내의 현상액의 농도와 잔량을 감지하게 된다. 농도센서(111)에 의해 순환탱크(110) 내의 현상액 농도가 허용범위 미만 또는 초과를 감지하게 되면, 필요한 량의 농축잉크를 상기 제1공급공급경로(155)를 통해 순환탱크(110)로 공급하고, 캐리어를 캐리어 공급경로 (145)를 통해 순환탱크(110)로 공급한다.
한편, 잉크탱크(151) 내의 어떤 색상의 잉크가 소진되어 그 잉크를 보충하는 모드의 경우에는, 그러한 잉크 보충 작업전에 모든 경로 및 펌핑 동작을 일시 중단시키고, 캐리어탱크(140) 내에 저장된 저농도의 액체 캐리어를 클리닝경로(261) 상에 설치된 클리닝밸브(262)를 개방함과 동시에 클리닝펌프(264)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캐리어는 잉크탱크(251) 내부로 강하게 분사됨과 동시에 교반기에 의해 교반됨으로써 그 잉크탱크(151) 내부에 고착된 토너를 희석함으로써 그 내부를 클리닝한다. 이 때, 그 잉크탱크(151)와 그에 대응되는 순환탱크(110)를 연결하는 밸브(156)를 개방시켜 두면 그 밸브(156)의 내부도 클리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시스템은 캐리어탱크 내에 저장된 캐리어를 클리닝경로를 통해 잉크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밸브 및 펌프의 작동에 의해, 고점도의 토너가 잉크탱크나 밸브 등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 또는 제거함으로써, 잉크탱크 내벽에 토너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잉크전달 시스템의 관로 및 밸브를 클리닝할 수 있음으로 인해 인쇄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농축잉크와 액상 캐리어가 혼합된 소정 농도의 현상액을 현상유니트로 공급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니트에 연결되며, 상기 현상유니트에 공급될 현상액이 저장되는 순환탱크;
    상기 순환탱크와 상기 현상유니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탱크 내의 잉크를 상기 현상유니트의 현상갭에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농축잉크가 저장되도록 인쇄기 본체에 내장된 잉크공급부와;
    상기 잉크공급부 내의 농축잉크를 상기 순환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잉크공급경로;
    상기 순환탱크로 공급될 캐리어가 저장되는 캐리어탱크;
    상기 캐리어탱크 내의 상기 캐리어를 상기 순환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캐리어공급경로;
    상기 캐리어탱크 내의 상기 캐리어를 상기 잉크공급부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잉크공급부 내부를 클리링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수단은,
    상기 캐리어탱크와 상기 잉크공급부를 연결하는 클리닝경로;
    상기 클리닝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를 상기 잉크공급부로 전달하기 위한 펌프; 및
    상기 클리닝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클리닝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공급부는,
    상기 캐리어공급경로에 연결되며, 상기 인쇄기 본체 내에 고정 설치된 잉크탱크; 상기 잉크탱크 내에 설치되어, 수용된 상기 농축잉크를 교반시키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공급부는,
    상기 캐리어공급경로에 연결되며, 상기 인쇄기 본체 내에 고정 배치된 잉크탱크; 상기 잉크탱크 내에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된 농축잉크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 상기 인쇄기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잉크탱크 내의 잉크 소모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리필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 시스템.
  5. 농축잉크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소정 농도의 현상액을 다수의 현상유니트로 각각 공급할 수 있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잉크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현상유니트에 대응되어 연결되며, 상기 현상유니트로 공급될 현상액이 저장되는 다수의 순환탱크;
    상기 각 순환탱크와 그에 대응되는 현상유니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탱크 내의 잉크를 상기 현상유니트의 현상갭에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부;
    인쇄기 본체 내에 고정 설치되며, 그 내부에 서로 다른 칼라의 농축잉크가 각각 저장되는 다수의 잉크탱크;
    상기 각 잉크탱크 내부에 수용된 농축잉크를 그에 대응되는 순환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잉크공급경로;
    상기 순환탱크들로 공급될 캐리어가 저장되는 캐리어탱크;
    상기 캐리어탱크 내의 캐리어를 상기 각 순환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캐리어공급경로;
    상기 캐리어탱크 내의 상기 캐리어를 상기 각 잉크공급부로 선택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잉크탱크 내부를 클리링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잉크전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수단은,
    상기 캐리어탱크와 상기 각 잉크탱크를 연결하는 다수의 클리닝경로;
    상기 캐리어를 그에 대응되는 상기 잉크탱크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클리닝경로 상에 각각 설치된 펌프; 및
    상기 클리닝경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클리닝경로 상에 각각 설치되는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잉크전달시스템.
KR1019980029523A 1998-07-22 1998-07-22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잉크전달시스템 KR100343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523A KR100343160B1 (ko) 1998-07-22 1998-07-22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잉크전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523A KR100343160B1 (ko) 1998-07-22 1998-07-22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잉크전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248A KR20000009248A (ko) 2000-02-15
KR100343160B1 true KR100343160B1 (ko) 2002-10-25

Family

ID=1954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523A KR100343160B1 (ko) 1998-07-22 1998-07-22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잉크전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1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416B1 (ko) 2004-01-20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현상장치
KR100905462B1 (ko) * 2008-01-10 2009-07-02 이지마크(주) 프린터의 잉크 순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248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1007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칼라인쇄기용잉크전달시스템
KR100311006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용잉크전달시스템
KR100497343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용 잉크전달시스템
KR100252101B1 (ko) 습식 현상기의 현상액 공급방법
CN100399206C (zh) 液体显影装置
KR100561448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전달 시스템
KR100253143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액 공급장치 및 탱크/카트리지 어셈블리
KR100343160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잉크전달시스템
JP2005338841A (ja) 画像形成装置
US20020114637A1 (en) Ink delivery system and ink delivery method of liquid -type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00333817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현상액 공급장치
KR100316658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KR100252098B1 (ko) 습식 현상기의 현상액 공급장치
KR100341322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용 잉크 카트리지
KR100316661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웨이스트탱크 및 그 교반장치
KR20000012396U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KR100513707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카트리지
KR20010064302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카트리지
KR100416540B1 (ko) 습식인쇄기용잉크공급장치
JP3734013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385050B1 (ko) 습식 칼라 인쇄기의 잉크 전달시스템
KR20000008442U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
KR19990083644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시스템
KR19990079817A (ko) 습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KR100300991B1 (ko) 습식 인쇄기용 잉크전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