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396U -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396U
KR20000012396U KR2019980025362U KR19980025362U KR20000012396U KR 20000012396 U KR20000012396 U KR 20000012396U KR 2019980025362 U KR2019980025362 U KR 2019980025362U KR 19980025362 U KR19980025362 U KR 19980025362U KR 20000012396 U KR20000012396 U KR 200000123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developer
waste
ink
deliver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25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396U/ko
Publication of KR200000123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396U/ko

Links

Abstract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은 현상유니트와, 상기 현상유니트에 연결되어 현상액을 공급하는 순환탱크와, 인쇄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순환탱크에 공급된 소정 칼라의 농축잉크와 캐리어가 각각 저장되는 잉크탱크 및 캐리어탱크와, 상기 순환탱크 내의 폐현상액을 수거하는 폐기탱크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순환탱크에는 상기 현상액의 액위가 소정높이 이상일 때 상기 현상액을 상기 폐기탱크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경로가 구비됨으로써, 시스템 본체의 오염을 방지하고, 현상액이 제품의 본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본 고안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순환탱크 내에 저장된 현상액이 외부로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감광매체 상에 레이저 주사유니트(LSU)를 통해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latent electrosatic image)을 형성한 후, 감광매체와 현상롤러 사이에 토너와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을 분사하여 감광매체를 현상하고 이를 인쇄용지에 전사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감광매체(10) 상의 정전잠상에 대응되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유니트(20)와, 현상 후 감광매체(10)상에 잔류하는 캐리어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유니트(30)와, 현상에 적합하도록 소정 농도 및 소정 용량의 현상액을 상기 현상유니트(20)에 공급하고 상기 건조유니트(30)에 의해 회수된 캐리어를 재공급하기 위한 잉크 전달 시스템(40)을 포함한다.
도 1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를 나타낸 것으로, 블랙(K) 현상액에 대응되는 현상유니트(20)만 도시하였고, 다른 칼라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에 대응되는 현상유니트는 생략하였다.
상기 현상액(D)은 잉크탱크(41)에서 제공되는 분말상의 토너가 함유된 농축잉크와, 캐리어탱크(43) 또는 응축탱크(39)에서 제공되는 액상의 캐리어를 소정비로 혼합하여 된 잉크이다.
상기 잉크 전달 시스템(40)은 농축잉크가 저장되는 잉크탱크(41) 및 상기 잉크탱크(41)와 순환탱크(44)에 각각 연결된 제1공급경로(41a)와, 캐리어가 저장되는 캐리어탱크(43) 및 상기 캐리어탱크(43)와 순환탱크(44)에 각각 연결된 제2공급경로(43a)와, 현상액이 저장되는 순환탱크(44)와, 상기 순환탱크(44) 내의 현상액(D)을 상기 현상유니트(20)의 현상롤러(21)와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감광매체(10) 사이의 현상갭(G)에 분사하는 분사부(47) 및 폐기탱크(49)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부(47)는 현상액을 공급하는 분사경로(47a)와, 이 분사경로(47a)에 설치되어 현상액을 펌핑하는 펌프(47b) 및, 상기 분사경로(47a)의 상기 현상갭(G) 단에 설치되어 현상액을 현상갭(G)에 분사하는 노즐(47c)을 구비한다.
상기 잉크탱크(41)는 그 내부에 수용된 농축잉크가 침전되지 않도록 하는 교반기(42)를 포함하며, 농축잉크가 소모된 경우 교체되는 소모성 부품이다. 또한, 상기 캐리어탱크(43)는 그 내부에 수용된 캐리어가 소모된 경우 교체되는 소모성 부품이다.
상기 순환탱크(44)는 상기 현상유니트(20)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유니트(20) 내에 상기 분사부(47)를 통해 현상액(D)을 공급하고, 현상에 기여한 후 잔류하는 현상액을 재수용하여 현상시 현상액이 현상갭(G)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순환탱크(44)의 내부에는 수용된 현상액의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농도센서(45)와, 현상액의 수용량을 감지하는 상한 및 하한 레벨센서(46a)(46b)가 설치된다.
상기 폐기탱크(49)는 상기 순환탱크(44) 내의 폐 현상액을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순환탱크(44) 하부에 위치되며 폐현상액 회수경로(48)를 통해 상기 순환탱크(44)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폐현상액 회수경로(48)에는 오염감지센서(미도시) 등에 의해 제어되어 개폐되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어서, 밸브의 오픈시 자중(自重)에 의해 폐현상액이 회수된다.
상기 건조유니트(30)는 상기 감광매체(10)에 잔류하는 캐리어를 흡수하는 건조롤러(31)와, 이 건조롤러(31)에 접촉회전되면서 건조롤러(31)를 가열함으로써 흡수된 액상의 캐리어를 증기 상태로 바뀌어 주는 리제너레이션롤러(33)와, 증기 상태의 캐리어를 응축시키는 응축기(35)를 포함한다. 상기 응축기(35)를 통해 응축된 액체 내에는 캐리어는 응축탱크(39)에 저장되며, 상기 순환탱크(44)에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순환탱크(44)는 잉크탱크(41)에서 제공되는 분말상의 토너가 함유된 농축잉크와, 캐리어탱크(43) 또는 응축탱크(39)에서 제공되는 액상의 캐리어를 소정비로 혼합하여 된 현상액(D)을 저장하기 때문에, 상기 잉크탱크(41), 캐리어탱크(43) 및 응측탱크(39) 등의 밸브가 고장나거나, 또는 밸브 콘트롤 상의 오동작이 발생할 경우에는 각 라인의 공급량이 과다하게 배출되어 순환탱크(44)의 적정 저장량을 넘게됨으로써 현상액이 순환탱크(44) 내에서 오버플로우된다.
또한, 폐기탱크(49)와 연결된 순환탱크(44)의 폐현상액 회수경로(48)가 막히거나, 폐현상액 회수경로(48)에 설치된 밸브의 오동작이 발생하거나, 또는 순환탱크(44) 내의 상한 레벨센서(46a)의 미작동 및 오작동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순환탱크(44)에서 오버플로우된다. 상기와 같이, 현상액이 순환탱크(44) 내에서 외부로 오버플로우되면 시스템 본체를 오염시키거나, 제품의 본체 외부로 유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순환탱크 내에 저장된 현상액이 외부로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을 제공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나타낸 개략적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고,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나타낸 개략적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210...감광매체 20,120,220...현상유니트
30,130,230...건조유니트 40,140,240...잉크전달시스템
41,141,241...잉크탱크 41a,141a,241a...제1공급경로
42,142,242...교반기 43,143,243...캐리어탱크
43a,143a,243a,...제2공급경로 44,144,244...순환탱크 45,145,245...농도센서 46a,146a,246a...하한레벨센서
46b...상한레벨센서 47,147,247...분사부
47a,147a,247a...분사경로 47b,147b,247b...펌프
47c,147c,247c...노즐 48,148,248...폐현상액 회수경로
49,149,249...폐기탱크 150,250...오버플로우 배출경로
150a,250a...오버플로우 배출구 A...기준레벨
B... 여유레벨 D...현상액
G...현상갭 V...밸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은, 현상유니트와, 상기 현상유니트에 연결되어 현상액을 공급하는 순환탱크와, 인쇄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순환탱크에 공급된 소정 칼라의 농축잉크와 캐리어가 각각 저장되는 잉크탱크 및 캐리어탱크와, 상기 순환탱크 내의 폐현상액을 수거하는 폐기탱크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순환탱크에는 상기 현상액의 액위가 소정높이 이상일 때 상기 현상액을 상기 폐기탱크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경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배출경로는 상기 순환탱크 내에서 그 일단이 기준레벨에 대한 여유레벨 상에 구비되되, 상기 순환탱크의 저면을 관통하여 상기 폐기탱크와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배출경로는 상기 순환탱크 내에서 그 일단이 기준레벨에 대한 여유레벨 상에 구비되되, 상기 여유레벨 상부에서 외부로 연통되어 상기 폐기탱크와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순환탱크 내에서 오버플로우되는 현상액을 직접 폐기탱크로 배출하여 회수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시스템 본체의 오염을 방지하고, 현상액이 제품의 본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나타낸 개략적 도면이다.
도 2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140)은 현상에 적합하도록 소정 농도 및 소정 용량의 현상액을 현상유니트(120)에 공급하고 현상에 기여한 후 건조/응축유니트(130)에 의해 건조/응축 된 캐리어를 회수한다.
이 잉크 전달 시스템(140)은 현상액을 현상유니트(12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순환탱크(144)와, 상기 순환탱크(144)에 공급된 소정 칼라의 농축잉크와 캐리어가 각각 저장되는 잉크탱크(141) 및 캐리어탱크(143)와, 상기 순환탱크(144) 내의 폐현상액을 수거하는 폐기탱크(149)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잉크 전달 시스템(140)은 상기 순환탱크(144) 내의 현상액(D)을 상기 현상유니트(120)의 현상갭(G)에 분사하는 분사부(147)와, 상기한 현상유니트(120), 순환탱크(144), 잉크탱크(141), 캐리어탱크(143) 및 폐기탱크(149)를 연결하는 다수의 경로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탱크(144)는 상기 현상유니트(120)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유니트(120) 내에 상기 분사부(147)를 통해 현상액(D)을 공급하고, 현상에 기여한 후 잔류하는 현상액(D)을 재수용하여 현상시 현상액이 현상갭(G)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순환탱크(144)에 수용된 현상액(D)의 농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순환탱크(144)의 내부에는 농도센서(145)가 설치되고, 현상액의 수용량을 감지하는 하한 레벨센서(146a)가 설치된다. 상기 분사부(147)는 현상액을 공급하는 분사경로(147a)와, 이 분사경로(147a)에 설치되어 현상액을 펌핑하는 펌프(147b) 및, 상기 분사경로(147a)의 상기 현상갭(G) 단에 설치되어 현상액을 현상갭(G)에 분사하는 노즐(147c)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탱크(144)는 현상액(D) 저장량에 대한 기준레벨(A) 즉, 상한레벨에 준하는 통상 저장레벨이 마련되며, 상기 기준레벨(A)에 대응하여 액위가 소정높이 이상일 때의 현상액(D)을 고려한 여유레벨(B)이 마련된다. 그리고, 순환탱크(144) 내에는 상기 여유레벨(B)을 넘어 외부로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일단 즉, 오버플로우 배출구(150a)가 상기 순환탱크(144) 내의 여유레벨(B) 상부에 마련되며, 그 몸체는 순환탱크(144) 내의 저면을 관통해서 폐기탱크(149)에 연결된 본 고안의 특징부인 오버플로우 배출경로(150)를 구비한다.
상기 잉크탱크(144)는 인쇄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순환탱크(144)에 공급될 농축잉크가 저장된다. 이 잉크탱크(141)에 수용된 농축잉크는 제1공급경로(141a)를 통해 순환탱크(144)에 공급된다. 이 잉크탱크(141) 내에는 내부에 수용된 농축잉크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142) 등의 기능성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캐리어탱크(143)는 인쇄기 본체 내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순환탱크(144)에 공급될 캐리어가 저장된다. 상기 캐리어탱크(143) 내에 저장된 캐리어는 제2공급경로(143a)를 통해 상기 순환탱크(144)에 공급된다.
상기 제1 및 제2공급경로(141a)(143a) 상에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밸브의 개폐에 따라 자중에 의해 상기 잉크탱크(141) 및 캐리어탱크(143) 각각으로부터 농축잉크와 캐리어가 공급된다. 여기서, 건조유니트(130)를 통해 건조 및 응축되어 응축탱크(139)로 회수된 캐리어는 펌프(미도시)에 의해 상기 캐리어탱크(143)에 공급된다.
상기 폐기탱크(144)는 상기 순환탱크(144)의 하부에 설치되며, 폐현상액 회수경로(148)를 통해 상기 순환탱크(144)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폐현상액 회수경로(148)에는 오염감지센서(미도시) 등에 의해 제어되어 개폐되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어서, 밸브의 오픈시 자중(自重)에 의해 폐현상액이 회수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현상모드시, 상기 순환탱크(144) 내의 현상액(D)이 분사부(147)를 통해 상기 현상유니트(120)에 분사되면서, 상기 감광매체(110)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대응되도록 화상을 현상한다.
이때, 상기 순환탱크(144)에 설치된 농도센서(145) 및 하한 레벨센서(146a)는 상기 순환탱크(144) 내의 현상액(D)의 농도와 잔량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농도센서(145)에 의해 상기 순환탱크(144) 내의 현상액 농도가 허용범위 미만 또는 초과를 감지하게 되면, 필요한 량의 농축잉크 및 캐리어를 상기 제1 및 제2공급경로(141a)(143a) 각각을 통해 상기 순환탱크(144)에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순환탱크(144) 내의 현상액이 오염된 경우는, 폐현상액 회수경로(148)를 통해 상기 폐기탱크(149)로 공급되는데, 상기 폐현상액 회수경로(148)에 설치된 밸브는 현상액의 오염정도에 따라 오염감지센서(미도시) 등에 의해 제어되어 개폐됨으로써 폐현상액의 자중(自重)에 의해 폐기탱크(149)로 회수되도록 한다.
한편, 잉크 전달 시스템(140)에서는 종종 상기 잉크탱크(141), 캐리어탱크(143) 및 응측탱크(139) 등의 밸브가 고장나거나, 또는 밸브 콘트롤 상의 오동작이 발생할 경우가 발생한다. 이 때에는, 각 라인의 공급량이 과다하게 배출되어 순환탱크(144)의 적정 저장량을 넘게됨으로써 현상액(D)이 순환탱크(144) 기준레벨(A)을 더 초과하여 여유레벨(B)을 넘게된다.
또한, 다른 경우에 있어서, 폐기탱크(149)와 연결된 순환탱크(144)의 폐현상액 회수경로(148)가 막히거나, 폐현상액 회수경로(148)에 설치된 밸브의 오동작이 발생하거나, 또는 순환탱크(144) 내의 상한 레벨센서(도 1의 46b)의 미작동 및 오작동 등의 경우가 발생한다. 이 때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순환탱크(144)의 현상액(D)이 여유레벨(B)을 넘게된다.
이렇게 순환탱크(144) 내의 현상액(D)이 통상 저장량인 기준레벨(A)을 초과하여 여유레벨(B)을 넘도록 저장됨으로써, 오버플로우될 소정 레벨에 다다르면, 상기 현상액은 오버플로우 배출구(150a)로 유입된다. 오버플로우 배출구(150a)로 유입된 현상액(D)은 오버플로우 배출경로(150)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자중에 의해 상기 폐기탱크(149) 내로 직접 공급 회수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회수된 현상액(D)을 상기 폐기탱크(149)로 배출하여 폐기처리하지 않고 다른 저장용기에 저장하여 밸브 및 펌프를 구비한 소정 공급경로를 통해 다시 순환탱크(144) 내로 재공급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시스템 구성의 복잡화를 야기할 수 있게 되며, 비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폐기탱크(144) 내에 회수된 현상액 중 캐리어 만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가 이미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기도 하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나타낸 개략적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급 전달 시스템(240)은 그 기본적인 구조에 있어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크게 다르지는 않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특징부만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탱크(244) 내에는 현상액(D) 저장량에 대한 기준레벨(A) 즉, 상한레벨에 대한 통상 저장레벨이 마련되며, 상기 기준레벨(A)에 대응하여 오버플로우되는 현상액을 고려한 여유레벨(B)이 마련된 것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나, 상기 현상액이 상기 여유레벨(B)을 넘어 외부로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여유레벨(B) 상부에서 순환탱크(244) 외부로 연통되어 상기 폐기탱크(249)와 연결된 오버플로우 배출경로(250)를 구비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오버플로우 배출경로(250)는 그 일단 즉, 오버플로우 배출구(250a)가 상기 여유레벨(B) 상부의 순환탱크(244) 내벽에 형성되어 외부로 연장되고, 그 타단이 폐기탱크(249)에 연결된 것이다. 이로써, 상기 여유레벨(B)을 넘어 오버플로우 되는 현상액은 상기 오버플로우 배출구(250a)로 유입되고, 오버플로우 배출구(250a)로 유입된 현상액은 오버플로우 배출경로(250)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자중에 의해 폐기탱크(249)로 직접 공급 회수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배출경로(250)를 순환탱크(244) 내에서 순환탱크(244) 하부의 폐기탱크(249)로 관통시키지 않고, 외부로 노출시켜 폐기탱크(249)와 직접 연결함으로써,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순환탱크(244)의 내부공간을 넓게 획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에서는 종래와 달리 도 1에서와 같은 순환탱크(44) 내의 상한 레벨센서(46b)가 필요없게 된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은 순환탱크 내에서 오버플로우되는 현상액을 직접 폐기탱크로 배출하여 회수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시스템 본체의 오염을 방지하고, 현상액이 제품의 본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

Claims (3)

  1. 현상유니트와, 상기 현상유니트에 연결되어 현상액을 공급하는 순환탱크와, 인쇄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순환탱크에 공급된 소정 칼라의 농축잉크와 캐리어가 각각 저장되는 잉크탱크 및 캐리어탱크와, 상기 순환탱크 내의 폐현상액을 수거하는 폐기탱크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순환탱크에는 상기 현상액의 액위가 소정높이 이상일 때 상기 현상액을 상기 폐기탱크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경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경로는 상기 순환탱크 내에서 그 일단이 기준레벨에 대한 여유레벨 상에 구비되되, 상기 순환탱크의 저면을 관통하여 상기 폐기탱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경로는 상기 순환탱크 내에서 그 일단이 기준레벨에 대한 여유레벨 상에 구비되되, 상기 여유레벨 상부에서 외부로 연통되어 상기 폐기탱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KR2019980025362U 1998-12-17 1998-12-17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KR200000123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362U KR20000012396U (ko) 1998-12-17 1998-12-17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362U KR20000012396U (ko) 1998-12-17 1998-12-17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396U true KR20000012396U (ko) 2000-07-05

Family

ID=69507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362U KR20000012396U (ko) 1998-12-17 1998-12-17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39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1007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칼라인쇄기용잉크전달시스템
KR100311006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용잉크전달시스템
KR100497343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용 잉크전달시스템
KR100561448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전달 시스템
EP0969332B1 (en) Carrier recovery apparatus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EP0781659B1 (en) Liquid supplying method
KR100253143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액 공급장치 및 탱크/카트리지 어셈블리
KR20000012396U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KR100316658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KR100343160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잉크전달시스템
KR20000043091A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KR100333817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현상액 공급장치
KR100316661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웨이스트탱크 및 그 교반장치
KR100300989B1 (ko) 습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KR100385050B1 (ko) 습식 칼라 인쇄기의 잉크 전달시스템
KR20000008442U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
KR100322564B1 (ko) 인쇄기의현상액공급장치
KR19990083644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시스템
KR19990049376A (ko) 습식 현상기의 현상액 공급장치
KR100513707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카트리지
KR100416540B1 (ko) 습식인쇄기용잉크공급장치
KR100370194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액 공급장치
KR100304634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 카트리지와 연결장치
KR20010064302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카트리지
KR100300991B1 (ko) 습식 인쇄기용 잉크전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