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442U -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442U
KR20000008442U KR2019980020134U KR19980020134U KR20000008442U KR 20000008442 U KR20000008442 U KR 20000008442U KR 2019980020134 U KR2019980020134 U KR 2019980020134U KR 19980020134 U KR19980020134 U KR 19980020134U KR 20000008442 U KR20000008442 U KR 200000084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waste
refill cartridge
tank
concent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20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8442U/ko
Publication of KR200000084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442U/ko

Links

Abstract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주입장치는, 현상유니트에 공급될 현상액이 저장되는 순환탱크에 연결되며, 그 순환탱크 내의 폐잉크를 수거하는 폐기탱크; 이 폐기탱크 내의 폐잉크를 공급받기 위한 폐잉크공급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디스크가 설치되며, 저장된 농축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배출구가 형성된 리필카트리지; 폐기탱크 내의 폐잉크를 폐잉크공급구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 리필카트리지로부터 농축잉크를 공급받아 순환탱크로 공급될 농축잉크를 저장하기 위해 인쇄기 본체에 고정 설치된 잉크저장탱크;를 구비한다. 따라서, 폐기탱크에 저장된 폐잉크를 펌프의 펌핑압력에 의해 리필카트리지로 공급하여 리필카트리지 내의 농축잉크를 잉크저장탱크로 급속히 공급함과 동시에 농축잉크가 빠져나간 리필카트리지의 여분의 공간에 폐잉크를 배출하여 그 리필카트리지에 폐잉크를 회수함으로써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
본 고안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쇄기 본체에 내장된 잉크저장탱크로 리필카트리지 내의 농축잉크를 공급함에 있어서, 폐기탱크의 폐잉크를 리필카트리지로 회수시킴과 동시에 폐잉크의 분출압력을 이용하여 리필카트리지에 저장된 농축잉크를 잉크저장탱크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용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 등에 적용되는 인쇄기는 분말상의 토너를 사용하는 건식 현상방식과, 액체캐리어에 토너가 혼합된 현상액을 사용하는 습식 현상방식이 있다. 이 두 가지 방식은 모두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매체에 대전 상태의 토너나 현상액을 전사시킨 후, 그 감광매체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전사매체 사이로 용지를 통과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기록용지에 인쇄하는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한다.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있어서, 현상유니트로 잉크를 공급하는 방법은 현상유니트 하측에 근접하여 설치된 잉크카트리지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인쇄기 내부의 공간 배분에 어려움이 수반된다. 즉, 현상유니트 위치는 감광매체의 하면에 근접한 위치에 제한되므로 인쇄기에 설치되는 잉크카트리지의 체적, 잉크의 교체, 보충, 청소 및 수리 등의 문제를 고려하여 잉크카트리지의 설치 위치도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설치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는 위치에 잉크저장탱크를 고정시키고, 교환가능한 별도의 리필카트리지를 이용하여 그 고정된 잉크저장탱크로 잉크를 공급하는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종래의 잉크카트리지 내에 있는 교반기나 드립리스 밸브, 공기구멍 및 착탈장치 등의 기능성 부품을 인쇄기에 고정설치되는 잉크저장탱크에 내장시켜 이를 교환하지 않고, 소모품인 리필카트리지만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이 저렴해 진다.
그런데, 상기 리필카트리지를 채용하게 될 경우, 리필카트리지 내의 잉크를 잉크저장탱크로 주입할 때, 그 주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대기시간이 연장되어 불편하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인쇄기 본체에 내장된 잉크저장탱크로 리필카트리지 내의 농축잉크를 공급함에 있어서, 폐기탱크의 폐잉크를 리필카트리지로 회수시킴과 동시에 그 회수되는 폐잉크의 분출압력을 이용하여 리필카트리지에 저장된 농축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조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리필카트리지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잉크 주입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리필카트리지의 농축잉크가 충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잉크 주입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리필카트리지의 농축잉크가 잉크저장탱크로 일부 공급된 상태의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인쇄기 본체 110...현상유니트 120...순환탱크
130...캐리어저장탱크 140...잉크저장탱크 150...폐기탱크
160...리필카트리지 170...공급펌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현상유니트에 공급될 현상액이 저장되는 순환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순환탱크 내의 폐잉크를 수거하는 폐기탱크; 상기 폐기탱크 내의 폐잉크를 공급받기 위한 폐잉크공급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디스크가 설치되며, 저장된 농축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배출구가 형성된 리필카트리지; 상기 폐기탱크 내의 폐잉크를 상기 폐잉크공급구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펌프; 및 상기 리필카트리지로부터 농축잉크를 공급받아 상기 순환탱크로 공급될 농축잉크를 저장하기 위해 인쇄기 본체에 고정 설치된 잉크저장탱크;를 구비하며, 상기 폐기탱크에 저장된 폐잉크를 상기 공급펌프의 펌핑압력에 의해 리필카트리지로 공급하여 리필카트리지 내의 농축잉크를 잉크저장탱크로 급속히 공급함과 동시에 농축잉크가 빠져나간 리필카트리지의 여분의 공간으로 폐잉크를 배출시켜 그 리필카트리지에 폐잉크를 회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는 상기 리필카트리지의 내벽에 접촉되어 양분되는 리필카트리지의 두 공간을 밀봉할 수 있는 실링부재;가 더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쇄기 본체(100)와,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소정 농도의 현상액을 감광매체(102)에 현상하기 위한 현상유니트(110)와, 이 현상유니트(110)로 상기 현상액을 공급하기 위한 순환탱크(120)와, 이 순환탱크(120)로 캐리어 및 농축잉크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캐리어저장탱크(130) 및 잉크저장탱크(140)와, 순환탱크(120) 내의 폐잉크를 공급받기 위한 폐기탱크(150)와, 인쇄기 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필카트리지(150)와, 폐기탱크(160) 내의 폐잉크를 리필카트리지(15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펌프(170)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유니트(120)는 그 하부에 설치된 순환탱크(120) 내의 현상액(D)을 상기 현상유니트(110)의 현상갭(G)에 분사하기 위해 그 내부에 분사부(112)가 구비된다. 또한, 현상유니트(110)는 상기 현상에 기여한 후 잔류하는 현상액(D)을 재수용하여 현상시 현상액이 현상갭(G)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분사부(120)는 현상액을 공급하는 분사경로(114)와, 이 분사경로(114)에 설치되어 현상액을 펌핑하는 펌프(116), 및 분사경로(114)의 상기 현상갭(G) 단에 설치되어 현상액을 현상갭(G)에 분사시키는 노즐(118)로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저장탱크(130)는 인쇄기 본체(100) 내에 고정 배치되며, 순환탱크(120)에 공급될 캐리어가 저장된다. 캐리어저장탱크(130)에 저장된 캐리어는 캐리어공급경로(132)를 통해 순환탱크(120)에 공급되면서 소모된다. 캐리어공급경로(132)에는 그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134)와 공급될 캐리어를 펌핑하는 펌프(136)를 포함한다.
상기 잉크저장탱크(140)는 인쇄기 본체(100)에 고정 설치되며, 리필카트리지(160)로부터 농축잉크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그 내부에는 농축잉크를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기(142)가 설치된다. 잉크저장탱크(140)에 수용된 농축잉크는 잉크공급경로(144)를 통해 순환탱크(120)에 공급된다. 이 잉크공급경로(144)는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밸브(146)와, 농축잉크를 펌핑하는 펌프(148)를 포함한다. 한편, 잉크저장탱크(140)가 순환탱크(12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농축잉크가 공급될 수 있으므로, 상기 펌프(148)는 배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잉크공급경로(144) 및 캐리어공급경로(136)를 별도로 분리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두 경로(136,144)의 밸브를 하나의 밸브 예컨대, 2 웨이 밸브로 대체하고, 하나의 펌프에 의해 잉크저장탱크(130) 내의 농축잉크와 캐리어저장탱크(140) 내의 캐리어를 순차로 순환탱크(120)에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폐기탱크(150)는 배출경로(152)에 의해 순환탱크(120)에 연결되어 그 순환탱크(120) 내의 폐잉크를 수거한다. 이 폐기탱크(150)에는 수용된 폐잉크의 오버플로우를 억제할 수 있도록 상한 레벨을 감지하는 상한 레벨센서(154)가 설치된다. 폐기탱크(150)에 수용되는 폐잉크의 일부는 밸브(156)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156)를 통해 리필카트리지(160)로 연결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인쇄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상기 리필카트리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잉크공급구(161)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161)와, 잉크배출구(163)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164)와, 상,하부 케이스(162,164)의 연결부위에 설치된 밀봉부재(165)와, 상기 상,하부 케이스(162,164) 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크(166) 및 이 디스크(166)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62,164)에 접촉되며 리필카트리지(160)를 두 공간 즉, 농축잉크가 저장된 공간과 폐잉크가 공급될 공간으로 양분시키는 실링부재(168)를 구비한다. 상기 리필카트리지(160)가 인쇄기 본체(100)의 장착부에 장착되면, 리필카트리지(160)의 잉크공급구(163)는 경로(141)에 의해 잉크저장탱크(140)에 연결된다.
여기서, 폐기탱크(150)와 리필카트리지(160)는 폐잉크공급경로(172)에 의해 연결되며, 이 폐잉크공급경로(172) 상에는 공급펌프(170)가 설치되어 폐기탱크(150)로부터 리필카트리지(160)로 공급될 폐잉크의 량을 조절한다.
도면의 참조부호 180은 현상에 기여한 후 잔존된 캐리어를 건조 및 응축시키기 위한 건조/응축유니트를 나타낸다. 상기 건조/응축유니트(180)에서 응축된 캐리어를 폐기탱크(150)로 회수할 수 있도록 폐기탱크(150)와 건조/응축유니트(180)를 연결하는 회수경로(182)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건조/응축유니트(180)는 감광매체(102)에 잔류하는 캐리어를 흡수하는 건조롤러(184)와, 이 건조롤러(184)에 접촉회전되면서 그 건조롤러(184)를 가열함으로써 흡수된 액상의 캐리어를 증기 상태로 변환시키는 두 개의 리제너레이션롤러(186)와, 증기 상태의 캐리어를 응축시키는 응축기(188)를 포함한다. 이 응축기(188)를 통해 응축된 액체 캐리어는 회수경로(182)를 통해 폐기탱크(150)에 회수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188)와 캐리어저장탱크(140)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회수경로(182)를 배치시킴으로써, 응축된 캐리어를 폐기탱크(150) 대신 캐리어저장탱크(140)에 직접 회수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잉크 주입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필카트리지(460)를 인쇄기 본체(100)의 장착부에 장착시켜 잉크공급구(163)와 경로(141)를 연통시킨다. 이와 동시에 폐잉크공급경로(172)의 일단을 리필카트리지(160)의 폐잉크공급구(161)에 연결시킨다. 그 후, 상기 밸브(156)를 개방하고, 공급펌프(170)를 작동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탱크(150)에 저장된 폐잉크가 리필카트리지(160)로 공급되고 그 공급되는 폐잉크의 분출압력에 의해 디스크(166)가 잉크배출구(163) 쪽으로 밀려나면서 리필카트리지(160)에 저장된 농축잉크는 경로(141)에 의해 잉크저장탱크(140)로 급속히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펌프(170)의 회전수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주입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는, 리필카트리지에 저장된 농축잉크를 잉크저장탱크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폐기탱크의 폐잉크를 이용함으로써 잉크 주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일회용 소모품에 지나지 않는 사용하고 버리게 될 리필카트리지에 폐잉크를 회수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원활용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현상유니트에 공급될 현상액이 저장되는 순환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순환탱크 내의 폐잉크를 수거하는 폐기탱크;
    상기 폐기탱크 내의 폐잉크를 공급받기 위한 폐잉크공급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디스크가 설치되며, 저장된 농축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배출구가 형성된 리필카트리지;
    상기 폐기탱크 내의 폐잉크를 상기 폐잉크공급구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펌프;
    상기 리필카트리지로부터 농축잉크를 공급받아 상기 순환탱크로 공급될 농축잉크를 저장하기 위해 인쇄기 본체에 고정 설치된 잉크저장탱크;를 구비하며,
    상기 폐기탱크에 저장된 폐잉크를 상기 공급펌프의 펌핑압력에 의해 리필카트리지로 공급하여 리필카트리지 내의 농축잉크를 잉크저장탱크로 급속히 공급함과 동시에 농축잉크가 빠져나간 리필카트리지의 여분의 공간으로 폐잉크를 배출시켜 그 리필카트리지에 폐잉크를 회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는 상기 리필카트리지의 내벽에 접촉되어 양분되는 리필카트리지의 두 공간을 밀봉할 수 있는 실링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
KR2019980020134U 1998-10-21 1998-10-21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 KR200000084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134U KR20000008442U (ko) 1998-10-21 1998-10-21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134U KR20000008442U (ko) 1998-10-21 1998-10-21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442U true KR20000008442U (ko) 2000-05-15

Family

ID=6952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134U KR20000008442U (ko) 1998-10-21 1998-10-21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844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448B1 (ko) * 1999-01-18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전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448B1 (ko) * 1999-01-18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전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1006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용잉크전달시스템
KR100311007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칼라인쇄기용잉크전달시스템
RU2411564C2 (ru) Картридж для проявителя, проя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меющее их
KR100497343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용 잉크전달시스템
CN101515136A (zh) 显影盒、具有该显影盒的成像设备及成像设备的打印方法
KR100561448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전달 시스템
US6679594B2 (en) Imaging media cartridge having a reserve chamber
KR20000008442U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주입장치
KR20030090491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현상제 회수 용기
KR100316658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KR100338739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폐잉크회수겸용잉크리필카트리지
KR100333817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현상액 공급장치
KR100513754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유닛
US20040005173A1 (en) Liqui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43160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잉크전달시스템
KR100513707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카트리지
US7164879B2 (en) Reversible ink cartridge
KR100300991B1 (ko) 습식 인쇄기용 잉크전달시스템
KR100316661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웨이스트탱크 및 그 교반장치
KR20010064302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카트리지
KR19990083644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전달시스템
KR19990079817A (ko) 습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KR20000012396U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KR100230307B1 (ko)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용 현상기
KR100547144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