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491A - 화상 형성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현상제 회수 용기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현상제 회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491A
KR20030090491A KR10-2003-0010295A KR20030010295A KR20030090491A KR 20030090491 A KR20030090491 A KR 20030090491A KR 20030010295 A KR20030010295 A KR 20030010295A KR 20030090491 A KR20030090491 A KR 20030090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very
developer
container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4831B1 (ko
Inventor
하루모토가츠미
세리자와마사토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0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06At least one recording member having plural associated developing un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회수 용기(24)는 중간 전사체 회수구(134)와 현상기용 회수구(136)를 구비한다. 회수구들(134 및 136)에는 중간 전사체와 현상기에 설치된 회수 현상제 발생부가 접속된다. 적어도 2개의 회수구(134 및 136)는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회수구들(134 및 136)이 접속되는 회수 공간들(148a 내지 148f)은 구획벽(146)에 의해 분리되고, 구획벽(146)의 높이 및 형상에 따라서 구획 공간(148a 내지 148f)의 회수 용량이 설정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현상제 회수 용기{IMAGE FORMATION APPARTUS AND DEVELOPER COLLECTION VESSEL USED THEREWITH}
본 발명은 폐토너, 트릭클(trickle) 현상 시스템을 채용하는 현상기로부터 회수된 현상제 등을 회수하는 현상제 회수 용기 및 이러한 현상제 회수 용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복사기 등에 적용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감광체, 전사 롤, 현상기 등에서 배출되어야 할 현상제가 발생되고, 회수할 필요가 었어, 회수 용기가 배치된다.
지금까지, 이러한 종류의 회수 용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일본국 특허 제2912073호에 개시된 장치가 있다. 관련 기술예에서는, 복수의 회수 현상제 발생부로부터 발생하는 회수 현상제를 1개의 회수 용기 내에 회수하여, 회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관련 기술예에서는, 복수의 회수 현상제 발생부로부터 회수 현상제를 화상 형성 장치의 후방으로 한번 반송하여 모은 후에, 모아진 현상제를 화상 형성 장치의 전면(front)에 배치된 회수 용기로 반송하여 회수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회수구를 통하여 모은다. 따라서, 회수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경로가 복잡하게 되고, 또한 현상제 회수 기구도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제 회수 기구를 간략화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적합한 현상제 회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된 현상기 유닛을 나타낸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된 현상기 유닛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된 현상기 유닛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된 현상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된 회수 용기의 이면을 나타낸 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된 회수 용기의 제1 하우징을 나타낸 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된 회수 용기의 제2 하우징을 나타낸 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된 회수 용기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프론트 패널을 제거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에 회수 용기을 배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프론트 패널, 회수 용기 및 제2 프레임을 제외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를 나타낸 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회수 용기와 제2 프레임 간의 관계를 나타낸 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현상기와 회수 용기 간의 관계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현상기와 회수 용기 간의 관계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화상 형성 장치 본체
14 : 급지 유닛
50 : 감광체 유닛
52 : 감광체
58 : 현상기 유닛
60 : 현상기
62 : 노광 유닛
64 : 현상제 카트리지
66 : 중간 전사 유닛
68, 70 : 제1 중간 전사체
72 : 제2 중간 전사체
76 : 클리닝 롤
80 : 마그넷 롤
112 : 나선형 오거
122 : 배출부
124 : 회수 용기
126 : 회수 용기 본체
128 : 제1 하우징
130 : 제2 하우징
134 : 중간 전사체 회수구
136 : 현상기 회수구
138 : 셔터
142 : 도어부
143 : 복원 스프링
144 : 개폐용 피스
146 : 구획벽
148a∼148f : 회수 공간
150 : 밀봉부
152 : 연통부
154 : 현상제 흡입부
172 : 배출부
176 : 돌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회수 현상제 발생부, 상기 복수의 회수 현상제 발생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배출부, 및 상기 복수의 배출부가 접속되는 복수의 회수구를 갖는 회수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회수구 중의 적어도 2개는 상기 회수 용기의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회수 현상제 발생부는 예를 들면 현상기, 감광체, 중간 전사체, 전사 롤 등에 배치되고, 현상제 배출 통로 및 클리닝 수단으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회수 현상제 발생부로부터 현상제를 회수하는 2개 이상의 회수구를 세로 방향으로 배치하여, 회수 현상제 발생부로부터 직접 현상제를 회수할 수 있게 되어, 현상제 회수 기구가 간략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서는, 회수 용기의 회수구가 회수 현상제 발생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즉, 예를 들면 트릭클 현상 시스템을 각각 채용하는 복수의 현상기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현상기에 배치된 회수 현상제 발생부에 대응하여 세로 방향으로 회수구가 형성된다. 복수의 중간 전사체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중간 전사체에 배치된 회수 현상제 발생부에 대응하여 세로 방향으로 회수구가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현상기 및 복수의 중간 전사체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현상기 및 중간 전사체에 배치된 회수 현상제 발생부에 대응하여 세로 방향으로 회수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회수 용기의 회수구를 회수 현상제 발생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여, 회수 현상제 발생부로부터 직접 현상제를 회수할 수 있게 되어, 현상제 회수 기구가 간략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수 용기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회수 용기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전면에 배치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르면, 현상제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부가 접속되는 복수의 회수구를 포함하며, 복수의 회수구 중의 적어도 2개는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현상제 회수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르면, 현상제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부에 접속된 복수의 회수구로 형성되는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구는 용기 본체의 상하 중간 위치 아래에 배치되는 현상제 회수 용기가 제공된다. 회수구가 관련 기술예와 같이 회수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면, 회수 현상제를 위로 반송하는 반송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회수구를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반송 기구가 간략화될 수 있거나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따르면, 현상제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부가 접속되는복수의 회수구, 복수의 회수구에 접속된 복수의 회수 공간, 및 복수의 회수 공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소정의 다른 회수 공간과 분리하는 구획벽을 포함하는 현상제 회수 용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분리형 회수 공간이 회수 용기에 형성될 수 있어, 회수 용기 내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회수 현상제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현상제가 토너 색, 성분(토너만 또는 토너와 캐리어) 등이 다른 경우, 이들을 분리해서 회수할 수 있다.
하나의 회수 공간 및 소정의 다른 회수 공간은 연통부를 통하여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예상보다 많은 양의 현상제가 하나의 회수 공간에 회수되는 경우, 현상제는 연통부를 통하여 다른 회수 공간으로 나올 수 있고, 현상제 막힘 등의 결함 조건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회수구 아래에 구획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수 공간의 회수 용량은 구획벽의 높이 또는 형상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고, 회수 현상제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회수 현상제의 비와 회수 공간의 회수 용량의 비를 서로 대략 같게 하여 회수 용기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따르면, 현상제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부가 접속되는 복수의 회수구로 형성되는 제1 하우징, 및 제1 하우징에 접합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이 접합되어 회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어느 하나가 회수 공간을 복수의 회수 공간으로 분리하는 구획벽으로 형성되는 현상제 회수 용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구획벽이 형성되지 않는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의 어느 하나는 구획벽과 접하는 밀봉부로 형성되어, 구획벽의 측면으로부터 회수 현상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아웃라인을 나타낸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하부에 배치된 급지 유닛(14),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부 상에 형성된 제1 배출 트레이(16)를 갖는다. 제1 배출 트레이(16)에 대향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좌측 상에 제2 배출 트레이(18)가 배치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좌측 하부에는 수동 급지 트레이(20)가 배치된다.
급지 유닛(14)은 용지가 적층되는 용지 트레이(22), 및 용지 트레이(22)로부터 용지를 전달하는 급지 롤(24)를 갖는다. 급지 롤(24)에 의해 전달된 용지는 반송 롤(26, 28)을 통하여 급지로(30) 상에 반송되고, 후술하는 전사 롤(74)로 보내진다. 전사 롤(74)에 의해 토너 상(toner image)이 전사되어 정착 롤(32) 상에 정착된다. 스위치 클로(claw)(34)의 위치 선택에 따라서 제1 배출 트레이(16) 또는 제2 배출 트레이(18)가 선택되어, 용지가 배출 롤(36, 38)에 의해 배출된다. 토너 상이 정착되는 면을 이면으로 하여 용지가 제1 배출 트레이(16)로 배출되고, 토너 상이 정착되는 면을 정면으로 하여 용지가 제2 배출 트레이(18)로 배출된다.
그러나, 양면 인쇄를 행하기 위해서는, 제1 배출 트레이(16)로부터 배출될 용지에 대하여, 배출 롤(36)이 반대로 회전하여 용지를 반전로(40)로 공급하고, 반송 롤(42, 44, 46, 48)에 의해 용지를 급지로(30)로 반송하여 이면을 인쇄한다.수동 급지 트레이(20) 상의 용지는 수동 급지 롤(49)에 의해 공급되어, 반송 롤(48)을 통하여 급지로로 보내진다.
감광체 유닛(50)은 상부로부터 예를 들면 옐로우, 마젠타(magenta), 블랙, 시안(cyan)용의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감광체(52)를 갖는다. 각각의 감광체(52)에 대하여 리프레시 롤(54) 및 대전 롤(56)이 설치되어, 대응하는 감광체(52)와 접촉 회전한다.
현상기 유닛(58)은 감광체 유닛(50)의 우측에 배치되고, 감광체(52)와 1대1 대응하여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현상기(60)를 갖는다. 각 현상기(60)는 트릭클 현상 시스템을 채택하고, 여분의 현상제가 후술하는 회수 용기에 회수된다. 현상기 유닛(58)의 우측에는 화상 신호에 응답하여 4개의 레이저 빔을 잠상을 형성하는 감광체(52)로 방출하는 노광 유닛(62)이 배치된다. 노광 유닛(62)의 우측에는 4개의 현상제 카트리지(64)가 배치된다. 현상제 카트리지 및 현상기(60)는 현상제 카트리지(64)로부터 현상기(60)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속된다.
중간 전사 유닛(66)은 감광체 유닛(50)의 좌측에 배치되고, 드럼 형상의 3개의 중간 전사체(68, 70, 72)를 갖는다. 2개의 제1 중간 전사체(68, 70)가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부의 제1 중간 전사체(68)는 2개의 상부 감광체(52, 52)와 접촉 회전하고, 하부의 제1 중간 전사체(70)는 2개의 하부 감광체(52, 52)와 접촉 회전한다. 제2 중간 전사체(72)는 양쪽의 제1 중간 전사체(68, 70)와 접촉 회전하고, 전사 롤(74)은 제2 중간 전사체(72)와 접촉 회전한다. 따라서, 2개의 컬러 토너 상이 2개의 감광체(52, 52)로부터 제1 중간 전사체(68, 70)로 전사되고, 제1 중간 전사체(68)로 전사된 2개의 컬러 토너 상 및 제1 중간 전사체(70)로 전사된 2개의 컬러 토너 상이 제2 중간 전사체(72)로 전사되어 4색 토너 상을 형성하고, 그 후 전사 롤(74)에 의해 용지로 전사된다. 클리닝 롤(76) 및 클리닝 브러시(78)가 각각의 중간 전사체(68, 70, 72) 상에 배치된다. 클리닝 롤(76)에 의해 포착된 토너가 예를 들면 블레이드로 긁어 내어지고, 긁어 낸 토너가 후술하는 회수 용기 내로 회수된다. 즉,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는 4개의 현상기(60) 및 3개의 중간 전사체(68, 70, 72)를 갖고, 즉 총계 7개의 회수 현상제 발생부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는 현상기 유닛(58)을 상세히 나타낸다. 현상기 유닛(58)은 현상기(60)의 마그넷 롤(80)이 감광체(52)와 접하는 위치와 마그넷 롤(80)이 감광체(52)로부터 퇴각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화상이 형성되면, 마그넷 롤(80)을 감광체(52)에 대하여 접하고, 감광체(52) 상에 형성된 잠상에 응답하여 감광체(52) 상에 토너를 퇴적한다. 화상 형성이 실시되지 않으면, 현상기(60)의 마그넷 롤(80)을 감광체(52)로부터 퇴각시켜, 예를 들면 클리닝 사이클에서는 토너가 감광체(52) 상에 퇴적되어 혼색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현상기 유닛(58)을 교환할 때에 감광체(52) 및 마그넷 롤(80)이 서로 접촉하여 스크래치 등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한다.
현상기 유닛(58)은 현상기 유닛 본체(82) 내에 레일 부재(84)를 포함하고, 가동 피스(moving piece)(86)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레일 부재(84) 상에 지지된다. 캠(cam)(88)이 가동 피스(86)의 하단과 접하여, 현상기 이동 모터(90)에 접속된다. 구동 부재(92)는 가동 피스(86)과 현상기(60) 사이에 배치된다. 구동 부재(92)는 지점 핀(fulcrum pin)(94)을 통하여 레일 부재(84)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구동 부재(92)의 일단에 배치된 프레스 핀(press pin)(96)을 통하여 현상기(60)와 접하며, 프레스 핀(96)은 현상기(6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 프레스 스프링(98)에 의해 가압된다. 구동 부재(92)의 대향 단부에 배치된 회전 핀(100)이 가동 피스(86) 상에 형성된 수용 홈 내에 삽입되어, 가동 피스(86)을 아래로 이동시키면 구동 부재(9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현상기(60)로부터 멀리 이동한다. 슬라이드 핀(104)이 현상기(60)의 양측에 배치되어, 현상기 유닛 본체(82)에 설치된 슬라이드 홈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현상기 유닛 본체(82)에는 현상기(60)가 감광체(8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핀(104)을 가압하는 제2 프레스 스프링(108)이 설치된다.
따라서, 현상기 이동 모터(90)가 도 3의 상태로부터 가동 피스(86)을 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구동되는 경우, 구동 부재(92)는 지점 핀(94)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현상기(60)에 대한 제1 프레스 스프링(98)의 가압력을 약하게 하고, 제2 프레스 스프링(108)의 가압력이 제1 프레스 스프링(98)의 가압력을 압도하여 현상기(60)를 감광체(52)로부터 멀리 이동시킨다.
도 5는 현상기(60)의 일례를 나타낸다. 현상기(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트릭클 현상 시스템을 채용하고, 마그넷 롤(80)과 2개의 나선형 오거(spiral auger)(112)가 현상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2개의 나선형 오거(112)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구획벽(114)에 의해 구획되며, 양 단부 부근에 형성된 순환구(116, 116)를 통하여 접속되어, 현상기 본체(110) 내에 삽입되는 현상제를 순환시키고 현상제를 마그넷 롤(80)에 공급한다. 현상기 본체(110)의 일단에는 회수 현상제 발생부를 형성하는 계단부(120)가 형성된다. 순환되는 현상제의 일부가 계단부(120) 내에 수용되고, 또한 수용된 현상제가 현상제 배출로(121)를 통하여 후술하는 회수 용기의 회수구에 접속되는 배출부(122)로 보내진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제 배출로(121)는 회수 현상제 발생부를 형성하고, 현상제 배출로(121)에 들어간 현상제는 현상 작용에 기능하지 못하며, 회수 용기 내에 회수된다.
도 6 내지 도 9는 회수 용기(124)의 일례를 나타낸다. 회수 용기(124)는 회수 용기 본체(126)를 갖는다. 회수 용기 본체(126)는 도 7에 나타낸 제1 하우징(128) 및 도 8에 나타낸 제2 하우징(130)으로 이루어지고, 그 주변부에서 서로 삽입되고, 회수 용기(124)를 예를 들면 접착 테이프 등으로 쉽게 해체 및 조립할 수 있도록 접합되어 있다. 제1 하우징(128)은 제1 하우징(128)의 우상부에 형성된 경사면 부분에 그립(132)를 갖는다. 제1 하우징(128)에는 중간 전사체의 회수 현상제 발생부에 대응하는 3개의 중간 전사체 회수구(134) 및 현상기의 회수 현상제 발생부에 대응하는 4개의 현상기 회수구(136)가 형성되어 있다. 3개의 중간 전사체 회수구(134) 중의 하나는 회수 용기 본체(126)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나머지 2개는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2개의 중간 전사체 회수구(134) 중의 하나는 회수 용기 본체(126)의 상하 중간 위치 아래에 형성된다. 4개의 현상기 회수구(136)는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고, 그 중 2개는 회수 용기 본체(126)의 상하 중간 위치아래에 형성된다.
각 현상기 회수구(136)는 좌우로 길게 이루어진 긴 구멍이다. 제1 하우징(128)에는 현상기 회수구(136)를 닫기 위한 셔터(138)가 설치된다. 셔터(138)는 제1 하우징(12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140), 회전축(140)에 고정된 4개의 도어부(142), 및 폐쇄 방향으로 셔터(138)에 힘을 가하는 복원 스프링(143)을 갖고, 회전축(140)을 회전시킴에 따라 4개의 현상기 회수구(136)를 일괄하여 개폐할 수 있다. 개폐용 피스(144)가 제1 하우징(128)으로부터 회전축(140)의 돌출 부분에 설치된다. 개폐용 피스(144)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셔터(138)를 개방한다.
각 현상기 회수구(136)의 외주면 상에는, 현상제 누설 방지를 위해 스폰지 등의 탄성체(141)가 제1 하우징(128)에 부착되어 있다.
회수 용기 본체(126)의 내부는 제1 하우징(128)에 수직 배치된 구획벽에 의해 예를 들면 6개의 회수 공간(148a∼148f)으로 분할된다. 구획벽(146)의 측단부는 제2 하우징(130)에 배치된 밀봉부(150)와 접하고 있다. 밀봉부(150)는 회수 공간 내의 현상제가 소정의 다른 회수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회수 공간(148a∼148f)의 측면부를 밀폐시킨다. 상부에 배치된 중간 전사체 회수구(134, 134)는 제1 회수 공간(148a)에 접속되어, 상부의 제1 중간 전사체(68) 및 제2 중간 전사체(72)로부터 발생하는 회수 현상제(2색 토너 및 4색 토너)를 회수한다. 현상기 회수구(136)는 제2 내지 제5 회수 공간(148b∼148e)에 접속되어, 제2 현상 공간(148b) 내에 옐로우 현상제(옐로우 토너와 캐리어)를 회수하고, 제3회수 공간(148c) 내에 마젠타 현상제(마젠타 토너와 캐리어)를 회수하며, 제4 회수 공간(148d) 내에 블랙 현상제(블랙 토너와 캐리어)를 회수하고, 제5 회수 공간(148e) 내에 시안 현상제(시안 토너와 캐리어)를 회수한다. 또한, 하부에 배치된 중간 전사체 회수구(134)는 제6 회수 공간(148f)에 접속되어, 하부의 제1 중간 전사체(70)로부터 발생하는 회수 현상제(2색 토너)를 회수한다. 따라서, 회수 용기(124)를 회수한 경우, 회수 현상제를 현상제 종류에 따라서 분리하여 현상제를 재이용하기가 편리하다.
구획벽(146)은 회수 공간(148a∼148f)을 완전히 밀폐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각 구획벽(146)의 팁(tip)이 셔터(138)의 회전축(140) 부근에서 정지하고, 회수 공간이 회전축(140) 부근의 회수 용기 본체(126)에 형성된 연통부(152)를 통하여 연통하고 있다.
구획벽(146)의 팁은 회수구(134, 136)의 하단 아래에 배치된다. 따라서, 회수구(134, 136)를 통하여 회수된 현상제는 회수 공간(148a∼148f)의 하단으로부터 축적되어, 현상제의 일부가 구획벽(146)의 팁으로부터 넘칠 때까지 저장된다. 현상제가 회수 공간(148a∼148f)로부터 넘칠 때까지의 현상제 용량을 회수 용량이라 칭한다. 회수 공간(148a∼148f)의 회수 용량은 구획벽(146)의 형상 및 높이에 기초하여 규정되고, 7개의 회수 현상제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회수 현상제의 비와 거의 같은 회수 용량이 되도록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회수 공간(148a), 제2 내지 제5 회수 공간(148b∼148e)의 합계, 및 제6 회수 공간(148f)의 회수 용량비가 약 5:4:1로 설정되고, 제6 회수 공간(148f)가 우선 가득 찬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수 공간(148a∼148f)이 구획벽(146)의 팁에서 연통부(152)를 통하여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서, 구획벽(146)이 구멍, 홈 등으로 형성되어, 회수 공간이 소정의 다른 회수 공간과 연통할 수 있게 하고, 모든 회수공간이 서로 연통할 필요가 없고; 적어도 2개의 회수 공간이 서로 연통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충만 상태 검출기를 구현하는 현상제 흡입부(154)는 연통부(152) 하부에서 제6 회수 공간(148f)에 인접하도록 회수 용기 본체(126)의 저면부에 배치된다. 현상제 흡입부(154)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광성 검출 용기(156)를 갖는다. 주어진 양 이상의 현상제가 검출 용기(156) 내에 들어가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배치된 발광부(158)로부터 방출된 광이 차단되고, 수광부(160)에서는 수신되지 않음으로써, 충만 상태 검출기는 회수 공간이 충만되는 것을 검출하게 된다. 검출 용기(156)는 접착 테이프 등의 쉽게 착탈 가능한 접합 수단(162)에 의해 접합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6 회수 공간(148f)의 회수 용량을 규정하는 구획벽(146)은 회수구(134)로 향하는 팁을 갖는 경사부(164)를 갖고, 제6 회수 공간(148f)에 축적된 현상제의 상부가 회수구(134)의 하단에 도달한 때에 현상제의 상부를 기점으로 하여 수평선으로부터 45도의 선 이하의 범위 내에 구획벽(146)의 팁이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경사부(164)는 수평선으로부터 90도보다 적은 각도로 회수구(134)로 진행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회수 공간을 거의 완전히 채운 회수 현상제는, 회수 현상제가 회수구(134)의 하단에 도달하기 전에 구획벽(145)의 팁으로부터 경사부(164)를 통해 현상제 흡입부(154)로 안내되고; 충만 상태 검출기는회수 공간이 현상제로 충만된 것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현상제를 막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수 공간(148a∼148f)의 회수 용량비는 제6 회수 공간(148f)이 우선 완전히 채워지도록 설정된다. 그러나, 회수량의 변동 또는 예기치 못한 사건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서 발생한 경우, 임의의 다른 회수 공간(148a∼148e)이 제6 회수 공간(148f)보다 먼저 채워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임의의 다른 회수 공간(148a∼148e)을 초과하는 현상제는 연통부(152)를 통하여 현상제 흡입부(154) 내로 도입될 수 있어, 충만 상태가 확실하게 검출될 수 있다.
다음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회수 용기(124)를 부착하는 것에 대하여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회수 용기(124)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전면에 부착된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전면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패널(166)이 배치되는 면을 말한다. 프론트 커버(도시하지 않음)를 개방함으로써, 회수 용기(124)를 찾을 수 있고, 착탈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는 제1 프레임(168)이 설치되고, 이 제1 프레임(168)을 따라 현상제 공급 호스(170)가 배치된다. 각 현상제 공급 호스(170)는 현상기(60)와 현상제 카트리지(64)를 접속하는 현상제 공급로를 형성한다. 제1 프레임(168)으로부터, 현상기(60)의 배출부(122)와 중간 전사 유닛의 클리닝 롤 부분에 접속된 배출부(172)가 거의 평행하게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전면을 향하여 돌출하고, 회수 용기(124)의 회수구(134,136)에 접속된다.
제1 프레임(168)의 전면에는 제2 프레임(174)이 고정되고, 제2 프레임(174)에는 돌기(176)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76)는 회수 용기(124)에서의 셔터(138)의 개폐용 피스(144)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상에 회수 용기(124)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돌기(176)가 개폐용 피스(144)에 접하여, 셔터(138)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개폐용 피스(144)를 가압하고, 셔터를 복원 스프링(143)에 대하여 개방한다. 충만 상태 검출기를 형성하는 센서부(180)는 제1 프레임(168)의 하부에 설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상에는 돌기(174)가 형성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셔터(138)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돌기(176)는 프론트 커버 상에 설치될 수 있고, 셔터(134)는 프론트 커버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될 수도 있다.
각 현상기(60)의 배출부(122)는 현상제 배출로(121)에 접속된 배출 파이프(182), 배출 파이프(182) 내에 외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개폐 슬리브(184), 및 개폐 슬리브(184)를 팁 방향으로 가압하는 개폐 스프링(186)을 갖는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상에 회수 용기(124)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개폐 슬리브(184) 상에 형성된 플랜지(188)를 회수 용기(124)의 탄성체(141)와 접하게 하고, 개폐 슬리브(184)를 개폐 스프링(186)에 대하여 후퇴시키며, 배출 파이프(182)의 팁을 현상기 회수구(136)로부터 회수 용기(124) 내에 삽입하고, 배출 파이프(182)의 팁 부근에 형성된 배출구(190)를 개방하여, 현상기(60)로부터의 회수 현상제가 배출구(190)를 통하여 회수 용기(124) 내에 회수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현상기(60)의 배출부(122)는 회수 용기(124)에 접속된다. 이 때, 셔터(138)가 돌기(176)에 의해 미리 개방되어, 배출부(122)는 셔터(138)의 도어부(142)와 접하지 않는다.
그러나, 회수 용기(124)는 반드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상에 직선상으로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상에 경사지게 회수 용기(124)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배출부(122)의 배출 파이프(182)의 팁을 도어부(142)와 접하게 하고 셔터(138)를 개방하여, 셔터(138)의 개방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현상기(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광체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에도, 배출부(122)가 셔터(138)의 도어부(142)와 접하지 않는 각도로 셔터(138)가 개방된다. 따라서, 현상기(60)의 방해 동작의 힘이 셔터(138)로부터 작용하지 않고, 현상기(60)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외부 화상 형성 신호의 수신 시, 예를 들면 급지 유닛(14)의 급지 롤(24)이 작동하여 급지 트레이(22)로부터 용지를 급지로(30)를 통하여 전사 롤(74)로 보내다. 한편, 4개의 회전 감광체(52)가 대전 롤(56)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노광 유닛(62)으로부터의 레이저 광이 화상 신호에 응답하여 수신되어, 잠상이 형성된다. 다음에, 현상기(60)에 의해 컬러 토너 상이 형성되고, 2색이 제1 전사체(68)로 전사되고, 2색이 제1 전사체(70)로 전사된다. 또한, 4색이 제2 중간 전사체(72)로 전사되어, 4색 토너 상을 형성하고, 다음에 전사 롤(74)에 의해 용지에 전사된다. 용지에 전사된 토너 상은 용지가 정착 롤(32)을 통과함으로써 용지 상에 정착되고, 용지는 제1 배출 트레이(16) 또는 제2 배출 트레이(18)로 배출된다.
현상기(60)에서, 현상제 소비량에 응답하여 약간 과잉의 현상제가 현상제 카트리지(64)로부터 현상제 입구(118)로 공급된다. 공급된 현상제가 나선형 오거(112)에 의해 현상기 본체(110) 내에서 순환되어, 마그넷 롤(80)에 공급된다. 여분의 현상제는 계단부(120)에 의해 포착되어, 배출부(122)를 통하여 회수 용기(124) 내로 회수된다. 중간 전사체(68, 70, 72) 상에 퇴적된 토너는 클리닝 롤(76)에 의해 포착되어, 배출부(172)를 통하여 회수 용기(124) 내로 회수된다.
이렇게 회수 용기(124) 내로 회수된 현상제는 회수 용기(124) 내의 회수 공간(148a∼148f)에 분리해서 저장된다. 회수 공간(148a∼148f)의 현상제 회수량이 소정량 이상이 될 때(통상, 회수 공간(148f)의 현상제 회수량이 소정량 이상이 될 때), 현상제가 구획벽(146)을 초과하여 현상제 흡입부(154)로 이동한다. 현상제 흡입부(154)에 들어간 현상제는 검출 용기(156)로 이동한다. 센서부(180)는 회수 공간이 충만 상태가 되는 것을 검출하여, 이 검출 신호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제어부로 보내어, 예를 들면 제어 패널(166) 상에 충만 상태를 표시한다. 따라서, 유저는 회수 용기(124)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할 수 있어, 재차 화상 형성을 행할 수 있게 된다.
회수 용기(124)(회수 공간)가 완전히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회수 용기(124)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분리한 경우, 회수 용기(124)의 그립(132)이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현상제가 회수 공간(148a∼148f)의 구획벽(146)으로부터 누설되어, 검출 용기(156)에 들어간다. 회수 용기(124)가 후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상에 배치된 경우, 충만 상태가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회수 용기가 한번 분리되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서 현상제 막힘 등의 사고가 유도될 우려가 있어; 충만 상태를 표시하여 유저가 회수 용기(124)를 교환하도록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수 현상제 발생부가 현상기 및 중간 전사체에 배치되는 타입의 화상 형성 장치를 설명했지만, 회수 현상제 발생부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감광체, 전사 롤 등에서 발생하는 회수 현상제를 회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회수 현상제 발생부로부터의 현상제를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회수구를 통하여 회수함으로써, 현상제 회수 기구를 간략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기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위해서 제공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개시된 정밀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종의 변형 및 변경이 상기 교시의 권리 내에서 가능하거나 본 발명을 활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당 분야에 숙련된 자가 계획된 특정 사용에 적합한 각종의 실시예 및 각종의 변형예로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활용을 설명하기 위해서 실시예들을 선택하여 설명했다. 본 발명의 범주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들의등가에 의해 규정된다.

Claims (19)

  1. 복수의 회수 현상제 발생부;
    상기 복수의 회수 현상제 발생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배출부; 및
    상기 복수의 배출부가 접속되는 복수의 회수구를 갖는 회수 용기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회수구 중의 적어도 2개는 상기 회수 용기의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수 현상제 발생부는 현상기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수 현상제 발생부는 중간 전사체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수 현상제 발생부는 현상기 및 중간 전사체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5.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현상기, 및 상기 복수의 현상기로부터 회수된 현상제를 저장하는 회수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설치된 회수 현상제 발생부, 상기 회수 현상제 발생부에 접속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가 접속되고 상기 회수 용기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수구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6.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중간 전사체; 및
    상기 복수의 중간 전사체로부터 회수된 현상제를 저장하는 회수 용기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중간 전사체에 설치된 회수 현상제 발생부, 상기 회수 현상제 발생부에 접속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에 접속되고 상기 회수 용기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수구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배치되는 현상기;
    상기 현상기 내에 형성된 토너 상(toner image)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체;
    상기 현상기 및 상기 중간 전사체에 설치된 회수 현상제 발생부;
    상기 회수 현상제 발생부에 접속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가 접속되는 복수의 회수구로 형성된 회수 용기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전면(front)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9. 현상제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부가 접속되는 복수의 회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회수구 중의 적어도 2개는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현상제 회수 용기.
  10. 현상제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부에 접속된 복수의 회수구로 형성되는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회수구가 상기 용기 본체의 상하 중간 위치 아래에 배치되는 현상제 회수 용기.
  11. 현상제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부가 접속되는 복수의 회수구;
    상기 복수의 회수구에 접속된 복수의 회수 공간; 및
    상기 복수의 회수 공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다른 회수 공간으로부터 분리하는 구획벽
    을 포함하는 현상제 회수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회수 공간 및 다른 회수 공간은 연통부를 통하여 접속되는 현상제 회수 용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수 공간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구획벽의 높이에 기초하여 규정된 회수 용량을 갖는 현상제 회수 용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수 공간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구획벽의 형상에 기초하여 규정된 회수 용량을 갖는 현상제 회수 용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회수 현상제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회수 현상제의 비와 상기 회수 공간의 회수 용량의 비가 서로 거의 같도록 설정되는 현상제 회수 용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상기 구획벽에 의해 분리된 상기 회수 공간에 접속된 상기 회수구 아래에 배치되는 현상제 회수 용기.
  17. 현상제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부가 접속되는 복수의 회수구로 형성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접합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이 접합됨으로써 회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어느 하나는 회수 공간을 복수의 회수 공간으로 분리하는 구획벽으로 형성되는 현상제 회수 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구획벽이 형성되지 않는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어느 하나는 구획벽과 접하는 밀봉부로 형성되는 현상제 회수 용기.
  19. 현상제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부에 접속된 복수의 회수구로 형성되는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회수구는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이한 높이로 배치되는 현상제 회수 용기.
KR1020030010295A 2002-05-21 2003-02-19 화상 형성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현상제 회수 용기 KR1005948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45657A JP4239138B2 (ja) 2002-05-21 2002-05-21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現像剤回収容器
JPJP-P-2002-00145657 2002-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491A true KR20030090491A (ko) 2003-11-28
KR100594831B1 KR100594831B1 (ko) 2006-07-03

Family

ID=29545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295A KR100594831B1 (ko) 2002-05-21 2003-02-19 화상 형성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현상제 회수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37839B2 (ko)
JP (1) JP4239138B2 (ko)
KR (1) KR100594831B1 (ko)
CN (4) CN10059222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680B1 (ko) * 2004-05-22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100896262B1 (ko) * 2007-07-02 2009-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2137A (ja) * 2002-09-12 2004-04-02 Ricoh Co Ltd 廃トナー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90933B2 (ja) * 2004-05-18 2010-12-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回収ボックス
JP4463083B2 (ja) * 2004-11-19 2010-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7219453A (ja) * 2006-02-20 2007-08-30 Toshiba Corp 廃トナー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50726B2 (ja) * 2007-08-21 2012-10-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05822B1 (ja) * 2009-12-14 2011-01-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811316B2 (ja) * 2011-03-09 2015-11-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782092B2 (ja) * 2015-05-20 2020-11-11 シャープ株式会社 粉体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8959A (en) * 1988-12-22 1991-07-02 Xerox Corporation Vacuum collection system for dirt management
JPH02104361U (ko) * 1989-02-03 1990-08-20
JP2959864B2 (ja) * 1991-03-20 1999-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2912073B2 (ja) 1992-03-06 1999-06-28 シャープ株式会社 廃トナー回収装置
US5250997A (en) * 1991-04-18 1993-10-05 Sharp Kabushiki Kaisha Fine particle recovery device for recovering particles, such as toner, from a plurality of locations
JP2597333Y2 (ja) * 1993-11-12 1999-07-05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装置
US5666599A (en) * 1994-04-06 1997-09-09 Hitachi, Ltd. Color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JP3288850B2 (ja) * 1994-05-10 2002-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648781B2 (ja) * 1995-02-20 2005-05-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9269641A (ja) * 1996-03-29 1997-10-14 Fujitsu Ltd 現像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H09325662A (ja) * 1996-06-05 1997-12-16 Casio Electron Mfg Co Ltd 廃トナー容器及びタンデム型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9329969A (ja) * 1996-06-11 1997-12-2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737678A (en) * 1996-07-01 1998-04-07 Xerox Corporation Liquid immersion development machine having a multiple intermediate members image transfer assembly
JP3033502B2 (ja) * 1996-09-05 2000-04-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3501627B2 (ja) * 1997-06-25 2004-03-02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装置の廃トナータンク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3588983B2 (ja) * 1997-07-26 2004-11-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035158A (en) * 1997-11-28 2000-03-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belt unit thereof
JP2000122423A (ja) * 1998-10-16 2000-04-28 Ricoh Co Ltd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現像剤容器
JP2000242052A (ja) * 1999-02-23 2000-09-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方法
JP3748506B2 (ja) * 1999-05-20 2006-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JP2001117317A (ja) * 1999-10-22 2001-04-2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194860A (ja) * 2000-01-12 2001-07-19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2082505A (ja) * 2000-09-05 2002-03-22 Fuji Xerox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6453148B1 (en) * 2000-12-07 2002-09-17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Apparatus and process for detecting leaks in an electrographic cleaning system
US6353722B1 (en) * 2000-12-19 2002-03-05 Xerox Corporation Waste bottle with overflow chamb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680B1 (ko) * 2004-05-22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100896262B1 (ko) * 2007-07-02 2009-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337514A (ja) 2003-11-28
KR100594831B1 (ko) 2006-07-03
CN1459677A (zh) 2003-12-03
CN100351716C (zh) 2007-11-28
CN1991630A (zh) 2007-07-04
CN101561657A (zh) 2009-10-21
CN100592222C (zh) 2010-02-24
US20030219290A1 (en) 2003-11-27
US6937839B2 (en) 2005-08-30
CN1932693A (zh) 2007-03-21
CN101561657B (zh) 2012-05-09
JP4239138B2 (ja)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2235B2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developer collection vessel used therewith
EP205346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supply method therefor
CN102540813B (zh) 图像形成装置以及调色剂容器
KR100690570B1 (ko) 현상제 회수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6085112A (ja)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860281B2 (ja) 画像形成装置
CN101067734B (zh) 供料容器和图像形成单元
JP4962038B2 (ja) トナー容器及びそれに適した画像形成装置
CN102455630A (zh) 图像形成装置
CN102455631A (zh) 图像形成装置
JPH09325662A (ja) 廃トナー容器及びタンデム型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100594831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현상제 회수 용기
JP4042037B2 (ja) 現像剤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303774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9549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31669A (ja) 電子写真方式印刷機
CN102455635A (zh) 粉末容器、粉末传送设备和成像设备
US5298946A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movable cartridge and exposure through sheet path
JP4176698B2 (ja) 廃現像剤回収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846834B1 (ko) 토너 카트리지
JPH09179363A (ja) 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3921906B2 (ja) 画像形成装置
JP3586755B2 (ja) 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5287213B2 (ja) 廃トナー収容器
JP6919356B2 (ja) 廃トナー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