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574B1 - 습식 화상현상시스템 - Google Patents

습식 화상현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574B1
KR100396574B1 KR10-2002-0002268A KR20020002268A KR100396574B1 KR 100396574 B1 KR100396574 B1 KR 100396574B1 KR 20020002268 A KR20020002268 A KR 20020002268A KR 100396574 B1 KR100396574 B1 KR 100396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eveloping roller
roller
developing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1613A (ko
Inventor
송인용
박근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2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574B1/ko
Priority to US10/245,394 priority patent/US6853827B2/en
Publication of KR20030061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5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for wetting the recording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습식 화상현상시스템은,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용기와, 현상용기 내의 현상제에 일부가 잠긴 상태로 감광체와 대면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 현상롤러와, 현상롤러의 외주면에 묻은 현상제를 소정 범위 내의 두께가 되도록 긁어내는 메터링블레이드와, 현상롤러와 소정 갭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디포지트플레이트와, 현상롤러와 디포지트플레이트 사이의 갭으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수단 및, 갭에서 현상제가 전기적인 힘에 의해 현상롤러 측으로 옮겨가도록 디포지트플레이트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고농도의 현상제도 중간의 희석과정 없이 직접 현상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현상제 공급 구조를 상당히 간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현상 시 현상롤러 상의 현상제를 메터링블레이드로 균일하게 만들어줄 수 있어서 화상도 깨끗하게 현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화상현상시스템{Liquid developer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습식 화상현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고농도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습식 화상현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식 화상현상시스템은,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원하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고, 이를 분말상의 토너와 액상의 용매가 혼합된 현상제로 현상한 후 용지에 인쇄하는 시스템이다.
도 1은 이러한 습식 화상현상시스템의 일 예로서, 미국특허 5,255,058호에 개시된 종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습식 화상현상시스템은, 대전기(14)에 의해 소정 전압으로 대전되는 감광체(10)와, 상기 대전된 감광체(10)에 광을 주사하여 상대적인 전압차를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이미지의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16)와, 상기 감광체(10)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공급유닛과, 상기 감광체(10)에 현상된 이미지를 전사받아서 용지(72)에 인쇄하는 전사체(30)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제공급유닛은 통상 토너 농도 3%solid 이하인 현상제를 준비하여 감광체(10)와 현상롤러(38) 사이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현상제공급유닛에는, 토너 농도 약 25%solid 정도의 농축현상제가 담긴 농축카트리지(82)(84)와, 순수 용매가 수용된 용매카트리지(86)와, 이들을 혼합하여 2∼3%solid 정도의 균일한 농도의 현상제를 준비하는 혼합탱크(55,57,59,61)와, 이 혼합탱크(55,57,59,61)에 준비된 현상제를 펌프(90,92,94,96)로 펌핑하여 현상롤러(38)에 공급하는 공급부(20)와, 정전잠상을 현상하고 남은 잉여의 현상제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가 구비된다. 또한, 이 회수부는 상기 현상롤러(38)와 감광체(10)로 공급된 후 흘러내리는 현상제를 수집하여 각 색상별 혼합탱크(55,57,59,61)로 돌려보내는 수집콘테이너(50)와, 이미지가 현상된 감광체(10)를 압착하여 그 현상 이미지 중에 함유된 용매를 짜내는 스퀴즈롤러(26)와, 스퀴징된 현상제를 상기 수집콘테이너(50)를 통해 회수하여 토너는 분리해내고 용매는 용매탱크(65)로 보내는 세퍼레이터(66) 등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현상작업을 수행하려면, 먼저 엘로우(Y), 마젠터(M), 시안(C), 블랙(K)의 4가지 색상에 해당되는 현상제를 각각의 혼합탱크(55,57,59,61)에 2∼3%solid 농도에 맞춰서 준비해둔다. 물론, 흑백과 같이 단일 색상만으로 현상을 하는 시스템이라면 한 가지 현상제만 준비하면 되겠지만, 여기서는, 칼라 화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4가지 색상의 현상제를 모두 준비한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각 색상별 현상제를 준비하려면, 상기 현상액공급유닛에서는 농축카트리지(82)(84)와 용매카트리지(86)로부터 농축현상제와 순수 용매를 혼합탱크(55,57,59,61)로 각각 공급하여 해당 농도의 현상제를 제조한다. 이를 위해 각 혼합탱크(55,57,59,61)에는 통상적으로 농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서 혼합되는 현상제의 농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현상제가 준비되면 현상작업이 개시되는데, 우선, 상기 대전기(14)가 감광체(10)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킨다. 이 상태에서 광주사장치(16)가 대전된 감광체(10)에 광을 주사하여 상대적으로 전위를떨어뜨림으로써 원하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이어서, 펌프(90,92,94,96)를 가동하여 상기 혼합탱크(55,57,59,61)에 준비된 현상제를 공급부(20)를 통해 현상롤러(38)와 감광체(10) 사이로 공급하면서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이와 같이 현상된 이미지는 일단 전사롤러(30)에 전사되며, 만약 그 색상만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라면 이 상태로 용지(72)에 바로 찍히게 된다. 그러나, 복수 색상의 현상제를 중첩해서 칼라 이미지를 구현하는 경우라면, 상기와 같은 대전, 노광, 현상의 단계를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4가지 색상에 대해 반복해서 실시하여, 각 색상별로 현상된 이미지를 상기 전사롤러(30) 위에 중첩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중첩되어 형성된 칼라 화상을 압착롤러(71)와의 사이로 통과되는 용지(72)에 인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습식 화상현상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이 현상제의 준비부터 공급과 회수에 이르기까지 시스템이 요구하는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다. 이는 현상작업에 농축된 상태의 고농도 현상액을 직접 사용하지 못하고 3%solid 이하의 저농도 현상제로 만들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인데, 물론, 현상제를 이와 같이 저농도로 만들어 사용하게 되면, 유동성이 좋아져서 현상된 이미지 중 부위별로 토너의 밀도 편차가 작아지는 이점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농축 현상제와 용매를 각각의 카트리지(82,84)(86)에 담아서 준비했다가 혼합탱크(55,57,59,61)로 보내어 현상을 위한 3%solid 이하의 저농도 현상제로 혼합하고, 이것으로 정전잠상을 현상한 다음에, 다시 인쇄에 적합한 고농도 상태가 되도록 그 현상된 이미지 안에 함유되어 있는 용매를 스퀴징하여 회수하는 등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구성해야 하므로, 이를 실용화하기에는 전체 장치의 크기나 비용 등의 측면에서 많은 부담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화상현상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스퀴징이 필요 없는 수준의 고농도 현상액도 현상작업에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습식 화상현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화상현상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화상현상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포지트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화상현상시스템이 채용된 인쇄기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현상롤러 120...디포지트플레이트
130...클리닝롤러 S...용지
140...현상용기 141...레벨센서
150...카트리지 151...케이스
152...튜브 160...메터링블레이드
170...감광체 180...대전롤러
190...광주사장치 200...전사벨트
300...정착유닛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습식 화상현상시스템은,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용기; 상기 현상용기 내의 현상제에 일부가 잠긴 상태로 감광체와 대면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 현상롤러;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면에 묻은 현상제를 소정 범위 내의 두께가 되도록 긁어내는 메터링블레이드; 상기 현상롤러와 소정 갭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디포지트플레이트; 상기 현상롤러와 디포지트플레이트 사이의 갭으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수단; 상기 갭에서 현상제가 전기적인 힘에 의해 상기 현상롤러 측으로 옮겨가도록 상기 디포지트플레이트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화상현상시스템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에는 먼저, 현상제 공급원으로서 3∼40%solid 농도의 고농도 현상제가 저장되어 있는 카트리지(150)와, 상기 카트리지(150)로부터 현상제를 공급받아 수용하는 현상용기(140)가 구비된다.
상기 현상용기(140) 내에는 현상제에 일부가 잠긴 상태로 감광체(170)와 대면하여 회전하는 현상롤러(110)와, 상기 현상롤러(110)의 외주면에 묻은 현상제를 소정 범위 내의 두께가 되도록 긁어내는 메터링블레이드(160)와, 상기 현상롤러(110)의 표면에 현상제가 잘 부착될 수 있도록 전위를 인가하는 디포지트(deposit)기구와, 상기 현상롤러(110)의 표면을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디포지트기구는 상기 현상롤러(110)와 소정 갭(G)을 두고 그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대면하는 디포지트플레이트(120)와, 상기 디포지트플레이트(12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121) 및, 상기 갭(G)으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한다. 이 공급수단은, 상기한 카트리지(150)와, 상기 디포지트플레이트(120)에 형성된 관통홀(122)을 통해 상기 갭(G)으로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카트리지(150)와 관통홀(122)의 입구측(122a)을 연결하는 연결라인(154)을 구비한다. 따라서, 카트리지(150)로부터 보내진 현상제는 상기 연결라인(154)을 통해 관통홀(122)의 입구측(122a)으로 들어와서 출구측(122b)을 통해 갭(G)으로 공급된다. 현상용기(140)에 채워지는 현상제는 바로 이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것이다. 도 3은 상기 디포지트플레이트(120)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인데, 이러한 디포지트플레이트(12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전원부(121)에서 인가된 전압의 전기적인 힘으로 현상롤러(110)에 현상제를 부착시키는 기능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갭(G)은 100∼500㎛ 정도(바람직하게는 300㎛)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150)는 케이스(151)와, 상기 케이스(151)에 내장되며 그 안에 현상제를 수용하는 튜브(152)와, 일측(153a)이 상기 튜브(152)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151)에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기구(15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기구(153)가 튜브(152)를 압축시키면 그 튜브(152) 내의 현상제가 연결라인(154)을 통해 디포지트플레이트(120)의 관통홀(122)로 공급된다. 물론, 이와 같이 피스톤기구(153)와 튜브(152)를 이용하는 것은 현상제를 송출하는 구조의 한 예를 예시한 것이고, 일반적인 펌프 송출 기구를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클리닝수단은 상기 현상롤러(110)와 접촉되어 그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클리닝롤러(130)를 포함한다. 상기 클리닝롤러(130)는 스폰지 타입으로 현상롤러(110)와 접촉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미 현상된 상태로 달라붙어 있는 현상제의 토너입자를 클리닝해준다.
그리고, 상기한 현상롤러(110)는 도전성 엘라스토머(elastomer)로서 폴리우레탄 러버(rubber) 나 NBR로 구성될 수 있고, 저항 105∼108ohm, 경도 shore A로 25∼65도, 표면거칠기 Ra 1∼4㎛ 정도의 특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부호 111은 상기 현상롤러(110)에 현상전압을 인가하는 현상전원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00은 상기 감광체(170)에 현상된 화상을 전사받아서 용지(S)에 인쇄하는 전사벨트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180은 상기 감광체(170)를 대전시키는 대전롤러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90은 감광체(170)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를, 참조부호 181은 제전기를, 참조부호 141은 레벨센서를 각각 나타낸다.
이러한 화상현상시스템(100)은 단일 색상을 사용하는 인쇄기에서는 하나만 구비되겠지만, 만일 복수의 색상을 중첩해서 인쇄하는 칼라 인쇄기의 경우라면 도 4와 같이 각 색상별로 상기한 시스템이 하나씩 구비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현상작업을 수행하려면, 먼저 각 색상별 현상제를 해당 카트리지(150)에서 상기 연결라인(154)과 디포지트플레이트(120)의 관통홀(122)을 통해 현상용기(140)로 공급하여 상기 디포지트플레이트(120)와 클리닝롤러(130) 및 현상롤러(110) 일부가 잠길 정도까지 충전한다. 이와 같이 충전되는 현상제는 상기한 바와 같이 3∼40%solid(더 바람직하게는 3∼12%solid)의 고농도 현상제이다. 이와 같이 현상용기(140)가 적정 레벨까지 충전되면 현상작업이 개시되는데, 이때 상기 갭(G)으로의 현상제 공급은 천천히 계속 진행하면서 오버플로우되는 현상제는 리턴탱크(142)로 보낸다. 그러면서, 상기 현상롤러(110)와 디포지트플레이트(120)에 각각 300∼600V와 500∼1600V의 바이어스 전압을 걸어준다. 상기 현상롤러(110)의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대전롤러(180)에 의해 대전체(170)에 인가되는 전압 약 900V와, 그 중 광주사장치(190)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위의 전압 약 100V의 중간에 해당되는 전압이 된다. 이와 같이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면, 현상제 중의 토너 입자는 + 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갭(G)에서 두 부재(110)(120) 간의 전압차에 의해 현상롤러(110) 표면 측으로 토너 입자가 달라붙게 된다. 이때에는 전기적으로 강하게 붙어있는 토너입자도 있고 약하게 붙어있는 토너입자도 있다. 실험에 의하면, 3∼12%solid 농도의 현상제를 사용했을 때 메터링블레이드(160)를 지나기 전에 상기와 같은 전기적 힘으로 현상롤러(110) 상에 붙은 현상제는, 농도 6∼14%solid, M/A(mass/area) 400∼800㎍/㎠ 정도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저농도인 3%solid를 사용했을 때에는 현상롤러(110) 상의 농도가 6%solid로 2배 정도의 농도 증가를 보였으며, 12%solid 농도를 사용했을 때에는 약간 증가한 12∼14%solid 농도를 나타냈다. 그런데, 이 상태는 상기와 같이 아직 현상제의 농도 편차가 크기 때문에, 이대로 감광체(170)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게 되면, 균일한 농도의 화상을 현상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상기 메터링블레이드(160)로 현상롤러(110)에 묻은 현상제를 소정 범위의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긁어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0.05∼2mm 두께의 금속 플레이트를 L자로 성형하여 그 절곡된 부위가 현상제 수면 위에서 현상롤러(110)에 접촉되도록 메터링블레이드(160)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현상롤러(110)에 밀착되어 그 표면에 묻은 현상제를 긁어낼 수 있다면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메터링블레이드(160)에 전압을 인가할 수도 있으며, 현상롤러(110)에 대한 가압력과 접촉위치 및 접촉되는 부위의 형상 등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조건들에 의해 현상 직전 현상롤러(110) 표면에 남게 되는 현상제의 농도와 M/A가 조금씩 변하게 된다. 3∼40%solid의 현상제를 사용하며 이러한 조건들을 조금씩 바꿔가며 실험해본 결과, 현상 직전에 현상롤러(110) 상의 현상제 농도는 18∼35%solid, M/A는 150∼500㎍/㎠ 정도로 비교적 균일한 농도 분포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3∼12%solid 농도의 현상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디포지트롤러(120)를 통과한 후 현상롤러(110)에 묻은 현상제가 농도 5.7∼14%solid, M/A 413∼1126㎍/㎠를 나타냈고, 메터링블레이드(160)를 통과한 후 현상 직전에는 농도 19.6∼31%solid, M/A 220∼270㎍/㎠의 상당히 균일한 분포 상태를 나타냈다. 이때 디포지트롤러(120)와 현상롤러(110) 간의 갭은 70∼100㎛ 였고, 두 롤러(110)(120) 간의 전압차는 500V 였다. 이것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종래처럼 단일 농도의 현상제가 아니라, 예컨대 3∼12%solid의 넓은 농도 범위의 현상제를 자유롭게 사용하더라도 현상 직전의 농도를 거의 균일한 상태로 만들어서 현상에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어서, 이와 같은 농도의 현상제가 묻혀진 현상롤러(110)를 가지고 상기 감광체(170)에 접촉 현상을 실시하였다. 이때 대전된 감광체(170)의 전위는 상기한 바와 같이 900V이고, 그 중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위는 100V이며, 전사벨트(200)의 이동속도는 5.83inch/sec 였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현상 직전 현상롤러(110) 상에는 M/A 200∼250㎍/㎠), 농도 18%solid 이상이었다. 이 조건에서 현상바이어스를 550V 인가했을 때 감광체(170) 상의 정전잠상이 형성된 화상영역에서의 화상농도가 M/A 200㎍/㎠ [광학농도(optical density: OD)로 1.3∼1.4]정도로 좋은 현상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이때 감광체(170) 상의 비화상영역에서는 0.03 이하의 광학농도가 측정되어 비화상영역에 대한 오염은 매우 적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감광체(170)에 현상된 화상의 현상제 농도는 과잉 용매의 흐름이 거의 없는 25%solid 이상의 고농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스퀴징 작업을 따로 수행하지 않더라도 이미 전사에 적합한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스퀴징 공정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현상이 된 후 남아있는 토너 입자는 현상용기(140) 내에 잠겨 있는 클리닝롤러(130)에 의해 제거된다.
한편, 이렇게 현상된 화상은 상기 전사벨트(200)에 전사되며, 그 색상만으로 이루어지는 화상이라면 이 상태로 용지(S)에 바로 찍히게 된다. 그러나, 칼라 화상을 구현하는 경우라면, 옐로우(Y), 시안(C), 마젠타(M), 블랙(K)의 4가지 색상 별로 각각의 화상현상시스템을 통해 현상된 화상을 전사벨트(200)에 중첩시킨 후 이를 용지(S)에 인쇄하게 된다. 그리고, 화상이 인쇄된 용지는 정착유닛(300)을 거치며 가열 압착된 후 배출된다.
이와 같은 화상현상시스템은, 고농도의 현상제도 중간의 희석과정 없이 직접 현상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현상제 공급 구조를 상당히 간소화할 수 있으며, 과잉 용매를 짜내기 위한 스퀴징 과정도 생략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현상 시 현상롤러 상에 묻혀지는 현상제는 메터링블레이드를 이용하여 균일한 농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시스템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화상현상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고농도의 현상제를 카트리지에 담아서 별도의 희석과정을 거치지 않고 현상용기에 직접 공급하며 현상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현상제 공급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인쇄기를 소형화하는데 매우 유리한 이점을 갖는다.
둘째, 메터링블레이드를 이용하여 현상롤러 상의 현상제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처럼 혼합탱크 내에서 현상제를 희석하며 농도를 맞추기 위한 제어장치가 필요없게 된다.
셋째, 현상제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화상 번짐이 적어지게 되며, 따라서 비화상부의 오염이 억제된 고화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넷째, 고농도 현상제에 의한 현상에 따라 스퀴징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다섯째, 고농도 접촉현상으로 현상 소요 시간(dwell time)을 줄일 수 있어서, 인쇄작업을 더욱 고속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6)

  1.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용기;
    상기 현상용기 내의 현상제에 일부가 잠긴 상태로 감광체와 대면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 현상롤러;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면에 묻은 현상제를 소정 범위 내의 두께가 되도록 긁어내는 메터링블레이드;
    상기 현상롤러와 소정 갭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디포지트플레이트;
    상기 현상롤러와 디포지트플레이트 사이의 갭으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수단;
    상기 갭에서 현상제가 전기적인 힘에 의해 상기 현상롤러 측으로 옮겨가도록 상기 디포지트플레이트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현상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현상제가 저장되는 카트리지와, 출구측이 상기 갭 쪽으로 통하도록 상기 디포지트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입구측을 상기 카트리지와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현상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지트플레이트의 상기 현상롤러와 대면하는 면은 그 현상롤러 외주면과 같은 곡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현상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의 표면을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현상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수단은,
    상기 현상롤러와 접촉되어 그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클리닝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현상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의 농도는 3∼40%soli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현상시스템.
KR10-2002-0002268A 2002-01-15 2002-01-15 습식 화상현상시스템 KR100396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268A KR100396574B1 (ko) 2002-01-15 2002-01-15 습식 화상현상시스템
US10/245,394 US6853827B2 (en) 2002-01-15 2002-09-18 Liquid image developing system forming a space with a development roller and having depositing plate having through h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268A KR100396574B1 (ko) 2002-01-15 2002-01-15 습식 화상현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613A KR20030061613A (ko) 2003-07-22
KR100396574B1 true KR100396574B1 (ko) 2003-09-02

Family

ID=1971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268A KR100396574B1 (ko) 2002-01-15 2002-01-15 습식 화상현상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853827B2 (ko)
KR (1) KR1003965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816A (ko) * 2002-09-09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고농도 액체 현상제 공급 시스템
US7460802B2 (en) * 2005-12-22 2008-12-02 Seiko Epson Corporation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method
DE102009060334B4 (de) * 2009-12-23 2012-02-16 OCé PRINTING SYSTEMS GMBH Vorrichtung zum Entwickeln von auf einem Ladungsbildträger erzeugten Ladungsbildern bei einem elektrophoretischen Druckgerät
JP5910141B2 (ja) * 2012-02-13 2016-04-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WO2017137066A1 (en) 2016-02-08 2017-08-17 Hewlett-Packard Indigo B.V. Printing liquids concentration
US10503101B2 (en) 2016-02-08 2019-12-10 Hp Indigo B.V. Printing liquids concentr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0569A (ja) * 1990-08-02 1992-03-24 Mita Ind Co Ltd 現像装置
US5255058A (en) 1991-01-22 1993-10-19 Spectrum Sciences B.V. Liquid developer imaging system using a spaced developing roller and a toner background removal surface
US5477313A (en) * 1992-06-30 1995-12-19 Dai Nippon Printing Co., Ltd. Liquid development and transfer apparatus for electrostatic latent image
US5561264A (en) * 1994-10-07 1996-10-01 Minolta Co., Ltd. Liquid-type developing device
JPH08305091A (ja) * 1995-05-08 1996-11-22 Minolta Co Ltd 電子写真用液体現像剤
JPH0915982A (ja) * 1995-06-28 1997-01-17 Minolta Co Ltd 液物性モニタ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33726A1 (en) 2003-07-17
KR20030061613A (ko) 2003-07-22
US6853827B2 (en) 2005-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4984B1 (ko) 습식 화상현상시스템
KR950003314B1 (ko) 습식현상장치, 습식기록장치 및 습식기록방법
EP15749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n image transfer device
EP0764891B1 (en) Liquid toner developer cartridge
KR100396575B1 (ko) 습식 화상현상시스템
KR100561416B1 (ko) 습식 현상장치
KR100396574B1 (ko) 습식 화상현상시스템
JPH10115987A (ja) 現像装置、印刷方法及び印刷装置
US11766857B2 (en) Fountain solution imaging and transfer using electrophoresis
US20030133725A1 (en) Liquid image developing system
KR100462616B1 (ko) 습식 화상형성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화상형성방법
KR10039657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US7756449B2 (en)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s in which carrier medium is extracted from unused ink
US6640074B2 (en) Developing system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KR100400019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JP2021063872A (ja) 現像装置ならびに画像形成装置
KR20040016151A (ko) 습식 화상현상시스템
JP2002258619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JPH11295992A (ja) 静電現像装置および静電現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