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057B1 -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057B1
KR100503057B1 KR1019980017189A KR19980017189A KR100503057B1 KR 100503057 B1 KR100503057 B1 KR 100503057B1 KR 1019980017189 A KR1019980017189 A KR 1019980017189A KR 19980017189 A KR19980017189 A KR 19980017189A KR 100503057 B1 KR100503057 B1 KR 100503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photosensitive medium
developing roller
latent image
electrostatic la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5049A (ko
Inventor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17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057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10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toner concent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8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removing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single rotation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는, 감광매체와 대향되게 배치된 현상롤러와; 현상롤러의 외주면에 고체상의 토너와 액상의 용매가 혼합된 현상액을 공급하는 현상액 공급부와; 현상롤러를 감광매체에 가해진 전위와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위의 전위와의 중간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부와; 현상롤러와 감광매체 사이에 설치되어, 대전부에 의한 전기적 힘에 의해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감광매체의 정전잠상을 향해 이동되는 현상액 중 고체상의 토너는 통과시키고 액상의 용매는 통과시키지 않는 소유성 용매 여과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액상의 용매를 여과하고 토너만을 통과시키는 소유성 용매 여과망을 설치하여,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그 토너만이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스퀴즈롤러를 삭제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Developing unit for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용매에 고체상의 토너가 혼합된 현상액을 사용하여서 예컨대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10)에 소정 이미지를 현상하는 현상유니트(20)와, 현상 후 상기 감광매체(10)에 잔존하는 액상의 용매를 건조시켜 제거하는 드라이유니트(30)와, 상기 감광매체(10)에 현상된 이미지를 용지(S)에 인쇄하는 인쇄유니트(4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현상유니트(20)는 감광매체(10)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현상롤러(21)와, 그 현상롤러(21) 외주면에 현상액을 분사하는 현상액 공급부(24)와, 상기 현상롤러(21)를 약 450V정도의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부(25)와, 상기 감광매체(10)를 압착하여 전사된 현상액 중 액상의 용매를 짜내는 1차스퀴즈롤러(22) 및, 그 1차스퀴즈롤러(22)에 의해 짜여진 용매가 랩-어라운드(wrap-around) 현상에 의해 감광매체(10)를 따라 다시 흘러가는 것을 차단하는 2차스퀴즈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의 참조부호 50은 상기 감광매체(10)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레이저 스캐너를 나타낸 것으로, 약 600V로 대전되어 있던 감광매체(10) 상에 레이저 스캐너(50)로부터 광을 조사하면, 그 조사된 부분의 전위가 약 150V정도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현상롤러(21)는 감광매체(10)의 전체에 걸려있는 전위와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위의 전위와의 중간 전위로 대전된 상태가 되며, 그에 따라 현상롤러(21)의 외주면에 분사된 현상액은, 상기와 같은 전위차로 발생되는 전기적 힘에 이끌려서 상기 현상롤러(21)보다 상대적으로 전위가 낮은 정전잠상 부위에 달라붙게 된다. 즉, 정전잠상이 현상액에 의해 소정 색상으로 현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현상된 부위는 상기 1,2차스퀴즈롤러(22)(23)를 통과함에 따라, 그 안에 함유되어 있던 액상의 용매가 제거된다. 참조부호 26은 1차스퀴즈롤러(22)의 압착력을 지지하는 카운터롤러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7은 상기 현상롤러(21)를 클리닝시키는 클리닝롤러를 나타낸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현상유니트(20)는, 일단 토너가 용매와 혼합된 상태로 감광매체(10)에 부착되었다가, 상기 1,2차스퀴즈롤러(22)(23)로 용매를 제거해 내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용매를 다시 제거해내기 위한 1,2차스퀴즈롤러(22)(23)를 각각 설치해야 하며, 특히 2차 스퀴즈롤러는 상술한 랩-어라운드 현상을 막기 위해 감광매체(10)의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별도의 구동원(미도시)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로 정전잠상을 현상할 수 있는 현상유니트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간소화된 구조로 정전잠상을 현상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 상에 상대적으로 낮은 전위를 이루며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감광매체와 대향되게 배치된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면에 고체상의 토너와 액상의 용매가 혼합된 현상액을 공급하는 현상액 공급부와; 상기 현상롤러를 상기 감광매체에 가해진 전위와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위의 전위와의 중간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부와;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매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대전부에 의한 전기적 힘에 의해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감광매체의 정전잠상을 향해 이동되는 현상액 중 고체상의 토너는 통과시키고 액상의 용매는 통과시키지 않는 소유성 용매 여과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현상유니트가 채용된 인쇄기기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전술한 도 1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매체(10)와 대향되는 위치에 현상롤러(210)가 배치되고, 그 현상롤러(210)의 외주면에는 현상액 공급부(230)로부터 분사된 현상액이 공급된다. 또한 상기 현상롤러(210)는 대전부(240)에 의해 약 450V 정도의 전위로 대전된다. 이 전위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감광매체(10)에 걸리는 약 600V의 전위보다는 낮고, 레이저 스캐너(50)에 의해 그 감광매체(10)에 형성된 정전잠상의 전위, 약 150V 보다는 높은 중간 전위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현상롤러(210)의 외주면에 공급된 현상액은 이 전위차로 발생되는 전기적 힘에 의해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된 낮은 전위부로 이동하여 부착되려고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현상롤러(210)와 감광매체(10) 사이에는 예컨대 폴리우레탄과 같은 소유성(oleophobic) 용매 여과망(2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폴리우레탄은, 노파(NORPAR)와 같은 토너용 용매에 녹지 않으며 또한 그 용매를 배척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의 용매 여과망(220)을 설치하게 되면, 상기 현상롤러(210)로부터 감광매체(10)의 정전잠상을 향해 이동되는 현상액 중 용매가 여과되어(통과되지 못하고) 걸러지게 된다. 즉, 고체상의 토너입자는 상기 소유성 용매 여과망(220)을 통과하여 감광매체(10) 위의 정전잠상에 달라붙게 되지만, 액상의 용매는 상기 소유성 용매 여과망(220)에 의해 차단되어 감광매체(10)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상의 용매는 상기 소유성 용매 여과망(220)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도면의 참조부호 250은 상기 현상롤러(210)용 클리닝롤러를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현상작업이 시작되면, 상기 레이저 스캐너(50)가 감광매체(10)에 광을 조사하여 소정의 정전잠상을 형성시키게 되며, 그 정전잠상은 상기 현상유니트(200)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현상롤러(210)의 외주면에 공급된 현상액은 상술한 전기적 힘에 이끌려 상기 감광매체(10)의 정전잠상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유성 용매 여과망(220)이 이동되는 현상액 중 액상의 용매를 여과하여 그 이동을 차단하게 되며, 토너 성분만이 상기 정전잠상에 달라붙어 소정 색상의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현상유니트에서는, 고체상의 토너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소유성 용매 여과망(220)을 설치하여서, 상기 감광매체(10)의 정전잠상에 용매가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별도의 스퀴즈롤러 및 그 구동원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는, 액상의 용매를 여과하고 토너만을 통과시키는 소유성 용매 여과망을 설치하여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그 토너만이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스퀴즈롤러를 삭제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현상유니트가 채용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유니트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감광매체 30...드라이유니트
40...인쇄유니트 50...레이저 스캐너
200...현상유니트 210...현상롤러
220...용매 여과망 230...현상액 공급부
240...대전부 250...클리닝롤러

Claims (2)

  1.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 상에 상대적으로 낮은 전위를 이루며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감광매체와 대향되게 배치된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면에 고체상의 토너와 액상의 용매가 혼합된 현상액을 공급하는 현상액 공급부와;
    상기 현상롤러를 상기 감광매체에 가해진 전위와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위의 전위와의 중간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부와;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매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대전부에 의한 전기적 힘에 의해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감광매체의 정전잠상을 향해 이동되는 현상액 중 고체상의 토너는 통과시키고 액상의 용매는 통과시키지 않는 소유성 용매 여과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유성 용매 여과망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KR1019980017189A 1998-05-13 1998-05-13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KR100503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189A KR100503057B1 (ko) 1998-05-13 1998-05-13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189A KR100503057B1 (ko) 1998-05-13 1998-05-13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049A KR19990085049A (ko) 1999-12-06
KR100503057B1 true KR100503057B1 (ko) 2005-09-26

Family

ID=3730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189A KR100503057B1 (ko) 1998-05-13 1998-05-13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0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049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416B1 (ko) 습식 현상장치
EP0698832B1 (en) Prevention of excess liquid toner contamination in the formation of electrophotographic images
JPH0514911B2 (ko)
KR100503057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US5905929A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00234282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KR100219658B1 (ko) 습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200172924Y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현상롤러크리닝장치
EP1182516A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ink in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from polluting a roller mounted therein
KR100243237B1 (ko) 전사사진방식프린터용현상기
KR100374614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JP2004038172A (ja) 湿式電子写真方式プリンタの現像剤ラップアラウンド防止装置
KR100319840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감광매체클리닝장치
KR200259771Y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액체캐리어제거장치
KR200168975Y1 (ko) 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장치
KR100230328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KR100247984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현상롤러크리닝장치
KR10034671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KR100327204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감광매체크리닝장치
JPH08211746A (ja) 液体現像装置
KR100335427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전사롤러크리닝장치
KR10038598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KR100421978B1 (ko)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 백업장치
KR100297757B1 (ko)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의 현상장치
KR100252100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