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975Y1 - 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975Y1
KR200168975Y1 KR2019970017815U KR19970017815U KR200168975Y1 KR 200168975 Y1 KR200168975 Y1 KR 200168975Y1 KR 2019970017815 U KR2019970017815 U KR 2019970017815U KR 19970017815 U KR19970017815 U KR 19970017815U KR 200168975 Y1 KR200168975 Y1 KR 2001689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pipe
photosensitive medium
injection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625U (ko
Inventor
박근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7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975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6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6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9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9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58Liquid develop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채용되는 현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순환되는 감광매체와 대향되게 설치되며 감광매체와 대향되는 일부분에 소정크기로 형성된 개구를 갖는 공유관과, 공유관의 일측과 결합되어 용기내에 저수된 현상액을 공유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분사관과, 분사관에 설치된 분사펌프와, 공유관의 타측과 결합되어 공유관을 경유한 현상액을 흡입하여 용기내로 회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흡입관과, 흡입관에 설치된 흡입펌프와, 개구와 대향되는 공유관의 저부에 감광매체에 대하여 전계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바이어스전극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현상장치에 의하면 그 구성이 간단해지면서 감광매체에 공급된 현상액중 화상형성에 관여하지 않는 잔류 현상액을 흡입 펌프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 및 수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 장치{Developing apparatus of printer}
본 고안은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감광매체에 분사된 현상액 중 화상형성에 관여하지 않는 액상의 물질을 흡입 펌프를 이용하여 수거하도록 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와 같은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는 습식과 건식으로 분류된다. 건식 현상방식은 고체상태의 현상물질을 사용하고, 이에 반하여 습식 현상방식은 액체상태의 현상액을 사용한다. 화상인쇄는 정전 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매체에 고체상태의 현상물질인 토너나 액체상태의 잉크를 분사시켜 화상을 형성시킨 후, 그 감광 매체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롤러 사이로 기록용지를 통과시킴으로써 얻어진다. 그러나, 건식 현상방식은 그 토너 입자의 크기의 한계 때문에 발생하는 해상도의 문제나, 토너를 교체할 때 발생하는 토너 먼지가 인체에 매우 유해하다는 문제로 인하여 액체상태의 잉크를 사용하는 습식 현상 방식이 본격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습식 현상 장치는 염료(tonor)와 운반매체인 액상의 캐리어요소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현상액(11)을 수용하는 용기(12)를 갖춘다. 상기 용기(12) 내부에는 현상액(11)을 감광매체인 감광벨트(13)에 분사하는 분사펌프(14)와 소정의 전위로 대전되는 바이어스 롤러(15), 액상의 캐리어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두 개의 제1 및 제2 스퀴즈 롤러(16)(17)가 마련된다. 참조부호18, 19 는 플레이트이고, 20은 백업(back-up)롤러이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분사펌프(14)의 분사노즐(14a)을 통해 감광 벨트(13)의 표면에 분사된 현상액(11)은 인쇄될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 부착된다. 감광벨트(13)의 정전잠상에 대응한 영역에 도포된 현상액(11)은 제 1 및 제2 스퀴즈 롤러(16)(17)에 가압되어 지나게 될 때, 감광벨트(13)에는 염료만 남게되고, 염료 주위에 분포되어 있는 캐리어요소가 분리되어 플레이트(18)(19)를 타고 용기(12)내로 떨어진다. 이후, 염료 성분만으로 형성된 화상을 감광 벨트(14)로부터 기록용지(미도시)에 옮기게되면 인쇄가 완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상장치는 염료로부터 캐리어의 분리가 감광벨트(13)에 근접 회전되는 스퀴즈롤러(16)(17)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촉에 의한 감광벨트(13)의 마모를 야기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압에 의해 캐리어요소를 염료로부터 분리시키기 때문에 캐리어요소와 함께 염료가 딸려 나올 수 있어, 실질적인 캐리어만의 완전분리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현상장치를 거친 후에도 제거되지 않고 감광벨트(13)상에 잔류된 캐리어요소를 흡착하여 분리시키기 위한 별도의 캐리어 요소 흡착용 드라이롤러(미도시)등의 설치가 필요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감광매체상에 도포된 현상액중 화상형성에 관여하지 않는 액상의 캐리어요소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현상장치의 분사관을 포함한 부분발췌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현상액 12, 22: 용기
13, 23: 감광벨트 14, 24: 분사펌프
14a: 분사노즐 15: 바이어스 롤러
16, 17: 스퀴즈 롤러 18, 19: 플레이트
20: 백업롤러 25: 흡입펌프
26: 바이어스 전극 27: 분사관
28: 흡입관 29: 공유관
30: 개구 31, 32: 롤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는 순환되는 감광매체와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감광매체와 대향되는 일부분에 소정크기로 형성된 개구를 갖는 공유관과; 상기 공유관의 일측과 결합되어 용기내에 저수된 현상액을 상기 공유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에 설치된 분사펌프와; 상기 공유관의 타측과 결합되어 상기 공유관을 경유한 현상액을 흡입하여 상기 용기내로 회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에 설치된 흡입펌프와;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상기 공유관의 저부에 상기 감광매체에 대하여 전계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바이어스전극;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보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상 장치는 통상적으로 토너라 불리는 염료와 상기 염료의 운반매체인 액상의 캐리어요소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현상액(21)을 수용하는 용기(22)가 마련된다.
용기(22)내에 저수된 현상액(21)을 흡입하여 감광벨트(23)로 공급하고, 감광벨트(23)로 공급된 현상액(21)중 일부를 용기(22)내로 회수할 수 있도록 현상액(21)의 공급 및 회수경로가 되는 분사관(27), 공유관(29) 및 흡입관(28)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분사관(27)에는 현상액(21)을 흡입하여 분사하는 분사펌프(24)가 마련되어 있다.
흡입관(28)에는 감광벨트(23)에 분사된 현상액(21)을 흡입하여 감광벨트(23)에 착상되지 않은 현상액(21)을 수거하여 용기(22)내에 배출하는 흡입폄프(2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공유관(29)의 저부에는 바이어스 전극(26)이 마련되어 있다. 참조부호 31, 32는 감광벨트(23)의 전진을 유도하는 롤러이다.
분사펌프(24)의 분사관(27)과 흡입펌프(25)의 흡입관(2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관(29)에 의해 상호 연통되어 연결되어 있고, 현상액(21)과 감광매체인 감광벨트(23)와의 접촉은 개구(30)를 통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30) 아래에 마련된 바이어스 전극(26)은 일정레벨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바이어스 전극(26)의 전압유지레벨은 감광벨트(23)의 대전전위와 상관되어 결정된다. 결정된 바이어스 전극(26)의 전위로부터 형성된 감광벨트(23)와 바이어스 전극(26)사이의 전계에 의해 현상액(21)은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벨트(23) 부분에 끌리게 되고, 특히 전하를 띠는 염료는 전기적 인력에 의해 강하게 감광벨트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현상장치를 통한 현상방법을 살펴본다.
먼저, 분사펌프(24)와 흡입펌프(25)를 동시에 가동시키게 되면 분사펌프(24)에서 분사된 현상액(21)중 일부는 개구(30)를 통해 감광벨트(23)에 부착되고 나머지는 흡입펌프(25)를 통해 용기(22)내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바이어스 전극(26)에 인가된 전계에 의해 분사펌프(24)로부터 분사되어 개구(30)위치에 진입되는 현상액(21)은 감광벨트(23)의 대전전위에 대해 상대적인 차이를 갖는 잠상형성부분 즉, 화상형성영역에 부착된다. 이때 현상액(21)중 염료는 대전전위에 의한 전기적 인력에 의해 감광벨트(23)에 강하게 붙어있지만, 전기력이 작용하지 않는 캐리어요소는 흡입펌프(25)의 흡입력에 의해 쉽게 염료로부터 분리되어 흡입펌프(25)로 흡입된다.
따라서, 분사된 현상액(21)은 바이어스 전극(26)에 의해 형성된 전계에 의해 염료성분만 감광벨트(23)의 화상형성영역에 강하게 부착되고, 캐리어요소는 흡입펌프(25)의 흡입력에 의해 용기(22)내로 수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 매체로서 감광 벨트(23)를 채용하였으나, 이를 감광 드럼으로 대체하여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 장치는 분사된 현상액중 염료이외의 성분을 포함한 잔류 현상액을 흡입 펌프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 및 수거할 수 있고, 구조가 단순해진다.

Claims (1)

  1. 순환되는 감광매체와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감광매체와 대향되는 일부분에 소정크기로 형성된 개구를 갖는 공유관과;
    상기 공유관의 일측과 결합되어 용기내에 저수된 현상액을 상기 공유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에 설치된 분사펌프와;
    상기 공유관의 타측과 결합되어 상기 공유관을 경유한 현상액을 흡입하여 상기 용기내로 회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에 설치된 흡입펌프와;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상기 공유관의 저부에 상기 감광매체에 대하여 전계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바이어스전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 장치.
KR2019970017815U 1997-07-07 1997-07-07 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장치 KR2001689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815U KR200168975Y1 (ko) 1997-07-07 1997-07-07 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815U KR200168975Y1 (ko) 1997-07-07 1997-07-07 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625U KR19990004625U (ko) 1999-02-05
KR200168975Y1 true KR200168975Y1 (ko) 2000-02-01

Family

ID=1950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815U KR200168975Y1 (ko) 1997-07-07 1997-07-07 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9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625U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071B1 (ko) 컬러전자사진장치에 사용되는 클리이닝장치 및 클리이닝 방법
CN101308352B (zh) 液体分离装置和使用该装置的混合液体供给装置、图像形成装置
JP3456122B2 (ja) 記録装置
KR200168975Y1 (ko) 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장치
KR100219658B1 (ko) 습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100234282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JPH02140780A (ja) 液体現像器
JP3883523B2 (ja) 湿式画像形成装置
KR100503057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JP3587615B2 (ja) 電子写真装置
JPH08179632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KR100322557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잉크순환시스템
KR20040014040A (ko) 폐현상제 용기를 구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243237B1 (ko) 전사사진방식프린터용현상기
KR100343169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현상롤러크리닝장치
JP2000338791A (ja) 画像形成装置
KR100354763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매체 크리닝장치 및 그방법
JP2000112312A (ja) 画像形成装置
KR100319840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감광매체클리닝장치
JP3965253B2 (ja) 湿式画像形成装置及び湿式画像形成方法
KR100421978B1 (ko)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 백업장치
KR100275687B1 (ko) 화상형성장치의 감광 매체 크리닝 방법
KR100385985B1 (ko) 인쇄기의 감광매체 클리닝장치
JPH08278735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KR20000038476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액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