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939B1 - 자동차용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939B1
KR100534939B1 KR10-2003-0081613A KR20030081613A KR100534939B1 KR 100534939 B1 KR100534939 B1 KR 100534939B1 KR 20030081613 A KR20030081613 A KR 20030081613A KR 100534939 B1 KR100534939 B1 KR 100534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bracket
seatback
rear split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813A (ko
Inventor
최병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939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Arrangement of seats relative to one another
    • B60N2/012The seat support being a part of the vehicle body or chas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의 마운팅시 양쪽 사이드 마운팅 부위와 더불어 센터 마운팅 부위를 핀 삽입방식으로 개선하고, 센터 핀의 록킹은 롤링 브라켓을 사용하여 키홀을 록킹시키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폴딩시 작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리어 러기지 테스트시 강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라인상에서의 조립성 향상과 소비자 자가정비시의 정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는 양쪽의 사이드 마운팅 부위와 중간의 센터 마운팅 부위를 통해 마운팅되는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에서, 시트백 스플릿 부위를 가운데 두고 양편으로 각각 롤링 브라켓과 이것을 수용하는 케이싱이 장착되고, 양편의 롤링 브라켓 사이에는 차체 플로어상의 센터 브라켓에 결합되어 있는 센터 핀이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Structure for mounting rear split folding seat back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의 볼트 체결방식 대신에 핀 삽입방식을 적용하여 폴딩시 작동력 향상, 리어 러기지 테스트시 강성 강화, 라인 조립성 향상, 소비자 자가정비시 정비성 향상 등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의 경우 리어 시트백은 고정식이 대부분이지만, 최근에는 차체 정비 등의 필요성에 따라 폴딩시킬 수 있는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을 많이 적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사이드 부위는 사이드 브라켓(11)에 의해 사이드 핀(12)으로 삽입 고정되고, 센터 부위는 날개형 브라켓(13)에 의해 볼트로 시트백 패널(100)에 체결 고정되는 구조로 마운팅된다.
즉, 센터 부위에 고정되는 날개형 브라켓(1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날개부분을 이용하여 시트백측에 볼트로 체결 고정되고, 뒷쪽의 몸체형 브라켓(14)을 통해 차체 플로어측에 볼트로 체결 고정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는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가장 큰 문제점은 장착성이 매우 곤란하다는데 있다.
특히,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어셈블리의 경우 리어 러기지 테스트를 만족하기 위한 백패널이 삽입되어 있어서 매우 무거운데, 이러한 어셈블리 전체를 작업라인에서 눕힌 상태에서 볼팅작업을 해야 하므로 조립성을 떨어뜨리는 고질적인 문제가 있다.
둘째, 리어 러기지 테스트시 가장 하중을 많이 받는 부위가 센터 마운팅 부위이다.
따라서, 센터 마운팅 부위의 파단을 막기 위해 날개형 브라켓과 몸체 브라켓의 고정(Coaking)을 강하게 할 필요가 있고, 또 날개형 브라켓의 두께를 매우 두껍게 해야 하는 이중의 문제가 발생한다.
셋째, 날개형 브라켓이 고정(Coaking)되어 있기 때문에 폴딩조작시 작동력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의 마운팅시 양쪽 사이드 마운팅 부위와 더불어 센터 마운팅 부위를 핀 삽입방식으로 개선하고, 센터 핀의 록킹은 롤링 브라켓을 사용하여 키홀을 록킹시키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폴딩시 작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리어 러기지 테스트시 강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라인상에서의 조립성 향상과 소비자 자가정비시의 정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쪽의 사이드 마운팅 부위와 중간의 센터 마운팅 부위를 통해 마운팅되는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센터 마운팅 부위는 시트백 스플릿 부위를 가운데 두고 양편에 장착되는 키홈을 갖는 롤링 브라켓와; 내측면에 키홀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롤링 브라켓을 수용하는 케이싱과; 양편의 롤링 브라켓 사이에 배열되면서 차체 플로어상의 센터 브라켓과 결합되어 있는 센터 핀으로 구성하여, 상기 센터핀의 양단부에 형성된 키를 상기 케이싱의 키홀을 통하여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롤링 브라켓의 키홈에까지 분리 가능하게 삽입 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센터 핀은 센터 브라켓에 결합된 상태로 좌우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롤링 브라켓측과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터 핀은 양단부가 롤링 브라켓에 키와 키홈을 통해 결합되어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회전위치에 따라 케이싱의 키홀을 통한 록킹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링 브라켓은 둘레면 일측에 시트백 패널의 홀상에 걸려지면서 회전정도를 제한받는 스톱퍼가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10)의 양편 사이드 마운팅 부위는 시트백 어셈블리측의 사이드 브라켓(11)과 차체 플로어측의 사이드 핀(12)을 이용한 핀 삽입구조로 마운팅되고, 중간 센터 마운팅 부위는 시트백 어셈블리측의 케이싱(16) 및 롤링 브라켓(15)과 차체 플로어측의 센터 핀(18)을 이용한 핀 삽입구조로 마운팅된다.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은 양편 2곳과 중간 1곳이 각각의 핀 삽입구조로 마운팅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스플릿 시트백 마운팅 구조에서 센터 마운팅 부위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마운팅 부위의 차체 플로어측 지지수단으로 센터 브라켓(17)이 제공되고, 시트백 패널측 지지수단은 원형 몸체를 갖는 2개의 롤링 브라켓(15) 및 이것들 사이에 삽입 결합되는 센터 핀(18)이 제공된다.
상기 센터 브라켓(17)의 선단부에는 홀이 가동되어 있어서 이곳으로 센터 핀(18)이 끼워지게 되고, 상기 롤링 브라켓(15)은 저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있는 케이싱(16) 내에 수용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센터 핀(18)은 케이싱(16)의 벽면을 관통하면서 그 내측으로 위치되는 롤링 브라켓(15)에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양단이 끼워진다.
특히, 상기 센터 핀(18)의 양단부에는 2곳 대칭위치에 키(19)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것을 이용하여 롤링 브라켓(15)에 형성되어 있는 키홈(20)에 결합되면서 함께 회전가능하게 되고, 길이 중간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손잡이(23)가 부착되어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스플릿 시트백 마운팅 구조에서 센터 마운팅 부위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위의 구성부품들에 대한 결합구조를 보여준다.
센터 핀(18)과 센터 브라켓(17)은 어셈블리 형태로 조립된다.
예를 들면, 센터 브라켓(17)의 홀에 센터 핀(18)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이때의 관통부위 양편으로 손잡이(23)을 용접 부착하면 센터 핀(18)은 손잡이(23)가 있는 구간 내에서 좌우로 슬라이드되는 구조로 센터 브라켓(17)과 어셈블리 형태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시트백 패널(100)의 스플릿 부위를 가운데 두고 그 양편으로는 각각 롤링 브라켓(15)이 내측에 들어있는 케이싱(16)이 패널 전면에 각각 조립된다.
이렇게 조립되는 케이싱(16)의 내측에 있는 롤링 브라켓(15)은 일부가 시트백 패널(100) 뒷쪽의 홀(110)을 통해 빠져나와 있게 되고, 이때의 빠져나온 부분에는 롤링 브라켓(15)의 스톱퍼(22)가 위치되어 있어서 롤링 브라켓(15)의 회전정도가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롤링 브라켓(15)의 회전시 스톱퍼(22)가 홀(110)의 상단과 하단에 걸려지게 되므로, 롤링 브라켓(15)의 회전범위가 정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롤링 브라켓(15)에는 센터핀(18)이 관통되는 중앙의 홀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2곳의 키홈(20)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 핀(18)의 양단부에도 상기 키홈(20)에 대응하는 키(19)가 일체 형성되어 있어서 센터 핀(18)과 롤링 브라켓(15)은 키와 키홈 결합구조로 조립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6)에도 상기 키(19) 및 키홈(20)과 상응하는 키홀(21)이 벽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서면 센터 핀(18)은 롤링 브라켓(15)과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센터 핀(18)의 키(19)가 케이싱(16)의 키홀(21)에 일치되는 경우에만 센터 핀(18)의 인입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스플릿 시트백 마운팅 구조에서 센터 마운팅 부위의 조립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핀(18)은 손잡이(23)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완전히 빼낼 수 있으므로, 센터 핀(18)을 어느 한쪽, 예를 들면 오른쪽 롤링 브라켓(15)에 조립한 후, 왼쪽 롤링 브라켓(15)과 조립하기 위해서는 센터 핀(18)을 최대한 오른쪽으로 빼낸 후 왼쪽 롤링 브라켓(15)이 위치된 상태에서 센터 핀(18)을 왼쪽으로 밀어서 끼우면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센터 핀(18)을 양쪽의 각 롤링 브라켓(15)에 조립한 후 손잡이(23)를 앞쪽으로 젖히면, 롤링 브라켓(15)도 함께 회전되면서 뒷쪽의 스톱퍼(22)가 홀(110)의 상단부에 걸리게 된다.
이때의 상태가 록킹상태이며, 회전한 만큼 센터 핀(18)의 키(19)는 케이싱(16)의 키홀(21)로부터 벗어나 있게 되므로, 센터 핀(18)의 탈거가 방지되고, 따라서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의 록킹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시트백 폴딩시 손잡이(23)로 센터 핀(18)을 젖히면서 키(19)와 키홀(21)을 일치시킴에 따라, 센터 핀(18)을 좌우측으로 빼내는 조작을 통해 록킹상태를 쉽게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제공하는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① 핀 삽입방식이므로 폴딩시 작동력이 적게 든다.
② 리어 러기지 테스트시 핀의 강성이 브라켓보다 강하므로 유리하다.
③ 기존 볼팅공정의 삭제로 공정단축의 효과 및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다.
④ 고질적인 조립문제 해결 등 라인조립성과 소비자 자가정비시 조립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에서 센터 마운팅 부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스플릿 시트백 마운팅 구조에서 센터 마운팅 부위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스플릿 시트백 마운팅 구조에서 센터 마운팅 부위의 전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스플릿 시트백 마운팅 구조에서 센터 마운팅 부위의 후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스플릿 시트백 마운팅 구조에서 센터 마운팅 부위의 조립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11 : 사이드 브라켓
12 : 사이드 핀 13 : 날개형 브라켓
14 : 몸체형 브라켓 15 : 롤링 브라켓
16 : 케이싱 17 : 센터 브라켓
18 : 센터 핀 19 : 키
20 : 키홈 21 : 키홀
22 : 스톱퍼 23 : 손잡이

Claims (4)

  1. 양쪽의 사이드 마운팅 부위와 중간의 센터 마운팅 부위를 통해 마운팅되는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센터 마운팅 부위는 시트백 스플릿 부위를 가운데 두고 양편에 장착되는 키홈(20)을 갖는 롤링 브라켓(15)와;
    내측면에 키홀(21)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롤링 브라켓(15)을 수용하는 케이싱(16)과;
    양편의 롤링 브라켓(15) 사이에 배열되면서 차체 플로어상의 센터 브라켓(17)과 결합되어 있는 센터 핀(18)으로 구성하여;
    상기 센터핀(18)의 양단부에 형성된 키(19)를 상기 케이싱(16)의 키홀(21)을 통하여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롤링 브라켓(15)의 키홈(20)에까지 분리 가능하게 삽입 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링 브라켓(15)은 둘레면 일측에 시트백 패널(100)의 홀(110)상에 걸려지면서 회전정도를 제한받는 스톱퍼(22)가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
KR10-2003-0081613A 2003-11-18 2003-11-18 자동차용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 KR100534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613A KR100534939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용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613A KR100534939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용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813A KR20050047813A (ko) 2005-05-23
KR100534939B1 true KR100534939B1 (ko) 2005-12-08

Family

ID=3724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613A KR100534939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용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9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743B1 (ko) * 2010-11-11 2013-01-08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용 사이드커버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741B1 (ko) 2006-10-17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열 시트의 센터 힌지 마운팅 구조
KR101518642B1 (ko) * 2013-12-27 2015-05-07 현대다이모스(주) 시트백 마운팅 장치
KR101656296B1 (ko) * 2014-12-26 2016-09-12 현대다이모스(주) 시트백 마운팅 장치
CN106985715B (zh) * 2017-03-31 2023-07-18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支撑固定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743B1 (ko) * 2010-11-11 2013-01-08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용 사이드커버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813A (ko) 200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137131A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用フードラッチアセンブリ
JP2000226955A (ja) 自動車用開放リ―フ把手
US7168755B2 (en) Door outer handle structure
CN206781644U (zh) 一种对开式汽车中央扶手总成
CN103358872A (zh) 跨骑式电动车辆
KR100534939B1 (ko) 자동차용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
US20140217770A1 (en) Door handle assemblies and vehicles having same
US11396341B2 (en) Electric folding mechanism and a motorbicycle thereof
JPH07187011A (ja) 自動車のサスタワー補強部材の取付構造
KR200267314Y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 스트라이커어셈블리
JP3619072B2 (ja) 自動車の車室前端部における小物入れ装置
KR100957454B1 (ko)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JPH0420115Y2 (ko)
US11247592B2 (en) Center hinge assembly for vehicle rear seat
CN212213128U (zh) 一种抽屉用双锁滑道结构及交通工具
CN218198125U (zh) 一种按压式汽车手套箱机构
JPH0730474Y2 (ja) 自動車フロントドア当り止めロック用治具
KR100528510B1 (ko) 트럭용 테일 게이트의 록킹장치
CN215398886U (zh) 一种可折叠方向盘及汽车
KR101439447B1 (ko) 차량용 리어 시트의 힌지타입 록킹장치
CN106246016B (zh) 一种汽车的联动机构及汽车
KR100246515B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JPH0730475Y2 (ja) 自動車リヤドア当り止めロック用治具
JPH07315274A (ja) 電動三輪車
JPH068208Y2 (ja) 錠機構付き抜差し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