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642B1 - 시트백 마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백 마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642B1
KR101518642B1 KR1020130164987A KR20130164987A KR101518642B1 KR 101518642 B1 KR101518642 B1 KR 101518642B1 KR 1020130164987 A KR1020130164987 A KR 1020130164987A KR 20130164987 A KR20130164987 A KR 20130164987A KR 101518642 B1 KR101518642 B1 KR 101518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eat back
seatback frame
fram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율하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30164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6Panel lik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30Seat or seat parts characterised by comprising plural parts or pieces
    • B60N2205/35Seat, bench or back-rests being split laterally in two or mo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사각의 판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는 일단부에 회전 브라켓이 마련되고 타단부에 힌지핀이 마련된 시트백프레임; 차체 플로어에 고정 설치되고, 시트백프레임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 브라켓에 삽입되는 회전핀이 형성된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핀이 안착되어 연결되는 힌지홈이 형성된 제2브라켓;을 포함하는 시트백 마운팅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시트백 마운팅 장치 {MOUNTING APPARATUS OF SEAT BACK}
본 발명은 리어 시트백 프레임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여 작업 편의성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시트백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 또는 레저용 차량에는 별도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트렁크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차량 내부에 부피가 큰 적재물을 수납시에는 리어 시트백을 폴딩시켜 차량 후미에 적재 공간을 넓게 확보하도록 한다.
이렇게, 적재공간을 선택적으로 넓히기 위해 최후방 시트백을 시트에 포개어지도록 접을 수 있는 폴딩타입 시트백이 장착된다. 또한 폴딩타입 시트백은 차량의 최후방 시트뿐만 아니라, 전방시트에도 적용되어 후방 탑승자가 다리를 얹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폴딩타입 시트의 경우 보통 힌지 구조를 통해 차체에 결합하여 시트백의 폴딩 동작이 구현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딩 시트의 설치 구조는 시트백(10)에 하단에 시트백 브라켓(20)이 마련되고, 차체에는 차체 브라켓(30)이 마련된다.
차체 브라켓(30)의 경우 차체 플로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측에는 힌지부(32)가 구비되며, 시트백 브라켓(20)이 힌지부(32)에 설치됨으로써 차체 플로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여기서, 차체 브라켓(30)과 시트백 브라켓(20)은 보통 볼트를 이용하여 상호 체결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된 시트백(10)의 경우 차체 브라켓(30)과 시트백 브라켓(20) 간의 볼트 체결 구간(a)이 4군대나 발생되어 조립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아울러, 통상적으로 시트백의 하단에는 양측에 시트백 브라켓(20)이 마련되는바, 어느 한쪽의 시트백 브라켓(20)과 차체 브라켓(30)을 연결시 다른 한쪽에 하중이 부하되어 조립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되었다.
즉, 종래의 폴딩 시트백 힌지유닛에 따르면, 시트백(10)을 차체 브라켓(30)에 결합하기 위해 한 명의 작업자는 시트백(10)을 들어올리고, 또 다른 작업자가 각 브라켓(20,30)을 체결하는 방식으로만 결합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하여 추후의 정비를 위한 탈거와 재장착시에도 그 탈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1-0005057 A (2001.01.1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시트백을 차체에 설치하는 공정을 단순화하고, 시트백의 탈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한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용이하게 시트백을 탈장착 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백 마운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 마운팅 장치는 사각의 판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에는 일단부에 회전 브라켓이 마련되며 타단부에 힌지핀이 마련된 시트백프레임; 차체 플로어에 고정 설치되고, 시트백프레임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 브라켓에 삽입되는 회전핀이 형성된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핀이 안착되어 연결되는 힌지홈이 형성된 제2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백프레임은 하단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연결됨으로써 차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회전 브라켓은 일측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은 차체 플로어에 고정 설치되고, 상방으로 제1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며, 제1지지부에는 상기 회전 브라켓의 중공에 삽입되어 시트백프레임을 회전 지지하는 회전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힌지핀은 타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브라켓은 차체 플로어에 고정설치되고, 상방으로 제2지지부가 연장형성되며, 제2지지부에는 상기 힌지핀이 안착되는 힌지홈과 안착된 힌지핀을 감싸 고정시키는 커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의 제2지지부에는 힌지홈의 일측으로 커버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힌지홈의 타측으로 회전된 커버부와 결합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의 커버부와 고정부에는 볼트 또는 스크류가 관통되어 체결됨으로써 커버부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시트백 마운팅 장치는 사각의 판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는 일단부에 회전 브라켓이 마련되고, 타단부에 힌지핀이 마련된 제1시트백프레임; 상기 제1시트백프레임의 측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하단에는 일단부에 힌지핀이 마련되고, 타단부에 회전 브라켓이 마련된 제2시트백프레임; 차체 플로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시트백프레임의 일측과 제2시트백프레임의 타측에 각기 배치되며, 제1시트백프레임과 제2시트백프레임의 각 회전 브라켓에 삽입되는 회전핀이 형성된 사이드 브라켓; 상기 제1시트백프레임의 타측과 제2시트백프레임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고, 제1시트백프레임의 힌지핀과 제2시트백프레임의 힌지핀이 안착되는 힌지홈이 형성된 센터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제1시트백프레임과 제2시트백프레임에 형성된 힌지핀은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센터 브라켓에는 제1시트백프레임의 힌지핀과 제2시트백프레임의 힌지핀을 동시 수용하는 힌지홈과, 힌지홈에 수용된 힌지핀을 감싸 고정시키는 커버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시트백 마운팅 장치는 시트백프레임을 차체 플로어에 설치시 시트백프레임의 회전 브라켓과 제1브라켓의 회전핀을 삽입 연결함과 동시에 시트백프레임의 힌지핀을 제2브라켓의 힌지홈에 연결시켜주는 간단한 공정으로 시트백프레임을 차체 플로어에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시트백프레임의 일단부는 제1브라켓에 삽입연결되어 있는바, 그 위치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브라켓에 형성된 커버부를 통해 힌지핀을 감싸 고정시킴으로써 시트백 프레임이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백을 차체에 설치하는 공정을 단순화하고, 시트백의 탈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한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용이하게 시트백을 탈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트백 마운팅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마운팅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트백 마운팅 장치의 조립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시트백 마운팅 장치의 시트백프레임과 제1브라켓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트백 마운팅 장치의 시트백프레임과 제2브라켓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7은 도 1에 도시된 시트백 마운팅 장치의 제2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백 마운팅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마운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트백 마운팅 장치의 조립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시트백 마운팅 장치의 시트백프레임과 제1브라켓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트백 마운팅 장치의 시트백프레임과 제2브라켓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 내지 7은 도 1에 도시된 시트백 마운팅 장치의 제2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는 시트백이 복수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하기 본 발명에 설명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단일 시트백프레임만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본 발명은 시트백프레임을 차체 플로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함과 더불어, 설치 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상기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의 시트백 마운팅 장치는 사각의 판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는 일단부에 회전 브라켓(120)이 마련되고 타단부에 힌지핀(140)이 마련된 시트백프레임(100); 차체 플로어에 고정 설치되고, 시트백프레임(100)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 브라켓(120)에 삽입되는 회전핀(220)이 형성된 제1브라켓(200); 및 상기 제1브라켓(20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시트백프레임(100)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핀(140)이 안착되어 연결되는 힌지홈(322)이 형성된 제2브라켓(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회전 브라켓(120)과 힌지핀(140)이 마련된 시트백프레임(100)과, 회전핀(220)이 형성되어 회전 브라켓(120)에 연결되는 제1브라켓(200) 및 힌지홈(322)이 형성되어 힌지핀(140)과 연결되는 제2브라켓(300)으로 구성된다.
즉, 제1브라켓(200)의 회전핀(220)을 시트백프레임(100)의 일단부에 형성된 회전 브라켓(120)에 삽입하여 연결하고, 시트백프레임(100)의 타단부에 형성된 힌지핀(140)을 제2브라켓(300)의 힌지홈(322)에 안착시킨 후 힌지핀(140)이 힌지홈(322)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시트백프레임(100)을 차체 플로어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시트백프레임(100)은 하단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제1브라켓(200)과 제2브라켓(300)에 연결됨으로써 차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시트백프레임(100)을 차체 플로어에서 회동되도록 설치할 뿐만 아니라, 시트백프레임(100)의 설치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시트백프레임(100)의 회전 브라켓(120)은 일측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200)은 차체 플로어에 고정 설치되고, 상방으로 제1지지부(240)가 연장 형성되며, 제1지지부(240)에는 상기 회전 브라켓(120)의 중공에 삽입되어 시트백프레임(100)을 회전 지지하는 회전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시트백프레임(100)의 회전 브라켓(120)은 일측 방향으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제1브라켓(200)의 회전핀(220)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 브라켓(120)의 내부에는 부시 또는 베어링을 마련하여 제1브라켓(200)의 회전핀(2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원활한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으로, 제1브라켓(200)은 차체 플로어에 고정 설치되고, 상방으로 시트백프레임(100)의 일단부를 향해 연장된 제1지지부(24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지지부(240)에는 회전 브라켓(120)의 중공에 삽입되는 회전핀(220)이 측방을 향해 형성되어 회전핀(220)이 회전 브라켓(120)에 삽입됨에 따라 제1브라켓(200)에 시트백프레임(100)과 연결된다.
위의, 시트백프레임(100)과 제1브라켓(200)을 연결시 시트백프레임(100)을 이동시켜 제1브라켓(200)의 회전핀(220)에 회전 브라켓(120)이 끼워지도록 삽입 연결해줌으로써 시트백프레임(100)이 제1브라켓(200)에 회전 지지되도록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단순히 제1브라켓(200)의 회전핀(220)에 시트백프레임(100)의 회전 브라켓(120)을 삽입해주는 공정만으로 두 구성 간의 연결이 가능한바, 별도의 볼팅 작업이 불필요하며,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시트백프레임(100)에 형성된 회전 브라켓(120)과 제1브라켓(200)에 형성된 회전핀(220)은 서로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며, 이는 강성, 내구성능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시트백프레임(100)의 힌지핀(140)은 타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브라켓(300)은 차체 플로어에 고정설치되고, 상방으로 제2지지부(320)가 연장형성되며, 제2지지부(320)에는 상기 힌지핀(140)이 안착되는 힌지홈(322)과 안착된 힌지핀(140)을 감싸 고정시키는 커버부(324)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트백프레임(100)을 차체 플로어에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시트백프레임(100)의 양측단부에 브라켓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위에서 시트백프레임(100)의 일단부는 제1브라켓(200)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이와 더불어 제2브라켓(300)을 통해 시트백프레임(100)의 타단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해줌으로써 차체 플로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도록 한다.
먼저, 시트백프레임(100)의 타단부에는 힌지핀(140)이 타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힌지핀(140)을 연결되는 상기의 제2브라켓(300)에는 상방으로 시트백프레임(100)의 타단부를 향해 연장된 제2지지부(3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지지부(320)에는 시트백프레임(100)의 힌지핀(140)이 안착되는 힌지홈(322)이 형성되고, 힌지핀(140)이 힌지홈(322)에 삽입됨에 따라 제2브라켓(300)이 시트백프레임(100)을 지지한다.
이와 더불어, 제2브라켓(300)의 제2지지부(320)에는 커버부(324)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힌지홈(322)에 힌지핀(140)이 안착되면 커버부(324)를 회전시켜 힌지핀(140)을 감쌈으로써 힌지홈(322)에 안착된 힌지핀(140)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300)의 힌지홈(322)에는 베어링 또는 부시가 적용되어 안착된 힌지핀(140)이 원활히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브라켓(300)의 제2지지부(320)에는 힌지홈(322)의 일측으로 커버부(324)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힌지홈(322)의 타측으로 회전된 커버부(324)와 결합되는 고정부(3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300)의 커버부(324)와 고정부(326)에는 볼트 또는 스크류(B)가 관통되어 체결됨으로써 커버부(324)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24)는 힌지핀(140)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힌지홈(322)에 안착된 힌지핀(140)을 감싼 후 고정됨으로써 힌지핀(140)의 유동을 제한한다. 이를 위해, 제2브라켓(300)의 제2지지부(320)에는 회전된 커버부(324)와 결합되는 고정부(326)를 형성하도록 한다. 즉, 시트백프레임(100)의 힌지핀(140)이 힌지홈(322)에 안착시 커버부(324)가 회전시켜 고정부(326)에 접촉시키고, 커버부(324)와 고정부(326)의 수직한 방향으로 볼트 또는 스크류가 관통되어 체결됨으로써 커버부(324)를 고정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시트백프레임(100)의 일단부는 회전 브라켓(120)을 통해 제1브라켓(200)의 회전핀(220)이 삽입시켜 일차적으로 차체 플로어에 설치하고, 이차적으로 시트백프레임(100)의 타단부에 형성된 힌지핀(140)을 제2브라켓(300)의 힌지홈(322)에 안착함으로써 시트백프레임(100)이 차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2브라켓(300)의 힌지홈(322)에 안착된 힌지핀(140)이 완전히 고정될 수 있도록 제2브라켓(300)에 마련된 커버부(324)를 회전시켜 힌지핀(140)에 접촉시키고, 커버부(324)를 고정부(326)와 결합시켜 커버부(324)의 회전을 제한함에 따라 힌지핀(140)이 제2브라켓(300)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시트백프레임(100)은 제1브라켓(200)에 삽입 연결된 후 제2브라켓(300)에 마운팅하여 차체에 설치하는 것으로, 볼팅 작업을 한번만 수행하여도 시트백프레임(10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작업 공정을 단순화시킴에 따라 한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시트백프레임(100)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면, 사각의 판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는 일단부에 회전 브라켓(120)이 마련되고, 타단부에 힌지핀(140)이 마련된 제1시트백프레임(100a); 상기 제1시트백프레임(100a)의 측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하단에는 일단부에 힌지핀(140)이 마련되고, 타단부에 회전 브라켓(120)이 마련된 제2시트백프레임(100b); 차체 플로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시트백프레임(100a)의 일측과 제2시트백프레임(100b)의 타측에 각기 배치되며, 제1시트백프레임(100a)과 제2시트백프레임(100b)의 각 회전 브라켓(120)에 삽입되는 회전핀(220)이 형성된 사이드 브라켓(200); 및 상기 제1시트백프레임(100a)의 타측과 제2시트백프레임(100b)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고, 제1시트백프레임(100a)의 힌지핀(140)과 제2시트백프레임(100b)의 힌지핀(140)이 안착되는 힌지홈(322)이 형성된 센터 브라켓(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시트백프레임(100a)과 제2시트백프레임(100b)은 차량의 사양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시트백프레임의 개수는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 브라켓(200)은 제1브라켓(200)에 해당하는 것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로 기재하였다. 상기 사이드 브라켓(200)에는 제1시트백프레임(100a)의 일단부와 제2시트백프레임(100b)의 타단부에 각기 형성된 회전 브라켓(120)에 삽입되는 회전핀(220)이 형성되어 회전 브라켓(120)과 회전핀(220)의 연결을 통해 제1시트백프레임(100a)과 제2시트백프레임(100b)을 사이드 브라켓(200)에 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센터 브라켓(300)은 위에서 설명된 제2브라켓(300)에 해당하는 것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로 기재하였으며, 센터 브라켓(300)에는 제1시트백프레임(100a)의 타단부와 제2시트백프레임(100b)의 일단부에 각기 형성된 힌지핀(140)이 안착되는 힌지홈(322)이 형성되어 제1시트백프레임(100a)과 제2시트백프레임(100b)이 센터 브라켓(300)에 지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시트백프레임(100a)과 제2시트백프레임(100b)에 형성된 힌지핀(140)은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센터 브라켓(300)에는 제1시트백프레임(100a)의 힌지핀(140)과 제2시트백프레임(100b)의 힌지핀(140)을 동시 수용하는 힌지홈(322)과, 힌지홈(322)에 수용된 힌지핀(140)을 감싸 고정시키는 커버부(324)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시트백프레임(100a)과 제2시트백프레임(100b)에 형성된 힌지핀(140)이 센터 브라켓(300)의 힌지홈(322)이 안착되면, 커버부(324)를 회전시켜 힌지핀(140)을 감싸 고정시킴으로써 힌지홈(322)에 안착된 힌지핀(14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볼팅 작업을 통해 시트백프레임과 연결되는 센터 브라켓(300)의 경우 제1시트백프레임(100a)과 제2시트백프레임(100b) 사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볼팅 작업을 최소화하여 작업 공수를 축소시킴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시트백프레임이 구성되더라도, 각각의 시트백프레임의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된 회전 브라켓(120)을 사이드 브라켓(200)의 회전핀(220)에 삽입 연결하여 간단히 연결하고, 최종적으로 각 시트백프레임의 힌지핀(140)을 센터 브라켓(300)의 힌지홈(322)에 안착 후 마운팅하여 고정함으로써 시트백프레임을 차체 플로어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시트백 마운팅 장치는 시트백프레임(100)을 차체 플로어에 설치시 시트백프레임(100)의 회전 브라켓(120)과 제1브라켓(200)의 회전핀(220)을 삽입 연결함과 동시에 시트백프레임(100)의 힌지핀(140)을 제2브라켓(300)의 힌지홈(322)에 연결시켜주는 간단한 공정으로 시트백프레임(100)을 차체 플로어에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시트백프레임(100)의 일단부는 제1브라켓(200)에 삽입연결되어 있는바, 그 위치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브라켓(300)에 형성된 커버부(324)를 통해 힌지핀(140)을 감싸 고정시킴으로써 시트백프레임(100)이 제1브라켓(200)과 제2브라켓(300)에 고정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백을 차체에 설치하는 공정을 단순화하고, 시트백의 탈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한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용이하게 시트백을 탈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시트백프레임 120:회전 브라켓
140:힌지핀 200:제1브라켓
220:회전핀 240:제1지지부
300:제2브라켓 320:제2지지부
322:힌지홈 324:커버부
326:고정부

Claims (8)

  1. 사각의 판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는 일단부에 회전 브라켓이 마련되고 타단부에 힌지핀이 타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시트백프레임;
    차체 플로어에 고정 설치되고, 시트백프레임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 브라켓에 삽입되는 회전핀이 형성된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핀이 안착되어 연결되는 힌지홈이 형성된 제2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2브라켓은 차체 플로어에 고정설치되고, 상방으로 제2지지부가 연장형성되며, 제2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핀이 안착되는 힌지홈과 제2지지부의 상단을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힌지홈에 안착된 힌지핀을 감싸 고정시키는 커버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마운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프레임은 하단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연결됨으로써 차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마운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회전 브라켓은 일측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은 차체 플로어에 고정 설치되고, 상방으로 제1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며, 제1지지부에는 상기 회전 브라켓의 중공에 삽입되어 시트백프레임을 회전 지지하는 회전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마운팅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의 제2지지부에는 힌지홈의 일측으로 커버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힌지홈의 타측으로 회전된 커버부와 결합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마운팅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의 커버부와 고정부에는 볼트 또는 스크류가 관통되어 체결됨으로써 커버부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마운팅 장치.
  7. 사각의 판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는 일단부에 회전 브라켓이 마련되고, 타단부에 힌지핀이 마련된 제1시트백프레임;
    상기 제1시트백프레임의 측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하단에는 일단부에 힌지핀이 마련되고, 타단부에 회전 브라켓이 마련된 제2시트백프레임;
    차체 플로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시트백프레임의 일측과 제2시트백프레임의 타측에 각기 배치되며, 제1시트백프레임과 제2시트백프레임의 각 회전 브라켓에 삽입되는 회전핀이 형성된 사이드 브라켓; 및
    상기 제1시트백프레임의 타측과 제2시트백프레임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고, 제1시트백프레임의 힌지핀과 제2시트백프레임의 힌지핀이 안착되는 힌지홈이 형성된 센터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시트백프레임과 제2시트백프레임에 형성된 힌지핀은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센터 브라켓에는 제1시트백프레임의 힌지핀과 제2시트백프레임의 힌지핀을 동시 수용하는 힌지홈과, 힌지홈에 수용된 힌지핀을 감싸 고정시키는 커버부로 구성되며, 커버부는 힌지홈을 포함하여 센터 브라켓의 상단을 덮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마운팅 장치.
  8. 삭제
KR1020130164987A 2013-12-27 2013-12-27 시트백 마운팅 장치 KR101518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987A KR101518642B1 (ko) 2013-12-27 2013-12-27 시트백 마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987A KR101518642B1 (ko) 2013-12-27 2013-12-27 시트백 마운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642B1 true KR101518642B1 (ko) 2015-05-07

Family

ID=53394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987A KR101518642B1 (ko) 2013-12-27 2013-12-27 시트백 마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64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5715A (zh) * 2017-03-31 2017-07-28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支撑固定结构
KR20200020158A (ko) * 2018-08-16 2020-02-2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센터 힌지 조립체
US20220032824A1 (en) * 2020-07-31 2022-02-03 Faurecia Sièges d'Automobile Vehicle seat
US11247592B2 (en) * 2019-12-02 2022-02-15 Hyundai Motor Company Center hinge assembly for vehicle rear seat
KR20220055247A (ko) *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서연이화 리어시트용 힌지브라켓
FR3140030A1 (fr) * 2022-09-28 2024-03-29 Faurecia Sièges d'Automobile Ensemble de siège comprenant un élément de support articulé à un pie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813A (ko) * 2003-11-18 2005-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
KR20090128871A (ko) * 2008-06-11 2009-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딩 시트백 힌지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813A (ko) * 2003-11-18 2005-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스플릿 폴딩 시트백 마운팅 구조
KR20090128871A (ko) * 2008-06-11 2009-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딩 시트백 힌지유닛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5715A (zh) * 2017-03-31 2017-07-28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支撑固定结构
CN106985715B (zh) * 2017-03-31 2023-07-18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支撑固定结构
KR20200020158A (ko) * 2018-08-16 2020-02-2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센터 힌지 조립체
KR102102752B1 (ko) * 2018-08-16 2020-05-2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센터 힌지 조립체
US11247592B2 (en) * 2019-12-02 2022-02-15 Hyundai Motor Company Center hinge assembly for vehicle rear seat
US20220032824A1 (en) * 2020-07-31 2022-02-03 Faurecia Sièges d'Automobile Vehicle seat
US11554693B2 (en) * 2020-07-31 2023-01-17 Faurecia Sièges d'Automobile Vehicle seat
KR20220055247A (ko) *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서연이화 리어시트용 힌지브라켓
KR102441965B1 (ko) * 2020-10-26 2022-09-08 주식회사 서연이화 리어시트용 힌지브라켓
FR3140030A1 (fr) * 2022-09-28 2024-03-29 Faurecia Sièges d'Automobile Ensemble de siège comprenant un élément de support articulé à un pi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642B1 (ko) 시트백 마운팅 장치
RU2500552C1 (ru) Система сидений с багажной полкой
US20160121953A1 (en) Article storage structure for automatic two-wheeled vehicles
KR101518627B1 (ko) 시트백 마운팅 장치
GB2479365A (en) Convertible roof rack and bicycle carrier for automotive vehicles
JP2011508703A5 (ko)
KR20090128871A (ko) 폴딩 시트백 힌지유닛
JP5385379B2 (ja) 車両用シート
WO2014104211A1 (ja) シート装置
CN202703359U (zh) 一种汽车顶棚乘客扶手
WO2016076045A1 (ja) 車両用リヤゲート
EP3046808B1 (en) A carrier device for vehicles
CN106314239A (zh) 一种后排座椅骨架结构
CN105109373A (zh) 汽车后排座椅固定结构
US20150083872A1 (en) Seat mounting structure
KR101488113B1 (ko) 몸체패널의 회전식 조립치구 및 이를 구비한 시험용 위성체
CN110606003A (zh) 后排座椅安装结构及其汽车
CN106985715B (zh) 一种汽车座椅支撑固定结构
KR101591461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
KR101991847B1 (ko) 차량 시트리프트용 시트 착탈장치
JP2010188979A (ja) シートバック組付時の仮保持構造
CN215621572U (zh) 支架组件、载具座椅及汽车
CN103863157A (zh) 不等分割式的车辆用座椅结构
KR101302923B1 (ko)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
CN107284298A (zh) 一种后排座椅靠背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