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976B1 -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 Google Patents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976B1
KR100533976B1 KR10-2004-0032651A KR20040032651A KR100533976B1 KR 100533976 B1 KR100533976 B1 KR 100533976B1 KR 20040032651 A KR20040032651 A KR 20040032651A KR 100533976 B1 KR100533976 B1 KR 100533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oltage
data
voltage
global data
data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7653A (ko
Inventor
김경환
이일호
이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4-0032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976B1/ko
Priority to TW093118310A priority patent/TWI261266B/zh
Priority to US10/877,888 priority patent/US7046576B2/en
Priority to JP2004195045A priority patent/JP4596831B2/ja
Publication of KR20050107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9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9Dummy cell treatment; Reference voltage genera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6Input/output [I/O] data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e.g. reading or writing circuits, I/O drivers or bit-line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storage elements electrically, e.g. by wiring
    • G11C5/063Voltage and signal distribution in integrated semi-conductor memory access lines, e.g. word-line, bit-line, cross-over resistance, propagation del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48Data bus control circuits, e.g. precharging, presetting, equali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5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ultiport memories each having random access ports and serial ports, e.g. video RA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6Multiple access memory array, e.g. addressing one storage element via at least two independent addressing line grou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27Standby or low power modes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히는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의 글로벌 데이터 버스에 대한 초기 전압 개선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로우 데이터 전송시 문제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전류 센싱 방식의 글로벌 데이터 버스 송수신 구조에서의 초기 동작시 첫 하이 데이터 페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류 센싱 방식의 데이터 송수신 구조를 구비하여 글로벌 데이터 버스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이터 송수신 블럭(뱅크, 포트, 글로벌 데이터 버스 연결부)을 구비하는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에서, 데이터 송수신 블럭의 수신기측에 구비된 액티브 로드의 저항값을 결정하는 기준전압을 동작 모드에 따라 가변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즉, 메모리가 액티브 상태일 때에는 정상적인 기준전압 레벨을 유지하도록 하고, 메모리가 스탠바이 상태일 때에는 기준전압 레벨을 변화시켜 포화된 GIO 레벨을 낮춰준다. 이에 따라 스탠바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할 때 첫 하이 데이터 페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액티브 상태에서는 로우 데이터 전송시 문제를 유발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MULTI-PORT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히는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의 글로벌 데이터 버스에 대한 초기 전압 개선 기술에 관한 것이다.
RAM을 비롯한 대부분의 메모리 소자는 하나의 포트 - 하나의 포트에 다수의 입/출력핀 세트가 존재함 - 를 구비한다. 즉, 칩셋과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하나의 포트만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칩셋과 메모리의 기능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으며, 칩셋과 메모리의 통합이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주변의 그래픽 디바이스, CPU 등과 직접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포트 중 어느 포트에서도 모든 메모리 셀에 대한 액세스가 가능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의 아키텍쳐를 제안한 바 있다(2003년 12월 17일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92375호 참조).
도 1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92375호에 따른 256M 멀티-포트 DRAM의 아키텍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안된 256M 멀티-포트 DRAM은, 각각 다수의 메모리 셀과 로우 디코더(RDEC)를 포함하며, 코어 영역을 4분할하고 있는 각 사분면에 일정 갯수만큼 로우 방향(도면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뱅크(bank0∼bank15)와, 1, 3사분면과 2, 4사분면 사이에 코어 영역을 양분하도록 배치되어 인가된 커맨드, 어드레스 등을 이용하여 내부 커맨드 신호, 내부 어드레스 신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메모리 소자를 이루는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중재하기 위한 중재부(100)와, 각 사분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각각 다른 타겟 디바이스와 독립적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포트(port0∼port7)와, 각 사분면에 대응하는 뱅크와 포트 사이에 로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병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_LU, GIO_RU, GIO_LD, GIO_RD)와, 로우 방향으로 인접한 두 글로벌 데이터 버스 사이에 배치되어 두 글로벌 데이터 버스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글로벌 데이터 버스 연결부(PR_U, PR_D)와, 각 뱅크의 컬럼 방향(도면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뱅크 내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트랜스퍼 버스(TB)와, 컬럼 방향으로 인접한 두 뱅크 사이에 배치되어 두 뱅크 각각의 트랜스퍼 버스(TB)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트랜스퍼 버스 연결부(TG)와, 각 뱅크와 해당 뱅크가 속한 사분면의 글로벌 데이터 버스 사이에 배치되어 각 트랜스퍼 버스(TB)와 해당 글로벌 데이터 버스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버스 연결부(TL)와, 각 포트와 그 포트가 속한 사분면의 글로벌 데이터 버스 사이에 배치되어 해당 포트와 글로벌 데이터 버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데이터 전달부(QTRX)를 구비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256M 멀티-포트 DRAM의 세부 구성을 살펴본다.
16개의 뱅크(bank0∼bank15) 각각은 16M(8k 로우×2k 컬럼)의 DRAM 셀과 로우 디코더(RDEC)를 포함하며, 각 뱅크 내부에는 통상의 DRAM 코어 영역에서 필수적인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이퀄라이져 등의 코어 회로를 구비한다. 뱅크(bank0∼bank15)는 코어 영역을 4분할하고 있는 각 사분면에 4개씩 로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코어 영역의 1사분면(좌측위)에는 뱅크0, 뱅크2, 뱅크4, 뱅크6가, 2사분면(우측위)에는 뱅크8, 뱅크10, 뱅크12, 뱅크14가, 3사분면(좌측아래)에는 뱅크1, 뱅크3, 뱅크5, 뱅크7이, 4사분면(우측아래)에는 뱅크9, 뱅크11, 뱅크13, 뱅크15가 각각 배치된다. 한편, 로우 디코더(RDEC)는 각 뱅크의 일측에 인접 뱅크의 로우 디코더(RDEC)와 짝을 이루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나의 페이지(컬럼)는 4개의 세그먼트(각 세그먼트는 512 개의 셀로 이루어짐)로 구분된다.
또한, 중재부(100)는 패킷 형태로 전송된 커맨드, 어드레스 등을 이용하여 내부 활성화 커맨드 신호(ACT), 내부 비활성화 커맨드 신호(PCG), 내부 리드 커맨드 신호(RD), 내부 라이트 커맨드 신호(WD) 등의 내부 커맨드 신호와, 활성화 어레이 어드레스(AAA), 비활성화 어레이 어드레스(PAA), 리드 어레이 어드레스(RAA), 라이트 어레이 어드레스(WAA), 로우 어드레스(RA), 리드 세그먼트 어드레스(RSA), 라이트 세그먼트 어드레스(WSA) 등의 내부 어드레스 신호와, 트랜스퍼 게이트 제어신호(TGC), 포트/파이프 레지스터 플래그 신호(PRFG), 포트/파이프 레지스터 데이터 구동신호(DP), DRAM 코어 테스트 모드 플래그 신호(DTM) 등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메모리 소자를 이루는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중재하는 컨트롤 블럭이다.
또한, 포트(port0∼port7)는 각 사분면의 다이(die) 가장자리 부분(해당 사분면의 모든 뱅크가 공유하는 장축변 부분)에 각각 두개씩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1사분면에는 port0, port2가, 2사분면에는 port4, port6이, 3사분면에는 port1, port3이, 4사분면에는 port5, port7이 각각 배치된다. 각 포트는 직렬 I/O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각각 다른 타겟 디바이스(예컨대, 칩셋, 그래픽 칩 등)와 독립적인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포트(port0∼port7)가 직렬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도록 하는 경우, 각 포트(port0∼port7)는 데이터, 어드레스, 커맨드 등에 대응하는 다수의 패드와, 패드에 전달된 송/수신 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패드 버퍼(리드 버퍼, 라이트 버퍼)와,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와, 송신할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더와, 수신된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고 송신할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기 등을 구비한다.
또한, 1사분면의 뱅크와 포트 사이에는 제1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_LU)가, 2사분면에는 제2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_RU)가, 3사분면에는 제3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_LD)가, 4사분면에는 제4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_RD)가 배치된다. 제1 내지 제4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_LU, GIO_RU, GIO_LD, GIO_RD)는 각각 해당 사분면의 뱅크, 포트 및 글로벌 데이터 버스 연결부(PR_U, PR_D)와 접속되는 양방향 데이터 버스(512 비트)이다.
한편, 제1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_LU)와 제2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_RU)는 제1 글로벌 데이터 버스 연결부(PR_U)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_LD)와 제4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_RD)는 제2 글로벌 데이터 버스 연결부(PR_D)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글로벌 데이터 버스 연결부(PR_U, PR_D)는 글로벌 데이터 버스의 라인수(512 개)에 대응하는 양방향 파이프 레지스터를 구비한다.
또한, 트랜스퍼 버스(TB)는 각 뱅크의 비트라인 감지증폭기와 해당 뱅크에 대응하는 버스 연결부(TL)를 연결하는 로컬 데이터 버스이다. 트랜스퍼 버스(TB)의 라인수는 하나의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셀의 수(예컨대, 512 개)와 동일하며, 차동 버스로 구현된다.
또한, 트랜스퍼 버스 연결부(TG)는 트랜스퍼 버스(TB)의 라인수 만큼의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현할 수 있다. 트랜스퍼 버스(TB)가 차동 버스이므로, 하나의 트랜스퍼 버스 연결부(TG)는 총 512쌍의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트랜스퍼 버스 연결부(TG)를 트랜스퍼 게이트로 칭하기로 한다.
또한, 버스 연결부(TL)는 512개의 트랜스퍼 래치가 1세트이고 총 16세트가 구비된다. 각 트랜스퍼 래치는 리드용 버스 연결회로(DRAM의 IO 감지증폭기에 해당함)와 라이트용 버스 연결회로(DRAM의 라이트 드라이버에 해당함)로 구성된다. 여기서, 리드용 버스 연결회로는 트랜스퍼 버스(TB)에 실린 리드 데이터를 감지하여 래치하기 위한 리드 감지증폭기 및 래치된 데이터를 해당 뱅크가 속한 사분면의 글로벌 데이터 버스로 드라이빙하기 위한 리드 드라이버를 구비한다. 또한, 라이트용 버스 연결회로는 글로벌 데이터 버스에 실린 라이트 데이터를 감지하여 래치하기 위한 라이트 래치와, 트랜스퍼 버스(TB)로 라이트 데이터를 드라이빙하기 위한 라이트 드라이버를 구비한다.
또한, 데이터 전달부(QTRX)는 그에 대응하는 포트에 인가된 라이트 데이터를 글로벌 데이터 버스로 전달하기 위한 512개의 송신기(QTx)와 글로벌 데이터 버스로부터 인가된 리드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포트로 전달하기 위한 512개의 수신기(QRx)를 구비한다.
이외에도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안된 256M 멀티-포트 DRAM은 다이의 각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며, 외부 전압을 인가 받아 내부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전압 생성기, 1사분면 및 2사분면에 대응하는 포트 사이 그리고 3사분면 및 4사분면에 대응하는 포트 사이에 배치된 테스트 로직, 다이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클럭 패드를 비롯한 각종 패드 등을 더 구비한다.
또한, 각 사분면에는 중재부(100)로부터 뱅크에 이르는 커맨드 라인(ACT, PCG, RD, WD)과, 중재부(100)로부터 뱅크에 이르는 어드레스 라인(AAA<0:1>, PAA<0:1>, RAA<0:1>, WAA<0:1>, RA<0:12>, RSA<0:1>, WSA<0:1>)이 구비된다. 그리고, 중재부(100) 좌우측에는 각각 중재부(100)로부터 트랜스퍼 버스 연결부(TG)에 이르는 트랜스퍼 게이트 제어라인(TGC<0:3>)이 구비된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256M 멀티-포트 DRAM의 컬럼 구성 단위인 세그먼트와 트랜스퍼 버스(TB)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안된 256M 멀티-포트 DRAM은 기존의 일반적인 DRAM과 같이 다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200)와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210)를 구비한다. 하나의 메모리 셀 어레이(200)를 기준으로 보면, 한쌍의 트랜스퍼 버스(TB<0>, TBb<0>)는 메모리 셀 어레이(200) 상하부에 배치된 4개의 비트라인 감지증폭기(BLSA)와 연결된다(박스 A 참조). 이 4개의 비트라인 감지증폭기(BLSA)는 각각 다른 세그먼트 선택신호(SGS<0:3>) - 기존의 일반적인 DRAM의 컬럼선택신호(Yi)에 대응하는 신호임 - 에 제어 받는다. 따라서, 2k 컬럼의 경우, 하나의 로우와 하나의 세그먼트가 선택되면 동시에 512개의 셀이 선택되어 그에 대응하는 512 비트의 트랜스퍼 버스(TB<0:511>)와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1사분면의 각 뱅크에 대응하는 트랜스퍼 버스(TB)는 동일 컬럼축 상에 배치된 3사분면의 각 뱅크에 대응하는 트랜스퍼 버스(TB)와 트랜스퍼 게이트(TG)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512개의 TG가 1세트로 구성되며, 총 8세트임). 즉, 트랜스퍼 게이트(TG)는 동일 컬럼축 상에 배치된 두 뱅크(이를 어레이라 정의함)에 대응하는 트랜스퍼 버스(TB) 사이에 배치되어 두 트랜스퍼 버스(TB)를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트랜스퍼 게이트(TG)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TGC)는 중재부(100)에서 생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256M 멀티-포트 DRAM의 동작을 살펴본다.
도 3a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256M 멀티-포트 DRAM의 노말 리드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b는 노말 라이트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포트 port0를 통해 뱅크 bank0에 있는 특정 세그먼트의 데이터(512 비트)를 리드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포트 port0을 통해 리드 동작과 관련된 커맨드, 어드레스 등이 패킷 형태로 인가되면, 중재부(100)는 먼저 뱅크 bank0에 대한 내부 활성화 커맨드 신호(ACT), 활성화 어레이 어드레스(AAA) 및 로우 어드레스(RA)를 생성하여 특정 로우(워드라인, WL)를 활성화시키고, 이어서 뱅크 bank0에 대한 내부 리드 커맨드 신호(RD), 리드 어레이 어드레스(RAA) 및 리드 세그먼트 어드레스(RSA)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비트라인 감지증폭기(BLSA)는 리드 세그먼트 어드레스(RSA)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의 512 비트 데이터를 감지증폭하여 트랜스퍼 버스(TB, TBb)로 구동한다. 한편, 뱅크 bank0의 버스 연결부(TL)는 뱅크 bank0의 트랜스퍼 버스(TB, TBb)에 실린 리드 데이터를 감지하여 제1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_LU)로 데이터를 구동한다. 이어서, 제1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_LU)에 전달된 리드 데이터는 포트 port0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달부(QTRX)의 수신기(QRx)를 거쳐 포트 port0 내의 리드 버퍼에 저장되고, 리드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는 일정단위의 패킷으로 변환되어 직렬 데이터 형태로 포트 port0와 연결된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된다. 이후, 중재부(100)는 내부 비활성화 커맨드 신호(PCG), 비활성화 어레이 어드레스(PAA)를 생성하여 해당 어레이의 로우를 비활성화시킨다. 이때, 해당 어레이의 트랜스퍼 버스 연결부(TG)는 스위치-오프 상태가 되어 뱅크 bank0의 트랜스퍼 버스(TB, TBb)와 동일 어레이 내의 뱅크 bank1의 트랜스퍼 버스(TB, TBb)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도록 한다. 미설명 도면 부호 'BL, BLb'는 비트라인 쌍, 'T'는 셀 트랜지스터, 'C'는 셀 캐패시터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포트 port0를 통해 뱅크 bank0에 있는 특정 세그먼트에 데이터(512 비트)를 라이트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포트 port0을 통해 라이트 동작과 관련된 커맨드, 어드레스, 데이터 등이 패킷 형태로 인가되면, 중재부(100)는 먼저 뱅크 bank0에 대한 내부 활성화 커맨드 신호(ACT), 활성화 어레이 어드레스(AAA) 및 로우 어드레스(RA)를 생성하여 특정 로우(워드라인, WL)를 활성화시키고, 이어서 뱅크 bank0에 대한 내부 라이트 커맨드 신호(WT), 라이트 어레이 어드레스(WAA) 및 라이트 세그먼트 어드레스(WSA)를 생성한다. 이때, 중재부(100)의 스케쥴링에 의해 포트 port0의 라이트 버퍼에 저장된 512 비트 데이터가 라이트 세그먼트 어드레스(WSA)에 대응하는 세그먼트(512 개의 메모리 셀)에 기록된다. 포트 port0에서 병렬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는 데이터 전달부(QTRX)의 송신기(QTx)를 거쳐 제1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_LU)에 로딩되고, 뱅크 bank0의 버스 연결부(TL)를 통해 다시 뱅크 bank0의 트랜스퍼 버스(TB, TBb)로 구동되며, 뱅크 bank0의 트랜스퍼 버스(TB, TBb)에 로딩된 데이터는 라이트 세그먼트 어드레스(WSA)에 대응하는 비트라인 감지증폭기(BLSA)를 통해 512개의 메모리 셀에 저장된다. 이후, 중재부(100)는 내부 비활성화 커맨드 신호(PCG), 비활성화 어레이 어드레스(PAA)를 생성하여 해당 어레이의 로우를 비활성화시킨다.
도 4a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256M 멀티-포트 DRAM의 크로스 리드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b는 크로스 라이트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포트 port1을 통해 뱅크 bank0에 있는 특정 세그먼트의 데이터(512 비트)를 리드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반적인 동작은 전술한 노멀 리드시와 거의 유사하나, 해당 어레이의 트랜스퍼 버스 연결부(TG)가 스위치-온 상태가 되어 뱅크 bank0의 트랜스퍼 버스(TB, TBb)와 동일 어레이 내의 뱅크 bank1의 트랜스퍼 버스(TB, TBb)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다르다. 한편, 뱅크 bank1의 트랜스퍼 버스(TB, TBb)에 로딩된 데이터는 뱅크 bank1에 대응하는 버스 연결부(TL), 제3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_LD), 포트 port1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달부(QTRX), 포트 port1을 거쳐 타겟 디바이스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포트 port1을 통해 뱅크 bank0에 있는 특정 세그먼트에 데이터(512 비트)를 라이트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전반적인 동작은 전술한 노멀 라이트시와 거의 유사하나, 역시 해당 어레이의 트랜스퍼 버스 연결부(TG)가 스위치-온 상태가 되어 뱅크 bank0의 트랜스퍼 버스(TB, TBb)와 동일 어레이 내의 뱅크 bank1의 트랜스퍼 버스(TB, TBb)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다르다. 이 경우, 포트 port1에 인가된 데이터는 포트 port1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달부(QTRX), 제3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_LD), 뱅크 bank1에 대응하는 버스 연결부(TL)를 거쳐 뱅크 bank0의 트랜스퍼 버스(TB, TBb)로 로딩되며, 이후의 과정은 전술한 노멀 라이트시와 동일하다.
한편, 제1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_LU)와 제2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_RU) 사이에 데이터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1 글로벌 데이터 버스 연결부(PR_U)를 통해 두 글로벌 데이터 버스를 연결하고, 제3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_LD)와 제4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_RD) 사이에 데이터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2 글로벌 데이터 버스 연결부(PR_D)를 통해 두 글로벌 데이터 버스를 연결하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안된 멀티-포트 DRAM은 모든 포트(port0∼port7)에서 모든 세그먼트를 액세스할 수 있으며, 다수의 포트를 통해 독립적인 액세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 글로벌 데이터 버스가 중복 사용되지 않는 범위에서 - 동시에 멀티 액세스가 가능하다. 또한, 새로운 아키텍쳐의 적용을 통해 코어 영역의 각 사분면에서 512 비트의 데이터를 병렬로 처리할 수 있으며, 포트에서는 직렬로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아웃 면적 증가를 최소화하고, 패키징이 용이하며, 데이터 버스에서의 데이터 선로간 스큐 문제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밴드폭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256M 멀티-포트 DRAM의 데이터 전달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멀티-포트 DRAM은 입/출력 인터페이스인 포트와 메모리 셀 블럭인 뱅크 사이에는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가 존재한다. 또한,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와 포트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데이터 전달부(QTRX)가 존재하며,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와 뱅크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버스 연결부(TL)가 존재한다.
도 6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256M 멀티-포트 DRAM의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체 칩은 각각이 독립적인 DRAM과 같이 동작 가능한 4개의 사분면(Quarter_lu, Quarter_ru, Quarter_ld, Quarter_rd)을 가지고 있으며, 각 사분면(Quarter_lu, Quarter_ru, Quarter_ld, Quarter_rd)의 구성은 동일하다. 1사분면(Quarter_lu)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에는 4개의 뱅크와 2개의 포트, 그리고 글로벌 데이터 버스 연결부(PR_U)가 연결된다. 즉, 하나의 줄기에 7개의 가지가 연결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처럼 하나의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를 여러 곳에서 공유하는 경우,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의 로딩이 커지는 문제와 데이터 간섭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256M 멀티-포트 DRAM에서의 워스트 리드 케이스 및 워스트 라이트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는 512개의 버스 라인을 구비하며, 가로 방향 배선과 세로 방향 배선이 존재한다. 통상의 실리콘 프로세스에서 세로 방향 배선은 제1 금속배선으로 구현하고 가로 방향 배선은 제2 금속배선으로 구현한다. 이처럼 계층적인 금속배선 구조를 사용하는 이유는 배선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제2 금속배선 보다 하부에 위치한 제1 금속배선의 저항값이 더 크다. 그런데,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 배선(제1 금속배선)의 길이 버스 라인별로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이는 경우에 따라 각 버스 라인의 로딩값이 다르게 나타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각 버스 라인별 로딩값의 차이와 함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따른 로딩값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예컨대, 포트 port0와 뱅크 bank6 사이에 리드 또는 라이트가 일어날 때 데이터 전송 경로가 가장 길게 나타나기 때문에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의 로딩 또한 가장 크게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이는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의 라인 배치를 어떠한 방식으로 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포트 port0와 뱅크 bank6 간의 데이터 전송이 항상 워스트한 케이스로 볼 수는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안된 멀티-포트 DRAM은 512 비트에 이르는 광폭의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를 구비하고 있다. 기존에 제안된 가장 밴드폭이 큰 DRAM(DDR2)의 글로벌 데이터 버스가 64개의 버스 라인을 갖고 있는 것에 비하면 버스 라인의 수가 매우 많음을 알 수 있다.
글로벌 데이터 버스의 라인수가 64개 이하인 경우에는 버스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가 코어 전압(Vcc) 레벨로 풀 스윙하더라도 그 전류 소모량이 그다지 큰 문제가 되질 않았으나, 글로벌 데이터 버스의 라인수가 64개 보다 늘어나게 되면, 즉 128, 256, 512개 등으로 늘어나면 데이터 전송에 많은 전류가 소모되어 전력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광폭의 글로벌 데이터 버스에서의 전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기존의 전압 드라이빙 방식이 아닌 전류 센싱 방식을 사용하는 글로벌 데이터 버스 송/수신 구조를 제안한 바 있다(2003년 12월 22일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94697호 참조).
도 8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94697호에 따른 데이터 전달부(QTRX)와 버스 연결부(TL)의 송신기 및 수신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버스 연결부(TL)의 송신기(TX)는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와 접지전압단(vss) 사이에 차례로 연결되며, 각각 데이터 신호(TX1) 및 데이터 구동펄스(DP1)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 N5, N6를 구비한다.
그리고, 버스 연결부(TL)의 수신기(RX)는 소오스가 전원전압단(VDD)에 접속되며 드레인과 게이트가 다이오드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P1)와, 소오스가 전원전압단(VDD)에 접속되며 드레인이 출력 노드에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P2)와, 소오스가 PMOS 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에 접속되며 게이트로 기준전압(VR)을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N1)와, 소오스가 PMOS 트랜지스터(P2)의 드레인(출력 노드)에 접속되며 게이트로 기준전압(VR)을 인가 받는 NMOS 트랜지스터(N2)와, 소오스가 NMOS 트랜지스터(N2)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접지전압단(vss)에 접속되며, 게이트로 데이터 평가신호(EVAL1)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N9)를 구비한다.
한편, 데이터 전달부(QTRX)의 송신기(QTX)는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와 접지전압단(vss) 사이에 차례로 연결되며, 각각 데이터 신호(TX2) 및 데이터 구동펄스(DP2)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 N7, N8를 구비한다.
그리고, 데이터 전달부(QTRX)의 수신기(QRX)는 소오스가 전원전압단(VDD)에 접속되며 드레인과 게이트가 다이오드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P3)와, 소오스가 전원전압단(VDD)에 접속되며 드레인이 출력 노드에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P4)와, 소오스가 PMOS 트랜지스터(P3)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에 접속되며 게이트로 기준전압(VR)을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N3)와, 소오스가 PMOS 트랜지스터(P4)의 드레인(출력 노드)에 접속되며 게이트로 기준전압(VR)을 인가 받는 NMOS 트랜지스터(N4)와, 소오스가 NMOS 트랜지스터(N4)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접지전압단(vss)에 접속되며, 게이트로 데이터 평가신호(EVAL2)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N10)를 구비한다.
한편,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는 실제로는 긴 금속배선으로 구현하는데, 이는 등가적인 저항(R)과 캐패시터(C)로 모델링할 수 있다.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를 통한 버스 연결부(TL)의 송신기(TX)와 데이터 전달부(QTRX)의 수신기(QRX)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리드(RD)라 하며,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를 통한 데이터 전달부(QTRX) 송신기(QTX)와 버스 연결부(TL)의 수신기(RX)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라이트(WT)라 한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 구조는 기본적으로 송신기(TX, QTX)에서 전송할 데이터 신호(TX1, TX2)의 상태에 따라서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를 충전 또는 방전하고 수신기(RX, QRX)에서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의 상태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도 9a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회로의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시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도 9a를 참조하여 버스 연결부(TL)의 송신기(TX)와 데이터 전달부(QTRX)의 수신기(QRX) 사이의 데이터 전송 즉, 리드(RD) 동작시를 예로 들어 상기 도 8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데이터 구동펄스(DP1)는 리드 동작시 클럭에 동기되어 논리레벨 하이로 활성화되어 뱅크로부터 출력된 데이터가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에 실리도록 하는 신호이며, 데이터 평가신호(EVAL2)는 데이터 구동펄스(DP1)가 논리레벨 하이로 활성화된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의 충/방전이 어느 정도 이루어질 수 있는 마진) 이후에 논리레벨 하이로 활성화되어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에 실린 데이터를 평가하는 신호이다.
먼저, 버스 연결부(TL)의 송신기(TX)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TX1) 및 데이터 구동펄스(DP1)가 각각 논리레벨 하이이면, NMOS 트랜지스터 N5 및 N6가 턴온되어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가 방전된다. 이때, 데이터 전달부(QTRX)의 수신기(QRX)의 노드 A2의 전위가 VDD-Vtp(PMOS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이하로 떨어지고, 이에 따라 PMOS 트랜지스터 P3, P4가 턴온되어 데이터 전달부(QTRX)의 수신기(QRX)의 출력신호 DATA2는 논리레벨 하이가 된다. 즉, 논리레벨 하이의 데이터가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를 통해 제대로 전달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신호(TX1)가 논리레벨 로우이고, 데이터 구동펄스(DP1)가 논리레벨 하이이면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가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데이터 전달부(QTRX)의 수신기(QRX)의 노드 A2가 방전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PMOS 트랜지스터(P4)가 출력단을 강하게 논리레벨 하이로 구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데이터 평가신호(EVAL2)가 논리레벨 하이가 되면 NMOS 트랜지스터 N10이 턴온되어 출력단이 방전되고, 데이터 전달부(QTRX)의 수신기(QRX)의 출력신호 DATA2는 논리레벨 로우가 된다. 즉, 논리레벨 로우의 데이터가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를 통해 제대로 전달됨을 알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데이터 구동펄스(DP1)의 하이 구간이 4번 있는데, 이는 4번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즉, 2번은 하이 데이터를 다음 2번은 로우 데이터를 전송함을 의미한다.
그런데, 하이 데이터를 전송할 때, PMOS 트랜지스터 P4가 NMOS 트랜지스터 N10에 비해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정상적인 경우라면 데이터 평가신호(EVAL2)가 논리레벨 하이가 되더라도 출력신호 DATA2가 논리레벨 로우로 떨어지지는 않지만 약간의 출렁임(fluctuation) 현상을 겪게 된다.
그런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동작시 이러한 출렁임 현상이 노이즈로 작용하여 첫 하이 데이터를 잘못 인식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첫 하이 데이터 페일이 일어나는 원리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리드 또는 라이트 동작이 없이 충분한 시간(수 ㎲ 정도)이 유지되면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가 충전되어 그 전위가 계속해서 상승하다가 어느 정도의 전위에 이르면 더 이상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 전위 레벨에서 머물게 된다. 이하, 이 전위 레벨을 포화된 GIO 레벨이라 칭하기로 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버스 연결부(TL)의 수신기(RX) 및 데이터 전달부(QTRX)의 수신기(QRX)에는 게이트로 기준전압(VR)을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 N1, N2 및 N3, N4가 존재한다. 이들은 기준전압(VR)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액티브 로드로서,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전술한 포화된 GIO 레벨은 기준전압(VR)에 의해 결정된다. 즉,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에 충전되는 전하는 결국 수신기(RX, QRX) 쪽에서 제공되는 것인데, 기준전압(VR)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 N1 및 N3의 상태에 따라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에 대한 충전 여부 및 속도가 결정된다. 기준전압(VR)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NMOS 트랜지스터 N1 및 N3는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가 방전되었을 때 강하게 턴온되었다가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가 충전되어 VR-Vtn(NMOS 트랜지스터의 문턱저항) 이상의 전위까지 상승하게 되면 턴오프 되어 더이상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에 전하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준전압(VR)이 증가하면 포화된 GIO 레벨도 증가하게 되고, 기준전압(VR)이 감소하면 포화된 GIO 레벨도 감소하게 된다.
리드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러한 포화된 GIO 레벨이 데이터 구동펄스(DP1)의 논리레벨 하이 구간(H) 동안 하이 상태의 데이터신호(TX1)에 대한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의 방전 동작시 첫 하이 데이터와 그 이후의 하이 데이터를 판별하는데 차이점을 가져온다. 즉, 첫 하이 데이터의 경우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의 방전 시작점이 포화된 GIO 레벨이고, 이후의 하이 데이터의 경우에는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의 방전 시작점이 포화된 GIO 레벨 보다 낮기 때문에 첫번째 하이 데이터에 비해 방전 조건이 양호하다. 이는 데이터 판별신호(EVAL2)가 논리레벨 하이로 활성화되는 시점에서 첫번째 하이 데이터의 경우(A)와 두번째 하이 데이터의 경우(B)의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의 레벨이 서로 다른 것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즉, 첫번째 하이 데이터 판별시에는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가 충분한 방전이 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데이터 전달부(QTRX)의 수신기(QRX) 쪽에서 이를 로우 데이터로 판별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첫 하이 데이터 페일 문제는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의 로딩이 커질수록 심각해지는데,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의 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의 로딩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포트 DRAM에서 사용하는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의 구조는 하나의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를 다수의 데이터 송수신 블럭(예컨대, 4개의 뱅크, 2개의 포트, 1개의 글로벌 데이터 버스 연결부(PR))가 공유하는 구조이므로, 데이터 전송경로에 따라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의 로딩이 증가하기 쉽고, 또한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의 버스 라인의 배선을 어떻게 설계했는가에 따라서도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의 로딩이 민감하게 변화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첫 하이 데이터 페일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기준전압(VR)의 레벨을 낮추면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가 충전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준전압(VR)의 레벨을 낮추면 첫 하이 데이터 페일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는 반면, 로우 데이터를 전송할 때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로우 데이터 전송시 문제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전류 센싱 방식의 글로벌 데이터 버스 송수신 구조에서의 초기 동작시 첫 하이 데이터 페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버스 라인을 구비하는 글로벌 데이터 버스; 상기 글로벌 데이터 버스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전류 센싱 방식의 송/수신기를 구비하는 다수의 데이터 송수신 블럭;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 블럭의 수신기에 구비된 액티브 로드의 저항값을 조절하여 상기 글로벌 데이터 버스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되, 액티브 모드에서 제1 기준전압을 제공하고, 스탠바이 모드에서 상기 제1 기준전압에 비해 낮은 전위 레벨의 제2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기준전압 생성 블럭을 구비하는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버스 라인을 구비하는 글로벌 데이터 버스; 상기 글로벌 데이터 버스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전류 센싱 방식의 송/수신기를 구비하는 다수의 데이터 송수신 블럭;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 블럭의 수신기에 구비된 액티브 로드의 저항값을 조절하여 상기 글로벌 데이터 버스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되, 액티브 모드에서 제1 기준전압을 제공하고, 스탠바이 모드에서 상기 제1 기준전압에 비해 낮은 전위 레벨의 제2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기준전압 생성 블럭을 구비하는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준전압 생성 블럭은, 외부전원전압을 입력받아 정전압 기준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기준전압 발생기; 상기 정전압 기준전압을 입력 받아 상기 제1 및 제2 기준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레벨 쉬프터; 및 모드정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기준전압을 상기 기준전압으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다중화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레벨 쉬프터는 접지전압단에 접속되며, 바이어스 전압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싱크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싱크 NMOS 트랜지스터와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정전압 기준전압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제1 차동입력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싱크 NMOS 트랜지스터와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며 피드백 기준전압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제2 차동입력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노드와 전원전압단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2 노드에 걸린 전압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제1 로드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전원전압단 사이에 접속되며 제2 노드에 걸린 전압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제2 로드 PMOS 트랜지스터 - 상기 제1 로드 PMOS 트랜지스터와 전류미러를 구성함 - ; 제3 노드와 상기 전원전압단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1 노드에 걸린 전압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구동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접지전압단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피드백 기준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전압 디바이더를 구비하여, 상기 제3 노드로 상기 제1 기준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전압 디바이더의 출력단으로 상기 제2 기준전압을 출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중화부는, 상기 모드정보신호에 제어 받아 상기 제1 기준전압을 상기 기준전압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제1 트랜스미션 게이트와, 상기 모드정보신호에 제어 받아 상기 제2 기준전압을 상기 기준전압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제2 트랜스미션 게이트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준전압 발생기는 위들러 타입 또는 밴드캡 타입의 기준전압 발생회로로 구현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상기 데이터 송수신 블럭에 구비된 상기 송신기는, 상기 글로벌 데이터 버스와 접지전압단 사이에 차례로 연결되며, 각각 데이터 신호 및 데이터 구동펄스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제1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상기 데이터 송수신 블럭에 구비된 상기 수신기는, 소오스가 전원전압단에 접속되며 드레인과 게이트가 다이오드 접속된 제1 PMOS 트랜지스터; 소오스가 상기 전원전압단에 접속되며 드레인이 출력 노드에 접속된 제2 PMOS 트랜지스터; 소오스가 상기 제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글로벌 데이터 버스에 접속되며 게이트로 상기 기준전압을 인가받는 제2 NMOS 트랜지스터; 소오스가 상기 제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출력 노드)에 접속되며 게이트로 상기 기준전압을 인가 받는 제3 NMOS 트랜지스터; 소오스가 상기 제3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접지전압단에 접속되며, 게이트로 데이터 평가신호를 인가받는 제4 N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전류 센싱 방식의 데이터 송수신 구조를 구비하여 글로벌 데이터 버스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이터 송수신 블럭(뱅크, 포트, 글로벌 데이터 버스 연결부)을 구비하는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에서, 데이터 송수신 블럭의 수신기측에 구비된 액티브 로드의 저항값을 결정하는 기준전압을 동작 모드에 따라 가변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즉, 메모리가 액티브 상태일 때에는 정상적인 기준전압 레벨을 유지하도록 하고, 메모리가 스탠바이 상태일 때에는 기준전압 레벨을 변화시켜 포화된 GIO 레벨을 낮춰준다. 이에 따라 스탠바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할 때 첫 하이 데이터 페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액티브 상태에서는 로우 데이터 전송시 문제를 유발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소개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전압(VR) 생성블럭의 회로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준전압(VR) 생성블럭은, 정전압 기준전압(VREF1)을 생성하기 위한 기준전압 발생기(1010)와, 정전압 기준전압(VREF1)을 입력 받아 액티브 모드용 기준전압(VR_ACT)과 그에 비해 낮은 전위 레벨의 스탠바이 모드용 기준전압(VR_STB)을 생성하기 위한 레벨 쉬프터(1020)와, 모드정보신호(ACT)에 응답하여 액티브 모드용 기준전압(VR_ACT) 및 스탠바이 모드용 기준전압(VR_STB)을 기준전압(VR)으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다중화부(1030)를 구비한다.
여기서, 레벨 쉬프터(1020)는 접지전압단(VSS)에 접속되며, 바이어스 전압(VBIAS)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싱크 NMOS 트랜지스터(N13)와, 싱크 NMOS 트랜지스터(N13)와 노드 n1 사이에 접속되며 정전압 기준전압(VREF1)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차동입력 NMOS 트랜지스터(N11)와, 싱크 NMOS 트랜지스터(N13)와 노드 n2 사이에 접속되며 피드백 기준전압(VREF2)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차동입력 NMOS 트랜지스터(N12)와, 노드 n1과 전원전압단(VDD) 사이에 접속되며 노드 n2에 걸린 전압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로드 PMOS 트랜지스터(P11)와, 노드 n2와 전원전압단(VDD) 사이에 접속되며 노드 n2에 걸린 전압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로드 PMOS 트랜지스터(P12)와, 노드 n3와 전원전압단(VDD) 사이에 접속되며 노드 n1에 걸린 전압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구동 PMOS 트랜지스터(P13)와, 노드 n3와 접지전압단(VSS) 사이에 접속되어 피드백 기준전압(VREF2)을 제공하기 위한 전압 디바이더(R1 및 R2)를 구비한다.
여기서, 로드 PMOS 트랜지스터 P11 및 P12는 전류 미러를 구성하며, 노드 n3에 접속된 전압 디바이더의 경우, 도면에서는 등가적인 저항 R1 및 R2로 표현하였으나, 저항의 수를 다수로 구성하면 원하는 스탠바이 모드용 기준전압(VR_STB)의 전위 레벨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스탠바이 모드용 기준전압(VR_STB)이 항상 피드백 기준전압(VREF2)과 같은 노드를 공유하는 것을 아니다.
또한, 다중화부(1030)는 모드정보신호(ACT)와 인버터(INV)를 통해 반전된 모드정보신호(ACT)에 제어 받아 액티브 모드용 기준전압(VR_ACT)을 기준전압(VR)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트랜스미션 게이트(TG1)와, 모드정보신호(ACT)와 인버터(INV)를 통해 반전된 모드정보신호(ACT)에 제어 받아 스탠바이 모드용 기준전압(VR_STB)을 기준전압(VR)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트랜스미션 게이트(TG2)를 구비한다. 트랜스미션 게이트 TG1와 TG2는 서로 반대 극성의 모드정보신호(ACT)에 제어 받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턴온된다.
한편, 기준전압 발생기(1010)는 위들러(Widlar) 타입 또는 밴드캡 타입의 기준전압 발생회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2는 외부전압인 전원전압(VDD)과 정전압 기준전압(VREF1)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압 기준전압(VREF1)은 파워업시 전원전압(VDD)의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전원전압(VDD)의 레벨을 따라 증가하다가 특정 레벨(예컨대, VDD/2)에 도달하면 전원전압(VDD)이 계속해서 증가하더라도 그 레벨을 유지하는 정전압이다.
이하, 바이어스 전압(VBIAS)는 활성화 상태임을 가정하여 상기 도 11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레벨 쉬프터(1020)에 정전압 기준전압(VREF1)이 입력되면 차동입력 NMOS 트랜지스터(N11)가 턴온되고 노드 n1을 방전 구동하고, 이에 따라 구동 PMOS 트랜지스터(P13)가 턴온되어 저항 R1 및 R2에 전류를 흘려주고 피드백 기준전압(VREF2)의 레벨을 상승시키게 된다.
그런데, 피드백 기준전압(VREF2)의 레벨이 증가하면 전류 미러(P11 및 P12)의 동작에 의해 구동 PMOS 트랜지스터(P13)의 채널이 점점 축소되고, 피드백 기준전압(VREF2)의 레벨이 정전압 기준전압(VREF1)에 도달하면 피드백 기준전압(VREF2)의 레벨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게 된다. 결국, VREF2 = VREF1의 관계가 성립하게 된다.
이때, 저항 R2에 흐르는 전류는 VREF2/R2로 정의되며, 이 전류는 저항 R1에도 동일하게 흐른다.
따라서, 액티브 모드용 기준전압(VR_ACT)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VR_ACT = (VREF2/R2)*(R1+R2) = VREF2*(1+(R1/R2)) = VREF1*(1+(R1/R2))
즉, 액티브 모드용 기준전압(VR_ACT)은 정전압 기준전압(VREF1)과 저항비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스탠바이 모드용 기준전압(VR_STB)은 피드백 기준전압(VREF2)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으며, 전압 디바이더에서 액티브 모드용 기준전압(VR_ACT)을 디바이딩하여 액티브 모드용 기준전압(VR_ACT) 보다 적정 수준 낮은 레벨을 가지도록 하면 된다. 스탠바이 모드용 기준전압(VR_STB)의 레벨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모드정보신호(ACT)가 논리레벨 하이로 활성화된 경우, 트랜스미션 게이트 TG1이 열려 액티브 모드용 기준전압(VR_ACT)이 기준전압(VR)으로서 출력되고, 모드정보신호(ACT)가 논리레벨 로우로 비활성화 되면 트랜스미션 게이트 TG2가 열려 스탠바이 모드용 기준전압(VR_STB)이 기준전압(VR)으로서 출력된다. 여기서, 모드정보신호(ACT)는 로우 액티브 시점으로부터 프리차지 시점까지 논리레벨 하이를 유지하는 신호류를 표시한 것이며, 이를 대신하여 동작 모드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다른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일어나는 액티브 모드에서는 높은 기준전압(VR) 레벨을 유지하도록 하여 로우 데이터 인식 오류를 방지하고,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일어나지 않는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기준전압(VR) 레벨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다시 액티브 모드가 되어 데이터를 전송할 때 포화된 GIO 레벨이 낮게 유지되므로, 첫 하이 데이터 페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위에서는 DRAM 셀을 사용하는 멀티-포트 DRAM의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SRAM을 비롯한 다른 RAM 셀을 구비한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에도 적용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된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의 포트의 수, 뱅크의 수 등도 메모리 소자의 용량 및 칩 사이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수신기 내의 액티브 로드로 N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기준전압(VR)의 레벨을 낮추고 액티브 모드에서는 기준전압(VR)의 레벨을 높이는 모델을 제시하였으나, 액티브 로드로 P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대의 경우도 성립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전류 센싱 방식의 글로벌 데이터 버스 송수신 구조를 가지는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에서의 초기 동작시 첫 하이 데이터 페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의 신뢰도 및 동작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92375호에 따른 256M 멀티-포트 DRAM의 아키텍쳐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256M 멀티-포트 DRAM의 컬럼 구성 단위인 세그먼트와 트랜스퍼 버스(TB)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256M 멀티-포트 DRAM의 노말 리드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256M 멀티-포트 DRAM의 노말 라이트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4a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256M 멀티-포트 DRAM의 크로스 리드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4b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256M 멀티-포트 DRAM의 크로스 라이트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256M 멀티-포트 DRAM의 데이터 전달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256M 멀티-포트 DRAM의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256M 멀티-포트 DRAM에서의 워스트 리드 케이스 및 워스트 라이트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94697호에 따른 데이터 전달부(QTRX)와 버스 연결부(TL)의 송신기 및 수신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a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회로의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시의 타이밍 다이어그램.
도 9b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회로의 비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시의 타이밍 다이어그램.
도 10은 상기 도 8에 도시된 회로의 신호 레벨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파형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전압(VR) 발생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전원전압(VDD)과 정전압 기준전압(VREF1)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 기준전압 발생기
1020 : 레벨 쉬프터
1030 : 다중화부

Claims (8)

  1. 다수의 버스 라인을 구비하는 글로벌 데이터 버스;
    상기 글로벌 데이터 버스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전류 센싱 방식의 송/수신기를 구비하는 다수의 데이터 송수신 블럭;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 블럭의 수신기에 구비된 액티브 로드의 저항값을 조절하여 상기 글로벌 데이터 버스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되, 액티브 모드 및 스탠바이 모드에서 서로 다른 전위 레벨의 제1 및 제2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기준전압 생성 블럭
    을 구비하는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2. 다수의 버스 라인을 구비하는 글로벌 데이터 버스;
    상기 글로벌 데이터 버스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전류 센싱 방식의 송/수신기를 구비하는 다수의 데이터 송수신 블럭;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 블럭의 수신기에 구비된 액티브 로드의 저항값을 조절하여 상기 글로벌 데이터 버스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되, 액티브 모드에서 제1 기준전압을 제공하고, 스탠바이 모드에서 상기 제1 기준전압에 비해 낮은 전위 레벨의 제2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기준전압 생성 블럭
    을 구비하는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 생성 블럭은,
    외부전원전압을 입력받아 정전압 기준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기준전압 발생기;
    상기 정전압 기준전압을 입력 받아 상기 제1 및 제2 기준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레벨 쉬프터; 및
    모드정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기준전압을 상기 기준전압으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다중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쉬프터는 접지전압단에 접속되며, 바이어스 전압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싱크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싱크 NMOS 트랜지스터와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정전압 기준전압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제1 차동입력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싱크 NMOS 트랜지스터와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며 피드백 기준전압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제2 차동입력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노드와 전원전압단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2 노드에 걸린 전압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제1 로드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전원전압단 사이에 접속되며 제2 노드에 걸린 전압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제2 로드 PMOS 트랜지스터 - 상기 제1 로드 PMOS 트랜지스터와 전류미러를 구성함 - ;
    제3 노드와 상기 전원전압단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1 노드에 걸린 전압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구동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접지전압단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피드백 기준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전압 디바이더를 구비하여,
    상기 제3 노드로 상기 제1 기준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전압 디바이더의 출력단으로 상기 제2 기준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부는,
    상기 모드정보신호에 제어 받아 상기 제1 기준전압을 상기 기준전압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제1 트랜스미션 게이트와,
    상기 모드정보신호에 제어 받아 상기 제2 기준전압을 상기 기준전압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제2 트랜스미션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 발생기는 위들러 타입 또는 밴드캡 타입의 기준전압 발생회로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7.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데이터 송수신 블럭에 구비된 상기 송신기는,
    상기 글로벌 데이터 버스와 접지전압단 사이에 차례로 연결되며, 각각 데이터 신호 및 데이터 구동펄스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제1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데이터 송수신 블럭에 구비된 상기 수신기는,
    소오스가 전원전압단에 접속되며 드레인과 게이트가 다이오드 접속된 제1 PMOS 트랜지스터;
    소오스가 상기 전원전압단에 접속되며 드레인이 출력 노드에 접속된 제2 PMOS 트랜지스터;
    소오스가 상기 제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글로벌 데이터 버스에 접속되며 게이트로 상기 기준전압을 인가받는 제2 NMOS 트랜지스터;
    소오스가 상기 제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출력 노드)에 접속되며 게이트로 상기 기준전압을 인가 받는 제3 NMOS 트랜지스터;
    소오스가 상기 제3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접지전압단에 접속되며, 게이트로 데이터 평가신호를 인가받는 제4 N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KR10-2004-0032651A 2004-05-10 2004-05-10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KR100533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651A KR100533976B1 (ko) 2004-05-10 2004-05-10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TW093118310A TWI261266B (en) 2004-05-10 2004-06-24 Multi-port memory device
US10/877,888 US7046576B2 (en) 2004-05-10 2004-06-25 Multi-port memory device
JP2004195045A JP4596831B2 (ja) 2004-05-10 2004-06-30 マルチポートメモリ素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651A KR100533976B1 (ko) 2004-05-10 2004-05-10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653A KR20050107653A (ko) 2005-11-15
KR100533976B1 true KR100533976B1 (ko) 2005-12-07

Family

ID=3523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651A KR100533976B1 (ko) 2004-05-10 2004-05-10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46576B2 (ko)
JP (1) JP4596831B2 (ko)
KR (1) KR100533976B1 (ko)
TW (1) TWI2612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3872A2 (en) * 2002-03-27 2003-10-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w-power high-performance memory cell and related methods
DE10347301B4 (de) * 2003-10-08 2007-12-13 Infineon Technologies Ag Schaltung mit einem Bus mit mehreren Empfängern
KR100641707B1 (ko) * 2005-04-08 2006-11-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KR100641708B1 (ko) * 2005-04-08 2006-11-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US7486572B2 (en) * 2005-06-14 2009-02-03 Brilliance Semiconductor Intl. Inc. Voltage regulator for memory device
KR100721197B1 (ko) * 2005-06-29 2007-05-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의 내부전압 발생회로
US7345931B2 (en) * 2005-08-01 2008-03-18 Infineon Technologies Ag Maintaining internal voltages of an integrated circuit in response to a clocked standby mode
KR100695437B1 (ko) 2006-04-13 2007-03-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멀티 포트 메모리 소자
KR100780623B1 (ko) 2006-06-30 2007-11-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내부전압 생성장치
KR100846386B1 (ko) * 2006-09-21 2008-07-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멀티포트 메모리 장치
KR100909805B1 (ko) * 2006-09-21 2009-07-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멀티포트 메모리 장치
JP4756701B2 (ja) * 2006-12-13 2011-08-2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電圧検出回路
FR2920584B1 (fr) * 2007-08-29 2009-11-1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emoire partagee
KR101090393B1 (ko) * 2009-09-30 2011-12-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테스트 회로,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테스트 방법
US9679614B1 (en) * 2015-11-25 2017-06-13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single ended main I/O line
KR20170068719A (ko) * 2015-12-09 2017-06-2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시스템
US10134482B2 (en) * 2017-01-17 2018-11-20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high speed writing test mode for memori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7370A (ja) * 1992-01-30 1993-08-27 Nec Corp 内部降圧電源回路
JP3645593B2 (ja) * 1994-09-09 2005-05-11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H11213664A (ja) * 1998-01-23 1999-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0268811B1 (ko) * 1998-06-03 2000-10-16 김영환 밴드-갭 기준 전압 발생기를 이용한 내부 전압 발생회로
US6141275A (en) * 1999-04-06 2000-10-31 Genesis Semiconductor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echarging and equalizing local input/output signal lines within a memory circuit
JP2003317478A (ja) * 2002-04-17 2003-11-07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96831B2 (ja) 2010-12-15
JP2005322372A (ja) 2005-11-17
TW200537521A (en) 2005-11-16
US20050249020A1 (en) 2005-11-10
US7046576B2 (en) 2006-05-16
TWI261266B (en) 2006-09-01
KR20050107653A (ko) 2005-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708B1 (ko)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US7466577B2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stacked memory chips
KR100533976B1 (ko)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US20050251713A1 (en) Multi-port memory device having serial I/O interface
KR100670707B1 (ko)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KR100605573B1 (ko)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KR100641707B1 (ko)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KR100605571B1 (ko)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US20050249026A1 (en) Synchronous memory device
US20080112252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gio l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05592B1 (ko)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의 리드용 버스 연결회로
KR101038299B1 (ko)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