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605B1 - 힌지 - Google Patents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605B1
KR100533605B1 KR10-2001-7012236A KR20017012236A KR100533605B1 KR 100533605 B1 KR100533605 B1 KR 100533605B1 KR 20017012236 A KR20017012236 A KR 20017012236A KR 100533605 B1 KR100533605 B1 KR 100533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hinge
oscillator
bearing portion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3378A (ko
Inventor
야마다아키라
요시가시마유타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모토 세이미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모토 세이미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모토 세이미쓰
Publication of KR20020003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6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2Trunnions; Crank-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05D11/106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요동체를 요동 조작할 때에 소정의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힌지에 관한 것이며, 외부에 제1 요동체(5)로의 장착부(11)를 가지고, 내주부의 동일 원주 상에 소정 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슬라이더 걸림부(10, 10)가 형성된 내마모성의 내면을 가지는 베어링부(1)와, 일단부에 제2 요동체(6)로의 장착부(21)를 가지는 동시에, 베어링부(1)의 내부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이탈 방지 상태로 삽입되고, 축심과 직각으로 교차하여 회전 시에 슬라이더 걸림부(10)를 포함하는 궤도를 통과하도록 외주부의 일 부분에 개방된 스프링 수용구멍(20)을 가지는 축(2)과, 스프링 수용구멍(20) 내에 삽입된 코일 스프링(3)과, 코일 스프링(3)에 의해서 스프링 수용구멍(20)으로부터 둘레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가압된 슬라이더(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힌지 {HING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힌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더형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기측 하우징과 수화기측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와 같이, 2개의 요동체를 요동 개폐할 때에 소정의 제동력을 작용시키고, 요동 조작에 의해 요동체가 서로 소정의 각도로 열리거나 또는 접힐 때에 클릭(click)되어 정지하며, 그 클릭 상태에서 요동방향으로 소정 이상의 힘을 더 가하면 클릭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기능을 갖은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11-68901호에는, 도 14와 같은 휴대용 전화기가 개시되어 있고, 이 휴대용 전화기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힌지가 사용되고 있다.
도 14의 휴대용 전화기는 송화부(51)와 조작키(52)를 가지는 송화측의 하우징(50)과, 수화부(61), 표시부(62) 및 안테나(63)를 가지는 수화측의 하우징(60)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50)과 하우징(60)은 한 쌍의 힌지(7, 7)로 연결되어 있다.
각 힌지(7)는 축방향으로 병렬한 원통상의 도전성을 가지는 베어링부(70, 71)를 구비하고 있고, 한 쪽 베어링부(70)는 송화측의 하우징(50)에 연결되고, 다른 쪽의 베어링부(71)는 수화측의 하우징(60)에 연결되어 있다. (73)는 커넥터 커버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부(71) 내에는 금속제의 링형 마찰수용부재(72)가 고정되어 있고, 이 마찰수용부재(72)는 베어링부(70) 내에 설치된 금속제의 원통형 마찰부재(73)의 단부가 회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하고 있다.
양 베어링부(70, 71)에는, 단부에 덮개를 겸한 칼라형상의 스프링 수용부(74a)를 가지고 선단에 볼트부(74b)를 가지는 축(74)이 한 쪽 베어링부(70) 측에서 삽입 통과되고 있다. 축(74)의 기단부 측에 스프링(75)을 장착함과 동시에, 다른 쪽의 베어링부(71)의 개방단측에서 축(74)의 볼트부(74b)에 너트(76)를 조여 스프링(75)을 압축하고, 마찰부재(73)를 마찰수용부재(72)로 가압하여 제동하고 있다.
도면부호 77은 스프링 수용부를 겸한 원통형상의 판스프링이며, 이 판스프링(77)의 선단부는 마찰부재(73)의 외주면 및 베어링부(70)의 내주면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하고 있어, 하우징 내의 프레임 어스(frame earth)를 가이드한다.
상기 마찰수용부재(72)와 마찰부재(73)가 스프링(75)의 가압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 면접촉하고 있어, 하우징(60)이 하우징(50)에 대하여 접히거나 열리거나 할 때, 상기 힌지는 마찰수용부재(72)와 마찰부재(73)의 마찰에 의해 소정의 힘으로 제동된다.
또한, 마찰수용부재(72)와 마찰부재(73)의 슬라이드 면에는 소정 각도(160∼180°)로 이격된 위치에 회전방향으로 테이퍼면을 가지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50, 60)이 소정 각도 열리면 요철이 맞물려 정지하고, 하우징(50)을 소정 이상의 힘으로 하우징(60)에 대하여 접힘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클릭이 해제되어 접히고, 접힘 상태에서 다시 요철이 맞물려 클릭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힌지는, 스프링(75)의 압력이 축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마찰수용부재(72)와 마찰부재(73)의 회전방향의 접촉길이가 구조상 작아져, 요동방향으로 충분한 제동을 작용시키기 위해서 보다 큰 스프링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베어링부(70)는 많은 경우 외경이 7mm 이하이기 때문에 큰 스프링을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마찰부의 제동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의 수를 증가시키는 수단이 고려되지만, 전술한 힌지구조에서는 구조상 복수의 스프링(예를 들면, 2개의 스프링)을 장착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힌지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화살표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힌지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는 도 10의 힌지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화살표 D-D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휴대용 전화기에 사용되고 있는 힌지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방향의 마찰부의 접촉길이를 구조상 길게 함으로서 스프링의 압력을 요동체의 요동방향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는 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구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힌지는
외부에 제1 요동체에 대한 장착부를 가지고, 내주부의 동일원주 상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이격된 위치에 슬라이더 걸림부가 형성된 내마모성 내면을 가지는 베어링부와,
일단부에 제2 요동체에 대한 장착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베어링부의 내부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또한 이탈 방지 상태로 삽입되고, 축 중심과 직각으로 교차하며 또한 상대 회전시 상기 슬라이더 걸림부를 포함하는 궤도를 통과하도록 일단에 외주부로 개방된 스프링 수용구멍을 가지는 축과,
상기 스프링 수용구멍 내로 삽입된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상기 스프링 수용구멍에서 상기 베어링부의 내주면에 밀어 넣어지도록 가압되고, 또한, 적어도 상기 베어링부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선단부가 내마모성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베어링부와 축이 상대 회전할 때에 상기 슬라이더 걸림부에 대하여 걸림 및 이탈이 가능한 슬라이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힌지는, 제1 실시예의 힌지에 있어서, 슬라이더가 상기 코일 스프링을 외부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안내용 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힌지는, 제1 실시예의 힌지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경질의 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힌지는, 제1 실시예의 힌지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축선이 상기 축의 축선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경질의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힌지는, 제2 실시예의 힌지에 있어서, 슬라이더는 베어링부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선단부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원호형이고 상기 슬라이더 걸림부 이외의 부분에서는 상기 베어링부의 내주면과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속하여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힌지는, 제1, 제2 또는 제5 실시예의 힌지에 있어서, 슬라이더의 코일 스프링과의 접촉부가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힌지는, 제2 ∼제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힌지에 있어서, 슬라이더 걸림부가 외주로 개방된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의 힌지는, 제7 실시예의 힌지에 있어서, 상기 쌍을 이룬 슬라이더 걸림부는 동일한 둘레방향에 위치하도록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수용구멍은 상기 슬라이더 걸림부에 대응하여 동일한 둘레방향을 향하도록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각 스프링 수용구멍에는 각각 코일 스프링과 슬라이더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9 실시예의 힌지는, 제2 ∼제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힌지에 있어서, 슬라이더 걸림부가 베어링부(1)의 내주면에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0 실시예의 힌지는, 제9 실시예의 힌지에 있어서, 슬라이더 걸림부인 홈은 단면이 오목한 원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1 실시예의 힌지는, 제9 또는 제10 실시예의 힌지에 있어서, 스프링 수용구멍이 동일한 둘레방향을 향하도록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각 스프링 수용구멍에는 각각 코일 스프링과 슬라이더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2 실시예의 힌지는, 제5 실시예의 힌지에 있어서, 슬라이더 걸림부가 단면이 오목한 원호형의 홈이며, 상기 스프링 수용구멍은 동일한 둘레방향을 향하도록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각 스프링 수용구멍에는 각각 코일 스프링이 수용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각 스프링 수용구멍에 걸친 축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각 스프링 수용구멍은 슬라이더의 선단부가 상기 베어링부의 슬라이더 걸림부 이외의 부분에 접촉하고 있을 때 몰입하는 한도로 둘레방향으로 개방된 일단이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3 실시예의 힌지는, 제12 실시예의 힌지에 있어서, 슬라이더의 코일 스프링과의 접촉부가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4 실시예의 힌지는, 제1∼제1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힌지에 있어서, 베어링부는 합성 수지제의 본체와, 본체 내주면에 정착된 금속제의 내장시트(1b)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5 실시예의 힌지는, 제1∼제1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힌지에 있어서, 제1 요동체와 제2 요동체 중, 한 쪽에는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측의 하우징이 장착되고, 다른 쪽에는 휴대용 전화기의 수화측의 하우징이 장착되고 있고, 베어링부 및 축은 도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도 4에 있어서, 도면부호 1은 외주부에 제1 요동체(5)로의 장착부(11)를 가지는 베어링부이며,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전성을 가지고 있다. 베어링부(1)의 내주면은 내마모성을 가지고, 그 내주부에는 동일원주 상에 소정 각도(이 실시예에서는 180°)의 간격으로, 축선 방향을 따라서 단면이 오목한 원호형으로 홈형의 슬라이더 걸림부(10, 10)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1)는 도전성을 부여한 폴리아세탈 등의 경질 합성 수지제의 본체(1a)와, 그 내주면에 삽입 상태로 정착된 금속제의 통으로 이루어지는 내장시트(1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장시트(1b)에는 대칭 위치에 홈형의 슬라이더 걸림부(10, 10)가, 본체(1a)의 내주부에는 슬라이더 걸림부(10, 10)가 끼워지는 홈(10a, 10a)(도 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장시트(1b)는, 얇은 스텐레스재질을 순차 이송프레스에 의해 원통형으로 연신 성형한 것이다.
장착부(11)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부(1)의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이다. 이 홈형의 장착부(11)에는, 도 2와 같이 제1 요동체(5)의 원통부(5a)의 내주부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부(5b)를 끼움으로서, 베어링부(1)와 제1 요동체(5)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면부호 2는 도전성이 부여된 폴리아세탈 등의 경질합성 수지제의 축이며, 일단부에는 플랜지(22)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22) 이외의 부분은 베어링부(1)의 내부에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또한 이탈 방지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축(2)의 단부에 축방향의 분할에 따라 둘레방향으로 4분할된 걸림돌기(24)를 형성하고, 이 걸림돌기(24)를 베어링부(1) 내로 눌러 삽입함과 동시에 베어링부(1)의 단부에 형성된 둘레방향의 단차부(12)(도 1)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축(2)을 베어링부(1)에 대하여 이탈 방지 상태로 하고 있다.
축(2)의 플랜지(22)에는, 제2 요동체(6)로의 장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21)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플랜지(22)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이다. 이 홈형의 장착부(21)에 제2 요동체(6)의 원통부(6a)의 내주부에 형성된 돌출부(6b)를 끼움으로써, 축(2)과 제2 요동체(6)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플랜지(22)의 단부에는, 축방향의 분할에 따라 4분할된 걸림돌기(23)가 형성되어 있고, 도 1과 같이, 이 걸림돌기(23)를 제2 요동체(6)의 원통부(6a) 내로 둘레방향에 형성된 내측 칼라(6c)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축(2)을 제2 요동체(6)의 원통부(6a)에 이탈 방지 상태로 장착하고 있다.
도면부호 13은 합성 수지제의 캡이며, 베어링부(1)의 외측의 단부로 끼워 장착하고 있다.
축(2)의 베어링부(1)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축심과 직각으로 교차하여 상대회전 시 베어링부(1)의 슬라이더 걸림부(10)를 포함하는 궤도를 통과하도록, 일단부가 둘레방향로 개방된 스프링 수용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수용구멍(20)은, 슬라이더 걸림부(10)와 대응하여 축방향으로 병렬하도록 2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각 스프링 수용구멍(20)에는 코일 스프링(3)(이 실시예에서는 피아노선이 사용되고 있음)이 각각 수용되고, 이들 코일 스프링(3)은, 내마모성을 가지는 금속제의 슬라이더(4)를 스프링 수용구멍(20)으로부터 둘레방향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베어링부(1)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슬라이더(4)의 선단부는, 축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원호형이고, 베어링부(1)의 내주면과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속하여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더(4)의 코일 스프링(3)과 접촉하는 부분은 평면이고, 이 평면에는 코일 스프링(3)을 외장형으로 안내하기 위한 핀(40, 4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4)는 2개의 스프링 수용구멍(20)에 걸치는 축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스프링 수용구멍(20)은 슬라이더(4)의 선단부가 상기 베어링부(1)의 슬라이더 걸림부(10) 이외의 부분에 접촉하고 있을 때에 몰입하는 한도로, 둘레방향으로 개방된 일단부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4)의 재질은, 크롬몰리브덴강 또는 니켈크롬몰리브덴강이며, 금속사출 성형법(MIM)으로 성형한 것이다.
이 실시예의 힌지는, 예를 들면 1대의 폴더형 휴대용 전화기에 2세트 사용된다. 제1 요동체(5)에는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측 하우징(50)이 장착되고, 제2 요동체(6)에는 휴대용 전화기의 수화측 하우징(60)이 장착된다.
이 실시예의 힌지는 이하의 요령으로 조립할 수 있다.
먼저 베어링부(1)를 전술한 바와 같이 조합하여, 축(2)의 각 스프링 수용구멍(20)에 대하여, 코일 스프링(3)을 삽입한 뒤, 그 위로부터 각 코일 스프링(3) 내에 핀(40, 40)을 삽입하면서 슬라이더(4)를 삽입한다. 이 상태로 축(2)을 베어링부(1) 내에 밀어 넣어, 베어링부(1)의 외측 단부로 캡(13)을 끼워 장착한다. 축(2)의 선단부에는 걸림돌기(2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축(2)을 베어링부(1)에 밀어 넣을 때는 압입 상태로 되고, 축(2)을 베어링부(1) 내로 압입을 끝낸 단계에서 걸림돌기(24)가 단차부(12)에 걸려, 베어링부(1), 축(2), 코일 스프링(3) 및 슬라이더(4)가 일체화된다.
이 상태로 휴대용 전화기의 제조공장으로 보내져, 제조공장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체화한 힌지를, 베어링부(1)가 제1 요동체(5)의 원통부(5a) 내에 수납되고, 축(2)의 플랜지(22)가 제2 요동체(6)의 원통부(6a) 내에 수납되도록, 휴대용 전화기에 장착한다.
제1 실시예의 힌지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제2 요동체(6)가 제1 요동체(5)에 대하여 요동할 때, 슬라이더(4)가 코일 스프링(3)에 의해 베어링부(1)의 내주면에 선접촉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제동된다. 슬라이더(4)의 선단부가 슬라이더 걸림부(10)의 위치에 오면 상기 슬라이더 걸림부(10)에 걸려, 요동체(6)가 클릭되어 그 요동이 정지한다. 요동체(6)를 소정 이상의 힘으로 역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슬라이더(4)가 슬라이더 걸림부(10)로부터 이탈하여 요동체(6)는 클릭상태로부터 개방되고, 소정의 압력으로 제동된 상태에서 복귀방향으로 요동하여, 슬라이더(4)의 선단부가 반대측의 슬라이더 걸림부(10)에 걸림으로써, 제2 요동체(6)가 제1 요동체(5)에 대하여 클릭된다.
제1 실시예의 힌지에 의하면, 첫째, 회전방향의 마찰부분은 슬라이더(4)의 선단부와 베어링부(1)의 내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찰부분을 구조상 길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3)의 압력을 요동체의 요동방향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둘째, 코일 스프링(3)의 압력을 슬라이더(4)를 통하여 베어링부(1)의 내주로 작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복수개의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어, 제동력 및 클릭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슬라이더(4)의 선단부와 베어링부(1)의 내주면은 축방향을 따라 선접촉 상태이기 때문에, 슬라이더(4)의 선단부와 베어링부(1)의 내주면의 슬라이드가 안정되며, 또한 슬라이더(4)의 선단부와 베어링부(1)의 내주면의 마모가 억제된다.
넷째, 슬라이더(4)에는 코일 스프링(3)을 외장형으로 안내하는 핀(40)을 설치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3)의 작동이 보다 안정된다.
다섯째, 슬라이더(4)의 코일 스프링(3)과의 접촉부는 평면이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3)의 작동이 더욱 안정된다.
제2 실시예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폴더형의 휴대용 전화기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적당한 스토퍼기구에 의해, 제1 요동체(5)에 대한 제2 요동체(6)의 요동허용범위를, 예를 들면 도면의 실선의 위치로부터 2점쇄선의 범위((160)°)로 규제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휴대용 전화기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부(1)의 내주면의 180° 대칭위치에 넓은 폭의 슬라이더 걸림부(10, 10)를 형성하고, 슬라이더(4)의 선단부 일부가 슬라이더 걸림부(10)의 슬라이드 방향 가까운 쪽 벽부에 접촉했을 때에, 상기 스토퍼기구가 작동하고, 동시에 제1 요동체(5)에 대하여 제2 요동체(6)가 클릭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스토퍼기구의 작동위치와 클릭위치의 조정이 용이하게 되는 것 외에 쌍을 이룬 슬라이더 걸림부(10, 10)를 160° 각도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보다 180° 대칭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소형이며 원통형 내장시트(1b)의 성형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제2 실시예의 힌지의 다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제1 실시예의 힌지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예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힌지는, 제2 실시예의 힌지(도 5)에 있어서의 홈형의 슬라이더 걸림부(10, 10)를, 제2 요동체(6)가 요동하지 않는 부분에서 둘레방향으로 연속시킨 것이다.
이러한 구성이더라도, 제2 실시예의 힌지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제3 실시예의 힌지의 다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제2 실시예의 힌지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예
도 7∼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부호 1은 외주부에 제1 요동체(5)로의 장착부(11)를 가지는 철, 스텐레스강 기타 금속제의 베어링부이며,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도전성을 가지고 있다. 베어링부(1)의 재질이 철인 경우에는, 침탄·질화처리를 실시하여 내면에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부(1)의 내주부에는, 동일원주 상에 소정 각도(이 실시예에서도 180°)로 이격된 위치에, 후술하는 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더(4)의 직경보다 약간 소직경으로 외주에 개방된 원형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더 걸림부(10, 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 걸림부(10, 10)는 축방향을 따라 각각 2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2는 도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의 축이며, 일단부에는 플랜지(22)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22) 이외의 부분은 베어링부(1)의 내부로 상대 회전할 수 있으면서 이탈 방지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축(2)의 베어링부(1)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축심과 직각으로 교차하여 상대 회전시 베어링부(1)의 슬라이더 걸림부(10)를 포함하는 궤도를 통과하도록 일단부가 외주부로 개방된 스프링 수용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수용구멍(20)은, 슬라이더 걸림부(10)와 대응하여 축방향으로 병렬하도록 2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각 스프링 수용구멍(20)에는 코일 스프링(3)(이 실시예에서는 피아노선이 사용되고 있음)이 각각 수용되고, 이들 코일 스프링(3)은 각각 강철제의 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더(4)를 스프링 수용구멍(20)으로부터 둘레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가압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힌지의 다른 부분은, 제1 실시예의 힌지의 구성과 대략 동일하다.
이 실시예의 힌지는 이하의 요령으로 조립할 수 있다.
먼저 축(2)의 각 스프링 수용구멍(20)에서 코일 스프링(3)과 슬라이더(4)를 각각 수용하여, 이 상태로 축(2)을 베어링부(1) 내에 밀어 넣고, 베어링부(1) 외측의 단부로 캡(13)을 끼워 장착한다. 축(2)의 선단부에는 걸림돌기(2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축(2)을 베어링부(1)에 밀어 넣을 때는 압입 상태가 되고, 축(2)을 베어링부(1) 내로 압입을 끝낸 단계에서 걸림돌기(24)가 단차부(12)에 걸려, 베어링부(1), 축(2), 코일 스프링(3) 및 슬라이더(4)가 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일체화된 힌지를, 베어링부(1)이 제1 요동체(5)의 원통부(5a) 내에 수납되고, 축(2)의 플랜지(22)가 제2 요동체(6)의 원통부(6a) 내에 수납되도록 휴대용 전화기에 장착한다.
제4 실시예의 힌지에 의하면, 제2 요동체(6)가 제1 요동체(5)에 대하여 요동할 때, 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더(4)가 코일 스프링(3)에 의해 베어링부(1)의 내주면에 점접촉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제동된다. 슬라이더(4)의 일부가 슬라이더 걸림부(10)의 위치에 오면 상기 슬라이더 걸림부(10)에 끼워 넣어져 걸리고, 요동체(6)가 클릭되어 그 요동이 정지한다. 요동체(6)를 소정 이상의 힘으로 역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슬라이더(4)가 슬라이더 걸림부(10)로부터 이탈하여 요동체(6)는 클릭상태로부터 개방되고, 소정의 압력으로 제동된 상태에서 복귀방향으로 요동하고, 슬라이더(4)가 반대측의 슬라이더 걸림부(10)에 끼워 넣어져 걸림으로써, 요동체(6)가 요동체(5)에 대하여 클릭된다.
제4 실시예의 힌지는, 슬라이더(4)와 베어링부(1)의 내면이 점접촉 상태로 슬라이드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힌지와 그 작용을 약간 달리한다. 그러나, 슬라이더(4)와 베어링부(1)의 슬라이드 마찰부분을 구조상 길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코일 스프링의 탄력을 요동체의 요동방향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으며, 복수개의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어, 제동력 및 클릭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는 점에서는, 제1 실시예의 힌지와 동일하다.
제4 실시예의 힌지에서도, 슬라이더(4)에 코일 스프링(3)을 안내하는 핀을 형성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한다. 베어링부(1)는 도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의 본체(1a)와, 본체(1a) 내로 삽입한 내장시트(1b)로 구성되어 있다. 내장시트(1b)는, 얇은 스텐레스판과 같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을 슬릿형부(1c)를 개재시켜 대략 원통형으로 성형한 것이다.
베어링부(1)의 내주면의 슬라이더 걸림부(10)는, 폭이 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더(4)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축방향을 따른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의 본체(1a)의 내주부에는, 내장시트(1b)의 슬라이더 걸림부(10)에 상당하는 위치에 홈(10a, 10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장시트(1b)의 재질이 스텐레스강으로서 소정 두께 이하인 경우, 이것을 침탄·질화처리하여 슬라이더(4)에 대한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장시트(1b)에서, 홈형의 슬라이더 걸림부(10, 10)의 한 쪽에는 맞대기 위한 슬릿형부(1c)가 형성되어 있고, 내장시트(1b)가 본체(1a) 내에 내장된 상태에서는, 내장시트(1b)는 그 탄성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확대되어 본체(1a) 내에 밀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힌지는 제2 요동체(6)가 제1 요동체(5)에 대하여 180° 요동하면, 슬라이더(4)가 홈형의 슬라이더 걸림부(10)에 걸려 요동체(6)가 클릭된다.
축(2)의 스프링 수용구멍(20), 코일 스프링(3) 및 슬라이더(4)는 각각 한 개이지만, 이들은 제4 실시예의 힌지와 같이 2세트 설치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의 힌지의 다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제4 실시예의 힌지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5 실시예의 힌지에 있어서도, 슬라이더(4)에 코일 스프링(3)을 외장형으로 안내하기 위한 핀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슬라이더 걸림부(10)인 홈의 폭을 제2 실시예 또는 제3 실시예의 힌지와 동일하게 구성하여, 이들과 동일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제6실시예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제6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힌지의 기본적 구조는 제4 실시예의 힌지와 대략 동일하지만, 슬라이더(4)가 볼이 아니고, 강철 등의 경질 재료로 형성되며 또한 그 축선이 축(2)의 축선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롤러(이 형태에서는 원주굴림대)로 구성되는 점에서 다르다.
롤러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더(4)는, 양단의 원주 에지가 모따기 되어 있어 베어링부(1)의 내면에 대하여 원활히 슬라이드 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더 걸림부(10)는, 직경이 슬라이더(4)를 구성하는 롤러의 직경 보다 약간 소직경인 원형의 구멍으로 구성된다.
제6실시예의 힌지는, 슬라이더(4)가 축(2)의 축선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짧은 원주형의 롤러이며, 상기 슬라이더(4)와 베어링부(1)의 내주면의 접촉상태는 선접촉이 된다. 따라서, 베어링부(1)의 내면의 마모는 상대적으로 작다.
이 실시예의 힌지의 다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제4 실시예의 힌지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6실시예의 힌지에 있어서도, 슬라이더 걸림부(10)를 제5 실시예와 동일하게 홈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4)에는 코일 스프링(3)을 안내하기 위한 핀을 형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
슬라이더(4)는, 상기 실시예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대략 반원형 단면 내지 우산형 단면의 막대형, 볼 또는 짧은 롤러인 경우만이 아니라, 베어링부(1)의 내주면과의 슬라이드부인 선단부가 단면 원호형(축(2)의 축심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원호형 단면)이면, 다른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슬라이더(4)가 볼 또는 롤러인 경우에, 슬라이더 걸림부(10)로서 베어링부(1)의 외주부에 구멍을 형성하는 때는, 그 구멍은 원형의 구멍이 아니라, 베어링부(1)의 축방향을 따르면서 그 폭이 슬라이더(4)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슬릿형의 구멍이더라도 실시할 수 있다. 이 때의 슬라이더 걸림부(10)와 슬라이더(4)의 상호 작용은, 슬라이더 걸림부(10)가 홈형인 경우와 대략 동일하다.
베어링부(1)의 장착부(11)나 축(2)의 장착부(21)는, 베어링부(1)나 축(2)을 요동체에 장착할 수 있으면 충분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홈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더라도 상관없다.
동일원주 상의 슬라이더 걸림부(10) 상호의 각도는, 제1 요동체(5)와 제2 요동체(6)의 설계상의 요동범위에 의해 적당히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에 의하면, 마찰부분은 슬라이더(4)와 베어링부(1)의 내면으로 구성되어 구조상 길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스프링의 압력을 요동체의 요동방향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3)의 압력을 슬라이더(4)를 통하여 베어링부(1)의 내주에 작용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복수개의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어 제동력이나 클릭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5)

  1. 외부에 제1 요동체(5)로의 장착부(11)를 가지고, 내주부의 동일원주상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이격된 위치에 단면원호상의 홈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더 걸림부(10, 10)가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내마모성 내면을 가지는 베어링부(1),
    일단부에 제2 요동체(6)로의 장착부(21)를 가지고 있어, 상기 베어링부(1)의 내부에 상대 회전가능하며 또한 이탈 방지 상태로 삽입되고, 축심과 직각으로 교차하며 또한 상대 회전시 상기 슬라이더 걸림부(10)를 포함하는 궤도를 통과하도록 일단이 외주부로 개방되어 축방향을 따라 다수 배치된 스프링 수용구멍(20)을 가지는 축(2),
    상기 각 스프링 수용구멍(20) 내에 각각 삽입된 코일 스프링(3), 및
    상기 각 코일 스프링(3)에 의해 상기 베어링부(1)의 내주면에 밀어 넣어지도록 가압되고, 적어도 상기 베어링부(1)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선단부가 내마모성을 가지며, 상기 각 스프링 수용구멍(20)에 걸친 축방향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베어링부(1)와 축(2)이 상대 회전할 때에 상기 슬라이더 걸림부(10)에 대하여 걸림 및 이탈이 가능하고, 상기 베어링부(1)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선단부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원호상이며, 상기 슬라이더 걸림부(10)를 제외한 부분에는 상기 베어링부(1)의 내주면과 축방향을 따라 선접촉하고, 상기 선단부의 반대측에는 상기 각 코일 스프링(3)의 내부로 안내되는 안내용 핀(40)을 구비하는 슬라이더(4)
    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부(1)는, 외주부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형의 장착부(11)가 제1 요동체(5)의 원통부(5a)의 내면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부(5b)와 결합됨으로써, 제1 요동체(5)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축(2)은, 상기 베어링부(1)로부터 돌출된 플랜지(22)의 외주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형의 장착부(21)가 제2 요동체(6)의 원통부(6a)의 내면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부(6b)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요동체(6)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또한 상기 플랜지(22)의 단부에 축방향을 따라 분할 형성된 걸림돌기(23)가 상기 제2 요동체(6)의 원통부(6a)의 내면에 형성된 칼라(6c)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2 요동체(6)에 대하여 이탈 방지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2. 제1항에서,
    상기 슬라이더(4)는 상기 각 코일 스프링(3)의 단부와 접촉하는 평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3. 제1항에서,
    상기 베어링부(1)는 합성수지제의 본체(1a)와 상기 본체(1a)의 내주면에 정착된 금속제 내장시트(1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4. 제2항에서,
    상기 베어링부(1)는 합성수지제의 본체(1a)와 상기 본체(1a)의 내주면에 정착된 금속제 내장시트(1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5. 제1항에서,
    제1 요동체(5)와 제2 요동체(6) 중, 한 쪽에는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측 하우징(50)이 장착되고, 다른 쪽에는 휴대용 전화기의 수화측 하우징(60)이 장착되며, 상기 베어링부(1) 및 상기 축(2)은 도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6. 제2항에서,
    제1 요동체(5)와 제2 요동체(6) 중, 한 쪽에는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측 하우징(50)이 장착되고, 다른 쪽에는 휴대용 전화기의 수화측 하우징(60)이 장착되며, 상기 베어링부(1) 및 상기 축(2)은 도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7. 제3항에서,
    제1 요동체(5)와 제2 요동체(6) 중, 한 쪽에는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측 하우징(50)이 장착되고, 다른 쪽에는 휴대용 전화기의 수화측 하우징(60)이 장착되며, 상기 베어링부(1) 및 상기 축(2)은 도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1-7012236A 2000-01-31 2000-06-16 힌지 KR100533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23146 2000-01-31
JPJP-P-2000-00023146 2000-01-31
JPJP-P-2000-00100010 2000-03-31
JP2000100010A JP3739250B2 (ja) 2000-01-31 2000-03-31 ヒン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378A KR20020003378A (ko) 2002-01-12
KR100533605B1 true KR100533605B1 (ko) 2005-12-05

Family

ID=26584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236A KR100533605B1 (ko) 2000-01-31 2000-06-16 힌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09273B1 (ko)
EP (1) EP1167786A1 (ko)
JP (1) JP3739250B2 (ko)
KR (1) KR100533605B1 (ko)
CN (1) CN1346425A (ko)
WO (1) WO20010574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7332B2 (ja) * 2000-08-04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無線装置
KR100382113B1 (ko) * 2001-04-06 2003-05-09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20010099386A (ko) * 2001-09-24 2001-11-09 전광 휴대폰의 덮개 개폐장치
EP1335567A1 (en) * 2002-02-04 2003-08-13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Double rotation axis type clam shell phone
KR101012582B1 (ko) * 2003-01-10 2011-02-07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정보 단말 장치
US20040185924A1 (en) * 2003-03-19 2004-09-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radiotelephone for providing a reduced specific absorption rate
KR100493102B1 (ko) * 2003-06-30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브 하우징 스토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50003825A (ko) * 2003-07-04 200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결합구조
JP4113092B2 (ja) 2003-10-24 2008-07-02 三菱製鋼株式会社 二軸ヒンジの回転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電話
US7003852B2 (en) * 2003-10-25 2006-02-28 Chuang Wen-Pin Adjustable stepless hinge shaft
JP2005261729A (ja) * 2004-03-19 2005-09-29 Kamaya Kagaku Kogyo Co Ltd 化粧料コンパクト容器
TWM264768U (en) * 2004-06-18 2005-05-11 Fih Co Ltd Multi-segtion hinge mechanism
CN100471371C (zh) * 2004-11-11 2009-03-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
TWM270281U (en) * 2004-11-12 2005-07-11 Yuan Deng Metals Ind Co Ltd Improved pivot
CN2757502Y (zh) * 2004-12-17 2006-02-0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盖体限位结构
US20060168758A1 (en) * 2005-01-28 2006-08-03 Teng-Chao Chiang Hinge structure
KR100651497B1 (ko) * 2005-08-22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20070289097A1 (en) * 2006-06-14 2007-12-20 Nokia Corporation Mechanical hinge
KR100800711B1 (ko) * 2006-08-23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프리 스톱 힌지 장치
JP2008157012A (ja) * 2006-12-01 2008-07-10 Riken Kaki Kogyo Kk 車両用チェッカ付きドアヒンジ装置
JP5090811B2 (ja) * 2007-07-20 2012-12-05 理研化機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チェッカ付きドアヒンジ装置
KR20090052918A (ko) * 2007-11-22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CN101489367B (zh) * 2008-01-14 2011-08-3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筒及应用该铰链筒的便携式电子装置
CN101541153B (zh) * 2008-03-19 2011-12-0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的转轴结构及组装该转轴结构的方法
CN201277254Y (zh) * 2008-08-04 2009-07-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枢纽器
CN101644298B (zh) * 2008-08-08 2013-06-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及采用该铰链结构的电子装置
CN201297334Y (zh) * 2008-08-12 2009-08-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枢纽器
CN101649857B (zh) * 2008-08-15 2012-07-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CN101737420B (zh) * 2008-11-21 2012-03-0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及采用该铰链结构的电子装置
FR2942703B1 (fr) * 2009-03-06 2011-04-01 Oreal Dispositif de support d'au moins un article cosmetique et procede d'utilisation associe
EP2250951B1 (en) * 2009-05-07 2012-04-04 Eksen Makine Sanayi ve Ticaret A.S. Toasting apparatus with a handle having predetermined locking positions
JP5467187B2 (ja) * 2009-08-28 2014-04-09 株式会社アドバネクス ヒンジ装置及び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US8082627B2 (en) * 2009-09-03 2011-12-27 Shin Zu Shing Co., Ltd. Hinge and an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US20110072619A1 (en) * 2009-09-28 2011-03-3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Hinge
IT1398735B1 (it) * 2010-03-04 2013-03-18 Elesa Spa Cerniera a posizioni di arresto definite perfezionata
CN202207093U (zh) * 2011-07-18 2012-05-02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一种防晃动式煎烤器
US9127876B2 (en) * 2013-03-14 2015-09-0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nap off center flipper mullion
WO2014167545A2 (en) * 2013-04-12 2014-10-16 In & Tec S.R.L. Hinge for the controlled rotatable movement of a door
US10317682B2 (en) * 2015-10-07 2019-06-11 Facebook Technologies, Llc Friction joint for a head mounted display
US10662688B2 (en) * 2016-05-18 2020-05-26 In & Tec S.R.L. System for the rotatable coupling of a closing element and a stationary support structure thereof
CN106194985A (zh) * 2016-09-06 2016-12-07 江苏大亚铝业有限公司 一种阻尼定位转轴
IT201600124482A1 (it) * 2016-12-07 2018-06-07 Elesa Spa Cerniera a posizioni di arresto definite perfezionata
CN106763148B (zh) * 2017-03-28 2023-03-14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天线
JP2018179298A (ja) 2017-04-13 2018-11-1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ヒンジ装置
JP7057701B2 (ja) * 2018-03-30 2022-04-20 ナカ工業株式会社 縦可動手摺
KR102126768B1 (ko) * 2018-10-24 2020-07-07 주식회사 파츠텍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KR102091472B1 (ko) * 2018-10-24 2020-04-23 주식회사 파츠텍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CN110332220A (zh) * 2019-08-09 2019-10-15 福州大学 一种简易式可调整角度铰链及其工作方法
US11773634B2 (en) * 2020-09-21 2023-10-03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Hollow hinge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19217Y1 (ko) * 1965-04-26 1969-08-18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1476A (en) * 1945-10-09 1952-04-01 Alfred J Swanson Hinged closure control
US3583734A (en) * 1969-01-13 1971-06-08 Dominion Auto Access Hinge joint assemblies
JPS5532631Y2 (ko) * 1974-07-26 1980-08-04
JPS5117655A (ko) 1974-08-05 1976-02-12 Hitachi Ltd
JPS5474946A (en) * 1977-11-28 1979-06-15 Hitachi Ltd Power transmission system
JPS57194856A (en) 1981-05-21 1982-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Profiling controlling device
JPS57194856U (ko) * 1981-06-08 1982-12-10
JPS60108567U (ja) * 1983-12-28 1985-07-23 市光工業株式会社 ドアミラ−
JPS6138319A (ja) 1984-07-31 1986-02-24 Nakajima Doukoushiyo:Kk 液化ガスを用いた加熱装置
JPS6138319U (ja) * 1984-08-10 1986-03-10 ジエコ−株式会社 節動機構
JPH0524824Y2 (ko) * 1987-03-31 1993-06-23
JPS6490641A (en) 1987-09-30 1989-04-07 Nec Corp Section fault informing system for communication network
JP2582094B2 (ja) 1987-11-05 1997-02-19 株式会社リコー 複写機の操作表示制御装置
JPH0190641U (ko) * 1987-12-08 1989-06-14
JPH063892Y2 (ja) * 1988-02-05 1994-02-02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ハンドシャワーの角度調節構造
US4987640A (en) * 1989-03-02 1991-01-29 Hu Lin Industrial Co., Ltd. Super-thin hinge with resiliently biased catch
JPH0475234A (ja) 1990-07-17 1992-03-10 Nec Corp 直線ビームマイクロ波管
JPH0475234U (ko) * 1990-11-10 1992-06-30
CA2062630C (en) * 1992-01-13 1995-06-13 Allen Riblett Detent hinge
DE69302259T2 (de) * 1993-01-21 1996-12-05 Bruzolo Manifatt Gestind Mb Armlehne für Kraftfahrzeugrücksitze
JPH06296517A (ja) 1993-04-13 1994-10-25 Takigen Seizo Kk 起倒型ハンドル装置
DE4315232A1 (de) * 1993-05-07 1994-11-10 Happich Gmbh Gebr Lag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schwenkbar gelagerte Sonnenblenden von Fahrzeugen
JP3325083B2 (ja) * 1993-07-05 2002-09-17 原田工業株式会社 クラッチ
JPH07212051A (ja) 1994-01-25 1995-08-11 Hitachi Ltd 折たたみ式電子機器収容筐体
US5509332A (en) 1994-02-28 1996-04-23 Three Star Enterprises, Inc. Friction clutch hand tool
US5636462A (en) * 1994-05-04 1997-06-10 Kleiman; Robert M. Illuminated flashing message display sign apparatus with different operative positions
JPH08126050A (ja) * 1994-10-26 1996-05-17 Toyo Commun Equip Co Ltd 携帯電話機のヒンジ部の構造
JPH08200387A (ja) * 1995-01-18 1996-08-06 Origin Electric Co Ltd トルクリミッタ
US5645308A (en) * 1995-08-29 1997-07-08 Prince Corporation Sliding visor
DE19626704A1 (de) * 1996-07-03 1998-01-08 Scharwaechter Gmbh Co Kg Kraftwagentürfeststeller
US5765263A (en) * 1996-07-15 1998-06-16 Southco, Inc. Door positioning hinge
JP3098468B2 (ja) * 1997-08-26 2000-10-16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のヒンジ部構造
JP3084266B2 (ja) * 1998-02-19 2000-09-04 サンゴバン・ノ−トン株式会社 フリーストップヒンジ
JPH11351237A (ja) 1998-06-08 1999-12-24 Jewel Denshi Kk ディテント式ヒンジ及びそれを用いた 蓋付携帯電話及び蓋付容器
JP3265572B2 (ja) 1998-11-20 2002-03-11 日本電気株式会社 折畳式携帯電話器の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19217Y1 (ko) * 1965-04-26 1969-08-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39250B2 (ja) 2006-01-25
CN1346425A (zh) 2002-04-24
US6609273B1 (en) 2003-08-26
JP2001289238A (ja) 2001-10-19
WO2001057407A1 (fr) 2001-08-09
EP1167786A1 (en) 2002-01-02
KR20020003378A (ko) 200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3605B1 (ko) 힌지
US8555465B2 (en) Detent hinge
KR0121797B1 (ko) 랙 피니언식 스테어링 장치
US7171247B2 (en) Hinge device
US7568263B2 (en) Hinge apparatus and watch 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6832411B2 (en) Hinge device
US20070214605A1 (en) Sleeve joint type hinge
US6507977B2 (en) Computer hinge
US6658111B2 (en) Small-siz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9990006456A (ko) 힌지장치
US7707688B2 (e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I124790B (fi) Ovenlukko
US20040068841A1 (en) Hinge with catch
JP3828643B2 (ja) ヒンジ装置
KR20050004259A (ko) 힌지장치
JP2004506149A (ja) 遊動ベアリング
KR200250082Y1 (ko) 힌지 유니트
KR200440657Y1 (ko) 휴대폰용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한 복합 슬라이더 조립체
CN109318624B (zh) 用于书写和绘画目的的笔
KR100377060B1 (ko) 힌지
US6000796A (en) Slidably resilient hinge for eyeglass frames
KR100223578B1 (ko) 힌지구조
JP2005023951A (ja) フリーストップヒンジ装置
JP3070673U (ja) ヒンジ
JPH11108048A (ja) ヒン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